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9) 『몽산법어(蒙山法語)』는 참선 공부에 요긴한 책 / 공부가 답답하고 잘 안되게 느껴지는 때가 한 계단 진보하려는 때 / 일상생활 속에서 정진해야.
〇몽산법어(蒙山法語)를 한 구절씩—항상 여러분은 선지식(善知識)을 만나 뵙기가 어려우니까 공부하다가 가끔 법문을 듣고 싶으면, 이 몽산법어를 한 편씩을 떠억 보시면은 선지식 법문 들은 거와 같아서 신심(信心)이 돈발(頓發)하고 또 의정(疑情)이 돈발을 해서 참선이 잘되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〇공부가 한 걸음 더 나아갈려고 할 때에 그러한 단계에 이르르면 그 직전에 공부가 답답하고 잘 안되게 느껴지는 그런 때가 오는 것입니다. 그러한 때에 중단하지 아니하고, 물러서지 아니하고 계속해서 꾸준하게 참을성 있게 지혜롭게 차근차근 공부를 해 나가면 그래 가지고 그 고비를 넘기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한 계단 진보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무엇이든지 다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〇사실 공부는 선방(禪房)에 들어와서 죽비(竹篦)를 치고 입선(入禪)만 하는 그것만이 공부가 아니고, 언제나 말씀드린 바와 같이 일상생활 속에서 화두를 들고 공부를 지어나가게 될 때에 공부가 익숙해진 선객(禪客)이라고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299)—1986년 5월 첫째 일요법회(86.05.04) (용299)
약 12분.
작년에 이 『몽산법어(蒙山法語)』를 여러분에게 법공양(法供養)을 했는데, 아마 대부분 다 한 권씩을 받아서 가지고 계시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이 몽산법어는 이 활구참선법! 활구참선(活句參禪) 하는 데에 관한 법문만을 여기에 수록한 법어집입니다.
여러분이 이 몽산법어를 받아서 첫째 서문을 읽어보시면 이 몽산법어라는 책이 어떠한 책이며, 얼마나 공부해 나가는 데 요긴한 책인가를 여러분 아실 수가 있고.
그리고 이 몽산법어(蒙山法語)를 한 구절씩—항상 여러분은 선지식(善知識)을 만나 뵙기가 어려우니까 공부하다가 가끔 법문을 듣고 싶으면, 이 몽산법어를 한 편씩을 떠억 보시면은 선지식 법문 들은 거와 같아서 신심(信心)이 돈발(頓發)하고 또 의정(疑情)이 돈발을 해서 참선이 잘되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금방 조실 스님 녹음법문도 이 몽산법어를 설(說)하셨습니다마는 이 몽산법어를 가끔가끔 보시고—몽산법어를 보지 안 해도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고 순수무잡해서 타성일편(打成一片) 지경에 들어간다면 구태여 또 몽산법어도 볼 필요가 없는 것이지만,
우리는 공부를 하다 보면 뭣 한 때는 참 단전호흡(丹田呼吸)도 잘되고, 화두도 잘 들려서 의단이 순일무잡하게 들릴 때도 있지만 또 어떤 때는 뚝 변해 가지고 영판 단전호흡도 잘 안되고, 또 정신도 청쾌하지를 못하고 의심도 잘 나지를 안 해 가지고 그렇게 답답하고 그런 때가 있습니다.
그런 때는 억지로 앉아서 시간만을 채울려고 하시지를 말고 가볍게 포행을 하고 와서 또 정진을 하실 수도 있고,
여러분 댁에서 공부하실 때에는 이 몽산법어도 한 편씩 떠억 보시고서, 이게 한글로 다 음(音)을 달고 또 그것을 번역을 하고, 그리고 어려운 말에 대해서는 역주(譯註)를 붙여서 놨기 때문에 누구든지 보시면 알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이 참선(參禪)해 나가는데 있어서 주의할 것은 공부를 해 나가다 보면 정말 재미가 없어. 재미가 없어 가지고 가슴이 답답하고 몸이 뒤틀리고, 도저히 그 한 5분 10분이 한 시간보다도 더 지루하게 느껴지고, 어디 뭐 벼람박이나 기둥에다가 이마빡을 갖다가 한번 그냥 피가 나오도록 받아버리고 싶은 그렇게 참 답답하고 그런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한 경우가 올 때 ‘번뇌심(煩惱心)을 내지 말아라’거든.
사실은 그러한 경지가 온 것이 공부를 잘못해 가지고 그러한 것이 아니고, 공부가 한 걸음 더 나아갈려고 할 때에 그러한 단계에 이르르면 그 직전에 그렇게 공부가 그러한 답답하고 잘 안되게 느껴지는 그런 때가 오는 것입니다.
그런데 잘 모르는 분은 ‘아! 이거 내가 마장(魔障)이 들어서 그런가?’ ‘공부를 잘못해서 이런가?’ 그래 가지고 거기서 번뇌심을 내고, 그리고 퇴보심(退步心)을 내고, ‘이거 공부를 그만 둘까?’ ‘이러다가 병이 나면 어쩌나?’ ‘이거 이 공부가 잘 안될려고 이러는 것이 아니냐?’해 가지고 갈팡질팡을 하게 되는데,
사실은 바로 그때가 몸과 마음과 목숨을 바쳐야 할 때다. 왜 그러냐?
공부가 한 걸음 진보할려고 할 때에, 한 계단 올라서려고 할 때에 그러한 경계(境界)가 나타나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어떠한 사업, 어떠한 학문, 어떠한 서도(書道)나 그림 또는 음악, 어떠한 공부를 하더라도 반드시 그런 것이 있는 것입니다.
스스로 ‘참 잘된다’고 느껴지고, ‘참 이렇게만 되어간다면은 내가 일취월장(日就月將)하겠다!’하고 참 그렇게 느껴지는 때가 있는가 하면, 영판 공부가 암만해도 되지를 않고, 전혀 진전하는 기미가 없고, 그래 가지고 ‘공부, 이것 차라리 그만두어 버릴까?’하는 그런 생각까지도 나는데.
그러한 때에 중단하지 아니하고, 물러서지 아니하고 계속해서 꾸준하게 참을성 있게 지혜롭게 차근차근 공부를 해 나가면 그래 가지고 그 고비를 넘기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한 계단 진보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무엇이든지 다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그러한 고비를 넘기지를 못하고 번뇌심을 내고 퇴보심을 내고 중단해 버리고 이러면, 지지리 산봉우리 가까이까지 갔다가 그냥 상봉(上峯)에까지 올라가지 아니하고 거기서 그냥 되돌아 내려온 거와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애기를 길러 본 경험이 있으신 어머니들은 아시겠지만 잘 자라다가 설사한다든지, 머리가 열이 있다든지, 밥을 잘 못 먹는다든지 이러한 병치레를 하게 된 때가 있을 것입니다.
그 병치레를 하고 나서는 안 하던 재롱을 떨게 되고 귀여움을 부리게 되고, 그러고 말도 전혀 한마디도 못한 애기가 병치레를 하고 난 다음에는 그냥 말도 한마디씩 하게 되고, 또 그 병치레하고 나면 살은 조금 빠진 듯하지만 한 5센치 이상이 푹 자란 것처럼 자라 버리고, 백만사(百萬事)가 다 그런 것입니다.
한 걸음 나아갈려고 할 때에는 반드시 그런 경우가 있는 것이니까, 이 참선할 때에도 역시 그런 것이여. 그럴 때를 잘 극복하고 지혜롭게 공부를 해 나가면, 그전에 보다도 훨씬 공부가 힘을 얻게 되는 것이니 그런 것을 다 주의를 하시고.
또 한 가지 주의할 것은 특수한 사람에 있어서는 공부를 하다 보면 여태까지 느껴보지 못한 이상한 경계가 나타나기도 하고, 이상한 것이 보이기도 하고 모다 그럴 수가 있는데, 그런 것들은 전부 허상이여, 환각(幻覺) 작용이여. 일시적으로 일어났다 없어지는 환각 작용이여.
무슨 누가 와서 뭔 말을 귓전에 와서 일러주는 것처럼 느껴진다든지, 또는 앞에 환하니 무슨 불이 켜진 것처럼 보인다든지, 또는 내일 뭐 있을 일이 미리 알아진다든지, 앞으로 다가올 일에 대해서 무엇이 알아진다든지 이러한 것들은 전부 허망(虛妄)한 경계요, 환각 작용이기 때문에 그러한 것에 집착을 하지 말고.
오히려 더 성성(惺惺)하게 정신을 차려서 자세를 바르게 하고 눈을 뜨고서 단전호흡(丹田呼吸)을 하면서 화두(話頭)를 거각(擧却)해 나간다면, 그러한 환각 작용에 빠져 가지고 자기가 무슨 견성이나 한 것처럼 착각을 해 가지고 헛소리하고 미친 경지에 빠지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에게 아주 ‘공부한 사람이 어떻게 해야 하느냐?’
사실 공부는 선방(禪房)에 들어와서 죽비(竹篦)를 치고 입선(入禪)만 하는 그것만이 공부가 아니고, 언제나 말씀드린 바와 같이 일상생활 속에서 화두를 들고—생활 속에서 성날 때 돌이켜서 화두를 들고, 슬플 때 그 슬픈 생각을 돌이켜서 화두를 들고, 속이 상할 때 그 속상하는 그 생각을 버리고 찾지를 말고 바로 그 생각에 즉(卽)해서 화두를 거각을 하도록 말씀을 드렸습니다마는, 그렇게 공부를 지어나가게 될 때에 공부가 익숙해진 선객(禪客)이라고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렇게 공부를 지어 가는 사람은 댁(宅)에서 생활하는 것도 바로 그것이 참선이요, 밥을 짓고 빨래를 하는 것도 그것이 바로 참선이요.
또 이런 법회에 절에 오실 때에 차를 타시는 것도 참선이요, 차에서 내려서 걸어서 또 절에까지 오시는 것도 참선이고.
이 도량(道場)에 들어서서 어떠한 스님을 만나면은 노소간(老少間)에 합장을 하고 이렇게 배례(拜禮)를 하는 것도 참선이요. 또 신도분을 만나서도 미소를 지으면서 합장을 하고 이렇게 ‘안녕하셨느냐’고 인사 한마디 하는 것도 그것이 모두가 다 참선 아닌 것이 없다 이 말씀입니다.(13분17초~25분24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몽산법어(蒙山法語) ; 원(元)나라 몽산스님의 법어로 참선 수행의 구체적인 길을 자상하게 제시하였다. 용화선원에서 번역 간행한 ‘몽산법어’가 있다.
*법공양(法供養) ; ①부처님의 가르침을 중생들에게 베풂. ②불서(佛書)를 사람들에게 베풂. ③부처님의 가르침을 공경하고 찬탄함. 경전에 꽃·향 등을 바침.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천칠백 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선지식(善知識) ; ①부처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좋은 지도자. 훌륭한 지도자. 바르게 이끄는 사람. ②좋은 벗. 마음의 벗. 선우(善友).
*돈발(頓發 갑자기 돈/일어날·나타날·밝힐 발) ; 일정한 단계를 밟지 않고 직접적, 비약적으로 일어나는. [참고] 頓 - 直頓의 뜻, 곧바로.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의/덩어리 단/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가 홀로(獨) 드러나다(露).
*타성일편(打成一片) : ‘쳐서 한 조각을 이룬다’. 참선할 때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려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일체처 일체시에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한 순수무잡(純粹無雜) 경계.
*단전 호흡(丹田呼吸) ; 의식적으로 숨을 저 배꼽 밑에 아랫배 하복부[丹田]까지 숨을 들어마셨다가 잠깐 머물렀다가 조용하니 길게 숨을 내쉬는 호흡. 일반적으로 들어마실 때에는 차츰차츰 아랫배가 볼록해지게 만들고, 내쉴 때는 차츰차츰 배를 홀쭉하게 만든다.
단전 호흡을 하게 되면은 혈액순환이 잘되고, 혈액순환이 잘됨으로 해서 몸안에 모든 노폐물이 깨끗하게 밖으로 배설이 되서 몸이 가벼워지고, 건강해지고 따라서 정신이 맑아지고, 정신이 안정이 된다. 주의할 점은 자신의 호흡의 길이에 알맞게 시작하고 자연스럽게 해야지, 절대로 억지로 호흡 시간을 길게 잡아 무리해서는 안된다.
참선 수행에 있어서 호흡법은 우리의 몸을 건강하게 하고, 마음도 안정을 시키고 통일되게 하여 우리가 참선을 해 나가는 데에 중요한 준비, 기초 훈련이다.
*역주(譯註 번역·뜻을 풀이함 역/주해·뜻을 풀어 밝힘 주) ; ①번역한 사람이 붙인 주석(註釋 낱말이나 문장의 뜻을 쉽게 풀이함. 또는 그 글). ②번역과 주석을 아울러 이르는 말.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벼람박 ; ‘바람벽(--壁, 집의 둘레 또는 방의 칸막이를 하기 위해 만든 벽)’의 사투리.
*번뇌(煩惱) : 망념(妄念)이라고도 하는데, 몸과 마음을 괴롭히고 어지럽히는 정신작용의 총칭이나, 이곳에서는 화두에 대한 의심 이외의 모든 생각을 말함.
*마장(魔障 마귀 마/장애 장) 귀신의 장난이라는 뜻으로, 일이 진행되는 과정에 나타나는 뜻밖의 방해나 헤살을 이르는 말. [참고]헤살;남의 일이 잘 안 되도록 짓궂게 방해함.
*퇴보(退步 물러날·피할 퇴/걸을·걸음 보) ; ①뒤로 물러나는[退] 걸음[步]. 뒷걸음. ②정도나 수준이 이제까지의 상태보다 뒤떨어지거나 못하게 됨.
*퇴보심(退步心) ; 뒤로 물러나려는 마음.
*경계(境界) ; 산스크리트어 viṣaya ①대상,인식 대상, 여러 감각기관에 의한 지각의 대상. 인식이 미치는 범위 ②경지(境地) ③상태 ④범위,영역.
*일취월장(日就月將 날 일/이룰·나아갈 취/달 월/얻을·나아갈 장) ; 나날이 다달이 발전하고 성장함.
*상봉(上峯) ; 가장 높은 산봉우리.
*병치레(病치레) ; 병을 앓아 치러 내는 일.
*백만사(百萬事) ; 모든 일.
*환각(幻覺 헛보일·미혹할·허깨비 환/깨달을·느낄 각) ; 외부 사물이나 자극이 실제로는 없는데도 마치 그 사물이나 자극이 있는 것처럼 느끼는 감각. 환시(幻視), 환청(幻聽), 환미(幻味) 따위를 이른다.
*허망(虛妄 빌·공허할 허/망령될·허망할 망) ; ①거짓되고 망령(妄靈 말이나 행동이 정상에서 벗어남)됨. ②어이없고 허무(虛無)함.
*성성(惺惺) ; ①정신이 맑고 뚜렷함. 정신을 차림. 총명함. ②화두에 대한 의심이 또렷또렷한 것.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거각(擧却 들 거/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화두를 든다’ ‘화두를 거각한다’는 말은 자신의 본참화두를 들 때 알 수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그 알 수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하는 것이다.
[참고] 송담스님 세등선원(No.09)—병진년 동안거 결제중 법어(76.12.26)에서.
〇화두를 먼저 이마로 의심을 하지 말고, 이 화두를—호흡하는데 배꼽 밑[丹田]에 숨을 들어마시면은 배가 볼록해지고 숨을 내쉬면은 배가 홀쪽해지는데, 그 배가 빵빵해졌다 홀쪽해졌다 허는 거기에다가 화두를 들고 ‘이뭣고~?’ ‘알 수 없는 생각’ 관(觀)하는 그것이 화두를 드는 것이여.
*선방(禪房) ; ①참선(參禪)하는 방. 선실(禪室). ②선원(禪院).
*죽비(竹篦 대나무 죽/빗치개·통발 비) ; 예불이나 참선 정진할 때 이 죽비를 손바닥에 쳐서 소리를 내어 시작과 끝을 알리는데 쓰는 불교 용구.
*입선(入禪) ; 참선 수행(좌선)에 들어가는 것, 좌선(坐禪)을 시작하는 것. 참선(좌선)수행.
*선객(禪客 참선 선/손님•사람 객) 참선 수행을 하는 사람.
*댁(宅 댁·남의 집 댁) ; 남의 집이나 가정을 높여 가리키는 말.
*도량(道場) : ①붓다가 깨달음을 이룬 곳, 곧 붓다가야의 보리수(菩提樹) 아래를 말함. ②불도(佛道)를 닦는 일정한 구역. 수행하는 곳. ③사찰. [참고] ‘도장’으로 일지 않고 ‘도량’으로 읽음.
*배례(拜禮) ; 절을 하여 예를 갖춤. 또는 그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