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회(화두불명수계)2015. 4. 21. 14:48

§(430) 참회정진 업장소멸 / 욕과 비방을 감로수처럼 받아들여야 / 단전호흡은 참선하는데 효과적이다 / (게송)선악성공여반장~.

 

참선은 첫째, 항상 자기의 마음을 항상 중심을 잡아 나가는 중요한 수행이여.

 

소승, 중승, 대승, 최상승으로 올라갈수록 점점 빨리 자기로 돌아오는 법문이여, 전부가.

이 참선법은 철저하게 찰나찰나, 한 생각 한 생각 일체처 일체시에 자기로 돌아오는 공부가 바로 참선이요, ‘이뭣고?’다.

 

**송담스님(No.430)—90년 12월 첫째일요법회(90.12.02) (용430)

 

(1) 약 21분.

(2) 약 22분.

 

(1)------------------

 

부처님 말씀에 ‘죄가 있거든 스스로 참회(懺悔)하고 그 마음을 몰록 쉬어 버리고 그걸 고치라’ 그랬어.

참회하고, 하던 악을 중단하고 마음을 고쳐버리면, 마치 무엇과 같으냐? 병을 앓다가 한약을 지어다가 먹고 푹 취한(汗)을 하면, 땀을 푹 싸 버리면 아주 몸이 가뿐하고 병이 낫는 거와 같다.

 

참회를 하지 아니하고 고치지 아니하면, 지은 허물이 죄가 되어 가지고 그 마음에 따라붙어. 그래 가지고 물이 흐르고 흘러서 바다에 들어가듯이, 바다에 들어가면 점점점점 바닷물이 불어나서 깊어진 거와 같다.

 

사람이 중생이 살다 보면 본의 아니게 허물을 저지를 수도 있고, 큰 허물, 작은 허물, 또 자기의 생각이 좁아 가지고 본의 아니게 그럴 수도 있고, 남의 꾀임에 빠져서 허물을 저지를 수가 있고,

그러나 항상 부처님의 법문을 듣고 또 절에 와서 하다보면 ‘아하, 내가 잘못했구나!’ 염불도 하고, 경도 읽고, 참선을 하다 보면 금방 자기를 반성하게 되거든.

 

‘허물이 있는 줄을 알고, 허물을 고치고 선(善)을 행하면 지은 죄가 스스로 소멸이 된다’ 그랬어.

참회를 하면 죄가 소멸이 되는 것이여. 참회법이라 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 것이여.

 

그런데 참회를 하고 개과천선(善)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들은 옛날에 잘못한 것을 자꾸 들추어내 가지고 ‘저 사람이 그런 나쁜 사람이다’ 또 본의 아니게 형무소에 들어갔다가 한번만 나오면 취직도 안되고, 모두가....

 

형무소에서 참회를 하고, 그러고 인자 새 사람이 되려고 나와도 한번 형무소만 갔다 나오면 모든 사람들이 손가락질을 하고, 아주 도둑놈이라고 해서,

모르고 취직을 해서 일을 하다가도 누가 ‘아, 저 사람 형무소 갔다온 사람이라고’ 한마디만 하면 대번에 쫒아내버리거든. 그러니 해 먹을 것이 없으니까 또 도둑질을 하고 강도를 한다 그말이여.

 

그래서 ‘죄는 미워할지언정 사람은 미워하지 말아라’ 그런 말도 있는데, 실지 일를 당하고 보면 형무소 갔다 나왔다 그러면은 사람들이 모두 꺼리게 된다 그말이여.

또 형무소는 안 가더라도 내가 어떤 잘못을 한번만 하면 항상 그 사람이 가는 곳마다 ‘저 사람이 무슨 짓을 한 사람이다. 무슨 짓을 한 사람이다’ 모두가 뒤에서 손가락질을 하고 수군수군하고 모두 그 사람을 모두 멀리하고 그러는데,

 

내가 한번 과거에는 그랬을망정 그것을 참회하고, 그 허물을 고치면 사람들이 그러더라도 그것을 미워하지 말고 ‘아, 내가 과거에 그런 일이 있으니까 내가 참회하고 고친 줄을 모르고 저러는구나’

그 사람을 원망하고 미워하지 말아야지, 그런다고 해서 자기도 같이 그 사람을 또 미워하면 자기는 점점 설 자리가 없어지는 것이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내가 착한 일을 하고, 착한 마음으로 옳게 살려고 하고, 자비심을 가지고 살려고 해도 다른 사람들이 그것을 시기를 하거나, 까닭 없이 아니꼽게 생각해 가지고 비방하고, 욕을 하더라도 그 사람과 같이 싸우지 말아라’ 그렇게 말씀을 하시면서.

 

 

부처님이 마침 어디를 가셨는데, 외도(外道)가 되었던지, 바라문(婆羅門)이 되었던지, 부처님한테 입에 못 담을 욕을 퍼붓는다 그거거든. 그래서 부처님께서 그 욕한 사람보고,

 

“내가 한마디 당신에게 물어보겠소. 당신이 나한테 맛있는 음식과 패물로서 나에게 갖다가 대접을 했을 때 내가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고 사양을 한다면 그 맛있는 음식과 예물은 누구한테 돌아가겠소?”

“당신이 안 받으면 도로 내 것이지. 그것이 누구한테 돌아가겠느냐”고.

 

“그러냐고, 그렇다면 당신이 나한테 그렇게 욕을 퍼부었는데 나는 그걸 받아들일 이유도 없고, 내가 안 받아들이니까 그 욕은 당신한테 다 돌아가겠구려” 그러니까 그 외도가 얼굴이 빨개져 갖고 꼼짝도 못했다.

 

여러분도 가정에서나 어디에서나 누가 전생의 업연(業緣)으로 그랬던지, 금생에 무슨 그 사람이 감정이 나서 그랬던지, 공연히 시비를 붙이고 나한테 친절치 못하게 군다 하더라도 동요하지 말어.

동요하지 말고, 화두를 들고 마음만 편안하게 하면 그렇게 시비를 걸던 사람도 그냥 별 수 없이 입이 딱 붙어 버릴 것이고, 다음에는 그러지 못할 것이고.

 

그리고 저 사람이 그런다고 해서 내가 대꾸를 해 가지고 싸우면 옆에 구경하는 사람들은 둘이 다 똑같은 사람으로 취급을 할 것이다 그말이여.

‘또 싸운다’고, ‘좀 시끄럽게 하지 말라’고,‘ 남 공부 못하게 한다’고, 다 그럴거다 그말이며.

 

그런데 한 사람이 자꾸 시비를 붙여도 나는 동심(心)이 안되고, 같이 맞서서 싸우지 아니하고 가만히 있으면 옆에 사람들이 ‘아, 저 분이 참 훌륭한 분이로구나, 참 얌전한 분이로구나, 정말 보살이로구나’ 모두가 다 존경할 것이라 그말이여.

 

그래서 대중이 이렇게 많이 모여서 사시니, 모두 크고 작은 문제가 있을 수도 있으나 피차가 서로 하심(下心)하고, 서로 양보하고, 자비심으로 대한다면, 무장무애(無障無碍)하게 공부도 잘 하시게 될 것이고,

가정에서도 그러한 마음가짐으로 살아가면 가정도 참 화평하게 살게 되고, 화평한 가정에는 복이 굴러들어 올 것입니다.

 

공부하는데 있어서 제일 방해가 되는 것이 속상하는 것입니다. 오장이 확 뒤집어지면 여간해서 화두를 좀 챙길려고 해도 잘 안 들어지거든.

‘이뭣고?’ ‘이뭣고?’해도 영 입으로만 되지 속으로는 안되어. 자꾸 속에서 이런 놈이 틀어 오르기 때문에 잘 안되거든.

 

그래도 자꾸 심호흡, 숨을 깊이 들어마셨다가 내쉬면서 ‘이뭣고?’ 한 서너 번만 하면은 그냥 스르르르 가라앉게 돼.

그래서 참선해 나가는데 이 심호흡이 대단히 중요하고 또 몸의 피로 회복하는 데에도 심호흡이 중요하고 또 자기감정을 스스로 잘 조정하는 데에도 심호흡이 대단히 중요해.

 

사람들은 ‘참으라, 참으라’하지만 참는 것이 그렇게 경우에 따라서는 참는 것이 대단히 참 중요할 때도 있지만,

매양 억지로 참다 보면 한도가 있어서 쌓이고 쌓이다 보면은 언젠가는 폭발을 하는데 그때는 걷잡을 수 없이 큰 사건이 일어나거든.

 

그리고 계속 참고 참다 보면 속이 화(火)가 쌓여 가지고 적(積)이 되어서 소화가 안되고, 눌러 보면 주먹 덩이 같은 놈이 속에 있거던,  그게 다 소시(時) 때부터서 참고 참아 가지고 적이 된거거든.

그것이 엑스레이를 찍어 보면 그것이 무슨 뭉텅이가 나올란가 어쩐가는 모르겠는데 분명히 누르면 무엇이 있다 그러거든. ‘그런데 어째서 그것이 생겼습니까?’하면 ‘내가 화를 많이 끓여서 그런다’고.

 

며느리로 가 가지고 시어머니한테 당해 가지고 그러기도 하고, 남편 때문에 속상해 가지고 그러기도 하고,

모다 이리저리 해서 화를 많이 끓인데다가 그것을 터뜨리지를 못하고 속으로 참고 참다 보면 속이 적(積)이 들어 앉는 거라 말이여. 그건 여간해 약 먹어도 낫지 않거든.

 

그래서 나는 참으라고—육바라밀(六波羅密) 속에 인욕(忍辱)이라는 항목이 있긴 있지만, 진짜 잘 참으려면 억지로 쪄누르기 보다는 그 일어나는 생각을 심호흡을 하면서 ‘이뭣고?’로 돌려야 한다 그거거든.

돌리면은 그놈이 풀어지면서 그것을 계기로 해서 화두(話頭)를 드니까 업(業)을 짓지 아니하고, 깨달음으로 한걸음 나아가게 되는데,

 

화두를 들지 않고 억지로 참다 보면 큰일이거든. 병이 나고, 결국은 언젠가는 참다 참다 참는 것도 한도가 있어서 터질 때는 무섭게 터지는 거라 그말이여.

 

그래서 앞으로는 억지로 참을라고 하지 말고, 그냥 심호흡을 하면서 ‘이뭣고?’ ‘이뭣고?’를 하시라 말이여.

 

남편이나 아내나 또는 친구나 또는 어른이 억울한 소리를 하시면, 숨을 들어마시면서 ‘이뭣고?’, 소리는 내지 말고 속으로 하라 그말이여. 어른이 뭐라 그러는데 ‘이뭣고?’ ‘이뭣고?’하면 그 될거냐.

속으로 ‘이뭣고?’, 조용하게 ‘이뭣고?’를 하다보면 그 억울한 소리 하다가도 그냥 쑥 들어갈 거라 말이여.

 

그런데 ‘이뭣고?’를 안 하고, 그냥 눈을 휘번득거리면서 말은 안 해도 속으로 그냥 잔뜩 골내고, 말하는데 뒤돌아서서 중얼중얼한다던지, 무슨 그릇 같은 것을 쾅쾅 놓는다던지, 절대로 그래도 안 되거든.

 

다소곳이 고개를 숙이고 심호흡을 하면서 ’이뭣고?’ ‘이뭣고?’하면 그 억울한 소리 한 사람이 최상승(最上乘) 법문(法門)을 설하신 것이 되고 만다 그말이여.

아! 그 소리를 듣고 화두를 드니 그것이 법문이 아니고 무엇이냐 그말이여.

 

칭찬을 하면 우선 귀에는 듣기 좋지마는 화두가 잘 안 들려. 좋은 생각으로 들뜬 생각이 되어 가지고, 그래서 칭찬하는 소리는 도둑놈이요, 나를 충고하는 소리는 약으로 감로수(甘露水)처럼 받아들이라.

 

칭찬하는 소리에 까닥 잘못하고 우쭐대다가는 큰일나는 법이고,

나의 잘못을 지적해 주고, 꾸짓는 말, 험담하는 말을 그 말을 잘 새겨서 받아들이고, 고맙게 받아들이면, 나를 비방하고 욕하는 소리가 바로 감로수가 되고 마는 것이다 그말이여.

 

인생을 살아가는 데에 칭찬도 듣게 되지마는 흔히 어디를 가나 본의 아니게 욕을 먹기도 하고, 비방을 듣기도 하는데 그 칭찬하는 소리 별로 좋아할 것이 못되어.

그래서 공자님도 ‘칭찬하면 대단히 좋아하고, 자기의 잘못을 지적해 주면 듣기 싫어하는 사람하고는 장래 두고 봤자 별 볼일 없는 사람이니 그런 사람 하고는 친구를 하지 말라’ 그랬습니다.

 

공자님도 세계의 삼대(三大) 성현의 한 분인데 가만히 생각해 보면 표현은 달라도 부처님 말씀과 다 통하고 영가(永嘉) 스님의 증도가(證道歌)에도 그와 같은 뜻이 다 있습니다.

 

그래서 칭찬한 걸 절대로 좋아해서는 안돼. 누구한테 칭찬하는 말을 들으면 오히려 부끄러운 생각을 가져야—‘과연 내가 저런 칭찬을 들을 만한 것인가? 참, 너무 과분한 말을 하시는구나’ 항상 부끄럽게 생각하고.

 

나의 잘못을 지적해 주거나 충고로 해 주는 말은 척 듣는 순간에는 조금 귀가 입맛 없다 그러거던.

 

그렇지만 양심적으로 생각해 보면, 한참 한 시간이나 두 시간 또 그 이튿날쯤 또는 그날 저녁에 잘 때쯤 가만히 ‘어째서 그 사람이 나한테 그런 말을 했을까? 아, 확실히 나한테 그런 말 들을 만한 요소가 있구나’

그렇게 참회를 하면 그때사 ‘아, 그 사람을 미웁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참 고맙게 생각해야겠다’

 

우리가 참선(參禪)을 많이 해서 찰나간에 자기의 감정을 돌릴 수 있는 훈련이 쌓아진 사람은 듣는 찰나에 바로 감로수처럼 받아들여질 것이고,

참선이 아직 익숙하지 못하고 수행이 옅은 사람은 그날 저녁에 잘 때쯤 또는 그 이튿날쯤 가면은 그런 생각이 들거여.

 

저기 저 북극지방에 에스키모인은 어떻게 둔하던지, 뭔 욕을 하면 그때는 아무렇지도 안해.

조금도 눈빛 하나 얼굴빛 하나 변하지 않고 있다가, 그 이튿날에사 도끼를 갖고 쫒아온다 이거여. 그때사 와서 닿는 거여. 두텁띠 두터워 가지고 금방 말해도 못 알아들어.

 

그 사람들은 아주 다정한 손님이 오면 자기 부인을 데리고 자라고 대접을 한다 그러는데, 그 사람들 풍속이 그러니까.

그리고 신부가 거기를 갔다가, 그 부인을 데리고 자라고 하는 통에 ‘그 안됩니다. 나 그 못합니다’ 도저히 그 사람들은 못 알아들어. ‘어째서 우리의 친절을 거부하는가?’ 도저히 이해가 안가는 거여,

 

욕을 해도 아무렇지도 안해. 골낼 줄도 모르고 아무렇지 않다가 그 이튿날 느닷없이 도끼를 가지고 와서 어제 왜 욕했냐 이거거던.

 

중생들은 자기를 위해서 충고를 해 주고, 자기를 위해서 지적을 해 주어도 금방 고마운 줄 못 알아듣는다 그말이여. 업(業)이 두터워서 금방 못 알아듣는 거여.

지금 에스키모인 이야기를 하니까 웃으셨지만, 중생은 어떻게 욕하는 소리는 금방 잘 알아듣는데, 자기를 위해서 충고를 해 주는 말은 거꾸로 알아듣는다 그말이여.

 

에스키모 사람들하고는 조금 오장이 조금 다른지 어떤지는 잘 모르겠으나 참 그게 묘하거든.

그이를 위해서 좋은 말을 해 준 것은 잘 못 알아듣고, 그게 아마 오장육부가 다른 것은 아닐 것이고.

 

어린애기들 병에 좋으라고 약을 주면 쓰다고 안 먹으라고 그러고, 단것은 위에도 해롭고 몸에 해로와도 자꾸 단것만 먹을려고 하는 어린애기들이 무슨 나빠서 그런 것이 아니라, 아직 철이 안 들어서 그래서 그런 거와 마찬가지죠.

 

나이는 40, 50 먹었어도 아직 철이 덜 들어서 그런 것인지, 이제 법문을 자꾸 듣다 보면 반드시 ‘이것이 나한테 이로울 것인가, 해로울 것인가’를 지혜롭게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참선은 첫째, 항상 자기의 마음을 항상 중심을 잡아 나가는 중요한 수행이여.

참선 안 한 사람은 노상 중심이 잡혀 있지 않거든. 눈으로 보면 보는 데에 끄달리고, 귀로 뭘 들으면 듣는 데에 끌려가고, 코로 뭔 냄새를 맡으면 냄새에 끌려가고, 항상 중심을 잃고.

 

예를 들자면 주부가 집을 비워놓고 밤낮 밖으로 쏴 다니는 거와 마찬가지여. 그러면 집안 살림이 무엇이 되겠느냐 그말이여.

하나도 집안도 소지도 안되어 있을 것이고, 애들한테나 남편한테나 아내로서 해야 할, 주부로서 해야 할 일이 전혀 안되어 갖고 있으니 엉망진창이다.(36분22초~57분27초)

 

 

 

 

 

 

(2)------------------

 

항상 집에 있으면서 집안일을 정돈하고 주부로서 할 일을 하고, 밖에 일이 있어도 냉큼 가서 일을 보고는 바로 또 집에 오고 해야지.

 

해가 다 넘어가도록 집에 안 들어오고—집에는 벌써 애들은 학교 갔다오고, 남편도 퇴근해 가지고 있는데 주부가 없으니, 끼니 밥 차려 줄 사람도 없고, 밥도 안 하고 이렇게 되어 있는 그러한 것과,

참선을 안 하고 밤낮 외부로 끌리고, 감정의 노예가 되어 가지고 끄달리고 사는 사람은 평생을 살아도 그런 내 자신의 마음 살림이 그 집 비워놓고 다닌 주부의 가정 살림과 똑같은 형상 일 것이다 그말이여.

 

그래서 눈으로 무엇을 보아도 항상 ‘이뭣고?’, ‘이뭣고?’할 때 벌써 자기로 돌아온 것이거든.

귀로 무슨 소리를 들을 때에도 ‘이뭣고?’, 벌써 소리나는 데로 갈 듯하다가 냉큼 돌아온 것이 아니냐 그말이여.

 

부처님도 자기에서 찾아야 하는데, 밖에서 찾지 말아라 그러셨거든.

 

소승, 중승, 대승, 최상승으로 올라갈수록 점점 빨리 자기로 돌아오는 법문이여, 전부가.

이 참선법은 철저하게 찰나찰나, 한 생각 한 생각 일체처 일체시에 자기로 돌아오는 공부가 바로 참선이요, ‘이뭣고?’다 이거거든.

 

‘이뭣고?’ 처음에는 누구나 잘 안돼. 잘 안되고. ‘이뭣고?’해도 그렇게 간절하게 의심이 안나지만, 자꾸 하면 되거든.

 

‘이뭣고?’ ‘이뭣고?’ ‘이뭣고 하는 이놈이 뭣고?’

자세를 단정히 하고 심호흡, 숨을 들어마셨다가 잠간 머물렀다가 조용하게 내쉬면서 ‘이뭣고?’

 

들어마신 호흡 약 3초, 들어마셔 가지고 머무르는 시간이 약 3초, 내쉬는 시간은 약 4-5초 조금 길게, 이렇게 하되 너무 가득 들어마시지 말고, 8부(八部)쯤만 들어마셔.

또 머무르는 것도 너무 오래 참을라 하지 말고, 또 내쉬는 시간도 너무 길게 시간을 잡지 말어.

 

지금 3초 3초 5초 이렇게 말했지만, 그것도 본인한테 길다고 느껴지면 2초 동안 들어마시고, 2초 동안 머무르고, 내쉬는 것은 약 3초, 모두 합해서 한 8초나 9초 이렇게 되는데,

자기에게 조금도 무리가 가지 않도록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범위 내에서 하라 그말이여.

 

그래서 차츰차츰 길어지면 길어지는 대로 하고, 짧으면 짧은 대로, 언제나 자연스럽게 무리가 없이 해야지 억지로 하면은 안되거던.

몇 번 안 해서 된숨을 쉬어야 하고 너무 힘이 들고 이러면 안되거던. 무리 없이 할 것.

 

그리고 자세는 단정하니 하되, 너무 뒤로 자지바지하고 목에다 힘을 주고, 어깨에다 힘을 주고 그리고 용을 쓰고, 그러면 안되는 거여.

단정하면서도 어깨나 목이나 그런데 힘이 들어가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편안하게 이런 자세를 가져야 돼.

 

오늘 불명(佛名)을 타고 또 십선계(十善戒)를 받고 또 화두를 타는 법요식(法要式)이기 때문에 이런 말씀을 해드리는데, ‘참선을 하는데 단전 호흡(丹田呼吸)을 꼭 해야 합니까?’ 그러한 질문을 가끔 받습니다.

꼭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그 호흡하는 법을 잘 올바르게 터득을 해서 잘하면 참선하는데 대단히 효과가 있고, 참선에만 효과가 있는게 아니라, 육체적인 건강에도 좋아!

 

왜 그러느냐? 혈액 순환이 잘되고, 혈액 순환이 잘되므로 해서 몸 안에 있는 노폐물이 잘 배설이 되어.

뿐만 아니라 피로 회복도 잘되고 또 마음도 안정이 되고, 정신도 깨끗해지고, 또 감정도 자기가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고, 침착한 성격으로 되고, 이 단전 호흡을 하면 그 이익된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야, 대단히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래서 참선을 하는 데 이것을 곁들여서 하면은 대단히 효과적이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도 사람에 따라서 수식관(數息觀)을 시켜.

 

수식관은 자기가 자기의 호흡을 세는 거여. 들어마셨다 내쉬고 ‘하나’ 또 들어마셨다가 잠간 머물렀다가 내쉬고 ‘둘’ 이렇게 해서 호흡을 이렇게 세는 거여.

그래서 그것이 수식관인데, 수식관을 시키기도 하고 또 백골관(白骨觀)이라는 그런 관(觀)을 시키기도 하고 또 사념처관(四念處觀)을 시키기도 하고, 그 사람의 근기(根機)와 체질에 따라서 여러 가지 방편(方便)을 쓰셨다 그말이여.

 

그래서 그것을 오늘날 차츰차츰 그런 것도 다 구체화되고 체계화가 되어 가지고, 여러 가지 운동하는 사람, 무술 하는 사람까지라도, 또 요가하는 사람, 전부다 호흡법을 통해서 육체적인 건강, 정신적인 통일을 도모하기 위해서 이 호흡법이 널리 개발이 되어 있는데,

 

참선하는 사람은 여려 가지 복잡한 호흡 보다는 지금 산승(山僧)이 말한 간단한 방법을 쓰면서 그 호흡을 하면서도 화두를 드는데 지장이 없도록 이렇게 해야 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된 것인지 ‘단전 호흡을 하면 가슴이 답답하고, 소화가 안되고, 여기가 콱 맥힌 것같이 느껴져서 도저히 단전 호흡을 할 수가 없다’ 이러한 호소를 하는 분을 또 가끔 만납니다.

그것은 너무 무리하게 했지 않는가? 무리하게 호흡을 해 가지고 그러한 결과가 오지 않는가? 이렇게 생각을 하고.

 

‘무리하게 한다’는 것은 숨을 들어마셔 가지고, 그 호흡이 저 밑에 단전까지 가도록 막 눌러댄다 말이여. 절대로 눌러 대서는 안돼.

또 들어마셔 가지고 오래 참을수록 좋다고 어디서 들어 가지고는 한 30초씩 얼굴이 벌게지도록 참고 있다가 ‘후 ~’하고 내쉬고, 그렇게 하면 백이면 백 다 병이 납니다. 절대로 억지로 쪄 누르지 말 것이며, 그래 가지고 또 억지로 오래 오래 참아서는 안됩니다.

 

그러면 들어마실 때 어떻게 하느냐? 스르르르 들어마실 때 배만 볼록하게 만들지, 여기서부터 눌러 대지 말라 이거여. 이것을 잘 알으셔야 되아.

들어가는 호흡을 여기까지 누르면 그 호흡이 여기까지 들어가지 않습니다. 여기는 횡격막(膜), 가로막이라는 막이 허파 밑에 요리 있어 가지고 그 이상은 바람이 절대로 안 내려가.

 

허파까지 밖에 안 가는 것을 억지로 눌러서 배꼽 밑에까지 보낼려고 하니 가지도 않고 결국은 답답하기만 하고 소화만 안되고, 안 내려가니까 기운이 부딪쳐 가지고 거꾸로 위로 올라오니까 상기병(上氣病)이 오히려 더 생길 수가 있다 그말이여.

 

그래서 단전 호흡이 좋다고 하지만 절대로 무리하게 하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어거지로 하지를 말아라.

그렇게 할 바에는 차라리 그냥 보통 호흡을 해야지, 억지로 알지도 못하는 단전 호흡을 무리하게 할라 하지 말고 보통 호흡을 하면서 ‘이뭣고?’ 이렇게만 하는 것이 차라리 낫다 이거여.

 

그리고 이 참선을 시작할 때에는 미리 입선(入禪) 시간 전에 따악 와서 다리를 발목 운동도 하고, 발가락 운동도 하고, 다리 운동도 하고,

그리고는 앉아서 몸을 좌우로 한 서너 번 이렇게 흔들다가 한 가운데다가 딱 안정을 하고는 단전 호흡을 서서히 해서 안정을 해 가지고 입선 시간을 맞이해야 돼.

 

어디서 잡답을 하면서 있다가 목탁을 치니까 헐레벌떡 쫒아와 가지고는 시근덕시근덕 하면서 그냥 할라고 하니 공부가 되냐 그말이야.

항상 입선 시간을 잘 지키고 다른 사람이 이미 죽비(竹篦) 친 뒤에사 그때서 (문을) 드르럭 (열고) 들어오고, 와서 부시럭거리고 절대로 그러면 안되거든.

 

저 옛날에는 입선 죽비 딱! 치면 밖에서 들어오지 못하도록 '발'을 쳐 버렸어.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그렇다고 하는데 어쨌든지 시간을 잘 지키고.

 

또 방선(放禪)을 하고 일어설 때 갑자기 불끈 일어서지 말고 몸을 좌우로 흔들고, 다리도 뻗고, 발목 운동도 하고, 그래 가지고는 조용히 일어나서 나가고,

그래서 입선 시간만 화두를 드는게 아니라 방선하고서도 그 화두를 들도록 하고, 방선하고 나가서 화장실에 가면서도 화두를 들고, 화장실에 가서도 화두가 놓쳐지지 않도록.

 

또 화장실에서 오는 길에도 화두를 들도록, 이렇게 까지 해 나가야 합니다. 중국 선방에서는 화장실에 갈 때 그 입승(立繩) 스님이 죽비를 갖고 따라다닌다는 말도 들었어요.

요리 따라가다가 화두를 놓치고 딴전 보는 성 싶으면 죽비로 그냥 등짝을 후려팬다고 그런 말도 들었는데 지금은 중공(共)이 되어 가지고 다 선방도 없어졌다고 들었습니다마는,

 

그런 정도까지 입선 방선을 가리지 않고 알뜰히 한 생각 한 생각을 단속을 하고 화두를 들고 정진을 하도록 그러한 공력(力)이 들어야 하는 것입니다.

 

불명은 이 법회가 끝난 다음에 차례차례로 모두 나눠 드리게 되겠습니다.

 

화두는 ‘이뭣고?’ ‘이뭣고?’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부르면 대답할 줄 알고, 배고프면 밥 먹을 줄도 알고, 욕하면 성낼 줄도 아는,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주인이 있거던.

눈으로는 보이지 않아. 그런데 그놈이 부르면 “예”하고 대답할 줄도 알고, 욕하면 성낼 줄도 알고, 칭찬하면 좋아할 줄도 알고.

 

이렇게 법문을 하면 듣고 ‘아, 참 옳은 말씀 하시는구나. 꼭 저 말씀은 나 들으라고 하시는 말씀이로구나’ 그렇게 생각할 줄 아는 놈이 있거던.

그놈을 보통 '마음'이라고도 하고, '영혼'이라고도 하고, '자성(自性)'이라고도 하고, 그렇지만 이름은 알고 있지만 실지로 우리는 보지는 못하거던.

 

그놈이 생각을 좋게 먹으면은 천사 같기도 하고, 그놈이 독한 마음을 먹으면 찰나간에 나찰(羅刹) 귀신도 된다 그말이여. 그러한 소소영령(昭昭靈靈)한 놈이 있는데 대관절 그놈이 무엇인가를 찾는 거여.

 

어떻게 찾느냐? ‘이뭣고?’ 이렇게 찾는 거여.

이런 것인가, 저런 것인가? 사량분별로 따져서 찾는게 아니라, 그냥 무조건하고 ‘이뭣고?’ 이렇게만 찾어. 천 번이고, 만 번이고 그렇게 찾으면 되는 거여. 이것을 화두(話頭)라 그래.

 

처음 불명을 타고, 처음 화두를 타고 하시는 분을 위해서 말씀을 드리고 있는 것이니까,

 

그러면 십선계도 받았고, 화두도 받았고, 이제는 불명(佛名)은 이 자리에서 낱낱이 다 일러드릴 수가 없으니 계첩(牒)을 법회가 끝나고 나눠 드릴테니까 순서 있게 그것을 받아 가지고,

 

불명이 무엇인가 한번 보고는 갖다 어디다 쳐놓고는 불명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그러면 안되거던. 자기의 불명이 확실히 무엇인가를 딱 마음속에 넣고.

계첩을 드리면 그것을 액자를 해서 딱 갖다 걸어놓고 밤낮으로 쳐다 볼 때마다 내 불명이 무엇이다 알고,

 

또 ‘이뭣고?’가 거기에 한글로 쓰여 있으니까 볼 때마다 ‘이뭣고?’ 속상할 때 ‘이뭣고?’ 기쁠 때 ‘이뭣고?’ 슬플때 ‘이뭣고?’ 근심걱정 있을 때 ‘이뭣고?’ 항상 ‘이뭣고?’를 챙기고,

오며가며 챙기고, 앉으며 서며 챙기고, 또 친구들이 놀러오면 ‘이뭣고?’에 대해서 얘기도 해 주고 또 ‘같이 가서 참선을 하자’고 권고도 하고.

 

이렇게 해서 명실공히 법보제자(法寶弟子)가 되고 최상승법(最上乘法)을 믿는 불자(佛子)가 되었습니다.

계(戒)를 받고 연비(燃臂)를 했으니 과거에 지은 알게 모르게, 크고 작은 모든 죄는 찰나간에 깨끗이 다 되었습니다.

 

이제 오늘 새로 부처님의 아들로 부처님의 딸로 새로 태어났으니, 이제 몸도 마음도 깨끗해졌어.

그러니 과거에 자기가 지은 죄에 대해서 국집(局執)할 것도 없고 깨끗한 몸이 되었으니까, 깨끗한 마음으로 이제 ‘이뭣고?’만 열심히 하고, 앞으로 십선계만 잘 지키면 여러분은 도솔천내원궁(兜率天內院宮)에 가시는 것은 이미 표는 다 끊어놨어.

 

나눠 드린 계첩이 도솔천내원궁에 가는 계첩입니다.

이 내원궁에 가는 그 표를 끊어 놓은 것이니까 그것을 잘 간직을 하시고 어쨌든지 공부를 열심히 해서 될 수 있으면 금생에 결정코 견성성불(見性成佛)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열심히 공부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선악성공여반장(善惡性空如反掌)하니  지악행선순성도(止惡行善順聖道)니라

나무~아미타불~

자성본무살불살(自性本無殺不殺)하니  탐진치심본공(貪瞋癡心本空)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선악성공(善惡性空)이 여반장(如反掌)이여.

‘선이다 악이다, 저 사람은 착하다 악한 사람이다’ 모두 그렇게 말하지마는 선인(善人)이나 악인(惡人)이나 그 본바탕은 똑같은 사람이고. 다만 업(業)에 따라서 습기(習氣)에 따라서 잠시 그런 것인데,

 

선의 성품이 뿌리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또 악의 성의 뿌리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여. 내나 진여자성(眞如自性)에서 나오는 물결에 지나지 못한 것이지, 그 근본에 들어가서는 조금도 선도 악도 없는 것이니,

그래서 착한 사람도 한 생각 잘못 먹으면 손바닥 뒤집듯이 악한 짓을 할 수도 있고, 어제까지 악한 짓을 했어도 한 생각 탁! 돌이키면은 선한 사람이 될 수가 있는 것이여.

 

그래서 악한 짓 하던 사람은 그것을 참회하고 그쳐 버리고, 착한 일을 행해서 성현의 가르침을 행하면 되는 것이다 그말이여.(止惡行善順聖道)

 

자성(自性)이 본래 공(空)한 것이니, 그 공한 자성에서 나오는 선악의 물결이 그것이 어디가 뿌리가 있을 것인가? 없는 뿌리를 있는 것으로 착각하고 스스로 괴로워하고, 남을 미워해서도 아니되는 것이고,

 

설사 과거에 자기 성질이 좀 나뻤거나, 나쁜 성질을 썼고, 나쁜 짓을 했다 하더라도 어쨌든지 부처님 앞에 참회하고, 생각을 돌이켜 버리고, 새로운 출발을 해서 마음의 안락을 찾고, 영원한 행복을 누려야 할 것이 아닙니까.(57분28초~78분56초)(끝)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참회(懺悔 뉘우칠 참,뉘우칠 회) ; ①자기의 잘못에 대하여 깨닫고 깊이 뉘우치며, 다시는 같은 잘못을 짓지 않겠다고 결심함. ②신이나 부처님 또는 대중 앞에서 자기의 죄를 뉘우치고 용서를 구함.
[참고] [선가귀감] (용화선원刊) p156~157 참고.
(70)有罪則懺悔하고  發業則慚愧하면  有丈夫氣象이요,  又改過自新하면  罪隨心滅이니라.
 
허물이 있거든(有罪) 곧 참회하고, 잘못한 일이 있으면(發業) 곧 부끄러워할 줄 알면(慚愧) 대장부의 기상이 있다 할 것이요, 또한 허물을 고쳐 스스로 새롭게 하면(改過自新), 그 죄업은 마음을 따라 없어지느니라(罪隨心滅).
 
(註解) 懺悔者는  懺其前愆이요  悔其後過라.  慚愧者는  慚責於內하고  愧發於外라.  然이나 心本空寂이라  罪業이  無寄니라
 
참회(懺悔)란 먼저 지은 허물을 뉘우치고, 뒷날에는 다시 짓지 않겠다고 맹세하는 것이다. 부끄러워한다(慚愧)는 것은 안으로 자신을 꾸짖고, 밖으로는 자기의 허물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은 본래 비어 고요한 것이라(心本空寂), 죄업이 붙어 있을 곳이 없는 것이다(罪業無寄).
*취한( 취할 취,땀 한) ;  낫게 하려고   내어  기운 발산시킴.
*개과천선( 고칠 개,허물 과,옮길 천,착할 선) ; 지난날 잘못 뉘우치고 고쳐 착하게 .
*외도(外道) ; 불교 이외의 다른 종교의 가르침. 또는 그 신봉자.
*바라문(婆羅門) ; 산스크리트어 brāhmaṇa의 음역어. 고대 인도 바라문교의 카스트(caste 네 가지[四種姓]로 분류되는 세습적 신분 계급 제도) 제도의 최상위 계급인 사제(司祭) 계급을 일컫는다.
베다(Veda 바라문교 근본 경전)를 교육하고 사원과 일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제식(祭式)을 관장했다.
*업연(業緣) ; 업보(業報)의 인연(因緣). 선업은 낙과(樂果)의 인연을 부르고 악업은 고과(苦果)의 인연을 부른다.
*하심(下心) ; 자기 자신을 낮추고 남을 높이는 마음. 자기의 마음을 스스로 겸손하게 갖는 것.
*무장무애(無障無碍) ; 일이나 행동을 하는 데에 아무런 장애·방해가 없음.
*화(火)못마땅하거나 언짢아서 생기는 화가 날 만큼 섭섭하고 분하고 답답한 감정.
*적(積) ; 적취(積聚).  에 쌓인 기로 인하여 덩어리가 생겨 아픈 ()은 오장에 생겨서 일정한 부위에 있는 덩어리이고, ()는 육부에 생겨서 일정한 형태가 없이 이리저리 옮겨 다니는 덩어리를 이른다.
*육바라밀(六波羅蜜) ; 보살이 열반(涅槃)에 이르기 위해서 해야 할 여섯 가지의 수행.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智慧)를 이른다.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업(業) : [범] karma [파] Kamma 음을 따라 갈마(羯磨)라고 하며, 「짓다(作)」의 뜻이다。중생들이 몸으로나 말로나 뜻으로 짓는 온갖 움직임(動作)을 업이라 한다.
개인은 이 업으로 말미암아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모든 운명과 육도(六道)의 윤회(輪廻)를 받게 되고, 여러 중생이 같이 짓는 공업(共業)으로 인하여 사회와 국가와 세계가 건설되고 진행되며 쇠퇴하거나 파멸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 처음에는 악업(惡業)을 짓지 말고 선업만 지으라고 가르치다가, 필경에는 악과 선에서도 다 뛰어나고, 죄와 복에 함께 얽매이지 말아서 온갖 국집과 애착을 다 버리도록 하여, 부처님의 말씀에까지라도 걸리지 말라고 하신 것이다.
*최상승(最上乘) ; 더할 나위 없는 뛰어난 교법. 최상의 가르침. 가장 뛰어난 가르침.
*법문(法門 부처의 가르침 법,문 문) : 부처님의 가르침은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 세계를 벗어나, 열반(涅槃)에 들게 하는 문이므로 이렇게 이름.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르는 말. 진리에 이르는 문.
*감로수(甘露水) ; 감로(甘露). 산스크리트어 amta 팔리어 amata
①신들(諸天)이 상용하는 음료. 이것을 마시면 불로불사(不老不死)가 된다고 한다. 신약(神藥). 불사의 영약. 도리천(忉利天)에 있다는 감미로운 영액(靈液). 장수하고 죽은 이를 환생시킨다고 함. 최고의 자미(滋味)에 비유함.
②맛은 달고, 마시면 죽지 않는다라고 일컬어지던 것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비유함.
③불사(不死). 영원의 생(生)을 의미. ④최대의 경지. 깨달음. 열반(nirvana)와 동일. ⑤정갈하고 감미로운 물.
*영가(永嘉) : (665 – 713) 절강성(浙江省) 온주부(温州府) 영가현(永嘉縣) 대(戴)씨 집에서 났다。법명은 현각(玄覺), 자(字)는 명도(明道), 호는 진각(眞覺)이다.
여덟 살에 출가하여 장경을 널리 보고, 천태(天台)의 지관(止觀)을 숭상하였다。<유마경>을 읽다가 견성하고, 조계(曹溪)에 가서 육조(六祖)에게 인가를 받고는, 곧 돌아가서 고향의 용흥사(龍興寺)에 있었다.
그의 저술은 <선종영가집(禪宗永嘉集)> <관심십문(觀心十門)> <증도가(證道歌)> 등이 남아 있다。당나라 현종(玄宗) 개원(開院) 1년에 사십 구 세에 앉아서 입적하였다.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2)
 
*이뭣고(是甚麼 시심마,시삼마) : ‘이뭣고? 화두’는 천 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를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 ‘이것이 무엇인고?’ 이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 ‘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는 일곱 자(字)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이, 뭣, 고’ 석 자(字)이다.
‘이뭣고?(이뭐꼬)'는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그 뜻은 그 속에 다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을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왔다.
 
[참고] 이뭣고? 이것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렇게 의심을 해 나가되, 이런 것인가 저런 것인가 하고 이론적으로 더듬어 들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다못 “이···뭣고······?” 이렇게만 공부를 지어나가야 됩니다. 여기에 자기의 지식을 동원해서도 안되고, 경전에 있는 말씀을 끌어 들여서 “아하! 이런 것이로구나!” 이렇게 생각해 들어가서도 안됩니다.
화두(공안)은 이 우주세계에 가득 차 있는 것이지마는 문헌에 오른, 과거에 고인(古人)들이 사용한 화두가 1700인데, 이 ‘이뭣고?’ 화두 하나만을 열심히 해 나가면 이 한 문제 해결함으로 해서 1700공안이 일시(一時)에 타파가 되는 것입니다.
화두가 많다고 해서 이 화두 조금 해 보고, 안되면 또 저 화두 좀 해 보고, 이래서는 못 쓰는 것입니다. 화두 자체에 가서 좋고 나쁜 것이 있는 것이 아니고 오직 한 화두 철저히 해 나가면 일체 공안을 일시에 타파하는 것입니다.(76분34초~78분22초) [ ‘참선법 A’ 에서]
*8부(八部)쯤만 ; 보통 호흡하는 양의 80% 정도 만큼.
*된숨아주 어렵게 쉬는 .
*불명(佛名) ; 불법에 귀의한 남녀 신자에게 붙이는 이름.
*십선계(十善戒) ; 몸(身)과 입(口)과 마음(意)으로 짓는 10가지 죄—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邪婬), 망어(妄語), 기어(綺語), 악구(惡口), 양설(兩舌), 탐욕(貪慾), 진에(瞋恚), 사견(邪見)—를 짓지 않겠다고 결심함.
*십악(十惡) ; 몸(身)과 말(口)과 뜻(意)으로 짓는 열 가지 죄악.
〇몸(身)—①살생(殺生 살아 있는 생명을 죽임) ②투도(偸盜 남의 재물을 훔침) ③사음(邪婬 삿된 음행).
〇말(口)—④망어(妄語 거짓말이나 헛된 말) ⑤기어(綺語 진실이 없는, 교묘하게 꾸민 말) ⑥양설(兩舌 이간질하는 말) ⑦악구(惡口 남을 괴롭히는 나쁜 말, 욕).
〇뜻(意)—⑧탐욕(貪欲 탐내어 그칠 줄 모르는 욕심) ⑨진에(瞋恚 성냄) ⓪사견(邪見 그릇된 견해).
*법요식(法要式) ; 불사(佛事-제사, 법회 따위의, 불가(佛家)에서 행하는 모든 일)를 할 때 행하는 의식.
*단전 호흡(丹田呼吸) ; 참선 수행에 있어서 호흡법은 우리의 몸을 건강하게 하고, 마음도 안정을 시키고 통일되게 하여 우리가 참선을 해 나가는 데에 중요한 준비, 기초 훈련입니다.
의식적으로 숨을 저 배꼽 밑에 아랫배 하복부[丹田]까지 숨을 들어마셨다가 잠깐 머물렀다가 조용하니 길게 숨을 내쉬는 호흡.
들어마시는 시간 한 3초, 들어마셨다가 잠깐 머무르는 시간이 한 3초, 내쉬는 시간은 4~5초, 이렇게 해서 내쉬는 시간을 좀 길게 잡아서 내쉰다.
 
들어마시되, 아랫배가 터지도록 잔뜩 들어마시지 말고 한 80%정도만 들어마시고, 80% 들어마신 상태에서 3초 동안 잠깐 머물렀다가 조용히 내쉬는데,
들어마실 때에는 차츰차츰 아랫배가 볼록해지게 만들고, 내쉴 때는 차츰차츰 배를 홀쭉하게 만든다.
 
그래서 들어마셨다 잠깐 머물렀다 또 내쉬되, 배가 그것에 따라서 볼록해졌다 또 홀쪽해졌다, 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도록 의식적으로 호흡을 하는 것이다.
 
 

[참고] 송담스님 80년 동안거해제(No.118) 법문에서.(1분 32초)
 
숨을 들어마실 때 ‘코로 들어마신다’고 생각을 하지 말고—저 뒤에서 쭉 들어마셔 가지고, 이 궁둥이로 해서 아랫배로 요렇게 들어온다고 이렇게 생각을 하고 들어마시면 아주 수월하게 할 수가 있습니다.
‘숨을 코로 들어마셔 가지고 아랫배까지 이렇게 집어 넣는다’고 생각하면, 들어마셔 가지고 이 윗배 오목가슴 정도까지 가 가지고 거기서 딱 맥혀 가지고 아래로 내려가지를 않아서 애를 먹게 됩니다. 그런 상태에서 억지로 하다 보면 가슴이 답답하고 영 시원하지를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코로 들어마신다고 생각하지 말고 ‘저 뒤에서 궁둥이로 쑥 들어마셔 가지고 직선으로 들어와 가지고 아랫배가 볼록해지도록 들어온다’ 이렇게 생각하고 들어마시고, 내쉴 때도 ‘그 자리에서 직선으로 뒤로 쑥 내쉰다, 내보낸다’ 이러한 기분으로 숨을 내쉬는 것입니다.
그래서 『숨은 직선으로 뒤에서 이렇게 들어마시고 내쉴 때는 직선으로 뒤로 이렇게 내보낸다』 들어마실 때는 배가 차츰차츰차츰 아랫배가 볼록해지고, 내쉴 때는 차츰차츰차츰 아랫배가 홀쪽해진다. 이렇게 의식하면서 호흡을 하는 것입니다.
 
단전 호흡을 하게 되면은 혈액순환이 잘되고, 혈액순환이 잘됨으로 해서 몸안에 모든 노폐물이 깨끗하게 밖으로 배설이 되서 몸이 가벼워지고, 건강해지고 따라서 정신이 맑아지고, 정신이 안정이 된다.
주의할 점은 자신의 호흡의 길이에 알맞게 시작하고 자연스럽게 해야지, 절대로 억지로 호흡 시간을 길게 잡아 무리해서는 안된다.

 

*수식관(數息觀) ; 들숨과 날숨을 세어 산란한 마음을 집중시키는 수행법.
*백골관(白骨觀) ; 시신(屍身)의 피부와 근육이 모두 없어져 백골(白骨)만 남아 있거나, 흩어져 있는 모습을 관(觀)하여 몸에 대한 집착을 없애고, 인생무상을 깨닫는 관법(觀法). 고골관(枯骨觀)이라고도 한다. 구상(九想)의 하나.
[참고] 구상(九想) ; 구상(九相)이라고도 한다. 탐욕을 제거하고, 혹업(惑業 무명번뇌와 업)을 멀리하기 위해 사람의 시신(屍身)에 대해 수행하는 9종류의 관상(觀相 깊이 생각에 집중하는 것).
부정관(不淨觀)의 9단계를 말한다.
①시신이 부어 팽창하는 것을 관상하는 창상(脹想).
②바람에 날리고, 햇빛에 쪼여 시신의 색이 변하는 것을 관하는 청어상(青瘀想).
③시신이 부패되는 것을 관하는 괴상(壞想).
④부패를 끝내고 혈육이 땅에 스며드는 것을 관하는 혈도상(血塗想).
⑤시체에서 벌레와 고름이 흘러나오고 살이 흩어져 낭자한 모습을 관하는 농란상(膿爛想).
⑥새나 짐승이 와서 시신을 먹는 것을 관찰하는 담상(噉想).
⑦새나 짐승에게 먹혀 근골두수(筋骨頭手)가 분열, 파산되는 것을 관하는 산상(散想).
⑧육신이 이미 다해 백골만 남게 되는 것을 관하는 골상(骨想).
⑨백골이 불에 태워져, 재로 돌아가는 것을 관하는 소상(燒想).
*사념처관(四念處觀) ; 현장법사(600~664) 이전에 번역한 경전의 번역을 말하는 구역(舊譯)에서는 사념처(四念處)라 하고, 신역에서는 사념주(四念住)라고 함. 사념주관(四念住觀)과 같음.
네 종류의 수행방법. 네 가지의 관상법(觀想法). 네 종류의 마음이 고요해지는 내관(內觀).
신념주(身念住, 身念處) · 수념주(受念住, 受念處) · 심념주(心念住, 心念處) · 법념주(法念住, 法念處)의 네 가지를 마음에 떠올리는[觀] 수행.
 
①신념주(身念住, 身念處) : 부모에게 받은 육신이 부정(不淨)하다고 관하는 것.
②수념주(受念住, 受念處) : 우리의 마음에 낙(樂)이라고 하는 음행·자녀·재물 등을 보고, 낙이라고 하는 것은 참 낙이 아니고, 모두 고통(苦痛)이라고 관하는 것.
③심념주(心念住, 心念處) : 우리의 마음은 항상그대로 있는 것이 아니고, 늘 변화 생멸하는 무상(無常)한 것이라고 관하는 것.
④법념주(法念住, 法念處) : 위의 셋을 제하고, 다른 만유에 대하여 실로 자아(自我)인 실체(實體)가 없으며, 또 자아가 없으므로 소유도 없다고, 무아관(無我觀)을 하는 것.
 
신·수·심·법(身·受·心·法) 네 가지를 따로따로 관하기도 하고, 신수심법(身受心法)은 부정(不淨)하며, 고(苦)이며, 무상(無常)하며, 무아(無我)라고 총합하여 관하기도 한다.
*근기(根機 뿌리 근,베틀 기) ;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들일 수 있는 중생의 소질이나 근성.
*방편(方便 방법·수단 방,편할 편) ; ①중생을 깨달음으로 이끌어가기 위해 일시적인 수단으로 설한 가르침.중생 구제를 위해 그 소질에 따라 임시로 행하는 편의적인 수단과 방법. 상황에 따른 일시적인 수단과 방법.
②교묘한 수단과 방법.
*산승(山僧) ; 스님이 자신을 겸손하게 일컫는 말.
*횡격막(膜) ; 포유류 가슴  사이 있는 근육으로 이루어진 수축 이완 따라 위아래운동 하여 폐의 호흡 작용 돕는다.
*상기병(上氣病 오를 상,기운 기,병 병) ; 화두를 머리에 두고 여기에 속효심(速效心)을 내어 참구하다가, 모든 열기(氣)가 머리에 치밀게(上)되어 생기는 머리 아픈 병(病).
상기병이 생기면 기운이 자꾸 위로 올라와서, 화두만 들면 골이 아파서 공부가 지극히 힘이 들고 심하면 머리로 출혈이 되며 몸이 쇠약해짐. 상기병의 예방과 치료로 단전호흡과 요료법(尿療法, 오줌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민간 요법의 하나)이 사용된다.
[참고] '요료법'에 관한 책. ①『기적을 일으키는 요료법』 (김정희 저 | 산수야). ②『요료법의 기적』 (나까오 료이치 | 산수야). ③『의사가 권하는 요료법』 (이영미 | 산수야). ④ 『요료법의 기적』 (건강신문사 편집부).
*입선(入禪) ; 참선 수행(좌선)에 들어가는 것, 좌선(坐禪)을 시작하는 것. 참선(좌선)수행.
*죽비(竹篦 대나무 죽,빗치개•통발 비) ; 예불이나 참선 정진할 때 이 죽비를 손바닥에 쳐서 소리를 내어 시작과 끝을 알리는데 쓰는 불교 용구.
*가늘게 쪼갠  갈대 같은   따위 엮어서 만든 가리개.
*방선(放禪) ; 좌선을 하거나 불경을 읽는 시간이 다 되어 공부하던 것을 쉬는 일. 몸을 쉬는 가운데서도 마음은 항상 본참화두를 들고 있어야 한다.
*입승(立繩) ; 선원(禪院)에서 선원의 규율과 질서를 다스리는 직책, 또는 그 일을 맡은 스님.
*나찰(羅刹) : 신속하게 땅이나 공중으로 다니면서 사람을 잡아 먹는다는 무서운 악귀(惡鬼). 나중에 불교의 수호신(守護神)이 되었다.
*소소영령(昭昭靈靈) ; 한없이 밝고 신령함. 소소(昭昭)도 영령(靈靈)도 함께 밝은 뜻. 밝은 모양. 진여(眞如)•법성(法性)•불심(佛心)을 의미하는 말.
*계첩( 삼가할 계,증명서 첩) ; () 받았다는 증명서.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불자(佛子) : 부처님의 자식이란 말이다。불법을 믿는 이면 모두 불자가 된다。그것은 부처님 법에서 새로운 생명을 얻었기 때문이며 부처님의 지혜 목숨(慧命)을 이어 가고, 법의 집과 법의 재산을 상속받게 되는 까닭이다.
또한 모든 중생을 다 불자라고 하는데, 그것은 어떤 중생이나 모두 부처의 성품(佛性)이 있어서, 그것이 부처의 씨가 되고 지혜는 어머니가 되며 부처님은 아버지가 되어, 필경에는 반드시 성불(成佛)하게 된다.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에는 불자에 다섯 가지 뜻이 있다고 하였다。1. 믿음이 종자가 되고,  2. 지혜는 어머니가 되고,  3. 선정은 태(胎)가 되고,  4. 자비심(慈悲心)은 유모가 되고,  5. 부처님은 아버지가 된다.
*연비(燃臂) ; 불교에서 수행자가 계(戒)를 받을 때, 팔뚝에 향이나 심지로 불을 놓아 뜨는 의식 또는 그 자국.
*국집(局執) ; 마음이 확 트이지 못하고 어느 한편에 국한(局限), 집착하는 것. 사리(事理)를 두루 살펴 종합적으로 판단하지 못하고 자기의 주관에 얽매이거나 자기의 소견만이 옳다고 고집하여 매우 답답한 모습을 말한다.
*도솔천내원궁(兜率天內院宮) ; 욕계 육천(欲界六天)의 넷째 하늘. 불교의 우주관에 따르면 우주의 중심은 수미산(須彌山)이며, 그 꼭대기에서 12만 유순(由旬) 위에 도솔천이 있는데 이곳은 내원(內院)과 외원(外院)으로 구별되어 있다.
내원은 내원궁(內院宮)으로 불리기도 하며 석가모니가 보살일 당시에 머무르면서 지상에 내려갈 때를 기다렸던 곳이며, 오늘날에는 미래불인 미륵보살(彌勒菩薩)이 설법하면서 지상으로 내려갈 시기(석가모니가 입멸한 지 56억 7천만 년 뒤에)를 기다리고 있는 곳이고,
외원은 수많은 천인(天人)들이 오욕(五欲)을 충족시키며 즐거움을 누리고 있는 곳이다. 도솔(兜率)의 뜻은 지족(知足).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性]을 꿰뚫어 보아[見] 깨달아 부처가 됨[成佛].
*(게송) ‘선악성공여반장~’ ; 卍新纂大日本續藏經 제37책 『사십이장경주(四十二章經註)』 (宋 守遂註 明 了童補註) '제4 善惡並明' 참고.
(본문) 善惡性空 猶如反掌 止惡行善 是順聖道 自性本無殺 持不殺戒 乃至自性本無貪瞋癡 持不貪等戒 八萬四千煩惱 變爲波羅蜜門 隨機差降 分上中下品 具載大經
*습기(習氣) ; 과거의 인식•행위•경험•학습 등이 아뢰야식(阿賴耶識)에 남긴 기운•잠재력. 종자(種子)와 같음.
*진여자성(眞如自性) ; ①차별을 떠난,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 ②궁극적인 진리. ③모든 분별과 대립이 소멸된 마음 상태. 깨달음의 지혜. 부처의 성품. ④중생이 본디 갖추고 있는 청정한 성품.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