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0) 참선법(자세, 호흡, 화두) / 인도 말로 ‘붓다’는 ‘깨달음’ ‘깨달은 분’이라는 뜻. ‘불교(佛敎)’는 ‘깨닫는 가르침’ ‘깨닫는 길’ / 화두는 모든 쥐를 잡어먹는 쥐.
〇깨달음이라고 하는 것은 우리의 사량분별심으로 아는 것이 아니라, 사량분별(思量分別)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깨닫는 것입니다. 그래서 깨닫는 것과 아는 것과의 차이는 사량분별을 사용을 해서 얻어지는 결론은 ‘아는 것’이고 지식이고, 사량분별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생사 없는 이치를 보는 것을 그것을 ‘깨달음’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〇사량분별심을 가지고 알려고 하기 때문에 깨달음은 점점 멀어지는 것입니다. 사량분별을 놓을 때 깨달음은 저절로 우리에게 딱! 붙어 있는 것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〇참선은 콱! 맥혀야만 되는 것입니다. 알 수 없어야 되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030)—77년 입춘법회(77.02.04) (용030)
(1) 약 22분.
(2) 약 13분.
(1)------------------
이 자리에 모이신 사부대중(四部大衆) 가운데에는 진즉부터서 전강 조실 스님의 법문을 많이 듣고 공부를 열심히 하셔서 수행이 참 잘되어 가시는 분도 계시지마는,
근자에 새로 오셔서 말로는 ‘참선법(參禪法)이 좋다’고 하는 말은 몇 번 들었지마는, ‘정말 이 참선이라고 하는 것은 어떻게 해야 잘하는 것인가?’ 구체적으로 알고자 하시는 분이 여러분이 계시기 때문에 이 참선법에 대해서 아주 기초적인 것을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입춘은 다른 날이 아니라—병진년이 아직은 섣달 열이레이기 때문에 앞으로 열사흘이 더 있어야 병진년이 끝나고, 열사흘이 더 있어야 정사년이 시작하는 것으로 달력으로는 되어 있지마는, 이 절후(節候)로 볼 때에는 오늘로써 병진년은 끝이 나고 정사년 새해가 오늘부터서 시작이 되는 것입니다.
오늘을 기해서 지난 일 년 동안을 냉정히 반성을 하시고 그래서 깨끗하게 다 청산을 하시고, 오늘 부터서 정사년 새해를 맞이해서 새로운 각오로 지난 묵은 삼재(三災)의 마귀를 오늘로써 다 쳐 물리쳐 버리고,
앞으로 새로 새해에 있어서는 그 마귀가 고개를 들기 전에 맥(脈)을 추릴 사이도 없이 그 근본 소굴로부터서 완전히 소탕을 해 버리는 의미로 오늘 입춘 불공(佛供), 입춘 법회를 거행하게 된 것이기 때문에 참선법에 대한, 그 마구니를 소탕하는 묘방(妙方)인 참선법에 대한 구체적인 말씀을 드리는 것이 좋을 줄 생각합니다.
‘참선, 참선’하면 대단히 어려운 것으로 생각하시고, 머리를 깎고 스님이 되시거나 그렇지 아니하면 절에 가서 석 달씩 결제(結制)를 해야만—그렇게 해도 잘되기가 어려운데, 하물며 마을에 계시면서 살림하면서 어떻게 그것을 가능할 것인가?
참! 그것은 조금씩 해보지마는 영 번뇌(煩惱) 망상(妄想)만 일어나고 잘 안되니까, 그 들어봤자 소용이 없을 것이다. 되지 않지 않겠느냐?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이 상당수 계신 걸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 참선법은 승속(僧俗)이 없습니다. 승속이 없고, 남녀가 없고, 노소가 없습니다. 빈부와 귀천도 없고, 지혜롭고 어리석고 한 것도 없고, 유식 무식도 상관이 없는 것입니다.
꼭 조용할 때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시끄러운 가운데에서도 능히 할 수 있는 것이고, 시끄러울수록 오히려 더 열심히 해야만 되는 것입니다.
언제 조용한 때를 기다려서 할라고 생각하다가는 영영 일생 동안 공부 한번 제대로 해보지 못한 채 이승을 하직하게 된다고 하면은 내생(來生) 일을 누가 보장을 합니까?
다시 사람이 되어서 태어날는지, 다시 어느 생에 태어날는지, 이 불법을 내생에도 또 만나게 될는지 아무도 보장을 못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금생에 사람 몸 받았을 때에, 불법을 만났을 때에, 이러한 법보제자(法寶弟子)가 되었을 때에, 자기가 어떠한 생활 여건에 놓여 있을망정 여하약하(如何若何)를 불문하고 만난 김에 해놓지 아니하면 금방 우리는 이승을 버릴 때가 코앞에 닥쳐오는 것이고 그때에 가서, 그때에 염라대왕(閻羅大王) 앞에 끌려가서 후회한들 아무 소용이 없는 것입니다.
참선은 앉아서도 하고, 서서도 하고, 걸어가면서도 하고, 일하면서도 하고, 누워서도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있는 대로 앉아서 하는 것이 제일 효과적인 것입니다. 그래서 참선을 ‘앉을 좌(坐)’자, 좌선(坐禪)이라고 이렇게 일컬리게 된 소이(所以)인 것입니다.
그래서 기왕 앉아서 한다고 하면은 앉은 데에는 앉은 법이 있습니다.
가부좌(跏趺坐), 지금 우리 앞에 모셔진 부처님이 앉아 계신 다리, 오른다리를 왼쪽 무릎에다가 올리고, 그 다음에 왼다리를 오른쪽 무릎 위에다 올려놓은 것, 그렇게 앉은 것이 가부좌입니다마는.
가부좌는 습관이 들기 전에는 심줄이 땡기고 아프고 저리기 때문에 한 다리만, 한 발만 한쪽에다 올리면은 그것이 반가부좌(半跏趺坐)가 됩니다.
그렇게 오른발을 왼쪽 다리에다가 올려놓고 그러면 반가부좌인데, 그렇게 해도 다리가 저릴 때에는 다리를 바꾸어서 또 올려놓으면 되는 것입니다.
다리를 그렇게 올려놓고서, 오른손을 손바닥을 위로 둘려서 딱 그 발 위에다 올려놓고, 그다음에 왼손을 포개서 엄지손을 이렇게 딱! 배끼리 이렇게 마주대세요.
그렇게 해서 배꼽 앞으로 다가서 딱 놓고, 그렇게 하고 몸을 좌우로 서너 번 흔들다가 한가운데에다 중심을 딱 잡으십시오.
그렇게 하고 몸은 너무 뒤로 자지바지하니 너무 잦혀도 못쓰고 앞으로 숙지 않게, 그리고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기울지 않게, 그리고 두 귀가 두 어깨 위에 단정히 놓이도록.
이렇게 해서 몸을 단정히 가진 다음에는 이를 딱 물고서 어금니까지 다 물고서, 혀를 위로 꼬부려 가지고 입천장에다 오그려 붙입니다. 입천장으로.
그렇게 하고 눈은 너무 뚝! 부릅뜨지도 말고 또 너무 가늘게 감지도 말고 평상(平常)으로 눈을 뜨고서, 자기 앉은 자리로부터서 3미터 전방이 보이도록.
그러되 3미터 전방에 어떠한 일정한 지점을 정해 놓고 그것을 응시(凝視)하는 것이 아니라, 다못 볼려면은 3미터 지점이 보일 정도로 눈을 뜨지, 실지로는 아무것도 본 바가 없어야 합니다.
그러면 일단 몸을 바르게 하는 것이 됩니다.
이 참선을 할려면은 첫째, 몸을 바르게 가질 것. 몸을 바르게 가진 다음에는 호흡을 바르게 해야 합니다.
‘호흡은 어떻게 하는 것이 바르게 하는 것이냐?’하면은 깊이 들어마셔 가지고 조용히 내쉬는 것입니다.
보통 우리는 호흡을 가슴으로 들어마신 호흡이 가슴에까지만 들어갔다 나왔다 이렇게 해서 아주 옅은 호흡, 그리고 빠른 호흡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참선을 할려면은 깊이 들어마셔야 하고 그리고 조용히 쉬어야 합니다. 깊이 그리고 조용히, 이것이 참선하는 사람에 있어서의 바른 호흡법입니다.
이 호흡을 깊이 들어마셔 가지고 가슴을 지나서 아랫배까지 그 들어마신 호흡이 들어가도록, 아랫배가 볼록하도록까지 들어마셔 가지고, 다 들어마신 다음에는 2~3초 머물렀다가 조용히 배를 홀쪽이 하면은 그 들어갔던 호흡이 코로 나오게 됩니다. 다 내쉬어 버리면 배가 아주 홀쪽해집니다.
다 내쉰 다음에 또 스르르 하니 들어마셔. 들어마시면 또 아랫배가 볼록해지고, 볼록해진 상태에서 2~3초 머물렀다가 또 조용히 배를 홀쪽이 하면서 코로 숨을 내쉽니다.
이렇게 해서 이 호흡을 복식(腹式) 심호흡(深呼吸)이라, ‘배[腹]로 하는 깊은 호흡’이라 해서 복식 심호흡이라고 합니다.
이 복식 심호흡을 계속해서 해 나가면은 혈액 순환이 잘되고, 혈액 순환이 잘됨으로 해서 몸에 각 구석구석이 쌓여 있던 노폐물이 전부 밖으로 배설이 되고, 반면에 맑은 피, 영양가 있는 피가 다시 전신으로 돌면서 영양가를 배급을 해 주고.
또 호흡을 또 내쉬면은 들어마시면은 또 마셨다 내쉬었다 하는 데에 따라서 피가 아랫배로 모였다 또 아랫배에서 흩어졌다, 그러한 운동이 되풀이되는 동안에 몸이 가벼워지고 정신이 맑아져서,
참선을 안 하는 사람도 이 복식 심호흡을 계속해서 하게 되면은 몸이 건강해지고, 정신이 맑아지고 안정이 되어서 학생들에게도 좋고, 일반 사회 직장에 다니는 분들도 종일 피로를 느꼈을 때 이 호흡을 함으로써 그날 그날 피로를 회복을 시켜서 건강한 육체와 건전한 정신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하물며 참선을 하는 사람은 이 호흡을 항시 계속해서 함으로써 몸과 정신이 건강하고 깨끗해지기 때문에 참선도 제절로 아무 탈이 없이 참선이 잘되는 것입니다.
이 호흡법에 대해서는 대단히 간단하지마는 실지로 해 볼려고 하면은 여러 가지 구체적으로 사람 사람에 따라서 그 참선을 해 나가는데 느낌과 일러 드릴 말씀이 있습니다.
그래서 일단은 보편적으로 이렇게 말씀을 드렸지마는 이러한 방법으로 실지로 해 보시면은 하다가 가슴이 답답하다든지 또는 아랫배에 통증을 느끼신다든지, 또는 기운이 위로 올라와서 골이 아픔을 느낀다든지,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것은 호흡을 무리하게 하거나 또는 너무 힘을 써서 하거나, 잘못함으로써 일어나는 경우도 있고, 올바르게 해도 그 과정에서 잠깐 그러헌 것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상한 것을 느끼면은 언제라도 직접 오셔서 문의를 하시면은 더 자세히 말씀을 설명을 해 드리겠습니다.
이렇게 해서 몸을 바르게 가지고 호흡을 바르게 한, 그러한 위에 생각은 무엇을 생각하느냐?
화두(話頭)를 생각을 해야 합니다.
무엇이 화두냐?
우리는 하루 종일 눈으로는 보고, 귀로는 듣고, 코로는 냄새를 맡고, 입으로는 말을 하고 음식을 먹고, 손으로는 만지고, 발로는 걸어 다니고, 몸뚱이로는 춥고 더운 것을 알고 그럽니다.
그런데 눈이 본다고 하면은 금방 죽은 사람도 눈이 있지마는 아직 몸이 뜨뜻하고 눈이 아직 멀쩡한데 보이지 않습니다. 또 귀가 있다고 해서 누구나 다 듣는 것이 아니라, 금방 죽은 사람은 귀가 분명히 아직 세포가 살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죽은 사람은 듣지를 못합니다.
또 눈으로 무엇을 골똘히 보고 있을 때에는 옆에서 자기 이름을 부르고 무슨 말을 해도 잘 알아듣지를 못합니다.
또는 귀로 무엇을 아주 골똘히 무엇을 듣고 있을 때에는 눈으로 무엇을 보아도 잘 보이지를 않습니다.
그렇다고 하면 귀로 듣는 놈이나, 눈으로 보는 놈이나, 코로 냄새를 맡은 놈이나 전부가 다, 눈 자체가 보는 것이 아니고, 귀 자체가 듣는 것이 아니고, 입 자체가 맛을 보는 것이 아니라, 보는 놈, 듣는 놈, 맛보는 놈, 만지는 놈, 걸어가는 놈은 별도로 있다고 하는 것을 우리는 짐작을 할 수가 있습니다.
다맛 눈을 통해서 보고, 귀를 통해서 듣고, 입을 통해서 말을 할 뿐이지, 입 자체가 말을 하는 것이 아니고, 눈 자체가 보는 것이 아니고, 귀 자체가 듣는 것이 아니라고 하는 사실을 우리는 명백히 짐작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무엇이 들어서 볼 줄 알고, 무엇이 들어서 들을 줄 알고, 무엇이 들어서 성낼 줄 알고, 무엇이 들어서 웃을 줄도 알며, 밥 먹을 줄도 아는가?
여러분들은 ‘그것은 마음일 것이다’ 다 속으로 그렇게 생각을 하고 계실 것입니다.
그러나 마음이 아닌 것은 아닙니다마는, 마음이라고 하는 것은 우리가 들어서 ‘마음’이라고 하는 것을 알고 있을 뿐이지 ‘그 마음 자체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는 것입니다.
고인(古人)들이 편의상 ‘마음’이라고 하는 이름을 붙여 놓았을 뿐이지, 그 자체는 마음이 아닌 것입니다.
‘마음이다, 성품이다, 자성이다’ 여러 가지 이름은 붙일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이름에 지내지 못해!
사람도 ‘갑돌이다, 갑순이다’ 이름은 뭐라고도 붙일 수가 있습니다. 또 ‘갑돌이’를 ‘을돌이’라고 이름을 고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름은 뭐라고 붙였거나 그것은 상관이 없습니다. 그 자체! 그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이름만 알아 가지고는 우리에게는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대관절 무엇을 ‘마음’이라고 이름을 붙였는가? 대관절 ‘마음’이라고 이름 붙이기 전에 그것은 무엇이었으며 어떻게 생겼는가?
우리는 아무도 그것을 보는 사람이 없고, 확인을 할 길이 없습니다. 그것이 대관절 무엇인가?
그놈이 들어서 볼 줄도 알고 들을 줄도 알고, 욕하면 성낼 줄도 알고, 뭘 좋은 걸 주면은 기뻐할 줄도 알고, 아프면은 신음할 줄도 알고, 슬퍼한 일을 당하면 울 줄도 알고, 여기 앉아서도 서울 일을 생각하기도 하고, 미국을 생각할 수도 있고, 지금 오늘 이 시간에 10년 전, 30년 전, 40년 전 일도 생각할라면 생각할 수가 있습니다.
대관절 그놈이 어떻게 생겼으며, 무엇이기에 그렇게 조화가 무궁무진(無窮無盡)한 것인가?
우리가 오늘날까지 이렇게 살아오는 동안 그놈의 명령에 의해서, 그놈의 조종에 의해서 오늘날까지 지금 이 몸뚱이를 끌고 살아오고 있는 것입니다.
비단 금생뿐만이 아니라 전생, 저 전생, 무량겁을 두고 그놈이 여기서 태어났다, 저기서 태어났다 하면서 사람도 되었다 짐승도 되었다, 천상에도 갔다 지옥에도 갔다, 부자도 되었다 가난뱅이도 되었다, 선량한 사람도 되었다 악한 사람도 되었다 하면서 오늘날까지 이 자리에까지 오신 것입니다.
그놈을 잠시도 떠나서는 우리는 존재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렇게 잠시도 떠날 수 없이 같이 살아오면서 왜 우리는 그놈을 한 번도 본 일이 없을까요?
그것을 분명히 우리가 보아 깨닫는다고 하면은 그것이 부처님인 것입니다.
‘부처님’이라는 말은 인도(印度) 말로 ‘붓다(Buddha)’라고 한 말을 중국에서 ‘불타(佛陀)’라고 음사(音寫)를 해서, 그것이 우리나라에 전해오면서 ‘부텨, 부텨’로 되었다가 지금은 ‘부처’ 이렇게 알려지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라고 하는 것은 인도 말로 ‘붓다(Buddha)’가 삼천 년을 내려오면서 ‘부처’로 그렇게 전해 변해졌다.
그러면 인도 말로 ‘붓다’라 하는 말은 무엇이냐? ‘깨달음’ 또는 ‘깨달은 분’ 이러한 뜻인 것입니다.
그래서 ‘불교(佛敎)’ 그러면, ‘깨닫는 가르침’ ‘깨닫는 길’ 이렇게 말씀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 ‘깨닫는다’고 하는 것이 요새 학자들이 연구해서 어떠한 이치를 궁리해 가지고 알아 들어가고 자꾸 따져 들어가 가지고 분석하고, 종합하고 해서 어떠한 결론이 내려지면 그것을 사물에다가 적용을 시켜보고, 그래 가지고 잘 적용이 되면은 그것을 하나의 이론으로써 성립을 시키고 해서 이렇게 차츰차츰 알아 들어가는 그래서 아는 것, 그것은 ‘깨달음’이 아니라 그것은 ‘아는 것’입니다.
이 깨달음이라고 하는 것은 우리의 사량분별심을 떠나서—사량분별심으로 아는 것이 아니라, 사량분별(思量分別)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깨닫는 것입니다.
그래서 깨닫는 것과 아는 것과의 차이는 사량분별을 사용을 해서 얻어지는 결론은 ‘아는 것’이고 지식이고, 사량분별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생사 없는 이치를 보는 것을 그것을 ‘깨달음’이라고 하는 것입니다.(13분13초~34분43초)
(2)------------------
깨닫는다고 하니까, 굉장히 우리의 중생으로서는 전연(全然) 인연이 없는 아주 저 어디 극락세계나 가야 그 깨닫는다고 하는 것이 존재하는 것처럼 그렇게 어렵고, 우리로부터서 먼 데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시겠지마는, 깨닫는다고 하는 것은 우리의 가장 가까운 데 있는 것입니다.
사량분별심을 가지고 알려고 하기 때문에 깨달음은 점점 멀어지는 것입니다. 사량분별을 놓을 때 깨달음은 저절로 우리에게 딱! 붙어 있는 것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참선을 하는 데 있어서 몸을 바르게 가지고, 그다음에 호흡을 고르게 한 다음에는 화두를 생각을 해라.
화두를 생각하는 것은 사량분별이 아니냐?
‘화두를 참구(參究)하고, 화두를 의심(疑心)한다’고 하는 것은 분명 엄격히 말하면 생각이 아닌 것은 아니지마는, 이리저리 자꾸 자기가 알고 있는 지식을 동원해서 따져 들어간다고 하면은 그것은 분명 사량(思量)이지마는.
따져 들어가지 말고, 무조건하고 거두절미(去頭截尾)하고 ‘이 몸뚱이 끌고다니는 놈이 무엇인고?’ 이렇게만 의심을 하신다고 하면은 이것은 사량이면서 사량이 아닌 것입니다.
그래서 이 참선하는 데는 제일 해롭고, 금지된 것이 이론적으로 따져 들어가는 버릇, 이것을 제일 엄격히 단속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뭣고?’ 천 번이고, 만 번이고 ‘이뭣고?’ ‘이 몸뚱이 끌고다니는 이놈이 뭣고?’
성이 날 때도 ‘이뭣고?’ 무엇이 들어서 성낼 줄을 아느냐? ‘이뭣고?’
슬플 때도 ‘이뭣고?’ 근심 걱정이 있을 때도 ‘이뭣고?’
우리의 생각에서, 우리의 마음에서 쉴 새 없이 일어나는 어떠헌 생각, 또 그놈을 바로 발판으로 해서 ‘이뭣고?’ 한다면은—일어나는 생각이 번져 가지고 삼재가 되고, 사백사병(四百四病)이 되는데,
일어나는 생각이 퍼지기 전에 그놈으로 ‘이뭣고?’ 이렇게 한다고 하면은 일어나는 그 생각은 나로 하여금 생사해탈(生死解脫)할 수 있게 해 주는 좋은 법문(法門)이요, 발판이요, 나의 호위병이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아주 간단한 말씀이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문제는 그 말을 마음속 깊이 새겨듣고, 이 자리에서부터 이 공부를 충실히—생각, 생각 헛되이 날려보내지 말고, 일어나는 생각을 바로 되돌려서 ‘이뭣고?’
첫째, 몸을 단정히 하고, 깊은 그리고 조용한 호흡을 하면서 ‘이뭣고?’
차 타고 가면서도 하고, 걸어가면서도 하고, 앉아서도 하고, 밥 먹으면서도 하고, 똥 누면서도 하고, 소지(掃地)하면서도 하고, 때와 장소를 가리지 말고 ‘이뭣고?’
“번뇌 망상이 일어나서 못한다” 그러한 말씀은 아직 참선을 할 줄 모르는 말씀이여.
일어나는 번뇌 망상을 바로 그놈을 버릴려고 하지 말고, 그놈으로 ‘이뭣고?’를 하시면 되는 것입니다.
쥐를 잡을려면 고양이로 보통 쥐를 잡습니다마는, 그것은 별로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쥐를 잡는 데에는 쥐를 동원하는 것이 제일 좋은 것입니다.
쥐를 잡아 가지고 항아리 속에다 넣어 놓고는 소고기도 조금—며칠을 굶긴 다음에 소고기를 사다가 조금씩 떼어서 먹입니다.
그러다가 조금씩 조금씩 먹여서 안 죽을 만큼씩만 먹여서 죽지 않을 정도로만 하되 계속 배가 고프게 만든 다음에 다른 쥐를 한 마리를 잡아서 넣어 줍니다. 그러면은 그놈이 어떻게 배가 고프던지, 그 쥐를 기어코 잡어먹게 되는 것입니다.
그다음에 또 얼마 있다 또 쥐 한 마리를 넣어 줍니다. 또 쥐를 잡어먹습니다. 그래서 쥐가 쥐 잡어먹는데 아주 선수가 되게 됩니다.
그런 다음에는 완전히 쥐를 잘 잡어먹게 될 때에 그 쥐를 풀어서 놔두면은 쥐구멍으로 자유자재로 다니면서 모든 쥐를 다 잡어먹게 되는 것입니다.
고양이는 뭄뚱이가 커서 쥐구멍에는 들어가지를 못하기 때문에 구멍 속에 들어가 버린 뒤에는 쥐가 나오기 전에는 잡어먹을 수가 없지마는, 이 쥐는 마음대로 쥐구멍으로 드나들면서 잡어먹는데.
고양이 소리만 나도 쥐는 벌써 알고서 다시는 나오지를 않지마는, 쥐가 다니는 데에는 아무도 그 쥐를 경계하지 아니하고 마음대로 나오게 됩니다. 나오는 쪽쪽 잡어먹고, 안 나오면 구녁으로 들어가서 잡어먹고 해서, 한 쥐가 모든 쥐를 다 소탕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농담같은 얘기지마는, 화두라고 하는 것은 모든 쥐를 잡어먹는 쥐라고 이렇게 얘기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화두도 분명 우리의 중생의 사리상량으로 처음에 시작을 하지마는, 옳은 방법으로 자꾸 염념상속(念念相續)으로 화두를 들고 화두를 참구하고 해 나가다 보면은 사리상량이 사리상량 아닌 사리상량으로 되어 가지고,
일체 번뇌망상, 무량겁으로 지어온 모든 업(業)을 이놈이 다 주워 삼키게 되고, 다 주워 삼킨 다음에 배가 툭! 터져서 죽어 나동그라질 때가 오는 것입니다.
이 화두 참선법은 달마 스님이 천삼백여 년 전에 인도에서 중국으로 오셔 가지고 달마 스님 밑에 2조(二祖) 혜가 대사, 3조 승찬, 4조 도신, 5조 홍인, 6조 혜능선사에 이르러서 비로소 ‘이뭣고?’라고 하는 화두를 제자들에게 물으셨습니다.
하택 신회선사에게 ‘이 무슨 물건이냐?’
“내게 한 물건이 있으니 위로는 하늘을 괴우고 아래로는 땅을 괴우며, 해보다도 더 밝고 옻칠보다도 더 검은데, 대관절 이것이 무슨 물건이냐?”하고 물었습니다.
하택 신회선사가 대답하기를 “모든 부처님의 근원이요, 하택 저의 불성입니다” 이렇게 대답을 했습니다.
육조(六祖) 스님이 말씀하시기를 “너는 앞으로 공부를 많이 해 가지고 크게 되어 보았자 지해종사(知解宗師)밖에는 못되겠다, 강사밖에는 못되겠다” 이렇게 말씀을 하셨습니다.
하룻날 남악 회양선사가 어려서 왔습니다. “무슨 물건이 이렇게 왔느냐?”하고 물으셨습니다.
남악 회양선사는 육조 스님이 물으신 “무슨 물건이 이렇게 왔느냐?”하고 물으신 데 대해서 콱! 맥혀 가지고 뭐라고 말씀을 해야 좋을지 몸 둘 바를 몰랐습니다.
그길로 “대관절 무슨 물건이냐? 무슨 물건이냐?” 콱! 맥힌 상태에서 8년이 지내갔습니다. 그때는 화두라고 하는 그런 말도 없었을 때입니다.
대관절 육조 스님이 “무슨 물건이 이렇게 왔느냐?”하고 물으신 데 대해서 뭐라고 대답할 말이 없었습니다. 꽉 맥혀 가지고 8년만에사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셨습니다.
참선은 콱! 맥혀야만 되는 것입니다. 알 수 없어야 되는 것입니다.
머리가 영리해 가지고 퍼뜩하면 자기가 그동안에 보고 듣고, 배우고 알고 있는 지식을 동원을 해 가지고 이리저리 따져서 자기 나름대로 결론을 맺으려고 하고 알아 들어가고, 이것은 참선이 아닙니다.
죽을 때까지 한다고 해도 이것은 생사해탈과는 상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생사(生死)의 업(業)을 조장하는 데에 그치는 것입니다.
지식과 이론으로 따져 들어가는 참선은 56억 7천만년에 뒤에... (녹음 끊김)
.... 해탈할 수 있는 활구참선(活句參禪)을 정말 열심히 열심히 해 주시기를 간절히 부탁합니다.
첫째, 몸을 바르게 가지고, 그다음에 호흡을 바르게 하고,
세 번째 가서 생각을 바르게 하는데, 이론으로 따지지 말고 ‘이뭣고?’ ‘이뭣고?’
계속 ‘이뭣고?’하는 동안에도 호흡은 깊이 들어마셨다가 잠깐 아랫배에다가 머물렀다가, 조용하니 내쉬는 복식 심호흡이 계속되면서, 복식 심호흡이 계속되는 동안 우리의 아랫배는 앞으로 나왔다 홀쪽해졌다 또 볼록해졌다 그러는데,
그 나왔다 들어갔다 하는 아랫배 거기에다가 ‘이뭣고?’한, 알 수 없는 화두 의심을 아랫배에다 두고 관조하도록.
이렇게 대략 이렇게 말씀을 드렸습니다.
이 법에 의해서 열심히 공부를 하시게 되면은 중간에 반드시 ‘내가 이 옳게 하는 것인가?’ 또는 ‘잘못하는 것인가?’ 궁금한 일이 있으시거든 저한테 적당한 기회를 타서 오셔서 문의를 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입춘 법회일을 맞이해서 여러분들은 이미 전강 조실 스님의 법문을 들음으로 해서 삼재 소멸하는 입춘 불공을 드리셨고, 삼재와 무량겁 지으신 모든 업을 소멸하고, 앞으로 다가오는 모든 삼재와 마왕(魔王) 파순(波旬)을 물리치는 부작(符作)을 여러분은 다 노나 가지셨습니다.
문제는 그 부작을 얼마만큼 잘 활용을 하시느냐? 그것은 여러분의 신심(信心)과 여러분의 정성과 노력에 달려 있을 따름입니다.
이상으로써 말씀을 맺고 이어서 법요식을 진행하겠습니다.(34분44초~47분53초)(끝)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사부대중(四部大衆) ; 불문(佛門)에 있는 네 가지 제자. 곧 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 등 출가 제자와 우바새(優婆塞), 우바이(優婆夷) 등 재가 제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사중(四衆)과 같은 말. 줄여서 사부(四部)라고도 한다.
[참고] 우바새 : upasaka의 음역. 삼귀의(三歸依)와 오계(五戒)를 받아 지니는 남성 재가신도.(같은 말=靑信士,靑信男,信男,信士,居士,近事男,近善男,善宿男) 원래의 말뜻은 모시는 사람. 받들어 모시는 사람. 출가자와 승단을 가까이에서 돌보고 보호하며 한편 가까이 배우는 사람이라는 뜻을 지닌다. 선숙(善宿)은 선(善)을 품어 그것에 머물기[宿] 때문에 선숙이라고 한다.
우바이 : upasika의 음역. 삼귀의(三歸依)와 오계(五戒)를 받아 지니는 여성 재가신도. (같은 말=靑信女,信女,近事女,近善女,善宿女)
*참선법(參禪法) ; ①선(禪) 수행을 하는 법.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법.
*절후(節候 철 절/철·절기·기후 후) ;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기후의 표준점. 15일 내지 16일에 한 번씩 돌아온다.
*삼재(三災 석 삼/재앙 재) ; 사람의 태어난 해(十二支)에 따라 9년 주기로 돌아온다는 3가지 재난, 나쁜 운수를 의미한다.
①대삼재(大三災)라 하여 물(水災), 불(火災), 바람(風災)에 의한 재난을 의미하기도 하고,
②도병(刀兵 : 서로 흉기를 갖고 살해함), 기근(饑饉 : 기근이 일어남), 질역(疾疫 : 큰병이 유행함)을 뜻하기도 하며,
③자연 현상으로 입은 세 가지 재해(災害) 즉 곡식이 익지 않는 기(飢), 채소가 익지 않는 근(饉), 과일이 익지 않는 황(荒)을 가리키기도 한다.
④우리 마음속에 일어나는 탐진치(貪瞋癡) 삼독(三毒)으로 인한 육도윤회(六途輪廻)의 재난.
삼재의 첫해를 입삼재(入三災, 들삼재)라고 하며 두 번째 해는 침삼재(枕三災, 눌삼재·앉은삼재), 마지막 해를 출삼재(出三災, 날삼재)라고 한다. 고려시대 이전부터 삼재에 대한 개념이 형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시대에는 삼재라는 개념이 널리 확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 송담스님(No.336)—87년 8월 첫째일요법회(87.08.02)에서. (6분7초)
〇그러나 하늘에서 비가 내리고 또 바람이 불고 한 그러한 재난은 사실은 큰 재난이라고 할 것이 못 되는 것입니다.
우리 마음속에 일어나는 수재(水災)와, 우리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화재(火災)와, 우리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팔풍(八風)의 그 풍재(風災), 이러한 재난은 참으로 무서운 것입니다.
수재가 일어나서 육백 명이라고 하는 인명(人命)을 앗아가기도 했지만, 그보다도 훨씬 참혹하고 무서운 재난은 우리 낱낱이 우리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재난, 이것이야말로 우리를 무간지옥(無間地獄)으로 몰아넣는 그러한 무서운 재난인 것입니다.
비가 폭우가 쏟아지고 태풍이 불어서 얻은 재난은 재산을 앗아갑니다. 재산은 또 부지런히 벌면 보충을 할 수 있는 것이고, 설사 그러한 수재로 인해서 생명을 잃었다 하드라도 그렇다고 해서 그 사람이 꼭 지옥에 가란 법은 없습니다.
몸을 바꿔서 좋은 데에 태어날 수도 있고 다시 인도환생(人道還生)을 할 수도 있지마는, 우리 마음속에 일어나는 탐진치(貪瞋癡) 삼독(三毒)의 화재로 일어난 그 재난은 영락없이 우리를 축생(畜生)이나 또는 아귀(餓鬼)나 지옥(地獄)으로 우리를 밀어붙이고 마는 것입니다.
무량겁으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수없는 마음속에 그 수재와 화재로 인해서 많은 피해를 입어 왔습니다. 그 탐진치 삼독, 오욕락(五欲樂), 팔풍경계에 우리는 잠시도 편할 날이 없습니다.
지금 이 폭풍이나 태풍 이런 것은 여름 한때 장마철에 지나가 버리고 며칠간 그러다가 그치면 또 조용합니다. 또 내년에 이맘때 되면은 또 그러한 것이 오겠습니다마는, 그래도 1년에 한 번 정도 오는 거야 우리가 미리미리 취약지구에 대한 대처를 해 나가고 모다 댐이라든지 그런 것을 장기적인 안목으로 잘 해나간다면 언젠가는 큰 피해를 막을 수가 있을 것입니다.
또 그건 온 나라의 여러 국민들이 모다 합심을 해서 모다 의연금품을 내고 나라에서도 모다 구제를 하고 그러면 어느 정도 또 상처를 또 아물게 할 수가 있겠습니다마는.
우리의 자신의 마음속에 일어나는 그 태풍과 폭풍, 폭우 모다 그런 것은 아무도 우리 자신을 대신해서 그것을 봐줄 사람이 없습니다.
나라에서도 어찌해 볼 수가 없고, 부모형제라 하더라도 어찌 해볼 수가 없고, 오직 나 자신의 마음의 수재와 화재와 풍재는 나 자신의 수행을 통해서만이, 활구참선을 통해서만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 것입니다.
대단히 이 마음속에 일어나는 풍재와 화재 또는 수재 이런 것이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이번에 지나간 그러한 폭풍이 유(類)가 아닌 것입니다. 폭우가 비교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완전히 고대로 놔둔 채, 눈 한번 깜박할 사이에 자신을 갖다가 지옥구덩이에 갖다가 처박기도 하고, 축생의 뱃속에—이 사람 껍데기를 뒤집어쓴 채 독사가 되기도 하고, 호랑이가 되기도 하고, 또 아귀와 그런 악마가 되게 하는 그러한 무서운 것입니다.
순전히 ‘한 생각’으로 인해서, 그 한 생각을 자기가 다스리지 못해 가지고 그러한 육도(六途)를 찰나간(刹那間)에 윤회(輪廻)를 하면서 백 년의 꿈을 꾸어가고 있는 것이 우리의 인생인 것입니다.
*맥(脈을) 추다 ; ①(사람이) 잃었던 기운이나 힘을 다시 돌이키다. ②(사람이) 기운이나 힘을 쓰다. ③(사람이) 용기를 내거나 기를 펴다.
*불공(佛供 부처 불/이바지할·바칠 공) ; 부처님 앞에 향(香) · 등(燈 )· 꽃 · 음식 따위를 바치고 기원함.
*마구니 ; 마(魔). [범] mara 음을 따라 마라(魔羅)라 하고, 줄여서 마(魔)라고만 한다。장애자(障礙者)• 살자(殺者)• 악자(惡者)라 번역。목숨을 빼앗고 착한 일을 방해하며 모든 것을 파괴하는 악마를 말한다. 그러나 마(魔)는 밖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에서 생기는 것이다.
[참고] [선가귀감(禪家龜鑑)] (용화선원刊) p64에서.
〇마(魔)란 생사를 즐기는 귀신의 이름이요, 팔만사천 마군이란 중생의 팔만사천 번뇌다. 마가 본래 씨가 없지만,수행하는 이가 바른 생각을 잃은 데서 그 근원이 파생되는 것이다.
중생은 그 환경에 순종하므로 탈이 없고, 도인은 그 환경에 역행하므로 마가 대들게 된다。그래서 ‘도가 높을수록 마가 성하다’고 하는 것이다.
선정 중에 혹은 상주(喪主)를 보고 제 다리를 찍으며 혹은 돼지를 보고 제 코를 쥐기도 하는 것이, 모두 자기 마음에서 망상을 일으켜 외부의 마를 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마의 온갖 재주가 도리어 물을 베려는 것이나, 햇빛을 불어 버리려는 격이 되고 말 것이다。옛말에 ‘벽에 틈이 생기면 바람이 들어오고, 마음에 틈이 생기면 마가 들어온다’고 하시니라.
*묘방(妙方) ; ①기묘한 방법. ②신묘하고 효험이 뛰어난 처방(處方).
*결제(結制 맺을 결/만들·법도 제) ; 참선 수행하는 안거(安居)에 들어감. 하안거는 음력 4월 15일에 결제하며, 동안거는 음력 10월 15일에 결제한다.
*번뇌(煩惱 번거러울 번/괴로워할 뇌) ; ①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어지럽히고[煩亂, 煩勞, 煩擾] 괴롭혀 고뇌케[逼惱, 惱亂] 하므로 번뇌(煩惱)라 표현. 근원적 번뇌로서 탐냄(貪)•성냄(瞋)•어리석음(癡) 등이 있다.
②나라고 생각하는 사정에서 일어나는 나쁜 경향의 마음 작용. 곧 눈 앞의 고(苦)와 낙(樂)에 미(迷)하여 탐욕•진심(瞋心)•우치(愚癡)등에 의하여 마음에 동요를 일으켜 몸과 마음을 뇌란하는 정신 작용.
불교는 중생의 현실을 혹·업·고(惑·業·苦)의 삼도(三道)로 설명한다. 즉 번뇌[惑]에 의해 중생이 몸과 마음의 행위[身口意 三業]를 일으키게 되면, 이로써 3계 6도의 생사윤회에 속박되어 고통[苦]의 과보를 받게 된다.
*망상(妄想 망령될 망/생각 상) ; ①존재하지 않는 것을 존재하는 것으로 상정하고 집착하는 의식의 작용. 분별(分別), 망상분별(妄想分別), 허망분별(虛妄分別), 망상전도(妄想顚倒) 등으로도 한역한다. ②이치에 맞지 아니한 망령(妄靈)된 생각[想]을 함, 또는 그 생각. 잘못된 생각. 진실하지 않은 것을 진실하다고 잘못 생각하는 것.
*승속(僧俗) ; 스님과 스님이 아닌 속인(俗人)을 아울러 이르는 말.
*내생(來生) ; 죽은 후에 다시 맞이하는 미래의 삶.
*법보제자(法寶弟子) ; [참고] 89년 설날차례(89.02.06) 법요식에서.
〇여기 (용화선원 대웅전 법보단) 만년위패에 우리의 조상 여러 영가와 원근 친척의 인연 있는 영가들을 모신 이 자리에 참석하신 모든 여러분은 법보가족이라고 말을 할 수가 있습니다. 한 가족입니다.
조상의 영가를 한 법당(대웅전 법보단, 舊 법보전)에 모셨으니 우리가 한 가족인 것입니다. 더군다나 우리는 정법(正法)에 의지해서 도를 닦는 또 이 도반(道伴)이면서 또 한 가족인 것입니다.
*여하약하(如何若何) ; 이러쿵저러쿵. 이러하다는 둥 저러하다는 둥 자꾸 말을 늘어놓는 모양.
*염라대왕(閻羅大王) : 염마왕(閻魔王). 염라왕(閻羅王). 명후(冥侯). 사후세계의 지배자로, 망자(亡者 죽은 사람)를 재판하는 자. 죽어서 지옥에 떨어진 인간의 생전에 행한 선악(善惡)을 심판하여 벌은 주는 왕.
*소이(所以 경우 소/까닭 이) ; 까닭(일이 생기게 된 원인이나 조건).
*가부좌(跏趺坐 책상다리할 가/책상다리할 부/앉을 좌) ; 결가부좌(結跏趺坐)의 줄임말. 좌선할 때 앉는 방법의 하나. 가(跏)는 발바닥을, 부(趺)는 발등을 가리키는 말인데, 두 다리를 교차시켜 양쪽 발바닥이 위로 드러나게 앉는 좌법(坐法). 가부(跏趺) · 가좌(跏坐)라고도 한다.
오른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뒤,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드러나게 앉는 항마좌(降魔坐)와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뒤, 오른발을 왼편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위를 향하게 하여 앉는 길상좌(吉祥坐)가 있다.
*자지바지 ; 좌선(坐禪)할 때 몸에 너무 힘을 주어, 몸 전체가 긴장으로 인해 뻣뻣하게 되어 있는 모습. 좌선 할 때는 몸을 단정(端正)히 하면서도 긴장과 힘을 빼야 한다.
*평상(平常) ; 평상시(平常時, 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때).
*응시(凝視 엉길 응/보일 시) ; ①시선을 한곳으로 모아 집중해서 뚫어지게 바라봄. ②어떤 일이나 현상에 대하여 깊이 살핌.
*제절로 ; ①‘저절로(작위적인 노력없이 자연적으로)’의 사투리. ②’스스로(자기 자신의 힘으로, 다른 것의 간섭이나 영향을 받지 않고 저절로)’의 사투리.
*화두(話頭 말씀 화/어조사 두) ; 공안(公案)·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화두는 「말」이란 뜻인데, 두(頭)는 거저 들어가는 어조사다.
「곡식을 보고 땅을 알고, 말을 듣고 사람을 안다」는 옛말이 있다. 도(道)를 판단하고 이치를 가르치는 법말·참말을 화두라고 한다.
또는 공안이라고 하는 것은 「관청의 공문서」란 뜻인데, 천하의 정사를 바르게 하려면, 반드시 법이 있어야 하고 법을 밝히려면 공문이 필요하다.
부처님이나 조사들의 기연(機緣), 다시 말하면 진리를 똑바로 가르친 말이나 몸짓이나 또는 어떠한 방법을 막론하고 그것은 모두 이치세계의 바른 법령(法令)인 것이다. 그러므로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무궁무진(無窮無盡 없을 무/다할 궁/없을 무/다할 진) ; ①수량이 끝도 없고 다함도 없을 정도로 많다. ②끝도 없고 다함도 없음.
*사량분별(思量分別) : 사량복탁(思量卜度), 사량계교(思量計較)와 같은 말。 생각하고 헤아리고 점치고 따짐。 가지가지 사량분별(思量分別)로 사리(事理)를 따짐。 법화경 방편품(法華經方便品)에 「이 법은 사량분별로 능히 알 바가 아니다」라고 함.
[참고] 『몽산법어(蒙山法語)』 (용화선원刊) 박산무이선사선경어(博山無異禪師禪警語) p155~158 에서.
〇做工夫호대 不可在古人公案上하야 卜度하야 妄加解釋이니, 縱一一領畧得過라도 與自己로 沒交渉하리라. 殊不知古人의 一語一言이 如大火聚로다. 近之不得하며 觸之不得이온 何況坐臥其中耶아. 更于其中에 分大分小하며 論上論下인댄 不喪身失命者幾希리라.
공부를 짓되 옛사람의 공안에 대하야 헤아려[卜度] 망령되이 해석을 붙이지 말지니, 비록 낱낱이 알아낸다 할지라도 자기하고는 아무런 상관이 없으리라.
자못 고인의 한 말씀 한 말씀이 마치 큰 불덩어리 같음을 알지 못하는도다。 가까이 할 수도 없고 만질 수도 없거늘 하물며 그 속에 앉았다 누웠다 하리요? 더구나 그 가운데서 크고 작음을 분별하며 위라 아래라 따진다면, 생명을 잃지 않을 자 거의 없으리라。
〇做工夫人은 不可尋文逐句하며 記言記語니, 不但無益이라 與工夫로 作障礙하야 眞實工夫가 返成緣慮하리니, 欲得心行處絕인들 豈可得乎아
공부 지어 가는 사람은 문구(文句)를 찾아 좇지 말며 말이나 어록을 기억하지 말지니, 아무 이익이 없을 뿐 아니라 공부에 장애가 되어서 진실한 공부가 도리어 망상의 실마리가 되리니, 마음의 자취가 끊어지기[心行處絕]를 바란들 어찌 가히 될 수 있으랴?
〇做工夫호대 最怕比量이니, 將心湊泊하면 與道轉遠하리니, 做到彌勒下生去라도 管取沒交渉하리라. 若是疑情이 頓發的漢子인댄 如坐在*鐵壁銀山之中하야 只要得個活路이니, 不得箇活路면 如何得安穩去리요 但恁麼做去하야 時節이 到來하면 自有箇倒斷하리라
공부를 지어 가되 가장 두려운 것은 비교하여 헤아리는 것[比量]이니, 마음을 가져 머뭇거리면 도(道)와 더불어 더욱 멀어지리니, 미륵불이 하생할 때까지 공부를 할지라도 아무 소용이 없으리라.
만약 의정이 몰록 발한[頓發] 사람일진댄 마치 철벽(鐵壁)이나 은산(銀山) 속에 들어앉아서 다만 살 길[活路]을 찾는 것같이 할지니, 살 길을 찾지 못하면 어찌 편안히 지내가리오? 다만 이와같이 지어 가서 시절이 오면 저절로 끝장이 나리라.
------------------(2)
*전연(全然 온전할 전/그러할 연) ; 주로 부정어와 함께 쓰여 ‘조금도’, ‘아주’, ‘완전히’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그 내용의 정도를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강조할 때 쓴다.
*참구(參究 헤아릴 참/궁구할 구) ; ①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것. ②선지식의 지도 아래 참선하여 화두(공안)을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의심(疑心) :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해 ‘알 수 없는 생각’에 콱 막히는 것.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또는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또는 ‘조주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바른 깨달음은 알 수 없는 의단, 알 수 없는 의심에 꽉 막힌 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참화두(本參話頭) ; 본참공안(本參公案).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거두절미(去頭截尾) ; 말이나 사건 등의 부차적인 설명은 빼어 버리고 사실의 요점(要點)만 말함.
*이뭣고(是甚麼 시심마) : ‘이뭣고? 화두’는 천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어떤 일이 일어난 그 자리)를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 ‘이것이 무엇인고?’ 이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 ‘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는 일곱 자(字)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이, 뭣, 고’ 석 자(字)이다. ‘이뭣고?(이뭐꼬)'는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그 뜻은 그 속에 다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을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 왔다.
*사백사병(四百四病) ; 인체에 일어나는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사람의 몸을 구성하는 사대(四大)—지(地)·수(水)·화(火)·풍(風)의 부조화로 각 요소에 대해서 101가지 병이 있다고 한다.
지(地)와 화(火)에서 일어나는 열병(熱病)이 202가지, 수(水)와 풍(風)에서 일어나는 냉병(冷病)이 202가지로 구별하기도 하는데, 경전에 그들에 대한 설명이나 해석이 일정하지 않다.
*생사해탈(生死解脫) ; 생사(生死)를 떠나 깨달음의 세계에 드는 것.
*법문(法門 부처님의 가르침 법/문 문) ; 불법(佛法)을 문(門)에 비유한 말. 부처님의 가르침은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 세계를 벗어나, 열반(涅槃)에 들게 하는 문(門)이므로 이렇게 이름.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르는 말. 진리에 이르는 문.
*소지(掃地 쓸 소/땅 지) ; ①마당(땅)을 쓺. 또는 그 일을 맡은 사람. ②청소.
*염념상속(念念相續) ; 생각 생각이 잊지 아니하고 계속 이어 나가다.
*업(業) : [범] karma [파] Kamma 음을 따라 갈마(羯磨)라고 하며, '짓다(作)'의 뜻이다。중생들이 몸으로나 말로나 뜻으로 짓는 온갖 움직임(動作)을 업이라 한다。개인은 이 업으로 말미암아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모든 운명과 육도(六道)의 윤회(輪廻)를 받게 되고, 여러 중생이 같이 짓는 공업(共業)으로 인하여 사회와 국가와 세계가 건설되고 진행되며 쇠퇴하거나 파멸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 처음에는 악업(惡業)을 짓지 말고 선업만 지으라고 가르치다가, 필경에는 악과 선에서도 다 뛰어나고, 죄와 복에 함께 얽매이지 말아서 온갖 국집과 애착을 다 버리도록 하여, 부처님의 말씀에까지라도 걸리지 말라고 하신 것이다.
*달마 스님, 하택신회, 육조 스님 ; 분류 ‘역대 스님 약력’ 참고.
*지해종사(知解宗師) ; 참선 공부를 알음알이[知解]로 따져서 해석하고 강론하고 공부해 가는 강사나 이론가를 말한다.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을 깨달음.
*생사(生死) ; ①생과 사. 살아 있는 것과 죽은 것. ②유전(流轉 윤회의 생존. 생사의 갈림길)의 모습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말. 미혹(迷惑 도리에 어두운 것). 미혹의 세계. 미혹의 모습. 현실 사회의 고뇌. 태어남과 죽음이 번갈아 끊임이 없는 미혹의 세계. 윤회와 같음.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본참공안]를 받아서,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천칠백 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마왕(魔王) 파순(波旬) ; 천마(天魔). 욕계(欲界)의 제육천(第六天) 곧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의 임금은 곧 마왕(魔王)이니, 그 이름이 파순(波旬)이다. 그는 항상 불법을 파괴하려고 애쓰고 있다. 그것은 불도(佛道)를 공부하는 이가 있으면 그의 궁전이 흔들리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누구나 불법을 공부하겠다는 생각을 낼 때에 곧 천마가 따르는 것이다。다시 말하면 한 생각 일어나는 그것이 곧 천마다.
*부작(符作) ; ‘부적(符籍)’의 변한 말. 부적(符籍 부적 부,문서 적)—잡귀를 쫓고 재앙을 물리치기 위하여 붉은색으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 몸에 지니거나 집에 붙이는 종이.
'참선법 A B C D 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2)) ‘이뭣고?’ 화두드는 법 / 참선법은 본성을 깨닫는 가장 훌륭하고 빠른 길 / 사도에 빠지지 말라 / 일체 경계에 즉(卽)해서 화두를 들어야 / (게송)천강동일월~. (0) | 2021.07.12 |
---|---|
(013) 참선법E (전체) (0) | 2014.10.06 |
(346) 참선법D (전체) (0) | 2014.06.17 |
(184) 참선법C (전체) (0) | 2014.03.18 |
(152) 참선법B (전체) (0) | 2014.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