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등41) 몽산화상시중(蒙山和尙示衆—몽산화상이 대중에게 보이심) 법문.(송담스님)

 

「이렇게 여법(如法)하게, 여법하게 이렇게 삼 년을 알뜰히 공부를 해서 확철대오를 못하면 내가 너희를 대신해서 지옥에를 가겠다」 몽산화상(蒙山和尙)께서 이렇게 맹세를 하셨습니다. 어째서 이 몽산 큰스님께서 이렇게 무서운 맹세를 하셨느냐? 정말 생사대사(生死大事)를 위해서 이렇게 알뜰히 정진을 해서 삼 년을 하면 깨닫지 못하는 법이 없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송담스님(세등선원No.41)—임술년 동안거 결제 법어(82.10.17) (세등41)

 

약 13분.

 

대중이 이렇게 모여서 노소가, 신참(新參) 구참(久參)과 나이가 많은 분과 나이가 적은 분, 한자리에 이렇게 50여 명 이렇게 모여서 정진하는데 나아가서는, 첫째, 세속의 인연을 다 끊어 버려.

 

누구 환갑이다, 누구 사십구재다, 누가 돌아가셨다, 일체 없어.

심지어는 자기의 부모가 돌아가시고 자기의 스승이 돌아가셨다 하더라도 결제 중에 왕래하는 법이 없습니다. 그것은 옛날부터서 선방에 내려오는 철저한 규칙인 것입니다.

 

그래서 어디서 전보가 오거나 편지가 와도 결제 중에는 본인에게 전달을 하지 아니하고, 사무실에서 보관을 해 두었다가 해제한 날 그 전보와 편지를 전해 주게 되어 있는 것입니다.

중간에 편지나 전보 같은 것을 전해 주면 자연히 마음이 동요가 되어 가지고 갈 수도 없고, 안 갈 수도 없고 그것 때문에 정진에 지장이 있기 때문에, 정진을 알뜰히 잘하면 이 한 철에 일대사(一大事)를 해결할는지도 모르는데, 그 편지나 전보 한 통으로 인해서 한 철이 그럭저럭 지내가 버리면 앞으로 몇억만 겁이 지내 갈는지도 알 수가 없는 일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여.

 

그래서 모든 인사(人事)를 끊어 버려라.

그리고 집착(執着)과 전도(顚倒)를 제거해.

 

과거에 자기가 알았던 것, 과거에 자기가 들었던 것, 과거에 자기가 배웠던 것, 느꼈던 것, 모든 것. 옳은 것이나 그른 것이나 일체 것을 다 제거를 해 버려야 돼.

완전히 초학자(初學者)가 되고, 완전히 백지(白紙) 상태가 되어 가지고 한 철 공부를 해야 할 것이다.

 

새 술은 새 부대에다 담아야 하는 것이고, 그림이나 글씨는 깨끗한 흰 종이에다 그려야지, 얼룩덜룩 다른 글씨나 다른 그림이 그려진 데다가 아무리 정성스럽게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린댔자 좋은 작품이 나오지를 아니하는 것이여.

언제든지 우리는 정진을 할 때 완전히 백지와 같은 마음, 완전히 아주 유치원 학생과 같은, 아주 초심자와 같은 마음으로 공부를 해야 할 것이다 그말이여. 그래야 공부가 진취가 있고 올바르게 되어가는 법이여.

 

진실(眞實)로 생사대사(生死大事)를 위해라. 생사대사를 위하는 그 한 마음만을 가지고 하루하루를 지내갈 것이다 그말이여.

 

음식에 대한 문제, 자리에 대한 문제, 일체 것에 대해서는 인연 따라서 해.

밥이면 밥, 죽이면 죽, 찰밥이면 찰밥, 밥이 되면 되고 질면 질고, 싱거우면 간장을 더 치고, 짜면 물을 좀 더 치고, 밥이 되면 물을 말아서 먹고 꼭꼭 씹어서 먹고.

어쨌든지 모든 것은 그때그때의 수용한 인연 따라서 맡겨 버리고, 나는 일단 정성이 오직 이 생사대사 이 한 문제만을 위해서 하루하루를 지내 가지고 석 달 동안이 하루처럼 그렇게 지내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전국에 선방이 여러 군데가 있지마는 각기 그 선방마다 규칙이 다르고, 가풍이 다르고, 법도가 달라서, 여러 선지식(禪知識)마다 지도하는 방법이 차이가 있기 마련인 것입니다.

그러나 이 세등선원은 또 세등선원 나름대로의 규칙이 있고, 가풍이 있고, 법도가 있습니다. 일단 이 선원에 들어오면 백지 상태이기 때문에 이 세등선원에서 지내는 동안은 세등선원의 모든 규칙과 법도와 가풍에 적응을 하는 것, 이것이 바로 올바른 수행의 자세인 것입니다.

 

백지 상태가 되어서 여기의 법도(法度)에 순응한다고 하는 것은 왜 그것이 소중한 것이냐 하면,

자기 마음을 비울 줄을 알기 때문에, 또 하심(下心)을 할 줄 알기 때문에, 또 아상(我相)과 아만(我慢)을 한 생각으로 스스로 꺾어 버릴 줄 알기 때문에, 당장 그때부터서 제일보(第一步)가 올바르게 시작이 되는 것입니다.

 

불법(佛法)이라고 하는 것이 아집(我執)을 비우는 것, 아집을 꺾는 것입니다.

 

팔만사천 번뇌라든지, 팔만사천 마구니가 한마디로 말해서 아상(我相) 아(我)를, 아공(我空) 아(我)를 비워 버리는 데에서부터서 도문(道門)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팔만사천 마구니와 팔만사천 번뇌도 나를 비우게 하는 데에서 다 조복(調伏)이 되고 항복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이 선방에 오면 이 선방의 법도에 깨끗하게 순응하고 적응을 할 줄 아는 사람이 정말 훌륭한 수행인인 것입니다.

또 다른 선방에 가면 또 그 선방의 법도에 깨끗하게 순응을 할 줄 아는 사람, 정말 진실한 수행인인 것입니다. 그렇게 순응을 하는 진실한 수행인이라야 그 한 철 공부가 짬지고도 알뜰하게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삼경(三更)을 제외하고는 수면(睡眠)을 허락지 말 것이며, 시내 외출을 삼가할 것이다.

 

그전에는 너무 이 규칙을 지나치게 엄격하게 하지 말아라. 지나치게 사소한 일까지 너무 엄격하게 하면은 그것이 공연히 시비가 일어나고, 그러니 일체 규칙은 각 개인이 자발적으로 지키도록 하고, 오직 근본 문제, 정진만을 알뜰히 하도록 그렇게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했더니, 자기 멋대로 온천을 가네, 또 무슨 어디가 아프다고 핑계를 대고 병원에를 가네.

 

물론 중대한 병이 일어나면 병원에 가서 치료도 받아야 할 때도 없는 것은 아니지만 수행인은 병을 다스리되 「모든 병은 나의 업(業)의 원인으로 병이 생긴 것이다. 그러니 내가 정진을 해서 이 업을 소멸을 해서 그래서 병이 저절로 낫도록 해야겠다. 이러한 마음가짐으로 자기의 병을 대치해 나가라」 이렇게 부처님은 말씀을 하셨습니다.

「그래서 병을 고칠라고 하지 말고, 의사나 약을 통해서 병을 고칠라고 하지를 말고, 병을 도반으로 알고 선지식으로 알고 공부를 해라」 부처님은 이렇게 말씀을 하셨습니다.

 

그 병이, 그 아프고 괴로운 그때마다 무상(無常)을 느끼고 참회(懺悔)를 하고 신심을 내서 공부를 해 나간다면, 그 병이 나를 죽일려고 오는 병이 아니라 나로 하여금 발심하고 분심을 내게 하기 위한 선지식이요, 도반이요, 채찍이 될 것이다.

이렇게 마음을 먹고 병을 대치하면서 정진을 한 사람은 병 때문에 더 공부를 잘하게 되고 마침내는 도업(道業)을 성취하게 될 것이다 이것입니다.

 

선방에서 뭣한 사람은 가끔 책을 꺼내서 읽는 사람이 있는데, 절대로 이것은 올바른 것이 아니다 이것이여.

확철대오를 하기 전에는 경(經)을 보지 말아라. 대중적으로 어떤 특별한 경우가 있어서 심경(心經)을 읽는다든지, 금강경을 읽는다든지, 이러한 때를 제외하고는 경을 보지를 말아라.

 

「이렇게 여법(如法)하게, 여법하게 이렇게 삼 년을 알뜰히 공부를 해서 확철대오를 못하면 내가 너희를 대신해서 지옥에를 가겠다」 몽산화상(蒙山和尙)께서 이렇게 맹세를 하셨습니다.

 

어째서 이 몽산 큰스님께서 이렇게 무서운 맹세를 하셨느냐?

정말 생사대사(生死大事)를 위해서 이렇게 알뜰히 정진을 해서 삼 년을 하면 깨닫지 못하는 법이 없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17분47초~30분3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고] 위에 하신 법문 ‘몽산화상시중(蒙山和尙示衆)’의 원문(原文). 『몽산법어』 (용화선원刊) p97-99. (가로판 p95~97)

〇若有來此(약유내차)하야  同甘寂寥者(동감적료자)인댄  捨此世緣(사차세연)하며  除去執着顚倒(제거집착전도)하고  眞實爲生死大事(진실위생사대사)하야  肯順菴中規矩(긍순암중규구)하야  截斷人事(절단인사)하고  隨緣受用(수연수용)호대  除三更外(제삼경외)에  不許睡眠(불허수면)하며  不許出街(불허출가)하며  不許赴請(불허부청)하며  未有發明(미유발명)이어든  不許看讀(불허간독)하며  非公界請(비공계청)이어든  不許閱經(불허열경)이니

 

만약 이에 와 고요함을 같이 즐기려는 이는, 이 세상 인연을 다 여의며 제 고집과 애착과 모든 거꾸러진 생각을 다 버리고, 참으로 생사의 큰일을 위하야 절의 규칙을 잘 지키고 인사(人事)를 끊고 먹고 입는 것을 되어가는 대로 하되, 밤 삼경 외에는 자지 말고 거리에도 나가지 말며 오라는 데도 가지 말고 깨치기 전에는 글도 읽지 말며 예식 때가 아니거든 경도 보지 말지니

 

如法下三年工夫(여법하삼년공부)호대  若不見性通宗(약불견성통종)인댄  山僧(산승)이  替爾(체이)하야  入地獄(입지옥)호리라

법다이 삼 년 동안 공부해 만약 견성하여 종지(宗旨)를 통달하지 못하면, 산승(山僧)이 너희들을 대신하여 지옥에 들어가리라.

 

 

 

---------------------

 

*일대사(一大事) ; 매우 중요하거나 아주 큰 일. 삶과 죽음, 즉 생사(生死)의 일.

①부처님이 중생구제를 위해 세상에 나타난다고 하는 큰 일. 부처님이 세상에 나타나는 목적. ②가장 중요한 일이란 뜻. 수행의 목적. 깨달음을 얻는 것. 인간으로서의 완성.

『법화경』 방편품에 ‘諸佛世尊, 唯以一大事因緣故, 出現於世 모든 부처님은 오직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 때문에 세상에 출현한다’라고 한 것에서 유래. ‘부처님이 세상에 출현한 목적은 깨달음을 얻기까지의 과정을 보이고, 지혜를 발휘하여 모든 중생을 깨닫게 하고 구제하는 것’이다.

*마구니 ; 마(魔). [범] mara 음을 따라 마라(魔羅)라 하고, 줄여서 마(魔)라고만 한다。장애자(障礙者) · 살자(殺者) · 악자(惡者)라 번역。목숨을 빼앗고 착한 일을 방해하며 모든 것을 파괴하는 악마를 말한다. 그러나  마(魔)는 밖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에서 생기는 것이다.

 

[참고] 『선가귀감(禪家龜鑑)』 (서산대사 | 용화선원刊) p64에서. (가로판 p66~67)

마(魔)란 생사를 즐기는 귀신의 이름이요, 팔만사천 마군이란 중생의 팔만사천 번뇌다. 마가 본래 씨가 없지만, 수행하는 이가 바른 생각을 잃은 데서 그 근원이 파생되는 것이다.

중생은 그 환경에 순종하므로 탈이 없고, 도인(道人)은 그 환경에 역행하므로 마가 대들게 된다。그래서 ‘도가 높을수록 마가 성하다’고 하는 것이다.

 

선정(禪定) 중에 혹은 상주(喪主)를 보고 제 다리를 찍으며 혹은 돼지를 보고 제 코를 쥐기도 하는 것이, 모두 자기 마음에서 망상을 일으켜 외부의 마를 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마의 온갖 재주가 도리어 물을 베려는 것이나, 햇빛을 불어 버리려는 격이 되고 말 것이다。옛말에 ‘벽에 틈이 생기면 바람이 들어오고, 마음에 틈이 생기면 마가 들어온다’고 하시니라.

*삼경(三更) : 二경~四경 (밤 9시~새벽 3시)으로 불가(佛家)의 지정된 취침시간.

*업(業) : [범] karma [파] Kamma 음을 따라 갈마(羯磨)라고 하며, 「짓다(作)」의 뜻이다。중생들이 몸[身]으로나 말[口]로나 뜻[意]으로 짓는 온갖 움직임(動作)을 업이라 한다.

개인은 이 업으로 말미암아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모든 운명과 육도(六道)의 윤회(輪廻)를 받게 되고, 여러 중생이 같이 짓는 공업(共業)으로 인하여 사회와 국가와 세계가 건설되고 진행되며 쇠퇴하거나 파멸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 처음에는 악업(惡業)을 짓지 말고 선업만 지으라고 가르치다가, 필경에는 악과 선에서도 다 뛰어나고, 죄와 복에 함께 얽매이지 말아서 온갖 국집과 애착을 다 버리도록 하여, 부처님의 말씀에까지라도 걸리지 말라고 하신 것이다.

*무상(無常) ; 모든 현상은 계속하여 나고 없어지고 변하여 그대로인 것이 없음. 온갖 것들이 변해가며 조금도 머물러 있지 않는 것. 변해감. 덧없음. 영원성이 없는 것.

세상의 모든 사물이나 현상들이 무수한 원인(因)과 조건(緣)의 상호 관계를 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그 자체 독립적인 것은 하나도 없고, 인연(因緣)이 다하면 소멸되어 항상함[常]이 없다[無].

*참회(懺悔 뉘우칠 참/뉘우칠 회) ; ①자기의 잘못에 대하여 깨닫고 깊이 뉘우치며, 다시는 같은 잘못을 짓지 않겠다고 결심함. ②신이나 부처님 또는 대중 앞에서 자기의 죄를 뉘우치고 용서를 구함.

[참고] 『선가귀감』 (서산대사 | 용화선원刊) p156~157 참고. (가로판 p163~164)

有罪則懺悔하고  發業則慚愧하면  有丈夫氣象이요,  又改過自新하면  罪隨心滅이니라.

허물이 있거든[有罪] 곧 참회하고, 잘못한 일이 있으면[發業] 곧 부끄러워할 줄 알면[慚愧] 대장부의 기상이 있다 할 것이요, 또한 허물을 고쳐 스스로 새롭게 하면, 그 죄업은 마음을 따라 없어지느니라.

 

(註解) 懺悔者는  懺其前愆이요  悔其後過라.  慚愧者는  慚責於內하고  愧發於外라.  然이나 心本空寂이라  罪業이  無寄니라

참회(懺悔)란 먼저 지은 허물을 뉘우치고, 뒷날에는 다시 짓지 않겠다고 맹세하는 것이다. 부끄러워한다[慚愧]는 것은 안으로 자신을 꾸짖고, 밖으로는 자기의 허물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은 본래 비어 고요한 것이라, 죄업이 붙어 있을 곳이 없는 것이다.

*도업(道業) ; 도(道)는 깨달음. 업(業)은 영위(營爲 - 일을 계획하여 꾸려 나감). 불도(佛道)의 수행. 진리의 실천.

*여법(如法 같을·같게 할·따를·좇을 여/ 부처님의 가르침·불도佛道 법) ; 부처님의 가르침에 맞음.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을 깨달음.

*생사대사(生死大事) ; ①삶과 죽음, 생사(生死)의 큰 일. ②수행을 하여 생사를 벗어나는 깨달음을 얻는 큰 일.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