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회(화두불명수계)2015. 5. 24. 12:44

§(336) 의심관(疑心觀) / 오계(五戒) / 소승계, 대승계, 최상승계 / (게송)유시독립묘고봉~ / ‘한 생각’ / 우리도 부처님 못지않게 자유자재(自由自在)하다.

이뭣고...?’ 할 때 알 수 없는 의심(疑心), 그 의심을 스스로 이렇게 관(觀)하는 것입니다. ‘이뭣고?’ 속으로 하면서도 그 알 수 없는 의심을 관하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그 의심관을 잘 터득을 못하지만, 일구월심 자꾸 이 호흡과 맞춰서 해 나가다 보면 그 알 수 없는 의심관, 그 묘한 그 의심관을 스스로 터득하게 돼. 그 의심관을 터득을 해야 참선의 맛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큰 의심을 가진 사람은 결국 크게 깨닫는 거고, 의심이 적은 사람은 깨달아도 적게 깨닫고, 의심이 없는 사람은 깨달음을 얻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오늘 설한 이 『다섯 가지 계는 모든 계의 근본』인 것입니다. 이 오계는 천번 만번 받아도 좋고, 이 계를 받아서 실천을 하면 다른 계는 저절로 다 지켜지게 되는 것입니다.
철저하게 대신심과 대분심과 대의심으로 활구참선을 해가면 그 가운데 계(戒)는 지킬려고 하는 마음을 일으키지 아니하되 저절로 지켜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계는 소승계와 대승계와 최상승계가 한목 지켜지는 것입니다. 한목 설해지고, 한목 받고, 한목 실천하게 되는 것입니다.
연비(燃臂)를 받은 뜻은 우리가 무의식중에 또는 알고 지은 수많은 죄 그것을 전부다 일시에 참회를 하고 연비를 해서 따끔한 그 찰나에 허공과 같이 깨끗해졌습니다.


우리가 ‘한 생각’ 자비심을 내면 관세음보살이 되는 것이고, 한 생각 탐심을 내면 축생이 되고, 한 생각 악한 마음을 내면은 독사가 되고 지옥에 떨어지는 것입니다. 우리도 부처님 못지않게 자유자재(自由自在)한 것입니다. 맘대로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한 생각’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서 우리는 우리의 1초 뒤의 내생사(來生事)가 결정이 되는 만큼 ‘한 생각’을 단속을 해서 더울수록에 더 간절하게 화두를 들고, 모든 일이 뜻대로 안될수록에 더욱 이 정진에 박차를 가하시고, 어려운 일을 당할수록에 더 ‘한 생각’을 간절히 단속을 해서 난국(難局)을 하나 헤치므로써 새로운 지혜가 증장이 되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336)—87년 8월 첫째일요법회(87.08.02) (용336)

 

(1)약 18분.

(2)약 8분.

 

(1)------------------

오늘 화두를 타신 분은 그전에는 이 법회가 끝난 다음에 별도로 그 화두와 불명과 오계를 설하는 법회를 가졌었는데 이번에는 바로 이 법회 시간에 화두를 바로 일러 드립니다.
아까 조실스님께서도 일러 주셨지만 다시 한번 화두를 일러 드립니다.

‘이뭣고?’ ‘이뭣고?’ 알 수 없는 의심 ‘이뭣고?’
화두를 한번 따라서 해 보십시오. ‘이뭣고?’ 해 보세요. (신도분들)‘이뭣고?’

실지로 여러분이 참선하실 때에는 그렇게 소리를 내서 하시는 것이 아니라, 속으로 하시는 것입니다.

숨을 깊이 들어마셨다가 잠깐 약 3초 동안 정지했다가, 숨을 내쉬면서 ‘이뭣고.... ?’
‘이뭣고?’를 길게, ‘이뭣고......?’ '고'를 길게 빼는 것입니다. 숨이 다할 때까지 ‘이뭣고?’
숨이 다 나갔으면 또 스르르르 숨을 들어마셔. 들어마셨다가 잠깐 머물렀다가 내쉬면서 ‘이뭣고?’

‘이뭣고...?’ 할 때 알 수 없는 의심(疑心), 그 의심을 스스로 이렇게 관(觀)하는 것입니다.
‘관(觀)한다’하는 것은—관도 역시 하나의 생각인데, ‘생각 없는 생각’을 관이라 그러는 것입니다.
‘이뭣고?’ 속으로 하면서도 그 알 수 없는 의심을 관하는 것입니다.

이 ‘관(觀)한다’고 하는 것. ‘생각 없는 생각으로 생각하는 것’을 관이라 그러는데, 이건 말로는 이렇게 하지만 실지로 자꾸 알 수 없는 의심으로 ‘이뭣고?’ 해보면 스스로 그 의심관(疑心觀)을 터득하게 되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그 의심관을 잘 터득을 못하지만, 일구월심(日久月深) 자꾸 이 호흡과 맞춰서 해 나가다 보면 그 알 수 없는 의심관, 그 묘한 그 의심관을 스스로 터득하게 돼.
그 의심관을 터득을 해야 참선의 맛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해 갈수록 알 수가 없어. 알 수 없는 그 의심 ‘이뭣고?’ 이렇게 해 나가야 망상을 끊으려고 안 해도 저절로 끊어지고, 망상을 일으키지 아니하려고 안 해도 저절로 거기서 의심이 끊어져.

속이 상하고 분심이 나고 할 때에도 숨을 들어마셨다 내쉬면서 ‘이뭣고?’
자꾸 몇 번 하면 치밀어 오른 놈이 스르르르 가라앉아 버리거든, 이거 해보신 분은 다 아는 것입니다.

큰 의심을 가진 사람은 결국 크게 깨닫는 거고, 의심이 적은 사람은 깨달아도 적게 깨닫고, 의심이 없는 사람은 깨달음을 얻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최상승법(最上乘法)을 믿고 참선을 해 나간 사람은 오계(五戒)를 지켜야 합니다.

첫째 불상생(不殺生). 산목숨을 죽이지 말아라. 산목숨을 죽이면 자비심(慈悲心)을 손상(損傷)해.

우리가 도(道)를 닦는 것은 스스로 생사해탈(生死解脫)을 하고 자비심을 일으켜 가지고 일체 중생을 제도하는데 궁극의 목적이 있는데, 어찌 도 닦는 사람이 산목숨을 죽일 수가 있으며, 사람뿐만이 아니라 일체 산목숨을 죽일 수가 없어.
산목숨을 죽이지 아니 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죽어가는 목숨을 살려줘야 한다.

둘째는 도둑질을 하지 말아라. 도둑질을 하면은 복덕종자(福德種子)를 손상을 해. 그래가지고 세세생생에 가난뱅이가 되는 거야.

우리가 불법을 믿고 도를 닦은 것은 스스로 깨달을 뿐만 아니라, 자비심으로써 일체 중생에 모든 것을 보시를 해야 하는데, 재물 보시도 하고—밥 없는 데 밥을 주고, 목마른 데 물을 주고, 병든 데 약을 주고,
어리석은 중생에게 법보시(法布施)를 해서 깨달음에 나아가게 하고 이것이 전부 다 복덕이거든.
그런 복덕심을 길러야 하거든, 어찌 다른 사람의 물건을 승낙 없이 내가 소유할 수가 있을까 보냐.

셋째에는 사음(邪淫)을 하지 말아라. 도를 깨닫는 데에는 마음이 청정(淸淨)해야 되는데,
내 마음을 청정하게 해서 깨달음에 나아가고, 일체 중생에게 마음을 청정하게 함으로써 생사해탈을 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는데 어찌 내 몸과 마음을 더럽히는 삿된 품행을 할까 보냐.

넷째에는 거짓말을 하지 말아라. 거짓말을 하면은 나의 진실종자(眞實種子)를 손상을 해. 내 마음의 진실성을 상실하게 된다 그말이여.

도를 얻으려면 그 마음이 진실해야 도를 얻고, 도를 얻은 다음에는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도를 깨닫게 하는데 목적이 있는데 스스로 마음의 진실성을 잃어 가지고 어떻게 중생의 마음을 진실되게 지도할 수가 있을 것이냐.
그래서 거짓말을 함으로써 진실 종자를 상실하게 되니 거짓말을 하지 말아라.

다섯째에 가서는 술을 마시지 말아라. 도를 닦는 것은 내 마음을 지혜(智慧)를 얻어야 하는데, 술을 마시면 지혜심을 상실하게 된다 그말이여.

지혜를 잃어버렸기 때문에 어리석고, 어리석기 때문에 우리는 중생 윤회를 하고 있는데,
금생에 밤낮 술만 마시면 결국은 머리가 지혜를 잃어버리고 결국은 알콜 중독에 걸리게 되면 머리가 돌대가리가 되고, 손발을 떨면서 결국은 폐인이 되는 것이고 패가망신(敗家亡身)을 하는데,
어찌 도를 얻고자 하는 사람이 지혜를 상실할 수가 있겠는가. 그래서 술을 마시지 말아라.

금생에 이 다섯 가지 계를 잘 지키면은 도업(道業)을 성취하는데 가장 효과적이고 빨리 얻을 수가 있고, 금생에 이 오계를 지키지 못한 사람은 금생에 도를 얻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부 호궤합장(互跪合掌)을 하십시오. 꿇고 앉아서 무릎을 세우고 합장을 하십시오.

이상 오계에 대해서 여러분이 이해하기 쉽게 5계를 설명을 했습니다.
이 가운데에는 이미 오계, 십계(十戒)와 비구계, 비구니계 또는 보살 십중대계(十重大戒)와 사십팔경계(四十八輕戒), 그런 계를 다 받으신 분이 많이 계실 줄 압니다마는,

오늘 설한 이 『다섯 가지 계는 모든 계의 근본』인 것입니다.
이 근본 된 이 오계는 천번 만번 받아도 좋고, 이 계를 받아서 실천을 하면 다른 계는 저절로 다 지켜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오늘은 이 오계에는—보통 ‘재가 오계(在家五戒)다’ 이렇게 말합니다마는 소승계(小乘戒), 대승계(大乘戒) 또는 최상승계(最上乘戒) 이러한 3가지 의미에 있어서 이 다섯 가지 계를 설하고자 합니다.

어떻게 하면 이 계가 몸으로만 지키는 소승계가 아니고, 마음으로 지키는 대승계, 몸과 마음을 한목 다 지키되, 지키는 계상(戒相)에 떨어지지 않는 그러한 최상승계를 지킬 수가 있겠는가?

철저하게—산승이 법상에 올라와서 여태까지 설한—대신심과 대분심과 대의심으로 활구참선을 해가면 그 가운데 계는 지킬려고 하는 마음을 일으키지 아니하되 저절로 지켜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계는 소승계와 대승계와 최상승계가 한목 지켜지는 것입니다. 한목 설해지고, 한목 받고, 한목 실천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상 설한 다섯 가지 계는 불자(佛子)로써 최상승법을 실천하는 최상승 학자로써 마땅히 잘 지켜야 할 바니 능히 잘 지키겠는가? “능지(能持)”
이상 설한 다섯 가지 계는 부처님의 청정한 계니 불자로써 마땅히 지켜야 할 것이니 능히 잘 지키겠는가? “능지”
이상 설한 다섯 가지 계는 불자로써 마땅히 지켜야 할 청정한 계니 능히 잘 지키겠는가? “능지”

여러분은 오계를 받고 이것을 잘 키겠다고 부처님 앞에서 맹세를 하셨습니다. 그리고 화두를 탔습니다.
오늘 불명을 받드신 분은 이 법회가 끝난 다음에 차례차례 받아 가시도록 하고.

계 오늘 받으실 분이 별도로 안 앉았나요? 가운데.
그러면 연비(燃臂)를 하십시오.

참회진언(懺悔眞言)  ‘옴 살바 못자모지 사다야 사바하’

죄무자성종심기(罪無自性從心起) 심약멸시죄역망(心若滅時罪亦亡)
죄멸심망양구공(罪滅心亡兩俱空) 시즉명위진참회(是卽名爲眞懺悔)

계를 받고, 부처님께 맹세를 하고, 그리고 연비를 받았습니다.
연비를 받은 뜻은 우리가 무의식중에 또는 알고 지은 수많은 죄 그것을 전부다 일시에 참회를 하고 연비를 해서 따끔한 그 찰나에 허공과 같이 깨끗해졌습니다.

청정한 마음과 청정한 몸으로써 이제 오늘 이 찰나에 부처님 아들로, 부처님 딸로 새로 태어났습니다. 새로 태어난 그 몸과 마음으로 열심히 정진을 해서 금생에 결정코 견성성불(見性成佛) 하시기를 바랍니다.

이번 수재(水災)로 인해서 우리의 형제자매, 많은 동포들이 집을 잃고, 재산을 잃고, 생명을 잃고, 참담한 속에서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에는 벌써 수재 의연금(義捐金)을 모다 내신 분이 많이 계실 줄 생각합니다마는 아직도 형편상 안 내신 분이 계시면 동사무소나 방송국이나 신문사나 어디라도 좋으니 분(分) 따라서 한 사람도 빠짐없이 모두가 다 의연금을 내주시기를 바랍니다.

이것이 모두 자기 자신을 위해서 내는 것입니다. 모두가 다 내 몸뚱이요. 모두가 다 내 형제요. 우리 모두 다 한 가족인 것입니다.
다른 나라에 수재가 일어나도 보내주거든 하물며 내 동포 내 겨레를 위해서 이런 일에 빠져서는 아니되리라고 생각을 합니다.(52분26초~70분)

 

 

 



(2)------------------

유시독립묘고봉(有時獨立妙高峯)하고  각래단좌염라전(却來端坐閻羅殿)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견진인간지점두(見盡人間祇點頭)하면  대비수안다방편(大悲手眼多方便)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유시독립묘고봉(有時獨立妙高峯)타가, 어느 때는 저 묘고봉(妙高峯), 수미산(須彌山) 꼭대기에 우뚝 서 있다가,
각래단좌염라전(却來端坐閻羅殿)이로구나. 문득 염라궁에 와 가지고 단정히 앉았구나.

부처님께서는 유시(有時)에는 저 수미산 꼭대기에 우뚝 서 계시고, 유시에는 도솔천 내원궁에 계시다가, 유시에는 사바세계에 오신다.

또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과 같은 그런 보살님네는 중생을 위해서—지장보살(地藏菩薩)은 지금 지옥에 가서 계시기도 하고, 미륵보살(彌勒菩薩)은 염라대왕이 되어 계시기도 하고,
그렇게 천당, 지옥에 임의자재로 자유자재, 소요자재(逍遙自在) 하시는 것입니다.

견진인간지점두(見盡人間祇點頭)하면, 인간을 다 보아 다하면 오직 점두(點頭)할 뿐이여.
비단 석가모니 부처님이나 미륵 부처님이나 관세음보살이나 지장보살뿐이겠습니까. 이 법당 안에 계신 사부대중(四部大衆)도 마찬가지입니다.

찰나(剎那)간에 천당에 가고, 찰나간에 지옥에 가고, 찰나간에 축생이 되고 한 것이 다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도 부처님과 조금도 손색이 없이 육도(六途)를 자유자재로 왕래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견진인간지점두(見盡人間祇點頭)하면, 인간을 바로 보아 다 해 가면은 다못 고개를 끄떡 끄떡 할 뿐이여.
대비수안다방편(大悲手眼多方便)이다. 대자대비한 천수천안(千手千眼)을 가진 관세음보살은 방편(方便)이 많아. 중생의 근기(根機)가 많은 만큼 팔만사천 가지의 중생에 팔만사천 가지의 방편을 자유자재로 쓰시더라.

여러분이 오늘날까지 무량겁을 살아오시면서 육도를 그렇게 돌고 돌다가 오늘 이 법당에까지 오셨습니다.
법당에서 최상승 법문을 듣고, 계를 받고, 화두를 타고 불명을 탔습니다마는,

여러분이 또 관세음보살과 같은 그런 자비심을 내면, 여러분이 그 피땀 흘려서 번 그 아끼고 아낀 그런 금쪽같은 돈과 재산을 또 수재민을 위해서 얼마든지 또 보시를 할 수가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관세음보살이 우리의 고(苦) 받는 고해(苦海) 중생을 위해서 손을 건져 주신 뜻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우리가 ‘한 생각’ 자비심을 내면 관세음보살이 되는 것이고, 한 생각 탐심을 내면 축생이 되고, 한 생각 악한 마음을 내면은 독사가 되고 지옥에 떨어지는 것입니다.

우리도 부처님 못지않게 자유자재(自由自在)한 것입니다. 맘대로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오늘 이 삼복(三伏) 성염(盛炎)에 이렇게 법회에 참석을 해주시고 또 장시간 이 산승(山僧)의 말에 귀를 기울여 주셨습니다.

우리가 전생에 같이 도 닦던 인연으로 또 이렇게 만났기 때문에 산승은 또 이렇게 여러분을 위해서 간절한 말씀을 해 드리게 되는 것이고 여러분은 그 말을 뼛속 깊게 새겨들으시고 그것을 실천해 나가시면,
다음 생(生)에는 여러분이 또 스님이 되고, 내가 또 제자가 되어서 또 그 법문을 듣게 되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앞서 가며 끌어 잡아당기고, 뒤에서 밀면서 목적지를 향해서 간다면 한 사람도 낙오자가 없이 대도(大道) 성취할 것을 나는 의심치 않습니다.

다시 한 번 간곡히 말씀을 드립니다.

‘한 생각’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서 우리는 우리의 1초 뒤의 내생사(來生事)가 결정이 되는 만큼 ‘한 생각’을 단속을 해서 더울수록에 더 간절하게 화두를 들고,
모든 일이 뜻대로 안될수록에 더욱 이 정진에 박차를 가하시고, 어려운 일을 당할수록에 더 ‘한 생각’을 간절히 단속을 해서 난국(難局)을 하나 헤치므로써 새로운 지혜가 증장이 되는 것입니다.

못 다한 말을 주장자에 위탁을 하고 법상에서 내리고자 합니다.(70분1초~77분36초)(끝)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의심관(疑心觀) ; 화두를 거각하여 알 수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그 알 수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를 하는 것.
*일구월심(日久月深) ; 날이 오래고 달이 깊어 간다는 뜻으로, 날이 갈수록 바라는 마음이 더욱 간절해짐을 이르는 말.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종자(種子) ; ①씨앗. ②무엇인가를 낳을 가능성. ③아뢰야식에 저장되어 있으면서 인식 작용을 일으키는 원동력. 습기(習氣)와 같음. ④밀교에서, 상징적 의미를 가지는 하나하나의 범자(梵字).
*법보시(法布施) ; 남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이나 불서(佛書)를 베풂.
*청정(清淨 맑을 청/깨끗할 정) ; 허물이나 번뇌가 없이 깨끗함.
*도업(道業) ; 도(道)는 깨달음. 업(業)은 영위(營爲-일을 계획하여 꾸려 나감). 불도(佛道)의 수행. 진리의 실천.
*호궤합장(互跪合掌) ; 두 무릎을 꿇고 앉되, 무릎 위 허벅지와 상체가 수직이 되게 곧게 일으켜 세우고, 발가락은 세운 채 손은 합장을 취한 자세.
*십계(十戒) ; 십선계(十善戒). 몸(身)과 입(口)과 마음(意)으로 짓는 10가지 죄-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邪婬), 망어(妄語), 기어(綺語), 악구(惡口), 양설(兩舌), 탐욕(貪慾), 진에(瞋恚), 사견(邪見)-를 짓지 않겠다고 결심함.
*십중대계(十重大戒) ; 대승 불교에서, 보살이 범해서는 안 되는 가장 중요한 열 가지 계율.
①살생, ②도둑질, ③간음, ④거짓말, ⑤술의 구입 및 판매, ⑥보살 및 비구나 비구니의 죄과를 들추어 말함, ⑦자기를 높이고 타인을 비방함, ⑧베푸는 데 인색함, ⑨화내어 타인의 사죄를 받아들이지 않음, @불법승(佛法僧)의 삼보(三寶)를 비방함 등을 금하고 있다.
*사십팔경계(四十八輕戒) ; [불교] 범망경(梵網經)에 있는 대승계(大乘戒) 가운데 열 가지의 무거운 계에 대하여 비교적 가벼운 죄를 경계한 48가지의 계.
*소승계(小乘戒) ; 소승의 율장(律藏)에서 설하는 계율로, 「사분율」에 의하면 비구 250계, 비구니348계를 말함. 율의계(律儀戒)라고도 말한다.
*대승계(大乘戒) ; 대승의 보살이 받아 지켜야 할 계율. 보살계라고도 한다.
「범망경」에서 설하는 십중금계(十重禁戒)·사십팔경계(四十八輕戒)와 「선계경(善戒經)」에서 설하는 삼취정계(三聚淨戒)등을 말함.  이 삼취정계 안에는 율의계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대승계 속에는 소승계가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삼취정계란 ①부처님이 정한 규율을 지킴으로써 악행을 막는 섭률의계(攝律儀戒), ②한걸음 더 나아가 선행을 하는 섭선법계(攝善法戒), ③중생을 교화하고 그 이익을 위해 힘을 다하는 섭중생계(攝衆生戒)를 말한다.

*계상(戒相) ; ①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4가지 분류[계사별 戒四別],  계법(戒法) · 계체(戒體) · 계행(戒行) · 계상(戒相) 하나. 계율을 실천하고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차별 있는 행동 양상. () 지키거나[持戒] 범한[破戒] 상태, 또는 계를 범한 경우 그에 대한 죄의 가벼움과 무거움 등의 차별된 상.

②계() (). 계율에 대한 생각.  계상(戒相) 청정성, 집착의 여부는 그것을 일으키는 주체에 따라 달라진다. [참고] 『화엄경』 60권본 10 14 명법품(明法品)(대정장9. p.460c)  계를 지킨다는 () 일으키지 않으므로 계에 집착함이 없다. 이것을 청정시바라밀이라 한다. 不生持戒相故  於戒無著  是名淸淨尸波羅蜜

*불자(佛子) : 부처님의 자식이란 말이다。불법을 믿는 이면 모두 불자가 된다。그것은 부처님 법에서 새로운 생명을 얻었기 때문이며 부처님의 지혜목숨(慧命)을 이어가고, 법의 집과 법의 재산을 상속받게 되는 까닭이다.
또한 모든 중생을 다 불자라고 하는데, 그것은 어떤 중생이나 모두 부처의 성품(佛性)이 있어서, 그것이 부처의 씨가 되고, 지혜는 어머니가 되며 부처님은 아버지가 되어, 필경에는 반드시 성불(成佛)하게 된다.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에는 불자에 다섯 가지 뜻이 있다고 하였다. ①믿음이 종자가 되고 ②지혜는 어머니가 되고 ③선정은 태(胎)가 되고 ④자비심(慈悲心)은 유모가 되고 ⑤부처님은 아버지가 된다.
*연비(燃臂) ; 불교에서 수행자가 계(戒)를 받을 때, 팔뚝에 향이나 심지로 불을 놓아 뜨는 의식 또는 그 자국.
*참회진언(懺悔眞言) ; 죄업(罪業)을 참회하는 진언. '옴 살바 못자모지 사다야 사바하'.
*죄무자성종심기(罪無自性從心起) 심약멸시죄역망(心若滅時罪亦亡) 죄라는 것은 본래 실체가 없는데[無自性] 마음으로 좇아서 일어나는 것이므로, 마음이 소멸되면 죄 또한 없어진다.
죄멸심망양구공(罪滅心亡兩俱空) 시즉명위진참회(是卽名爲眞懺悔) 마음도 없어지고 죄도 없어져서 그 두가지가 함께 공(空)해져서 없어져버릴 때, 이것이야말로 진짜 참회이다.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性]을 꿰뚫어 보아[見] 깨달아 부처가 됨[成佛].
*의연금(義捐金 옳을 의/줄 연/금전 금) ; 자선이나 공익을 위하여 내는 돈.

 

 

 


------------------(2)

*(게송) ‘유시독립묘고봉~’ ;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야부도천 게송 참고.
*수미산(須彌山) ; 수미(須彌)는 ‘sumeru’의 음역. 묘고산(妙高山)이라 한역함. 불교의 우주관에 의하면 세계의 중심에 높이 솟은 거대한 산.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대자대비(大慈大悲)의 마음으로 중생을 구제하고 제도하는 보살.
관세음(觀世音)은 산스크리트어 avalokiteśvara의 번역, 보살(菩薩)은 산스크리트어 bodhi-sattva의 음사인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
세간(世間)의 중생이 갖가지 괴로움을 받을 때, 그의 이름을 부르면 그 음성(音聲)을 듣고(觀) 대자비와 지혜로써 자유 자재로 중생을 괴로움에서 벗어나게 해 주는 보살.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 보처(補處).
또 자재롭게 보는 이(觀自在者), 자재로운 관찰 등의 뜻으로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이라 한다. 또 광세음(光世音)·관세음(觀世音)·관세자재(觀世自在)·

관세음자재(觀世音自在) 등으로 쓰며 줄여서 관음(觀音)이라 한다. 관세음보살의 주처는 보타낙가산(補陀洛迦山)이다.
한국에서는 동해에 있는 강원도 양양 낙산사(洛山寺)가 관음 도량으로 유명하다.
*지장보살(地藏菩薩) ; 석가모니불의 입멸 후 미륵보살이 성불할 때까지, 곧 부처가 없는 시대에 중생을 제도한다는 보살로, 그는 모든 중생이 구원을 받을 때까지 자신은 부처가 되지 않겠다는 큰 서원을 세운 보살이기 때문에 대원본존지장보살(大願本尊地藏菩薩)이라고 한다.
특히 지옥의 중생을 제도하는 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사찰의 명부전(冥府殿)에 본존(本尊)으로 모신다.
보통 삭발한 스님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한 손에는 지옥의 문이 열리도록 하는 힘을 지닌 석장(錫杖)을, 다른 한 손에는 어둠을 밝히는 여의보주(如意寶珠)를 들고 있다.
지장보살은 고통받는 이들의 요구에 따라 자신의 모습을 바꾸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윤회의 여섯 세계, 즉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에 상응하는 6가지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미륵보살(彌勒菩薩) : [범] Maitreya 대승보살, 또는 매달려야(梅呾麗耶), 매달례야(昧怛隷野)。번역하여 자씨(慈氏)。 이름은 아일다(阿逸多) 무승(無勝) 막승(莫勝)이라 번역.
인도 바라나국의 바라문 집에 태어나 석가모니의 교화를 받고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도솔천에 올라가 있으면서 지금 그 하늘에서 천인(天人)들을 교화하고,

석가모니 입멸후 56억 7천만 년을 지나 다시 이 사바세계에 출현—하생(下生)하여, 화림원(華林園) 안의 용화수(龍華樹) 아래에서 성불(成佛)하고 3회의 설법으로써 석가모니의 교화에서 빠진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고 한다. 이 법회를 용화삼회(龍華三會)라 한다.
도솔천에서의 생을 마치면 인간으로 태어나 성불하여 석가모니불의 자리[處]를 보충(補充)한다는 뜻으로 보처(補處)의 미륵이라 하며, 현겁(賢劫) 천 불의 제5불(佛).
*소요자재(逍遙自在) ; 아무 것에도 구애(拘礙 마음에 거리끼거나 얽매임)됨이 없는 것.
*점두(點頭)하다 ; (사람이)승낙하거나 찬성하거나 옳다는 뜻으로 머리를 약간 끄덕이다.
*사부대중(四部大衆) ; 불문(佛門)에 있는 네 가지 제자. 곧 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 우바새(優婆塞), 우바이(優婆夷)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참고] 우바새—upasaka의 음역. 속세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남자.(같은 말=靑信士,靑信男,信男,信士,居士,近事男,近善男,

善宿男) 원래의 말뜻은 모시는 사람. 받들어 모시는 사람. 출가수행자를 모시고, 신세를 지므로 이렇게 말한다.
우바이—upasika의 음역. 속세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여자. (같은 말=靑信女,近事女,近善女,近宿女)
*찰나(剎那 절•짧은시간 찰/어찌 나) ; 지극히 짧은 시간. 75분의 1초에 해당한다.
*방편(方便 방법·수단 방,편할 편) ; ①중생을 깨달음으로 이끌어가기 위해 일시적인 수단으로 설한 가르침.중생 구제를 위해 그 소질에 따라 임시로 행하는 편의적인 수단과 방법. 상황에 따른 일시적인 수단과 방법.
②교묘한 수단과 방법.
*근기(根機 뿌리 근,베틀 기) ;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들일 수 있는 중생의 소질이나 근성.
*고해(苦海) ; 중생이 태어나서 죽어 윤회하는 영역으로서의 세개의 세계, 삼계(三界—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에서 생사의 괴로움이 무한하므로 바다에 비유함.
*자유자재(自由自在)하다 ; (사람이)아무 거리낌이 없이 자기 마음대로이다.
*삼복(三伏) ; ①일 년 중에서 여름철의 가장 더운 기간. ②초복(初伏), 중복(中伏), 말복(末伏)을 아울러 이르는 말.
*성염(盛炎 성할 성/불꽃·더울 염) ; 매우 심한 더위. 또는 최고조에 달한 더위.
*산승(山僧) ; 스님이 자신을 겸손하게 일컫는 말.
*내생사(來生事) ; 죽은 후에 다시 맞이하는, 다음 생(來生)의 일.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