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精進) 수행2019. 12. 10. 19:24

§(428) (게송) 법법본래무소주~ / 공부가 되고 안되고 따지지 말고 한결같이 해 나가면 자기의 본래면목을 깨닫게 된다.

 

참법은 조금도 속인 바도 없고 누구와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있는 것이고, 언제나 원만구족(圓滿具足)한 것이여. 나도 법이요, 너도 법이요, 부처님도 법이요, 모든 중생이 법이요, 삼라만상이 다 법이고 그 낱낱이 원래 원만구족하고 부족함이 없는 것이여.

이것은 사량분별(思量分別) 중생의 소견으로는 이해될 수 없는 것이고, 나름대로 이해됐다 하더라도 그것은 법의 한때의 그림자에 지내지 못한 것이지. 참법이 아니거든.

 

**송담스님(No.428) - 1990년 11월 첫째일요법회 (용428)

 

(약 8분)

 

법법본래무소주(法法本來無所住)허니  어무소주절추심(於無所住絶追尋)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양오작야침서령(陽烏昨夜沈西嶺)터니  금일의연상효림(今日依然上曉林)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법법본래무소주(法法本來無所住)요. 법법(法法)은 모든 법이여. 법은 사회에서 말하는 형법 · 민법 · 병법, 그런 걸 다 법이라고 하지만.

우리 불가(佛家)에서는 삼라만상(森羅萬象) 두두물물(頭頭物物)이 다 법이고—부처님께서 설하신 금강경 · 법화경 · 화엄경 이런 걸 다 법이라 그러고 법보(法寶)라고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삼라만상 두두물물이 다 법이거든.

 

법법본래무소주(法法本來無所住). 왜 두두물물이 법이냐 하면 두두물물이 전부 비로자나(毘盧遮那) 법신체(法身體)기 때문에 그런 거여. 그러면 그 법은 본래로 주(住)한 바가 없어. 주(住)한 바는 고정된 것이 아니여. 주착한 바가 없어. 인연 따라서 수시로 변하고 그렇지만.

 

어무소주절추심(於無所住絶追尋)이요. 주(住)한 바 없는 것을, 그것을 추심(追尋)을 하지 말아라. 머무른 바가 없는데 그것이 고정된 것인 줄 알고, 거기에 집착을 하고 그것을 계속 추구해 나갈라고 그러거든.

 

참법은 조금도 속인 바도 없고 누구와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있는 것이고, 언제나 원만구족(圓滿具足)한 것이여.

나도 법이요, 너도 법이요, 부처님도 법이요, 모든 중생이 법이요, 삼라만상이 다 법이고 그 낱낱이 원래 원만구족하고 부족함이 없는 것이여.

 

이것은 사량분별(思量分別) 중생의 소견으로는 이해될 수 없는 것이고, 나름대로 이해됐다 하더라도 그것은 법의 한때의 그림자에 지내지 못한 것이지. 참법이 아니거든.

 

양오작야침서령(陽烏昨夜沈西嶺), 해는 어젯밤에 서산으로 넘어갔는데,

금일의연상효림(今日依然上曉林)이구나. 오늘 아침 새벽에 저 동산에 솟아오르는구나.

 


‘이뭣고?’


‘이뭣고?’는 무슨 특별한 제왕(帝王)의 길이 있는 것이 아니여.

 


‘이뭣고?’ 알 수 없는 의심(疑心).

되고 안되고 한 것도 따지지 말어.

 

화두(話頭)가 잘 들리면은 망상(妄想)도 잘 안 일어나고, 혼침(昏沈)도 잘 안 오고, 몸이 괴롭지도 않고, 1시간이 금방 언제 지나간지 모르고 지나가고 그리한 것을 느낄 것입니다마는. 항상 그렇게 되기만을 생각하거든.

 

그래 가지고 화두가 잘 안 들리고 자꾸 망상이 일어나고, 자꾸 혼침이 나고, 시간이 30분이 그렇게 지루하고 10분이 그렇게 지루하고, 몸부림이 쳐지고 영 잘 안된다. 골이 더럭더럭 하고 눈이 뻣뻣하고.

그러면 고민을 하거든. 아, 어째서 이렇게 공부가 잘 안되는고. 그래 가지고 몸부림을 치고 고민을 하는데, 그러지 마셔.

 

공부를 하다 보면은 혼침이 오기도 하고, 망상이 일어나기도 하고 또 화두가 잘 안 들리기도 하고 그런 것인데, 잘된다고 좋아할 것도 없고, 잘 안된다고 그렇게 번뇌심을 내지 말어.

잘되어도 좋아하는 마음 없이 화두를 떠억 거각(擧却)해서 관조(觀照)해 나가고. 또 그렇게 혼침이 오고 잘 안 들리면 조용히 일어나서 포행(布行)을 좀 하거든.

일직선으로 코스를 정해 놓고 동쪽에서 서쪽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왔다갔다하면서 화두를 챙기면은 혼침도 달아나고 또 개운해지면 또 다시 와서 앉고.

 

이렇게 하면서 지혜롭게, 그 잘 안되고 그러한 때를 잘 고비를 넘겨야 하거든. 그 고비를 못 넘기고 짜증을 내고 그래 가지고, 에이! 이거 못해 먹을 것이라고 그만두고 중단하고 그런 것이 아니거든.

글씨도 잘 쓰다 보면 곧잘 되다가 영 안된 때가 있는데, 그 안되는 때에도 날마다 중단하지 않고 꾸준히 해 나가면 거기에서 필력(筆力)도 생기고 글씨가 숙달이 되는 것이여.

 

모든 것이 다 그래.

한참 되어 가다가 또 안되고, 안되지마는 꾸준히 밀고 나가면 또 다시 또 잘되고 그런 것이여.

 

그러한 고비 고비를 수없이 넘기면서도 중단하지 않고 한결같이 해 나갈 때에 우리는 화두가 순일무잡해지고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어서 툭! 터져서 의단(疑團)을 타파(打破)해서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깨닫게 되는 것이여.(58분46초~66분22초)(끝)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법법본래무소주~’ ; 『신심명(信心銘) - 벽의해(闢義解)』 중봉 명본선사(中峰 明本禪師) (명정 역주, 극락선원) p61 게송 참고. *(頻伽藏本)天目中峰和尚廣錄 卷第十二之上 信心銘闢義解上 게송 참고.

*追(추)쫓다,구하다 *尋(심)찾다 *上(상)위,오르다 *曉(효)새벽

*양오(陽烏, 暘烏 태양 양/까마귀 오) ; 태양(太陽)을 달리 이르는 말. 태양 속에 세 발 달린 까마귀가 살고 있다는 전설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법(法) : [범] dharma [파] dhamma 음을 따라 달마(達磨•達摩) 또는 담무(曇無)로 써 왔다。온갖 것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이니, 온갖 일과 모든 물질이며, 온갖 이치와 옳은 것(是), 그른 것(非), 참된 것(眞), 거짓된 것(妄)이 모두 이 「달마」에 들어 있다。그러나 흔히 부처님이 가르친 교리만을 법이라고 한다.

*삼라만상(森羅萬象) 두두물물(頭頭物物) ; 우주 사이에 벌여 있는 온갖 사물과 현상.

*법보(法寶 부처님의 가르침 법/보배·보물 보) ; 불교도의 세 가지 귀의처, 부처님[佛寶]과 부처님의 가르침[法寶]과 그 가르침에 따라 수행하는 집단[僧寶]의 하나. 부처님의 가르침[法]을 보배[寶]에 비유한 말.

*비로자나 법신불(毘盧遮那 法身佛) ; 비로자나(毘盧遮那)는 vairocana의 음사(音寫). 노사나(盧舍那)·자나(遮那) 등으로도 음사한다. 부처님의 몸에서 나오는 빛과 지혜의 빛이 세상을 두루 비추어 가득하다는 뜻에서 광명변조(光明遍照, 日), 허공과 같이 드넓은 세계에 거처하며 그 공덕과 지혜가 청정하다는 뜻에서 광박엄정(廣博嚴淨), 시공간적으로 어떤 한계도 없이 일체법과 모든 중생으로부터 떨어져 있지 않는다는 뜻에서 변일체처(遍一切處) 등이라 한다.

①진리 그 자체인 모든 곳에 편재(遍在)하는 법신으로서의 비로자나 부처님. ②대일여래(大日如來)와 같음.

*법신(法身) : [범]  dharma - kaya ‘법 몸’이란 말인데, 법불(法佛) · 이불(理佛) · 실불(實佛) · 법신불(法身佛) · 법성신(法性身) · 자성신(自性身) · 진여불(眞如佛) · 법계성(法界性) 같은 말들이 모두 한뜻이며, 「선가귀감」 첫머리에 있는 ‘한물건’이란 것도 이것이다.

진리 그 자체, 또는 진리를 있는 그대로 드러낸 우주 그 자체, 진여의 청정한 법계를 가리키며, 비로자나불과 대일여래가 여기에 해당한다.

진리 그 자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진여의 본 바탕(眞如本體)’을 이름이니, 중생에 있어서 부족할 것이 없고 부처님이라고 더 특별할 것이 없어, 본래 깨끗하고 빛나고 두렷하여 무한한 공간과 무궁한 시간에 꽉 차 있으되, 네 가지 말로도 설명할 수 없고(離四句) 백 가지 아닌 것으로도 옳게 가르칠 수 없으며(絕百非), 무엇으로나 형용하여 볼 수가 도저히 없는 것이다.

*원만구족(圓滿具足 둥글·온전할·원만할 원/찰·가득할 만/갖출 구/충족할 족) ; 모자라거나 결함이 없이 완전히 모두 갖추어져 있음.

*원만(圓滿 둥글·온전할·원만할 원/찰·가득할 만) : ①완전한. 부족함이 없는. 결함이 없는. 모두 갖추어져 있음. ②증감이 없는 평등무애한 경지. 흠 없는 법의 특징 또는 구경의 깨달음 등을 형용하는 말.

[참고] 『아비달마순정리론(阿毘達磨順正理論)』 제32권 「辯緣起品 第三之十二」 (대정장29, p.525c21)

言圓滿者 謂於佛身 衆相周圓 無缺減故

원만이라는 말은 부처님 몸에 온갖 상호가 두루 완비되어 결함이 없다는 뜻이다.

 

『대보적경(大寶積經)』 제60권 「文殊師利授記會 第十五之三」 (대정장11, p.346c3)

文殊師利言 善男子 若法不增不減 是名圓滿 云何圓滿 若於諸法 不能了知 則生分別 若能了知 則無分別 若無分別 則無增減 若無增減 此則平等 是故善男子 若見色平等 卽是色圓滿 受想行識 及一切法圓滿 亦復如是

 

문수사리가 말했다. 선남자야, 증가하지도 않고 감소하지도 않는 법을 원만이라 한다. 무엇을 원만이라 하는가? 모든 법에 대하여 분명하게 알지 못하면 분별이 일어나지만, 분명하게 안다면 분별이 사라진다. 만일 분별이 사라진다면 증감이 없고, 증감이 없다면 이것이 평등이다. 그러므로 선남자야, 만일 색을 평등하게 보면 색의 원만이니, 수 · 상 · 행 · 식과 다른 모든 법의 원만도 이와 같다.

*구족(具足 갖출 구/충족할 족) ; 구비만족(具備滿足)의 줄임말. ①부족함 없이, 빠짐없이 완전하게 갖춤. ②원만(圓滿)과 같음. 완전.

*이뭣고(是甚麼 시심마) : ‘이뭣고? 화두’는 천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어떤 일이 일어난 그 자리)를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 ‘이것이 무엇인고?’ 이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 ‘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는 일곱 자(字)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이, 뭣, 고’ 석 자(字)이다. ‘이뭣고?(이뭐꼬)'는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그 뜻은 그 속에 다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을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 왔다.

*의심(疑心) :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해 ‘알 수 없는 생각’에 콱 막히는 것.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또는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또는 ‘조주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바른 깨달음은 알 수 없는 의단, 알 수 없는 의심에 꽉 막힌 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화두(공안)에는 '이뭣고?' '판치생모' '무자' '정전백수자' 등이 있다.

*사량분별(思量分別) : 사량복탁(思量卜度), 사량계교(思量計較)와 같은 말.

생각하고 헤아리고 점치고 따짐。 가지가지 사량분별(思量分別)로 사리(事理)를 따짐。 법화경 방편품(法華經方便品)에 ‘이 법은 사량분별로 능히 알 바가 아니다’라고 함.

*망상(妄想 망령될 망/생각 상) ; ①존재하지 않는 것을 존재하는 것으로 상정하고 집착하는 의식의 작용. 분별(分別), 망상분별(妄想分別), 허망분별(虛妄分別), 망상전도(妄想顚倒) 등으로도 한역한다. ②이치에 맞지 아니한 망령(妄靈)된 생각[想]을 함, 또는 그 생각. 잘못된 생각. 진실하지 않은 것을 진실하다고 잘못 생각하는 것.

*혼침(昏沈 어두울 혼/잠길 침) ; ①정신이 미혹(迷惑)하고 흐리멍덩함. ②좌선할 때 정신이 맑지 못하여 잠에 빠지거나 무기공(無記空)에 떨어진 상태.

*번뇌(煩惱 번거러울 번/괴로워할 뇌) ; ①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어지럽히고[煩亂, 煩勞, 煩擾] 괴롭혀 고뇌케[逼惱, 惱亂] 하므로 번뇌(煩惱)라 표현. 근원적 번뇌로서 탐냄(貪)•성냄(瞋)•어리석음(癡) 등이 있다.

②나라고 생각하는 사정에서 일어나는 나쁜 경향의 마음 작용. 곧 눈 앞의 고(苦)와 낙(樂)에 미(迷)하여 탐욕•진심(瞋心)•우치(愚癡)등에 의하여 마음에 동요를 일으켜 몸과 마음을 뇌란하는 정신 작용.

불교는 중생의 현실을 혹·업·고(惑·業·苦)의 삼도(三道)로 설명한다. 즉 번뇌[惑]에 의해 중생이 몸과 마음의 행위[身口意 三業]를 일으키게 되면, 이로써 3계 6도의 생사윤회에 속박되어 고통[苦]의 과보를 받게 된다.

*거각(擧却 들 거/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화두를 든다’ ‘화두를 거각한다’는 말은 자신의 본참화두를 들 때 알 수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그 알 수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하는 것이다.

[참고] 송담스님 (세등선원 No.09)—병진년 동안거 결제중 법어(76.12.26)에서.

화두를 먼저 이마로 의심을 하지 말고, 이 화두를—호흡하는데 배꼽 밑[丹田]에 숨을 들어마시면은 배가 볼록해지고 숨을 내쉬면은 배가 홀쪽해지는데, 그 배가 빵빵해졌다 홀쪽해졌다 하는 거기에다가 화두를 들고 ‘이뭣고~?’ ‘알 수 없는 생각’ 관(觀)하는 그것이 화두를 드는 것이여.

*포행(布行) ; 참선(參禪)을 하다가 잠시 방선(放禪)을 하여 몸을 푸는 뜻으로 자신의 본참화두를 들면서 조용히 뜰을 걷는 일.

*필력(筆力 붓•글씨 필/힘 력) ; 글씨[筆]의 획에 드러난 힘[力].

*순일무잡(純一無雜 순수할 순/하나 일/없을 무/섞일 잡) ; 대상 그 자체가 순일(純一)해 전혀 이질적인 잡것의 섞임[雜]이 없음[無].

*타성일편(打成一片) : ‘쳐서 한 조각을 이룬다’. 참선할 때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려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일체처 일체시에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한 순수무잡(純粹無雜) 경계.

*의단(疑團 의심할 의/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타파(打破) ; 화두의 생명은 의심입니다.

그 화두(話頭)에 대한 의심(疑心)을 관조(觀照)해 나가는 것, 알 수 없는 그리고 꽉 맥힌 의심으로 그 화두를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모든 번뇌와 망상과 사량심이 거기에서 끊어지는 것이고, 계속 그 의심을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더 이상 그 의심이 간절할 수가 없고, 더 이상 의심이 커질 수 없고, 더 이상 깊을 수 없는 간절한 의심으로 내 가슴속이 가득 차고, 온 세계가 가득 차는 경지에 도달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 경지에 이르면 화두를 의식적으로 들지 않어도 저절로 들려져 있게 되는 것입니다. 밥을 먹을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똥을 눌 때에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차를 탈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이렇게 해서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들려진 단계. 심지어는 잠을 잘 때에는 꿈속에서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게끔 되는 것입니다.

 

이런 상태로 6, 7일이 지나면 어떠한 찰나(刹那)에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큰 항아리에다가 물을 가뜩 담아놓고 그 항아리를 큰 돌로 내려치면은 그 항아리가 바싹 깨지면서 물이 터져 나오듯이, 그렇게 화두를 타파(打破)하고, ‘참나’를 깨닫게 되고, 불교의 진리를 깨닫게 되고, 우주의 진리를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참선법 A’ 에서]

*본래면목(本來面目 밑 본/올 래/낯 면/눈 목) ; ①자기의 본래(本來) 모습(面目). ②자신이 본디부터 지니고 있는, 천연 그대로의 심성(心性). 부처의 성품.

본지풍광(本地風光), 본지고향(本地故鄉), 본분전지(本分田地), 고가전지(故家田地), 천진면목(天眞面目), 법성(法性), 실상(實相), 보리(菩提), 부모에게서 낳기 전 면목(父母未生前面目), 부모에게서 낳기 전 소식(父母未生前消息) 등이 모두 같은 맥락에서 쓰이는 말이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