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심(삼요)2018. 11. 1. 21:28

 

 

§(183) (게송)무변찰해허명경~ / 올바른 믿음 / 분심, 사리불과 아나율의 일화 / 조는 사람 눈구녘을 쑤셔 버린다 / 자기 속으로부터의 분심.

 

**송담스님(No.183)—82년 9월 첫째일요법회. (용183)

 

(1) 약 21분.

(2) 약 21분.

 

(1)------------------

 

무변찰해허명경(無邊刹海虛明鏡)이요 적겁매진광미휴(積劫埋塵光未虧)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종래천성부동진(從來千聖不同塵)헌디 하사횡신성색리(何事橫身聲色裏)인고

나무~아미타불~

 

무변찰해허명경(無邊刹海虛明鏡)이요. 가없는 시방세계(十方世界)가 텅 비고 밝은 거울인데, 그 밝고 빈 거울에 무량겁을 두고 티끌이 쌓이고 쌓여서 그 거울을 티끌로 뒤덮었건만, 그 거울 자체의 광명은 조금도 이지러짐이 없더라.

 

종래천성부동진(從來千聖不同塵)헌디 하사횡신성색리(何事橫身聲色裏)인고.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모든 성현들은 그 티끌과 한 가지 하지 안 했어. 시방찰해가 온통 티끌인데, 그 티끌에 조금도 묻지를 않았다. 그런데 무슨 일로 우리는 소리와 빛, 소리와 빛의 티끌 속에 몸을 비겼는고. 티끌 속에 왜 파묻혀서 허우적거리고 있느냐.

 

 

오늘은 임술년 9월 첫째 일요법회 날입니다. 무더웠던 여름도 다 가고 칠석도 지내고, 백중도 지내고 제법 서늘하게 되었습니다.

방금 전강 조실 스님 법문 가운데에 '슬프고 기쁜, 이 슬픔과 기쁨으로 범벅이 된 인생살이는 한 벼개에 꿈에 지내지 못하고[悲歡一枕夢], 한바탕 꿈에 지내지 못하고, 일생동안 만났다 헤어지고, 헤어졌다 만나는 인생살이도 잠깐 불과 10년 동안에 정, 애정, 인정 얽힌 것에 불과한 것이여[聚散十年情].

말없이 머리를, 고개를 돌이켜 보니[無言却回首] 산마루 위에는 흰구름이 일어나는구나[山頂白雲生]' 이러한 게송을 맨 처음에 읊으셨습니다.

 

부처님께서 출현을 하셔서 왕궁의 부귀를 버리시고 출가하셔서 12년이라고 하는 세월을 갖은 고행을 하시고, 그 가운데 여러 스승을 차례차례로 사사(師事)하고 차례차례로 버리시기를 12년간이라고 하는 긴 세월을 두고 고행을 하신 끝에 마침내 보리수(菩提樹)하에서 새벽 동천(東天)에 반짝거리는 샛별을 보시고 성불(成佛)을 하셨습니다.

그 부처님이 아니셨던들 우리는 영원토록 생사(生死)의 고해(苦海)에서 몸부림치며 육도법계(六途法界)를 윤회를 하는 것, 그것이 우리 인생의 전부라고 생각하고, 무엇이 바른 길인가? 무엇이 우리의 참다운 행복인가? 그것을 알 수가 없었을 것입니다.

 

다행히 우리는 그러한 성현 가운데 성현을 스승으로 받들 수가 있기에, 우리는 이 오탁악세(五濁惡世)에 태어났으면서도 우리는 외롭지 아니하고 우리는 슬프지 아니하고, 우리는 우리의 갈 길을 찾아서 희망과 보람을 가지고 살아갈 수가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훌륭한 부처님과 부처님의 법(法)을 믿으면서도 아직도 지혜의 눈을 뜨지 못한 까닭은 우리의 신심(信心)이 바르지 못하고 철저하지 못하고, 실천에 있어서 대분심(大憤心)과 용기가 부족한 탓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절에 10년, 20년을 다니고 평생토록 부처님밖에는 모르고 그러면서도 바로 깨닫지 못한 것은 그 믿음이 바르지 못하고 철저하지 못한 까닭인 것입니다.

 

불법(佛法)을 어떻게 믿어야 바르게 믿는 것이냐?

 

어떤 사람은 '용화사 가서 정법(正法)을 믿어라. 최상승법(最上乘法)을 믿으려면 주안 용화사를 가라' 이런 말을 듣고 분개를 하면서 '어찌 용화사만 정법이고, 용화사만 최상승법이냐, 부처님 법은 온 시방법계에 두루하고, 꽉 차 있는 것이 불법인데 어찌 용화사만 불법일 것이냐. 어느 절에서도 어느 절에 가도 부처님은 다 모셔 있고, 어느 절에 가도 스님은 다 계시고, 설교하는 절은 어디라도 다 정법이 있지 어찌 용화사만 정법이겠느냐' 그렇게 분개를 하는 분이 있다 이것입니다.

 

그 말이 절대로 일리가 있는 말일 것입니다. 어찌 하필 용화사 부처님만 참 부처님이고 용화사 스님들만 진짜스님이고, 용화사 설법만 정법이겠습니까.

비로자나 법신(毘盧遮那 法身)은 우주법계에 꽉 차서 미치지 아니한 곳이 없고, 오히려 눈을 가리우고 부처님을 아니 볼라고 하니까 열 손가락 사이마다 부처님이 나타났다고 하는 법문이 있습니다마는.

바로 말하자면 부처님 안 계신 곳이 어디가 있으며, 불법 없는 곳이 어디가 있으며, 무엇이 정법이 아닌 것이 있겠습니까.

 

그러나 지혜의 눈을 뜬 사람은 눈을 감아도 부처님이요 눈을 떠도 부처님이요, 귀를 막아도 부처님이요 귀를 열어도 부처님이요, 하늘 땅 삼라만상(森羅萬象) 두두물물(頭頭物物)이 법신체(法身體) 아닌 것이 없지마는.

지혜의 눈을 뜨지 못한 사람은, 예를 들자면 철이 들어서 아무데를 가더라도 산에를 가도 좋고, 바다를 가도 좋고, 숲속을 가도 좋고, 사막을 가도 좋고, 아무데를 가도 걱정이 없을 만큼 몸이 단련이 되고 그만큼 튼튼한 사람은 상관이 없지만, 아직 자라지를 못해서 그런 사람은 함부로 산에 가도 위험한 것이고, 함부로 물가에 가도 위험한 것이고, 함부로 험악한 데를 갈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용화사로 가야 참선 하는 법을 기초부터서 잘 배울 수가 있다'한 말이 그렇게 해서 해당이 되는 것이지, 바로 참선을 화두를 들 줄 알고 올바르게 공부할 수 있다면야 산꼭대기를 가나, 바닷가에를 가나, 무인도를 가나, 어디를 가서 한들 공부를 못하겠습니까.

정(正)과 사(邪)를 가릴 줄을 알고 공부하는 법을 바로 안다면 외도(外道), 마구니 속에 들어가서 한들 무엇이 방해로울 것이 있습니까.

 

 

정법은 다른 게 아니고 「나도 올바른 방법으로 열심히 참선을 하면 나도 부처님이 될 수 있다」고 믿는 거, 이것이 바로 바르게 믿는 것입니다.

 

절에 가서 절을 많이 하고, 시주를 많이 하고, 멸치 꼬리 하나도 안 먹고, 파 마늘을 안 먹고, 모기 파리 하나도 안 죽이고, 술 한 모금 입에 대지 아니하고, 이렇게 계율을 청정히 지키면서 그저 절밖에는 모르고 일생을 사는 그러한 스님, 그러한 청신사 청신녀들이 계시는데 대단히 훌륭하지요.

하지만, 그것만 가지고서는 불법(佛法)을 바로 믿었다고 할 수가 없거든. 물론 불교를 믿는 사람이 계율을 청정히 갖는다고 하는 것은 대단히 훌륭한 일이로되 거기에 그쳐 가지고 불법을 참으로 바로 믿었다고 할 수가 없어.

 

'불법을 바로 믿었다', 정신(正信)이라 하면 자기도 아무리 죄가 많건, 근기가 약하건, 여자건, 말세에 태어났건, 무식하건, 여하약하를 막론하고 자기도 깨달을 수 있다고 하는 철저한 신념을 가지면 그것이 바로 불법을 바르게 믿는 것이여. 그 신념이 서 있지 아니하면 소용이 없어.

 

'죄가 많으니까 나는 불법을 깨달을 수가 없을 것이다. 업(業)이 많고 근기(根機)가 약하고 여자의 몸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나는 깨달을 수가 없을 것이다. 말세(末世)에 태어난 사람이 무슨 깨달을 수가 있을 것인가.

차라리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부르는 것이 나을 것이다. 차라리 염불을 하고 경을 열심히 읽어야 업장(業障)이 소멸(消滅)이 되고, 죽을 때 아미타불이 나를 반야용선(般若龍船)에다 태워서 극락세계(極樂世界)로 데려다 주실 것이다'

 

이렇게 믿는 것은 어떠한 근기에는 혹 약이 될 수가 있겠지만, 거기에 국집(局執)한다면 불법을 바르게 믿었다고 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불법을 바르게 믿고도 대분심(大憤心)과 대용기(大勇氣)가 없으면은 도는 성취할 수가 없습니다.

 

부처님 십대제자(十大弟子) 가운데에 천안통, 천안제일(天眼第一)인 아나율 존자는 애당초에 부처님 사촌으로 출가해 가지고, 부처님께서 법을 설하는데 꾸벅꾸벅 졸았다 그말이여.

조니까, 부처님께서 걱정을 하시기를 '썩은 나무에는 조각을 할 수가 없고, 썩은 흙벽에다가는 그림을 그릴 수가 없어. 조개가 바다 속에서 천년 동안을 잠을 자고도 파도 소리 때문에 잠 한숨 못 잤다고 그런 말이 있는데, 세상에 법문(法門)을 들으면서 졸음을 자다니 그래가지고 무슨 도업(道業)을 성취할 것이냐. 축생만도 못한 놈'이라고 크게 꾸지람을 하셨습니다.

 

'법문을 듣다가 졸아? 그것이 축생 과보(畜生果報) 밖에는 무엇을 받을 수가 있겠느냐' 이렇게 참 뼈아픈 꾸지람을 듣고 분심이 나서 6일간을 잠을 안 잤습니다. 눈 한번 깜빡 아니하고 앉은 채로 6일을 버텼습니다. 6일을 눈을 깜빡거리지 아니하고, 6일을 딱 버티고 용맹정진(勇猛精進)을 했습니다.

그러니까 눈이 멀어버렸습니다. 눈이 탁 멀자 천안통(天眼通)이 열렸던 것입니다. 천안통이 열려가지고 염부제(閻浮提)의 모든 사물과 상황을 손바닥 위에 구슬을 보듯이 그렇게 온 세계를 다 볼 수가 있게 되었습니다.

 

천안통이 열려서 온 세계를 손바닥에 구슬 보듯이 보았지만, 바느질하는 데에 바늘귀는 꿸 수가 없었던지, 원시경전에 보면 아나율 존자가 바느질을 할 때에는 부처님께서 항시 바늘귀를 꿰어 주셨다고 하는 기록이 있습니다.

(처음~21분31초)

 

 

 

 

 

(2)------------------

 

부처님 말씀 한마디에 6일 동안을 분심을 내 가지고 잠을 안 자 가지고 결국은 눈이 멀어버린 그 제자를 위해서 바늘귀를 꿰어 주시고, 바느질도 해 주시고, 여러 가지 그 시중을 부처님께서 손수 들어주셨던 것입니다.

 

그래 눈병이 났는데 아사세왕(阿闍世王) 어의(御醫)이며, 부처님의 주치의를 맡고 있던 기파(耆婆)대감을 명해 가지고 아나율 존자의 눈병을 치료하게 했습니다마는, 기파대감이 아무리 좋은 약을 쓰고 침을 놓고 치료를 해도 조금도 차도가 없었습니다. 그래 기파대감이 부처님께 "저의 힘으로는 나을 수가 없습니다"

"그대가 어의로서 못 고치는 병이 없는데 어찌 아나율의 눈병을 못 고친단 말이냐?"

"못 고친 이유가 무엇이냐 하면 잠을 자야 하는데, 좋은 약을 쓰면서 잠을 자야 눈병이 나을 텐데 잠을 자지 않기 때문에 고칠 수가 없습니다"

 

부처님이 "네가 내 말 한마디에 분심을 낸 것은 좋지마는, 그래도 잠을 자면서 정진을 해야지 그렇게 잠을 안 자 가지고 되겠느냐"

아무리 잠을 자라고 해도 막무가내였습니다. 끝까지 잠을 안 자 가지고 결국은 눈이 그렇게 멀어버렸던 것입니다.

 

 

또 부처님 제자, 십대제자 가운데에 지혜가 제일인 사리불 존자가—목련 존자와 부처님 왼팔 오른팔 그 두 수제자(首弟子)인 그 사리불 존자가 지혜로서 제일인데, 그 사리불 존자는 원래 외도의 제자로 있다가 목련 존자와 함께 자기 자신의 제자 백 명들을 이끌고 부처님께 귀의해서 부처님 법문을 듣고 확철대오(廓徹大悟) 해 가지고 십대제자 가운데에 지혜가 제일인 그러한 성현인데, 그 사리불 존자는 전생에 무엇이었었냐 하면은 독사(毒蛇)였었던 것입니다.

그 사리불 존자는 전생에 독사가 되어 있었을 때가 있었기 때문에 성현이 되어 가지고서도 그 진심(瞋心)을 내는 습기(習氣)가 항시 조금씩 나타났다 이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앉아서 좌선을 하시다가 일어나서 밖으로 나오셔서 포행을 하시는데, 부처님의 아드님이신 라후라 존자가 아직 어렸을 때인데 그 라후라가 부처님 뒤를 따라서 부처님을 모시고 같이 포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라후라 존자는 아주 6살 어렸을 때 출가를 했는데, 출가했을 때 부처님께서 그 당신의 수제자인 사리불 존자를 시켜서 '네가 좀 거두어 주어라' 이렇게 명령을 하셨습니다. 그래 라후라 존자의 은사 스님이 사리불 존자에 해당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 부처님께서 그 당신의 아드님이신 라후라 존자가 따라온 것을 이리 보시더니, "네가 어떻게 그렇게 해서 바짝 말랐느냐? 어떻게 몸이 그렇게 폐로(肺癆)와졌느냐? 그렇게 쇠약해졌느냐?" 이렇게 물어 보셨습니다.

그 라후라 존자가 게송으로써 대답하기를, 소락(酥酪)이라고 하는 것은 지금 그 빠다(버터)와 비슷한 음식인데 내나 우유를 끊이면은 거기에서 떠오르는 기름을 모아 가지고 만드는 음식인데,

"소락을 먹으면 몸이 튼튼해지고 또 기름을 먹으면은 몸이 튼튼해지고 그러한 것을 또 무슨 고기라든지 모다 그런 것을 먹으면 힘이 생기고 한 것을 부처님께서는 잘 알고 계시지 않습니까" 이렇게 게송으로써 부처님께 대답을 했습니다.

 

그러니까 부처님께서 "지금 이 대중 가운데에 누가 제일 큰스님인고?" 그렇게 물어보셨습니다.

"그건 말할 것도 없이 저의 스승인 사리불 존자가 부처님 밑에 제일 큰스님이지 누구십니까" 그러니까.

 

부처님 말씀이 "사리불은 부정식(不淨食)을 하느니라"

부정식이라 하는 것은, '아니 불(不)’자, '조촐할 정(淨)’자, 부정(不淨), "부정식을 하느니라. 청정한 음식을 안 먹고 청정하지 못한 음식을 먹느니라" 아, 부처님이 밑도 끝도 없이 그런 말씀을 하셨다 그말이여.

 

그러니까 그 라후라 존자가 자기 스승한테 가서 "아, 부처님이 그 스님 보고 부정식을 한다고 하시데요" 그렇게 말을 했다 그말이여.

그 말을 듣고 사리불 존자는 그 뒤부터서는 일체 어떠한 신도나 왕이나 대신이나 장자가 공양 청장을 해도 응하지를 안 했습니다.

 

부처님도 그전에까지도 왕이나 대신이나 장자나 신심 있는 신도가 좋은 음식을 마련해 놓고 공양 청(請)을 하면 모다 제자를 거느리고 가서 공양을 잡숫고 오시고 그랬는데 부처님도 딱! 끊어 버리시고 안 가시자, 부처님이 안 가신 뒤에는 사리불한테 모다 공양 청을 하면은 사리불이 또 가서 공양을 받아 자시고 오시고 그랬는데.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사리불은 부정식을 하느니라" 그 말씀을 한 그 말을 듣고 부터서는 사리불도 딱! 끊어버리고 공양에 응하지를 안 했습니다.

 

그때 왕과 대신과 장자들이 사리불에 공양을 청하러 갔습니다. "나는 가지를 않겠다"

"어째서 안 가십니까? 부처님도 안 가시고 사리불 존자까지 안 가시면 우리 신도들은 어떻게 청정한 법문을 들으며, 법의 인연을 맺는 복을 지을 수가 있겠습니까?"

 

바로 부처님께 가서 "부처님마저도 공양을 응하시지 아니하고, 사리불 존자까지도 응하시지 아니한다면은 어떻게 우리 신도가 복을 지으며 법문을 들을 수가 있겠습니까? 제발 부처님은 정 안 가신다면 사리불 존자라도 가도록 좀 말씀을 해 주십시오"

"사리불 존자는 내가 아무리 말하고 너희들이 아무리 청한들 결단코 가지를 아니할 것이다"

"왜 그렀습니까?"

 

사리불 존자는 전생에 독사였었는데, 독사로서 어느 왕을 물었다. 그래서 독사가 왕을 물어버리고 어디로 달아나 버렸는데, 왕의 몸에 그 독이 번져가지고 죽게 되었어. 그래서 천하의 명의를 다 불러다가 그 독사에 물린 독을 빼고 병을 낫으려고 했지만 그것이 나을 수가 없었어.

그래서 그 의원들이 왕에게 말하기를, '이것은 다른 방법으로는 이 독을 뺄 수가 없고 그 독사로 하여금 스스로 이 독을 빨게 해야만 이 병은 나을 수가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하면 그 독사를 오게 할 수가 있느냐?' 그래 그 의원들이 모다 합심을 해 가지고 주문을 외워 가지고 그 독사가 제절로 왕 앞에 오도록 했던 것입니다.

독사가 왕 앞에 와서 딱 도사리고 있는데 그 옆에다가 장작불을 갖다가 산더미처럼 쌓아놓고는 불을 펴서 훨훨훨 타게 해 놓고서는, '독사야! 네가 이 왕을 물었는데, 네가 문 자리에서 거기다가 네가 이 독을 빨아먹으면 너를 살려주거니와 그렇지 아니하면 너는 이 모닥불에다가 집어넣어서 태워 죽이리라'

 

독사가 가만히 생각해 보니까, 자기의 독을 밖으로 내뿜기 위해서 물었는데 어찌 내가 그 독한 독을 다시 빨아먹을 수가 있을까보냐. 차라리 내가 불더미 속에 들어가서 타서 죽을지언정 나는 그 독을 다시는 못 빨아먹겠다. 이래가지고 그 독사가 펄쩍 뛰어가지고 불더미 속에 들어가서 타서 죽었습니다. 그 타서 죽은 그 독사가 사리불 존자다 이것입니다.

 

그래가지고 무슨 말이든지 한마디 딱 했다 하면은 한 번 탁! 결심을 하고 독한 마음을 먹고 결심을 해 버리면 천하 없는 사람이 뭐라 해도 그 뜻을 굽히지를 안 했던 것입니다.

심지어 부처님께서 '사리불은 부정식을 하느니라' 그 말씀 한마디 했다고 해서 왕이나 대신이나 장자가 공양 청장을 해도 다시는 응하지를 아니했다 이것입니다.

 

그 부정식이라는 게, 첫째 그 짐승을 죽일 때에 그 현장을 목격하지 아니한 고기, 그 짐승을 죽일 때에 비명 지른 그 소리를 듣지 아니한 고기, 또 나를 위해서 일부러 죽이지 아니한 고기, 또 세 사람 이상의 손을 거친 고기, 독수리나 맹수 같은 것이 먹다가 버린 고기, 이러한 종류의 다섯 가지 고기를 깨끗한 고기라 해서 이것을 오정육(五淨肉)이라, 다섯 가지 깨끗한 고기라 해서 이것을 오정육이라 그러고.

그렇지 아니한 고기는 다 그것이 부정한 고기다 이것입니다. 또 음식에 파나 마늘이나 부추 모다 그러한 것이 들어간 음식은 이것이 깨끗한 음식이 아니다 이것입니다.

 

신도 집에서 밥을 먹게 되면 음식 속에 그러한 부정한 것이 섞여 있을 수가 있기 때문에 무심히 먹다 보면 부정식을 하게 되는데, 그래 사리불 존자는 아라한과(阿羅漢)를 증득한 성현이라 신통이 다 육신통(六神通)이 자재(自在)하고 그렇지만 또 무심할 경우에는 또 그런 음식 속에 그러한 것이 혹 섞여 있을 수가 있어서 무심히 먹었는데 부처님께서는 '사리불은 부정식을 한다' 한 말씀을 하셨는데.

 

라후라 존자가—'어째서 네가 그렇게 살이 쪽 빠져 가지고 그렇게 그러느냐'한 말 끝에 '뭐 공양 청을 안 하고 그 영양 있는 것을 안 먹으니까 이렇게 살이 빠질 수밖에 없지 않습니까'한 그러한 뜻으로 넌즈시 그 돌려서 게송으로 읊으니까 부처님께서 '사리불은 부정식을 하느니라' 이렇게 말씀을 하셨다.

 

그 말 한마디에 다시는 공양에 응하지 아니할 그 고집, 그 의지력, 그 결단심, 이러한 것이 결국은 대도를 성취할 수 있는 그런 밑거름이 되지 안 했겠느냐?

 

그리고 아나율 존자는 '법문 듣다가 존다'고—우리 전강 조실 스님 법문을 녹음으로 들으면 '존다'고 그 꾸지람을 하신 법문을 가끔 듣는데, 어떠한 법문 가운데에는 '눈구녘을 쑤셔 버린다'고 이러한 참 과격한 꾸지람을 하시는 경우도 있고 그런데.

법문을 듣다가 꾸지람을 듣기도 예사고, '눈구녁을 쑤셔 버린다'고 이러한 말씀을 들을 수도 있는데, 어떠한 신도 하나는 조실 스님 법문을 빠뜨리지 않고 듣다가 눈구녁을 쑤셔 버린다는 말을 듣고 몇 해 동안을 법문을 들으러 안 왔다고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러니 오늘도 조실 스님 법문을 들으면서, 또 산승의 말을 들으면서 졸고 계신 분이 계실는지 모르겠습니다마는, 그 졸고 있는 사람 보기가 싫어서 조실 스님도 법문하실 때 눈을 감고 많이 법문을 하시고, 산승도 그 꾸벅꾸벅 졸고 있는 것을 보면 도대체 말을 하고 싶은 생각이 없어지는 것입니다. 얼마나 듣기가 싫으면 꾸벅꾸벅 졸고 있을까?

'차라리 안 보고 모두가 눈이 초롱초롱해서 저의 말을 잘 듣고 계시리라' 이렇게 생각이 들어가야 좋은 말이 술술 나오지, 여기서 저기서 듣기 싫어서 졸고 있고, 하품을 입을 쩍 벌리고 하품을 하고 있으면 무슨 신심으로 얘기를 법문을 할 것이냐 그말이여.

 

한마디 꾸지람을 듣고 그 꾸지람을 명심을 해서 분심을 내서 아나율 존자와 같이 잠을 안 자고, 사리불 존자와 같이 다시는 공양에 응하지 아니할만한 그러한 고집과 결단심이 없어가지고 어떻게 대도를 성취할 것이냐 이 말이여.

 

'분심이 안 난다. 신심이 안 난다. 아무리 화두(話頭)를 들어도 의심(疑心)이 안 난다. 어떻게 하면 의단(疑團)이 일어날 수가 있겠으며, 어떻게 하면 분심이 나겠습니까? 어떻게 좋은 말씀을 한마디해서 신심과 분심과 대의단이 나도록 해달라'고 가끔 그러한 수좌(首座) 스님들이 와서 그렇게 부탁을 합니다마는, 신심과 분심과 의단은 자기 자신이 일으켜야지 어떻게 그것을...

 

'사리불은 부정식을 하느니라' 한마디 한 그 말에서 분심을 내고, '법문을 듣다 졸려 가지고 그래가지고 어떻게 도를 성취할 것이냐? 죽어서 조개밖에는 못될 것이다. 죽어서 축생의 과보밖에는 못될 것이다' 이런 말 한마디에도 대분심을 내고.

이러한 스스로 자기 자신이 자기에게 채찍을 가해 가지고 분심을 내야지, 내가 장군죽비(將軍竹篦)로 한 대, 두 대 쳐 본들 그때만 등어리가 따끔하고 돌아서면 그만인 것을 어떻게 할 수가 있느냐.(21분32초~42분51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게송)무변찰해허명경(無邊刹海虛明鏡)~ ; 『천목중봉화상광록(天目中峯和尙廣錄)』 (제14권) ‘別傳覺心’

*갓없다 ; ‘가없다(끝이 없다)’의 옛말.

*시방세계(十方世界) ; 온 세계. 사방(四方 동•서•남•북)과 사유(四維 동북•동남•서남•서북)와 상하(上下)에 있는 무수한 세계.

*시방찰해(十方刹海) ; 시방세계(十方世界). 찰(刹)은 범어 ksetra의 음역으로 뜻은 토지 · 육지 · 영역. 따라서 찰해는 육해(陸海), 즉 육지와 바다란 의미로 세계를 말한다.

*빗기다[橫] ; ①'가로지르다(양쪽 사이에 기다란 막대나 줄 따위를 가로로 놓거나 꽂다)'의 옛말. ②'비끼다(비스듬히 놓이거나 늘어지다)'의 옛말.

*사사하다(師事-- 스승 사/섬길 사) ; 스승[師]으로 섬겨[事] 가르침을 받다.

*보리수(菩提樹) ; 산스크리트어 bodhi-vṛkṣa  원래 이름은 아설타(阿說他, 산스크리트어 aśvattha)이며, 그 열매를 필발라(畢鉢羅, 산스크리트어 pippala)라고 하는 데서 이 나무를 필발라수(畢鉢羅樹)라고도 하고, 붓다가 이 나무 아래에서 깨달음을 성취였으므로 보리수라고 함. 상록 교목으로, 잎은 심장 모양이며 끝이 뾰족함.

*샛별 ; 새벽별. 명성(明星). 새벽에 동쪽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금성(金星)’을 이르는 말. 새벽별, 태백성(太白星), 계명성(啓明星), 장경성(長庚星) 등이라고도 한다. 『보요경(普曜經)』에 따르면 석가모니(釋迦牟尼)께서 이 별이 돋을 때, 정각(正覺)을 이루었다고 한다.

*성불(成佛 이룰 성/부처 불) ; ①세상의 모든 번뇌를 끊고 해탈하여 불과(佛果)를 얻음. 곧 부처가 되는 일을 이르는 말이다. ②석존이 붓다가야에서 깨달음을 연 것. ③올바른 깨달음을 얻은 것. 혹은 분명하게 완전히 깨달은 것이라는 뜻.

*생사고해(生死苦海) ; 중생이 태어나서 죽어 윤회하는 영역으로서의 세 개의 세계, 삼계(三界 : 욕계欲界 · 색계色界 · 무색계無色界)를 가리킴. 생사와 그 괴로움이 무한한 것을 바다에 비유함.

*육도법계(六道法界) ; 육도(六道)의 세계. 육도(六道,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

*오탁악세(五濁惡世 다섯 오/흐릴 탁/악할 악/세상 세) ; 명탁(命濁), 중생탁(衆生濁), 번뇌탁(煩惱濁), 견탁(見濁), 겁탁(劫濁)의 다섯 가지 더러운 것으로 가득찬 죄악의 세상.

[참고] ①명탁(命濁) : 말세가 다가와 악업(惡業)이 늘어감에 따라 사람의 목숨이 점차 짧아져 백년을 채우기 어려움을 이른다.

②중생탁(衆生濁) : 중생이 죄가 많아서 올바른 도리를 알지 못하는 것을 이른다.

③번뇌탁(煩惱濁) : 번뇌로 인하여 마음이 더럽혀지는 것을 이른다.

④견탁(見濁) : 그릇된 견해나 사악한 사상이 만연해지는 것을 이른다.

⑤겁탁(劫濁) : 기근과 전쟁과 질병 등의 재앙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시대.

*법(法) ; (산스크리트) dharma, (팔리) dhamma의 한역(漢譯). ①진리. 진실의 이법(理法). ②선(善). 올바른 것. 공덕. ③부처님의 가르침. ④이법(理法)으로서의 연기(緣起)를 가리킴. ⑤본성. ⑥의(意)의 대상. 의식에 드러난 현상. 인식 작용. 의식 작용. 인식 내용. 의식 내용. 마음의 모든 생각. 생각.

*정법(正法) ; ①올바른 진리. ②올바른 진리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③부처님의 가르침이 올바르게 세상에 행해지는 기간.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간화선(看話禪) ; 화(話)는 화두(話頭)의 준말이다. 간화(看話)는 ‘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을 본다[看]’는 말로써,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이 화두를 관(觀)해서, 화두를 통해서 확철대오하는 간화선을 전강 조실스님과 송담스님께서는 ‘최상승법(最上乘法)’ ‘활구참선(活句參禪)’이라고 말씀하신다.

*비로자나(毘盧遮那) ;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과 지혜의 빛이 세상을 두루 비추어 가득하다(光明遍照,遍一切處)는 뜻으로, 부처의 진신(眞身)을 이르는 말. 비로자나는 진리 그 자체인 법신을 형상화한 것.

*삼라만상(森羅萬象) 두두물물(頭頭物物) ; 우주 사이에 벌여 있는 온갖 사물과 현상.

*법신체(法身體) ; 법신(法身)의 체(體)를 가리키는 말. 진리 그 자체로서의 부처님을 가리킨다.

*법신(法身) : [범]  dharma - kaya ‘법 몸’이란 말인데, 법불(法佛) · 이불(理佛) · 실불(實佛) · 법신불(法身佛) · 법성신(法性身) · 자성신(自性身) · 진여불(眞如佛) · 법계성(法界性) 같은 말들이 모두 한뜻이며, 「선가귀감」 첫머리에 있는 ‘한물건’이란 것도 이것이다.

진리 그 자체, 또는 진리를 있는 그대로 드러낸 우주 그 자체, 진여의 청정한 법계를 가리키며, 비로자나불과 대일여래가 여기에 해당한다.

진리 그 자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진여의 본 바탕(眞如本體)’을 이름이니, 중생에 있어서 부족할 것이 없고 부처님이라고 더 특별할 것이 없어, 본래 깨끗하고 빛나고 두렷하여 무한한 공간과 무궁한 시간에 꽉 차 있으되, 네 가지 말로도 설명할 수 없고[離四句] 백 가지 아닌 것으로도 옳게 가르칠 수 없으며[絶百非], 무엇으로나 형용하여 볼 수가 도저히 없는 것이다.

*외도(外道 바깥 외/길 도) ; ①불교 이외의(外) 다른 종교(道)의 가르침. 또는 그 신봉자. ②그릇된 가르침, 그릇된 가르침을 따르는 사람.

*마구니 ; 마(魔). [범] mara 음을 따라 마라(魔羅)라 하고, 줄여서 마(魔)라고만 한다。장애자(障礙者) · 살자(殺者) · 악자(惡者)라 번역。목숨을 빼앗고 착한 일을 방해하며 모든 것을 파괴하는 악마를 말한다. 그러나  마(魔)는 밖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에서 생기는 것이다.

[참고] 『선가귀감(禪家龜鑑)』 (용화선원刊) p64에서.

마(魔)란 생사를 즐기는 귀신의 이름이요, 팔만사천 마군이란 중생의 팔만사천 번뇌다. 마가 본래 씨가 없지만,수행하는 이가 바른 생각을 잃은 데서 그 근원이 파생되는 것이다.

중생은 그 환경에 순종하므로 탈이 없고, 도인은 그 환경에 역행하므로 마가 대들게 된다。그래서 ‘도가 높을수록 마가 성하다’고 하는 것이다. 선정 중에 혹은 상주(喪主)를 보고 제 다리를 찍으며 혹은 돼지를 보고 제 코를 쥐기도 하는 것이, 모두 자기 마음에서 망상을 일으켜 외부의 마를 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마의 온갖 재주가 도리어 물을 베려는 것이나, 햇빛을 불어 버리려는 격이 되고 말 것이다。옛말에 ‘벽에 틈이 생기면 바람이 들어오고, 마음에 틈이 생기면 마가 들어온다’고 하시니라.

*업(業) ; (산스크리트어 : karma 카르마) ; ①몸과 입과 마음으로 짓는 행위와 말과 생각, 일체의 행위.

②행위와 말과 생각이 남기는 잠재력. 과보를 초래하는 잠재력.

③선악(善惡)의 행위에 따라 받는 고락(苦樂)의 과보(果報).

④좋지 않은 결과의 원인이 되는 악한 행위. 무명(無明)으로 일으키는 행위.

⑤어떠한 결과를 일으키는 원인이나 조건이 되는 작용. 과거에서 미래로 존속하는 세력.

*근기(根機 뿌리 근/베틀 기) ;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들일 수 있는 중생의 소질이나 근성. 보통 근기의 차등을 상근기, 중근기, 하근기로 구분한다.

*말세(末世 끝 말/세상 세) ; ①도덕, 풍속, 정치 등의 모든 사회 질서와 정신이 매우 타락하고 쇠퇴하여 끝판에 이른 세상. ②석존입멸후 오백 년을 정법(正法)의 세상, 그 다음 천 년을 상법(像法)의 세상, 그 후의 일만 년을 말법(末法)의 세상이라고 한다. 구체적인 시기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곧 불멸(佛滅) 후 오랜 기간을 지나 부처님의 가르침이 쇠퇴하는 시기.

*아미타불(阿彌陀佛) ; 대승불교에서 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세계에 머물면서 법(法)을 설하는 부처님.

<정토 3부경>에 있는 이 부처님의 역사는, 오랜 옛적 과거세에 세자재왕불(世自在王佛 Lokesvararaja-Buddha)의 감화를 받은 법장비구(法藏比丘 Dharmakara)가 2백 10억의 많은 국토에서 훌륭한 나라를 택하여 이상국을 건설하기로 기원하였다. 또 48원(願)을 세워 자기와 남들이 함께 성불하기를 소원하면서 오랜 겁을 수행한 결과 지금부터 10겁 이전에 그 원행(願行)이 성취되어 아미타불이 되었다. 줄여서 미타(彌陀).

의역하면 무량광불(無量光佛 Amitabha Buddha-무한한 공간에 꽉 차 있어서 안팎과 갓이 없는 빛의 부처님), 무량수불(無量壽佛 Amitayus Buddha-무한한 시간에 뻗치어서 끝없는 생명의 부처님).

*업장소멸(業障消滅) ; 전생(前生)이나 금생(今生)에 행동·말·마음(신구의,身口意)으로 지은 악업(惡業)으로 인하여 이 세상에서 생긴 장애[業障]가 사라져 없어짐[消滅]. 죄업소멸(罪業消滅).

*반야용선(般若龍船) ; 생사의 고해(苦海)에서 고통 받는 중생을 반야(船若, 지혜)로 깨달음의 세계인 피안(彼岸)의 극락정토로 중생들을 건네 주는 반야바라밀의 배[船]를 말한다.

*극락세계(極樂世界) :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 괴로움과 걱정이 없는 지극히[極] 안락[樂]하고 자유로운 세상[世界]이다. 안양(安養), 안락국(安樂國),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무량수불토(無量壽佛土), 무량광명토(無量光明土), 무량청정토(無量淸淨土)라고도 함.

*국집(局執) ; 마음이 확 트이지 못하고 어느 한편에 국한(局限), 집착하는 것. 사리(事理)를 두루 살펴 종합적으로 판단하지 못하고 자기의 주관에 얽매이거나 자기의 소견만이 옳다고 고집하여 매우 답답한 모습을 말한다.

*분심(憤心) : 억울하고 원통하여 분한 마음.

과거에 모든 부처님과 도인들은 진즉 확철대오를 해서 중생 제도를 하고 계시는데, 나는 왜 여태까지 일대사를 해결 못하고 생사윤회를 하고 있는가. 내가 이래 가지고 어찌 방일하게 지낼 수 있겠는가. 속에서부터 넘쳐 흐르는 대분심이 있어야. 분심이 있어야 용기가 나는 것이다.

*십대제자(十大弟子) ; 석가모니의 제자 중 수행과 지혜가 뛰어난 10명을 이르는 말.

①사리불(舍利弗) : 산스크리트어 śāriputra의 음사. 마가다국(magadha國)의 바라문 출신으로, 지혜가 뛰어나 지혜제일(智慧第一)이라 일컬음. 원래 목건련(目犍連)과 함께 육사외도(六師外道)의 한 사람인 산자야(sañjaya)의 수제자였으나 붓다의 제자인 앗사지로부터 그의 가르침을 전해 듣고, 250명의 동료들과 함께 붓다의 제자가 됨. 붓다보다 나이가 많았다.

②목건련(目犍連) : 산스크리트어 maud galyāyana의 음사. 마가다국(magadha國)의 바라문 출신으로, 신통력이 뛰어나 신통제일(神通第一)이라 일컬음. 원래 산자야(sañjaya)의 수제자였으나 사리불(舍利弗)과 함께 붓다의 제자가 됨. 붓다보다 나이가 많았다.

③가섭(迦葉) : 산스크리트어 kāśyapa의 음사. 마가다국(magadha國) 출신으로, 엄격하게 수행하여 두타제일(頭陀第一)이라 일컬음. 결혼했으나 아내와 함께 출가하여 붓다의 제자가 됨. 붓다가 입멸한 직후, 왕사성(王舍城) 밖의 칠엽굴(七葉窟)에서 행한 제1차 결집(結集) 때, 그 모임을 주도함.

④수보리(須菩提) : 산스크리트어 subhūti의 음사. 사위국(舍衛國)의 바라문 출신으로, 공(空)의 이치에 밝아 해공제일(解空第一)이라 일컬음. 그래서 공(空)을 설하는 경(經)에 자주 등장하여 설법함.

⑤부루나(富樓那) : 산스크리트어 pūrṇa의 음사. 바라문 출신으로, 설법을 잘 하여 설법제일(說法第一)이라 일컬음. 녹야원(鹿野苑)에서 붓다의 설법을 듣고 그의 제자가 됨. 인도의 서쪽 지방에서 붓다의 가르침을 전파하다가 거기에 입적함.

⑥아나율(阿那律) : 산스크리트어 aniruddha의 음사. 붓다의 사촌 동생으로, 붓다가 깨달음을 성취한 후 고향에 왔을 때, 아난(阿難)·난타(難陀) 등과 함께 출가함. 통찰력이 깊어 천안제일(天眼第一) 이라 일컬음.

⑦가전연(迦旃延) : 산스크리트어 kātyāyana의 음사. 인도의 서쪽에 있던 아반티국(avanti國)의 크샤트리야 출신으로, 왕의 명령에 따라 붓다를 그 나라로 초청하기 위해 찾아갔다가 출가함. 깨달음을 얻은 후 귀국하여 붓다의 가르침을 전파함. 교리에 밝아 논의제일(論議第一)이라 일컬음.

⑧우바리(優波離) : 산스크리트어 upāli의 음사. 노예 계급인 수드라 출신으로 석가족의 이발사였는데, 아난(阿難)·난타(難陀)·아나율(阿那律) 등이 출가할 때 같이 붓다의 제자가 됨.

계율에 엄격하여 지계제일(持戒第一)이라 일컬음. 붓다가 입멸한 직후, 왕사성(王舍城) 밖의 칠엽굴(七葉窟)에서 행한 제1차 결집(結集) 때, 계율에 대한 모든 사항을 암송함으로써 율장(律藏)의 성립에 크게 기여함.

⑨나후라(羅睺羅) : 산스크리트어 rāhula의 음사. 붓다의 아들. 붓다가 깨달음을 성취한 후 고향에 왔을 때, 사리불(舍利弗)과 목건련(目犍連)을 스승으로 하여 출가함. 지켜야 할 것은 스스로 잘 지켜 밀행제일(密行第一)이라 일컬음.

⑩아난(阿難) : 산스크리트어 ānanda의 음사. 붓다의 사촌 동생으로, 붓다가 깨달음을 성취한 후 고향에 왔을 때 난타(難陀)·아나율(阿那律) 등과 함께 출가함. 붓다의 나이 50여 세에 시자(侍者)로 추천되어 붓다가 입멸할 때까지 보좌하면서 가장 많은 설법을 들어서 다문제일(多聞第一)이라 일컬음.

붓다에게 여성의 출가를 3번이나 간청하여 허락을 받음. 붓다가 입멸한 직후, 왕사성(王舍城) 밖의 칠엽굴(七葉窟)에서 행한 제1차 결집(結集) 때, 아난이 기억을 더듬어 가며 “이렇게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붓다께서는……”이라는 말을 시작으로 암송하면, 여러 비구들은 아난의 기억이 맞는지를 확인하여 잘못이 있으면 정정한 후, 모두 함께 암송함으로써 경장(經藏)이 결집됨.

*법문(法門 부처님의 가르침 법/문 문) ; 불법(佛法)을 문(門)에 비유한 말. 부처님의 가르침은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 세계를 벗어나, 열반(涅槃)에 들게 하는 문(門)이므로 이렇게 이름.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르는 말. 진리에 이르는 문.

*도업(道業) ; 도(道)는 깨달음. 업(業)은 영위(營爲 - 일을 계획하여 꾸려 나감). 불도(佛道)의 수행. 진리의 실천.

*축생과보(畜生果報) ; 축생(畜生)으로 태어나는 과보(果報).

*과보(果報 열매 과/갚을 보) ; 인과응보(因果應報, 전생에 지은 선악에 따라 현재의 행과 불행이 있고, 현세에서의 선악의 결과에 따라 내세에서 행과 불행이 있는 일).

*용맹정진(勇猛精進) ; 두려움을 모르며 기운차고 씩씩한 그리고 견고한 의지로 한순간도 불방일(不放逸)하는, 열심으로 노력하는 정진.

*천안통(天眼通) ; 모든 것을 막힘없이 꿰뚫어 환히 볼 수 있는 능력.

*염부제(閻浮提) ; 염부(閻浮). 남염부제(南閻浮提). 섬부주(贍部洲). 남섬부주(南贍部洲). 산스크리트어 jambu-dvīpa의 음사. 염부(閻浮), 섬부(贍部)는 jambu의 음역어이며, 제(提)와 주(洲)는 dvipa의 각각 음역어 및 의역어이다. jambu는 나무 이름.

불교의 우주관에 의하면 세계의 중심에 높이 솟은 거대한 수미산(須彌山)의 사방에 네 대륙(四洲)이 있는데, '염부'라는 이름은 여기에 자란다는 점부(jambu)에 유래하며, 남방에 있기 때문에 남섬부주(南贍部洲)라고 한다.

'우리 인간들이 사는 곳'이라 하며, 여러 부처님이 나타나는 곳은 사주(四洲) 가운데 이곳뿐이라 함. 불전(佛典)에서는 ‘인간세계의 전체’를 의미하는 말로서 사용되고 있다.

 

 

 

 

 

------------------(2)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을 깨달음.

*진심(瞋心) ; 왈칵 성내는 마음. 자기의 마음에 맞지 않는 경계에 대하여 미워하거나 분하게 여겨 몸과 마음이 편안하지 못하게 되는 번뇌.

*습기(習氣) ; ①과거의 온갖 업(業)—생각, 행위, 경험, 학습 따위로 말미암아 아뢰야식(阿賴耶識)에 남긴 기운, 잠재력. 종자(種子)와 같음. ②번뇌로 인해 남아 있는 습관적인 기운. 습(習), 번뇌습(煩惱習), 여습(餘習), 잔기(殘氣)라고도 한다.

*페롭다 ; '파리하다(몸이 마르고 낯빛이나 살색이 핏기가 전혀 없다)'의 사투리.

*소락(酥酪 연유 소/쇠젖 락) ; 소나 양 등의 젖.

*오정육(五淨肉) ; 스님들이 먹을 수 있도록 허용된 다섯 가지의 청정한 고기. 오종정육(五種淨肉).

①나를 위해 죽이는 것을 목격하지 않은 것(不見爲我殺). ②나를 위해 죽였다는 것을 듣지 못한 것(不聞爲我殺). ③나를 위해 죽였다고 의심되지 않는 것(不疑爲我殺). ④수명이 다하여 저절로 죽은 것(自死). ⑤새가 먹다 남긴 것(鳥殘).

*아라한과(阿羅漢果) ; 아라한(모든 번뇌를 완전히 끊어 열반을 성취한 성자)의 깨달음의 경지. 곧 소승 불교의 궁극에 이른 성자의 지위로서, 성문 사과(聲聞四果 - 수다원·사다함·아나함·아라한)의 가장 윗자리이다.

*육신통(六神通) : 보통 사람으로서는 헤아릴 수 없는 것을 헤아림을 신(神)이라 하고, 걸림 없는 것을 통(通)이라 한다。이 신통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로 말하지마는 흔히 여섯 가지로 말한다

1. 신족통(神足通)은 공간에 걸림 없이 왕래하며 그 몸을 마음대로 변화할 수 있는 것

2. 천안통(天眼通)은 멀고 가까움과 크고 작은 것에 걸림 없이 무엇이나 밝게 보는 것

3. 천이통(天耳通)은 멀고 가까움과 높고 낮음을 가릴 것 없이 무슨 소리나 잘 듣는 것

4. 타심통(他心通)은 사람뿐 아니라 어떤 중생이라도 그 생각하는 바를 다 아는 것

5. 숙명통(宿命通)은 자기뿐 아니라 육도(六道)의 모든 중생의 전생•금생•후생의 온갖 생애를 다 아는 것

6. 누진통(漏盡通)은 번뇌 망상이 완전히 끊어진 것이다.

제일통으로부터 제오통까지는 그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마음을 고요히 가지기만 힘쓰는 유루정(有漏定)을 닦는 외도(外道)나 신선(神仙) • 하늘 사람(天人) • 귀신들도 얻을 수가 있고, 약을 쓰든지 주문(呪文)을 읽어도 될 수 있다。그러나 누진통만은 아라한(阿羅漢)이나 불•보살만이 능한 것이다.

*자재(自在 스스로 자/있을·제멋대로 하다 재) ; ①자기가 원하는 대로인 것. 생각한 대로. 마음대로인 것. 자유자재로 어떠한 것이라도 할 수 있는 것. 원하는 대로의 경지. ②그 자신에 의해 존재하는 것. ③자유롭다. 자신에게 의존하다. ④독립. ⑤느긋한 심신의 작용. 잡혀지지 않는 것. ⑥불보살에 갖추어진 힘을 말함. 부처님을 자재인(自在人)이라고도 함.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의심(疑心) :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해 ‘알 수 없는 생각’에 콱 막히는 것.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또는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또는 ‘조주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바른 깨달음은 알 수 없는 의단, 알 수 없는 의심에 꽉 막힌 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의단(疑團 의심할 의/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수좌(首座) ; ①선원(禪院)에서 좌선하는 스님. ②수행 기간이 길고 덕이 높아, 모임에서 맨 윗자리에 앉는 스님. ③선원에서 좌선하는 스님들을 지도하고 단속하는 스님.

*장군죽비(將軍竹篦) ; 보통 죽비(竹篦)는 예불이나 참선 정진할 때 이 죽비를 손바닥에 쳐서 소리를 내어 시작과 끝을 알리는데 쓰는 40~50센티의 불교 용구인데, 장군죽비는 참선할 때 졸거나 자세가 흐트러진 수행자의 어깨를 쳐서 졸음을 쫓는 약 2m의 큰 죽비.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