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법문은 위 유튜브 법문에서 47분 05초부터 들으시면 됩니다>
§(423) (게송)탐착몽중일립미~ / 초학자(初學者)의 자세로 정진 / 산철 때 요중선(鬧中禪)을 알뜰히 해야 / 수행인은 말을 많이 하지 말라 / (게송)산화사금수여람~.
〇탐착몽중일립미(貪着夢中一粒米)는 세속의 오욕락(五欲樂)에다가 말씀을 했습니다마는 우리 이미 세속의 오욕락이 허망한 것인 줄 알고, 발심해서 출가해 가지고 정진한 분상(分上)에는 무엇이 ‘한 알갱이 쌀’이냐?
〇정진하다가 어떤 그런 확철대오가 아닌 자기 나름대로 얻어지는 득력처—그것이 체중현(體中玄) 도리가 되었건, 어떤 공(空) 도리가 되었건 자기 나름대로 그 득력처, 그것이 바로 이 ‘한 알갱이 쌀’이다. 여지없이 그것을 버려 버리고 자기 맥히는 공안에 대해서 정진을 다잽이 나가야 정진이 옳게 되고 반드시 확철대오할 수 있는 분(分)이 있다.
〇깨닫고, 못 깨닫고 하는 것은 자기한테 붙어 있어. 자기가 잘 단속해 나가면 깨달음으로 나가는 것이고, 한 생각 단속을 게을리하면은 생사윤회(生死輪廻)의 길로 나아가는 것이여. 그래서 깨닫고, 못 깨닫고 한 양단(兩端)의 기로(岐路)는 자기한테 있는 것이고, 시비에 끌려가냐, 안 끌려가냐 하는 것은 사람을 따라주지 말어. 그 사람한테 맡겨 버리면 그만일 것이다.
〇해제를 해서 어디를 가시거나, 가정으로 가시거나 어느 사찰을 가시거나, 어떠한 경계를 만나고 어떠한 사람을 만나거나, 그 경계(境界)에 시비심(是非心)을 내지 말고, 분별심을 내지 말고, 다맛 화두에 대한 의단(疑團)만이 독로(獨露)하도록 이렇게 나아가면 반드시 확철대오(廓徹大悟) 할 것이다.
**송담스님(No.423)—90년(경오년) 하안거해제 및 8월 첫째일요법회(90.08.05) (용423)
(1) 약 21분.
(2) 약 6분.
(1)------------------
탐착몽중일립미(貪着夢中一粒米)타가 실각금대만겁량(失却金臺萬劫糧)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무상찰나실난측(無常刹那實難測)인데 호불맹성급회두(胡不猛省急回頭)인고
나무~아미타불~
탐착몽중일립미(貪着夢中一粒米)타가 실각금대만겁량(失却金臺萬劫糧)이다.
꿈속에서 한 알갱이 쌀을 탐착하다가 저 천상(天上) 금대(金臺)의 만겁량(萬劫糧), 만겁토록 먹고도 남을 양식을 잃어버리게 되는구나.
이 ‘꿈속의 한 알갱이 쌀’이라 하는 것은 이 사바세계(娑婆世界)에 우리가 이렇게 몸 받아서 한평생을 사는 것이 이것이 꿈속에서 지금 몸을 받아난 것입니다.
과거에 지은 업식(業識)으로, 그 업식으로 지은 선악의 업연(業緣)으로 지금 이 꿈속에 지금 이 사바세계에 태어났습니다.
태어나 가지고 꿈속에서 살면서도 꿈속인 줄을 모르고 지금 살고—시집 장가들고, 아들딸 낳고 모다 이렇게 또 사업을 하고 그러면서 이렇게 살고 있는데,
만나는 사람도 꿈속에서 지금 만난 거고, 지금 이렇게 돈을 벌고 살림을 하고 산 것도 그래 가지고 기뻐하고 슬퍼하고 한 것도 꿈속에서 지금 이렇게 살고 있는 것입니다.
그 꿈속에서도 죄를 지은 사람은 또 재판을 받아서 감옥에 들어가서 복역을 하고 있고, 또 전생에 지은 복이 있어서 돈을 많이 벌어서 좋은 집에서 잘 먹고 잘 입고 잘사는 사람도 그것도 역시 꿈속에서 지금 그러고 있는데,
자기 양에 안 차면 온갖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아니하고 그 돈을 벌어보려고 몸부림을 치고, 높은 벼슬을 하려고 몸부림을 치고, 그리고 피투성이가 되어가지고 싸움을 하고 있는데,
그것이 알고 보면 하나도 실다운 것이 아니고 그것이 다 꿈속에서 그런 짓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행이 이 자리에 모이신 사부대중 여러분은 그것이 꿈인 줄을 아셨어. 아셨기 때문에 그러한 탐착심을 버리고 출가(出家)를 해서 출가 사문(沙門)으로서 도를 닦고 계신 분들이여.
또 인연이 지중(至重)해서 출가는 안했지만 또 출가는 못했지만 세속에 몸담아 계시면서도 그런 데에 퐁 빠지지 아니하고 그저 인연을 어쩔 수가 없어서 인연 속에 있으면서도 정법을 믿고 불법을 믿고 참선법에 의지해서 수행을 하고 계신 분들이여.
여러분들은 참 그런 분들이라, 그러한 데에 집착해 가지고 만겁량(萬劫糧)을 잃어버리고 다시 생사윤회(生死輪廻) 속에 빠지시지는 아니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런 줄 알면서도 업이 지중해서 업(業) 속에서 살다 보니 아무래도 정진에 지장이 있을 것은 사실입니다.
결제 때 이렇게 방부(房付)를 들이고 와서 계시기도 하고, 부득이해서 가정을 아주 떠날 수가 없는 분은 출퇴근하시기도 하고, 또 출퇴근 할 형편도 못되시는 분은 가정에서 생활 속에서 화두를 단속을 하신 그런 분도 계실 것입니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처지 속에서 그 한 생각을, 한 생각을 단속을 해서 정진을 하시니 그 참 얼마나 다행하고 얼마나 감사한지를 모릅니다마는,
무상찰나(無常刹那)라 실난측(實難測)이여. 그 무상(無常)하기가 잠깐이여. 헤아릴 수가 없어.
하루에도 몇천 명, 몇만 명씩이 죽어가고 또 몇천 명, 몇만 명이 이렇게 태어나고 있습니다.
태어나도 언제 죽을런지—태어나면서 죽기도 하고, 한 달 만에 죽기도 하고, 10세 이내에 죽기도 하고, 20세 이내에 죽기도 하고,
그 고통을 겪어서 공부하고 이제 살 만큼 되면은 터끄덕 교통사고로 죽고, 그 무상하기가 말로 할 수 없는데,
호불맹성급회두(胡不猛省急回頭)냐. 어찌 이 무상한 것을 철저히 깨닫고 한 생각을 돌이켜서 철저하게 자기 생사 문제를 향해서 용맹정진(勇猛精進)을 안 할까 보냐.
탐착몽중일립미(貪着夢中一粒米)는 세속의 오욕락(五欲樂)에다가 말씀을 했습니다마는 우리 이미 세속의 오욕락이 허망한 것인 줄 알고, 발심해서 출가해 가지고 정진한 분상(分上)에는 무엇이 ‘한 알갱이 쌀’이냐?
3년 내지 10년, 20년, 30년 정진을 하다보면 자기 나름대로 소견(所見)이 생기는 수가 있습니다.
어떠한 공안에 대해서 자기 나름대로 소견이 나는 수가 있고, 자기 나름대로 수행력이 생겨 가지고 자기 나름대로 어떤 득력처(得力處)가 있을 수가 있는데,
정진하다가 어떤 그런 확철대오가 아닌 자기 나름대로 얻어지는 득력처—그것이 체중현(體中玄) 도리가 되었건, 어떤 공(空) 도리가 되었건 자기 나름대로 그 득력처, 그것이 바로 이 ‘한 알갱이 쌀’이다.
세속의 명예, 권리, 지위 그런 오욕락에 대한 한 알갱이 쌀은 그까짓 것 버리기가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그러나 정진하다가 자기 나름대로 얻어진 공 도리, 체중현 도리 이런 것은 정말 버리기가 어려워. 따악 그 자기가 얻은 그 견처(見處)를 속에다 간직해 가지고 도저히 그것을 버릴 수가 없어.
여지없이 그것을 버려 버리고 자기 맥히는 공안에 대해서 정진을 다잽이 나가야 정진이 옳게 되고 반드시 확철대오할 수 있는 분(分)이 있지,
조그만한 견처 그놈을 속으로 간직해 가지고 자기도 한 소식했다 하는 그러한 생각을 떠억 지니고서 그놈을 들여다보고 앉았으면 그 사람은 세상없이도 큰 깨달음을 얻을 수가 없어.
이 대중 도반 가운데에 혹 그러한 견처가 있으면 탁! 털어 내놓고 여지없이 털어버리고,
정말 새로 발심(發心)한 순수한 초학자(初學者)가 되어가지고, 정말 알뜰히 완전히 초학자의 자세로써 그렇게 정진을 다잽이 할 것을 정말 진실한 마음으로 충고를 하고 싶습니다.
우리가 이 공부를 하는 것이 무슨 큰스님이라 하고 그렇게 되어 가지고 남의 대접을 받기 위해서 공부하는 것도 아니고,
어쨌든지 일대사(一大事) 문제를 요달해 가지고 자신의 생사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서는 일체 중생을 제도하려는 그런 대승심을 가지고 정진하는데,
그까짓 조그마한 소견을 아까워서 버리지를 못하고 그놈을 떠억 간직해 가지고 자기도 한 소식했다 하는 그러한 자부심을 가지고 남 앞에 으시대봤자 그것 어디다 쓰겠습니까?
이 가운데는 그러한 분이 없으시겠지만 행여나 앞으로라도 어떤 견처가 나오면 자기가 믿는 선지식(善知識)이나 선배 앞에 탁! 털어 내놓고 깨끗이 털어버리고 그렇게 정진하시기를 바라고,
또 청신사 청신녀 여러분도 정진하다가 어떠한 견처가 있으면—청신사 청신녀라고 해서 그런 견처가 없으라는 법도 없고,
부처님 당시의 유마거사(維摩居士)라든지, 중국의 방거사(龐居士)라든지, 우리나라에는 부설거사(浮雪居士)와 같은 그러한 부처님이나 조사 스님네에 못지않은 그러한 대도사들도 있었고, 또 그렇게 널리 알려지지 아니한 그러한 훌륭한 도인들도 많이 있는 것입니다.
청신사 청신녀 여러분도 비록 머리는 안 깎았지만 그 정법을 믿는 신심과 분심과 대의심에 있어서는 스님네 못지않도록 삼요(三要)를 갖추어서 열심히 정진을 하시기를 부탁을 드립니다.
오늘 삼하안거 해제와 또 백일기도 회향과 또 8월 첫째 일요법회, 세 가지 법요식을 아울러서 갖게 되었습니다마는 대중이 운집해서 정진을 하다 보니 결제(結制)가 필요하고 또 이렇게 해제(解制)가 필요한 것뿐입니다.
‘해제했다’고 해서 우리의 정진에 조금도 해이(解弛)해져서는 아니 될 줄 생각을 합니다.
앞으로 또 7월 백중에 우리의 선망부모의 영가를 천도하는 법요식이 있습니다마는 그때 산철 결제 방부를 받게 됩니다. 산철 결제에도 방부를 들이고 또 정진을 해 주시기를 부탁을 하고,
해제했다고 해서 해이하시지 말고 가정에 돌아가셔도 알뜰히 정진을 해 주시기를 부탁을 하고,
또 스님네들도 산철 결제에 방부 들이실 분은 들일지라도 어쨌든지 해제 동안에 알뜰하게—어느 산중을 가시건, 어느 바닷가를 가시건, 어디를 가시거나 산철 동안에 요중선(鬧中禪) 동중선(動中禪)을 알뜰히 다잽이를 해서,
‘지난 석 달 결제 중에 한 스스로 수행력이 과연 얼마만한가? 과연 요중(鬧中)에서도 동중(動中)에서도 여법(如法)하게 알뜰하게 정진이 되는가?’를 잘 가늠하면서 정진을 해주시기를 부탁을 드립니다.
우리 정진하는 사람에게는 가장 중요한 것이 말을 많이 하는 것입니다.
물론 결제 중에는 말 많이 하실 필요가 없었겠으나, 인자 해제 했으니까 말을 많이 하거나 적게 하거나 누가 말할 사람도 없고, ‘인자 해제 했으니까 우리 마음껏 그동안에 못한 말을 실컷 한번 해 보자’ 그런 생각을 갖지 마시고, 어쨌든지 말을 많이 하시지 말고, 어느 사찰을 가시던지 말을 많이 하시지 말도록 부탁을 드립니다.
산승(山僧)이 과거에 한 10년간 말을 안 해 본 경험이 있어서 말에 대해서는 나름대로 그 일가지견(一家之見)이 있어서 말씀을 드린 건데, 입을 많이 벌리고 떠들고 난 뒤끝에는 ‘아무래도 괜히 쓸데없는 말을 했다’
말을 많이 하면 기운이 또 빠져 나가고, 말을 많이 하다보면 쓸데없는 말이 본의 아니게 또 튀겨져 나오게 되고, 그러면 스스로도 손해가 되거니와 듣는 사람에게도 손해를 끼치게 됩니다.
또 시비가 일어날 소지가 다분히 있고 그래서 수행자는 항상 말을 적게 하고, 그렇다고 해서 다 묵언을 하시라고 하는 것은 아니고, 꼭 필요한 말은 하시되 간단하게 한두 마디로 끝내버리고 화두를 들고 정진을 해 나가신다면 해제했다고 해서 무슨 정진하기에 불편할 것도 없으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생각 생각이 화두를 들고, 또 금강과 같은 그 금강지(金剛志), 견고한 뜻을 분(憤)내서 일념만년(一念萬年)이 되도록 그렇게 해서 항상 행주좌와 간에 회광반조(廻光返照)하고, 살피고 또 살펴서,
혼침(昏沈)이 오면은 전제(全提)를 하고, 산란심(散亂心)이 일어나면 단제(單提)를 하고, 간단(間斷) 자꾸 생각이 끊어지고 화두가 순일하게 연속이 안 될 때에는 부지런히 화두를 들어서,
일구월심(日久月深)해서 밀밀면면(密密綿綿)하고 면면밀밀해서 화두를 들지 안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어질 때까지.
화두를 들지 안 해도 화두가 떠억 들어지면 그때의 그 성성(惺惺)하고 적적(寂寂)하고 고요하고 깨끗한 그 경지는 말로써 표현할 수가 없어.
그러나 그 쾌락안연(快樂安然)한 상태에 맛 들여서 그놈을 탐착하다가 화두를 놓쳐버리면 안 되아.
그런 가운데에도 화두를 잘 거각(擧却)을 해서 그 순수무잡(純粹無雜)한 의단(疑團)이 끊어지지 않도록 잡드리를 해 나가면 수질각차(手跌脚蹉)해서, 어떠한 찰나에 의단을 타파(打破)하게 될 것입니다.
이것은 과거에 많은 도인들이 다 그러한 과정을 거쳐서 도업(道業)을 성취했으니 우리도 그렇게 잡드리 해 나간다면 만무일실(萬無一失)이여. 만 명이면 만 명 다 틀림이 없이 다 깨달음에 이를 것입니다.(45분52초~66분51초)
(2)------------------
우리가 살아가다 보면 반드시 사람을 만나게 되고, 사람을 만나보면 얘기를 하고, 얘기를 하다보면 시비가 일어나고, 시비가 일어나다보면 공부에 장애가 일어나는 것이니, 옳고 그른 것은 상대방한테다 맡겨버리고,
깨닫고, 못 깨닫고 하는 것은 자기한테 붙어 있어. 자기가 잘 단속해 나가면 깨달음으로 나가는 것이고, 한 생각 단속을 게을리하면은 생사윤회(生死輪廻)의 길로 나아가는 것이여.
그래서 깨닫고, 못 깨닫고 한 양단(兩端)의 기로(岐路)는 자기한테 있는 것이고, 시비에 끌려가냐, 안 끌려가냐 하는 것은 사람을 따라주지 말어. 그 사람한테 맡겨 버리면 그만일 것이다.
산화사금수여람(山花似錦水如藍)하니 막문전삼여후삼(莫問前三與後三)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심경확연망피차(心境廓然忘彼此)하면 대천사계총포함(大千沙界總包含)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산화사금수여람(山花似錦水如藍)이여. 산에는 울긋불긋 꽃이 피어 비단과 같고, 물은 푸르기가 쪽빛과 같구나.
막문전삼여후삼(莫問前三與後三)이다. 전삼(前三)과 후삼(後三)을 묻지를 말아라.
중국의 무착(無着) 스님이 문수보살(文殊菩薩)을 친견하기 위해서 오대산을 찾아갔는데, 허름한 나무하는 영감님을 만났어.
그래서 그 영감님이 문수보살인 줄도 모르고 영감님을 만나 “뭣하러 왔느냐?”하니까, “문수보살을 친견하러 왔다”
“어디서 왔느냐?” “저 아무데서 왔다”
“거기는 대중이 몇 분이나 되느냐?”하니까, “몇백 명이 이렇게 된다”
(무착 스님이) 영감 보고 “대중이 몇이나 되냐?” 그러니까, “전삼삼 후삼삼이다”
전삼삼(前三三) 후삼삼(後三三)? 이건 공안(公案)이라, 사량분별(思量分別)로 따져서 숫자로 알 수 있는 말이 아니여. 전삼삼(前三三) 후삼삼(後三三)을 묻지를 말아라.
심경확연망피차(心境廓然忘彼此)하면, 내 마음 경(境)이나 저 바깥 경계가 확연해서 저 경계라든지, 내라든지 그런 것을 잊어버리면—심경(心境)이 확연(廓然)해서 피차(彼此)를 잊어버리면,
대천사계(大千沙界)가 총포함(總包含)이다.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의 항하사수(恒河沙數)와 같은 그런 세계가 다 포함되어 있다.
해제를 해서 어디를 가시거나, 가정으로 가시거나 어느 사찰을 가시거나, 어떠한 경계를 만나고 어떠한 사람을 만나거나, 그 경계(境界)에 시비심(是非心)을 내지 말고, 분별심을 내지 말고,
다맛 화두에 대한 의단(疑團)만이 독로(獨露)하도록 이렇게 나아가면 반드시 확철대오(廓徹大悟) 할 것이다.(66분55초~73분5초)(끝)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게송) ‘탐착몽중일립미~’ ; 성철스님 ‘납자십게(衲子十偈)’—'회두(回頭)' 게송 참고.
*사바세계(娑婆世界) ; 고뇌를 참고 견디지 않으면 안되는 괴로움이 많은 이 세계. 현실의 세계. 석가모니 부처님이 나타나 교화하는 세계. 인토(忍土)•감인토(堪忍土)•인계(忍界)라고 한역.
*업식(業識) ; ①과거에 저지른 미혹한 행위와 말과 생각의 과보로 현재에 일으키는 미혹한 마음 작용. ②오의(五意)의 하나. 무명(無明)에 의해 일어나는 그릇된 마음 작용.
*업연(業緣) ; 업보(業報)의 인연(因緣). 선업은 낙과(樂果)의 인연을 부르고 악업은 고과(苦果)의 인연을 부른다.
*출가(出家) : [범] Pravrajita 집에서 나온다는 말이다。가정 생활을 떠나서 수도와 포교를 전문으로 하기 위하여, 승려가 되는 것을 말함이다.
그러나 몸 출가(身出家)보다도, 탐욕과 분노와 어리석음 등 삼독(三毒)의 불이 늘 붙고 있는 번뇌 망상의 불집에서 뛰어나오는 마음 출가(心出家)를 하여야 한다.
[참고] [선가귀감(禪家龜鑑)] (용화선원刊) p132~133.
〇出家爲僧이 豈細事乎아. 非求安逸也며 非求溫飽也며 非求利名也라
爲生死也며 爲斷煩惱也며 爲續佛*慧命也며 爲出*三界度衆生也니라
출가하여 중이 되는 것이 어찌 작은 일이랴 ! 몸의 안일을 구하려는 것도 아니고, 따뜻이 입고 배불리 먹으려는 것도 아니며, 명예와 재물을 구하려는 것도 아니다.
나고 죽음을 면하고, 번뇌를 끊으려는 것이며, 부처님의 지혜를 이으려는 것이며, 삼계에 뛰어나서 중생을 건지려는 것이니라.
*사문(沙門) ; 슈라마나(산스크리트어: śramaṇa, 팔리어: samaṇa)의 음역. 식(息)·근식(勤息)·정지(淨志) 등으로 번역. 여러 선법(善法)을 근수(勤修)하고, 악법(惡法)을 행하지 않으며, 심신을 조어(調御)하여 청정(淸淨)한 깨달음의 길을 지향(志向)하고 노력함을 뜻함.
①인도에서 바라문교의 「베다」 성전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제종교 수행자의 총칭.
②출가하여 불문(佛門)에 들어 도를 닦는 사람.
*지중하다(至重-- 이를 지/무거울·소중할 중) ; ①(무엇이)더할 나위 없이 무겁다. ②(무엇이)더할 나위 없이 귀중하다.
*방부(房付)를 들이다 ; 수행자가 절에 머물며 공부할 것을 인사드리고 허락을 구해 결제(結制)에 참가하다.
*용맹정진(勇猛精進) ; 두려움을 모르며 기운차고 씩씩한 그리고 견고한 의지로 한순간도 불방일(不放逸)하는, 열심으로 노력하는 정진.
*오욕락(五欲,五慾,五欲樂) ; ①중생의 참된 마음을 더럽히는—색,소리,향기,맛,감촉(色聲香味觸)에 대한—감관적 욕망. 또는 그것을 향락(享樂)하는 것. 총괄하여 세속적인 인간의 욕망.
②불도를 닦는 데 장애가 되는 다섯 가지 욕심. 재물(財物), 색사(色事), 음식(飮食), 명예(名譽), 수면(睡眠).
*분상(分上 분수 분/윗 상) ; 자기의 신분이나 처지에 알맞은 입장.
[참고] 〇분(分) : ①분수(分數—자기 신분에 맞는 한도. 자기의 신분이나 처지에 알맞은 한도)
〇—상(上) : ①‘그것과 관계된 입장’ 또는 ‘그것에 따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②‘추상적인 공간에서의 한 위치’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예) 정진하는 분상에는 ---> 정진하는 수행자에 알맞은 입장에 따르자면.
*소견(所見) ; 어떤 일이나 사물을 살펴보고 가지게 되는 생각이나 의견.
*득력(得力) ; 수행이나 어떤 기술•운동에서 자꾸 되풀이해서 하면, 처음에는 잘 안되던 것이 할라고 안 해도 저절로 잘 되어질때 득력(得力)이라 표현. 수월하게 되어 힘이 덜어지는 것을 다른 표현을 쓰면 그것을 ‘힘을 얻었다(得力)’하는 것.
*체중현(體中玄) ; 임제 의현(臨濟義玄)선사가 학인을 제접하는 데 사용한 수단인 삼현(三玄-體中玄•句中玄•玄中玄)의 하나.
[참고] 선가귀감(용화선원 刊) p207, p212 에서.
〇[三玄]삼현
體中玄은 三世一念等이요 句中玄은 徑截言句等이요 玄中玄은 良久棒喝等이라
삼현 : 체 가운데 현(體中玄)은 삼세가 한 생각이라는 따위들이고, 구 가운데 현(句中玄)은 지름길 말들이며, 현 가운데 현(玄中玄)은 양구와 방망이와 할 같은 것들이다.
〇삼현(三玄) : 임제 의현(臨濟義玄)선사가 학인을 제접하는 데 사용한 수단이다.
체중현(體中玄)은 진공(眞空)의 이치를 보는 것이라 학인이 이 이치를 보았다 하더라도 신위(信位)를 여의지 못했으므로 자유의 분(分)이 없다.
구중현(句中玄)은 뜻길이 없는 말로써 그 말에 걸리거나 막히지 않고 도리를 바로 봄을 말함.
현중현(玄中玄), 사(事)에 걸림이 없는 묘유(妙有) 곧 현중현(玄中玄)의 도리를 보아야 인가(印可)를 하는 것이다. 현중현을 용중현(用中玄)이라고도 한다.
*체중현(법문에서) ;
[참고 ❶] 송담스님 법문(No.337)—정묘년 칠석차례(87.07.07.음)에서.(2분 48초)
〇체중현(體中玄)으로 보면, 공(空)의 이치에서 보면 어떠헌 공안을 묻되 할(喝)을 해 버려도 맞고, 방(棒)을 해 버려도 맞고, 양구(良久)를 해 버려도 맞고, 닥치는 대로 막 잡아서 아무것이라도 일러도 다 맞을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현중현(玄中玄) 도리에 있어서는 아무렇게나 일러도 맞지를 않습니다. 그 공안에 여지없이 이(理)와 사(事)에 탁! 맞아떨어지게 일러야 하는 것입니다.
참선 한 철, 두 철 열심히 허다 보면 어지간한 사람이면 다 그 공의 이치를 보게 됩니다.
그 공의 이치, 그게 체중현(體中玄)인데, ‘체(體) 가운데에 현(玄)’-체의 이치를 보게 되면 그것이 바로 공(空)인데, 공의 이치를 보게 되면 경(經)을 봐도 모두가 그 소식입니다. 조사어록을 봐도 모두가 다 그 도리고, 조금도 맥힐 것이 없어. 환하고.
그런데 현중현(玄中玄)에서는 그렇지를 않거든.
체(體)의 이치를 본, 겨우 그 이치만 보고 현중현을 못 본 사람은 된장이나 똥이나 마찬가지여. 선과 악이 마찬가지고, 크고 작은 것이 마찬가지고, 부처와 중생이 다를 것이 없고, 내 마누라나 형수가 다 똑같고, 그저 거지나 임금이 다 똑같고, 생과 사가 똑같고, 그러니 오직 쾌활하냐 그말이여.
그러나 그것 가지고서는 부처님과 조사가 인가(印可)를 허지를 않았습니다. 그것 가지고서는 진리를 바로 봤다고 헐 수가 없어. 그것은 바른 견성(見性)이 아니여.
그래서 조사(祖師)는 현중현이라고 허는 관문(關門)을 시설을 해 가지고, 현중현 도리를 보지를 못허면 바로 보았다고 인가를 헐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현중현 도리는 선지식이 아니면은 그것을 가려내지를 못해.
[참고 ❷] 송담스님 법문(No.282)—86년 1월 첫째일요법회(86.01.05)에서. (2분 19초)
〇공안은 그 열쇠가 아니면은 도저히 그 열 수가 없는 아주 이 자물통과 같아서 도저히 그렇게 일러 가지고서는 인가(印可)를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물속에·진흙 속에 들어가서 무엇이 발을 찔렀는데, ‘뭣이 찔렀다.’ 이래 가지고서는 알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 찌른 것이 뾰족한 돌멩이냐, 그렇지 않으면 무슨 나무 꼬타리냐, 사금파리냐, 또는 쇠꼬치냐, 분명하게 딱! 말을 해야 하는 것이지, 막연하게 ‘뭣이 찔렀다.’ 이렇게만 말한 거와 같아서,
아! 찌른 거야 사실이지, 사실 아닌 것은 아니여. 그러나 분명하게 쇠꼬치면 쇠꼬치, 사금파리면 사금파리, 돌멩이면 돌멩이를 분명히 말을 해야 알 수가 있는 거와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그 학자가 공부를 하다가 자기 나름대로는 반드시 견처(見處)가 있어서 온 것은 사실이나, 불조(佛祖)와 같이 깨닫지 못하면 체중현(體中玄) · 구중현(句中玄) · 현중현(玄中玄), 현중현 도리를 바로 보지 못하면 스스로 그것에 만족을 해서는 아니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활구문중(活句門中)에 있어서의 납자(衲子)의 지조(志操)라 할 것입니다.
[참고 ❸] 송담스님 법문(No.466)—92년 보살 선방에서 하신 법문(92.02.02)에서. (2분 26초)
〇구경의 깨달음이 아닌—공부해 나가다가 조금 느껴지는 그런 편안함이나 맑음이나 또는 시원함, 그런 소견이나 경계 그런 거, 구경의 깨달음이 아닌 중간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그런 경계에 ‘나도 한 소식 했다. 나도 깨달았다. 이것이 깨달음이 아닌가’하고 거기에 머물러 버리면 그 사람은 거기서 끝나는 거죠.
큰 깨달음을 얻지 못하고, 예를 들어서 저 지방에서 서울을 향해 가는데 대전이나 수원이나—시골 산중에 있던 사람이 거기에 나오면은 굉장하거든, 차도 많고 높은 건물도 많고 하니까 여기가 서울이구나! 하고 주저앉은 거나 마찬가지여. 서울을 향해서 가는 사람은 중간에 좀 볼만한 데가 도시가 있다고 해서 그것이 서울로 착각한 거나 마찬가지여.
서울로 가서 중앙청을 갈라면 중앙청까지 딱 가서 대통령을 만나든지 장관을 만나든지 해야지, 저 중간에 가 가지고 조금 높은 건물이 있다고 해서 그것을 갖다가 서울이라고 착각한다면 그거 되겠습니까? 그와 마찬가지입니다.
구경(究竟)의 깨달음이 아니면 확철대오해서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경지가 아니면 중간에 체중현(體中玄) 도리, 중간에 나타나는 보이는 그런 경계는 탁! 스스로 부정을 해 버리고 부인을 해 버리고 거기에 빠져서는 안 돼.
탁! 치워버리고 언제나 초학자와 같은 그런 심경으로 바른 자세와 바른 호흡법으로 자기의 본참공안만을 향해서 한결같이 정진을 다그쳐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참고 ❹] 송담스님 법문(No.112)—79년 11월 관음재일 법어(79.11.24)에서. (2분 36초)
〇가끔 조실 스님 법문 가운데에는 공안에 대한 조리(條理)에 대해서 말씀을 하신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분명히 공안에 있어서 이 학자가 깨달은데 있어서 체중현(體中玄) 도리를 보는 사람, 체중현 도리를 보아 가지고 그것으로써 득소위족(得少爲足)하는—조그마한 소견을 가지고 ‘아! 내가 깨달았다’고 하는 이러한 잘못된 생각을 가질까봐, 『절대로 이 공안이라 하는 것은 현중현(玄中玄) 도리를 바로 봐야만 그것이 바로 확철대오(廓徹大悟)다.』 그러한 것을 우리에게 깊이 납득을 시키고 철저하게 명심을 하기 위해서 가끔 공안에 대한 말씀을 구체적으로 해주신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는 그러한 법문을 듣고, 어떠한 공안에 대해서 자기 나름대로 이렇게도 따져보고, 저렇게도 일러보고 해서 ‘혹 이런 것이 아닌가. 저런 것이 아닌가’ 이렇게 공부를 지어가서는 아니된 것입니다.
이 공안은 마치 체중현 도리에서 보면 아무렇게 일러도 맞지 아니한 것이 없는 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것은 공견(空見)에 빠진 사람, 공견에 빠져가지고 그러한 입장에서 볼 때에는 고함을 치나, 욕을 하나, 호령을 하나, 손을 들거나, 발을 구르거나, 무엇이 어떻게 이르건 다 안 맞는 것이 아닌 것입니다.
그러나 그러한 것은 이 현중현 도리를 본 사람이 아니고, 그렇게 봐가지고서는 불법을 바로 깨달았다고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현중현 도리는 마치 자물쇠통에 꼭 제 열쇠가 아니면은 열리지 아니한 것처럼, 바로 깨달은 사람만이 바로 이를 수가 있는 것입니다.
*견처(見處) ; 자기 나름대로 얻은 어떤 생각이나 입장, 견해.
*다잽이 ; 다잡이. 늦추었던 것을 바싹 잡아 죔.
*발심(發心) ; ①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②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원어)發起菩提心발기보리심, 發菩提心발보리심.
*초학자(初學者) ; ①처음 배우기 시작한 사람. ②배워 익힌 지식이 얕은 사람.
*다잽이하다 ; 다잡이하다. 늦추었던 것을 바싹 잡아 죄다.
*일대사(一大事) ; ①부처님이 중생구제를 위해 세상에 나타난다고 하는 큰 일. 부처님이 세상에 나타나는 목적 ②가장 중요한 일이란 뜻. 수행의 목적. 깨달음을 얻는 것. 인간으로서의 완성.
*으시대다 ; 으스대다. (사람이)어울리지 않게 우쭐거리며 뽐내다.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벗.
*유마거사(維摩居士) ; 유마힐(維摩詰). [범] Vimalakirti 음대로 써서 유마라힐(維摩羅詰) • 비마라힐(毘摩羅詰)이라 하고, 줄여서 유마힐 또는 유마(維摩)라고만 한다。뜻으로 번역하면 정명(淨名) 또는 무구칭(無垢稱)이 되는데, 우리 말로는 「깨끗한 이름」이란 뜻이다.
인도 비사리(毘舍利 Vaisali)성에서 거사(居士)로 지내면서 보살행업을 닦아 크게 교화하였다。그 수행이 갸륵하여 부처님의 제자들도 미칠 수 없었다.
그가 병들어 누우매 부처님 제자들이 모두 가서 문병하는데, 둘 아닌 이치(不二法)에 대하여 여럿이 돌려 가면서 말하게 되었다。마지막으로 문수보살은 『말할 수 없다』고 하였는데, 유마힐은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가만히 앉아 있기만 하였다。그리하여 모두 『유마거사가 가장 둘 아닌 법을 잘 연설한다』고 칭찬하였다。이것은 <유마경>의 주요한 내용이다.
*부설거사(浮雪居士) ; 신라 후기의 스님으로, 서울(王都, 慶州)에서 태어났다. 이름은 진광세(陳光世). 법명(法名)은 부설(浮雪). 자(字)는 천상(天祥).
*삼요(三要) : 참선하는데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요건. 첫째는 큰 신심(大信心)이요, 둘째는 큰 분심(大憤心)이요, 세째는 큰 의심(大疑心)이다.
*신심(信心) : ‘내가 바로 부처다’ 따라서 부처는 밖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요, 일체처 일체시에 언제나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주인공, 이 소소영령한 바로 이놈에 즉해서 화두를 거각함으로써 거기에서 자성불(自性佛)을 철견을 해야 한다는 믿음.
*분심(憤心) : 과거에 모든 부처님과 도인들은 진즉 확철대오를 해서 중생 제도를 하고 계시는데, 나는 왜 여태까지 일대사를 해결 못하고 생사윤회를 하고 있는가. 내가 이래 가지고 어찌 방일하게 지낼 수 있겠는가. 속에서부터 넘쳐 흐르는 대분심이 있어야. 분심이 있어야 용기가 나는 것이다.
*의심(疑心) :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자기의 본참화두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결제(結制 맺을 결/만들•법도 제) ; 참선 수행하는 안거(安居)에 들어감. 하안거는 음력 4월 15일에 결제하며, 동안거는 음력 10월 15일에 결제한다.
*해제(解制 풀 해/만들•법도 제) ; ①(안거)를 마침. ②재계(齋戒)하던 것을 그만두고 풂.
*해이하다(解弛-- 풀 해/느슨할 이) ; (마음가짐이나 태도 따위가)긴장이 풀어져서 느슨한 상태이다.
*요중선(鬧中禪 시끄러울 뇨/가운데 중/참선 선) ; 시끄러운 가운데 하는 참선. 동중선(動中禪)라고도 한다.
*여법(如法 같을·같게 할·따를·좇을 여/ 부처님의 가르침·불도佛道 법) ; 부처님의 가르침에 맞음.
*일가지견(一家之見) ; 일가견(一家見). 어떤 일에 관하여 일정한 경지에 오른 안목이나 견해.
*금강지(金剛志) : 금강석과 같이 견고한 뜻。 일체 번뇌를 쳐부술 수 있는 굳센 의지.
*일념만년(一念萬年) : 한결같은 마음.
*회광반조(廻光返照) : 불법은 밖으로 내달으면서 구하지 말고 안으로 나에게서 찾아야 한다。그러므로 한 생각 일어날 때에 곧 그 일어나는 곳을 돌이켜 살펴보라는 뜻이다. 廻,迴,回 모두 동자(同字).
*혼침(昏沈 어두울 혼, 잠길 침) ; ①정신이 미혹(迷惑)하고 흐리멍덩함. ②좌선할 때 정신이 맑지 못하여 잠에 빠지거나 무기공(無記空)에 떨어진 상태.
*전제(全提) ; 전부분이 들고 일어남(全分提起)의 뜻. 본래 그대로 나타냄. 전부를 그대로 나타내 보임. 전체를 모조리 그대로 들고 나오는 것.
‘무자(無字)’ 화두의 경우, 전제는 ‘조주 스님은 어째서 무(無)라고 했는고?’ 단제는 그냥 ‘무~’하고 아무 일체 다른 말은 없이 ‘무~’만 들여다 보는 것.
*간단(間斷) ; 계속되던 것이 잠시 그치거나 끊어짐.
*일구월심(日久月深) ; 날이 오래고 달이 깊어 간다는 뜻으로, 날이 갈수록 바라는 마음이 더욱 간절해짐을 이르는 말.
*밀밀면면(密密綿綿) : 면밀(綿密)이란 말을 거듭하여 뜻을 강조한 것으로 길게 계속해서 끊어지지 않는 것。 정밀하게 이어져서 끊어지지 않는 모습.
*성성적적(惺惺寂寂) ; 온갖 번뇌 망상이 생멸하지 않고 마음이 고요[寂寂]하면서도 화두에 대한 의심이 또렷또렷한[惺惺]한 상태.
*쾌락안연(快樂安然) ; 쾌락하고 편안함.
*거각(擧却 들 거, 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순수무잡(純粹無雜 순수할 순/순수할 수/없을 무/섞일 잡) ; 대상 그 자체가 순수(純粹)해 전혀 이질적인 잡것의 섞임(雜)이 없음(無).
*의단(疑團 의심할 의, 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잡드리 ; ‘잡도리’의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〇若要的實明證인댄 須開特達懷하며 發丈夫志하야 將從前惡知惡解와 奇言妙句와 禪道佛法과 盡平生眼裏所見底와 耳裏所聞底하야 莫顧危亡得失과 人我是非와 到與不到와 徹與不徹하고
*타파(打破) ; 화두의 생명은 의심입니다.
그 화두(話頭)에 대한 의심(疑心)을 관조(觀照)해 나가는 것, 알 수 없는 그리고 꽉 맥힌 의심으로 그 화두를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모든 번뇌와 망상과 사량심이 거기에서 끊어지는 것이고,
계속 그 의심을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더 이상 그 의심이 간절할 수가 없고, 더 이상 의심이 커질 수 없고, 더 이상 깊을 수 없는 간절한 의심으로 내 가슴속이 가득 차고, 온 세계가 가득 차는 경지에 도달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 경지에 이르면 화두를 의식적으로 들지 않어도 저절로 들려져 있게 되는 것입니다.
밥을 먹을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똥을 눌 때에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차를 탈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이렇게 해서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들려진 단계. 심지어는 잠을 잘 때에는 꿈속에서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게끔 되는 것입니다.
이런 상태로 6, 7일이 지나면 어떠한 찰나(刹那)에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큰항아리에다가 물을 가뜩 담아놓고 그 항아리를 큰돌로 내려치면은 그 항아리가 바싹 깨지면서 물이 터져 나오듯이,
그렇게 화두를 타파(打破)하고, ‘참나’를 깨닫게 되고, 불교의 진리를 깨닫게 되고, 우주의 진리를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참선법 A’ 에서]
*도업(道業) ; 도(道)는 깨달음. 업(業)은 영위(營爲-일을 계획하여 꾸려 나감). 불도(佛道)의 수행. 진리의 실천.
------------------(2)
*생사윤회(生死輪廻 날 생/죽을 사/바퀴 윤/빙빙돌 회) ; 육도윤회(六途輪廻). 선악(善惡)의 응보(應報)로 육도(六途-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의 고락(苦樂)을 받으면서 죽음과 삶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것.
*양단(兩端 두 량, 끝 단) ; 두 끝.
*기로(岐路 갈림길 기, 길 로) ; ①길 방향이 서로 다르게 나누어지는 지점. ②갈림길(둘 이상의 갈래로 나누어진 길).
*(게송)‘산화사금수여람~’ ;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예장종경 게송 참고.
*무착 문희(無着文喜) : (820 – 899) 가화(嘉禾)땅 주(朱)씨 집에서 나서 7살에 출가하였다。처음엔 계율을 숭상하였고, 그 때 서울의 운화사(雲華寺)에 가서 징관(澄觀)법사에게서 화엄(華嚴)의 교리를 배웠고, 그 다음으로 문수보살을 친견하러 오대산(五台山)에 들어갔는데, 보살의 화현(化現)이 여러 번 있었으나 알아보지 못하였다.
선지(禪旨)가 밝은 뒤에 죽 솥에서 보살이 나타나므로 『문수는 문수요, 무착은 무착이다。무슨 상관 있느냐!』하고 죽을 젓던 주걱으로 때려 주었다.
홍주(洪州) 관음원에서 앙산의 말 한 마디에 크게 깨치고 그의 법을 이었다。당나라 소종(昭宗) 광화(光化) 2년에 80세로써 입적하였다。무착이란 것은 나라에서 지어 드린 법호다.
*문수보살(文殊菩薩) ; 문수사리보살(文殊師利菩薩). 부처의 완전한 지혜를 상징함.
문수사리는 산스크리트어 만주슈리(mañjuśrī)의 음사. 문수시리(文殊尸利), 만수실리(蔓殊室利)라고도 쓴다.
‘문수’는 묘(妙 신묘하다, 훌륭하다), ‘사리’는 길상(吉祥 상서로움)의 뜻이다. 묘길상(妙吉祥)·묘덕(妙德)·유수(濡首)라 번역. 석가모니불을 왼쪽에서 보좌하는 보살.
문수보살은 일반적으로 연화대에 앉아 오른손에는 지혜의 칼을, 왼손에는 푸른 연꽃을 들고 있다. 그러나 때때로 위엄과 용맹을 상징하는 사자를 타고 있기도 하고, 경권(經卷)을 손에 든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도 많다. 문수보살은 지혜의 완성을 상징하는 화신(化身)이다.
≪화엄경≫ 속에서도 문수 보살은 보현보살(普賢菩薩)과 함께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의 양쪽 협시 보살(挾侍菩薩)을 이룬다.
*사량분별(思量分別) : 사량복탁(思量卜度), 사량계교(思量計較)와 같은 말.
생각하고 헤아리고 점치고 따짐. 가지가지 사량분별(思量分別)로 사리(事理)를 따짐。 법화경 방편품(法華經方便品)에 ‘이 법은 사량분별로 능히 알 바가 아니다’라고 함.
*확연(廓然 큰·넓을·텅 빌 확/그럴 연) ; 넓고 텅 빈 모양.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 온갖 세계. 수없이 많은 세계. 하나의 우주 전체. 다할 수 없이 넓은 우주.
하나의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가 하나의 부처님이 교화하는 범위라 한다. 줄여서 대천(大千), 대천계(大千界), 대천세계(大千世界), 삼천세계(三千世界), 대천국토(大千國土)라고도 한다.
고대 인도인의 세계관에서,수미산(須彌山)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4대주(四大洲)가 있고, 그 바깥 주위를 9산8해(九山八海)가 둘러싸고 있는데 이것이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이며 하나의 소세계(小世界)라 함.
이 하나의 소세계를 천개 모은 것을 하나의 소천세계(小千世界)라 부르고,
이 소천세계를 천개 모은 것을 하나의 중천세계(中千世界),
이 중천세계를 천개 합한 것을 하나의 대천세계(大千世界)라 부른다.
이 대천세계(大千世界)는 천(千)을 3번 모은 것이고, 소천•중천•대천의 3종류의 천세계(千世界)로 이루어지므로 3천세계 또는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고 한다.
*항하사수(恒河沙數) ; 인도 갠지스 강(Ganges江)의 모래와 같은 수(數)라는 뜻으로, 무수히 많은 수량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계(境界) ; ①인과(因果)의 이치(理致)에 따라서, 자신이 부딪히게 되는 생활상의 모든 일들. 생로병사•희로애락•빈부귀천•시비이해•삼독오욕•부모형제•춘하추동•동서남북 등이 모두 경계에 속한다.
②나와 관계되는 일체의 대상. 나를 주(主)라고 할 때 일체의 객(客). ③시비(是非)•선악(善惡)이 분간되는 한계. 경계(境界)에는 역경(逆境)과 순경(順境), 내경(內境)과 외경(外境)이 있다.
*시비(是非) ; ①옳으니 그르니 하는 말다툼. ②이러니저러니 좋지 않게 트집을 잡아서 말함. ③옳고 그름.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의/덩어리 단/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가 홀로(獨) 드러나다(露).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