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精進) 수행2014. 11. 1. 17:01

§(251) (게송)사중구의원~ / 지금 이 찰나! '한 생각' 돌이켜서 ‘이뭣고?’ / 인생은 나그네, 세상만사 뜬구름 / 중생이 본래 부처다 / 최상승법은 언제나 우리 가까이 있다.

조실스님 법문 가운데도 들으셨겠지만은 공부가 잘 안 된다고 짜증하거나 번민을 해서는 아니되고, 또 잘된다고 해서 기뻐하는 마음도 내지 말어라.
『일어나는 망상과 번뇌를 버릴려고 그러고, 쫓을려고 그러고, 억누를려고 하지를 말고, 그냥 고대로 놔둬 버리고 나는 화두만을 턱 추켜 들면 되는 것이다.』 그것이 가장 지혜롭게 번뇌와 망상을 다스리는 방법이다.


‘오늘 법문을 들었으니까 오늘은 그럭저럭하고 내일 아침부터 하리라’ 그런 생각을 가지셨다면 그분은 벌써 틀려 버린 것입니다. 지금 이 법당에 앉어 있는 이 찰나! 이 찰나에 생각을 돌이켜야 합니다.
자기가 자기 1찰나, 1찰나를 단속할 때에 자기 생사문제가 해결이 되는 것이지, 왜 그러냐 하면, 생사는 다른 데에서 있는 것이 아니고, ‘한 생각’에서 생사(生死)가 생겨난 것입니다. ‘탐진치(貪瞋癡)’하지마는, 딱! 꼬집어서 말하면 생각이거든, ‘한 생각’이거든.  ‘오욕락(五欲樂)’해도 더 다그쳐 생각해 보면, 그것도 ‘한 생각’이여.  ‘천당’ 그것도 ‘한 생각’에서, 지옥도 ‘한 생각’에서.


‘이뭣고~?’하면, 그 속에 화엄경이 다 들었고, 팔만대장경이 다 들었고, 삼세제불을 친견하는 도리도 그 속에 다 들어있고, 육도윤회를 갖다가 끊어 버리는 도리도 바로 그 속에 있는 것입니다.
가사불사(袈裟佛事)를 하는 목적은 꼭 가사가 없어서 가사를 하는 데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고, 이 가사불사를 통해서 여러분에게 최상승법을 설해서 믿고 실천하게 해 드리는 데에 궁극의 목적이 있는 것입니다.


참선을 하는 사람은 가난해도 불행하지 아니하고, 부자가 된다고 해서 그렇게 꺼떡댈 것도 없는 것입니다. 언제나 여유있고 느긋하고 멋지게—하나의 그 인생살이를 연극처럼 생각하고,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생각하고 살 수 있는 길이 이 참선법이라 하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251)—84년 12월 첫째일요법회(84.12.02) (용251)

 

(1) 약 20분.

(2) 약 18분.


(1)------------------

사중구의원(死中求醫員)하고  영해억모심(嬰孩憶母心)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주공친절처(做工親切處)에  홍일상동령(紅日上東嶺)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사중구의원(死中求醫員)하고  영해억모심(嬰孩憶母心)이다.
죽을병든 사람이 의원(醫員)을 구하듯 그렇게 간절하게 하고, 어린 아이가 엄마를 생각하듯 하라. 이 참선(參禪)은 그만큼 간절(懇切)한 마음으로 해야만 하는 것입니다.(做工親切處)

무량겁(無量劫)을 두고 탐진치 삼독에 빠져 가지고, 오직 익히느니 그것만을 익혀 왔는데—탐진치 삼독(三毒)과 오욕락(五欲樂)만 익혀 왔는데,
금생에 그 속에서 그러한 집착과 애착으로부터 벗어나서 ‘참나’를 찾을려고 하니, 탐진치 삼독과 재색식명수(財色食名睡) 이 오욕락은 무량겁을 익혀 왔기 때문에 안 할려고 해도 그것은 저절로 되어져 버리고,


내가 나를 찾는 이 참선은 할려고 해도, 화두를 아무리 들어도, 들으면서도 금방 딴 생각이 동시에 침범을 해 들어오고 들을 때 뿐이지 금방 없어져 버리고, 한두 번 해본 것도 금방 습관이 드는데 하물며 무량겁을 해온 그 습성이 일조일석(一朝一夕)에 그것이 없어질 수가 없습니다.

글씨를 쓰면, 벼루를 오른쪽에다 놓고 글씨를 쓰다가 한 서너 번 먹을 찍어다 쓰고서 그쪽이 불편하니까 그 벼루를 왼쪽에다 갖다 놓고는 인자 쓰기 시작하면은 글씨 쓰다가 먹을 찍으러 가는데, 자기 손으로 오른쪽에 놨던 벼루를 왼쪽에다 놨는데 금방 먹을 찍으러 가기를 오른쪽으로 가게 됩니다.
아까 몇 번 오른쪽에서 찍어다 썼기 때문에 벌써 그것이 습관이 되어 가지고, 분명 자기 손으로 왼쪽에다 옮겨 놓았음에도 불구하고 무의식 중에 오른쪽으로 먹을 찍으러 간다 그말이어. 밥상에서 밥을 먹을 때에도 그렇고.

평상시에 자기집을 다니던 사람은 이사를 해서 동쪽에 살다가 서쪽으로 이사를 갔는데도 무의식 중에 간다는 것이 이사 간 줄을 깜박 잊어 버리고 동쪽으로 얼마 동안 가다가 ‘아! 내가 서쪽으로 이사를 갔는데, 내가 어먼 데로 가는구나’ 그런 예를 얼마든지 경험할 수가 있고.

술을 잔뜩 먹어서 완전히 인사불성(人事不省)이 되었는데도 그 취중에도 자기집을 찾아 오는 것입니다. 자기집인 줄 알고 남의 집의 침실에 들어가서 실수를 하는 예도 있다고 그럽니다마는, 무의식 중에도 평소에 익혀 놓으면 그것이 되어지는 것입니다.

그만큼 똑같은 일을 거듭해서, ‘거듭한다’고 하는 것은 나중에 그것이 습관이 체질화가 되고, 체질화가 되면은 무의식 중에 되게 되는 것입니다.
나쁜 업도 익히면 그것이 몸에 젖어서 체질화가 되고, 좋은 것도 자꾸 되풀이 해서 하면 그것이 습관이 되고 체질화가 되는 것입니다.


이 화두(話頭)도 처음부터 잘되는 사람은 없습니다. 내동 잠이 안 오고 초롱초롱 하다가도 화두만 들고 할려고 하면 혼침(昏沈)이 오고, 아무 생각도 없이 괜찮다가도 화두만 들고 할라면 번뇌(煩惱) 망상(妄想)이 퍼 일어나고 그러거든.

참선을 해본 분이면 누구나 다 경험한 바시겠지마는 이 번뇌와 망상 그리고 혼침, 이것이 참선하는데 있어서 제일 우리를 괴롭히는 것들인데,
이 잠이 오는 것과 망상이 일어나는 것만 없으면은, 그냥 화두를 한번 떠억 들면 성성(惺惺)하고 적적(寂寂)해서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한다면은 공부하기가 하나도 괴로울 것이 없을 것 같은데,

그것이 처음에는 잘된 듯 하다가 얼마 지나면은 뚝 변해 가지고 영 안 되고, 또 안 되지마는 계속하다 보면 또 잘되고, 잘되었다 안 되었다, 잘되었다 안 되었다 그러면서 수없는 고비를 넘다 보면,

나중에는 할려고 안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어지고, 망상을 안 할려고 안 해도 저절로 망상이 끊어지면서 화두가 순일무잡(純一無雜)하고 순수해 가지고 앉어서나 서서나 누워서나, 일을 할 때나 밥을 먹거나, 옆에서 떠들고 시끄럽게 하거나 말거나, 고대로 화두가 성성하게 들려진 때가 오고야만 마는 것입니다.
그럴 때에는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몸이 괴로운 줄도 모르고, 밤새 정진을 해도 괴롭고 피곤한 줄을 모르고 그렇다 그말이어.

그래도 ‘아! 인제 되었다. 참 좋다! 이러다가 빨리 툭 터졌으면’ 그런 생각을 하면 그것은 어리석은 짓이요. 오히려 공부를 갖다가 지지리 아홉 질 탑을 쌓는데, 여덟 질까지 쌓아 놓고 마지막 한 자 남겨 놓고 스스로 자기가 허물어뜨리는 거와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정진이 잘되어도 ‘잘된다’는 생각, ‘좋다’는 생각, ‘빨리 깨달았으면’하는 그러한 생각을 일으켜서는 아니되는 것입니다. 그럴수록에 바다와 같이 깊고 태산과 같이 무거운 마음으로 한결같이 정진을 단속을 해 나가야 하는 게고.

또 공부가 영 잘 안 되고 화두가 잘 안 들리고, 혼침이 퍼 일어나고, 몸이 뒤틀리고, 시간이 5분이 1시간보다 더 지루하게 지내간다 하드라도 짜증내는 마음을 내지 말고,
아까 전강 조실 스님 법문 가운데도 들으셨겠지마는 잘 안 된다고 짜증하거나 번민을 해서는 아니되고, 또 잘된다고 해서 기뻐하는 마음도 내지 말어라.


그러면 망상이 퍼 일어날 때는 어떻게 하느냐?
일어나거나 말거나 그 망상을 물리치거나 억지로 누를라고 허거나 쫒아낼려고 하지 말고, 그냥 일어나는 대로 고대로 놔둔 채 나는 ‘이뭣고?~’ 이렇게 자기의 화두만을 탁! 들어 버리면 되는 것입니다.

그놈을 쫓아 버릴려고 그러고, 억지로 누를려고 하면은 화두가 잘 들리기커녕은 ‘누를라고 하는 그 망상’이 하나 더 일어나게 되는 게고,
일어나는 파도를 없애기 위해서 그 파도를 없앨려고 손으로 누르거나 손으로 갖다가 없앨려고 하면은 새로운 파도가 일어나는 거와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이것이 공부해 나가는데 아주 간단하고도 묘한 방법인 것입니다.
『일어나는 망상과 번뇌를 버릴려고 그러고, 쫓을려고 그러고, 억누를려고 하지를 말고, 그냥 고대로 놔둬 버리고 나는 화두만을 턱! 추켜 들면 되는 것이다.』 그것이 가장 지혜롭게 번뇌와 망상을 다스리는 방법이다 하는 것을 여러분은 잘 아셔야 하고.

혼침(昏沈)이 올 때는 어떻게 하냐?
눈을 힘을 주어서 눈을 부릅떠도 눈텡이가, 눈 위에 껍데기가 천 근이나 되게 무겁게 덮어 누르고, 아무리 손으로 허벅지를 꼬집어 뜯어도 시퍼렇게 멍이 들도록 집어 뜯어도 소용이 없다 그말이어.

옛날 도인(道人)들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무릎을 찌르면서—자명초원(慈明楚圓) 선사 같은 이, 경허(鏡虛) 선사 같은 그런 도인들도 송곳으로 무릎을 찌르면서 밤잠을 안 자면서 정진을 하는 말씀도 전해 내려오고 있읍니다마는,

그러한 송곳으로 찌르면서 졸음을 쫓을 만한 그러한 각오가 있어야 하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오늘부터서 낱낱이 다 송곳부터 사러 가시지 말고, 졸음이 올 때에는 살며시 일어나서 밖에 가서 포행(布行)을 하시고 세수도 하시고 그러면서, 포행을 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왔다갔다 포행을 일직선으로 정해 놓고 왔다갔다 한 5분 하면, 졸음이 나가면 또 자리에 와서 또 앉고 이렇게 하면서 혼침을 이기도록. 그래도 안 들으면 송곳으로 한번 찔러서라도 한번 해봄즉 한 일이지요. 그러다 잘못하면 또 피가 많이 나면 안 되니까 조심을 하시고.


이 세상에 사람이 태어나서 모양도 다르고, 성격도 다르고, 취미도 다르고, 또 직업도 다르고 다 다릅니다. 각기 다 자기의 소질 따라서 능력 따라서 서로 남녀 간에 결혼을 하고 직업을 가지고 살게 되는데, 다 이것이 일장춘몽(一場春夢)입니다.

과거에 지은 업(業)으로 서로 만나서 부부간이 되고, 부모 자식 간이 되고, 며느리가 되고, 시어머니가 되고, 친구 간이 되고, 형제간이 되어서 이렇게 만나서 사는데, 이건 참! 어찌해 볼 수 없는 현실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업으로 만나졌기 때문에 인연(因緣)이 다하면 또 헤어지게 됩니다. 생이별(生離別)도 하고 사이별(死離別)도 해서 헤어지는데, 지내 놓고 보면 이것은 분명히 꿈에 지내지 못한 것입니다.

마치 꿈꾸고 있는 동안에는 호랑이를 보면 진짜 무섭고, 뱀이 달라들면 진짜 무섭고, 어디서 좋은 보물을 얻으면 진짜 기쁘고, 깨어 놓고 보면 허망하기가 그지할 수가 없고, 하나도 무서울 것도 없고, 좋아할 것도 없지만, 실지 그 꿈을 꾸고 있는 동안에는 조금도 틀림이 없는 현실입니다.

그와 같이 인생살이도 깨닫기 전에는 분명히 현실입니다. 또 버릴 수도 없습니다. 피할 수도 없습니다. 자기에게 주어진 것은 충실히 최선을 또 다해야 합니다.
‘꿈이니까, 에이! 그까짓 것 소용없다. 가정도 버려 버리고, 재산도 버려 버리고, 직장도 버려 버리고, 사업도 다 팽개쳐라’ 부처님은 그렇게 말씀을 하시지 않았습니다.

특수한 사람에 한해서는, 목숨을 바치고 오직 이 한 일만을 할 각오가 선 사람은 그걸 버리고 출가하실 수가 있지만,
일반 청신사 청신녀는 자기에게 주어진 책임, 남편으로서 아내로서 부모로서 자식으로서 또는 관리로서 농사짓는 사람, 장사하는 사람, ‘각기 자기에게 주어진 책임을 충실히 하면서 그 가운데에 자기 마음 닦는 공부를 해라’ 이렇게 부처님께서는 법을 설하신 것입니다.

부애나면 ‘절로 가서 중이나 되어 버릴까’ 몇 번을 생각하다가, 또 부애가 풀어지면 언제 절 생각은 잊어 버리고 ‘여보, 어쩌고...’

 

도(道)는 꼭 머리를 깎고 출가 해야만 되는 것도 아니고, 속가에 있어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것이 아닙니다.
속가에 있으면 있는 대로 할 길이 있고, 출가한 스님은 출가한 스님대로의 수행해 나가는 법이 있어서 각자 자기 있는 자리, 제일 이 도 닦아 나가는데 중요한 것은 ‘지금’이라고 하는 이 찰나(刹那)인 것입니다.

내년에 어떻게 하고, 앞으로 3년 더 있다 어떻게 하고, 내일 어떻게 하고, 한 시간 뒤에 어떻게 하고, 오늘 저녁부터 어떻게 하고 이런 것이 아니라, 지금! 지금이라고 하는 이 찰나가 이 참선에 있어서는 제일 소중한 것입니다.

‘오늘 법문을 들었으니까 오늘은 그럭저럭하고 내일 아침부터 하리라’ 그런 생각을 가지셨다면 그분은 벌써 틀려 버린 것입니다. 지금 이 법당에 앉어 있는 이 찰나! 이 찰나에 생각을 돌이켜야 합니다. ‘이뭣고?~’

 

한 시간도 멀고, 일 분도 멀어요. '지금' 이 찰나, 지금이라고 하는 이 찰나는 우리가 시간으로 딱 찍을 수가 없습니다. 탁! 찍어도 이미 지나가 버린 과거인 것입니다.
번갯불을 갖다가 우리가 잡을 수 없는 것처럼, 아무리 잡을려고 해도 번갯불은 지나가 버리고 없는 것처럼, ‘지금’이라고 하는 이 시간도 우리는 잡을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잡을 수 없는 그 찰나에  ‘이뭣고?~’ 이렇게 해 나가면,
일어서면서 하고, 걸어가면서 하고, 일하면서 하고, 밥 먹으면서 하고, 차 타면서 하고, 집으로 돌아오면서 하고, 집으로 돌아와서 하고, 세수하면서 하고, 발 씻으면서 하고, 옷 갈아 입으면서 하고 이런 것이지, 언제 뒤로 미루고... 그 사람은 안되는 거여.

이 한 생각 한 생각, 그 찰나 찰나, 좋은 생각이 일어나거나 나쁜 생각이 일어나거나, 속이 상하거나 기쁘거나 슬프거나, 그때 그때, 그 찰나 찰나를 단속을 할 줄 아는 사람은 비로소 공부를 하는 사람이라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아휴! 너무너무 바빠서 못한다.’  ‘아들 대학 입시 준비 때문에 못한다’  ‘대학만 들어가 놓으면 인제 조금씩 해볼라고 그럽니다’  ‘딸 시집보내 놓고 할랍니다’ 그것 다 틀어져 버리고,  ‘김장이나 해 놓고 할랍니다’ 그것도 틀어져 버리는 거여. 다 틀어져 버리는 거여.

이건 자기가 자기 1찰나, 1찰나를 단속할 때에 자기 생사 문제가 해결이 되는 것이지, 왜 그러냐 하면, 생사(生死)는 다른 데에서 있는 것이 아니고, ‘한 생각’에서 생사가 생겨난 것입니다.


‘탐진치(貪瞋癡)’하지마는, 딱! 꼬집어서 말하면 생각이거든, ‘한 생각’이거든. ‘오욕락(五欲樂)’해도 더 다그쳐 생각해 보면, 그것도 ‘한 생각’이여. ‘천당’ 그것도 ‘한 생각’에서, 지옥도 ‘한 생각’에서,

‘한 생각’ 일어나는 것을 가만 놔두면 그놈이 차츰차츰 커 가지고 행동으로 나타나 가지고, 살생도 하고, 도둑질도 하고, 사음도 하고, 거짓말도 하게 되는데,
‘한 생각’ 딱! 일어나서 그것이 행동으로 옮겨지기 전에 그때 탁! 돌이켜서 ‘이뭣고?~’해 버리면, 살생도 안 하고 끝나고, 도둑질도 안 하고 끝나고, 사음도 안 하고 끝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옥, 천당을 '한 생각' 돌이킴으로써 미연(未然)에 부셔 버리는 것입니다.(40분43초~60분29초)

 

 

 



(2)------------------

그래서 여러분이 법성게(法性偈)도 보시면 ‘일념즉시무량겁(一念卽是無量劫)이요, 무량원겁(無量遠劫)이 즉일념(卽一念)이다’
이 법성게는 그 80권 화엄경을 갖다가 간단한 몇 줄의 글로써 의상대사께서 지어 놓으신 것인데, 그 법성게의 뜻만 알면 화엄경의 진리가 그 속에 다 들어있는 것입니다.

그 진리가 무엇이냐 하면은 ‘한 생각’이여, 한 생각.

이 한 생각, 이 찰나 속에 십세(十世) 고금(古今)과 시방(十方) 모든 세계와 삼세제불(三世諸佛)이 그 속에 다 들어있고, 육도윤회(六道輪廻)도 그 속에 들어있고, 천당·지옥도 그 속에 다 들어있는 것이다 그말이어.

그러니 ‘이뭣고?’ 한마디, ‘이뭣고~?’하면, 그 속에 화엄경이 다 들었고, 팔만대장경이 다 들었고, 삼세제불을 친견하는 도리도 그 속에 다 들어있고, 육도윤회를 갖다가 끊어 버리는 도리도 바로 그 속에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것을 갖다가 최상승법(最上乘法)이라 하시고.

이 ‘이뭣고~?’ ‘어째서 정전백수자(庭前栢樹子)라 했는고?’ 이 화두법 이것은 용궁(龍宮)에 있는 대장경 속에도 안 들어있다.

이 사바세계에 있는 경전은 많이 불타서 없어지기도 하고, 부처님께서 설하신 법문이 일부만이 전해 내려오지, 전부가 다 있는 것이 아닙니다.
중간에 설사 결집(結集)을 해놓았다 하더라도, 외도들에 의해서 많이 소각을 당해 버리고, 전해 내려오는 것은 극 일부에 지내지 못하는데, 용궁에는 부처님이 설하신 모든 법문이 다 거기에는 수장(收藏)이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그 용궁에 있는 장경(藏經) 속에도 ‘정전백수자’ ‘판치생모(版齒生毛)’ 이런 화두법, 최상승법인 화두법은 없다 이것입니다.
왜 그러냐 하면, 이 최상승법, 이 참선법은 교외별전(敎外別傳)이여. 교(敎) 밖에 특별히 전하신,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부처님께서 가섭존자(迦葉尊者)에게 전하신 특별한 최고의 법이여.

그래서 ’이뭣고?‘ 이 한마디 속에는 염불 공덕도 그 속에 다 들어있고, 주력하는 공덕도 그 속에 다 들어있고, 기도하는 공덕도 그 속에 다 들어있고, 팔만대장경을 다 읽어서 독송하는 공덕도 그 속에 다 들어있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이 가사불사 회향에 동참하시고 또 일요법회에 참석하신 공덕으로 이러헌 최상승법을 이렇게 듣게 된 것입니다.
가사불사(袈裟佛事)를 하는 목적은 꼭 가사가 없어서 가사를 하는 데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고, 이 가사불사를 통해서 여러분에게 최상승법을 설해서 믿고 실천하게 해 드리는 데에 궁극의 목적이 있는 것입니다.

가사불사 동참했고, 그 얻기 어려운 쪼가리도 가사불사할 때 틈틈이 훔쳐 담고 또 그런데다 오늘 또 이렇게 얻었으니까, ‘나는 이거 딸 줄 것도 있고, 아들 줄 것도 있고, 며느리 줄 것도 있으니까, 인제 아무 걱정이 없다’고 아주 흐믓해 하시겠지만,
정말 ‘이뭣고?’ 한마디 한 것에다 댄다면, 가사불사 해 가지고 쪼가리 가지고 있는 것에다 대겠습니까?

물론 그 쪼가리 가진 공덕도 대단한 것이어서 말로써 다 할 수가 없읍니다마는, ‘이뭣고?’ 한마디를 하시면 천(千) 쪼가리 만(萬) 쪼가리를 몸에다가 열 거듭 백 거듭을 감은 것보다도 더 훌륭하고 더 안전하고 더 편안한 도리가 있는 것입니다.


일신진역려(一身眞逆旅)요  만사개부운(萬事皆浮雲)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금조상별후(今朝相別後)에  사군불견군(思君不見君)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일신진역려(一身眞逆旅)요, 이 한 몸뚱이, 인간, 이 세상이라는 것은 정말 이 한 나그네 손님이다 그말이어. 잠시 이 사바세계에 나그네로 왔어.
만사개부운(萬事皆浮雲)이여. 만사(萬事)는 다 하늘에 떠있는 흰구름 한 덩어리와 같은 것이다 그말이어.

나그네는 오늘은 이 여관에서 하룻밤 자고 또 그 이튿날 떠나면 또 어느 다른 지방에서 한잠을 자고 해서, 평생 동안을 나그네로 사는 거와 같애.

정말 여자의 몸을 받은 사람은 성년(成年)할 때까지는 그 어머니, 아버지 품안에서 그렇게 자라서 공부하고 그래 가지고 시집가면은 딴 타성바지 집에 들어가서 아내 노릇을 하고 며느리 노릇을 하고 그러는데. 그래 가지고 자기도 또 아들딸을 낳게 되면, 그 아들딸들도 또 장성을 해서 시집을 가고 장가를 가고 하는데.

일평생 동안 그러고 사는 거처도 충청도 살다가 서울로 이사 오기도 하고, 서울 살다가 저 부산으로 이사 가기도 하고, 우리나라 살다가 미국이나 캐나다로 이민을 가기도 하고 그러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인생은 나그네라고 하는 것이 틀림이 없습니다.

 

또 금생에 이 사바세계(娑婆世界)에 김 아무개, 박 아무개로 태어난 것 자체가 또 그것도 나그네인 것입니다.
전생에 사바세계에 살다가 다시 인도환생(人道還生)을 한 사람도 있겠고, 전생에는 천당에서 살다가 금생에 인도환생을 해서 사람으로 태어나기도 하고, 전생에 개나 돼지나 소로 있다가 금생에 그 탈을 벗어 버리고 사람이 되는 수도 있고, 그러니 이것이 분명히 나그네인 것입니다.

그러면 금생에 왔으면 천년만년(千年萬年) 사느냐 하면, 많이 살아 봤자 백 년이요, 그렇지 않으면 팔십·칠십·육십·오십·사십·삼십, 10살에도 죽고 5살에도 죽고, 낳다가도 죽고, 배안에서 생기다 만 것이 죽기도 하고 그러는데, 이것도 나그네가 분명합니다.
여행을 하다 보면 비 맞기도 하고 눈을 맞기도 하고, 차 타기도 하고 걸어가기도 하고, 차가 뒤집어져서 다치기도 하고 배 타다가 넘어지기도 하고, 참! '인생살이라는 것이 나그네'라고 하는 말이 얼마나 적절한 표현인가를 알 수가 없습니다.

‘세상 만사는 뜬구름과 같다’한 말도 참 적절합니다.
가난하던 사람이 부자가 되고, 부자가 가난해지기도 하고, 엊그제 장관을 하다가 그만두고 평민이 되기도 하고, 천하를 호령하던 그러한 권리를 가지던 사람이 참 하룻밤 새 죽기도 하고 또 감옥에 가기도 하고 동서고금의 역사가 모두가 다 그렇습니다.

그래서 사람은 나그네라고 하는 사실을 분명히 안다면 하룻밤 여관에 방이 좀 춥기도 하고 더웁기도 한데, 그렇다고 해서 골낼 것도 없고 불행하다고 생각할 것이 없습니다.
자기집에서는 편안하게 살다가 여행을 떠나면 고생이 되는데, 그 고생하는 재미로 여행을 떠난 것이 아니겠습니까?

 

사바세계의 인생살이를 나그네라고 생각한다면, 고생도 능히 재미로 참을 수가 있고 또 좀 잘 먹고 편안히 잔다고 해서 자기가 금방 뭐 크게 팔자가 핀 것도 아니거든.
사람으로 태어나서 부자로 살고 높은 벼슬을 하고 뭣 좀 권리 좀 있다고 해서 그것을 너무 으시대고 꺼떡거리고 남을 업신여기고 그걸 것도 없는 것입니다.


잘살면 잘사는 대로, 못살면 못사는 대로 좀더 느긋한 마음으로 여유를 가지고 재미스럽게 멋지게 인생을 살아가는 길이 바로 이 참선(參禪)이라 하는 것입니다.
참선을 하는 사람은 가난해도 불행하지 아니하고, 부자가 된다고 해서 그렇게 꺼떡댈 것도 없는 것입니다. 언제나 여유있고 느긋하고 멋지게—하나의 그 인생살이를 연극처럼 생각하고,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생각하고 살 수 있는 길이 이 참선법이라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산다면 불행이라고 하는 것도 있을 수가 없고, 온 세계도 싸움이라고 하는 것이 없어지리라고 생각합니다. 더군다나 이 집안에도 그런 마음으로 온 식구가 산다면, 집안은 온통 화기(和氣)가 애애(靄靄)하고 모든 일이 참 재미있고 흐뭇하고 여유있게 살 수 있게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최초의 근본은 ‘한 생각 단속하는 일’이 자기의 일생을 행복하게 하고, 자기의 온 가정을 행복하게 하고, 온 사회·국가를 행복하게 하고, 인류를 행복하게 하고, 그래 가지고 영원한 진리의 세계에서 모든 사람이 서로 만나서 살 수 있는 길이라 하는 것입니다.

이 불법(佛法)은 그래서 위대하다는 것이고, 그래서 이 불법을 위해서는 삼세제불과 역대조사가 이 일대사(一大事)를 위해서 목숨을 바치시고, 그리고 거기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세세생생에 수없는 목숨을 바치면서 중생을 이 진리의 세계로 이끌으시는 데에 여념이 없는 것이 바로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왕궁의 부귀를 헌신짝 같이 버리시고 설산에 들어가셔서 이 도를 이루신 다음에 80세를 일기로 열반에 드실 때까지, 앉은 자리 더울 겨를이 없이 일평생 동안을 인도 오천축(五天竺)을 갖다가 유행(游行)을 하시면서 중생 교화를 하신 것도 바로 이 도리를 위해서인 것입니다.

‘부처님이 중생을 제도(濟度)하신다’ 그러는데, 뭐 물에 빠진 걸 갖다가 건져내는 것처럼 그런 것이 아니라, ‘중생도 깨달을 수 있다’, ‘중생이 본래 부처다.’

‘부처니 중생이니, 선이니 악이니’하는, 중생은 그러헌 생각의 쇠사슬에 얽혀 가지고 거기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입니다. 본래 중생과 부처가 다른 것이 아니고, 깨달음과 미(迷)한 것이 둘이 아니라고 하는 그 도리를 깨우쳐 준다면, 거기에서 해탈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중생의 그러헌 소견을 씻어주기 위해서 오신 것입니다. 그거 씻어준 것이 바로 그것이 중생 교화인 것입니다.

‘최상승법은 언제나 우리와 가까이 있다’고 하는 것.
책도 펴기도 전에 이미 우리 앞에 부처님의 법이 설해져 있는 것입니다. 입을 벌리기 전에 이미 염불이 그 속에 되어져 있는 것이고, 경을 읽고 있는 것이며, 설법을 듣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게 눈을 감으나 뜨나, 언제나 부처님을 친견하고 부처님 법문을 듣고, 또 자기 자신도 불법을 설하는 도리가 바로 이 최상승법이라.
이상으로써 일요 법회와 또 가사불사 회향 법어를 마칩니다.


산중하사기(山中何事奇)인고  청산백운다(靑山白雲多)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취적기우자(吹笛騎牛子)여  동서임자재(東西任自在)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산중(山中)에 하사기(何事奇)인고  청산(靑山)에 백운다(白雲多)다.
청산에 무슨 일이 기특한고? 무슨 일이 볼 만한 것이 있느냐? 특별히 볼 만한 것이 무엇이냐?

청산(靑山)에 백운다(白雲多)다. 푸른 산에 흰구름이 많느니라.

취적기우자(吹笛騎牛子)여  동서임자재(東西任自在)다.
젓대를 불고 소를 타고 가는 자여. 동서임자재(東西任自在)여. 동쪽으로 가고 싶으면 동쪽으로 가고, 서쪽으로 가고 싶으면 서쪽으로 가고, 동서에 자기 마음대로 자유자재하게 왔다갔다 하더라.(40분43초~77분46초)(끝)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게송) ‘사중구의원~’ ; [청허당집(清虛堂集)] (서산휴정 著,朴敬勛 역, 동국대학교 역경원) p127 ‘벽천선화자(碧泉禪和子)에게’ 게송 참고.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간절(懇切 간절할•정성스런 간,정성스런•절박할 절) ; ①지성(至誠)스럽고 절실(切實)함. ②정성이나 마음 씀씀이가 더없이 정성스럽고 지극함. ③마음속에서 우러나와 바라는 정도가 매우 절실함.
*무량겁(無量劫) ; 헤아릴 수 없는 오랜 시간이나 끝이 없는 시간. 劫과 刧는 동자(同字).
*삼독(三毒) ; 사람의 착한 마음(善根)을 해치는 세 가지 번뇌. 욕심·성냄·어리석음(貪瞋癡) 따위를 독(毒)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오욕락(五欲,五慾,五欲樂) ; ①중생의 참된 마음을 더럽히는-색,소리,향기,맛,감촉(色聲香味觸)에 대한-감관적 욕망. 또는 그것을 향락(享樂)하는 것. 총괄하여 세속적인 인간의 욕망.
②불도를 닦는 데 장애가 되는 다섯 가지 욕심. 재물(財物)·색사(色事)·음식(飮食)·명예(名譽)·수면(睡眠).
*일조일석(一朝一夕) ; 하루아침이나 하루 저녁이라는 뜻으로, 짧은 시일을 이르는 말.
*어먼 : ‘애먼’의 사투리. 애먼:(일의 결과가 다르게 돌아가)억울하게 느껴지는, 엉뚱하게 느껴지는.
*인사불성(人事不省) ; 제 몸에 벌어지는 일을 모를 정도로 정신이 흐리멍덩한 상태.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내동 ; '일껏(모처럼 애써서)'의 사투리.
*혼침(昏沈 어두울 혼,잠길 침) ; 정신이 미혹(迷惑)하고 흐리멍덩함.
*번뇌(煩惱 번거러울 번,괴로워할 뇌) ; ①마음이 시달려서(煩) 괴로워함(惱). 나쁜 마음의 작용. 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하고 괴롭히는 정신작용. 근원적 번뇌로서 탐냄(貪)•성냄(瞋)•어리석음(癡)이 있다.
②나라고 생각하는 사정에서 일어나는 나쁜 경향의 마음 작용. 곧 눈 앞의 고(苦)와 낙(樂)에 미(迷)하여 탐욕•진심(瞋心)•우치(愚癡)등에 의하여 마음에 동요를 일으켜 몸과 마음을 뇌란하는 정신 작용.
*망상(妄想 망녕될 망,생각 상) ; ①이치에 맞지 아니한 망녕된(妄) 생각(想)을 함, 또는 그 생각. ②잘못된 생각. 진실하지 않은 것을 진실하다고 잘못 생각하는 것.
*성성적적(惺惺寂寂) ; 정신이 고요하면서도 깨끗하고 또록또록 한 상태.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의,덩어리 단,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가  홀로(獨) 드러나다(露).
* ; '길(길이의 단위. 한 길은 여덟 자 또는 열 자로 약 2.4미터 또는 3미터에 해당 또는 사람의 키 정도의 길이)'의 사투리.
*도인(道人) ; 깨달은 사람.
*자명 초원(慈明楚圓) : (987 – 1040) 속성은 이(李)씨。광서성(廣西省) 계림부(桂林府) 전주(全州)에서 났다.
22세에 출가하여 멀리 분양 선소(汾陽善昭)선사의 회상에 갔었다. 분양은 욕설과 세속의 더러운 말만 할 뿐이므로 하루는 정성을 다하여 간 하였더니, 크게 성내어 『네가 나를 비방하느냐?』하고 내쫓았다。초원이 무엇이라고 변명하려는데, 분양이 손으로 그 입을 틀어막았다。그 바람에 크게 깨쳤다.
뒤에 석상산 숭승사(石霜山崇勝寺)와 담주 흥화사(潭州興化寺) 같은 여러 곳에서 교화하니, 법을 이은 제자가 50인이나 되었다。자명(慈明)은 54세로써 입적한 뒤의 시호(諡號)이고, 석상화상(石霜和尙)이라고도 한다.
*경허선사(鏡虛禪師) ; 분류 ‘역대 스님 약력’ 참고.
*포행(布行) ; 스님들이 참선(參禪)을 하다가 잠시 방선(放禪)을 하여 한가로이 뜰을 걷는 일.
*일장춘몽(一場春夢) ; 한바탕의 봄꿈이라는 뜻으로, 헛된 영화나 인간 세상의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업(業) ; (산스크리트어:karma카르마) ①몸과 입과 마음으로 짓는 행위와 말과 생각, 일체의 행위.
②행위와 말과 생각이 남기는 잠재력. 과보를 초래하는 잠재력.
③선악(善惡)의 행위에 따라 받는 고락(苦樂)의 과보(果報).
④좋지 않은 결과의 원인이 되는 악한 행위. 무명(無明)으로 일으키는 행위.
⑤어떠한 결과를 일으키는 원인이나 조건이 되는 작용. 과거에서 미래로 존속하는 세력.
*인연(因緣) ; ①어떤 결과를 일으키는 직접 원인이나 내적 원인이 되는 인(因)과, 간접 원인이나 외적 원인 또는 조건이 되는 연(緣). 그러나 넓은 뜻으로는 직접 원인이나 내적 원인, 간접 원인이나 외적 원인 또는 조건을 통틀어 인(因) 또는 연(緣)이라 함. ②연기(緣起)와 같음.
*찰나(剎那 절•짧은시간 찰,어찌 나) ; ①지극히 짧은 시간. 75분의 1초에 해당한다. ②어떤 일이나 현상이 이루어지는 바로 그때.
*이뭣고(是甚麼) : 「이 무엇고, 이뭣고」 화두는 천 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뭣고?(이것이 무엇인가?)」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를 찾는 것이다.

 

 

 



------------------(2)

*일념즉시무량겁(一念卽是無量劫) ; 통일 신라 시대에, 의상대사가 중국에서 화엄경을 연구하고 그 경의 핵심을 추려서 7언 30구(210자)의 게송으로 지은 <화엄일승법계도 華嚴一乘法界圖> 또는 <법성게 法性偈>에 나오는 구절.
無量遠劫卽一念 一念卽是無量劫 (무량원겁즉일념 일념즉시무량겁)
한량없는 오랜세월이 한 생각 찰나요, 찰나의 한 생각이 무량한 시간이네.
*십세(十世) ; 화엄종의 교학에 있어서 시간 구분. 과거 현재 미래의 3세(三世)의 각각에 그 위에 과거·현재·미래가 있다고 하고, 이러한 9세(九世)를 포용하는 1세(1념)를 더하여 10세(十世)라고 한다.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결집(結集) ; 석가모니 부처님의 입멸 후 제자들이 그의 가르침을 함께 외어 기억하는 형식으로 모아서 정리한 것.
*수장(收藏) ; 거두어서 깊이 간직함.
*교외별전(敎外別傳) : 부처님께서 말씀으로써 가르친 바를 모두 교(敎)라 하는데, 교 밖에 따로 말이나 글을 여의고(不立文字) 특별한 방법으로써 똑바로 마음을 가리켜서 성품을 보고 대번에 부처가 되게 하는(直指人心 見性成佛) 법문이 있으니 그것이 곧 선법(禪法)이다.
교는 말로나 글로 전해 왔지마는 선법은 마음으로써 전하여 왔으므로 이른바 삼처 전심(三處傳心) 같은 것이다.
[참고] 선가귀감(용화선원 刊) p28, p34에서.
(5)世尊이  三處傳心者는  爲禪旨요  一代所説者는  爲教門이라. 故로  曰,  禪是佛心이요  教是佛語니라


세존께서 세 곳에서 마음을 전하신 것은 선지(禪旨)가 되고, 한 평생 말씀하신 것은 교문(教門)이 되었다。그러므로 선(禪)은 부처님의 마음이요, 교(教)는 부처님의 말씀이니라.


(6)是故로  若人이  失之於口則拈花微笑가  皆是教迹이요. 得之於心則世間麤言細語가  皆是教外別傳禪旨니라


그러므로 누구든지 말에서 잃어버리면, 꽃을 드신 것이나 빙긋이 웃은 것(拈花微笑)이 모두 교의 자취(教迹)만 될 것이요. 마음에서 얻으면, 세상의 온갖 잡담이라도 모두 교 밖에 따로 전한 선지(教外別傳禪旨)가 되리라."
*이심전심(以心傳心) ; 진리는 말이나 글이 아닌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한다는 뜻.
*가섭존자 ; 분류 ‘역대 스님 약력’ 참고.
*가사불사(袈裟佛事) ; 절에서 가사를 짓는 일.
*(게송) ‘일신진역려~’ ; [청허당집(清虛堂集)] (서산휴정 著,朴敬勛 역, 동국대학교 역경원) p116 ‘산을 나가는 영암주(英庵主)를 보내며’, p115 ‘지사(芝師)를 보내며’ 게송 참고.
*역려(逆旅 맞이할 역,나그네 려) ; '나그네를 맞이한다'는 뜻으로 '여관(旅館 일정한 돈을 지불하고 손님이 묵는 집)'을 이르는 말.
*타성바지(他姓바지) ; 자기와 성(姓)이 다른 사람.
*사바세계(娑婆世界); 고뇌를 참고 견디지 않으면 안되는 괴로움이 많은 이 세계. 현실의 세계. 석가모니 부처님이 나타나 교화하는 세계. 인토(忍土)•감인토(堪忍土)•인계(忍界)라고 한역.
*인도환생(人道還生) ; 인간이 사는 세계로 다시 태어남.
*화기애애(和氣靄靄)하다(화목할 화,기운 기,아지랭이 애) ; (분위기가)서로 뜻이 맞고 정다운 기운이 넘쳐흐르는 듯하다.
*일대사(一大事) ; ①부처님이 중생구제를 위해 세상에 나타난다고 하는 큰 일. 부처님이 세상에 나타나는 목적 ②가장 중요한 일이란 뜻. 수행의 목적. 깨달음을 얻는 것. 인간으로서의 완성.
*오천축(五天竺) ; 고대 인도에 있던 다섯 개의 정치적 구획. 동천축, 서천축, 남천축, 북천축, 중천축을 이른다.
*유행(遊行) ;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수행함. 행각(行脚).
*제도(濟度 건널 제,건널 도) ; 중생을 미혹의 큰 바다(생사고해 生死苦海)로부터 구하여(濟), 생사없는 피안(彼岸,깨달음의 언덕)에 이르게 하는(度) 것. 제(濟)는 구제(救濟). 도(度)는 도탈(度脫).
[참고] 구제(救濟 건질 구,건널 제) 어려움이나 위험에 빠진 사람을 돕거나 구하여 줌.
도탈(度脫 건널 도,벗을 탈) 속세의 속박이나 번뇌 등에서 벗어나 근심이 없는 편안한 경지에 도달함.
*(게송) ‘산중하사기~’ ; [청허당집(清虛堂集)] (서산휴정 著,朴敬勛 역, 동국대학교 역경원) p66 ‘고운(孤雲)의 글자를 모음’, ‘목암(牧庵)’ 게송 참고.

Posted by 닥공닥정
인과 인연 비유2014. 10. 31. 16:17

 

 

§(251) (게송)풍우황엽락~ / 가사불사(袈裟佛事) / 원나라 공주 와 상사(相思)뱀의 청평사 가사불사 일화 / 비화경(悲華經). 가사의 공덕.


가사는 성불을 한 부처님으로부터 견성한 도인에 이르기까지, 또 앞으로 견성성불하기 위해서 도를 닦는 모든 수행자들이 이것을 수(垂)하는 그러헌 법복(法服)이기 때문에 이 법복에는 그만한 공덕이 있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251)—84년 12월 첫째일요법회(84.12.02) (용251)

 

(1) 약 20분.

(2) 약 21분.


(1)------------------

풍우황엽락(風雨黃葉落)헌데  난지상설한(亂枝霜雪寒)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추천모불각(秋天暮不覺)한데  청산백운외(靑山白雲外)로구나
나무~아미타불~

풍우황엽락(風雨黃葉落)헌데, 바람이 불고 비가 온 뒤에 누런 이파리가 떨어지는데,
난지상설한(亂枝霜雪寒)이로구나. 이리저리 얽혀서 어지러운 가지에는 서리와 눈이 차웁더라.

추천모불각(秋天暮不覺)한데  청산백운외(靑山白雲外)여. 가을 하늘은 모르는 결에 저물어 가는데 청산은 백운 밖에 있구나.

아름다운 우리나라 금수강산이 한참 단풍이 불타듯 아름답던 때가 엊그제인데 어느덧 소설(小雪)·대설(大雪)이 닥쳤습니다. 아름답던 단풍은 다 지고 앙상한 가지만 찬바람 속에 울부짖고 있는 때가 돌아왔습니다.

지극히 평범한, 평생을 이 강산에 살면서 그러헌 상황을 보고 지내지만 모르는 사람은 봄이 오면 꽃이 피고, 가을이 오면 단풍이 지고, 겨울이 오면은 눈이 내리고 다못 으레이 계절 따라서 그러헌 것으로 알고, 봄에 등산가고 가을에도 단풍놀이 가고 그저 그러한 정도로 지나치고 말게 됩니다.

그러나 이 평범한, 계절 따라서 산천의 모든 경계가 변화한 그 아무렇지도 않는 평범한 그런 상황이 우리가 몽매지간(夢寐之間)에도 잊지 못하고 그 도리를 알기 위해서 목숨 바쳐서 도를 닦고 있는 그 사람에게 있어서 조금도 숨김없이 여지없이 그 도리를 자연이 설파하고 있는 사실을 누가 알겠습니까.

오늘은 금년 마지막 12월 일요 법회날이면서 가사불사(袈裟佛事) 회향 법요식을 겸해서 거행하는 날입니다.
그 동안에 가사불사를 처음부터 끝까지 아무 장애없이 여러 신남신녀와 비구·비구니, 사부대중이 경건하고 엄숙한 마음으로 가사불사를 원만히 마쳤습니다. 진즉 마쳤지만 일은 끝났지마는 그 회향 법요식을 오늘 이 일요법회와 아울러서 거행하기로 되어 있었습니다.

여러분이 지금 이 앞에 탁자 위에 봉안되어 있는 가사를 백 령(百領), 보통 백 바탕이라 이렇게도 말합니다마는 백 령의 가사를 조성해 모셨습니다.

여러분들께서 잘 아시는 바와 같이 이 가사는 다섯 가지 덕이 있고 열 가지 이익이 있어서, 크게 추려서 말한다면 5덕과 10가지 이익이 있다 하지만, 미세하게 자상하게 말한다면은 입으로 다 말을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원(元)나라 시대—원나라 시대면 우리나라 고려 시대가 되겠읍니다마는, 그 원나라 순제라고 하는, 그 원순제 천자에게 한 공주가 있었는데 그 공주는 참 절세의 미인이었었고 행실이 아름다웠었고 학덕이 높았었고 그러한 훌륭한 공주가 있었는데,
조정에서나 항간(巷間)의 민간들이나 본 사람 안 본 사람 할 것없이 그 공주의 아름답고 우아하고 고상한 공주에 대한 소문이 자자해서, 누구든지 한 번만 보면 그 공주를 잊을 수가 없을 정도로 그렇게 참 훌륭했었던 것입니다.

마치 그 조정의 젊은 관리 한 사람이 궁정에서 거닐고 있는 공주의 모습을 잠깐 보고서 완전히 매혹이 되어가지고 자나깨나 공주의 그 삼삼한 얼굴과 거동이 잊을 수가 없어서 너무너무 혼자 짝사랑을 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처음에는 자기 부모한테도 말하지 아니하고 혼자 사모하고 그리워하고 그러다가, 차츰차츰 밥을 잘 못 먹게 되고 잠을 잘 못 자게 되니까 살이 빠지고 몸이 수척해졌던 것입니다.

 

그 어머니가 아들의 그런 모습을 보고 “대관절 네가 무슨 걱정이 있어서 그렇게 잠을 못 자고 밥을 못 먹고 그렇게 살이 빠지느냐?”
처음에는 말을 안했지만, 나중에는 결국 점점 세월이 지나가다 보니까 출근도 하지 못할 만큼 그렇게 되어서 앓아 눕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마지막에 그 어머니에게 그 사실을 고백을 하게 되었습니다. ‘공주마마에 자기를 한 번만 만나게 해 달라’고 애원을 했습니다.

그러나 미관말직(微官末職)에 있는 그런 사람으로 감히 공주를 넘나본다고 하는 것은 있을 수도 없는 일이고, 그런 말을 함부로 입 밖에 냈다가는 삼족(三族)을 갖다가 멸망을 당할런지도 모를 그러한 처지라,

어머니로서도 “그 공주는... 올라가지 못할 나무는 쳐다도 보지 말라” 이렇게 위안을 했지만 별 수가 없고, “그 여자 아니라도 너한테 적합한 여인이 이 천하에는 얼마든지 있으니까, 어쨌던지 마음을 돌리라”고 달래고 꾸짖고 했지만 마침내 굶고 잠을 못 자고 하니까, 나중에는 헛소리를 하다가 결국은 몸을 가누지 못하게 되어버렸습니다.

그러다가 죽게 되었는데, 죽으면서 '이생에서 이루지 못한 사랑을 죽어서 몸을 바꾸어서라도 기어코 그를 사랑하리라'하는 그런 깊은 한을 품고서 그 젊은 사람은 죽어갔던 것입니다.

그런데 그 공주는 그런 까닭도 전혀 모르죠. 그런 까닭도 모르는 사이에 있는데 하룻날은 낮에 곤해서 낮잠을 한숨 침대에서 자다가 몸이 이상하고 아랫도리로 배로 기분이 이상해서 눈을 떠보니까 아! 이상하다 그말이여. 손으로 아랫배로 고리 더듬어 보니까, 무엇이 미끈덩 하는데 깜짝 놀랬다 그말이어.

팔뚝만한 구렁이란 놈이 몸을 칭칭 틀어감고 그래 가지고 꼬리를 갖다가 두 다리 사이에다가 딱 꽂아 놓고는, 아! 그러고 구렁이란 놈이 있다. 기절을 해 가지고 고함을 질렀는데, 그 황후가 그 소리를 듣고 와서 보니 상황이 그렇게 되었다 그말이여.

 

그러니 이것을 널리 소문을 낼 수도 없고 그래서 아주 믿을만한 하인을 불러다가 뱀을 갖다가 모가지를 잡어서 띌라고 하니 떨어지들 않어.
그래서 간신히 모가지를 졸라매 가지고는 억지로 그냥 생껍데기를 베끼다시피 해서 그냥 그놈을 띄어서 저 멀리 갖다가 던져 버렸는데, 금방 그놈이 그 이튿날이면 또 기어와 가지고 또 틀어감고, 또 띄어내면 또...

 

하다 하다 못해서 그놈을 아주 짤라 가지고 불에다 태워서 버렸는데도 며칠 안 있으면 도로 딴 놈으로 태어나 가지고...
벌써 금방 죽어 가지고 원한에 사무쳐서 그것이 업(業)으로 태어난 경우는 금방 시간이 걸리지 않고 그렇게 커 버리는 것입니다.


옛날에 운광 법사라는 법사는 법문을 하면 하늘에서 꽃비가 쏟아지고, 어떻게 법문을 잘하던지 바위돌도 그 법문에 감동이 되어 가지고 바위돌도 머리를 끄떡끄떡 할 정도로 그렇게 설법을 참 잘하고 훌륭한 운광 법사라는 스님이 있었는데,

그 운광 법사가 법문을 하시기를 “시주(施主)것을 많이 받어 먹고, 많이 입고 해서 도를 이루지 못하면 그 빚을 갚기 위해서 소가 되어서 그 빚을 갚게 되느니라. 그러니 죽어서 소가 되지 말기 위해서는, 소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쨌든지 밤낮을 가리지 말고 열심히 도를 닦어라.” 이러한 요지의 법문을 설하셨는데,

그 법문을 듣고 어떤 스님이 묻기를 “그러면 운광 큰스님께서는 소가 되지 아니할 자신이 있습니까?”하고 여쭈니까, “능히 (시주 빚을) 녹일 수가 있다.” 이렇게 대답을 했습니다.

그런데 그 운광 법사가 죽어 가지고 죽자마자 큰 황소로 몸을 받아났는데, 그래 가지고 황소가 되었는데, 그 운광 법사 껍데기를 벗겨 가지고 북을 만들었어.
여러분이 큰 절에 가면 큰 소가죽으로 만든 북을 보셨을 것입니다마는, 최초에 절에다가 북을 매달게 된 최초의 역사는 운광 법사가 소가 된 그 소가죽으로 만든 것이 시초다 그말이여.

그래서 그 새벽에 예불할 때는 종을 치고 또 북을 쳐서, ‘운광 법사와 같은 그러한 설법을 잘하고 계행이 청정하고 훌륭한 그런 큰스님도 죽어서 소가 되었는데, 대중들은 어서 정신을 차려서 정진을 하라’하는 그런 뜻으로 북을 치는데,

그래서 어째서 운광 법사와 같은 그러헌 큰스님이 죽어서 소를 받았겠느냐?
“스님도 능히 그 시주 빚을 녹일 수가 있습니까?”하니까 “능히 녹일 수가 있다. 능소(能消)! 능소!”했는데 '어떻게 해서 소가 되었느냐?'하는 것이 공안(公案)의 하나입니다마는.

업으로 받아난 몸뚱이는 금방 태어나고, 그놈을 또 없애도 금방 또 태어나고 그런 것입니다.
죄를 많이 지어서 지옥에 태어나면은, 그놈을 갖다가 하룻밤 사이에 만 번을 죽였다 만 번을 살렸다 그러거든.

 

몸을 톱으로 머리 꼭대기에서 밑으로 썰어 내리기도 하고, 몸을 갖다가 큰 돌 위에다가 수십 명 씩을 갖다가 뉘어놓고 큰 돌로 위에서 탁 눌러서 그렇게도 죽이기도 하고,
콩나물을 넣어서 맷돌에다 갈듯이, 수십 명 씩을 한목 큰 맷돌에다 넣어 가지고 들들들 갈아서 그렇게 죽이기도 하고, 또 칼날, 바늘 칼산이 있는 데에다가 옷을 발가벗겨서 내굴리기도 하고,

그러헌 참혹하고 이야기조차도 할 수 없을 그런 무서운 벌을 받게 되는데, 그렇게 해서 죽으면 금방 또 태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또 태어나면 또 죽이고, 또 태어나면 또 죽이고—사람이 태어나면 한 10년 크고, 한 20년 커야 겨우 사람 구실을 하는데, 업으로 태어난 몸뚱이는 눈 한번 깜박할 사이에 푹 커 버리고 푹 커 버리고 그러거든.

그래서 이 뱀을 갖다가 죽여 버리면 또 와서 그러고, 죽여 놓으면 새로 금방 또 생겨나 가지고 또 와서 틀어 감고, 그래서 처음에는 극비밀리에 그것을 띄어다 버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했는데, 워낙 자주 그래 놓으니 차츰차츰...

 

그 비밀이라 하는 것은 사람은 속에다 두고 말을 안 하면은 병이 나는 법이라, 결국은 소곤소곤 아는 사람한테만 극비밀로 귓속말한 것이 차츰차츰 번져 가지고 온 조정이 다 알게 되고, 만조백관(滿朝百官)이 다 알게 되고 온 항간에 그 소문이 좌악 번져서 아무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중국 천지에 다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니 비밀도 무엇도 없고, 인제는 뭐 어떻게 해 볼 수가 없으니까, 약을 먹어도 소용없고, 뱀한테 독약을 발라도 소용없고, 짤라내도 소용이 없다 그말이여. 그래서 할 수 없이 거지 복색(服色)을 하고 강산 유람을 나섰던 것입니다.(처음~19분27초)

 

 

 



(2)------------------

황하를 몇 번을 건너고, 양자강을 몇 번을 건너면서—중국 저 북쪽으로부터서 저 남해와 동쪽 서쪽을 가릴 것 없이 방방곡곡이 거지로 당기면서 얻어먹고 댕기다가, 인제 중국도 갈만한 데는 다 가고 나니까, 다시 인제 한국에까지 왔던 것입니다.

고려, 한국에까지 왔는데, 그러다 보니 10년이라고 하는 세월이 흘렀던 것입니다.
어디에 도달을 했느냐 하면, 춘천에까지 왔어. 춘천에 여러분이 가보신 분은 아시겠지마는 거기에 청평강이라 하는 큰 강이—지금 댐을 여러개를 막고 그랬는데, 그 청평강을 갖다가 건너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걸 인제 건너 가지고 가니까 청평사(淸平寺)라 하는 절이 있다는 말을 듣고는 “내가 이 절 가까이 왔으니 한번 부처님께 절이나 하고 와야겠다” 그런 마음을 먹고 있는데, 아! 사람들이 자꾸 그 절로 들어가고 오고 들어가고 야단이다 그말이어.

“절에서 무슨 좋은 행사가 있습니까?” 그러니까, “가사불사(袈裟佛事)를 한다” 그러거든.

“그럼 내가 가사불사를 하는 데를 구경을 해야겠다” 그러고는,
그러니 뱀이 몸에 틀어 감긴 채 거길 갈 수도 없고, 그래서 뱀 보고 “너, 여기 잠깐만 기다리고 있어라. 그러면 내가 가서 부처님께 절도 하고 가사불사를 하는 것을 구경을 하고 올테니 여기 좀 있어라.”

처음에 갈려고... 떨어지지 아니하니까, 10년을 단 한번도 떨어진 일이 없으니까, 그냥 갈려고 하니까 몸뚱이를 감고 있는 뱀이 막 요동을 부리면서 막 반대를 한다 그말이여.

그래서 “왜 그러냐? 네가 그렇게 가기 싫어서 그런다면은 나만이라도 잠깐 갔다 올테니까 여기 있거라. 내가 도망가 보았자 어디로 도망가겠냐? 나는 인제 너하고 10년을 살아왔으니 너를 띄어내버리고 도망갈 수도 없고 그런 생각도 없으니까, 차마 너같은 흉한 몸뚱이를 몸에다가 감고 부처님한테 내가 갈 수가 있느냐? 그러니 너, 여기에 바위에 가만히 좀 기다리고 있어라.”

그러니까 어떻게 생각을 했던지 구렁이가 스르르 풀어졌단 말이어. 풀어져 가지고 그 바위 위에 의지해서 또아리를 틀고서 가만히 있는데.

그래서 인제 그 공주는 그 강가에서—그 10년 동안을 거지로 돌아댕겼으니 눈만 빠끔하지, 도대체 사람인지 원숭이인지 알 수가 없을 정도로 되었는데,
그래도 부처님한테 간답시고 거기서 옷을 벗고 머리도 좀 씻고 손도 씻고 얼굴도 씻고 발도 씻고, 옷은 남루하지마는 그렇게 하고서 인자 청평사를 떠억 들어가니까,

그때 스님네랑 모두 다 공양 시간이 되어서 다 공양을 하러 가고. 또 한 방이 비어 있는데 거기를 보니까 비단천을 온 방에다가 가득 널어 놓고 쪼가리 쪼가리 해서 바느질을 하고 뭐 다리미질을 하고 그러다가 잠시 빈 틈인데.

아! 이 공주가 들어가 가지고는, 그 하도 옛날 10년 전에 공주로 있을 때 입어 보던 비단, 그때 보고서 10년을 보지 못한 아름다운 빨간 비단을 보니까 울적하니 고향 생각이 나고, 부모 생각이 나고,
옛날에 그 화려했던 것이 생각이 나서, 거지 주제에 그 방에 들어가 가지고 그걸 만져 보았단 말이어.

만져 보면서 그 바느질하던 실이 거기 고대로 바늘에 실이 꽂혀 있으니까, 자기도 고대로 몇 땀을 떠 보고 그랬단 말이어.
그러다가 아! 가사하는 편수 스님이 와서 보더니, “웬 거지가 여기 신성한 가사당(袈裟幢)에 들어와 가지고 이런 걸 만지느냐?”고 혼구녘을 내서 그냥 “나가라!”고. 그 통에 그냥 나왔다 그말이여.

쫓겨나와 가지고는 눈물이 글썽글썽 해 가지고 부처님께 또 절을 하고서, 그리고서 인자 일주문을 막 나올라고 하니까, 시커먼 먹구름이 일더니 뇌성벽력(雷聲霹靂)을 해 가지고 그냥 벼락을 치는데, 아주 눈앞이 그냥 번쩍하니 아주...

아! 그래서 비가 갤 때까지 일주문에서 따악 기다리고 있다가 비가 개인 다음에 아까 뱀과 이별했던 그 바위 있는 데로 가 보니까 바위가 산산이 부서졌는데, 아! 구렁이도 그냥 도막도막 시커멓게 타서 죽어버렸다 그말이어.

‘참 이상하다 이거. 그렇게 띄어내 버릴려고 해도 안 떨어지고, 그렇게 죽여서 버려도 소용이 없더니, 아! 오늘은 어떻게 하늘에서 벼락이 떨어져 가지고 그 구렁이를 갖다가 박살을 냈다’ 이걸 생각해 보니까,
‘틀림없이 이것은 부처님 가피력(加被力)이다’ 이리 생각을 하고 그길로 다부 돌아와서 부처님께 무수, 백 배 천 배 절을 하고서,

‘내가 부처님께 이러한 은혜를 참 입었으니 내가 이런 몸으로 다시 고향 중국으로 돌아갈 수도 없고, 차라리 이 고려 땅에서 사는데, 기왕이면 절에서 공양주도 하고 채공도 하고 하면서 일생을 이렇게 마쳐야지, 내가 구렁이에 감겨서, '상사(相思)뱀'한테 감겨서 살은 공주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없는데 갈 수가 없다’

그렇게 해서 그 주지 스님한테 부탁을 해서 “내가 여기서 공양주(供養主)라도 하면서 여기서 살 수가 없겠습니까? 염불하면서 이렇게 살고 싶습니다.” 그러니까,
“거지가 무슨 쓸데없는 소리를 하느냐?”하고 처음에는 아주 상대도 안하더니, 몇 번을 간청을 하고 말 안 들으면 또 부처님께 가서 절을 하고 와서 또 그러고, 또 그러고 하면서 자기의 과거 이야기를 주욱 얘기하니까,

아! 주지 스님이 그 말을 듣고 감동이 되었던지 “그러면 여기서 염불도 하고 공양주를 하면서 대중시봉(大衆侍奉)도 하면서 여기 좀 있어 보라.”고.
그래서 인자 본격적으로 목욕을 하고 옷을 주어서 옷을 갈아입고, 그래 가지고 일심전력(一心專力)으로 공양주를 하고 채공(菜供)도 하고 나물도 가꾸고 해서 몇 달이 지냈습니다.


그런데 그 절에서는 가사불사도 그럭저럭 끝나고 난 다음에 대중공사(大衆公事)를 해서 여러 스님네를 다 큰방에 오시라 해 가지고 “인자 가사불사도 끝나고 했으니 우리가 대웅전을 중수(重修)를 해야겠는데 대웅전을 중수할라면은 어느 스님이 자원을 해서 화주를 해서...'

전국에 인연 따라서 시주금을 갖다가 모집하는 그런 책임을 화주(化主)라 그러는데 “화주를 누가 자원을 하라” 그러니까, 서로 서로 “나는 자신이 없어 못하겠다” 서로 서로 안할려고 뒤꽁무니를 빼.

그 말을 문밖에서 듣고서 그 공주가 “그 화주는 저한테 맡겨 주십시오. 제가 하겠습니다.”하니까, “어떻게 그런 책임을 할 수가 있겠느냐?” 처음에는 가당찮게 생각을 했지마는 하도 간곡히 “나한테 일임(一壬)만 해 주신다면, 내가 한번 해보겠다”

그래서 그 공주가 편지 두 장을 써 가지고 하나는 춘천 부사한테 보내고, 하나는 강원 감사한테 보냈는데,
그 내용이 무엇이나 하면은 ‘자기는 저 원나라 공주로서 한국에까지 왔다가 지금 이렇게 이 절에, 청평사에 머무르게 되었는데, 법당을 갖다가 이번에 중수를 하게 되었으니 어쨌던지 춘천 부사와 강원 감사가 여기에 적극 협조를 해주셔야겠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내니까, 편지를 받자마자 즉각 감사와 부사가 부하를 거느리고 그 청평사에까지 도달을 했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원나라 조정에서 기별이 오기를 ‘공주가 혹 고려 땅에 건너 갔을런지 모르니 자세히 찾아서 잘 좀 보호를 해 달라’고 그런 요청이 있었는데 전혀 소식을 모르다가 이렇게 알았다고, 그렇게 반갑게 와서 인사를 하고서,
그래서 감사가 조정에까지 또 보고를 해 가지고 그 엄청나고 거창한 불사를 원만하게 마쳐서 6·25 전까지도 그 절이 죽 유지를 해 오다가 6·25동란 때 그게 타버렸습니다. 타버리고 난 뒤에 또 그 절을 중수를 했다고 그럼니다.

여러분이 혹 청평댐이나 거기를 가실 기회가 있으면 그 청평사란 절을 한번 찾아가 보시고, 그러헌 가사불사와 유래가 있는 상사뱀의 전설이 있는 곳을 한번 찾아가 보시는 것도 재미가 있으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이것은 하나의 예를 들었읍니다마는 이러한 원나라 공주의 일화 뿐만이 아니라, 가사불사는 수없이 그런 일화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비화경(悲華經)이라는 경전에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저 옛날 보장불(寶藏佛) 부처님 앞에 서약을 하시기를 “제가 만약에 성불한 날에는 성불한 뒤에 내가 입고 나의 제자들이 입는 그 가사불사에 동참을 한 사람이나, 그 가사를 입는 사람이나, 그 가사를 존중하는 모든 사람들이 모두 다 5가지 공덕이 있게 되기를 서약합니다.”

아미타불도 법장비구(法藏比丘)라 하는 스님으로 있을 때, 마흔여덟 가지에 대한 원을 세워서 “내가 48가지의 원을 성취할 수 있기 전에는 성불(成佛)하지 않겠습니다.” 그렇게 원을 세우고 도를 닦아서 결국은 48가지의 원을 성취할 수 있게 되어서 성불하시게 된 것입니다.

역시 석가모니 부처님도 보장불 앞에 서약을 하시기를 “(첫째) 누구라도 가사를 일념으로 존중히 여기면, 어떠한 중한 죄를 지은 비구·비구니나 우바새·우바니도 그 죄가 소멸이 되고, 삼승(三乘)의 도를 성취할 수기(授記)를 받게 하여지이다.

또 둘째는 하늘나라의 천룡이나 또는 사람이나 귀신도 조그만큼이라도 가사를 존중히 여기면, 삼승법(三乘法)에서 물러나지 않게 하여지이다.

또 셋째는 어떤 귀신이나 모든 사람들도 가사불사하고 남은 조그마한 쪼가리 하나라도 몸에 지니게 되면은 그 사람은 평생 동안 음식에 배고픈 일이 없게 하여지이다.
‘고생 고생해도 배고픈 고통만큼 큰 고통은 없다’고 그러는데, 이 가사 쪼가리 조그만한 것 하나만 몸에 지녀도, 어디를 가서 무엇을 하고 살더라도 배고픈 고통을 면케 한다.

넷째는 중생과 중생이 서로 원한이 있어서 서로 미워하고 서로 어긋났을 때, 부모 형제간이나 친구 간이나, 또 상관과 부하 관계나, 누구라도 서로 마음과 마음이 어긋나 가지고 좋지 않을 때도 이 가사를 생각만 해도 자비심이 일어나게 되어지이다.

또 다섯째는 전쟁터에서 서로 싸울  때에 이 가사 조그만한 쪼가리 하나만 가지고 있거나 또 가사를 가지고 있으면서 그것을 존중한 마음을 가지면 항상 싸움을 하면 이기게 되고, 어떤 어려운 일을 당해서도 자기 몸을 잘 보존할 수가 있게 하여지이다”

이러한 다섯 가지 조항에 대해서 보장불 앞에 맹서(盟誓)를 하셨는데, 과연 석가모니 부처님이 삼천 년 전에 사바세계에 출현하셔서 성불을 하셨습니다. 성불을 하셨기 때문에 이 가사에 대한 다섯 가지 공덕이 원만히 성취하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가사불사에 동참을 하거나, 또 가사불사에 직접 와서 바느질을 하거나, 또는 가사불사하고 남은 쪼가리 조그마한 것 하나라도 몸에 지니게 되거나, 또 가사를 보고 존중하는 마음을 잠깐이라도 내게 된다면, 아까 말한 그런 다섯 가지 공덕을 우리는 성취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이런 말씀이 비화경(悲華經)이라고 하는 경전에 분명히 씌여 있는 것입니다.

왜 이렇게 가사(袈裟)에는 그런 공덕이 있느냐 하면, 이 가사는 성불을 한 부처님으로부터 견성한 도인에 이르기까지, 또 앞으로 견성성불하기 위해서 도를 닦는 모든 수행자들이 이것을 수(垂)하는 그러헌 법복(法服)이기 때문에 이 법복에는 그만한 공덕이 있는 것입니다.

한 생각 돌이킴으로써 무량 죄업이 소멸이 되는 그러헌 수행하는 수행자들이 가사를 수하게 되기 때문에 가사에는 그만한 공덕이 있어야 하고 또 있을 수 밖에는 없는 것이기 때문에, 부처님께서는 그러한 서약을 보장(寶藏) 부처님 앞에 하시게 된 것입니다.

사실, 이 가사라고 하는 것은 몸을 가리우는 인도(印度)의 옷인 것입니다. 우리는 지방이 인도와 달라서,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춥고 그래서 그 한서(寒暑)의 계절 따라서 옷을 입게 됩니다마는, 인도는 상하(常夏)의 나라이기 때문에 옷이 별도로 따로 없고,

가사가 오조 가사(五條袈娑), 칠조 가사(七條袈娑) 그리고 9조 이상 25조까지 있는데, 오조 가사는 소가사(小袈裟)라 그러고, 칠조는 중가사(中袈裟)라고 그러고, 구조 이상은 대가사(大袈裟)라 그러는데.
이 오조 가사는 속옷인 것입니다. 맨 속에, 살에 딱 닿게 입는 속옷이고, 칠조 가사는 그 속옷 위에다가 일상생활하면서 입는 옷인 것입니다. 그리고 9조 이상 대가사는 외출할 때나 설법을 할 때나 또 법요식을 할 때나 그런 때 입는 옷인 것입니다.

 

그래서 5조·7조·9조 이상을, 항시 이 3가지 옷을 스님네는 자기의 옷으로 항시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 옷은 몸을 가리우는데 쓰기 위한 것이지만, 우리나라는 그것을 평상시에 입는 옷은 저고리·바지 모다 그 속에 다시 또 내복이 있고, 그 위에다가 특별한 때 인자 법복이라 해 가지고 장삼(長衫) 수하고 그 위에 또 가사 수하고, 장삼은 하지 아니하고 가사만 수하기도 하고 그럽니다마는.
그리고 춥고 더운 것을 막고, 모기나 모다 그런 벌레가 오는 것을 막기도 하고 또 사문(沙門), 스님으로서의 위신을 갖추고 또 모든 삿된 마음을 물리치기 위해서 가사를 수하면 그렇게 되고,

또 그래서 이 가사라 하는 것은 '공덕의(功德衣)다, 복전의(福田衣)다, 해탈의(解脫衣)다' 이런 여러 가지 이름이 있습니다. 그렇게 가사에 대한 여러 가지 이름이 있는 것은 가사에는 그만한 여러 가지의 목적과 공덕이 있기 때문에 '복전의다, 해탈의다, 또는 공덕의다' 이런 이름이 있습니다.

그러한 그 소중한 가사불사를 이번에 용화사에서 해 가지고 여러 스님네들이 또 그것을 수하시게 되는데, 여기에 동참하시고 또 직접 와서 바느질을 하시고 그런 분들은 크고 작은 소원을 성취하게 될 것이고, 또 이 정법에 귀의해서 열심히 도를 닦으면 반드시 해탈도를 증득하실 수 있는 대공덕을 지으신 것입니다.

이 가사불사하고 남은 쪼가리를 조그만한 명함만큼씩 이렇게 끊어서—아마 여러분이 일주문에 들어오실 때에, 아마 조그마한 쪼가리 하나씩을 모두 받으셨으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것을 패스포드 같은 데에다 잘 간직을 해서...

더 많이 남았으면 여러 장 씩을 드렸으면 할 텐데, 그것이 많이 남지를 못해서 한 앞에 한 개 씩만 이렇게 나눠 드렸으리라고 생각이 듭니다. 또 가사불사에 직접 와서 일을 하신 분은 그때 그때 모두 얻어 갔으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어떻게 되었든지 간에 그것을 소중히 몸에 간직하시고 그리고서 항시 그 쪼가리를 볼 때마다 최상승법을 생각을 하시고 화두를 열심히 들고 공부를 잘하시기를 부탁을 드립니다.(19분28초~40분42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게송) ‘풍우황엽락~’ ; [청허당집(清虛堂集)] (서산휴정 著,朴敬勛 역, 동국대학교 역경원) p114 ‘왕사국(王師菊)’ 게송 참고.
*몽매지간(夢寐之間) ; 잠을 자며 꿈을 꾸는 동안.
*가사(袈裟) : [범] kasaya  번역하면 잡색(雜色) • 염색(染色) 곧 순색이 아닌 옷을 말한다.
인도는 더운 곳이므로 속인(俗人)들은 모두 흰 옷을 입는데, 출가한 이는 그 옷을 달리하기 위하여 염색하되 검박한 빛으로 하게 되었다。또한 품질이 좋은 새 옷감으로 짓는 것이 아니라, 이것 저것을 주워 모아서 누더기같이 만들었는데,
크고 작은 세 가지(三衣)가 있어서, 다섯 폭으로 된 것(五條)은 일할 때에 입고, 일곱 폭으로 된 것(七條)은 보통 때에 입고, 아홉 폭(九條)으로부터 스물 다섯 폭(二十五條)까지는 법회와 예식에 입게 된다。그러므로 인도의 승려들은 이 세 가지밖에 다른 옷이 별로 없다고 한다.
그러나 불교가 기후 풍토와 인정 풍속이 같지 아니한 여러 지방에 전파되면서, 가사의 빛도 황색 또는 적색의 보기 좋은 빛으로 변하게 되고, 바탕도 비단으로 하게까지 되었다.
그 모양도 온갖 복덕이 이 법복(法服)으로 말미암아 심어지고 성숙(成熟)되는 것이라 하여, 복을 심는 밭(福田)을 상징(象徵)해서 규모가 반듯하고 법다운 밭두렁과 같은 것으로 하게 되었는데, 지금에 와서는 불교를 신앙하는 여러 나라와 그 종파에 따라 모양도 달리 한다.
또한 북방의 여러 나라에서는 추운 곳이기 때문에, 보통 입는 의복 위에 장삼(長衫)을 입고, 그 위에 다시 가사를 입게 되므로, 가사와 장삼이 함께 법복이 된다.
*불사(佛事) ; ①불법(佛法)을 알리는 일. 제사, 법회 따위의, 불가(佛家)에서 행하는 모든 일을 가리킨다. ②부처님이 중생을 교화(敎化)하는 일.
*회향(廻向) ; 회전취향(回轉趣向)의 뜻. ①방향을 바꾸어 향하다. ②자신이 쌓은 공덕을 다른 이에게 돌려 이익을 주려하거나 그 공덕을 깨달음으로 향하게 함. ③자신이 지은 공덕을 다른 중생에게 베풀어 그 중생과 함께 정토에 태어나기를 원함.
*령(領) : 가사 숫자 세는 단위.
*미관말직(微官末職) ; 지위가 아주 낮은 벼슬. 또는 그런 벼슬아치.
*삼족(三族) ; 부계(父系), 모계(母系), 처계(妻系)의 세 족속을 아울러 이르는 말.
*시주(施主 베풀 시,주인 주) : ①스님에게 혹은 절에 돈이나 음식 따위를 보시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 ②남에게 가르침이나 재물을 아낌없이 베푸는 사람. 단월(檀越 dana-pati)이라고도 함.
*만조백관(滿朝百官) ; 조정(朝廷)의 모든 벼슬아치.
*복색(服色) ; 예전에, 신분이나 지위에 따라 입던 옷의 빛깔과 꾸밈새.

 

 



------------------(2)

*편수 ; 공장(工匠, 수공업에 종사하는 장인) 두목. ‘編首(엮을·만들 /머리·우두머리 )’ 적기도 한다.

*가사당(袈裟幢) ; 가사 짓는 .

*뇌성벽력(雷聲霹靂) ; 천둥소리와 벼락을 아울러 이르는 .

*가피력(加被力 더할·베풀 ,입을·두를 , ) ; 불보살(佛菩薩) 위신력(威神力). 불보살이 중생에게 부여해서 이익을 주는 불가사의한 . 가호력(加護力) 같음.

*다부 ; ‘다시 사투리.

*공양주(供養主) ; 절에서 밥을 짓는 소임, 또는  일을 맡은 스님.

*대중시봉(大衆侍奉) ; 대중(大衆 많은 스님이나 신도, 비구·비구니·우바새·우바이) 모시고 시중드는 .

*일심전력(一心專力) ; 마음을 오직 한군데에 두어  힘을 기울임.

*채공(菜供) ; 절에서 반찬을 마련하는 소임, 또는  일을 맡은 스님.

*대중공사(大衆公事) ; 사찰에서, 사찰 운영이나 공지 사항 또는 스님의 그릇된 행위에 대한 문책 등이 있을 , 사찰에 있는 모든 스님들이 모여 서로 의견을 주고받는 .

*화주(化主) ; ①중생을 교화(敎化)하는 (). 부처님를 말함. ②신도들의 집을 돌며 절에 필요한 양식·물건·비용 등의 시물(施物) 얻는 소임, 또는  일을 맡은 스님.

*비화경(悲華經) ; 담무참(曇無讖) 한역. 『비련화경(悲蓮華經)』이라고도 한다. 다른 한역으로는 역자 미상의 『대승비분다리경(大乘悲分陀利經』 8권이 있다.

아미타불과 석가모니불의 본생(本生 : 붓다의 전생 이야기)을 설명하고, 이 두 가지를 대조하는 방식으로 정토성불(淨土成佛)과 예토성불(穢土成佛)의 사상을 서술하지만, 무엇보다 석가모니불의 예토성불이 들어 있는 대비(大悲)를 찬양하는 내용이 중심이 된다.

첫 번째 「전법륜품(轉法輪品)」  두 번째 「다라니품(陀羅尼品)」  세 번째 「대시품(大施品)」  네 번째 「제보살본수기품(諸菩薩本授記品)」  다섯 번째 「단바라밀품(檀波羅蜜品)」  여섯 번째 「입정삼매문품(入定三昧門品)」으로 모두 6품으로 되어 있다.

 

이 중에 네 번째 「제보살본수기품(諸菩薩本授記品)」에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대비(大悲)보살이었을 때 보장불(寶藏佛) 앞에서, 본인이 성불하였을 때 가사(袈裟) 지니고 공경하여 얻을  있는 다섯 가지 공덕[袈裟五種功德, 또는 袈裟功德]을 서원하신 내용이 있다.

 

①世尊, 我成佛已若有衆生入我法中出家著袈裟者, 或犯重戒或行邪見, 若於三寶輕毀不信集諸重罪, 比丘比丘尼優婆塞優婆夷, 若於一念中生恭敬心, 尊重世尊或於法僧,

世尊, 如是衆生乃至一人不於三乘得授記莂而退轉者, 則爲欺誑十方世界無量無邊阿僧祇等現在諸佛, 必定不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

 

세존이시여, 제가 성불하고 나서 만약 어떤 중생이 저의  가운데 들어와서 출가하여 가사를 입으면,  무거운 계를 범하거나  삿된 견해를 짓고, 삼보(三寶) 경멸하여 믿지 않고 모든 무거운 죄를 모았더라도 비구·비구니·우바새·우바니가 만약  생각만이라도 공경심(恭敬心) 내어서 부처님이나 혹은 법과 승려를 존중한다면,

세존이시여, 이러한 중생이  사람이라도 성문(聲聞연각(緣覺보살  삼승(三乘)의 수기를 얻지 못하고 퇴전한다면  시방세계의 무량 무변 아승기 현재 모든 부처님을 속이는 것이므로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 : 위없는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를 이루지 못할 것입니다.

 

②世尊。我成佛已諸天龍鬼神人及非人, 若能於此著袈裟者, 恭敬供養尊重讚歎, 其人若得見此袈裟少分, 即得不退於三乘中.

세존이시여, 제가 성불하고 나면 모든 하늘··귀신·사람·사람 아닌 것들이라 할지라도 만약  가사 입은 자를 공경·공양·존중·찬탄하거나  가사 자락을 조금만 보아도  3 가운데서 퇴전하지 않을 것입니다.

 

③若有衆生爲饑渴所逼, 若貧窮鬼神下賤諸人乃至餓鬼衆生若得袈裟少分乃至四寸, 其人即得飲食充足, 隨其所願疾得成就.

만약 굶주리고 목마른 중생이나 가난한 귀신이나 하천한 모든 사람이나 나아가 아귀 무리들이 가사를 조금만, 아니 네 () 얻더라도 그가  음식을 충족하게 얻고 그가 원하는 바에 의하여 빨리 성취하게  주십시오.

 

④若有衆生共相違反起怨賊想展轉鬪諍, 若諸天龍鬼神乾闥婆阿修羅迦樓羅緊那羅摩睺羅伽拘辦荼毘舍遮人及非人, 共鬪諍時, 念此袈裟, 尋生悲心, 柔軟之心, 無怨賊心, 寂滅之心, 調伏善心.

만약 중생이 서로 어기고 반대하여 원수로 생각하고 투쟁하며, 모든 하늘··귀신·건달바·아수라·가루라·긴나라·마후라가·반다·비사차·사람·사람 아닌 것들이 서로 투쟁할   가사를 생각하면  자비심·부드럽고 순한 마음·원수와 적이 없는 마음·적멸한 마음·조복된 착한 마음이 생길 것이며,

 

⑤有人若在兵甲鬪訟斷事之中, 持此袈裟少分至此輩中, 爲自護故供養恭敬尊重, 是諸人等無能侵毀觸嬈輕弄, 常得勝他過此諸難.

만약 군병의 전란과 투쟁·송사로 결단나게  일에도  가사의 조그마한 조각만 가지고 가면 저절로 보호되기 때문에 공양·공경·존경 받게 되나니, 모든 사람들이 능히 침략하고 헐뜯고 야유(揶揄)하고 가볍게 희롱할  없어서 항상 상대방을 이기고 모든 어려움을 통과하게  주십시오.

 

世尊, 若我袈裟不能成就如是五事聖功德者, 則爲欺誑十方世界無量無邊阿僧祇等現在諸佛, 未來不應成耨多羅三藐三菩提作佛事也, 沒失善法必定不能破壞外道.

세존이시여, 만약  가사가 능히 이와 같은 다섯 가지 거룩한 공덕[五事聖功德]을 성취하지 못한다면  시방 세계의 무량 무변 아승기 현재 모든 부처님을 속이는 것이니, 미래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어서 불사를 짓지 못할 것이며, 착한 법을 잃어서 능히 외도(外道)들을 파괴하지 못할 것입니다’

 

善男子, 爾時寶藏如來伸金色右臂, 摩大悲菩薩頂, 讚言, 善哉善哉, 大丈夫, 汝所言者, 是大珍寶, 是大賢善, 汝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已是袈裟衣服, 能成就此五聖功德作大利益.

선남자야,   보장여래께서 금빛의 오른팔을 펴서 대비보살의 이마를 만지면서 칭찬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대장부여, 그대가 말한 바는 바로 진귀한 보배이며, 크게 어질고 착한 것이로다. 그대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면  가사와 의복이 능히  다섯 가지 거룩한 공덕을 성취하여  이익을 지을 것이다’

*아미타불(阿彌陀佛) ; 대승불교에서 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세계에 머물면서 () 설하는 부처님. <정토 3부경>있는  부처님의 역사는, 오랜 옛적 과거세에 세자재왕불(世自在王佛 Lokesvararaja-Buddha) 감화를 받은 법장비구(法藏比丘 Dharmakara) 2 10억의 많은 국토에서 훌륭한 나라를 택하여 이상국을 건설하기로 기원하였다.

 48() 세워 자기와 남들이 함께 성불하기를 소원하면서 오랜 겁을 수행한 결과 지금부터 10 이전에  원행(願行) 성취되어 아미타불이 되었다. 줄여서 미타(彌陀).

의역하면 무량광불(無量光佛 Amitabha Buddha-무한한 공간에   있어서 안팎과 갓이 없는 빛의 부처님), 무량수불(無量壽佛 Amitayus Buddha-무한한 시간에 뻗치어서 끝없는 생명의 부처님).

*사십팔원(四十八願) : 아미타불이 지난 세상에서 수행할 때에, 법장비구(法藏比丘 Dharmakara) 였을  세자재왕불(世自在王佛 Lokesvararaja - Buddha) 앞에서 장차 자기가 성불하여 주지(住持) 이상적인 국토의 구체적 조건을 들어서, 그것이 실현될 때라야 성불한다고 맹세하고 발원하였던 것이다。마침내 그가 무한히 분투 노력하여 그의 복과 덕이 쌓이고 쌓여, 그가 목표한 극락세계가 이루어지게 된다.

 

 서원 가운데서 주요한 것을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1.  나라 안에는 온갖 고통과 비참한 일이  아주 없을 것。3. 나라 사람들은 모두 얼굴이나 몸이  같게  것。5.  나라 사람들은 모두 육신통이 있을 것。15.  나라 사람들은 모두 끝없는 수명과 한량없는 광명을 가질 것。18. 어느 세계의 어떤 중생이나  이름(아미타불)  번만 염하면  나라에 태어날수 있을 것。33. 시방 세계의 어떤 중생이나 모두 그의 빛을 쏘이면  몸과 마음이 함께 아름답게   등등。<무량수경> 나오는 .

*성불(成佛 이룰 /부처 ) ; ①세상의 모든 번뇌를 끊고 해탈하여 불과(佛果) 얻음.  부처가 되는 일을 이르는 말이다. ②석존이 붓다가야에서 깨달음을  . ③깨달음을 여는 . 각자가 스스로 무상의 깨달음을 열고, 부처가 되는 . ④올바른 깨달음을 얻은 . 혹은 분명하게 완전히 깨달은 것이라는 .

*삼승(三乘) ; 3가지  . 3가지 길을 걷는 . 깨달음에 이르는 3가지 실천법. 산스크리트어 tri-yāna  () 중생을 깨달음으로 이르게 하는 부처님의 가르침이나 수행법을 뜻함.

중생 각각의 능력·소질에 맞게,  성문(聲聞연각(緣覺보살(菩薩) 3가지 능력에 맞도록 깨달음으로 이끌어 가는 가르침을 성문승(聲聞乘연각승(緣覺乘보살승(菩薩乘)으로  것에 비유한 .


「법화경」에 나오는 말로 윤회가 거듭되는 육도(六道) 벗어나기 위해, 삼승에 의해 부처님의 세계에 이른다. 대승불교에서는 보살이나 부처님을 지향하는 일승(一乘) 중점을 두고 성문승(聲聞乘연각승(緣覺乘) 소승(小乘)이라 해서 격하하기도 하나, 「법화경」은  어느 것이나 역할과 의의를 인정하고 모든 것은 부처님의 자비로 구해지는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 일승(一乘)

*수기(授記) ; 부처가  제자들에게 수행하여 얻은 깨달음의 결과로서 언제 어디서 부처가 되리라고 예언함. 또는  교설(敎說).

*맹서(盟誓 맹세 /맹세할 ) ; '맹세(盟誓 임무나 약속을  실행하거나 목표를  이루겠다고 굳게 다짐함. 또는  다짐)' 원래 .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 꿰뚫어 보아[] 깨달아 부처가 [成佛].

*()하다 ; 가사(袈裟), 장삼(長衫) 따위를 걸쳐 입다.

*장삼(長衫) ; 스님의 웃옷. 길이가 길고 품과 소매를 넓게 만든다.

*패스포드(passport) ; 여권. 여권케이스. 지갑.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막힌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천칠백 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