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심 자신(自信)2013. 9. 27. 10:58

•§•(249) 아무리 업력이 태산(泰山)같이 눌은밥 같이 눌러 붙었더라도 그까짓것 돌아보지 말고 그저 하면은 깨닫는다. 안된 법이 없는 것이 화두(話頭)니라.

 

**전강선사(No.249) - 고담화상법어1(임자.72.6.2)(37분)법문에서. (전249)

 

약 2분.

 

천마만련(千磨萬鍊)해라. 천 번이나 화두를 의심을 하고 만 번이나 화두를 단련해라.


화두 하나 밖에 없으니 깨달기 전에는, 깨달을라면 언하(言下)에도 있고 그저 그만 일념지간(一念之間)에도 있고 중생성불(衆生成佛) 찰나간(刹那間)에도 있다마는, 그놈이 잘 못 깨달을랄것 같으면 참 누년(累年)도 가고 일생(一生)도 가고 삼생(三生)도 가고 이런 것이다.

깨달기 전에는 네 실력이 그 뿐인데, 네가 원래 깨달지 못할 만한 업력(業力)이 그만큼 눌은밥 눌떼기 퍼 눌러 있으니 그런건데 한탄(恨歎)하면 뭣할 것이냐. 한탄도 그만두고 그저해라.

아무리 업력이 태산(泰山)같이 눌은밥 같이 눌러 붙었더라도 그까짓것 돌아보지 말고 그저 하면은 화신투입(和身透入)한다. 네 온전한 몸뚱이 네 전체 몸뚱이 푹 들어갈 때가 있다.


안된 법이 없는 것이 화두(話頭)니라.(28분19초~29분35초)

 

 

 

 

---------------------

 

*화신투입(和身透入) ; [선가귀감(禪家龜鑑)] (용화선원 刊) p60~61
[참고] 此事는  如蚊子가  上鐵牛하야  更不問如何若何하고  下嘴不得處에  棄命一攅하야  和身透入이니라.
이 일은 마치 모기가 무쇠로 된 소에게 덤벼들듯이, 다시 여하약하를 묻지 말고 주둥이를 댈 수 없는 곳에 목숨을 떼어 놓고 한 번 뚫어 보면, 몸뚱이째 들어갈 때가 있으리라.

Posted by 닥공닥정

•§•(249) 생각생각에 공안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을 염념상연(念念相連)해라. 의단독로  그놈 연속해 나가는 것이 타성일편(打成一片)지경 / 회광자간, 회광반조.

 

**전강선사(No.249) - 고담화상법어1(임자.72.6.2)(37분)법문에서. (전249)

 

(1) 약 6분.

(2) 약 5분.

 

(1)------------------

 

항상 공안(公案)을 조주(趙州) 공안을 ‘여하시조사서래의(如何是祖師西來意)’인고 ‘판치생모(板齒生毛)’니라. 판때기 이빨에 털났느니라.

무슨 도리(道理)냐 말이여. 따져가지고는 되지 않는 도리여. 아무리 이놈을 수수께끼처럼 별 생각을 다 붙여봐도 고것은 안되거든, 선(禪)이라는 것은. 그러니 그걸 주의하라는 것이여.

그러헌 의리선(義理禪), 해석선(解釋禪), 따지고 붙이는 선(禪) 그것은 말아야 한다. 그러기에 그런 종자(種子)는 여지없이 쫓아내 버리고 그것은 기르지 않아야 돼. 그래야 활구학자(活句學者) 활구선(活句禪)이지. 그런 것이 생겨 나오면 못 쓰거든.

다언(多言) 말을 하지 말고 공안선(公案禪)을 해라. 공안을 떠-억 염념상연(念念相連)해라. 생각생각에 그 의심(疑心)을 연(連)해라. 의심(疑心), 알 수 없는 놈을 연속해라. 시심마(是甚麼)면, ‘이뭣고?’ ‘이-뭣고?’

‘이-’ 아! ‘이-’한 놈이 있다 말이여 분명히. ‘이-’해 놓고 보니 뭐냔 말이다. 도대체 뭐냔 말이다. 별 놈의 이치를 다 때려 붙여 봐라. 모양있는 지견을, 모양있는 무슨 모양을 다 때려 붙여 봐라. 오색을 다 갖다 붙여보고 오색없는 지경을 다 붙여봐라. 그런건 공안참선(公案參禪)이 아니야.

‘이뭣고?’ 알 수 없는 하나가 떠억 나와 가지고는 그만 그놈 하나 뿐이다. 전체가 그놈 하나 뿐이여. 가나 오나 그놈 하나 뿐이여. 일체처(一切處)에 그놈 하나 뿐이여. 행주좌와(行住坐臥)에 그놈 하나 뿐이여. 똥 눌 때라도 오줌 눌 때라도 밥 먹을 때라도 그놈 하나 뿐이야.

그놈 하나 다뤄 나가는데 뭐가 그리 어렵냐 그말이여. 천하에 쉬운 것이 그뿐인데.

이놈을 생각생각이 연(連)해라. 전념(前念)이 끊어지기 전에 곧 후각(後覺)이, 뒤에 깨달은 그 알 수 없는 놈이 항상 꼬리를 연(連)해. 염념상연(念念相連)을 해라.

좋지, 참 재미나지.

그 일념(一念)이, 알 수 없는 일념이 독로(獨露)된데 가서 일체 중생고(衆生苦)가 거기 없다. 중생고가 뭐냐하면, 사량분별(思量分別)이 중생고인데 그저 그 분별식이 일어나 가지고는 못 견디지.

그 분별식 가운데 얻지 못한 것이 있고, 되지 않은 일이 있고, 무슨 애가 탄 일이 있고, 뭐 별 놈의 중생고가 다 거기서 일어난다. 중생고 퍼 일어나는 것이 망상번뇌(妄想煩惱)에서 일어나는건데,
망상번뇌가 붙덜 못혀. ‘이뭣고?’에는.

‘이뭣고?’.
‘이뭣고?’ 그놈이 또 ‘이뭣고?’. 찾는 놈 또 찾는구나 ‘이뭣고?'
‘이뭣고?’한 놈을 또 ‘이뭣고?'한다.

아, 이렇게 법상에 올라와서 아침마다 일러주는데 무엇을 물어 사석(私席)으로, 사석으로 물을게 뭐여. 물을게 있어야 묻지.

‘이뭣고---?’
‘이뭣고?’해 놓고는 알 수 없는 ‘이뭣고?’ 그 의심 그놈의 덤뱅이가 그놈이 참, 그것 ‘이뭣고?’라도 깰래야 깰 수 없고 흩을래야 흩을 수 없고 그놈 뭐.
잘~ 그놈 해보지. 당장에 거가서 직하(直下)에 거가서 무변리(無變理)거가 있고 변함이 없는 도리가 있고.

그대로가 독로(獨露)인대, 의단독로(疑團獨露) 그것이 바로가 그대로가 그놈 연속(連續)해 나가는 것이 그것이 타성일편(打成一片)지경인대, 언제나 언제나 오래오래 몇 철 몇 해 해가지고사 타성일편이 올라는가 그때 올라는가. 요런 놈의 소견(所見)봐라.

직하에 그만, 타성일편도 오는 것이고, 지금 언하(言下)에 대오(大悟)도 거기서 오는 것이고.

항상 상연(相連)해라. 그 상연(相連) 참 묘(妙)하다.(11분29초~17분24초)

 

 

 

 


(2)------------------

 

‘이뭣고?’ 하나 득력(得力)해서 그만 타성일편(打成一片) 되어보지. 깨닫지 못하고 죽더라도 그 일편(一片)이 그대로 가서 그만 정법신심가(正法信心家)에 가서 그대로 몸뚱이 턱 받아 가지고 나와서 또 ‘이뭣고?’하는 것이여.

상대목전(相對目前)해라. 목전(目前)에 탁 드러나야 한다. 독로, 독로(獨露)가 그거야. 눈 앞에, 이 내 눈 뜬, 이 눈깔 눈 앞에도 나타나지마는 심안(心眼)에, 내 마음 눈이 있지 않은가. 이 눈 보다도, 눈 감아도 보이는 눈이 있지 않은가. 눈 감아도 보이는 눈 앞에 탁 나타날 것이다.

분금강지(奮金剛志)해라. 금강같은 뜻을 가지고 분(奮)을 한번 내라. 스르르르 풀어지는 고런놈의, 그 금방 났다가 금방 없어진 놈의 고런놈의 마음, 거 뭣 할거냐. 그게 도심(道心)이냐. 도 닦는 마음이 그러하냐. 금강(金剛)같은 마음을, 분(奮)을 내라.

분심(奮心)이 제일이다. 왜 내가 나를 모르다니. 왜 내가 내 면목(面目)을 내 낯빤대기를 내가 몰라. 내 콧배기를 내가 몰라. 우째서 모르냐 말이여. 무슨 까닭으로 몰라? 왜 못 봐.

그런 뜻을 한번 가지고 일념만년(一念萬年)이다. 그 생각이, 그 깨짐이 없는 그 철저한 마음, 그 뭉태기는 만년(萬年)이다. 만년이면 만년 지낸들 없어지나, 벌써 만년인대. 만년이면 또 만년이지. 또 만년이면 또 만년이지. 억만년(億萬年)이지.

그 염(念)이 도렴(道念)이 ‘이뭣고?’마음이, 이처럼 견고하고 이처럼 맺어져 한 덩어리로, 풀려지지 않아야 한다. 그래 가지고는 화두(話頭)가 자꾸 민첩하게 아름답게 틈없이 온당한 한 덩어리 떠억 될때 회광자간(廻光自看)해라

회광자간(廻光自看)이라는 건, 다시 더 맹렬하게 ‘이뭣고?’를 한번 봐라. 관(觀)해라. ‘이뭣고?’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판치생모 그 의지(意旨)를, 조주(趙州)가 ‘판때기 이빨에 털 났다’고 했으니, ‘어째 판치생모라 했는고?’ 그놈을 한번 심안(心眼)으로 회광(廻光)해라.

가만~히 관(觀)을 해라. 관(觀)이 의단(疑團)뿐이거든.
알 수 없는 놈 뿐이다 그말이여.
알 수 없는 놈 딱 틀림없이 나온 놈이 그놈이, 그것이 반조(返照)여.
회광반조(廻光返照)를 달리 했다가는 큰일나.
여기 다 그렇게 해 놨으니.

그놈을 찰이(察而)하고 부관(復觀)해라. 살피고 또 다시 관(觀)하라 하는건, 의심(疑心)을 더 맹렬히 하고 후렴(後念)을 더 알 수 없는 의심을 자꾸.

의단 뿐이니까, 의단독로(疑團獨露)니까.
관(觀)이나 부관(復觀)이나 찰(察)이나 전부가 의단(疑團)이라는 거여. 의심 하나 뿐이여.

의심을 가만~히, 꼭 ‘어째서 판치생모~’해서 되나.
나중에는 그만 판치생모가 그대로 의심 하나 뿐인데, 이뭣고가 그대로 의심 하나 뿐인데.

살피고 다시 관하는(察而復觀) 것이 그것이 거기에 가서, 용맹도 더하고 신심도 더하고 분심도 더하고 못된 중생념이 붙지 못하게, 거기서 뭐 그러헌 무슨 별념(別念)이 생겨 나올 것이 뭣이 있나.(20분4초~24분53초)

Posted by 닥공닥정
무상(無常)2013. 9. 27. 09:42

 

 

•§•(249) (게송) 만리경년별 고등차야심 하시봉견안 산색의구청

 

**전강선사(No.249) - 고담화상법어1(임자.72.6.2)(37분)법문에서.

 

약 6분.

 

만리경년별(萬里經年別)이요  고등차야심(孤燈此夜心)이니라
나무~아미타불~~
하시(何時)에 봉견안(逢見顔)고  산색의구청(山色依舊靑)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만리경년별(萬里經年別)이다. 만리나 그만 서로 살다가 이별(離別)을 해. 부부간이든지 부모간이든지 친척간이든지, 그저 내 몸뚱이던지 뭐든지 그만 만리경년별이여. 만리나 그만 격해버려. 콱 맥혀버리고 이별해 버린다 그말이여. 한번 이별하면 그만이야.

그 낯빤대기, 그 얼굴, 그 모양 그대로는 도저히 만날 수가 없어. 금생(今生) 부모가 후생(後生)에 만난들 얼굴이 똑같을 수가 있나. 얼굴 다 달라 버리고, 뭐 전체가 변해 버리고 뭐 모두 그저 그만 참,

뿔따구를 뒤집어 쓰고 나올런지, 꼬리를 달고 나올런지, 기다란 무슨 그런 놈의 배암 같은 게 되어 나올란지, 원 당췌 뭐 거,

얼굴 그 얼굴 다시는 못 보지. 만리나 격년 이별해 버리고 만다.

고등차야심(孤燈此夜心)이로구나. 외로운 등(燈)에 턱 그만 이별허면, 등불만 훤허니 써 놓고 앉았어. 이 마음이다. 이 슬픈 마음. 얼마나 슬퍼.

내 몸뚱이도 내버릴 때 얼마나 슬프고 얼마나 무서우며, 가진 몸뚱이지만 이별을 꼭 하고 말 때가 있으니 그 때를 생각해 봐라.

내 몸뚱이 밖, 부모니 처자니 뭐 친척이니 뭐 재산이니 뭐든지 그거 다 내버리는거 그거 한번 생각해봐.

하시(何時)에 봉견안(逢見顔)고. 어느 때에 다시 이별하면 만날 때가 있으리오. 도저히 이 몸 내버린 뒤에 무엇을, 이 몸도 다시는 못 만나. 요렇게 생긴 몸뚱이를 못 만나. 어떻게 생겨 나올런지.

산색(山色)은 의구청(依舊靑)이니라. 산빛은 예를 의지해 항상 푸르다.
산색의구청(山色依舊靑)이여. 산색의구청이라는 것은 내 본래가풍(本來家風), 내 본래면목(本來面目). 변태없는 산색이 그 놈이 어디 변태가 있나. 어느 때던지 산은 퍼렇지.

그저, 내가 나 하나 깨달라서 생사없는 해탈대도(解脫大道)에 거기에 의지할 수 밖에 없다.(처음부터~5분36초)

 

 


------------------------

 

 

*(게송) ‘만리경년별(萬里經年別)~’ ; 1,2구 [청허당집(清虛堂集)] (西山 休靜, 朴敬勛역, 동국대학교 역경원) p70 ‘行禪子에게 답함’ 게송 참고.

Posted by 닥공닥정
오조 홍인대사2013. 9. 20. 15:58



經云衆生若情誠不內發者於三世縱値恒沙諸佛無所能爲經云衆生識心自度佛不能度衆生若佛能度衆生者過去諸佛恒沙無量何故我等不成佛也只是情誠不自內發 (最上乘論節錄 松潭)

경(經)에 이르되 중생이 만약 정성(情誠)스런 마음이 안으로부터 돈발(頓發)하지 아니한 자는 삼세(三世)의 비록 항하사의 모든 부처님을 만난다 하더라도 무소득(無所得)이니라. 어찌할 바가 없느니라.
또 경에 말씀하시기를 중생이 마음을 스스로 깨달아서 자기가 자기를 제도(濟度)해야지 부처님이 중생을 제도할 수는 없는 것이다. 만약 ‘부처님이 능히 중생을 제도할 수가 있다’하고 말을 한다면 과거의 모든 부처님이 항하사 무량의 수없는 부처님이 계셨는데 무슨 연고로 우리들은 아직도 성불(成佛)을 못했을 것이냐. 다못 이것은 정성이 안으로부터서 돈발하지 못한 연고로...



Posted by 닥공닥정
보왕삼매론2013. 9. 20. 15:32

보왕삼매론십대애행 (寶王三昧論十大礙行)


1.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말라.
    몸에 병이 없으면 탐욕이 생겨 반드시 계를 파하고 도에서 물러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병고로써 양약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2. 세상을 살아감에 곤란이 없기를 바라지 말라.
    곤란이 없으면 반드시 교만심을 일으켜 일체를 속이고 억압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환난으로써 해탈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3. 마음공부를 함에 장애 없기를 바라지 말라.
    장애가 없으면 배움이 건너뛰어 반드시 얻지 못하고 얻었다고 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장애로써 소요(逍遙)를 삼으라 하셨느니라.

4. 수행하는데 마장 없기를 바라지 말라.
    마장이 없으면 서원이 굳건하지 못하여 반드시 깨닫지 못하고 깨달았다고 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마군으로써 수행을 도와주는 벗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5. 일을 계획함에 쉽게 이루기를 바라지 말라.
    일을 쉽게 이루면 경솔하고 거만하여 반드시 유능함을 자칭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일은 어려움으로써 안락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6. 벗을 사귐에 내게 이롭기를 바라지 말라.
    내게 이롭고자 하면 의리를 상하여 반드시 남의 허물을 보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나를 해롭게 하는 벗으로써 자량(資糧)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7. 남이 순종해 주기를 바라지 말라.
    내 뜻대로 순종해 주면 자만심이 생겨 반드시 내가 옳다는 생각에 집착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내 뜻을 거스르는 사람으로써 원림(園林)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8. 덕을 베풀되 과보를 바라지 말라.
    과보를 바라면 도모하는 마음이 생겨 반드시 명예를 드날리고자 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덕을 베풀되 헌 신처럼 버리라 하셨느니라.

9. 이익을 분에 넘치게 바라지 말라.
    이익이 분에 넘치면 어리석은 마음이 동하여 반드시 부당한 이득이 나를 해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적은 이익으로써 부귀를 삼으라 하셨느니라.

10. 억울함을 당하여 밝히려고 하지 말라.
      밝히고자 하면 인아상(人我相)이 일어나 반드시 원망하는 마음을 돕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억울함을 당함으로써 수행의 문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이러한즉 막히는데서 통하게 되고 통함을 구하는 것이 도리어 막히게 되나니 부처님께서는 많은 장애 가운데서 큰 깨달음을 얻으셨으니 앙굴마라와 제바달타의 무리가 다 반역된 짓을 했으되 부처님께서는 모두 수기를 주어 교화하사 성불케 하셨느니라. 어찌 저들의 반역으로 순종함을 삼고 저들의 훼방으로 나의 성취를 삼음이 아니리요. 이제 도를 배우는 사람이 만일 역경에 처해 보지 못하면 장애에 부딪칠때 능히 이겨내지 못하여 법왕의 큰 보배를 잃어버리게 되나니 가히 애석하지 아니하리요.

--------------------

*소요(逍遙) 자유롭게 이리저리 슬슬 거닐며 돌아다님.
*자량(資量) 깨달음에 이르는 데 바탕이 되는 선근공덕(善根功德).
*원림(園林) 자신의 집에 딸린 정원의 숲.
*수기(授記) 부처님이 그 제자들이 수행하여 얻은 깨달음으로 ‘미래의 언제 어디서 부처가 되리라’는 말씀.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