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4) (게송)약인투득상두관~ / 백종(百種) 우란분재(盂蘭盆齋). 선망부모(先亡父母)의 천도(薦度) / 불설목련경(佛說目連經).
〇백종날은 선망부모를 천도하는 날로 오래전부터서 전해 내려오는 날인데, 일주일 전에 칠석날은 살아 있는 사람의 수명장수와 복덕구족을 비는 그러한 전통 법요식 날이라면, 오늘은 돌아가신 분, 선망부모나 선망 칠세(七世) 부모, 억겁다생(億劫多生)의 선망부모와 또 인연 있는 가족 친척의 모든 영가(靈駕)를 천도하는 그러한 참 뜻깊은 날입니다.
**송담스님(No.454)—91년 하안거해제 법어(91.08.24) (용454)
(1) 약 21분.
(2) 약 10분.
(1)------------------
약인투득상두관(若人透得上頭關)하면 시각산하대지관(始覺山河大地寬)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불락인간분별계(不落人間分別界)하면 하구녹수여청산(何拘綠水與靑山)이리요
나무~아미타불~
약인투득상두관(若人透得上頭關)하면 시각산하대지관(始覺山河大地寬)이다.
만약 사람이 상두관(上頭關)을 뚫어 버리면 비로소 산하대지가 너그러운 줄을 깨달을 것이다. 상두관은 확철대오, 생사 없는 도리를 확철대오 하는 것이어.
그 자기의 본참공안(本參公案), 화두를 타파(打破)해서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깨달아 버리면 산하대지가 너그러운 것을 깨달아. 어디를 가나 걸릴 것이 없고 막힐 것이 없고.
불락인간분별계(不落人間分別界)하면, 인간의 분별계(分別界)에 떨어지지 아니하면,
하구녹수여청산(何拘綠水與靑山)이리요. 푸른 물과 푸른 산에 무엇이 걸릴 것이 있느냐.
분별심. 어디는 좋고 어디는 나쁘고, 어디는 수용(受用)이 좋고, 어디는 공기가 좋고, 어디는 경치가 좋고, 어디는 시끄럽고, 그러한 분별계에 떨어지기 때문에 이리 갈까? 저리 갈까, ‘에이, 저기는 안 좋다더라, 이리가자’
저리 가면 운력(運力)이 많고, 이리가면 수용이 좋고, 그래 가지고 해제를 해 가지고 방부(房付)를 드릴 때가 되면은 그것 때문에 몹시 모다 복잡하다 그말이여.
그런데 화두를 타파해서 분별심만 없다면 동쪽으로 간들 무엇이 걸리며, 남쪽으로 간들 무엇이 걸릴 것이냐.
어느 선방 어느 절에 간다 하더라도 분별심만 떨어져 버리고, 오직 생사(生死)가 무상(無常)한 건 줄만 확실히 느끼고서 정진해 나간다면 어디를 간들 걸릴 것이냐 그말이여.
오늘 신미년 해제일을 맞이했습니다.
이 자리에는 용화사 30명 대중과 보살선원의 160여명의 보살 대중을 비롯해서 용주사 중앙선원 대중 또 전주 위봉사 비구니 선객 대중, 그리고 의정부 회룡사 회룡선원 대중, 그리고 수원의 보명선원 대중,
기타 멀고 가까운 모두 선원이나 사암(寺庵)에서 정진하는 사부대중(四部大衆)들이 이렇게 법보전 안팎에 가득히 운집(雲集)을 했습니다.
이 해제 법요식을 맞이해서 조실 스님의 활구참선(活句參禪) 법문, 활구선을 수행해 나가는 것에 대한 자상한 법문을 녹음을 통해서 설해 주셨습니다.
그리고 오늘은 백일기도 회향에다가 백종(百種) 우란분재(盂蘭盆齋), 선망부모(先亡父母)의 천도(薦度)하는 백종 법요식을 거행하는 날입니다.
이 백종날은 선망부모를 천도하는 날로 오래전부터서 전해 내려오는 날인데, 일주일 전에 칠석날은 살아 있는 사람의 수명장수와 복덕구족을 비는 그러한 전통 법요식 날이라면,
오늘은 돌아가신 분, 선망부모나 선망 칠세(七世) 부모, 억겁다생(億劫多生)의 선망부모와 또 인연 있는 가족 친척의 모든 영가(靈駕)를 천도하는 그러한 참 뜻깊은 날입니다.
어째서 오늘 이 백중날 7월15일 해제날 우리의 선망부모를 천도하게 되었는가?
그것은 부처님 때부터서 부처님의 제자 목련존자(目連尊者)가 부처님의 법력(法力)과 부처님의 지시에 따라서 죄를 짓고 무간지옥(無間地獄)에 떨어져 있는 어머니 청제 부인을 천도하는 그러한 유래가 있은 이래로 오늘날까지 선망부모를 천도하는 날로 전해 내려옵니다.
여러분께서도 잘 아시겠지마는 우란분(盂蘭盆)이란 말은 인도 말인데 구도현(救倒懸), 거꾸로 매달린 것을 구제하는 날이다.
‘무간지옥에 떨어져서 거꾸로 매달려 가지고 참 무서운 고(苦)를 받는 선망부모를 그걸 구제하는 날이다’ 그래서 우란분재인데,
목련존자는 원래 백만장자의 아들로 왕사성에 태어났었는데 그 아버지가 많은 재산을 남겨놓고 돌아가셨는데 그래서 그 청제 부인이라고 하는 어머니와 단둘이 남았습니다. 그래서 이리저리 재산이 차츰 없어지고 삼천 관이 남았어.
삼천 관(三千貫)이라 하면은 요새 돈으로 얼마가 되는지는 모르겠으나, 삼천 관이 남아서 그 천 관은 어머니를 드리면서 ‘이것으로 집안 살림을 꾸려 가시라’ 그러고.
또 천 관은 ‘이것은 돌아가신 아버지를 좋은 곳으로 가시기 위해서 불법승(佛法僧) 삼보(三寶)에 공양(供養)을 올리고 매일 오백 명의 수행하는 스님네들을 초청해다가 공양을 올리도록’ 그렇게 부탁을 하고,
그 다음에 천 관은 ‘자기가 가지고 저 멀리 가서 장사를 해 가지고 돈을 많이 벌어 가지고 오겠습니다’ 그렇게 해서 천 관은 자기가 가지고 가고, 이천 관은 어머니께 맡기고 떠났습니다.
목련존자의 어머니이신 청제 부인은 이천 관이라고 하는 큰돈을 가지고 아들이 떠난 그 다음날부터서 종을 모다 불러다 놓고,
“이제 아들이 떠났다. 그러니 이 재산과 모든 것은 내 권한이고 내 책임이니까, 첫째 너희들이 주의할 것은 승려들이 우리집 앞에 얼씬을 못하게 해라. 와서 나를 교화하려고 하거나, 탁발을 오거나 걸식을 오면은 무조건 몽둥이로 뚜드려 패서 쫓고 그래도 안 가면 때려 죽여라”
그렇게 아주 엄명을 내려 놓고, 그리고서는 날이면 날마다 돼지와 양과 닭과 개 이런 짐승들을 사서, 강아지 모다 그런 것을 사서 모아 가지고 잘 먹여 가지고는,
그놈이 살진 다음에는 그놈을 매달아 놓고 칼로 찔러서 피를 받아서 동이에다 담고, 그리고 그놈을 뚜드려 패서 피를 모아 가지고, 그 피로 무엇을 하느냐 하면은 사교(邪敎), 삿된 종교를 믿어 가지고 제를 지내. 그래야 자기가 부자가 되고 그런다 해 가지고.
근자에 오대양 사건(五大洋事件)으로 그 삿된 종교를 믿어 가지고 모다 사기를 치고, 사람을 모다 자살을 했는지 타살을 했는지 많은 사람을 죽이고 해 가지고 몇 해 전에 있었던 사건인데, 요새 그것이 다시 자수한답시고 뒤집어져 가지고 요새 세상을 참 시끄럽게 하고 있는데 사교를 믿으면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어쨌든지 종교를 믿을라면은 정교(正敎), 정법(正法)을 믿어야지 삿된 종교를 믿으면 저도 죽고 남도 죽이고 사회도 그것으로 인해서 혼란이 일어나고 나라도 망하는 법입니다.
세세생생(世世生生)에 삼악도(三惡途)에 떨어져서 헤어날 길이 없는 것이여. 사교라 하는 것은 그렇게 무서운 것입니다.
그렇게 세월을 지내고 있는데, 그 목련존자는 고향을 떠나가지고 천 관을 가지고 장사를 잘해서 삼천 관이나 돈을 벌어 가지고 고향에 돌아왔어.
돌아오는데 그 먼저 자기 수하를 보내 가지고, 가서 우리 어머니가 내 말대로 살림을 잘 꾸려 나가고 또 날마다 오백 스님네를 청해다가 공양을 올리고 이렇게 잘하고 계시면 내가 이 삼천 관을 가지고 가서 어머니를 모시고 잘살 것이고,
어머니가 그것을 지키지 아니 하시고 잘못하고 계신다면 나는 이 길로 집으로 돌아가지 않고 이 길로 가서 돌아가신 아버지와 어머니를 위해서 이 돈을 다 보시를 하고 공양을 하리라.
그렇게 해서 사람을 보내 보니까 그 (청제 부인의) 종이 멀리 바라보니 그 목련존자와—목련존자는 그때는 목련존자가 아니고 나복(羅卜)인데, 나복이와 같이 떠난 종이 저만큼 온다 그말이여.
그래서 (나복이) 온다고 그 청제 부인한데 말하니까 “그럼 나가서 문을 쳐닫고 못 들어오게 하라”
그래 놓고는 갑자기 모다 돼지, 뭐 매달라 놓은 거 다 치우고 그리고는 그릇이다, 반찬 그릇이다 모두 다 널어놓고 오백 승(僧)을 모셔다가 공양을 올린 것처럼 모다 다 꾸며 놨다 그말이여.
그래 놓고는 (나복의) 종에다가 “여봐라, 내가 내 아들이 떠난 뒤에 3년 동안을 이렇게 오백 승을 청해다가 공양을 올리고 재를 지내고 이렇게 잘했다. 그러니 어서 도련님을 모시고 오너라”
그래 인자 목련존자는 그 종이 돌아올 때까지 기다리고 있는데, 마을 사람들이 와 가지고 “당신 어머니는 당신이 떠난 뒤에 사교를 믿고 살생을 하고, 집에 오는 스님네는 날마다 몽둥이로 뚜드려 패서 죄만 많이 짓고 그랬다” 그러니까 그 말을 듣고 나복이가 거기서 혼절을 해 가지고 넘어졌다 그말이여.
그래 청제 부인은 이제나 올까, 저제나 돌아올까 하고 만단(萬端)의 준비를 해 놓고 기다려도 아들이 안 오니까, 그래 나가 보니 아들이 기절을 해 가지고 땅에 쓰러져 있다 그말이여. 그래서 흔들어 깨웠어.
그래 가지고 “너는 내가 맹세한 것을 잘 들어 봐라. 저 강물이 저렇게 출렁이건만 그 상류에는 반드시 근원이 있는 법이다. 사람을 성공하게 하는 자는 적고, 사람을 망하게 하는 자는 많은 것이니라”
아주 시치미를 뚝 따고, 닭 잡아먹고 오리발을 내놓는 데, 기가 막히다 그말이여.
“내가 만일 네가 집을 떠난 뒤로부터 날마다 너를 위해 오백 승을 청해다가 재를 올리지 않았다면 이제 내가 집에 돌아가자마자 중병에 걸려 가지고 7일 뒤에는 죽어 가지고 무간지옥에 떨어질 것이다. 내가 이렇게 맹세를 해도 못 믿겠느냐?” 그러니까,
목련 존자가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어머니가 저렇게 까지 맹세를 하시니 어머니 말씀이 옳겠지’하고,
집에 가보니까 정말 오백 스님네를 청해다가 공양을 올린 뒤의 반찬 그릇이 늘어져 있고, 음식 그릇이 널어져 있고 숟갈과 그런 것이 모다 있는데, 거판스럽게 모다 큰 잔치한 뒷끝이 분명하다 그말이여.
‘그렇구나! 마을 사람이 공연히 나한테 어머니를 모략(謀略)을 했구나’ 그렇게 생각하고 그리 있는데,
아! 어머니가 갑자기 병이 나더니 중병에 걸려 가지고 7일 뒤에는 돌아가셨다 그말이여.
그래서 참 너무 기가 막혀서 어머니를 갖다가 장례를 잘 지내고, 3년 동안을 시묘(侍墓)살이를 했어.
그 정성을 다해서 어머니가 참 좋은 곳으로 가시기를 축원을 하면서 시묘살이를 하고서 살림을 다 정리해 버리고 그리고 부처님을 찾아가서 출가를 했습니다. 부처님 제자가 되어서 열심히 도를 닦았어.
도를 닦아 가지고 십대제자(十大弟子) 중에 신통제일(神通第一)이 되었어. 십대제자 중에 여러 가지 훌륭한 제자들이 많지마는 신통으로서는 목련존자를 덮을 사람이 없었다.
그렇게 제자가 되었으나 신통으로써 저 천상에를 올라가 보니 ‘틀림없이 거기를 가면 아버지도 거기 계실 것이고 어머니도 거기 계실 것이다’하고 올라가서 보니까 화락천(化樂天)에를 가니 아버지는 거기 계셔서 만났는데 어머니가 없어.
‘그 이상하다’하고 내려와서 부처님께 여쭈니까 “느그 어머니는 죄를 많이 지어가지고 지옥에 가서 있다”
어머니가 죄를 지을 리가 없고, 그래 지옥에 가서 이리저리 다 온갖 지옥을, 팔만 지옥을 다 찾아봐도 어머니를 못 찾어. 그래서 부처님 앞에 다시 와서 여쭤보니까 “너의 어머니는 무간지옥에 가서 있느니라”
무간지옥(無間地獄)에 찾아가서 들어가려고 그러니 어떻게 성벽이 높고 칠중으로 싸여 가지고 도저히 들어갈 수가 없어. 문을 열 수가 없어.
그래서 다시 부처님한테 와서 “어떻게 하면 그 무간지옥을 들어갈 수가 있습니까?”(처음~20분55초)
(2)------------------
“보통 신통으로도 못 들어간다” 부처님께서 가사(袈裟)를 벗어서 주시고 그것을 입게 하고, 당신이 가지고 다니신 육환장(六環杖)을 주어서 “이것을 가지고 가서 지옥문 앞에 가서 3번을 흔들고 3번을 땅을 치면 지옥문이 열릴 것이다”
그래 가지고 가 가지고 그렇게 하니까 자물쇠통이 떨어지면서 지옥문이 열린다.
들어가니까 옥졸들이 나와서 “어떻게 이 문을 열고 들어왔느냐? 아무도 들어올 수가 없는데 어떻게 들어왔느냐?”
“나는 부처님 제자 목련존자다” “부처님이 누구냐?”
“석가모니 부처님으로 이 세상에 제일가는 성현이시다” 그러냐고, “그럼 여기를 뭣하러 왔는고?”
“우리 어머니를 찾으로 왔다” “어머니가 여기에 있는 줄 어떻게 알았느냐?”
“우리 부처님께서 '여기에 있다'고 가르쳐 주셨다”
그래 들어가서 청제 부인을 찾아서 청제 부인이 나왔는데, “당신 아들 목련이 찾아왔는데 그런 아들이 있느냐?” 그러니까 “내 아들은 목련이가 아니다. 내 아들은 중이 된 일도 없고, 목련도 아니다”
그래서 다시 와서 “당신과 같은 아들을 없다고 그런다”하니까, “내가 출가하기 전에는 목련이 아니고 나복(羅卜)이다. '나복'이 아들이고 그 어머니는 '청제 부인'이다”
다시 가서 물어 보니까 그렇다고 그러거든. 그래서 옥졸이 청제 부인을 창으로 이리 찌르고 저리 찌르고 갈쿠리로 턱! 갈빗대에다 걸어서 끌고 나왔다 그말이여.
피투성이가 되어 가지고, 머리는 풀어서 산발(散髮) 해 가지고 도대체 알아 볼 수가 없어. 그래서 자세히 살펴보고 자세히 통성명(通姓名)을 해보니까 분명히 어머니다 그말이여.
이야기도 “내가 이렇게 참 일일일야(一日一夜)에 만사만생(萬死萬生)을 하는 무서운 고통을 받고 있으니 무슨 수를 쓰든지 나를 좀 구해 달라”고 사정을 하는데,
그렇게 주거니 받거니 말도 몇 마디 하지 못하고, 시간이 되었으니까 다시 고문을 받으로 들어가야 한다고 창으로 탁 찍어 가지고 끌고 들어가는데 그 비참하고 참혹한 광경을 볼 수가 없어.
그래서 거기서 머리를 땅에다 짓치면서 목련존자도 유혈이 낭자하도록 땅에다 머리를 치면서 통곡을 했어.
그리고 다시 부처님께 돌아와 가지고 “어떻게 하면 이 우리 어머니를 구제할 수가 있겠습니까?”
“대보살(大菩薩)을 청해다가 대승경전을 읽어라” 그래서 문수보살, 보현보살 그런 대보살을 청해다가 대승경전을 읽으니까 그 지옥문이 열려 가지고 모두가 다 풀려났는데 자기 어머니는 안 풀려나.
그래서 또 다시 부처님께 여쭤서 “어떻게 우리 어머니 찾을 길이 없으니 우리 어머니가 어디로 갔습니까?”
“너의 어머니는 죄가 무거워서 대지옥에서 나와 가지고 소흑암(小黑闇) 지옥에 들어갔다”
“어떻게 하면 또 어머니를 풀려나게 할 수가 있겠습니까?” “또 대보살을 청해다가 대승경전을 읽어라” 또 그대로 했단 말이여. 그러니 소흑암 지옥에서 풀려났는데 또 어머니를 만날 수가 없어.
“어디를 갔습니까?” 부처님께 여쭈니까 “아귀도(餓鬼道)에 떨어졌느니라”
“그럼 아귀도에서 어떻게 하면 구제할 수가 있겠습니까?” “또 대보살들을 청해다가 대승경전을 읽어라” 또 그렇게 하니까 아귀도에서 풀려났는데 신통력으로 찾아 봐도 어머니를 만날 수가 없어.
“우리 어머니는 어디로 갔습니까?” “간신히 풀려나 가지고 이 왕사성 안에 어느 부잣집 개가 되어 가지고 있느니라”
그래 가서 보니 개가 있는데 개가 알아봐. 알아보고 “내가 네 어미 청제다” 그러면서 그렇게 좋아하고 펄떡펄떡 뛰면서 허리를 몸으로 뛰어오르면서 핥아먹고 그런다 그말이여.
그러니 “고통이 어떠냐?”하니까 “이것은 인자 견딜만하다. 뭐 식은 밥도 주고, 고기 뼉다구도 주고 하니 이만하면 살겠다. 무간지옥, 그 무서운 지옥고를 받던 일을 생각하면 치가 떨리고 이가 갈리고 다시는 내가 거기는 갈 마음이 없다. 개만 되어도 이만하면 살겠다” 그러는데 목련존자가 보니 기가 막히다 그말이여.
그래서 부처님한테 와서 “어떻게 하면 저 개 과보(果報)를 받고 있는 우리 어머니를 구제할 수가 있겠습니까?”
“백중날, 7월 보름달 해제를 하고 자자(自恣)회 법회를 열기 위해서 운집한 사부대중을 위해서 대중공양(大衆供養)을 올려라. 백가지 음식과 과일을 잘 장만해 가지고 그 해제를 맞이한 선객(禪客) 스님네께 공양을 올리면 개의 과보를 받고 해탈도를 증득할 것이다”
보통 백중날에는 선망부모를 천도한답시고 이렇게 영단(靈壇)에다가 많은 음식과 과일을 이렇게 올려서 어쨌든지 선망부모를 천도하기 위해서 그렇게 정성을 드리는데 그 정성은 참 감탄할 만 하나,
그 백중날 선망부모를 천도하기 위해서 영가 앞에다가 산더미처럼 쌓아 놓음으로써 영가 천도가 되는 것이 아니고,
해제날, 참선을 하고 해제(解制)하신 스님네께 맛있는 음식과 과일을 공양을 올려야 아귀도에 떨어지거나, 무간지옥에 떨어지거나, 축생도에 떨어진 선망부모를 정말 천도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거여.
그래서 여러 신남신녀(信男信女)들은 백종의 뜻을 잘 알아야 돼. 영단에다 차려 놓는 게 아니야.
물론 영단에도 정성을 다해서 차려 올린 것도 좋지만 첫째는 스님네께 공양을 잘 올려야 해. 맛있는 음식도 가지가지 좋은 음식도 올리고, 맛있는 과일도 올리고 또 여비도 형편 따라서 올리고 이렇게 해서 그 스님네..
어째서 스님네께 공양(供養)을 올려야 하냐 하면은 석 달 동안을 참선을 하시고, 정진을 하시고, 용맹정진을 하셨기 때문에 그 가운데에는 반드시 견성(見性)한 도인(道人) 스님네도 있을 것이고,
설사 확철대오(廓徹大悟)를 못했을망정 업장(業障)이 소멸(消滅)하고 깨끗이 식(識)이 맑아져서 머지않아서 도를 통할 분도 있을 것이다 그말이여.
그리고 모두가 계행(戒行)을 지키면서 최상승법(最上乘法)을 닦았기 때문에 다 무심(無心) 경계에 모다 들어가서,
그러한 스님네께 공양을 올려야 그 공덕으로 무간지옥에 떨어진 선망부모, 아귀도에 떨어진 선망부모, 축생도에 떨어진 선망부모가, 그러한 깨끗한 마음으로 축원을 해 주시고 또 경을 읽어 주시고, 축원을 해 주심으로서 선망부모를 천도할 수 있는 것이다 그거거든.(20분56초~30분35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게송) ‘약인투득상두관~’ ; ①『석문의범(釋門儀範)』 다비문(茶毘文)—쇄골편(碎骨篇) 참고. ②卍新纂續藏經 제65책 《高峰龍泉院因師集賢語錄》 제13권 ‘涅槃法語門—散灰’ 참고.
*상두관(上頭關) ; 조사관(祖師關). 조사의 경지에 이르는 관문(關門), 곧 화두(공안)을 말함.
관문(關門)은 옛날에 국방상으로나 경제상으로 중요한 곳에 군사를 두어 지키게 하고, 내왕하는 사람과 수출입하는 물건을 검사하는 곳이다.
*본참공안(本參公案) : 본참화두(本參話頭).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화두(공안)를 타파(打破) ; ‘참나’를 깨닫게 되고, 불교의 진리를 깨닫게 되고, 우주의 진리를 깨닫게 되는 것.
*본래면목(本來面目 밑 본/올 래/낯 면/눈 목) ; ①자기의 본래(本來) 모습(面目). ②자신이 본디부터 지니고 있는, 천연 그대로의 심성(心性). 부처의 성품.
*분별계(分別界) ; 분별 경계(分別境界).
*분별(分別) ; ①대상을 차별하여 거기에 이름이나 의미를 부여함. 대상을 차별하여 허망한 인식을 일으키는 인식 주관의 작용. ②구별함. ③그릇된 생각.
*경계(境界) ; ①인과(因果)의 이치(理致)에 따라서, 자신이 부딪히게 되는 생활상의 모든 일들. 생로병사•희로애락•빈부귀천•시비이해•삼독오욕•부모형제•춘하추동•동서남북 등이 모두 경계에 속한다. ②나와 관계되는 일체의 대상. 나를 주(主)라고 할 때 일체의 객(客). ③시비(是非)•선악(善惡)이 분간되는 한계. 경계(境界)에는 역경(逆境)과 순경(順境), 내경(內境)과 외경(外境)이 있다.
[참고] 송담스님(No.336)—87년 8월 첫째일요법회(87.08.02)에서.
인간의 분별계(分別界)란 게 무엇이냐?
탐진치 삼독이 인간의 분별계요. 오욕락이 인간의 분별계요. 희로애락이 인간의 분별계요. 생로병사가 인간의 분별계요. 빈부귀천이 인간의 분별계여.
어디에 떨어지거나 인간의 분별계에 떨어졌다 하면 그것이 바로 생사윤회인 것입니다.
*수용(受用) ; (물건을 남에게) 받아 씀.
*운력(運力) ; '함께 힘을 기울인다'는 의미. '많은 사람이 구름같이 모여서 일을 한다'는 의미로 운력(雲力)이라고도 하며, '여러 사람들이 힘을 합하여 하는 일'이란 우리말 '울력'과 같다. 의미와 관계없이 운력(運力)은 사찰에서 대중들이 모여 육체적인 노동을 함께 한다는 뜻.
*방부(房付 방•거처 방/줄•부탁할 부) ; 수행자가 절에 머물며 공부할 것을 인사드리고 허락을 구하는 일.
*사암(寺庵) ; 절과 암자.
*사부대중(四部大衆) ; 불문(佛門)에 있는 네 가지 제자. 곧 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 우바새(優婆塞), 우바이(優婆夷)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참고] 우바새-upasaka의 음역. 속세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남자.(같은 말=靑信士,靑信男,信男,信士,居士,近事男,近善男,善宿男) 원래의 말뜻은 모시는 사람. 받들어 모시는 사람. 우바이-upasika의 음역. 속세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여자. (같은 말=靑信女,近事女,近善女,近宿女)
*운집(雲集 구름 운/모일 집) ; 구름(雲)처럼 모인다(集)는 뜻으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백종(百種) ; 음력 칠월 보름날. 석 달간의 하안거(夏安居)를 마치는 날. 하안거를 마친 수행자들에게 공양을 올리어 그 공덕으로 어머니를 지옥에서 구제한 목련존자의 효심을 기원으로 하는, 우리의 선망부모의 영가를 천도하는 법요식을 거행하는 날(우란분회 盂蘭盆會). 백중(百衆)·백중(百中)이라고도 한다.
불교가 융성했던 신라·고려 시대에는 이날 국가적으로 '우란분회'를 열었으나 조선 시대 이후로 절에서만 여러 가지 음식을 갖추어 재를 올리고, 농가에서는 이날 하루 농번기의 피로를 씻기 위해 머슴을 쉬게 하였다.
*선망부모(先亡父母) ; 금생에 돌아가신 부모 뿐만 아니라 과거 우리의 모든 부모.
[참고] 1984년(갑자년) 칠석차례(No.243) 송담 스님 법문에서.
“선망부모는 저 사람의 선망부모가 곧 나의 선망부모와 같은 것입니다.
영가(靈駕)는 수천만 번 몸을 바꾸면서 나의 조상이 되었다, 김씨네 조상으로 태어났다가, 박씨네 조상으로 태어났다가, 이씨네 조상으로 태어났다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내 부모가 바로 저 사람의 부모고, 저 사람의 부모가 다 내 부모여서, 내 부모를 소중히 아는 사람은 바로 다른 노인들을 다 소중히 여기게 되고, 내 자식이 사랑스런 사람은 또 다른집 아기들도 아껴주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동체대비(同體大悲)라 하는 것입니다.”
*천도(薦度) ; 불교 의례의 하나. 돌아가신 이의 영혼을 부처님과 인연을 맺어 주어 좋은 곳으로 가게 하는 일.
*억겁다생(億劫多生) ; 무한히 길고 오랜 세월 동안 윤회하면서 태어난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생(세상).
*영가(靈駕) ; 돌아가신 이의 영혼을 높여 부르는 말. 영(靈)은 정신의 불가사의(不可思議)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신 자체를 가리키고, 가(駕)는 상대를 높이는 경칭(敬稱)이다.
*존자(尊者) ; ①산스크리트어 āyuṣmat 수행이 뛰어나고 덕이 높은 수행자를 일컫는 말. ②성자. 현자.
*법력(法力) ; ①체득한 달마(法)의 힘. ②가르침의 힘. 불법의 공덕. 불•보살의 위신력(威神力)을 중생에게 떨쳐 이익을 주는 것. 불법수행의 결과 얻은 힘.
*무간지옥(無間地獄) ; 아비지옥(阿鼻地獄)이라고도 함. 아비(阿鼻)는 산스크리트어 avīci의 음사(音寫)로서 ‘아’는 무(無), ‘비’는 구(救)로서 ‘전혀 구제받을 수 없다’는 뜻. 고통이 끊임없으므로 무간(無間)이라 함.
아버지를 죽인 자, 어머니를 죽인 자, 아라한을 죽인 자, 승가의 화합을 깨뜨린 자, 부처의 몸에 피를 나게 한 자 등, 지극히 무거운 죄를 지은 자가 죽어서 가게 된다는 지옥.
이 지옥에 떨어지는 죄인에게는 필파라침(必波羅鍼)이라는 악풍(惡風)이 있는데 온몸을 건조시키고 피를 말려 버리며 또 옥졸이 몸을 붙잡고 가죽을 벗기며, 그 벗겨낸 가죽으로 죄인의 몸을 묶어 불 수레에 싣고 훨훨 타는 불구덩이 가운데에 던져 넣어 몸을 태우고,
야차(夜叉)들이 큰 쇠 창을 달구어 죄인의 몸을 꿰거나 입, 코, 배 등을 꿰어 공중에 던진다고 한다. 또는 쇠매(鐵鷹)가 죄인의 눈을 파 먹게 하는 등의 여러 가지 형벌로 고통을 끊임없이 받는다고 한다.
*삼보(三寶) ; 부처님(佛寶)과 부처님의 가르침(法寶)과 그 가르침에 따라 수행하는 집단(僧寶)의 3가지를 보배에 비유한 말. 삼보(三寶)에 귀의하는 것은 불교도로서의 기본적인 조건이다.
*공양(供養) ; ①불(佛)•법(法)•승(僧)의 삼보(三寶)에 음식•옷•꽃•향 등을 바침. ②공경함. 찬탄함. 칭송함. 예배함. ③봉사함. ④절에서 음식을 먹는 일.
*사교(邪敎 간사할 사, 가르칠 교) ; ①부정한 가르침. 외도(外道)의 가르침. ②사회에 해를 끼치는 나쁜 짓을 가르치는 종교.
*오대양 사건(五大洋事件) ; 1987년 8월 29일에 경기도 용인군 남사면 북리의 오대양 공예품 공장에서 오대양의 사주이자 교주인 박순자와 그 가족과 신도들 32명이 집단 변사한 사건.
*정교(正敎) ; ①부처님의 바른 가르침. ②불교의 전적(典籍, 서책書冊).
*정법(正法) ; ①올바른 진리. ②올바른 진리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③부처님의 가르침이 올바르게 세상에 행해지는 기간.
*세세생생(世世生生) ; 많은 생애를 거치는 동안. 태어날 때마다. 세세(世世)토록.
*삼악도(三惡途) : 삼악취(三惡趣)라고도 하며 지옥, 아귀, 축생을 말한다。죄악을 범한 결과로 태어나서 고통을 받는 곳으로 즉 지옥의 고통과, 아귀의 굶주림과, 축생의 우치에서 방황하게 된다는 것이다.
*시치미를 떼다[따다] ; (사람이) 매를 훔친 사람이 시치미를 떼어 내고 자기 매인 것처럼 행세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하고도 짐짓 하지 않은 체하거나 알고도 모르는 체하다.
'시치미'는 매의 주인를 밝히기 위해 주소를 적어서 매의 꽁지 털 속에 매어 둔 네모난 뿔을 이르는 말.
*시묘살이(侍墓-- 모실 시, 무덤 묘) ; 죽음에 대한 의례(儀禮)로서,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자식이 탈상(脫喪, 상喪을 마치고 상복을 벗는 일)을 할 때까지 3년간을 무덤 옆에서 막(幕)을 짓고 산소를 돌보고 사는 일.
*십대제자(十大弟子) ; 석가모니의 제자 중 수행과 지혜가 뛰어난 10명을 이르는 말.
①사리불(舍利弗) : 산스크리트어 śāriputra의 음사. 마가다국(magadha國)의 바라문 출신으로, 지혜가 뛰어나 지혜제일(智慧第一)이라 일컬음. 원래 목건련(目犍連)과 함께 육사외도(六師外道)의 한 사람인 산자야(sañjaya)의 수제자였으나 붓다의 제자인 앗사지로부터 그의 가르침을 전해 듣고, 250명의 동료들과 함께 붓다의 제자가 됨. 붓다보다 나이가 많았다.
②목건련(目犍連) : 산스크리트어 maud galyāyana의 음사. 마가다국(magadha國)의 바라문 출신으로, 신통력이 뛰어나 신통제일(神通第一)이라 일컬음. 원래 산자야(sañjaya)의 수제자였으나 사리불(舍利弗)과 함께 붓다의 제자가 됨. 붓다보다 나이가 많았다.
③가섭(迦葉) : 산스크리트어 kāśyapa의 음사. 마가다국(magadha國) 출신으로, 엄격하게 수행하여 두타제일(頭陀第一)이라 일컬음. 결혼했으나 아내와 함께 출가하여 붓다의 제자가 됨. 붓다가 입멸한 직후, 왕사성(王舍城) 밖의 칠엽굴(七葉窟)에서 행한 제1차 결집(結集) 때, 그 모임을 주도함.
④수보리(須菩提) : 산스크리트어 subhūti의 음사. 사위국(舍衛國)의 바라문 출신으로, 공(空)의 이치에 밝아 해공제일(解空第一)이라 일컬음. 그래서 공(空)을 설하는 경(經)에 자주 등장하여 설법함.
⑤부루나(富樓那) : 산스크리트어 pūrṇa의 음사. 바라문 출신으로, 설법을 잘 하여 설법제일(說法第一)이라 일컬음. 녹야원(鹿野苑)에서 붓다의 설법을 듣고 그의 제자가 됨. 인도의 서쪽 지방에서 붓다의 가르침을 전파하다가 거기에 입적함.
⑥아나율(阿那律) : 산스크리트어 aniruddha의 음사. 붓다의 사촌 동생으로, 붓다가 깨달음을 성취한 후 고향에 왔을 때, 아난(阿難)·난타(難陀) 등과 함께 출가함. 통찰력이 깊어 천안제일(天眼第一) 이라 일컬음.
⑦가전연(迦旃延) : 산스크리트어 kātyāyana의 음사. 인도의 서쪽에 있던 아반티국(avanti國)의 크샤트리야 출신으로, 왕의 명령에 따라 붓다를 그 나라로 초청하기 위해 찾아갔다가 출가함. 깨달음을 얻은 후 귀국하여 붓다의 가르침을 전파함. 교리에 밝아 논의제일(論議第一)이라 일컬음.
⑧우바리(優波離) : 산스크리트어 upāli의 음사. 노예 계급인 수드라 출신으로 석가족의 이발사였는데, 아난(阿難)·난타(難陀)·아나율(阿那律) 등이 출가할 때 같이 붓다의 제자가 됨.
계율에 엄격하여 지계제일(持戒第一)이라 일컬음. 붓다가 입멸한 직후, 왕사성(王舍城) 밖의 칠엽굴(七葉窟)에서 행한 제1차 결집(結集) 때, 계율에 대한 모든 사항을 암송함으로써 율장(律藏)의 성립에 크게 기여함.
⑨나후라(羅睺羅) : 산스크리트어 rāhula의 음사. 붓다의 아들. 붓다가 깨달음을 성취한 후 고향에 왔을 때, 사리불(舍利弗)과 목건련(目犍連)을 스승으로 하여 출가함. 지켜야 할 것은 스스로 잘 지켜 밀행제일(密行第一)이라 일컬음.
@아난(阿難) : 산스크리트어 ānanda의 음사. 붓다의 사촌 동생으로, 붓다가 깨달음을 성취한 후 고향에 왔을 때 난타(難陀)·아나율(阿那律) 등과 함께 출가함. 붓다의 나이 50여 세에 시자(侍者)로 추천되어 붓다가 입멸할 때까지 보좌하면서 가장 많은 설법을 들어서 다문제일(多聞第一)이라 일컬음.
붓다에게 여성의 출가를 3번이나 간청하여 허락을 받음. 붓다가 입멸한 직후, 왕사성(王舍城) 밖의 칠엽굴(七葉窟)에서 행한 제1차 결집(結集) 때, 아난이 기억을 더듬어 가며 “이렇게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붓다께서는……”이라는 말을 시작으로 암송하면, 여러 비구들은 아난의 기억이 맞는지를 확인하여 잘못이 있으면 정정한 후, 모두 함께 암송함으로써 경장(經藏)이 결집됨.
------------------(2)
*가사(袈裟) ; 스님이 장삼 위에,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 입는 법의(法衣).
*육환장(六環杖) ; 산스크리트어 khakkhara 수행승의 지팡이. 머리 부분에 주석(朱錫)으로 된 큰 고리가 있고, 거기에 여섯 개의 작은 고리가 끼워져 있어 흔들면 소리가 난다.
산길을 갈 때 흔들어 짐승이나 해충을 쫓고, 걸식할 때 흔들어 자기가 온 것을 알린다. 석장(錫杖)이라고도 한다.
*아귀도(餓鬼道) ; 육도(六道,六途)의 하나. 재물에 인색하거나 음식에 욕심이 많거나 남을 시기·질투하는 자가 죽어서 가게 된다는 곳으로, 늘 굶주림과 목마름으로 괴로움을 겪는다고 함.
*과보(果報) ; 인과응보(因果應報, 전생에 지은 선악에 따라 현재의 행과 불행이 있고, 현세에서의 선악의 결과에 따라 내세에서 행과 불행이 있는 일).
*자자(自恣 스스로 자, 마음대로 자) ; 안거(夏安居)가 끝나는 날에 수행자들이 한곳에 모여 자신의 잘못을 고백(告白)하고 참회(懺悔)하는 의식.
*대중공양(大衆供養) ; ①수행자에게 음식을 올리는 일. ②대중이 함께 식사하는 일.
*선객(禪客 참선 선, 손님•사람 객) ; 참선 수행을 하는 사람.
*영단(靈壇) ; 영가의 위패를 두는 단(壇).
*해제(解制 풀 해/만들•법도 제) ; ①(안거)를 마침. ②재계(齋戒)하던 것을 그만두고 풂.
*신남신녀(信男信女) ; 불교에 귀의한 재가의 남자 신도와 여자 신도를 말한다.
*견성(見性) : '성품[性]을 본다[見]'는 말인데 '진리를 깨친다'는 뜻이다。자기의 심성을 사무쳐 알고, 모든 법의 실상인 당체(當體)와 일치하는 정각(正覺)을 이루어 부처가 되는 것을 견성 성불이라 한다.
*도인(道人) ; 깨달은 사람.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업장소멸(業障消滅) ; 전생(前生)이나 금생(今生)에 행동·말·마음(신구의,身口意)으로 지은 악업(惡業)으로 인하여 이 세상에서 생긴 장애(障礙)가 사라져 없어짐.
*식(識) ; 산스크리트어 vijñāna 팔리어 viññāṇa 대상을 식별하고 판단하는 마음 작용. 인식 작용. 인식 주관.
이 식에 관하여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6식설(六識說)·8식설(八識說)·9식설(九識說)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계행(戒行) ; ①계(戒)를 지켜 수행하는 것. ②계율과 도덕.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무심(無心) ; 모든 마음 작용이 소멸된 상태. 모든 분별이 끊어져 집착하지 않는 마음 상태. 모든 번뇌와 망상이 소멸된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