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선(자세 호흡)2014. 7. 6. 12:38

§(455) 계행(戒行) / 단전호흡, 상기병 주의 / 화두 드는 법 / 화두 가운데에 가장 처음, 가장 근원적인 화두가 시삼마(是甚麼) 화두, ‘이뭣고?’

단전호흡은 항상 자연스럽게 무리가 없이 그렇게 해야 할 것입니다.

 

우리 정법, 활구참선(活句參禪)은 몸 건강해 가지고 오래 사는 것이 목적이 아니여. 공안(公案)을 타파(打破)해서 확철대오(廓徹大悟)해서 ‘참나’를 깨닫는 것이 우리의 목적이거든.

 

참선을 해 나가는데 자세를 바르게 하고 단전호흡을 잘 여법하게 하면서 화두를 드는데, 이 화두 드는 것이 참선의 요점이요 가장 중요한 것이다.

 

**송담스님(No.455)-91년 9월 첫째일요법회(91.09.01)에서. (용455)


약 15분.

 


참선을 해 나가는 데에는 본참화두(本參話頭)를 선지식(善知識)으로부터 간택을 받아 가지고 그 화두를 여법(如法)하게 참구해 나가는 것, 그것 밖에 없지마는, 그래도 공부를 바르게 해 나갈랴면은

첫째, 계행(戒行)을 지켜야 한다. 계행을 지키되 계상(戒相)에 집착함이 없이 계상에 떨어지지 않고 계를 지키고,
또 화두를 참상(參祥)하되, 간절한 의심으로 참구를 한답시고 막 용을 쓰면서 억지로 눈썹 미간을 갖다가 찡그리면서 억지로 파고 들어가면 상기병(上氣病)에 십상(十常) 걸리기가 쉬운 것입니다.

그래서 첫째, 자세를 바르게 하고 단전호흡을 하되, 맨 처음에는 폐 속에 들어있는 호흡을 전부 다 내뿜어. 다 내뿜은 다음에 또 스르르르 들어마셔. 들어마셨으면 더 이상 참을 수 없을 만큼 참았다가 또 후~ 하고 다 내뿜어버려. 다 내뿜은 다음에는 또 스르르르 들어마셔.

 

이렇게 하기를 두 번 내지 세 번을 해서 허파 속에 들어있는 묵은 공기를 다 청소를 해낸 다음에, 그때부터서 본격적으로 단전호흡을 하는데,
들어마시는 호흡 약 3초, 3초 동안에 스르르르 들어마시고, 또 들어마신 다음에 딱 정지를 해. 호흡을 정지하기를 약 3초 동안 정지를 했다가 또 내쉴 때도 약 3초 동안 걸려서 내쉬고,

내쉰 다음에 약 3초 동안 또 정지를 하고, 그렇게 해도 좋지만 내쉬는 시간을 아주 미세하게 조용하게 가늘게 주욱 내쉬다 보면은 한 4초나 5초 이렇게 되니까, 다 내쉰 다음에 특별히 정지할 것이 없이 내쉬는 시간을 좀 길게, 가늘게, 조용하게 내쉬면 되는 거여.

그래서 다 내쉬면 또 들어마시는 시간 3초, 들어마셔 가지고 정지하는 시간이 3초, 그래가지고 내쉬는 시간은 조용하게 미세하게 길게 내쉬다 보면 내쉬는 시간은 약 4~5초 이렇게 걸리도록.

그런데 처음에 준비 호흡을 할 때에는 더이상 들어마실 수 없을 만큼 가득 들어마시고, 또 정지하는 시간도 더이상 참을 수 없을 만큼 참았다가, 또 내쉬는 것도 더이상 내쉴 수 없을 만큼 완전히 다 내쉬지만,

이 정식 본(本) 단전호흡에 들어가서는 그렇게 가득 들어마셔도 안 되고, 너무 오랫동안 억지로 참아도 안 되고, 내쉬는 시간도 너무 완전무결하게 다 내쉴라고 해서는 안 돼.

왜 그러냐? 그러면 땀이 나고 무리가 가서 몇 분 안 가서 헛숨을 쉬어야 하고 그러니까, 절대로 이 준비호흡은 그렇게 철저하게 들어마시고 철저하게 내쉬고 하지만,
본(本) 단전호흡에 가서는 8부만 들어마시고 또 3초 동안만 정지했다가 내쉬는 것도 8부 정도만 내쉬어. 더 내쉴 수 있지만 완전히 다 내쉴라고 하면 안 된다.

그것을 잘 알고 해야지, 덮어놓고 무리하게 하면은 너댓 번도 못해서 등어리에 땀이 나고 하는데,
혹 겨울에 너무 춥거나 또 음식을 먹은 것이 소화가 잘 안되고 체했을 때에는 이 준비호흡과 같은 그러한 호흡을 다섯 번 내지 열 번을 하면 등어리에 땀이 나면서 트림이 나오면서 체한 것도 툭 터지는 거여.

그러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전호흡은 항상 자연스럽게 무리가 없이 그렇게 해야 할 것입니다.

오늘 조실 스님 녹음 법문에 병이 안 나고 참 묘(妙)하게 공부해 나가는 법이 바로 이 단전호흡에 관한 말씀인데 좀 이렇게 자세하게 말씀을 드렸습니다.

이 단전호흡도 중요하지만은 단전호흡 하나만 하고 화두를 안 하면, 그것은 몸은 건강해지고 정신 집중력도 생기고 여러 가지로 살아가는데 좋고 하지만,
화두가 없이 밤낮 단전호흡만 하면, 장생불사(長生不死)하는 신선이 되려고 하는 도교의 그런 사람들이 밤낮 그렇게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정법, 활구참선(活句參禪)은 몸 건강해 가지고 오래 사는 것이 목적이 아니여. 공안(公案)을 타파(打破)해서 확철대오(廓徹大悟)해서 ‘참나’를 깨닫는 것이 우리의 목적이거든.

‘참나’를 깨달라 가지고 생사해탈(生死解脫)하는 것이 우리의 목적인데,

이 몸뚱이만 가지고 삼백 년... 팽조라는 사람은 칠백 년까지도 살았다고 하는 전설이 있지마는, 이 몸뚱이는 인연 따라서 장수(長壽)한 사람은 장수하고 6~70 살 사람은 살고 그런 것이지, 이 몸뚱이로 오래 사는 것을 목적으로 삼아서는 안 돼.

그러나 사는 날까지 건강은 해야 한다 그말이여. 사는 날까지 건강하고, 건강해야 참선도 마음껏 할 수가 있으니까. 그래서 우리가 이 단전호흡을 하기는 같은 방법으로 한다 해도 목적이 다르다 그말이여.

이 참선을 해 나가는데 자세를 바르게 하고 단전호흡을 잘 여법하게 하면서 화두를 드는데, 이 화두 드는 것이 참선의 요점이요 가장 중요한 것이다.

선방에 들어와서 참선을 하는 스님네나 또 보살님 10년 20년씩 선방에 다녀도 이 화두를 여법하게 들 줄 알기가 어렵다.

‘이뭣고?’ 또는 아까 조실스님께서 말씀하신 판치생모(板齒生毛), 무자(無子) 화두나 문헌에 오른 화두만 해도 천칠백 개가 넘는데 그 천칠백 개나 되는 화두 가운데에 가장 처음 화두, 가장 근원적인 화두가 시삼마(是甚麼) 화두여. ‘이뭣고?’

‘이뭣고?’화두는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 부르면 대답할 줄 아는 놈, 욕하면 성낼 줄 아는 놈, 배고프면 밥 먹을 줄 아는 놈, 눈으로 보면은 저것이 꽃이다·새다·나비다, 그 아는 놈.
귀로 들을 줄 알고, 코로 냄새 맡을 줄 알고, 혀로 맛볼 줄 알고, 몸으로 춥고 더운 것을 알고, 그러할 줄 아는 놈이 다 사람마다 다 있다 그말이여. 그것이 나의 주인공(主人公)인데, 그놈을 찾는 것이거든.

그 주인공이 분명히 이 몸뚱이에 딱 주재하고 있으면서 눈을 통해서 모든 것을 보기도 하고, 귀를 통해서 모든 것을 들을 줄도 알고, 행주좌와 어묵동정 모든 육체적인 작용, 정신적인 작용을 하는...
차로 말하면은 운전사와 같은 그러한 주인공이 있는데, 그것을 찾는 것이여.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 소소영령(昭昭靈靈)한 이놈이 무엇인고?’ 맨 처음에는 그렇게 들어.
나중에는 ‘이뭣고?’  ‘이뭣고?’하는 이놈이 뭣고? 이렇게 바로 그 ‘이뭣고?’하는 그놈을 다시 되돌려 찾는 것이다.


우리의 모든 생각이 그 ‘이뭣고?’하는 놈으로부터서 나오는데, 그 일어나는 생각이 우리의 마음자리로부터 모든 작용이 나오는데, 일어나는 그 생각을 돌이켜서 그 생각 일어나는 그 뿌리를 관조(觀照)하는 것이여.

‘이뭣고?’  ‘이뭣고?’하는 이놈이 뭣고? 이렇게 다그쳐 들어가는 것이다 그말이여.


그런데 단전호흡을 안 하고 자꾸 그렇게만 해 나가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상기(上氣)가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숨을 스르르르 들어마셨다가 내쉬면서 ‘이뭣고~?’ 길게,
또 다 나갔으면 또 스르르르 하니 숨을 들어마셔 가지고 약 3초 동안 머물렀다가 내쉬면서 ‘이뭣고~?’ 이렇게 해 나가면 날 새기를 하면서 해도 상기가 되는 법이 없어.

처음에는 숨을 내쉴 때마다 ‘이뭣고?’ 하지만, 나중에는 숨 내쉴 때마다 ‘이뭣고?’ ‘이뭣고?’ 그렇게 할 필요가 없어.
숨을 한번 들어마셨다 내쉬면서 ‘이뭣고?’, 다 내쉰 다음에 스르르르 들어마시면서도 아까 들었던 그 ‘이뭣고?’ 의심(疑心)이 고대로 있으면, 그 있는 의심을 관(觀)하는 거여.

딱 관(觀)하면서 숨을 들어마셔 가지고 3초 동안 머물렀다가 내쉴 때에도 고대로 알 수 없는 의심이 있으면, 내쉴 때 새로 또 화두를 들지 안 해도 되아. 있는 그 의심을 떠억 관조(觀照)하면서 내쉬거든.
다 내쉬면 또 스르르르 들어마시되, 들어마실 때에도 딴 생각이 안 일어나고, 아까 들었던 그 화두의 의심이 고대로 있으면 그 의심을 관조해.

그래서 그렇게 주욱 해 나가다가 어느새 화두가 달아나버리고 없거나 딴 생각이 일어났으면 그때 또 화두를 떠억 한 번씩 챙겨 나가는 거여.

이렇게 해 나가면 망상(妄想)을 안 일으킬라고 할 필요도 없고, 하지 않아도 저절로 망상이 일어나자마자 바로 화두를 들어버리기 때문에 망상을 일부러 쫓아낼려고 할 것도 없어.
이렇게 해 나가면 차츰차츰 망상은 줄어지고 또 이렇게 화두를 들 때 단전호흡을 하면 혼침도 안 일어나는 것이여. 혼침(昏沈)과 산란심(散亂心)을 두 가지를 다 힘 안들이고 내가 잘 다스리는 방법이 바로 단전호흡이다 그말이여.

단전호흡을 하되 항상 들어마시고 내쉴 때 ‘이뭣고?’ 알 수 없는 의심이 성성(惺惺)하게 적적(寂寂)하게 현전(現前)되도록 그렇게 잡두리를 해 나가는 것이다.(7분20초~22분23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주로 좌선(坐禪) 수행을 말한다.
*본참화두(本參話頭) ; 본참공안(本參公案).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벗.
*여법(如法) ; 부처님의 가르침에 맞음.
*참구(參究 헤아릴 참,궁구할 구) ①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것. ②참선하여 화두(공안)을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계행(戒行) ; ①계() 지켜 수행하는 . 계율에 정해진 규칙을 성실하게 실천수행하는 . ②계율과 도덕.

*계상(戒相) ; ①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4가지 분류[계사별 戒四別],  계법(戒法) · 계체(戒體) · 계행(戒行) · 계상(戒相) 하나. 계율을 실천하고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차별 있는 행동 양상. () 지키거나[持戒] 범한[破戒] 상태, 또는 계를 범한 경우 그에 대한 죄의 가벼움과 무거움 등의 차별된 상.

②계() (). 계율에 대한 생각.  계상(戒相) 청정성, 집착의 여부는 그것을 일으키는 주체에 따라 달라진다. [참고] 『화엄경』 60권본 10 14 명법품(明法品)(대정장9. p.460c)  계를 지킨다는 () 일으키지 않으므로 계에 집착함이 없다. 이것을 청정시바라밀이라 한다. 不生持戒相故  於戒無著  是名淸淨尸波羅蜜

*참상(參祥) ; 참구(參究)와 같음.
*상기병(上氣病 오를 상,기운 기,병 병) ; 화두를 머리에 두고 여기에 속효심(速效心)을 내어 참구하다가, 모든 열기(氣)가 머리에 치밀게(上)되어 생기는 머리 아픈 병(病).
상기병이 생기면 기운이 자꾸 위로 올라와서, 화두만 들면 골이 아파서 공부가 지극히 힘이 들고 심하면 머리로 출혈이 되며 몸이 쇠약해짐. 상기병의 예방과 치료로 단전호흡과 요료법(오줌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민간 요법의 하나)이 사용된다.

[참고] '요료법'에 관한 책. ①『기적을 일으키는 요료법』 (김정희 저 | 산수야). ②『요료법의 기적』 (나까오 료이치 | 산수야). ③『의사가 권하는 요료법』 (이영미 | 산수야). ④ 『요료법의 기적』 (건강신문사 편집부).

 

*십상(十常) ; ①열에서 아홉일 정도로 확률이 높다는 말. ②'십상팔구(열에 여덟이나 아홉 정도로 거의 예외가 없음)'에서 온 말.
*헛숨 ; 공연히 내쉬는 숨. 자연스러운 호흡과 상관없이 내쉬는 숨을 이른다.
*8부(八部)만 ; 보통 호흡하는 양의 80% 정도 만큼.
*장생불사(長生不死 길 장/날 생/아니 불/죽을 사) ; 오래도록(長) 살고(生) 죽지(死) 않음(不).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스승)으로부터 화두•공안(公案)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공안)을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공안 또는 화두(話頭)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천칠백 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공안(公案)을 타파(打破) ;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스승)으로부터 화두•공안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그 화두(話頭)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 하지 아니하고, 오직 꽉 막힌 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을 타파하여 확철대오(廓徹大悟)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고] 화두라 하는 것은 무엇이냐? 공안(公案)이라고도 말하는데, 화두는 깨달음에 이르는 관문이요, 관문을 여는 열쇠인 것입니다.

화두의 생명은 의심입니다. 그 화두(話頭)에 대한 의심(疑心)을 관조(觀照)해 나가는 것, 알 수 없는 그리고 꽉 맥힌 의심으로 그 화두를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모든 번뇌와 망상과 사량심이 거기에서 끊어지는 것이고,
계속 그 의심을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더 이상 그 의심이 간절할 수가 없고, 더 이상 의심이 커질 수 없고, 더 이상 깊을 수 없는 간절한 의심으로 내 가슴속이 가득 차고, 온 세계가 가득 차는 경지에 도달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 경지에 이르면 화두를 의식적으로 들지 않어도 저절로 들려져 있게 되는 것입니다. 밥을 먹을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똥을 눌 때에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차를 탈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이렇게 해서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들려진 단계. 심지어는 잠을 잘 때에는 꿈속에서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게끔 되는 것입니다.

이런 상태로 6, 7일이 지나면 어떠한 찰나(刹那)에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큰 항아리에다가 물을 가뜩 담아놓고 그 항아리를 큰돌로 내려치면은 그 항아리가 바싹 깨지면서 물이 터져 나오듯이, 그렇게 화두를 타파(打破)하고, ‘참나’를 깨닫게 되고, 불교의 진리를 깨닫게 되고, 우주의 진리를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52분12초~) [‘참선법 A’ 에서]

이뭣고? 이것이 무엇인고?
“이 뭣고...?” 이렇게 의심을 해 나가되, 이런 것인가 저런 것인가 하고 이론적으로 더듬어 들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다못 “이 뭣고...?” 이렇게만 공부를 지어나가야 됩니다.
여기에 자기의 지식을 동원해서도 안되고, 경전에 있는 말씀을 끌어 들여서 “아하! 이런 것이로구나!” 이렇게 생각해 들어가서도 안됩니다.

공안은 이 우주세계에 가득 차 있는 것이지마는 문헌에 오른, 과거에 고인(古人)들이 사용한 화두가 천칠백 인데, 이 ‘이뭣고?’ 화두 하나만을 열심히 해 나가면 이 한 문제 해결함으로 해서 천칠백 공안이 일시(一時)에 타파가 되는 것입니다.
화두가 많다고 해서 이 화두 조금 해 보고, 안되면 또 저 화두 좀 해 보고, 이래서는 못 쓰는 것입니다. 화두 자체에 가서 좋고 나쁜 것이 있는 것이 아니고 오직 한 화두 철저히 해 나가면 일체 공안을 일시에 타파하는 것입니다.(76분34초~) [ ‘참선법 A’ 에서]
*생사해탈(生死解脫) ; 생사(生死)를 떠나 깨달음의 세계에 드는 것.
*소소영령(昭昭靈靈) 한없이 밝고 신령함. 소소(昭昭)도 영령(靈靈)도 함께 밝은 뜻. 밝은 모양. 진여(眞如)•법성(法性)•불심(佛心)을 의미하는 말.
*망상(妄想 망녕될 망/생각 상) ; ①이치에 맞지 아니한 망녕된(妄) 생각(想)을 함, 또는 그 생각. ②잘못된 생각. 진실하지 않은 것을 진실하다고 잘못 생각하는 것.
*혼침(昏沈 어두울 혼/잠길 침) ; 정신이 미혹(迷惑)하고 흐리멍덩함.
*산란(散亂 흩을 산/어지러울 란) ; 혼침의 반대인데 도거(掉擧)라고도 한다. 정신을 머트럽고 다른 곳으로 달아나게 하는 정신작용.
*성성적적(惺惺寂寂) ; 정신이 고요하면서도 깨끗하고 또록또록 한 상태.
*현전(現前) ; 앞에 나타나 있음.
*잡두리 ; ‘잡도리’의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