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선(자세 호흡)2016. 3. 23. 11:51

§(081) ‘올바른 자세와 호흡참선을 있으면 빨리 올바르게 성취하기 위해서 가지를 간곡한 마음으로 여러분에게 권장을 하는 것입니다.

 

참선을 하는 있어서 번째, 몸을 단정히 갖기만 해도 벌써 마음 자세가 경건하고 엄숙한 자세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의 마음자리는 몸속에 담아있기 때문에 몸을 단정하게 엄숙하게 경건하게 가짐으로 해서 마음도 경건하게 되는 것입니다.

 

가부좌 또는 반가부좌는 참선의 기본자세이고 시간 있는 대로 있는 앉아서 공부를 익히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것입니다. 가장 공부하는데 수월하게 기초가 잡혀 들어갈 뿐만 아니라 득력(得力)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기 때문에 있으면 앉아서 바른 자세로 공부를 지어나가는 것은 필요한 것입니다.

 

숨을 깊이 그리고 조용하게 느리게 숨을 의식적으로 쉬게 되면은 몸도 차츰차츰 안정을 찾게 되고, 정신도 안정되고 맑아지게 만들 수가 있다고 하는 것을 우리는 수가 있습니다.

 

오천 이래로 인도에서 또는 중국에서 우리나라에까지 법이 전해 내려와 가지고 몸을 건강하게 만들고 정신을 맑게 그리고 안정시키는 방법으로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호흡을단전호흡(丹田呼吸)’이라 이렇게도 말을 하고, ‘복식(腹式) 심호흡(深呼吸)’이라 이렇게도 말을 합니다.

 

참선법은 단전호흡을 하지마는, 단전호흡이 육신을 가지고 삼백육십 세나 칠백 세를 살기 위해서 단전호흡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직 몸이 건강해야 정신이 건전하기 때문에 단전호흡을 사용을 가지고 참선의 기초를 삼는 뿐인 것입니다.

 

**송담스님(No.081)—78 4 관음재일 법어(78.04.24.) (용081)

 

(1) 약 7분.

(2) 약 19분.

 

(1)-----------------

 

처음에 참선을 할려면은 몸을 바르게 가져야 합니다. 몸을 바르게 갖는다고 하는 것은 가부좌(跏趺坐) 또는 반가부좌를 하는 것입니다.

가부좌는 앉아서 오른 다리를 다리의 무릎 위에다가 올려놓고, 왼쪽 발은 꼬부려서 오른발 무릎 위에다가 올려놓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다리가 이렇게 올려놓고, 다리를 이렇게 다리를 올려놓는 것입니다. 이것이 가부좌입니다, 결가부좌(結跏趺坐).

 

그런데 버릇 사람은 힘줄이 꿰이고 그래서 금방 다리가 저리게 됩니다. 그래서 반가부좌(半跏趺坐) 해도 됩니다. 반가부좌는 한쪽 발만 다른 무릎 위에다 올려놓으면 됩니다. 이렇게 해도 얼마 있으면 저리게 되면은 다리를 내려놓고 이쪽 발을 무릎 위에다가 올려놓기만 해도 됩니다. 이것이 바로 반가부좌입니다.

 

반가부좌를 다음, 위에다가 오른손을 펴서 올려놓고 위에다가 왼손을 포갭니다. 포갠 다음 엄지손을, 엄지손가락 배를 맞댑니다.

너무 손가락을 힘을 주지도 말고, 손이 너무 힘을 주어서 이것이 떨어지거나 비끄러져도 아니됩니다. 가볍게 대되, 아주 모습이 보기 좋게 동그스름하니 되도록 이렇게 해서 복숭아씨 위에다가 올려놓고, 아랫배 배꼽 앞으로 다가서 놓게 됩니다.

 

이렇게 다음, 몸을 좌우로 서너 흔들어서 들썩들썩 흔들어 가지고 가운데에다가 떠억 안정을 시킵니다.

그렇게 하고 귀는 어깨 위에 수직 상에 가서 놓이도록, 코끝은 배꼽 밑에 단전과 수직이 되도록 이렇게 몸을 단정히 가집니다. ‘ 귀와 코끝을 수직으로 갖으라 말은몸이 또는 왼쪽 오른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라 말씀입니다.

 

이렇게 몸을 단정히 갖은 다음에는 어금니를 지그시 뭅니다. 속에서부터 지그시 물고, 다음에 혀는 위로 꼬부려서 입천장에다 갖다가 댑니다. 입천장에다 이렇게 말아 꼬부려서 입천장에다 대고.

그리고서 눈은 너무 ! 부릅뜨지도 말고 너무 가늘게 뜨지도 말고 평상(平常)으로 눈을 뜹니다. 앉은 자리에서 3미터 지점에다가 눈을 떨구면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3미터 지점에 어느 점에다가 같은 것을 갖다놓고 그것을 들여다보는 그러한 분을 내가 봤는데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눈을 평상으로 뜨되 의식적으로는 아무것도 바가 없이 다못 평상으로 뜨기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은 참선을 하는 있어서 번째 몸을 단정히 갖는 방법입니다. 몸을 단정히 갖기만 해도 벌써 마음 자세가 경건하고 엄숙한 자세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의 마음자리는 몸속에 담아있기 때문에 몸을 단정하게 엄숙하게 경건하게 가짐으로 해서 마음도 경건하게 되는 것입니다.

 

허리를 펴고 단정하게 하는 것까지는 좋은 너무 단정하게 하기 위해서 뒤로 자지바지 이렇게 버티게 되면은 그건 역효과를 냅니다. 허리가 아프고 옆구리가 결리고 모가지가 아프고 이렇게 해서 좋지 아니한 것입니다. 단정하되 너무 지나치게 뒤로 자지바지 이래 가지고 자기만 혼자 참선한 것처럼 그러한 자세를 취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단정하면서도 어깨의 힘은 빼야 됩니다. 목의 힘도 빼야 합니다. 목이나 어깨나 허리에 지나치게 힘을 쓰게 되면은 얼마 가서 피로를 느끼게 되고, 허리도 아프고 어깨도 아프고 목도 아파서 참선하는데 지장을 초래하는 만큼 단정하면서도 긴장을 풀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대단히 중요한 것입니다.

 

참선하는 사람은 앉아서 가부좌나 반가부좌할 때만 하는 것이 아니고, 앉아서도 하고, 서서도 하고, 누워서도 하고, 차를 타면서도 하고, 걸어가면서도 하고, 하면서도 하고, 언제 어디서라도 하는 것이지마는 앉아서 하는 가부좌 또는 반가부좌는 참선의 기본자세이고 시간 있는 대로 있는 앉아서 공부를 익히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것입니다.

가장 공부하는데 수월하게 기초가 잡혀 들어갈 뿐만 아니라 득력(得力)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기 때문에 있으면 앉아서 바른 자세로 공부를 지어나가는 것은 필요한 것입니다.(2448~3111)

 

 

 

 

 

(2)------------------

 

다음에는 무엇을 하느냐? 호흡을 바르게 해야 합니다. 사람은 어머니 태중에서 떨어지자마자 숨을 쉬기 시작해 가지고 이승을 하직할 때까지 무의식 중에도 끊임없이 호흡을 되풀이하면서 살다가 ! 끊어지자마자 이승을 떠나게 됩니다.

그래서 사람이 죽었느냐 살았느냐의 판단은 숨이 끊어졌냐 끊어졌냐를 보면은 그것으로써 쉽사리 분별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만큼 호흡이라 하는 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있어서 중요한 것입니다.

 

음식이 아무리 좋다하지마는, 없어서는 것이지마는 음식은 일주일 이나 열흘 내지 달을 굶어도 죽지 않습니다. 그러나 숨은 2, 3분만 코와 입을 틀어막고 있으면 금방 부들부들 뻐드러지고 마는 것입니다. 그만큼 소중한 것이 호흡입니다. 그러한 호흡을 사람들은 무의식중에 하고 있지마는 호흡이 음식보다도 소중하다고 하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드뭅니다.

 

몸이 어디가 아프거나, 오장육부에 고장이 나거나, 몸에 열이 오르거나 또는 정신이 흥분하거나 또는 긴장하거나, 불안과 공포에 떨거나 이러게 되면은 호흡에 차질이 생기는 것입니다.

육체적으로 고장이 생기거나, 정신적으로 어떤 충격을 받게 되면은 찰나에 호흡이 난맥상(亂脈相) 이루게 됩니다. 호흡이 벌써 숨이 헐떡거리고 숨이 짧아지고 가쁘고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숨쉬는 것만 보면 사람이 육체에 고장이 났거나 정신에 벌써 충격을 받았다고 하는 것을 금방 알아 차릴 수가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호흡을 깊이 그리고 천천히 조용히 있는 사람은 몸도 건강하고 정신도 안정되어 있다고 하는 것을 수가 있는 것입니다. 다시 바꿔서 말하면 숨을 깊이 그리고 조용하게 느리게 숨을 의식적으로 쉬게 되면은 몸도 차츰차츰 안정을 찾게 되고, 정신도 안정되고 맑아지게 만들 수가 있다고 하는 것을 우리는 수가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 경험을 통해서 알고 있는 것이지마는 수천 전부터서 고인(古人)들은 방법을 여러 가지 각도에서 연구하고 실천하고, 연구하고 실천을 해서 완전무결할 만큼 호흡법에 대해서 연구를 하고 그것을 전하고 전하고 해서,

오천 이래로 법이 인도에서 또는 중국에서 우리나라에까지 법이 전해 내려와 가지고 몸을 건강하게 만들고 정신을 맑게 그리고 안정시키는 방법으로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호흡을단전호흡(丹田呼吸)’이라 이렇게도 말을 하고, ‘복식(腹式) 심호흡(深呼吸)’이라 이렇게도 말을 합니다.

 

단전호흡이라 하냐 하면 배꼽 밑에 3 자리의 위치 이름을 단전(丹田)이라고 합니다. 오목가슴과 배꼽과의 중간에 있는 위치를 중완(中脘)이라고여러분중완침(中脘鍼) 놓는다중완이라 그러고, 배꼽과 불두던과의 중간에 있는 거기를 단전이라 그럽니다.

 

숨을 보통 들어마시면은 허파까지 밖에 들어가지마는, 숨을 깊이 들어마셔 가지고 단전있는 데까지 호흡이 들어가도록 그래 가지고 배가 불룩해지도록 숨을 들어마시고.(참고 : 숨을 들어마셔서 배꼽 밑에까지 내려보낼려고 억지로 누를라고 하지 말고 그냥 숨은 쉬되, 이리 내려간다 하는 과정은 전혀 생각하지 말고 그냥 아랫배, 배꼽 밑에 단전 부위만 볼록하게 맨들기만 하면 되요. 볼록하게 하기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내쉴 때는 배를 홀쭉하게 맨들기만 하면 되어요. —송담스님 법문, 참선법D 에서)

들어마신 다음 3 동안 머물렀다가 조용하니 숨을 내쉬는데, 내쉼에 따라서 볼록해졌던 단전 부위가 다시 홀쪽해지도록, 들어마시면 볼록해지고 내쉬면은 홀쪽해지도록 이것을 의식적으로 호흡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단전호흡이고 배로 하는 호흡이라 해서, 배로 하는 깊은 호흡이라 해서 복식 심호흡이라 이렇게 말합니다.

 

복식 심호흡은 오천 인도에서부터서 전해 내려오는 요가법! 요가(yoga) 목적은 육체의 자유, 정신의 자유우리는 육체를 가지고 있으면서 육체를 마음대로 하지 못합니다. 정신을 가지고 있으면서 정신을 마음대로 못합니다.

그러한마음대로 못한다 하는 것은 어떠한 몸이 오랫동안 운동이 부족한 탓으로, 또는 식생활이 불완전한 탓으로 몸이 녹이 슬고삼백육십 골절 마디마디 오장육부 처가 녹이 슬고, 곰팡이가 슬어서 어딘가 고장난 상태로 우리는 살아가고 있는 것입니다.

 

정신도 울었다 웃었다 성냈다 그러면서 일생을 살고 있는데, 울어서는 자리에 눈물이 펑펑 쏟아진다든지, 성내서는 자리에 신경질을 불쑥불쑥 낸다든지, 잠깐만 성을 내고 바로 풀어져야 것을 조그만한 일로 하루종일 속을 바글바글 썩고, 이틀 사흘씩 속을 썩다가 그것이 원인이 되어서 심장병이 생기고, 눈이 캄캄하게 눈이 멀어 버리고 이러한 예를 우리는 얼마든지 찾아볼 수가 있습니다. 이것이 모두 자기의 마음을 자기가 자유자재로 없기 때문에 일어나는 불행한 사태인 것입니다.

 

그래서 요가는 몸을 자유롭게 마음대로 활용할 수가 있고, 정신도 자유자재로 자기의 감정을 조정할 수가 있고, 그러기 위해서 요가를 전수해 내려오면서 오늘날 세계를 갔다가 요가로써 휩쓸고 있는 것입니다.

중국에 수천 전부터서 내려오는 신선도(神仙道). 신선도가 바로 호흡법, 단전호흡법을 주관으로 해서 음식, 식이요법(食餌療法) 단전호흡 가지를 통해서 장생불사(長生不死)—보통 조금만 유의를 해도 일백이십 세는 무난히 살고, 아주 정성 드려서 열심히 하면은 삼백육십 , 팽조라고 하는 사람은 칠백 세까지도 예가 있습니다. 이것이 모두 음식을 조심을 하고, 단전호흡을 하고, 쓸데없는 일에 정신을 소모하지 않는 방향으로 노력을 함으로써 얻어질 있는 그러한 묘방(妙方) 것입니다.

 

참선법은 단전호흡을 하지마는, 단전호흡이 육신을 가지고 삼백육십 세나 칠백 세를 살기 위해서 단전호흡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직 몸이 건강해야 정신이 건전하기 때문에 단전호흡을 사용을 가지고 참선의 기초를 삼는 뿐인 것입니다.

그래서 몸을 바르게 간직하고 나아가서 호흡을 단전호흡을 하므로 해서 오장육부가 기능을 발휘하고, 몸안에 있는 모든 찌꺼기를 밖으로 그때그때 깨끗이 배설을 함으로 해서 몸이 가벼워지고 오장육부가 건전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은 따라서 정신이 안정이 되고 정신이 맑아질 밖에는 없게 되는 것입니다. 정신은 육체에 깃들고 있기 때문에 몸이 건강해야 정신이 안정이 되고 편안할 밖에는 없는 것입니다.

마치 집이 기둥이 썩어서 내려앉고 대들보가 가라앉고, 서까래가 썩어서 처지고, 기와는 구녕이 뜷려 가지고 비가 오면 비가 줄줄 새고 이러한 속에서는 마음놓고 편안히 사람이 없는 거와 마찬가지입니다.

몸이 건강하고 가볍고 구실을 주어야 몸안에 깃들고 있는 우리의 정신도 편안하고 깨끗하다고 하는 것은 상식적인 얘기가 되겠습니다.

 

그래서 참선할려면 첫째 몸을 지혜롭게 관리를 나가야 하고, 단전호흡을 통해서 우리의 혈액순환을 촉진을 시키고 몸의 노폐물을 밖으로 깨끗이 배출을 시킴으로 해서 몸이 오장육부가 건강하게 기능을 발휘할 있도록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고 나서는 생각을 무엇을 생각하느냐? 우리는 하루 종일 지내간 일이 생각이 났다, 또는 현재의 닥치고 있는 일이 생각이 났다, 또는 앞으로 다가올 일이 생각이 났다, 또는 얼토당토 않던 일이 생각 생각이 떠올랐다, 혼자 웃었다 성을 냈다 이러면서 하루하루를 살고 있습니다.

심지어 잠이 들면은 꿈속에서까지 별별 꿈을 꾸다가 꿈이 좋으면 좋아하고, 꿈이 조금 불길하면은 그것을 이튿날 근심 걱정을 하고 점을 치러 다니고 이러는데.

 

사실 세상에 사십 억이라고 하는 많은 인구가 있지마는 많은 사람 속에 전부 어디가 다르든지 다르게 생겼습니다. 다르게 생길 뿐만 아니라 성격도 다릅니다. 빈부귀천, 남녀노소 이렇게 사십 인구가, 사십 인구만큼 다르게 모든 여건을 태어나고 있습니다.

 

무엇 때문에 ······몸뚱이 달려 있는데, 달려 있는 가지 수는 같으면서 모습은 다르고 성격이 다르냐? 이것은 무량겁을 두고 내려오면서 우리가 , 지은 행위가 다르기 때문에 우리의 몸을 그렇게 각기 다르게 받아 나는 것입니다.

행위는, 다르게 행위를 우리는 가져왔느냐? 우리의 생각이 다르기 때문에, 생각이 다름으로 해서 생각이 행동으로 옮겨지는 것이 바로 그것이 행위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방에, 지금 법당에 여러분이 이렇게 사부대중이 앉아 계십니다마는 전부 귀를 저한테 귀울이고 저의 말씀을 듣고 있지마는 받아들이는 있어서는 각기 받아들여질 것입니다.

 

, 좋은 말을 한다이렇게 들은 사람, ‘아하, 나도 알고 있는 저렇게 말을 하느라고 애를 쓰고 있구나이렇게 말하는 , ‘법문하러 때마다 저런 얘길 하는데 다른 재미있는 얘길 줬으면이런 생각을 하면서 들으신 , ‘배가 고픈데 말을 그만했으면이런 , 별별 각기 다른 생각들을 가지고 듣고 계십니다.

다르게 받아들인 만큼 저의 말씀은 여러분 가슴 속에서 달리 섭취가 것입니다. 달리 섭취된 만큼 그것은 여러분에게 각기 다른 모양으로 여러분에게 소화되게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우리는어떠한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살아가느냐, 시간 시간을 살아가느냐, 분을 살아가느냐이것에 따라서 우리의 앞날의 양상이 달리 표현이 되는 것입니다.

 

잠시도 사이 없이 일어나는 생각을 어떻게 단속해 나가야만 당장 세상에, 이승에서 가장 올바르게 살아갈 있으며, 몸을 버리고 내생 내생 무량겁을 두고 영원히 괴로움이 없는 생사해탈(生死解脫) 수가 있는냐, 이것이 결정되어지는 것입니다. 참선(參禪) 바로 그러한 문제를 해결짓는 방법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몸을 바르게 하는 , 그거야 누가 없겠어요? 고대로만 본을 따라서 고대로 가부좌 내지 반가부좌를 하면 되는 것이고. 호흡하는 법도 깊이 들어마시고 3 동안 머물렀다 조용하니 내쉬고, 이것은 누가 고대로 못하겠냐 그말이여.

 

그런데 호흡이 사실은 어렵습니다. 이렇게 일러드렸어도 엉뚱하게 하시는 있거든요.

숨을 들어마실 배가 터지도록 잔뜩 들어마시면 아니됩니다. 팔부(八部)쯤만 들어마셔야 됩니다. 너무 잔뜩 들어마시면은 배가 가지고 얼굴이 벌개지고, 위장에 너무 부담을 주기 때문에  .....(녹음 끊김) .... 흥분된 마음도 가라앉게 되는 것입니다.

이걸 여러분들이 댁에 가셔서 되게 속이 상한 일이 있을 떠억 앉아서 심호흡을 보세요. 금방 가슴이 벌떡거리고 그런 것이 가라앉게 됩니다.

 

이것은 오천 년을 내려오면서 우리 불교뿐만 아니라 온갖 종교기관에서 이것을 내려온 것이고, 특히 불교에서도 조식법(調息法), 숨을 고르는 법을 역대 도인들이 해오셨기 때문에 이것은 우리가 믿어도 괜찮습니다.

특히 근자에는 의학 박사들이무엇 때문에 복식 심호흡이 몸을 건강하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하고 안정을 시켜주며, 나아가서는 장생불사까지 있다고 전해 내려온 것인가?’ 대해서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하고 검토한 결과, 충분히 납득할 있을 만큼 증명이 되어 것입니다.

 

참선할려면 몸을 단정하게 갖는 것과 복식 심호흡, 단전호흡을 바르게 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것입니다.

이것을 기초로 해서 앞으로 제가 말씀드린 것을 나간다면 명이면 , 명이면 , 우리가 도업(道業) 성취할 때까지 아무런 부작용이 없이 공부를 잘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고,

 

설사 견성성불(見性成佛)하기 이전이라도 우리는 몸을 단정히 가지고, 단전호흡을 하는 효과는 얼마 가서  , 가기 전에 우리는 여러 가지 이익을 얻을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익은 불법을 모르는 사람, 참선을 하는 사람도 이러한 이익을 얻기 위해서라도 단전호흡은 필요한 것입니다.

하물며 참선한 사람에게는 참선을 있으면 빨리 올바르게 성취하기 위해서 가지를 간곡한 마음으로 여러분에게 권장을 하는 것입니다.(3112~4946)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가부좌(跏趺坐 책상다리할 /책상다리할 /앉을 ) ; 좌선할 앉는 방법의 하나.

() 발바닥을, () 발등을 가리키는 말인데오른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드러나게 앉는 항마좌(降魔坐),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오른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위를 향하게 하여 앉는 길상좌(吉祥坐) 있다.

*반가부좌(半跏趺坐) ; 부처님의 좌법(坐法)으로 좌선할 앉는 방법의 하나. 한쪽 다리를 구부려 다른 다리의 허벅다리 위에 올려놓고 앉는 자세이다.

*평상(平常) ; 평상시(平常時,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

*자지바지 ; 좌선(坐禪) 몸에 너무 힘을 주어, 전체가 긴장으로 인해 뻣뻣하게 되어 있는 모습. 좌선 때는 몸을 단정(端正) 하면서도 긴장과 힘을 빼야 한다.

*득력(得力) ; 수행이나 어떤 기술운동에서 자꾸 되풀이해서 하면, 처음에는 안되던 것이 할라고 해도 저절로 되어질때 득력(得力)이라 표현. 수월하게 되어 힘이 덜어지는 것을 다른 표현을 쓰면 그것을힘을 얻었다(得力)’하는 .

참선 수행에서는 화두에 대한 의심을 할려고 해도 저절로 의심이 독로(獨露)하게 되는 것을득력이라고 말한다.

 

 

 

 

 

------------------(2)

 

*난맥상(亂脈相 어지러울 /줄기 /모양 ) ; 가닥이나 줄기가 이리저리 흩어져서 질서나 체계가 서지 아니한 일의 양상.

*고인(古人) ; 옛날 사람. 옛날 선승(禪僧).

*복식 호흡(腹式呼吸) ; 숨을 들어마셨다 잠깐 머물렀다 내쉬되, 배가 그것에 따라서 볼록해졌다 홀쪽해졌다, 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도록해서 가로막의 신축에 의하여 하는 호흡. 단전호흡(丹田呼吸).

*단전(丹田) ; 배꼽 아래로 () 삼푼 되는 (위치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아랫배에 해당. '' () 뜻하며, '단전' 인체에서 가장 귀중한 약을 만들어내는 장소로서의 []이라는 의미. 도가와 한의학에서는 단전을 생명력, 활동력의 원천으로 본다.

*오목가슴 ; 복장뼈(가슴의 한복판에 세로로 있는 ) 아래 한가운데 오목하게 들어간 .

*불두던 ; 불두덩(남녀의 바깥 생식기 주위에 볼록하게 솟은 부분) 사투리.

*식이요법(食餌療法 먹을·음식 /음식·먹이 /병고칠 / ) ; 섭취하는 음식물의 품질, 성분, 분량 등을 과학적으로 조절하여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 당뇨병, 고혈압, 종맥 경화증, 심장병 따위의 질환에 이용된다.

*장생불사(長生不死 / /아니 /죽을 ) ; 오래도록[] 살고[] 죽지[] 않음[].

*묘방(妙方) ; ①기묘한 방법. ②신묘하고 효험이 뛰어난 처방(處方).

*생사해탈(生死解脫) ; 생사(生死) 떠나 깨달음의 세계에 드는 .

*참선(參禪) ; ①선() 수행을 하는 .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팔부(八部)쯤만 ; 보통 호흡하는 양의 80% 정도 만큼.

*조식법(調息法 고를·알맞을·길들일 /숨쉴 / ) ; 단전호흡, 복식 심호흡을 말한다. [] 고르게[調] 함으로써 몸과 마음을 안정시켜서 몸과 마음을 건강하고 편안하게 하여 참선 수행에 도움을 삼고자 하는 방법.

*도업(道業) ; () 깨달음. () 영위(營爲일을 계획하여 꾸려 나감). 불도(佛道) 수행. 진리의 실천.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 꿰뚫어 보아[] 깨달아 부처가 [成佛].

 

Posted by 닥공닥정
참선(자세 호흡)2015. 7. 5. 11:45

§(256) 신심, 분심, 의심 / 바른 자세, 단전호흡, 수승화강(水昇火降) / 일관(日觀) / 묘한 의심관(疑心觀) / 참선도 하나의 ‘의심의 관법(觀法)’.

“어째서 화두를 들어도 간절한 의심이 안 나는가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해야 이 진정한 의심이 나겠습니까?” 많은 분들이 그 점에 있어서 고민을 하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어 볼 것도 없이 신심과 분심이 철저하지 못한 그 까닭이라고 할 것입니다.

 

자세를 바르게 하는데는 단정하게 몸을 가지면서도 어깨의 힘을 빼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목에 힘도 빼야 하고, 단정하면서도 힘을 빼는 그 요령을 터득을 해야 합니다.

 

한 생각에서 다음 생각으로 옮기는 그 즈음 새에, 어떤 행동에서 다른 행동으로 옮길 때, 그 중간 경계 그런데서 우리는 화두를 놓치는 수가 많기 때문에 그러할 때 그 경계에 속지 아니하고, 화두를 이어서 관조 할 수 있게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부처님 당시부터 수행하는 사람에게 이 수식관(數息觀)을 시키고, 대대로 내려오면서 단전호흡을 익혀서 수승화강을 하게 해서 육체적인 건강과 정신적인 안정과 청정을 유지함으로써, 도 닦아 가는 데에 부작용—상기병(上氣病), 소화불량이나 혈액 부족한 그러한 병을 예방하고 도업(道業)을 장애 없이 빨리 성취하도록 하셨던 것입니다.

 

필경에는 그 묘한 의심관인 것입니다. 그 의심관, 관(觀)이라 하는 것도 일종의 생각이지만 ‘생각 없는 생각’을 관이라 이렇게 말할 수가 있는데, 막연하게 어떤 관이 아니라 이 활구참선(活句參禪)은 ‘의심(疑心)의 관’이라야 돼.

 

성성(惺惺)하고 적적(寂寂)하면서도, 일부러 화두를 들려고 하지 아니해도 저절로 그 의심관이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그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도록, 처음에는 ‘이뭣고?’ ‘이뭣고?’하지만 나중에는 ‘이뭣고?’ 안 해도 알 수 없는 의심이—해가 질 때 봐두었던 그 둥근 해가 밤에도 고대로 보이고, 그 이튿날에도 고대로 환하게 보이듯이, 의심관이 그렇게 되어야 하거든.
그렇게 해서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면 일주일을 가지 못해서 공안을 타파(打破)하게 되고, 천칠백 공안을 일관도천(一串都穿)을 해.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과 역대조사(歷代祖師)의 면목을 사무쳐 보게 되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256)—85년 2월 첫째 일요법회(85.02.03) (용256)

 

(1) 약 20분.

(2) 약 6분.


(1)------------------

오늘은 초학자(初學者)를 위해서 ‘도 닦아가는 사람이 먼저 바른 스승을 만나야 한다. 바른 스승을 만나서 옳게 공부를 지어 나가야 한다’ 옳게 지어 나갈라면, 첫째 바른 사상이 탁! 중심 잡혀져야 하는 것입니다.

 

첫째 바른 믿음, ‘나도 성불할 수 있다. 결정코 나도 도를 이룰 수가 있다’고 하는 신념이 서야 하는 것입니다.

 

둘째는 ‘과거의 불보살과 모든 선지식들은 진즉 이 문제를 해결을 지어가지고 대도를 성취해서 일체 중생을 제도하시고 계시는데, 나는 오늘날토록 무엇을 하느라고 육도윤회(六途輪廻)를 하면서 오늘까지 도를 이루지 못했던가’ 그 분심(憤心)이 속에서 솟구쳐 올라야 하는 것입니다.

 

셋째는 선지식으로부터 간택 받은 자기의 본참공안(本參公案)에 대해서 대의심(大疑心)이 돈발(頓發)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신심과 분심이 밑받침되지 않고서는 대의정(大疑情)은 일어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신심과 분심이 확고하고 불같은 그러한 뜨거운 신심, 분심이 한목 솟구치지 않고서는 화두를 들어도 들 때뿐이고 금방 돌아서면 없어져버리고, 하루는 겨우 한 듯하다가 이틀 사흘 가면 차츰차츰 풀어져 버리고. 이것이 모두가 다 그 신심과 분심이 철저하게 뒷받침되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어째서 화두를 들어도 간절한 의심이 안 나는가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해야 이 진정한 의심이 나겠습니까?' 많은 분들이 그 점에 있어서 고민을 하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어 볼 것도 없이 신심과 분심이 철저하지 못한 그 까닭이라고 할 것입니다.

 

 

첫째에 그런 신심과 분심이 철저하다면 그다음에는 구체적으로 들어가서 자세를 바르게 하는 것이여.

가부좌(跏趺坐) 또는 반가부좌(半跏趺坐)를 하고서—가부좌는 참선을 해 나가는 데 가장 중요한 기본자세입니다. 그래서 대도를 성취한 아라한(阿羅漢) 또 성불하신 부처님 같은 성현도 항시 시간 있는 대로 숲속에서, 당신 처소에서 항시 가부좌를 하셨던 것입니다.

 

부처님이 무엇을 더 닦을 것이 있고, 무엇을 더 깨달을 것이 있으시리오마는, 그 가부좌를 하고 앉는 자세 그 자체가 훌륭한 것입니다.

일체 마군(魔軍)이 엿보지 못하고, 일체 악신(惡神)이 근접을 못하고, 항시 25선신(善神)이 그 주위를 호위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 정법을 믿는 사람, 불법을 믿는 사람은 어디 가서 앉던지—차를 타던지, 정거장에 대합실에 앉던지, 가정에서나 어디를 가더라도 항시 자세를 바르게 하는 것입니다.

의자에 앉아서도, 의자 위에서 가부좌를 틀기는 조금 어렵겠습니다마는 설사 가부좌는 안 하더라도 항시 허리를 쭉 펴고 머리끝과 회음부(會陰部)가 수직상에 놓여지도록 그렇게 자세를 바르게 가져야 하는 것입니다.

 

자세 하나만 바르게 가져도 벌써 정신 상태가 딱! 근엄하게 되는 것입니다. 허리를 꼬부리고 그리고서 턱이 앞으로 나와 가지고 이렇게 앉으면 멀쩡한 사람이 바보처럼 보이고, 농판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허리를 쭉 펴고 앉기만 하면 일자무식(一字無識)일망정 남 보매 호락(瓠落)하게 보이지 아니하고 아주 그분은 보면은 학문도 많고, 수행도 있고, 인격자로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속은 똥만 가득 들어갖고 남 보매 인격자로 보이라고 한 말씀이 아니라, 먼저 자세를 바르게 함으로써 정신이 딱! 차려지기 때문에 정신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육체를 먼저 바로잡으라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일 것입니다.

 

도를 안 닦은 일반 세속 사람도 조금 뭐한 사람은 다 보면 자세가 훌륭하고, 앉은 자세나, 선 자세나, 그 자세가 바른 것입니다. 대학자나 또는 장군이나, 대실업가의 두목이나, 다 세속에 아무개 한 사람 보면은 자세가 바르고 늠름하게 되어 있는 것입니다.

하물며 최상승법(最上乘法)에 의지해서 도를 닦은 사람이, 순(純) 그 바르고 근엄한 정신생활을 하는 수도인이 자세를 바르게 하지 아니한다고 해서야 말이 안 될 것입니다.

 

첫째, 자세를 바르게.

 

자세를 바르게 하라니까 너무 어깨에다 힘을 주고 목에다 힘을 주어가지고 그러라는 것이 아닙니다. 단정하게 몸을 가지면서도 어깨의 힘을 빼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목에 힘도 빼야 하고, 단정하면서도 힘을 빼는 그 요령을 터득을 해야 합니다.

 

단정하게 앉으면서도 헛심, 쓸데없는 힘을 뺀다고 하는 것은 조금 어렵지만 자기가 자기를 항시 요렇게 가늠해 보고 살펴보면서 어깨의 힘도 빼고, 목의 힘도 빼.

 

힘을 빼면서도 단정하고, 단정하면서도 힘을 빼면 그 자세가 너무너무 두 어깨의 선이라든지, 앞에서 보나 옆에서 보나, 뒤에서 볼 때 너무너무 훌륭한 것입니다. 아름답기조차 하는 것입니다. 근엄하면서도 엄숙하고 그러면서도 너무너무 그 두 어깨의 선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것입니다.

 

그 요령을 터득하지 못하고 너무 힘을 주어가지고 뻣뻣하게 앉아 있으면 영판 그것이 부자연스럽고 공부하는 데에도 얼마 못 가서 피로를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바르게 앉는 법에 대해서 항시 스스로 잘 살피면서 또 잘 아는 분에게 점검을 받아서 어디가 잘못되었는가를 구체적으로 교정을 받는 것도 대단히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좌선(坐禪)에 들어갈 때에 좌우로 몸을 흔들어서 차츰차츰 이렇게 한가운데에다 중심을 잡는 것.

 

그리고 포행을 한다든지, 방선(放禪)할 때 일어설 때에도 느닷없이 갑자기 불끈 일어서서는 아니되는 것입니다.

좌우로 몸을 흔들어서 준비 운동도 하고, 다리도 앞으로 뻗어서 주무르기도 하고, 발목도 이리저리 돌려서 발목 운동도 하고, 이렇게 한 다음에 살며시 이렇게 두 손을 땅에다 짚고서 조용하게 일어나 가지고 기동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갑자기 불끈 일어나 가지고는 달음박질을 친다든지, 높은 데서 뛰어내린다든지, 이런 것은 한 시간 내지 두 시간을 조용하게 앉았다가 갑작스런 운동으로 변하게 되면 피나 심줄이나 근육이 놀래기도 하고, 때로는 발을 헛디뎌서 미끄러지거나 발목을 삐는 수도 있고.

 

그리고 정진은 앉아서만 하고 일어서면 아니한 것이 아니라, 앉아서 공부하다가 일어서더라도—일어서서 걷거나, 일을 하거나 하더라도 앉았을 때 공부하던 그 의단(疑團)이 고대로 유지가 되도록 해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그럴랴면 자연히 앉은 자세에서 서는 자세로 옮길 그 한계선이 언제든지 중요한 것입니다.

앉았을 때까지는 잘되다가 불끈 일어서는 찰나에 놓쳐 버리기도 하고, 뭘 가만히 앉았다 무슨 소리가 딱! 들어오는 찰나에 화두를 놓치기도 하고, 뭘 보다가 딱! 놓치기도 하고.

 

그래서 한 생각에서 다음 생각으로 옮기는 그 즈음 새, 어떤 행동에서 다른 행동으로 옮길 때에 그 중간 경계, 그런 데서 우리는 화두를 놓치는 수가 많기 때문에 그러할 때 딱! 그 경계에 속지 아니하고 화두를 이어서 관조(觀照)할 수 있게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런 것들이 다 한 철, 두 철, 공부를 해 나가는 데 있어서 스스로 터득되어질 일이라고 생각을 하고.

 

 

자세를 바르게 한 다음에는 호흡을 바르게 해야 하는 것입니다.

 

호흡이라고 하는 것은 사람이 죽었나 살았나를 볼려면은 그 호흡이 끊어졌느냐, 안 끊어졌느냐? 그것을 보면 죽었느냐, 살았느냐를 알 수 있을 만큼 호흡은 바로 생사(生死)와 직결되는 것입니다.

 

(선생님 오셨나? 이해창 선생님)

 

그래서 이 호흡을 뱃속에서는 배꼽을 통해서 숨을 쉰다고 하고, 태어나면 그때부터서 인자 코로 숨을 쉬게 되는데, 숨쉬기 시작해 가지고 숨을 못 쉬게 되면 그때는 인자 금생(今生)이 끝나는 것입니다.

밥은 하루 이틀 내지 한 달, 두 달, 석 달을 굶어도 안 죽습니다. 그런데 호흡은 3분 내지 5분만 딱 숨을 못 쉬게 하거나 안 쉬면 죽게 되는 것입니다.

 

물론 요가라든지 그런 특별한 훈련을 쌓은 사람은 일주일씩도 숨을 안 쉬고 물속에 가만히 들어앉았다가 나중에 나와도 다시 또 살아나기도 하고, 인자 그러한 특수한 훈련을 쌓은 사람은 그럴 수도 있다고 합니다마는, 일반적으로는 5분 내지 10분만 숨 못 쉬게 하면 금방 죽어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만큼 호흡은 대단히 중요한 것이어서 누구나 무심 속에 다 살아 있는 동안에는 호흡을 하지만 올바른 호흡을 한다고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입니다.

 

전부 다 가슴으로 호흡을 하는데, 수행을 하는 사람은 배로 호흡을 해야 해.

마음이 딱 중심이 잡혀서 안정이 되면 저 호흡하는 선이 밑으로 내려가고, 마음이 들뜨거나 중심을 잃거나, 긴장하고 초조하고, 몸에 병이 나거나 열이 있거나, 그러면은 호흡은 차츰차츰 위로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편안할 때는 아랫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면서 호흡을 하다가 갑자기 놀래거나, 분을 내거나, 흥분해서 놀래거나 하면은 배로 호흡을 안 하고 가슴으로 호흡으로 하고, 가슴으로 씩쌕 씩쌕 하면서 가슴으로 호흡을 하는데, 차츰차츰 또 그 분한 생각이 가라앉고 안정이 되면 가슴 벌떡벌떡한 것이 없어지면서 호흡이 밑으로 내려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의식적으로 숨을 들어마시면 배가 볼록해지고, 숨을 내쉬면 배가 홀쪽해지도록 의식적으로 배를 내밀었다 또 홀쪽하니 했다 해서, 계속 호흡 들어마실 때는 배가 볼록해지고, 숨을 내쉴 때는 배를 차츰차츰 홀쪽하니 해서 등허리가 딱 붙도록 해서 ‘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는 것을 의식적으로 호흡을 하라’ 이것입니다.

그 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는 데 우리의 의식을 거기다 두고서 호흡을 하면 우리의 생각이 아랫배 단전(丹田) 부위에 우리 의식이 고리 집중이 되게 되는 것이고, 우리의 의식이 아래로 집중이 되면 우리 몸안에 있는 기(氣), 기(氣)도 밑으로 내려가게 되는 것입니다.

 

머리로 무엇을 골똘히 생각하면 피도 머리로 모일 뿐만이 아니라, 우리 몸안에 있는 기(氣)도 머리로 모이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무엇을 막 깊이 생각하고 그러면은 상기(上氣)가 되고, 머리가 띵해지고 피로를 느끼게 되고, 눈도 벌게지고 뒤통수를 만져 보면 뜨끈뜨끈하고 그러거든.

 

단전호흡(丹田呼吸)을 30분, 1시간 이렇게 하고 난 뒤에 몸을 만져 보면 아랫배는 뜨뜻하고, 뒤통수를 만져 보면 시원하거든. 그것은 더운 기운은 밑으로 내려가고 시원한 물 기운은 위로 올라가는 증거인 것입니다.

 

이 수승화강(水昇火降), 시원한 물 기운은 위에로 올라가고, 더운 불 기운은 밑으로 내려가게 하는 것.

물이라 하는 것은 원래 위에서 밑으로 흘러내리고, 불은 밑에서 위로 타오르는 것이 그 원래 가진 성질이지만, 우리가 의식적으로 우리의 정신을 배꼽 밑에 단전에다가 집중을 함으로써 우리의 불 기운은 밑으로 내려가서 아랫배가 뜨뜻해지고, 시원한 물 기운은 위로 올라가서 머리가 시원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몸을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고 몸안에 있는 온갖 독소를 그 호흡을 통해서 밖으로 배출해 버리고 그래서 몸은 가벼워지고, 정신은 안정이 되면서 맑아지게 하는 그러한 효과를 가져오게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 당시부터 수행하는 사람에게 이 수식관(數息觀)을 시키고, 대대로 내려오면서 단전호흡을 익혀서 수승화강을 하게 해서 육체적인 건강과 정신적인 안정과 청정을 유지함으로써, 도 닦아 가는 데에 부작용—상기병(上氣病) 같은, 소화불량이나 혈액 부조화한 그러한 병을 예방하고 도업(道業)을 장애 없이 빨리 성취하도록 하셨던 것입니다.

 

금년 여름에 보살선방에 백여섯 분이 방부(房付)를 들여서 항시 칠팔십 명이 그렇게 참 엄격한 규율 속에서 그렇게 참 정진들을 모다 애쓰고 계시는데, 이 자세를 바르게 하고, 호흡을 바르게 하고, 나아가서 세 번째 가서는 화두(話頭)를 어떻게 의심(疑心)하느냐?

 

이 화두를 의심하는 방법, 이것이 또한 간단하지만 참 이것이 어려운 것입니다.

 

한 철, 두 철, 세 철, 3년, 5년, 10년을 해도 이 화두를 참으로 올바르게 화두를 참구(參究)하고, 관조한다는 것은 어려운 것입니다. 이것은 한 말로 ‘이렇게 하는 것이 좋다’ 말하기가 어렵습니다.

법문을 듣고 고대로 또 하고, 고대로 하면서 또 법문을 듣고 해서 스스로 많은 노력, 스스로 그것을 공부해 나가는 요령—급하지도 않고 너무 늘어지지도 아니하며, 그 요령을 스스로 터득을 해야 합니다.

 

스스로 터득한다니까 선지식(善知識)도 필요 없고, 자기 혼자 어디 돌굴이나 토굴에 가서 막 해제끼면 되냐 하면 그게 아니에요. 반드시 선지식의 지도를 받되, 받아 가지고 하면서도 스스로 그 묘한 의관(疑觀)을 얻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 묘한 의심관이라 하는 것은 도저히 어떻게 말로써 설명해 가르켜 줄 수가 없습니다. 자기가 일구월심(日久月深) 항시 면면밀밀(綿綿密密)하게 의심해 가고 관해 가고, 그 자세와 호흡과 화두를 이렇게 삼위(三位)가 일체(一體)가 되도록 잘 조정을 해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필경에는 그 묘한 의심관인 것입니다.

그 의심관, 관(觀)이라 하는 것도 일종의 생각이지만 ‘생각 없는 생각’을 관이라 이렇게 말할 수가 있는데, 막연하게 어떤 관이 아니라 이 활구참선(活句參禪)은 ‘의심(疑心)의 관’이라야 돼.(53분18초~73분33초)

 

 

 

 

 

(2)------------------

 

옛날에는 해가 떨어지려고 할 때, 서산에 지려고 할 때, 저 수평선에 해가 지려고 할 때에 그 큰 맷방석만한 해가 땅에 질락말락 할 때 그 빨갛고 아름다운 거—해가 중천에 있을 때는 눈이 부셔서 볼 수가 없는데, 해가 질 무렵에는 눈이 부시질 않고 그 아름답고 벌건 굉장히 큰 그 해를 볼 수가 있습니다.

 

그 아름다운 해를 한참 보는 것입니다. 마지막 딱 떨어져서 안 보일 때까지 한 시간 내지 두 시간을 눈이 부시지 아니할 때부터서 그것을 관하기 시작해가지고 마지막 질 때까지 관찰하고서, 그다음에는 밤새 그 눈을 감으나 뜨나 그 찬란하고 아름다운 둥그런 해를 관(觀)하는 것입니다.

 

눈을 감고서도 보이는 것이 그것이 관(觀)인 것입니다. 눈을 뜨나 감으나 상관없이 항시 있는 것이 그것이 관인데, 그것을 갖다가 일관(日觀)이라 그러거든. 해를 관하는 수행법이여.

 

밤새 그 둥근 해를 갖다가 관하고 그 이튿날 하루 종일 관하다가, 또 그 이튿날 해 질 때 다시 또 그 관을 해서, 그 관을 다시 새롭게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또 밤새 관하고 그 이튿날 관하고, 그 다음 날 해 질 때 관하고 해서 평생 동안을 그렇게 인자 관을 해 나가는데, 이것도 하나의 수행 방법입니다.

 

이러한 그 일관이라든지 또 달을 관하는 관법이라든지, 아까 백골관이라든지, 여러 가지 관법(觀法)이 있는데, 이 참선도 하나의 ‘의심의 관법’이라 이렇게 말할 수가 있습니다.

 

그 성성(惺惺)하고 적적(寂寂)하면서도, 일부러 화두를 들려고 하지 아니해도 저절로 그 의심관이 터얻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그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도록.

처음에는 ‘이뭣고?’ ‘이뭣고?’하지만 나중에는 ‘이뭣고?’ 안 해도 알 수 없는 의심이 터억—그 해가 질 때 봐두었던 그 둥근 해가 밤에도 고대로 보이고 그 이튿날도 고대로 환하게 보이듯이 의심관이 그렇게 되어야 하거든.

 

그렇게 해서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면 일주일을 가지 못해서 공안을 타파(打破)하게 되고, 일체 천칠백 공안을 일관도천(一串都穿)을 해.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과 역대조사(歷代祖師)의 면목을 사무쳐 보게 되는 것입니다.

 

오늘 사리불 존자와 아나율 존자의 그 굳은 결심, 우리도 그러한 결심이 투철해야 할 것이고 또 바른 스승의 지도를 받아서 끝내는 자기 스스로 터득한 그 의심관으로써 자기의 정진의 마지막 고비를 넘긴다면, 누구라도 그만한 결심과 그만한 바른 스승을 만나서 바르게 그리고 자기의 정신과 육체의 온갖 힘과 정성을 다 바쳐서 다듬어 나간다면 누구라도 자기의 면목을 깨달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일파유조(一把柳條)를 수부득(收不得)하야  화풍탑재옥난간(和風塔在玉欄干)이니라

나무~아미타불~

 

한아름 버드나무 가지를 거두어 잡지 못해서, 바람과 함께 옥난간에다 걸어 두노라.

 

오늘 일요법회 법어를 마쳤습니다. (73분34초~79분2초)(끝)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초학자(初學者) ; ①처음 배우기 시작한 사람. ②배워 익힌 지식이 얕은 사람.
*육도윤회(六途輪廻, 六道輪廻) ; 선악(善惡)의 응보(應報)로 육도(六途 ;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의 고락(苦樂)을 받으면서 죽음과 삶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것.
*본참공안(本參公案) :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돈발(頓發 갑자기 돈/일어날•나타날•밝힐 발) ; 일정한 단계를 밟지 않고 직접적, 비약적으로 일어나는. [참고] 頓 - 直頓의 뜻, 곧바로.
*가부좌(跏趺坐 책상다리할 가/책상다리할 부/앉을 좌) ; 좌선할 때 앉는 방법의 하나.
‘가(跏)’는 ‘발바닥’을 ‘부(趺)’는 ‘발등’을 가리키는 말인데, 오른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뒤,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드러나게 앉는 항마좌(降魔坐)와,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뒤, 오른발을 왼편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위를 향하게 하여 앉는 길상좌(吉祥坐)가 있다.
*아라한(阿羅漢) ; 산스크리트어 arhat의 주격 arhan의 음사. 모든 번뇌를 완전히 끊어 열반을 성취한 성자. 응공(應供)·응진(應眞)·무학(無學)·이악(離惡)·살적(殺賊)·불생(不生)이라 번역.
마땅히 공양 받아야 하므로 응공(應供), 진리에 따르므로 응진(應眞), 더 닦을 것이 없으므로 무학(無學), 악을 멀리 떠났으므로 이악(離惡), 번뇌라는 적을 죽였으므로 살적(殺賊), 미혹한 마음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불생(不生)이라 함.
*마군(魔軍) ; 악마의 군세(軍勢). 마(魔)란 생사를 즐기는 귀신의 이름이요, 팔만사천 마군이란 중생의 팔만 사천 번뇌다. 마가 본래 씨가 없지만,수행하는 이가 바른 생각을 잃은 데서 그 근원이 파생되는 것이다.
*선신(善神) ; 불법(佛法)과 그것을 믿는 이들을 보호하는 신.
*회음부(會陰部) ; 사람의 음부(陰部, 남녀의 몸에서 바깥 생식 기관)와 항문 사이의 부위.
*농판 ; ‘멍청이(아둔하고 어리석은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의 사투리.
*호락하다(瓠落-- 우수수 떨어질 호/떨어질 락) ; 겉보기에는 커도 소용이 없게 되다.
*헛심 ; 아무런 보람이나 이득이 없이 헛되이 쓰는 힘.
*의단(疑團 의심할 의, 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단전(丹田) ; 배꼽 아래로 한 치(寸) 삼푼 되는 곳(위치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아랫배에 해당. '단'은 약(藥)을 뜻하며, '단전'은 인체에서 가장 귀중한 약을 만들어내는 장소로서의 밭[田]이라는 의미. 도가와 한의학에서는 단전을 생명력, 활동력의 원천으로 본다.
*기(氣) ; ①생명체가 활동하는 데 필요한 육체적, 정신적 힘. 원기(元氣)나 정기(精氣), 기력(氣力) 등을 이른다. ②사람이 상대나 주위에 대하여 가지는 기분. ③있는 힘의 전부. ④모든 생명의 근원으로 생각되는, 천지에 가득차 있는 힘.

*상기(上氣) ; ①[한의] 피가 뇌로 몰리는 현상. 얼굴이 붉어지고 열이 나며, 발한, 두통, 이명(耳鳴), 현기증 따위가 일어나기도 한다. ②얼굴이 흥분이나 수치감으로 붉어짐.

*띵하다 ; (머리가)울리듯 아프면서 정신이 맑지 못하고 멍하다.
*단전 호흡(丹田呼吸) ; 참선 수행에 있어서 호흡법은 우리의 몸을 건강하게 하고, 마음도 안정을 시키고 통일되게 하여 우리가 참선을 해 나가는 데에 중요한 준비, 기초 훈련입니다.
단전 호흡을 하게 되면은 혈액순환이 잘되고, 혈액순환이 잘됨으로 해서 몸안에 모든 노폐물이 깨끗하게 밖으로 배설이 되서 몸이 가벼워지고, 건강해지고 따라서 정신이 맑아지고, 정신이 안정이 된다.
주의할 점은 자신의 호흡의 길이에 알맞게 시작하고 자연스럽게 해야지, 절대로 억지로 호흡 시간을 길게 잡아 무리해서는 안된다.
단전호흡 요령.
의식적으로 숨을 저 배꼽 밑에 아랫배 하복부[丹田]까지 숨을 들어마셨다가 잠깐 머물렀다가 조용하니 길게 숨을 내쉬는 호흡.
들어마시는 시간 한 3초, 들어마셨다가 잠깐 머무르는 시간이 한 3초, 내쉬는 시간은 4~5초, 이렇게 해서 내쉬는 시간을 좀 길게 잡아서 내쉰다.

들어마시되, 아랫배가 터지도록 잔뜩 들어마시지 말고 한 80%정도만 들어마시고, 80% 들어마신 상태에서 3초 동안 잠깐 머물렀다가 조용히 내쉬는데, 들어마실 때에는 차츰차츰 아랫배가 볼록해지게 만들고, 내쉴 때는 차츰차츰 배를 홀쭉하게 만든다.
그래서 들어마셨다 잠깐 머물렀다 또 내쉬되, 배가 그것에 따라서 볼록해졌다 또 홀쪽해졌다, 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도록 의식적으로 호흡을 하는 것이다.

 

118(단전호흡:1분32초).mp3
0.70MB

[참고] *송담스님(No.118)—80년 동안거해제 법문에서.(1분32초)

 

숨을 들어마실 때 ‘코로 들어마신다’고 생각을 하지 말고—저 뒤에서 쭉 들어마셔 가지고, 이 궁둥이로 해서 아랫배로 요렇게 들어온다고 이렇게 생각을 하고 들어마시면 아주 수월하게 할 수가 있습니다.

‘숨을 코로 들어마셔 가지고 아랫배까지 이렇게 집어 넣는다’고 생각하면, 들어마셔 가지고 이 윗배 오목가슴 정도까지 가 가지고 거기서 딱 맥혀 가지고 아래로 내려가지를 않아서 애를 먹게 됩니다. 그런 상태에서 억지로 하다 보면 가슴이 답답하고 영 시원하지를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코로 들어마신다고 생각하지 말고 ‘저 뒤에서 궁둥이로 쑥 들어마셔 가지고 직선으로 들어와 가지고 아랫배가 볼록해지도록 들어온다’ 이렇게 생각하고 들어마시고, 내쉴 때도 ‘그 자리에서 직선으로 뒤로 쑥 내쉰다, 내보낸다’ 이러한 기분으로 숨을 내쉬는 것입니다.

그래서 『숨은 직선으로 뒤에서 이렇게 들어마시고 내쉴 때는 직선으로 뒤로 이렇게 내보낸다』
들어마실 때는 배가 차츰차츰차츰 아랫배가 볼록해지고, 내쉴 때는 차츰차츰차츰 아랫배가 홀쪽해진다. 이렇게 의식하면서 호흡을 하는 것입니다.
*수식관(數息觀) ; 출입하는 숨을 세어서 마음을 통일하는 것. 그것에 의해 마음의 산란을 막음. 호흡을 세어서 마음을 집중시키는 수행법.
*상기병(上氣病 오를 상, 기운 기, 병 병) ; 화두를 머리에 두고 여기에 속효심(速效心)을 내어 참구하다가, 모든 열기(氣)가 머리에 치밀게(上)되어 생기는 머리 아픈 병(病).
상기병이 생기면—기운이 자꾸 위로 올라와서, 화두만 들면 골이 아파서 공부가 지극히 힘이 들고 심하면 머리로 출혈이 되며 몸이 쇠약해짐. 상기병의 예방과 치료로 단전호흡과 요료법(尿療法, 오줌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민간 요법의 하나)이 사용된다.

[참고] '요료법'에 관한 책. ①『기적을 일으키는 요료법』 (김정희 저 | 산수야). ②『요료법의 기적』 (나까오 료이치 | 산수야). ③『의사가 권하는 요료법』 (이영미 | 산수야). ④ 『요료법의 기적』 (건강신문사 편집부).

 

*도업(道業) ; 도(道)는 깨달음. 업(業)은 영위(營爲-일을 계획하여 꾸려 나감). 불도(佛道)의 수행. 진리의 실천.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의심(疑心) : 알 수 없는 생각에 콱 막히는 것.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또는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또는 ‘조주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바른 깨달음은 알 수 없는 의단, 알 수 없는 의심에 꽉 막힌 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참구(參究 헤아릴 참, 궁구할 구) ; ①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것. ②선지식의 지도 아래 참선하여 화두(공안)을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벗.
*해제끼다 ; 헤치우다. (사람이 어떤 일을)빠르고 시원스럽게 끝내다.
*의관(疑觀) ; 의심관(疑心觀). 화두를 거각하여 알 수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그 알 수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를 하는 것.
*일구월심(日久月深) ; 날이 오래고 달이 깊어 간다는 뜻으로, 날이 갈수록 바라는 마음이 더욱 간절해짐을 이르는 말.
*면면밀밀(綿綿密密) ; 면면(綿綿)하고 밀밀(密密)하게. 끊어지지 않고 아주 빽빽하게 죽 잇따라 있는.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2)

*맷방석 ; 주로 매통(벼를 넣고 갈아서 겉겨를 벗기는 데 쓰는 기구)이나 맷돌(곡식을 가는 데 쓰는 도구) 아래 깔아 곡식을 담거나 방석으로 쓰는 짚으로 만든 물건.
멍석보다 작고 둥글며 전(물건의 위쪽 가장자리가 조금 넓적하게 된 부분)이 있다.
*관법(觀法) ; 마음의 본성을 자세히 살피는 수행. 어떤 현상이나 진리를 마음 속으로 떠올려 그것을 자세히 살피는 수행. 한 생각만 주시하여 한결같이 그것을 잊지 않는 수행.
*성성적적(惺惺寂寂) ; 정신이 고요하면서도 깨끗하고 또록또록 한 상태.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의, 덩어리 단, 홀로•오로지 독, 드러날 로)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가 홀로(獨) 드러나다(露).
*타성일편(打成一片) : ‘쳐서 한 조각을 이룬다’. 참선할 때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려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일체처 일체시에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한 순수무잡(純粹無雜) 경계.
*타파(打破) ; 화두의 생명은 의심입니다.
그 화두(話頭)에 대한 의심(疑心)을 관조(觀照)해 나가는 것, 알 수 없는 그리고 꽉 맥힌 의심으로 그 화두를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모든 번뇌와 망상과 사량심이 거기에서 끊어지는 것이고,
계속 그 의심을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더 이상 그 의심이 간절할 수가 없고, 더 이상 의심이 커질 수 없고, 더 이상 깊을 수 없는 간절한 의심으로 내 가슴속이 가득 차고, 온 세계가 가득 차는 경지에 도달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 경지에 이르면 화두를 의식적으로 들지 않어도 저절로 들려져 있게 되는 것입니다.
밥을 먹을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똥을 눌 때에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차를 탈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이렇게 해서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들려진 단계. 심지어는 잠을 잘 때에는 꿈속에서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게끔 되는 것입니다.

이런 상태로 6, 7일이 지나면 어떠한 찰나(刹那)에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큰항아리에다가 물을 가뜩 담아놓고 그 항아리를 큰돌로 내려치면은 그 항아리가 바싹 깨지면서 물이 터져 나오듯이, 그렇게 화두를 타파(打破)하고, ‘참나’를 깨닫게 되고, 불교의 진리를 깨닫게 되고, 우주의 진리를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참선법 A’ 에서]
*일관도천(一串都穿 한 일/꼬챙이 관/모두 도/꿰뚫을 천) ; 한 꼬챙이에 모두 꿰뚫다.
*본래면목(本來面目 밑 본/올 래/낯 면/눈 목) ; ①자기의 본래(本來) 모습(面目). ②자신이 본디부터 지니고 있는, 천연 그대로의 심성(心性). 부처의 성품.
*역대조사(歷代祖師) ; 석가세존(釋迦世尊)으로부터 불법(佛法)을 받아 계승해 온 대대의 조사(祖師).
*(게송) ‘一把柳條收不得  和風塔在玉欄干’ ; [가태보등록(嘉泰普燈錄)] 제23권 황정견(黃庭堅)거사 게송 참고.

Posted by 닥공닥정
참선(자세 호흡)2015. 3. 28. 17:16

§(118) 바른 자세, 바른 호흡 / 호흡은 무리하지 말고, 자연스럽고 편하게 해야 / 호흡법은 참선을 잘하기 위한 기초훈련.

참선(參禪)은 반드시 앉아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서서도, 걸어가면서도 하고, 누워서도 하고, 언제 어디에서 무엇을 하든지 간에 참선은 끊임없이 해야 하는 것입니다. 잠깐도 소홀히 해서 놓쳐서는 아니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우리 깨닫지 못한 초학자요 수행인으로서는 시간이 있는 데로 가부좌 또는 반가부좌를 하고 정진을 정미(精微)롭게 해 간다면 이것이 바로 도의 득력(得力)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길이 되는 것입니다.


몸이 좌우전후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으로 딱 유지가 되도록, 그러면서 어깨의 힘도 다 빼고 또 목의 힘도 다 빼서 긴장은 다 풀면서도 단정하게 몸을 가져야 되는 것입니다.
호흡을 잘 조정을 하면 마음도 조정을 할 수가 있다.


단전호흡이 참선을 하는 데, 몸을 건강하게 하는 데, 우리의 마음을 통일, 안정을 시키고 맑게 하는 데 있어서 꼭 해야만 된다고 하는 사실을 아신다면, 그리고 바르게 할려고 노력만 한다면 반드시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이 호흡을 바르게 하기만 하면, 참선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부작용도 일어나지를 않는 것입니다.
숨을 ‘코로 들어마신다’고 생각하지 말고 ‘저 뒤에서 궁둥이로 쑤욱 들어마셔 가지고 직선으로 들어와 가지고 아랫배가 볼록해지도록 들어온다’ 이렇게 생각하고 들어마시고, 내쉴 때도 ‘그 자리에서 직선으로 뒤로 쑤욱 내쉰다, 내보낸다’ 이러한 기분으로 숨을 내쉬는 것입니다.
그래서 『숨은 직선으로 뒤에서 이렇게 들어마시고 내쉴 때는 직선으로 뒤로 이렇게 내보낸다』 들어마실 때는 배가 차츰차츰차츰 아랫배가 볼록해지고, 내쉴 때는 차츰차츰차츰 아랫배가 홀쪽해진다. 이렇게 의식하면서 호흡을 하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118)—80년 동안거해제 법어(80.03.01) (용118)


약 19분.

 

 

실지로 공부를 지어 나가는 데 있어서 새로 오신 분들을 위해서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첫째는 자세를 바르게 가질 것입니다. 참선 공부를 하는 데 있어서는 첫째 이 몸이 있어야 참선을 하기 때문에 이 몸 관리를 잘해야 하는 것입니다.

평소에 앉았거나 섰거나 걸어갈 때나 말할 때나 밥 먹을 때 자세를 바르게 가지고, 그 몸을 잘 관리를 하는 데 있어서는 먹는 거 음식물에 관한 지혜로운 관리, 의복에 관한 지혜로운 관리, 또 잠잘 때 거처할 때 자기 몸을 지혜롭게 관리해 나가는, 이것이 바로 첫째 알아야 할 몸을 잘 고르는 법입니다.

참선(參禪)은 반드시 앉아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서서도 하고, 걸어가면서도 하고, 누워서도 하고, 언제 어디에서 무엇을 하든지 간에 참선은 끊임없이 해야 하는 것입니다. 잠깐도 소홀히 해서 놓쳐서는 아니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그 여러 가지 자세와 여러 가지 때와 장소 가운데에서도 가장 우리 초학자(初學者)를 위해서 또는 도업(道業)을 성취하는데 가장 이상적인 자세가 바로 앉아서 하는 가부좌(跏趺坐), 반가부좌(半跏趺坐)의 자세가 가장 우리가 득력(得力)하는 데에 효과적인 자세고,

설사 견성성불(見性成佛) 한 뒤에도 하나의 자수용삼매(自受用三昧), 대안락(大安樂)의 묘문(妙門)으로서의 부처님과 같은 그런 성현도 시간만 있으면 항시 가부좌를 하셨던 것입니다.
부처님의 경우 깨닫기 위해서 좌선을 하신 것이 아니라, 시간이 있는 대로 앉아서 가부좌를 하고 계신 것이 그것이 가장 이상적이고 편안하고 즐거운 그러한 자세이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하물며 우리 깨닫지 못한 초학자요 수행인으로서는 시간이 있는 대로 가부좌를 하고 또는 반가부좌를 하고 정진을 정미(精微)롭게 해 간다면 이것이 바로 도의 득력(得力)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길이 되는 것입니다.

처음에 앉을 때, 오른다리를 꼬부려서 왼쪽 무릎 위에다가 오른쪽 발목을 갖다가 올려놓고, 그리고 다시 왼쪽 발목을 오른쪽 무릎 위에다가 올려놓습니다. 이것이 가부좌의 자세지만 우리는 가부좌하기에는 대단히 다리가 아프고 저리고 해서 반가부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가부좌는 오른쪽 발을 왼쪽 무릎 위에다 올려놓으면 되는 것입니다. 또는 왼쪽 발을 오른쪽 무릎 위에다가 올려놔도 괜찮습니다.

이렇게 하고서 몸을 좌우로 서너 번 흔들어서 딱 중앙에다가 수직으로 딱 세우고, 그리고서 오른손을 갖다가 이 배꼽 앞에다가 갖다놓고 또 그 위에다가 왼손을 포개서 (양손) 엄지손(가락)을 배를 딱 맞대서, 이렇게 해서 두 어깨가 두 귀밑에 오도록, 두 귀가 두 어깨 위에 수직으로 놓이도록, 그리고 코끝이 배꼽과 수직으로 놓이도록.
그러니까 너무 뒤로 자지바지 해도 안 되고 앞으로 너무 기울어지지 않도록, 몸이 좌우전후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으로 딱 유지가 되도록, 그러면서 어깨의 힘도 다 빼고 또 목의 힘도 다 빼서 긴장은 다 풀면서도 단정하게 몸을 가져야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고서 두 번째는 호흡을 고르게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살아있다, 사람이다 하면 첫째 몸이 있어야 하고, 그 다음에는 호흡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아무리 건강하게 튼튼한 몸을 가졌다 하드라도 숨을 쉬지 않고 있다면 그 사람은 죽은 사람인 것입니다.
살아있다고 하는 증거가 바로 숨을 쉬고 있느냐, 숨이 끊어졌느냐를 보면은 그 사람의 생사를 알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 숨을 쉬는 것은 어머니 뱃속에서 나올 때부터서 저절로 숨을 쉬다가 언젠가 숨이 딱 끊어지면 그때 죽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어머니 뱃속에서 나와서는 호흡을 바르게 합니다. 얼마 동안까지 호흡을 바르게 하는데, 차츰 밥을 먹고 걸어다니고 일을 하다 보면 바른 호흡을 잊어버리고 비정상적인 그러한 호흡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 어렸을 때 어머니 뱃속에서 나와 가지고 어렸을 때에는 그 바른 호흡을 누구한테 배우지 않고서도 그렇게 잘하던 아이가 차츰 유치원에 가고 국민학교 올라가면서 점점 그 바른 호흡을 잊어버리게 됨으로 해서, 장성해 가지고는 전혀 엉뚱한 건강에 대단히 해로운 그러한 호흡을 우리는 언제 어떻게 된 까닭도 모르고 그러한 옳지 않은 호흡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호흡은 우리의 마음의 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물론 달음박질을 하거나, 높은 데서 뛰어내리거나, 심한 노동을 할 때에는 우리의 호흡도 따라서 혼란하게 됩니다. 빠르게 되고 거칠게 되고 그럽니다.
그런데 몸을 조금도 움직이지 아니하고 가만히 앉아있는 상태에서도 마음으로 어떤 충격적인 생각을 할 때, 흥분했을 때, 격분했을 때, 이럴 때는 벌써 맥박이 거칠어지면서 호흡도 따라서 거칠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호흡이라 하는 것은 육체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거와 동시에 우리의 마음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하는 사실을 우리는 잘 알 수가 있습니다.
마음에 슬픈 생각을 가지면 벌써 맥박과 호흡에 전달이 되고, 성내는 마음을 내면 벌써 맥박과 호흡에 연락이 됩니다. 근심 걱정이 있다든지 어떤 마음에 충격을 받으면 반드시 호흡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그것을 역(逆)으로 생각해 보면 ‘호흡을 잘 조정을 하면 마음도 조정을 할 수가 있다’고 하는 것을 우리는 알 수가 있습니다.

우리가 참선해 나가는 데 있어서는 첫째, 몸을 잘 관리를 하고 바르게 자세를 가지고, 둘째는 호흡법을 잘 알아 가지고 호흡을 잘 조정을 함으로써 우리의 몸도 건강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우리의 마음도 안정을 시키고 통일되게 하고 그럼으로써 우리가 참선을 해 나가는 데 가장 중요한 준비, 기초를 닦아야만 되는 것입니다.


호흡은 그러면 어떻게 하는 것이 바르게 하는 호흡이냐?
우리 보통 사람은 가슴으로 호흡을 합니다. 숨을 들어마시면 가슴이 불룩해지고 숨을 내쉬면 가슴이 홀쪽해집니다. 가슴이 커졌다 작아졌다 하면서 호흡을 하면서 일생을 삽니다.

그런데 우리 참선을 하는 사람은 호흡을 가슴으로 하는 게 아니라 아랫배, 단전(丹田)으로 하는 것입니다. 단전은 배꼽 밑에 한 치 서 푼 되는 곳이 바로 단전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단전은 배꼽과 불두던과의 중간에 있는 것입니다.

숨을 들어마시면 단전 부위가 볼록하게 하고, 또 숨을 내쉴 때는 그 단전 부위가 홀쪽하게 하는 것입니다. 가슴은 움직일려고 하지를 말고 고대로 놔둔 채, 숨을 들어마시면 단전이 아랫배가 볼록해지고, 다 들어마셨으면 아랫배를 차츰차츰차츰 홀쪽히 하면서 숨을 조용하게 내쉬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이것이 잘 안되기도 하고, 암만 할려고 해도 요령을 잘 모르고 그런 분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참선을 하는 데, 몸을 건강하게 하는 데, 우리의 마음을 통일하고 안정을 시키고 맑게 하는 데 있어서 꼭 해야만 된다고 하는 사실을 아신다면, 그리고 바르게 할려고 노력만 한다면 반드시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이 호흡을 바르게 하기만 하면 참선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부작용도 일어나지를 않는 것입니다.

이 호흡을 잘못하게 되면 까딱하면 기운이 위로 올라가 가지고 골이 아프고, 눈이 충혈이 되어 가지고 눈이 빠질려고 그러고, 가슴이 답답해서 소화가 잘 안되고, 이렇게 해서 좀 애써서 공부를 할려고 하면 이렇게 부작용이 나 가지고 공부를 할 수도 없고, 안 할 수도 없는 이러한 상태에 빠진 사람을 종종 볼 수가 있습니다.
이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또 이미 잘못해 가지고 그러한 상태에 빠진 사람도 잘 호흡법을 알아 가지고 열심히 노력하면 그러한 병도 나을 수가 있고, 나아가서는 공부를 올바르게 잘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숨을 들어마실 때 ‘코로 들어마신다’고 생각을 하지 말고 '저 뒤에서 쭈욱 들어마셔 가지고, 이 궁둥이로 해서 아랫배로 요렇게 들어온다'고 이렇게 생각을 하고 들어마시면 아주 수월하게 할 수가 있습니다.

‘숨을 코로 들어마셔 가지고 아랫배까지 이렇게 집어 넣는다’고 생각하면, 들어마셔 가지고 이 윗배 오목가슴 정도까지 가 가지고 거기서 딱 맥혀 가지고 아래로 내려가지를 않아서 애를 먹게 됩니다. 그런 상태에서 억지로 하다 보면 가슴이 답답하고 영 시원하지를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코로 들어마신다'고 생각하지 말고 ‘저 뒤에서 궁둥이로 쑤욱 들어마셔 가지고 직선으로 들어와 가지고 아랫배가 볼록해지도록 들어온다’ 이렇게 생각하고 들어마시고, 내쉴 때도 ‘그 자리에서 직선으로 뒤로 쑤욱 내쉰다, 내보낸다’ 이러한 기분으로 숨을 내쉬는 것입니다.

그래서 『숨은 직선으로 뒤에서 이렇게 들어마시고 내쉴 때는 직선으로 뒤로 이렇게 내보낸다』

들어마실 때는 배가 차츰차츰차츰 아랫배가 볼록해지고, 내쉴 때는 차츰차츰차츰 아랫배가 홀쪽해진다. 이렇게 의식하면서 호흡을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누구라도 오목가슴이 답답하거나, 가슴이 답답하거나 한 것이 없이 쉽게 호흡법을 익히게 될 것입니다.

들어마실 때 처음에 시작한 사람은 한 3초 동안에 걸쳐서 들어마시고, 들어마시되 너무 가뜩 들어마실 것이 아니라 8부(八部)쯤만 들어마시는 것입니다.
8부쯤만 들어마신 상태에서 딱 호흡을 정지해 가지고 하나, 둘, 셋, 3초 동안 머무릅니다. 머물렀다가 조용하게 내쉬되, 내쉴 때는 한 5초가량 4, 5초 걸리게 내쉬는 것입니다.

따라서 들어마신 시간과 머무르는 시간은 3초씩하고 내쉬는 시간은 한 4, 5초 이렇게 해서 내쉬는 시간이 조금 길도록 처음에는 이러한 정도로 하다가,
차츰차츰 익숙해지면 들어마실 때 한 5초, 머무를 때 한 5초, 내쉴 때 한 10초, 이렇게 해서 아주 자연스럽게 무리가 없이 이렇게 호흡 한 번 들어마셨다 머물렀다 내쉬는 시간을 차츰차츰 늘려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나중에 한 달, 두 달, 석 달 이렇게 여러 달을 해나가면 한번 들어마시는 데 10초, 머무르는 데 10초, 내쉬는 데 한 20초 이렇게 해서 40초 정도 걸려서 한 호흡을 할 수도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주의할 것은 억지로 얼굴이 벌게지도록 억지로 참으면서 시간을 늘릴려고 해서는 아니된 것입니다.
아주 자연스럽게 부담 없이 자기의 호흡의 길이에 따라서 해야지, 10초나 15초 걸려서 하면 마치 맞을 것을 어거지를 써가지고 20초나 30초 걸려서 할려고 억지를 부려서는 아니됩니다. 이럴 때는 반드시 골치가 아파지거나 가슴이 아파지거나 이러한 부작용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이것은 절대로 그런 무리하게 오래 할려고 하지를 말고 자기에게 가장 편안한 대로,
10초로부터서 시작을 해가지고 10초로 한 것이 가장 편하면 계속해서 한 달 두 달도 10초로 하고, 한 15초쯤 걸려서 해서 편하면 15초로 올리고, 한 20초 올려봐 가지고 편하면 20초 걸려서 하고,
아무래도 이것이 무리가 가고, 한 몇 번 하고 나면 숨이 가빠지고 하면 다시 15초로 내리고 해서 지혜롭게 해 나가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 나가면 반드시 가장 자기에게 알맞는 적당한 호흡법을 체달(體達)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 호흡은 건강에도 좋고, 정신 위생에도 대단히 좋은 것이어서 요가(yoga)를 하는 사람이나 또는 중국의 신선도를 하는 사람들이 전적으로 이 호흡법을 써가지고 육체의 모든 병을 고치고, 나아가서는 백이십 세 또는 백오십 세, 팽조(彭祖) 같은 사람은 칠백 세, 천이백 세까지도 살았다고 하는 기록이 있습니다.

우리 불자(佛子)가 이 호흡법을 하는 것은 이 육체를 가지고 그렇게 오래 살기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참선을 할려면 첫째, 몸이 건강해야 하고, 둘째는 마음이 안정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참선을 잘하기 위한 기초훈련으로서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런 신선도나 외도들이 하는 것 그러한 마음을 내서는 아니되는 것입니다.(29분37초~48분48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초학자(初學者) ; ①처음 배우기 시작한 사람. ②배워 익힌 지식이 얕은 사람.
*도업(道業) ; 도(道)는 깨달음. 업(業)은 영위(營爲-일을 계획하여 꾸려 나감). 불도(佛道)의 수행. 진리의 실천.
*가부좌(跏趺坐 책상다리할 가,책상다리할 부,앉을 좌) ; 좌선할 때 앉는 방법의 하나.
‘가(跏)’는 ‘발바닥’을 ‘부(趺)’는 ‘발등’을 가리키는 말인데, 오른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뒤,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드러나게 앉는 항마좌(降魔坐)와,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뒤, 오른발을 왼편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위를 향하게 하여 앉는 길상좌(吉祥坐)가 있다.
*반가부좌(半跏趺坐) ; 부처님의 좌법(坐法)으로 좌선할 때 앉는 방법의 하나. 한쪽 다리를 구부려 다른 쪽 다리의 허벅다리 위에 올려놓고 앉는 자세이다.
*득력(得力) ; 수행이나 어떤 기술•운동에서 자꾸 되풀이해서 하면, 처음에는 잘 안되던 것이 할라고 안 해도 저절로 잘 되어질때 득력(得力)이라 표현. 수월하게 되어 힘이 덜어지는 것을 다른 표현을 쓰면 그것을 ‘힘을 얻었다(得力)’하는 것.
참선 수행에서는 화두에 대한 의심을 할려고 안 해도 저절로 의심이 독로(獨露)하게 되는 것을 ‘득력’이라고 말한다.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性]을 꿰뚫어 보아[見] 깨달아 부처가 됨[成佛].
*자수용삼매(自受用三昧) ; 자수용(自受用)은 부처님이 스스로 깨달은 경지에 있어서 스스로 즐기는 것. 삼매(三昩)는 산스크리트어 'samadhi'의 음역으로, 불도(佛道)의 완전한 나타남을 말함.
따라서 불법의 공덕이나 이익을 스스로 받고, 그 즐거움을 맛보는 깨달음의 경지를 말한다.
*정미하다(精微-- 정미할 정,자세함 미) ; 정밀하고 자세하다.
*단전(丹田) ; 배꼽 아래로 한 치(寸) 삼푼 되는 곳(위치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아랫배에 해당. '단'은 약(藥)을 뜻하며, '단전'은 인체에서 가장 귀중한 약을 만들어내는 장소로서의 밭[田]이라는 의미. 도가와 한의학에서는 단전을 생명력, 활동력의 원천으로 본다.
*불두던 ; 불두덩(남녀의 바깥 생식기 주위에 볼록하게 솟은 부분)의 사투리.
*오목가슴 ; 복장뼈(가슴의 한복판에 세로로 있는 뼈) 아래 한가운데 오목하게 들어간 곳.
*8부(八部)쯤만 ; 보통 호흡하는 양의 80% 정도 만큼.
*불자(佛子) : 부처님의 아들이란 말이다.
불법을 믿는 이면 모두 불자가 된다。그것은 부처님 법에서 새로운 생명을 얻었기 때문이며 부처님의 지혜 목숨(慧命)을 이어 가고, 법의 집과 법의 재산을 상속받게 되는 까닭이다.
또한 모든 중생을 다 불자라고 하는데, 그것은 어떤 중생이나 모두 부처의 성품(佛性)이 있어서, 그것이 부처의 씨가 되고 지혜는 어머니가 되며 부처님은 아버지가 되어, 필경에는 반드시 성불(成佛)하게 된다.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에는 불자에 다섯 가지 뜻이 있다고 하였다。1. 믿음이 종자가 되고,  2. 지혜는 어머니가 되고,  3. 선정은 태(胎)가 되고,  4. 자비심(慈悲心)은 유모가 되고,  5. 부처님은 아버지가 된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