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7) 공부는 거문고줄 고르듯이 해라 / 화두드는 법 / 염불(念佛)과 예배(禮拜) / (게송)불설일체법~.

예배의 뜻은 ‘굴복무명(屈伏無明)하고 공경진성(恭敬眞性)’이거던. 무명을 굴복 받어. 무명을 굴복하고 참된 성품을 공경허는 것이 그것이 예배의 참다운 뜻인 것입니다.


아무렇게나 참선을 헌다고 되는 것이 아닙니다.  대단히 어려운 것 같지만은 천하에 쉬운 것입니다. 바보, 썩은 나무둥치처럼 되아 가지고 ‘이뭣고?’허라고 하면은 ‘이뭣고?’하면 되는 것입니다. 복잡하게 생각할 것이 없어요.


**송담스님(No.377) - 1989년 2월 첫째일요법회(89.2.5)에서. (용377)

 

(1) 약 21분.

 

(2) 약 4분.


(1)------------------

참선이란 것은 말 길이 끊어지고 이치 길이 끊어지고 사량분별심(思量分別心)이 끊어져서,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해 가지고 순일무잡(純一無雜) 해 가지고 타성일편(打成一片)해서 그 의단을 타파(打破)함으로써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철견(徹見)허는 것이 참선이지,
그러헌 그 선(禪)에 대한 책을 많이 읽어서 해석허고 잘 안다고 해서 그 깨달음을 얻는 것이 아닙니다. 점점 깨달음으로부터 멀어져 버리는 것입니다.

그런데 선가귀감(禪家龜鑑)이라는 이 책은 그러헌 책과는 다릅니다.
어쨌든지 바르게 공부해 나가도록, 이 책을 보는 사람에게는 신심이 일어나고 분심이 일어나고 의단이 독로하도록 도와주는 책으로 되어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책을 용화사에서는 16판토록 이렇게 간행을 해서 법공양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모기가 쇠로 맨든 소 등어리에 몸뚱이 채 처박고 들어가듯이 하라, 그렇게 간절히 해라 허니까 ‘그렇다면 나도 한번 그렇게 해봐야겠다. 이거 과거에 모든 불조(佛祖)가 다 허고 모든 선지식(善知識)들이 하는데 어찌 나라고 못할 것인가?’
‘정말 신심(信心)과 분심(憤心)과 의심(疑心)을 한목 발(發)해 가지고, 이것을 나도 한번 해볼 수 밖에 없다.’

그래 가지고 이를 악물고 눈을 부릅뜨고, 이 미간(眉間)에다가 '내 천(川)자'를 아주 탁! 써 가지고,
‘이뭣고? 이뭣고? 이뭣고? 이뭣고?... 내가 금생에 결정코 이놈을 기어코 아주 해결하고야만 말겠다.’ ‘이뭣고?’를 막 해가지고는, ‘까짓거 뭐 난들 왜 못허냐?’
참 그런 용기와 신심을 내는 거, 그런 분심을 내는 건 대단히 좋은데, 이것이 문제가 있다 그말이에요.

이 공부를 허는 데에는 거문고줄 고르듯이 해라. 거문고줄을, 기타줄도 마찬가지죠.
거문고줄을 너무 팽팽하게 되게 갖다가 졸라매면, 까딱하면 그 줄이 끊어져버리거나 또 타다가 끊어지거나 또 끊어지지 않더라도 제 음가(音價)가 나오지를 않는다 그말이여. 팅팅 해 가지고.
또 너무 되게 매면은 또 끊어진다 해 가지고 겁을 먹고 너무 느슨하게 매면, 둥둥둥 해 가지고 또 제 음가가 안 난다 그말이여.

 

너무 세게 매도 안 되고, 너무 느슨하게 매도 안 되고, 반드시 그 음가에 맞춰서 적당허니 그놈을 맞춰야 훌륭한 곡을 갖다가 연주를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와 같이 우리가 참선을 해 나가는데 있어서 바른 자세, 가부좌(跏趺坐)나 반가부좌를 떠억 허고, 허리를 쭉 펴고 턱을 갖다가 이렇게 잡아당기고 그래서 머리는 너무 뒤로 자지바지 해도 안 되고 앞으로 숙여도 안 되고 또 옆으로 이렇게 기울어지지도 않게,
단정허니 하면서도 어깨의 힘도 빼고 목에 힘도 빼고 또 눈에 힘도 빼고 단정하면서도 힘을 다 빼고 긴장을 풀어야 한다 그말이여.

아금니는 지그시 물고, 혀는 위로 꼬부려서 입천장 저 안에다 갖다가 혀를 꼬부려 오그린다.
눈은 편안하게 평상으로 뜨되, 평지에서 약 2m 지점에 눈을 떨구라. 2m 지점에 눈을 떨구되 의식적으로 어느 한 점을 응시해서는 안 돼.

어떤 사람은 2m 지점에다 눈을 떨구라 하니까, 2m 지점에다가 까만 콩을 하나 갖다 놓고 참선할 땐 그놈을 갖다 뚫어지게 쳐다보고 있다 그말이여. 그런 것이 아니여요.
눈을 평상으로 뜨되, 2m 지점에 떨구되, 의식적으로 본 바는 없어야한다 그말이여. 평상으로 뜨되 아무 것도 보는 바는 없어. 다맛 이 코 끄터리와 단전(丹田)이 일 수직(垂直) 상에 놓이도록 따악 그렇게 하구서,

숨을 들어마실 때에는 단전 부위가 약간 볼록하게 느끼고 또 숨을 내쉴 때에는 배가 약간 홀쪽하게 해서, 숨을 내쉬고 들어마심에 따라서 배가 약간 볼록해졌다가 홀쪽해졌다 그것을 항상 의식적으로 그렇게 하는 거여.

그래서 숨을 들어마실 때에는 수르르~허니 들어마시는데, 들어마심에 따라서 배가 약간 볼록함을 느끼고, 또 그렇게 들여마셨으면 잠깐 머물렀다가,

또 내쉴 때에는 조용허게 길게 내쉬는데, 내쉼에 따라서 아랫배가 차츰차츰차츰 홀쪽해지게 하되, 너무 홀쭉히 해 가지고 뱃가죽이 등어리에 가서 딱 붙으도록 얼굴이 벌게져서 숨이 가쁠 때까지 그렇게 하는 게 아녀요. 7부나 8부 쯤만 내쉬되 조용하게 편안하게 그렇게 쉬는….

 

이 호흡 단전호흡이 대단히 중요하고, 건강에도 좋고 피로회복도 되고 또 피도 맑아지고 혈압도 내려가고 또 정신도 안정이 되고 여러 가지가 좋습니다.

그렇게 좋은데, 이것도 무리하게 억지로 잔뜩 배가 터지도록 들여마셔 가지고, 참으라 하니까는 아주 얼굴이 벌게지도록 맹꽁이 배처럼 해 가지고 억지로 그냥 참고,
또 천천히 길게 내쉬라 하니까 30초, 1분, 2분이 되도록 막 그냥 눈알이 튀겨져 나오도록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야요. 그렇게 했다면 참으로 큰일나는 것입니다. 병이 생겨도 큰 병이 생기고, 계속해서 그렇게 하면 죽을 수도 있습니다.

이 단전호흡이 대단히 중요하지만 그것을 하는 법을 잘 알아 가지고 첫째 무리가 없이 해야 돼요. 30분, 1시간을 해도 숨이 가쁘거나 그러헌 일이 없이,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면서 숨을 내쉬면서 ‘이뭣고~?’ 이렇게 하는 거여. 또 다 내쉬면 또 스르르르 들어마셔 가지고 내쉬면서 ‘이뭣고~?’

숨을 내쉬면서 ‘이뭣고?’하라니까, 계속해서 숨 내쉴 때마다 ‘이뭣고?, 이뭣고?’하는데, 처음 시작하신 분은 숨을 내쉴 때마다 ‘이뭣고?’하지만,
한 달·두 달·석 달 또는 1년 이렇게 하다보면 ‘이뭣고?’ 한번만 들고서 숨을 몇 번을 쉬어도 그 알 수 없는 의심이 고대로 있으면, 그 고대로 있는 그 의심을 관(觀)할지언정, 떠억 그 의심만을 이렇게 관조할지언정,

자꾸 거기다, 있는 ‘이뭣고?’ 의심에다가 ‘이뭣고?’를 덮쳐서 자꾸 ‘이뭣고? 이뭣고?’ 할 필요가 없거든.
'심지'에다 불을 댕겨서 불이 딱 붙어 있으면 그 불이 꺼지지 않도록 잘 보호하면 그만이지, '심지'에 불이 붙었는데도 자꾸 성냥불을 켜서 자꾸 거기다가 불을 붙일라고 할 필요가 없는 거와 마찬가지여.

불이 꺼져버리면 다시 또 불을 켜듯이, 화두(話頭)가 없어졌거나 딴 망상(妄想)이 들어오면 그때 다시 숨을 들어마셔 가지고 내쉬면서 ‘이뭣고~?’ 이렇게 하는 거여.
‘이뭣고?’가 고대로 있으면, 있는 그 ‘이뭣고?’를 묵묵히 성성적적(惺惺寂寂)허게 그 의심을 관(觀)하는 거여. 그것을 갖다가 잘 그 요령을 스스로 터득을 해야 돼.

덮어놓고 ‘이뭣고?’허라니까는 관세음보살 부르듯이 ‘이뭣고? 이뭣고? 이뭣고? 이뭣고?’해 가지고 ‘오늘 내가 5만 번을 ‘이뭣고?’를 했다.’ 이 참선은 그런 것이 아니여.

염불(念佛)은 하루에 5만 독(讀) 내지 10만 독씩 이렇게 정해놓고 그렇게 하루도 빼놓지 않고 백일기도를 한다든지 천일기도를 한다든지 또 그런 분이 있습니다마는 정말 참다운 염불도 사실은 횟수에 가서 있는 것이 아닙니다.

관세음보살을 부르되 ‘염도염궁무념처(念到念窮無念處)’거든. 염도염궁무념처.
‘아미타불재하방(阿彌陀佛在何方)’ 아미타불이 어느 곳에 계신고? ‘착득심두절막망(着得心頭切莫忘)’이다. 마음을 부딪쳐 가지고 간절히 잊어버리지 말아라.
‘염도염궁무념처(念到念窮無念處)’ 생각이 이르러, 생각이 생각 없는데 이르면, ‘육문상방자금광(六門常放紫金光)’이다,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 육문(六門)에 항상 자금광(紫金光)을 놓으리라. 부처님한테서 자금광이 나오거든.

부처님 몸뚱이는 자금색(紫金色) 색상이기 때문에 부처님 몸뚱이, 아미타불한테서 항상 자금광이 빛나는데 바로 우리가 염불을 해서 염도염궁무념처(念到念窮無念處)에 이르면은 바로 눈‧코‧입‧귀...육문(六門)에 자금광(紫金光)이 나오리라.
염불도 염도염궁무념처가 되도록 하는 것이지, 온갖 망상 잡담하면서 ‘아미타불 아미타불 아미타불아미타불아미타불아미타불…’ 어쨌든지 십만 독만 채울려고 작정을 하거든.

또 부처님께 절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삼천 배를 했다’, ‘나는 일주일 동안에 삼천 배.. 구천 배를 하리라’ 그렇게 계획을 세우고 한 자리, 두 자리, 석 자리, 넉 자리 해 가지고 그냥 앉었다 일어섰다, 앉었다 일어섰다, 앉었다 일어섰다 해 가지고, 1초 동안에 한 자리씩 해서, 1초에 한 자리면은 1분이면 육십 자리요, 한 시간이면 뭐 삼천육백 자리... 횟수로.

 

물론 초학자는 횟수로라도 그렇게 많이 허다보면 차츰차츰 참다운 예배의 뜻을 터득하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횟수 위주로의 예배보단 그 예배(禮拜)의 참뜻을 알고 하고, 예배의 뜻은 ‘굴복무명(屈伏無明)하고 공경진성(恭敬眞性)’이거던. 무명을 굴복 받어. 무명을 굴복하고 참된 성품을 공경허는 것이 그것이 예배의 참다운 뜻인 것입니다.

황벽 선사(黃蘗禪師)라고, 육조 스님 밑에 남악회양 선사, 남악회양(南岳懷讓) 선사 밑에 마조도일(馬祖道一), 마조도일 밑에 백장회해(百丈懷海), 백장회해 밑에 황벽선사(黃蘗禪師),
아주 부처님으로부터 내려오는 아주 정통 법맥(法脈)을 이어받은 대도인이신데, 그 황벽 선사는 평생을 시간만 있으면 법당에 들어가서 예배를 했습니다.

뭐 그분은 천 배가 되었건 삼천 배가 되었건 그 횟수가 문제가 아니라, 바로 깨달음의 경지여 그것이.
깨달음의 경지에서 예배를 허고, 예배가 곧 참선이요 참선이 곧 원각대지(圓覺大智)가 낭연독존(朗然獨存)한 그 경지, 바로 그냥 그것이 보림(保任)이고, 바로 그것이 설법이고, 그것이 중생교화여.
어떻게 평생 동안을 예배를 했던지 황벽 스님의 이마에는 주먹탱이만 혹이 붙었습니다. 여기 아주 혹이 생겼어.

그래서 예배에도, 그러한 황벽 선사가 허신 바와 같은 바로 그러헌 예배를 해야 할 것고, 염불을 하시는 분도 착득심두절막망(着得心頭切莫忘)해서 염도염궁무념처(念到念窮無念處)해서 육문상방자금광(六門常放紫金光)하는 그러헌 염불을 하셔야.

참선을 하는 사람도 정말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화두를 간택 받아가지고, 정말 신심과 분심과 의단이 독로해서, 의심을 해 가고 의심을 해 와서, 들어가고 들어와.
처음에는 자꾸 반복을 해서 되풀이해서 하다보면 그것이 습관이 되어. 헐라고 안 해도 저절로 들어지게 돼.

 

습관이 되면 그것이 체질화가 되어 가지고, 그냥 산을 봐도 ‘이뭣고?’요, 해를 봐도 ‘이뭣고?’요, 물을 봐도 ‘이뭣고?’요, 나무를 봐도 ‘이뭣고?’요, 사람을 봐도 ‘이뭣고?’요, 앉아도 ‘이뭣고?’요, 서서도...

‘이뭣고?’를 헐랴고 해서가 아니라 항상 화두가 독로(獨露)해서 의단(疑團)이 현전(現前)하다 그말이여. 그래 가지고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는 거여. 순수무잡(純粹無雜)해 가지고 성성적적한 가운데 이 몸뚱이가 이 세상에 있는 줄 몰라. 시간 가는 줄도 몰라. 그러면서도 성성적적해서 의단이 터억 타성일편이 된다 그말이여.

하루를 그렇게 해, 이틀을 그렇게 해. 밥을 먹을 때나, 옷을 입을 때나, 똥을 눌 때나, 잠을 잘 때에도 꿈속에서도 고대로, 의단이 고대로 독로해.
그 이튿날 새벽에 눈을 딱 뜨면은 새로 화두를 들지 않아도 어제 저녁에 들었던 그 화두가 고대로 들려 있게 된다 그말이여. 세수를 해도 고대로 있고, 양치질을 해도 그대로 있고, 목욕을 해도 그대로 있어.

그러다가 하루·이틀·사흘·닷새·엿새·이레 일주일을 이렇게 지내다보면,

어떠헌 찰나에 문을 텅! 닫는 소리를 듣는다던지, 누가 무슨 물건을 턱 내부치는 소리를 듣는다던지, 자기가 걸어가다가 발을 턱! 무슨 돌뿌리에 채였다든지, 어떠한 그러한 특별한 기연(機緣)에 통 밑구녁 빠지듯이 툭! 터져 버린 것이다 그말이여.

그것이 바로 타파(打破) 공안(公案)이여. 의단(疑團)을 타파하는 거여. 그렇게 깜깜하고 꽉 맥혀서 알 수 없던 화두가 환해. 이럴 때에 반드시 선지식(善知識)을 찾아가야 하는 거여.
자기 나름대로 환허지만 그것이 바른 것인가 옳지 못한 것인가 알 수가 없어. 그래서 바른 선지식에 의지해서 공부를 해야, 그러헌 경지가 나타날 때에 선지식한테 가서 그것을 간택을 받아야 하는 거여.

그래서 모든 공안에 다 맥힘이 없고 그러면, 깨달은 뒤에 보림하는 법을 다시 지시를 받어 가지고 그때에 비로서 토굴(土窟)로 들어가서 토굴 살림을 허는 것입니다.

정말 알뜰히 정진을 해서 이 장양성태(長養聖胎) 해 가지고, 고인(古人)의 모든 어록도 한번 보고, 또 나아가서는 유가(儒家)나 도가(道家)의 서적도 한번 보고, 제자백가지설(諸子百家之說)도 한번 훑어보고, 그래서 안팎으로 힘을 충족해 가지고 그래가지고 ‘밑 없는 배’를 타고 나가서 인연있는 중생을 제도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정법(正法)이요, 최상승법(最上乘法)인 것입니다.

아무렇게나 참선을 헌다고 되는 것이 아닙니다. 대단히 어려운 것 같지만은 천하에 쉬운 것입니다. 바보, 썩은 나무둥치처럼 되아 가지고 ‘이뭣고?’허라고 하면은 ‘이뭣고?’하면 되는 것입니다. 복잡하게 생각할 것이 없어요.

오늘 무진년 마지막 날이요, 또 새해를 맞이하는 이 즈음에, 그 동안에 누누히 이런 말씀을 일러드렸지만은 오늘 좀더 간곡히 말씀을 드린 것은,
정말 이번에 백일을 맞이한 최웅식 동자와 같이 우리도 그런 순일무잡하고 청정무구한 그런 새로 태어난 마음으로, 새해에는 초하루 날부터서 365일을 하루와 같이 오늘 지금 이 법문을 듣는 이러헌 마음가짐으로, 정말 간절히 그리고 알뜰히 정진해 주실 것을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우리가 헐 것은 이것 밖에는 없는 것입니다.(41분3초~61분40초)

 

 

 



(2)------------------

불설일체법(佛說一切法)이  도아일체심(度我一切心)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아무일체심(我無一切心)인데  하용일체법(何用一切法)이리요
나무~아미타불~

불설일체법(佛說一切法)은 도아일체심(度我一切心)이다. 부처님께서 49년 동안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을 설하셨는데 그것을 대장경을 일체경(一切經)이라고도 합니다.
그 일체경을 설하신 것을 무슨 목적으로 설하셨느냐? 일체 마음을 제도하시기 위해서, 나의 이 모든 마음을 제도하시기 위해서 일체법을 설하신 것이다.

부처님이 중생을 제도(濟度)한다니까, 이 사람 저 사람 전부 물에 빠진 거 건져내듯이 막 건져내고, 부자되게 해 달라니까 다 부자로 맨들어 주고 그런 것이 아니여.
부처님이 이 세상에 출현하신 정말 참다운 뜻은 우리 중생 낱낱이, 우리 자신의 일체 마음을 건져주시기 위해서 그런 것이다.

그러면 내가 일체 마음이 없으면 ‘아무일체심(我無一切心)’이면 내게 모든 마음이 없으면, '마음이 없다'고 허는 것은 마음이 공(空)해 버리면, ‘하용일체법(何用一切法)’이리요. 일체법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냐?

내 마음이 온갖 생각이 희로애락과 생로병사와 재색식명수(財色食名睡)와 팔만사천 번뇌·망상이 들끓으니까 그 팔만사천 번뇌·망상을 제도허기 위해서 팔만사천 법문(法門)을 설하셨는데, 내가 그런 마음이 딱 끊어져 버려. 공(空)해 버렸다면 팔만대장경이 어디에 필요한 것이냐 그말이여.

우리에게 여러 가지 병이 있으니까 여러 가지 약이 필요한 것인데, 내가 모든 병이 다 나아버렸다면은 뭐하러 그렇게 쓰고 고약한 약을 계속 먹을 필요가 있겠습니까.

우리는 참다운 불법을 알았습니다. 어떻게 믿고 어떻게 실천하고 어떻게 다가가야 할 것인가? 이렇게 오늘 말씀을 드리고 끝을 맺고자 합니다.(41분3초~65분55초)(끝)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벗.
*신심(信心) : ‘내가 바로 부처다’ 따라서 부처는 밖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요, 일체처 일체시에 언제나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주인공, 이 소소영령한 바로 이놈에 즉해서 화두를 거각함으로써 거기에서 자성불(自性佛)을 철견을 해야 한다는 믿음.
*분심(憤心) : 과거에 모든 부처님과 도인들은 진즉 확철대오를 해서 중생 제도를 하고 계시는데, 나는 왜 여태까지 일대사를 해결 못하고 생사윤회를 하고 있는가. 내가 이래 가지고 어찌 방일하게 지낼 수 있겠는가. 속에서부터 넘쳐 흐르는 대분심이 있어야. 분심이 있어야 용기가 나는 것이다.
*의심(疑心) :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자기의 본참화두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단전(丹田) ; 배꼽 아래로 한 치(寸) 삼푼 되는 곳(위치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아랫배에 해당. '단'은 약(藥)을 뜻하며, '단전'은 인체에서 가장 귀중한 약을 만들어내는 장소로서의 밭[田]이라는 의미. 도가와 한의학에서는 단전을 생명력, 활동력의 원천으로 본다.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망상(妄想 망녕될 망,생각 상) ; ①이치에 맞지 아니한 망녕된(妄) 생각(想)을 함, 또는 그 생각. ②잘못된 생각. 진실하지 않은 것을 진실하다고 잘못 생각하는 것.
*성성적적(惺惺寂寂) ; 정신이 고요하면서도 깨끗하고 또록또록 한 상태.
*염불(念佛) ; 부처님의 모습과 공덕을 생각하면서 관세음보살이나 아미타불과 같은 불•보살님의 이름을 외움. 흔히 어떤 일을 기원하며 ‘나무관세음보살’이나 ‘나무아미타불’, ‘나무석가모니불’을 소리 내어 외우는 일을 말한다.
[참고] [선가귀감] (용화선원刊) p112에서.
(52) 念佛者는  在口曰誦이요,  在心曰念이니  徒誦失念하면,  於道無益이니라.
염불이란 입으로 하면 송불이요, 마음으로 하는 것이 염불이니 입으로만 부르고 마음으로 생각하지 않으면, 도를 닦는 데 아무 이익이 없으리라.


(註解) 阿彌陀佛六字法門이  定出輪㢠之捷徑也라.  心則緣佛境界하야  憶持不忘하고,  口則稱佛名號하야  分明不亂이니,  如是心口相應이  名曰念佛이니라.
'나무아미타불'의 육자 법문은 바로 윤회를 벗어나는 지름길이다. 마음으로는 부처님의 경계를 생각하여 잊지 말고, 입으로는 부처님의 명호를 부르되 분명하고 일심불난(一心不亂)해야 하니, 이와 같이 마음과 입이 상응하는 것이 염불이다.
*(게송) ‘아미타불재하방~’ ; [한가로운 도인의 길 - 나옹화상법어집] (김달진역주, 세계사刊). 염불하는 사람들에게 보임(示諸念佛人/8首) 게송 참고. p166.
*육문(六門) ; 육근(六根, 안근眼根·이근耳根·비근鼻根·설근舌根·신근身根·의근意根)을 말한다. 육식(六識,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이 육경(六境,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을 인식하는 경우, 그 입구가 되므로 문(門) 또는 뿌리(根)라 하는 것이다.
*아미타불(阿彌陀佛) : [범] Amitabha Buddha : Amitayus Buddha 대승불교의 중요한 부처님。 줄여서 미타。범본경전(梵本經典)에는 아미타바불타•아미타유사불타의 두 이름이 있다. 한역(漢譯)한 여러 경전에도 여러 가지 이름이 있거니와 보통으로는 아미타불 무량수불이라 한다.
정토삼부경에 있는 이 부처님의 역사는 오랜 옛적 과거세에 세자재왕불의 감화를 받은 법장(法藏)이 210억의 많은 국토에서 훌륭한 나라를 택하여 이상국을 건설하기로 기원。 또 48원을 세워 자기와 남들이 함께 성불하기를 소원하면서 장구한 수행을 하여 성불하였으니 이가 아미타불이다.
구원한 옛적에 성불한 아미타불[本佛]에 대하여 이 부처님을 10겁 전에 성불한 아미타불[迹佛]이라 한다.
*육조 스님, 남악회양, 마조도일, 백장회해, 황벽희운 ; 분류 ‘역대 스님 약력’ 참고.
*법맥(法脈) ; 세속에서 조상의 전래 혈통(血統)을 밝히고 있듯이, 불교 선종(禪宗)에서는 스승에서 마음을 깨친 제자로 계속 이어져 전해 온, 마음으로써 마음을 전하는 이심전심(以心傳心)의 법통(法統)의 전승을 법맥이라 한다.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주로 좌선(坐禪) 수행을 말한다.
*예배(禮拜) ; 거룩하고 성스러운 대상에 대하여 존경하는 뜻을 가지고 절을 함.
[참고] [선가귀감] (용화선원刊) p111 참고.
(五一) 禮拜者는  敬也며  伏也니  恭敬眞性하고  屈伏無明이니라
예배라 하는 것은 '공경하는 것'이며 '굴복하는 것'이니, 참된 성품을 공경하고 무명을 굴복시키는 것이니라.


(註解)身口意가  清淨하면  則佛出世니라.  몸과 입과 뜻이 청정하면 그것이 곧 부처님이 출세(出世)하신 것이니라.
*원각대지(圓覺大智)가 낭연독존(朗然獨存) ; 원각(圓覺)의 대지(大智)가 밝게 홀로 드러나다. 원각(圓覺) - 석가여래의 원만(圓滿)한 깨달음. 진여(眞如)의 체득. 부처님의 지혜.


[참고] 보조국사 지눌(1158~1210)의 <수심결修心訣>에서.
若微細流注永斷 圓覺大智 朗然獨存 卽現千百億化身 於十方國中 赴感應機 似月現九霄 影分萬水 應用無窮 度有緣衆生 快樂無憂 名之爲大覺世尊

만약 미세한 번뇌의 흐름도 영원히 끊어져서 원만히 깨달은 큰 지혜가 홀로 밝게 드러나면, 곧 천백억 화신을 나타내어, 시방세계 중생들의 근기에 맞추어 감응하게 되니, 그것은 마치 하늘에 높이 뜬 달이 모든 물에 두루 나타나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응용이 무궁하고 인연있는 중생을 제도하여, 쾌락하고 근심이 없으니 ‘크게 깨친 세존(大覺世尊)’이라 한다.
---『마음 닦는 길(수심결 강의)』 (지눌 저, 강건기 강의 | 불일출판사) p214.  『땅에서 넘어진 자, 땅을 짚고 일어나라-보조국사어록』 (김달진 옮김 | 동화출판사) p87, 102 참고.
*보림(保任 보임) ; 선종(禪宗)에서 깨달은 뒤에 더욱 갈고 닦는 수행. 흔히 ‘보림’이라 읽는다. 보임은 보호임지(保護任持)의 준말로서 ‘찾은 본성을 잘 보호하여 지킨다’는 뜻이다.
*의단(疑團의심할 의, 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독로(獨露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홀로(獨) 드러나다(露).
*현전(現前) ; 앞에 나타나 있음.
*타성일편(打成一片) : 좌선할 때 자타(自他)의 대립이 끊어져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한 경계.
*기연(機緣) ; 어떤 기회를 통해 맺어진 인연(因緣).
*토굴(土窟) ; 사전적인 원래의 뜻은 ‘땅을 파고 위에 거적 따위를 얹고 흙을 덮어 추위나 비바람만 가릴 정도로 임시로 지은 집’이나, 근래에 절에서 쓰이는 의미는 대중이 함께 거주하는 ‘사찰(절)’과 대비되는 의미로, 어떤 집 형태와는 관계없이 스님의 ‘개인의 수행 거처’를 말함.
*장양성태(長養聖胎) ; 성인의 태(胎)를 길러 양성함.
[참고]보조국사 지눌(1158~1210)의 <수심결修心訣>에서.
頓悟者  凡夫迷時  四大爲身  妄想爲心  不知自性是眞法身  不知自己靈知是眞佛也  心外覓佛  波波浪走  忽被善知識  指示入路  一念廻光  見自本性  而此性地  原無煩惱  無漏智性  本自具足  卽與諸佛  分毫不殊  故云頓悟也

돈오(頓悟 단박 깨달음)란 범부(凡夫)가 미혹했을 때 사대(四大)를 몸이라 하고 망상(妄想)을 마음이라 하여, 자기의 성품(自性)이 참 법신(法身)인 줄 모르고 자기의 신령스런 앎(靈知)이 참(眞)부처인 줄 알지 못하여, 마음 밖에서 부처를 찾아 물결따라 여기저기 헤매다가,
홀연히 선지식(善知識)의 지시로 바른 길에 들어가 한 생각 돌이켜 자기의 본래 성품을 보면, 이 성품(性品)자리에는 원래(原來) 번뇌(煩惱)가 없고, 무루(無漏)의 지혜 성품이 본래(本來) 스스로 구족(具足)하여 모든 부처님과 털끝만큼도 다르지 않으니 그러므로 돈오(頓悟, 단박 깨달음)라고 한다.

漸修者  雖悟本性 與佛無殊  無始習氣  卒難頓除故  依悟而修  漸熏功成  長養聖胎  久久成聖  故 云漸修也 比如孩子初生之日  諸根具足  與他無異  然  其力未充  頗經歲月  方始成人

점수(漸修, 차츰 닦음)란, 비록 본래 성품(本性)이 부처와 다름이 없음을 깨달았으나 오랫동안 익혀온 습기(習氣)를 갑자기 모두 없애기는 어려우므로 깨달음에 의지하여 닦아 점차로 익혀 공(功)을 이루어 성인(聖人)의 태(胎)를 길러 양성하면, 오랜 동안을 지나 성인(聖人)을 이루게 되므로, 점수(漸修, 점차로 닦음)라고 한다.
비유(比喩)하면, 마치 어린 아이가 처음 태어났을 때 모든 기관(諸根)이 갖추어 있음은 남과 다르지 않지만, 그 힘이 아직 충실하지 못하므로 제법 세월(歲月)이 지난 뒤에야 비로소 어른(成人)이 되는 것과 같다.
*밑 없는 배=무저선(無底船) : ①몰저선(沒底船)·무영수(無影樹)·몰현금(沒絃琴)·무공적(無孔笛)과 같은 말로 진여(眞如)의 이명(異名)이다。 ②아무것에도 걸림이 없는 철저(徹底)한 경지.

 

 

 



-------------------(2)


*(게송) 불설일체법~ ; [완릉록(宛陵錄)] 황벽(黃檗) 선사 말씀.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 팔만사천 법문이 있다는 뜻으로, ‘대장경(大藏經-부처님의 가르침을 적은 경전을 통틀어 이르는 말)’을 달리 이르는 말.
*일체경(一切經) ; 대장경(大藏經)과 같음.
*제도(濟度 건널 제,건널 도) ; 중생을 미혹의 큰 바다(생사고해 生死苦海)로부터 구하여(濟), 생사없는 피안(彼岸,깨달음의 언덕)에 이르게 하는(度) 것. 제(濟)는 구제(救濟). 도(度)는 도탈(度脫).
[참고 : 구제(救濟 건질 구,건널 제) 어려움이나 위험에 빠진 사람을 돕거나 구하여 줌. 도탈(度脫 건널 도,벗을 탈) 속세의 속박이나 번뇌 등에서 벗어나 근심이 없는 편안한 경지에 도달함.]
*팔만사천(八萬四千) : 중생의 망상이 벌어져 나가는 것을 자세히 분석하면 팔만 사천 갈래가 된다고 한다. 그러므로 망상을 따라 일어나는 악마의 수효도 팔만 사천이요, 망상을 다스리는 법문도 팔만 사천이다.
인도에서는 많은 수효를 말할 때에는 이 말을 쓰는 수가 가끔 있다. 줄여서 팔만이라고만 하기도 한다.
*번뇌(煩惱 번거러울 번/괴로워할 뇌) ; ①마음이 시달려서(煩) 괴로워함(惱). 나쁜 마음의 작용. 근원적 번뇌로서 탐냄(貪)•성냄(瞋)•어리석음(癡)이 있다.
②나라고 생각하는 사정에서 일어나는 나쁜 경향의 마음 작용. 곧 눈 앞의 고(苦)와 낙(樂)에 미(迷)하여 탐욕•진심(瞋心)•우치(愚癡)등에 의하여 마음에 동요를 일으켜 몸과 마음을 뇌란하는 정신 작용.
*법문(法門 부처의 가르침 법/문 문) : 부처님의 가르침은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 세계를 벗어나, 열반(涅槃)에 들게 하는 문이므로 이렇게 이름.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르는 말. 진리에 이르는 문.

Posted by 닥공닥정
신심(삼요)2014. 4. 20. 13:57

§(세등18) 스님과 관세음보살의 경책.

 

**송담스님(세등선원No.18)-하안거 결제 법어(78.4.17)에서 (세등18)

 

약 14분.

 


옛날에 한 스님이 있었는데 그 스님은 철저히 발심(發心)을 해가지고 오직 몸과 목숨을 바쳐서 참선(參禪)허는 그 돈독한 마음 하나 밖에는 없었습니다.
선방에도 지내고, 전국 방방곡곡에 선지식(善知識)도 다 친견허고, 여기저기 좋은 선방 다 다니면서 참선을 했지마는, 아무리 애를 써서 해도 바닥이 나지 않어.

그래서 할 수 없이 저 지리산 칡덩쿨 우거진 깊은 산중에 들어가서, 이리저리 토굴(土窟)을 하나 지어가지고 그것을 공부를 허는데, 늦가을이 지나고 초겨울이 다가왔습니다.

그해도 탁발(托鉢)을 해다가 보리쌀 몇 말 얻어다 놓고, 나무를 줍고 산에 과일도 좀 따고 해서,
준비를 해 놓고 삼동(三冬) 공부를 들어갈라고 허는데,
해가 저물었는데 어디서 부인 한 분이 광주리에다가, 산에 모다 과일•산초도 따고 나물도 캐고 더덕도 캐고 그래 가지고 한바구니 해가지고는 들어와서, ‘해가 저물었으니 오늘 저녁 여기서 하룻밤 자고 갑시다.’

그 그날부터서 결제(結制)에 들어가서 삼동을 들어갈려고 허는데, 부인이 떡 와서 자자고 허니,
그 깊은 산중에 길을 찾지 못하고 자고 가자고 허니 안 재울 수도 없고 또 청정한 계율을 지키면서 공부하시는 비구(比丘) 스님인데, 아! 부인하고 같이 잘 수도 없고,

방이나 하나, 조그마한 됫박 방에 천상 같이 몸을 맞대고 같이 잘 수 밖에는 없게 되았는데, 그렇다고 해서 안 재우면은 산중에서 호랭이는 더글더글하고,
‘부처님 자비심으로 오늘 저녁에 천상 날새기를 헐 수 밖에는 없구나’ 이리 생각하고,
‘그러면 하루 저녁을 여기서 지내십시오.’

그날 저녁에 같이 한방에서 지내게 되는데 그 스님은 앉은채 떠억 참선을 허고,
부인도 스님이 안 주무시는데 잘 수는 없고, 앉어서 그저 벽에다 대고 졸다가 눈을 떴다가 그 갖은 몸부림을 치면서 하루 저녁을 지내는데, 밤중 자정(子正)이 넘으면서부터서 눈이 퍼부섰습니다.
눈이 와가지고 눈이 어떻게 많이 왔던지 도저히 그 이튿날 해가 떴지마는 길이 맥혀서 갈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가지를 못하고 하루를 지내고, 이틀•사흘이 되아도 눈이 녹지를 않고 길이 꽉 막혀서, 한 해 겨울을 같이 지낼 수 밖에 없었습니다.

겨울이 지내고 봄이 되아도 눈이 녹지를 않고 그래서 천상-2월•3월•4월이 될 때까지 눈이 안 녹아서-그 눈 속에서 여섯 달을 같이 지내는데,

아, 그 부인도 ‘대관절 그 스님 앉어서 무엇을 생각합니까?’
‘참선을 헌다고.’
‘아, 그러면 나도 좀 가르쳐 주시쇼. 나도 그 앉어서 심심허니 나도 참선을 좀 가르쳐 주시오.’

앉은 자세-허리를 쭉 펴고, 고개를 반듯허게 들고, 아금니를 지긋이 물고서 혀는 위로 꼬부려서 입천장에다 딱 갖다가 대고, 눈은 평상으로 뜨고, 그리고서 몸을 그렇게 단정허게 가진 다음에 심호흡을 허는데,

숨을 깊이 들어마셔 가지고 아랫배가 볼록해지도록 들어마셔. 들어마신 다음에는 딱 정지를 해. 3초 동안 정지를 했다가 조용허니 숨을 내쉬는데, 숨을 내쉼에 따라서 볼록해졌던 배가 차츰차츰 차츰차츰 홀쪽해지도록.
다 내쉰 다음에는 또 수르르르 숨을 들어마시는데, 들어마심에 따라서 아랫배가 차츰차츰차츰 볼록해지도록. 다 들어마셨으면  들어마신 상태로 딱 정지를 헌 상태로 3초 동안을 머물렀다가 또 조용허니 숨을 내쉬어. 다 내쉬면 배가 홀쪽해지고.

이렇게 몸을 단정히 허고 그 다음에는 배로 숨을 심호흡을 하고.
숨을 들어마셔 가지고 3초 동안 머물렀다 내쉬면서 ‘이뭣고~~~?’허면서 숨을 내쉬어.
다 내쉬었으면 또 수르르르 들어마셔. 들어마셨다 3초 동안 머물렀다 내쉬면서 ‘이뭣고~~~?’
이렇게 가리켜 주었습니다.

그러면은 우리가, 나는 부인 여자고, 스님은 남자 스님이고 그러니 이 좁은 방에서 이불을 덮고 나란히 잘 수도 없는 것이고, 기왕 우리가 자지 않고 앉어서 샐 바에는 참선을 용맹정진(勇猛精進)을 허기로 약속을 했습니다.

그래서 한 사람은 이쪽에, 한 사람은 저쪽에 앉아서, 가운데에다 기다란한 작대기를 하나 갖다 놓고,
스님이 졸면은 그 부인이 작대기로 스님 대골통을 탁 때리고, 또 부인이 졸면은 그 스님이 작대기로 부인 머리빡을 탁 때리고. 이렇게 해서 피차 잠을 깨워주면서 참선을 허기로 했습니다.

 그 부인이 처음에는 온 산중을 다니면서 더덕도 캐고 나물도 캐고 산초도 따고 허면서, 이 산과 산골짜기를 헤맸으니 좀 졸음이 오겠어요? 스님한테 밤새도록 얻어 맞았습니다.
맞었는데 이틀, 사흘, 열흘, 보름 이렇게 지내가면서 차츰차츰 그 보살은 잠을 덜 자고, 아! 스님이 자꾸 조는데 어떻게 맞었던지 대가리가 뿔이 많이 돋아났습니다.

‘스님! 나는 인자 참선법을 처음 배웠는데, 나가 처음에는 많이 맞았지마는 스님이 그렇게 맞으니 참 안되았습니다. 그러나 서로 맞기로 약속을 했으니 안 때릴 수도 없고 단단히 정신을 채려야 겠습니다.’

아! 이러면서 때리는데, 어떻게 되게 때려 부리던지 기가 막혀서,
아, 그러는 가운데 스님도 정신을 바짝 차려가지고 이를 악물고 눈을 부릅뜨고 참선을 허는데, 아! 그러다가 석달이 지내고, 석달이 되아도 눈이 안 녹아서 다시 석달해서 6개월이 되는데,

아, 하루는 달이 훤허니 밝은데 같이 이를 악물고 용맹정진을 허는데,
아! 졸음도 안 오는데, 깜빡할 사이에-분명히 졸지 안 했는데 깜빡허는데,
아! 그 보살이 탁 대골통을 때려부렸네. 깜짝 놀랜 바람에 툭 깨쳐 버렸거든.

깨쳐 놓고 보니 기가맥히다 그말여. 그래서 그냥 어떻게 감개무량(感慨無量)해서 눈물이 비오듯 쏟아지면서 일어서서 그 보살 앞에 오체투지(五體投地)로 절을 했습니다.

절을 허며 ‘내가 깨달았오.’
‘무엇을 깨달았냐? 깨달은 도리를 일러라. 대관절 스님이 깨달랐다니 옳게 깨달랐는지, 잘못 깨달랐는지 나도 한번 들어 봅시다. 그 깨달은 도리(道理)를 한번 일러 보시오.’

답착평추경사철(踏著秤鎚硬似鐵)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답착평추(踏著秤鎚)하니 경사철(硬似鐵)입니다. 저울대 추를 밟으니 굳기가 쇠와 같습니다.’
아,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저울대 추를 밟으니 굳기가 쇠와 같다고 허니 그 도리가 무엇인지 다시 한번 일르시오.’

무수호손(無鬚猢猻)이 도상수(倒上樹)니다.  나무~아미타불~
‘수염 없는 원숭이가 나무를 거꾸로 올라간다.’

그 보살이 그 말을 듣고 무릎을 탁 치면서,
‘스님, 출가해서 30년 수고 많이 했습니다. 나는 다른 사람이 아니고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인데, 스님이 목숨 바쳐서 정진헐랴고 허는 그 신심(信心)이 장해서 내가 이 한 해 겨울을 결정코 스님으로 하여금 견성성불(見性成佛)허도록 허기 위해서 내가 화현(化現)으로 나타났소. 그러니 행여나 어디 나가서 관세음보살을 보았다고 말을 허지 마시오.’

그러니까 그 스님이 일어서서 다시 절을 허고 얼굴을 드니까 간 곳이 없었습니다.

우리가 참으로 목숨 바쳐서 목숨 바쳐서 용맹정진을 허게 되면,
반드시 관세음보살이나 문수보살(文殊菩薩)이나 보현보살(普賢菩薩)과 같은 그러헌 성현이 나타나서 우리로 하여금 깨달을 수 밖에 없도록 경책(警策)을 해 주시는 것입니다.(13분47초~26분49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발심(發心) ; ①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② 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원어)發起菩提心발기보리심, 發菩提心발보리심.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벗.
*토굴(土窟) ; 사전적인 원래의 뜻은 ‘땅을 파고 위에 거적 따위를 얹고 흙을 덮어 추위나 비바람만 가릴 정도로 임시로 지은 집’이나, 근래에 절에서 쓰이는 의미는 대중이 함께 거주하는 ‘사찰(절)’과 대비되는 의미로, 어떤 집 형태와는 관계없이 스님의 ‘개인 거처’를 말함.
*탁발(托鉢 밀 탁, 바리때 발) ; 스님이 경문을 외면서 집집마다 다니며 보시를 받음.
*삼동(三冬) ; 겨울철의 석 달.
*결제(結制 맺을 결,만들•법도 제) ; 안거(安居)에 들어감. 하안거는 음력 4월 15일에 들어가며, 동안거는 음력 10월 15일에 들어간다.
*비구(比丘) ; 출가하여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남자 승려. 걸식하는 남자 수행승.
산스크리트어 bhikṣu 팔리어 bhikkhu의 음사. 걸사(乞士)·파번뇌(破煩惱)·파악(破惡)·포마(怖魔)라고 번역.
*됫박 ; '되'를 속되게 이르는 말.
* ; 곡식, 가루, 액체 따위를 담아 분량을 헤아리는 데 쓰는 그릇. 주로 사각형 모양의 나무로 되어 있다.
*천상 ; 천생(天生). 어쩔 수 없이.
*날새기 ; 저녁, 밤을 지나 날이 밝아 올 때까지 자지 않는 것.
*이뭣고? ; 분류 ‘이뭣고 화두’ 참고.
*이뭣고? (이 무엇고 是甚麼 시심마,시삼마) : ‘이 무엇고? 화두’는 천 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 무엇고?」(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어떤 일이 일어난 그 자리)를 찾는 것이다.
*대골통, 머리빡 ; ‘머리’를 격이 낮게 이르는 말.
*용맹정진(勇猛精進) ; 견고한 의지로 한순간도 불방일(不放逸)하는, 열심으로 노력하는 정진.
*감개무량(感慨無量) ; 마음에 깊이 사무치는 느낌이 그지없음(이루 다 말할 수 없음).
*오체투지(五體投地) ; 신체의 다섯 부위를 땅에 닿게 하는 절. 먼저 두 무릎을 꿇고 두 팔을 땅에 댄 다음 머리가 땅에 닿도록 한다.
*도리(道理) ; 이치(理致). 생기고 없어지고 변화하는 모든 만유(萬有)를 꿰뚫고 있는 법칙. 모든 것에 두루 통하는 진리. 진리와 결합된 이론이나 증명. 타당한 이치.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대자대비(大慈大悲)의 마음으로 중생을 구제하고 제도하는 보살.
관세음(觀世音)은 산스크리트어 avalokiteśvara의 번역, 보살(菩薩)은 산스크리트어 bodhi-sattva의 음사인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
세간(世間)의 중생이 갖가지 괴로움을 받을 때, 그의 이름을 부르면 그 음성(音聲)을 듣고(觀) 대자비와 지혜로써 자유 자재로 중생을 괴로움에서 벗어나게 해 준다는 보살.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 보처(補處).
또 자재롭게 보는 이(觀自在者), 자재로운 관찰 등의 뜻으로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이라 한다. 또 광세음(光世音)·관세음(觀世音)·관세자재(觀世自在)·관세음자재(觀世音自在) 등으로 쓰며 줄여서 관음(觀音)이라 한다.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 보아 깨달아 부처가 됨.
*화현(化現) ; 부처님이나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각(各) 중생의 소질에 따라 여러 가지로 모습을 바꾸어 이 세상에 나타나는 것. 화신(化身)이라고도 한다.
*문수보살(文殊菩薩) ; 문수사리보살(文殊師利菩薩). 부처의 완전한 지혜를 상징함.
문수사리는 산스크리트어 만주슈리(mañjuśrī)의 음사. 문수시리(文殊尸利),만수실리(蔓殊室利)라고도 쓴다.
‘문수’는 묘(妙, 신묘하다, 훌륭하다), ‘사리’는 길상(吉祥, 상서로움)의 뜻이다. 묘길상(妙吉祥)·묘덕(妙德)·유수(濡首)라 번역. 석가모니불을 왼쪽에서 보좌하는 보살
문수보살은 일반적으로 연화대에 앉아 오른손에는 지혜의 칼을, 왼손에는 푸른 연꽃을 들고 있다. 그러나 때때로 위엄과 용맹을 상징하는 사자를 타고 있기도 하고, 경권(經卷)을 손에 든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도 많다. 문수보살은 지혜의 완성을 상징하는 화신(化身).
≪화엄경≫ 속에서도 문수 보살은 보현보살(普賢菩薩)과 함께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의 양쪽 협시 보살(挾侍菩薩)을 이룸.
*보현보살(普賢菩薩) ;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은 보살. 한량없는 행원(行願)을 상징함.
산스크리트어 사만타바드라(Samantabhadra). 삼만다발타라(三曼多跋陀羅)라고 표기. 보현(普賢), 편길(遍吉)이라 한역. 경전을 수호하고 널리 퍼뜨리며, 불법을 펴는 보살.
연화대에 앉거나 여섯 이빨을 가진 흰 코끼리를 타고 있다. 석가모니불을 오른쪽에서 보좌하는 보살.
보현보살은 또 중생의 목숨을 길게 하는 덕을 가졌으므로 연명보살(延命菩薩)이라고도 한다.
모든 보살들은 다 각각 부처님 공덕의 어느 한 부분만을 나타내어 그것이 그의 특징이 된다.
*경책(警策 깨우칠 경,채찍 책) ; 타이르고 채찍질하여 깨우치게 하는 것.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