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5)) 공부는 '깊은 우물 속에 눈을 져다 부어 우물을 메우려듯 해라' / 참선 공부는 '자기가 자기를 찾아서 자기를 깨닫는 법'이기 때문에 '기어코 되고야만 만다'는 확신을 가져야 / 주머니 속 물건, 항아리 속에 자라, 찾을려고 하면 바로 언제나 거기에 있다.
(게송)남북동서무정착~ / 『서장(書狀)』에 대혜 스님이 누누이 말씀하시기를 '꽉! 맥혀서 답답하고 몸부림쳐지고 한 그러한 경지야말로 견성성불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 / 도(道)에 있어서는 승속(僧俗)이 없다.
〇깊은 우물에 눈 퍼다 붓듯이, 해가 넘고 백천만 겁이 지내도 차고 안 차고 하는 것도 따지지 말고 계속 퍼다 부을만한 그러한 끈기를 가지고 해 나간다면 어찌 안 될 것이냐. 마침내는 져다 붓는 놈이나, 우물이나, 눈이나가 전부가 다 하나가 되어서 홀연(忽然)히 어떠한 계제(階梯)를 만나면은 툭! 터져 가지고, 결국은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게 되는 것이다.
**송담스님(No.245)—1984년(갑자)년 하안거 해제 법회(84.08.11) (용245) (정진)
약 22분.
7월 15일 여름 안거(安居)의 해제날입니다. 이 해제날에는 석 달 동안 참선 수행하던 모다 스님네들이 해제를 하고, 또 걸망을 지고서 스승을 찾아가기도 하고 도반을 찾아가기도 하고 그러는 날입니다.
결제 동안에는 출입 왕래를 금하고 다 한군데 모여서 규칙을 지키면서 겨울 석 달, 여름 석 달을 발을 묶어 놓고 그리고서 정진을 하다가 해제를 맞이하면 걸망을 지고 팔방 사방으로 나가는데, 원래 이 결제법(結制法)이라 하는 것은, 안거법(安居法)이라 하는 것은 인도에는 우기(雨期), 비가 많이 오늘 계절이 있어서 그 비를 피하기 위해서 부득불 기원정사(祇園精舍)나 죽림정사(竹林精舍)나 이런 절에서 비를 피하기 위해서 절에서 모두 모여 가지고 정진하다가, 우기(雨期)가 지나면 다시 그 절에서 떠나 가지고 숲속에 들어가서 숲속에서 자고 또 탁발해서 공양을 하고 숲속에서 밤새 정진을 하고, 그렇게 수도 생활을 하기 때문에 결제 · 해제라고 하는 것이 있었던 것입니다.
만약 참선(參禪)을 해서 빠른 시일 내에 결정코 견성성불(見性成佛)을 하고자 할진대는—오늘 해제를 하고서 걸망을 지고 어디를 가시건 간에 가시는 발걸음 한 걸음, 한 걸음 걷는 것이 그게 바로 선방(禪房)입니다.
결제 동안에는 죽비를 치고 정진을 하고, 해제 하면 여기저기 걸망을 지고 다니니까 참선을 등한히 해도 되냐 하면 그게 아닙니다. 참으로 살아 있는 공부! 왕래하고 여러 가지 복잡한 생활 속에서 가다듬고 정진하는 그 참선이야말로 힘이 있고 살아 있는 공부라 할 것입니다.
공부를 할진대는 어떻게 해야 하냐 하면 「마치 저 깊은 우물 속에다가 눈을 져다가 자꾸 부어 가지고 그 우물을 메울려고 하듯 해라」
우물에다가 눈을 한 짐 져다가 붓고 또 한 짐 져다가 붓고, 수십 짐을 져다 부어도 물에 들어가면 눈이 녹아 버리고 녹아 버리고 해 가지고, 암만 수백 짐을 져다 부어도 우물이 차오르지를 않는다 그 말이여. 눈을 긁어서 뭉쳐서 져다가 붓고 또 져다가 붓고 그러기를 몇백 짐을 하는데, 그러다 보니 땀이 나고 그렇지만 춥고 더웁고 한 것도 상관없이 계속해서 져다 부어.
하루 종일 져다 붓고, 해가 져도 져다 붓고, 밤새도록 밤잠을 안 자고 져다 붓고, 그저 동쪽에서 져다 붓고 서쪽에서 져다 붓고, 그저 이리 져다 붓고 저리 져다 붓고, 속이 상해도 져다 붓고, 기분이 좋아도 져다 붓고, 그저 배가 불러도 져다 붓고, 배가 고파도 져다 붓고. 이리 해 가지고 1년이 넘어가, 이태가 넘어가, 백 세, 천 세가 되어 가지고 몸을 바꾸어 가면서 져다 부어.
마지막까지 단 하루도 쉬는 날이 없이, 단 한 시간도 등한히 지낸 일이 없이, 자나깨나 그저 눈을 어쨌든지 많이 져다가 부어서, 기어코 그 우물을 갖다가 눈으로써 가득 메울 그러한 생각을 가지고 져다 붓다가 보면, 어느 땐가는 자기가 눈을 퍼다 붓는다고 하는 생각도 없고, 우물 속에 눈이 올라왔나 안 올라왔나 한 것에도 그런 생각도 없고, 인제 지쳤다는 생각도 없고, 그만할려는 생각도 없고, 그저 인자 완전히 거의 아주 열중(熱中)을 하다 하다 못해 가지고 무심(無心)에 들어가 버린다 그 말이여.
조끔 몇 짐 져다 붓고 ‘인제 좀 찼나?’ 또 들여다 보고, 조끔 져다 붓고 ‘인제는 조금 더 올라왔나?’ 이런 것이 아니라 나중에는 올라오고 안 오고가 문제가 없어.
그저 죽을 둥 살 둥 눈이 무겁고 가벼운 것도 따지지 말고, 차고 안 찬 것도 따지지 말고, 계속 져다 부은다 그 말이여. 이러한 정도에 열성(熱誠)을 가지고 참선을 해야만 된다 그 말이여.
겨우 첫 철에 와서 남 흉내 좀 내고 앉아서 해 보면 처음에는 망상이 들입대 일어나더니, 나중에 망상이 조금 잠잠하니까 또 잠이 퍼 오고, 잠이 좀 깰만 하면 망상이 일어나고, 그렇게 조금 해 보고서 ‘아이고, 암만 참선을 해도 안 됩니다. 저는 인연이 없는 갑습니다. 옛날에 관세음보살, 아미타불 부를 때는 잠도 잘 안 오고 참 좋더니, 참선이 좋다고 해서 해 보니까 맨 잠만 퍼오고 망상만 더 일어나고 아무 재미가 없습니다’ 이러거든.
그렇게 한 철 두 철 그나마도 ‘위법망구(爲法忘軀)적으로 행주좌와 어묵동정에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어서 순일무잡하게’—한두 철 해 보고서 ‘그렇게 안된다’고 피렴심(疲厭心)을 내고, 자기는 인연이 없느니, 근기가 약하느니, 이래 가지고 스스로 자포자기를 할 마음을 낸다면, 어떻게 그런 사람이 도업을 성취할 수가 있겠느냐 그 말이여.
그 깊은 우물에다가 눈 몇 짐 퍼다 붓고서 ‘눈이 차오르지 않는다’고, 그 허부렁한 눈 퍼다 부어 봤자 물에 닿자마자 금방 녹아 버리고 녹아 버리고 하니, 그것이 무슨 놈의 차오를 것이냐 그 말이여.
깊은 우물에 눈 퍼다 붓듯이, 해가 넘고 백천만 겁이 지내도 차고 안 차고 하는 것도 따지지 말고 계속 퍼다 부을만한 그러한 끈기를 가지고 해 나간다면 어찌 안 될 것이냐 그 말이여.
마침내는 져다 붓는 놈이나, 우물이나, 눈이나가 전부가 다 하나가 되어서 홀연(忽然)히 어떠한 계제(階梯)를 만나면은 툭! 터져 가지고, 결국은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 말이여.
이 공부는 '자기가 자기를 찾아서 자기를 깨닫는 법'이기 때문에 어떠한 방법으로 어떻게 하느냐 그것이 문제지, '기어코 되고야만 만다'고 하는 것을 확신을 가져야 하는 것입니다.
부처님을 비롯한 역대조사(歷代祖師)가 다 보증(保證)을 서셨고, 다 맹세를 하셨습니다. 기어코 되는 것이라고 보증을 하셨습니다. 내가 나를 찾는 것인데, 그것이 안 될 리가 없는 것입니다.
주머니 속에 들어 있는 물건은 손만 집어넣으면 거기에 있는 것이고, 항아리 속에 자라를 넣어 놓은 거와 같아서, 그 자라란 놈이 아무리 버르적거려 봤자, 밤에 가봐도 그 항아리 속에 들어 있고, 낮에 가 봐도 항아리 속에 들어 있듯이, 내게 있는 것을 나를 찾는 것이여.
오히려 보지 아니할려고 하는 것이 더 어려운 것일지언정, 찾을려고 하면 바로 언제나 거기에 있는 것입니다.
남북동서무정착(南北東西無定着)이요 생애지재일지공(生涯只在一枝筇)이로다
나무~아미타불~
설두세작연하미(舌頭細嚼烟霞味)하고 직입천봉갱만봉(直入千峰更萬峰)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남북동서무정착(南北東西無定着)이요 생애지재일지공(生涯只在一枝筇)이라.
동서남북에 정착한 곳이 없어. 동쪽으로도 가서 공부하고 서쪽으로 가서도 공부하고, 동서남북 아무데라도 가서 공부를 할 수가 있다 그 말이여.
일정한 데에 정착이 없기 때문에 ‘생애(生涯)가 지재일지공(只在一枝筇)이여’ 생애가 다못 이 주장자 · 육환장(六環杖)—다 옛날에는 스님네들이 어디 행각을 할 때에는 육환장을 짚고 댕겼던 것입니다. 다못 이 지팡이 하나에 달려 있다 그 말이여.
설두(舌頭)에 세작연하미(細嚼烟霞味)여. 혀끝으로는 무엇을 먹고 사냐 하면은 구름과 안개 연기를 먹고 살아. 산중으로 들로 다니니 자연히 좋은 공기에다가 안개 연기를 마시고 살 수밖에는 없고,
직입천봉갱만봉(直入千峰更萬峰)이다. 바로 천(千) 봉우리, 다시 만(萬) 봉우리를 향해서 들어가더라.
수행하는 것이 한때는 공부가 순일(純一)하게 잘되어 가다가 성성(惺惺)하게 잘되어 가다가, 또 뚝! 변해 가지고 영 화두가 잘 안 들리고 가슴이 답답하고 시간이 지루하고 몸이 뒤틀리고 이런다 그 말이여.
그놈을 포행도 하고 단전호흡도 하고 찬물로 세수도 하고 하면서 그 고비를 어렵게 넘기고 나면 한결 정진하기가 수월해지는데, 수월해져 가지고 떠억 화두를 들면 화두가 성성하게 순일하게 잘 들리고, ‘이만했으면 참, 공부 이대로 주욱 되어 가면 좋겠다’ 하는 생각을 먹자마자 또 뚝! 변해 가지고 영 또 공부가 안되고.
때로는 잘되다가 때로는 안되다가, 또 안되다가 또 괜찮게 되다가, 괜찮게 되다가 또 잘 안되고, 이러기를 한 봉우리 넘으면은 또 내리막길이 있고, 내리막길을 다 가서 보면 또 오르막길이 있고, 오르막길을 다 오르면 또 내리막길이, 이것이 마치 천 봉우리를 넘어가면 다시 또 만 봉우리가 있듯이, 이 모양이 마치 길을 가는 데에 봉우리 밖에 또 봉우리가 있고, 또 봉우리 밖에 또 봉우리가 있는 것이 우물 속에다가 눈을 져다 부은 것처럼 그렇다 그 말이여.
만날 해도 무엇이 얻어지거나 나타나거나 보이는 것이 없이, 만날 해 갈수록 꽉 맥혀서 알 수가 없고 답답할 뿐이다 그 말이여. 이 꽉 맥혀서 알 수가 없고 답답한 것이 공부가 잘못되어 가는 것이 아닙니다.
흔히 그렇게 콱 맥혀서 알 수가 없고 답답하고 그러니까, 인연이 없어서 공부가 잘 못된 줄 알고 걱정들을 하시고, 와서 호소를 하시는데 사실은 꽉! 맥혀서 알 수가 없고 답답한 그 경계가 공부 옳게 되어 가는 그 상태인 것입니다.
무엇이 환하고, 무엇이 얻어진 것이 있고 알아진 것이 있고 그러면은 그것이 참 좋을 것 같은데 그건 공부가 잘못 비뚤어져 들어가는 것이고, 어문간 데에 처박혀서—멧돼지 쫓아가다가 한눈 파는 거와 마찬가지여서 멧돼지를 잡으러 쫓아가면 한눈을 팔지 않고 계속 그 멧돼지 뒤를 따라서 잠깐도 한눈 팔지 않고 쫓아가야지, 멧돼지 잡으러 쫓아가다가 골마리를 까고 이를 잡고 있어야 되겠느냐 그 말이여. 그러다 보면 멧돼지는 순식간에 저 몇백 미터 도망가 버리면 멧돼지는 영영 놓쳐 버리고 마는 것이다.
잘된다고 좋아하지 말 것이며, 잘 안된다고 짜증을 내지 말고, 잘되어도 지혜롭게 잘 단속해 나가야 하고, 답답하고 그러더라도 조금도 짜증을 내지 말고 지혜롭게 그 고비를 심호흡, 단전호흡을 하면서 잘 넘기면 그게 공부가 한 걸음 또 수월하게 되어가는 것이니까.
『서장(書狀)』에 대혜(大慧) 스님이 누누이 말씀을 하시기를 '그 꽉! 맥혀서 답답하고 몸부림쳐지고 한 그러한 경지야말로 견성성불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며, 거기에서 공부가 진취할 징조이다. 그러니까 그런 경계를 당하거든 짜증을 내고, 이 공부가 안될라나 보다 하고 자포자기하고 하지 말고, 그러한 고비를 어쨌든지 지혜롭게 잘 공부를 뽑아 나가도록 그렇게 하라'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해제를 하시고 어느 선방에를 가시던지, 다시 또 우리 용화선원에 산(散)철 결제에 들어오시던지, 또 신도 여러분들께서도 지난 석 달 동안 그 무더위 속에서 별 탈 없이 잘 정진들을 하셨습니다 오늘 해제를 하시고 댁에 가시더라도 여기서 석 달 동안 지내시던 그러한 마음가짐으로 정진을 하시기를 바랍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셔서 세수하시고 떠억 한 시간 두 시간씩 정진을 하시고, 낮에도 그저 손자 보면서, 가정 일 도우면서, 집에 계시거나 어디 외출을 하시거나, 걸음걸음이 화두를 들고 정진을 하시기를 바라고, 또 다시 금년 겨울 결제 때가 오면은 또 와서 방부를 들이시고 정진을 하시기를 바랍니다.
금년 겨울 결제는 금년에 10월 달에 가서 윤달이 들어서 10월이 첫째 10월이 있고, 그 다음에 윤10월이 있습니다. 윤10월에 결제를 할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때까지는 넉 달이라고 하는 세월이 있습니다. 춥지도 덥지도 않는 그러한 계절인 만큼 어쨌든지—석 달 동안 애써서 여름 석 달 동안 하시다가 그냥 팽개쳐 버리고 그럭저럭 지내면 애써서 쌓아올린 탑이 다 와그르르 하니 무너져 버리거든.
10월에 가서 다시 밑에부터서 다시 쌓을라면 또 큰 힘이 들 것입니다. 그 탑을 갖다가 잘 허물어지지 않도록 간수를 하시고, 댁에 가서도 계속해서 그 탑을 쌓아올려 놓으시면 10월에 가서 그 뒷을 이어서 하신다면 훌륭한 탑을 쌓으시게 될 것입니다.
결제 때 모여서 정진하신 것은 해제 때 생활 속에서 시끄러운 속에서 잘하기 위해서 결제를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입니다.
도(道)에 있어서는 승속(僧俗)이 없는 것입니다. 스님네라고 해서 꼭 도를 닦아야 하고, 세속에 계신다고 해서 도를 안 닦아도 좋은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세속에 계신 분일수록에 도를 더 열심히 닦아야 하는 것입니다. 왜 그러냐?
세속에 사시면 아무래도 본의 아니게 이리저리 얽혀서 업을 많이 짓게 되고 도 닦을 기회는 점점 희박하기 때문에, 그럴수록에 몇 배를 더 노력을 하고 애를 써야만 다소 공부가 되어갈 수 있기 때문에 내생(來生) 일을 생각하고, 장차 일을 생각해서 더 열심히 공부를 해 주시기를 간절히 부탁을 드립니다.(44분46초~66분27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700여 개의 ‘참선 법문(法門)’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 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 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그리고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도 있습니다.
참선법 A (유튜브)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B (유튜브)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C (유튜브)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D (유튜브)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E (유튜브)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A (블로그)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B (블로그)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C (블로그)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D (블로그)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E (블로그)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700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