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심(삼요)2015. 8. 9. 13:23

§(560) (게송)사중구의원~ / ‘이 방법으로 하면 반드시 나도 확철대오(廓徹大悟) 할 수가 있다’고 하는 신심 / 선원(禪院)에 모여서 공부하는 까닭.

‘내가 할 길은 이것 밖에 없다. 이것 밖에는 내가 할 것이 없다’고 하는 철저한 신심, ‘이 방법으로 하면 반드시 나도 확철대오(廓徹大悟) 할 수가 있다’고 하는 신심.


산이 명산(名山)이라 하는 것은 산이 높고 물이 좋아서가 아니라 거기에 도인(道人)이 살아야만 명산이 되는 거와 마찬가지로, 우리 조그만한 손바닥만한 이 땅이지만 여기에 최상승법이 있고 불법이 살아있으므로 해서, 불법에 의해서 수행하는 사람이 있음으로 해서, 이 지구는 결코 멸망을 하지 아니하리라고 하는 신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송담스님(No.560)—95년 동안거결제 법회(95.12.07) (용560)

약 11분.



사중구의원(死中求醫員)하고  영아억모심(嬰兒憶母心)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주공친절처(做工親切處)에  홍일상동령(紅日上東嶺)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사중(死中)에 구의원(求醫員)이요  영아억모심(嬰兒憶母心)이다. 환자가 깊은 병이 들어서 죽게 되었다 그말이여.
몸이 쑤시고, 아리고, 아프고, 가슴은 답답하고, 이 약 저 약 먹어봤자 효험은 없고, 어떻게 하면 명의(名醫)를 만나가지고 이 병을 낫을까? 그 좋은 의원을 구하듯이 그러한 간절(懇切)한 마음이 있어야 하는 것이고.

영아(嬰兒)가 억모심(憶母心)이여. 갓난아기가 그 엄마가 어디를 가서 안 오는데 배가 고파서 울어 싼다 그말이여. 발버둥을 치면서 울어 싸는데 ‘엄마가 언제나 와서 젖을 줄까?’
그 젖 주기를 바래서, 엄마가 오기를 바라는 어린 애기와 같이 그러한 간절한 마음이 있어야 한다.

그렇게 그런 간절한 신심(信心)으로 화두(話頭)를 거각(擧却)을 하는데 처음에는 별로 재미도 없고, 별로 맛도 없고, 되다말다 하고, ‘이뭣고?’해도 속으로는 온갖 번뇌 망상이 왔다갔다 하고 그렇지만,
‘내가 할 길은 이것 밖에 없다. 이것 밖에는 내가 할 것이 없다’고 하는 철저한 신심, ‘이 방법으로 하면 반드시 나도 확철대오(廓徹大悟) 할 수가 있다’고 하는 신심,

조급한 생각은 갖지 아니하되, 한 걸음 한 걸음 소걸음처럼 걸어가되 착실히 다져나가다 보면 반드시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들어지는 때가 와.

성성(惺惺)하면서도 적적(寂寂)하고 적적하면서도 성성하게, 아침에 들었던 화두가 점심때까지, 점심에 들었던 화두가 저녁때까지,
저녁에 누워서도 화두를 들면서 자는데 언제 잠든 줄 모르고 잠이 들었으되 아침에 눈을 딱 뜨고 보면 어제 들었던 화두가 고대로 있어. 심지어는 꿈에서도 그 화두가 그렇게 성성하게 들어지는 수도 있다 그말이여.

하루를 그렇게 하여, 이틀을 그렇게 하여, 사흘, 나흘, 닷새, 엿새를 그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어서  순수무잡(純粹無雜)하게 그렇게 되어가면 어떠한 찰나에 툭! 터질 때가 온다 그말이여.
꽉 맥혀서 알 수 없는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해서 타성일편이 반드시 될 때가 오는 거다 그말이여.

주공진철처(做工親切處)라는 것이 바로 그거여. 공부를 지어서 친절(親切)한 곳에 이르면, 확철대오하면,
홍일(紅日)이 상동(上東)하다. 어제 서쪽에 졌던 그 붉은 해가 그 이튿날 새벽이 되면 동쪽 산너머에서 떠오를 것이다. 반드시 확철대오 할 때가 올 것이다 그거거든.

오늘 이 자리에 모이신 비구, 비구니, 사미, 사미니, 행자 또 청신사, 청신녀, 여러 도반들, 오늘부터 내년 정월 보름까지 석 달 동안을 한결같은 마음으로 정말 여법(如法)하게 정진을 잘해 주시기를 부탁을 합니다.

비록 회룡사나 세등선원이나 또는 위봉사나 그 밖에 크고 작은 절에나 토굴에서 정진하는 도반들도,
‘언제나 한자리에서 우리가 다 같이 도반들이 모이고, 또 조실 스님을 모시고 공부한다’는 그러한 마음을 가지고 항상 경건하고 엄숙한 마음으로 그렇게 정진을 하시기를 바랍니다.

그리해야 정진도 제대로 되고 또 장애도 없는 것입니다.
선지식(善知識)이 안 계신다고 해서 그럭저럭 지내고, 잡담으로 세월을 보내고 그럭저럭 지내면 반드시 장애가 일어나고, 나도 공부를 못하고 또 다른 사람에게 공부를 못하게 해를 끼치게 되는 것이니까,

우리가 부모와 정든 고향을 다 버리고 또 세속의 모든 오욕락(五欲樂)과 인생과 청춘을 다 버리고, 우리가 머리를 깎고 중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청신사(清信士) 청신녀(清信女) 여러분도 모든 것을 다 뒤로 미루고 이렇게 정법을 믿고, 이렇게 정진을 할려고 하는 발심(發心)을 하셨으면 스님네 못지않는 지조와 결심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과거에도 청신사나 청신녀들도 얼마든지 도를 이룬 사람들도 역사적으로 많이 있습니다. 여러분이라고 해서 또 우리라고 해서 그렇게 되지 못하라는 법은 없는 것입니다.

만나기 어려운 사람 몸을 받았고, 만나기 어려운 불법(佛法)과 최상승법(最上乘法)을 만났습니다. 한 사람도 낙오자(落伍者)가 있을 수는 없습니다.
‘낙오자가 되어서 잘못되느냐, 끝까지 목적지까지 우리가 가느냐?’하는 것은 우리의 결심에 달려있는 것이지, 여건이 좋지 못하고 환경이 좋지 못하다고 해서 그만 둘 수는 없는 것입니다.

세상이 시끄럽고 복잡할수록에 정법을 믿는 사람은 더욱 채찍을 가해서 정진을 할 그 길 밖에는 없는 것입니다.
그리해야만 불법도 실낱끈 같이 위태로운 이 법등(法燈)도 이어가는 거고, 불법이 멸하지 아니해야 세상도 망하지 않는 것입니다.

산이 명산(名山)이라 하는 것은 산이 높고 물이 좋아서가 아니라 거기에 도인(道人)이 살아야만 명산이 되는 거와 마찬가지로,
우리 조그만한 손바닥만한 이 땅이지만 여기에 최상승법이 있고 불법이 살아있으므로 해서, 불법에 의해서 수행하는 사람이 있음으로 해서, 이 지구는 결코 멸망을 하지 아니하리라고 하는 신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 사람만이 아니고 여러 도반들이 한마음, 한뜻이 되어가지고 공부를 한다면,
여기에 불이라 하는 것은 헤쳐 놓으면 꺼져버리고, 숯불이라든지 장작개비라든지 이렇게 모아서 놓으면 불이 붙어서 이 장작에서 난 불은 저 장작에, 저 장작에 난 불은 이 장작에, 해서 거기에서 서로 가열이 되어가지고 불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선원(禪院)에 모여서 공부하는 까닭이 바로 거기에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선원에서 지내다 보면 누군가 한 사람은 반드시 정말 불이 붙어가지고 가행정진(加行精進)을 하는 도반이 있습니다.

그것을 이상한 눈초리로 보고 비웃을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이 그런 사람이 있으면 자기도 같이 동참(同參)해서 같이 정진을 하고, 또 다른 사람도 거기에 또 발심을 해서 같이 동참을 해서 한 철동안 정말 마음에서 우러나서 가행정진을 하도록,

그렇게 해서 한 철이 석 달 동안이 어떻게 지내간 줄 모르게 잘 성취가 되도록 그렇게 정진을 하시기를 간절히 바라면서 법상(法床)에서 내려가고자 합니다.(44분6초~54분57초)(끝)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사중구의원~’ ; [청허당집(清虛堂集)] (서산휴정 著,朴敬勛 역, 동국대학교 역경원) p127 ‘벽천선화자(碧泉禪和子)에게’ 게송 참고.
*간절(懇切 간절할•정성스런 간/정성스런•절박할 절) ; ①지성(至誠)스럽고 절실(切實)함. ②정성이나 마음 씀씀이가 더없이 정성스럽고 지극함. ③마음속에서 우러나와 바라는 정도가 매우 절실함.
*신심(信心) : ①‘내가 바로 부처다’ 따라서 부처는 밖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요, 일체처 일체시에 언제나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주인공, 이 소소영령한 바로 이놈에 즉해서 화두를 거각함으로써 거기에서 자성불(自性佛)을 철견을 해야 한다는 믿음.
②‘올바르게 열심히 참선을 하면 나도 깨달을 수 있다’는 믿음. 진리에 대한 확신.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거각(擧却 들 거, 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성성적적(惺惺寂寂) ; 정신이 고요하면서도 깨끗하고 또록또록 한 상태.
*타성일편(打成一片) : ‘쳐서 한 조각을 이룬다’. 참선할 때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려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일체처 일체시에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한 순수무잡(純粹無雜) 경계.
*순수무잡(純粹無雜 순수할 순/순수할 수/없을 무/섞일 잡) ; 대상 그 자체가 순수(純粹)해 전혀 이질적인 잡것의 섞임(雜)이 없음(無).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의/덩어리 단/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가 홀로(獨) 드러나다(露).
*여법(如法 같을·같게 할·따를·좇을 여/ 부처님의 가르침·불도佛道 법) ; 부처님의 가르침에 맞음.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벗.
*오욕락(五欲,五慾,五欲樂) ; ①중생의 참된 마음을 더럽히는—색,소리,향기,맛,감촉(色聲香味觸)에 대한—감관적 욕망. 또는 그것을 향락(享樂)하는 것. 총괄하여 세속적인 인간의 욕망.
②불도를 닦는 데 장애가 되는 다섯 가지 욕심. 재물(財物), 색사(色事), 음식(飮食), 명예(名譽), 수면(睡眠).
*청신사(清信士) ; 출가하지 않고 재가(在家)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남자 신도, 곧 우바새(優婆塞).
*청신녀(清信女) ; 출가하지 않고 재가(在家)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여자 신도, 곧 우바이(優婆夷).
*발심(發心) ; ①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②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원어)發起菩提心발기보리심, 發菩提心발보리심.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낙오자(落伍者 떨어질 낙/대오 오/놈 자) ; ①어떤 집단이나 경쟁 상대를 쫓아가지 못하여 뒤로 처진 사람. ②편성된 대열에서 뒤떨어져 처진 사람.
*법등(法燈) ; 부처님의 가르침. 미(迷)한 세계의 캄캄한 마음을 없애는 것을 등불에 비유한 것.
*도인(道人) ; 깨달은 사람.
*가행정진(加行精進) ; 별도의 노력을 기울여서 하는 정진. 어떤 일정한 기간에 좌선(坐禪)의 시간을 늘리고, 수면도 매우 단축하며 정진하는 것.
*동참(同參) ; ①어떠한 일에 함께 참여함. ②스님와 신도가 한 법회에 같이 참석하여 불도(佛道)를 닦는 일.
③같은 스승 밑에서 함께 공부하는-동문수학하는 '도반(道伴)'과 같은 말. 동학(同學)이라고도 한다.
*법상(法床) ; 법을 설하는 자리. 또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설법하는 스님이 올라앉는 상.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