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2014. 9. 21. 17:19

>>> 용화선원 법문 유튜브에서 보고 듣기 --->유튜브로 바로가기


 

 

§(111) 경절문(徑截門) 기도법—원인과 결과가 동시 / (게송)좌간백운청수성~ / 대오선(待悟禪) / “찾다가 저 죽는다” / 육도법계가 바로 청정법신 비로자나불.

깨달음도 역시 마찬가집니다. 우리는 진묵겁(盡墨劫) 전에 이미 깨달음, 진여불성(眞如佛性)을 부처님과 조끔도 차별 없는 진여불성을 우리도 원만구족(圓滿具足)해 있는 것입니다.
이미 구족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바로 한 생각 딱 돌이키면—어디서 깨달음이 오는 것도 아니요, 누가 깨달음을 가져다 주는 것도 아닌 것입니다. 그 곳에 이미 있는 것입니다. 원만구족하게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전강 조실 스님께서 항시 말씀하시기를 “찾다가 저 죽는다” 이런 너무나도 간결하고 송곳으로 찌르듯 하는 그러헌 법문을 해 주신 것입니다.


언제 어디에라도 진여불성 아닌 것이 없고 법신불(法身佛) 아닌 것이 없건만, 왜 볼려고 허면 볼 수가 없고, 들을려고 허면 들을 수가 없느냐? 우리 모두에게 진묵겁 전부터서 원만구족해 있으면서 왜 우리는 그것을 보지 못하고 깨닫지를 못하고 육도윤회(六道輪廻)를 하고 있는 것이냐?
육도법계(六道法界)가 바로 청정법신(淸淨法身)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이시기 때문에 육도(六道)를 여의고 적광토(寂光土)는 따로 없기 때문인 것입니다. ‘이뭣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빠르고 요긴한 길은 오직 이 한마디 밖에는 없습니다.


**송담스님(No.111) - 79년 동지 법회(79.12.22) (용111)

 

(1) 약 19분.

 

(2) 약 6분.


(1)------------------

법요식을 맞아서 전강 조실 스님의 폭포수가 쏟아져 내리듯 한 그리고 사자의 부르짖음과 같은 종횡무진한 활구(活句)법문을 우리 사부대중은 들었습니다.

이 법문을 경건한 마음으로 위법망구(爲法忘軀)로 듣는 그것만으로써 이 자리에 모인 우리 사부대중은 무량겁 업장(業障)이 찰나간에 다 녹아 없어졌습니다.
무량겁 업장이 녹아 없어졌기 때문에 동지 법회에 참석하신 동참하신 여러분은 크고 작은 모든 소원을 성취하시게 될 것입니다.

앞으로 장차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성취된 것입니다.
법문(法門)을 듣자마자 업장이 소멸이 되고, 업장이 소멸됨과 동시에 모든 소원은 그 자리에서 당장 성취가 되어 있는 것입니다.

소원을 앞으로 차츰차츰 쪼끔씩 성취되어 간다고 생각하실 일이 아닙니다. 이미 성취가 다 되어 있는 것입니다.
이것은 바로 경절문(徑截門)에 있어서의 기도법인 것입니다. 경절문은 비약적인 것이요 점진적인 것이 아닌 것입니다.

무엇을 듣고 이해를 해 가지고 차츰차츰 알아 들어가는 것—그것은 점진법이고 점진적인 것이고,
한 생각에 한 걸음도 옮기지 아니하고 바로 여래지(如來地)에 도달하는 것은 이것이 바로 경절문인 것입니다.

경절문은 시간과 공간이 없습니다. 원인과 결과가 동시(同時)인 것입니다.
어떠한 원인이 있어 가지고 어떤 시간을 거쳐서 열매를 맺는 것이 아니라, 원인이자 동시에 그것이 결과인 것입니다.

그래서 활구참선(活句參禪)을 허신 분은—‘참선을 해 가지고 언젠가 내가 깨달으리라’ 하루바삐 깨닫기를 바래고 바래는 마음으로 화두를 들고, 그것이 아닌 것입니다.

언제 어디서 무엇을 하든지 간에 딱! 화두 한번 거각(擧却)할 때 그곳에는 버려야 할 중생도 없고, 새로 깨달라야 할 부처도 없는 것입니다.
이렇게 화두를 들더라도, 한 번을 들더라도 그렇게 들어가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한 생각 한 생각을 단속해 나간다면 졸음이 어디에서 오며, 망상이 어디에 일어날 것이 있는 것입니까?

 


좌간백운청수성(坐看白雲聽水聲)허니  도로성색본가풍(都盧聲色本家風)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일륜상월만공산(一輪霜月滿空山)한데  한안여천향북비(寒雁唳天向北飛)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좌간백운청수성(坐看白雲聽水聲), 앉아서 흰구름을 보고 물소리를 들으니,
도로성색(都盧聲色)이 본가풍(本家風)이로구나. 모든 눈으로 보는 것, 귀로 들을 수 있는 모든 경계가 본래 가풍이로구나.

일륜상월(一輪霜月)이 만공산(滿空山)한데, 한 바퀴 서릿달이 공산(空山)에 가득한데,
한안(寒雁)이 여천향북비(唳天向北飛)로다. 차운 기러기가 하늘에 울며 북쪽을 향해서 날아가는구나.

우리는 깨닫기를 위해서 참선을 합니다. 누구를 막론하고 깨닫기를 위해서 참선을 하고,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도를 합니다.

그래서 지금 하고 있는 일과 장차 자기가 바래는 일과의 사이에는 거리가 있습니다. 시간적인 거리, 공간적인 거리가 있습니다.

벌써 거리를 두고 기도도 하고 참선을 하고 그러기 때문에 그 거리로 인해서 장벽이 가로막혀 가지고, 현재 하고 있는 그 자체도 정말 올바르게 해 가지를 못하고,
올바르게 해 가지를 못하기 때문에 소원성취가 어렵고 목적지에 도달허기 어려운 것입니다.

시간적인 거리와 공간적인 거리를 자기가 만들어서 딱 가로막아 놓고서 아무리 갈려고 발버둥을 친들 그것이 될 것이냐 이 말씀입니다.

참선허는데 있어서 제일 몹쓸 병이 깨닫기를 기다리는 것입니다. 대오선(待悟禪), 「어서 깨달랐으면...」

깨닫기를 바래는 그것이 설사 밤잠을 안 자고 용맹정진을 해서 화두가 제법 일여(一如)하게 들린다 하더라도, 모든 번뇌와 망상이 다 없어지고, 맑고 고요하고 깨끗한 경지에 이르렀다 하더라도,

찰나간이라도 「어서 깨달랐으면..」, 「이럴 때 어떤 선지식이 와서 탁 나로 하여금 깨닫게 해 주셨으면..」
이러헌 생각을 먹게 된다면 이것은 바로 애써서 99%까지 올라갔다가 그 한 생각으로 인해서 다시 저 천길 만길 깊은 구렁텅이로 떨어지고 마는 것입니다.

깨닫기를 바래는 마음, 「어서 속히 어떠헌 목적을 성취했으면..」 그런 생각은 허지 말고,
오직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이 무엇고?」
공부가 잘 되어갈수록 「이 무엇고?」 조끔도 잘 된다고 좋아하는 생각도 내지 말고 또 잘 안 된다고 번뇌심이나 짜증도 내지를 말고,

오직 한 생각 한 생각, 산을 보든지, 물소리를 듣던지, 새소리를 듣던지, 기차 소리를 듣던지, 애 우는 소리를 듣던지, 문닫는 소리를 듣던지,
무엇을 보거나 무엇을 듣거나 한 생각 한 생각 바로 거기에서 본참화두(本參話頭)를 거각하는 것입니다.

「관세음보살」이나 「옴마니반메훔」을 부르는 그러헌 수행을 하시는 분은 누워서도 「관세음보살」, 앉아서도 「관세음보살」, 차를 타면서도 「관세음보살」, 기쁜 일을 당해도 「관세음보살」, 슬픈 일을 당해도 「관세음보살」, 속이 상한 일을 당해도 「관세음보살」,
이렇게 염념불망(念念不忘)으로 일여(一如)하게 정진을 해 간다면 아무리 업장이 두터운 업보(業報) 중생이라 할지라도 거기에서 시간과 공간의 거리가 없이 바로 그 자리에 소원성취가 갖추어져 있는 것입니다.

깨달음도 역시 마찬가집니다.
우리는 진묵겁(盡墨劫) 전에 이미 깨달음, 진여불성(眞如佛性)을 부처님과 조끔도 차별 없는 진여불성을 우리도 원만구족(圓滿具足)해 있는 것입니다.
이미 구족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바로 한 생각 딱 돌이키면—어디서 깨달음이 오는 것도 아니요, 누가 깨달음을 가져다 주는 것도 아닌 것입니다. 그 곳에 이미 있는 것입니다. 원만구족하게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조실 스님께서 항시 말씀하시기를 “찾다가 저 죽는다” 이런 너무나도 간결하고 송곳으로 찌르듯 하는 그러헌 법문을 해 주신 것입니다.

다못 알 수 없는 꽉 맥힌 의심, 「이 무엇고?」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망상이 일어나고 안 일어나고 그것도 상관이 없습니다. 앉았거나 누웠거나 그것도 상관이 없습니다.
죄가 많고 적은 것도 상관이 없습니다. 몸이 아프거나 괴롭거나 쓰리거나 그것도 상관이 없습니다.

아프다고 가려 내놓고, 바쁘다고 그 시간은 가려 내놓고, 망상이 일어난다고 그 시간은 가려 내놓고,
잠잘 때라고 가려 내놓고, 속상헌다고 가려 내놓고, 기쁘다고 가려 내놓고,
이리저리 다 가려 내놓으면 언제 공부를 해야 할 때냐?

중생은 단 한 생각 동안이라도 생각 없는 시간이 없습니다.
생각 없는 편안하고 고요하고 그러헌 때를 찾어서 공부를 할려고 하면 일생 동안 공부할 시간이 없는 것입니다.

눈을 통해서는 보아야 하고, 귀를 통해서는 들어야 하고, 코를 통해서는 냄새를 맡아야 하고, 숨쉬어야 하고, 입을 통해서 맛보고 말을 해야 하고, 손과 몸을 통해서는 따뜻하고 차웁고 딱딱하고 부드러운 거 그런 것을 다 감각을 해야 합니다.

잠시도 육근(六根)을 쉬고 일 없는 시간이 없습니다. 언제나 끊임없이 자동적으로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 육근은 활동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 활동하는 시간을 없이 하고 참선을 헐랴고 한다면 그 사람은 영원토록 그 사람이 생각하는 참선은 헐 기약이 없습니다.

진여불성(眞如佛性)은 너무나도 크고, 너무나도 위대하고, 너무나도 맑고 깨끗하고 영특해서, 일체처 일체시 시간과 공간에 언제나 어디에나 두루하지 아니헌 곳이 없습니다.

그 표현이 바로 우리가 눈을 통해서 볼 수 있는 모든 것이요. 귀를 통해서 들을 수 있는 모든 것입니다. 육근을 통해서 느낄 수 있는 모든 것이 바로 진여불성의 표현입니다.
그것을 통해서 우리는—눈으로 볼 수 없고, 귀를 통해서 들을 수 없고, 손을 통해서 잡을 수 없는 진여불성을 우리는 깨달라야 합니다.

왜 눈으로 코로 귀로 육식(六識)을 통해서 볼 수 있는 모든 것이 진여불성의 표현인데,
어째서 눈으로 볼랴고 하면 보이지 아니하고, 귀로 들을랴고 하면은 들리지 아니하고, 손으로 잡을랴고 하면은 잡히지를 않는 것이냐?

우리는 목숨 바쳐서, 이것을 깨닫기 위해서 목숨을 바쳐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언제 어디에라도 진여불성 아닌 것이 없고 법신불(法身佛) 아닌 것이 없건만, 왜 볼려고 허면 볼 수가 없고, 들을려고 허면 들을 수가 없느냐?
우리 모두에게 진묵겁 전부터서 원만구족해 있으면서 왜 우리는 그것을 보지 못하고 깨닫지를 못하고 육도윤회(六道輪廻)를 하고 있는 것이냐?

육도법계(六道法界)가 바로 청정법신(淸淨法身)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이시기 때문에 육도(六道)를 여의고 적광토(寂光土)는 따로 없기 때문인 것입니다.

‘이뭣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빠르고 요긴한 길은 오직 이 한마디 밖에는 없습니다.

한 생각 돌이켜서 ‘이뭣고?’ 할 때, 불이 펄펄 타오르는 지옥으로 느껴졌던 것이,
한 생각 돌이킨 곳에 바로 그것이 천당이 되고, 극락이 되는 그 묘한 방법이 바로 참선법, 활구참선법 ‘이 무엇고?’ 뿐인 것입니다.(처음~19분3초)

 

 

 



(2)------------------

동지(冬至)는 일년 중에 밤이 제일 긴 날입니다. 하지(夏至)는 일년 중에 낮이 제일 긴 날이고, 동지는 밤이 제일 긴 날입니다.

그래서 동지에는 저 옛날부터 중국의 당나라 때부터 500명, 1000명, 1500명, 1700명, 이렇게 참선하는 대중 스님네가 많은 그런 선방에서도 이 동짓날에는 다 법회를 갖고, 또 선망부모의 천도를 해 드리고,
도량(道場)의 모든 수호신들에게도 다 공양을 해서, 앞으로 새로 다가오는 새해에 모든 업장이 소멸이 되고 모든 소원이 성취되기를 바래는 그러헌 법요식을 거행해 왔는 것이 기록에 나와 있습니다.

그래서 조실 스님 계실 때도 항시 동지에는 여러분들이 모다 팥도 가지고 오시고, 찹쌀도 가지고 오시고 그렇게 해서 동지 팥죽공양을 올리고 법요식을 가졌습니다.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도 옛날부터 동지에는 팥죽을 쑤어서 선영(先塋)에 모다 제사(祭祀)도 잡숫고, 차례(茶禮)도 잡숫고 헌 풍속이 예절이 지금까지도 전해오고 있습니다마는,

동지 법요식을 맞아서 어떻게 허는 것이 정말 우리의 선영을 천도(薦度)해 드리는 것이 되며, 어떻게 허는 것이 도량 신장(神將)을 안위하는 길이 되며, 어떻게 허는 것이 우리 자신들의 업장을 소멸하게 되는 것이며,
어떻게 하는 것이 우리의 모든 소원을 성취허는 것이냐? 하는 것에 대해서 조실 스님의 법문과 제가 말씀드린 말씀을 통해서 잘 이해하셨을 줄 생각합니다.

묵은 한 해를 청산하고 돌아오는 새해를 발전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 우리는 새로운 각오를 해야할 줄 생각합니다.

일파유조(一把柳條)를 수부득(收不得)하야  화풍탑재옥난간(和風塔在玉欄干)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한줌, 한아름 버들가지를 거두어 잡지 못해서,
화풍탑재옥난간(和風搭在玉欄干)이라. 바람에 맡겨서 옥난간(玉欄干)에다가 걸어두노라.

버들가지는 바람에 일렁일렁해서 아무리 잡을라야 잡을 수가 없어. 그래서 바람 부는대로 바람과 함께 옥난간에 걸쳐있게 놔둔다. 이런 내용의 게송(偈頌)입니다.

참 법문은 입을 통해서 설(說)할 수 없고, 귀를 통해서 들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러헌 게송을 읊어 보았습니다.(처음~24분18초)(끝)

 

 

 



------------------(1)

*위법망구(爲法忘軀) ; 법(진리)를 구하기 위해 몸(軀) 돌보는 것을 잊는다(忘).
*업장(業障) ; 전생(前生)이나 금생(今生)에 행동•말•마음(신구의,身口意)으로 지은 악업(惡業)으로 인하여 이 세상에서 장애(障礙)가 생기는 것.
*법문(法門 부처의 가르침 법,문 문) : 부처님의 가르침은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 세계를 벗어나, 열반(涅槃)에 들게 하는 문이므로 이렇게 이름.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르는 말. 진리에 이르는 문.
*경절문(徑截門 지름길 경,끊을 절,문 문) ; 지름길문. 경절(徑截)이란 ‘바로 질러 간다’는 뜻.
교문(敎門)의 55위 점차를 거치지 않고 한 번 뛰어서 여래의 경지에 바로 들어가는 문.
다시 말하면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활구 참선법(活句參禪法). 즉 일체의 어로(語路), 의리(義理), 사량 분별의 길을 거치지 않고 직접 마음의 본체에 계합함을 일컫는다.
*여래(如來) : 부처님 10호의 하나。 범어 Tathagata의 역(譯).
여(如)는 진여(眞如)의 뜻이니 곧 진여로부터 나타나 오신 각자(覺者)의 뜻。 또 여거여래(如去如來)의 뜻으로서 여여부동(如如不動)하게 사바세계에 오셔서 중생의 근기에 응하신 까닭에 여래(如來)라고 함.
금강경에는 좇아온 곳이 없고 또한 돌아갈 곳이 없으므로 여래라고 이름한다 했음.
*여래지(如來地) ; 불지(佛地). 부처의 지위(地位)·경지(境地). '부처의 상태를 이루었다'는 뜻의 성불(成佛)과도 같은 뜻.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거각(擧却 들 거,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대오선(待悟禪 기다릴 대,깨달을 오,고요할 선) ; 참선허는데 있어서 깨닫기(悟)를 기다리는 것(待).
이 「깨닫기를 기다리는 것」은 화두를 참구하는데 10가지 병(病)의 하나로, 수행자는 이런 생각없이 일체처 일체시에 오직 알 수 없는 의심으로 본참화두를 들어야 한다.
[참고] [몽산법어(蒙山法語)] (용화선원刊) '박산무이선사선경어(博山無異禪師禪警語)'에서.
“做工夫호대  不得將心待悟어다.  如人이  行路에  住在路上하야  待到家하면  終不到家니  只須行하야사  到家오  若將心待悟하면  終不悟니  只須逼拶令悟요  非待悟也니라”


공부를 짓되 마음을 가져 깨닫기를 기다리지 말라.  마치 사람이 길을 가매 길에 멈춰 있으면서 집에 이르기를 기다리면 마침내 집에 이르지 못하나니, 다만 모름지기 걸어가야 집에 도달하는 것과 같아서, 만약 마음을 가져 깨닫기를 기다리면 마침내 깨닫지 못하니, 다만 모름지기 애써서 깨닫게 할 뿐이요, 깨닫기를 기다릴 것이 아니니라.”(p163-164)

“做工夫호대  着不得一絲毫別念이니  行住坐臥에  單單只提起本叅話頭하야  發起疑情하야  憤然要討箇下落이니라.  若有絲毫別念하면  古所謂雜毒이  入心하야  傷乎慧命이라하니  學者는 不可不謹이니라”


“공부를 짓되 털끝만치라도 딴 생각[別念]을 두지 말지니, 가고 멈추고 앉고 누우매 다못 본참화두(本叅話頭)만을 들어서 의정을 일으켜 분연히 끝장 보기를 요구할 것이니라. 만약 털끝만치라도 딴 생각[別念]이 있으면 고인이 말한 바 「잡독(雜毒)이 마음에 들어감에 혜명(慧命)을 상한다」하니, 학자는 가히 삼가지 않을 수 없느니라.”

“余云別念은  非但世間法이라  除究心之外에  佛法中一切好事라도  悉名別念이니라.  又豈但佛法中事리요  於心體上에  取之捨之  執之化之가  悉別念矣니라”


“내가 말한 딴 생각[別念]은 비단 세간법만 아니라 마음을 궁구하는 일 외에는, 불법(佛法)중 온갖 좋은 일이라도 다 딴 생각[別念]이라 이름하느니라.
또 어찌 다만 불법중 일뿐이리오?  심체상(心體上)에 취하거나[取], 버리거나[捨], 집착하거나[執], 변화하는[化] 것이 모두 다 딴 생각[別念]이니라.” (p164-166)

“做工夫호대  不得求人說破이니  若說破라도  終是別人底요,  與自己로  沒相干이니라.  如人이  問路到長安에  但可要其指路언정  不可更問長安事니  彼一一說明長安事라도  終是彼見底요,  非問路者의  親見也이니라.  若不力行하고  便求人說破도  亦復如是하니라”


“공부를 짓되 다른 사람이 설파(說破)하여 주기를 구하지 말지니, 만약 설파(說破)하여 주더라도 마침내 그것은 남의 것이요, 자기와는 상관이 없나니라.
마치 사람이 장안으로 가는 길을 물으매 다만 그 길만 가리켜 주기를 요구할지언정 다시 장안의 일은 묻지 말지니, 저 사람이 낱낱이 장안 일을 설명할지라도 종시(終是) 그가 본 것이요, 길 묻는 사람이 친히 본 것은 아니니라. 만약 힘써 수행하지 않고 남이 설파하여 주기를 구하는 것도 또한 이와 같으니라.” (p180-181)
*일여(一如) ; 완전히 하나가 되어 나눌 수 없음.
*본참화두(本參話頭) :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옴마니반메훔 ; 자비의 화신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의 성스러운 자비(慈悲)를 나타내는 진언(眞言)으로 ‘오! 연꽃 속의 보석이여!’라는 뜻이다. 여기서 보석은 자비의 상징이고, 연꽃은 지혜·깨달음의 상징이다.
산스크리트어 oṃ maṇi padme hūṃ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 육자진언(六字眞言)이라 한다.
이 진언을 외우면 관세음보살의 자비에 의해 번뇌와 죄악이 소멸되고, 온갖 지혜와 공덕을 갖추게 된다.
*업보(業報) ; 자신이 행한 선악(善惡)의 행위에 따라 받게 되는 과보(果報).
*진묵겁(塵墨劫) ; 티끌이 쌓여 먹(墨)이 될 만큼의 오랜 시간.
*진여(眞如) ; ①차별을 떠난,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 ②궁극적인 진리. ③모든 분별과 대립이 소멸된 마음 상태. 깨달음의 지혜. 부처의 성품. ④중생이 본디 갖추고 있는 청정한 성품.
*불성(佛性) ; ①모든 중생이 본디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 부처가 될 수 있는 소질·가능성. ②부처 그 자체. 깨달음 그 자체.
*원만구족(圓滿具足) ; 모자라거나 결함이 없이 완전히 모두 갖추어져 있음.
*법신불(法身佛) ; 절대적 지혜의 지고한 상태, 즉 진리 그 자체를 가리키는 부처님(佛).
*육도윤회(六途輪廻, 六道輪廻) ; 선악(善惡)의 응보(應報)로 육도(六途-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의 고락(苦樂)을 받으면서 죽음과 삶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것.
*육도법계(六道法界) ; 육도(六道)의 세계. 육도(六道).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 비로자나(毘盧遮那)는 vairocana의 음사(音寫). 부처님의 몸에서 나오는 빛과 지혜의 빛이 세상을 두루 비추어 가득하다(光明遍照,遍一切處,日)는 뜻.
①진리 그 자체인 법신(法身)을 형상화한 것. 비로자나 법신불(毘盧遮那 法身佛)
②대일여래(大日如來)와 같음.
*적광토(寂光土) ; 상적광토(常寂光土). 상적광(常寂光). 법신불(法身佛)이 머무르는 정토(淨土).
상적광토는 이상(理想)과 현실(現實), 정(靜, 寂)과 동(動, 光)의 본래(本來, 常) 일체(一體)인 세계로 그것은 여기와 저기, 차안(此岸)과 피안(彼岸)을 넘어 체득되는 참된 절대계(絕對界)이고, 법신불의 상주(常住)의 정토(淨土)이다.

 

 

 



------------------(2)

*도량(道場) : [범] bodhimandala 도를 닦는 곳이란 말이다。습관상 「도량」으로 발음한다.
*선영(先塋) ; 조상의 무덤. 또는 조상의 무덤이 있는 곳.
*제사(祭祀) ; 신령이나 죽은 사람의 넋에게 음식을 바치어 정성을 나타냄. 또는 그런 의식.
*차례(茶禮) ; 음력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 명절날, 조상 생일 등의 낮에 지내는 제사.
*천도(薦度) ; 불교 의례의 하나. 망자의 넋을 부처님과 인연을 맺어 주어 좋은 곳으로 가게 하는 일.
*신장(神將) ; 불법(佛法)을 보호하는 신장. 또는 《화엄경》을 보호하는 신장.
*(게송) ‘一把柳條收不得  和風塔在玉欄干’ ; [가태보등록(嘉泰普燈錄)] 제23권 황정견(黃庭堅)거사 게송 참고.
*게송(偈頌) ; 시(詩), 게(偈)와 송(頌) 모두 불교의 가르침을 싯구로 나타낸 것.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