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구참선 최상승법2014. 7. 28. 17:16

§(337) (게송)적수성동신유지~, 심수만경전~, 청군앙면간허공~ / 중생의 모든 희로애락이 바로 그곳이 선불장(選佛場) / 자기 소임을 하면서 거기에 즉해서 '이뭣고?'

일어나는 그 한 생각은 분명 그것이 중생의 생각이지만, 그 중생심을 버리지 아니한 채 바로 화두(話頭)로 돌이켜 버리면, 그것이 바로-거기서 생사심(生死心)이 끊어져 버리고 깨달음으로 걸음을 내딛는 것이 된다.


번뇌나 망상을 없앨려고 허면은 더욱 일어나는데, 없앨려고 허지 말고 끊을려고 허지 말고 일어나는 바로 거기에서 화두를 들고 나아가면, 끊을려고 허지도 않았는데 저절로 번뇌가 끊어져.


**송담스님(No.337) - 정묘년 칠석차례(87.07.07.음)에서. (용337)

 

(1) 약 14분.

 

(2) 약 13분.

 


(1)------------------

 

적수성동신유지(滴水成凍信有之)하고  녹양방초색의의(綠楊芳草色依依)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추월춘화무한의(秋月春花無限意)여  불방한청자고제(不妨閑聽鷓鴣啼)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적수성동신유지(滴水成凍信有之)나  녹양방초색의의(綠楊芳草色依依)로다.
방울 물이 얼음을 이룬다 그말이여. 엄동설한에 물방울이 똑 떨어지면은 떨어지자마자 탁 얼어버리고 또 물방울이 떨어지면 떨어짐과 동시에 얼어버리고. 그러헌 진리가 진실로 있어. 사실 그런 것이로되,

녹양방초색의의(綠楊芳草色依依)여. 푸른 버드나무와 향그러운 꽃이 그 색이 아름답고 아련하다.

엄동설한에는 그렇게 꽁꽁 얼어붙어 가지고 물방울마다 얼어가지고, 결국은 흐르는 강물도 온통 전체가 얼어붙어서 흘러가는 물을 볼 수가 없으나,
어느덧 소한·대한이 지내고 입춘·우수가 돌아오면 그 꽁꽁 얼어붙었던 강물과 온 천지가 녹아가지고 푸릇푸릇 새싹이 돋아온 것이다 그말이여.

강물이 얼어붙고 온 산천이 꽁꽁 얼어붙을 때에는 풀 한포기 이파리 하나 푸른 빛깔을 볼 수가 없지만 봄이 돌아오면은 푸릇푸릇 새싹이 돌아오고 누른 꽃도 피고 빨간 꽃도 피게 된다 그말이여.

이 진리 체(體)에 입각해서 본다면 입으로 가히 설할 법이 없고 귀로 가히 들을 수 있는 법이 아니지만, 그러나 백척간두(百尺竿頭)에 한 걸음을 내려디디면 거기에는 무수방편(無數方便)이 다 이 한 일을 위해서 설해지는 것이여.

부처님께서 녹야원(鹿野苑)에서 법(法)을 설하시기 시작해 가지고, 발제하(跋提河)에서 열반에 들으실 때까지 팔만사천 법을 설하시고도 마지막에 가서는 한 글자도 설한 바가 없다. 이렇게 말씀을 하셨습니다.

그래서 팔만사천 법을 설하시고도 한 글자도 설한 바가 없다고 하셨으니, 그러면 ‘부처님께서 설하신 법이 있느냐?’할 때에 ‘설한 바가 있다’고 한다면 부처님을 비방하는 것이고, ‘설한 바가 없다’고 한다면 경을 비방하는 것이여. 법을 비방한 것이다 그말이여.

설하시고도 설한 바가 없다고 하시고, 설한 바가 없다고 하시면서도 팔만사천 법을 설하셨습니다.
꽁꽁 얼어붙은 엄동설한이 세월이 지나가면 다시 새싹이 나서 잎이 피고 꽃이 피는 도리.

추월춘화무한의(秋月春花無限意), 가을에는 휘황창 달이 밝고 봄에는 울긋불긋 아름다운 꽃이 피는 거기에 한없는 뜻이 있다 그말이여. 한없는 그러한 현상 속에 무한한 뜻이 그 속에 들어있어.

그러기 때문에 불방한청자고제(不妨閑聽鷓鴣啼)여. 한가히 자고새 우는 소리를 듣는 것이 방해롭지 않다. 봄이 돌아와서 잎이 피고 꽃이 피면은 그 꽃이 향기로운 속에는 자고새란 새가 그 노래를 하는데, 그 자고새 노래 소리를 듣는 것이 방해롭지를 않더라.

오늘 정묘년 칠석날을 맞이해서 방금 조실스님의 녹음 법문을, 그 어느 해 칠석날에 설하신 녹음 법문을 사부대중은 경청을 했습니다.
구구절절이 그 감동에 넘치는 그 간곡한 법문을 듣고 바로 12년 전에 열반허셨던 전강 선사(田岡禪師)께서 바로 이 법상에서 육성으로 실지로 설하신 거와 같이 그렇게 낭랑(朗朗)하게 그렇게 법문을 설해 주셨습니다.

칠석날이라 허면은 모든 신남신녀들이 목욕재계(沐浴齋戒)하고 조촐한 마음으로 부처님께 와서 모두 복을 빌고 명을 빌고 소원을 빌어왔습니다.
저 신라·백제 때부터 다 칠성단(七星壇)에 기도를 허고, 칠성단에 공양을 올리면은 업장이 소멸이 되고 수명장수허고 복덕이 구족허고, 아들이 없는 사람은 아들을 낳고, 돈이 없는 사람은 부자가 되고, 모든 소박한 우리 인간의 모든 소원을 빌어오는 그러헌 유서(由緖) 깊은 날입니다.

그날에 조실스님께서는 최상승법(最上乘法)을 설해 주셨습니다.
어떻게 기도를 하고 어떻게 복을 빌고 하면 부자가 되고 수명장수 하고 복덕이 구족하느냐? 그런 말씀은 한 말씀도 허시지 아니허고, 확철대오(廓徹大悟)하는 최상승 법문을 설해 주셨는데,

그 법문 가운데에 “중생의 모든 중생심을 버리고 깨달음을 구하는 것이 아니다.”
중생(衆生)의 마음 - 희로애락과 탐진치 삼독(三毒) 그러헌 마음이 끊임없이 일어났다 꺼졌다 허는데 그 마음을 버리고 그래 가지고 청정한 어떠헌 부처님 마음을 구하는 것이 아니다.

심수만경전(心隨萬境轉), 마음이 일체 경계를 따라서 마음이 이렇게 굴러 가는데,
전처실능유(轉處悉能幽)다. 그 굴르는 곳마다 다 능히 유심(幽深)하다, 깊숙하다.

중생은 경계를 보고 무슨 소리를 듣고 그러면은 그 경계에 따라서, 그 색상 따라서, 거기에 상응해서 온갖 생각이 일어납니다.

 

슬픈 일을 보면은 슬퍼허고, 기쁜 일을 보면은 기뻐허고, 희로애락에 따라서 경계 따라서 온갖 마음이 일어나는데, 그 경계 따라서 일어나는 그 마음이 그 경계를 여의고 깨달음으로 향한 것이 아니라,
바로 그 경계에 즉해서 자기 본성품을 봐 버리면(隨流認得性) 기뻐헐 것도 없고 근심헐 것이 없다(無喜亦無憂).
우리가 모다 공부를 해 나가는데 가장 중요헌 요점인 것입니다.

중생은 경계에 따라서 온갖 마음이 일어나되, 일어나는 그 마음으로 인해서 둘째 생각 셋째 생각 넷째 생각 해서 점점점점 그 생각이 변해서 발전해 가지고 결국은 한없는 업(業)을 짓게 됩니다.
그 생각이 얼굴에 표현이 되고 행동으로 나타나 가지고, 조그마한 '한 생각'이 동함으로 해서 그 생각이 결국은 행동으로 나타나 가지고 큰 업을 짓게 돼.

그러허기를 무량겁을 두고 오늘날까지 그렇게 해왔고, 현실적으로도 그렇게 해오고 있다 그말이여.

그런데 이 최상승법, 참선(參禪)을 하는 사람은 그 생활해 나가는데 있어서 완전히 다른 것입니다.
물론 참선헌 사람이라 하드라도 눈으로 무엇을 보면은 아, 저것은 붉다·누리다·빨갛다, 저것은 사람이다·개다, 그런 것을 느끼지 아니헌 것은 아니여. 느끼되, 그 느낌이 다음 생각으로 발전하기 전에 ‘이뭣고?’하고 화두를 턱! 들어 버린다 그말이여.

그러기 때문에 일어나는 그 한 첫 생각은 분명 그것이 중생의 생각이지만, 그 중생심을 버리지 아니한 채 바로 화두(話頭)로 돌이켜 버리면, 그것이 바로 - 거기서 생사심(生死心)이 끊어져 버리고 깨달음으로 걸음을 내딛는 것이 된다 그말이여.

이것이 최상승법을 믿고 참선 공부를 한 사람과 이 최상승법을 믿지 아니허고 그냥 마구 살아가는 사람과의 차이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처음~14분17초)

 

 

 

 


(2)------------------

 

청군앙면간허공(請君仰面看虛空)하라  확락무변불견종(廓落無邊不見蹤)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약해전신사자력(若解轉身些子力)하면  두두물물총상봉(頭頭物物總相逢)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청군앙면간허공(請君仰面看虛空)이라. 청컨댄 그대는 머리를 들고 저 허공을 보아라.
확락무변불견종(廓落無邊不見蹤)이다. 확 트여서, 갓이 없이 트여가지고 그 자취를 볼 수가 없느니라.

약해전신사자력(若解轉身些子力)허면, 만약 거기에서 몸을 뒤치면, 몸을 돌리면,
두두물물(頭頭物物)이 총상봉(總相逢)이다. 일체 두두물물이 모두가 다 '그'더라. 모두를 거기에서 다 만날 수가 있더라. 모든 이치를 거기에서 다 볼 수가 있더라.

화두를 들어서, 들고 또 들고 해서 들어갈수록 알 수가 없다 그말이여. 꽉 맥혀서 알 수가 없어. 한 달, 두 달, 석 달, 1년, 2년, 3년, 4년, 해 갈수록 답답허고 알 수가 없어.
알 수가 없지만 다못 알 수 없는 의심을 향해서 화두를 관조(觀照)해 나갈 따름이거든. 거기에서 망상을 끊을려고 허지 않아도 망상이 끊어지고, 번뇌를 끊을려고 허지 않아도 거기서 번뇌가 끊어져.

번뇌나 망상을 없앨려고 허면은 더욱 일어나는데, 없앨려고 허지 말고 끊을려고 허지 말고 일어나는 바로 거기에서 화두를 들고 나아가면, 끊을려고 허지도 않았는데 저절로 번뇌가 끊어져. 오직 의단(疑團)만이 독로(獨露)허다 그말이여.

순일무잡해서, 그 의단이 독로해서 순일무잡한 그 경계는, 그 맑고 깨끗하고 고요허고 순수무잡한 그 경계는 말로써 표현헐 수가 없어.
거기서 한 생각 더디 의심하면, 한 생각 의심을 놓치면 - 좋다느니, 편안하다느니, 맑다느니 - 딴 생각을 거기서 먹게 되면 찰나(剎那)간에 무간지옥(無間地獄)으로 떨어지는 것이여.

깨달음을 기다리지도 말고, 누가 깨닫게 해주기를 바라지도 말고, 영원히 그런 상태로 계속 되었으면 허는 그런 생각도 헐 필요가 없어. 알 수 없는 화두만을 끝없이 관조해 나가.

행주좌와 어목동정 간에 걸어갈 때나, 앉았을 때나, 누워서나, 차를 탈 때나, 일을 할 때나, 가정에서 살림을 헐 때, 살림을 허게 되면 살림, 설거지를 허게 될 때나, 장사를 허거나, 무슨 밥을 짓거나 찌개를 끓이거나, 똥을 누거나, 옷을 입거나, 빨래를 허거나, 무엇을 허거나 상관이 없어.

가정에서 생활을 하고 직장에서 생활을 하다 보면 기쁜 일도 있고 슬픈 일도 있고 속상하는 일도 있고 걱정스런 일도 있겠죠.
바로 그 기쁜 일이 있을 때에는 기쁜 일을 당한 그 자리에서 ‘이뭣고?’ 슬픈 일을 당허면 슬픈 일을 당한 바로 거기에 즉해서 ‘이뭣고?’ 오늘같이 칠석날을 당허면은 칠석날을 당해서 목욕재계허고 와서 동참을 허고 이렇게 법요식에 참석허면 바로 거기에서.

 

그렇게 살아가면 중생의 모든 희로애락이 바로 그곳이 선불장(選佛場)이고.

‘최상승법을 믿는 사람은 기복(祈福)불교는 안 믿는다. 그까짓 무슨 복을 빌고, 무슨 소원을 빌고. 인간의 흥망성쇠 재산이나 남편이나 아내나 자식이나 또는 음식이나 명예나 세속의 모든 안락이 그까짓 것이 하루아침 꿈에 지나지 못헌데 얻어봤자 무슨 소용이 있어?
그까짓 것 빌어서 뭐해? 자식도 다 꿈속에서 만난 한 꿈속의 인연이요, 부귀영화도 그까짓 것 한평생 잠깐 왔다 가버리는 그까짓 것을 얻으면 무엇허고 잃으면 무엇해?’

그런 생각을 가지고 복도 빌지도 않고 칠석에도 동참(同參)도 허지도 않고, ‘나는 오나가나 참선 뿐이다. 「이뭣고?」면 그만이지. 그밖에 무엇을 구헐 것이 있어?
구해 봤자 무슨 얻어져 봤자 그거 몇 조금 가냐? 인생 칠십이 하루아침인데 죽어 갈 때 가지고 갈 무슨 소용이 있느냐? 오직 나는 「이뭣고?」뿐이 없다.’

 

이렇게 나간다면, 그런 사람이 만약에 있다면 그건 참 대발심(大發心)을 허고 인간을 완전히 체달(體達)해 버린 사람이지.

슬퍼도 「이뭣고?」 기뻐도 「이뭣고?」 뭐 집안이 흥해도 「이뭣고?」 망해도 「이뭣고?」 뭐 누가 죽어도 「이뭣고?」 태어나도 「이뭣고?」 좋아헐 것도 슬퍼헐 것도 말 것도 없다.

 

그렇게 전체가 오직 「이뭣고?」 하나로 딱 되어 가지고 산을 봐도 산일 줄 모르고, 물을 봐도 물인 줄 모르고, 남편을 봐도 남편인 중도 모르고, 자식을 봐도 자식인 줄도 모르고, 이렇게 되어 버렸다면, 그리고 오직 자나깨나 「이뭣고?」 하나 밖에 안 되았다면 그 사람에게는 언어가 끊어져 버려, 시비가 끊어져 버려.
그렇게 되아버렸다면 불일성지(不日成之)여. 그 사람은 며칠 안 가서 언제 툭 터질런지를 몰라, 그런 사람은.

그렇게 실지로 된 사람이 있다면. 승속을 막론허고 그렇게 되어 버렸다면은 그건 누가 그 사람 보고 이래라저래라 시비헐 것이 없어요.
만약에 그렇게 되었다면은 그런 사람이야말로 신심과 분심과 의단이 이 삼요(三要)가 일시에 폭발헌 사람이라.

그렇게 되지 못해서 한(恨)이여. 출가해서 10년 20년 공부해도 그렇게 되지 못하기 때문에 금일야임마(今日也恁麽) 명일야임마(明日也恁麽)거든.

그렇게 되는 것 밖에 더 없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되지 못했다면 선방에서는 선방의 법도(法度)가 있고, 가정에서는 가정의 법도가 있어. 사회에 나가면 사회의 법도가 있는 법이여.
그래서 그 법도에 따르면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그 속에서 항상 일부러 마음을 일으켜서라도 「이뭣고?」를 해야 되는 것이여.

 

그렇게 애를 쓰고 또 애를 쓰고 허다 보면은 아까와 같은 그러헌 타성일편지경(打成一片之境)이 오는 것입니다.

타성일편지경에 오지도 않으면서 ‘나는 참선을 허니까 운력도 나는 안 한다. 나는 참선을 허니까 예불도 안 한다. 나는 참선 허니까 법당에 갈 것도 없다.’
또 ‘참선을 허니까 나는 그까짓 거 기복불교 허지 아니허고 참선만 헌다. 난 절에도 갈 필요도 없다. 참선 밖에 더 있냐.’ 이렇게 헌다면 그것은 조금 옳은 것 같은데 그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참의심(眞疑)'이라 하는 것은 '주작(做作)이 끊어진 자리'인 것입니다.
주작(做作)이라 하는 것은 '지을 주(做)자, 지을 작(作)자' 지어서 하는 것, ‘지어서 한다’는 것은 속은 그렇지 못허면서 겉으로 그렇게 헌 것처럼 꾸미는 것입니다.

그래서 자기의 놓여진 자리에서 자기에게 주어진 소임이 있습니다. 방부를 들이고 방(榜)을 짜면 각기 소임을 맡듯이 이 가정에서도 소임이 있어.
엄마로서의 해야 할 소임, 아내로서 해야 할 소임, 또는 아들로서 해야 헐 소임, 딸로서 해야 헐 소임, 시어머니로서 해야 헐 소임, 며느리로서 해야 헐 소임, 학생으로서 해야 헐 소임, 회사나 관공서의 직원으로서 해야 헐 소임이 있습니다.

이미 이 세상에 태어났으면 자기에게 주어진 소임을 최소한 허면서 거기에 즉해서 「이뭣고?」를 해야 허는 것입니다.

분심(憤心)과 의심(疑心)과 신심(信心)이 한목 폭발한 상태도 아니면서, 소임도 아니하면서 소임을 포기하고 ‘불법을 믿네, 참선을 헙네’하고 그럭저럭 그렇게 나가면 그것은 꼴불견인 것입니다.
그 사람은 바른 것이 아닌 것입니다. 그 사람은 참선을 바르게 하는 것이 아니고, 최상승법을 옳게 실천해 나간 것이 아닌 것입니다.

아까 ‘심수만경전(心隨萬境轉)이요 전처실능유(轉處悉能幽)’도 역시 그것을 실천하는 데 있어서 마찬가지인 것입니다.(36분28초~49분51초)

 

 

 

 


------------------(1)

 

*(게송) ‘적수성동신유지~’ ;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 야부도천 게송 참고.
*백척간두(百尺竿頭 일백 백, 자 척, 장대 간, 머리 두) ; ①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 위에 올라섰다는 뜻으로, 몹시 어렵고 위태로운 지경을 이르는 말. ②모든 상대적 차별을 없앤 절대의 경지.
*무수방편(無數方便) ; 헤아릴 수 없이(無數) 많은 방편.
*녹야원(鹿野苑) ; 석가(釋迦)가 35세에 성도(成道)한 후 최초로 설법을 개시한 곳이며, 이때 교진여(僑陳如) 등 5명의 비구(比丘)를 제도(濟度)하였다.
갠지스 강 중류, 지금의 바라나시(Varanasi, 베나레스 Benares)에서 북동쪽 약 7㎞ 지점에 있는 사르나트(Sarnath)의 유적이 곧 녹야원의 터. 사슴동산(녹야원), 즉 사르나트(Sarnath)는 산스크리트어로 ‘사슴의 왕’을 뜻하는 ‘사란가나타(Saranganatha)’가 줄어든 말이다.
붓다가 깨달음을 이룬 우루벨라(uruvelā) 마을의 붓다가야(buddhagayā)에서 녹야원까지는 직선 거리로 약 200㎞됨.
탄생(誕生:룸비니) ·성도(成道:붓다가야) ·입멸(入滅:쿠시나가라)의 땅과 더불어 불교(佛敎) 4대 성지의 하나.
*법(法) ; (산스크리트) dharma, (팔리) dhamma의 한역(漢譯). ①진리. 진실의 이법(理法). ②선(善). 올바른 것. 공덕. ③부처님의 가르침.
*발제하(跋提河) ; 석가모니가 열반한 쿠시나가라 옆에 흐르는 강의 이름.
*칠성단(七星壇) ; 북두칠성(北斗七星)을 신격화한 칠원성군(七元星君)을 모신 단. 칠성에 대한 신앙은 특히 중국의 도교에서 발달하여 이후 ①불교에서 칠성은 호법선신(護法善神)의 하나로 수용되었고 ②민간에서는 특히 수명과 재복을 관장하는 신으로 믿어졌다.
*유서(由緖) ;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까닭과 내력.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중생(衆生) : 참 성품을 잃어버리고 망녕된 온갖 생각이 분주하게 일어났다 꺼졌다 하기 때문에, 온갖 세계에 돌아다니면서 났다 죽었다 하는 무리들, 곧 정식(情識)이 있는 것들을 모두 중생이라 한다.
그러므로 사람뿐 아니라 모든 동물과 귀신들과 하늘 사람들까지 합쳐서 하는 말인데, 유정(有情)• 함령(含靈)• 함식(含識)• 군생(群生)• 군맹(群萌)• 군품(群品) 같은 여러 가지 말로도 쓴다.
부처님은 구제의 대상을 인류(人類)에게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와 같은 중생 전부를 가르치고 건지시는 것이다.
*삼독(三毒) ; 사람의 착한 마음(善根)을 해치는 세 가지 번뇌. 욕심, 성냄, 어리석음(貪,瞋,癡) 따위를 독(毒)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게송) ‘심수만경전~’ ; [직지(直指)] (白雲和尙 抄錄, 조계종출판사) 63쪽 마나라(摩拏羅) 존자 게송 참고.
*유심(幽深)하다 ; 깊숙하고 그윽하다.
*경계(境界) ; ①인과(因果)의 이치(理致)에 따라서, 자신이 부딪히게 되는 생활상의 모든 일들. 생로병사•희로애락•빈부귀천•시비이해•삼독오욕•부모형제•춘하추동•동서남북 등이 모두 경계에 속한다.
②나와 관계되는 일체의 대상. 나를 주(主)라고 할 때 일체의 객(客). ③시비(是非)•선악(善惡)이 분간되는 한계.  경계(境界)에는 역경(逆境)과 순경(順境), 내경(內境)과 외경(外境)이 있다.
*업(業) : [범] karma [파] Kamma 음을 따라 갈마(羯磨)라고 하며, '짓다(作)'의 뜻이다。중생들이 몸으로나 말로나 뜻으로 짓는 온갖 움직임(動作)을 업이라 한다.
개인은 이 업으로 말미암아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모든 운명과 육도(六道)의 윤회(輪廻)를 받게 되고, 여러 중생이 같이 짓는 공업(共業)으로 인하여 사회와 국가와 세계가 건설되고 진행되며 쇠퇴하거나 파멸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 처음에는 악업(惡業)을 짓지 말고 선업(善業)만 지으라고 가르치다가, 필경에는 악과 선에서도 다 뛰어나고, 죄와 복에 함께 얽매이지 말아서 온갖 국집과 애착을 다 버리도록 하여, 부처님의 말씀에까지라도 걸리지 말라고 하신 것이다.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생사심(生死心) ; '일어났다 꺼졌다'한 그 생각. 번뇌(煩惱), 망상(妄想)을 말함.

 

 

 



------------------(2)

 

*(게송) ‘청군앙면간허공~’ ;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이색이상분(離色離相分), 야부도천 게송 참고.
[참고] 위의 야부도천 게송을 함허 스님이 설의(說誼)한  ‘정체종래절성색~’에 대한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두두물물(頭頭物物) ; 온갖 사물과 현상.
*찰나(剎那 절•짧은시간 찰/어찌 나) ; ①지극히 짧은 시간. 75분의 1초에 해당한다. ②어떤 일이나 현상이 이루어지는 바로 그때.
*선불장(選佛場) ; 부처(佛)를 뽑는(選) 장소(場)라는 뜻. 선원에 있어서 수행자가 좌선하는 곳.
[참고] 중국 고봉 스님의 《선요禪要》의 ‘개당보설(開堂普說)’에, 방 거사(龐居士)의 게송이 아래와 같이 있다.
‘十方同聚會 箇箇學無爲 此是選佛場 心空及第歸’
‘시방세계 대중들이 한 자리에 모여, 저마다 함이 없는 법(無爲)을 배우나니, 이것이 부처를 선발하는 도량(選佛場)이라. 마음이 공(空)해 급제하여 돌아가네.’ (통광 스님 역주 ‘고봉화상선요•어록’ p37,46에서)
*체달(體達) ; 사물의 진상을 통달함.
*금일야임마(今日也恁麽) 명일야임마(明日也恁麽) ; 오늘도 그럭저럭 내일도 그럭저럭.
*법도(法度) ; 생활상의 예법과 제도(制度)를 아울러 이르는 말.
*타성일편(打成一片) : 좌선할 때 자타(自他)의 대립이 끊어져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한 경계.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