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회(동지차례)2020. 5. 18. 17:20

 
 
§(058) 참선, 깨달음은 일상생활을 조금도 여의지 아니하고 있다 / 견성 / 활구참선 / 선지식의 지도 / 공안은 깨달음에 이르는 좋은 열쇠요, 나침반.
 
아까 조실 스님께서 말씀하신 바와 같이 '문을 열매 뜰에는 나무가 섰다. 그 나무를 봄으로 해서 그 나무를 통해서 내가 나를 보는 것이 그것이 견성(見性)이라' 하셨습니다. 견성이라 하는 것은 '내가 나의 부처를 친견하는 것'입니다.
 
내가 나를 깨닫는 것—언제나 나의 부처, 나의 성품, 나의 마음자리는 이 몸으로부터 조금도 떠나 있지를 않습니다. 눈으로 볼 때, 귀로 들을 때, 입으로 말하고 음식을 먹을 때, 발로 걸어 다닐 때, 울고 웃고 성낼 때 바로 그곳에 '나'가 있건만, 어째서 내가 나를 보지를 못합니까?
 
참선을 하는 것은 화두를 항시 의심을 해서 깨닫기 위해서 참선을 하는 것이지마는, 정말 바로 말하자면 찾음으로 해서 자기를 잃게 되는 소치인 것입니다. 그렇지마는 우리는 찾아야 합니다. 찾되 선지식의 지도에 의해서 찾아야만, 찾음으로써 잃어버리는 그것을 보게 되는 까닭이 되는 것입니다.
너무 가깝기 때문에 우리는 보지를 못하는 것입니다. 마치 물속에 앉아서 물을 찾는 거와 같은 것입니다. 물속에 풍덩 주저앉아 가지고 목이 마르다고 물을 찾는 거와 같은 형상인 것입니다.
 
묻는 사람도 물속에 앉았고, '깨달랐다'고 온 사람도 물속에 같이 들어앉아서 "어떤 것이 물이냐? 물이 어디가 있느냐?"하고 물어본 거와 같은 것입니다.
그럴 때 그 사람이 물속에 들어앉은 줄을 모르고 물을 찾기 위해서 위로 아래로 두리번거리고 있다면 벌써 '아! 이 사람이 물이 무엇인지를 모르는구나' 대번에 알 수 있습니다.
일체 공안도 역시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벌써 찾으면 저 죽는 것이고, 찾으면 그르치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058)—1977년 동지차례(77년 12월 22일)(정사년 11.12 음) (용058)

 

(1) 약 20분.

 

(2) 약 15분.

 

(1)------------------
 
이쪽으로 둘르고 앉으십시오. 그리고 저의 얼굴을 보시면서 말씀을 들어주시기 바랍니다.
동지(冬至)를 다다라서 날씨가 몹시 추움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모습으로 법회에 참여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금방 우리는 전강 조실 스님의 법문을 녹음을 통해서 잘 들었습니다.
법문(法門)이 고준(高峻)할 때에는 저 도솔천내원궁보다도 더 높은 법문이요. 법문이 깊을 때에는 태평양 바다보다도 더 깊으며, 쉬웁고 평탄할 때에는 대지와 같이 누구라도 삼척동자라도, 나무하는 무식한 일꾼도 들으면 다 이해할 수 있도록 그렇게 쉬웁게 말씀을 해 주셨습니다. 각기 자기 근기(根機) 따라서 잘 이해를 하셨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동짓날로써 이 우주 삼라만상과 일월성신(日月星辰)이 음(陰)과 양(陽), 두 가지 기운으로써 운행이 되고 있는데 오늘은 양의 기운이 하나 생겨나는, 비로소 처음 생겨나는 날입니다.
오늘부터서 한 양(陽)이 생겨나고 또 내일은 조금 더 생겨나고 그래서 오늘은 해가 제일 일 년 중에 짧고 밤이 제일 긴 날입니다.
 
내일부터서는 1분이 더 낮이 길어지고 밤이 짧아지고, 모레는 2분이 길어지고 해서 1 중에서 오늘이 낮이 제일 짧고 밤이  날이지마는, 하루하루 지남에 따라서 낮이 1 길어지고 밤은 1 짧아지고 이렇게 이렇게 해 가지고 내년엔 춘분(春分)에 가서 낮과 밤이 같아집니다.
그래 가지고 내년 여름 하지(夏至)에 가서는 오늘의 정반대로 낮이 제일 길고 밤이 제일 짧은 날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차츰차츰 길어져 가지고 더이상 길어지지 못하면 그다음 날부터서  짧아지기 시작하고, 짧아지다 짧아지다 더이상 짧아지지 못할 때에는, 못한 날이 되면은  이튿날부터서  길어지기시작하는 것입니다.
 
달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초생달이 차츰차츰 하루하루 지내감에 따라서 커지다가 보름달이 되면 최고로 둥글어집니다. 열엿새 날부터서는 차츰차츰 작아지기 시작해 가지고 그믐이 돌아오면 깜깜해질 것입니다.
 
해와 , 이러한 날과 밤과 낮뿐만이 아니라, 인간 세상에 명예와 권리 재산 모든 것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들의 욕심으로는 부자가 되어 가지고 우리나라에서 제일가는 부자가 되고, 세계에서 제일가는 부자가 되고 싶지마는, 자기의 분(分)이 있어서 분만큼 부자가 되면은 더이상 부자가   없을 때부터서 차츰차츰 얼마동안 유지해 나가다가 차츰차츰 줄어져서  가난해지고, 가난해지다 가난해지다 더이상 가난해지지 못하면은 그다음부터서는  차츰차츰 부자가 되어 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성현들이 말씀하시기를 부자가 되었다고 해서 남을 업신여기거나 자만하지 말고, 자기가 가지고 있는 재산을 자기 혼자만의 것으로 생각하지 말고,
그것을 자기도 물론 필요한 만큼 사용해야 되겠지마는,  남은 재산을 이웃 · 사회 · 국가 · 인류를 위해서 보람 있게   알아야  사람이 우주 자연으로부터 자기에게 보관한 임시로 맡긴 재산을 가장보람 있게 훌륭하게  보관을 하면서 유용하게 쓰다 가는 것이고.
 
어리석은 사람은  좋은 재산을 맡겨도 그것을 한푼 올바르게 쓰지 못하고 자기 혼자 그놈을 ! 오그라 쥐고서 벌벌 떨다가 한푼도 쓰지 못한  애착만 ! 돈에 애착만 쏟고 있다가 죽어갈 때는 눈을감고 죽지 못하고.
설사 자손에게  재산을 물려준다 하더라도  자손이  재산을 수용할 만한 복(福)이 없으면은  재산으로 인해서  불행으로 일생을 마치게 되는 것입니다.
 
 가난한 사람은 영원히 가난하라는 법이 없습니다. 가난해지다가 가난해지다가 더이상 가난해질  없으면 부자 되는 길밖에는 없는 것입니다. 아무리 부자가 되기 싫어도 부자가 되는 것입니다.
거기에다가 바른길로 열심히 노력하면서 살면은 차츰차츰 부자가 되는 것이니 만큼 가난하다고 해서 신세와 팔자를 한탄하고 저주하고 한숨 속에서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오히려 부자로서 죄지은 사람이  많지, 가난한 사람이 죄지은 경우는 적은 것입니다.
 
가난한 사람은 하루하루 벌어먹기 위해서  흘려 일하는 것뿐이고, 부자는  많은 돈을 억지로 모으기 위해서 해서는   그러한 일을 범하게 되는 수가 있는 것이니 만큼,
우리 부처님을 믿는 제자는 해가 낮이 길어졌다 짧아졌다 하는 이러한 우주 일월성신의 기상 변화, 이러한 것을 보고서도 항시 자기를 반성하고 자기의 살아나갈 희망과 행복을 위해서 어떻게 살아가야겠다고 하는 것을 이러한 기회에 각오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정법(正法)을 믿고 열심히 내가 나를 깨닫는 참선(參禪)을 하는 것만이 인간으로 태어나서 가장 올바르게 그리고 희망과 행복을 가지고 살아갈  있는 것입니다.
 
 
오늘 전강 조실 스님 법문에는 동지에 대한 말씀과 또 참선, 참선법에 대한 말씀 그리고 불공(佛供)을 드리는 법에 관한 말씀, 그리고 육대 선지식(六大善知識)으로부터 인가(印可) 받을 때에 법담(法談)하신 내용, 그리고 조주 스님과 남전 스님의 고양이 문답 법문,
그리고 마지막에 가서는 활구참선(活句參禪), 정말 실참실오(實參實悟), 실다웁게 닦아서 실다웁게 깨달라야만 생사(生死)를 당적(當敵)하는 것이지 간혜(乾慧), 영리해서 이리저리 발라 맞추고 따져서 말 잘하고 그러한 재주 기운 가지고 생사는 면(免)할 수 없다고 하는 말씀으로 끝을 맺으셨습니다.
 
참선은 아까 조실 스님께서 말씀하신 바와 같이 평상화(平常話), 일상 생활—밥 먹고, 옷 입고, 똥 누고, 일하고, 소지하고, 걸어 다니고—하는 그 생활을 한 걸음도 옮기지 아니하고 참선을 해야만 하는 것이고.
깨달음도 역시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입으로 말하고, 손으로 일을 하고, 발로 걸어 다니고, 생각으로 성내고 웃고 울고 하는 그 일상, 평상시의 생활을 조금도 여의지 아니하고 있는 것입니다. 깨달음도 그렇고 또한 참선도 그렇습니다.
 
중생의 번뇌 망상, 일체 행동 동작을 떠나서 깨달음이 있다면은 그것을 떠나서 찾아야 되겠지마는, 중생의 눈과 귀와 코와 입과 몸뚱이와 생각, 그놈을 일찰나(一刹那)도 떠나지 아니하고 깨달음은 있는 것입니다. 깨달음이 있다고 하는 것은 부처님이 거기에 계시는 것입니다.
 
잘 모르는 사람은 탁자(卓子) 위에 모셔 놓은 부처님, 또는 삼천년 전에 정반왕에 탄생하셨다가 80세를 일기로 열반하신 싯다르타(siddhartha), 석가모니 그 부처님만이 부처님인 줄 알고.
바로 지금 산승(山僧)은 말을 하고 있고, 여러분은 지금 산승의 말을 듣고 계십니다. 듣고 있는 그놈, 그놈을 여의고는 '참 부처님'은 안 계신 것입니다. 그놈을 항시 놓치지 말고 그놈에서 자기를 봐야 하는 것입니다.
 
그놈이 있길래 눈을 통해서 볼 수 있고, 귀를 통해서 들을 수 있고, 코를 통해서 냄새 맡고, 입을 통해서 말하고 음식을 먹고,
아까 조실 스님께서 말씀하신 바와 같이 '문을 열매 뜰에는 나무가 섰다. 그 나무를 봄으로 해서 그 나무를 통해서 내가 나를 보는 것이 그것이 견성(見性)이라' 하셨습니다.
 
견성이라 하는 것은 '내가 나의 부처를 친견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천하 없는 모든 일은 다 할 수가 있어도 한 가지 할 수 없는 것이 있습니다.
내가 이 몸을 가지고 있는 동안에 나의 몸으로부터서 부처님을 밖으로 내쫓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백만 번 뛰었다 엎쳤다 온갖 짓을 다하고 한다 하더라도 나로부터서 나의 부처님을 밖으로 내몰 수가 없어요.
 
오히려 그 부처님을 안 볼려고 하고 내몰려고 할수록 나의 부처님은 더욱 소소영령(昭昭靈靈)하게 나에 의해서 보여지는 것입니다.
너무 분명하고 가깝기 때문에 그것은 부처가 아닌 줄 알고 그놈을 내놓고 찾기 때문에 우리는 그 나의 자성(自性)을 보지를 못하는 것입니다.
 
뜰 앞에 있는 나무, 누가 못 보는 것입니까?
누구라도 장님이 아닌 도막에는 문을 열면은 뜰 앞에 있는, 뜰에 있는 나무를 볼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왜 나무만 보고, 나무(나)는 보지 못하는 것입니까?
 
너무 평범한 것은 우리는 그것이 위대한 줄을 모르는 것입니다.
 
이 세상에 국왕의 은혜, 국가 민족의 은혜, 부모의 은혜, 스승의 은혜, 다 우리가 세세생생(世世生生)에 갚을려고 해도 갚기가 어렵지마는 정말 고마운 것은 공기(空氣)라고도 말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공기가 참으로 고맙다는 생각을 절실히 하면서 사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왜 그러냐 하면은 무의식중(無意識中)에도 언제라도 우리는 제절로 이 공기가 우리 코를 통해서 드나들고 있기 때문에 그럽니다.
 
탄광, 장성에서 탄광에 화재가 나가지고 이번에 많은 사람이 죽었습니다마는, 그러한 일을 당해 봐야 공기가 맑은 공기가 얼마나 소중한가를 알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런 일 없을 때에는 공기가 얼마나 우리에게 고마움을 주고 있는가를 아무도 느끼지를 못하고 사는 것입니다.
 
내가 나를 깨닫는 것—언제나 나의 부처, 나의 성품, 나의 마음자리는 이 몸으로부터 조금도 떠나 있지를 않습니다.
눈으로 볼 때, 귀로 들을 때, 입으로 말하고 음식을 먹을 때, 발로 걸어 다닐 때, 울고 웃고 성낼 때 바로 그곳에 '나'가 있건만, 어째서 내가 나를 보지를 못해?
이것은 이론적으로 아무리 설명해 봤자 소용이 없는 것이고, 이론적으로 설명을 들어 봤자 소용이 없는 것입니다. 이것은 오직 활구참선(活句參禪)을 통해서만이 깨달을 수가 있는 것입니다.
 
 
활구참선이 무엇이냐?
 
자기가 알고 있는, 자기가 그동안에 책을 보거나 법문을 듣거나 해서 알고 있는 불교의 모든 지식, 상식, 교리 그러한 것을 고대로 놔버리고 다못 선지식(善知識)으로부터 받은 화두 「이 무엇고?」 또는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또는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각기 선지식으로부터 받은 그 화두가 같은 분도 있고 다른 분도 계시겠지마는, 다른 분이야 무슨 화두를 받았건 말았건 자기가 받은 그 화두 그것을 이론을 통해서 알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다못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그저 바보처럼, 하라고 하는 대로만 하는 사람은 길이 빠른 것이고,
영리하고 똑똑해서 자꾸 이리저리 그것을 사량복탁(思量卜度), 중생심으로 이리저리 따지고 파고들고 비교하고 이러는 동안에 점점 시간만 굴러가고 공부하는 데에 있어서 나쁜 버릇만 자꾸 생겨 가지고 길이 늦어지는 것입니다.
 
어떠한 목동이 소를 끌어다가 맑은 시냇물에다가 끌고 가서 대주면 그저 소는 꿀꺽꿀꺽 마시기만 하면 됩니다. 그렇듯이 선지식이 '이렇게 하라'하면은 그렇게만 바보처럼 고지식하게 계속 천 번이고 만 번이고 한결같이 그렇게 들어 나가기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그런 바보처럼 그렇게 하는 사람은 빨리 그리고 크게 깨달을 수가 있는 것이고, 그 말을 믿지 못해서 그 말이 아무래도 곧이가 들리지 않아서 이 책도 떠들어 보고 저 책도 떠들어 보고, 이리도 따져 보고 저리도 따져 보고 갈팡질팡 동서남북으로 다니면서 뭐 좋은 말이라도 한마디 더 듣고 싶어서 갈팡질팡하면서 자기의 본참공안(本參公案)에 충실하지 못한 사람은 10년 20년 세월이 속절없이 지내가고 남는 것은 지해(知解), 사량심(思量心)만 더해 가지고 생사를 면하기는 썩 어렵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도 말씀하시기를 '세지총명(世智總眀)은 득도(得道)하기가 어렵다' 하셨습니다.
세상에서 말한 영리하고 지능지수가 높고 총명하고 똑똑한 사람은 이 정법, 활구참선을 해서 확철대오하기가 썩 어렵다고 이렇게 말씀하신 이유가 거기에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과거에 선지식들도 하시는 말씀이 '이 자리에서 불보살(佛菩薩)이 나와서 설법을 한다 해도 깨닫자 생각지도 아니하고, 나찰귀신이 와서 죽인다고 해도 두려워할 줄도 모른, 콱! 맥힌 아주 쑥맥 바보가 된다면은 내가 이 자리에서 당장 너에게 생사해탈(生死解脫) 했다고 인가를 하리라' 이렇게 말씀하신 분도 계시는 것입니다.(처음~20분28초)
 
 
 
(2)------------------
 
활구참선은 이론을 통해서 알아 들어가는 공부가 아니라,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이뭣고?」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놈,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성내고 슬퍼하고 걸어 다니고 하는 이놈. 분명히 눈으로 볼 줄도 알고 귀로 들을 줄도 알건마는 그놈이 어떻게 생겼는가 찾아보면 간 곳이 없어. 「이놈이 대관절 무엇인고? 이뭣고?」
 
밥을 먹을 때에도 「이뭣고?」
걸어갈 때에도 「이뭣고?」
슬픈 일을 당했을 때에도 「이뭣고?」
기쁜 일을 당했을 때도 「이뭣고?」
산을 보아도 「이뭣고?」
기차 소리를 들어도 「이뭣고?」
 
다못 그렇게 일념 일념을 단속해 나가. 1초 1초를 그렇게 단속을 해 나가면 결국은 「이뭣고?」를 할려고 안해도 저절로 화두가 항시 눈앞에 나타나게.
이렇게 해서 하루, 이틀, 사흘, 일주일이 못 가서 반드시 확철대오를 하는 것입니다.
 
 
아까 전강 조실 스님 말씀에 "깨닫기 전에도 반드시 눈 밝은 선지식의 지도하에 화두를 타서 정진을 해야 하고, 깨달은 뒤에도 반드시 선지식의 인가를 받아서 깨달은 뒤에 수행하는 지도를 또 받아야 한다"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다른 것은 스승 없이 독학할 수도 있고 자습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참선은 여러 가지 경전을 사다 놓고, 조사어록을 사다 놓고, 참선에 관한 일본 서적 · 한국 서적 · 중국 서적을 사다 놓고 혼자 이 책 저 책을 읽어 가면서 혼자 자습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백 명 만 명 속에도 제대로 공부가 되질 못하는 것이고, 만 명 가운데 한 사람도 깨달은 사람이 나올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달마 스님께서도 말씀하시기를, 「위음왕불(威音王佛) 이전에는 몰라도 위음왕불 이후에는 스승 없이 깨달은 사람은 없다」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위음왕불은 부처님 가운데에 최초의 부처님이십니다.
땅속에서 땅을 파 가지고 금을 찾는다든지, 바닷속을 뒤져 가지고 보석을 찾는다든지 하는 것은 혼자 마음대로 돌아다니다가 혹 눈에 띄기도 하겠지마는, 참선을 해서 내가 나를 깨달은 것은 스승 없이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말할 수가 있습니다.
 
왜 그러냐 하면은 언제나 나와 같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벌써 찾으면 그르치게 되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참선을 하는 것은 화두를 항시 의심을 해서 깨닫기 위해서 참선을 하는 것이지마는, 정말 바로 말하자면 찾음으로 해서 자기를 잃게 되는 소치인 것입니다.
그렇지마는 우리는 찾아야 합니다. 찾되 선지식의 지도에 의해서 찾아야만, 찾음으로써 잃어버리는 그것을 보게 되는 까닭이 되는 것입니다.
 
너무 가깝기 때문에 우리는 보지를 못하는 것입니다.
마치 물속에 떠억 앉아서 물을 찾는 거와 같은 것입니다. 물속에 풍덩 주저앉아 가지고 목이 마르다고 물을 찾는 거와 같은 형상인 것입니다.
 
그래서 화두, 공안은 문헌에 오른 것만 해도 천칠백 공안이요, 천칠백 화두라 합니다마는 그 공안은 깨닫지 못한 사람에게는 깨달음에 이르는 좋은 열쇠요, 나침반입니다.
그러나 무슨 소견이 났을 때에는 그 공안은 바로 '그 사람이 바로 깨달은 사람이냐? 바로 깨닫지 못한 사람이냐?'를 시험해 보기 위한 좋은 시험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깨달랐다'할 때에 그 사람에게 공안을 하나 턱 물어보면은 그 공안에 대해서 그 사람이 어떠한 표정을 짓느냐?
입 벌리기 전에 벌써 '저 사람은 바로 본 사람이다. 바로 못 본 사람이다. 바로 깨달은 사람이다. 바로 깨닫지 못한 사람이라'하는 것을 입 벌리기 전에 선지식은 이미 알고 있는 것이고, 그렇지마는 짐짓 입을 벌리게 해 보는 것입니다.
 
입을 벌려 봤자, 입 벌리기 전에 알고 있는 거와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왜 그러냐 하면은 물속에—묻는 사람도 물속에 떠억 앉았고, 깨달랐다고 온 사람도 물속에 같이 들어앉아서 "어떤 것이 물이냐? 물이 어디가 있느냐?"하고 물어본 거와 같은 것입니다.
그럴 때 그 사람이 물속에 들어앉은 줄을 모르고 물을 찾기 위해서 위로 아래로 두리번거리고 있다면 벌써 그 사람 '아! 이 사람이 물이 무엇인지를 모르는구나' 대번에 알 수 있지 않겠어요?
 
일체 공안도 역시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벌써 찾으면 저 죽는 것이고, 찾으면 그르치는 것입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공안이라고 하는 것이 정말 깨닫기 위해서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자물쇠요, 나침반과 같은 것이다」하는 것을 깊이 인식을 하시고,
화두를 공부하다가 조금 잘 들리지 아니하고, 의심이 잘 들지 않는다고 해서 '화두가 나빠서 그런가 보다'해 가지고 이 화두, 저 화두 이렇게 화두를 바꿀려고 쌌거나 그래서는 아니된 것입니다.
 
누구라도 처음부터 한결같이 잘되는 사람은 없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곧 그렇게 하면은 곧 잘될 것 같지마는 얼마 해 가다 보면은 아무리 해도 화두가 잘 들리지를 아니하고, 마음의 눈 박을 곳을 얻지를 못한 채 가슴이 답답하기도 하고 몸이 뒤틀리기도 하고 지루하기도 하고, 영 이것이 공부가 되는 것인지 안되는 것인지 조차도 분간할 수 없을 만큼 몸부림을 치게 됩니다.
 
그러나 다못 무조건 하고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무슨 생각이 일어나더라도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다못 그렇게 해 나감으로 해서 언젠가는 차츰차츰 번뇌와 망상은 이 알 수 없는 의심 앞에 굴복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번뇌 망상 줄어지면서 화두 들어지는 시간이 많아지는 것입니다.
 
화두가 잘 들린다고 해서 좋아하지도 말고, 또 화두가 잘 안 들린다고 해서 짜증을 내거나 번뇌심을 내서는 아니됩니다.
심한 분은 '아휴, 내가 참선은 내가 인연이 없나 보다' '나는 나이가 먹고, 여자고, 말세중생이라 참선은 안되나 보다' 이래 해 가지고 다시 염불을 한다든지.
'내가 업장(業障)이 많으니까 기도를 해 갖고 업장을 소멸한 다음에 해야겠다' 이래 가지고 선방에서 몇 철씩 하다가도 기도하러 돌아다니고 이런 분을 가끔 볼 수가 있습니다마는.
 
사실은 공부가 잘되어 간다고 생각할 때 보다는 영 가슴이 답답하고 알 수가 없고 잘 안될 때, 그때가 한 계단 공부가 올라서려는 그러한 고비에서 그런 경우를 만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 고비를 잘 고비를 넘겨야만, 공부를 중단하지 아니하고 잘 넘겨야만 공부가 한층 수월하게 되는 것입니다.
 
 
오늘 동지를 기해서 다른 절에서는 새벽부터 저녁까지 낱낱이 모다 독불공(獨佛供)을 하고 목탁을  치고 계속 이 불공을 하고 축원(祝願)을 하느라고 야단들인데, 우리는 전강 조실 스님의 법문을 여태까지 듣고 또 참선에 관한 말씀을 우리는 이야기하고 또 말씀을 듣고 계십니다.
 
참선 공부 열심히 함으로써만이 우리가 무량겁으로부터 윤회로, 고해(苦海) 속에서 헤매고 내려오는 그것을 벗어날 수가 있는 것이지, 독불공해서 축원을 아무리 오래오래 한다 하더라도 그것 가지고서는 우리 인간에 조그마한 소원은 성취할는지 모르지마는 영원한 생사해탈은 기약하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그러나 이 법회가 법문이 끝나자마자 우리도 모두 한마음 한뜻으로 불공을 올리고 또 축원을 합니다. 낱낱이 '아무개 보체(保體), 아무개 보체' 안 하고, '법보제자(法寶齋者) 각각등보체(各各等保體)' 이러기만 해도 부처님은 다 잘 알고 계신 것입니다.
학교 학생이 수천 명 되는데, 그 많은 사람을 낱낱이 이름을 부를 때에 혹 이름을 잘못 부를 수도 있고 혹 빠뜨릴 수가 얼마든지 있습니다. 그러나 '인천상업고등학교 학생' 그러면 눈먼 학생도 빠지는 법이 없습니다. 한 사람도 빠짐없이 다 들어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법보제자 각각등보체'할 때에는 안심하고 마음으로 축원을 하세요. 이것이 우리 법보선원에 불공법입니다.
법문을 잘 듣고서 여러분의 정성스럽게 이 동지에 참석하신 모든 목적을 달성하고서 그리고서 오늘 법회를 마치는 것입니다.
 
'오늘 불공 동참(同參)을 했으니까 앞으로 이 일이 잘 성취되리라' 이렇게 생각하시지 말고, '이미 참석하려고 하는 마음을 냈을 때, 또 이 자리에 앉았을 때 성취했다'고 생각을 하셔야 하는 것입니다. '이미 다 성취했다'고 생각하셔야 하는 것입니다.
앞으로 성취하기를 바라지 말고, '이미 했다'고 생각을 하셔야 합니다. 그래야만 여러분이 원하는 대로 성공할, 성취되는 잘되는 것입니다.
 
'이랬으니까 장차 되리라' 되기를 바라는 동안에는 '혹 안 될지도 모르겠다'하는 생각이 거기에 붙어 있기 때문에 '될까 말까? 될까 말까?'
다리를, 외나무다리를 건너갈 때 '떨어지면 어쩔꼬? 떨어지면 어쩔꼬?' 그러다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용기를 가지고 자신 있게 쑤욱 걸어가면은 무난히 건너갈 것도, 가다가 중간쯤 가다가 '떨어지면 어쩔꼬? 떨어지면 어쩔고?'하면서 계곡을 들여다보면 그 사람은 영락없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믿어야 한다'고 아까 조실 스님께서 말씀을 하신 것이 바로 거기에 있는 것입니다.
 
말씀이 너무 길어지면 팥죽이 퍼지니까 말씀을 그만하고,
오늘 이 동참법회에 참석하신 사부대중은 지난 과거로부터 일 년 동안 모든 업장이 다 소멸이 되셨고, 앞으로 새해를 맞이해서 일 년 동안 몸 건강하시고 정법문중(正法門中)에 신심이 더욱 돈독해서 도업(道業)이 날로 진취가 있으실 것을 빌고, 집안에 크고 작은 모든 원(願)이 가까운 곳으로부터 차츰차츰 다 성취되시기를 간절히 빌면서 말씀을 마칩니다.(20분32초~35분6초)(끝)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