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無常)2020. 3. 20. 21:14

 

 

§(220) (게송)기린난봉불성군~ / 차사(此事), 천상천하에 짝이 없는 보배를 우리는 낱낱이 다 가지고 있다 / 생사호흡지간 / 나의 생사 문제 해결이 가장 절실, 누구도 대신 해결해 주지 못한다 / 참선은 이 몸을 법왕궁을 만드는 것.

 

진리를 터득한 눈으로 보면 생사는 없는 것이지만, 우리 깨닫지 못한 우리 범부(凡夫)에게는 분명히 생노병사가 있어서 정말 우리의 목숨은 믿을 것이 못됩니다. 그러기 때문에 이 일대사(一大事)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분초(分秒)를 다투어서 일분일초를 아껴서 정신을 가다듬고 화두(話頭)를 들고 정진을 부셔대야 하는 것입니다.

 

다른 일은 내가 아니하면 또 다른 사람이 할 사람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지금 못 하면은 또 다음에 할 기회도 올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나의 생사 문제는 이 몸 받았을 때 내가 해결하지 아니하면 아무도 내 대신 이것을 해 줄 사람은 없습니다.

 

참선법(參禪法)이라 하는 것이 바로 이 몸뚱이를 법왕궁(法王宮)을 만드는 것이고, 극락세계를 만드는 것이고, 모든 부처님에 적멸궁(寂滅宮)을 장엄(莊嚴)하는 일이 되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220)—1983년(계해년) 동안거결제 법회(83.11.19) (용220)

 

약 21분.

 

기린난봉불성군(麒麟鸞鳳不成群)하고  척벽촌주나입시(尺璧寸珠那入市)인고

나무~아미타불~

늠름위광혼태허(凜凜威光混太虛)헌데  천상인간총부지(天上人間總不知)로구나

나무~아미타불~

 

기린난봉불성군(麒麟鸞鳳不成群)하고, 기린과 난봉새는 다른 짐승들과 떼를 짓지를 아니하고,

척벽촌주나입시(尺璧寸珠那入市)인가. 옥(玉)이 직경이 한 자나 되는 그런 크고 좋은 옥과, 그 구슬이 직경이 한 치나 되는 그런 큰 좋은 보주(寶珠), 보배 구슬이 어찌 시장에 나돌겠는가.

 

기린(麒麟)이라고 하는 짐승은 머리에 뿔이 두 개가 난 것이 아니라 뿔이 하나만 난, 그런 아주 성스러운 짐승인데.

그 나라 왕이나 천자가 성인(聖人)이 출세(出世)를 해 가지고 임금님이 되면 천자가 되면 그 기린이라고 하는 동물이 나타나고, 성인이 아닌 무도(無道)한 사람이 왕이나 천자가 되면 어디에 숨었는지 깊이 숨어 버리고 나타나지를 않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마빡에는 뿔이 하나가 났는데 그 짐승의 성질이 아주 어질고 성스러워.

 

그리고 난봉(鸞鳳), 봉황(鳳凰)새 · 난(鸞)새는 빛깔이 청황적백흑 오색(五色)이 찬란하고 그리고서 그 소리는 궁상각치우 오음(五音)을, 그 아름답고 곱고 거룩한 음성을 지녔어. 이 새도 역시 그런 성현이 출세할 때에 한해서 나타나는 그러한 참 상징적인 새인데.

그러한 기린과 같은 성스러운 짐승이나, 그런 봉난새 같은 그런 좋은 새는 보통 짐승들하고 짝을 지어서 놀지를 안해.

 

그리고 직경이 한 자나 되는 그러한 좋은 옥(玉)과 직경이 한 치나 되는 그러한 보배 구슬은 시장에 나돌지를 않는다 그말이여. 누가 그런 절세(絶世) 보배를 갖다가 함부로 시장에 팔러 나올 것이냐 그말이여.

 

이 기린이나 봉난새나 이런 척벽촌주(尺璧寸珠)는 무엇을 그것에다가 비유를 했냐 하면 차사(此事)거든. 이 일.

 

천지가 생기기 이전에부터서 있었으며, 천지가 무너져 없어져도 그것은 무너진 때가 없는,

부모한테 태어나기 이전부터서 있는데 태양보다도 더 밝고, 밝기로 말하면 태양보다도 더 밝고 검기로 말하면 옻칠보다도 더 검어.

‘그놈’이 클 때에는 온 법계 천지를 다 둘러 삼켜도 오히려 부족하고, ‘그놈’이 작을 때에는 바늘로 꽂을 수도 없을 만큼 작을 수도 있어.

 

‘그놈’이 밥 먹고 옷 입고, 오고 가고, 앉고 서고 눕고 또 슬플 때 울고 억울할 때 분(忿)을 내고, 그러한 행주좌와(行住坐臥)와 시청언동(視聽言動)하는 사이에 소소영령(昭昭靈靈)한데 ‘그놈’을 여읠라야 여읠수가 없어. 행주좌와 어묵동정(語默動靜) 간에 소소영령한데 어떻게 ‘그놈’을 여읠수가 있냐 그말이여.

그런데 ‘그놈’을 찾을려고 하면은 눈 한번 깜박할 사이에 자취가 없어. 육도법계(六途法界)를 다 두루 찾아도 간 곳이 없고, 그렇게 육도법계를 다 찾아도 자취가 없었던 것이 눈 한번 깜박할 사이에 벌써 행주좌와 어묵동정하는 사이에 소소영령하다 그말이여.

 

바로 ‘이놈’을 가리켜서 기린과 봉난새에다가 비유하고 척벽과 촌주에다가 비유를 한 것이여. 그러한 천상천하에 짝이 없는 그러한 보배를 우리 모두는 낱낱이 다 가지고 있습니다.

 

늠름위광혼태허(凜凜威光混太虛)여. ‘그놈’이 늠름한 그 위엄스러운 빛이 이 끝없는 태허 속에 세차게 흐르고 있어.

그렇게 세차게 흐르고 있건만 천상인간(天上人間)에 총부지(總不知)여. 천상과 인간에 아무도 아는 사람이 없더라 그말이지요.

 

 

오늘은 계해년 삼동안거(三冬安居) 결제날이고, 오늘 10월 15일부터 내년 갑자년 정월 15일까지 백일기도 입재날입니다.

해마다 결제(結制)를 하고 또 해제(解制)를 하고 또 결제를 하고 해제를 연례 행사로 이렇게 거행을 하고 있습니다.

 

해마다 그날이 돌아오면 결제를 하고 해제를 하고 그래서 이것이 하나의 습관이 되고 준례가 되어서 의례(依例)히 그날은 하는 것이다. 이리 생각하고 별로 별스럽게 생각을 아니하는 그냥 담담한 마음으로 결제를 맞이하고 그럭저럭 하루 하루를 지내다가 또 석 달이 언제 지나간 줄 모르는 사이에 또 해제를 맞이하게 됩니다.

이러다 보면은 나이는 한 살 두 살 5년 10년이 어언간(於焉間)에 지나 버리고 흰머리가 나고 주름살이 잡히고 허리가 꼬부라지고, 엊그제까지 여기에 방부(房付)를 들이고 공부를 하던 그런 신심 있는 보살님이 벌써 이번 겨울철에 방부는 들여 놓고 벌써 저승으로 떠나 버리는 그런 신도도 있습니다.

 

이러한 것을 생각할 때에 해마다 갖는 행사라고 해서 아무 마음에 결심이 없이 그렇게 맞이해서는 아니되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생사(生死)라 하는 것은 호흡지간(呼吸之間)에 있어서 숨 한번 내쉬었다가 들어마시지 못하면 벌써 그것이 내생(來生)인 것입니다.

진리를 터득한 눈으로 보면 생사는 없는 것이지만, 우리 깨닫지 못한 우리 범부(凡夫)에게는 분명히 생노병사가 있어서 정말 우리의 목숨은 믿을 것이 못됩니다.

그러기 때문에 이 일대사(一大事)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분초(分秒)를 다투어서 일분일초를 아껴서 정신을 가다듬고 화두(話頭)를 들고 정진을 부셔대야 하는 것입니다.

 

이 세상에 사람이 해야 할 많은 일들이 있습니다. 국가 민족을 위해서 또는 사회나 어떤 회사를 위해서 또는 자기 가정을 위해서 자기 자신을 위해서 수없이 많은 뜻있는 일들이 많지만, 내가 나의 생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하는 이 일대사(一大事) 보다는 더 절실(切實)한 것이 없습니다.

 

다른 일은 내가 아니하면 또 다른 사람이 할 사람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지금 못하면은 또 다음에 할 기회도 올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나의 생사 문제는 이 몸 받았을 때 내가 해결하지 아니하면 아무도 내 대신 이것을 해 줄 사람은 없습니다.

 

아무리 불보살(佛菩薩)이 자비가 많으시다 하더라도 불보살도 내 대신해 주시질 못하고, 스승이 아무리 훌륭하다 하더라도 제자를 위해서 대신해 주지 못하고, 부모가 아무리 자식을 사랑한다 하시더라도 자식을 위해서 대신 이 문제를 해결해 줄 수는 없습니다.

금생에 이만큼 몸을 받아서 이만큼 건강하고 여건이 이만큼 갖추어졌을 때 결정코 이 문제를 해결해야만 되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여러 제자를 모여 놓고, "죽음에 대해서 각기 자기의 소견(所見)을 말해 봐라"

 

"죽음은 하루 동안에도 올 수가 있습니다"

"너는 공부하기가 어렵겠구나"

 

또 그다음 제자가 대답하기를, "죽음은 밥 한 끼 먹을 사이에도 올 수가 있습니다"

"너도 공부하기가 어렵겠구나"

 

또 한 제자가 나와서, "죽음은 숨 한 번 쉴 사이에도 올 수가 있습니다"

"음, 너는 공부를 하겠다"

 

죽음이 한 끼 밥 먹은 사이도 오히려 길고, 더군다나 하루 24시간을 잡은 것은 참으로 너무 여유를 두고 한 말이어서 정말 우리의 죽음은 숨 한 번, 똑딱 1초 동안에 생(生)과 사(死)가 뒤바뀌는 것입니다.

 

천하에 허망한 목숨을 파리 목숨과 같다고 하지만, 파리란 놈은 파리채로 탁! 한 번 치면 금방 날아다니던 것이 꼼짝도 못하고 탁! 죽어 버리는데, 사람 목숨도 파리 목숨보다 더 믿을 만한 것이냐 하면 그렇지를 못하고 사람도 금방 1분 전에, 1초 전에 이렇게 말을 하고 웃고 성내고 하던 사람이 1초 후에 금방 송장이 되고 마는 것입니다.

한번 죽어서 송장이 되어 버리면 이 몸뚱이는 10분 못 가서 벌써 내장이 버글버글 썩기 시작을 합니다.

 

이 몸뚱이는 지수화풍(地水火風) 사대(四大) 물질로 모여서 배합이 되어 가지고 이렇게 몸뚱이를 임시 이렇게 이뤄졌으나, 이 몸뚱이를 끌고 다니는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소소영령한 ‘한 물건’은 이것이 물질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가 없어서 모양이 없어.

빛깔도 없고 모양도 없고 일정한 장소가 없어서 아무리 이 몸뚱이를 의사가 해부를 해 가지고 오장육부(五臟六腑)를 다 갈르고 해부를 해서 찾는다 하더라도 이 소소영령한 ‘이놈’은 찾을 길이 없습니다.

 

그렇게 찾을 수가 없고, 눈으로 볼 수도 없고, 손으로 잡을 수도 없는 그러한 놈인데,

참 그놈 한 생각을 놓쳐 버리면 팔만사천(八萬四千) 마구니가 벌써 들어와 가지고 이 몸뚱이 주인 노릇을 하고, 한 생각 돌이켜서 딱! 정념(正念)을 가지면 팔만사천 마구니가 자취없이 물러가 버린 것입니다.

 

정법(正法)을 믿고 정법에 의해서 항시 이놈을 잘 다스리고 관리를 하면 이 몸뚱이가 바로 정법의 법왕(法王)이 거처하는 궁전이 되는 것이고, 한 생각 놓쳐 버리면은 이 몸뚱이 고대로 있는 채 마왕(魔王)의 거처가 되는 것입니다.

이 몸뚱이를 ‘마왕의 소굴(巢窟)을 만드느냐, 대법왕의 궁전을 만드느냐’하는 것은 오직 한 생각 다스리는 데에 달려 있어.

 

이 참선법(參禪法)이라 하는 것이 바로 이 몸뚱이를 법왕궁(法王宮)을 만드는 것이고, 극락세계(極樂世界)를 만드는 것이고, 모든 부처님에 적멸궁(寂滅宮)을 장엄(莊嚴)하는 일이 되는 것입니다.(처음~21분13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기린난봉불성군(麒麟鸞鳳不成群)~' ; 『금강경오가해』 제 24. 복지무비분(福智無比分), 야부 게송 참고.

*璧(둥근 옥•아름다운 옥 벽), 凜(찰•늠름할 름), 混(섞을•많이 흐르는 모양 혼)

*尺(자 척), 寸(마디•치 촌), 1치[寸]는 약 3.03cm에 해당하고 1자[尺]의 10분의 1. 那(어찌 나)

 

*출세(出世) : ①부처님이 세상에 나타나는 것 ②태어나는 것. 법을 체득한 사람이 중생교화를 위해서 세상에 나오는 것 ③세간을 초월하는 것. 출세간(出世間)의 준말. 삼계(三界)를 나오는 것.

*무도(無道) ; 말이나 행동이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도리에 어긋나서 막됨.

*절세(絶世 뛰어날 절/세상 세) ; 세상(世上)에 견줄 데가 없을 정도로 아주 뛰어남[絶].

*보배 ; ①아주 귀하고 소중한 물건. ②아주 귀하고 소중하며 꼭 필요한 사람이나 물건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소영령(昭昭靈靈) ; 한없이 밝고 신령함. 소소(昭昭)도 영령(靈靈)도 함께 밝은 뜻. 밝은 모양. 진여(眞如), 법성(法性), 불심(佛心)을 의미하는 말.

[참고] 『임제록(臨濟錄)』

道流 儞欲得作佛 莫隨萬物 心生種種法生 心滅種種法滅 一心不生 萬法無垢 世與出世 無佛無法 亦不現前 亦不曾失 設有者 皆是名言章句 接引小兒 施設藥病 表顯名同 且名句不自名句 還是儞目前 昭昭靈靈 鑒覺聞知照燭底 安一切名句

 

도를 배우는 이들이여. 그대들이 부처가 되고자 한다면 일체 만물을 따라가지 말라. 마음이 나면 온갖 법이 나고 마음이 멸하면 온갖 법이 멸하니, 한 마음 나지 않으면 만법에 허물이 없다. 세간과 출세간에 불(佛)도 없고 법(法)도 없어서 현전하지도 않고 잃은 적도 없다.

설사 무엇이 있다 하더라도 모두 언어의 구절이어서, 어린아이를 달래기 위해 병에 따라 약을 준 것이며 무엇을 표현하는 이름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언어의 구절은 그 자체로 언어의 구절이 되는 것이 아니라, 다름 아닌 그대들 눈앞에서 밝디 밝고 신령하게[昭昭靈靈] 살피거나 느끼거나 듣거나 알거나 비추는 바로 그것이 모든 언어의 구절을 붙이는 것이다.

*행주좌와(行住坐臥) 어묵동정(語默動靜) ; 사람이 일상적으로 하는 일체의 행위.

*육도법계(六道法界) ; 육도(六道)의 세계. 육도(六道,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

*삼동안거(三冬安居) ; 삼동(三冬, 겨울철의 석 달)에 하는 동안거(冬安居, 음력 10월 15일부터 다음해 1월 15일까지)를 말한다.

*결제(結制 맺을 결/만들·법도 제) ; 참선 수행하는 안거(安居)에 들어감. 하안거는 음력 4월 15일에 결제하며, 동안거는 음력 10월 15일에 결제한다. 

*해제(解制 풀 해/만들·법도 제) ; ①(안거)를 마침. ②재계(齋戒)하던 것을 그만두고 풂.

*어언간(於焉間) ; 알지 못하는 사이에 어느덧.

*방부(房付)를 들이다 ; 수행자가 절에 머물며 공부할 것을 인사드리고 허락을 구해 결제(結制)에 참가하다.

*'진리를 터득한 눈으로 보면 생사는 없는 것이지만, 우리 깨닫지 못한 우리 범부(凡夫)에게는 분명히 생노병사가 있어서 정말 우리의 목숨은 믿을 것이 못됩니다' ; '생사는 본래 없다' 生死本無. 本無生死.

 

[참고 ❶] 송담스님 법문(No.366, No.636)에서 정리.

생사는 무엇이냐?

그것은 깨닫지 못한 중생의 눈으로 볼 때, 우리가 번뇌로 매(昧)했기 때문에 있는 것으로 착각되어 '태어났다, 죽었다' 그런 것이지, 원래는 우주보다도 먼저 있었고, 이 우주 법계가 다 가루가 되어서 없어진다 하더라도 이 소소영령(昭昭靈靈)한 진여불성(眞如佛性)자리, 우리의 ‘참나’라고 하는 이 불성(佛性)은 생사가 없는 것입니다.

 

그 생사가 없는 이치를 깨닫지를 못하고 있으니까 분명히 생사로 우리에게는 보이는 것이지 「생사는 본래 없다」 이것입니다.

마치 눈병이 일어난 사람은 맑은 허공을 봐도 허공 속에 무슨 헛꽃이 이글이글 피어서 이리갔다 저리갔다 한 것처럼 보이나 눈병만 낫고 보면 원래 허공의 꽃은 없었고, 눈병이 낫으나 안 낫으나 허공의 꽃이란 것은 본래 없는 것입니다.

 

우리의 생사(生死)도 역시 그와 마찬가지여서, 그 ‘생사 없는 도리를 깨닫는 방법’이 ‘참선(參禪)’이라 하는 것입니다. 용화사에서는 전강 조실스님 법문이나 산승이 말씀을 할 때마다 그 ‘생사 없는 도리를 깨닫는 방법’을 항상 말씀을 드려 오고 있는 것입니다.

 

‘이뭣고?’는 천하 맛없는 간단한 한마디지만, 알 수 없는 의심으로 자꾸 ‘이뭣고?’를 해서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해서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면, 우리의 그 착각으로 인식되어진 번뇌일망정 언제 끊어진 줄 모르게 번뇌가 끊어져 버리고, 그 의단이 더이상 커질 수 없을 때 그 의단을 깨뜨리게, 타파(打破)하게 됩니다.

그러면 나의 불성을 깨닫게 되고, 나의 면목(面目)을 깨닫게 되고, ‘생사 없는 진리’를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 이 공부를 열심히 해야 진실로 불법(佛法)을 믿는 사람인 것입니다.

 

 

[참고 ❷] 『진심직설(眞心直說)』 (보조 지눌) '진심출사(眞心出死)' (참마음 이야기, 진심직설 강의 | 강건기 강의 | 불일출판사) p199~208.

문 : 或曰 嘗聞見性之人 出離生死 然往昔諸祖 是見性人 皆有生有死 今現見世間修道之人 有生有死事 如何云出生死耶

 

일찍이 견성한 사람은 생사를 벗어난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나 과거의 조사들은 다 견성한 사람들이었지만 모두 생사가 있었고, 지금 세상의 수도하는 사람들도 다 생사가 있는데 어떻게 생사를 벗어난다고 합니까?

 

답 : 曰 生死本無 妄計爲有 如人病眼 見空中花 或無病人 說無空花 病者不信 目病若無 空花自滅 方信花無 只花未滅 其花亦空 但病者 妄執爲花 非體實有也

 

생사는 본래 없는 것[生死本無]인데, 망령되이 있다고 헤아린다. 어떤 사람이 병든 눈으로 허공의 꽃을 볼 때 눈병 없는 사람이 허공의 꽃이 없다고 하면 병자는 그 말을 믿지 않다가 눈병이 나으면 허공의 꽃이 저절로 없어져 비로소 꽃이 없음을 믿게 된다. 다만 그 꽃이 없어지지 않았더라도 그 꽃은 또한 공한 것이므로 단지 병자가 망령되이 꽃이라 집착하였을 뿐이요, 그 본체가 참으로 있는 것은 아니다.

 

如人妄認生死爲有 或無生死人 告云本無生死 彼人不信 一朝妄息 生死自除 方知生死本來是無 只生死未息時 亦非實有 以妄認生死有

 

그와 같이 사람들이 망령되이 생사가 있다고 인정하다가 생사를 초월한 사람이 '본래 생사가 없다[本無生死]'고 말하면 그는 그 말을 믿지 않다가, 하루아침에 망심이 쉬어 생사가 저절로 없어져서야 비로소 본래 생사가 없는 것임을 안다. 다만 생사가 없어지기 전에도 실로 있는 것이 아니건만, 생사가 있다고 그릇 인정하였던 것이다.

 

故 經云 善男子 一切衆生 從無始來 種種顚倒 猶如迷人 四方易處 妄認四大爲自身相 六塵緣影爲自心相 譬彼病目 見空中花 乃至 如衆空花 滅於虛空 不可說言 有定滅處 何以故 無生處故 一切衆生 於無生中 妄見生滅 是故說名輪轉生死

 

그러므로 경(經, 圓覺經)에 "선남자여, 일체 중생이 비롯함이 없는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가지가지 뒤바뀐 것이 마치 어리석은 사람이 사방의 방위를 혼동하는 것과 같아서 사대(四大)를 제 몸이라 잘못 생각하고, 육진(六塵)의 반연하는 그림자를 제 마음이라 한다. 비유하면 병든 눈으로 허공의 꽃을 보고, 나아가서는 그 온갖 허공의 꽃이 허공에서 사라져도 사라진 곳이 있다고 말하지 못하는 것과 같으니, 이것은 본디 생긴 곳이 없기 때문이다.

일체 중생들은 생멸이 없는 데에서 망령되이 생멸을 보기 때문에 이를 일러 '생사에 윤회한다'고 말한다" 하였다.

 

據此經文 信知達悟 圓覺眞心 本無生死 今知無生死 而不能脫生死者 功夫不到故也 故敎中說 菴婆女 問文殊云 明知 生是不生之法 爲甚麽 被生死之所流 文殊云 其力未充故 後有進山主 問修山主云 明知 生是不生之法 爲甚麽 却被生死之所流 修云 笋畢竟成竹去 如今作筏使得麽

 

이 경에 의하면 원각의 진심을 환히 깨치면 본래 생사가 없음[本無生死]을 진실로 알게 된다. 그러나 지금 생사가 없음을 알았지만 능히 생사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아직 공부가 완성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가르침 중에 이렇게 설하셨다. 암바(菴婆)라는 여자가 문수보살에게 "생이 바로 생이 아닌 법을 분명히 알았는데, 무엇 때문에 생사에 흘러 다닙니까?"하고 물었다. 문수보살은 "그 힘이 아직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라 하였다.

그 뒤에 진산주(進山主)가 수산주(修山主)에게 묻기를 "생이 바로 생이 아닌 법을 분명히 알았는데, 무엇 때문에 생사에 흘러 다닙니까?"하였다. 수산주는 "죽순이 마침내는 대나무가 되겠지만, 지금 당장 그것으로 뗏목을 만들어 쓰려한다면 되겠는가"라고 하였다.[『선문염송』 제1314칙 '명지(明知)' 참고]

 

所以 知無生死 不如體無生死 體無生死 不如契無生死 契無生死 不如用無生死 今人 尙不知無生死 況體無生死 契無生死 用無生死耶 故認生死者 不信無生死法 不亦宜乎

 

그러므로 생사가 없음을 아는 것[知無生死]이 생사가 없음을 체득함[體無生死]만 못하고, 생사가 없음을 체득한 것은 생사가 없음에 계합함[契無生死]만 못하며, 생사가 없음에 계합한 것은 생사가 없음을 마음대로 쓰는 것[用無生死]만 못하다.

그런데 요즘 사람들은 아직 생사가 없음도 알지 못하거늘 하물며 생사가 없음을 어찌 체득하겠으며, 어찌 생사가 없음에 계합하겠으며, 어찌 생사가 없음을 활용하겠는가. 그러므로 생사를 인정하는 사람으로서는 생사가 없는 법을 믿지 않는 것은 당연하지 않겠는가.

 

*본무(本無) ; [s] abhūtvā, amūla, apūrvo bhāvah 본래 없다는 말. 모든 존재의 무상한 본질을 나타낸다. 인연으로 발생하고 소멸하는 모든 법의 공성(空性)을 나타내는 말이다.

또는 그러한 인연의 존재에 대하여 망상으로 집착하여 '있다'고 착각하는 것도 본래 없는 것이므로 본무라 한다.

*범부(凡夫 무릇·보통 범/남편·사내 부) ; 무명 번뇌(煩惱)에 얽매여 업에 따라 과보를 받아 자재롭지 못하여 생사(生死)를 초월하지 못하는 사람. 각각의 중생들이 서로 다른 업으로 말미암아 윤회하기 때문에 이생(異生) 또는 이생범부(異生凡夫)라고도 한다.

사향사과(四向四果)의 성인을 기준으로 보면 도를 깨닫지 못한 이들을 모두 범부라 하고, 대승은 성문 · 연각 · 보살 · 불 등 사성(四聖)을 기준으로 하여 보면 육도에서 생사윤회하는 중생들은 모두 육범(六凡)이라 한다.

*일대사(一大事) ; 매우 중요하거나 아주 큰 일. 삶과 죽음, 즉 생사(生死)의 일.

①부처님이 중생구제를 위해 세상에 나타난다고 하는 큰 일. 부처님이 세상에 나타나는 목적. ②가장 중요한 일이란 뜻. 수행의 목적. 깨달음을 얻는 것. 인간으로서의 완성.

『법화경』 방편품에 ‘諸佛世尊, 唯以一大事因緣故, 出現於世 모든 부처님은 오직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 때문에 세상에 출현한다’라고 한 것에서 유래. ‘부처님이 세상에 출현한 목적은 깨달음을 얻기까지의 과정을 보이고, 지혜를 발휘하여 모든 중생을 깨닫게 하고 구제하는 것’이다.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화두(공안)에는 '이뭣고?' '판치생모' '무자' '정전백수자' 등이 있다.

*불보살(佛菩薩) ; 부처님과 보살을 아울러 일컫는 말. 불(佛)은 불타(佛陀)의 준말. 각자(覺者)라 번역한다. 보살은 성불(成佛)하기 위하여 수행에 힘쓰는 이의 총칭이다.

*소견(所見) ; 어떤 일이나 사물을 살펴보고 가지게 되는 생각이나 의견.

*사대(四大) ; ①지(地) • 수(水) • 화(火) • 풍(風)을 말함. 대(大)란 원소란 뜻. 일체의 물질을 구성하는 네(四) 가지 원소[大].

(1)지대(地大) : 굳고 단단한[堅] 것을 성(性)으로 하고, 만물을 실을 수[負載] 있고, 또 질애(質礙)하는 바탕. 질애(質礙)란 일정한 공간을 점유하여 다른 존재와 서로 융화하지 못한다는 뜻.

(2)수대(水大) : 습윤(濕潤)을 성으로 하고, 모든 물(物)을 포용(包容)하는 바탕.

(3)화대(火大) : 난(煖)을 성으로 하고, 물(物)을 성숙(成熟)시키는 바탕.

(4)풍대(風大) : 동(動)을 성으로 하고 물(物)을 성장케 하는 바탕.

②신체를 말함. 원래, 신체는 지•수•화•풍의 4대 원소로 이루어졌다고 보는 데에서 연유함.

 

*한 물건 ; 일물(一物). 일상(一相). ‘한 물건’ ‘한 모양’이란 불교에서 진여(眞如)의 본체를 들어 일컫는 말이다.

*진여(眞如) ; ①차별을 떠난,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 ②궁극적인 진리. ③모든 분별과 대립이 소멸된 마음 상태. 깨달음의 지혜. 부처의 성품. ④중생이 본디 갖추고 있는 청정한 성품.

[참고] 『선가귀감(禪家龜鑑)』 (용화선원刊) p11~13. (가로판 p12~14)

有一物於此호대  從本以來로  昭昭靈靈하야  不曾生不曾滅이며  名不得狀不得이로다

 

여기에 한 물건이 있는데, 본래부터 한없이 밝고 신령하여, 일찌기 나지도 않고 죽지도 않았으며, 이름 지을 수도 없고, 모양 그릴 수도 없음이로다.

 

註解(주해) 一物者는  何物고  〇 古人이  頌云, 古佛未生前에  凝然 一相圓이라 釋迦도  猶未會어니 迦葉이  豈能傳가 하니 此一物之所以不曾生不曾滅이라  名不得狀不得也라

 

한 물건이란 무엇인가?  〇 옛 사람이 송하기를 「옛 부처 나기 전에 한 상이 두렷이 밝았도다. 석가도 몰랐거니 가섭이 전할손가」하니, 이것이 한 물건의 나는 것도 아니요, 죽는 것도 아니며, 이름 붙일 수도 없고 모양을 그릴 수도 없는 까닭이다.

 

六祖가  告衆云하사대 吾有一物하니  無名無字라  諸人은  還識否아 하시니 神會禪師가 卽出曰, 諸佛之本源이요  神會之佛性이니다 하니  此所以爲六祖之孽子也라

懷讓禪師가  自嵩山來어늘  六祖問曰, 什麼物이  伊麼來오 師가 罔措라가 至八年에사  方自肯曰, 説似一物이라도  卽不中이니다 하니 此所以爲六祖之嫡子也라

 

육조스님이 대중에게 이르시되 “나에게 한 물건이 있는데 이름도 없고 자(字)도 없다。너희들은 알겠는가?”하시니 신회선사가 곧 나와 말하기를 “모든 부처님의 근본이요, 신회의 불성입니다”하니, 이것이 육조의 서자가 된 까닭이다.

회양선사가 숭산에서 와 뵈니 육조스님이 물으시되 “무슨 물건이 이렇게 왔는고?”하시니 회양은 어쩔줄을 모르다가 팔 년 만에야 깨치고 나서 말하기를 “설사 한 물건이라 하여도 맞지 않습니다”하였으니 이것이 육조의 적자가 된 소이이다.

 

*팔만사천(八萬四千) : 중생의 망상이 벌어져 나가는 것을 자세히 분석하면 팔만 사천 갈래가 된다고 한다. 그러므로 망상을 따라 일어나는 악마의 수효도 팔만 사천이요, 망상을 다스리는 법문도 팔만 사천이다.

인도에서는 많은 수효를 말할 때에는 이 말을 쓰는 수가 가끔 있다. 줄여서 팔만이라고만 하기도 한다.

*마구니 ; 마(魔). [범] māra 음을 따라 마라(魔羅)라 하고, 줄여서 마(魔)라고만 한다。장애자(障礙者) · 살자(殺者) · 악자(惡者)라 번역。목숨을 빼앗고 착한 일을 방해하며 모든 것을 파괴하는 악마를 말한다. 그러나  마(魔)는 밖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에서 생기는 것이다.

 

[참고] 『선가귀감(禪家龜鑑)』 (서산대사 | 용화선원刊) p64에서. (가로판 p66~67)

마(魔)란 생사를 즐기는 귀신의 이름이요, 팔만사천 마군이란 중생의 팔만사천 번뇌다. 마가 본래 씨가 없지만, 수행하는 이가 바른 생각을 잃은 데서 그 근원이 파생되는 것이다.

중생은 그 환경에 순종하므로 탈이 없고, 도인(道人)은 그 환경에 역행하므로 마가 대들게 된다。그래서 ‘도가 높을수록 마가 성하다’고 하는 것이다.

 

선정(禪定) 중에 혹은 상주(喪主)를 보고 제 다리를 찍으며 혹은 돼지를 보고 제 코를 쥐기도 하는 것이, 모두 자기 마음에서 망상을 일으켜 외부의 마를 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마의 온갖 재주가 도리어 물을 베려는 것이나, 햇빛을 불어 버리려는 격이 되고 말 것이다。옛말에 ‘벽에 틈이 생기면 바람이 들어오고, 마음에 틈이 생기면 마가 들어온다’고 하시니라.

*'한 생각 돌이켜서 딱! 정념(正念)을 가지면 팔만사천 마구니가 자취없이 물러가 버린 것입니다' ; 일념단속(一念團束).

무슨 생각이든지 한 생각 났다 하면 그 생각이 뿌리를 내려 싹이 트고 잎이 피어 결국은 과보(果報)를 받는데, 한 생각 일어나자마자 즉각 자신의 본참공안(本參公案)으로 돌리는 것.

마음 속에 한 생각 일어난 것이 결국 말로 나타나고 행동으로 나타나서 그 한 생각 단속을 잘하면 극락에도 가고 부처도 될 수 있는데, 그 한 생각 단속을 잘못해서 죄를 지어 축생도 되고 지옥에도 가게 되는 것입니다.

*정념(正念) ; 바른 생각. 선종(禪宗)에서의 바른 생각이란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하는 한 생각(叅究一念). 일체 경계(境界)에 끌려가지 않고, 바로 자기의 본참공안으로 돌아오는 것.

*정법(正法) ; ①올바른 진리. ②올바른 진리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③부처님의 가르침이 올바르게 세상에 행해지는 기간.

*법왕(法王) : [범] dharmarāja  부처님은 진리, 곧 법을 가장 밝게 깨치시고, 법을 걸림 없이 쓰시고 법을 널리 가르쳐서 법에 있어 제일 높은 어른이므로, 「법의 임금」이라고 존칭한 말이다。또한 모든 세속 임금들에게도 큰 스승이 되고, 온갖 성인들 가운데서도 으뜸이 되므로 법왕이라 한다.

*법(法) ; (산스크리트) dharma, (팔리) dhamma의 한역(漢譯). ①진리. 진실의 이법(理法). ②선(善). 올바른 것. 공덕. ③부처님의 가르침. ④이법(理法)으로서의 연기(緣起)를 가리킴. ⑤본성. ⑥의(意)의 대상. 의식에 드러난 현상. 인식 작용. 의식 작용. 인식 내용. 의식 내용. 마음의 모든 생각. 생각.

*마왕(魔王) ; 마귀(魔鬼 요사스럽고 못된 잡귀를 통틀어 이르는 말)의 우두머리.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한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극락세계(極樂世界) :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 괴로움과 걱정이 없는 지극히[極] 안락[樂]하고 자유로운 세상[世界]이다. 안양(安養), 안락국(安樂國),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무량수불토(無量壽佛土), 무량광명토(無量光明土), 무량청정토(無量淸淨土)라고도 함.

*적멸궁(寂滅宮 고요할 적/다할·끊어질 멸/집·대궐·절·마음 궁) ; 적멸의 궁전은 적멸을 형상화한 말로서, 부처님의 깨달은 해탈의 경지를 말한다.

*적멸(寂滅 고요할 적/다할·끊어질 멸) ; ①번뇌의 불을 완전히 꺼버린, 탐욕(貪欲)과 노여움[瞋]과 어리석음[癡]이 소멸된 마음의 궁극적인 고요함. 적정(寂靜)으로 돌아가 일체의 상(相)을 여의고 있는 것. ②열반, 부처님의 경지, 깨달음.

*장엄(莊嚴 엄숙할•삼가할•꾸밀 장/엄할•공경할•꾸밈 엄) ; ①좋고 아름다운 것으로 국토를 꾸미고, 훌륭한 공덕을 쌓아 몸을 장식하고, 향이나 꽃 따위를 부처님께 올려 장식하는 일. ②건립하는 것. 건립. 훌륭히 배치, 배열되어 있는 것. ③장식. 물건을 장식하는 것. 아름답게 장식함. 훌륭한 것. 엄숙하게 장식된 모양, 모습. 장식물.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