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등10)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이 화두의 핵심 / 화두를 들면 호흡이 되고, 호흡을 하면 화두가 들리게, 화두와 호흡이 한목 나아가도록.
〇복식 심호흡이 잘된 연후에 선지식(善知識)으로부터 화두(話頭)를 지도 받아 가지고, 자기의 생각을 옳게 단속해 나간다고 하면은 만무일실(萬無一失)이여.
〇화두는 ‘알 수 없는 것’이 그 화두의 핵심입니다. 화두를 아무리 들되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이 몰록 드러나지 아니한다고 하면, ‘알 수 없는 의심’에 마음이 꽂히지 않는다고 하면은 그건 옳은 화두가 아닙니다.
〇복식 심호흡을 하면—숨을 들어마시면은 배가 볼록해지고, 내쉴 때에는 배가 홀쪽해지는데 그 배가 볼록해졌다 홀쪽해졌다 하는 거기에다가 ‘이뭣고?’하는 생각을 거기에다 붙여서 해라.
그러면은 복식 심호흡을 시작하면 벌써 ‘이뭣고?’가 거기 붙어가고, ‘이뭣고?’하면 벌써 복식 심호흡이 되도록, 이 심호흡과 화두가 동시에 나아가도록.
〇천 생각, 만 생각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것을 그것을 싫어하고 성화를 대지 말고,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그놈을 되잡아서 ‘이뭣고?’로 돌아오면 백만 번 일어났자 두려워할 것이 없다.
〇화두는 반드시 믿을 수 있는 선지식, 또 내 자신이 믿어지는 선지식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간택을 받고 공부를 계속해야 한다.
**송담스님(세등선원No.10)—병진년 동안거 해제 법어(77.1.17)에서. (세등10)
약 9분.
참선은 첫째, 몸을 바르게 가져라.
둘째에 호흡을 바르게 해라.
셋째에 생각을 바르게 가져라.
‘몸을 바르게 갖는다’고 하는 것은 가부좌(跏趺坐), 가부좌가 어려우면 반가부좌(半跏趺坐)도 상관이 없습니다.
반가부좌를 하고, 그리고서 복식(腹式) 심호흡(深呼吸), 심호흡이라고 하는 것은 나의 몸을 혈액순환을 촉진을 시켜서 몸의 노폐물을 빨리 배설을 시키고, 몸을 가볍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하는 그러한 묘방(妙方)이기 때문에 참선을 하는 데에는 복식 심호흡을 잘 그 방법을 알아 가지고 복식 심호흡부터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복식 심호흡이 잘된 연후에 선지식(善知識)으로부터 화두(話頭)를 지도 받아 가지고, 자기의 생각을 옳게 단속해 나간다고 하면은 만무일실(萬無一失)이여. 만 명이면 만 명 다 반드시 대도(大道)를 성취하고 마는 것입니다.
몸을 바르게 갖지를 못하고, 호흡을 바르게 갖지 못하고서, 화두만 열심히 들고 나간다고 하면은 자기도 모르는 가운데에 기운이 머리로 올라가 가지고 골치가 아픈 병이 생기고, 그래서 상기병(上氣病)으로 공부는 성취하기도 전에 병에 걸려서 일생을 한숨 속에서 지내고 마는 것입니다.
그래서 참선을 하고자 하면은 첫째 몸을 바르게 가지고, 둘째에 호흡을 바르게 하고, 그리고서 화두를 드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화두(話頭)입니다.
화두는 ‘알 수 없는 것’이 그 화두의 핵심입니다.
화두를 아무리 들되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이 몰록 드러나지 아니한다고 하면, ‘알 수 없는 의심’에 마음이 꽂히지 않는다고 하면은 그건 옳은 화두가 아닙니다.
「화두를 의심한다」고 하는 것은 의심(疑心),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이뭣고?’ 화두 하시는 분은 ‘이뭣고?’ ‘이~ 이뭣고 하는 놈이 뭣고?’ ‘이~?’하는 놈이 무엇이냐 말이야. ‘이뭣고~?’
알 수 없는 생각 외에는 어떠한 생각도 여기에는 용납이 되지 않습니다. 부처님 말씀도 여기에는 끌어들여서는 안됩니다. 화엄경의 말씀도 이 ‘이뭣고?’하는 데에는 끌어들여서는 안됩니다.
자기가 팔만대장경을 육두 백방으로 외우고 꿴다 하더라도 ‘이뭣고?’하는 데에는 그것를 등장시켜서는 안돼.
다못 바보 천치가 되고, 멍청이가 되어 가지고, 거두절미(去頭截尾)하고 무조건으로 ‘이뭣고~?’
앉아서도 ‘이뭣고?’, 서서도 ‘이뭣고?’, 똥누면서도 ‘이뭣고?’ 불칼 같은 신경질이 볼쏙 솟아 나올 때도 퍼뜩 돌이켜서 ‘이뭣고?’ 배가 아퍼서 몸부림을 칠 때도 퍼뜩 생각을 돌이켜서 ‘이뭣고?’ 차를 타고 갈 때도 ‘이뭣고?’
그렇다고 해서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하루에 만독(萬讀)이나 십만독 채우기 위해서 염주를 돌리면서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이런 염불하듯이 ‘이뭣고 이뭣고 이뭣고 이뭣고’ 이렇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뭣고~?’ 깊이 호흡을 들어마셔 가지고 조용히 내쉬면서 ‘이뭣고?’ 알 수 없는 생각이 꽂히도록, 알 수 없는 생각에 눈을 박고,
그 화두를—복식 심호흡을 하면 숨을 들어마시면은 배가 볼록해지고, 내쉴 때에는 배가 홀쪽해지는데 그 배가 볼록해졌다 홀쪽해졌다 하는 거기에다가 ‘이뭣고?’하는 생각을 거기에다 붙여서 하라 그말이여.
그러면은 복식 심호흡을 시작하면 벌써 ‘이뭣고?’가 거기 붙어가고, ‘이뭣고?’하면 벌써 복식 심호흡이 되도록, 이 심호흡과 화두가 동시에 나아가도록.
처음에는 ‘이뭣고?’하면 호흡이 잘 안되고, 호흡을 하면 ‘이뭣고?’가 잘 안되고 이러는 수가 있지마는, 자꾸 훈련을 쌓아서 자꾸 간절히 간절히 해가다 보면은 ‘이뭣고?’하면 벌써 호흡이 되고, 복식 심호흡을 하면 화두가 저절로 들려지게 된다 그말이여.
그래서 이 화두와 호흡이 한목 나아가도록 앉았을 때나 누웠을 때나 - 처음에는 ‘이뭣고?’해도 금방 ‘딴 생각[別念]’이 들어오지마는 딴 생각이 들어온 것을 성화대지 말고, 들어온 줄 알면 벌써 ‘이뭣고?’로 돌아오면 그뿐이여.
그래서 천 생각, 만 생각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것을 그것을 싫어하고 성화를 대지 말고,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그놈을 되잡아서 ‘이뭣고?’로 돌아오면 백만 번 일어났자 두려워할 것이 없다.
‘이뭣고?’ 자꾸 화두를 해 가다 보면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생각이 조용하고 그러면은 혼침(昏沈)에 떨어지기가 쉬운데 허리를 쭈욱 펴고 정신을 바짝 차려서 ‘이뭣고?’하되,
그래도 잠이 달아나지 아니하면은 조용히 일어서서 밖에 나가 가지고 왔다갔다 포행(布行)을 좀 한 5분 내지 10분을 하면은 다시 정신이 깨끗해 지면 다시 또 방석으로 돌아와 가지고 허리를 쭈욱 펴고 ‘이뭣고?’ ‘부모미생전 본래면목(父母未生前本來面目)이 무엇인고?’
화두는 어느 화두나 다 마찬가지여. 어느 화두가 좋고, 어느 화두가 나쁘고 한 것은 없지마는 화두는 간략(해야) 하고, 이런가 저런가 사리상량(邪理商量)을 붙일 수 있는 소지가 있는 화두는 좋지는 않습니다.
이런 것인가, 저런 것인가 따질 수 있는 그런 꼬타리 붙일만한 그런 가능성이 있는 화두는 까딱하면은 자기도 모르는 가운데에 사량심(思量心)이 일어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화두는 자기 멋대로 골라잡는다든지, 올바르게 화두 간택을 해 줄 수 없을만한 사람한테 화두를 간택을 받는다고 하면은 많은 시간을 허송세월하고 더듬거리게 됩니다.
그러니만큼 아까 처음에 말씀드린 바와 같이 화두는 반드시 믿을 수 있는 선지식, 또 내 자신이 믿어지는 선지식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간택을 받고 공부를 계속해야 하고,
공부를 하다가 어떠한 이상한 경지가 나타나면 바로 그 선지식한테 가서 감정을 받어서 옳은 것이면 옳은대로, 그른 것이면 깨끗이 씻어 버리고 새로운 마음으로 공부를 지어 가야 하는 것이다.(41분3초~49분52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가부좌(跏趺坐 책상다리할 가/책상다리할 부/앉을 좌) ; 좌선할 때 앉는 방법의 하나.
‘가(跏)’는 ‘발바닥’을 ‘부(趺)’는 ‘발등’을 가리키는 말인데, 오른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뒤,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드러나게 앉는 항마좌(降魔坐)와,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뒤, 오른발을 왼편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위를 향하게 하여 앉는 길상좌(吉祥坐)가 있다.
*반가부좌(半跏趺坐) ; 부처님의 좌법(坐法)으로 좌선할 때 앉는 방법의 하나. 한쪽 다리를 구부려 다른 쪽 다리의 허벅다리 위에 올려놓고 앉는 자세이다.
*복식 호흡(腹式呼吸) ; 숨을 들어마셨다 잠깐 머물렀다 또 내쉬되, 배가 그것에 따라서 볼록해졌다 또 홀쪽해졌다, 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도록해서 가로막의 신축에 의하여 하는 호흡. 단전호흡(丹田呼吸).
*묘방(妙方) ; ①기묘한 방법. ②신묘하고 효험이 뛰어난 처방(處方).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벗.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상기병(上氣病 오를 상,기운 기,병 병) ; 화두를 머리에 두고 여기에 속효심(速效心)을 내어 참구하다가, 모든 열기(氣)가 머리에 치밀게(上)되어 생기는 머리 아픈 병(病).
상기병이 생기면-기운이 자꾸 위로 올라와서, 화두만 들면 골이 아파서 공부가 지극히 힘이 들고 심하면 머리로 출혈이 되며 몸이 쇠약해짐. 상기병의 예방과 치료로 단전호흡과 요료법(尿療法, 오줌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민간 요법의 하나)이 사용된다.
[참고] '요료법'에 관한 책. ①『기적을 일으키는 요료법』 (김정희 저 | 산수야). ②『요료법의 기적』 (나까오 료이치 | 산수야). ③『의사가 권하는 요료법』 (이영미 | 산수야). ④ 『요료법의 기적』 (건강신문사 편집부).
*의심(疑心) :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또는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또는 ‘조주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거두절미(去頭截尾) ; 말이나 사건 등의 부차적인 설명은 빼어 버리고 사실의 요점(要點)만 말함.
*딴 생각 ; 별념(別念). [몽산법어] (용화선원刊) 박산무이선사선경어(博山無異禪師禪警語)에서.
〇“做工夫호대 着不得一絲毫別念이니 行住坐臥에 單單只提起本叅話頭하야 發起疑情하야 憤然要討箇下落이니라. 若有絲毫別念하면 古所謂雜毒이 入心하야 傷乎慧命이라하니 學者는 不可不謹이니라”
“공부를 짓되 털끝만치라도 딴 생각[別念]을 두지 말지니, 가고 멈추고 앉고 누우매 다못 본참화두(本叅話頭)만을 들어서 의정을 일으켜 분연히 끝장 보기를 요구할 것이니라. 만약 털끝만치라도 딴 생각[別念]이 있으면 고인이 말한 바 「잡독(雜毒)이 마음에 들어감에 혜명(慧命)을 상한다」하니, 학자는 가히 삼가지 않을 수 없느니라.”
“余云別念은 非但世間法이라 除究心之外에 佛法中一切好事라도 悉名別念이니라. 又豈但佛法中事리요 於心體上에 取之捨之 執之化之가 悉別念矣니라”
“내가 말한 딴 생각[別念]은 비단 세간법만 아니라 마음을 궁구하는 일 외에는, 불법(佛法)중 온갖 좋은 일이라도 다 딴 생각[別念]이라 이름하느니라. 또 어찌 다만 불법중 일뿐이리오? 심체상(心體上)에 취하거나[取], 버리거나[捨], 집착하거나[執], 변화하는[化] 것이 모두 다 딴 생각[別念]이니라.” (p164-166)
〇“做工夫호대 不得將心待悟어다. 如人이 行路에 住在路上하야 待到家하면 終不到家니 只須行하야사 到家오 若將心待悟하면 終不悟니 只須逼拶令悟요 非待悟也니라”
“공부를 짓되 마음을 가져 깨닫기를 기다리지 말라. 마치 사람이 길을 가매 길에 멈춰 있으면서 집에 이르기를 기다리면 마침내 집에 이르지 못하나니, 다만 모름지기 걸어가야 집에 도달하는 것과 같아서, 만약 마음을 가져 깨닫기를 기다리면 마침내 깨닫지 못하니, 다만 모름지기 애써서 깨닫게 할 뿐이요, 깨닫기를 기다릴 것이 아니니라.” (p163-164)
〇“做工夫호대 不得求人說破이니 若說破라도 終是別人底요, 與自己로 沒相干이니라. 如人이 問路到長安에 但可要其指路언정 不可更問長安事니 彼一一說明長安事라도 終是彼見底요, 非問路者의 親見也이니라. 若不力行하고 便求人說破도 亦復如是하니라”
“공부를 짓되 다른 사람이 설파(說破)하여 주기를 구하지 말지니, 만약 설파(說破)하여 주더라도 마침내 그것은 남의 것이요, 자기와는 상관이 없나니라. 마치 사람이 장안으로 가는 길을 물으매 다만 그 길만 가리켜 주기를 요구할지언정 다시 장안의 일은 묻지 말지니, 저 사람이 낱낱이 장안 일을 설명할지라도 종시(終是) 그가 본 것이요, 길 묻는 사람이 친히 본 것은 아니니라. 만약 힘써 수행하지 않고 남이 설파하여 주기를 구하는 것도 또한 이와 같으니라.” (p180-181)
*혼침(昏沈 어두울 혼,잠길 침) ; 정신이 미혹(迷惑)하고 흐리멍덩함.
*포행(布行) ; 참선(參禪)을 하다가 잠시 방선(放禪)을 하여 한가로이 뜰을 걷는 일.
*‘이뭣고?’ ‘부모미생전 본래면목(父母未生前本來面目)이 무엇인고?’ ; 분류 ‘화두(공안)’ 참고.
*사리(邪理) ; 그릇된 이치나 생각.
*상량(商量 헤아릴 상,헤아릴 량) ; ①상인이 물품을 판매할 때, 서로 그 가치를 재서 결정하는 것. ②따지고 헤아리는 알음알이.
*사량(思量) ; 생각하여 헤아림. 사유하고 판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