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자(學者)가 활구참선(活句參禪)을 하되, 활구(活句)—말 길이 끊어지고, 이치 길이 끊어지고, 더듬어 알아들어 갈 것이 끊어져서, 그 공안(公案)을 마치 불덩어리와 같이 생각을 해. 큰 불덩어리는 가까이 가면은 내 몸이 순식간에 타버릴 것입니다. 그래서 이 불덩어리라 하는 것은, 큰 무서운 큰 불덩어리는 도저히 가까이 갈 수가 없어. 가까이만 갔다 하면은 찰나간에 옷에 불이 붙고 얼굴이 확 타버릴 테니까.
그래서 이 공안 앞에는 무불법조착지처(無佛法措着之處)여. '부처다, 법이다' 그러한 소견(所見)을 거기다 갖다가 붙일 수가 없는 것이여. 다만 알 수 없는 큰 의심! 의심(疑心)만이 독로(獨露)해서 그 의심이 어떻게 간절(懇切)하던지 하늘에 뻗질러.
이렇게 하루하루를 야무지게 단속(團束)을 해 나가면, 그렇게 해서 일구월심(日久月深)하면, 행주좌와(行住坐臥) 어묵동정(語默動靜) 간에 그렇게 간절하게 간절하게 단속을 해 나가면,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떠억 현전(現前)하게 될 때가 오는 것입니다. 그때 성성(惺惺)하고 적적(寂寂)한 그 경계는 말로써 표현을 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그러한 경지(境地)가 온다 하더라도 기뻐하는 마음을 내지 말고, 중단함이 없이 딴생각 내지 말고 계속해서 알뜰히 잘 단속을 해 나가면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할 때가 오는 것입니다.
의단(疑團)을 타파(打破)해. 통 밑구녘 빠진 것처럼 의단을 타파하면, 백천법문(百千法門)과 무량묘의(無量妙義)를 구(求)하지 아니해도 일찰나(一刹那) 간에 확연(廓然) 터득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역대조사(歷代祖師)가 다 그렇게 해서 대도(大道)를 성취하신 증거가 낱낱이 다 분명(分明)한 것이니, 조급한 생각을 먹지 말고, 두려운 지루한 생각도 먹지 말고, '공부가 잘된다, 못 된다' 이러한 생각도 내지 말고, 조끔 잘된다고 좋아하는 마음도 내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답답하고 영 공부가 잘 안되고 화두가 들리지를 않고 그렇다 하더라도 번뇌심(煩惱心)을 내지 말고, 한 생각 한 생각을 알뜰히 단속해 나가서 석 달 동안이 아주 하루같이 이렇게 해주시기를 부탁을 드립니다.
운변천첩장(雲邊千疊嶂)이요 난외일성천(欄外一聲川)이다. 구름 가에는 천첩(千疊), 천 겹이나 쌓인 산이요, 울타리 밖에는 한 소리 시냇물이더라. 구름이, 구름이 자욱이 낀 밖에는 천첩(千疊)이나 쌓이고 쌓인 산이 둘러싸여 있고, 담장, 울타리 담장 밖에는 한 시냇물이 소리를 내면서 흘러가고 있더라.
약불연순우(若不連旬雨)하면, 만약 열흘이 넘도록, 열흘 동안이나 계속해서 비가 오지 아니했다면, 나지제후천(那知霽後天)이리오. 어찌 비 개인 뒤에 저 새파란 하늘을 볼 수가 있겠는가. 열흘 동안이나 지루한 장마가 계속이 되어서 비가 와서 구름이 꽉 끼었다가 그 구름이 쏵 벗거지니까 정말 새파랗게 트인 하늘을 이렇게 감상 깊게 볼 수가 있더라.
더운 여름, 정말 애써서 정진을 하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아니하고 정말 알뜰히 알뜰히 정진을 하면, 석 달이 지난 뒤 7월 해제(解制)가 되어서 정말 새파란 고운 하늘을 보게 될 것입니다. (34분3초~42분10초) (끝)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700여 개의 ‘참선 법문(法門)’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 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 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그리고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도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700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
한서상경방대광(寒暑相更放大光)헌디, 춥고 더운 거, 겨울이 되았다 여름이 되았다 한 춥고 더운 것이 서로 바뀌되 항상 대광명(大光明)을 놓더라. 하늘에 달은 겨울이 돌아와도 밝고 여름이 돌아와도 밝고, 하늘에 해와 달은 춘하추동(春夏秋冬)이 상관없이 항상 대광명을 놓더라.
그러니, 막언영악조동방(莫言靈嶽照東方)이여. 이 산은 신령스러운 산이라, 여기만 이 동방(東方)에만 햇빛이나 달빛이 비친다고 하지를 말아라. 북쪽이나 남쪽이나 동서남북 가릴 것 없이 어디에나 해와 달은 한결같이 비추니 거기만 햇빛이나 달빛이 비친다고 하지를 말아라.
일조계설대선설(一條溪舌帶宣說)이여. 한 줄기 시냇물이 선명묘법(宣明妙法)이여. 잘 그 최상승법(最上乘法)을 설(說)하더라 그 말이여. 시냇물 졸졸졸 흘러가는 그 시냇물을 혀로 해서 『화엄경(華嚴經)』을 설하고 계신다 그 말이여. 그러니, 하처강산부도량(何處江山不道場)고. 어느 곳 어느 강산인들 도량(道場)이 아니겠느냐? 도 닦는 곳이 아니겠느냐?
이 게송은 소요(逍遙) 스님의 게송(偈頌)입니다.
오늘 을축년 삼동 결제(三冬結制) 해제일(解制日)을 맞이했습니다. 그리고 백일기도 회향 법요식도 함께 거행이 되는 것입니다. 석 달 동안 안거(安居)를 오늘로 끝마치고 해제를 하게 되면, 스님네는 또 다른 선지식과 도반과 도량을 찾아서 운수행각(雲水行脚)을 떠나시게 됩니다. 물론 떠나지 않고 눌러서 정진하신 스님네도 계시겠지마는, 옛날부터서 해제를 하면 다 걸망을 지고 또 어느 곳 강산과 선지식과 도반을 따라서 떠나는 그러한 풍습이 있습니다. 어디를 가시든지 발걸음 디딘 곳마다, 걸망을 내려놓는 곳마다, 바로 그 곳이 도(道) 닦는 선방(禪房)이요, 도량이요, 부처님의 상주설법(常住說法)을 듣는 영산회상(靈山會上)이라는 것입니다.
어느 한 곳만이 제일 좋고 또 다른 곳은 좋지 않고 그런 것이 아닙니다. 당인(當人)의 신심과 마음가짐에 따라서는 천당을 가거나 지옥에 가거나 육도법계(六道法界) 어디를 가든지 매한가지인 것입니다. 어느 곳이라고 부처님의 설법(說法)이 없는 곳이 없고, 어느 곳이라고 해서 불보살, 살아계신 불보살(佛菩薩) 계시지 아니한 곳이 없는 것입니다. 다 중생의 시비(是非) 분별심으로 보니까 좋고 나쁜 곳이 있고 그렇지, 부처님의 진리에 입각해서 보면 버리고 취(取)할 것이 없고, 친(親)하고 먼 것이 없는 것입니다.(처음~6분59초)
(2)------------------
해제(解制)를 했으니 이제 댁에로 돌아가시고 또 산철 결제에 방부를 들이신 분은 또 와서 두 달간 하시게 되겠습니다마는, 댁에 계시던지 절에 와서 방부를 들이시고 하시던지 그것이 그렇게 큰 문제가 아니고, 댁에서는 댁에서 대로, 또 오시는 차중(車中)에서는 차중에로, 이 도량에 들어서면 들어오신 대로, 댁에서도 공양을 잡술 때나, 손자를 갖다가 희롱하실 때나, 그것도 상관이 없습니다. 언제 · 어디서 · 무엇을 하시던지 딱! 한 생각을 돌이켜서 화두를 거각(擧却)을 하신다면 바로 댁에 계신 그 댁이 선방(禪房)이 되는 것입니다.
결국은 이 한 생각이, 단속을 하면 도량(道場)이 되고, 한 생각을 방일(放逸)해 그냥 놓아 버리고 범연히 지내면은 그것이 해태굴(懈怠窟)이 되는 것입니다. 한 생각 놓아 버리고 해태한 데에는 온갖 마구니가 그 틈을 타서 들어오게 되는 것이니 만큼, 그 한 생각만 단속을 하시면 거기에 뭐 마구니가 들어올 수도 없고 삼재팔난(三災八難)도 들어올 수가 없는 것입니다. 댁에서 시비와 근심과 걱정과 슬픔과 성냄, 그러한 그 중생의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온갖 풍우(風雨), 바람 불고 비 오는 그리고 파도치는 그러한 속에서, 떠억 앉었다 섰다 누웠다 거닐다 하는 그러한 속에서 화두(話頭)를 단속하고 그 가운데 화두가 성성(惺惺)하도록 잡드리를 하신다면, 바로 그렇게 하기 위해서 여기 와서 방부를 들이게 되는 것입니다.
차 소리 '뛰-' 하는 소리가 나면 그 소리가 바로 죽비 소리고, 손자가 '빽-' 하고 우는 소리가 바로 그 소리가 이 법문(法門)이고, '이러쿵저러쿵 시비하는 소리가 바로 그것이 다 활구법문(活句法門)이라' 이리 생각하고, 그 소리를 듣자마자 화두를 떠억 거각을 하신다면. 또 며느리나 딸이나 손자가 할머니 말을 잘 안 듣고 뭐라고 말대꾸를 하고 그러면 속이 상하지요. 그러지마는 속상할 겨를도 없이 터억 화두를 들고 껄껄 웃으면서 그런 데에 조끔도 마음이 동요가 되지 않고 화두가 성성(惺惺)하게 들어진다면 그분이 얼마나 그 수행력(修行力)이 생긴 거냐 그 말이여. 그게 바로 자기의 수행력을 그런 데에서 시험을 해 보고, 그런 데에서 한 걸음 한 걸음 향상되어 가는 것을 스스로 점검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지금 여기에 비구 · 비구니 모다 여러 수좌 스님네들이 원근에서 모다 정진들을 하시다가 해제라 해서 이렇게 모다 많이 모이셨는데, 스님네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앞으로 산철 동안, 또는 산철 결제를 하시더라도 이 산철 동안에—이제 그 추운 겨울도 지났고, 앞으로 더운 여름도 아직 돌아오지 아니한 이 춥지도 덥지도 않는 이런 좋은 계절에 정말 이 마음껏 정진을 하시되, 아까 보살님네한테 말씀드린 바와 같이 규범에, 엄격한 규범에 얽매이지 아니했으되 스스로 항상 근엄하고 경건한 마음으로—어느 강변을 지나시든지, 어느 산기슭을 지나시든지, 어느 들녘이나 어느 산중에 처하시게 되더라도 항상 성성(惺惺)하고 적적(寂寂)하게 화두를 잡드리해 가신다면, 오히려 결제 중에 꼼짝달싹 못 한 그런 규칙 속에 있는 것보다도 더 정진이 활발(活潑)하게 잘 되실 수도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근기(根機)가 약하니까 자진해서 그러한 규범에 얽매이기를 바래고, 그런 규범 속에서 모두가 함께 규칙 생활을 함으로써 스스로 항상 잠깐 동안도 방일(放逸)을 하지 않도록 그러자고 결제를 하고 이렇게 모다 방부를 들이고 그렇게 지내고는 있습니다마는, 참으로 공부에 득력(得力)을 해서 일체처 일체시에 순일무잡(純一無雜)해서 힘을 더는 경계라면 그 동서남북 어데를 가시나 걸림이 없을 것이고, 상관이 없으리라고 생각을 합니다.(19분53초~26분1초)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700여 개의 ‘참선 법문(法門)’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 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 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그리고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도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700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
§((217)) (게송)남북동서무정착~ /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 새로 닦고 새로 깨달을 것이 없이 진묵겁 전에 다 성불(成佛)해 마쳐 가지고 있는 것 / 왜 본래성불(本來成佛)인데, 무엇 때문에 우리는 무량겁을 두고 생사윤회를 하느냐?
급히 흘러가는 여울물에 배를 갖다가 대는 거와 같이 정진해야 / 대분심과 대신심과 대의단을 가지고 심원(心猿)과 의마(意馬)를 때려죽임으로써 망상진로(妄想塵勞)를 제거해야 / 사량계교와 겨우 체중현(體中玄) 도리, 그러한 얻은 바를 가지고 생사 문제를 당적(當敵)할 수 없다. 현중현(玄中玄) 도리에 나아가야 / 구경(究竟)의 깨달음.
(게송)차신성고취~ / 삼계(三界)가 화택(火宅) / 무기(武器)가 순 그게 불덩어리 / 이 세상에 태어나지 아니한 셈 치고 목숨을 바쳐서 해야만 이 일대사(一大事) 문제는 해결이 나는 것 / (게송) 천고무인문~.
남북동서무정착(南北東西無定着)한디 생애지재일지공(生涯只在一枝筇)이로구나. 동서남북 정처가 없어. 출가해서 걸망을 지고 도반과 선지식을 찾아서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을 요달하기 위해서 행각을 하는 분상에는 동서남북 정착(定着)함이 없어. 생애(生涯)는 지재일지공(只在一枝筇)이여. 오직 주장자 하나에 온 생애를 다 맽겨버렸다 그 말이여. 주장자가 동쪽으로 행하면 동쪽으로, 금년 여름에는 동쪽에서 지내다가 겨울철에는 북쪽으로 가고, 북쪽으로 갔다 남쪽으로 갔다 동쪽으로 갔다 서쪽으로 갔다, 주장자 하나로 생애를 맽겼는데.
설두세작연하미(舌頭細嚼煙霞味)여. 무엇을 먹고 사느냐? 무슨 음식을 먹고서 영양을 섭취해 가지고 이 생애를 끌고 가느냐? 연하(煙霞), 안개와 연기를 씹어서 먹고 거기에서 영양을 섭취한다. 어느 산 어느 골짜기에도 안개는 끼고, 끼어 있는 그 안개를 먹고 살지, 쌀이나 콩이나 팥이나 무슨 고기나 그러한 세속에서 말하는 영양 있는 그것을 먹고 사는 것이 아니다 그 말이여. 왜 그러냐?
하루 세끼 밥을 먹되 맛없는 밥을 먹고, 옷을 입되 한 오리도 걸칠 것이 없이, 그러기 때문에 밥을 먹되 쌀이 없는 밥을 먹고, 옷을 입되 실오라기가 없는 그런 옷을 입고, 그리고 먹는 것은 연하(煙霞), 자욱이 아침에 끼었다 낮에는 또 벗거지고, 다시 해가 저물면 또 끼었다가 또 벗거지고 하는 그 자욱한 안개를 먹고 산다. 이 안개라고 하는 것은 생사(生死) 요달(了達)을 하기 위해서 입으로 물질로 된 그것을 먹고 이 영양을 섭취한 것이 아니라, 사량분별(思量分別)로 따져서는 알 수 없는 공안 화두에 대의심(大疑心) 그놈 하나로 그놈에다가 나에 온갖 정성과 온갖 분심(憤心)과 생명을 거기다가 걸고, 먹어도 먹은 줄을 모르고 추워도 추운 줄을 모르고 더워도 더운 줄을 모르고 오직 그 의단(疑團) 하나에 생명을 걸고 살아가기 때문에 그것이 바로 연하(煙霞)를 먹고 산다.
그래 가지고 직입천봉갱만봉(直入千峰更萬峰)이다. 천봉(千峰), 바로 천(千) 봉아리 속을 향해서 들어가고 다시 또 만(萬) 봉아리를 향해서 간다. 하루를 그렇게 지내고, 이틀을 그렇게 지내고. 그 수없는 것을 보고, 수없는 것을 듣고, 수없는 생각이 일어나는 그것들이 모다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를 통해서 우리 앞에 제출되는 모든 것은 바로 그것이 천 봉오리고 만 봉오리다 그 말이여. 그 봉오리 봉오리 넘을 때마다 거기에서 피렴심(疲厭心)도 느끼지 아니하고, 소득심(所得心)도 갖지를 아니하고, 만족심도 갖지 아니하고, 오직 한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해서 그 의단을 향해서 목숨을 걸어가는 데에다가 비유하는 게송입니다.
오늘은 계해년 가을 산철 해제일을 맞이했습니다. 금방 전강 조실 스님의 녹음법문을 통해서 수행 납자(衲子)가 어떠한 마음가짐으로 어떻게 정진을 해 가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 너무 감격스럽게 법문을 들었습니다. 이 자리에는 용화사 선방대중과 또 도봉산 원효암 대중 그리고 여러 용화사 모다 돈독히 조실 스님의 법을 믿고 정진하는 신도 여러분도 참석을 하셨습니다. 그리고 오늘 특히 5재 천도식을 맞이한 민병태 영가를 위해서 좋은 법문을 설해 달라고 하는 부탁을 받았습니다.
언제나 이 용화사 법보선원 이 법요식에는 사부대중은 말할 것도 없고, 이 법보전(法寶殿, 현 대웅전)에 만년위패 법보제자 영가들도 동시에 청혼(請魂)을 해서 이 법요식에 법문을 듣도록 마련이 되어 있습니다마는, 특히 이 5재를 맞이한 민병태 영가는 이 해제 법문을 잘 듣고, 과거 무량겁에 지은 선(善) · 악(惡) · 무기(無記)에 업연(業緣)이 봄눈 녹듯이 녹고, 온갖 원한을 다 풀어 버리고 도솔천내원궁이나 또는 극락세계에 왕생을 하고, 다시 이 사바세계(娑婆世界)에 인연이 있어서 인도환생(人道還生)을 하게 되면 다시 불법문중(佛法門中)에 귀의해서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을 요달해서 무량중생을 제도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만약 이 일대사인연, 일대사인연의 근원을 살펴볼 거 같으면 사람 사람이 본래 다 갖춰져 있는 것이여. 본래 갖춰져 있을 뿐만 아니라, 낱낱이 다 원만(圓滿)하게 다 이루어져 있는 것이여. 새로 닦고 새로 깨달을 것이 없이, 닦지 않고 깨닫기 이전에 진묵겁 전에 다 성불(成佛)해 마쳐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 말이여. 그래서 주먹을 피어서 손바닥을 만들고, 그 손바닥을 다시 쥐어서 주먹을 만들고 한 것처럼 조끔도 힘을 들일 것이 없어.
따라서 눈으로 보는 것은 전부가 다 『화엄경』이요, 귀로 듣는 것은 전부가 다 법문(法門)이요,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를 통해서 작위(作爲)하는 모든 행동은 다 그것이 불사(佛事)요. 무엇은 좋고 무엇은 나쁘고 그런 것이 아니라, 보고 듣고 행하고 느끼고 하는 그리고 말하고 냄새 맡고 하는 주관적인 것이나 객관적인 것이 전부가 다 부처님의 일이요, 부처님의 불사요, 설법이요, 경전이요.
그래서 부처와 조사(祖師)가 이 세상에 출현하셔서 중생을 위해서 법을 설하시고,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먼저 수행을 해서 닦아 가지고 깨달은 뒤에 중생을 제도한다고 할 때에 부처와 조사의 허물이 거기에 있는 것입니다.(처음~15분)
(2/3)----------------
그러나 원래 원만하게 이루어져 있고 새로 닦을 것도 없고 깨달을 것도 없건마는, 우리는 심(心), 마음이, 마음의 원숭이[心猿]가 나부대고, 뜻의 말[意馬]이 날뛰는 바람에 탐진치(貪瞋癡) 삼독(三毒)의 종이 되어 가지고 망령되이 인아상(人我相)을 내고, 일어나는 생각,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냄새 맡고, 혀로 맛보고, 몸으로 느끼고 그럴 때마다 얼음 위에다가 물을 찌뜨린 거와 같애서 점점 얼음덩어리는 커 가고 있는 것입니다.
왜 본래성불(本來成佛)인데, 무엇 때문에 우리는 무량겁을 두고 생사윤회를 하느냐? 그래 가지고 한 생 한 생 거듭될 때마다 업(業)은 점점 더 깊어지고 얽히고설켜서 자기의 영광(靈光), 자기의 신령스러운 빛은 그 업(業)으로 인해서 가리워져 가지고 캄캄한 칠통(漆桶) 칠야삼경(漆夜三更)처럼 되어 가서 영원히 헤어날 길이 없는 까닭은 무엇이냐?
사람을 만나지 못한 탓으로, 첫째는 그 문제를 해결할 자신, 자기라고 하는 사람을 만나지를 못했고, 둘째는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바른길을 가리켜 줄 수 있는 본분작가(本分作家)를 만나지 못한 탓으로 우리는 이렇게 본래 불보살(佛菩薩) 불조(佛祖)와 조끔도 차등이 없는 그러한 불성(佛性)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일대사(一大事)를 요달치 못하고 오늘날까지 이렇게 무량겁을 생사(生死)의 고해(苦海) 속에 빠져서 와서, 금생에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다시 또 미래제(未來際)가 다하도록 생사의 윤회는 끄칠 날이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무쇠로 지어 붓은 그러한 굳은 결심과 의지를 가진 사람이 아니면 이 문제는 해결하기가 어렵다 이것입니다. 대분심과 대신심과 대의단을 가지고, 이 생사윤회를 계속 치성하게 만들고 있는 우리의 마음속에 원숭이와 뜻 속에 말, 그 원숭이와 망아지를 때려잡어야 하는 것입니다. 심원(心猿)과 의마(意馬)를 때려죽임으로써 망상진로(妄想塵勞)를 제거해야 하는데 그 일이 얼마만큼 어려우냐 하면, 급히 흘러가는 그 급수(急水), 급히 흘러가는 여울물에 배를 갖다가 대는 거와 같애. 물결이 세지 아니한 데 배를 띄우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나, 물살이 센 데다가는 물살 따라서 배도 따라서 흘러 내려갈려고 하기 때문에 거기에다가 배를 댄다고 하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이냐 그 말이여.
그래서 위태로운 것도 돌아보지 아니하고, 인아(人我) 시비(是非)도 돌아보지 아니하고, 밥 먹고 옷 입은 것도 돌아보지 아니하고, 오직 염념상속(念念相續)해서 잠깐도 한눈팔 겨를이 없이 발에다가 힘을 주고 버티면서 그 배를 대는 데, 잠깐 사이도 딴생각을 낼 겨를이 없다. 어떠한 사람이 머리를 내 머리를 짤라 가고, 손발을 짤라 가고, 심장과 간장을 도려내서 죽음에 이르른다 할지라도 이 배를 기어코 댈려고 하는 그 마음을 쉬지 아니한 것처럼, 이러한 정도로 정진을 지어가지 아니한다면 어찌 공부를 한다고 할 수가 있겠는가.
말법에 이르러서 성현 가신 때가 멀어. 말세(末世)가 되어 가지고 이 정법(正法)을 믿는 마음이 철저하지를 못해 가지고, 화두를 타 가지고 정진을 한다 할지라도 이리저리 사량분별로 따지고, 보고 듣고 알고 그러한 마음속에 그러한 것으로써 살림을 삼아 가지고, 금년도 이럭저럭 또 내년도 이럭저럭 한 철 한 철, 철은 지나가지만, 정진 속에 사량계교(思量計較)와 천착(穿鑿)으로써 세월을 보내는 그러한 수행은 안광(眼光)이 땅에 떨어질 때에 참으로 그것을 그러한 정진력을 써먹을 수가 있느냐?
사량계교와 겨우 체중현(體中玄) 도리, 그러한 얻은 바를 가지고 생사 문제를 당적(當敵)할 수 있다면 세존(世尊)은 무엇 때문에 6년 동안에 설산(雪山) 고행을 하셨으며, 달마대사는 소림(少林)에서 9년 동안을 왜 묵무언(默無言) 하셨으며, 장경(長慶)선사는 7개 포단(七個蒲團)을 앉아서 뚫었으며, 향림(香林)은 왜 40년에사 타성일편(打成一片)을 했으며, 조주(趙州)는 30년에사 부잡용심(不雜用心)을 한 필요가 있겠느냐.
이 참선은 한 철 두 철 열심히 하면 이 사량분별이 끊어지고 번뇌 망상이 없어지고, 이 몸뚱이가 이 세상에 있는 것마저도 잊어버려. 그래 가지고 시간 가는 줄을 모르고 밥 먹되 밥맛을 모르고, 이러한 경지에 이르러서 어떠한 공안을 보나 하나도 맥힘이 없어, 자기 나름대로. 조주 무자(無字)도 맥힐 것이 없고, 판치생모(板齒生毛)도 맥힐 것이 없고, 정전백수자(庭前栢樹子)를 들어봐도 하나도 의심이 안 간다 그 말이여. 부처라고 하나 중생이라고 하나, 된장이라고 하나 똥이라고 하나, 천상천하 두두물물이 무엇을 봐도 그것이 다 바로 그것이 자기요, 자기와 부처와 이 법계가 하나도 걸릴 것이 없다 그 말이여. 이 도리는 이게 체중현(體中玄) 도리여. 공리(空理)라 그 말이여.
여기에 이르러서 만약에 바른 선지식을 만나서 점검을 받지 못하면 자기도 '초견성이다, 한소식했다' 해 가지고, 그러한 그 체중현(體中玄)의 경지에서 보면 천칠백 공안이 하나도 의심이 없고 맥힐 것이 없으나, 현중현(玄中玄) 도리에 가서는 이빨이 들어가지를 않는다 그 말이여. 바른 선지식을 만나지 못하면 그 체중현 도리로써 자기의 살림을 삼어 가지고 그것으로써 일대사 문제를 요달했다고 생각을 하게 되지만, 현중현 도리에 나아가서는 그것 가지고는 되지를 안 혀.
더군다나 후배, 다른 사람이 공부를 해 가지고 자기에게 왔을 때에 '그 사람이 바른 깨달음을 얻었느냐, 안 얻었느냐?' 그것을 점검하는 데에 나아가서 자기의 경지와 같으니까 '옳다'고 일러줄 수밖에는 없는데, 그렇게 되었을 때에 자기만 잘못된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의 눈을 멀게 하게 되기 때문에, 많은 사람을 그르치게 만들고 나아가서는 불법(佛法)까지 망하게 하기 때문에 참선(參禪)이라 하는 것이 최상승법(最上乘法)이지만, 바르게 닦지를 못하고 바르게 깨닫지를 못하면 저 망하고 남 망하게 하고 마침내는 불법(佛法)까지 망하게 하는 그런 중대한 죄과를 저지르게 되는 것입니다.
지난 산철 두 달 동안에 전강 조실 스님의 법문을 통해서 어떻게 수행을 해 가야 하고 어떠한 마음가짐으로 정진을 지어 가야 하는 것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으리라고 생각이 됩니다마는, 정말 차라리 안 하려면 몰라도 일단 이 문제, 이 일대사(一大事) 문제를 위해서 몸과 목숨을 바치고 정진을 해 나가는 마당에는 득소위족(得少爲足), 조그마한 작은 것을 작은 것으로써 작은 견처를 가지고 만족을 삼지를 말고, 고조사(古祖師)에 경지에 이르지 못했을진대는 스스로 자기의 견해를 자기의 견처(見處)를 용감하게 부정을 해 버리고 언제나 처음 발심(發心)할 때의 그 마음을 가지고 하루하루를 정진을 해 가야 할 것입니다.
고인(古人)의 견처(見處)와 견지(見地)에 이르지 못하면 스스로 자기의 견처를 부정해 버릴 줄 아는 사람이라야 진정한 발심 수행인이라고 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고인이 말씀하시기를, 좋은 병에다가 악지(惡知) 악각(惡覺), 악한 알음 악한 깨달음—마치 우리가 구경(究竟)의 깨달음에 이르지 못한 어떠한 견처도 스스로 그것을 간직하고 있으면, 좋은 병에다가 썩은 변질한 고약한 음식을 담은 거와 같애서 그 병 속에는 아무것도 어떠한 좋은 음식을 담는다 하더라도 그 병 속에 담어져 있는 변질된 고약한 악취가 나는 음식 때문에 새로 담은 음식까지도 먹지 못하게 되는 데에다가 비유를 하셨습니다.
그 병 속에 좋은 음식을 담으려면 먼저 그 병 속에 들어 있는 변질된 물질을 까꾸로 다 쏟아 버리고, 열 번 스무 번 완전히 그 속에서 그 냄새가 없어질 때까지 몇 번이고 씻고 또 씻고 소독을 해서 그래도 또 냄새가 나면 그것을 삶고 해 가지고라도 기어코 그 병을 깨끗이 해야, 완전 소독을 해야 그런 연후에 라사 거기에 어떠한 좋은 음식을 담아도 그 음식을 먹을 수가 있는 거와 마찬가지입니다.
우리의 마음속에 구경(究竟)의 깨달음이 아닌 어떠한 견처라도 남아 있으면 그것이 장애가 되어 가지고 진정한 깨달음은 얻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아무리 법문을 듣고 최상승법을 듣는다 하더라도 자기 속에 조그마한 견처라도 남아 있으면 그러한 견처로 인해서 어떠한 좋은 법(法)도 들어갈 수가 없고, 좋은 법문을 들어도 바로 자기식(自己式)으로 변질이 되어서 올바른 깨달음은 얻지를 못하는 것입니다.
우리 최상승 활구참선(活句參禪)을 하는 사람은 자기 속에 그러한 불견(佛見), 법견(法見), 어떠한 경전에 있는 말씀이고, 어떠한 자기가 보고 듣고 느끼고 알고 있는 그러한 것도 깨끗이 버려 버리고 언제나 초심(初心)! 초심인으로써의 마음가짐과 지조를 가지고 정진을 해 가야만 하는 것입니다. 더군다나 바른 깨달음을 얻었어도 그 '깨달랐다'고 하는 소견을 가져서는 아니 되거든, 바른 깨달음 아닌 그러한 견처를 가지고서야 더 말할 나위가 없을 것입니다.(15분2초~35분50초)
차신(此身)은 성고취(誠苦聚)요. 이 몸뚱이는 정말 이 괴로움의 뭉텅이다 그 말이여. 온갖 괴로움이 뭉쳐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 말이여. 몸뚱이도 그렇고 우리의 마음도 그렇고 하루도 편할 날이 없어. 여가 안 아프면 저가 아프고, 저가 안 아프면 여가 아프고, 오장육부가 다 그렇고. 우리의 마음도 이 걱정 아니면 저 근심, 저 근심 아니면 이 걱정, 내 일신(一身)뿐만 아니라 부모 걱정 · 자식 걱정 · 남편 걱정 · 사업 걱정 · 가정 걱정, 전체가 이 고통 고민의 뭉텅이다 그 말이여.
그리고 온 이 세계는 참으로 불집[火宅]이여. 불집! 불이 훨훨훨훨 불이 타고 있는 불집이여. 옛날 부처님께서 '이 삼계(三界)가 화택(火宅)이다' 그러셨는데, 정말 이 말세가 되고 보니 저 온 세계가 만드느니 무기만 만들어. 무기가 순 그게 불인데, 불덩어리인데, 맨 새로 만들지 안 해도 이 삼계가 고대로 화택인데다가, 이 세상에서 제일 머리 좋은 천재만을 골라 가지고 그 사람들을 시켜서 만드느니 원자탄 · 수소탄 · 레이저 무기, 그러한 무서운 불로써 온 세계를 갖다가 찰나간에 잿더미를 만들어 버리는 그러한 무서운 무기만을 만들고 있습니다.
그러니 그것이 자기를 지키기 위해서 그러한 무기를 만들고 있습니다. 자기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 자기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 무기를 만들고 또 상대방을 그 태워 죽임으로써 자기를 지키기 위해서 그 무기를 만드는데, 결국에 가서는 그 무서운 무기로 인해서 상대방도 타 죽고 나도 타 죽게 되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법에 귀의해서 상대방도 살고, 나도 사는 길을 찾아야만 진정한 세계의 평화가 이르를 텐데, 상대방을 죽이고 나만 살려고 나를 지킬려고 만드는 것이 결과적으로는 나도 죽고 남도 죽게 하는 결과가 올 것이 빤합니다. 10년 후에 올 지, 20년 후에 올 지, 백 년 후에 올 지 그것은 알 수가 없지만, 현재 세계 정세의 되어 가는 껄세로 보아서는 그 시간이 점점 가속도가 붙어서 언제 올 것이라고 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연 추측을 불허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과거에 얼마나 깊은 복(福)과 인연(因緣)을 지었음인지 이 최상승법을 믿고 또 그것을 실천을 하고 있습니다. 지극히 다행스럽고 감사하고 경행한 일이나, 이 문제는 범범한 생각을 가지고서는 결판이 나기가 어렵습니다. 정말 이 세상에 태어나지 아니한 셈 치고 목숨을 바쳐서 해야만 이 문제는 해결이 나는 것입니다. 과거에 모든 불보살이 다 그러셨고, 과거에 모든 고조사(古祖師)들도 역시 다 그러셨습니다. 더군다나 이 말세에 태어난 우리 근기가 약한 우리들은 과거에 불보살과 고조사에 몇십 배, 몇백 배를 노력을 해야 할 것입니다.
해제를 맞이해서 나 자신에게 다짐하는 그러한 뜻에서 오늘 이 자리에 모이신 사부대중을 위해서 말씀을 드리고 있습니다. 국가와 민족 그리고 온 세계와 인류, 다시 우리에게 가까이 눈을 돌려보면 우리 조계종 종단 그리고 우리 자신, 멀리 생각하나 가까이 생각하나 우리는 시간을 아껴서 일분일초를 아껴서 정말 이를 악물고 다시 우리 정진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입니다.
천고(千古)에 아무도 듣는 사람이 없는데, 만산(萬山)에는 공연히 두견새만 울고 있구나. 밤새도록 두견이는 울고 있는데, 아무도 그 두견새 소리를 들어주는 사람이 없어.
목동일성적(牧童一聲笛)에 기우과석양(騎牛過夕陽)이라. 목동이는 한 소리 젓대를 불면서 소를 타고 석양을 지내가는구나.
전강 조실 스님께서 생존 시에 즐겨 읊으시던 게송이었습니다.
법보단에 모셔 있는 만년위패 법보제자 모든 영가, 우리의 선망부모(先亡父母)와 오늘 5재를 맞이한 민병태 영가는 이 법문을 들은 인연으로 속성정각(速成正覺)하시기를 바랍니다. (36분1초~48분22초) (끝)
---------------------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700여 개의 ‘참선 법문(法門)’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 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 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그리고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도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700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
§((242)) 자녀 교육, 지혜로운 방편 / 불교의 포교 / 넓게 말해서 불교의 목적은 『스스로 자아를 깨달아서 견성성불하고 나아가서는 일체중생을 교화한다』 / 자기 스스로 먼저 헤엄을 칠 줄 알아야 물에 빠진 사람을 건질 수가 있다.
**송담스님(No.242)—1984년 7월 첫째일요법회(84.07.01) (용242) (정진, 수행)
약 11분.
그러면 우리 불자(佛子)들은 어떠한 마음가짐으로 자녀 교육에 임해야 할 것인가?
애들은 옛날의 윤리 그런 것에는 벗어나기를 바래고, 부모는 그대로 놔둘 수는 없고, 이래 가지고 여러 가지 갈등과 애로가 생기는데, 이럴 때에 부모가 감정에 흘른다든지 그것을 수습을 못하면 완전히 자식을 버리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우선 자녀들을 입으로 가르키려고 하지 말고, 우선 내 마음을 먼저 바로 잡아야 할 것입니다.
흔히 부모가 자식을 걱정을 하고 때로는 종아리를 치고 하는 것이 자기가 자기의 마음을 수습하지 못하고 자기가 화나는 것을 부애풀이하기 위해서 종아리를 때리고 큰소리를 치고 하는 것을 우리는 왕왕이 볼 수가 있습니다. 자기의 감정을 스스로 수습하지 못하고 자기의 부애풀이를 하기 위해서, 자식에게 욕을 하고 큰소리를 치고 종아리를 때리고 하는 한에서는 아무런 효과를 거둘 수가 없습니다.
역시 스승이 제자를 가르키는 데 있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국민학교나 중학교나 고등학교의 학교에서 학생들을 다룰 때에도 학생이 공부를 안 한다든지, 숙제를 안 해온다든지, 선생님 앞에 불순(不順)한 언동을 한다든지 하면 ‘그 애를 어떻게 지도해야 이 학생을 바로 지도할 것인가? 그 학생을 지도하는 데에 어떠한 지혜가 필요하며 어떠한 방법이 필요한가?’ 여기에 생각이 집중되지를 아니하고, “감히 저놈이 선생님 앞에, 저런 고얀 놈이 있나?” 당장 흥분을 해 가지고, 자기의 감정을 수습을 못해 가지고 귀쌈을 올려대고 몽둥이로 때리고 발길질을 하고, 이래 가지고 그 학생으로 하여금 상처를 입거나 병원에 입원하게 하는 그러한 예도 우리는 종종 볼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되어 가지고서는 세상없어도 그 스승 밑에 훌륭한 학생들이 나올 수가 없는 것입니다.
부모가 자녀를 갖다가 교육하는 데 있어서도 혹 밖에 나갔다 늦게 들어온다든지, 공부를 제대로 안 하고 나쁜 친구하고 어울린다든지, 학교의 성적이 나쁘다든지, 학교에 간다고 해 놓고 사실은 다른 나쁜 친구와 놀다가 들어온다든지 반드시 그러한 경우를 만나게 되는 수가 있을 것입니다. 그럴 때에 부모가 첫째 스스로의 감정을 수습을 해서, 정말 부처님 마음과 같은 그러한 마음으로써 우선 자기 자신을 수습을 하고, 그래 가지고 ‘어떻게 했으면 저 애를 바로 잡을 수가 있을 것인가? 저 애 마음을 돌이킬 수가 있을 것인가?’
아까 말씀드린 바와 같이 부처님께서 그 나후라를 훈도하듯이 그러한 지혜로운 방편을 쓰실 만한 여유를 가진다면 그 아들을 교육하는 데 큰 효과를 거두리라고 생각합니다.
자기 스스로의 감정을 수습을 못해 가지고 다짜고짜로 뚜들어 패고 책을 찢고 욕지거리를 해서 푹 가출을 해 가지고 소식이 없어진다던지, 나가서 어떤 경우는 물에 빠져 죽어 버린다던지 자살을 해 버린다던지, 이러한 결과를 그러한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면 이것은 다시는 그 천추(千秋)의 한(恨)을 돌이킬 수가 없는 것입니다. 자녀를 가르킨다던지, 제자를 가르킨다던지 이 교육 문제는 첫째는 자기가 먼저 되어져야 교육이 가능한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스승 노릇 하기가 어려우니라” 하셨습니다.
남을 가르키는 것은 말로써 가르키는 것이 아니고, 몽둥이로 가르킬 수 없는 것입니다. 몽둥이로 가르킬 수 있는 것은 짐승은 몽둥이로 가르키고 또 먹을 것으로써 여러 가지 훈련을 시킬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사람은 먹을 것과 몽둥이만 갖고는 절대로 교육을 원만히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첫째, 그 자녀로 하여금 부모를 믿을 수 있게 해야 하고, 부모를 존경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어떠한 애로 사항이라도 부모님 앞에 털어놓고 이야기할 수 있도록 평소에 지혜와 자비로써 자녀를 상대를 해 나와야, 그 자녀가 사춘기를 맞이해서 또 어떤 중대한 난관에 봉착했을 때 털어놓고 어머니나 아버지나 형님 앞에 의논할 수 있게 된다면, 반드시 어려운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〇불교의 포교.
넓게 말해서 불교는 『스스로 자아를 깨달아서 견성성불하고 나아가서는 일체중생을 교화한다』 이것이 불교의 목적이라 이렇게 말할 수가 있는데.
더군다나 오늘날과 같이 외래 종교가 나날이 확장되어 가고 있는 이때에 불교(佛敎)도 포교(布敎) 사업을 잘해야 한다. 포교당을 많이 짓고 어쨌든지 스님들이 산중에만 들어가지 말고 이 도회지로 나와서 발벗고 나서서 포교를 해서 사람들로 하여금 불교를 믿고 숭배하도록 해야지, 이대로 나가다간 전부 다 예수교나 기타 종교를 다 믿게 되고, 불교를 믿는 사람까지도 다른 종교에서 악착같이 끌어갈려고 갖은 수단과 방법을 쓰기 때문에 불교 신자들도 다 개종을 해버리지 않겠느냐.
이러한 우려를 표명해서, 모다 젊은 스님네들이 너도나도 모다 포교에 관심을 가지고 모다 대학도 가고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마는, 대단히 중요한 일이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불교는 다른 학문과 달라서 지식을 공부하는 그런 학문이 아니고, 내가 내 마음을 닦는, 내 '참나'를 찾는 그래서 인격을 완성하는 그런 법이기 때문에 경을 해석할 줄 알고 말재주가 있어서 말을 잘한다고 해서 거기에서 포교의 목적이 달성되기는 어려우리라고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포교(布敎)는 바로 그것이 중생 교화(衆生敎化)인데, 중생이 탐진치(貪瞋癡) 삼독(三毒) 고해(苦海)에 빠져서 헤매고 있는 것을, 그것을 그 고해로부터 건지는 것이 그것이 포교의 목적인데, 자기 스스로 헤엄을 칠 줄 모르는 사람이 물에 빠진 사람을 어떻게 건질 수가 있겠어. 헤엄도 칠 줄 모르면서 물에 빠진 사람을 건지기 위해서 물에 풍덩 뛰어들면 그 사람도 건져내지 못하면서 자기까지 빠져 죽게 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포교를 하려면 첫째, 자기 수행을 철저히 해야 하고, 자기 수행을 바탕으로 해서 포교가 우러나와야 할 것입니다.(32분9초~42분44초)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700여 개의 ‘참선 법문(法門)’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 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 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그리고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도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700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
§((245)) 공부는 '깊은 우물 속에 눈을 져다 부어 우물을 메우려듯 해라' / 참선 공부는 '자기가 자기를 찾아서 자기를 깨닫는 법'이기 때문에 '기어코 되고야만 만다'는 확신을 가져야 / 주머니 속 물건, 항아리 속에 자라, 찾을려고 하면 바로 언제나 거기에 있다. (게송)남북동서무정착~ / 『서장(書狀)』에 대혜 스님이 누누이 말씀하시기를 '꽉! 맥혀서 답답하고 몸부림쳐지고 한 그러한 경지야말로 견성성불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 / 도(道)에 있어서는 승속(僧俗)이 없다.
〇깊은 우물에 눈 퍼다 붓듯이, 해가 넘고 백천만 겁이 지내도 차고 안 차고 하는 것도 따지지 말고 계속 퍼다 부을만한 그러한 끈기를 가지고 해 나간다면 어찌 안 될 것이냐. 마침내는 져다 붓는 놈이나, 우물이나, 눈이나가 전부가 다 하나가 되어서 홀연(忽然)히 어떠한 계제(階梯)를 만나면은 툭! 터져 가지고, 결국은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게 되는 것이다.
7월 15일 여름 안거(安居)의 해제날입니다. 이 해제날에는 석 달 동안 참선 수행하던 모다 스님네들이 해제를 하고, 또 걸망을 지고서 스승을 찾아가기도 하고 도반을 찾아가기도 하고 그러는 날입니다.
결제 동안에는 출입 왕래를 금하고 다 한군데 모여서 규칙을 지키면서 겨울 석 달, 여름 석 달을 발을 묶어 놓고 그리고서 정진을 하다가 해제를 맞이하면 걸망을 지고 팔방 사방으로 나가는데, 원래 이 결제법(結制法)이라 하는 것은, 안거법(安居法)이라 하는 것은 인도에는 우기(雨期), 비가 많이 오늘 계절이 있어서 그 비를 피하기 위해서 부득불 기원정사(祇園精舍)나 죽림정사(竹林精舍)나 이런 절에서 비를 피하기 위해서 절에서 모두 모여 가지고 정진하다가, 우기(雨期)가 지나면 다시 그 절에서 떠나 가지고 숲속에 들어가서 숲속에서 자고 또 탁발해서 공양을 하고 숲속에서 밤새 정진을 하고, 그렇게 수도 생활을 하기 때문에 결제 · 해제라고 하는 것이 있었던 것입니다.
만약 참선(參禪)을 해서 빠른 시일 내에 결정코 견성성불(見性成佛)을 하고자 할진대는—오늘 해제를 하고서 걸망을 지고 어디를 가시건 간에 가시는 발걸음 한 걸음, 한 걸음 걷는 것이 그게 바로 선방(禪房)입니다. 결제 동안에는 죽비를 치고 정진을 하고, 해제 하면 여기저기 걸망을 지고 다니니까 참선을 등한히 해도 되냐 하면 그게 아닙니다. 참으로 살아 있는 공부! 왕래하고 여러 가지 복잡한 생활 속에서 가다듬고 정진하는 그 참선이야말로 힘이 있고 살아 있는 공부라 할 것입니다.
공부를 할진대는 어떻게 해야 하냐 하면 「마치 저 깊은 우물 속에다가 눈을 져다가 자꾸 부어 가지고 그 우물을 메울려고 하듯 해라」
우물에다가 눈을 한 짐 져다가 붓고 또 한 짐 져다가 붓고, 수십 짐을 져다 부어도 물에 들어가면 눈이 녹아 버리고 녹아 버리고 해 가지고, 암만 수백 짐을 져다 부어도 우물이 차오르지를 않는다 그 말이여. 눈을 긁어서 뭉쳐서 져다가 붓고 또 져다가 붓고 그러기를 몇백 짐을 하는데, 그러다 보니 땀이 나고 그렇지만 춥고 더웁고 한 것도 상관없이 계속해서 져다 부어. 하루 종일 져다 붓고, 해가 져도 져다 붓고, 밤새도록 밤잠을 안 자고 져다 붓고, 그저 동쪽에서 져다 붓고 서쪽에서 져다 붓고, 그저 이리 져다 붓고 저리 져다 붓고, 속이 상해도 져다 붓고, 기분이 좋아도 져다 붓고, 그저 배가 불러도 져다 붓고, 배가 고파도 져다 붓고. 이리 해 가지고 1년이 넘어가, 이태가 넘어가, 백 세, 천 세가 되어 가지고 몸을 바꾸어 가면서 져다 부어.
마지막까지 단 하루도 쉬는 날이 없이, 단 한 시간도 등한히 지낸 일이 없이, 자나깨나 그저 눈을 어쨌든지 많이 져다가 부어서, 기어코 그 우물을 갖다가 눈으로써 가득 메울 그러한 생각을 가지고 져다 붓다가 보면, 어느 땐가는 자기가 눈을 퍼다 붓는다고 하는 생각도 없고, 우물 속에 눈이 올라왔나 안 올라왔나 한 것에도 그런 생각도 없고, 인제 지쳤다는 생각도 없고, 그만할려는 생각도 없고, 그저 인자 완전히 거의 아주 열중(熱中)을 하다 하다 못해 가지고 무심(無心)에 들어가 버린다 그 말이여.
조끔 몇 짐 져다 붓고 ‘인제 좀 찼나?’ 또 들여다 보고, 조끔 져다 붓고 ‘인제는 조금 더 올라왔나?’ 이런 것이 아니라 나중에는 올라오고 안 오고가 문제가 없어. 그저 죽을 둥 살 둥 눈이 무겁고 가벼운 것도 따지지 말고, 차고 안 찬 것도 따지지 말고, 계속 져다 부은다 그 말이여. 이러한 정도에 열성(熱誠)을 가지고 참선을 해야만 된다 그 말이여.
겨우 첫 철에 와서 남 흉내 좀 내고 앉아서 해 보면 처음에는 망상이 들입대 일어나더니, 나중에 망상이 조금 잠잠하니까 또 잠이 퍼 오고, 잠이 좀 깰만 하면 망상이 일어나고, 그렇게 조금 해 보고서 ‘아이고, 암만 참선을 해도 안 됩니다. 저는 인연이 없는 갑습니다. 옛날에 관세음보살, 아미타불 부를 때는 잠도 잘 안 오고 참 좋더니, 참선이 좋다고 해서 해 보니까 맨 잠만 퍼오고 망상만 더 일어나고 아무 재미가 없습니다’ 이러거든.
그렇게 한 철 두 철 그나마도 ‘위법망구(爲法忘軀)적으로 행주좌와 어묵동정에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어서 순일무잡하게’—한두 철 해 보고서 ‘그렇게 안된다’고 피렴심(疲厭心)을 내고, 자기는 인연이 없느니, 근기가 약하느니, 이래 가지고 스스로 자포자기를 할 마음을 낸다면, 어떻게 그런 사람이 도업을 성취할 수가 있겠느냐 그 말이여. 그 깊은 우물에다가 눈 몇 짐 퍼다 붓고서 ‘눈이 차오르지 않는다’고, 그 허부렁한 눈 퍼다 부어 봤자 물에 닿자마자 금방 녹아 버리고 녹아 버리고 하니, 그것이 무슨 놈의 차오를 것이냐 그 말이여.
깊은 우물에 눈 퍼다 붓듯이, 해가 넘고 백천만 겁이 지내도 차고 안 차고 하는 것도 따지지 말고 계속 퍼다 부을만한 그러한 끈기를 가지고 해 나간다면 어찌 안 될 것이냐 그 말이여. 마침내는 져다 붓는 놈이나, 우물이나, 눈이나가 전부가 다 하나가 되어서 홀연(忽然)히 어떠한 계제(階梯)를 만나면은 툭! 터져 가지고, 결국은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 말이여.
이 공부는 '자기가 자기를 찾아서 자기를 깨닫는 법'이기 때문에 어떠한 방법으로 어떻게 하느냐 그것이 문제지, '기어코 되고야만 만다'고 하는 것을 확신을 가져야 하는 것입니다. 부처님을 비롯한 역대조사(歷代祖師)가 다 보증(保證)을 서셨고, 다 맹세를 하셨습니다. 기어코 되는 것이라고 보증을 하셨습니다. 내가 나를 찾는 것인데, 그것이 안 될 리가 없는 것입니다.
주머니 속에 들어 있는 물건은 손만 집어넣으면 거기에 있는 것이고, 항아리 속에 자라를 넣어 놓은 거와 같아서, 그 자라란 놈이 아무리 버르적거려 봤자, 밤에 가봐도 그 항아리 속에 들어 있고, 낮에 가 봐도 항아리 속에 들어 있듯이, 내게 있는 것을 나를 찾는 것이여. 오히려 보지 아니할려고 하는 것이 더 어려운 것일지언정, 찾을려고 하면 바로 언제나 거기에 있는 것입니다.
남북동서무정착(南北東西無定着)이요 생애지재일지공(生涯只在一枝筇)이라. 동서남북에 정착한 곳이 없어. 동쪽으로도 가서 공부하고 서쪽으로 가서도 공부하고, 동서남북 아무데라도 가서 공부를 할 수가 있다 그 말이여.
일정한 데에 정착이 없기 때문에 ‘생애(生涯)가 지재일지공(只在一枝筇)이여’ 생애가 다못 이 주장자 · 육환장(六環杖)—다 옛날에는 스님네들이 어디 행각을 할 때에는 육환장을 짚고 댕겼던 것입니다. 다못 이 지팡이 하나에 달려 있다 그 말이여.
설두(舌頭)에 세작연하미(細嚼烟霞味)여. 혀끝으로는 무엇을 먹고 사냐 하면은 구름과 안개 연기를 먹고 살아. 산중으로 들로 다니니 자연히 좋은 공기에다가 안개 연기를 마시고 살 수밖에는 없고, 직입천봉갱만봉(直入千峰更萬峰)이다. 바로 천(千) 봉우리, 다시 만(萬) 봉우리를 향해서 들어가더라.
수행하는 것이 한때는 공부가 순일(純一)하게 잘되어 가다가 성성(惺惺)하게 잘되어 가다가, 또 뚝! 변해 가지고 영 화두가 잘 안 들리고 가슴이 답답하고 시간이 지루하고 몸이 뒤틀리고 이런다 그 말이여. 그놈을 포행도 하고 단전호흡도 하고 찬물로 세수도 하고 하면서 그 고비를 어렵게 넘기고 나면 한결 정진하기가 수월해지는데, 수월해져 가지고 떠억 화두를 들면 화두가 성성하게 순일하게 잘 들리고, ‘이만했으면 참, 공부 이대로 주욱 되어 가면 좋겠다’ 하는 생각을 먹자마자 또 뚝! 변해 가지고 영 또 공부가 안되고.
때로는 잘되다가 때로는 안되다가, 또 안되다가 또 괜찮게 되다가, 괜찮게 되다가 또 잘 안되고, 이러기를 한 봉우리 넘으면은 또 내리막길이 있고, 내리막길을 다 가서 보면 또 오르막길이 있고, 오르막길을 다 오르면 또 내리막길이, 이것이 마치 천 봉우리를 넘어가면 다시 또 만 봉우리가 있듯이, 이 모양이 마치 길을 가는 데에 봉우리 밖에 또 봉우리가 있고, 또 봉우리 밖에 또 봉우리가 있는 것이 우물 속에다가 눈을 져다 부은 것처럼 그렇다 그 말이여.
만날 해도 무엇이 얻어지거나 나타나거나 보이는 것이 없이, 만날 해 갈수록 꽉 맥혀서 알 수가 없고 답답할 뿐이다 그 말이여. 이 꽉 맥혀서 알 수가 없고 답답한 것이 공부가 잘못되어 가는 것이 아닙니다. 흔히 그렇게 콱 맥혀서 알 수가 없고 답답하고 그러니까, 인연이 없어서 공부가 잘 못된 줄 알고 걱정들을 하시고, 와서 호소를 하시는데 사실은 꽉! 맥혀서 알 수가 없고 답답한 그 경계가 공부 옳게 되어 가는 그 상태인 것입니다.
무엇이 환하고, 무엇이 얻어진 것이 있고 알아진 것이 있고 그러면은 그것이 참 좋을 것 같은데 그건 공부가 잘못 비뚤어져 들어가는 것이고, 어문간 데에 처박혀서—멧돼지 쫓아가다가 한눈 파는 거와 마찬가지여서 멧돼지를 잡으러 쫓아가면 한눈을 팔지 않고 계속 그 멧돼지 뒤를 따라서 잠깐도 한눈 팔지 않고 쫓아가야지, 멧돼지 잡으러 쫓아가다가 골마리를 까고 이를 잡고 있어야 되겠느냐 그 말이여. 그러다 보면 멧돼지는 순식간에 저 몇백 미터 도망가 버리면 멧돼지는 영영 놓쳐 버리고 마는 것이다.
잘된다고 좋아하지 말 것이며, 잘 안된다고 짜증을 내지 말고, 잘되어도 지혜롭게 잘 단속해 나가야 하고, 답답하고 그러더라도 조금도 짜증을 내지 말고 지혜롭게 그 고비를 심호흡, 단전호흡을 하면서 잘 넘기면 그게 공부가 한 걸음 또 수월하게 되어가는 것이니까. 『서장(書狀)』에 대혜(大慧) 스님이 누누이 말씀을 하시기를 '그 꽉! 맥혀서 답답하고 몸부림쳐지고 한 그러한 경지야말로 견성성불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며, 거기에서 공부가 진취할 징조이다. 그러니까 그런 경계를 당하거든 짜증을 내고, 이 공부가 안될라나 보다 하고 자포자기하고 하지 말고, 그러한 고비를 어쨌든지 지혜롭게 잘 공부를 뽑아 나가도록 그렇게 하라'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해제를 하시고 어느 선방에를 가시던지, 다시 또 우리 용화선원에 산(散)철 결제에 들어오시던지, 또 신도 여러분들께서도 지난 석 달 동안 그 무더위 속에서 별 탈 없이 잘 정진들을 하셨습니다 오늘 해제를 하시고 댁에 가시더라도 여기서 석 달 동안 지내시던 그러한 마음가짐으로 정진을 하시기를 바랍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셔서 세수하시고 떠억 한 시간 두 시간씩 정진을 하시고, 낮에도 그저 손자 보면서, 가정 일 도우면서, 집에 계시거나 어디 외출을 하시거나, 걸음걸음이 화두를 들고 정진을 하시기를 바라고, 또 다시 금년 겨울 결제 때가 오면은 또 와서 방부를 들이시고 정진을 하시기를 바랍니다.
금년 겨울 결제는 금년에 10월 달에 가서 윤달이 들어서 10월이 첫째 10월이 있고, 그 다음에 윤10월이 있습니다. 윤10월에 결제를 할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때까지는 넉 달이라고 하는 세월이 있습니다. 춥지도 덥지도 않는 그러한 계절인 만큼 어쨌든지—석 달 동안 애써서 여름 석 달 동안 하시다가 그냥 팽개쳐 버리고 그럭저럭 지내면 애써서 쌓아올린 탑이 다 와그르르 하니 무너져 버리거든. 10월에 가서 다시 밑에부터서 다시 쌓을라면 또 큰 힘이 들 것입니다. 그 탑을 갖다가 잘 허물어지지 않도록 간수를 하시고, 댁에 가서도 계속해서 그 탑을 쌓아올려 놓으시면 10월에 가서 그 뒷을 이어서 하신다면 훌륭한 탑을 쌓으시게 될 것입니다.
결제 때 모여서 정진하신 것은 해제 때 생활 속에서 시끄러운 속에서 잘하기 위해서 결제를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입니다.
도(道)에 있어서는 승속(僧俗)이 없는 것입니다. 스님네라고 해서 꼭 도를 닦아야 하고, 세속에 계신다고 해서 도를 안 닦아도 좋은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세속에 계신 분일수록에 도를 더 열심히 닦아야 하는 것입니다. 왜 그러냐? 세속에 사시면 아무래도 본의 아니게 이리저리 얽혀서 업을 많이 짓게 되고 도 닦을 기회는 점점 희박하기 때문에, 그럴수록에 몇 배를 더 노력을 하고 애를 써야만 다소 공부가 되어갈 수 있기 때문에 내생(來生) 일을 생각하고, 장차 일을 생각해서 더 열심히 공부를 해 주시기를 간절히 부탁을 드립니다.(44분46초~66분27초)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700여 개의 ‘참선 법문(法門)’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 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 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그리고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도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700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
§((325)) (게송)거심진속윤회업~ / 육체적인 모든 동작과 정신적인 모든 작용 가운데에 항상 쇠 뭉텅이를 삼킨 사람처럼 그 꽉 맥혀서 알 수 없는 의단(疑團)이 현전(現前)하도록 잡드리해야 / 입태(入胎) · 출태(出胎)에 매(昧)하기 쉽다 / '한 생각 속에 구백(九百)의 생사(生死)가 있다'
평상시에 알뜰히 정진을 해놓아야 숨이 끊어질라고 한 그 찰나에 화두를 놓치지 아니한다 / 임종(臨終)이 대단히 중요 / 유족은 영가와 자녀들을 위한다면 그러한 슬픔을 돌이켜서 신심(信心)을 더욱 돈독히 해서 법문듣고 참선해야 / 고통이야말로 우리를 더욱 굳세게 훌륭하게 만드는 좋은 채찍이요, 계기요, 관문(關門) / (게송)기래긱반냉첨의~.
거심진속윤회업(擧心盡屬輪廻業)이요, 마음 일으키면, 마음을 일으키면, 마음에 생각이 일어나면 무슨 생각이건 다 윤회(輪廻)의 업(業)에 속하고. 착한 생각이나 악한 생각이나, 과거 · 현재 · 미래 · 선악(善惡) · 시비(是非) 일체 생각이 일어나면 그것들이 모두가 다 생사윤회(生死輪廻), 육도윤회(六道輪廻)하는 근본이 되고. 동념(動念)이 무비생사근(無非生死根)이다. 생각이 동(動)하면 다 생사(生死)의 근원이 아닌 것이 없더라.
요여태허무향배(要與太虛無向背)인댄, 태허(太虛), 저 허공과 같이, 저 허공과 더불어 향배(向背)가 없고자 하거든—향배는 향(向)은 서로 마주보는 것이고, 배(背)는 서로 등지는 것인데, 허공과 더불어 향하고 등지고 할 것이 없고자 하면, 일체처(一切處)에 걸림이 없어. 일체처(一切處) 일체시(一切時)에 걸림이 없고 자유자재하기를 바래거든, 상탄일개철혼륜(常呑一箇鐵渾侖)이다. 항상 한덩어리 쇠 뭉텅이를 통채 삼킨 것처럼 할지니라.
음식을 먹다가 조그만한 덩어리 하나만 넘어가도 그놈이 목에 딱 걸리면 끌끌하고 종일토록 생트림이 나고 속이 답답하고 거북한데, 쇠 뭉텅이를 꿀떡 삼켜 놨으면 그것이 어떻게 되겠냐 그 말이여. 앉아도 불편하고 서도 불편하고 트림을 해도 불편하고, 그것이 삭지도 않고 내려가지도 않고 매우 거북하고 불편한 것이여. 항상 쇠 뭉텅이를 삼킨 것처럼 하라. 그래야 마침내 이 육도법계(六道法界)에 걸림이 없이 자유자재하게 될 것이다.
우리 수행자가 본참공안, 본참공안(本參公案)을 항상 놓치지 아니하고 앉아서도 '이뭣고?'요, 서서도 '이뭣고?'요, 일하고 밥 먹고 옷 입고 똥 누고, 일체처 일체시 희로애락(喜怒哀樂), 육체적인 모든 동작과 정신적인 모든 작용 가운데에 항상 쇠 뭉텅이를 삼킨 사람처럼 그 알 수가 없는 의단, 꽉 맥혀서 알 수 없는 의단(疑團)이 현전(現前)하도록 그렇게 잡드리를 해야 할 것이다.
오늘 병인년 삼동안거(三冬安居) 해제(解制)를 맞이했습니다. 방금 전강 조실 스님의 법문(法門)을 녹음을 통해서 들었기 때문에 산승(山僧)이 더 거기에 덧붙여서 말할 것도 없습니다마는. 오늘 해제를 하면 여기 용화선원 선방에 스님네나 보살님네, 그리고 또 용주사 중앙선원, 또 저기 태화산 봉곡사 태화선원, 모다 인근에 모다 선원에서 온 비구니 선객들, 여기에 모두가 다 참석을 했습니다마는, 오늘 해제를 하면 다시 또 걸망을 지고 또 어느 선방 또 어느 회상(會上), 어느 선지식(善知識), 어느 도반(道伴)을 찾아서 또 행각(行脚)을 하시게 되겠습니다.
행각을 하는 그 걸음걸음, 항상 쇠 뭉텅이를 삼킨 그 거북한 사람이 무슨 딴생각을 일으킬 수가 있겠느냐? 고인(古人)은 '부모상(父母喪)을 당한 상자(喪者)처럼, 깨닫기 전에도 그러한 마음을 가지고 수행을 하고, 깨달은 뒤에 수행도 또 부모상을 당한 초상(初喪) 그 상인(喪人)처럼, 상제(喪制)처럼 그런 마음으로 하라' 이런 말씀도 있는데, 지금 '쇠 뭉텅이, 쇳덩어리를 삼킨 사람처럼 하라'고 한 말과 일맥상통한 표현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렇게 일체처 일체시에 화두를 잡드리해 나가지 않고서는 이 일대사(一大事)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쇠 뭉텅이를 어쩌다 꿀떡 삼켜 놨으니 무엇이 딴생각이 일어날 수가 있겠습니까? 다맛 거북해서, 앉으나 서나 거북하고 불안하고 하듯이, 앞도 맥히고 뒤도 맥히고 언제 전후좌우(前後左右) 두리번거릴 겨를도 없고, 딴생각을 잠시도 할 겨를이 없이 자기의 본참공안(本參公案)에 대한 의심(疑心), 그 의단(疑團)만을 참구(參究)해 나가는 그러한 자세, 그러한 마음가짐으로 하루하루를, 일분일초를 그렇게 잡드리를 해 나가라 이것입니다.
또 그렇게 해 나가다가 또 얼마 안 지내면은 또 산철 결제를 하게 되고 그런데, 결제(結制) 중에는 모두 여러 도반들이 모여서 규칙적으로 시간 생활을 하니까 개인적인 일체 자유행동이 허락이 되지 아니하므로 정진(精進)을 열심히 할 수밖에는 없으나, 해제를 하면 각자 자유행동을 하게 되기 때문에 특별히 오늘 이 해제를 맞이해서 여러 도반(道伴)들에게 이 게송, 고인(古人)의 게송 한마디를 읊어드렸습니다.
'공부를, 수행을 아무리 잘해도 이 입태(入胎) · 출태(出胎)에 매(昧)한다'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설사 금생에 정진을 해서 그 깨친 바가 있다 하더라도 여간한 큰 참! 이 도력, 법력(法力)과 도력(道力), 그 정진 수행력을 갖지 않고서는 '입(入) 태중(胎中)에 들어갈 때, 또 태에서 나올 때 그렇게 참 매(昧)하기가 쉽다' 이것입니다.
그래서 입태 · 출태라 하는 게 우리의 현실, 꼭 이 생사(生死)를 갖다가 이 육체가 죽으면, 이 육체에다가 기준을 두어가지고 육체가 움직이지 않게 되고 숨이 끊어진 것을 죽음이라 하고, 새로 어머니 뱃속에서 출산하는 것을 생(生)이라고 보통은 그렇게 얘기하지만. 더 정밀하게 이 생사를 논(論)하자면, 육체가 아니라 우리의 한 생각, 한 생각 일어난 것이 바로 생(生)이요, 한 생각 멸(滅)하는 것이 죽음인 것입니다. 그러면 그 한 생각도 한 생각 속에 구백(九百)의 생멸(生滅)이 있으니 '한 생각 속에 구백(九百)의 생사(生死)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그 생각이 일어났다 꺼졌다,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 생사(生死)인데. 이 몸뚱이 죽을 때 숨 딱! 끊어진 것을 '입적(入寂)을 했다' 그러고, 그 바로 그때를 갖다가 임종(臨終)이라 그러는데, 우리가 이 몸뚱이는 아직 죽지 않고 활발히 활동을 하고 있으면서도 생각이, 생각이 일어났다 꺼졌다 한 그 생각에 있어서의 기멸(起滅), 염기염멸(念起念滅) 이것을 생사(生死)라고 본다면, 그러면 그 입태(入胎) · 출태(出胎)를 어떻게 볼 것이냐?
우리가 눈으로 어떠한 색상을 봄으로 해서 우리가 안식(眼識)이 생기고, 귀, 이근(耳根)으로 그 성진(聲塵), 어떠한 밖에 소리를 들으면 거기서 '아, 저게 무슨 소리다' 이렇게 해서 이식(耳識)이 생기고, 이렇게 해서 육근(六根)이 육진(六塵)을 만나면 육식(六識)이 생기는데. 그 한 생각이 육근을 통해서, 육근 중에 어느 한 기관을 통해서 딱! 한 생각 일어나면[念起] 그것이 새로 태어난 거고, 그 생각이 이리저리 변해 가지고 그것이 없어지면 그것이 염멸(念滅)이고, 그것이 죽음인데.
그 어떠한 경우를 만나서 새로운 생각이 일어나면, 일어나려고 한—탁! 대번에 일어난 것이 아니라, 접해 가지고 거기에 어떠한 아주 짧은 시간이지만 그 시간을 경과해 가지고 결국은 구체적인 생각이 동(動)하고, 또 생각이 동한 다음에는 그것이 육체적으로, 그 육체적인 행동으로 옮겨지게 되겠는데.
그 미세한 아주 정미(精微)로운 그 생각이, 육근(六根)이 육진(六塵)을 만나 가지고 육식(六識)이 날 그 쫌(짬)이 바로 입태(入胎)고, 그것이 그 생각이 또 없어지면 인자 구체적으로 발표가 되면 그것이 인자 출태(出胎)고. 태(胎)에 나와 가지고 한평생을 사는 것은 그 생각이 이리저리 발전했다가 그것이 꺼지게 되면은 다시 인자 또 입적(入寂)을 해 가지고 입태 · 출태 이렇게 되는데.
그 우리의 육체가 한평생을 살다가 죽으면 그 사람의 지은 과보(果報)에 따라서 새로운 몸을 받게 됩니다. 새로운 몸을 받기 이전까지의 상태가 우리 '중음신(中陰身)이라', 또는 인자 '영혼(靈魂)이다' 이렇게 말하는데. 그 중음신으로 떠다니다가, 그 중음신으로 떠다니는 시간이 사람에 따라서 죽자마자 태어나기도 하고, 49재를 지나 가지고 또 다른 데로 태어나기도 하고, 또 백일 동안 중음신으로 있다가 또 새로운 몸으로 태어나기도 하고, 또 소상(小祥) · 대상(大祥)을 지나 가지고 태어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50년 내지 백 년까지도 새로운 몸을 받아나지 못하고 중음신으로 자기 집이나 일가 친척으로 이렇게 전전해 가면서 이 허공 속에 왕래(往來)하면서 이렇게 인자 중음신으로 그렇게 있는 경우도 있고 그런데.
그렇게 다니다가 인연 따라서 새로운 그 숙주(宿主), 자기가 잉태할 그 모태를 찾아 가지고 거기 인자 태중(胎中)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래서 입태 · 출태라고 하는 것은, 그때에 입태 · 출태하기 전까지는 자기의 정신이, 이를테면은 수행한, 수행해서 깨달은 그 경지가 고대로 유지될 수가 있습니다, 수행력이 있는 사람은. 있는데, 그 출태할 그 찰나에 미(迷)해 버리고, 또 출태할 때까지도 안 미(迷)했던 사람이... 아, 입태할 때까지도 미(迷)하지 않은 사람이 출태하다가 탁 매(昧)해 버리고 그렇다는 것이죠.
그런데 우리가 현실적으로 살아가면서 앉아 있는 동안에는 다 화두(話頭)를 들고 정진을 하는데, 화두가 그렇게 고대로 의단(疑團)이 있는데, 일어서다가 깜빡 화두를 놓쳐버리기도 하고, 또 뭔 소리가, 큰 소리가 어디서 들려오면 그 소리 때문에 깜빡 화두를 놓쳐버리기도 하고. 내동 여태까지 정진을 잘하다가 그렇게 해서 새로운 어떠한 그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를 통해서 새로운 육진(六塵)이 우리에게 어떤 충격을 가해 오면 그 육식(六識)이 일어나면서 그 화두를 놓쳐버리는 것을 우리는 항상 느낄 수가 있습니다.(처음~18분29초)
(2)------------------
이 육체가 살아 있는 동안에 우리의 모든 육체적, 정신적인 그런 작용을 통해서 우리는 이렇게 생활을 하면서 그 속에서 한 생각 한 생각을 돌이켜서 화두를 들고, 그래 가지고 화두가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어서, 그래 가지고 더이상 의심이 간절할 수가 없고, 더이상 그 의단이 커질 수가 없을 지경에 이르러서 결국은 통 밑구녘 빠지듯이 그 의단(疑團)을 타파(打破)해 가지고 결국은 자기의 면목(面目)을 깨닫게 되는데.
그 새로운 어떠한 경지, 사건이 일어날 때 흔히 우리는 화두(話頭)를 놓쳐버리는데, 그렇지 않게 되고, 앉았을 때 들었던 화두가 서도 상관이 없고, 무엇을 눈으로 보아도 그 화두가 달아나지 않고, 무엇을 들어도 그 화두가 성성(惺惺)하고, 일체처 일체시에 생각 생각이 걸음걸음이 화두가 독로(獨露)해서 순일무잡(純一無雜)하도록 그렇게 단속을 해 나간다면, 이 몸뚱이를 설사 버리고 죽게 되더라도, 마지막 끙끙 앓다가 결국은 그 아픔을 이기지 못하면 결국은 인자 죽게 되는데, 그 참을 수 없을 만큼 그러한 혹독하고도 심한 그런 고통, 숨이 끊어질라고 한 그 찰나에도 화두를 놓치지 아니하고 터억 그 화두가 독로하도록, 의단이 독로하도록 그렇게 잡드리를 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참 평상시에 알뜰히 정진을 해놓지 않고서는 참 어렵다고 그럽니다. 내가 그러한 경지, 수없이 많이 죽었다 태어났다 했겠지만 전생사(前生事)는 그저 잊어버리고 우리는 기억을 해내지를 못해서 그럽니다마는, 정말 그 마지막 숨 끊어질라고 할 때의 그 고통은 그 죽어가는 사람의 표정이라든지 몸부림하는 것을 보면 짐작할 수가 있으리라고 봅니다.
그 임종(臨終)이 대단히 중요한 것입니다. '임종을, 마지막 임종을 잘하기 위해서, 정말 그때 참 잘하기 위해서 일생 동안을 공부를 한다'고 그렇게까지 말하는 스님도 있을 정도입니다. 그것이 바로 임종할 때에 그 수망각란(手忙脚亂)하고, 그 혼비백산(魂飛魄散)해 가지고 정신을 채리지를 못한 채 숨을 거두게 되면, 그건 물어볼 것도 없이 입태(入胎)에도 매(昧)하게 되고 입태에 매한 사람이 출태(出胎)에는 더 말할 것도 없겠죠.
그래서 옛날부터 다 훌륭한 그 수행인들도 임종할 때에 선지식(善知識)의 보살핌 속에서 숨을 거두기를 바래고, 또 선지식은 바래지 못하더라도 참 그 수행력(修行力) 있는 도반이 옆에서 임종을 지켜주고, 또 정신을 차리도록 일깨워 줄 수 있는 그러한 도반 만나기를 그렇게 원(願)을 하는 것입니다. 한 생각 미(迷)해 가지고 무량겁을 그런 미몽(迷夢) 속에서 자기 본성(本性)을 미(迷)해 버린 상태에서 윤회를 거듭하게 되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해제를 해 가지고 산문(山門)을 나가셔서 어디 어느 산, 어느 골짜구니, 어느 도량(道場)을 가시더라도 걸음걸음이 그러한 자세, 쇠 뭉텅이를 꿀떡 삼킨 그러한 마음가짐, 그러한 그 마음가짐으로 하루하루를, 한 걸음 한 걸음을 옮기신다면, 바로 옮기신 그 자리, 그 자리가 바로 선방(禪房)이 될 것이고, 바로 그 자리에 도반이 있을 것이고, 바로 그 자리에 선지식(善知識)이 항상 계신다고 말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 마치 해제 날에 49재 천도를 맞이한 영가(靈駕)도 몇 분이 계십니다마는, 그 영가가 일평생 동안 이 세상에 태어나서 참 공부도 잘하고, 또 좋은 직장도 가지고, 한평생 악한 일 하지 아니하고, 가족을 위해서 또 자기가 소속한 회사나 직장을 위해서, 사회와 국가를 위해서 최선을 다하다가 결국은 사바(娑婆)의 인연이 다해서 이승을 하직한 영가들입니다. 영가는 다행히 이 용화선원에, 법보선원에 인연이 있어서 여기에서 이 해제 날, 정진(精進)을 하시던 여러 선원(禪院)에 참 청정한 수행한 스님네들의 그 해제(解制) 법회(法會)에 49재 천도식(薦度式)을 거행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필시 숙세(宿世)의 깊은 인연이 있어서 이렇게 되었으리라고 생각이 되는 것입니다.
이 법회에 그 영가의 몸으로 이 49재에 참석을 했다 할지라도 살아 있는 몸으로 참가하나 조끔도 다름이 없고, 오히려 그 지수화풍(地水火風) 사대(四大)로 뭉쳐진 업(業)의 몸뚱이를 벗어버린, 참 걸림이 없는 그 영혼으로 참석을 했음으로 해서, 이 법문(法門)을 몸을 가진 사람보다도 훨씬 더 정확하게 참되게 받아들일 수 있으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영가(靈駕)는 자기가 이 생에 못다 한 한(恨)도 있을 것이고, 또 부모나 처자권속에 대한 미련도 응당 있을 터이나, 그러한 생각—자기가 못다 한 한(恨) 또는 부모자식이나 가족, 유족(遺族)에 대한 미련 이런 것은 현재 영가의 몸으로서는 추호(秋毫)도 가질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그런 미련을 가졌다고 해서 자기의 미결(未決)된 문제가 해결되는 것도 아니고, 또 처자권속이 영가가 염려한다고 해서 행복하게 사는 것도 아니니 만큼.
깨끗하게 다—이 법문을 들음으로 해서, 이 자리에 49재 법요식(法要式)을 받게 됨으로 해서 다 놔버리고, 허공과 같은 마음으로 이 법보단(法寶壇)에서 새로운 몸을 받아날 때까지 안주(安住)를 하시다가, 그동안에 많은 축원과 많은 법문을 듣고서 정말 무량겁 업(業)이 봄눈 녹듯이 다 녹아버리고, 청정한 몸으로 극락세계(極樂世界)나 또는 인도환생(人道還生)을 해서 새로운 몸을 받아나기를 바래는 것입니다.
유족들은 정말 그 영가가 생존시에 그분 한 분을 의지해서 다 처자권속이 다 생활을 영위해 나오다가, 그 가장(家長)을 잃어버린 슬픔을 무엇에다 비유할 수가 없겠지만, 숙세에 지은 인연이 그렇게 밖에 되지 아니한 것이라 누구를 원망할 것도 없고 누구를 한탄할 것도 없고, 슬퍼한다고 해도 그것이 영가를 위해서 아무 이익이 없고, 자기 자신을 위해서도 아무 이익이 없고, 또 자녀를 위해서도 백해무익(百害無益)한 것입니다.
따라서 참으로 그 유족은 참으로 영가를 위하고 또 자녀들을 위한다면 그러한 슬픔을 돌이켜서 부처님을 믿는, 이 정법(正法)을 믿는 신심(信心)을 더욱 돈독히 해서 법문을 듣고 참선을 하고. 자기에게 주어진 집안일이라든지 또는 직장에 대한 일이라든지 자녀를 키우는 일에 보람을 가지고 열심히 살아간다면, 반드시 불보살(佛菩薩)의 가피(加被)를 입어서 잘살 수 있게 될 것이고, 영가도 모든 미련을 놓아버리고 좋은 곳에 태어나시게 될 것입니다.
유족이 너무 슬픔에 잠겨 가지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그러면 영가가 어떻게 그것을 보고 차마 떠날 수가 있으며, 또 주부가 그렇게 되면은 자기에 따르는 어린 자식들이 아버지 잃고 엄마까지 그런다면은 무엇을 의지해서 살아가겠습니까? 그래서 불법(佛法)을 믿는 사람은, 불법을 믿고 이 최상승법(最上乘法)을 믿는 사람은 어려운 일을 당할수록에 더 정신을 차리고 부처님, 불법을 믿는 마음이 더욱 간절해지며 자기에게 주어진 책임을 더욱 철저하게 최선을 다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불법은 참 우리를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될, 우리 사바세계(娑婆世界)에 고해(苦海) 중생을 위해서 감로수(甘露水)요, 희망이요, 등불로써 부처님께서 우리에게 열어주신 영원한 길이라고 말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러한 고통을—육체적인 고통, 정신적인 고통 또 인간적인 고통, 이런 고통이야말로 우리를 더욱 굳세게 만들고 더욱 우리를 훌륭하게 만드는 좋은 채찍이요, 계기요, 관문(關門)이라고 말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수행인(修行人)에게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공부가 처음부터서 수월하게 화두 탄 날부터서 점점 화두가 순일(純一)하게 들려 가지고 그렇게 해서 얼마 안 가면 툭 터진, 그러한 수는 없는 것입니다.
부처님은 다 진묵겁(塵墨劫) 전에 다 견성성불(見性成佛)한, 그래 가지고 삼명육통(三明六通)을 다 구족하신 그러한 부처님이시지만, 출가해 가지고 설산(雪山)에 들어가서 6년이라고 하는 피나는 고행을 겪으셨습니다. 그래 가지고 결국은 새벽 샛별을 보시고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셨습니다마는. 그러한 꼭 고행(苦行)을 해야만, 고행 자체, 고행을 위한 고행은 아니지만 어떠한 형태로든지 열심히 공부를 하다 보면 많은 장애를 우리는 만나게 되고 많은 고통도 당하게 됩니다. 그러나 그 많은 고통과 장애를 우리가 슬기롭게, 인내심 있게 극복을 하고 해결해 나감으로 해서 우리는 더욱 신심이 굳건해지고 큰 깨달음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인간의 생활도 그렇고, 사업도 그렇고, 수행에 도(道)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그러한 것을 우리가 잘 이해한다면 우리는 도처에 스승이 있고, 도처에 불보살, 살아계신 불보살(佛菩薩)이 계시는 것을 우리는 만나게 되는 것입니다.
기래긱반냉첨의(飢來喫飯冷添衣)다. 배고프면 밥을 먹고, 추우면 옷을 한 가지를 더 입어. 삼척지동야공지(三尺之童也共知)여. 그것은, 배고프면 밥 먹고 추우면 두터운 옷을 입는 것은 삼척동자(三尺童子)도 다 모두 다 아는 사실이다 그 말이여.
일개화두명역력(一箇話頭明歷歷)하면, 이 한 개의 화두가 명역력(明歷歷)하면, 소소영령(昭昭靈靈)하면, 성성적적(惺惺寂寂)하게 이 화두가 현전(現前)하면, 여하개안자우치(如何開眼恣愚癡)리오. 어떻게 눈을 번하니 뜨고 어리석은 짓을 할 수가 있겠느냐?
이 한 게송(偈頌)은 우리 수행인에게 잠시도 잊어서는 안 될 간절한 게송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오늘 병인년(丙寅年) 삼동안거 해제와 백일기도 회향을 맞이해서 게송으로써 말을 맺고자 합니다. (18분30초~36분44초) (끝)
---------------------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700여 개의 ‘참선 법문(法門)’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 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 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그리고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도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700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
천강동일월(千江同一月)이요 만호진봉춘(萬戶盡逢春)이라. 하늘에 한 달이 중천에 뜨면 천강동일월(千江同一月)이여, 일천 강에 그 한 가지 달이 비치더라.
종일주홍진(終日走紅塵)타가 실각자가진(失却自家珍)이로구나. 종일토록 홍진(紅塵) 세계, 탐진치 삼독(三毒)으로 오욕락(五欲樂)을 구하기 위해서 이리 뛰고 저리 뛰고 달음박질치다가, 실각자가진(失却自家珍)이로구나. 자기집 보배를 잃어버리고 마는구나.
온 우주법계는 비로자나 법신(毘盧遮那法身)의 몸이요, 따라서 우리 깨닫지 못한 중생들도 고대로 법신(法身) · 보신(報身) · 화신(化身), 삼신(三身)이 고대로 갖추어져 있는 것입니다. 우리 몸뚱이가 바로 법신이요, 우리의 마음자리가 법신이요, 우리의 행동이 고대로 보신입니다. 마치 하늘에 둥근달이 하나 떠 있으면 일천 강물에 달그림자가 비추듯이, 법계(法界)에 가득차 있는 모든 중생 두두물물(頭頭物物)에 이르기까지 그 달이 비치지 아니한 곳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만호진봉춘(萬戶盡逢春)이로구나. 가난한 집이나 부잣집이나, 권리와 명예가 있는 집이나, 미천한 집이나 어느 집을 막론하고 봄이 돌아오면 다 따뜻한 봄기운을 봄바람을 받고 있는 거와 마찬가지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탐진치와 오욕락을 구하기 위해서 동서남북으로 바삐 이리 뛰고 저리 뛰고 마냥 가난하고 천하고 고향을 잃어버린 사람이 되어 가지고 동분서주하다가, 원래 자기집에 평생 먹고 쓰고 남을 진귀한 보물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것을 망각하고, 자기가 밖으로 돌아다니면서 이리저리 설치는 동안에 자기집에 있는 보물은 도둑을 맞아 버리게 된다.(失却自家珍) (처음~6분28초)
월수벽산전(月隨碧山轉)이요 수합청천류(水合靑天流)로구나. 달은 푸른 산을 따라서 돌아가고, 저 푸른 산 너머로 돌아 넘어가고, 수합청천류(水合靑天流)로구나. 물은 저 흐르는 물은 푸른 하늘과 딱 합해져서 흐르는구나. 여러분이 큰 강물이나 큰 바닷물을 보면 저 끝이 하늘과 딱 닿아 있는 것을 보실 것입니다.
풍화난자취(風花亂紫翠)헌데, 바람에, 하늘거리는 봄바람에 피는 꽃은 붉고 푸르게 울긋불긋 피어 있는데, 운외(雲外)에 유연림(有煙林)이로구나. 저 구름 밖에는 안개 낀 숲이 있구나.
일 년을 살아가시되 기쁜 일도 있을 것이고 또 걱정스러운 일도 있을 것이고 슬픈 일도 있을 것입니다. 기쁜 일을 만나도 ‘이뭣고?’를 생각하고, 슬픈 일을 만나도 ‘이뭣고?’를 생각하십시오.
‘이뭣고?’가 퍼뜩 돌아오지 아니하면 용화사 법보전(法寶殿, 현 대웅전)에서 들은 법문을 생각내고, 용화사 법당에 모셔진 부처님 모습을 생각하시고 또 이 송담(松潭)이 이렇게 간절하게 말씀드리고 있는 그 모습도 한번 생각해 보시면, 여러분이 그 슬픔과 괴로움과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반드시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지혜로운 길이 열릴 것입니다.(47분19초~51분42초)(끝)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700여 개의 ‘참선 법문(法門)’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 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 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그리고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도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700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
이 공부를 하기 위해서, 고락(苦樂)을 같이 하기 위해서 이 세등선원에 모인 사람은, 세상에 모든 인연(因緣)을 다 끊어 버리고 진실(眞實)로 오직 이 생사대사(生死大事) 하나만을 위해서 대중규칙을 자발적으로 순응(順應)을 하면서, 인사(人事)로 왔다갔다하는 것을 다 끊어 버려야 하는 것입니다. 사람으로 태어나서 인사(人事)를 다 닦아야 하는 것이지만, 생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머리를 깎고 먹물 옷을 입고 선원에 들어온 이상은 일체 인사를 다 끊어야 하는 것입니다. 인사를 추리기로 하면 한도 끝도 없는 것이다. 환갑이라고 가야 하고, 결혼식 한다고 가야 하고, 누구 죽었다고 가야 하고, 사십구재라고 가야 하고, 백일이라고 가야 하고, 소상(小喪) · 대상(大喪)이라고 가야 하고, 이렇게 인사를 추리고 다니다 가서는 한도 끝도 없는 것이여.
주지(住持) 같은 것을 맡아 가지고 있다면, 할 수 없이 모다 그러한 인사로 오고 가고 하는 수가 있지만, 대중처소(大衆處所)에 한 번 방부(房付)를 들이고 들어온 이상에는 그러한 인사를 밖으로 다니지 아니해도 그것이 실례가 되는 것이 아니여. 해제(解制)한 뒤에 얼마든지 인사를 닦을 수가 있는 것이여. 결제(結制) 중에 안 가는 것은 실례가 안 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안 가는 것이 인사를 잘 닦는 것이 되는 것이여. 그래서 옛날부터 결제 중에는 자기 부모가 돌아가셨다고 부고가 오더라도 그 부고장(訃告狀)을 본인에게 보여주지 아니하고 사무실에 보관해 두었다가 해제가 한 다음에사 '이러한 부고가 왔었다'고 하는 것을 알려드리게 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인사(人事)를 다 끊어 버리고 인연(因緣) 따라서 수용(受用)을 하되, '인연 따라서 수용한다'고 하는 것은, 죽이면 죽, 밥이면 밥, 보리밥이면 보리밥, 찰밥이면 찰밥, 반찬이 짠지면 짠지, 된장찌개면 된장찌개, 한 가지도 좋고 두 가지도 좋고 닥치는 대로 먹되, '이렇게 먹어 가지고 어떻게 영양이 보충이 안 되아서 이래 가지고 어떻게 공부를 할까?’ 그것을 걱정할 것이 없는 것이여. 왜 그러냐?
아무리 잘 먹어도 번뇌(煩惱)와 망상(妄想) · 오욕락(五欲樂) · 탐진치(貪瞋癡)로써 생활을 해 나간 사람은 그것이 살로 가지를 않는 것이고, 오히려 잘 먹는 것이 원인이 되아서 병(病)이 나는 것이고, 짠지나 된장찌개 한두 가지를 가지고 잡곡밥에 밥을 먹어도 탐진치 삼독(三毒)을 돌려서 참선(參禪) 공부를 하는 사람은 그것만 먹어도 충분히 몸을 유지해 나가게 되는 것이여. 이것은 삼천년을 두고 역대조사(歷代祖師)와 고인(古人)들이 다 실천으로써 우리에게 다 보여주셨어. 산중에 어느 선방, 또는 일본에 그 큰 선방을 가보더라도 짠무 김치, 닥꽝 김치 하나에 된장찌개만 가지고도 영양실종이 되어서 병이 났다고 하는 것이 없는 것입니다. 그렇게 먹어도 충분하게 건강을 유지해 나가고 다 도(道)를 이루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인연(因緣) 따라서 수용(受用)을 한다' 이것입니다. 더우면 더운 대로 추우면 추운 대로, 먹고 입고 이 의식주 문제에 관해서는 그때 형편에 따라서, 오직 나는 한 생각 한 생각을 헛되이 보내지 아니하면서 그 한 생각 한 생각을 알뜰히 돌이켜서 화두(話頭)를 거각(擧却)해 나갈 뿐인 것입니다.
잠은 9시부터 3시까지 그 때를 제외하고는 잠을 허락하지 아니하며, 이 핑계 저 핑계 대고 시내에 외출(外出)을 하지를 말며, 대중적으로 특별히 허락할 때가 아니면 일체 경(經)을 읽고 외우는 것도 허락을 하지 아니해. '이렇게 해서 3년간을 한결같이 간절하게 알뜰하게 정진을 해서, 그렇게 해 가지고서도 견성통종(見性通宗)을 못하면 내가 니 대신 지옥에 가겠다' 이렇게 몽산(蒙山) 스님께서 대중(大衆)을 향해서 다짐을 하신 법문(法門)이 있습니다.
어째서, '그렇게 공부해서 3년을 해 가지고 견성을 못하면 내가 너희들 대신 지옥에 가겠다' 이렇게 맹세(盟誓)를 했는데, 그렇게 하면, 그렇게 3년을 하면 틀림없이 견성(見性)을 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렇게 맹세를 하신 것이여. 과연 우리도 지나간 세월을 두고 그렇게 공부를 했던가! 냉정하게 반성(反省)을 해 보고, 그리 못한 사람은 그와 같이 정진을 해야 할 것입니다.
공부를 하되 덮어놓고 말 아니한 것으로 공부를 삼는다던지, 덮어놓고 잠 안 자는 것으로써 공부를 삼는다던지, 덮어놓고 밥을 굶는 것으로 공부를 삼는다던지, 어떠한 그러한 행동에만 치우친, 치우친 행동으로써 공부를 삼아서는 아니 될 것이다. 말을 많이 아니한다든지, 음식을 과식을 아니한다든지, 너무 잠을 많이 잔다든지, 이러한 것들이 분명 공부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고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말 아니한 것 자체를 궁극에 공부의 목적을 삼는다든지, 잠을 안 자는 것으로써 공부를 삼는다든지, 밥을 굶는 것으로써 공부를 삼는다고 하는 것은 그것은 근본(根本)을 망각하고 어떠한 부분적인 행동에 치우친 것이라, 이것은 지혜로운, 성스러운 공부라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최초에 대오(大悟)를 해 가지고 녹야원(鹿野苑)으로 가셔서 교진여(憍陳如) 등 다섯 사람에게 최초에 법문(法門)을 하실 때에 무슨 법문을 하셨느냐 하면, 지나친 호강을 하는 것도 성실한 성스러운 공부가 아니지만, 너무 지나치게 고행(苦行) 일변도(一邊倒)로 공부를 하는 것도 그것도 또한 지혜로운, 성스러운 공부가 아니라고 하는 것을 말씀을 하셨습니다.
왜 그런 말씀을 하셨는고 하면은 부처님을, 정반왕(淨飯王)의 명령을 받어서 '부처님을 무슨 수단을 써서든지 기어코 모시고 오라. 태자를 모시고 오라' 한 당부를 받고 온 그 교진여(憍陳如) 등 다섯 사람들이, 너무 부처님이 발심(發心)을 해서 열심히 도(道)를 닦으시는 것을 보고 자기네들도 따라서 출가(出家)해 가지고 도를 닦기를 시작했던 것입니다.
'우리가 대도(大道)를 성취할 때까지는 결단코 밥을 먹지 말자, 이 자리에서 일어서지 말자' 이렇게 모다 맹세를 했었는데, 부처님께서는 하룻날, '내가 이렇게 밥을... 덮어놓고 음식을 굶고 육체만을 갖다가 들볶는 이러한 고행(苦行)만을 가지고서는 대도(大道)를 성취할 수가 없겠다. 그러니 어쨌튼지 이 몸에 필요한 만큼은 먹여주면서 기운을 챙겨 가지고 그 깨끗한 정신으로 공부를 해야만 이 도(道)는 이루게 되겠구나' 이렇게 생각을 하시고 강으로 가셔서 목욕을 하고, 그때 마치 수자타(Sujātā)라고 하는 마을의 처녀가 유미죽(乳糜粥)을 써 가지고 오는 것을 보시고, 그 수자타가 바친 유미죽을 받아 잡쉈습니다.
그 유미죽을 받아 잡순 것을 보고서 교진여들은, '아하. 태자가 마음을 변했구나. 마음이 변해 가지고 도심(道心)이 약해져 가지고 저렇게 수자타가 갖다 바치는 죽을 받아 자셨구나. 그래 가지고서는 우리의 처음에 약속이 다르지 않는가. 싯달태자는 타락(墮落)을 했다. 변심(變心)을 했다. 타락하고 변심한 태자와 우리가 같이 있을 필요가 없다. 같이 있어 봤자 우리까지 타락을 하고 물들겠다. 그러니 우리는 태자를 버리고 딴 데로 가자' 이래 가지고 태자를 버리고서 녹야원(鹿野苑)이라고 하는 곳으로 떠나가서 자기네끼리 도를 닦고 있었던 것이여.
부처님께서 도(道)를 깨달라 가지고, '최초에 내가 누구를 향해서 최초(最初)에 법을(法)을 설(說)할 것인가?' 생각해 보신 결과, 녹야원으로 가서, '그래도 나와 가장 인연이 깊은 사람이 교진여들 다섯 사람이다' 이리 생각을 하시고 교진여가 있는... (녹음 끊김)
육체를 갖다가 들볶는 것으로써 공부를 삼았기 때문에, 고행(苦行)으로써 공부의 목표(目標)를 삼고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그 사람들에게 고행(苦行) 일변도(一邊倒)에 지나친 공부는 성(聖)스러운 공부가 아니라고 하는 것을 말씀을 하셨던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지나치게 잘 먹고, 너무 잠을 많이 자고, 잘 입고, 호강에 빠진 공부가 또한 성스러운 공부가 아니라고 하는 것도 부처님께서는 말씀을 하셨던 것입니다.
그래서 '중도(中道)'—지나치게 호강에 빠지지, 편안, 안일(安逸)에 빠지지도 아니하고, 지나치게 육체를 들볶지도 아니하는, 적당한 선에서 자고 적당하게 먹고 적당하게 입되, 그 가운데에 어디에다가 우리에 정진(精進)의 핵심을 맞춰야 하느냐? 본참화두(本參話頭),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단전호흡(丹田呼吸)을 왜 하라고 하냐 하면, 단전호흡을 하지 아니하고 화두(話頭)만을 간절히 들어 나가다 보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기운이 머리로 모여서, 피가 머리로 모이고 기운이 머리로 모여 가지고 뒤통수가 뜨끈뜨끈 열이 오르고 모가지가 빳빳해지고, 그래 가지고 맑은 정신이 없어지고, 공부만 하려고 화두만 들려고 하면 골치부터 아파. 이래 가지고 공부를 계속할 수가 없는 상태에까지 이르기 때문에, 참선을 하는 사람은 먼저 단전호흡 하는 법을 잘 알아 가지고 수승화강(水昇火降), 시원한 물기운은 위로 올라가서 머리가 시원해지고, 더운 불기운은 아래로 내려가서 단전(丹田) 부위 하복부(下腹部)가 따뜻해지도록. 이렇게 해서 시원한 기운은 위로 올라가고, 더운 기운은 아래로 내려가야 혈액순환이 잘되고 몸이 가볍고 머리가 깨끗하고, 이리해서 몸은 건강해지고 공부는 지장이 없이 잘되어 가는 것입니다.
'오직 화두 하나만을 간절히 들 뿐이지, 무슨 정신 헷갈리게 단전호흡을 하냐?' '단전호흡(丹田呼吸) 할라, 화두(話頭) 들라 하면은 정신이 두 갈래로 갈라져 가지고 이것도 저것도 안 되니 화두만을 들어야지, 무슨 단전호흡이 필요 있느냐?' 그렇게 생각한 사람이 있을런지 모르지만, 그렇게 생각하고 열심히 화두만 들면, 다행히 그렇게 들어도 화두가 순일(純一)하게 잘 들리고 수승화강이 잘되어서 조끔도 상기병(上氣病) 같은 것이 일어나지 아니한다면 좋지만, 까딱하면 상기병이 일어나서 공부를 할 수 없을 단계에 이르기 때문에 처음부터 단전호흡을 기초로 잘 익혀서 해 나가면, 나중에 익숙해지면 일부러 단전호흡을 하려고 안 해도 무의식 가운데에 제절로 단전호흡이 되게 되는 것입니다.
나중에 화두만 떠억 들어도 단전호흡은 제대로 된다 그 말이여. 단전호흡만 해도 제절로 그 가운데 또 화두가 떡! 들리게 된다 이 말이여. 그래서 단전호흡과 화두가 둘이 아니게, 허리만 쭉 펴도 저절로 그 가운데 단전호흡이 되고, 단전호흡이 되면서 화두도 떠억 들리게 된다 그 말이여. 그래서 정신이 헷갈리기 커녕은 오히려 혈액순환이 잘되고 정신이 깨끗하고 마음이 안정이 되어서 한결같이 공부가 되어가는 것이다 이 말입니다.(18분45초~36분20초)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700여 개가 넘는 ‘참선 법문(法門)’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 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 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그리고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도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700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
§((472)) (게송)남아대장부~ / 수행하는 것을 운전에 비유. '자꾸 끊임없이 노력하고 신심과 분심으로 열심히 해 나가면 자기에게 주어진 소임을 하되 그 속에서 화두 하나를 잘 들 수 있다' (게송)인재선중선재수~ / 번뇌망상 있는 거기에 불성(佛性)이 있다 / 번뇌망상 일으킬 수 있을 때, 그 사람은 정말 참선을 해서 자기의 불성을 깨달을 수 있는 훌륭한 자격을 가지고 있는 사람.
세계가 사회가 혼란할수록 불법(佛法)을 믿는 사람만이라도 더욱 중심(中心)을 잡아가야 / (게송)사로불용행~ / '불(佛)'이란 말이 인도 말로 '붓다(Buddha)'인데, 번역하면 '깨닫는다' / 일체처 일체시에 그 경계(境界)에 팔려가지 말고, 바로 그 경계에 즉(卽)해서 '이뭣고?'를 챙겨 나가자.
**송담스님(No.472)—1992년 5월 첫째일요법회(92.05.03) (용472) (정진)
남아대장부(男兒大丈夫)가 작사막망로(作事莫莽鹵)라. 남아대장부(男兒大丈夫)는 육체상으로 남성(男性)을 받아 난 사람만을 여기서는 남아대장부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설사 육체상으로 여자의 몸을 받았다 하더라도 오욕락(五欲樂)이 무상(無常)한 줄 알고 발심(發心)해서 정법(正法)을 믿고 참선을 하는 사람은 이 사람은 남아대장부입니다.
설사 고추가 달렸어도 정법을 믿지 않고 오욕락에 빠져서 그렇게 산 사람은 그거 대장부라 할 수가 없어. 미련하기가 한이 없고 어리석기가 한이 없어. 정말 몸뚱이야 어떻게 생겼건, 정법을 믿고 발심한 사람이면 그게 바로 남아대장부다 그 말이여.
그런 발심을 한 남아대장부(男兒大丈夫)는 작사막망로(作事莫莽鹵)여. 일대사(一大事) 문제를 향해서 나아가는 데 그럭저럭하고 소홀히 할 수가 없다 그말이여. 한번 시작했으면, 정말 부처님이 왕궁의 부귀를 버리고 설산에 들어갔으면 거기에 그럭저럭하실 수가 있었겠느냐 그 말이여. 우리도 그 장부(丈夫)를 본받아서 발심을 한 이상 어찌 그럭저럭 등한히 하고 사소한 일에 진심을 내고, 사소한 일에 우리의 아까운 시간과 생각을 빼앗기고 흔들릴 수가 있겠느냐 그거거든.
우리는 과거에 지은, 참 숙세(宿世)에 지은 공덕으로 원력으로 금생에 사람으로 태어나서 이 한국에 태어났고 또 불법을 만났고 정법을 만났습니다. 우리는 정말 남아대장부로서 또 참선을 시작했다면 철저하게 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보배산에 일단 들어갔으면 기어코 보배를 캐내야만 말아야지, 그럭저럭 끌적끌적하다가 돌아올 수야 있겠느냐 이거거든.
참선은 '지금 열심히 해 가지고 장차 기어코 견성성불(見性成佛)하리라' 이러한 게 아닙니다. 참선은 '이뭣고?' 이외의 어떠한 일에도 집착심을 가져선 안 돼. 어지간한 일이면은 인연 따라서 수용하고, 오직 한 생각 철석(鐵石)같은 마음으로 '이뭣고?' 하나만을 단속해 나가야 돼.
우리는 상근기(上根機)도 아니고, 중근기(中根機)도 아니고, 하근기(下根機)거든. 하근기는 여러 가지 일을 할 수가 없어. 이것도 하고 저것도 하고, 이것에도 정신을 쓰고 저것에도 정신을 쓸 겨를이 없어.
그렇다고 해서 자기 소임도 안 보고, 아무것도 안 하고 어디 가서 혼자 '이뭣고?'만 하고 백 가지 일을 다 버리라는 게 아니야. 자기에게 주어진 소임을 하되 그 속에서 화두(話頭) 하나를 잡드리해 나가는 데 전심전력을 다하라 이거거든.
"어떻게 '이뭣고?'를 열심히 하면서 공양주(供養主)를 열심히 하냐? '이뭣고?'만 열심히 하다 보면 밥이 어떻게 되겠느냐? 밥할 때에는 밥을 정성을 쏟아야지 '이뭣고?'만 하고 있으면 밥이 죽이 되는지, 떡이 되는지, 되겠느냐?" 어떤 참, 수행하는 사람으로부터 이러한 질문을 종종 받는데, 대단히 중요한 문제거든.
공양을 짓는데 전(全) 정성을 거기다 쏟다보면 화두가 달아나 버리고, 화두를 열심히 들다보면 밥이 다 타 버리거나, 죽이 되거나 한다 그 말이여. 틀림없이 그런 면이 있을 것이다 그 말이여. 채소밭을 매는데 '요것이 채소냐? 요것이 잡초냐?'를 봐 가지고 가려서 뽑아야지, '이뭣고?'만 열심히 하다 보면 뽑는 것이 채소는 뽑아 버리고, 남는 것은 잡초만 남고 그렇다는 것이지.
설사 그런 한이 있더라도 어떻게 화두(話頭)를 놓칠 수가 있느냐 그말이여. 화두 잘해서 확철대오(廓徹大悟)하기 위해서 채소도 가꾸고 밥도 짓는데.
그래서 이 두 가지 문제는 '밥이 타는 한이 있더라도 화두를 열심히 들어야 하냐?' 그렇더라도 '화두는 조금 등한히 들더라도 밥할 때는 밥할 때 정신을 쏟아야 하지 않냐?' 이것은 그 사람 사람의 견해에 따라서 이것을 옳다고 주장할 수도 있고, 저것을 옳다고 주장할 수가 있을 것이다 그 말이여.
그래 내가 지금 여기에 사부대중이 다 모이셨는데 '밥이 타더라도 화두를 열심히 들어야겠다' 하고 생각하신 분, 손 한번 들어보세요. 내리세요. '화두는 좀 등한히 들더라도 밥을 잘해야지' 그렇게 생각하신 분, 손들어 보세요.
그러면 이래도 손도 안 들고, 저래도 손도 안 든 분은 뭐여? 그건 아마 '두 가지가 다 일리가 있기 때문에 나로서는 뭐라고 주장할 수가 없다' 그래서 손을 안 드신 분은 손 들어봐요. 내리세요.
그런데 내가 한 예를 들겠는데, 자동차 운전을 하면 눈으로는 앞을 봐야 하고 또 앞에 걸린 거울로는 뒤를 봐야 하고, 양쪽 거울을 통해서 끊임없이 뒤도 살피고 앞도 봐야 하고. 손으로는 운전을 하고, 발로는 브레이크도 밟았다 악셀레이터도 밟았다 클러치도 밟았다 하고, 손은 요새는 뭐 노클러치가 있어서 아주 편리하게 어지간하면 다 달릴 수가 있는데.
두 손, 두 발, 눈, 그리고 귀도 항상 열어 놓고 초비상으로 살펴야 하고, 코로도 이상한 냄새가 나면 그것도 '엔진에 무슨 문제가 있냐?' 코도 있어야 하고, 이목구비와 사지백체(四肢百體)를 다 적절하게 다 활용을 해야지, 앞만 보고 가도 안 되고 뒤만 봐도 안 되고. 앞 보면서 뒤를 봐야지, 뒤 보면서 앞을 안 봐도 안 되거든. 그러니 이론상으로는 도저히 운전은 못 해 먹을 노릇이다 그 말이여. 그래도 처음에는 앞을 보면서 뒷이 잘 안 보여도 자꾸 연습을 하다 보면, 앞 보면서도 뒤도 보고, 옆에 사람과 이야기하면서도 볼 것 다 보고, 들을 것 다 듣고, 할 것 다 하고 한다 그 말이여.
그것을 입각해서 생각해 보면, 화두 들면서도 밥을 잘 지을 수가 있어요. 또 밥을 잘 지으면서도 화두를 들 수가 있는 거여. 처음에는 좀 어려울런지 모르지만, 자꾸 끊임없이 노력을 하고 신심과 분심으로 열심히 해 나가면 그것이 가능하게 되는 거여. 화두를 들라고 안 해도 저절로 들어지고.
밥도 자꾸 열심히 하다 보면—처음에는 자꾸 뚜껑을 열어 보고 싶거든. '밥이 다 퍼졌나 안 퍼졌나? 물이 아직도 있냐 없냐?' 자꾸 열어 봐. 두 번 세 번 열어 보면 그 밥은 맛이 없어. 자꾸 하면 '거기서 나오는 김이 위에로 올라오냐, 옆으로 피식 하고 나오느냐' 그 김 나오는 것만 봐도 '물이 다 되었다, 아직도 물이 있다' 그걸 알 수 있는 거여.
문제는 끊임없는 노력과 정성이 문제지, 해보지도 않고 겉핥드기로 이론만 가지고 '될 것이냐? 안 될 것이냐?' 그것 따지다 시간 다 가는 거여. 그런 것 따지지 말고 열심히 화두를 들고, 화두를 들면서도 한눈팔지 않고 정성으로 공양주(供養主)를 하면 하루 이틀 사흘 나흘 열흘, 한 달, 두 달 하다 보면 밥도 잘되면서 화두도 터억 들리게 된 때가 오는 것이다 그 말이여.
해보지도 않고 조금 해보고서 주둥이만 까 가지고 이렇구 저렇구 따져 쌓으면 그거 안 되는 거거든.(30분54초~43분59초)
인재선중선재수(人在船中船在水)요, 사람은 배 가운데 타고 있고, 배는 물 속에 있어. 수무부재방선행(水無不在放船行)이다. 물이, 배를 띄워서 달릴 수 없는 물은 없어. 물 있는 곳에는 배가 다 띄워서 갈 수가 있다 그 말이여.
'사람은 배를 타고 있는데, 배는 물 가운데 있다. 배를 띄워서 갈 수 없는 물은 없다' 이 말이 무슨 말인가?
번뇌(煩惱) 망상(妄想)이 일어나는 것은 사람에서부터 일어나. 사람이 있기 때문에 번뇌 망상이 일어난다 그 말이여. 번뇌 망상 있는 곳에는 불성(佛性)이 있어, 거기. 그래서 몸뚱이가 있으면 번뇌 망상이 있기 마련이여. 눈이 있고 코가 있고 귀가 있고 하니, 이목구비(耳目口鼻)를 통해서 끊임없이 모든 것을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느낄 수 있다 그 말이여. 느낄 수 있는 곳에는 반드시 불성(佛性)이 있다 그 말이여.
불성이 있기 때문에 그 불성(佛性)으로 인해서 눈을 통해서 보고, 귀를 통해서 듣고, 코를 통해서 내음을 맡고, 혀를 통해서 맛을 보고, 몸뚱이를 통해서 차웁고 더웁고 부드럽고 까끄러운 것을 느낄 수가 있다 그 말이여. 그러니 몸뚱이를 가지고 있고, 눈으로 모든 색상을 볼 수 있고, 귀로 모든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사람이면 틀림없이 불성(佛性)이 있는 증거거든.
그래서 몸뚱이가 이만큼 보존되어 있을 때 유지되어 있을 때, 이만큼 진심도 낼 줄도 알고 슬퍼할 줄도 알고 원망할 줄도 알고 괴로워할 줄도 아는 그런 번뇌 망상 일으킬 수 있을 때, 그 사람은 정말 참선(參禪)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사람이고, 참선을 해서 자기의 불성을 깨달을 수 있는 훌륭한 자격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그거거든.
물이 있는 곳에는 배를 띄울 수가 있고 그 배 가운데는 사람이 있으니, 그 사람이 그 배를 어떻게 저어 가느냐? 어떻게 운전을 하느냐에 따라서 동쪽으로도 갈 수 있고, 서쪽으로도 갈 수 있고, 자기의 목적지를 향해서 갈 수가 있는 것이거든.
천리계산수지두(고)(千里溪山隨指顧)요. 그 배 양쪽으로는 천리—압록강이라든지 양자강이라든지 두만강이라든지 또는 동해라든지 태평양이라든지, 천리계산(千里溪山)은 다 어느 쪽으로 가느냐? 방향을 틀기에 달려 있어. 일천풍월임봉영(一川風月任逢迎)이다. 배 양쪽에 모든 경치는 배 가는 대로 열려 나갈 것이다 그 말이거든.
아무리 이 몸뚱이를 가지고 있고 또 몸뚱이를 통해서 시청언동(視聽言動) 희노애락(喜怒哀樂)을 할 수 있어도, 그것을 정법을 믿고 활구참선(活句參禪)을 해 나가는 사람은 확철대오(廓徹大悟)해서 견성성불을 할 수가 있을 것이고. 아무리 이 좋은 몸뚱이를 가지고 정상적인 정신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오욕락에 빠져서 재산 모으는데 일생을 거기다 바치고, 명예 권리 하는데 거기다가 일생을 다 바치고, 오욕락에 거기다 일생을 다 바쳐버린다면 그 사람은 삼악도(三惡途)밖에는 갈 곳이 없고, 어떻게 그 사람이 견성성불을 할 것이냐 그 말이여.
우리 법보제자(法寶弟子)는 정말 이렇게 생각할 때에 참 다행이여. 우리를 낳아주신 부모가 감사하고, 이러한 참 대한민국의 국민으로 태어난 것이 감사하고, 더군다나 불법을 믿게 된 동기가 감사하고. 그러니 우리는 이러한 좋은 기회가 앞으로 10년 동안 유지가 될 것이냐? 20년 동안 유지가 될 것이냐? 30년 동안 유지가 될 것이냐? 전혀 우리로서는 알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니 정말 이 일대사(一大事)를 향해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을 다 여기다 다 바치고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여. 이것만이 우리가 인생으로 태어난 보람을 바르게 누리고 살아가는 길인 것입니다.
세계가 혼란하면 할수록, 사회가 어지러우면 어지러울수록 불법(佛法)을 믿는 사람만이라도 불법을 믿기 때문에 더욱 중심(中心)을 잡아가야 할 것입니다. 배 안에 탄 사람이 폭풍우를 만났을 때, 그 배가 나무 이파리처럼 흔들려 온 배에 탄 사람이 고함을 지르고 비명을 지르고 이리 몰렸다 저리 몰렸다 울고불고 야단일 때, 그 속에 한 사람만이라도 탁! 정신차린 사람이 있어서 키를 바로잡고 사람들로 하여금 안정하도록 해서—흔들릴수록에 사람이 이리 몰렸다 저리 몰렸다 하면 진짜 펄떡 배가 넘어가 버리거든—각자 양쪽에 탁! 앉아서, 탁! 붙잡고, 딱! 그래야만 그 배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것이라 그 말이여.
우리나라도 앞으로 경제 문제, 정치 문제, 교육 문제, 많은 문제들이 대단히 중요하고도 어려운 때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직접 나서서 정치는 안 하고, 직접 나서서 사업을 안 하더라도 또 하는 사람은 하더라도 우리는 정법에 의지해서 확고하게 우리의 양다리를 버티고 서야 하고, 중심을 잡아야 할 것입니다.
「산이 커서 명산(名山)이 아니라, 그 안에 신선이 살고 도(道)를 닦는 수행자가 있어야 그 산이 명산」이라고 하는 옛말이 있습니다. 비록 나라가 어려운 때를 만나고 세계가 말세적인 그런 현상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불법을 믿고 정법에 의지해서 수행하는 사람이 있는 한은 그래도 거기에 그것을 중심으로 해서 사회가 유지해 나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 정법을 믿는 법보제자(法寶弟子)는 그러한 사명감을 굳건히 가져야 합니다.
비록 겉으로 보기에는 보잘것없는 조그만한 사람일런지 모르지만, 정법을 의지해서 진리를 향해서 수행을 해 나간 사람은 인류 가운데 주인공이 되는 것입니다. 아무도 알아주지 안 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그러한 길을 가르켜 주신 사람이 우리의 스승이신 석가모니 부처님이십니다.
앞으로 칠 일 후이면 '부처님 오신 날'이 돌아옵니다. 우리 절에서도 이 '부처님 오신 날'을 향해서 이렇게 많은 등(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다 동참하셔서 한마음으로 '부처님 오신 날'을 경축할 뿐만이 아니라 '부처님 오신 날'을 기해서 우리도 다시 한번 또 새롭게 태어나야 하리라고 생각을 합니다.(44분5초~55분53초)
한산(寒山), 습득(拾得), '한산은 문수보살(文殊菩薩) 화현(化現)이고, 습득은 보현보살(普賢菩薩) 화신(化身)이다' 하는데, 지금 산승(山僧)이 읊은 게송은 문수보살의 화현이신 한산의 게송입니다.
사로불용행(邪路不用行)이라, 삿된 길은 가지를 말아라. 행지왕신고(行之枉辛苦)니라, 삿된 길을 가면은 쓸데없이 쓰라림과 고통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뭣고?'를 하는데, 자꾸 옆에서, "이뭣고를 해 봤자 하근기(下根機)는 깨닫지도 못하고, 밤낮 해봤자 맛도 없고 아무것도 되는 것도 없고, 어쨌든지 지장경을 읽어라. 금강경을 읽어라. 무슨 주력을 해라. 아미타불을 불러라. 아미타불은 부르다가 마지막 죽을 때 열 번만 부르면 아미타불과 대세지보살과 관세음보살이 반야용선을 가지고 데리러 오는데 그걸 하면은 돈도 안 들고, 참 고생할 것도 없고. 이뭣고 해 봤자 결제(結制)하러 가면은 돈 내야 하고 또 잠도 마음대로 못 자고, 먹고 싶은 것도 못 먹고, 죽비(竹篦) 치고 시간 맞춰서 앉으려면 허리 아프고 그러니 그까짓 거 뭐하러 그걸 하려고 하냐? 이것을 해라. 이거 읽으면 참 좋다는데 이것을 하지, 그거 참선은 다 최상근기를 타고 나야 그 사람이 닦지, 지금 참선한다고 해 봤자 누구 견성한 사람 봤어? 하지 말고 요렇게 이거하라"고 자꾸 옆에서 속삭속삭하면,
'대체 며칠 가서 해 봤지마는 별로 얻은 것도 없고, 누구는 꿈에 무엇을 나타나고 무엇을 했다는데 나는 별로 보인 것도 없고' 솔깃하니. 그래도 와서 법문 들어보면 '참선을 해야 한다'고 그러고, 또 그 옆에 말을 들어보면은 또 그것이 좋을 것 같고 갈팡질팡 갈팡질팡해. 그러지 말고 '굿을, 아무개가 굿을 잘하는데 굿을 하면은 어쩌고저쩌고 한다' 또 '굿을 할까?' 갈팡질팡하면 그 사람이 무엇이 되냐 그 말이여.
불요구불과(不要求佛果)여. 부처님이 탄생하신 뒤에 부처님 법에 의지해서 도 닦은 스님네나 청신사 청신녀가 수백만 명이지만, 부처님 같은 사람 한 번이나 나왔냐 이거거든. '그러니까 그거 다 소용없고 어쨌든지 아미타불 불러 갖고 극락세계 가는 것이 제일이다' 들어보면 그럴싸하거든.
참선을 하는데, 부처님과 같은 32상(三十二相)과 80종호(八十種好)를 갖춘 불과(佛果)를 구하지 말아라 이거여.
식취심왕주(識取心王主)니라.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나의 주인공을 탁! 알아버려라 그 말이여. 그것을 깨달아 버려야지, 거기다가 목표를 둬야지—이 몸뚱이를 끌고 다니는 주인공이야 부르면 대답할 줄 알고, 욕하면 성낼 줄 알고, 슬퍼할 줄도 알고, 기뻐할 줄도 아는 놈이 다 있거든. 바로 그놈을 탁! 식취(識取)하라 그 말이여. 딱! 알아차리라 그거거든.
성날 때, '이뭣고?' 탁! 이 성난 놈, 그놈을 챙기는 거거든.
뭘 볼 때, 탁! 볼 줄 아는 '이뭣고?' 탁! 챙겨라. 그렇게 챙겨 나갈 때 찰나찰나에 깨달음을 향해서 가는 거여, 그게. 그놈 내놓고 무엇을 깨닫느냐 그 말이여. 그것을 깨닫는 것이 '불(佛)'이여.
'불(佛)'이란 말이 인도(印度) 말인데 '붓다(Buddha)'인데, 번역하면 '깨닫는다' 말이거든. 실달 태자(悉達太子)가 출가해 가지고 구담(瞿曇) 사문(沙門)이 되었는데 견성, 그걸 깨달았거든.
별을 보고 깨달으셨는데, 깨달은 뒤에 32상(三十二相)을 갖추고 80종호(八十種好)를 갖춘 것이 아니어. 내나 깨닫기 전에 그 모습을 가지고 계셨어.
우리는 32상도 갖추지 못하고, 80종호도 갖추지 못하고, 배고프면 밥 생각나고, 때리면 아프고, 욕하면 성내니까 흉악한 박지범부(博地凡夫)지만, 성날 때 '이뭣고?' 하고, 슬플 때 '이뭣고?' 하고, 속상할 때 '이뭣고?' 하고, 원망스러울 때 탁! 생각을 돌이켜서 '이뭣고?' 하면 '이뭣고?' 한 그 찰나찰나 우리도 부처님이여. 그놈 내놓고 절대로 부처가 따로 없는 것이여.
우리는 그렇게 믿고, 부지런히 일체처 일체시에 그 경계(境界)에 팔려가지 말고, 바로 그 경계에 즉(卽)해서 '이뭣고?'를 챙겨 나가자. 그것밖에 정법이 따로 없고, 그것밖에 활구참선이 따로 없고, 그것밖에 견성성불의 길도 없는 것이다 그 말이거든.(1시간11분13초~1시간18분38초) (끝)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700여 개의 ‘참선 법문(法門)’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 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 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그리고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도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700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
§((252)) (게송)삼계지중분요요~ / 『선관책진(禪關策進)』에 수행에 몸과 목숨을 바친 기록 / 중국 고봉선사의 3년 사한(死限) 용맹정진 / 하루 결제, 하루 정진.
수행도 할 시기가 있다 / 기름 참선 / 선방에서 잡담 금지 / 자기도 공부를 아니하면서 남까지 공부를 못하게 하면 그 죄는 참회(懺悔)할 길이 없다 / 자기 마음에 안 드는 그것에 하심(下心)을 하라 / (게송)한산정상월륜고~ / 우리는 무가보(無價寶)를 가지고 있다.
삼계지중분요요(三界之中紛擾擾)한데 지위무명불요절(只爲無明不了絶)이라. 욕계(欲界) · 색계(色界) · 무색계(無色界), 이 삼계(三界) 가운데에 가루 날으듯이 윤회(輪廻)를 하는 것은—지옥으로 떨어졌다, 천당에 올라갔다, 축생(畜生)이 되었다가, 사람이 되었다가, 아귀(餓鬼)가 되었다가, 이렇게 해서 삼계 육도윤회(六道輪廻)를 끊임없이 오르락내리락 하는 것은 무엇 때문에 그러냐 하면, 다못 무명(無明)을 요달(了達)해 끊지 못해서 그런 것이다.
일념불생심징연(一念不生心澄然)하면, 한 생각 남이 없어서 마음이 맑으면, 무거무래불생멸(無去無來不生滅)이여. 갈 것도 없고 올 것도 없어서 생멸(生滅)이 없는 것이다.
오늘 갑자년(甲子年) 윤(閏) 10월 보름날 동안거(冬安居) 결제일을 맞이해서 도봉산 원효암(元曉庵) 대중과 회룡사(回龍寺) 대중도 용화사 법보선원(法寶禪院) 대중과 함께 이 법요식(法要式)에 참석을 했습니다. 해마다 10월 15일에 동안거 결제를 하는데, 금년에는 윤달이 들어서 본 10월에는 하지 아니하고 윤 10월 15일에 결제를 해 가지고 내년 을축년(乙丑年) 정월(正月) 15일, 지금으로부터 석 달 뒤에 해제(解制)를 하게 됩니다.
여름이 되면 여름 결제, 겨울이 되면 겨울 결제, 연례행사(年例行事)로 해마다 결제를 거듭하고 해제를 거듭하건마는, 마냥 동쪽에서 뜬 해가 서쪽으로 지고 또 동쪽으로 뜨는 해가 서쪽으로 지고 아무 특별한 것이 없어. 아무 특별한 것도 없고 기특한 것도 없는 가운데에 해가 뜨고 해가 지고 하지만, 달라지는 것은 우리가 하루 지내면 하루 지낸 만큼 죽음이 다가오고, 이틀 지나면 이틀 지낸 만큼 죽음이 다가오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하루하루 지내다가 보면 한 달이 지내고, 한 달 한 달이 지내다 보면 일 년이 지내서, 일 년을 지낼 때마다 나이가 한 살씩 불어나는데, 일 년 일 년 지내다 보면 어언 십 년이 가고 이십 년이 가서, 엊그제가 청년, 청년 시절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오십이 되고 육십이 되고 칠십이 되었습니다. 사람이 태어나서 젖 먹고 밥 먹고 학교 다니고 결혼하고 이러는 가운데에 아무것도 마음에 얻은 것은 없고 업(業)만 짓고 나이만 먹으면서 죽음을 향해서 지옥으로 가는 벌이만 하고 있어서야 이것이 될 수가 없는 일입니다.
출가해서 사문(沙門)이 되어가지고 선방에 나와서 참선(參禪)을 하는 출가납자(出家衲子)들도, 철철이 선방에 나와서 결제를 하고 안거(安居)를 하는 것도 대단히 어려운 일이고 힘든 일이지만, 처음에 발심(發心)해서 출가할 때 마음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이완되어 버리고. 그때의 그 열렬한 발심과 분심(憤心)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스르르르르~ 하니 가라앉어 버려서, 그러다가 어쩌다가 생각이 나면 또 용맹심(勇猛心)을 내나 그것이 사흘이 못 가서 또 스르르르르~ 하니 또 꺼져 버리고. 생각은 '이래서는 안 되겠다'고 하면서도 실지로 허리를 쭉 펴고 정진(精進)을 해 보면 혼침(昏沈) 아니면 산란(散亂), 산란 아니면 혼침으로 하루하루를 지내다 보면 퍼뜩 석 달이 지내가게 되는 것입니다.
옛날에 도인(道人)은 잠이 오면 그 잠을 자지 않기 위해서 무거운 바윗돌을 짊어지고 저 지리산을 하룻밤에 백 리(百里) 이상을 걸어 고개와 골짜구니를 넘고 넘으면서 밤새 길을 걷고. 그렇게 해서 그 돌이 반들반들하니 닳아져서 쌍계사(雙磎寺) 육조 스님 정골탑(頂骨塔) 앞에 그 돌이 놓여있는데. 그렇게 애를 쓰고. 자명(慈明) 스님 같은 이는 송곳으로 무릎을 찌르면서 정진을 하고 한, 『선관책진(禪關策進)』에 보면 그 많은 도인들이 혼침과 산란을 이겨내고 해태(懈怠)로부터 벗어나서 정진을 하기 위해서 몸과 목숨을 바친 그러한 사례가 수없이 기록이 되어 있습니다.
무엇 때문에 혼침과 산란은 번갈아가면서 우리 수행할라는 사람을 괴롭히고 있는가? 그 두 가지 몹쓸 것만 없으면 정진이 저절로 될 것이고 정진하는 데 아무 괴로울 것이 없건마는. 유시(有時)에는 번뇌(煩惱)와 망상(妄想)이 퍼일어나고, 그 번뇌와 망상이 좀 잠잠해질만 하면은 혼침이 와 가지고 눈뚜껑이 천 근이나 무겁게 쪄 누른다 그 말이여. 아무리 눈을 뚝 부릅뜨고 애를 써도 그 눈팅이 내려누르는 힘을 도저히 이겨낼 수가 없어.
그래서 옛날 중국 천목산(天目山)에 고봉 선사(高峰禪師), 고봉 스님은 '내가 삼 년 동안 가행정진(加行精進) 용맹정진(勇猛精進)을 해 가지고 견성을 못하면 자살을 해 버리리라' 이러한 결의를 하고서 정진을 하는데. 역시 그 고봉 스님도 혼침, 어떻게 앉기만 한면 혼침이 와 가지고 밥 먹는 시간, 공양 시간을 제외하고는 마냥 밖에 나가서 포행(布行)을 했습니다. 포행을 해 가지고 조끔 졸음이 달아날만 하면 들어와서 또 앉으면, 앉기만 하면 금방 또 혼침이 와. 그래서 밥 먹을 시간을 제외하고는 앉을 수가 없어.
그렇게 도량을 포행으로 포행으로 애를 쓰는 가운데 3년이란 기한이 어언간 닥쳐오고 말았습니다. 며칠이 안 되면은 3년 기한이 차는데 착잡하기가 말로 할 수가 없어. 장부(丈夫)가 한 번 결심을 했는데, 3년 만에 도(道)를 이루지 못하면 자결(自決)을 해 버릴라고 결의(決意)를 했는데 며칠이 안 남았다 그 말이여. 그래서 날마다 참 착잡한 마음으로 마지막 남은 며칠간을 정진을 하는데, 하룻밤 꿈에 단교(斷橋) 스님이 나타나서 '만법귀일(萬法歸一) 일귀하처(一歸何處)' 그 화두를 떠억 주신다 그 말이여. 꿈에 그 단교 스님으로부터 화두(話頭)를 탔는데 눈을 뜨고 보니 너무 소소(昭昭)하고 영령(靈靈)하다 그 말이여.
그렇게 화두를 들면 들었을 때뿐이지 금방 딴생각이 들어오고, 또 새로 화두를 들면은 일 분도 못 가서 또 딴생각이 들어오고. 그렇게 애를 쓰기를 3년을 했는데. 꿈에 '만법귀일(萬法歸一) 일귀하처(一歸何處)' 화두를 단교 스님으로부터 딱 받고서는 화두를 들라고 안 해도 제절로 터억! 현전(現前)하는데 혼침도 간 곳이 없고, 번뇌 망상 산란심(散亂心)도 간 곳이 없어. 앉아도 화두요, 서서도 화두요, 밥을 먹으나 옷을 입으나 똥 누고 오줌을 누나, 일체처(一切處) 일체시(一切時)에 제절로 화두가 드러나.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는데 말로써 표현할 수가 없어.
이렇게 말씀을 하면 '나도 꿈에 그런 누구한테 화두를 한 번 타 봤으면' 혹 그러한 생각을 하실 분이 있을란가 모른지만, 꿈에 그 화두를 타게 되는 데에는 3년이라고 한 세월을 단 일분일초도 범연(氾然)히 지내지 안 했다 이것입니다. 화두를 들어 가지고 일 분도 못 되어서 화두가 없어져 버리면 또 들고, 일 분도 못 되어서 없어지면 또 들고, 혼침이 오면은 포행하고 산란심이 일어나면 화두를 들고.
그래서 혼침과 산란과 그 두 놈들이 번갈아가면서 들어오는데, 그러한 사이에서도 일분일초도 그냥 혼침에다 맡겨 둔 채 지내지 아니하고, 산란심이 일어난 채 그냥 그놈에다 맡겨 두고 지내지를 안 했다 그 말이여. 그렇게 애를 쓰고 이를 악물고 스스로 채찍질을 가하면서 3년을 하루같이 애를 썼기 때문에 몽중(夢中)에 화두를 타는 데에까지 이르렀다 그 말이여.(처음~15분28초)
(2/3)----------------
백년삼만육천조(百年三萬六千朝)에 반복원래시자한(返覆元來是這漢)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그 고봉 스님이 꿈속에서 단교화상으로부터 '만법귀일' 화두를 타 가지고 정진을 하는데 애써서 할 것이 없어. 제절로 의단이 독로하는데, 그 성성(惺惺)하고 적적(寂寂)하고 그러한 가운데 화두가 드러나는데, 앉으나 서나 누우나 밥을 먹으나 옷을 입으나 조끔도 털끝만큼도 힘을 들일 것이 없고 일부러 지어서 할 것이 없어. 지나간 3년 동안에는 온전히 억지로 지어서 했는데 이제는 지을 것이 없어. 애쓸 것이 없어. 제절로 화두가 독로하는데.
일부러 딴 생각을 좀 해 볼라고 해도 되지를 안 혀. 옆에서 떠들어도 상관이 없고, 옆에서 잡담을 해도 상관이 없고, 사람이 수십 명, 수백 명 있는 대중 가운데에 앉아서도 한 사람도 눈에 보이지를 안 혀. 밥을 먹을 때도 그저 대중 따라서 밥을 먹을 뿐이지, 밥 먹는 것에는 아무 상관이 없어. 다맛 따라서 그저 밥 먹고 그저 똥 마려우면 똥 누고 그러지 화두에는 추호(秋毫)도 관계가 없어. 그렇게 화두가 순일무잡(純一無雜)하고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어서 그러한 상태로 일주일이 갔는데.
일주일 만에 달마(達磨) 스님 제삿날에 탑전(塔殿)에, 대중과 합해서 그 탑전에 올라가서 제사를 지내는데, 그 오조 법연(五祖法演) 화상의 탱화(幀畵)에 '백년삼만육천일(百年三萬六千日) 반복원래시자한(返覆元來是這漢)이다, 백년 삼만육천 일에 반복하는 놈이 원래로 이놈이다' 한 글이 쓰여 있는데 그 글을 보고서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했습니다. 백년이면은 날수로 치면은 삼만육천 일인데, 그 '백년 삼만육천 일에 반복하는 놈, 엎어졌다 뒤집어졌다 하고, 일어났다 꺼졌다 하고, 갔다 왔다 하는 이 반복하는 놈이 바로 이놈이다' 한 그 게송(偈頌)에 화두를 타파(打破)했어. 천칠백 공안(公案)을 어느 공안을 들어봐도 하나도 맥힘이 없어.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깨달아 버린 것입니다.
비단 중국에 고봉 선사 뿐만이 아니라 역대조사(歷代祖師)들이 다 대도(大道)를 성취하는 데에는 그만한 목숨을 걸고 용맹정진을 하셨던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지금 여러분들도 3년을 기한을 정해 놓고 정진을 열심히 하신 것은 좋으나, 3년 지내고도 깨치지 못하면 꺼떡하면 자살 같은 거 하고 그러한 것을 내가 주장하는 것이 아닙니다.
3년도 길고 하루씩, 항시 전강 조실 스님께서 말씀하시기를 '3년도 길고 석 달도 길어. 하루씩을 작정을 해라' 하셨습니다. 오늘 하루를 딱! 작정을 하고 그날 하루를 짬지게 단속(團束)을 하고 정진을 해서 그날 하루를 딱 결산을 하고. 그 다음날에는 또 하루를 작정을 하고 좀 더 알차게 정진을 하고. 이렇게 해서 하루씩 하루씩을 작정을 해서 여법(如法)하게 해 나가면 열흘이 하루 같고, 한 달이 하루 같고 석 달이 하루처럼 그렇게 단속을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중생은 근기(根機)가 약해서 석 달이나 3년 길게 잡아 놓면, 하루 이틀은 괜찮지만 벌써 사흘째 가면은 자기도 모르는 새에 늘어지게 되고 열흘이 지내가면 더 늘어지거든. 또 정신을 차려도 또 며칠 안 가면 또 풀어지고 이러니까 하루씩을 단속을, 작정을 하고 하면 풀어질 수가 없거든.
농사를 지어 보면 곡식이라고 하는 것이 자랄 때가 있는 것입니다. 모자리를, 봄에 일찍이 모자리를 해서 그 모가 잘 자라면은 그것을 하지(夏至) 전에까지 다 심어야 하는데, 될 수 있으면 하루라도 일찍 심을수록에 수확이 더 늘어나고 좋은 것입니다. 아무리 늦어도 하지가 넘어버린 뒤에 심은 것은 농사가 볼 것이 없는 것입니다.
일찍 심어 가지고 한참 날씨가 뜨겁고 그럴 때에 그때 필요한 만큼 그 벼가 자라게 해 주어야 제대로 수확을 보는 것이지, 그 자라야 할 때에 날씨가 춥거나 너무 오랫동안 비가 많이 와서 햇볕을 보지 못하거나, 또는 너무 비가 오지 안 해서 가물어 가지고 바짝 말라서 논바닥이 갈라지고 해서 수분이 없어서 자라지를 못하거나, 또 비료가 부족해서 자라지 못하거나, 논을 세 번 이상 매 주어야 하는데 논을 매 주지 못해 가지고 잡초 속에 우거져 있거나, 이리해서 자라야 할 그 시기에 자랄 수 있도록 해 주지 아니하면 그 농사는 볼 것이 없습니다.
이 수행(修行)도 발심(發心)을 해서 공부할 때에, 할 그 시기(時機)가 있는 것입니다. 그 시기에 그때에 채찍을 가해서 좋은 도반(道伴)들과 선지식(善知識)의 바른 지도를 받으면서 그 시기에 참 알차게 공부를 해놔야 하는 것이지, 그 시기를 놓쳐 버리면 기름 참선이 되어서 나중에는 늙발에 가서 좀 할라고 해봤자 별 볼 일이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공자(孔子)님도 말씀하시기를 '삼십에 서지 아니하면 그 뒤에 아무리 노력을 한다 해도 별로 보잘 것이 없는 것이다'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이 정진(精進)도 할 시기(時機)가 있어서 그 시기에 발심하고 분심(憤心)이 났을 때 야무지게 단속을 해서 공안을 타파(打破)를 해서 본래면목(本來面目)을 철견(徹見)을 해야지, 처음 발심했을 때 시원찮게 다잽이를 해 가지고 그럭저럭 지내버려 놓으면 10년 20년 그럭저럭 별로 소증처(所證處)가 없이 기름 참선이 되어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말씀을 드리면 혹 연세가 많으신 보살님네들은, '하이고! 시기가 있다는데 인자 늙어서 선방에 와 봤자 나도 별 볼 일이 없겠구나' 혹 그렇게 자포자기(自暴自棄)를 하셔서는 아니 됩니다. 젊어서 발심한 사람은 젊어서 발심한 대로 시기가 있고, 연령(年齡)이 많아 가지고 선방에 오셔서 발심한 분은 또 연령이 많은 그날부터서 첫 철이니까 한 살인 것입니다. 오십에 들어오시면 오십 세에 들어온 해가 법(法)의 나이로서는 그날이 한 살이고, 육십에 들어오셨으면 육십 살이 이 법의 나이로서는 한 살이여. 그것을 법랍(法臘)이라 그러는데.
한 살 되었으니 세속적(世俗的)인 나이 많은 것을 여기서 따질 것이 못됩니다. 그날 한 살로 생각하고 정말 나이 많은 것도 잊어버리고, 자기가 세속에서 잘사는 것도 잊어버리고, 지식이 많은 것도 잊어버리고, 지나간 세월에 절에 오래 댕겼다고 하는 것도 다 잊어버리고. '이 최상승법(最上乘法)에 발심한 그날부터 부처님 제자(弟子)로 새로 태어났다' 이런 마음을 가지고 정말 알뜰히 한 생각 한 생각을 단속을 해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지금 이 자리에 모이신 분은 대부분 오래 전부터서 참선법(參禪法)을 믿고 정진하신 분들이 많이 계시고 또 일부는 참선이 좋단 말은 들었지만 실지로 선방에 와서는 한 번도 지내보시지 아니한 그런 분도 계실 줄 압니다. 이 참선은 꼭 선방에 들어와야만 하는 것이 아닙니다. 가정에 계시면서도, 가정생활하면서도 올바른 방법만 알아 가지고 열심히 하면 얼마든지 할 수가 있는 것이고. 또 선방에다 방부(房付)를 들이고 공부를 하시되 시비(是非)나 하고, 사소한 일에 짜증이나 내고, 옆에 사람하고 말다툼이나 하고, 밤낮 앉어서 속 바글바글 썩고 앉어서 제대로 공부를 못하면 참선커녕은 오히려 업(業)만 더 짓게 되는 수도 있는 것입니다.
물론 금년 겨울에 한 팔십여 명이 방부를 들였습니다마는 그분들은 정말 스님네 못지않게, 출가한 스님네 못지않게 이 석 달 동안을 정말 여법(如法)하게 정진을 해주실 줄 생각을 합니다. 그 팔십여 명 가운데에는 칠십을 훨씬 넘은 그런 노보살님네들도 상당수 계신 줄 생각합니다. 칠십 이상 넘어 놓면 몸이 말을 듣지 아니하고, 그 혈압이 높거나 혈압이 너무 낮아서 어지럽기도 하고, 소화도 잘 안되고 귀도 잘 안 들리고 눈도 침침해서 모다 새벽에 일어나서 화장실에 가시고 모다 씻고, 법당(法堂)에 올라오시고 하는데 상당히 어려운 점이 있을 줄 생각합니다. 그래서 여러 대중과 더불어 행동을 같이 하기가 상당히 어려울 줄 생각하지만, 연세가 많다고 누가 나를 위해서 특별히 시봉(侍奉)을 해주는 사람도 없는 것이고, 어쨌든지 몸조심하면서 열심히 정진을 하셔야 할 것입니다.
사중(寺中) 형편이나, 대중의 규칙 생활상으로는 연세가 많으면은 행동을 같이 따라서 하기가 퍽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마는, 연세가 조끔 많다고 해서 방부를 안 받아 놓면 인자 돌아가실 날이 멀지 아니한데, 모처럼 이런 선방에 오셔서 전강 조실 스님 법문을 들으면서 이 청정한 도량(道場)에서 정진할라고 오신 그 갸륵한 신심이 훌륭해서 연세가 좀 많아도 대중과 같이 생활하는 데 크게 불편이 없기만 하면 연령 가지고는 너무 심하게 하지 않도록 그렇게 배려를 해서 방부를 받아들이게 된 것입니다.
그러니 젊은 사람들보다도 노인일수록에 더 정진을 알뜰히 하셔야 하고, 젊은 사람들이 잡담을 하더라도 '나도 그럭저럭 잡담하다 내가 이렇게 늙어버렸소. 그러니 한 살이라도 덜 먹어서 어쨌든지 공부 열심히 하라'고 이렇게 경책(警策)을 해 주신다면 젊은 분들도 거기서 참 발심(發心)을 해서 감동이 되어 가지고 정진을 잘할 줄 생각합니다.(15분34초~31분54초)
(3/3)----------------
여러분이 보시다시피 지금 선방이 옛날 지대방을 털어 가지고 큰 방을 만들고, 지대방은 저 뒤채에다가 해 놨으니, 이쪽 선방에서는 아무 잡담을 할 필요가 없게 되었습니다. 물론 저쪽 지대방에서라도 잡담을 하라고 그렇게 방을 넓게 만들어 놓은 것은 아닙니다마는, 여기 공부하러 오셨지 잡담하러 오신 것이 아니거든. 그러기 때문에 어디에서나 잡담은 해서는 아니 되려니와 특히 이쪽 선방에서는 전혀 말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방선 시간에, 입선(入禪) 시간에는 말할 것도 없고 방선(放禪) 시간이라도 이쪽 선방에서는 말을 할 필요가 없어요. 떠억 앉어서 방선 시간이라도 각기 앉어서 묵묵히 화두(話頭)를 들고 정진을 하셔야지, '방선했다' 해 가지고는 대고 벌떡벌떡 드러눕고, 옆에 사람하고 수군순수군수군 뭔 얘기를 하고 그래 쌓면, 정진할 마음을 가진 사람도 옆에서 떠들어 쌓는 통에 정진을, 공부를 못하거든.
자기도 공부를 아니하면서 남까지 공부를 못하게 하면 그 죄는 참회(懺悔)할 길이 없어. 남을 거짓말을 하고 속이고, 남 목숨을 해롭게 하는 것도 큰 죄가 되는데, 도 닦는 것을 못 닦게 방해한 죄는 사람을 죽이는 죄보다도 더 크다 말할 수가 있습니다.
사람을 죽여 봤자 육체밖에는 죽일 수가 없어서 다시 뭐 새로 몸 받아나면 그만이고, 자기도 살생(殺生)하는 죄의 죄값만 받으면 되지만, 도(道) 닦는 것을 방해를 쳐 가지고 도를 못 닦게 하면, 그 사람으로 하여금 해탈도(解脫道)를 증득(證得)할 것을 못하게 한 죄가 되고, 그 사람 한 사람만 못하게 한 게 아니라 그 사람이 도를 성취해서 견성성불(見性成佛)하면 한량없는 중생을 제도할 그러한 대도인(大道人)이 되고 부처님이 될 텐데, 그것을 못하게 방해를 쳤으니 사람을 몇천만 명 죽인 죄보다도 더 크다고 말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니 어쨌든지 선방에서는 잡담을 하지 말고, 좀 불편한 점이 있더라도 그것을 잘 이해를 하시고 사소한 일에 말다툼하거나 짜증을 내거나 하지를 말고서, 어쨌든지 한 생각 한 생각을 단속해서 석 달 동안이 하루처럼 엄숙하고 경건하게 정진을 하시도록 간곡히 부탁을 합니다.
이 선방에, 스님네 선방도 지대방을 털어서 큰 방을 만들고, 그 옆에 작은 방 두 개를 벽을 허물어서 또 합쳐서 거기를 지대방으로 쓰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정진하는 스님네에게 좀 더—너무 방이 좁아 가지고 불편하기 때문에 지대방을 그렇게 했으니 정진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한 것이니까 그렇게 이해를 하시고. 어쨌든지 스님네도 열심히 정진을 하시되 '다른 선방에서는 이렇게 안 했는데 여기는 이렇게 한다', '다른 선방은 이러는데 여기는 이렇게 안 한다' 이렇게 해 가지고 꼭 다른 선방과 비교해서 다른 점을 자꾸 들춰내 가지고 불평을 하시지 말고, 이 용화사 법보선원은 법보선원 나름대로에 특성이 있을 수가 있는 것입니다. 또 다른 선원은 다른 선원 나름대로 그 선방 나름대로에 또 가풍(家風)이 있을 수가 있습니다.
어느 선방이나 모든 것이 다 똑같으란 법은 없습니다. 이런 데는 이런 데를 만나면 그 법도(法度)에 따라서 순응하고 적응하면서 그 속에서 정진을 알뜰히 하고, 또 다른 선방에 가면 그 선방 나름대로 법도가 있으면 그 법도에 순응하면서 거기에 적응하면서 정진을 할 따름인 것입니다. 마치 저 남방(南方)에 더운 데에 가면 더운 데에 따라서 옷을 입고, 저 북방(北方)에 추운 데로 가면 추운 데에 따라서 거기에 알맞는 더운 옷을 입으면서 지내는 거와 마찬가지입니다. 음식도 또한 그렇고 모든 규칙과 법도도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자기 마음에 안 든다고 해서 불평하기 보다는, 그 자기 마음에 안 드는 그것에 하심(下心)을 하고 자기의 마음을 비우고서 거기에 적응할 때에 이(理)와 사(事)가 한목 병진(竝進)해 나가는 것입니다.
이렇게 마음의 자세가 그렇게 되어야 어디를 가거나, 동서남북 어디를 가거나 온통 자기 정진에 큰 발전을 가져다 주는 것이고, 마음가짐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아니하면 여러 가지 나를 위해서 좋은 인연을 만나도 거기에서 그것을 발판으로 해서 나아가지를 못하고 오히려 거기서 자꾸 자기는 경계(境界)에 속고 얽매임을 받아 가지고 계속 정진에 손해를 보게 되는 것입니다.
한산정상(寒山頂上)에 월륜고(月輪孤)한데, 한산 산꼭대기에 둥근달이 밝았는데, 조견청공일물무(照見晴空一物無)로구나. 저 맑은 하늘에 그 달이 밝게 비추어서 한 물건[一物]도 없구나. 구름 한 점 없는 달이 휘황창 밝으니 무엇이 있느냐.
가귀천연무가보(可貴天然無價寶)가, 귀하고 귀한 그 천연에 값없는 보배가, 매재오음익신구(埋在五陰溺身軀)로구나. 색수상행식(色受想行識), 이 사대(四大)로 뭉쳐진 육신과 탐진치(貪瞋癡) 삼독(三毒)으로 얽혀진 우리의 마음, 이 오음(五陰)의 몸뚱이 속에 그 무가(無價), 값없는 보배가 매장(埋藏)되어 있구나.
우리는 쓰고 쓰고 또 써도 한량(限量)이 없고, 퍼도 퍼도 퍼내도 바닥날 줄 모르는 영원히 다함이 없는 그러한 무가보(無價寶)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무가보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것을 잘 활용을 할 줄 모르고, 그것을 발견을 해서 그것을 자유자재로 쓰지를 못하고一그것이 바로 이 육신, 오음색신(五陰色身) 속에, 탐진치 삼독 속에 그놈을 묻어버린 채 끊임없이 업(業)만 짓고 그래 가지고 육도윤회(六道輪廻)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행히 우리는 불법(佛法)을 만나서—부처님 열반(涅槃)하신 지는 삼천년이 되었지마는, 삼천년 동안 역대조사를 통해서, 역대 선지식(善知識)을 통해서—내가 나를 찾는, 그 무가보(無價寶)를 개발을 해서 찾아내는 최상승법을 전해서, 등등상속(燈燈相續)해서 우리는 그 법에 의지해서 공부할 수 있는 인연(因緣)을 가진 것입니다. 금년 삼동(三冬), '어쨌든지 금년 삼동이 첫 철이요, 마지막이다' 이러한 마음을 가지고 하루하루를 열심히 정진해 주시기를 다시 한 번 부탁을 드립니다.(31분55초~44분2초)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700여 개의 ‘참선 법문(法門)’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 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 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그리고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도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700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