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화선원 법문 유튜브에서 보고 듣기 --->유튜브로 바로가기
•§• 휴휴암주좌선문(休休庵主坐禪文) (2/4) 휴휴암주의 좌선문.
**전강선사(No509)—몽산 24-2. 휴휴암주좌선문(2) (갑인74.06.02)
(1) 약 16분.
(2) 약 7분.
(1)------------------
고목별춘색(枯木別春色)이요 영양괘벽상(羚羊掛壁上)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청산유역진(靑山遊歷盡)이요 장부능사필(丈夫能事畢)이니라
나무~아미타불~
고목(枯木)이, 마른 냉기가 봄빛을 이별했고, 더군다나 나무는 말랐는데 봄빛을 이별했으니 봄빛이 없어.
영양괘벽상(羚羊掛壁上)이라. 영양(羚羊)이라는 짐승은 뿔따구를 저 석상(石上) 돌머리에다가 걸어버리는데, 영양은 걸어. 그러니 그놈이 자취도 없고 매달려 가지고 따악 벽상(壁上)에 걸어버린다 그말이여.
공부 경계가 그렇다 그말이여.
마른 냉기가 춘색(春色)을 이별했고, 영양(羚羊)이란 놈이 댕기다가 뿔을 벽상에 걸어버리면은 발자취도 없다. 어디 자취가 있나? 아무 것도 없지.
별것이 있는 줄을 안다 그말이여.
별것이 있고, 도를 통하면은 별것을 알고, 별 이치를 다 보고, 그런 줄 안다 그말이여. 그것 참!
그렇게 ‘이치(理致)도 아니다. 유(有)도 무(無)도 아니다. 색상 뭐, 모양 뭐, 다 아니라고’
범부의 뜻도 아니요. 중생의 뜻, 중생의 알음알이 그런 것도 아니요. 성해(聖解)도 아니요. 성해 나는 것도 아니요. 그런 것까장 다 떼 버리고 여의어 버렸는데, 뭘 거냔 말이여? 뭣이냐 그말이여?
그렇지마는 다 없어. 다 없어. 하나도 있는 것이 없어.
다 없다마는 또 다 있다. 없는 것이 없어.
아, 이런 놈의 일 좀 봐. 그런 일이 어디 있어? 다 없고 다 있다?
여기는 고목(枯木)이 춘색(春色)을 이별했고, 영양(羚羊)이란 놈이 뿔을 벽상(壁上)에 걸어버렸다.
청산유역진(靑山遊歷盡)인데, 청산(靑山)을 전부 댕기면서 유역(遊歷)해서 어느 산골짜기고 어디를 막론하고 다 역진(歷盡)을 했다. 다 찾아댕기면서 모두 지내 다했다.
장부능사필(丈夫能事畢)이다. 장부(丈夫)가 능히 일을 마쳤다.
오늘 아침 게송(偈頌)은 아무 것도 없는 거, 뭐 일체 색상 경계 다 여의고 떼 버리고, 일물(一物)도 없는 경계,
거기 나가서 또 다 있는 거지, 하나도 없는 것이 뭐가 있나? 없다가 보니 있다. 그런 게송(偈頌)이여.
회광반조(廻光返照)하야, 광(光)을 돌이켜서—광(光)이라는 것은 내 심광(心光), 마음 광명을 돌이켜서,
무슨 마음이 퍼뜩 날 것 같으면은, 그놈이 그저 일체 망념이 저 외경(外境)에, 바깥 경계에 모도 가서 ‘이것이다, 저것이다, 무엇이다’ 그저 온갖 별 분별 경계, 그놈을 거두라 그말이여.
그 광(光)을 돌이켜라. 그놈도 모두 내 광(光)에 나가서 이것이다, 저것이다, 무슨 천하 만삼라(萬森羅)를 다 그놈이 말을 하고, 그놈이 다 일체 경계에 범하고.
그놈을 돌이켜. 척! 광(光)을 돌이켜서 반조(返照)해라. 도로 내 화두(話頭)를 비추어. 내 화두를 거각(擧却) 해.
‘이뭣고?’ 아! ‘이뭣고?’한 놈을 떡! 추켜들면은 그만 제대로 반조가 되어버리지.
무슨 망념이 어디가 붙어? 망념이 제대로 그만 밖의 경계에 아무 것도 없어, 외식제연(外息諸緣)이 그대로 되어버리고, 내조(內照) 안으로 이 화두 하나가 그대로 나오지. ‘이뭣고?’ ‘어째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어째 판치생모라 했는고?’ 조주(趙州) 판치생모라는 것만 찾는 거지,
‘어째서 판치생모라고 했는고?’ ‘어찌 판치생모라고 했는고?’ 뭐 그런 데 가서 분단 내지 말란 말이여. 그 분단이 무슨 분단이 있나?
‘판치생모’라고 했는데, 『조주는 어째 판치생모라고 했나?』 뿐이지.
거가서 공연히 요놈 찍어 붙이고 저놈 찍어 붙이고, 요것이 옳은가 저게 옳은가, 그거 아니라 그말이여.
그 탁근(托根)하에서—화두를 들어 일으키는 곳에서 그 의근(意根) 그 뿌럭대기(뿌리)에서 이치를 붙여 자꾸 그래싸면 아무짝에도 못쓰는 화두여.
판치생모라고 했으면 그대로 『판치생모?』 『어째 판치생모라고 했는고?』 뿐이지. 『판치생모라니?』 『어찌 판치생모여?』 그 뿐이지.
거가서, 판치생모에 가서 무슨 ‘어째서 판치생모라고 했나?’ ‘어째 판치생모라고 했나?’ 뭐 그런 분별 짓지 말라 말이여.
그거 화두상에 그 의근하(意根下) 탁근(托根)이여. 뿌럭대기에서 모도 망상 짓는 것이여. 거기서 얼마가 화두가 손해난 거여.
『판치생모?』 뿐이지, 조주 뜻 찾는 것이지.
일체 공안(公案)이 다 그 본분납승(本分衲僧)의 수리(手裏)에 떨어져 있거늘, 저번에 무자십절목(無字十節目)에 내가 그렇게 안 했어?
유일등인(有一等人)은 갱향타무자상(更向他無字上)하야 토자미(討滋味)하나니 기불둔치평생(豈不鈍置平生)이냐. 어찌 평생을 둔치(鈍置)한 놈들이 아니냐.
무자(無字) 의지(意旨)나, 판치생모(板齒生毛)나, 그 무자 의지, 판치생모 뜻이 ‘조주(趙州) 뜻’이여. 조주에게 있는데, 따로 찾지 말라 그말이여.
그런께 『어째서 판치생모라고 했는고?』 그래야 하거든. 그러면 ‘판치생모’라는 뜻이 바로 ‘조주 뜻’이거든. 그놈이 무슨 다른 놈 아니여.
알 수가 없으니까 『판치생모?』 『어째 판치생모라고 했는고?』
‘판치생모’를 가자(假字)해서 ‘조주 뜻’을 찾는 것인데, ‘판치생모’는 따로 또 내던져 버리고 ‘조주 뜻’을 찾는 게 아니거든.
『이뭣고?』하면 『이뭣고?한 그놈』이 바로 그 ‘뭣고?’ 뜻인데, 따로 찾을 거 있냐 그말이여. 똑같은 거 아닌가.
『‘이~?’』한 이 자리, 『‘이~’ 뭣고?』 거가서 주각(註脚)을 내지 말란 말이여.
그 주각을 무엇이라고 하나? 분별이라고도 할 수 있고, 그놈을 따져서 모두 해석이라고 할 수도 있고, 이것이다 저것이다 논상논하(論上論下)라고 할 수도 있는 것이고.
광(光)을 돌이켜서 비춰라. 그 광(光)을 돌이켜 비추라고 하니까, 무슨 이상스런 광(光)을 돌이킬라고 말어.
그 마음이 어수선해서 사방 모도 흐트러져서 참선을 한다고 앉았지마는 마음은 모도 나가서 저 분별 경계에 떨어져. 사방 모도 안 간 데 없이 이 마음 저 마음이 그저 이리 일어났다가 저리 일어났다가, 그저 어디 가서 한번 돈벌이를 해 봤다가 또 별짓을 다 해본다 그말이여.
그거 중생심이란 그뿐이지, 다른 게 없어. 앉었으나 누웠으나 가나오나 행주좌와에 맨 일어나는 마음은 그뿐이여.
그저 잘산 거, 못산 거, 그저 과거에 잘한 것, 못한 것, 그저 시시비비, 그저 일체 망상 분별심 밖에는 없어.
그놈 밖에 없으니—그놈 가만 두어. 그걸 없앨라고도 말고, 거둘라고도 말고, 그놈 돌이킬라고도 말고, 대체 무슨 이 심마(甚麽)오? 이것 뭣꼬? 『‘이뭣고?’한 이놈이 뭐냔』 말이다.
도대체 한번 전제(全提)로, 『‘이뭣고?’한 놈이 뭣고?』 한번 그렇게도 해 봐.
그래가지고는 그만 그 다음에는 『‘이’ 뭣고?』 『이~?』한 놈이 곧 화두 거각 아닌가.
『‘이’ 뭣고?』 ‘이~?한 놈’이 ‘알 수 없는 놈’이라 그말이여.
『‘이~?’한 놈을 이뭣고?』 요렇게 돌이키라 그말이여. 『이뭣고?』
조주 스님 조사서래의(祖師西來意)를 물으니까 판치생모(板齒生毛)라고 했으니 『어째 판치생모라 했는고?』 『어찌 판자 이빨에 털 났다고 했는고?』 단(單)! 그뿐이여. 그러면 그놈이 그만 그대로 회광반조(廻光返照)여.
일체 망념은 거기에 도무지 따라 오도 않고, 없고, 어디 그놈이 본래 일어나는 곳이 따로 있나?
그러니께 화두만 그대로 『이뭣고?』. 거 참 기맥히지. 그 뭐 그 이상 더 어떻게 혀?
그렇게 하고 또 하고, 그렇게 하고 또 하고, 밥 먹고 옷 입으면은—밥 먹을 사이인들 틈이 있나? 옷을 입는다고 한들 틈이 있나? 틈이 어디가 있어! 그렇게 회광반조(廻光返照)를 해라.
화두 하나 알 수 없는 놈 나오고, 판치생모 하나 의단독로(疑團獨露) 하면 그게 반조(返照)여, 반조 모양이여, 그것이.
철법근원(徹法根源)해라. 법의 근원을 사무쳐라.
그 법의 근원이라는 것은 아무 것도 붙지 못한 곳이요, 중생, 제불(諸佛), 그 마음이—심불급중생(心佛及衆生)이 마음·부처·중생이 차별 없는 곳, 무슨 거기에 차별이 있어?
아무 것도 별(別)이 없는 곳, 법의 근원을 사무쳐라. 그걸 선(禪)이라 한다.
선(禪)이 그게 선이지, 다른 게 선(禪) 아니다.
뭘 알고 앉았거나, 비추고 앉았거나, 제가 무슨 천하 세계에 없는 이치를 장만해 가지고 앉았거나, 그거 외도선(外道禪)이여. 외도선 그거 안 한 것만 못한 것이여, 외도선이라는 것은.
가만히 앉어서 세계를 능단(能斷)해도—세계를 능히 끊고 세계를 뒤집어 놨자, 그런 것은 선(禪)이 아니여. 고런 짓 하는 것은 외도여.
(선이라는 것은) 생사 없는 도리를 깨달라 증득하는 것이지! (처음~15분31초)
(2)------------------
불위역순뇌(不爲逆順惱)하며—역순(逆順)에 뇌(惱)하지 말며.
누가 거스른다고 거기에 그만 골이 나서 못 견뎌서 그놈을 그만 원수를 갚을라 하고, 무슨 거다가서 별별 계획을 다 갖다 야단을 치며,
또 순경계(順境界) 나를 좋게 만드는 데, 그 마음이 좋아서 못 견뎌서 그만 엎어지고, 그러한 역순경계(逆順境界)에도 뇌롭지 말아라. 거가서 수고롭지 말아라.
고런 역(逆)이나, 순(順)이나 뭐 상관이 있나? 그까짓 데.
나를 역(逆) 거슬르거나, 나를 순(順) 좋게 만들어 주거나, 그까짓 데 도인이, 공부인이 놀아나지 말어라 말이여. 그런 데 불리지 말란 말이여.
도인이거든, 공부인이거든 고렇게 행을 해라. 역경계 순경계 거기 한번 초월해라.
불위성색전(不爲聲色轉)하라. 성색(聲色)에 전(轉)하지 말아라.
소리와 색에—그 좋은 음성이라든지 소리와 또 좋은 모양이라든지, 그런 기가 맥힌 절묘한 예쁜 사람이라든지, 미인이라든지, 무슨 소리 좋은 가무 명창이라든지, 고러헌 데 또 전(轉)하지 말아라.
그런 데 마음을 갖다가서 거기다 붙여서 그 ‘하따! 좋다’고 엎어지고 그것 그래 쓸 것이냐? 공부인이라는 것은 성색전(聲色轉)이 안 되야 된다.
그까짓 것 일체 경계가 좋거나 말거나 그러한 데 내가 무슨 전(轉)할 것이 있나? 그걸 위지좌(謂之坐)라 한다.
좌선(坐禪)이여. 시방 좌선 얘기한 것이여. 참선 좌선이 이렇게 해야 되는 것이지. 낱낱이 간택해 논 것이여.
촉유즉명유일월(燭幽則明愈日月)이요. 화두가 밝게 되면은 화두가 역역고명(歷歷孤明)해서—‘외로울 고(孤)’자, ‘밝을 명(明)’자, 고명(孤明)이라는 건 ‘홀로 밝는 것이다’ 그말이여. 제일 밝아. 적이 없어.
화두가 고명(孤明)해서 저 다른 마음이 조금도, 그 터럭끝 만큼도 섞이지 않고 화두가 온전히 된다. 명유일월(明愈日月)이다. 일월(日月)보다도 더 밝는 것이다. 일월이 거기 비유할 수가 없다.
촉유즉명유일월(燭幽則明愈日月)하고, 밝은 즉은 일월(日月)보담도 더 하고,
화물즉(化物則) 물건을 화한즉, 역승건곤(力勝乾坤)이라. 그 힘이 건곤(乾坤)을 이긴다. 물건을 화(化)한 즉 역승건곤—그 한번 어디 응대한 즉 건곤을 이긴다. 하늘과 땅이 거그 붙들 못혀. 그런데 무슨 망념이 거기 붙을까 보냐?
이건 화두를 늘 자꾸 또 하고 또 하고, 그저 하면은 망상으로 싸우다가, 망상 경계가 한번 제대로 물러가 버리고—물러갈 것도 없이 그대로 잦아져 버리지. 그 자리에서 잦아져 버리지, 어디 일어난 곳이 있나? 그런 때가 이제 오지.
그래 자꾸 처음 초학자들이 화두를 그렇게 잘 잡드리를 해야지, 하다 말다가 그만 좀 하다가 퇴타(退墮)하고, 좀 하다가 말고,
퇴타가 무슨 물러가 퇴타한 것이 아니라, 공부할 때에도 밤낮 퇴타를 하거든, 공부 지어 나갈 때도.
이렇게 된 때가—일체 망념이 붙지 못하고 역승건곤(力勝乾坤)할 때가 있어. 건곤이 도무지 와서 어쩌지 못혀. 그걸 선(禪)이라 한다. 좌선(坐禪)이라는 게 이런 지경이 있다.
어유차별경계(於有差別境界)에—저 일체 차별 번뇌 망상 경계에,
입무차별정(入無差別定)을—일체 차별 경계에서 차별 없는 정(定)에 들어가는 것을,
일체 차별 경계에서—경계가 없는 것이 아니라, 차별 경계 속에서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고 별짓을 한바탕 다 해 본들, 거기에 화두가 정(定)에 들어서, 도무지 뭐 요동이 없는 것을 그것을 또 이르되 선(禪)이라 한다.
인제 그런 경계가 오거든. 그걸 좌(坐)라 한다. 그런 경계를 좌(坐)라 한다.
저 어무차별지(於無差別智)에—저 일체 차별지 없는데, 시유차별지(示有差別智)를 위지선(謂之禪)이라 한다.
차별지(差別智)가, 도무지 아무 것도 차별지가 없는데 천만사 하나도 무슨 지혜(智慧)가 없어.
헌데 거기가서 일체 차별지가 있거든. 하나도 없어진 법이 없고 그대로 차별지가 있다 그말이여.
없는데 있다 그말이여. 어디 없으면 아주 없나? 그것을 선(禪)이라 한다.
좌선법은 여까장 말을 했어. 요 밑에 가서 인자 합론(合論)이 있는데, 합론은 또 내일 아침에 말해.. 기운이 없어서 많이 설허덜 못해.(15분37초~22분34초)(끝)
[참고] 위에 하신 법문에 해당하는 ‘휴휴암주좌선문’의 원문(原文). 『몽산법어』 (용화선원刊) p90~91
〇外撼不動(외감부동)하며 中寂不搖(중적불요)가 謂之坐(위지좌)요 廻光返照(회광반조)하야 徹法根源(철법근원)을 謂之禪(위지선)이라
밖에서 흔들어도 움직이지 아니하며 속으로 고요하야 흔들리지 아니할 새 좌(坐)이요。 광(光)을 돌이켜 반조(返照)하야 법의 근원을 사무치는 것을 일컫되 선(禪)이라.
不爲逆順惱(불위역순뇌)하며 不爲聲色轉(불위성색전)을 謂之坐(위지좌)요 燭幽則明愈日月(촉유즉명유일월)하고 化物則力勝乾坤(화물즉역승건곤)을 謂之禪(위지선)이요
於有差別境(어유차별경)에 入無差別定(입무차별정)이 謂之坐(위지좌)요 於無差別法(어무차별법)에 示有差別智(시유차별지)가 謂之禪(위지선)이라
역(逆)한 경계와 순(順)한 경계에 뇌란(惱亂)치 아니하며, 성색(聲色)에 굴림이 되지 아니함을 좌(坐)요。 어두운 데 비취면 밝음이 일월(日月)보다 더하고, 만물(萬物)을 교화(教化)할지면 힘이 건곤(乾坤)에 능가함을 선(禪)이요.
차별(差別) 있는 경계에서 차별 없는 정(定)에 들어가는 것이 좌(坐)요。 차별 없는 법에서 차별 있는 지혜를 보이는 것이 선(禪)이라.
------------------(1)
*(게송) ‘고목별춘색~’ ; [청허당집(清虛堂集)] (서산휴정 著) ‘心禪子行脚(二)’ 게송 참고.
*알음알이 ; ①어떤 인식대상에 대해 마음 또는 마음작용이 가지는, 그 인식대상에 대한 형상 즉 이미지를 아는 것을 말한다.
②마음이 번뇌에 덮여있는 상태, 말하자면 거울에 때가 낀 상태에서 가지는 이러한 앎을 깨달음[무루혜 無漏慧-모든 번뇌를 해탈(解脫)한 성자(聖者)의 지혜]과 구분하여 알음알이라 한다.
*만삼라(萬森羅) ; 삼라만상(森羅萬象). 우주 사이에 벌여 있는 온갖 사물과 현상.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거각(擧却 들 거, 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일체 공안(公案)이 다 그 본분납승(本分衲僧)의 ~ 둔치(鈍置)한 놈들이 아니냐’ ;
[참고] [몽산법어(蒙山法語)] (용화선원刊) p77~78 참고.
〇觀其道箇無字하건댄 性命이 落在*本色衲子手裏어늘 有一等人이 更向他無字上하야 討滋味하나니 豈不鈍置平生이리요.
이 무자(無字)를 이른 곳을 보건댄 성명(性命)이 본색납자의 손 안에 떨어져 있거늘, 한 무리 사람이 다시 저 무자(無字)를 향하야 자미(滋味)를 찾나니, 어찌 평생을 어리석게 보냄이 아니리오?
*본색납자(本色衲子) : 본분납승(本分衲僧)과 같은 말。 새로 닦을 것 없이 본래 부처라고 하는 도리를 깨달아서 그러한 입장을 견지(堅持)하는 납승.
*무자십절목(無字十節目) ; [몽산법어 蒙山法語]의 ‘몽산화상무자십절목(蒙山和尙無字十節目)’을 말함.
‘몽산화상무자십절목(蒙山和尙無字十節目)’은 조주 스님의 ‘무자(無字)’ 화두를 가지고,
참선 수행에 있어서 본참공안에 대해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수 없는 의심을 일으켜 화두 참구를 하지 않고, 사량분별·알음알이로 공부를 삼는 잘못된 병폐를 10가지로 정리하여 그 병폐를 알고 극복해 올바른 활구참선을 하기 위한 몽산 스님의 법문.
*가자(假字) ; 글자를 빌다(빌리다).
*전제(全提) ; 전부분이 들고 일어남(全分提起)의 뜻. 본래 그대로 나타냄. 전부를 그대로 나타내 보임. 전체를 모조리 그대로 들고 나오는 것.
‘무자(無字)’ 화두의 경우, 전제는 ‘조주 스님은 어째서 무(無)라고 했는고?’ 단제(單提)는 그냥 ‘무~’하고 아무 일체 다른 말은 없이 ‘무~’만 들여다 보는 것.
*단(單) ; 오직 그것뿐임을 나타내는 말.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의/덩어리 단/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가 홀로(獨) 드러나다(露).
*외도(外道 바깥 외, 길 도) ; ①불교 이외의(外) 다른 종교(道)의 가르침. 또는 그 신봉자. ②그릇된 가르침, 그릇된 가르침을 따르는 사람.
------------------(2)
*역경계(逆境界) ; ①자기의 마음에 반대되어 마음이 언짢은 경계. ②일이 순조롭지 않아 매우 어렵게 된 처지나 환경. 역경(逆境), 위경(違境)이라고도 한다.
*순경계(順境界) ; ①자기의 마음에 들어맞어 마음이 따르는 경계. ②모든 일이 뜻대로 잘되어 가는 경우나 형편.
*뇌(惱 번뇌할·괴로워할·괴롭힐·화낼 뇌) ; 뇌란(惱亂). 괴로워서 마음이 어지러움. 또는 남의 마음을 괴롭고 어지럽게 만듦.
*수고롭다 ; 어떤 일을 하기에 괴롭고 고되다.
*불리다 ; ‘불다(바람이 일어나서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다)’의 피동사(被動詞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하여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잡드리 ; ‘잡도리’의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퇴타(退墮 물러날 퇴/떨어질·게으를 타) ; 어떤 경지로부터 물러나 되돌아 오는 것. 퇴전(退轉)이라고도 한다.
'몽산법어 > 휴휴암주좌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휴휴암주좌선문(休休庵主坐禪文) (4/4)(끝) 휴휴암주의 좌선문. (0) | 2015.11.23 |
---|---|
•§• 휴휴암주좌선문(休休庵主坐禪文) (3/4) 휴휴암주의 좌선문. (0) | 2015.11.20 |
•§• 휴휴암주좌선문(休休庵主坐禪文) (1/4) 휴휴암주의 좌선문. (0) | 2015.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