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 법문2014. 3. 1. 18:54

§(152) 참선(參禪)은 모든 사람에게 주어진 능력이요 자격 / 거울법문 / 다못 바보처럼 「이뭣고?」 이렇게 해야 / 참선•불법(佛法)의 목적은 깨닫는데 있는 것이지 아는 것이 아니다.

 

참선(參禪)은 모든 사람에게 주어진 능력이요 자격입니다. 지식이 있건 없건 그것도 상관이 없고, 머리가 좋고 나쁘고 헌 것도 상관이 없고, 죄를 많이 짓고 안 짓고, 착한 일을 많이 하고 안 허고 헌 것도 전혀 상관이 없어.


참선하는데 제일 조심해야 할 것은 분별심(分別心)으로 따져 들어가는 거 - 경전에 있는 말씀, 어디서 들은 법문의 말씀, 그러헌 교리적으로 또는 철학적으로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따져 들어가는 거, 설사 무슨 그럴싸한 결론을 얻었다 할지라도 그것은 알음알이지, 깨달음은 아닌 것입니다. 참선의 목적, 불법(佛法)의 목적은 깨닫는데 있는 것이지 아는 것이 아니예요.


**송담스님(No.152) (참선법B) - 1981년 10월 첫째일요법회(1981.10.04)에서. (용152)

 

약 21분.

 


내가 나를 찾는데 - ‘내’라는 게 뭣이냐 허면은,
눈으로 무엇을 보고서 ‘아! 저것이 주장자다. 저것이 마이크다. 저것이 사람이다.’ 그렇게 아는 놈이 있거든.

‘저 산은 푸르다.’ 푸른 줄 아는 놈. 그것이 바로 나의 ‘나’여. 또 소리를 듣고 ‘저게 어린애 목소리다’하고 아는 놈. 그놈을 여의고 내가 없어. 대관절 거기에서 나를 찾어야 한다 그 말입니다.

눈으로 무엇을 볼 때 그때가 바로 나를 찾을 수 있는 좋은 기회다.
귀로 무슨 소리를 들을 때 바로 그 찰나(刹那)가 나를 찾을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나를 찾는 기회요. 나를 깨닫는 기회다 그말이야.

그놈을 여의고 내가 없고, 그놈을 여의고 부처도 없고 성품도 없기 때문에 그렇다.

눈으로 무엇을 볼 줄 아는 사람이면 누구나 참선을 할 수가 있고,
귀로 무슨 소리를 들을 줄 안 사람은 누구나 참선을 헐 수가 있고,
코로 무슨 냄새를 맡을 줄 아는 사람은 누구도 참선을 헐 수가 있는 것이어서,

참선(參禪)은 모든 사람에게 주어진 능력이요 자격입니다.

지식이 있건 없건 그것도 상관이 없고,
머리가 좋고 나쁘고 헌 것도 상관이 없고,
죄를 많이 짓고 안 짓고,
착한 일을 많이 하고 안 허고 헌 것도 전혀 상관이 없어.

눈앞에 모든 물건을 보는 것은 자기가 거울을 하나 놓고 그 거울에 비추어진 자기 얼굴을 보는 거와 같은 것입니다.

아무리 머리가 나쁘고 무식허다 하드라도 거울로 떠억 자기 얼굴을 보고서 『대관절 저 사람이 누군고?』 하고 의심헐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옛날에는 거울이라는 것을 전혀 보지도 듣지도 못한 사람이 자기 남편이 중국에 갔다 오는 길에 거울을 하나 선사를 했는데,
그 거울을 그 부인이 보고서 대성통곡(大聲痛哭)을 하면서 ‘중국에 가서 여러 달 있다 오더니 예쁜 각시를 하나 얻어 가지고 왔다’고 대성통곡을 헌다 그말이여.

그래 시어머니가 『아! 대관절 왜 그렇게 우냐? 좋으면 좋게 좋지. 아무리 좋다고 남편이 오랜만에 돌아와서 좋다고 그렇게 통곡까지 할 수가 있느냐?』
며느리가 『아니오, 어머니. 좋아서가 무엇입니까? 중국에 갔다 와서, 나는 잘 갔다 온 줄 알았더니 계집을 하나 뀌어 차고 왔다.』고 그러거든.
그래서 『무슨 계집이 어디가 있느냐?』
『여기 보세요.』 거울을 드리니까,
시어머니가 그 거울을 보더니 『아이구, 어디서 예쁜 각시 커녕은 늙은 년을 어디서 데리고 왔다.』

거울을 통해서 자기 얼굴을 보듯이, 하늘을 보아도-그 하늘에 뜬 구름을 보면서 그 구름을 통해서 자기를 볼 줄 알아야 하거든.
먼 산에 푸른 산을 보아도 그 푸른 산의 모습을 보고서 바로 자기를 볼 줄 알아야 한다.
자기로 돌아 올 줄을 알아야 하는 것이다.

지나가는 버스를 보고도 그 버스를 통해서 자기로 돌아와야 하고, 어떤 놀고 있는 어린애를 보고도 자기로 돌아올 줄 알아야 한다.
어머니 되신 분들은 어린애를 보고는 자기 어린애를 금방 생각할 줄 아실 것입니다.

그렇듯이 그 어린애를 보건, 푸른 산을 보건, 흰 구름을 보건, 버스를 보건 무엇을 보든지 간에 그 본 찰나에 자기로 돌아와야 하는 것이다.

자기를 보아야 하는 것이다.
자기를 깨달라야 하는 것이다.
자기의 부처를 깨달라야 하는 것이다.

자성불(自性佛)을 깨닫기 위한 공부가 바로 화두(話頭)를 드는 것이여.

「이뭣고?」 무엇을 보던지 간에 「이뭣고?」 이렇게 공부를 지어 가는 것입니다.

무슨 소리를 듣더라도 마찬가지여. 어떤 소리를 듣더라도-아들을 잃어버린 사람은 어디서 어린애 우는 소리나 목소리를 들으면 그 소리를 듣는 찰나에 죽은 아들을 생각허겠죠.

그와 같이 어떠헌 소리를 들으면 퍼뜩 「이뭣고?」 이렇게 공부를 지어 가는 것입니다.

이것이 무엇이 어렵다 하겠습니까?

눈을 뜨면 무엇이 보이고 잠에서 일어나면 항시 개방되어 있는 것이 귓구멍인데 들으라고 안 해도 언제나 소리는 들려오고 있고,
눈을 떴다하면 언제라도 노란 것 아니면 파란 것, 파란 것 아니면 검은 것, 사람 아니면 짐승, 물건, 집, 장님이 아닌 동안에는 언제나 눈을 통해서 무엇인가를 보게 될 것입니다.

후각이 이상이 생기지 아니한 사람은 언젠가 무슨 냄새가 들어오던지 들어올 것이고, 무슨 음식을 먹을 때 그 맛을 볼 것이고, 짜고 싱겁고 구수한 것을 알 것이고,

눈도 감고 귀도 막고 코도 막고 입을 막았다 하더라도 무엇인가 생각이 날 것입니다.

지나간 생각, 현재 닥치고 있는 생각, 앞으로 다가올 생각, 사람 생각 아니면 재산 생각 아니면 명예와 권리에 대한 생각, 무엇인가 생각이 일어날 것입니다.

일어나는 그 생각이 두 번째 다음 생각으로 옮겨가기 전에 「이뭣고?」
「‘이뭣고?’헌 이놈이 뭣고?」 이렇게 허는 것입니다.
내가 나를 찾고, 찾는 그놈을 다시 되찾고.

아까 조실스님께서 말씀을 하셨습니다. 「이뭣고?」 저 푸른 산을 볼 때에 「저 산을 보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그 다음에는 금방 「이 ‘이뭣고?’헌 이놈이 뭣고?」 이렇게 공부를 허는 것입니다.

분별심(分別心), 사량심(思量心), 과거에 책을 보고 알았건, 귀로 들어서 알았건, 눈으로 봐서 알았건, 누구한테 배워서 알았건, 생각해서 알았건, 일체 지식이나 상식 다 이 공부허는 데에는 필요가 없습니다.
그 보고 듣고 알고 헌 그러헌 것들을 여기에 끌어들일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놔두고 다못 바보처럼 「이뭣고?」 이렇게 허는 것입니다.

이 참선하는데 제일 조심해야 할 것은 분별심(分別心)으로 따져 들어가는 거-경전에 있는 말씀, 어디서 들은 법문의 말씀, 그러헌 교리적으로 또는 철학적으로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따져 들어가는 거,

설사 무슨 그럴싸한 결론을 얻었다 할지라도 그것은 알음알이지, 깨달음은 아닌 것입니다.

참선의 목적, 불법(佛法)의 목적은 깨닫는데 있는 것이지 아는 것이 아니예요.

그래서 참선하는 데에는 ‘무슨 경책(經冊)을 많이 읽었다고 해서 그 사람이 공부를 잘하냐?’ 절대로 그렇지를 않고, ‘머리가 좋아야만 하는 것이냐?’ 절대로 그렇지도 않습니다.

오히려 코가 없으면 똥을 된장으로 알고 집어먹을 만큼 미련헌 것이 오히려 이 참선을 허는 데에는 훨씬 빨리 깨달을 수 있는 면이 있다고 나는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과거에 어떤 조사는 『지옥에 염라대왕이 와서 끌어갈랴고 해도 하나도 무서워헐 줄도 모르고, 석가모니 부처님이 오셔서 아미타불이 오셔서 극락으로 데려간다고 해도 하나도 좋아헐 줄도 모르고 이러헌 바보가 있다면 당장 내가 인가(印可)를 하겠다.』 이렇게 말씀하신 도인(道人)도 계십니다.

소란 놈이 목이 마를 때 주인이 맑은 시냇가로 끌어다 대주면 소는 의심 없이 그 물을 꿀꺽꿀꺽 마시기만 허면 되는 것입니다.

‘이 물이 농약이 안 섞여 있을까? 누가 이 물에다가 독약이나 안탔을까? 이 물에는 균이 없을까? 이 물을 마시면 설사를 안 헐까?’ 이러헌 등등 머리가 영리하고 지식이 있는 척하고 이리저리 따지고 재고 그러기 보다는 주인을 믿고 주인이 끌어다가 대주면 여지없이 의심 없이 꿀꺽꿀꺽 마시는 그러헌 순한 소처럼,

『바른 자세로 숨을 깊이 들어마셨다가 2~3초 정지헌 뒤에 조용하게 내쉬면서 「이뭣고?」 해라』하면,

『아무 의심 없이 「이뭣고?」 그렇게만 허면, 무량겁 업이 다 녹아지고 팔만사천(八萬四千) 마군(魔軍)이도 거기에서 다 항복을 하고, 「이뭣고?」 한마디에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을 다 읽은 공덕(功德)과 같고,
이렇게 한 생각 한 생각을 해 나가면 금생에 결정코 ‘참나’를 깨달라서 대도(大道) 견성(見性)을 헌다』
그렇게 말을 들으면,

여지없이 확- 믿고, 앉어서나 서서나 누워서나 차를 탈 때나 일을 할 때나 한 생각 한 생각 그렇게 순진하게 착실하게 간절하게 공부를 지어간다면 결단코 견성을 허고야만 마는 것입니다.

영리헌 것, 참 별로 좋은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도 세지총명(世智聰明), 세속적인 지혜가 영리하고 총명한 사람은 그 사람 도 닦기가 힘들다 그랬습니다.
세상에서는 영리허고 똑똑헌 것을 대단히 참 취하지만 도 닦는 데는 약삭빠르고 영리하고 똑똑한 거 그거 별로 좋지 않습니다.

그러믄 ‘영리하고 똑똑한 사람은 도를 닦지 않고 바보·천치(天癡)들만 모여서 참선을 해야겠구나. 나는 바보·천치가 아니고 영리허니까 참선은 해봤자 적성에 안 맞구나.’ 이렇게 생각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영리해도 영리헌 데에 빠지지 아니하면 그것도 상관이 없는 것이고, 아무리 경책을 많이 읽었어도 경책을 읽은 그것에 집착함이 없으면 아무 방해로울 것이 없는 것입니다.

좋은 것, 아무리 좋은 것도 집착(執着)하면 그것이 병이 되는 것입니다.

심지어 깨달음을 얻어가지고서도 그 깨달음에 집착을 허면 참 깨달음이 아닌 것입니다.

『보살도(菩薩道)를 증득(證得)한 보살이 「나는 보살도를 증득했다」한 생각을 갖게 되면 이미 보살이 아니다. 나한과(羅漢果)를 증득한 성현이 「나는 나한과를 증득했다」고 허는 생각을 가지면 이미 나한(羅漢)이 아니다.』하는 말씀이 금강경(金剛經)에 있습니다.

그러헌 깨달음을 얻은 성현(聖賢)도 ‘내가 성현이 되았다’고 허는 생각을 가져서는 아니 되거든 그밖에 무엇에 우리가 집착을 헐 것이 있겠습니까?

얼굴이 조끔 남보다 이쁘게 생겼다고 그것을 집착할 것이 있겠습니까?
아무리 잘 생긴 얼굴도 1mm에 십분의 일도 못 될 만큼 얇은 껍데기만 벗겨 놓으면 보기가 흉할 것입니다.

아무리 신체가 건강한 사람도 숨 한 번 내쉬었다 들어마시지 못하면 10분 못가서 내장이 버글버글 썩어 들어가고, 아무리 힘이 센 장사라도 마찬가지여.
아무리 권리와 명예가 많은 사람도 마찬가집니다. 아무리 지식이 많은 사람도 또한 마찬가지요.

우리는 아무것에도 그것을 내가 가졌다고 해서 으시대고 뽐내고 남을 업신여기고 그럴만한 것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그래서 군자는 참으로 이 불법을 올바르게 믿는 보살은 돈이 많을수록에 겸손(謙遜)하고, 지식이 많을수록에 겸손하고, 권리와 명예가 많을수록에 겸손하고, 힘이 셀수록에 겸손을 하는 법인 것입니다.

겸손한 마음 하나를 가지면 자연히 모든 사람으로부터 존경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내가 돈을 가졌다, 권리가 있다, 명예가 있다, 지식이 있다’하고 목에다 힘을 주고 뒤로 자지바지해 가지고 남을 업신여기면, 만나는 사람마다 그 사람은 싫어허는 것입니다. 미워허는 것입니다.
그 사람 잘못 되기를 고소하게 생각하는 것입니다.

집착하는 마음만 없으면 돈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고, 힘이 세면 셀수록 좋고, 지식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지. 그 뭐 하등(何等)의 나쁘다 할 것이 없습니다.

집착하는 마음을 갖지 말고 언제나 「이뭣고?」를 앞세우고 살아간다면 거기에서 업장(業障)은 소멸이 되고 복(福)과 지혜(智慧)가 증장이 될 것입니다.

이러헌 그렇게도 간단하고 그렇게도 쉬웁고, 누구도 할 수 있는 이 법이 최상승법(最上乘法)이라 하는 것입니다.(20분50초~41분17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찰나(剎那 절•짧은시간 찰,어찌 나) ; 어떤 일이나 현상이 이루어지는 바로 그때.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대성통곡(大聲痛哭) ; 큰 소리로 몹시 슬프게 욺.
*자성불(自性佛) ; ‘자성(自性)이 즉 부처’라는 뜻.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화두는 「말」이란 뜻인데, 두(頭)는 거저 들어가는 어조사다。「곡식을 보고 땅을 알고, 말을 듣고 사람을 안다」는 옛말이 있다. 도(道)를 판단하고 이치를 가르치는 법말 • 참말을 화두라고 한다.
또는 공안이라고 하는 것은 「관청의 공문서」란 뜻인데, 천하의 정사를 바르게 하려면, 반드시 법이 있어야 하고 법을 밝히려면 공문이 필요하다.
부처님이나 조사들의 기연(機緣), 다시 말하면 진리를 똑바로 가르친 말이나 몸짓이나 또는 어떠한 방법을 막론하고 그것은 모두 이치세계의 바른 법령(法令)인 것이다.그러므로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이 무엇고(이뭣고 是甚麼 시심마,시삼마) : ‘이 무엇고? 화두’는 천 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 무엇고?」(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어떤 일이 일어난 그 자리)를 찾는 것이다.
*분별(分別) ; ①대상을 차별하여 거기에 이름이나 의미를 부여함. 대상을 차별하여 허망한 인식을 일으키는 인식 주관의 작용. ②구별함. ③그릇된 생각.
*사량(思量) ; 생각하여 헤아림. 사유하고 판단함.
*알음알이 ; ①어떤 인식대상에 대해 마음 또는 마음작용이 가지는, 그 인식대상에 대한 형상 즉 이미지를 아는 것을 말한다.
②마음이 번뇌에 덮여있는 상태, 말하자면 거울에 때가 낀 상태에서 가지는 이러한 앎을 깨달음[무루혜 無漏慧-모든 번뇌를 해탈(解脫)한 성자(聖者)의 지혜]과 구분하여 알음알이라 한다.
*아미타불(阿彌陀佛) ; Amitabha Buddha(無量光佛-무한한 공간에 꽉 차 있어서 안팎과 갓이 없는 빛의 부처님), Amitayus Buddha(無量壽佛-무한한 시간에 뻗치어서 끝없는 생명의 부처님) 대승불교의 중요한 부처님. 줄여서 미타(彌陀).
<정토 3부경>에 있는 이 부처님의 역사는, 오랜 옛적 과거세에 세자재왕불(世自在王佛 Lokesvararaja-Buddha)의 감화를 받은 법장비구(法藏比丘 Dharmakara)가 2백 10억의 많은 국토에서 훌륭한 나라를 택하여 이상국을 건설하기로 기원하였다.
또 48원(願)을 세워 자기와 남들이 함께 성불하기를 소원하면서 오랜 겁을 수행한 결과 지금부터 10겁 이전에 그 원행(願行)이 성취되어 아미타불이 되었다.
*인가(印可 도장 인,옳을•인정할 가) 스승이 제자의 깨달음을 인정함.
*도인(道人) ; 깨달은 사람.
*무량겁(無量劫) ; 헤아릴 수 없는 오랜 시간이나 끝이 없는 시간. 劫과 刧는 동자(同字).
*업(業) ; (산스크리트어:karma카르마) ①몸과 입과 마음으로 짓는 행위와 말과 생각, 일체의 행위.
②행위와 말과 생각이 남기는 잠재력. 과보를 초래하는 잠재력.
③선악(善惡)의 행위에 따라 받는 고락(苦樂)의 과보(果報).
④좋지 않은 결과의 원인이 되는 악한 행위. 무명(無明)으로 일으키는 행위.
⑤어떠한 결과를 일으키는 원인이나 조건이 되는 작용. 과거에서 미래로 존속하는 세력.
*팔만사천(八萬四千) 마군(魔軍) ; 많은 수의 악마의 군세(軍勢)를 뜻함.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 팔만사천 법문이 있다는 뜻으로, ‘대장경(大藏經-부처님의 가르침을 적은 경전을 통틀어 이르는 말)’을 달리 이르는 말.
*팔만사천(八萬四千) : 법수(法數)에는 이 말이 퍽 많다. 그것은 중생의 망상이 벌어져 나가는 것을 자세히 분석하면 팔만사천 갈래가 된다고 한다.
그러므로 망상을 따라 일어나는 악마의 수효도 팔만사천이요, 망상을 다스리는 법문도 팔만사천이다.
또한 인도에서는 많은 수효를 말할 때에는 이 말을 쓰는 수가 가끔 있다. 이것을 줄여서 팔만이라고만 하기도 한다.
*법문(法門 부처의 가르침 법,문 문) : 부처님의 가르침은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 세계를 벗어나, 열반(涅槃)에 들게 하는 문이므로 이렇게 이름.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르는 말. 진리에 이르는 문.
*공덕(功德) ; ①복, 복덕 ②좋은 과보를 받을 선행(善行).
*견성(見性)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性)을 꿰뚫어 보아(見) 깨달음. 미혹을 깨뜨리고 자신의 청정한 본성을 간파하여 깨달음.
*간절(懇切 간절할•정성스런 간,정성스런•절박할 절) ①지성(至誠)스럽고 절실(切實)함 ②정성이나 마음 씀씀이가 더없이 정성스럽고 지극함 ③마음속에서 우러나와 바라는 정도가 매우 절실함.
*천치(天癡, 天痴) ; ①어리석고 못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②선천적으로 정신 작용이 완전하지 못하여 어리석고 못난 사람.
*집착(執着) ; 허망한 분별로써 어떤 것에 마음이 사로잡혀 헤어나지 못함. 그릇된 분별로써 어떤 것을 탐내어 그것에서 벗어나지 못함.
*보살도(菩薩道) ; ①보살의 수행. 보살이 자리이타(自利利他)를 갖추어 깨달음에 이르는 도. ②대승불교.
*증득(證得) ; 수행으로 진리를 체득함.
*나한과(羅漢果) ; 아라한(阿羅漢)의 경지.
*나한(羅漢) ; 아라한(阿羅漢)의 준말.
*아라한(阿羅漢) ; 모든 번뇌를 완전히 끊어 열반을 성취한 성자. 이 경지를 아라한과(阿羅漢果), 이 경지에 이르기 위해 수행하는 단계를 아라한향(阿羅漢向)이라 함. 응공(應供)•응진(應眞)•무학(無學)•이악(離惡)살적(殺敵)•불생(不生)이라 번역.
마땅히 다른 사람의 공양을 받을 자격이 있으므로 응공(應供), 진리에 어울리므로 응진(應眞), 더 닦을 것이 없으므로 무학(無學), 악을 멀리 떠났으므로 이악(離惡), 번뇌라는 적을 죽였으므로 살적(殺敵), 미혹한 마음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불생(不生)이라 함.
*금강경(金剛經) ; 금강경의 완전한 이름은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또는 [능단금강반야바라밀경(能斷金剛般若波羅蜜經)].
금강(金剛)은 단단하고 날카로움을 뜻하는 다이아몬드를 가리키며, 반야(般若)는 지혜를, 바라밀(波羅蜜)은 저편 언덕으로 건너는 것, 즉 열반에 이른다는 바라밀다(波羅蜜多)의 줄임말이다. 풀이하면 ‘금강석처럼 견고한 지혜를 얻어 열반에 이르라는 부처의 말씀’을 뜻하는 것이다.
이 금강경은 대 반야경 육백부(六百部) 중에서 577권에 해당되고, 그 내용이 약 3백송(三百頌) 정도의 분량이기 때문에 ‘삼백송 반야경’이라고도 하며, 대략 서기 150~200년경의 대승경전 최초기에 만들어진 경전이라 할 수 있다.


「금강경」의 금강(金剛)은 금강석 곧 다이아몬드를 말한다. 세상에서 가장 단단하기에 무엇이라도 부술 수 있고, 세상에서 가장 예리하기에 무엇이라도 자를 수 있으며, 세상에서 가장 반짝이기에 어둠을 밝게 비출 수 있다는 금강석을 부처님의 가르침, 반야의 지혜로 비유한 것이다.
금강석처럼 단단하고 예리하고 반짝이는 완전한 반야의 공지(空智)로 보살행을 수행하면 열반을 성취하여 성불할 수 있다는 가르침을 설한 경전이란 뜻.
「금강경」은 부처님과 수보리의 문답으로 전개되어, 공(空)사상에 입각하여 집착 없이 보살행을 실천하는 일을 중심 내용으로 대승불교의 기본 사상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성현(聖賢) ; 성인과 현인을 아울러 이르는 말.
*으시대다 ; 어울리지 아니하게 우쭐거리며 뽐내다.
*업신여기다 ; (사람이 대상을)교만한 마음으로 낮추어 보거나 하찮게 여기다.
*겸손(謙遜 겸손할 겸,겸손할 손) ; 남을 존중하고 자기를 내세우지 않는 태도가 있음.
*하등(何等) ; (주로 ‘하등의’ 꼴로 쓰여;뒤에 오는 ‘없다’, ‘않다’ 따위의 부정어와 호응하여) ‘아무런’, ‘아무’ 또는 ‘얼마만큼’의 뜻을 나타내는 말.
*업장(業障) ; 전생(前生)이나 금생(今生)에 행동•말•마음(신구의,身口意)으로 지은 악업(惡業)으로 인하여 이 세상에서 장애(障礙)가 생기는 것.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