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선(자세 호흡)2014. 3. 25. 14:26

§(445) 단전호흡과 상기(上氣) / 호흡은 무리가 없이 편안하게 하는게 요점 / 호흡과 화두의 관계 / 상기병의 약은 단전호흡과 요료법.

 

「바른 자세」와 「바른 호흡법」과 「화두를 바르게 들어가는」  3가지를  알아서 해나가는 것은 우리가 도업(道業) 바르게 빠르게 그리고 크게 성취하는데 절대로 필요한 것이다.

 

호흡은 그때 그때 상황 따라서 어쨌든지 무리가 없고 편안하도록 하면 되어. 언제나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여. 누구에게나 고정된 것이 아니고 때에 따라서 사람에 따라서, 길게 해도 편안하면 길게하고, 짧게 해서 편안하면 짧게 하고, 어쨌든지 무리가 없이 편안하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점이다.

 

**송담스님(No.445)—1991 5 첫째 일요법회. (용445)

 

17분.

 

 

대관절 이게 무엇이냐?’  참구(參究)하는 방법을 바로 알고 하면 공부하다가 사견(邪見) 떨어지지 않고, 이걸 바르게 참구를 안 하면 이거 하다가 정신이 샐쭉해지기도 하고, 바른 깨달음을 얻지 못했으면서도 자기도 깨달은 것처럼 착각을 하는 수가 있고, 이걸 참구를 잘못하면 상기병(上氣病) 올라서 골이 뽀개질라 그러고 눈알이 빠질라 그러고  안돼.

 

그래서 바르게  화두를 들어가는 법을 알고 공부를 해야 한다 그말이여.

 

전강 조실 스님께서도 대발심(大發心)을 하시고 대분심(大憤心)이 나고 대의단(大疑團)이 한목 일어나 가지고 어떻게 무섭게 하셨던지, 다못 거문고  고를 때에 너무 팽팽하게 해도 안되고 너무 느슨하게 해도 안되는 것인데, 어릴적  순수한 마음으로 너무 ()하게 ()하게 하셨기 때문에 상기병이 일어나셨다 그말이여.

그래서 눈알이 뻘겋게 충혈이 되고, 머리에 부스럼이 일어나 가지고 툭툭 터지고, 코에서 입에서 피가 터져 나왔다 그말이여.

 

그래서  참선을 해나가는 데에는 앉는 자세를 바르게 하고,  그런 상기병이라든지 그런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아무리 가행정진(加行精進)을 하고 용맹정진(勇猛精進)을 하더라도 상기병과 같은 그런 무서운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호흡법, 단전호흡(丹田呼吸)을  알아서 하고.

 

그런 가운데에 올바르게 화두를 잡드리 해나가는, 「바른 자세」와 「바른 호흡법」과 「화두를 바르게 들어가는」  3가지를  알아서 해나가는 것은 우리가 도업(道業) 바르게 빠르게 그리고 크게 성취하는데 절대로 필요한 것이다.

 

 

 

<상기(上氣) 단전호흡>

 

 

얼마 하지도 못해 가지고 상기병이 나서 고생하는 스님네가  많습니다. 미리 일어나지 않도록 지혜롭게 해서 단속을 해야지, 한번 상기병이 터져 놓으면 약을 먹어 가지고도 안되고 여간해서 이거 고치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머리가 띵하고 목이 뻣뻣하고 이뭣고?’ 할라면 골치부터 아퍼서, 공부만 조금 가행정진을 하고 애써  힘차게 할려고만 하면 벌써 골치부터 아퍼.

그럭저럭 잡담하고 살면 아무렇지도 않은데,  정신차려서 화두만 들고 공부만 할려고 하면 아프기 시작해. 그렇다고 해서 공부를 안 할 수도 없고.

 

출가를 안 했다면 이거  잡담을 하고 지내도 상관이 없고,  장사를 하고 지내도 상관이 없고,  농사를 지어도 상관이 없고 아무렇게 지낸들 상관이 없는 일이지만, 머리를 깎고 출가 해가지고 참선을 안 하면 무엇을 할 것이냐 그말이여. 천상  것은 참선밖에는 없고, 할려고 하면은 골치만 아프고, 큰일이거든.

 

어떤 분은 가끔 단전호흡 안 하면 참선 못합니까?’ 그런 질문을 가끔 와서 하는데 상기만 안된다면   단전호흡을  해도 상관이 없어.

체질상 단전호흡을 안 하면 상기가  오르게  그런 체질을 가진 사람이 있거든. 그런 사람은  단전호흡을 해야 하고.

 

아무리 신경을 쓰고 해도 상기가  안된 체질을 타고난 사람이 있어. 기운이 밑으로 내려가서 그런 사람은  단전호흡을  해도 상관이 없겠지만. 특히 체질을 기운이 위로  올라가는, 조금 신경쓰면 얼굴이 벌게지는 그런 체질을 가진 사람은 단전호흡을  해야 하거든.

출가를   사람도 그런 사람은 단전호흡을 해야 하고, 참선을   사람도 사회의 학문을 해도 단전호흡을 해야 . 지지리 공부해 가지고 고시에 합격해 갖고도 상기로 고생하는 사람도 내가 봤거든.

 

 단전호흡은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보통 호흡보단 조금  길게. 보통 호흡은 1 동안에 들어마셨다 1 동안에 내쉬고 보통 그렇게 하고,  호흡이  느린 사람은 2 동안에 들어마셨다 2 동안에 내쉬고 그런데.

1초가 걸린지 2초가 걸린지 그것도 아지도 못하고, 무심 속에 호흡은 마지막 죽기 전까지는 그때그때 따라서 달음박질하거나 산을 올라가고 그럴 때는  급하게 쉬고  그렇지 않고 가만히 있을 때는 느리게 쉬고, 호흡에 대해서는 거의 무의식 상태에서 눈을 뜨나 감으나 호흡을 하고 있는데,

 

 단전호흡이란 것은 의식적으로 호흡을 하는 거여. 어떻게 하느냐?

들어마시는 호흡  3 동안에 들어마셔 가지고  3 동안 정지했다가 내쉬면서 조금 길게 3~4, 이렇게 해서 한번 들어마셨다가 정지했다가 내쉬는데  10 가량 걸리도록. 의식적으로 하거든.

 

숨을 들어마실 때에는 배꼽 밑에 단전, 아랫배가 약간 볼록하게 만들면서 숨을 들어마시는 거여. 들어마셔 가지고  3 동안  정지를 하거든. 정지했다가 조용하게 숨을 내쉬는데 내쉼에 따라서 배가 차츰차츰차츰 홀쪽해지도록 만드는 거여.

 

그러면 들어마신 호흡을 이렇게  가지고는  아랫배까지 이렇게 밀어넣을랴고 생각할 필요는 없고, 그냥 들어마시기만 하고 배는 약간 볼록하게만 만들면 . ‘호흡이 거기까지 내려간다 생각할 필요는 없어요.

그리고 들어마신 다음에는 정지를 하거든. 정지한 상태로  3 동안을 가만히 있다가  내쉬면서 배가 차츰차츰차츰 홀쪽해지도록. 그거 조금도 힘이 드는 거 아니여.

 

처음에는  10 걸려서 하면은 별로 힘이 안 드는데 될 수 있으면 오래 참을수록 좋다 가지고, 그런 소리를 어디서 들어가지고, 들어마셔 가지고 참기를  30 정도 참었다가 얼굴이 벌게지면 그때 내쉬고. , 그렇게 억지로 하는 사람이 있다 그말이여. 그러다가는 큰일난 것이다 그말이여.

 

처음에는 그렇게  9초나 10 동안에 하다가 차츰차츰 1년을 하고 이태를 하다 보면 호흡이 조금씩 길어져서 나중에는  20 동안에 들어마셨다가 머물렀다 내쉬고,

나중에는 10 동안에 들어마시고, 10 동안에 머물르고, 10 동안에 내쉬고 해서 한번 숨을 들어마셨다 내쉬는데 30 걸려서 하는, 무리가 없이  수가 있다면 그렇게 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그러나 무리를 하면서까지 억지로 그렇게 시간을 늘릴라고 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것이고, 해서는 안된다. 그것을  아셔야 .

 

그런데 호흡은 그때 그때 상황 따라서 어쨌든지 무리가 없고 편안하도록 하면 되어. 

언제나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여. 누구에게나 고정된 것이 아니고 때에 따라서 사람에 따라서, 길게 해도 편안하면 길게 하고, 짧게 해서 편안하면 짧게 하고, 어쨌든지 무리가 없이 편안하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점이다.

 

 

 

<호흡과 화두의 관계>

 

 

그러면 호흡에 신경을 쓰면 화두에 대한 의단(疑團) 시원찮고, 화두에 대해서 간절히 의심을 하면 호흡이  안된다' 이런 말씀을  분이 있는데, 그럴 것이다 그말이여.

그럴 것이나, 처음으로 참선하는 사람은  호흡 쪽으로 신경을 써서 해서 호흡이  익숙해져서 무심 상태에서도 호흡이 잘되면은 나중에는 호흡에 대해서는 그냥 저절로 놔둬 버리고 화두에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 그말이여.

 

그런데 호흡과 화두의 관계는 숨을 들어마셨다가 잠시 머물렀다가 내쉬면서 이뭣고----?’  숨이 나가면  스르르~하니 들어마셨다가  정지했다가 내쉴 때 이뭣고----?’ 이렇게.

 

그러면은  들어마셨다 내쉴 때마다 이뭣고?’  들어마셨다 내쉴 때마다 이뭣고?’ 최초에 시작하는 얼마 동안은 그렇게 해도 좋습니다

그러다가  달쯤  다음에는   ,   이렇게 지나간 뒤에는  호흡을 들어마셨다 내쉴 때마다 화두를 들지 않아도 되요.

 

들어마셨다가 머물렀다가 내쉴  이뭣고---?’

이뭣고  글자가 문제가 아니라, ‘이뭣고?’   『알  없는 의심』  의심이 있으면,  다음에 숨을 들어마셨다 내쉴  화두를 새로 들지 않고,  들어있는 의심을 따악 관조(觀照) 하거든. 『알  없는 의심』을 보는 거여.

 

 숨을 들어마셨다가 머물렀다가 내쉴 때도 아까 들었던  화두에 대한 의심이 고대로 있으면, 세 번째에도 화두를 새로 이뭣고?’  들어도 괜찮은 거여. 그러다가 딴 생각[別念]이 나거나 화두가 없어져버리면 그때  들어마셨다 내쉬면서 이뭣고?’ 한번  거각(擧却) 하는 거여. 챙기는 거여.

 

이렇게 해서 아침에 들었던 화두가 점심밥 먹을 때까지 그대로 의심이 있으면,  아침에 한번 들은 채로 그냥 그대로 있으면 되는 거고, 한번 들었던 화두가 하루 종일 있으면 자꾸 이뭣고?’ ‘이뭣고?’ 필요가 없거든.

 

그리고 그렇게  나가면 상기(上氣) 일어날 까닭이 없으나, 그러나 이미 상기가 일어났거나  중간에 본의 아니게 상기가 일어날 때에는,  상기를 낫을려고 약도 먹고 쑥도 뜨고 온갖 좋다는 건 해도 그렇게 별로  효과가 없어.

 

상기를 낫으는 약은 결국은 단전호흡으로 낫어야 . 단전호흡을 정말—우선 화두 드는 것은 보류해 놓고, 상기 때문에 고생하시는 분은 화두는  보류해 놓고 단전호흡에 전력을 해야 . 그러면 상기가 다스려지고, 상기가 다스려지면 그때 화두를 챙기면 되는 것이고.

 

그리고 부득이해서 단전호흡을 해도  안되는 경우는 요료법(尿療法) 하는 것이 가장 상책이여. 그건 기운을 밑으로 내리고 혈압도 내리고 기운을 내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건 굉장히 효과가 있는 거여. 그건 새삼스럽게 자세히 말씀을  드리겠습니다.(26분30초~4246)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참구(參究 헤아릴 /궁구할 ) ; ①다못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 ②선지식의 지도 아래 참선하여 화두(공안)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사견(邪見) : ①잘못된 견해. 틀린 생각 ②인과(因果) 이치를 부정하는 잘못된 생각 ③올바로 자신의 마음의 실상을 알수가 없는 .

*상기병(上氣病 오를 /기운 / ) ; 화두를 머리에 두고 여기에 속효심을 내어 참구하다가, 모든 열기() 머리에 치밀게()되어 생기는 머리 아픈 (). 상기병이 생기면 공부가 지극히 힘이 들고 심하면 머리로 출혈이 되며 몸이 쇠약해짐. 상기병의 예방과 치료로 단전호흡과 요료법이 사용된다.

*요료법(尿療法) ; 요료법은 오줌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민간 요법의 하나.

[참고] '요료법'에 관한 책. ①『기적을 일으키는 요료법』 (김정희 저 | 산수야). ②『요료법의 기적』 (나까오 료이치 | 산수야). ③『의사가 권하는 요료법』 (이영미 | 산수야). ④ 『요료법의 기적』 (건강신문사 편집부).

*가행정진(加行精進) ; 어떤 일정한 기간에 일상생활보다도 좌선정진(坐禪精進) 시간을 늘리고, 수면도 매우 단축함.

*용맹정진(勇猛精進) ; 견고한 의지로 열심으로 노력하는 정진.

*단전호흡(丹田呼吸) ; 의식적으로 숨을  배꼽 밑에 아랫배 하복부[丹田]까지 숨을 들어마셨다가 잠깐 머물렀다가 조용하니 길게 숨을 내쉬는 호흡. 일반적으로 들어마실 때에는 차츰차츰 아랫배가 볼록해지게 만들고, 내쉴 때는 차츰차츰 배를 홀쭉하게 만든다.

단전 호흡을 하게 되면은 혈액순환이 잘되고, 혈액순환이 잘됨으로 해서 몸안에 모든 노폐물이 깨끗하게 밖으로 배설이 되서 몸이 가벼워지고, 건강해지고 따라서 정신이 맑아지고, 정신이 안정이 된다.

주의할 점은 자신의 호흡의 길이에 알맞게 시작하고 자연스럽게 해야지, 절대로 억지로 호흡 시간을 길게 잡아 무리해서는 안된다.

참선 수행에 있어서 호흡법은 우리의 몸을 건강하게 하고, 마음도 안정을 시키고 통일되게 하여 우리가 참선을  나가는 데에 중요한 준비, 기초 훈련이다.

*잡드리 ; ‘잡도리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대책.

*지지리 : ‘기껏 전라남도의 사투리.

*단전(丹田) ; 배꼽 아래로  () 삼푼 되는 (위치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아랫배에 해당. '' () 뜻하며, '단전' 인체에서 가장 귀중한 약을 만들어내는 장소로서의 []이라는 의미. 도가와 한의학에서는 단전을 생명력, 활동력의 원천으로 본다.

*도업(道業) ; () 깨달음. () 영위. 불도의 수행. 진리의 실천.

*별념(別念) ; ‘ 생각[몽산법어] (용화선원刊) 박산무이선사선경어(博山無異禪師禪警語)에서.

做工夫호대  着不得一絲毫別念이니  行住坐臥에  單單只提起本叅話頭하야  發起疑情하야 憤然要討箇下落이니라.  若有絲毫別念하면  古所謂雜毒이  入心하야  傷乎慧命이라하니  學者는 不可不謹이니라

 

공부를 짓되 털끝만치라도  생각[別念] 두지 말지니, 가고 멈추고 앉고 누우매 다못 본참화두(叅話頭)만을 들어서 의정을 일으켜 분연히 끝장 보기를 요구할 것이니라. 만약 털끝만치라도  생각[別念] 있으면 고인이 말한  「잡독(雜毒) 마음에 들어감에 혜명(慧命) 상한다」하니, 학자는 가히 삼가지 않을  없느니라.”

 

余云別念은  非但世間法이라  除究心之外에  佛法中一切好事라도  悉名別念이니라.  又豈但佛法中事리요  於心體上에  取之捨之  執之化之가  悉別念矣니라

 

내가 말한  생각[別念] 비단 세간법만 아니라 마음을 궁구하는  외에는, 불법(佛法) 온갖 좋은 일이라도   생각[別念]이라 이름하느니라.

 어찌 다만 불법중 일뿐이리오?  심체상(心體上) 취하거나[], 버리거나[], 집착하거나[], 변화하는[] 것이 모두   생각[別念]이니라.” (p164-166)

 

做工夫호대  不得將心待悟어다.  如人이  行路에  住在路上하야  待到家하면  終不到家니 只須行하야사  到家오  若將心待悟하면  終不悟니  只須逼拶令悟  非待悟也니라

 

공부를 짓되 마음을 가져 깨닫기를 기다리지 말라.  마치 사람이 길을 가매 길에 멈춰 있으면서 집에 이르기를 기다리면 마침내 집에 이르지 못하나니, 다만 모름지기 걸어가야 집에 도달하는 것과 같아서, 만약 마음을 가져 깨닫기를 기다리면 마침내 깨닫지 못하니, 다만 모름지기 애써서 깨닫게  뿐이요, 깨닫기를 기다릴 것이 아니니라.” (p163-164)

 

做工夫호대  不得求人說破이니  若說破라도  終是別人底요,  與自己로  沒相干이니라.  如人이  問路到長安에  但可要其指路언정  不可更問長安事니  彼一一說明長安事라도  終是彼見底요,  非問路者의  親見也이니라.  若不力行하고  便求人說破도  亦復如是하니라

 

공부를 짓되 다른 사람이 설파(說破)하여 주기를 구하지 말지니, 만약 설파(說破)하여 주더라도 마침내 그것은 남의 것이요, 자기와는 상관이 없나니라.

마치 사람이 장안으로 가는 길을 물으매 다만  길만 가리켜 주기를 요구할지언정 다시 장안의 일은 묻지 말지니,  사람이 낱낱이 장안 일을 설명할지라도 종시(終是) 그가  것이요,  묻는 사람이 친히  것은 아니니라. 만약 힘써 수행하지 않고 남이 설파하여 주기를 구하는 것도 또한 이와 같으니라.” (p180-181)

*거각(擧却  /어조사 ) ; 화두를 든다. ‘화두를 든다’ ‘화두를 거각한다 말은 자신의 본참화두를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하는 것이다.

[참고] 송담스님 세등선원(No.09)—병진년 동안거 결제중 법어(76.12.26)에서.

〇화두를 먼저 이마로 의심을 하지 말고,  화두를호흡하는데 배꼽 [丹田] 숨을 들어마시면은 배가 볼록해지고 숨을 내쉬면은 배가 홀쪽해지는데,  배가 빵빵해졌다 홀쪽해졌다 허는 거기에다가 화두를 들고 이뭣고~?’     없는 생각 ()하는 그것이 화두를 드는 것이여.

Posted by 닥공닥정
무상(無常)2013. 10. 5. 13:30

<핸드폰에서, 아래 법문은 위 유튜브에서 58분 13초부터 시작됩니다>

 

 

§(457) (게송) 석화광음주 홍안진백두 인간백년몽 부유일생사.

 

**송담스님(No.457) - 1991년 11월 첫째 일요법회 법문에서. (용457)

약 9분.

 

석화광음주(石火光陰走)하고  홍안진백두(紅顔盡白頭)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인간백년몽(人間百年夢)이여  부유일생사(蜉蝣一生事)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석화광음주(石火光陰走)요  홍안진백두(紅顔盡白頭)다.
세월이, 이 시간이 돌과 돌이 부딪칠 때 반짝하듯이 그렇게 빠르다 그 말이거든.

벌건 소년 시절의 그 붉은 얼굴이, 다 희끗희끗한 흰머리가 났어. 지금 이 자리에 젊으신 분도 많이 계시지만 머리가 허연 분들도 적지 않다. 어느새 이렇게 흰머리가 나고 늙었는가 생각해 보면, 스무 살 열다섯 살 때가 엊그제 같은데, 언제 어떻게 지나간줄 모르게 이렇게 늙었다 그말이거든.

현재 머리가 희고 연세가 많은 분 뿐만 아니라, 아직은 머리가 희지 않고 검고 주름살도 없고 젊은 분도 금방 희여진다 그말이거든.

인간백년몽(人間百年夢)이여, 사람은 태어나서 빈부귀천과 흥망성쇠 속에서 좀더 잘살아 볼라고 정치로 나간 사람, 경제계로 나간 사람, 학계로 나간 사람, 예술계로 나간 사람, 별별 직업을 가지고 각자 자기의 능력과 소질 따라서, 참 피나는 노력을 하고 좀더 잘살아 볼려고 애쓰지만, 많이 살아봤자 백년 미만이요 지내놓고 보면 하룻밤 꿈에 지내지 못한 것이여.

그리고 하루살이(蜉蝣) 신세에 지나지 못해. 돈 많다고 안 죽는 사람 못 봤고, 권리가 많다고 안 죽은 사람 못 봤어. 다 지내놓고 보면은 무엇이냐 그말이여.

꿈 한번 좋은 꿈을 꾸었거나 나쁜 꿈을 꾸었거나, 꿈 한번 꾸고 꿈 깨고 난 뒤끝에 지내지 못해.


그러나 그런 허망한 몸뚱이 허망한 인생이지만, 정법을 믿고 열심히 한 생각 한 생각 돌이켜서 화두(話頭)를 들고 정진(精進)한 사람은, 전혀 인생을 헛산 사람이 아니여.

마지막 죽어갈 때에도, 내가 참 마음껏 정진을 못한 것에 대한 후회는 있을지언정 인생을 헛살았다고 하는 그런 후회는 없을 것입니다.

더군다나 정진을 열심히 해서 임종(臨終) 직전에 이르러서도, 떠억 몸은 괴롭겠지. 그 괴로움을 이기지 못해서 죽는다니까. 숨도 가쁘고 가슴도 답답하고, 나는 그렇게 죽어보지 못해서 확실히 얼마만큼 괴로운가는 잘 모르겠는데, 다 전생에 수백만 번 겪었지마는 전생사는 다 잊어버리거든.

그래 다른 사람 죽은 것을 보면 정말 마지막 숨 몰아 쉴때는 옆에서 보기가 대단히 안좋아. 푹푹하면서 가래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고 얼마나 답답하겠냐 그말이여. 일으키라고 했다 뉘이라고 했다 일으키라고 했다 뉘라고 했다...

참 복을 많이 지은 사람은 죽을 때 편안하게 미소를 지으면서 죽어간단 말도 들었고, 저녁밥 잘 먹고도 자는 듯이 가는 사람도 있다고 들었고, 특히 요료법(尿療法)을 한 사람은 죽을 때 아주 편안하게 죽는다니까 한번 먹어볼 만한 일이라고 생각이 되요.

공부를 열심히 한 사람은 거기에다 요료법까지 해서, 죽을 때 편안하게 화두를 터억 들고서 눈을 감을수 있다면 참 다 조사열반(祖師涅槃)을 했다고 할 것이다 그말이거든.

이렇게 말하는 동안에도 시간은 쉬지 않고 똑딱똑딱똑딱 지나가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화두를 터억 들고서 지금 산승(山僧)의 말을 듣고 계실줄 믿습니다. 그 마음으로 법회가 끝나고도 항상 그 마음으로 일 초 일 초를 지내가고 댁으로 돌아가시는 걸음걸음을 그렇게 하시고 댁에 가셔서도 그렇게 화두를 단속(團束)하고 사신다면,

공부라는 게 사실은 그렇게 어렵고 복잡한 게 아니여. 몸뚱이를 들볶고 잠을 안 자고 먹을 것을 안 먹고 그렇게 막 들볶는 것으로써 정진을 삼는 것이 아니고, 필요한 만큼 먹고 잘 만큼 자되, 눈 떠있을 때 화두를 야무지게 단속을 해야 하거든. 그렇다면 완력으로 우격다짐으로 의단을 거각하는 것이 아니여.

항상 조실 스님 법문을 자주자주 듣고 화두 하나만을 여법하게 단속할줄 알면 누었거나 앉았거나 무슨 상관이 있냐 그말이여.

소지(掃地)를 하거나 빨래를 하거나, 화두 하나만 여법하게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도록 잡드리해 나가면, 뭐 시간이 간 것을 두려워할 것이 있으며, 늙어가는 것을 또 두려워할 것이 무엇이 있느냐 그말이여

두려워한다고 안 늙겠습니까,

이제 가을도 다 가고 겨울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보름 남짓 지나가면 또 겨울 결제 겨울 안거를 맞이하게 됩니다. 여기에 모이신 사부대중도 어느 선방에 가서 방부를 들이든지 항상 조실스님의 법문을 잊지 말고 여법하게 정진을 하시기를 당부를 합니다.(57분33초~1시간6분11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석화광음주(石火光陰走)~’ ; [청허당집(清虛堂集)] (西山 休靜, 朴敬勛역, 동국대학교 역경원) 86쪽 ‘세상을 탄식함’ 게송 참고.(石火光陰走 紅顔盡白頭 山中十年夢 人世是蜉蝣)
*부유(蜉蝣) ; [동물] 하루살이목에 속한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임종(臨終) ; 목숨이 끊어져 죽음에 이름. 또는 그때.
*요료법(尿療法) ; 요료법(尿療法)은 오줌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민간 요법의 하나.
*열반(涅槃) ; ①타고 있는 불을 바람이 불어와 꺼 버리듯이, 타오르는 번뇌의 불꽃을 지혜로 꺼서 일체의 번뇌나 고뇌가 소멸된 상태. ‘니르바나(nirvāna)’의 음역어로, 불가(佛家)에서 흔히 수행에 의해 진리를 체득하여 미혹(迷惑)과 집착(執着)을 끊고 일체의 속박에서 해탈(解脫)한 최고의 경지를 이르는 말이다. ②스님의 죽음을 수행을 통해 해탈(解脫)에 이르게 됨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조사열반(祖師涅槃) ; 경허스님의 참선곡(參禪曲)에 다음 구절이 있다—‘참선 잘한 저 도인(道人)은 서서죽고 앉아죽고 앓도 않고 선세(蟬蛻-매미가 허물을 벗음)하며, 오래살고 곧 죽기를 마음대로 자재(自在)하며’
*단속(團束) ; ①주의를 기울여 다그쳐 보살핌. ②규칙, 법령, 명령 등을 어기지 않게 통제함.
*소지(掃地) ; 마당을 쓸다.
*의단(疑團의심할 의, 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독로(獨露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홀로(獨) 드러나다(露)
*잡드리 ; ‘잡도리’의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