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법문은 위 유튜브 법문에서 12분 57초부터 들으시면 됩니다>
§(653) 참선하는 법 - 자세, 호흡, 화두의심, 삼요(三要)
**송담스님(No.653) - (신사년) 하안거결제법회(2001.5.8)(33분)법문에서. (용653)
약 16분.
화두는 간단한 한마디에 지나지 않지마는, 아무 재미도 없고 그러한 한마디지만, 이 한마디 화두가 나의 생사(生死)의 명근(命根)을 끊는, 확철대오해서 자기의 자성불(自性佛)을 깨닫는, 본마음 고향으로 돌아가는 가장 없어서는 안 될 나침반과 같은 것입니다. 그래서 이 화두는 간단한 한마디지만 그 화두를 바로 거각하기 위해서는 기본 준비가 필요합니다.
<참선하는데 세 가지 갖출 요건(三要)>
첫째는 신심(信心)이여.
이 한마디 화두를 가지고—이 화두에 근본은 의심(疑心)이니까, 이 의심을 타파(打破)함으로 해서 ‘참나’를 깨달을 수가 있고 견성성불(見性成佛) 할 수가 있다고 하는 철저한 신심이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 신심이 철저하지 못하고서는 참선은 바로 가지 못하는 것이고, 이 신심이 철저하지 못하면 공부는 하다가 별 재미가 없으면은 중단할 수 밖에는 없는 것이니, 신심이 철저해야 하거든. 대신심(大信心)이 있어야 한다.
둘째는 대분심(大憤心)이 있어야 한다.
부처님과 역대조사(歷代祖師)와 모든 과거의 선지식(善知識)들은 일찍이 일대사(一大事) 문제를 해결을 해서 다 중생교화를 하고 계시는데, 나는 왜 여태까지 이 일대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육도윤회(六途輪廻)를 하고 있는가. 나도 결정코 이 일대사 문제를 해결해야겠다고 하는 대분심이 있어야 한다.
신심을 가지고서도 분심이 약하면 공부가 중단될 수 밖에 없고 자꾸 중간중간 끊어졌다 이어졌다 하는 것이어서 대분심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나서 화두에 대한 의심이, 대의단(大疑團)이 독로(獨露)해야 한다 이것입니다. 이것을 고봉선사께서는 ‘참선하는 데 세 가지 요긴(要緊)한 것이다’ 이렇게 말씀을 하셨습니다.
<자세 — 가부좌, 반가부좌>
그러한 것을 전제로 하고서, 초학자(初學者)는 몸을 바르게 갖는 법을 알아야 한다. 가부좌(跏趺坐)나 반가부좌(半跏趺坐) 이것이 부처님께서도 설법을 하실 때나 또는 공양을 잡술 때나 항상 이 가부좌를 하시고 계셨고, 탁발(托鉢) 걸식(乞食)을 하실 때를 제외하고는 항상 가부좌를 하셨는데, 삼세(三世)의 모든 부처님도 이 가부좌가 가장 기본자세이고 안락지묘문(安樂之妙門)이기 때문에 가부좌를 항상 하시게 된 것입니다.
가부좌를 하면은 저절로 허리가 주욱 펴지고, 번뇌와 망상과 혼침이 침노하지 못하도록 하는 그런 좋은 자세이기 때문에, 참선을 하는데는 가부좌나 또는 반가부좌를 하는 것이 가장 요긴한 것입니다.
<호흡 — 단전호흡>
그 다음에는 호흡(呼吸)을 고르는 일인데, 호흡은 우리가 무심코 있어도 저절로 숨이 들어갔다 나갔다 해서 살아있는 증거가 바로 호흡을 하고 있냐, 안 하고 있느냐 그것으로써 죽고 사는 것을 알 정도로 호흡이란 것은 대단히 중요한데,
참선하는데 가장 마음을 안정을 시키고, 마음을 깨끗이 하고, 또 몸도 편안하게 하고, 몸 안에 있는 모든 노폐물을 밖으로 다 내보내고, 따라서 혈액도 맑아지고, 몸도 가벼워지고, 마음도 안정이 되게 하는 데에는 이 단전호흡이라고 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단전호흡(丹田呼吸)만을 전문으로 가르키는 그런 수련원도 있고 학원도 있다고 들었습니다마는, 이 활구참선 하는 사람은 그런 데에서 가르키는 단전호흡과는 조금 다른점이 있습니다.
우리가 하는 단전호흡은, 호흡을 들어마시되 조용하게 들어마셔서 아랫배가 약간 볼록하게 되는 것을 느끼면서 호흡을 들어마시고, 들어마셨으면 그것을 조용허니 내쉬되, 내쉼에 따라서 볼록해졌던 아랫배가 차츰차츰 홀쪽해지는 것을 느끼면서 숨을 내쉬는 것입니다.
그러나 숨을 들어마실 때나•잠깐 머물렀다가•숨을 내쉴 때나—배만 약간 볼록해졌다가 잠깐 머물렀다 또 조용하게 아랫배가 홀쪽해진 것을 느끼되, 순전히 그것만을 하고 있으라는 것이 아니고, 들어마셨다 내쉴 때 ‘알 수 없는 화두를 드는’ 것입니다.
화두를 들지 아니하고 단전호흡만 하면은, 이것은 도교(道敎)나 신선도(神仙道)나 외도(外道)들이 그 단전호흡을 함으로 해서, 이 몸을 건강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장생불사(長生不死)하는 수단으로 단전호흡을 하는데,
우리 활구참선에 있어서 단전호흡은 이 몸을 가지고 백 년, 이백 년 오래 살기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몸을 단정히 하고 호흡을 잘 고르므로 해서 상기병(上氣病)과 같은 그런 병을 예방하고, 또 마음이 안정이 되어서 맑아야 화두를 들고 정진하는데 대단히 효과가 있기 때문에 단전호흡을 이렇게 권장하는 것 뿐입니다. 그래서 외도들이 하는 단전호흡과는 차등이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근본, 주(主)가 화두를 들어서 의단이 독로해서 그 의단을 타파하는 데에 있지, 장생불사 하는 데에 목적이 있지 않기 때문에 차이가 있을 수 밖에는 없는 것입니다.
몸을 단정히 하고 그리고 단전호흡을 해서 호흡을 고르게 하며, 거기에 동시에 화두를 들고 의단이 독로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 화두를 들고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도록 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 것이나, 이 화두를 잘못 들면 자칫 잘못하면 골이 아프기도 하고 그래 가지고 상기병이 생겨서 공부를 지속적으로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잘하지 못하는 사람도 간간이 있습니다.
그것은 이런 기본이 잘못되어 갖고 있고 마음만 급해 가지고 억지로 용을 쓰면서 잘못 공부를 하기 때문에 그런 것이지, ‘참선을 함으로 해서 병이 생겼다’하고 참선을 비방을 하고 그래서는 아니되는 것입니다.
<화두드는 법 - 화두의심>
화두를 드는 데 있어서는,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따져 들어가는 것도 아니고 따라서 말길이 있는 것도 아니고 또 더듬어 들어가서 알아 들어가는 그런 공부가 아닙니다. 화두를 참구(參究)한다 하니까, 참구라고 하는 게 무슨 이론을 동양철학이나 서양철학처럼 이론적으로 뭣을 따져서 파고 들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무이로(無理路)요 무어로(無語路)요 무모색(無摸索)이여. 이치길도 없고 말길도 없고 더듬어 들어갈 것이 없는 것이여. 다맛 알 수 없는 의심(疑心) 의단(疑團).
‘이뭣고~?’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이냐, 이뭣고?’
앉아서도 ‘이뭣고?’ 서서도 ‘이뭣고?’ 걸어가면서도 ‘이뭣고?’ 일을 하고, 밥 먹고, 옷 입고, 똥누면서도 ‘이뭣고?’ 뭔 말을 들어서 기분이 나쁠 때도 ‘이뭣고?’ 속이 상할 때도 ‘이뭣고?’요.
일체처 일체시에 알 수 없는 의단, 의심을 자꾸 거각하는 것인데,
‘이뭣고~?’하면서도 생각은, 그런 가운데 벌써 딴 생각[別念]이 일어나는 경우도 얼마던지 있습니다. 일어나는 딴 생각, 번뇌망상을 없앨라고 하지 말고 또 번뇌망상 일어났다고 성화를 하지도 말고, 무슨 딴 생각이 일어나드라도 그 생각 그냥 고대로 놔둔 채, 나는 퍼뜩 ‘이뭣고?’ 이렇게 챙겨 나가는 것입니다.
아까 조실스님 법문 가운데에도 그런 말씀이 계셨습니다마는, 일반적으로 참선을 할라면 망상이 일어나는 것 그리고 조금 마음이 고요해지면은 혼침이 오는 거, 혼침(昏沈)과 산란(散亂) 이 두 가지로 인해서 참선을 해나가는데 막대한 지장이 있다고 느끼고, 그것 때문에 공부가 순일(純一)허게 되지 않는다고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처음부터서 번뇌도 일어나지도 아니하고 또 혼침도 안 온다면은, 참선하기가 퍽 수월하고 공부가 일취월장해서, 금방 의단이 타파해 가지고 확철대오 할 거 같은데, 혼침 아니면 망상, 망상 아니면 혼침 이 두 놈이 번갈라가면서 들락거리니 그러니 공부가 한결같이 안된다. 이렇게 대부분의 참선을 허는 도반들은 그것을 성화를 하고 있으리라고 생각이 되나,
오조(五祖) 홍인대사(弘忍大師)의 최상승 법문에 보면은,
‘혼침이 들락거리고 망상이 들락거리는 것은, 간절한 마음이 속에서부터서 솟구쳐 오르지를 않기 때문에 그렇다’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간절한 신심(信心)이 돈발(頓發)하지 않기 때문에 망상이 일어나고 혼침이 나온 것이지, 정말 속에서부터서 간절한 마음이 나온다면 어디에 그런 것이 붙을 수가 있겠느냐' 이렇게 말씀을 하셨습니다. 이 말은 우리도 틀림없는 말씀이라고 인정을 할 수밖에 없을 거 같습니다.
화두는 알 수 없는 의심, 그 알 수 없는 의단—잊어버리면 또 챙기고, 놓쳐버리면 또 챙기고, 딴 생각이 일어나면 또 챙기고, 거각하고 또 거각해서, 결국은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일체처 일체시에 자꾸 챙기다보면, 어느날인가는 화두를 챙기지 안 해도 저절로 의단이 독로할 때가 오게 되어 있습니다.
설사 의단이 독로해서, 간단(間斷)이 없고 또 순수무잡(純粹無雜)해서, 그 맑고 깨끗하고 고요한 경계를 뭐라고 표현할 수 없는 그러한 경계가 온다 하더라도, ‘야! 인자 내가 공부가 제대로 되아가는구나’ 좋아하는 환희심(歡喜心)도 내지 말라 이것입니다. 환희심을 내면 환희의 마군(魔軍)이가 벌써 그 마음에 들어온 증거인 것입니다.
그렇게 잘되어 가다 뚝 변해가지고, 영 혼침이 오고 망상•번뇌가 일어난다 하드라도 그래도 번뇌심을 내지 말라 이것입니다. 번뇌심을 내면 번뇌의 마군(魔軍)이가 들어온 것이다.
그러니 잘되어 간다고 좋아하는 마음 내지 말 것이며, 혼침•산란이 일어난다고 해서 번뇌심도 내지 않고서, 한결같이 화두를 들고 또 들고 해서, 이렇게 간절한 '간절 절(切)'자, 한 글자를 놓치지 말도록 고인네들은 그렇게 간절(懇切)히 당부를 하셨습니다(10분 31초~26분 50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한마디 ; 짧거나 간단한 말.
*명근(命根) ; 목숨과 생명의 근본.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을 깨달음.
*거각(擧却 들 거/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의심(疑心) : 알 수 없는 생각에 콱 막히는 것.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또는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또는 ‘조주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바른 깨달음은 알 수 없는 의단, 알 수 없는 의심에 꽉 막힌 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性]을 꿰뚫어 보아[見] 깨달아 부처가 됨[成佛].
*역대조사(歷代祖師) ; 석가세존(釋迦世尊)으로부터 불법(佛法)을 받아 계승해 온 대대의 조사(祖師).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벗.
*일대사(一大事) ; ①부처님이 중생구제를 위해 세상에 나타난다고 하는 큰 일. 부처님이 세상에 나타나는 목적 ②가장 중요한 일이란 뜻. 수행의 목적. 깨달음을 얻는 것. 인간으로서의 완성.
*육도윤회(六途輪廻) ; 선악(善惡)의 응보(應報)로 육도(六途—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의 고락(苦樂)을 받으면서 죽음과 삶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것.
*가부좌(跏趺坐 책상다리할 가/책상다리할 부/앉을 좌) ; 좌선할 때 앉는 방법의 하나.
가(跏)는 발바닥을, 부(趺)는 발등을 가리키는 말인데, 오른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뒤,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드러나게 앉는 항마좌(降魔坐)와,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뒤, 오른발을 왼편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위를 향하게 하여 앉는 길상좌(吉祥坐)가 있다.
*반가부좌(半跏趺坐) ; 부처님의 좌법(坐法)으로 좌선할 때 앉는 방법의 하나. 한쪽 다리를 구부려 다른 쪽 다리의 허벅다리 위에 올려놓고 앉는 자세이다.
*탁발(托鉢 밀 탁/바리때 발) ; 스님이 경문을 외면서 집집마다 다니며 보시를 받음.
*걸식(乞食 빌·구할·청할 걸/밥·음식 식) ; ①빌어서 얻어먹음. ②수행자가 수행을 위해 육신을 지탱하고자 일정한 법도에 따라 남에게 음식을 받는 것.
*단전 호흡(丹田呼吸) ; 참선 수행에 있어서 호흡법은 우리의 몸을 건강하게 하고, 마음도 안정을 시키고 통일되게 하여 우리가 참선을 해 나가는 데에 중요한 준비, 기초 훈련입니다.
단전 호흡을 하게 되면은 혈액순환이 잘되고, 혈액순환이 잘됨으로 해서 몸안에 모든 노폐물이 깨끗하게 밖으로 배설이 되서 몸이 가벼워지고, 건강해지고 따라서 정신이 맑아지고, 정신이 안정이 된다.
주의할 점은 자신의 호흡의 길이에 알맞게 시작하고 자연스럽게 해야지, 절대로 억지로 호흡 시간을 길게 잡아 무리해서는 안된다.
〇 단전호흡 요령.
의식적으로 숨을 저 배꼽 밑에 아랫배 하복부[丹田]까지 숨을 들어마셨다가 잠깐 머물렀다가 조용하니 길게 숨을 내쉬는 호흡.
들어마시는 시간 한 3초, 들어마셨다가 잠깐 머무르는 시간이 한 3초, 내쉬는 시간은 4~5초, 이렇게 해서 내쉬는 시간을 좀 길게 잡아서 내쉰다.
들어마시되, 아랫배가 터지도록 잔뜩 들어마시지 말고 한 80%정도만 들어마시고, 80% 들어마신 상태에서 3초 동안 잠깐 머물렀다가 조용히 내쉬는데, 들어마실 때에는 차츰차츰 아랫배가 볼록해지게 만들고, 내쉴 때는 차츰차츰 배를 홀쭉하게 만든다.
그래서 들어마셨다 잠깐 머물렀다 또 내쉬되, 배가 그것에 따라서 볼록해졌다 또 홀쪽해졌다, 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도록 의식적으로 호흡을 하는 것이다.
[참고] *송담스님(No.118)—80년 동안거해제 법문에서.
〇숨을 들어마실 때 ‘코로 들어마신다’고 생각을 하지 말고—저 뒤에서 쭉 들어마셔 가지고, 이 궁둥이로 해서 아랫배로 요렇게 들어온다고 이렇게 생각을 하고 들어마시면 아주 수월하게 할 수가 있습니다.
‘숨을 코로 들어마셔 가지고 아랫배까지 이렇게 집어 넣는다’고 생각하면, 들어마셔 가지고 이 윗배 오목가슴 정도까지 가 가지고 거기서 딱 맥혀 가지고 아래로 내려가지를 않아서 애를 먹게 됩니다.
그런 상태에서 억지로 하다 보면 가슴이 답답하고 영 시원하지를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코로 들어마신다고 생각하지 말고 ‘저 뒤에서 궁둥이로 쑥 들어마셔 가지고 직선으로 들어와 가지고 아랫배가 볼록해지도록 들어온다’ 이렇게 생각하고 들어마시고,
내쉴 때도 ‘그 자리에서 직선으로 뒤로 쑥 내쉰다, 내보낸다’ 이러한 기분으로 숨을 내쉬는 것입니다.
그래서 『숨은 직선으로 뒤에서 이렇게 들어마시고 내쉴 때는 직선으로 뒤로 이렇게 내보낸다』
들어마실 때는 배가 차츰차츰차츰 아랫배가 볼록해지고, 내쉴 때는 차츰차츰차츰 아랫배가 홀쪽해진다. 이렇게 의식하면서 호흡을 하는 것입니다.
*장생불사(長生不死 길 장/날 생/아니 불/죽을 사) ; 오래도록(長) 살고(生) 죽지(死) 않음(不).
*상기병(上氣病 오를 상/기운 기/병 병) ; 화두를 머리에 두고 여기에 속효심을 내어 참구하다가, 모든 열기(氣)가 머리에 치밀게(上)되어 생기는 머리 아픈 병(病). 상기병이 생기면 공부가 지극히 힘이 들고 심하면 머리로 출혈이 되며 몸이 쇠약해짐. 상기병의 예방과 치료로 단전호흡과 요료법(오줌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민간 요법의 하나)이 사용된다.
[참고] '요료법'에 관한 책. ①『기적을 일으키는 요료법』 (김정희 저 | 산수야). ②『요료법의 기적』 (나까오 료이치 | 산수야). ③『의사가 권하는 요료법』 (이영미 | 산수야). ④ 『요료법의 기적』 (건강신문사 편집부).
*딴 생각 ; 별념(別念). [몽산법어] (용화선원刊) 박산무이선사선경어(博山無異禪師禪警語)에서.
〇“做工夫호대 着不得一絲毫別念이니 行住坐臥에 單單只提起本叅話頭하야 發起疑情하야 憤然要討箇下落이니라. 若有絲毫別念하면 古所謂雜毒이 入心하야 傷乎慧命이라하니 學者는 不可不謹이니라”
“공부를 짓되 털끝만치라도 딴 생각[別念]을 두지 말지니, 가고 멈추고 앉고 누우매 다못 본참화두(本叅話頭)만을 들어서 의정을 일으켜 분연히 끝장 보기를 요구할 것이니라.
만약 털끝만치라도 딴 생각[別念]이 있으면 고인이 말한 바 「잡독(雜毒)이 마음에 들어감에 혜명(慧命)을 상한다」하니, 학자는 가히 삼가지 않을 수 없느니라.”
“余云別念은 非但世間法이라 除究心之外에 佛法中一切好事라도 悉名別念이니라. 又豈但佛法中事리요 於心體上에 取之捨之 執之化之가 悉別念矣니라”
“내가 말한 딴 생각[別念]은 비단 세간법만 아니라 마음을 궁구하는 일 외에는, 불법(佛法)중 온갖 좋은 일이라도 다 딴 생각[別念]이라 이름하느니라.
또 어찌 다만 불법중 일뿐이리오? 심체상(心體上)에 취하거나[取], 버리거나[捨], 집착하거나[執], 변화하는[化] 것이 모두 다 딴 생각[別念]이니라.” (p164-166)
〇“做工夫호대 不得將心待悟어다. 如人이 行路에 住在路上하야 待到家하면 終不到家니 只須行하야사 到家오 若將心待悟하면 終不悟니 只須逼拶令悟요 非待悟也니라”
“공부를 짓되 마음을 가져 깨닫기를 기다리지 말라. 마치 사람이 길을 가매 길에 멈춰 있으면서 집에 이르기를 기다리면 마침내 집에 이르지 못하나니, 다만 모름지기 걸어가야 집에 도달하는 것과 같아서,
만약 마음을 가져 깨닫기를 기다리면 마침내 깨닫지 못하니, 다만 모름지기 애써서 깨닫게 할 뿐이요, 깨닫기를 기다릴 것이 아니니라.” (p163-164)
〇“做工夫호대 不得求人說破이니 若說破라도 終是別人底요, 與自己로 沒相干이니라. 如人이 問路到長安에 但可要其指路언정 不可更問長安事니 彼一一說明長安事라도 終是彼見底요, 非問路者의 親見也이니라. 若不力行하고 便求人說破도 亦復如是하니라”
“공부를 짓되 다른 사람이 설파(說破)하여 주기를 구하지 말지니, 만약 설파(說破)하여 주더라도 마침내 그것은 남의 것이요, 자기와는 상관이 없나니라.
마치 사람이 장안으로 가는 길을 물으매 다만 그 길만 가리켜 주기를 요구할지언정 다시 장안의 일은 묻지 말지니, 저 사람이 낱낱이 장안 일을 설명할지라도 종시(終是) 그가 본 것이요, 길 묻는 사람이 친히 본 것은 아니니라.
만약 힘써 수행하지 않고 남이 설파하여 주기를 구하는 것도 또한 이와 같으니라.” (p180-181)
*혼침(昏沈 어두울 혼/잠길 침) ; 정신이 미혹(迷惑)하고 흐리멍덩함.
*산란(散亂 흩을 산/어지러울 란) ; 혼침의 반대인데 도거(掉擧)라고도 한다. 정신을 머트럽고 다른 곳으로 달아나게 하는 정신작용.
*성화(成火) ; ①일이 뜻대로 되지 않아 답답하고 속이 탐 ②매우 귀찮게 졸라 댐.
*일취월장(日就月將 날 일/이룰 취/달 월/발전할 장) ; 나날이 다달이 발전하거나 성장함.
*간절(懇切 간절할·정성스런 간/정성스런·절박할 절) ; ①지성(至誠)스럽고 절실(切實)함. ②정성이나 마음 씀씀이가 더없이 정성스럽고 지극함. ③마음속에서 우러나와 바라는 정도가 매우 절실함.
*돈발(頓發 갑자기 돈/일어날·나타날·밝힐 발) ; 일정한 단계를 밟지 않고 직접적, 비약적으로 일어나는. [참고] 頓—直頓의 뜻, 곧바로.
*간단(間斷 사이 간/끊을 단) ; 계속되던 것이 잠시(間) 그치거나 끊어짐(斷).
*순수무잡(純粹無雜 순수할 순/순수할 수/없을 무/섞일 잡) ; 대상 그 자체가 순수(純粹)해 전혀 이질적인 잡것의 섞임(雜)이 없음(無).
*마군(魔軍) ; 악마의 군세(軍勢). 마(魔)란 생사를 즐기는 귀신의 이름이요, 팔만 사천 마군이란 중생의 팔만 사천 번뇌다. 마가 본래 씨가 없지만,수행하는 이가 바른 생각을 잃은 데서 그 근원이 파생되는 것이다.
'참선(자세 호흡)'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5) 계행(戒行) / 단전호흡- 상기병 주의 / 화두 드는 법 / 화두 가운데에 가장 처음, 가장 근원적인 화두가 시삼마(是甚麼) 화두, ‘이뭣고?’ (0) | 2014.07.06 |
---|---|
§(346) 참선의 자세, 호흡(단전호흡의 목적) / 호흡이 안 될때 / 참선의 목적. (0) | 2014.06.07 |
§(445) 단전호흡과 상기(上氣) / 호흡은 무리가 없이 편안하게 하는게 요점. / 호흡과 화두의 관계 / 상기병(上氣病)의 약은 단전호흡과 요료법. (0) | 2014.03.25 |
§(088) 자세 / 단전호흡 (0) | 2013.11.30 |
§(264) 참선의 자세, 단전호흡 - 호흡은 위아래로 쉬는 것이 아니라, 앞뒤로 호흡을 허라, 좌선 시간. (0) | 2013.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