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안거 해제 백종2014. 8. 9. 13:01

 

 

§(178) (게송)작야강남우~ / 자자(自恣) / 참선(參禪)은 좌(坐)에 있는 것이 아니지만 또한 좌를 여의어서도 안 된다.

한마디로 말해서 화두 하나만을 잘 잡드리 할 줄 안다면 그 밖의 것은 저절로 다 따라오는 것인데, 사실 정진이 문제가 되는 것은 ‘화두를 어떻게 단속을 하고 어떻게 거각(擧却)하느냐’ 그것이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좌에 국집하지도 아니하고 또한 좌를 여의지도 아니한다’


문제는 우리의 한 마음 한 생각에 있을 것입니다.


**송담스님(No.178) - 1982년(임술년) 하안거 해제법회. (용178)

 

(1) 약 12분.

 

(2) 약 10분.


(1)------------------

작야강남우(昨夜江南雨)에  동정추수심(洞庭秋水深)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일엽고주객(一葉孤舟客)이  월중천리심(月中千里心)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작야강남우(昨夜江南雨)에, 어젯밤 강남 비에,
동정추수심(洞庭秋水深)이로구나. 동정(洞庭)에 가을 물이 깊구나.

일엽고주객(一葉孤舟客)이  월중천리심(月中千里心)이라.
일엽편주(一葉片舟)를 타고 가는 '손'이 달 가운데에 천리(千里)의 마음이더라.

오늘은 임술년 여름 안거 해제일입니다. 동시에 백일기도 회향(廻向)날이기도 합니다.
음력 4월 15일에 결제를 해 가지고 음력 7월 15일 백중날에 해제를 하는 것이 상례이지만, 금년은 4월에 윤달이 들어서 그래서 6월 15일에 해제를 하게 된 것입니다.

오늘 해제일을 맞이해서 동서남북 사방에서 여름 결제를 한 비구·비구니 수행 납자들이 망월사 또 도봉산에 원효사, 의정부 회룡사, 전라도 맨 끄터리 강진 만덕산 백련사, 또 부산에서는 대성암 이런 모다 멀고 가까운 여러 선원에서 정진을 하다가 해제를 맞이해서 이렇게 이 용화사 법보선원에 운집(雲集)을 했습니다.

원래 부처님 당시에도 각기 자기 인연 따라서 여기저기에서 정진을 하고서 오늘 해제일에 몇십 리 몇백 리를 걸어서 부처님 회상(會上)에 모여 가지고 자자(自恣)라 해서 빙 둘러서 앉아 가지고 자자의 의식을 거행을 했던 것입니다.

스스로 자(自)자, 물을 자(恣)자, ‘자자(自恣)라고 하는 것은 무엇이냐?’하면 ‘스스로 묻는다.’
‘무엇을 묻느냐?’하면, ‘자기에게 어떠한 허물이 있었던가?’하고 각자 자기의 허물을 대중에게 물어 가지고, 자진해서 대중으로부터 자기의 허물을 직접 지적해 주실 것을 간청을 했던 것입니다.

이 법요식(法要式)은 맨 먼저 부처님께서 대중을 향해서,
‘지난 석 달 안거 동안에 나에게—수행에 방해가 될 만한 법도에 어긋난 일이 있으면, 대중은 자비심으로 그것을 지적을 해 주시오’ 이렇게 대중을 향해서 부처님께서 몸소 제일 먼저 자자를 하셨던 것입니다.

그렇게 해도 대중이 아무 말이 없으면 그 허물이 없었던 걸로 인정을 하고 또 그 다음 목련존자, 또 사리불 존자 이렇게 해서 차츰차츰 차례대로 그러헌 법요식이 진행이 되었습니다.

물론 부처님께는 무슨 허물이 있을 수가 없습니다마는 부처님께서는 법(法)을 존중하는 뜻으로 부처님께서 맨 먼저 그렇게 대중에게 물으셨던 것입니다.

그렇게 물었을 때에 맨 위에 첫 자리에 앉았던 목련존자나 또는 가섭존자나 사리불 그러헌 수제자가 부처님 곁으로 경건하게 가까이 가서 부처님을 일으켜 세우면서,
그 자자(自恣)를 할 때에는 왼쪽 무릎은 땅에 대고 오른쪽 무릎은 세우고서 합장을 하고 대중에게 묻는데, 부처님께서 그렇게 물으실 때에 그 옆에 있던 맨 윗자리 제자가 부처님께 다가가서 부처님을 일으켜 세우면서,

‘삼계(三界)의 대도사(大導師)이시고 사생(四生)의 자부(慈父)이신 부처님께 무슨 허물이 있겠사옵니까’ 이렇게 해서 공경스럽게 부처님을 일으켜 드림으로써 다음 사람으로 그 법요식은 진행이 되어갔던 것입니다.

이 원시경전(原始經典)을 보면 그때 부처님께서 제자들을 거느리시고 설법을 허시고 제자들을 이끌으시고 하는 그 생생한 모습을 우리는 볼 수가 있는 것입니다.
소승(小乘)불교라 해서 수천 년간을 푸대접을 받아왔었지만 근자에 소승불교 이 『아함경(阿含經)』과 같은 이러한 경전이 새롭게 학자들에 의해서 관심을 가지고 연구되고 있습니다.

오늘이 바로 그 자자를 행하는 날입니다. 이렇게 해서 석달 동안 어떻게 수행을 했는가? 수행을 하는 동안 행여나 자기에게 어떤 잘못이 없었던가? 다른 대중에게 어떠헌 피해는 끼친 바가 없었던가?
자기로 인해서 불법에 누명(陋名)은 끼치지 않했던가? 이렇게 해서 반성을 하고, 자기 혼자 반성을 헐 뿐만 아니라 대중에게 그것을 지적해 달라고 스스로 간청하는 그러헌 법요식을 거행하는 날입니다.

지금도 해인사나 그 밖에 총림(叢林)에서는 이러헌 법요식이 거행되고 있다고 하는 말을 들었습니다마는 대단히 좋은 법도(法度)라고 생각을 합니다.

오늘 해제 법요식을 맞이해서 여기에 모이신 비구스님 또는 비구니스님 또 여러 청신사·청신녀 사부대중이 낱낱이 부처님 당시에 행해졌던 그 자자(自恣) 법요식을 경건한 마음으로 상기하면서,
스스로 자기에게 어떠헌 수행상에 잘못은 없었던가? 부처님 법도에 어긋나는 그러헌 일은 없었던가? 나로 인해서 다른 대중에게 피해를 입힌 바는 없었던가?

고요히 가슴에 손을 얹고 반성을 해서 행여나 잘못이 있으면 그러헌 잘못은 이 자리에서 참회를 하시고 앞으로 수행해 나가는 데에는 다시는 그런 일이 없도록 청정하게 원만하게 수행을 해 주시기를 부탁을 드립니다.

우리가 한철, 한철 거듭해 나갈 때마다 이렇게 해서 자기 자신을 바로잡아 나가고 자신의 수행을 올바른 궤도에 올려 나간다면, 결정코 금생에 도업(道業)을 성취하고 말리라고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처음~12분1초)

 

 



(2)------------------

'오늘 해제를 하면 걸망을 짊어지고 어디로 갈 것인가? 오대산을 가느냐, 설악산을 가느냐 또는 남해를 가느냐' 이렇게 걸망귀신이, 벌써 반살림 지나면 걸망귀신이 들썩들썩 한다고 옛날부터 그런 말이 전해 내려오고, 겨울철에는 납월 팔일(臘月八日) 용맹정진(勇猛精進)이 끝나면 벌써 그때부터서는 걸망귀신이 동요가 되아 가지고 정진할 마음은 벌써 들떠버린다고 그런 말이 있어 왔습니다마는,

우리 용화사 법보선원에서는 반살림이 지내면서부터 더 열심히 정진들을 하시고 해제에 임박해서는 더 모다 가행정진(加行精進)들을 하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또 회룡사나 망월사, 원효사 그 밖에 강진 백련사 그런 데서도 여러 대중들이 많이 오셨습니다마는 거기서도 각각 못지않게 정진들을 잘 하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정진(精進)이라 하는 것은 누구를 위해서가—다른 사람을, 물론 깨달은 뒤에는 일체 중생을 위해서 한다고 하지만, 일체 중생을 참으로 위할려면 우선 자기가 확철대오를 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기의 생사해탈, 자기의 자유를 위해서 절대적으로 이것은 필요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강요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기가 자기를 위해서 자발적으로 고행 정진을 하게 된 만큼, 오늘 해제한 뒤에 참으로 마음을 가다듬고 더욱 열심히 정진을 해 주실 줄로 믿습니다.

그 동안에 석 달 동안은 삼복 더위중이라 대단히 정진하기가 어려웠을 줄 생각합니다. 그러한 더위 속에서도 정진을 늦추지 아니하고 그렇게 알뜰히 정진을 하셨거든 하물며 앞으로 넉 달 반이라고 하는 기간이 있습니다.
겨울 결제를 할 때까지는 넉 달—다른 해에는 석 달 밖에 없었는데 금년은 윤달이 들어있었기 때문에 넉 달 반이라고 하는 시간이 있는데 그 기간은 춥지도 않고 더웁지도 않는 그러헌 좋은 계절입니다. 어쨌든지 그 긴 좋은 기간을 알뜰하게 정진을 해 주시기를 부탁을 합니다.

그 동안에 여기서 저기서 모다 정진하고 오신 스님네들로부터서 여러 가지 정진에 관한 문의를 해 왔는데, 정진이란 게 화두(話頭)를 어떻게 단속(團束)해 나가느냐.

한마디로 말해서 화두 하나만을 잘 잡드리 할 줄 안다면 그 밖의 것은 저절로 다 따라오는 것인데, 사실 정진이 문제가 되는 것은 ‘화두를 어떻게 단속을 하고 어떻게 거각(擧却)하느냐’ 그것이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참선(參禪)은 앉아서만 하는 것이 아니고, 행주좌와(行住坐臥)에 언제 어디서 무엇을 하든지 간에 참선은 되어져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앉아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해서, 그러면 서서 종일 일을 하고, 종일 말을 하고, 종일 서성거려도 상관이 없느냐 하면, 앉은 데에만 있는 것은 아니지마는 또한 좌(坐)를 여의어서도 안 된다 이것입니다.

참으로 ‘앉아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또 좌(坐)를 여의어서도 안 된다’고 하는 참뜻을 안다면, 종일 앉아서 한다 해도 상관이 없는 일이요, 종일 행주좌와(行住坐臥) 어묵동정(語黙動靜)간에 언제 어디에서 무엇을 한다 하더라도 정진은 여일(如一)하게 될 수 밖에는 없는 것입니다.

지금 ‘좌(坐)에 있는 것이 아니지만 또한 좌를 여의어서도 안 된다’한 이 뜻을 잘 못 이해한 사람은, ‘좌(坐)에 있지 않다’ 그 말에만 잘못 집착을 하면, 공연히 서서—정진은 진짜 속으로는 되지도 아니하면서 공연히 미친 사람처럼 나부대고 설쳐대는 데에 가까웁게 될 것이고,
또 ‘좌(坐)를 여의지 않는다’한 그 말에만 집착을 한다면, 너무 앉은뱅이처럼 앉아서만 하는 것만이 공부라고 해서 좌에 국집(局執)하는 그러헌 잘못된 정진에 떨어지고 말 것입니다.

그래서 ‘좌(坐)에 국집하지 아니한다’해 가지고 공연히 설쳐대서도 아니 될 것이고, 또 ‘좌를 여의지 아니한다’해 가지고 너무 좌(坐)에만 국집하는 그것도 올바른 정진이 아닐 것이다.

이 2가지 뜻—‘좌에 국집하지도 아니하고 또한 좌를 여의지도 아니한다’는 이 2가지 뜻을 참으로 올바르게 인식을 한다면 행주좌와 사위의(四威儀)가 다 좌(坐) 아님이 없을 것이고, 이 도리를, 이 2가지 뜻을 잘 이해를 못한다면 비록 좌(坐)를 여의지 아니한다고 해도, 참다웁게 좌선(坐禪)을 못한 사람이 되고 말 것입니다.

앞으로 넉 달 반에 그 긴 좋은 기간 동안에, 좌에 국집하지도 말고 또한 좌를 여의지도 아니하면서 정진을 알뜰히 해 주실 것을 부탁을 하는 것입니다.

그 동안에 혹 어느 선지식을 친견하러 갈 분도 있을 것이고 또는 어느 좋은 도반을 찾아갈 분도 있을 것이고 또는 어느 성지(聖地) 도량에 순례차 떠날 분도 있을 것이고,
또는 건강상 휴양차, 건강을 위해서 어느 의원을 찾아가거나 또는 약을 먹기 위해서 어느 장소를 찾아가거나 또는 모래찜을 하기 위해서 강변이나 해변을 찾아가시는 도반도 계실 줄 생각을 합니다.

어디를 가시건, 누구를 만나러 가시건, 어데 가서 무엇을 하건, 사람이 살아있는 이상은 가야 할 데도 있고, 만나야 할 곳도 있을 것이고, 만나 해야 할 말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헌 행주좌와 어묵동정간에 그때 그 장소에서 자기의 본참공안(本參公案)을 여의지 아니한다면,
어데 간들 무슨 상관이 있으며, 누구를 만난들 무슨 상관이 있으며, 어데를 가서 강에 몸을 담그거나 모래 속에 몸을 묻거나, 흐르는 시냇물에 발을 담그거나 또는 어느 계곡 어느 봉우리를 발로 등산을 하고 거닌다 하더라도 무슨 해로울 것이 있겠습니까.

문제는 우리의 한 마음 한 생각에 있을 것입니다.(처음~22분9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게송) ‘작야강남우~’ ; [청허당집(清虛堂集)] (서산휴정 著,朴敬勛 역, 동국대학교 역경원) p85 ‘회구(懷舊, 옛일을 추억함)’ 게송 참고.
*일엽편주(一葉片舟) ; 자그마한 한 척의 배.
*회향(廻向) ; 회전취향(回轉趣向)의 뜻. ①방향을 바꾸어 향하다. ②자신이 쌓은 공덕을 다른 이에게 돌려 이익을 주려하거나 그 공덕을 깨달음으로 향하게 함. ③자신이 지은 공덕을 다른 중생에게 베풀어 그 중생과 함께 정토에 태어나기를 원함.
*운집(雲集 구름 운,모일 집) ; 구름(雲)처럼 모인다(集)는 뜻으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회상(會上) ; ①대중이 모인 법회. ②설법하는 모임. 설법을 듣기 위해 사람들이 모인 자리.
*법요식(法要式) ; 불사(佛事-제사, 법회 따위의, 불가(佛家)에서 행하는 모든 일)를 할 때 행하는 의식.
*목련존자, 가섭존자, 사리불존자 ; ‘역대 스님 약력’ 참고.
*삼계(三界)의 대도사(大導師) : 삼계(三界)의 중생을 열반(涅槃)로 인도(引導)하는 위대한 사람. 부처님을 말함.
*사생(四生) ; 중생이 윤회하는 세계인 육도(六途)에서의 네 가지 생(生),네 가지 태어나는 방식. 태생(胎生), 난생(卵生), 습생(濕生), 화생(化生)을 이른다.
*원시경전(原始經典) ; 원시불교(Early Buddhism, 原始佛敎)시대에 결집된 불경. 그것은 한역(漢譯) 아함경(阿含經) 및 팔리 삼장(三藏) 등이다.
*소승(小乘) ; ①기원 전후에 일어난 불교 개혁파들이 스스로를 대승(大乘)이라 하고, 전통의 보수파들을 낮추어 일컬은 말. ②기원전 5세기에서 기원전 2세기 사이에 분열된 불교 교단의 여러 부파, 곧 부파 불교(部派佛敎)를 말함. ③자신의 깨달음만을 구하는 수행자, 성문(聲聞)•연각(緣覺) 또는 그들에 대한 붓다의 가르침. ④열등한 능력이나 소질을 갖춘 자를 위한 붓다의 가르침.
☆승(乘)은 중생을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붓다의 가르침이나 수행법을 뜻함.
*아함경(阿含經) ; 아함(阿含)은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āgama의 음사로, 전해 온 가르침이라는 뜻.
초기 불교시대에 성립된 수천의 경전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팔리(pāli) 어로 된 니카야(nikāya)가 있고, 여기에 해당하는 산스크리트(sanskrit) 본(本)이 아가마(āgama)임.
이 아가마를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 아함경으로 여기에는 네 가지가 있음.

(1) 장아함경(長阿含經). 22권 30경. 문장의 길이가 긴 경전을 모은 것.
(2) 중아함경(中阿含經). 60권 222경. 문장의 길이가 중간 정도인 것을 모은 것.
(3) 잡아함경(雜阿含經). 50권 1,362경. 짧은 경전을 모은 것.
(4)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 51권 471경. 사제(四諦)·육도(六度)·팔정도(八正道) 등과 같이 법수(法數)를 순서대로 분류하여 엮은 것. 이에 해당하는 니카야는 다음과 같음.

(1) 디가 니카야(dīgha-nikāya, 長部). 내용이 긴 34경을 모은 것으로 3편으로 분류되어 있음. 한역 장아함경에 해당함.
(2) 맛지마 니카야(majjhima-nikāya, 中部). 중간 정도 길이의 152경을 모은 것으로 약 50경씩 3편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다시 각 편은 5품으로, 각 품은 대개 10경 단위로 구성되어 있음. 한역 중아함경에 해당함.
(3) 상윳타 니카야(saṃyutta-nikāya, 相應部). 짧은 경전 2,875경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배열한 것으로 전체가 5품으로 되어 있음. 한역 잡아함경에 해당함.
(4) 앙굿타라 니카야(aṅguttara-nikāya, 增支部). 2,198경이 법수(法數)에 따라 1법에서 11법까지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음. 한역 증일아함경에 해당함.
(5) 쿳다카 니카야(khuddaka-nikāya, 小部). 법구경·경집·본생담 등 15경으로 구성되어 있음
*누명(陋名 좁을·천할 루,이름 명) ; 사실이 아닌 일로 이름을 더럽히는 억울한 평판.
*총림(叢林) ; ①많은 수행승들이 모여 수행하는 곳. ②전각(殿閣)·선원(禪院) ·강원(講院)·율원(律院) 등을 두루 갖춘 큰 사찰.
*도업(道業) ; 도(道)는 깨달음. 업(業)은 영위(營爲-일을 계획하여 꾸려 나감). 불도(佛道)의 수행. 진리의 실천.



------------------(2)

*납월 팔일(臘月八日) ; 음력 12월 8일, 석가모니가 성도(成道)한 날을 말함. 이 석가모니의 성도를 기념하기 위해 선원에서는 초하루부터 팔일 새벽까지 잠을 자지 않는 용맹정진(勇猛精進)을 한다.
*용맹정진(勇猛精進) ; 견고한 의지로 한순간도 불방일(不放逸)하는, 열심으로 노력하는 정진.
*가행정진(加行精進) ; 별도의 노력을 기울여서 하는 정진. 어떤 일정한 기간에 좌선(坐禪)의 시간을 늘리고, 수면도 매우 단축하며 정진하는 것.
*정진(精進) : [범] Virya  음을 따라 비리야(毘梨耶 • 毘離耶) • 미리야(尾利也)라고도 쓴다。보살이 수행하는 육 바라밀(六波羅蜜)의 하나.
순일하고 물들지 않는(純一無染) 마음으로 부지런히 닦아 줄기차게 나아가는 것이다。그러나 닦는 생각(能)과 닦는 것(所)이 있어서는 안 된다。함이 없이 하는 것이 정진이다.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화두는 「말」이란 뜻인데, 두(頭)는 거저 들어가는 어조사다。「곡식을 보고 땅을 알고, 말을 듣고 사람을 안다」는 옛말이 있다. 도(道)를 판단하고 이치를 가르치는 법말·참말을 화두라고 한다.
또는 공안이라고 하는 것은 「관청의 공문서」란 뜻인데, 천하의 정사를 바르게 하려면, 반드시 법이 있어야 하고 법을 밝히려면 공문이 필요하다.
부처님이나 조사들의 기연(機緣), 다시 말하면 진리를 똑바로 가르친 말이나 몸짓이나 또는 어떠한 방법을 막론하고 그것은 모두 이치세계의 바른 법령(法令)인 것이다.그러므로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잡드리 ; ‘잡도리’의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거각(擧却 들 거,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국집(局執) ; 마음이 확 트이지 못하고 어느 한편에 국한(局限), 집착하는 것.
사리(事理)를 두루 살펴 종합적으로 판단하지 못하고 자기의 주관에 얽매이거나 자기의 소견만이 옳다고 고집하여 매우 답답한 모습을 말한다.
*사위의(四威儀) : 행•주•좌•와(行住坐臥)。 일상생활에 있어서 온갖 동작하는 몸짓의 4종의 구별(행•주•좌•와)이 부처님의 제계(制戒)에 꼭 들어맞는 행동.
*본참공안(本參公案) :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