참선 (목적)2013. 10. 10. 23:34

 

 

§(016) 내가 내 마음 닦는 참선법(參禪法)이 영원히 생사를 면하는 무루복(無漏福)

**송담스님 (No.016) - 1976년 부처님오신날 법문에서.(용016)

 

약 4분.

우리가 이 자리에 모인 것은 과거의 업장(業障)을 소멸하고 앞으로 영원무궁토록 모든 복과 지혜를 누리는 것이 우리의 목적입니다.

이렇게 정성스런 마음으로 이 자리에 참여하신 그 공덕으로, 틀림없이 모든 재앙을 소멸하고 여러분의 소원이 성취되어서 한량 없는 복을 누릴것은 의심치 않지마는, 우리는 그 복(福)만을 믿을 수가 없습니다. 그 복이라 하는 것은 언젠가는 다할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영원한 행복은 물질적인 복, 세속에서 말하는 명예, 권리, 재산 이러한 오욕락(五慾樂)이라고 하는 것은 없어서도 안되지마는 영원한 것이 못되고 영원히 믿을 것이 못되기 때문에, 부처님과 조실스님과 역대 도인들이 말씀하시기는 생사해탈(生死解脫)할 수 있는 무루복(無漏福)을 닦아야 한다.

무루복(無漏福)이라 하는 것은 영원히 끝장이 나지를 않고 아무리 쓰고 또 써도 바닥이 나지를 않고 다할 날이 없는 복(福) 그것이 무루복입니다. 무루복이라 하는 것은 참선법(參禪法)에 의해서 내가 내 마음을 닦아 가지고 생사해탈하는 이것만이 영원히 생사를 면하는 무루복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무루복(無漏福)과 유루복(有漏福)을 겸해서 닦아야, 남도 좋고 나도 행복할 수 있는 길을 가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유루복만을 치중을 하시고 바쁘다 핑계하고, 아들딸 시집 보내고 다 키운 것을 핑계대고, 가정생활에 핑계대고, 사회에 핑계대 가지고 무루복 닦는, 내가 내 마음 닦는 이 공부를 사실상 너무나도 등한히 하고 계신 점이 많습니다.

우리는 참으로 급한 것은 뒤로 미루고, 급하지 아니한 것은 집착해 가지고 그것만에 빠져서 앞길을 헤어날 줄 모르는 그러한 어리석은 하루하루를 지내지 않는가, 각자 냉철히 반성을 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을 기해서, 부처님이 삼계(三界)에 모든 고해(苦海)에서 헤매고 있는 중생들을 제도하시기 위해서 출현하신 탄생하신 그 부처님의 탄생일을 맞이해서, 우리는 그 부처님이 남겨 놓으신 생사해탈법(生死解脫法)에 의지해서 ‘내가 나를 닦는 참선법’을 철저히 닦아서 결정코 금생에 생사해탈 할 것을 다같이 마음에 다짐하기를 간절히 바라마지 않습니다.(21분13초 ~ 24분36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참선법(參禪法) ; ①선(禪) 수행을 하는 법 ②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 보기 위해 하는 수행법.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법.
*업장(業障) ; 전생(前生)이나 금생(今生)에 행동•말•마음(신구의,身口意)으로 지은 악업(惡業)으로 인하여 이 세상에서 장애(障礙)가 생기는 것.
*생사해탈(生死解脫) ; 생사(生死)를 떠나 깨달음의 세계에 드는 것.
*삼계(三界) ; 불교의 세계관으로 중생이 왕래하고 거주하는 세 가지 미혹한 세계. 중생이 태어나서 죽어 윤회하는 영역으로서의 세개의 세계. 중생의 마음과 생존 상태를 세 단계로 나눈 것.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를 이른다.
*고해(苦海) ; 삼계(三界) -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 - 에서 생사의 괴로움이 무한한 것을 바다에 비유함.

Posted by 닥공닥정
무상(無常)2013. 10. 5. 13:30

<핸드폰에서, 아래 법문은 위 유튜브에서 58분 13초부터 시작됩니다>

 

 

§(457) (게송) 석화광음주 홍안진백두 인간백년몽 부유일생사.

 

**송담스님(No.457) - 1991년 11월 첫째 일요법회 법문에서. (용457)

약 9분.

 

석화광음주(石火光陰走)하고  홍안진백두(紅顔盡白頭)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인간백년몽(人間百年夢)이여  부유일생사(蜉蝣一生事)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석화광음주(石火光陰走)요  홍안진백두(紅顔盡白頭)다.
세월이, 이 시간이 돌과 돌이 부딪칠 때 반짝하듯이 그렇게 빠르다 그 말이거든.

벌건 소년 시절의 그 붉은 얼굴이, 다 희끗희끗한 흰머리가 났어. 지금 이 자리에 젊으신 분도 많이 계시지만 머리가 허연 분들도 적지 않다. 어느새 이렇게 흰머리가 나고 늙었는가 생각해 보면, 스무 살 열다섯 살 때가 엊그제 같은데, 언제 어떻게 지나간줄 모르게 이렇게 늙었다 그말이거든.

현재 머리가 희고 연세가 많은 분 뿐만 아니라, 아직은 머리가 희지 않고 검고 주름살도 없고 젊은 분도 금방 희여진다 그말이거든.

인간백년몽(人間百年夢)이여, 사람은 태어나서 빈부귀천과 흥망성쇠 속에서 좀더 잘살아 볼라고 정치로 나간 사람, 경제계로 나간 사람, 학계로 나간 사람, 예술계로 나간 사람, 별별 직업을 가지고 각자 자기의 능력과 소질 따라서, 참 피나는 노력을 하고 좀더 잘살아 볼려고 애쓰지만, 많이 살아봤자 백년 미만이요 지내놓고 보면 하룻밤 꿈에 지내지 못한 것이여.

그리고 하루살이(蜉蝣) 신세에 지나지 못해. 돈 많다고 안 죽는 사람 못 봤고, 권리가 많다고 안 죽은 사람 못 봤어. 다 지내놓고 보면은 무엇이냐 그말이여.

꿈 한번 좋은 꿈을 꾸었거나 나쁜 꿈을 꾸었거나, 꿈 한번 꾸고 꿈 깨고 난 뒤끝에 지내지 못해.


그러나 그런 허망한 몸뚱이 허망한 인생이지만, 정법을 믿고 열심히 한 생각 한 생각 돌이켜서 화두(話頭)를 들고 정진(精進)한 사람은, 전혀 인생을 헛산 사람이 아니여.

마지막 죽어갈 때에도, 내가 참 마음껏 정진을 못한 것에 대한 후회는 있을지언정 인생을 헛살았다고 하는 그런 후회는 없을 것입니다.

더군다나 정진을 열심히 해서 임종(臨終) 직전에 이르러서도, 떠억 몸은 괴롭겠지. 그 괴로움을 이기지 못해서 죽는다니까. 숨도 가쁘고 가슴도 답답하고, 나는 그렇게 죽어보지 못해서 확실히 얼마만큼 괴로운가는 잘 모르겠는데, 다 전생에 수백만 번 겪었지마는 전생사는 다 잊어버리거든.

그래 다른 사람 죽은 것을 보면 정말 마지막 숨 몰아 쉴때는 옆에서 보기가 대단히 안좋아. 푹푹하면서 가래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고 얼마나 답답하겠냐 그말이여. 일으키라고 했다 뉘이라고 했다 일으키라고 했다 뉘라고 했다...

참 복을 많이 지은 사람은 죽을 때 편안하게 미소를 지으면서 죽어간단 말도 들었고, 저녁밥 잘 먹고도 자는 듯이 가는 사람도 있다고 들었고, 특히 요료법(尿療法)을 한 사람은 죽을 때 아주 편안하게 죽는다니까 한번 먹어볼 만한 일이라고 생각이 되요.

공부를 열심히 한 사람은 거기에다 요료법까지 해서, 죽을 때 편안하게 화두를 터억 들고서 눈을 감을수 있다면 참 다 조사열반(祖師涅槃)을 했다고 할 것이다 그말이거든.

이렇게 말하는 동안에도 시간은 쉬지 않고 똑딱똑딱똑딱 지나가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화두를 터억 들고서 지금 산승(山僧)의 말을 듣고 계실줄 믿습니다. 그 마음으로 법회가 끝나고도 항상 그 마음으로 일 초 일 초를 지내가고 댁으로 돌아가시는 걸음걸음을 그렇게 하시고 댁에 가셔서도 그렇게 화두를 단속(團束)하고 사신다면,

공부라는 게 사실은 그렇게 어렵고 복잡한 게 아니여. 몸뚱이를 들볶고 잠을 안 자고 먹을 것을 안 먹고 그렇게 막 들볶는 것으로써 정진을 삼는 것이 아니고, 필요한 만큼 먹고 잘 만큼 자되, 눈 떠있을 때 화두를 야무지게 단속을 해야 하거든. 그렇다면 완력으로 우격다짐으로 의단을 거각하는 것이 아니여.

항상 조실 스님 법문을 자주자주 듣고 화두 하나만을 여법하게 단속할줄 알면 누었거나 앉았거나 무슨 상관이 있냐 그말이여.

소지(掃地)를 하거나 빨래를 하거나, 화두 하나만 여법하게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도록 잡드리해 나가면, 뭐 시간이 간 것을 두려워할 것이 있으며, 늙어가는 것을 또 두려워할 것이 무엇이 있느냐 그말이여

두려워한다고 안 늙겠습니까,

이제 가을도 다 가고 겨울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보름 남짓 지나가면 또 겨울 결제 겨울 안거를 맞이하게 됩니다. 여기에 모이신 사부대중도 어느 선방에 가서 방부를 들이든지 항상 조실스님의 법문을 잊지 말고 여법하게 정진을 하시기를 당부를 합니다.(57분33초~1시간6분11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석화광음주(石火光陰走)~’ ; [청허당집(清虛堂集)] (西山 休靜, 朴敬勛역, 동국대학교 역경원) 86쪽 ‘세상을 탄식함’ 게송 참고.(石火光陰走 紅顔盡白頭 山中十年夢 人世是蜉蝣)
*부유(蜉蝣) ; [동물] 하루살이목에 속한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임종(臨終) ; 목숨이 끊어져 죽음에 이름. 또는 그때.
*요료법(尿療法) ; 요료법(尿療法)은 오줌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민간 요법의 하나.
*열반(涅槃) ; ①타고 있는 불을 바람이 불어와 꺼 버리듯이, 타오르는 번뇌의 불꽃을 지혜로 꺼서 일체의 번뇌나 고뇌가 소멸된 상태. ‘니르바나(nirvāna)’의 음역어로, 불가(佛家)에서 흔히 수행에 의해 진리를 체득하여 미혹(迷惑)과 집착(執着)을 끊고 일체의 속박에서 해탈(解脫)한 최고의 경지를 이르는 말이다. ②스님의 죽음을 수행을 통해 해탈(解脫)에 이르게 됨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조사열반(祖師涅槃) ; 경허스님의 참선곡(參禪曲)에 다음 구절이 있다—‘참선 잘한 저 도인(道人)은 서서죽고 앉아죽고 앓도 않고 선세(蟬蛻-매미가 허물을 벗음)하며, 오래살고 곧 죽기를 마음대로 자재(自在)하며’
*단속(團束) ; ①주의를 기울여 다그쳐 보살핌. ②규칙, 법령, 명령 등을 어기지 않게 통제함.
*소지(掃地) ; 마당을 쓸다.
*의단(疑團의심할 의, 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독로(獨露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홀로(獨) 드러나다(露)
*잡드리 ; ‘잡도리’의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Posted by 닥공닥정
활구참선 최상승법2013. 10. 4. 14:38

§(457) 의리선(義理禪)을 하지마라. 사량분별로 공안을 따지지마라.

 

**송담스님(No.457) - 1991년 11월 첫째 일요법회(67분)법문에서. (용457)

 

약 1분.

 

아까 전강 조실스님 법문 가운데에 의리선(義理禪)을 하지마라. 사량분별(思量分別)로 공안(公案)을 따지고 그런 짓을 하지마라.

공안을 의리로 따져서 그럴싸하니 해답을 얻어봤자 그걸 어디에 쓰는 것이냐 그거거든.

아무 소용없어.

천칠백 공안을 따져서 자기 나름대로 결론을 얻어 가지고, 이 공안을 물으면 이렇게 대답하고 저 공안을 물으면 저렇게 대답하고, 요새 조사어록(祖師語錄)들이 많이 번역이 되어 나와 가지고 그런 것을 죽죽 읽어서,

머리 좋은 사람은 몇 번만 읽으면 이렇게 물으면 이렇게 대답하고 저렇게 물으니까 저렇게 대답하고, 그 알아 가지고 제법 자기도 깨달은 것처럼 법담(法談)을 척척하고, 어디다 쓰는 것이냐 그말이여.

아무 소용없거든.(49분54초~51분)

 

 

 

 

>>> 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의리선(義理禪) ; 선법(禪法)을 의리선, 여래선, 조사선 세 가지로 나누어 말할 수 있는데 ①의리선(義理禪)이란 것은 말이나 글로 해석하고 설명하는 선을 이름이니, 마치 인장으로써 진흙에 찍으면(印泥) 인발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는 것과 같다. ②여래선(如來禪)이란 것은 생각과 알음알이가 아주 끊어지지 않아서, 말 자취가 있고 이치의 길이 남아 있어서, 마치 인장을 물에 찍은(印水)것 같다. ③조사선(祖師禪)이란 것은 말 자취와 생각의 길이 함께 끊어져, 이치나 일에 다 걸림 없는 것이 마치 인장을 허공에 찍은(印空) 것과 같은 것이다. 무문채인(無文綵印),무문인(無文印)
*사량분별(思量分別) ; 생각하여 헤아려서 종류에 따라 나누어 가름.
*공안(公案) : 화두(話頭)。①정부 관청에서 확정한 법률안으로 백성이 준수해야 할 것。②선종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이것을 화두라고도 하는데 문헌에 오른 것만도 천 칠백이나 되며 황화취죽 앵음연어(黃花翠竹鶯吟燕語) — 누른 꽃, 푸른 대, 꾀꼬리 노래와 제비의 소리 등 — 자연현상도 낱낱이 공안 아님이 없다。화두에 참구(叅句)와 참의(叅意)가 있다。이론적으로 따져 들어가는 것이 참의요 사구(死句) 참선이며, 말길 뜻길이 끊어져서 다만 그 언구만을 의심하는 것이 참구요 활구(活句) 참선이다.
*법담(法談) ; 선사(禪師)들이 서로 법문을 묻고 대답하는 것.

 

Posted by 닥공닥정
오조 홍인대사2013. 9. 20. 15:58



經云衆生若情誠不內發者於三世縱値恒沙諸佛無所能爲經云衆生識心自度佛不能度衆生若佛能度衆生者過去諸佛恒沙無量何故我等不成佛也只是情誠不自內發 (最上乘論節錄 松潭)

경(經)에 이르되 중생이 만약 정성(情誠)스런 마음이 안으로부터 돈발(頓發)하지 아니한 자는 삼세(三世)의 비록 항하사의 모든 부처님을 만난다 하더라도 무소득(無所得)이니라. 어찌할 바가 없느니라.
또 경에 말씀하시기를 중생이 마음을 스스로 깨달아서 자기가 자기를 제도(濟度)해야지 부처님이 중생을 제도할 수는 없는 것이다. 만약 ‘부처님이 능히 중생을 제도할 수가 있다’하고 말을 한다면 과거의 모든 부처님이 항하사 무량의 수없는 부처님이 계셨는데 무슨 연고로 우리들은 아직도 성불(成佛)을 못했을 것이냐. 다못 이것은 정성이 안으로부터서 돈발하지 못한 연고로...



Posted by 닥공닥정
보왕삼매론2013. 9. 20. 15:32

보왕삼매론십대애행 (寶王三昧論十大礙行)


1.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말라.
    몸에 병이 없으면 탐욕이 생겨 반드시 계를 파하고 도에서 물러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병고로써 양약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2. 세상을 살아감에 곤란이 없기를 바라지 말라.
    곤란이 없으면 반드시 교만심을 일으켜 일체를 속이고 억압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환난으로써 해탈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3. 마음공부를 함에 장애 없기를 바라지 말라.
    장애가 없으면 배움이 건너뛰어 반드시 얻지 못하고 얻었다고 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장애로써 소요(逍遙)를 삼으라 하셨느니라.

4. 수행하는데 마장 없기를 바라지 말라.
    마장이 없으면 서원이 굳건하지 못하여 반드시 깨닫지 못하고 깨달았다고 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마군으로써 수행을 도와주는 벗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5. 일을 계획함에 쉽게 이루기를 바라지 말라.
    일을 쉽게 이루면 경솔하고 거만하여 반드시 유능함을 자칭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일은 어려움으로써 안락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6. 벗을 사귐에 내게 이롭기를 바라지 말라.
    내게 이롭고자 하면 의리를 상하여 반드시 남의 허물을 보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나를 해롭게 하는 벗으로써 자량(資糧)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7. 남이 순종해 주기를 바라지 말라.
    내 뜻대로 순종해 주면 자만심이 생겨 반드시 내가 옳다는 생각에 집착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내 뜻을 거스르는 사람으로써 원림(園林)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8. 덕을 베풀되 과보를 바라지 말라.
    과보를 바라면 도모하는 마음이 생겨 반드시 명예를 드날리고자 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덕을 베풀되 헌 신처럼 버리라 하셨느니라.

9. 이익을 분에 넘치게 바라지 말라.
    이익이 분에 넘치면 어리석은 마음이 동하여 반드시 부당한 이득이 나를 해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적은 이익으로써 부귀를 삼으라 하셨느니라.

10. 억울함을 당하여 밝히려고 하지 말라.
      밝히고자 하면 인아상(人我相)이 일어나 반드시 원망하는 마음을 돕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억울함을 당함으로써 수행의 문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이러한즉 막히는데서 통하게 되고 통함을 구하는 것이 도리어 막히게 되나니 부처님께서는 많은 장애 가운데서 큰 깨달음을 얻으셨으니 앙굴마라와 제바달타의 무리가 다 반역된 짓을 했으되 부처님께서는 모두 수기를 주어 교화하사 성불케 하셨느니라. 어찌 저들의 반역으로 순종함을 삼고 저들의 훼방으로 나의 성취를 삼음이 아니리요. 이제 도를 배우는 사람이 만일 역경에 처해 보지 못하면 장애에 부딪칠때 능히 이겨내지 못하여 법왕의 큰 보배를 잃어버리게 되나니 가히 애석하지 아니하리요.

--------------------

*소요(逍遙) 자유롭게 이리저리 슬슬 거닐며 돌아다님.
*자량(資量) 깨달음에 이르는 데 바탕이 되는 선근공덕(善根功德).
*원림(園林) 자신의 집에 딸린 정원의 숲.
*수기(授記) 부처님이 그 제자들이 수행하여 얻은 깨달음으로 ‘미래의 언제 어디서 부처가 되리라’는 말씀.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