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화선원 법문 유튜브에서 보고 듣기 --->유튜브로 바로가기


 

•§• 고담화상법어(古潭和尙法語) (2/4) 고담화상 법어.

 

**전강선사(No.250) - 고담화상 법어 2 (72.06.03.새벽)[몽산법어 부록 06]

 

(1/3) 약 22분.

 

(2/3) 약 22분.

 

(3/3) 약 21분.

 

(1/3)----------------

 

활구참선객(活句參禪客)이여  하인작득쌍(何人作得雙)고

나무~아미타불~

보연천사일(報緣遷謝日)에  염왕자적항(閻王自寂降)이니라

나무~아미타불~

 

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이여. 전 세계와 저 비비상천까지, 삼계(三界) 비비상천(非非想天)까지 없어, 참선활구법이.

똑 이 남섬부주(南瞻部洲)에 있는데, 남섬부주라도 인자 한국밖에 없다 그말이여. 기가 맥히지.

 

내가 조금도 헛소리 아니여. 만국 그때 뭐 지도자 대회에 어디 뭐 참선법이 있어? 한 나라도 없지.

그 불교 유명한 나라는 다 왔는데. 또 이 중간에 16개국이 또 모였었고.

 

없어. 그 공안법을 물어 보니 공안(公案) 뭐 알도 못햐.

불교는 각처에 다 있지마는 참선허는 법은, 참선법은 없다 그말이여.

 

나는 그래도 그렇게는 안 알았거든.

'그 참선법이 어디 들어간 데가 더러 있는가? 혹시 아는 데가 있는가?'했더니, 참 과연 없다 그말이여.

 

우리 꼭 활구(活句)를 고대로 공부허는, 공안 참선을 고대로 공부허는 학자는 우리나라밖에 없거든.

언제든지 이렇게 그저 야삼주삼(夜三晝三)에 안벽(眼壁)허고 관심(觀心)허고 앉어서 꼭 그 공안을 연구해 나가는 거, 화두 의심해 나가는 거.

 

'누가 행여나 행여나 그 해석해 줄까, 누가 행여나 그 모두 글 가르켜 주드끼, 글 가르쳐 알려 주드끼 고렇게 해 줄까' 오히려 무서워허고, 학자는.

 

우리 참다운 학자는 그렇지 않어? 그저 뭐 천하 없는 해석을 다 해 줄까 무서워서.

응, 어림도 없지. 참다운 우리 학자가.

 

이렇게 닦아 나가는 데는 없어. 그걸 정법(正法)이라 하는데. 꼭 그 정법이여, 다른 정법 아니여.

부처님 설산(雪山)에 들어가서 수도허셔서 견명성(見明星) 오도(悟道)허신 그 법이여. 그 정법이여.

 

고 정법 이외에는 다 사견(邪見)이여. 다 별별 것이 다 방편(方便)이고 환(幻)이여. 환이여. 방편이고.

'내가 방편으로 했다, 내가 모도 환으로 했다, 내가 사견으로 느그를 꼬였다' 부처님이 다 해 놓으신 말씀 아니신가.

 

똑! 정법, 정법 고대로 우리나라에 와서 머물렀네, 달마 선사의 법이.

한참 중국에 건너와서, 중국에 달마 스님이 첫 조사요. 달마 스님, 2조 혜가 스님, 3조 승찬 스님, 4조 도신 스님, 5조 홍인 스님, 6조 혜능 스님까지.

 

그 밑에 내려와서는 임제종, 위앙종, 조동종, 운문종, 법안종 5종이 벌어져서, 하 참! 거 대단했지. 그때 도인이 참 무수허게 나오고.

그래 가지고 우리나라로 딱 건너온 뒤에는 여기서 활구참선 딱 멈추어져 버리고는.

 

어디 일본 건너갔자 일본이 어디 무슨 뭐 일본이 어디 임제종이 건너갔다 가기는 하지만 임제종 역시 조동종 임제종 조동종이 선종(禪宗)이라고는 허지마는 임제종 조동종에 지금 그 모도 뭐 해 놓은 거, 『벽암록(碧巖錄)』 같은 거 뭐 해 놓은 거, 전부 해석 다 해 놓았지.

 

하나나 무슨 활구학자 한국마냥으로 한국 선객(禪客)마냥으로 안벽관심허고 어디 무슨 뭐 화두 해 나가는 거, 여기 있어?

'하나씩 깨닫는다'고. 하루 하나씩 깨달는다든가? 날마다 하나씩 깨닫는다든가? 그거 있다지? 그것 참!

 

활구참선객이 우리나라밖에는 없어.

 

하인(何人)이 작득쌍(作得雙)이냐. 어떠헌 사람이 참선객(參禪客)과 쌍(雙)을 허겄냐? 참선허는 사람하고 같은 쌍이 되겄나?

참선허는 사람 같을 사람이 누고? 천상천하에는 없어. 아무리 천상락(天上樂)이 그렇게 훌륭허고 허지마는 참선은 없어.

 

보연천사일(報緣遷謝日)에, 이 목숨, 참선허다가 이 목숨 내버릴 날에.

우리가 내버릴 날이 있지 않는가. 이 몸은 얻으면 내버리는 것밖에 없지. 이 몸 하나 어머니한테 받아 가지고, 가지고 있다가 내버릴 날이 오지.

 

그날이 안 와? 안 내버릴 사람이 누구여?

천하에 필생필멸(必生必滅)이지. 이 몸뚱이 받아 나면은 내버리기 마련이요, 죽기 마련이요.

어디 안 내버리고 안 죽을 수 있나? 그건 없어. 고금으로 통해 놓고 없어.

 

원효 국사가 안 돌아가셨다고?

안 돌아가시기는 왜 안 돌아가셔. 안 돌아가신 이 누구여, 글쎄. 부처님인들 안 돌아가셔?

 

그 같은 몸뚱이 그거 죽는 것이 거 죽는 것 아니여.

몸뚱이 그놈 내던져 버리고 죽지 않는 놈을 바로 봐 버려야사 그걸 도통(道通)이라고 햐. 도통을 참선이라고 하고.

 

참선이라 한께 못 알아듣거든. 아! 여기 지금 진여궁 보살님이 대단히 혜(慧)가 밝은 보살님인데, 참선법 인자 들어오니까 모르거든.

인자 들어와서 들으니 알 것이여? 참선법이 뭔지 모르지.

 

알게 좀 알아듣도록 말하자면은 참선법이라는 것은 도통허는 법입니다. 도통허는 법. 도를 통헌다 그말이여.

왜 '도통했다'고 안 합니까? 도통법(道通法)이여.

 

그 도통을 할 것 같으면은 그만 이 몸뚱이 가지고 있는, 이 몸뚱이 뒤집어쓰고 댕기는 내 마음, 내가 내 마음, 내 말허고 보고 듣고 아는 내 마음, 그놈을 알아 버린다 그 말입니다. 그놈을 통해 버린다 그말이여.

그렇게 들으면 거 쉽게 듣지 않겠소?

 

밥 먹는 놈, 옷 입는 놈, 가는 놈, 오는 놈이 몸뚱이 고것이 헙니까? 송장 몸뚱이 고것이 혀?

내 마음, 내 마음이 허지.

내가 내 마음, 그놈을 바로 통해 버려. 그러면 도통이여. 그걸 참선이라 햐.

 

보연천사일(報緣遷謝日)에, 이 몸뚱이를 뒤집어쓰고 있다가 이 몸뚱이 내버릴 날이 닥쳐와.

 

염왕(閻王)이 자귀강(自歸降)이라.

염라대왕은 이 삼계 모도 화택(火宅) 중생, 우리 모도 인생들 선악을 관찰하고 앉었는데, 누구는 죄를 짓고, 누구는 선을 짓고, 그러헌 모도 그 선악 관찰을 딱 하고 있다가, 이 몸뚱이 내버리면은 혼을 잡아다가 그 다스리는데.

 

몸뚱이 그 같은 건 내던져 버렸으니 몸뚱이가 뭐 소용 있나? 몸뚱이 그놈이 뭐 죄 지었나?

마음 그놈이 모두 시켜서 죄는 지었지마는, 그 같은 거 주인이 마음인디 그거 소용 있나?

갖다 다루어서 죄를 모도 “너 이놈 세상에서 무슨 죄를 지었으니 무슨 지옥 가거라. 어떠헌 죄를 지었으니 어떠헌 지옥 가거라” 모도 이렇게 죄를 다 다슬러 그 염라대왕인디.

 

염라대왕이 참선허는 분께는 참선해서 도통헌 이는 말할 것도 없고, 이거 도통헌 이를 말하는 거 아니여. 바로 참선허는 학자한테는 스스로 항복하니라 그래 버렸어.

염라대왕이 무슨 선악 관찰할 것이 없어. 과거에 천만 겁 중에 전겁(前劫)에 아무리 죄업이 많이 있다 하드래도 숙업(宿業)도 거기 다시 문제가 없어.

 

'염왕(閻王)이 이렇게 귀강(歸降)하느니라' 이랬습니다. 이 참선법입니다.

 

 

참선법은 세상에 그렇게 쉬운 것이 없어.

 

'원 참선법, 참선을 해 되나?' '참선을 해서 견성(見性)을 혀? 아! 참선해서 견성헌 사람이 있나?' 아! 이러고 있다 그말이여.

 

세상에 참선같이 쉬운 것은—다른 것은, 저 돈 같은 것을 번다든지, 무슨 금 같은 것을 그놈을 금 같은 것을 어떻게 땅속에서 캔다든지, 여의주 보배 같은 것을 바닷속에서 구한다든지, 이런 것은 무척 어렵고 못혀.

 

땅속에 그놈 금이 꼭 거가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있나?

어쩌다가 참, 땅을 파 가지고 금도 나와서 얻기도 허지마는, 거 어쩌다가 그거 원 참! 봉사 문고리 잡기라더니. 문고리같이 쉬운 것이 없지마는 봉사는 눈이 없으니까 문고리를 못 잡거든.

 

금이 땅속에 바로 모두 묻혔지마는, 알면 파면 거기 있지마는, 그거 누가 아나?

모르니까 금 있는 데는 파들 못하고, 없는 데만 파 제끼니 생전 파니 있나?

 

바닷속에 여의주가 있건만, 바닷속에 여의주가 그놈이 어디가 있는지를 알 수가 있어야 바닷속의 여의주를 캐지.

그것은 어쩌다가 바닷속의 여의주를 캘 수도 있고, 어쩌다가 땅속에 금을 팔 수도 있고, 어쩌다가 다행히 봉사가 문고리를 잡을 수도 있지마는, 참으로 얻기가 어렵다 그말이여. 영판 어려워. 전연 없던 않지마는 어려워.

 

허지마는 참선이라 하는 것은 『내가 나를 찾아』

내가 나를—보는 놈, 아는 놈, 밥 먹는 놈, 똥 싸는 놈, 가는 놈, 오는 놈, 그놈이 낸디, 그놈을 찾는 것이여. 그 찾는 놈을 찾아.

그놈은 분명히 있거든. 분명히 있는 놈을 찾는디.

 

어디가 뭐 바닷속에 여의주는 없나? 있지. 허지마는 어디가 있는지 아나?

허지마는, 아! 이 참선은 찾는 놈 고놈이여. 이것 보소. 말하는 놈 이놈이여.

 

세상에, 내가 '나'다.

어째서 내가 나를, 찾은 놈을 찾는데 못 찾아?

 

'백이면 백, 천이면 천, 다 찾느니라' 내가 한 말이여, 이 말이? 부처님이 바로 허신 말씀이지.

'콩인지 팥인지만 아는 사람이면은 다 찾느니라' 하! 이렇게 말씀해 놓았다 그말이여.

 

그런데 참선허라고 허면, “아이고! 참선을 해서 견성을 혀? 하이고! 견성헌 사람이 있는가?” 이렇게 그만 이렇게 미(迷)해 버렸다 그말이여.

이 미(迷)해서, 하도 오래오래 미(迷)해서, 내가 나를 찾을 줄 믿지 않아서.

 

믿으면 그만이요. 믿으면 그만 그놈이 낸.. 응, 참선인데.

믿지 않고, 하지 않고, 겁약심만 낸다. “흐! 내가 어찌...” 이것 참.

 

참선이라는 것은 안 된 법이 없느니라.

 

 

또 화두를 어제 아침에 말했지마는 '이뭣고?'

화두 어저께 와, 어제 좀 감서 옴서 떡 서서 “화두 좀 가르켜 달라”고. 그런 법이 아니여. 어디 도를 그렇게 묻고, 그렇게 배우는 법 있는가?

 

그 단정히 참, 위법망구(爲法忘軀)라니 법을 위해서 몸을 바치는 법이고.

하룻밤 하룻낮을, 참선이 천하에 쉽고 찾는 놈, 내가 나를 찾는 놈, 찾는 놈을 되찾는 놈, 아! 천하에 쉽지마는 불가불 배우자면은 그 스님을 찾아가서 조실(祖室) 스님을 찾아가서 여법(如法)히 법다이 그 신심을 다하고 정성을 다해서 그렇게 배우는 법이지,

 

가다오다가 '나 참선 좀 가르켜 주시오' '나 화두 하나 일러주시오' 그렇게 허는 법이 아니다 그말이여. 생각해 봐. 거기서 화두를 일러줄 거여?

 

똑 부처님이 사석(私席)에서—부처님이 평생에 그렇게 출세(出世)해 가지고는 중생을 가르킬라고 원허고 원허고 사바세계(娑婆世界)에 강림하셨지마는 부처님이 사석 설법이 없어.

가다오다 아무데나 앉어서 “화두 해라” 이렇게 일러준 법이 없어. 사석 설법이 없다 그말이여.

 

이렇게 법상(法床)에 올라서 법상에서 해 준 참선법을 잘 들어야 하지.

왜 법상에서 헌 설법을 잘 못 듣고, 설법을 잘 못 믿고 왜 사석에서 가다오다가 아무데나 그렇게 물을 수가 있나 말이여.

 

'이뭣고?'를 허는데 '이-뭣고?' 시심마(是甚麽)거든. 시심마.

'이 시(是)'자, 심(甚)자는 '무엇'이란 심(甚)자여. '무엇인고?' 그 심(甚)자여.

시심마(是甚麽), 마(麽)자는 아무 거 의미 없는 자여. '뭣이냐?' 그말이여. 뜻 밑에 그 받침이여.

 

두 자뿐이여. 심마(甚麽)뿐이여. 심마(甚麽).

시심마(是甚麽)여. 석 자뿐이여.

 

“이”, 봐 “이” 했지.

“이”, “이” 해 놓고 보니 뭐냐? 그말이여. 뭐여?

 

다시 들어보시오. “이” 해 놓고 보니 뭐여?

그걸 못 들어? 못 들을 게 뭐여.

 

천하에 도무지 무슨 뭐, 어디 그 무슨 뭐 뭐 뭐, 어디 거다가 뭐 책보로 싸 놨나? 뭘로 뭐 뭉쳐 놓았나?

 

'이뭣고?' '이- 뭣고?'

'이- 헌 놈이 뭣고?' 할 것 없어. '이- 뭣고?'(처음~21분48초)

 

 

 

(2/3)----------------

 

'뭣고?' 허면 '이- 뭣고?'

'뭣고?' 허면 알 수 없는 놈 하나 딱! 불거진다.

알 수 없다. 알 수 없구나. 그거이 그걸 활구(活句)라 햐. 알 수 없는 걸 활구라 햐.

 

요만큼이라도 조만큼이라도 터럭끝만큼이라도 실끝만큼이라도 뭣이 붙으면, 뭐 거 따질, 분석할 것이, 해석할 것이, 아는 것이 붙으면 그걸 사(邪)라 햐. 사견(邪見)이라 햐. 그거 사견참선(邪見參禪)이여. 그것은 해석참선이고. 못써.

 

그까짓 참선은 미(迷)헌 중생이 더 미(迷)혀. 단조무명(但助無明)이여. 더 무명만 더 죄만 짓는 것이여. 참선헌다고 해 봤던들 죄만 짓는 것이여.

따져 보고, 분석해 보고, 알아보고 허면은 그만 고것이 숭악한 사선(邪禪), 삿된 선이여.

 

더 참선 되도 않고, 더 되기만 하고, 참선방 앉을래야 앉을 수도 없고, 앉으면 잠 아니면 따지고 분석허고. 천하에 못쓸 것이여.

 

'이- 뭣고?' '이-헌, 이- 뭣고?' 가만히 힘쓸 것 하나 없어. 거 힘쓸 것 하나 없어.

'이뭣고?' 그놈 인자 가만히 '뭣고?'해 놓고는 알 수 없는 놈이 하나 나오면은, 가만히 알 수 없는 그놈의 대가리를, 알 수 없는 그 알 수 없는 의심을 가만히 관(觀)헌다. 관혀.

 

관(觀)은 무슨 관인고? 관이라는 것이 '볼 관(觀)'자인디 뭐 다른 것인가?

 

아! 우리집이, 지금 우리집 방안이 어떻게 생겼으며, 우리 방안에 농이 어디 놓아져 있으며, 우리 방 자리는 뭘로 깔았으며,

그 가만히 여기 있어도, 가서 직접—우리 실눈은 지금 여기 와 있고, 내 눈뜨고 보는 이 실눈은 여기 있지마는 눈 감아도 보이지 않어? 환하니. 그와 같은 관(觀)이 있어.

 

거 가서 눈으로 뚝 뜨고 내 눈깔 뚝 뜨고 보는 관(觀) 말고, 눈을 감아도 관이 있어. 그놈이 역력(歷歷)허게 나타나.

 

'이뭣고?' '이- 뭣고? 뭣고?' 의심 좋다.

그 의심, 알 수 없는 '의심 의(疑)'자거든, 알 수 없는 그 '의(疑)'자거든.

 

그게 활구참선이여. 서산 스님께서 바로 또 활구참선 말씀도 해 놓으셨지마는.

수참활구(須參活句)요, 오직 학자가 활구를 헐지언정 막참사구(莫參死句)다. 사구(死句) 말아라.

사구, '죽을 사(死)'자, 사구(死句) 죽은 참선. 사구(死句)란 건 아까 사선(邪禪) 모도 삿된 거, 요리 생각해서 알고, 조리 생각해서 붙여 보고, 요것이다 조것이다.

 

응, 요거 조그만한 것이, 조그만 어린 아이가 아! 그 여러 가지를 내가 한 댓 가지나 낱낱이 해석을 허고 앉었다 그말이여.

"그 어디서 배웠느냐? 니 어디서 그래 가지고 너 왔느냐?” 물은즉, 저 어디 정혜사에서인가 어디서인가 모도 그렇게 해석해 가지고 왔대.

 

고놈 정혜사서 했다고 않지마는, 아! 고런 몇이 거그서 왔는디 다 그러거든.

아 이거 이거 참, 큰일나 버렸어. 맨 그렇거든.

 

거기에는 무슨 참선이 그런 참선이 있는고, 참 이상스러운 선(禪)이여.

그래가지고 그 우리 견성이 어디 있으며, 생사해탈이 어디 있으며, 부처님의 정법이 거기에서 그만 모도 매장되어 버리지, 어디 있어?

그것을 그 뿌럭대기를 좀 파버리고 캐버려야 되지.

 

'이뭣고?'

해 들어갈수록에 알 수 없다.

 

알 수 없는 의단(疑團)만 증대되면 그놈만 자꾸 해 나가면은 세상에 그뿐이여, 그뿐이여.

알 수 없는 놈 하나뿐이여. 단, 알 수 없는 놈 하나뿐이니 그렇게 단순하고 그렇게 그대로 응, 그대로 활구 아닌가. 얼마나 쉽냐 그말이여. 얼마나 그 참 직접이고.

 

하! 이런 내 참, 왜 거다가서 뭣 땀새 글쎄 사구(死句)를 만들아.

활구(活句)인디, 본래 활구인디 활구를 갖다 따지고 붙이면 사구가 되어 번져.

 

'참선 학자들아! 참선 허는 학자야! 활구참선을 허지 사구참선 말아라. 말아라' 부처님 말씀이 그 말뿐이여. 꼭 활구참선 하나뿐이여, 다시.

 

활구참선법이라는 건 경절문(徑截門)이여.

저 성불도(成佛圖) 놀아 보셨지? 성불도 놀아 보면은 왜 그 각 제취(諸趣)로 천취(天趣)로 모도 돌고, 저 지옥 아귀 삼악도 악취(惡趣)로 돌고 모도 그렇게 되고, 그 다음에는 오십오 위(五十五位) 점차(漸次)로 올라가기도 허고, 이 도 들어가지 못허고 있지?

 

경절문은 바로 뚝딱 올라가서 대각(大覺)으로 올라가 버리는 거여.

 

참선법은 점차(漸次) 지위도 없고, 이렇게 차제(次第)도 없고, 한 계단 한 계단 뛰어서 부처 되아 가는 법도 없고.

바로 그만 내 마음, 내 마음 '이- 헌 놈 이놈, 이- 헌 놈이 뭣고? 이놈' 툭 깨달라 버리면 그만 한발에 한걸음에 오십오 위(位)니 뭔 위(位)니 없어. 그냥 저 최상 대각에 올라가 버려.

 

무슨 점차가 있으며 무슨 지위가 있어?

아! 그런 참선법, 경절문 법이란 말이여. 그렇게 활구참선을 허셔야 된다 그말이여.

 

그러니 내 마음 내가 깨닫는 걸 참선법이라고 허는디—도통법, 그것이 그 바로 도통법이여.

그 법을 내놓고, 정법을 내놓고 뭘 할 것이냐 그말이여.

 

 

이 법을, '이뭣고?'를 해 나가는데....

 

'이뭣고?'를 한번 거각(擧却)하고 또 한번 거각하고.

처음에는 대체 원 그 하도 처음이니까, 하도 내가 생겨난 때가 없건마는 역사가 없건마는, 한번도 해 본 때가 없기 땀새, 처음이기 땀새 안되아.

 

한번 해 봐도 안되고, '이뭣고?' 해 봐도 안되고, '이뭣고?' 허면 도무지 그놈의 자리가 점점 더 껌껌허기만 하고, 뭣이 '이뭣고?'만 허면 뭣이 아는 것이 푹 나올까 싶고.

별별 망상이 그만 뒤끓고, 아무 망상이니 뭣이니 없다가도 '이뭣고?'만 탁 허기만 하면은 그만 그런 놈의 망상이 더 퍼일어나고, 잠이 또 그놈만 생각하면은 그놈 마구니 잠이 들어오네.

 

그놈 참, 그러니까 좀 성가셔. 좀 처음에는 그렇게 성가셔.

 

한 철 혀. 첫 철, 한철 해 보면은 안되아. 그러지마는 안된다고 해서 퇴타(退墮)해 버리고 안 해 버리면 쓸 것인가? 무엇을 헐라고.

 

이놈을, '이뭣고?'를, 내가 나를 깨달라 놓지 못하면, 찾아 놓지 못하면 밤낮 이놈의 칠통(漆桶), 이놈의 깜깜한 중생—세상에 내 낯반대기 나를 몰랐으니 내 온 곳도 깜깜하고, 어머니 뱃속에 들어갈 때도 깜깜해.

어머니 뱃속에 들어갔건마는 깜깜해. 열 달 동안을 어머니 뱃속에서 그 감옥 생활 했지마는 깜깜혀. 나올 때까장도 깜깜혀. 두어 살 응, 서너 살 먹도록까장 깜깜혀.

아! 겨우겨우 한 너더댓 살 먹으면 인자 그 사람의 그 의식이, 사람의 그 식(識)이 뭣이 붙어서 인제 다 안다 그말이여.

 

자! 허니, 인생 문제다. 세상에 이놈의 인생 문제가 어째도 이렇게 나를 몰라 가지고 이렇게 깜깜해 가지고는 거기에서 남[生]에, 늙어서, 병이 들어서, 뒈지는 것 밖에 없으니 죽는 것 밖에 없으니,

죽으면은 몸뚱이만 죽지, 내가 죽는가? '참내'가 죽어?

 

그 내가 어째 이놈의 고(苦)뿐이 하고야, 아이고야! 고(苦)밖에는 없어.

지옥밖에 떨어질 디 없고, 짓는 것이 죄밖에는 지은 것이 없고, 그저 천사만념(千思萬念)이 깨닫지 못한 중생은 그저 이놈의 생각 일어나는 것이 맨 죄다.

 

맨 삿된 마음, 못된 마음, 살생할 마음, 넘 속일 마음, 도둑질헐 마음, 사음질헐 마음, 그저 맨 그런 못된 마음뿐이니, 마음 죄가 더 크다. 몸뚱이로 짓는 죄보담도 마음으로 짓는 죄가 더 크다.

내가 이 몸뚱이로 남을 때려 패 죽이는 것보담도 마음으로 '저놈 내가 죽여야지' 그것이 더 커. 그게 대승계(大乘戒)여. 더 크다 그말이여.

 

중생의 거족동념(擧足動念)이, 우리 인생의 거족동념이—발 한 번 옮겨 놓고, 마음 한 번 내는 것이 전부가 죄뿐이니, 이놈의 죄만 퍼지어서 저 악도(惡途), 지옥에 떨어지고 개 배때기, 말 배때기, 구렁이 배때기 속에 들어가는 것이 얼마나 문제냐 그말이여. 인생 문제.

 

금생에 사람 몸뚱이 요까짓 것 좀 되었다고, 똥자루 하나 짊어지고 돌아댕기는 것이지.

참선도 않고 그만 그저 동념 죄업(罪業)만, 거족동념 죄업만 퍼짓고 말 것이여?

 

이놈의 인생 문제 봐라.

인생이 이런 문제를 두고 오늘 살았으니깐 족하고, 오늘 이만 하니깐 족하고, 내 세상이야 싶지. 아이고, 참!

 

이 좀 편안하고, 이 좀 젊고, 이 좀 이만헌 요만한 기회 있을 적에 정신채려라 말이여. 참 채려라.

어찌 '이뭣고?'를 모르냐? 아! '이뭣고?' 하나를 몰라? 글쎄. '이뭣고?' 허는 법이다.

 

한 번 혀, 또 한 번 혀. 그렇게 안되지마는 퇴타하지 말아라. 안될수록에 더욱 발심(發心)을 하고 더욱 믿고 더 철저히 해야 하는 법이다.

 

한 번 혀, 두 번 혀, 세 번 혀, 열 번 혀, 백 번 혀, 천 번 혀, 만 번 혀, 자꾸 해 봐라.

자꾸 허면은 그 모도 일어나는 망념 망상이 고놈이 그 자리에서 잦아지고, 그 자리에서 다 녹아지고, 나중에는 '이뭣고?'가 의심이 그 들입대 일어나는 바람에—잠도 고놈이 어디 온 곳이 있나? 잠도 고놈이 오도 않는다. 인자 '이뭣고?' 그놈의 의심이 턱 일어나면은 잠도 오지 않는다.

 

그래서 오래오래 할 것 같으면 역여유천(亦如流泉)이다. 흐르는 저 물, 솟아 올라오는 물구녁에 물 나오듯, 그 물 항상 떨어지지 않고 나오는 물이 있지 않는가?

항상 부증불감(不增不減)으로 나오는 석간수(石間水) 같은 물 같애서, 항상 물이 나오드끼 이 화두도 그 자리에서 그렇게 일어난다.

 

그 반야력(般若力)이 '이뭣고?' 생각하는, '이뭣고?', '이뭣고?' 그 참 생각하는 그 활구 의단이 의심이 그 일어나기 시작하면 없앨래야 없애지 못해아.

그 물구녁 아무리 막아 봐라. 껍닥에서 나오는 디 아무리 틀어 막아봐라. 기어니 옆을 뚫고 나온다.

 

'이뭣고?' 역시 똑같다. '이뭣고?' 역시 그렇게 나오는 거여. '이뭣고?'가 똑 새암물 솟아 나오드끼 그 '이뭣고?'가 절로 자꾸 나온다. 이것을 유천(流泉)이라 한다. 흐르는 샘에 물 나오듯 헌다 비유했어.

 

역여유천(亦如流泉)한다. 그래 가지고는 나중에 심공경적(心空境寂)이 된다.

마음이 공(空)한다, 심공(心空)이라는 것은, 마음이 공(空)했다는 것은 이놈 마음이 들어서 구백생멸심(九百生滅心)이 일어나고, 별별 망념이 구름 퍼일어나 듯헌디, 고것이 없어져 버려. 고걸 심공(心空)이라 햐.

 

일체 망념이 자진해 버려. 아! 그놈이 뭐 암만 낼라고 해도 없어. '이뭣고?'뿐이지. 하! 그것 참.

뭐 그전에 그 제대로 돌아댕김서 금방 있다가도 나도 자신도 자기도 모르게 나가 버리고 돌아댕기고 망념이, 아! 이러든 놈이 도무지 뭐 어디 간 곳 온 곳이 없다. 거 없어.

 

알 수 없는 '이뭣고?'만 나오는구나. 그 소 발자취 아닌가? 소 발자취, 거 얻은 놈 아닌가?

거 '이뭣고?'만 자꾸 새암물 솟드끼 솟는구나.

 

아! 이렇게 해 주어서 못 알아들으면은 그 어떻게 헐 것이여. 못 알아들어?

 

눈을 저렇게 뜨고 있으면 잠을 자는 것인가, 설법을 듣는 것인가? 모르겠구나.

 

우주다, 삼라만상이다, 모든 상이 마음에서 일어나서 있는 것인데, 마음이 공(空)해 버렸으니 뭐 일체 경계가 없다. 있어도 없어. 발을 딛고 걸어 댕겨도 없어. 하! 이런 꼴 좀 봐라.

마음이 공(空)해 번지고 경계(境界)가 적적(寂寂)해 번져.

 

'이뭣고?' 하나는 그만 언제거나 그대로 가만히 원 자나깨나 뜨나오나 아! 잠은 잤지마는 언제 잠잤는지 눈 뚝 떠 보면 '이뭣고?'뿐이다.

 

내가 실지로 해 봤구만. 법화경을 읽다가 글쎄 초저녁에 '이까짓 내가 경, 경(經)을 이거 읽다가 뒈지면 뭣 할 것이냐? 이거'

나이 그때 어리지마는 어릴 때 글을 읽으라고 해 쌌지마는 '경(經)만 읽다가 응, 죽으면 어찌 되아?'

 

모기 좀 뜯어먹으면 보시 좀 허지, 딱딱 소리를 내고 앉아 있어? 응.

그 무슨 짓이여 그것이? 보시도 좀 헐란지라 그 좀 배부르게 먹여 주지.

 

법화경을 읽다가 법화경 그 방편품, 그 무간지옥(無間地獄)에 들어가서 지옥고 받는 그 대문(大文)을 읽다가 '그 세상에 이거 이것만 내가 이 설식기포(부)(說食飢夫)지, 글만 읽고 앉었으면, 참선을 해야지! 아, 내가 이뭣고?를 해야지. 이것만 해, 뭣혀 이거?'

 

원 책을 그만 내던져 버리고 싶고 하다가는 에잇! 책 딱 덮어 번지고 가만히 앉어서, 조주(趙州) 무자(無字) 해 나가는 것을 내가 배웠거든.

내가 어디서 탔든지 탔는데, 옳게 큰스님한테 가 타들 못하고 그럭저럭 탔는디, 그냥 조주 무자(無字)를 허래.

가만히 무자를.. 아! 무자(無字)가 들어와서 가슴 가운데 와서 딱! 붙었는디, 아 이것 참 기맥히데 처음인디.

 

처음에 글 읽다가 좀 해 보는디, 어떻게 독하게 한바탕 무상한 생각이 일어났든지, 경 읽다가 그 방편품 지옥고 받는 데를 보다가 발심이 되았든지 어쨌든지, 참 발심인지 뭔지 딱! 들어오더니 화두가 그만 딱 붙었네.

이놈을 관(觀)해 가지고는 어떻게 그날 밤에 그 탁! 했든지, 아 그래도 어떻게 앉어서 그럭저럭 허다 잤는디, 자고 일어났는디 새벽에 화두가 그대로 가만히 있어.

 

옳게 헌 화두인지, 글케 헌 화두인지 알도 못헐 때지마는, 고 생각헌 대로 고대로 가만히 있대, 화두가.

아따! 어떻게 참 좋은 생각이 나고 혼자 '곧 뛰겄어. 이러면 내가 곧 견성허겄구나. 이거 곧 견성헐... 내가... 아, 세상에 이러헌 참선법을 내가 가서 어서 참선을 해야지. 곧 견성을 헐 것인데 내가 경만 읽고 있어? 이까짓 놈의 경을 읽고 있어?'

 

나갈 생각이 굴뚝 같애도 내보내야지. 스님이 뭐 어떻게 안 내보내니깐 못 나간다 그말이여. 그러다가 어쩌다가 틈을 타 나오기는 나왔지마는.

 

곧 되는 것이여. 거 한 철, 두 철도 될 수 있는 것이고.(21분49초~43분10초)

 

 

 

(3/3)----------------

 

그거, 한 번 허다가 '아이고! 이거 안되아' 두 번 하다가 '에이고! 이놈의 것 못혀' 또 한 번 해보다가도 '아이고! 이거 좀 어디 가 좀 놀았으면, 아! 어디 가서 화투나 한번 치꺼나'

이렇게 이렇게 어떻게 그만 허다가 또 그만 뭔 별념(別念) 냈다가, 또 그만 퇴타 좀 했다가 또 해보다가, 요렇게 허면은 육억칠천만 년 미륵하생(彌勒下生)이니까, 미륵하생까지 계산해 보면 육억칠천만 년이여.

 

육억칠천만 년을 해봐. 아무 소용없어.

화두라고 헐 것도 말 것도 없고, 그건 공부라고 헐 것도 말 것도 없고, 그건 죽은 참선도 아니여.

 

참선이라는 건 그렇게 허는 법이 아니여.

그저 똑 절대 발심(發心)이고, 절대 분심(憤心)이고, 분심 가운데 의단(疑團)이 일어나 가지고는 입지여산(立志如山)을 해라. 뜻을 세우기를 산같이 해라.

 

이것 않고는 뭣을 헐 바냐? 무엇을 해?

응, 세상에서 글쎄 임금 노릇을 허면 다할 때가 있고, 백만장자가 백만 부귀가 부귀 다할 때가 있고, 인간이 아무리 별짓 다 허드래도 죽을 날이 오니, 그날을 생각해야 할 거 아니냐?

 

죽은 날 생각해 봐라. 부귀 다한 날 생각해 봐라. 지위 다 가버린 날 생각해 봐라. 어떠냐?

 

나 원, 저 이박사 야단치고 처음에 왼통 우리 대통령이라고 야단치고 그 야단 쳐 쌌더니, 이박사 죽을 때 어디서 병이 들어 가지고 와서는 고국을 생각해서 돌아오지 못하고 앓는단 말 듣고, 그 앓으면서 그 한탄 탄식헌단 말 듣고 기가 차더라.

 

지위나 권리나 부귀 명예라는 것이 다할 날이 없음사 하지마는 다할 날이 앞에 곧 닥쳐오고.

인생이라는 것은 이별밖에 없다. 다 여의고 버리고, 나 홀로 돌아서는 그때 가서 참선밖에는 없다. '이뭣고?' 밖에는 없어.

 

'이뭣고?'를 바로 깨닫지는 못하고 의심만 독로, 알 수 없이만 가드래도 염라대왕이 자귀의(自歸依)를 혀. 항복을 해 버려.

 

헌데, 이러헌 심(心), 마음이 일체 번뇌 망상이 그만 제대로 공, 그대로 공도 없어.

공(空)해 버리고, 마음이 공했으니 경계(境界)가 적적(寂寂), 경계도 아무것도 없다. 이런 때가 온다. 참말로 그때래야 화두가 하나 독로해야 쾌락안연(快樂安然)허리라. 그 쾌락하고 안연할 것이다.

 

쾌락안연을 거다가 둘 거 뭐 있나?

의단 하나 독로해 번지면 뭐 쾌락(快樂)이니 안연(安然)이니 안락(安樂)이니 붙지 못해야 그놈이 참 화두지. 안연(安然)허리라.

 

화두를 '이뭣고?' '이-뭣고?' 요렇게 똑 해 나가란 말이여. 여까지 화두는 해 두고.

 

 

송광사 강사 얘기를 하나 해야겠다.

 

순천 송광사에 강사가 처음에 들어와서 사미과 배우고, 사집과 배우고, 사교과 읽고 그다음에 대교과 봐 가지고는 그 강(講)을 허는데, '극락세계(極樂世界) 어쩌든지 극락세계를 가야겠다. 극락세계 서방 극락세계를 가야겠구나. 십만오백십육 국토만 지내가면은 유국(有國)헌디 나라가 있는디, 서방 극락세계다.

 

극락세계만 갈 것 같으면은 그 도무지 참 극락세계 상품상생(上品上生)에만 나 놓으면은 그 참 기가 맥히지. 그 복락, 극락이라니! 얼매나 낙(樂)이 하도 굉장해서 극락이여.

 

극락 가기를 아주 발원을 딱 하고서는 항상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부르고 대승경전을 학생들한테 대승경전을 강(講)해 주고, 이러고 똑 강을 허고 지내는데.

 

하루는 죽었다. 병이 나 죽었다 그말이여.

원청 원력이 장하니까 병 나 죽었지마는 몸뚱이는 죽었지마는 극락을 간다. 인자 그 서방 극락세계 깊은 원(願)만 세웠으니 갈 밖에 없지.

 

극락을 가는데, 바라지문을 썩 열고 나가니까, 한참 가니 그 생사대해(生死大海)를 건너가는 바다가 있다.

 

생사, 생사대사(生死大事)의 바다가 있는데, 인자 생사 없는 저 피안, 도피안(到彼岸)—이짝에는 생사, 이짝에 아직 안 건너는 요짝 부두는 생사가 있는 세계고, 사바세계고, 중생세계인디,

저 건너를 건너가면 피안, 도피안(到彼岸) 생사 없는 세계인디, 생사 없는 세계를 건너 들어가서 극락세계로 올라가 상품(上品)으로 올라간다.

 

생사 노두(路頭)를 건널라고 허는데 그 앞에 동자(童子) 하나가 척 나와서, 동자가 보통 동자가 아니여. 기가 맥힌 동자가 떠억 나와서 절을 헌다.

절을 썩 허고는 “큰스님께서 극락세계 발원을 하도 허시고, 오늘은 큰스님께서 극락세계를 가시는 날이어서 제가 환영 왔습니다. 여까장 모시러 나왔습니다”하고 절을 헌다 그말이여.

 

그렇게 잘난 예쁜 동자가 참 그 그림같이 그릴래야 그릴 수 없는 동자가 앞에 나와서 절을 하고 아! 저 환영 나왔다 하니, “아! 그럴 것이다. 내가 극락세계를 내가 원해 발원허고 꼭 내가 갈라고 했거늘 안 갈 이치가 있겠느냐? 나도 지금 극락세계를 가는 길인디 네가 마침 나왔구나. 오냐, 너를 따를 수밖에 없다”

“예, 저를 따릅시오” 아! 이놈 동자를 앞세우고 생사대해를 건너갔다.

 

생사대해를 건너가는 금단청... 금다리여. 다리가 당최. 건너갔어.

그 건너가서는 극락세계 상품(上品)을 올라가는디 다리가 층계 층계 있다. 한 층, 두 층, 층을 이렇게... 뭐 금사다리여, 사다리. 발 딛고 올라가는 층계 다리여.

 

그 금이라니 당최 뭐 뭐 금빛이 그럴 수가 있나? 찬란한 그런 저 위에는 극락세계 보궁(寶宮)이 있어. 보이여. 보궁으로 올라간다. 층계 층계 올라가는데.

 

 

아! 무용 노장(老長)이, 무용 노장이라고 그 산중에 있어. 암만 쫓가내도 도로 들어오고, 열두 번 중이 떨어졌어.

 

중노릇 허다가 즈그 스님 물건이라도 옷이라도 있으면 다 퍼 넘 줘 버리고, 쌀도 퍼내서 모도 거지 줘 번지고, 아! 이런께 쫓겨나고.

사람은 무던헌디 또 딴 데가 중노릇 시키면 또 그래 버리고. 할 수 없어. 그걸 상좌(上佐)로 둘 수 없으니께 쫓아내 버리고.

 

중도 아니고, 인자 중노릇 허다가 사미중 노릇 허다가 쫓겨났으니 그것 뭐 중인가?

그래 가지고는 패방 거지, 인자 그 패방 거지란 것은 그거 여관, 그 절에 그 여관 뽀이 같은 거, 인자 이런 거, 심부름이나 해 주고 밥도 얻어먹고 그냥 그러다가 거지 노릇을 혀.

 

거지로 있으니깐 산중에서 그저 그만 무용(無用), 못쓸 물건이라고 무용이라고 했어, 이름을.

이름이 그때 사미(沙彌) 때 이름이 무용이여. '없을 무(無)'자 '쓸 용(用)'자, 아무 쓸데없다 그말이여. 저 못된 물건이다 그말이여.

 

“무용아”

“예” 그럼 이것도 시키고 저것도 시키고, 시켜 먹다가 잘못허면 뺨대기도 때리고 그저 뺨도 맞고.

 

그러다가도 또 마을에 가서는 또 탁발을 혀. 동냥을 해 가지고는 동냥 생기면은 쇠고기를 사다가서, 아! 이놈이 무용이 똑 절에 들어와서 다리 밑에 그 그런 데서 그만 조그만한 냄비 같은 거 그런 걸 걸어 놓고 그놈을 지글지글 꾸어서 찌져서 먹고.

인자 무용이니까, 무용 그 뭐 거지니까 그 인자 말할 거 없어. 이렇게 똑 지냈는데.

 

아! 그런 무용이가 차츰 나이 많아서 나이도 인자 그 30이 넘어 근 40지년 된 무용이가 항상 패방에 얻어먹고 댕기는 아! 그 무용이가—금단청에 시방 보궁(寶宮)을 올라가는데 불과 몇 층 안 올라가서 극락세계 보궁을 들어가는디,

아! 무용이가 아! 그만 작대기를 가지고 쫓아 발발발발발발 쫓아 올라오더니, 그만 그 강사 뒷 넙덕치를 팍 패대면서 “이놈아! 정신채려 이놈아. 네가 이놈 극락세계 간다고 네 이놈 보궁을 찾아가지마는 거가 어딘디 이놈아 들어가는디, 어디냐 이놈아 들어가기를”

 

아 이럼서 강사 옆에 서도 못한 것이 아! 극락세계로 들어가는디 뒤에 와서 때린다 그말이여, 작대기로. 얻어먹는 작대기로.

 

아따! 그냥 뚝! 떨어지다 깨어나니까 꿈이여.

죽었어. 죽어서 깨어났어. 꿈이라도 꿈 같은디 죽어 깨어났다 그말이여.

 

아, 그러니께 그때 마침 죽어 깨어났는데 대중은 모도 열반종(涅槃鍾)까장 다.. 죽었다고 열반종까장 다 쳤네.

 

아! 깨어나 가지고 가만히 보니까 하도 죽었다가 깨어난 것 같지 않고, 꿈꾸다가 깨어난 것이여.

그 죽었다 깨어난 것이 죽은 줄 누가 아나? 꿈꾸다 깨어난 것이 그것이지. 꿈에 깨어난 것, 그 꿈꾸고 깨어났어.

 

깨어나서 아! 옆에 보니까 무용 노장이 딱 앉았다 말이여, 무용이. 얻어먹는 패방 거지가 앉었어.

쓸데없는 무용 그것이 와서 딱! 앉아, 강사가 죽는다고 헌께 무용이 들어와서 작법을 했든 것이여.

 

작법, 작법허니 누가 무슨 작법을 아나? 도인(道人)의 작법을 누가 아나 말이여?

무용 선사는 그때 패방 거지 노릇허면서 벌써 그때부텀 참선을 해서 숨은 도인이야. 아무도 모르게 저 무용(無用)이다, 못쓸 물건이 되어 가지고 참선을 해서 바로 도통을 했던 것이여.

 

그래 가지고 강사가 죽으니까, 강사 죽은 임명(臨命) 증사(證師)가 되었어.

청(請), 누가 청헐 것 뭐 있나? 청헐 것도 말 것도 없지. 가서 가만히 입정관(入定觀)을 해 주었어. 강사가, 입정관 해준디 극락세계를 못 갔다 그말이여.

 

그 무용당(無用堂)이 거기 앉었으니께 아! 부해가 나서 “저놈의 무용이 저 못된 무용이 내가 이번에 극락세계를 가는디 저것이 내 열반석에 와서 저것이 모두 모두 나를 갖다가 극락세계 못 가게 모도 마구니가 되았구나. 저 못된 것이 저 무행꾼이 괴기나 쳐 먹고 괴기나 찢어 먹고 저 무행(無行)헌 것 저것이 나를 극락세계 못 가게 했구나, 저것이. 타락시켰구나”

아, 부해가 나서 그냥 무용을 그냥 나무래 대고, 깨어나 가지고는 그랬다 그말이여.

 

그러거나 말거나 아무 말이 없이 며칠 지냈는데, 병이 차츰 쾌차했어. 병이 나았어.

낫은 뒤에는 무용(無用)이 강사한테를 가서 스님이 인자 겨우 일어나실만 하니까 "나와 산보 좀 갑시다" 그런게.

 

“썩을 녀러 자식, 더러운 자식, 저런 것이 나를 뭐 산보 가자고 허네”

사람 같잖은 게 그걸 누가, 그 이렇게 높으신 강사인디 강사 큰스님이 그까짓 무용을 가지고 어디 말이나, 뭐 말이나 되나?

 

아! 그래도 수차 “날 좀 따라 나오십시오. 내가 할 말이 있으니까”

아! 꿈꾼 것이 하도 이상스러우니까 꿈도 그렇거니와, 그 또 그 죽은 그 열반석에 와서 앉어 있는 것도 이상스럽고 병은 좀 나았고, 저것이 뭣 헐라고 가자고 헌고 싶어서 따라나섰다.

 

앞에 떡 서서, 무용이 앞에 서서 강사를 뒤에 요렇게 따라오게 맨들고는 “스님이 이번에 돌아가실 적에 이번에 가실 적에 요 문으로 나왔지요?”

그 문으로 나왔거든. 뒤 바라지문으로 나왔거든.

 

“바라지문 열고 요리 콱 나오셨죠?”

“응, 그랬지. 그랬다”

 

또 한참 가다 “여기서 동자 만났지요?”

하! 이거 “그랬지”

 

아! 그때부텀은 참 기맥히네. 그 동자가, 그 잘 어여쁜 동자 만난 것이 역력하다. 그랬지.

 

“여기서 생사대해를 건넜지요?”

그 그러니까 그 내나, 그 송광사 앞에서 그 물또랑 개천 하나 건넌 다리가 고것이 생사 노두로 보였든 것이여. “요 생사대해를 건넜지요?”

 

한참 가다가 큰 역사적 고목 둥구나무가 하나 있어. “둥구나무 여기서 그 나무 저 공중누각을 올라갔지요? 차츰차츰 올라갔지요?”

여지없거든! 생사대해도 그 또랑이 분명허고, 그 좀 건네가서 몇 발 건네가서 그 올라간 것도 분명하고, 그 냉기[나무]로 올라간 것이 금단청이란 말이여.

 

아! 이런 말이 분명 다시 뭣이 여지없어.

저기 저 집이, 저 나무 위에 저 까치집 저것이 공중누각으로 보였든 것이여.

 

“저건 공중보전이 누각 공중미타전으로 보였고, 이것 모도 올라가는 이 냉기 모도 그 혹 달린 것이 모도 다리로 보였고, 이렇게 변했소. 이 개천이 생사대해로 보였고, 그 어린아이는 그 스님을 인도허는 그 저 까치집으로 인도허는 인도비요.

까치 새끼가 꼭 될 것인디, 내가 당신을 그 일대 강사(一大講師)로서 그래도 우리 대본산(大本山), 우리 본산에 큰 산에 그 대승경전 강(講)허는 강사 스님이 까치 새끼가 되어서야 되겄소? 내가 그래서 그 내가 작법해서 까치집에 못 들어가게 만든 것인데 나를 왜 그렇게 모두 원망허우”

 

세상에 그 설법을 들으니까 기맥히다 그말이여.

'과연 참 무용 선사로구나. 무용으로 있으면서 쓸데없는 무용이 되아 가지고 참선을 해서 '이뭣고?'를 깨달라서 도통을 했구나' 그 생각이 꽉 드면서, 부처여. 다시 무용 스님이 부처여.

 

"꼭 그러헌디 저 냉기 시방 올라가서 저 까치집에 가 볼 것 같으면은 까치 새끼 한 마리가 죽었으니 그걸 한번 알아보십시오”

냉기 잘 올라가는 사람을 올려 보내서 가서 보니께 까치 새끼가 죽었어. 한 마리가 죽었어. 고 한 마리 속으로 들어갈 것인디, 안 들어갔다 그말이여.

 

알 탁! 터짐서 영(靈)이 붙기도 허고, 여러 가지가 다 있다드구만.

그놈의 누가 생리적으로 알 수가 있나? 허지마는 알이 하나가 곯았어, 안 나오고. 새끼가 죽은 게 아니라.

 

그걸 보고서는 참으로 믿었어. 믿어서 그 강사 스님이 무용 스님 제자가 되었어. 불과 얼마 안되았어.

그 강사, 무용 스님 제자, 강사여.

그 강(講) 내던져 버리고 저 선객이 되어 가지고 '이뭣고?'를 잘 허다가 돌아가신 일이 있습니다. 그 사실 얘기 하나 오늘 법문 끝에 했습니다.

 

사견(邪見)으로, 아무리 부처님의 경을 보지마는 방편에 사견으로, 사견으로 그 보니 되아?

 

그거 응, '이뭣고?'를 깨닫지 않고 극락을 가냐 그말이여. '이뭣고?'와 극락은 한 곳인디.

극락이거든. '이뭣고?'를 깨달은 곳이 극락이여. 도솔천 내원도 그렇고.

 

허! 그걸 알아야지.(43분11초~63분52초)(끝)

 

 

 

----------------(1/3)

 

*(게송) ‘활구참선객~’ ; 『청허당집(淸虛堂集)』 (서산대사) (2권) '贈熙長老' 참고. ⋯降은 '항복할 항', '내릴 강'으로 발음됨.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본참공안]를 받아서,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천칠백 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삼계(三界) ; 불교의 세계관으로 중생이 왕래하고 거주하는 세 가지 미혹한 세계. 중생이 태어나서 죽어 윤회하는 영역으로서의 세개의 세계. 중생의 마음과 생존 상태를 세 단계로 나눈 것.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를 이른다.

*남섬부주(南贍部洲) ; 수미산(須彌山 : 불교의 우주관에서 세계의 중심에 높이 솟은 거대한 산)의 사방에 있다는 사주(四洲 : 네 대륙)의 하나. 섬부(贍部)는 산스크리트어 jambu의 음사(音寫)로 잠부(jambu) 나무가 많다고 하여 이와 같이 일컫는다.

수미산 남쪽에 있으며, 우리 인간들이 사는 곳이다. 여러 부처님이 나타나는 곳은 사주(四洲) 가운데 이곳뿐이라고 한다. 염부제(閻浮提), 염부주(閻浮洲)와 같음.

*공안(公案) ; 화두(話頭),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화두(공안)에는 '이뭣고?' '판치생모' '무자' '정전백수자' 등이 있다.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한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주삼야삼(晝三夜三) ; 밤낮. 밤이나 낮이나.

*안벽관심(眼壁觀心) ; 눈은 벽을 보고, 마음은 화두를 관한다.

*정법(正法) ; ①올바른 진리. ②올바른 진리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③부처님의 가르침이 올바르게 세상에 행해지는 기간.

*설산(雪山) ; 인도 북부에 솟아 있는 히말라야 산맥을 가리키는 말. 눈[雪]을 품은 곳이란 뜻. 설령(雪嶺) · 동왕산(冬王山) · 대설산(大雪山) 등이라고도 한다. 부처님의 탄생지인 카필라바스투 역시 설산의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석가모니가 수도한 산.

*견명성(見明星) ; 부처님이 12월 8일 새벽별[明星]을 보시고 성도하였다는 고사. 자신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철저히 깨닫는 것을 말한다.

*명성(明星) ; 새벽에 동쪽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금성(金星)’을 이르는 말. 새벽별, 샛별, 태백성(太白星), 계명성(啓明星), 장경성(長庚星) 등이라고도 한다. 『보요경(普曜經)』에 따르면 석가모니(釋迦牟尼)께서 이 별이 돋을 때, 정각(正覺)을 이루었다고 한다.

*사견(邪見) : ①잘못된 견해. 틀린 생각 ②인과(因果)의 이치를 부정하는 잘못된 생각 ③올바로 자신의 마음의 실상을 알수가 없는 것.

*방편(方便 방법·수단 방/편할 편) ; 중생을 깨달음으로 이끌어가기 위해 그때마다의 인연에 적합하게 일시적인 수단으로 설한 뛰어난 가르침. 중생 구제를 위해 그 소질에 따라 임시로 행하는 편의적인 수단과 방법.

곧 불보살이 중생의 근기에 적절하게 응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법을 펼쳐 보임으로써 그들을 교화하여 이익되게 하는 것을 말한다.

*환(幻) ; ①허깨비. 모든 사물은 여러 가지 인연(因緣)이 모여서 생긴 것으로 실체가 없는 것에 비유함. 환(幻)을 실(實)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중생의 미혹한 생각임. 환(幻)을 무(無)라고 생각하는 것은 이승(二乘 - 聲聞,緣覺)의 공(空)에 얽매인 견해, 단공(但空 - 단지 空만을 집착하는 것)임.

환(幻)은 또 화(化)와 거의 같은 뜻이므로 환화(幻化), 꿈과 비슷하므로 환몽(幻夢)•몽환(夢幻)이라고도 한다.

②신기루, 아지랑이 같은 것.

*벽암록(碧巖錄) ; 선종의 대표적인 공안평창집(公案評唱集). 10권. 본이름은 『불과원오선사벽암록(佛果圜悟禪師碧巖錄)』. 또는 벽암집(碧巖集)이라고도 한다. 송나라 때 원오극근(圜悟克勤 1063~1135)이 지음.

이 책은 원래 설두중현(雪竇重顯 980~1052)이 경덕전등록 · 조주록 · 운문록 등에서 백 개의 고칙(古則 ; 공안)을 선별하여 각각의 게송을 붙인 『설두송고백칙(雪竇頌古百則)』을 그 뒤 원오극근이 제자들의 청에 의해서 1102년 성도의 소각사, 협산의 영천원, 상서의 도림사등에 머물면서 『송고백칙(頌古百則)』을 강의했다.

 

이 『송고백칙(頌古百則)』의 각 칙에 대한 서론 형식의 '수시(垂示)'와 본칙과 송에 대한 해설·비판·선양의 '평창(評唱)' 그리고 본칙의 각 구절과 송의 각 구절을 평가하는 형식의 '착어(著語)' 등을 붙였는데, 제자들은 스승의 강의를 1105년경부터 모아 기록하기 시작하여 1125년에는 이미 『벽암록』 필사본이 나왔다고 한다. 『벽암록』의 간행은 1128년(남송 건염 2년) 원오극근의 제자 보조(普照)에 의해서였다.

 

그런데 원오극근의 제자인 대혜종고(大慧宗杲 1089~1163)가 당시의 학인들 중 이 책의 선화(禪話)를 익혀 알음알이를 늘리기만 하고 실제적인 수행을 게을리 하는 자가 많은 폐단을 보고, 근본 뜻을 다시 세우고자 벽암록 판각과 책들을 모두 한 데 모아 대중 앞에서 불태워버려(1156년 또는 1163년 무렵) 총림에서 사라졌었다.

그러다가 원나라 때인 대덕년간(1297~1307)에 장명원(張明遠)이 여러 절에 비장되어 있던 것을 모아서 중간함으로 말미암아 세상에 유통되었다.

*도통(道通) ; ①사물의 이치를 깨달아 훤히 통함. ②깨달음.

*염라대왕(閻羅大王) : 염마왕(閻魔王). 염라왕(閻羅王). 명후(冥侯). 사후세계의 지배자로, 망자(亡者 죽은 사람)를 재판하는 자. 죽어서 지옥에 떨어진 인간의 생전에 행한 선악(善惡)을 심판하여 벌은 주는 왕.

*화택(火宅) ; 번뇌와 괴로움으로 가득한 이 세상을 불에 타고 있는 집에 비유한 말. 불길에 휩싸인 무서운 세계. 법화경에 나오는 「三界無安猶如火宅」라는 구절에 근거.

*숙업(宿業) ; 숙세(宿世), 즉 과거세(過去世), 전생(前生)에 지은 선악의 행업(行業 : 고락苦樂의 과보果報를 받을 선한 행동과 악한 행동). 현세에 그 과보를 초래하는 업을 말하며, 숙작업(宿作業) · 선업(先業)이라고도 한다.
*견성(見性)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性品)을 꿰뚫어 보아[見] 깨달음. 미혹을 깨뜨리고 자신의 청정한 본성을 간파하여 깨달음.

*미(迷) ; 미혹(迷惑), 미망(迷妄), 미집(迷執)의 준말. 진리에 어두움. 마음이 흐리고 혼란함. 깨달음(悟)의 반대. 무명번뇌로 인하여 사리를 밝게 깨치지 못하고 전도몽상(顚倒夢想, 바르게 사물을 볼 수 없는 미혹함)하는 것.

*이뭣고(是甚麼 시심마) : ‘이뭣고? 화두’는 천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어떤 일이 일어난 그 자리)를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 ‘이것이 무엇인고?’ 이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 ‘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는 일곱 자(字)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이, 뭣, 고’ 석 자(字)이다. ‘이뭣고?(이뭐꼬)'는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그 뜻은 그 속에 다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을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 왔다.

*위법망구(爲法忘軀) ; 법(法, 진리)를 구하기 위해[爲] 몸[軀] 돌보는 것을 잊는다[忘].

*조실(祖室) ; 선원의 가장 높은 자리로 수행인을 교화하고 참선을 지도하는 스님. 용화선원에서는 고(故) 전강대종사(田岡大宗師)를 조실스님으로 모시고 있다.

*여법(如法 같을·같게 할·따를·좇을 여/ 부처님의 가르침·불도佛道 법) ; 부처님의 가르침에 맞음.

*출세(出世) : ①부처님이 세상에 나타나는 것 ②태어나는 것. 법을 체득한 사람이 중생교화를 위해서 세상에 나오는 것 ③세간을 초월하는 것. 출세간(出世間)의 준말. 삼계(三界)를 나오는 것.

*사바세계(娑婆世界) ; 고뇌를 참고 견디지 않으면 안되는 괴로움이 많은 이 세계. 현실의 세계. 인토(忍土) · 감인토(堪忍土) · 인계(忍界)라고 한역. 석가모니 부처님이 나타나 중생들을 교화하는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가 모두 사바세계이다.

*법상(法床) ; 법을 설하는 자리. 또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설법하는 스님이 올라앉는 상.

 

 

 

----------------(2/3)

 

*단조무명(但助無明) ; '오직 무명만 도와 줄 뿐이니라'

[참고] 『선가귀감(禪家龜鑑)』 (서산대사 |용화선원刊) p82. (가로판 p86)

迷心修道하면  但助無明이니라

미욱한 마음으로 도를 닦는 것은 오직 무명만 도와 줄 뿐이니라.

 

(註解) 悟若未徹이면  修豈稱眞哉리요  悟修之義는  如膏明이  相賴하고  目足이  相資니라

철저히 깨치지 못하였다면 어찌 참되게 닦을 수 있으랴!  깨침과 닦는 것은 마치 기름과 불이 서로 따르고, 눈과 발이 서로 돕는 것과 같으니라.

*관(觀)한다 ; ‘생각 없는 생각으로 생각한다’는 것을 ‘관(觀)한다’고 표현을 한다.

[참고] 송담스님(No.715)—2007년(정해년) 동안거결제 법어(07.11.24)

화두는 무엇이 가장 중요한 요점이냐 하면은 의심(疑心)입니다. 알 수 없는 의심, ‘이뭣고?’

 

‘이뭣고, 이뭣고’하는 글자 석 자가 문제가 아니라 ‘이뭣고?’할 때 알 수 없는 의심, 그 의심을 관(觀)하는 것입니다.

‘이뭣고?’하는 것은 그 의심을 나게 하는 것이고, 그 ‘이뭣고?’함으로써 나온 그 의심을 떠억 관(觀)하는 것입니다. ‘관(觀)한다’고 하는 것은 ‘생각 없는 생각으로 생각한다’는 것을 ‘관(觀)한다’고 표현을 하는 건데.

 

그 화두는 혼침(昏沈)이 오고 그럴 때에는 미간(眉間)에다가 두고 관하고, 혼침이 안 올 때에는 배꼽밑에 단전(丹田)에다가 화두를 두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그러니 초학자가 너무 미간에다가 화두를 들고 관(觀)하다 보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상기(上氣)가 될 수가 있으니, 어쨌든지 숨을 들어마실 때 아랫배가 볼록해지고, 다 들어마셨으면 한참 머물렀다가 내쉬면 아랫배가 홀쪽해진 것을 느끼면서 ‘이뭣고?’

 

화두를 들 때에는 기왕이면 들었다가 내쉴 때 ‘이뭣고?’를 초학자는 그렇게 하는 것입니다마는 나중에 익숙해지면 호흡에 상관없이 항상 알 수 없는 의심이 단전에 딱 있도록 호흡은 무심(無心) 속에 항상 단전호흡을 하도록 이렇게 해 나가면 되는 것입니다.(39분12초~41분12초)

*역력(歷歷 지낼·수를 셀·다할·두루 력) ; '뚜렷하다'는 말. 눈앞에 분명하게 드러나 있는 그 무엇에 대한 묘사이다. 사유 분별할 여지도 없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는 현상을 묘사한다.

*역력명명(歷歷明明) ; 뚜렷하고 분명하다는 말. 역력과 명명은 동일한 뜻이며, 중첩하여 어감을 강하게 한다.

사유 분별할 여지도 없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는 현상을 묘사한다. 어떤 조작도 없고 어떤 분별도 들어설 여지없는 본분(本分)이 드러난 경계를 나타낸다.

*수참활구(須參活句) 막참사구(莫參死句) ; '활구를 참구할지언정, 사구를 참구하지 말지어다'

[참고] 『선가귀감(禪家龜鑑)』 (서산대사 |용화선원刊) p49~50. (가로판 p50~51)

大抵學者는  須參活句언정  莫參死句어다

대저 배우는 이들은 모름지기 활구를 참구할지언정, 사구를 참구하지 말지어다.

 

(註解) 活句下에  薦得하면  堪與佛祖爲師요  死句下에  薦得하면  自救도 不了니라  此下는  特擧活句하야  使自悟入이니라 【 要見臨濟인댄  須是鐵漢이니라

 

활구에서 얻어 내면 부처나 조사의 스승이 될 만하고, 사구에서 얻는다면 제 자신도 구하지 못할 것이다。이 아래는 특히 활구를 들어 스스로 깨쳐들어가게 하는 것이다. 【 임제를 친견하려면 쇠뭉치로 된 놈이라야.

 

(評曰) 話頭에  有句意二門하니  參句者는 徑截門活句也니 沒心路沒語路하며  無摸索故也요  參意者는  圓頓門死句也니 有理路有語路하며  有聞解思想故也라

 

평해 가로되, 화두(話頭)에 참구(參句)와 참의(參意) 두 가지 문이 있으니, 참구는 경절문 활구니, 마음 길이 끊어지고 말 길도 끊어져서 더듬고 만질 수가 없는 때문이요, 참의라 하는 것은 원돈문 사구니, 이치의 길도 있고, 말의 길도 있으며, 들어서 알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절문(徑截門 지름길 경/끊을 절/문 문) ; 지름길문. 경절(徑截)이란 ‘바로 질러 간다’는 뜻. 교문(敎門)의 55위 점차(漸次)를 거치지 않고 한 번 뛰어서 여래의 경지에 바로 들어가는 문.

다시 말하면 화두(공안)을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 즉 일체의 어로(語路), 의리(義理), 사량분별의 길을 거치지 않고 직접 마음의 본체에 계합함을 일컫는다.

*성불도(成佛圖) ; 불가(佛家)에서 행하는 놀이 가운데 하나.

염불 · 참선 · 교학의 수행을 통해 성불의 길에 들어가게 되는 과정을 108단계로 구성한 도판(그림판)과 '나무아미타불'이 적힌 3개의 주사위와 두 분의 부처님과 18분 보살님 명호가 적힌 20개의 말을 사용하여 수행을 통해 육도윤회를 벗어나 깨달음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알 수 있게 구성된 놀이.

*오십오위(五十五位) ; 처음 건혜지(乾慧地)를 지나 십신(十信)·십주(十住)·십행(十行)·십회향(十廻向)·사가행(四加行)·십지(十地)를 하나하나 거쳐서 올라가야 성불하게 된다는 말.

*점차(漸次) ; 시간이나 차례에 따라 조금씩.

*대각(大覺) ; 부처님의 깨달음. 정각(正覺) 대오(大悟) 등과 같은 뜻이다. 스스로 깨닫고[自覺] 남들도 깨달음으로 인도하여[覺他] 각(覺)과 행(行)이 원만하게 갖추어졌으므로 대각이라 한다. 또는 부처님 자체를 가리키는 말.

*차제(次第) ; 차례(次例 순서 있게 구분하여 벌여 나가는 관계).

*거각(擧却 들 거/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화두를 든다’ ‘화두를 거각한다’는 말은 자신의 본참화두를 들 때 알 수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그 알 수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하는 것이다.

[참고] 송담스님 세등선원(No.09)—병진년 동안거 결제중 법어(76.12.26)에서.

화두를 먼저 이마로 의심을 하지 말고, 이 화두를—호흡하는데 배꼽 밑[丹田]에 숨을 들어마시면은 배가 볼록해지고 숨을 내쉬면은 배가 홀쪽해지는데, 그 배가 빵빵해졌다 홀쪽해졌다 허는 거기에다가 화두를 들고 ‘이뭣고~?’ ‘알 수 없는 생각’ 관(觀)하는 그것이 화두를 드는 것이여.

*땀세 ; 땀새. ‘~땜에(~때문에)’의 사투리.

*마구니 ; 마(魔). [범] mara 음을 따라 마라(魔羅)라 하고, 줄여서 마(魔)라고만 한다。장애자(障礙者) · 살자(殺者) · 악자(惡者)라 번역。목숨을 빼앗고 착한 일을 방해하며 모든 것을 파괴하는 악마를 말한다. 그러나  마(魔)는 밖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에서 생기는 것이다.

 

[참고] 『선가귀감(禪家龜鑑)』 (서산대사 | 용화선원刊) p64에서. (가로판 p66~67)

마(魔)란 생사를 즐기는 귀신의 이름이요, 팔만사천 마군이란 중생의 팔만사천 번뇌다. 마가 본래 씨가 없지만, 수행하는 이가 바른 생각을 잃은 데서 그 근원이 파생되는 것이다.

중생은 그 환경에 순종하므로 탈이 없고, 도인(道人)은 그 환경에 역행하므로 마가 대들게 된다。그래서 ‘도가 높을수록 마가 성하다’고 하는 것이다.

 

선정(禪定) 중에 혹은 상주(喪主)를 보고 제 다리를 찍으며 혹은 돼지를 보고 제 코를 쥐기도 하는 것이, 모두 자기 마음에서 망상을 일으켜 외부의 마를 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마의 온갖 재주가 도리어 물을 베려는 것이나, 햇빛을 불어 버리려는 격이 되고 말 것이다。옛말에 ‘벽에 틈이 생기면 바람이 들어오고, 마음에 틈이 생기면 마가 들어온다’고 하시니라.

*퇴타(退墮 물러날 퇴/떨어질·게으를 타) ; 어떤 경지로부터 물러나 되돌아 오는 것. 퇴전(退轉)이라고도 한다.

*칠통(漆桶 옻 칠/통 통) ; ①옻칠을 한 통 ②중생의 마음은 무명이 덮여서 어둡고 검기가 옻을 담은 통 속과 같은 상태 또는 그런 상태의 사람. ③무명(無明).

*대승계(大乘戒) ; 대승의 보살이 받아 지켜야 할 계율. 보살계라고도 한다.

*악도(惡道, 惡途) ; 악한 짓을 한 중생이 그 과보로 받는다고 하는 괴로움의 생존. 지옥 · 아귀 · 축생 등의 세계. 삼악도(三惡道).

*죄업(罪業) ; 자신과 남에게 해가 되는 그릇된 행동[身]와 말[口]과 생각[意]. 괴로움의 과보를 초래하는 악한[罪] 행위[業 : 身口意 三業]. 좋지 않은 결과의 원인이 되는 악한 행위.

*발심(發心) ; ①위없는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菩提心]을 일으킴[發]. ②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초발의(初發意), 신발의(新發意), 신발심(新發心), 초심(初心), 발의(發意) 등이라고도 한다. 갖추어서 발기보리심(發起菩提心),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

보리심은 모든 부처님이 부처님이 될 수 있었던 바탕이 되는 종자이고 청정한 법이 자라날 수 있는 좋은 밭이기 때문에 , 이 마음을 발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면 속히 위없는 보리를 증득한다.

*들입다 ; 세차게 마구.

*반야력(般若力) ; 반야의 힘. 참된 지혜를 가리키는 말이다.

진리에 대한 무지(無知)가 생사윤회의 원인이며, 반야는 진리에 대한 바른 인식을 통해 이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지혜를 가리킨다.

*심공(心空) ; ①허공과 같이 큰 마음. 마음이 본질적으로 무한히 넓고 커서 만상을 포용하는 허공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②마음이 텅 빈 경계 또는 그러한 도리. 마음이 모든 장애에서 벗어나 텅 비고 고요하며 어떤 상에도 걸리지 않는 경지에 들어 있다는 뜻.

*구백생멸(九百生滅) ; 9백번 생겨나고 멸하는 것. 이것은 1소찰나(一小刹那) 동안에 생멸하는 숫자를 나타낸 것이다.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에 (제2 관공품觀空品) '九十刹那爲一念 一念中一刹那經九百生滅' '90찰나가 한 생각[一念]이 되고, 한 생각 가운데 1찰나에 구백생멸이 지난다'

『인왕경소(仁王經疏) 상권(末)』에 (신라 때 원측圓測 지음) ‘以九十小刹那成一大念 一大念中一小刹那 復有九百生滅... 若生滅合論 卽有九百生滅 別論卽有一千八百’ ‘90소찰나(小刹那)는 1대념(大念)을 이루고, 1대념에 속하는 1소찰나에는 다시 9백생멸이 있다. ... 생멸을 합해서 논하면 9백생멸이 있는 것이고 따로 논하면 천팔백번의 변화가 있는 것이다’

*경계(境界) ; ①인과(因果)의 이치(理致)에 따라서, 자신이 부딪히게 되는 생활상의 모든 일들. 생로병사•희로애락•빈부귀천•시비이해•삼독오욕•부모형제•춘하추동•동서남북 등이 모두 경계에 속한다.

②나와 관계되는 일체의 대상. 나를 주(主)라고 할 때 일체의 객(客). ③시비(是非)•선악(善惡)이 분간되는 한계.  경계(境界)에는 역경(逆境)과 순경(順境), 내경(內境)과 외경(外境)이 있다.

*적적(寂寂) ; 온갖 번뇌 망상이 생멸하지 않고 마음이 고요함.

*무간지옥(無間地獄) ; 아비지옥(阿鼻地獄)이라고도 함. 아비(阿鼻)는 산스크리트어 avīci의 음사(音寫)로서 ‘아’는 무(無), ‘비’는 구(救)로서 ‘전혀 구제받을 수 없다’는 뜻. 이 지옥에 떨어진 중생은 한 치의 빈틈도 없이 끊임없이 고통을 받기 때문에 무간(無間)이라 한다.

아버지를 죽인 자, 어머니를 죽인 자, 아라한을 죽인 자, 승가의 화합을 깨뜨린 자, 나쁜 마음으로 부처님의 몸에 피를 나게 한 자 등, 지극히 무거운 죄를 지은 자가 죽어서 가게 된다는 지옥.

 

이 지옥에 떨어지는 죄인에게는 필파라침(必波羅鍼)이라는 악풍(惡風)이 있는데 온몸을 건조시키고 피를 말려 버리며 또 옥졸이 몸을 붙잡고 가죽을 벗기며, 그 벗겨낸 가죽으로 죄인의 몸을 묶어 불 수레에 싣고 훨훨 타는 불구덩이 가운데에 던져 넣어 몸을 태우고, 야차(夜叉)들이 큰 쇠 창을 달구어 죄인의 몸을 꿰거나 입, 코, 배 등을 꿰어 공중에 던진다고 한다. 또는 쇠매(鐵鷹)가 죄인의 눈을 파 먹게 하는 등의 여러 가지 형벌로 고통을 끊임없이 받는다고 한다.

*무자(無字) : 화두. 어느 스님이 조주(趙州) 스님께 묻되 「개도 불성(佛性)이 있읍니까 없읍니까?」하니, 조주 스님이 답하되 「무(無)」라 하시니 「준동함령(蠢動含靈)이 다 불성이 있는데 어째서 무(無)라고 했는고?」하는 참선할 때 참구(叅究)하는 천칠백 공안 중의 하나.

[참고]  『언하대오(言下大悟)』 (전강선사 법어집 | 용화선원刊) p52~53.

‘무자’ 화두하는 학자들이여, 조주 스님의 “무” 라고 하신 그 의지가 “무” 에 있는 것이 아니다.  기실(其實) 엉뚱한 곳에 있는 것이니 제발 조주 스님의 뜻을 찾으려고 애쓸지언정  ‘무자(無字)’에 떨어져서 광음을 헛되이 보내지 않기를 재삼 부탁하노라.

이 ‘무자’ 화두 지어감에 좋은 비유 설화가 있으니 옛날 중국 당나라에 천하일색인 양귀비가 있었는데 당 현종의 애첩으로 궁성에 살고 있었다. 이 양귀비와 정부 안록산은 서로가 보고 싶어 못 견딜 지경이었다.

 

빈호소옥무타사(頻呼小玉無他事)라 지요단랑인득성(只要檀郞認得聲)이로다

자주 소옥이를 부르는 것은 다른 일이 아니라 다못 낭군에게 소리를 알리고자 함이로다.

 

양귀비는 자기의 종인 소옥을 아무 할 일 없이 큰 소리로 몇 번이고 되풀이해서 자꾸 부른다.  왜 양귀비는 소옥을 그렇게 부를까?  다만 낭군에게 자기의 음성을 들리게 하기 위함이다.

양귀비의 뜻이 소옥에게 있는 것이 아니고, 소옥을 통해서 자기의 음성을 안록산에게 알리는데 본 뜻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무자’ 화두는 ‘무자’ 에 뜻이 있는 것이 아니고, “무” 라고 말씀하신 조주 스님에게 뜻이 있는 것이니, ‘무’라는 말을 천착(穿鑿)하지 말고 “무” 라 말씀하신 조주 스님의 의지를 참구할지니라.

 

 

 

----------------(3/3)

 

*별념(別念) ; '딴 생각' 『몽산법어』 (용화선원刊) 박산무이선사선경어(博山無異禪師禪警語)에서.

做工夫호대  着不得一絲毫別念이니  行住坐臥에  單單只提起本叅話頭하야  發起疑情하야 憤然要討箇下落이니라.  若有絲毫別念하면  古所謂雜毒이  入心하야  傷乎慧命이라하니  學者는 不可不謹이니라

 

공부를 짓되 털끝만치라도 딴 생각[別念]을 두지 말지니, 가고 멈추고 앉고 누우매 다못 본참화두(本叅話頭)만을 들어서 의정을 일으켜 분연히 끝장 보기를 요구할 것이니라. 만약 털끝만치라도 딴 생각[別念]이 있으면 고인이 말한 바 「잡독(雜毒)이 마음에 들어감에 혜명(慧命)을 상한다」하니, 학자는 가히 삼가지 않을 수 없느니라.

 

余云別念은  非但世間法이라  除究心之外에  佛法中一切好事라도  悉名別念이니라.  又豈但佛法中事리요  於心體上에  取之捨之  執之化之가  悉別念矣니라

 

내가 말한 딴 생각[別念]은 비단 세간법만 아니라 마음을 궁구하는 일 외에는, 불법(佛法)중 온갖 좋은 일이라도 다 딴 생각[別念]이라 이름하느니라. 또 어찌 다만 불법중 일뿐이리오?  심체상(心體上)에 취하거나[取], 버리거나[捨], 집착하거나[執], 변화하는[化] 것이 모두 다 딴 생각[別念]이니라. (p164-166) (가로판 p157~158)

 

做工夫호대  不得將心待悟어다.  如人이  行路에  住在路上하야  待到家하면  終不到家니 只須行하야사  到家오  若將心待悟하면  終不悟니  只須逼拶令悟요  非待悟也니라

 

공부를 짓되 마음을 가져 깨닫기를 기다리지 말라.  마치 사람이 길을 가매 길에 멈춰 있으면서 집에 이르기를 기다리면 마침내 집에 이르지 못하나니, 다만 모름지기 걸어가야 집에 도달하는 것과 같아서, 만약 마음을 가져 깨닫기를 기다리면 마침내 깨닫지 못하니, 다만 모름지기 애써서 깨닫게 할 뿐이요, 깨닫기를 기다릴 것이 아니니라. (p163-164) (가로판 p156~157)

 

做工夫호대  不得求人說破이니  若說破라도  終是別人底요,  與自己로  沒相干이니라.  如人이  問路到長安에  但可要其指路언정  不可更問長安事니  彼一一說明長安事라도  終是彼見底요,  非問路者의  親見也이니라.  若不力行하고  便求人說破도  亦復如是하니라

 

공부를 짓되 다른 사람이 설파(說破)하여 주기를 구하지 말지니, 만약 설파(說破)하여 주더라도 마침내 그것은 남의 것이요, 자기와는 상관이 없나니라.

마치 사람이 장안으로 가는 길을 물으매 다만 그 길만 가리켜 주기를 요구할지언정 다시 장안의 일은 묻지 말지니, 저 사람이 낱낱이 장안 일을 설명할지라도 종시(終是) 그가 본 것이요, 길 묻는 사람이 친히 본 것은 아니니라. 만약 힘써 수행하지 않고 남이 설파하여 주기를 구하는 것도 또한 이와 같으니라. (p180-181) (가로판 p171~172)

*미륵불(彌勒佛) : [범] Maitreya 대승보살, 또는 매달려야(梅呾麗耶), 매달례야(昧怛隷野)。번역하여 자씨(慈氏)。 이름은 아일다(阿逸多) 무승(無勝) 막승(莫勝)이라 번역.

인도 바라나국의 바라문 집에 태어나 석가모니의 교화를 받고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도솔천에 올라가 있으면서 지금 그 하늘에서 천인(天人)들을 교화하고,

 

석가모니 입멸후 56억 7천만 년을 지나 다시 이 사바세계에 출현—하생(下生)하여, 화림원(華林園) 안의 용화수(龍華樹) 아래에서 성불(成佛)하고 3회의 설법으로써 석가모니의 교화에서 빠진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고 한다. 이 법회를 용화삼회(龍華三會)라 한다.

도솔천에서의 생을 마치면 인간으로 태어나 성불하여 석가모니불의 자리[處]를 보충(補充)한다는 뜻으로 보처(補處)의 미륵이라 하며, 현겁(賢劫) 천 불의 제5불(佛).

*분심(憤心) : 억울하고 원통하여 분한 마음.

과거에 모든 부처님과 도인들은 진즉 확철대오를 해서 중생 제도를 하고 계시는데, 나는 왜 여태까지 일대사를 해결 못하고 생사윤회를 하고 있는가. 내가 이래 가지고 어찌 방일하게 지낼 수 있겠는가. 속에서부터 넘쳐 흐르는 대분심이 있어야. 분심이 있어야 용기가 나는 것이다.

*의단(疑團 의심할 의, 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의심(疑心) :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해 ‘알 수 없는 생각’에 콱 막히는 것.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또는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또는 ‘조주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바른 깨달음은 알 수 없는 의단, 알 수 없는 의심에 꽉 막힌 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극락세계(極樂世界) :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 괴로움과 걱정이 없는 지극히[極] 안락[樂]하고 자유로운 세상[世界]이다. 안양(安養), 안락국(安樂國),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무량수불토(無量壽佛土), 무량광명토(無量光明土), 무량청정토(無量淸淨土)라고도 함.

*아미타불(阿彌陀佛) ; 대승불교에서 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세계에 머물면서 법(法)을 설하는 부처님.

<정토 3부경>에 있는 이 부처님의 역사는, 오랜 옛적 과거세에 세자재왕불(世自在王佛 Lokesvararaja-Buddha)의 감화를 받은 법장비구(法藏比丘 Dharmakara)가 2백 10억의 많은 국토에서 훌륭한 나라를 택하여 이상국을 건설하기로 기원하였다.

또 48원(願)을 세워 자기와 남들이 함께 성불하기를 소원하면서 오랜 겁을 수행한 결과 지금부터 10겁 이전에 그 원행(願行)이 성취되어 아미타불이 되었다. 줄여서 미타(彌陀).

의역하면 무량광불(無量光佛 Amitabha Buddha-무한한 공간에 꽉 차 있어서 안팎과 갓이 없는 빛의 부처님), 무량수불(無量壽佛 Amitayus Buddha-무한한 시간에 뻗치어서 끝없는 생명의 부처님).

*원(願) ; 소원(所願). 바라고 원함. 또는 바라고 원하는 일. 숭고한 뜻을 성취하려는 결의.

*바라지문 ; '사립문(잡목의 가지를 엮어서 만든 문짝을 단 문)'의 사투리.

*생사대해(生死大海) ; '생사의 큰 바다[大海]' 중생이 벗어나지 못하는 고통스러운 윤회의 세계를 바다에 비유한 말.

중생이 태어나서 죽어 윤회하는 영역으로서의 세개의 세계—삼계(三界 :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를, 중생이 생사유전하는 세계를 '큰 바다[大海]'에 비유함.

*생사대사(生死大事) ; ①삶과 죽음, 생사(生死)의 큰 일. ②수행을 하여 생사를 벗어나는 깨달음을 얻는 큰 일.

*도피안(到彼岸) ; 산스크리트어 pāramitā 바라밀(波羅蜜), 바라밀다(波羅蜜多), 바라미다(波羅弭多), 피라밀다(彼羅蜜多) 등으로 음사하였고, 사구경(事究竟) · 도(度) · 도무극(度無極) 등이라고 한역하였다. '到'는 '度'라고도 한다.

생사를 윤회하는 이쪽 언덕으로부터 건너가 열반의 저쪽 언덕에 도달했음을 뜻한다.

[참고] 『대지도론(大智度論)』 제12권 '大智度論釋初品中檀波羅蜜法施之餘'

若能直進不退 成辦佛道 名到彼岸 復次於事成辦 亦名到彼岸<天竺俗法 凡造事成辨 皆言到彼岸>

만약 곧바로 나아가고 물러나지 않고 불도를 완성한다면 이것을 도피안(피안에 도달함)이라 하며, 또한 일을 완성하는 것도 도피안이라 한다.<인도의 세속법에서는 일을 하여 완성하는 것은 모두 도피안이라 한다>

 

『대지도론(大智度論)』 제18권 '大智度論釋般若相義第三十'

摩訶 秦言大 般若 言慧 波羅蜜 言到彼岸 以其能到智慧大海彼岸 到諸一切智慧邊 窮盡其極故 名到彼岸

마하는 중국어로 '크다'이며, 반야는 '지혜'를 말하고, 바라밀은 도피안(피안에 도달함)이라 한다. 그것으로 능히 지혜대해의 피안에 이르며, 모든 일체 지혜의 끝에 도달함이 남김없이 그 궁극이기 때문에 도피안이라 한다.

*노두(路頭) ; 길거리(사람이나 차가 많이 다니는 길).

*당최 ; 도무지(아무리 해도, 이러니저러니 할 것 없이 아주). 영.

*노장(老長 늙을 로/길·맏·어른·우두머리 장) ; ①노장 스님의 줄임 말. ②노스님(나이 많은 스님)의 존칭. 나이가 많고[老] 덕행이 높은[長] 스님.

*상좌(上佐 윗 상,도울 좌) ; 윗사람을 도운다는 뜻. 곧, 한 스승의 제자를 일컬음.

*사미(沙彌) ; 산스크리트어 śrāmaṇera 팔리어 sāmaṇera의 음사. 근책(勤策)·구적(求寂)이라 번역. 출가하여 십계(十戒)를 받고, 구족계(具足戒)를 받아 비구(比丘)가 되기 전의 남자 수행자.

십계는 살생·도둑질·음행·거짓말·음주뿐만 아니라, 때가 아닌 때에 식사하는 것, 춤과 노래를 보고 듣는 것, 향수를 바르고 몸을 단장하는 것, 높고 큰 평상에 앉는 것, 금은 보물을 지니는 것 등을 금지하는 10가지이다.

*도인(道人) ; ①불도(佛道)를 수행하여 깨달은 사람. ②불도(佛道)에 따라 수행하는 사람.

*임명(臨命) ; 임종(臨終 목숨이 끊어져 죽음에 이름. 또는 그때).

*부해 ; ‘부아(분하고 노여운 마음)’의 사투리.

*무행(無行 없다·~하지 않다 무/행하다·계행·행실 행) ; 계행(戒行)이 없다[無]. 계를 지키지 않는 것. 또는 수행(修行)을 하지 않다[無].

*녀러(-녀러) ; ‘~놈의’를 뜻하는 단어.

*둥구나무 ; 크고 오래된 정자나무(亭子-- 집 근처나 길가에 있는 큰 나무).

*대본산(大本山) ; 대본사(大本寺 총본사 아래에 있거나 독립적으로 같은 종지宗旨의 작은 말사를 통할하는 큰 절).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