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精進) 수행2014. 7. 9. 22:36

§(455) 불방일(不放逸) / (게송)수행수시용심진~ / ‘용심(用心) 하나 참되게 한다’한 것은 불방일(不放逸) / 모든 것은 변화하느니라. 불방일(不放逸)하여 정진하라.

불방일이야말로 도업(道業)을 성취해 나가는데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만공 스님께서는 ‘용맹정진(勇猛精進)·가행정진(加行精進)을 할라면은 잠을 한 시간씩 더 자라. 그래야 정신이 쇄락(灑落)하고 성성(惺惺)해서 정진을 참으로 여법하게 할 수가 있다.’
‘부처님께서 마지막 열반하실 직전에 무슨 법문을 하셨냐?’하면은 『비구들아, 너희들에게 이르리라. 모든 것은 변화하느니라. 불방일(不放逸)하여 정진하라.』 이 말씀을 최후에 제자들에게 남기시고 열반(涅槃)에 드셨습니다.


‘도(道)가 왜 친(親)하냐’하면은 도가 먼 데에 있는 것이 아니고, 바로 끊임없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그 '한 생각' 속에 도가 들었어. 도(道)가 가까운 데에 있어.
언제나 즉시에 있어. 지금에 있고,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 도(道)거든. ‘이뭣고~?’ 그 ‘용심(用心) 하나 참되게 한다’한 것은 불방일(不放逸)이거든.


**송담스님(No.455) - 91년 9월 첫째일요법회(91.09.01)에서. (용455)

 

(1) 약 17분.

 

(2) 약 7분.

 


(1)------------------

부처님께서 아함경(阿含經)에서 말씀하시기를 『비구들이여, 밤하늘에서 온갖 별들은 빛난다. 그러나 그것들은 달빛의 16분에 1에도 미치지 못한다. 그러기에 달빛은 밤하늘에서 가장 위대하다고 여겨진다.
그것과 마찬가지로 세상에는 여러 길이 있건만, 그것들은 모두 불방일(不放逸)로 근본을 삼는다. 그러기에 온갖 착한 법에 있어 불방일이 최대가 되고 최상이 되느니라.』

불방일(不放逸). 불방일의 반대말은 방일(放逸)·해태(懈怠)라고 말할 수가 있고, 불방일을 다른 말로 표현하며 정진(精進)이란 말로 바꿀 수도 있으나 정진과 불방일과는 조금 그 느낌이 다릅니다.

이 자리에는 신미년 하안거를 성취하고 제방에서 모다 도반들이, 사부대중들이 법당 가득히 운집(雲集)을 하셨습니다. 그 도반(道伴)들에게 내가 전하고 싶은 말은 바로 이 불방일(不放逸)입니다.

불방일(不放逸)의 참뜻, 바른 정진의 참뜻, 이 불방일의 참뜻만 잘 알고 실천해 나간다면 결제·해제가 상관이 없습니다.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항상 성성(惺惺)하게 한 생각을 돌이켜 화두(話頭)를 참구(參究)해 나갈 줄만 안다면 앉었거나, 누웠거나, 섰거나, 일을 하거나, 밥을 먹거나, 화장실을 가거나, 운력을 하거나 전혀 상관이 없어.

물론 선방 규칙에 있어서 입방선 시간을 정해 놓고, 입선(入禪) 시간에는 죽비(竹篦)를 치고 좌선을 하고, 물론 그것 여법(如法)하게 지켜 나가야 하지만,

참으로 정진을 바르게 할 줄 알고, 참으로 발심(發心)한 분상(分上)에는 앉어서는 앉어서 하고, 섰을 때는 서서 하고, 걸어갈 때는 걸어서 하고, 결제 때는 결제대로 하고, 해제 때는 해제대로 하고,
일체처가 도처(到處)가 두두물물(頭頭物物)이 다 정진해 나가는 바로 입선 시간이다 그거거든.

계행(戒行)을 지키고, 보시를 하고, 무슨 인욕을 하고, 사성제(四聖諦)나 육바라밀(六波羅蜜)이나 그밖에 부처님 팔만대장경 속에는 우리가 수행을 해 나가는 참 가지가지 조도법(助道法)이 많이 있지만,
그것을 다 하늘에 반짝이는 그 무수한 별에다가 비유한다면 이 불방일은 그 하늘에 떠 있는 밝은 달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불방일이야말로 도업(道業)을 성취해 나가는데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이 말씀이거든.

불방일은 꼭 잠 안 자고, 아주 이를 갈아붙이고 장좌불와(長坐不臥)를 하고, 단식(斷食)을 하고, 묵언(默言)을 하고 이렇게 하는 것만을 말한 것이 아니여.

그것은 그렇게 무리하게 억지로 정진을 해 가지고서는 특별히 대근기(大根機)로써 석 달 열흘을 안 자도 그만, 한 열흘씩 굶어도 그만, 그러다가 자고 싶을 때는 며칠씩 자고, 먹고 싶을 때는 말밥을 먹고,
그런 아주 몸과 모든 것을 대근기로 타고난 사람은 혹 그럴 수도 있습니다마는 그런 사람은 백만 명 가운데 하나나 있을 둥 말 둥 하고,

중근기·하근기가 그러한 자기의 근기(根機)도 모르고 그렇게 무리하게 하면 병나기 백발백중(百發百中)이여.

조실스님께서는 그렇게 참 무서운 정진을 하셔서 병환은 났지만은 다행히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해서 다행이나,
우리 모두가 다 그런 본을 봐 가지고 피가 꿀꿀 넘어온다면, 도(道)도 이루지 못하고 피만 콧구녁으로 목구멍으로 선지 덩어리가 넘어온다면 그렇게 피 꿀꿀 넘어와 가지고서는 선방에서 방부도 받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최소한도 다섯 시간 정도는 재워주고, 공양할 때는 먹을 만큼 먹고, 또 옷도 추위와 더위를 방어할 만큼... 사치해서는 안 되지만,
그래서 의부족(衣不足), 겨울에 추운데 옷을 너무 얇게 입어가지고 콜록거리고 기침하고 감기들고, 그래 가지고 그것이 쇠면은 폐렴이 걸리고 이것도 지혜롭지 못한 것이고,

‘내가 어찌 시주(施主) 것을 함부로 입을까’ 그래 가지고 너무 얇게 입어가지고 병나는 거, 이것도 퇴전(退轉)할 원인이 되는 거고,
‘시주 것을 내가 어찌 함부로 많이 먹을까’해 가지고 너무 조금씩 먹어가지고 피골이 상접해서, 그것도 어리석은 거고,
‘내가 도업을 성취 못했는데 어찌 편안하게 잠을 잘 것인가’ 그래 가지고 잠을 너무 안 자 가지고 낮에 입선시간에도 꾸벅꾸벅, 밤에 잠을 안 자 놓으니까 그 이튿날 꾸벅꾸벅 하거든.

차라리 그러느니 최소한도(最小限度)로 너댓 시간은 푹 재워주고, 보통 여섯 시간으로 하고 있지만,
‘여섯 시간은 너무 길다.’ 그러면은 한 시간 정도는 덜 자고 다섯 시간만 자되, 다섯 시간은 푹 자고 일어나서, 그 대신 일어난 뒤로는 꾸벅꾸벅하지 않거든. 다섯 시간을 자 놨으니까 그만하면 족(足)하고.

그렇게 해서 식부족(食不足)·침부족(寢不足)·의부족(衣不足) 이 삼부족(三不足)은 퇴타(退墮) 인연이라고 그렇게 말씀하신 도인도 계십니다.

그래서 만공 스님께서는 ‘용맹정진(勇猛精進)·가행정진(加行精進)을 할라면은 잠을 한 시간씩 더 자라. 그래야 정신이 쇄락(灑落)하고 성성(惺惺)해서 정진을 참으로 여법하게 할 수가 있다.’ 이렇게도 말씀을 하셨다고 합니다.

이 산철에 산철 방부를 들이신 도반이나, 또 산철 방부를 안 들인 분이나, 또 신남신녀 여러분께서도,
어쨌든지 너무 11시·12시까지 너무 오래 그러지 말고, 늦어도 10시 쯤에는 잠들고 그 대신 새벽에 서너 시에는 꼭 일찍 일어나서 떠억 정진을 하되 단전호흡을 하면서 그렇게 정진을 하시고,

그리고 낮에 방선(放禪) 시간이라도 잡담을 하지 말아라.
지난 여름 동안에 보살선방에 167명이라고 하는 많은 보살님이 방부를 들이고 모다 정진을 하셨는데, 참 애써서 모다 정진들을 하셨다고 보고를 받았는데,
그런데 잘못한 것이 무엇이냐? 방선 시간에 너무 잡담을 많이 했다.

물론 선방에서 하시지 않고 저 지대방에 가서 쉬면서 잡담을 하셨다는 건데, 지대방이라고 해서 잡담을 함부로 하면 안 된다 이거거든.
화두를 타파(打破)해서 확철대오한 것이 꼭 큰방에 앉았을 때만 하라는 게 아니거든.

지대방에 있을 때 툭 터질 수도 있고, 화장실에 가서 툭 터질 수도 있고, 해제해 가지고 행각(行脚)을 할 때 툭 터질 수도 있고, 닭 우는 소리 듣고 터질 수도 있고, 돌이 빗자루에 맞는 소리를 듣고 깨달을 수도 있고, 시장터에 가서 ‘이 자식, 저 자식’하고 싸우는 소리를 듣고 깨달은 도인(道人)도 있는데,

결제 중에 더군다나 방선 시간에 지대방에 갔다고 해서, 거기 가서도 정 허리가 아프면 다리를 뻗을 수도 있고, 허리를 좀 펼 수도 있으나,
거기서도 화두를 들고 떠억 그럴수록에-입선시간에는 졸음이 잘 오지만은 방선을 하고 지대방에 가면 잠은 달아나고 오히려 성성한 수가 많은데, 아! 그 성성한 때를 타서 화두를 떠억 성성하게 잡두리를 할 일이지.

입선 시간에는 조느라고 공부를 못하고, 방선 시간에는 잡담을 하느라고 정진을 못하면 석 달을 언제 공부를 할 것이냐 이거여.
그래서 여러 도반들은 이 해제 때, 또 이 방선 때, 그 졸음 안 오는 그때에 화두를 힘써 잡두리를 해라.

이것을 내가 오늘 해제하고 나서 첫째번 일요법회, 9월 첫째 일요법회를 맞이해서 해제하고 온 여러 도반들에게 이것을 당부를 하고 싶은 것입니다.

그리고 ‘부처님께서 마지막 열반하실 직전에 무슨 법문을 하셨냐?’하면은
『비구들아, 너희들에게 이르리라. 모든 것은 변화하느니라. 불방일(不放逸)하여 정진하라.』 이 말씀을 최후에 제자들에게 남기시고 열반(涅槃)에 드셨습니다.

『비구들아, 나는 너희들에게 이르리라. 모든 것은 변화하느니라.』 이 ‘변화하느니라’는 말은, 말은 간단하지만은 범위가 참 넓습니다.
‘시시각각으로 우리는 죽음을 향해서 가고 있다. 시시각각으로 죽음이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고 하는 그런 말씀이고,

또 여러 신남신녀들에게는 ‘지금 아무리 높은 벼슬을 하고 많은 재산을 가지고 있고 부귀영화를 누리고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언제 상태가 바뀌어질른지도 모른다’는 뜻이 그 속에 다 들어있고,
또 지금 여러 가지 상황이 좋지 못해서 사업이 잘 안되거나,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가정적으로 여러 가지 상황에 있는 사람에게도 다 변화하고 있어.

그러니 너무 그러한 것에 집착하지 말고, 그런 것에 너무 얽매이지 말고 어쨌든지 불방일(不放逸),
화두를 들고서-그 일념(一念)을 돌이킴으로 해서 화두를 들고, 화두의 의심이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도록 잡두리를 해 나감으로써 생사윤회의 수레바퀴에서 해탈을 하라고 하는 그러한 부처님의 마지막 법문인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80세를 일기로 열반하실 때에 마지막으로 하신 법문이라고 생각한다면 우리는 그 마지막 법문을 세세생생에 망각해서는 아니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이 ‘불방일(不放逸)’이라고 하는 이 석 자 글 말씀을 망각을 하지 않고 항상 우리가 명심을 한다면 정진은 저절로 될 것이고, 일체 장애는 거기에 침범을 못할 것입니다.

이 방일(放逸) 때문에 우리는 해태하게 되고, 일체 장애와 일체 마군(魔軍)이가 그 틈을 타서 우리에게 들어와 가지고 우리의 도업을 방해하는 것입니다.(37분22초~53분39초)

 

 



(2)------------------

수행수시용심진(修行須是用心眞)이라  심약진시도이친(心若眞時道易親)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미오이도단재아(迷悟二途端在我)하니  시비이자막수인(是非二字莫隨人)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수행(修行)은 수시용심진(須是用心眞)이라. 도 닦아 가는 데에는 모름지기 이 용심(用心)을 참되게 하라.
심약진시도이친(心若眞時道易親)이니다. 마음이 만약 참되다면 도(道)는 참 친하기 쉬우니라.

‘도 닦기가 어렵다. 도를 이루기가 어렵다.’ 참 모두 도 닦기를 이 세상에 가장 어려운 것으로 생각하고 그렇게 말들 하지만 가장 쉬운 것이여.

무엇 때문에 그렇게 쉬운 것을 어렵다고 하냐? 용심(用心)을 참되게 못하기 때문에 어려운 것이지,
‘용심 하나 참되게 해 버리면 천하에 쉬운 것이 도다’ 이거거든.

그러면 ‘도(道)가 왜 친(親)하냐’하면은 도가 먼 데에 있는 것이 아니고, 바로 끊임없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그 '한 생각' 속에 도가 들었어.

도(道)가 가까운 데에 있어.
눈으로 볼 때는 보는 데에 있고, 들을 때는 듣는 데에 있고, 말할 때는 말하는 데 있고, 밥 먹을 때는 밥 먹는데 도가 있는 것이지, 그놈 떠나서 멀리 저 먼 데에 있는 것이 아니거든.

언제나 즉시에 있어. 지금에 있고,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 도(道)거든. ‘이뭣고~?’

그 ‘용심(用心) 하나 참되게 한다’한 것은 불방일(不放逸)이거든.

미오이도(迷悟二途)가 단재아(端在我)여. 그 사람이 깨닫지 못하고 미경(迷境)으로 생사윤회를 하느냐, 확철대오해서 바로 '참나'를 깨닫느냐 한 것은 그 단서(端緖)가 바로 내게 있어.
내가 어떻게 한 생각 한 생각을 다스려 나가느냐? 그 원인이 바로 당사자(當事者)가 '나'다 그거거든.

시비이자막수인(是非二字莫隨人)이여. 옳다·그르다, 내가 옳고 니가 그르다.
그 옳다·그르다 그 시비(是非)의 두 자(字)를 다른 사람을 따르지 마라.

다른 사람한테 책임을 몰아붙이지 말고, 다른 사람 시비하는데 말려 들어가지 말라 그말이여.
구태여 생각한다면 모든 시비도 나한테 있는 것이고, 시비(是非)의 원인이 다 내게 있는 거여.

‘저 사람이 잘못하기 때문에 이렇게 되었다.’하고, ‘저 사람이 먼저 시비를 일으켜서 그렇지, 내가 그런 것이 아니다.’ 전부가 다 남에게 시비를 몰아붙이고,

‘세상이 시끄러워서 내가 불행하다. 모든 사람이 잘못하기 때문에 내가 이렇게 그런다.’
모든 잘못된 것은 다른 사람에게 돌려보내고, 모든 잘한 것은 지가 잘해서 잘 되었다고 생각하거든. 거기에서 크고 작은 모든 시비와 전쟁이 거기서 일어나는 거여.

모든 원인이 전부 내게 있고, 모든 시비의 근원이 나로부터서 일어났다고 확실히 믿고 그렇게 살아갈 줄 알아야 하는 것이다 그 말이거든.

오늘 신미년 9월 1일 첫째 일요법회를 맞이해서 여러 도반들이 이렇게 다 해제를 하고 운집을 했으므로...
이 추계산철 결제가 또 머지않아서 시작이 됩니다.
방부를 들이신 스님네나 보살님은 말할 것도 없고, 방부를 안 들인 분들도 이 춥지도 더웁지도 않는 좋은 서늘한 계절을 맞이해서 이 불방일(不放逸), ‘방일하지 않는다,’

‘방일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 불방일 한마디를 명심을 하고, 알뜰히 정진해 주실 것을 당부하고 법상(法床)에서 내려가고자 합니다.(37분22초~60분23초)(끝)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아함경(阿含經) ; 아함(阿含)은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āgama의 음사로, 전해 온 가르침이라는 뜻.
초기 불교시대에 성립된 수천의 경전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팔리(pāli) 어로 된 니카야(nikāya)가 있고, 여기에 해당하는 산스크리트(sanskrit) 본(本)이 아가마(āgama)임.
이 아가마를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 아함경으로 여기에는 ①장아함경(長阿含經) ②중아함경(中阿含經) ③잡아함경(雜阿含經) ④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 네 가지가 있다.
*『비구들이여, 밤하늘에서 온갖 별들은 빛난다...』 ; 「잡아함경」 (882. 불방일근본경 不放逸根本經), 「상윳다니까야」 (S45:146) 달(月)경 참고.
*불방일(不放逸) ; ①방일(放逸-거리낌없이 제멋대로 마음 놓고 지냄)·해태(懈怠-게으름)하지 않은 것. ②온갖 선법(善法)을 닦는 것. ③능히 마음을 수호하는 것.
[참고] 《아비달마집이문족론(阿毘達磨集異門足論)》 제1권.
《아비달마집이문족론(阿毘達磨集異門足論)》에서는 "온갖 선법(善法)에 있어서 방일(放逸)하지 않음, 즉 불방일을 으뜸으로 한다(於一切善法 不放逸為尊)"고 말하면서, 불방일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爲斷不善法。爲圓滿善法。常習常修堅作恒作。數修不止名不放逸。


불선법(不善法)은 끊고 선법(善法)은 원만하게 하기 위하여, 항상 익히고 항상 수행하며 견고하게 짓고 한결같이 지으며 자주자주 수행하면서 그만두지 않는 것을 불방일(不放逸)이라 한다.

 

[참고] 「증일아함경」 18권 ‘26. 사의단품(四意斷品)’ 제1~4경 참고 요약.
〇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①비유하면 마치 산(山)·강(江)·석벽(石壁)·온갖 풀과 다섯 가지 곡식은 모두 땅을 의지해서 자라나고 큰다. 그래서 땅은 가장 높고 최상(最上)이다. 이와 같아서 모든 착한 도인 37도품(道品)의 법이 다 방일(放逸)하지 않은 땅에 머물러 모든 착한 법을 거기에서 자라나게 한다. 그래서 방일하지 않은 비구는 4의단(意斷)을 닦는다.
②여러 조그만 나라의 왕과 여러 큰 나라의 왕들이 다 전륜성왕(轉輪聖王)에게 와서 붙어 가까이한다. 전륜성왕은 거기에서 가장 높고 최상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아서 37도품법(道品法) 가운데에서 방일(放逸)하지 않는 법이 제일이다. 그러므로 방일하지 않는 비구는 4의단(正斷)을 닦는다.
③모든 별빛 가운데 달빛이 제일인 것처럼, 이것도 또한 그와 같아서 온갖 착한 공덕의 37도품 가운데 방일하지 않은 행(行)이 가장 제일이요 가장 높고 가장 귀(貴)하다. 그러므로 방일하지 않은 비구는 4의단을 닦느니라.
④첨복화(瞻蔔華)·수마나화(須摩那華) 등 천상(天上)과 인간(人間) 세상의 모든 꽃들 중에서 바사화(婆師華)가 가장 제일인 것처럼, 모든 착한공덕(功德)의 37도품 가운데서는 방일하지 않은 행(行)이 제일이다. 그러므로 방일하지 않은 비구는 4의단을 닦는다.

그러면 어떤 것이 네 가지인가.
아직 생기지 않은 악은 생기지 않도록 하고(律儀斷), 이미 생긴 악은 없어지게 하고(斷斷), 아직 생기지 않은 선은 생기게 하고(隨護斷), 이미 생긴 선은 더욱 많아지고 오래 가도록 하는 것(修斷)이며, 원만하게 갖추어 닦아 수행하고 마음과 뜻에 잊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비구는 4의단을 닦는다.

그런 까닭에 모든 비구들아, 너희들은 마땅히 4의단을 닦아야 하느니라. 모든 비구들아, 꼭 이와 같이 공부해야 하느니라."
그 때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참고]‘붓다의 죽음’(안양규 글) p33에서, 「불교평론」 (2005년 겨울).
〇팔리어본 「열반경」에 의하면 붓다는 제자들로부터 ‘불법에 의심이 없다’라는 말을 듣고 다음과 같은 최후의 가르침을 남긴다.
“비구들이여! 이제 나는 너희들에게 말한다. 제행(諸行)은 소멸되기 마련이다. 방일하지 않고(appamādena) 정진하라.”(디가 니까야, 열반경 D16)
무상한 세계에서 벗어나도록 정진하라는 가르침은 붓다의 유언으로 제자들에게 남겨졌을 법한 내용이다.

불방일(不放逸)의 원어는 'appamāda'인데 부정접두사 'a'와 'pamāda'로 이루어진 말이다.
'pamāda'는 어떤 자극에 의해 정신이 마비된 것을 가리키는 말로 특히 만취한 상태를 가리킨다. 따라서 'appamāda'는 마음이 깨어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단순히 무엇인가를 게으름 피우지 않고 열심히 하는 것이(diligent) 아니라 마음이 또렷이 각성(覺醒)한 상태(vigilance)이다. (Nyānatiloka, Buddhist Dictionary : Manual of Buddhist Terms and Doctrines. Kandy. 1980)
불방일의 가르침은 결국 붓다(깨어있는 자, 覺者)라는 말과 상통하는 것이다.
*선법(善法, 산스크리트어: kuśalā dharmāh, 팔리어: kusala dhamma) ; 선법(착한 법)은 '선한 교법'의 줄임말로, 5계(五戒) · 10선(十善) · 3혜(三慧) · 4혜(四慧) · 4성제(四聖諦) · 3학(三學) · 5온설(五蘊說) · 12연기설(十二緣起說) · 8정도(八正道) · 37도품(三十七道品) · 6바라밀(六波羅蜜) 등 이치에 맞고, 자신과 세상을 이익되게 하는 법(法), 즉 도리와 방편, 즉 가르침 또는 선한 행위와 수행법을 말한다.
*방일(放逸 놓을 방,제멋대로 일) ; 거리낌없이 제멋대로 마음 놓고 지냄.
*해태(懈怠 게으를 해,게으를 태) : 게으름(행동이 느리고 움직이거나 일하기를 싫어하는 태도나 버릇).
*정진(精進) : [범] Virya  음을 따라 비리야(毘梨耶 • 毘離耶) • 미리야(尾利也)라고도 쓴다。보살이 수행하는 육 바라밀(六波羅蜜)의 하나.
순일하고 물들지 않는(純一無染) 마음으로 부지런히 닦아 줄기차게 나아가는 것이다。그러나 닦는 생각(能)과 닦는 것(所)이 있어서는 안 된다。함이 없이 하는 것이 정진이다.
*운집(雲集 구름 운,모일 집) ; 구름(雲)처럼 모인다(集)는 뜻으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반(道伴) ; 함께 불도(佛道)를 수행하는 벗. 불법(佛法)을 닦으면서 사귄 벗.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화두는 「말」이란 뜻인데, 두(頭)는 거저 들어가는 어조사다。「곡식을 보고 땅을 알고, 말을 듣고 사람을 안다」는 옛말이 있다. 도(道)를 판단하고 이치를 가르치는 법말 • 참말을 화두라고 한다.
또는 공안이라고 하는 것은 「관청의 공문서」란 뜻인데, 천하의 정사를 바르게 하려면, 반드시 법이 있어야 하고 법을 밝히려면 공문이 필요하다.
부처님이나 조사들의 기연(機緣), 다시 말하면 진리를 똑바로 가르친 말이나 몸짓이나 또는 어떠한 방법을 막론하고 그것은 모두 이치세계의 바른 법령(法令)인 것이다.그러므로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참구(參究 헤아릴 참,궁구할 구) ①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것.
②참선하여 화두(공안)을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운력(運力) ; '함께 힘을 기울인다'는 의미. '많은 사람이 구름같이 모여서 일을 한다'는 의미로 운력(雲力)이라고도 하며, '여러 사람들이 힘을 합하여 하는 일'이란 우리말 '울력'과 같다.
의미와 관계없이 운력(運力)은 사찰에서 대중들이 모여 육체적인 노동을 함께 한다는 뜻.
*입선(入禪) ; 참선 수행(좌선)에 들어가는 것, 좌선(坐禪)을 시작하는 것. 참선(좌선)수행.
*죽비(竹篦 대나무 죽,빗치개•통발 비) ; 예불이나 참선 정진할 때 이 죽비를 손바닥에 쳐서 소리를 내어 시작과 끝을 알리는데 쓰는 불교 용구.
*발심(發心) ; ①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② 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원어)發起菩提心발기보리심, 發菩提心발보리심.
*발심(發心)한 분상(分上)에는 ; 발심한 수행자의 입장에 따르자면.
*도처(到處) ; 이르는 곳.
*두두물물(頭頭物物) ; 온갖 사물과 현상.
*계행(戒行) ; ①계(戒)를 지켜 수행하는 것. ②계율과 도덕.
*인욕(忍辱) : [범] Ksanti  욕되는 것을 견디어 참는 것이다。여섯 가지 바라밀(六波羅蜜) 가운데 하나。무슨 곤란이나 역경을 당하더라도, 남을 원망하거나 성내거나 그 고통과 곤란을 피하려고 하지 않고 즐겁게 받아야 한다.
*사성제(四聖諦) ; 제(諦)는 ‘sacca’의 번역으로 진리를 뜻함. 고(苦-괴로움)를 소멸시켜 열반에 이르는 네 가지 진리. 사제(四諦)라고도 함.
고제(苦諦,苦聖諦). ‘고(苦-괴로움)’라는 성스러운 진리. “태어남이 고다. 노쇠가 고다. 죽음이 고다. 슬픔•비탄•괴로움•근심•절망이 고다. 즐거운 것과 갈라짐이 고요, 싫은 것과 같이 함이 또한 고다. 요컨대 집착과 연관된, 존재의 다섯 쌓임(五取蘊)이 고다”(상응부)
집제(集諦,集聖諦). ‘고의 원인’이라는 성스러운 진리.  몹시 탐내어 집착하는 갈애(渴愛)가 고(苦)가 일어나는 원인이라는 진리.
멸제(滅諦,㓕聖諦). ‘고의 멸’이라는 성스러운 진리. 갈애가 남김없이 소멸됨으로써 고(苦-괴로움)가 소멸되어 고의 끝남, 열반에 이른다는 진리.
도제(道諦,道聖諦). ‘고의 멸에 이르는 길’이라는 성스러운 진리. 팔정도(八正道)-정견(正見,바른 이해)•정사유(正思惟,바른 생각)•정어(正語,바른 말)•정업(正業,바른 행위)•정명(正命,바른 생계)•정정진(正精進,바른 노력)•정념(正念,바른 마음챙김)•정정(正定,바른 집중)-는 갈애를 소멸시켜, 고의 멸에 이르는 길이다.
*육바라밀(六波羅蜜) ; 보살이 열반(涅槃)에 이르기 위해서 해야 할 여섯 가지의 수행.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智慧)를 이른다.
*조도법(助道法) ; 37조도법(三十七助道法)을 말한다. '깨달음(도, 보리)에 이르는 37가지의 수행법(修行法)'을 말한다. 사실상 초기불교의 수행법을 통칭하는 낱말이다.
4념처(四念處, 四念住) · 4정단(四正斷, 四正勤) · 4신족(四神足, 四如意足) · 5근(五根) · 5력(五力) · 7각지(七覺支, 七覺分) · 8정도(八正道)의 37가지 도품(道品) 또는 선법(善法) 또는 수행법(修行法)을 말한다.
*도업(道業) ; 도(道)는 깨달음. 업(業)은 영위(營爲). 불도의 수행. 진리의 실천.
*장좌불와(長坐不臥) ; 밤이 되어도 눕지 않고 늘 앉아서 수행 정진하는 것.
*말밥 ; 한 말 정도 분량의 쌀로 지은 밥.
*근기(根機 뿌리 근,베틀 기) ;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들일 수 있는 중생의 소질이나 근성.
*백발백중(百發百中) ; 무슨 일이든지 틀리지 않고 꼭 들어맞음.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쇠다 ; (무엇이)제 한도를 벗어나서 정도가 점점 심해지다.
*시주(施主 베풀 시,주인 주) : ①스님에게 혹은 절에 돈이나 음식 따위를 보시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 ②남에게 가르침이나 재물을 아낌없이 베푸는 사람. 단월(檀越)이라고도 한다.
*퇴전(退轉) ; 불교를 믿는 마음을 다른 데로 옮겨 처음보다 더 밑으로 전락(轉落)함.
*퇴타(退墮 물러날 퇴,떨어질·게으를 타) ; 어떤 경지로부터 물러나 되돌아 오는 것. 퇴전(退轉)이라고도 한다.
*용맹정진(勇猛精進) ; 견고한 의지로 한순간도 불방일(不放逸)하는, 열심으로 노력하는 정진.
*가행정진(加行精進) ; 별도의 노력을 기울여서 하는 정진. 어떤 일정한 기간에 좌선(坐禪)의 시간을 늘리고, 수면도 매우 단축하며 정진하는 것.
*쇄락(灑落) ; 기분이나 몸이 상쾌하고 깨끗함.
*산철(散철) ; 본철(本철-하안거,동안거)가 아닌 시기.
*방선(放禪) ; 좌선을 하거나 불경을 읽는 시간이 다 되어 공부하던 것을 쉬는 일.
*선방(禪房) ; ①참선(參禪)하는 방. 선실(禪室)과 같은 말. ②‘선방에 간다’라는 말은 ‘참선하러 절에 간다’ 또는 ‘참선에 들어간다’라는 표현이다.
*지대방 ; 절의 큰방 머리에 있는 작은 방. 이부자리, 옷 등의 물건을 넣어 두는 곳이며, 스님들이 잠깐 휴식을 하기도 하는 곳이다.
*행각(行脚) : ①수행자가 일정한 주소를 갖지 않고 스승이나 벗을 구하여, 자기의 수행이나 교화를 위해 곳곳을 편력하는 것.
②스승의 슬하(膝下)를 떠나서 선(禪) 수행을 위해 훌륭한 선승(禪僧)이나 좋은 벗을 구하여, 마치 떠도는 구름과 흐르는 물과 같이 발길 닿는 대로 여러 곳을 편력하는 것。 이것을 행하는 자를 행각승(行脚僧) 또는 운수(雲水)라고 함。
*도인(道人) ; 깨달은 사람.
*잡두리 ; ‘잡도리’의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열반(涅槃) ; 산스크리트어 니르바나(nirvāṇa) 팔리어 nibbāna의 음사. 멸(滅)·멸도(滅度)·적멸(寂滅)·적정(寂靜)·적(寂)·안온(安穩)이라 번역. 불어서 끈 상태라는 뜻.
① 불어서 불을 끄듯, 탐욕〔貪〕과 노여움〔瞋〕과 어리석음〔癡〕이 소멸된 심리 상태. 모든 번뇌의 불꽃이 꺼진 심리 상태. 사제(四諦)에서 집(集), 곧 괴로움의 원인인 갈애(渴愛)가 소멸된 상태. 모든 번뇌를 남김없이 소멸하여 평온하게 된 상태. 모든 미혹의 속박에서 벗어난 깨달음의 경지. 번뇌를 소멸하여 깨달음의 지혜를 완성한 경지.
② 석가모니의 죽음.  ③스님의 죽음을 수행을 통해 해탈(解脫)에 이르게 됨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타성일편(打成一片) : ‘쳐서 한 조각을 이룬다’. 참선할 때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려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일체처 일체시에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한 순수무잡(純粹無雜) 경계.
*마군(魔軍) ; 악마의 군세(軍勢). 마(魔)란 생사를 즐기는 귀신의 이름이요, 팔만사천 마군이란 중생의 팔만 사천 번뇌다. 마가 본래 씨가 없지만,수행하는 이가 바른 생각을 잃은 데서 그 근원이 파생되는 것이다.

 

 

 


-------------------(2)


*(게송) 수행수시용심진~ ; 중봉명본 스님의 「天目中峰和尚廣錄」 卷第二十九 ‘寄同參十首’ 게송 참고.
*도(道) ; ①깨달음에 이르는 수행, 또는 그 방법. ②깨달음. ③가르침. ④궁극적인 진리. ⑤이치. 근원.
*단서(端緖) ; 어떤 일이나 사건 따위를 풀어 나갈 수 있는 실마리.
*당사자(當事者) ; 어떤 일에 직접 관계가 있거나 관계한 사람.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