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7) (게송)만리산하평사장~ / 은산철벽(銀山鐵壁)이란? / 선용기심(善用其心) / (게송)홍엽난봉추색리~ / 올바르게 열심히 / 일 자체가 정진이다.
〇모기가 쇠 소의 등어리에다 입부리를 박는 것이나, 우리가 본참화두를 거각(擧却)해 가지고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깨닫기 위해서 화두를 들고 정진을 하는 것이나, 그것이 다 똑같은 일이다.
〇자기의 근기(根機)도 따질 것도 없고, 자기의 건강도 따질 것도 없고, 자기의 어리석고 영리한 것도 따질 것도 없고, 남녀노소도 따질 것도 없고, 유식 무식도 따질 것이 없어.
〇나이가 많건 적건,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올바른 방법에 의해서 열심히만 해 가면 자기 안에 있는 것을 자기가 찾는 것이니까, 올바르게 그리고 열심히만 찾으면 거기에 있는 것입니다. 자루 속에 든 자라, 자기가 아무리 종일토록 버르적거려도 구덕 속에 들어있는 자라는 거기에 있듯이, 내게 있는 것을 내가 찾는 것이지 밖에 있는 것을 찾는 것이 아니거든. “아무개야!” “예” 바로 거기에 있거든. 그놈을 내놓고 찾는 것이 아니거든.
〇우리는 너나 할 것 없이 잘해 봤자, 후(厚)하니 점수를 매겨 봤자 중근기(中根機)고, 짜게 매기면 전부가 다 하근기(下根機)인 것입니다. 하근기이기 때문에 특별한 장소가 필요하고, 특별한 시간을 짜야 하고, 특별한 규칙을 세워서 그 범위 내에서 오직 전일하게 한 가지만 밀고 나가자 이거거든.
**송담스님(No.577)—96년 11월 첫째일요법회(96.11.03) (용577)
(1) 약 15분.
(2) 약 21분.
(1)------------------
만리산하평사장(萬里山河平似掌)한데 일조관로직여현(一條官路直如絃)이니라
나무~아미타불~
행인약문궁통사(行人若問窮通事)하면 철벽은산재면전(鐵壁銀山在面前)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만리강산평사장(萬里江山平似掌)한데 일조관로직여현(一條管路直如絃)이다. 만리의 산하는 평평하기가 손바닥 같은데, 한 가닥 관로(官路)는 곧기가 거문고 줄 같구나.
행인이 만약 일을 통달할 것을 다하기를 묻는다면(行人若問窮通事), 어떻게 하면은 이 어려운 문제를 바르게 통달을 시킬 수가 있는가? 그걸 묻는다면,
철벽은산재면전(鐵壁銀山在面前)이다. 쇠로 된 벽과 은으로 된 산, 철벽은산은 도저히 피할라야 피할 수도 없고, 올라갈라야 올라갈 수도 없고, 부수고 나아갈라야 나아갈 수도 없는, 그러한 철벽은산이 얼굴 앞에 탁! 있느니라.
만리강산평사장(萬里江山平似掌)이라. 우리가 수행을 해 나가는 데 여러 가지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를 통해서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몸으로 느끼고, 뜻으로 생각하고 하는, 이것이 우리의 앞에 펼쳐진 만리강산이여.
그런데 그 만리강산이 평평하기가 손바닥 같다. 무엇을 보건, 무엇을 듣건, 무엇을 느끼건, 그것이 다 우리의 면전(面前)을 통해서 일어나는 일이라 다른 일이 아니기 때문에 다 우리 손바닥 안에 있는 일이다.
그런데 일조관로직여현(一條官路直如絃)이여. 한 가닥 관로가 곧기가 거문고 줄과 같이 곧다 이거여. 그 속에서 우리가 어떻게 하면 공부를 바르게 할 수가 있느냐? 어떻게 하면 이 목적지에 바로 도달할 수가 있느냐?(行人若問窮通事)
눈으로 보면 온갖 색상이 들어오고, 귀를 통해서는 온갖 소리가 들려오고, 코를 통해서는 온갖 냄새가 들어오고, 몸을 통해서는 온갖 춥고 덥고 하는 것을 다 느끼고, 생각을 통해서는 과거, 현재, 미래, 선악, 온갖 생각이 끊일 사이없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데, 그 속에서 어떻게 하면 가장 바르게, 그리고 가장 빨리 '참나'를 깨달을 수가 있느냐? 그것이 행인(行人)이 약문궁통사(若問窮通事)거든.
이 공부에는 ‘어떻게 하면 공부가 빨리 되느니라’ 특별히 가르켜 줄 수 있는 법이 있는 것이 아니여. 철벽은산이 탁! 앞을 딱 가로막고 있어서 전후좌우로 피할 수 없어. 이러한 절박한 상황에 직면(直面)을 해야 한다 그말이여.
거기서 누가 사다리를 놔서 올라가기 좋게 해 준다든지, 위에서 무슨 밧줄을 내려줘서 그놈을 타고 올라오게 한다든지, 은산철벽을 포기하고 그만두고 뒷걸음을 쳐서 무슨 수월하게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찾는다든지, 이러한 생각을 가지고서는 우리의 목적지에 도달할 수가 없을 것이다.
은산철벽(銀山鐵壁)이 무엇인가? 자기 본참공안(本參公案)에 여하약하(如何若何)를 막론(莫論)하고, 마치 모기가 쇠로 된 소 등어리에 올라타고서 그 입부리를 소 등어리에다가 처쑤셔박는 것처럼,
‘이 부드러운 모기의 입부리가 어떻게 쇠로 된 소 등어리를 뚫고 들어갈 수가 있겠는가? 될 것인가? 안될 것인가? 어떻게 하면 될 것인가?’ 여하약하를 따져 가지고서는 입부리를 소 등어리에 박기 커녕은 결국은 거기서 목도 부러지고, 몸뚱이도 부셔져서 가망이 없는 일이니, 여하약하를 막론하고 입부리와 머리와 몸을 압량해서, 합해서 처박고 돌격을 해 들어가야 한다 그말이여.
옛날에 어떤 사람이 화살을 짊어지고 산중을 가는데 저만큼 호랑이가 턱! 버티고 앉았다. 그러니 뒷걸음질 쳐서 도망갈 수도 없고, 나아가자니 잡혀먹을 것이고, 옆으로 좌우로 도망칠 수도 없고, 그래서 몸에 가지고 있던 화살을 뽑아 가지고 거기다 대고 활을 쐈다 그말이여.
정통으로 쐈는데 활이 그 호랑이의 가슴통에 탁! 꽂혔는데 까딱도 안 한다 그말이여. 그래서 이상해서 가 봤더니 그것이 호랑이가 아니고 바윗덩어리다 그말이여.
바윗덩어리가 먼 데서 보니까 마치 호랑이가 버티고 앉은 것처럼 보여서 저놈을 죽이지 않으면 자기가 죽으니까, 있는 힘과 정신을 다해 가지고는 바로 쏴댔다 그말이여. 화살이 바윗돌 속으로 쑥 들어가서 꽂혀 갖고 있어. 두들겨 봐도 바위가 분명하다 그말이여.
어떻게 이 약한 화살이 바위 속으로 뚫고 들어갔을 것인가? 다시 와서 등에서 다른 화살을 뽑아서 쏘니까 팅, 튀겨 버리고 들어가지를 않아.
모기가 쇠 소의 등어리에다 입부리를 박는 것이나, 우리가 본참화두를 거각(擧却)해 가지고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깨닫기 위해서 화두를 들고 정진을 하는 것이나, 그것이 다 똑같은 일이다 그말이여.
이 은산철벽은 내 몸과 나의 목숨을 다해서 내가 뚫고 들어갈 수밖에는 없는 관문(關門)이다 그말이여. 자기의 근기(根機)도 따질 것도 없고, 자기의 건강도 따질 것도 없고, 자기의 어리석고 영리한 것도 따질 것도 없고, 남녀노소도 따질 것도 없고, 유식 무식도 따질 것이 없어.
흔히들 ‘화두가 잘 안 들린다. 의심이 정말 참다운 의심이 나지를 않고 염화두(念話頭), 그냥 염불하듯이 화두만 자꾸 챙기되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지를 않는다. 무엇이 잘못되어서 그런가? 어떻게 하면은 신심(信心)과 분심(憤心)과 의심(疑心)이 한목 돈발(頓發)해서 성성적적(惺惺寂寂)하게 공부가 될 것인가?’
이러한 것에 대한 질문, 이러한 것에 대한 문제점은 참선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하면 될 것인가?’를 생각할 겨를도 없이 자세를 바르게 하고, 단전호흡을 하면서 자기의 본참공안, ‘이뭣고?’ 시심마(是甚麽) ‘이뭣고?’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되고 안 되고 하는 것을 따질 것이 없어.
대부분 처음 하는 사람은 화두를 들기는 들되 생각으로만 들고 입으로만 들지, 간절한 의심이 안 나니까 ‘어떻게 하면 정말 참의심이 돈발해서 의단이 독로하게 될 것인가? 간단(間斷)이 없이 정말 간절한 의심이 될 것인가?’ 그것을 따지지 말아.
되고 안 되고 하는 것을 따지지 말고—처음부터서 간절(懇切)한 의심이 돈발한다고 하는 것은 이것은 너무 욕심이 과한 탓이다 그말이여.
욕심을 내서 몸을 너무 지나치게 긴장을 해 가지고 목에 다 힘을 주고, 눈에다가 용을 쓰면서 ‘이뭣고?’ 또는 무자 화두(無字話頭)를 하는 분은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간절히 하라’고 하는 말을 지나치게 힘을 쓰고, 용을 써서 하라는 말로 잘못 알고 우악스럽게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 그말이여.
선용기심(善用其心)이여. ‘잘 그 마음을 쓴다’고 하는 것은 너무 용을 쓰고 힘을 들여서도 안 되는 것이고, 그렇다고 해서 너무 매카리 없어 늘어져 처져 가지고 멍하니 그렇게 해서도 안 된거다 그말이여. 이것은 본인이 전강 조실 스님의 법문을 잘 들으면서 본인이 스스로 그것을 터득할 수 밖에는 없어.(처음~15분13초)
(2)------------------
홍엽난봉추색리(紅葉亂峰秋色裏)에 석양소우단교변(夕陽疎雨斷橋邊)이로구나
나무~아마타불~
망망우주인무수(茫茫宇宙人無數)한데 나개친증도지두(那箇親曾到地頭)오
나무~아미타불~
홍엽난봉추색리(紅葉亂峰秋色裏)에, 울긋불긋한 단풍이 어지러운 봉다리, 높고 낮은 봉다리와 계곡에 가을색이 깊었다 그말이여. 요새 한창 오대산이나 설악산, 내장산이나 또는 백양산, 도처 방방곡곡에 산과 들이 모다 단풍이 져서 한참 아름다움을 장식하고 있습니다.
석양소우단교변(夕陽疎雨斷橋邊)이다, 석양에 성근 비는 끊어진 다리 가로구나.
우리 삼천리강산(三千里江山)에 가을 경치의 한 장면을 읊은 것이지만, 우리는 무량겁을 생사윤회를 하면서 지금 이 시간, 이 자리까지 왔습니다. 몇 천만년을 그렇게 돌고 돌아서 여기까지 왔는데,
이것이 바로 나이의 많고 적은 것을 물을 것도 없이, 우리는 저 역사가 없는 과거에, 그 때를 따질 수가 없는 무량겁 전으로부터 오늘까지 왔으니, 우리는 어지러운 봉다리에 단풍이 진 가을철을 맞이했다고 말할 수가 있다 그말이여.
가을철은 나무와 풀들이 모다 단풍이 들어서 잠간동안 울긋불긋 아름답다고는 하지마는 며칠 안 지나가면 이 단풍이 시들어서 볼쌍사납게 다 떨어지고 말 것입니다. 그러나 비록 이파리는 단풍이 졌지만 모든 나무나 풀, 곡식들은 다 열매를 맺고 있는 것입니다. 열매를 맺기 위해서 단풍이 지는 것입니다.
봄에는 그 잎이 푸릇푸릇하고, 여름에는 사뭇 녹음(綠陰)이 그렇게 깊은 것도 가을에 열매를 맺기 위해서, 태양으로부터 기운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그런 푸른 빛깔이 필요해서인 것입니다.
땅에서 올라오는 수분과 태양에서 받아들인 기운을 그 이파리가 그놈을 배합을 해서 그 열매를 맺는데 온 힘을 다 거기다 쏟는 것입니다. 그렇게 열매를 맺게 한 다음에는 그 이파리는 시들어서 떨어지는 것입니다.
우리는 무량겁(無量劫)을 육도법계(六道法界)를 돌고 돌면서 지금까지 무엇을 해 왔습니까? 우리는 무슨 열매를 맺기 위해서 그 무량 다겁생래(多劫生來)를 오늘날까지 걸어왔습니까? 다행히 우리는 금생에 불법을 만났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명예를 위해서, 권리를 위해서, 재산을 위해서, 그것을 위해서 모든 것을 바치고 때로는 목숨까지 거기다 바치면서 그런 것을 얻으려고 몸부림을 치고 있습니다. 그런다고 해서 다 얻어지기도 어렵고, 설사 얻었다 해도 영원히 자기 것이 되는 것도 아닌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주위가 온통 그러한 세상 속에 살면서 우리는 불법을 믿고, 참나를 찾기 위해서 우리는 이렇게 모였습니다. 그것만하더라도 우리는 참 다행스런 일이고, 생각할수록 감사하고, 생각할수록 복된 그러한 처지라고 우리는 생각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러한 다행스럽고 복된 처지이기는 하나, 그렇기 때문에 더욱 그럭저럭 지낼 수는 없습니다. 기왕 받기 어려운 사람 몸을 받았고, 만나기 어려운 불법을 만났을진대는 정말 여법(如法)하게 정진을 해서 기어코 이 몸으로, 이 육신으로, 이 육신 받았을 금생에 이 문제를 해결을 해서 좋은 열매를 맺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이것은 남이 내 열매를 맺게 해줄 수는 없습니다. 자기의 열매를 자기가 해야 합니다. 나무들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그 나뭇가지의 열매는 그 나뭇가지에서 되도록 해야지, 다른 나뭇가지가 와서 자기를 잘 맺게 해줄 수는 없는 것입니다.
나이가 많건 적건,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올바른 방법에 의해서 열심히만 해 가면 자기 안에 있는 것을 자기가 찾는 것이니까, 올바르게 그리고 열심히만 찾으면 거기에 있는 것입니다.
자루 속에 든 자라, 자기가 아무리 종일토록 버르적거려도 구덕 속에 들어있는 자라는 거기에 있듯이, 내게 있는 것을 내가 찾는 것이지 밖에 있는 것을 찾는 것이 아니거든.
“아무개야!” “예” 바로 거기에 있거든. 그놈을 내놓고 찾는 것이 아니거든.
‘이 무슨 물건이냐?’ 앉아서도 ‘이뭣고?’ 서서도 ‘이뭣고?’ 일을 하면서도 ‘이뭣고?’ 걸어가면서도 ‘이뭣고?’ 자꾸 챙기고 또 챙기고, 잊어버리면 또 챙기고, 우리는 경계(境界)를 당하면 깜박깜박 잊어버리거든. 잊어버린 줄 알면 또 챙기면 그만이여.
언제나 거기에 있는 것이거든. 눈으로 볼 때, 귀로 들을 때, 코로 냄새 맡을 때, 혀로 맛볼 때, 일체처 일체시에 거기에 있는 것이다 그말이여. 거기에 있는 것을 바로 거기서 챙기는 것이니까 이것은 사실 어렵다고 생각할 것도 없고, 하나도 복잡하다고 생각할 것이 없어.
‘이뭣고?’ ‘이뭣고?’ 잠깐 놓쳤다고 해서 어디 가는 것이 아닌 거여. 거기에 있는 것이지.
귀가 먹지 않았으니까 소리도 들릴 것이고, 눈이 멀지 않았으니까 눈을 뜨면 모든 것이 보일 것이여. 보여도 그냥 고대로 놔두고 자기는 ‘이뭣고?’거든. 그저 수저로 밥을 떠 넣고 저분으로 반찬을 집어서 입에 넣어서 저작(咀嚼)을 하면서 터억 생각은 ‘이뭣고?’거든.
그래서 옛날 사람은 시끄럽고 복잡한 장바닥에 가 가지고, 일부로 거기 가서 정진을 한 그러한 분들도 있었다 그말이여. 그러한 속에서도 시끄러운 소리가 방해가 되지 않는가? 그 속에서 공부가 되는가 안 되는가 한번 시험해 보는 것이거든.
어떤 스님이 중국을 갔는데, 항구에 내리니까 연세가 꽤 많은 스님이 항구에 여기저기 두리번거리고 다닌다 그말이여. 처음으로 중국을 갔으니까 스님을 만났으니 반가웠겄다.
“어느 절에서 오셨습니까?”
“아무데 산, 아무데서 왔다”
“왜 참선을 안 하시고 이리 항구에 와 가지고 이렇게 두리번거리고 있습니까?”
‘이분이 참선에 대해서 아직 무엇인지를 모르시는구나’
“나는 선방에 들어와서 정진한지가 벌써 수십 년인데 지금 전좌(典座)” 전좌라고 하면 별좌(別座)나 채공(菜供), 그러한 소임이 바로 전좌라고 하는 소임에 해당 되는데, 그러한 별좌나 원주(院主), “그러한 소임을 맡았기 때문에 혹 이 항구에 오면 대중공양(大衆供養) 할 만한 것이 있을까, 그래서 그것을 구하러 왔다”
그런데 그 말을 들어보니까, 그 스님은 그러한 전좌라고 하는 소임을 맡아 가지고 대중을 외호(外護)를 하고, 외호하면서 참선하는 것이 아니라, 외호하면서 그 속에 바로 그것이 정진이다 그거거든.
일 따로 있고 정진 따로 있는 게 아니라, 일이 바로 정진이고 정진이 바로 일이다 그말이여. 일과 정진이 둘이 아니어. 그 속에서 바로 일도 열심히 하면서 그 일 자체가 정진이다 그말이여.
벌써 입승(立繩), 선덕(禪德)을 다 지내 가지고 조실(祖室)로 추대를 받을만한 그러한 법랍(法臘)과 경륜을 가진 스님이 그런 전좌의 소임을 자원해서 맡아 가지고 그렇게 정진을 한다 그말이여.
그래서 그 스님은 그 전좌 스님 안내로 절을 가 가지고 한 3년간을 여법히 정진을 해 가지고, 확철대오를 해 가지고 인가(印可)를 받아 가지고 왔다. 그 스님이 누구냐 하면은 일본의 조동종 개산조(開山祖)인 도원 선사(道元禪師)라고 하는 선사인데, 그래서 일본에 조동종 초조(初祖)가 되어서 오늘날 일본에 조동종이 굉장히 번창을 한 그러한 종파를 개산을 했다 그말이여.
우리나라에도 도원 선사 못지않을 만큼 훌륭한 선사들이 많이 계시지만,
참선이라 하는 것은 선방에 앉아서 꼭 시간 맞춰서 죽비(竹篦) 치고—물론 선방에 방부를 들이고, 결제 중에는 시간을 잘 맞추고 여법하게 잘 지내야 하는 것은 마땅한 일이나 입선·방선, 입선(入禪) 중에는 여법하게 하고, 방선(放禪)하면 그냥 화두도 놔 버리고 잡담으로 세월을 보내고 그렇게 지내서는 아니 되는 것이고.
또 결제(結制) 중에는 여법하게 지내다가 해제(解制)가 되면 팔도강산 경치 좋고 좋은 데를 다니면서 구경이나 하고 그럭저럭 지내고, 이렇게 해 가지고서는 미륵불이 하생할 때까지—오십육억 칠천만 년 뒤에 미륵불(彌勒佛)이 염부제(閻浮提)에 하생(下生)할 때까지 참선해도 깨달을 기약은 없다고 고인(古人)네들은 이구동성(異口同聲)으로 다 말씀을 하셨습니다.
참선(參禪)에 대한 개념이—물론 아까 조실 스님의 법문 가운데에도 ‘앉아서 하는 것이 힘을 얻기가 쉽다’고 하는 구절에 대해서도 말씀이 있었지마는,
당연히 참선은 꼭 좌선(坐禪)만이 참선은 아니나, 가급적이면 단정히 앉아서 가부좌나 반가부좌를 하고, 눈은 평상으로 뜨고 그래가지고 단전호흡을 하면서 ‘이뭣고?’ 숨을 깊이 들어마셨다가 잠깐 머물렀다가 조용히 내쉬면서 ‘이뭣고?’ 초보자는 마땅히 그렇게 길을 들여가야 하는 것은 사실이나, 어찌 꼭 좌선만이 참선이겠느냐 이거거든.
밥 먹을 때, 옷 입을 때, 변소에 갈 때, 세수하고 양치질 할 때, 목욕할 때, 일체처 일체시 항상 자기 본참공안을 거각을 해서, 면면밀밀(綿綿密密), 밀밀면면(密密綿綿), 간단(間斷)없이 성성적적(惺惺寂寂)하게 잡드리를 해가야 할 것이다.
그래서 고인은 그럭저럭 지내지 말고, 몸과 목숨을 다 바쳐서 오직 한길로 전일(專一)하게 나아가도록 그렇게 법문을 하셨습니다. 그것은 우리는 너나 할 것 없이 잘해 봤자, 후(厚)하니 점수를 매겨 봤자 중근기(中根機)고, 짜게 매기면 전부가 다 하근기(下根機)인 것입니다.
하근기이기 때문에 특별한 장소가 필요하고, 특별한 시간을 짜야 하고, 특별한 규칙을 세워서 그 범위 내에서 오직 전일하게 한 가지만 밀고 나가자 이거거든.(15분26초~36분24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게송) ‘만리산하평사장~’ ; [천목중봉화상광록(天目中峰和尙廣錄)] 제3권 '송고(頌古)'에 ‘大事未明如喪考妣 大事已明亦如喪考妣’에 대한 중봉화상의 게송.
[참고]‘大事未明如喪考妣 大事已明亦如喪考妣’ ; ‘큰 일[大事]을 밝히지 못했으면 돌아가신 부모님을 장사 지내는 것 같이 하고, 큰 일을 밝혔더라도 돌아가신 부모님을 장사 지내는 것 같이 하라” [종감법림(宗鑑法林)] 권23 ‘睦州示衆 大事未明 如喪考妣 大事已明 亦如喪考妣’
*(게송)萬里山河平似掌 一條官路直如絃 行人若問窮通事 鐵壁銀山在面前 ; 이 게송에 대한 또 하나의 법문---> http://emokko.tistory.com/433
*면전(面前 낯·얼굴·눈앞 면/앞 전) ; 얼굴[面]을 대한 바로 앞[前].
*직면(直面 맞을·대적할 직/낯·얼굴·눈앞 면) ; 어떠한 일이나 사물을 직접 당하거나 접함.
*은산철벽(銀山鐵壁) ; 철벽은산(鐵壁銀山). 은과 철은 견고해서 뚫기 어렵고 산과 벽은 높아 오르기 어려움을 나타낸 것.
*본참공안(本參公案) : 본참화두(本參話頭).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여하약하(如何若何) ; 이러쿵저러쿵. 이러하다는 둥 저러하다는 둥 자꾸 말을 늘어놓는 모양.
*막론하다(莫論--) ; 이것저것 따지고 가려 말하지 아니하다.
*등어리 ; '등'의 사투리.
*입부리 ; 새의 부리나 동물의 입을 말하는 ‘주둥이’를 속되게 이르는 말.
*거각(擧却 들 거/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본래면목(本來面目 밑 본/올 래/낯 면/눈 목) ; ①자기의 본래(本來) 모습(面目). ②자신이 본디부터 지니고 있는, 천연 그대로의 심성(心性). 부처의 성품.
*관문(關門) ; ①다른 영역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꼭 거쳐야 할 단계. 또는 중요한 고비. ②다른 지역으로 나아가는 통로가 되는 지점. ③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세워 지나가는 사람이나 물품을 조사하는 곳. ④국경이나 요새의 성문.
*근기(根機 뿌리 근/베틀 기) ;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들일 수 있는 중생의 소질이나 근성. 보통 근기의 차등을 상근기, 중근기, 하근기로 구분한다.
[참고] 송담스님(No.88)—(참선법A) 법련사 불교학생회 청법 법문(1978.10.1)에서.
〇‘중생 말세다, 중생 근기가 미약하다, 그러니까 참선법 가지고는 안되고 아미타불을 불러야 한다’ 이러한 것을 주장하는 분들이 있습니다마는, 말세라고 하는 것은 편의에 따라서 정법 시대, 상법 시대, 말법 시대 이렇게 해서 말씀해 놨지만은 최상승법을 믿고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이면, 그 사람은 하근기가 아니라 상근기(上根機)인 것입니다.
아무리 부처님 당시에 태어났으되 이 법을 믿지 아니한 사람은 하근기인 것이고, 지금 삼천 년이 지난 오늘날에 태어났어도 이 활구참선법을 믿고 열심히 실천에 옮긴 사람이면, 그 사람은 바로 정법 시대 사람이요, 그 사람은 상근기라고 말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참선법을 배우고자 하고, 참선에 의해서 자아를 깨닫고자 하는 마음을 냈을 때 여러분은 이미 정법 시대를 만나 것이고, 여러분은 상근기인 것입니다. 조금도 그런 염려를 마시고 열심히 공부를 해서 결정코 금생에 ‘참나’를 자각하도록 도업을 성취하기를 간절히 빕니다.
*의단(疑團 의심할 의, 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독로(獨露 홀로·오로지 독, 드러날 로) ; 홀로(獨) 드러나다(露).
*신심(信心) : ‘내가 바로 부처다’ 따라서 부처는 밖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요, 일체처 일체시에 언제나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주인공, 이 소소영령한 바로 이놈에 즉해서 화두를 거각함으로써 거기에서 자성불(自性佛)을 철견을 해야 한다는 믿음.
*분심(憤心) : 과거에 모든 부처님과 도인들은 진즉 확철대오를 해서 중생 제도를 하고 계시는데, 나는 왜 여태까지 일대사를 해결 못하고 생사윤회를 하고 있는가. 내가 이래 가지고 어찌 방일하게 지낼 수 있겠는가. 속에서부터 넘쳐 흐르는 대분심이 있어야. 분심이 있어야 용기가 나는 것이다.
*의심(疑心) :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자기의 본참화두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돈발(頓發 갑자기 돈/일어날·나타날·밝힐 발) ; 일정한 단계를 밟지 않고 직접적, 비약적으로 일어나는. [참고] 頓 - 直頓의 뜻, 곧바로.
*한목 ; 한 번에 모두. 한꺼번에 몰아서 함.
*성성적적(惺惺寂寂) ; 정신이 고요하면서도 깨끗하고 또록또록 한 상태.
*간절(懇切 간절할·정성스런 간/정성스런·절박할 절) ; ①지성(至誠)스럽고 절실(切實)함. ②정성이나 마음 씀씀이가 더없이 정성스럽고 지극함. ③마음속에서 우러나와 바라는 정도가 매우 절실함.
*매카리 ; 매가리. 맥아리. 맥(脈 기운이나 힘)을 속되게 이르는 말.
------------------(2)
*(게송) ‘紅葉亂峰秋色裏 夕陽疏雨斷橋邊’ ; [청허당집(淸虛堂集)] ‘戱次老秀才韻公遊山故雲’ 참고.
*(게송) ‘茫茫宇宙人無數 那箇親曾到地頭’ ; 卍新纂續藏經 제65책 <禪宗頌古聯珠通集 36권> 설암조흠(雪巖祖欽) 스님 게송.
[참고] 송담스님(세등선원No.26)—기미년 동안거 해제 법어(80.01.17)
〇서왕한래춘부추(暑往寒來春復秋)하고 석양서거수동류(夕陽西去水東流)로구나.
더위가 가고 추위가 오는구나. 봄이 지나면 다시 또 가을이 오는구나. 석양에는 서쪽으로 해가 넘어가고 물은 동쪽으로 흘러가는구나.
망망우주인무수(茫茫宇宙人無數)한데 나개친증도지두(那箇親曾到地頭)오.
이 망망(茫茫)한 우주에 수없이 많은 사람이 있는데, 나개친증도지두(那箇親曾到地頭)냐, 그 가운데 몇 사람이 친히 대도를 성취할 사람이 나올 것이냐.(57분11초~59분30초)
*봉다리 ; ‘산봉우리(山봉우리, 산꼭대기의 뾰족하게 솟은 머리)’의 사투리.
*삼천리강산(三千里江山) ; 우리나라 땅의 남북의 길이가 삼천리라 하여 우리나라의 강산을 이르는 말.
*녹음(綠陰 초록빛 록/응달·그늘 음) ; 잎이 푸르게 우거진 숲. 또는 그 숲의 그늘.
*무량겁(無量劫) ; 헤아릴 수 없는 오랜 시간이나 끝이 없는 시간. 劫과 刧는 동자(同字).
*육도법계(六道法界) ; 육도(六道)의 세계. 육도(六道,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
*다겁생래(多劫生來) ; 매우 오랜 세월동안 세상에 태어난 이래로.
*여법(如法 같을·같게 할·따를·좇을 여/ 부처님의 가르침·불도佛道 법) ; 부처님의 가르침에 맞음.
*구덕 ; ‘구덩이’의 사투리.
*경계(境界) ; ①인과(因果)의 이치(理致)에 따라서, 자신이 부딪히게 되는 생활상의 모든 일들. 생로병사•희로애락•빈부귀천•시비이해•삼독오욕•부모형제•춘하추동•동서남북 등이 모두 경계에 속한다.
②나와 관계되는 일체의 대상. 나를 주(主)라고 할 때 일체의 객(客). ③시비(是非)•선악(善惡)이 분간되는 한계. 경계(境界)에는 역경(逆境)과 순경(順境), 내경(內境)과 외경(外境)이 있다.
*저작(咀嚼 씹을 저/씹을 작) ; 음식물을 입에 넣고 씹음.
*별좌(別座) ; 절에서 식사·의복·방석·이부자리 등을 담당하는 직책, 또는 그 일을 맡은 스님.
*채공(菜供) ; 절에서 반찬을 마련하는 소임, 또는 그 일을 맡은 스님.
*대중공양(大衆供養) ; ①수행자에게 음식을 올리는 일. ②대중이 함께 식사하는 일.
*입승(立繩) ; 선원(禪院)에서 선원의 규율과 질서를 다스리는 직책, 또는 그 일을 맡은 스님.
*선덕(禪德) ; 참선한 기간이 길고, 지혜와 덕을 갖춘 훌륭한 선승(禪僧)에 대한 존칭.
*조실(祖室) ; 선원의 가장 높은 자리로 수행인을 교화하고 참선을 지도하는 스님.
*법랍(法臘 부처님의 가르침·불도佛道 법/스님의 나이·승납 랍) ; 법세(法歲), 계랍(戒臘), 하랍(夏臘)이라고도 한다. 출가하여 구족계(具足戒)를 받아 비구, 비구니가 되고 부터의 햇수를 말한다.
*인가(印可 도장 인, 옳을·인정할 가) ; 스승이 제자의 깨달음을 인정함.
*개산조(開山祖) ; 절이나 종파를 처음으로 개산(開山)한 시조(始祖).
*개산(開山) ; ①사원을 세우는 것. 산속에 세웠기 때문에 이렇게 쓴다. ②일사(一寺)를 연 스님. 즉 사원의 초대 주지(住持). ③일종(一宗)을 연 고승.
*초조(初祖) ; 한 종(宗)을 처음 세운 스님.
*죽비(竹篦 대나무 죽/빗치개·통발 비) ; 예불이나 참선 정진할 때 이 죽비를 손바닥에 쳐서 소리를 내어 시작과 끝을 알리는데 쓰는 불교 용구.
*입선(入禪) ; 참선 수행(좌선)에 들어가는 것, 좌선(坐禪)을 시작하는 것. 참선(좌선)수행.
*방선(放禪) ; 좌선을 하거나 불경을 읽는 시간이 다 되어 공부하던 것을 쉬는 일. 몸을 쉬는 가운데서도 마음은 항상 본참화두를 들고 있어야 한다.
*결제(結制 맺을 결/만들•법도 제) ; 참선 수행하는 안거(安居)에 들어감. 하안거는 음력 4월 15일에 결제하며, 동안거는 음력 10월 15일에 결제한다.
*해제(解制 풀 해/만들•법도 제) ; ①(안거)를 마침. ②재계(齋戒)하던 것을 그만두고 풂.
*미륵불(彌勒佛) : [범] Maitreya 대승보살, 또는 매달려야(梅呾麗耶), 매달례야(昧怛隷野)。번역하여 자씨(慈氏)。 이름은 아일다(阿逸多) 무승(無勝) 막승(莫勝)이라 번역.
인도 바라나국의 바라문 집에 태어나 석가모니의 교화를 받고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도솔천에 올라가 있으면서 지금 그 하늘에서 천인(天人)들을 교화하고,
석가모니 입멸후 56억 7천만 년을 지나 다시 이 사바세계에 출현—하생(下生)하여, 화림원(華林園) 안의 용화수(龍華樹) 아래에서 성불(成佛)하고 3회의 설법으로써 석가모니의 교화에서 빠진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고 한다. 이 법회를 용화삼회(龍華三會)라 한다.
도솔천에서의 생을 마치면 인간으로 태어나 성불하여 석가모니불의 자리[處]를 보충(補充)한다는 뜻으로 보처(補處)의 미륵이라 하며, 현겁(賢劫) 천 불의 제5불(佛).
*염부제(閻浮提) ; 염부(閻浮). 남염부제(南閻浮提). 섬부주(贍部洲). 남섬부주(南贍部洲).
산스크리트어 jambu-dvīpa의 음사. 염부(閻浮), 섬부(贍部)는 jambu의 음역어이며, 제(提)와 주(洲)는 dvipa의 각각 음역어 및 의역어이다. jambu는 나무 이름.
불교의 우주관에 의하면 세계의 중심에 높이 솟은 거대한 수미산(須彌山)의 사방에 네 대륙(四洲)이 있는데, 염부라는 이름은 여기에 자란다는 점부(jambu)에 유래하며, 남방에 있기 때문에 남섬부주(南贍部洲)라고 한다.
우리 인간들이 사는 곳이라 하며, 여러 부처님이 나타나는 곳은 사주(四洲) 가운데 이곳뿐이라 함. 불전에서는 인간세계의 전체를 의미하는 말로서 사용되고 있다.
*고인(古人) ; 옛날 사람. 옛날 선승(禪僧).
*이구동성(異口同聲 다를 리/입 구/같을 동/소리 성) ; ‘입은 다르나 목소리는 같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하는 말이 한결같고 일치함을 이르는 말.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면면밀밀(綿綿密密) ; 면면(綿綿)하고 밀밀(密密)하게. 끊어지지 않고 아주 빽빽하게 죽 잇따라 있는. 밀밀면면(密密綿綿).
*간단(間斷 틈·사이 간/끊을 단) ; 계속되던 것이 잠시 그치거나 끊어짐.
*잡드리 ; ‘잡도리’의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후하다(厚--) ; (마음이나 태도가)인색하지 않고 넉넉하다.
*전일(專一 오로지 전/한 일) ; ①마음과 힘을 모아 오직 한 곳에만 쓰다. ②(사람이나 사물이)한결같고 변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