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4)) 법문은 내가 나를 깨닫기 위해서 듣는 것 / 최고의 방편이 활구참선법 / 환성지안 선사와 월봉 스님 / 『백유경(百喩經)』 '나귀 젖' 이야기. 올바른 참선을 해야 한다.

 

외도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바로 깨닫지 못하고 깨달은 척하면은 그것이 바로 저 죽고, 남 죽이고 불법을 망해 먹는 외도가 되는 것입니다.

 

불법을 포교를 하고, 또 참선법을 포교를 하고, 참! 그런 분들이야말로 자기만 하는 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이런 좋은 법을 가르켜 줘야겠다' 해 가지고 포교를 하고, 설교를 하고 대단히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남을 위해서 참선법을 가르킨다든지, 불교의 진리를 설할 때에는 절대로 자기 자신이 먼저 분명히 알아야 할 것입니다.

 

**송담스님(No.004)—1975년 동안거 결제 (75.11.17) (용004)

 

약 16분.

 

을묘년 동안거 결제일을 맞이해서, 전강 조실 스님의 법문을 경건한 마음으로 들었습니다.

법문(法門)은 무슨 이론을 배우기 위하거나, 지식을 얻기 위해서 듣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나를 깨닫기 위해서, 공부 잘하기 위해서 듣는 것입니다. 나를 깨닫는다고 하는 것은 여러 가지 방편(方便)이 있겠지마는, 부처님 팔만사천 법문 가운데에 가장 요긴하고 가깝고 빠르고 한 그러한 최고의 방편이 활구참선법입니다.

 

활구참선(活句參禪)이라고 하는 것은 무조건 조실 스님께 지도 받은 그 화두(話頭)를 큰 신심과 분심으로 바탕해서 의심을 일으키는 그 일 밖에는 없는 것입니다. 저는 말을 많이 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전강 조실 스님의 법문을 듣는 것을 훨씬 더 좋게 생각합니다.

그만큼 전강 조실 스님의 법문을 오늘 한 시간에 걸쳐서 들으셨으면은 불같은 신심(信心)과, 불같은 분심(憤心)과, 불과 같은 그런 의심(疑心)이 마음속으로부터 솟구쳐 오르고 계시리라고 생각합니다.

 

목탁을 세 번 칠 테니까 금방 조실 스님으로부터 들은 그 법문으로 인해서 큰 의심을 간절히 일으켜서 화두를 한번 들어 보십시다.

"목탁 세 번 치세요"

 

 

아까 조실 스님 법문에 다시 그 법문을 듣고 다시 말씀할 바는 없지마는, 이 가운데에는 여태까지 다른 절에 다니시면서 이런 큰스님 법문도 많이 들어 보시지 못하고 이번에 처음으로 오신 그러한 신참보살님네들도 계시고 해서 그러한 분을 위해서 조실 스님의 법문이, 깊은 법문이 다문 조끔이라도 이해가 되시게 하기 위해서 몇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아까 환성지안(喚醒志安) 선사라고 한 큰 도인과 월봉 외도(外道)라고 하는, 월봉 스님이라고 하는 큰 강사 스님에 대한 말씀을 하셨는데, 월봉 스님이 처음부터 외도가 아니라 대강사 스님이요. 아주 훌륭한 국사(國師)가 될 만큼 그러한 존경을 받는, 많은 제자를 가지고 계신 그리고 설교를 그렇게 잘하실 수가 없는 그러한 고승이었습니다.

그러나 바로 깨닫지 못했기 때문에 아무리 설교를 잘하고, 글을 잘하고, 얼굴이 잘생기고, 많은 제자를 거느리고 있었지마는 바로 부처님의 진리를 깨닫지 못했기 때문에 결국은 『원각경』에 있는 말씀 한마디를 올바르게 새기지 못해서, 환성지안 선사로부터 할(喝)을 입고, 금강신장의 철퇴를 맞고 피를 쏟고 꺼꾸러졌던 것입니다.

 

외도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바로 깨닫지 못하고 깨달은 척하면은 그것이 바로 저 죽고, 남 죽이고 불법을 망해 먹는 외도가 되는 것입니다.

 

인도에 부처님께서 『백유경(百喩經)』이라고 하는 경전에 말씀하신 이야기를 하나 하겠습니다. 이 이야기는 우리가 마음을 닦고, 부처님 진리를 깨닫는 데에는 참으로 바른 선지식을 만나서 바로 지도를 받아야만 옳게 깨달을 수가 있지. 바른 (선)지식을 만나지 못하고 그릇 공부를 하게 되면은 아무리 열심히 하고, 밤잠을 자지 않고, 먹을 것을 먹지 않고, 생명을 바쳐서 고행을 한다 하더라도 결단코 나를 깨달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일평생을 허송세월하고 나아가서는 다른 사람까지 모다 그르치고 결국은 불법을 망하게까지 된다고 하는 그러한 내용입니다.

 

백유경에 말씀하시기를, '나귀 젖을 먹으면은 대단히 맛이 좋고, 몸에 보약이 될 뿐만 아니라 수명장수하고, 온갖 병이 다 낫는다' 이러한 말이 널리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 말을 듣고 그 마을에 동장(洞長)이 멀리 여행을 갔다가 마침 어느 집에 나귀가 있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래가지고 바로 자기 고향으로 돌아와 가지고, 그 마을 사람들에게 "그 나귀의 젖을 먹으면 그렇게 좋다는데 내가 그 나귀 있는 것을 알았다. 그러니 그 나귀값이 어떻게 비싸든지 내 혼자는 살 수가 없고, 온 마을 사람들이 돈을 모다 모아 가지고 그래 가지고 그 나귀를 사다가 그 젖을 짜 먹으면은 우리가 모다 병 있는 사람은 병도 낫고, 수명장수하고 참 몸이 건강해져서 일생을 참 행복하게 살 수가 있지 않겠느냐?"

 

그러니까 그 동장이 똑똑하고 인격자고 그러기 때문에 온 마을 사람들이 그 돈을 백 냥씩, 이백 냥씩 모다 돈을 내가지고 그 나귀를, 그 동장을 시켜서 나귀를 사 오게 했습니다.

동장이 나귀를 떠억 사 왔는데, 무슨 나귀를 사 왔냐 하면은 숫나귀를 사 왔어요. 숫나귀를 뜨윽 사다가 며칠을 잘 멕여 가지고, 보리와 콩을 잘 삶아 멕인 다음에 마을 가운데 공회당 앞에다가 뜨윽 멍석을 깔고, 그 앞에다 나귀를 모셔 놨습니다. 모셔 놓고는 동장으로부터 온 마을 대표들이 나와서 생전 그 나귀는 처음 본 것이라 말만, 좋단 말만 들었지 그 나귀는 정말 처음 봤습니다.

 

그래서 그 대표자가 대여섯 분 나와 가지고 다른 사람들은 멀찍이 서서 가까이 오지도 못하게 하고, 대표자가 나와 가지고 구녁 있는 대로 주물러서 그 젖을 짜기 시작했습니다. 그래 가지고 주무르다가 무슨 액체가 나오면 그것이 좋은 줄 알고 입을 대고 막 빨아먹고 그랬습니다. 뒤에 가서 빨아먹다가 나귀란 놈이 처음에는 가만히 있더니 발길로 차서 동장이 대골통이 터져서 꺼꾸러졌습니다. 그래 어디 한 군데를 만지니까, 차츰차츰 늘어나더니 거기서 물이 막 나왔습니다.

 

하! 그러니까 나귀에 젖이 나온다고 그놈을 갖다가 바께스를 갖다 대고 그놈을 받았습니다. 받아 가지고 그놈을 서로 먼저 많이 먹으려고 달려든 것을 간신히 제지를 해 가지고 조끄만한 잔으로 조끔씩 조끔씩, 돈 많이 낸 사람은 조끔 더 멕이고, 적게 낸 사람은 조끔 멕이고 해서 그놈을 고루고루 노놔 먹었습니다.

먹으니까 쯥쯜한 것이 대관절 처음 맛본 것이라 '그래서 이것이 몸에 그렇게 좋구나'하고, 그걸 먹고서 온 마을 사람들이 '인자 나는 가슴앓이도 낫고, 이질 배아피 곱똥 설사도 낫고, 허리 아프고 엉뎅이 쑤신 디도 다 낫겠다' 해서 대단히 기분이 좋게 잠을 잤습니다.

 

나중에 어떤 사람이 나귀를 타고 그 마을을 지내갔습니다. 그러니까 온 마을 사람들이 또 나귀가 왔다 해 가지고는 그 나귀 젖을 좀 또 돈을 내고라도 좀 짜 먹자고 달라들었습니다.

"이것은 암놈이 아니라 숫놈이라 이것은 젖이 나오지 않는다" 그러니까, 마을 사람들이 곧이를 안 들었습니다.

"접때 나귀를 돈을 많이 주고 사다 우리 짜서 온 마을 사람들이 노나 먹었는데, 내나 이 나귀도 그 나귀와 똑같은 것이 붙었는데 왜 젖이 안 나온다고 하느냐?" 절대로 곧이 안 듣고, 그 사람한테 사정을 해 가지고 나귀값 몇십 배를 주고 강제로 사다시피 해 가지고 또 그 말(나귀) 오줌을 빨아먹었습니다.

 

'경(經)에 무슨 그런 말이 있을까?' 하고 혹 생각하실런지 모르지마는 이것은 분명히 『백유경(百喩經)』이라, '일백 백(百)'자, '비유할 유(喩)'자, 백유경(百喩經)이라는 경전에 분명히 쓰여 있습니다.

 

왜 내가 해필 이 말씀을 여러분께 하냐 하면은, '불법이 좋다. 불법 중에서도 참선이 참 좋다'—한국에 태어난, 한국에 지금 불교 신도가 천만 명이 된다 합니다마는 그중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참선 좋다'고 한 말은 다 들었을 것입니다. 한국뿐만이 아니라 미국을 비롯한 서양 사람들도 지금 한참 참선에 열이 오르고 있습니다.

 

제가 제일 걱정이 되는 것은 이렇게 참, 불법 중에서도 최상승법(最上乘法)인 참선을 하려고 신심이 나는 것에 대해서는 자다가 생각해도 고맙고 감사하고 기쁠 도리가 없습니다마는, 행여나 이 불법을 믿고 불법 가운데에서도 참선을 한답시고, 나귀 오줌을 빨아먹는 그러한 식의 참선을 한다고 하면은 이건 큰일이다 이겁니다.

동장이 그 먼 데까지 가 가지고 나귀를 사 온 것까지도 대단히 고마운 일이고, 자기만 수명장수할 뿐만 아니라, '온 마을 사람들을 다 같이 무병장수하고 수명장수하게 해야겠다'한 그러한 참 신심과 온 동민들을 위해서 그렇게 참 부지런히 성의껏 한 것까지는 좋으나, 아! 자기가 숫놈인지, 암놈인지를 알고 암놈을 사와야 할 텐데 숫놈을 사다가 그 오줌을 노놔 멕였다고 한 것에 대해서는 이것은 어불성설입니다.

 

불법을 포교를 하고, 또 참선법을 포교를 하고, 참! 그런 분들이야말로 자기만 하는 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이런 좋은 법을 가르켜 줘야겠다' 해 가지고 포교를 하고, 설교를 하고 대단히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남을 위해서 참선법을 가르킨다든지, 불교의 진리를 설할 때에는 절대로 자기 자신이 먼저 분명히 알아야 할 것입니다.

 

'절이라고 다 절이 아니고, 절은 다 한 부처님이다. 이 절이나, 저 절이나 부처님은 한 부처님이다. 어느 절에 가면 무슨 소용이 있느냐?' 이런 말씀을 자주 듣습니다마는, 정말 우리는 우리를 바로 가르켜주시고, 우리를 눈뜨게 해 주시는 선지식(善知識)을 반드시 옳게 가려야만 되겠습니다.

다행히 이 자리에 모이신 사부대중 여러분께서는 그러한 훌륭하신 선지식을 만나 뵈옵고 법문도 많이 듣고, 설사 열반은 하셨다고 하지마는 우리는 오늘 생생하게 그 생존 시의 법문을 조금도 다름없이 법문을 들었습니다. 그러한 좋은 법문을 듣고, 우리가 실참실수(實參實修), 실다웁게 닦고, 실다웁게 깨닫지 아니한다면은 아무리 그런 좋은 법문이라 한들 백 번을 들어도 아무 소용이 없는 것입니다.(처음~15분23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600 개가 넘는 ‘(참선) 법문’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600 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

 

Posted by 닥공닥정
활구참선 최상승법2019. 12. 5. 05:13

§(428) 의단독로하여 사량분별이 끊어져 깨달음에 나아감 / 천주교 신부의 의리선 / 나귀 뒷발질 이야기 / 나귀 오줌을 우유인 줄 알고 먹은 이야기.

 

공안 몇 개, 의리선으로 따져서 알아 가지고 어디 가서 자기도 한소식 한 것처럼 뽐내 봤자, 전혀 그런 거 모르는 사람한테는 가서 그것이 통할란지 모르지만, 환히 알고 보고 있는 사람 앞에 가서 나귀란 놈 검주땅에 가서 뒷발질하듯이 한바탕 차 봤자 제 살림만 드러나거든.

어디 가서 밥 빌어먹을 짓이 없어서 의리선으로, 의리로 공안 몇 개 따져서 그것 해 가지고 자기도 깨달은 것처럼 뽐내 봤자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최상승법을 듣고 믿고 또 그것을 중단하지 아니하고 끝까지 해 나간 분이라면 그분은 이미 보통 분이 아니여. 숙세(宿世)로부터 이 최상승법에 깊이 인연을 심고 심어서 삼생(三生) 이내에—금생에 인연이 성숙한 분은 금생에 깨달을 수도 있고, 아무리 늦어도 삼생 안에는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리라고 나는 확신하는 것입니다.

삼생은 꼭 이 몸뚱이가 죽었다가 또 태어나고, 또 한평생 살다가 공부하다가 죽어서 또 태어나고 한 그런 삼생도 포함되지만, 한 생각 한 생각을 한 죽음으로 생각하고 새로 태어남으로 생각한다면은 삼생은 그렇게 먼 것이 아닙니다.

 

**송담스님(No.428) - 1990년 11월 첫째일요법회 (용428)

 

(1) 약 18분.

 

(2) 약 18분.

 

(1)------------------

 

부처님, 우리는 '부처님, 부처님'하고 몹시 참 공경하고 또 사모하고 떠받듭니다. 그러나 사람마다 말은 부처님인데 그분이 믿고 있는 부처님의 내용에는 천 명이면 천 명, 만 명이면 만 명,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경을 많이 본 사람 또 경 가운데에도 무슨 경—화엄경을 많이 봤느냐, 법화경을 많이 봤느냐, 원각경을 많이 봤느냐, 또는 금강경을 많이 봤느냐, 어느 경을 많이 봤느냐에 따라서 그 사람이 마음속에 공경하고 그리워하는 임의 모습이 다를 것입니다.

또 경을 전혀 보지 않고 아미타불만을 열심히 부른 사람에게는 그 사람 나름대로의 거룩한 부처님이 있을 것입니다. 최상승법(最上乘法)을 믿고 참선(參禪)을 열심히 한 사람에게는 또 그 사람 나름대로의 거룩한 부처님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화엄경에는 ‘부처님과, 우리 중생의 마음과, 또 이 육도법계(六道法界)에 한량없는 모든 중생이 조금도 차별이 없다’ 하셨어.

왜 그러냐? 삼계(三界)는 오직 한마음 뿐이고, 마음밖에는 별(別) 법(法)이 없다. 그래서 ‘마음과 부처님과 중생은 이 세 가지가 조금도 차별이 없다’ 하셨어.

 

해나 달이나 별이나, 산이나 들이나 돌맹이 그 조그만한 모래알 하나도 우리의 마음의 나타남이여.

우리가 마음이 없다면 우리에게 그것은 모래도 아니고 아무것도 보이지를 않을 것입니다. 우리에게 마음이 있기 때문에 그것이 모래이고 모래가 존재하는 것이여. 그래서 태양도 역시 마찬가지요, 달도 역시 마찬가지여.

 

달은 저 홀로 창공에 떠서 휘황창 밝아 있지만, 보는 사람이 슬픈 눈으로 보면 그 달은 슬프고, 기쁜 마음으로 그 달을 보면 그 달은 기뻐. 그 달 자체는 '내가 슬픈 달이다, 기쁜 달이다'하는 것이 없거든. 보는 사람이 슬픈 달도 만들고 기쁜 달도 만드는 거여.

봄에 아름답게 피는 향그러운 꽃도 기쁜 사람이 볼 때 아름다운 것이지, 슬픈 사람이 보면 조금도 아름답지를 안 해.

 

이 사바세계(娑婆世界)는 고해(苦海)다, 말세(末世)요 투쟁견고(鬪諍堅固)의 시대다, 오탁악세(五濁惡世)라 하지만 부처님의 눈으로 볼 때에는 사바세계나 극락세계(極樂世界)나 다 같은 적광토(寂光土)여.

깨닫지 못한 중생의 눈으로 보니까 이 세계가 고해지, 깨달은 눈으로 보면 이십팔천(二十八天)이나 삼십팔천이나 극락세계나 여기나 똑같은 곳이다 그말이여.

 

그러면 왜 부처님께서 말세니, 부처님께서 고해니 그런 말씀을 하셨을까요?

중생의 입장이 되어서 그렇게 중생이 알아듣게 하기 위해서, 중생으로 하여금 발심(發心)하게 하기 위해서 중생의 말을 빌려서 하신 것이지, 부처님 스스로에게는 모두가 극락세계요, 모두가 깨달음의 세계요, 모두가 부처님의 몸뚱이다 그거거든.

 

그러면 우리 최상승법을 믿는 불자(佛子)는 슬픈 생각이 나거나, 기쁜 생각이 나거나, 속이 상하거나, 누가 원망스럽거나 야속하거나, 눈으로 무엇을 보거나, 귀로 무엇을 듣거나, 일체처 일체시에 다못 화두만(話頭)을 거각(擧却)하면 되는 것이여.

 

화두는 무엇이냐?

 

중생의 사량분별심으로 따져서 해결 되는 것이 아니여. 다못 꽉 맥혀서 알 수 없는 의단(疑團), ‘이뭣고?’,

‘이뭣고?’ 한번 터억 거각할 때 슬픔도 거기에서는 끊어져 버리고 기쁨도 끊어지고 원망도 끊어지고, 괴로움도 끊어지며 즐거움도 끊어지고 선(善)도 끊어지고 악(惡)도 끊어져. 그럴 때에 우리는 해탈(解脫)로 한 걸음 나아가는 거여.

 

찰나(刹那) 동안 ‘이뭣고?’를 하면 찰나 동안 부처님과 하나가 되는 것이고, 1분 동안 ‘이뭣고?’를 하고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함으로써 사량이 끊어지면 1분 동안 내 마음과 부처님과 하나가 되는 거여.

깨달음은 중생의 사량분별(思量分別)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고, 사량분별이 끊어짐으로 해서 깨달음에 나아갈 길이 열리는 것이거든.

 

그러기 때문에 참선을 해 나가는 데에는 일부러 사량을 끊을려고 할 것도 없고, 망상을 없앨려고 할 것도 없어. ‘이뭣고?’ 콱 막혀 나가면 그것이 바로 깨달음에 나아가는 길이거든.

 

하물며 교리나 경전에 있는 여러 가지 부처님의 말씀을 인용을 해 가지고, 자기의 본참공안(本參公案)을 이리저리 분석하고 따지고 비교해서 ‘아! 이것이 이 말이로구나’ 이렇게 사량분별로 따져서 알아 가지고 그것이 깨달음이라 할 수가 있겠느냐.

 

자기 본참공안도 그러려니와 문헌에 있는 공안이 천칠백 공안이라 그러는데 그러한 공안을 그러한 식으로 따지고 분석하고 비교하고 그래 가지고 '아! 이것이로구나' 그러한 걸 의리선(義理禪)이라 그러는데 그러한 식으로 해서 이백 개, 삼백 개 내지 오백 개, 천 개의 공안을 알아맞춘들 그럴싸한 해결을 답을 얻어낸들 그것이 참 깨달음과 무슨 소용이 있느냐 그말이여.

 

그렇게 따져서 알 수 있는 것이라면 날마다 공안을 따져서 분석하는 무슨 법회를 열어 가지고 계속 날마다 공안을 풀어서 아르켜주면 그까짓 것 1년 걸려서 천칠백 공안을 따지기로 한다면 그거 못할 거 없는데, 그냥 도인(道人)이 막 쏟아져 나올 것 같지만 그렇게 해 봤자 무슨 소용이 있느냐 그말이여.

 

 

<천주교 신부의 의리선(義理禪)>

 

봄엔가 인도 사람인데, 천주교 신부인데 참선을 하기 위해서 일본에 와 가지고 5년인가를 지금 선원에 있다고 그래.

그런데 그이가 말하기를 자기는 오백 개의 공안을 통과했기 때문에 천 개를 통과해야 로시, 로시는 노사(老師) '늙을 로'자, '스승 사'자—한국에서는 조실(祖室) 스님이라 그러는데 일본에서는 노사라 그래. 일본 발음으로 로시라 그러는데.

천 개를 맞추면 로시가 될텐데 자기는 아직 5백 개 밖에는 못해서 로시 자격은 못 따고 그냥 참선을 지도할 수 있는 자격만 받았다고.

 

그런데 한국에서는 그런 식으로 참선을 안 하고, 활구참선(活句參禪)을 한다고 그래서 그 활구참선에 대해서 좀 알고 싶어서 왔다 그래.

그런 사람이 있어서 한국에 어느 수도원에 수녀 몇 분과 그 인도 신부 분이 특별히 이리저리 사람을 넣어서 여러 차례 교섭을 해와서 안 만날라야 안 만날 수가 없어서 만났더니 그런 말을 하더라 그말이여.

한국에도 일본에 그러한 의리선이 서적도 많이 들어오고 또 거기서 그런 참선을 하다가 온 거사님네들도 있고 그래 가지고 상당히 이 일본의 의리선(義理禪)이 지금 자꾸 번져가고 있습니다.

 

지식인들은, 학식이 많은 분들은 꽉! 맥히는 화두 하나만을 가지고 계속 ‘이뭣고?’를 하라 하니 별로 재미가 없고, 와서 법회에 참석해 봤자 별로 재미있는 소리도 없고 밤낮 꽉 맥혀서 '이뭣고?'만 하라 하니 별 재미가 없다 그말이여.

그래서 의리선 일본책을 읽어보니까 아! 곧 재미가 있고, 몇 개를 읽어보니까 자기도 무슨 공안을 들어보면 자기 나름대로 가늠이 가고, 그 참 대부분의 지식인들이 학자 · 교수 그런 분들이 그러한 참선을 모다 해 가고 있는 그러한 경향이 있다는 말을 들었는데.

 

그거 해 가지고 오백 개 내지 천 개를 통과해서 로시 자격을 받으면 일본 가서는 혹 밥이라도 빌어 먹을란가 모르지마는 한국에서는 그런 참선은 소용이 없어.

설사 꽉 맥혀서 알 수 없는 의단이 독로한 채 확철대오(廓徹大悟)를 못하고 숨을 거두는 한이 있더라도, 그러한 참선을 해 가지고 무엇을 할려고 그런 참선을 할 것이냐 그말이여.

 

그런 참선 해서 공안을 열 개 내지 백 개 그것 통과하기도 그렇게 쉬운 것이 아닌 모양이야. 나 그것 통과 안 해 봐서 잘 모르지마는.

그것도 참 자기 나름대로 밤잠을 안 자고 몇번 골이 터질라다 말아야 무엇이 하나씩 터진다고 그래. 그래서 하루저녁에 한 개씩 터진 사람도 있고 그런데, 그것을 하고 나면은 아주 골이 아파서 못 견딘다고 그러는데.

 

 

<중국 검주땅 나귀란 놈 뒷발질 이야기>

 

옛날에 중국에 검주란 곳에는, 검주가 지금에 무슨 성(省)에 있는가는 모르겠는데 검주에는 나귀가 없었어. 그래서 어떤 사람이 나귀를 타고 검주 땅에를 떠억 들어갔어. 들어갔는데 사람들이 그게 무슨 짐승인지 전혀 모른다 그말이여.

 

아, 그런데 호랑이가 그 나귀를 보고 검주에는 그 나귀란 짐승이 없기 때문에 전혀 무엇인 줄 몰라. 사람들도 모다 이상하게 생각한다고 모다 수근수근 해쌋고, 호랭이도 보니까 생전 처음 보는 물건이라 그말이여. 그래서 참 겁을 집어먹고.

그 산중에서는 호랑이가 왕이라 그러는데, 아 호랑이도 처음 봐나서 영 겁을 집어먹고 있는데. 그래서 살살 이렇게 피하면서 있는데.

 

나귀란 놈이 모두 자기를 보고 무서워하고 그러니까 신바람이 났던지, 턱! 호랭이가 가까이 오니까 발길질을 했다 그말이여.

그 호랭이가 한번 채이고 보니 별로 그 뭐, 나귀한테 채였다고 호랭이가 죽것습니까? 별로 큰 충격을 안 받았어.

 

'오! 니놈이 별놈인 줄 알았더니 한번 채여 보니 너 별놈 아니로구나. 니가 가진 재주는 겨우 뒷발질하는 거밖에 없구나. 요자식 맛 좀 봐라' 손톱으로 그냥 콰악 배아지를 갖다가 찍어서 쭉 훌터 버리니까 창시가 툭 불거져 버려.

 

공안 몇 개, 의리선으로 따져서 알아 가지고 어디 가서 자기도 한소식 한 것처럼 뽐내 봤자, 전혀 그런 거 모르는 사람한테는 가서 그것이 통할란지 모르지만, 환히 알고 보고 있는 사람 앞에 가서 나귀란 놈 검주땅에 가서 뒷발질하듯이 한바탕 차 봤자 제 살림만 드러나거든.

어디 가서 밥 빌어먹을 짓이 없어서 의리선으로, 의리로 공안 몇 개 따져서 그것 해 가지고 자기도 깨달은 것처럼 뽐내 봤자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23분8초~40분 38초)

 

 

 

 

 

(2)------------------

 

<나귀 오줌을 우유인 줄 알고 먹은 이야기>

 

어떤 마을에서 생전 우유를—거기는 또 소가 없었던지, 젖 짜는 소가 없어 우유를 맛을 몰랐는데. 어떤 사람이 와서 우유를 먹으면, 암소를 키우면 그 젖을 먹으면 여러 사람이 먹고 영양을 섭취할 수 있고 달고 맛이 있다고 자랑을 하는데.

온 마을 사람들이 의논을 해 가지고 돈을 모아서 구장과 몇 사람 대표를 뽑아 가지고 젖 짜는 소를 사오라고 보냈어.

 

여기저기 돌아다녀봤자 이 사람 보고 물어봐도 모르고 저 사람 보고 물어봐도 모르고. 어떤 사기꾼을 만났던지 젖 짜는 소를 물으니까, 마치 그 사기꾼한테 숫나귀가 한 마리 있었어.

 

"아, 그너냐! 나한테 그 젖 짜는 소가 있는데 참 젖이 많이 나온다"고. "돈을 얼마나 가져 왔냐?"고.

"삼백 냥을 가져 왔다"고.

 

"그래, 삼백 냥 갖고는 도저히 안 되지만 그렇게 멀리서 왔다니, 그럼 삼백 냥만 받고 팔테니 그러면 우리 소를 가져가라"고. "처음에는 좀 짭짤하지만 오래 먹으면 참 구수하고 좋으니까, 가지고 가서 잘 먹으라"고.

그래서 숫나귀를 삼백 냥을 주고 떠억 사 가지고 왔다. 오니까 온 마을 사람들이 그것을 구경할려고 모여 들었는데, '저놈한테서 그렇게 맛있는 젖이 나온다 말이냐'고.

 

그래 가지고 쭈물떡 쭈물떡 하니까 팔뚝만한 놈이 나오는데, 한참 있으니까 쏟아지는데 몇 바깨스가 나왔다 말이야. 그놈을 온 마을 사람들이 아주 한 방울도 땅에 떨어질까 조심하면서 그놈을 먹으니까, 아 참 짭짤한 것이 생전 처음 먹어 보니 '이것이 그렇게 좋은 것이란 말이냐'고.

그래 가지고 날마다 곡식에다가 잔뜩 먹여 놓으니까, 이놈이 또 물을 갖다주면 몇 바께스씩 들이키고 눈 것이 오줌만 나와.

 

그런데 그 마을 사람들은 우유가 무엇인 줄을 모르니까, 나귀 오줌을 우유인 줄 알고 여러 달 동안을 먹었다 그말이여.

 

그 집 마을에 딸을 여워서 사돈네가 왔는데, 사돈네가 왔다고 특별히 집안 식구 안 먹고 우유를 대접을 했는데 그 되게 자랑을 했어.

"우리 마을에는 이런 좋은 것이 있다"고. "사돈이 오시니 일부러 대접을 하니 좀 잡숴보라"고.

 

맛을 보니까 고약하거든. "어디 그 소 좀 구경할 수가 없느냐?"고.

"이거 함부로 구경 못 시키는데 사돈이 오셨으니까 내가 특별히 구경을 시킨다"고. "절대 잡인을 금지 한다"고.

 

가서 보니까 나귀를 갖다 놓고 그러거든. "이것은 소가 아니라고. 이건 나귀라고 하는 것이라"고.

곧이를 안 들어. "사돈이 아직 소를 구경을 못 하셔서 그러실 거라"고. "이건 흔한 것이 아니라"고. "참 수백 냥을 주고도 구하기 어려운 것인데 사돈이 몰라서 그런 것이라"고. 상대를 안 해 버려.

 

서울 구경 안 한 사람이 서울 구경한 사람보다 더.... 서울 구경한 사람이 진다고.

'남대문 문턱이 있느냐, 없느냐?' 아마 여러분 가운데에도 남대문 문턱이 있는가 없는가, 확실히 아시는 분이 아마 적지 않을까 싶습니다, 서울에 사셔도.

 

시골 사람은 다 알고 있어. 서울에 안 와 본 사람은 다 알고 있는데, 서울에서 몇십 년을 살아도 서울 남대문 문턱이 있는가 없는가 그걸 모르거든.

소젖을 먹어 보지 아니한 사람은, 이미 사기꾼한테 나귀의 오줌이 소젖이라고 한번 깊이 선입관(先入觀)이 들어버리면 실지 소젖 먹은 사람 말을 안 듣거든.

 

아마 불법(佛法)도 최상승법(最上乘法), 정법(正法)을 만나기 전에 자기 나름대로 소승법 중승법에 설하신 방편법(方便法)에 이미 깊이 물들어버리면 최상승법 일러 주어도 잘 믿지 않습니다. 여간해서 이 최상승법은 믿기가 어렵습니다.

 

설사 ‘법문 들으러 가자’고, ‘최상승법을 믿어야지 그런 방편설에 떨어져서 그래서는 안된다’고. 마지 못해서 친구나 사돈에 끌려서 와서 들어보면, 오늘은 내가 특별히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지만 별로 들어봤자 별 재미있는 소리 안 하거든요.

와서 한 번 두 번 들어보고 잠만 오고 그러니까는 ‘아이고, 나 바쁘다’고 핑계대고 안 와 버린다 그말이여.

 

'이런 말이 설마 경전에 있을까? 아마 송담 스님이 지어내서 저런 얘기를 하지 않은가?'하실는지 모르지만 『백유경(百喩經)』에 분명히 이 설화가 들어있거든요.

여러분은 다행히 이 최상승법을 믿고 이 법당 가득히 이렇게 운집(雲集)을 하셨어. 아마 그전에 언젠가도 내 이 설화를 말씀드린 기억이 있지만 오늘은 내가 특별히 다시 한번 말씀을 드렸어.

 

최상승법을 믿기도 어렵고, 듣기도 어렵고 또 그것을 중단하지 않고 끝까지 실천을 하기는 더욱 어렵고.

 

듣기도 어렵지마는 듣고 또 믿기 어려운데 믿었다 하더라도 조금 해 보다가 별 재미가 없으면은 중단해 버린 사람이 있거든.

중단하지 아니하고 끝까지 해 나간 분이라면 그분은 이미 보통 분이 아니여. 숙세(宿世)로부터 이 최상승법에 깊이 인연을 심고 심어서 삼생(三生) 이내에—금생에 인연이 성숙한 분은 금생에 깨달을 수도 있고, 아무리 늦어도 삼생 안에는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리라고 나는 확신하는 것입니다.

 

삼생은 꼭 이 몸뚱이가 죽었다가 또 태어나고, 또 한평생 살다가 공부하다가 죽어서 또 태어나고 한 그런 삼생도 포함되지만, 한 생각 한 생각을 한 죽음으로 생각하고 새로 태어남으로 생각한다면은 삼생은 그렇게 먼 것이 아닙니다.

 

일념즉시무량겁(一念卽是無量劫)이요 무량원겁(無量遠劫)이 즉일념(卽一念)이다. ‘한 생각’이 곧 무량겁이고, 무량원겁이 곧 이 ‘한 생각’이거든.

그래서 일초즉입여래지(一超卽入如來地)라. 한번 뛰어 가지고 여래(如來)의 경지(境地)에 들어간다.

 

아미타경(阿彌陀經)에는 십팔만(십만팔천) 국토를 서방(西方)으로 가야 극락세계(極樂世界)가 있다. 그렇게 표현을 하셨지만.

육신보살(肉身菩薩)인, 아까 전강 조실 스님께서 말씀하신 그 육조혜능 선사는—가섭존자, 아란존자, 상나화수 그래서 인도에 달마 스님까지 28조, 그래 가지고 달마대사가 중국으로 건너오셔서 2조 혜가, 3조 승찬, 4조 도신, 5조 홍인, 그리고 아까 6조 혜능선사 그래서 육조 스님까지 33대 그래서 삽삼조사(卅三祖師)라 그러는데, 삽삼조사는 부처님으로부터 단전(單傳)으로, 홑으로 홑으로 법등(法燈)을 전해서 끊이지 않도록 하라고 하는 특별 수기(授記)를 받으신 분의 한 분이시거든.

 

그 육신보살(肉身菩薩)이신 육조 스님은 그 십팔만(십만팔천) 국토를 어떻게 해석을 하셨냐 하면은 첫째, 십만 국토는 우리가 십악참회를 하는 십악(十惡)을 돌려서 십선(十善)을 닦음으로 해서 십만 국토는 건너가고, 여덟 가지 삿된 것을 뒤집어서 팔정도를 닦으면은 팔만(팔천) 국토를 건너간다.

다시 말하면 십악팔사(十惡八邪)를 행하지 말고 십선(十善)과 팔정도(八正道)를 행함으로 해서, 십팔만(십만팔천) 국토를 건너가서 ‘참나’를 깨달으는 극락정토에 도달한다.

 

그래서 십팔만(십만팔천) 국토를 서쪽으로 간다고 하면 그 서쪽은 무엇이냐? 서쪽은 계절로 말하면 가을인데, 가을은 결실의 계절이여. 그래서 십만팔천 국토인 십악팔사(十惡八邪)를 건너뜀으로 해서 결과적으로 깨달음을 얻으면 그것이 바로 극락세계다.

이렇게 아주 최상승적으로 현대인 누구라도 납득할 수 있도록 그렇게 해석을 해주셨습니다.

 

그러면 아미타경에 있는 말씀은 거짓말이냐 하면, 그것은 그것대로 거기에 맞는 그 근기(根機)의 중생에게는 그것은 그것대로 진실이죠.

최상승법을 믿는 최상승 근기에는 육조 스님의 해석이 너무나도 핍절(逼切)하고 간절한 해석이라고 말할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 이 자리에 참석하신 사부대중 여러분은 십악팔사(十惡八邪)가 무엇입니까?

한마디로 말해서 우리의 중생심(衆生心), 십악팔사는 중생심으로 행하는 것이고—한 생각 일어나 가지고 눈을 통해서 작용하고 귀로 작용하고 코, 혀, 몸뚱이로 작용하고 우리의 생각으로 작용하는데, 한 생각 일어나 가지고 십악팔사를 행하게 되는데,

그 한 생각 일어나 가지고 십악팔사로 벌어지기 전에 일어나자마자 ‘이뭣고?’ 탁! 돌이키면, 1초 간에 십악팔사를 끊어서 십만팔천 국토를 건너가는 것이거든.

 

아무리 그 동안에 많이 잡수어서, 길이 들어서 애착심이 갈는지 모르지만 나귀 오줌을 그리 오래 잡술 것이 못됩니다. 탁! 끊어버려야지. 탁! 끊어버리고 최상승법 ‘이뭣고?’로 딱 돌아와야지. 속담에 ‘오뉴월 뙤약볕도 쬐다가 안 쬐면은 서운하다’고 그런 말도 있읍니다마는.

 

‘이뭣고?’ 천하에 간단하고 천하에 빠른 것이거든. 한번에 십만팔천 국토를 건너가니 그 이상 빠른, 아무리 지금 로케트가 빠르다고 해도 비교가 되겠습니까?

 

과학 무기가 발전을 해서 참 살기가 편리하게 되었지만, 편리하게 된 것과 인류가 행복하고 평화로운 것과는 전혀 다른 것입니다. 과학 문명이 발달해서 편리하기는 할지언정 조금도 행복해지지를 못했습니다. 조금도 평화로워지지도 못했습니다.

온 세계가 최상승법을 믿어야만 세계의 평화는 오고야 말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부터 열심히 해야 합니다.

 

한 사람이 믿고 실천하고 깨달음을 얻음으로 해서 법계(法界)가 깨달음의 세계로 변하는 것입니다. 『원각경(圓覺經)』에 ‘한 마음이 청정(淸淨)하면 법계가 청정하다’고 하는 말씀이 바로 이 소식인 것입니다.

 

한 사람이 깨달으면 어떻게 법계가 청정해지겠습니까? 법계는 ‘한마음’이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모든 사람이 자기 한 사람을 다 소중하게 생각합니다. 소중하게 생각한다면 최상승법을 믿고 깨달음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진짜 우유를 마셔야 할 것입니다.(40분45초~58분42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부처 ; ‘부처’에 해당하는 산스크리트어, 팔리어는 buddha이다. 이 buddha의 온전한 음사어는 불타(佛陀·佛馱), 부도(浮圖·浮屠), 부타(浮陀), 부두(浮頭), 발타(勃陀·馞陀), 몰타(沒駄) 등이 있다. 각자(覺者), 지자(知者), 각(覺)으로 한역. 불타(佛陀)라는 말이 순우리말로 ‘부텨’라고 읽히고 이 말이 점차 변하여 ‘부처’가 되었다. 보통 경칭어미를 붙여 ‘부처님’이라 한다.

궁극적인 진리를 깨달은 사람이라는 뜻이며, 가장 크고 높고 참된 이치를 자기가 깨치고[自覺] 남들까지 깨치게 하여[覺他], 그 지혜와 복이 끝없이 원만하고 이치와 일에 두루 걸림없고[覺行圓滿], 등정각(等正覺)을 성취한 이를 말한다. 그 참 이치를 가르쳐서 누구나 부처가 되고, 어디나 밝고 깨끗하고 평등하고 싸움 없는 세상이 되게 하는 것이 부처님의 가르치심 곧 불교(佛敎)다.

*님(임) ; 사모하는 사람. ‘님’은 ‘임’의 옛말.

*아미타불(阿彌陀佛) ; 대승불교에서 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세계에 머물면서 법(法)을 설하는 부처님.

<정토 3부경>에 있는 이 부처님의 역사는, 오랜 옛적 과거세에 세자재왕불(世自在王佛 Lokesvararaja-Buddha)의 감화를 받은 법장비구(法藏比丘 Dharmakara)가 2백 10억의 많은 국토에서 훌륭한 나라를 택하여 이상국을 건설하기로 기원하였다.

또 48원(願)을 세워 자기와 남들이 함께 성불하기를 소원하면서 오랜 겁을 수행한 결과 지금부터 10겁 이전에 그 원행(願行)이 성취되어 아미타불이 되었다. 줄여서 미타(彌陀).

의역하면 무량광불(無量光佛 Amitabha Buddha - 무한한 공간에 꽉 차 있어서 안팎과 갓이 없는 빛의 부처님), 무량수불(無量壽佛 Amitayus Buddha - 무한한 시간에 뻗치어서 끝없는 생명의 부처님).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간화선(看話禪) ; 화(話)는 화두(話頭)의 준말이다. 간화(看話)는 ‘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을 본다[看]’는 말로써,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이 화두를 관(觀)해서, 화두를 통해서 확철대오하는 간화선을 전강 조실스님과 송담스님께서는 ‘최상승법(最上乘法)’ ‘활구참선(活句參禪)’이라고 말씀하신다.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한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화엄경에는 ‘부처님과, 우리 중생의 마음과, 또 이 육도법계(六道法界)에 한량없는 모든 중생이 조금도 차별이 없다’ 하셨어' ; 삼무차별(三無差別). 마음[心]과 부처[佛]와 중생(衆生) 세 가지가 평등하여 차별이 없음을 나타낸 말. 삼법무차(三法無差)라고도 한다.

[참고] 60권본 『화엄경(華嚴經)』 불타발타라 역(佛馱跋陀羅 譯) 제10권, 제16 야마천궁보살설게품(夜摩天宮菩薩說偈品)에서.

心如工畫師 畫種種五陰 一切世界中 無法而不造 如心佛亦爾 如佛衆生然 心佛及衆生 是三無差別

 

마음은 (빛깔을 능수능란하게 다루는) 화가와 같이 갖가지 오음으로 그림을 그리니, 일체의 세계 속에서 짓지 못하는 법이 없네. 마음과 같이 부처 또한 그러하고 부처와 같이 중생 또한 그러하니, 마음 · 부처 · 중생, 이 세 가지는 차별이 없다.

 

[참고] 60권본 『화엄경(華嚴經)』 불타발타라 역(佛馱跋陀羅 譯) 제10권, 제16 야마천궁보살설게품(夜摩天宮菩薩說偈品)에서.

爾時 如來林菩薩承佛神力 普觀十方 以偈頌曰:

譬如工畫師 分布諸彩色 虛妄取異色 四大無差別 四大非彩色 彩色非四大 不離四大體 而別有彩色

心非彩畫色 彩畫色非心 離心無畫色 離畫色無心 彼心不常住 無量難思議 顯現一切色 各各不相知

猶如工畫師 不能知畫心 當知一切法 其性亦如是 心如工畫師 畫種種五陰 一切世界中 無法而不造

如心佛亦爾 如佛衆生然 心佛及衆生 是三無差別 諸佛悉了知 一切從心轉 若能如是解 彼人見眞佛

心亦非是身 身亦非是心 作一切佛事 自在未曾有 若人欲求知 三世一切佛 應當如是觀 心造諸如來.

 

[참고] 80권본 『화엄경(華嚴經)』 실차난타(實叉難陀 制譯) 제19권 ‘제20 야마궁중게찬품(夜摩宮中偈讚品)’에서 각림보살(覺林菩薩) 송(頌). 『대방광불화엄경 강설(19권)』 (여천 무비 강설 | 담앤북스) p133~142 참고.

爾時 覺林菩薩承佛威力 遍觀十方而說頌言 譬如工畵師 分布諸彩色 虛妄取異相 大種無差別 大種中無色 色中無大種 亦不離大種 而有色可得

 

그때에 각림보살이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 시방세계를 두루 관찰하고 게송으로 말하였습니다. 비유하면 마치 그림을 그리는 화가가 여러 가지 색을 칠해 가면서 허망하게 여러 모양을 그리지마는 대종(大種 물감의 요소)은 차별이 없느니라. 대종 가운데 빛깔이 없고 빛깔 중에 대종이 없지만 그러나 또한 대종을 떠나서 빛깔을 찾을 수도 없느니라.

 

心中無彩畵 彩畵中無心 然不離於心 有彩畵可得 彼心恒不住 無量難思議 示現一切色 各各不相知 譬如工畵師 不能知自心 而由心故畵 諸法性如是 心如工畵師 能畵諸世間 五蘊悉從生 無法而不造

 

마음속에 그림이 없고 그림 속에 마음이 없지만 그러나 마음을 떠나서 그림을 찾을 수 없도다. 저 마음 항상 머물지 않고 한량없고 헤아릴 수도 없어 일체 빛깔을 나타내 보이지만 각각 서로 알지 못하도다.

비유하자면 마치 그림을 그리는 화가가 자기의 마음을 알지 못하지만 마음으로 그림을 그리나니 모든 법의 성품도 그러하도다. 마음은 화가와 같아서 모든 세간을 그려 내나니 오온이 마음 따라 생기어서 무슨 법이나 못 짓는 것 없도다.

 

 

如心佛亦爾 如佛衆生然 應知佛與心 體性皆無盡 若人知心行 普造諸世間 是人則見佛 了佛眞實性 心不住於身 身亦不住心 而能作佛事 自在未曾有 若人欲了知 三世一切佛 應觀法界性 一切唯心造

 

마음과 같이 부처도 또한 그러하고 부처와 같이 중생도 그러하니 응당히 알라. 부처나 마음이나 그 성품 모두 다함이 없도다. 만약 어떤 사람이 마음의 작용이 모든 세간을 다 짓는 줄을 안다면 이 사람은 부처를 보아 부처의 참 성품 알게 되리라.

마음이 몸에 머물지 않고 몸도 또한 마음에 머물지 않지만 모든 불사(佛事)를 능히 지어 자재함이 미증유(未曾有)하니라. 만일 어떤 사람이 삼세(三世)의 일체 부처님을 알고자 하면 마땅히 법계의 본바탕[性]이 일체가 오직 마음으로 된 줄을 관찰하라.

 

*육도법계(六道法界) ; 육도(六道)의 세계. 육도(六道,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

*삼계(三界) ; 불교의 세계관으로 중생이 왕래하고 거주하는 세 가지 미혹한 세계. 중생이 태어나서 죽어 윤회하는 영역으로서의 세개의 세계. 중생의 마음과 생존 상태를 세 단계로 나눈 것.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를 이른다.

*별(別) ; [주로 ‘없다’, ‘아니다’ 따위의 부정어나 부정적인 의미의 명사 등과 함께 쓰여]보통과 다르게 별나거나 특별한.

*사바세계(娑婆世界) ; 고뇌를 참고 견디지 않으면 안되는 괴로움이 많은 이 세계. 현실의 세계. 인토(忍土) · 감인토(堪忍土) · 인계(忍界)라고 한역. 석가모니 부처님이 나타나 중생들을 교화하는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가 모두 사바세계이다.

*고해(苦海) ; 중생이 태어나서 죽어 윤회하는 영역으로서의 세 개의 세계, 삼계(三界 : 욕계欲界 · 색계色界 · 무색계無色界)에서 생사의 괴로움이 무한하므로 바다에 비유함.

*말세(末世 끝 말/세상 세) ; ①도덕, 풍속, 정치 등의 모든 사회 질서와 정신이 매우 타락하고 쇠퇴하여 끝판에 이른 세상. ②석존입멸후 오백 년을 정법(正法)의 세상, 그 다음 천 년을 상법(像法)의 세상, 그 후의 일만 년을 말법(末法)의 세상이라고 한다. 구체적인 시기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곧 불멸(佛滅) 후 오랜 기간을 지나 부처님의 가르침이 쇠퇴하는 시기.

*투쟁견고(鬪諍堅固 싸움 투/다툴 쟁/굳을 견/굳을 고) ; 석가모니 부처님이 열반하신 후 이천오백 년을 불법(佛法)의 성쇠(盛衰)에 따라 나눈 다섯 시기 가운데 다섯 번째 시기. 수행승들이 자기 주장만 옳다고 싸워 불법이 자취를 감추는 시기이다.

*오탁악세(五濁惡世 다섯 오/흐릴 탁/악할 악/세상 세) ; 명탁(命濁), 중생탁(衆生濁), 번뇌탁(煩惱濁), 견탁(見濁), 겁탁(劫濁)의 다섯 가지 더러운 것으로 가득찬 죄악의 세상.

[참고] ①명탁(命濁) : 말세가 다가와 악업(惡業)이 늘어감에 따라 사람의 목숨이 점차 짧아져 백년을 채우기 어려움을 이른다.

②중생탁(衆生濁) : 중생이 죄가 많아서 올바른 도리를 알지 못하는 것을 이른다.

③번뇌탁(煩惱濁) : 번뇌로 인하여 마음이 더럽혀지는 것을 이른다.

④견탁(見濁) : 그릇된 견해나 사악한 사상이 만연해지는 것을 이른다.

⑤겁탁(劫濁) : 기근과 전쟁과 질병 등의 재앙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시대.

*극락세계(極樂世界) :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 괴로움과 걱정이 없는 지극히[極] 안락[樂]하고 자유로운 세상[世界]이다. 안양(安養), 안락국(安樂國),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무량수불토(無量壽佛土), 무량광명토(無量光明土), 무량청정토(無量淸淨土)라고도 함.

*적광토(寂光土) ; 상적광토(常寂光土). 상적광(常寂光). 법신불(法身佛)이 머무르는[住] 정토(淨土).

상적광토는 이상(理想)과 현실(現實), 정(靜:寂)과 동(動:光)의 본래(本來:常) 일체(一體)인 세계로 그것은 여기와 저기, 차안(此岸)과 피안(彼岸)을 넘어 체득되는 참된 절대계(絕對界)이고, 상주(常住)의 정토(淨土)이다.

*이십팔천(二十八天) ; 삼계제천(三界諸天)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곧, 욕계(慾界)의 육천(六天)과 색계(色界)의 십팔천(十八天)에 무색계(無色界)의 사천(四天)을 합친 스물여덟 개의 하늘이다.

*발심(發心) ; ①위없는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菩提心]을 일으킴[發]. ②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초발의(初發意), 신발의(新發意), 신발심(新發心), 초심(初心), 발의(發意) 등이라고도 한다. 갖추어서 발기보리심(發起菩提心),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

보리심은 모든 부처님이 부처님이 될 수 있었던 바탕이 되는 종자이고 청정한 법이 자라날 수 있는 좋은 밭이기 때문에 , 이 마음을 발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면 속히 위없는 보리를 증득한다.

*불자(佛子) : 부처님의 자녀라는 뜻이다. 불법(佛法)을 믿는 이면 모두 불자가 된다. 그것은 부처님 법에서 새로운 생명을 얻었기 때문이며 부처님의 혜명(慧命)을 이어가고, 법(法)의 집과 법(法)의 재산을 상속받게 되는 까닭이다.

또한 모든 중생을 다 불자라고 하는데, 그것은 어떤 중생이나 모두 부처의 성품(佛性)이 있어서, 그것이 부처의 씨가 되고, 지혜는 어머니가 되며 부처님은 아버지가 되어, 필경에는 반드시 성불(成佛)하게 된다.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에는 불자에 다섯 가지 뜻이 있다고 하였다. ①믿음이 종자가 되고 ②지혜는 어머니가 되고 ③선정은 태(胎)가 되고 ④자비심(慈悲心)은 유모가 되고 ⑤부처님은 아버지가 된다.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화두는 「말」이란 뜻인데, 두(頭)는 거저 들어가는 어조사다。「곡식을 보고 땅을 알고, 말을 듣고 사람을 안다」는 옛말이 있다. 도(道)를 판단하고 이치를 가르치는 법말 • 참말을 화두라고 한다.

또는 공안이라고 하는 것은 「관청의 공문서」란 뜻인데, 천하의 정사를 바르게 하려면, 반드시 법이 있어야 하고 법을 밝히려면 공문이 필요하다。부처님이나 조사들의 기연(機緣), 다시 말하면 진리를 똑바로 가르친 말이나 몸짓이나 또는 어떠한 방법을 막론하고 그것은 모두 이치세계의 바른 법령(法令)인 것이다. 그러므로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열가지 병이 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거각(擧却 들 거/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화두를 든다’ ‘화두를 거각한다’는 말은 자신의 본참화두를 들 때 알 수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그 알 수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하는 것이다.

[참고] 송담스님 세등선원(No.09)—병진년 동안거 결제중 법어(76.12.26)에서.

화두를 먼저 이마로 의심을 하지 말고, 이 화두를—호흡하는데 배꼽 밑[丹田]에 숨을 들어마시면은 배가 볼록해지고 숨을 내쉬면은 배가 홀쪽해지는데, 그 배가 빵빵해졌다 홀쪽해졌다 하는 거기에다가 화두를 들고 ‘이뭣고~?’ ‘알 수 없는 생각’ 관(觀)하는 그것이 화두를 드는 것이여.

*의단(疑團 의심할 의/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의심(疑心) :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해 ‘알 수 없는 생각’에 콱 막히는 것.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또는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또는 ‘조주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바른 깨달음은 알 수 없는 의단, 알 수 없는 의심에 꽉 막힌 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뭣고(是甚麼 시심마) : ‘이뭣고? 화두’는 천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어떤 일이 일어난 그 자리)를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 ‘이것이 무엇인고?’ 이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 ‘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는 일곱 자(字)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이, 뭣, 고’ 석 자(字)이다. ‘이뭣고?(이뭐꼬)'는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그 뜻은 그 속에 다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을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 왔다.

*해탈(解脫) : [범] Vimoksa  [팔] Vimutti  음을 따라 비목차(毘木叉) • 비목저(毘木底) • 목저(木底)라고 한다。모든 번뇌의 속박을 끊어 버리고 온갖 고통에서 벗어난다는 뜻이므로, 도탈(度脫) 혹은 자유자재(自由自在)라고도 한다. 열반은 불교 구경(究竟)의 이상으로써 여러가지 속박에서 벗어난 상태이므로 곧 해탈이라고도 할 수 있다.

*찰나(剎那 절•짧은시간 찰/어찌 나) ; 지극히 짧은 시간. 75분의 1초에 해당한다.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의/덩어리 단/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공안, 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가 홀로[獨] 드러나다[露].

*깨달음 ; 각(覺). 법(法)의 실체와 마음의 근원을 깨달아 앎. 지혜의 체득.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을 깨달음.

*법(法) ; (산스크리트) dharma, (팔리) dhamma의 한역(漢譯). ①진리. 진실의 이법(理法). ②선(善). 올바른 것. 공덕. ③부처님의 가르침. ④이법(理法)으로서의 연기(緣起)를 가리킴. ⑤본성. ⑥의(意)의 대상. 의식에 드러난 현상. 인식 작용. 의식 작용. 인식 내용. 의식 내용. 마음의 모든 생각. 생각.

*사량분별(思量分別) : 사량복탁(思量卜度), 사량계교(思量計較)와 같은 말。 생각하고 헤아리고 점치고 따짐。 가지가지 사량분별(思量分別)로 사리(事理)를 따짐。 법화경 방편품(法華經方便品)에 「이 법은 사량분별로 능히 알 바가 아니다」라고 함.

[참고] 『몽산법어(蒙山法語)』 (용화선원刊) 박산무이선사선경어(博山無異禪師禪警語) p155~158 에서.(가로판 p149~151)

做工夫호대  不可在古人公案上하야  卜度하야  妄加解釋이니,  縱一一領畧得過라도  與自己로  沒交渉하리라.  殊不知古人의  一語一言이  如大火聚로다.  近之不得하며  觸之不得이온  何況坐臥其中耶아.  更于其中에  分大分小하며  論上論下인댄  不喪身失命者幾希리라.

 

공부를 짓되 옛사람의 공안에 대하야 헤아려[卜度] 망령되이 해석을 붙이지 말지니, 비록 낱낱이 알아낸다 할지라도 자기하고는 아무런 상관이 없으리라.

자못 고인의 한 말씀 한 말씀이 마치 큰 불덩어리 같음을 알지 못하는도다。 가까이 할 수도 없고 만질 수도 없거늘 하물며 그 속에 앉았다 누웠다 하리요? 더구나 그 가운데서 크고 작음을 분별하며 위라 아래라 따진다면, 생명을 잃지 않을 자 거의 없으리라。

 

做工夫人은  不可尋文逐句하며  記言記語니,  不但無益이라  與工夫로  作障礙하야  眞實工夫가  返成緣慮하리니,  欲得心行處絕인들  豈可得乎아

 

 공부 지어 가는 사람은 문구(文句)를 찾아 좇지 말며 말이나 어록을 기억하지 말지니, 아무 이익이 없을 뿐 아니라 공부에 장애가 되어서 진실한 공부가 도리어 망상의 실마리가 되리니, 마음의 자취가 끊어지기[心行處絕]를 바란들 어찌 가히 될 수 있으랴?

 

做工夫호대 最怕比量이니, 將心湊泊하면 與道轉遠하리니, 做到彌勒下生去라도 管取沒交渉하리라. 若是疑情이 頓發的漢子인댄 如坐在*鐵壁銀山之中하야  只要得個活路이니, 不得箇活路면  如何得安穩去리요  但恁麼做去하야  時節이  到來하면  自有箇倒斷하리라

 

 공부를 지어 가되 가장 두려운 것은 비교하여 헤아리는 것[比量]이니, 마음을 가져 머뭇거리면 도(道)와 더불어 더욱 멀어지리니, 미륵불이 하생할 때까지 공부를 할지라도 아무 소용이 없으리라.

만약 의정이 몰록 발한[頓發] 사람일진댄 마치 철벽(鐵壁)이나 은산(銀山) 속에 들어앉아서 다만 살 길[活路]을 찾는 것같이 할지니, 살 길을 찾지 못하면 어찌 편안히 지내가리오? 다만 이와같이 지어 가서 시절이 오면 저절로 끝장이 나리라.

*본참공안(本參公案) : 본참화두(本參話頭).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천칠백 공안(千七百 公案) ;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에 천칠백일 명의 인물들이 보여준 기연어구(機緣語句, 깨달음을 이루는 기연에 주고받은 말과 경전·어록의 글)를 수록하고 있는 것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의리선(義理禪) ; 말이나 글로 해석하고 설명하는 선. 이런 의리선(義理禪)은 ‘사구참선(死句參禪)’이라,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해석하고 설명해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衆生心)이요 사량심(思量心)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도인(道人) ; ①불도(佛道)를 수행하여 깨달은 사람. ②불도(佛道)에 따라 수행하는 사람.

*조실(祖室) ; 선원의 가장 높은 자리로 수행인을 교화하고 참선을 지도하는 스님.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본참공안]를 받아서,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천칠백 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을 깨달음.

*<중국 검주땅 나귀란 놈 뒷발질 이야기> ; 검려지기(黔驢之技 검을 검/나귀 려/갈 지/재주 기) ; 검주(黔州)에 사는 당나귀[驢]의 재주[技]. ①보잘것없는 재주와 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②자신이 솜씨와 힘이 없음을 모르고 뽐내다가 오히려 화를 자초하는 것을 비유한 말.

당송8대가의 한 사람인 유종원(柳宗元 773~819)의 『유하동집(柳河東集)』 제19권 '삼계편(三戒篇)'의 우화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이다. 검려(黔驢), 검려기궁(黔驢技窮)도 같은 뜻의 말이다.

 

[참고] 『유하동집(柳河東集)』 제19권 「삼계편(三戒篇)」 '검지려(黔之驢)'

黔無驢 有好事者船載以入 至則無可用 放之山下 虎見之 龐然大物也 以爲神 蔽林間窺之 稍出近之 憖憖然莫相知 他日 驢一鳴 虎大駭遠遁 以爲且噬已也 甚恐 然往來視之 覺無異能者 益習其聲 又近出前後 終不敢搏

 

검주(黔州)에는 당나귀가 없었다. 호기심이 많은 어떤 사람이 당나귀 한 마리를 배로 실어 왔다가 쓸모가 없자 산 아래 풀어 놓았다. 호랑이가 이 당나귀의 큼직한 모습을 보고 신수(神獸)라고 생각하고 숲속에 몸을 숨기고 동정을 살펴보았다. 얼마 후 숲에서 나와 당나귀에 가까이 다가갔지만 도무지 무엇인지 알 수가 없었다.

다른 날 당나귀가 울어 대자 호랑이는 자기를 잡아먹으려는 줄로 생각하고 크게 놀라 멀리 도망쳤다. 하지만 왔다갔다하면서 보는 사이 특별한 능력이 없다는 것을 느끼게 되고, 그 소리에도 익숙해져 다시 앞뒤로 가까이 다가가 보았지만 끝내 건드려 보지는 못했다.

 

稍近益狎 蕩倚衝冒 驢不勝怒 蹄之 虎因喜 計之曰 技止此耳 因跳踉大㘚 斷其喉 盡其肉 乃去 噫 形之龐也類有德 聲之宏也類有能 向不出其技 虎雖猛 疑畏 卒不敢取 今若是焉 悲夫

 

점차 가까이하여 익숙해짐에 따라 이리저리 건드려 보면서 덤벼들어 보았더니 당나귀가 화를 참지 못하고 발길질을 해 댔다. 호랑이는 기뻐하며 이를 헤아려 말하기를 “재주라곤 이것뿐이로구나”하며, 크게 으르렁거리며 뛰어올라 목줄을 끊고 그 고기를 다 먹어 버리고 떠나갔다.

아, 몸집이 큰 것이 덕이 있는 듯하고, 소리가 크기로는 재능이 있는 듯하나, 애당초 그 기량을 내보이지 않았다면 호랑이가 비록 사납더라도 의심하고 두려워하여 끝내 감히 취하지 못했을 것을, 지금 이와 같으니 안타깝도다.

 

 

 

 

 

------------------(2)

 

*<나귀 오줌을 우유인 줄 알고 먹은 이야기> ; 『백유경(百喩經)』 (제4권) (존자 승가사나 찬집 尊者僧伽斯那撰, 소제 천축삼장 구나비지 한역 蕭齊天竺三藏求那毘地譯 | 한글대장경) '구려유유(搆驢乳喩)'

 

77. 나귀의 젖을 알지 못하는 비유(搆驢乳喩)

昔邊國人不識於驢 聞他說言驢乳甚美 都無識者 爾時諸人得一父驢 欲搆其乳 諍共捉之 其中有捉頭者 有捉耳者 有捉尾者 有捉腳者 復有捉器者 各欲先得於前飮之

 

옛날 변방의 어떤 나라 사람들은 나귀를 알지 못하고 다만 다른 사람들이 ‘나귀의 젖은 매우 맛나다’는 말만 들어 알고 있을 뿐이었다. 그때 그 사람들은 수나귀 한 마리를 얻어 그 젖을 짜려고 서로 다투어 붙잡았다. 그중에 어떤 이는 머리를 붙잡고 어떤 이는 귀를 붙잡고 어떤 이는 꼬리를 붙잡고 어떤 이는 다리를 붙잡고 또 어떤 이는 생식기를 붙잡고서 제각기 먼저 젖을 짜 마시려고 하였다.

 

中捉驢根謂呼是乳 卽便搆之望得其乳 衆人疲厭都無所得 徒自勞苦空無所獲 爲一切世人之所蚩笑

 

그중에 나귀의 생식기를 붙잡은 사람이 외쳤다. “이것이 젖이다” 그러자 그들은 서로 그것을 짜면서 젖이 나오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그들은 지치기만 하고 아무것도 얻지 못하였고 한낱 헛수고만 하였다. 그렇게 아무것도 얻지 못하자 모든 세상 사람들의 비웃음을 받았다.

 

外道凡夫亦復如是 聞說於道不應求處 妄生想念 起種種邪見 裸形自餓投巖赴火 以是邪見墮於惡道 如彼愚人妄求於乳

 

외도(外道)의 범부들도 이와 같아서 도(道)라는 말을 듣고는 꼭 구할 수 있는 곳에서 구하지 않고, 망령되게 잡생각[想念]을 내고 갖가지 삿된 견해[邪見]를 일으켜 벌거벗고 나다니기도 하고, 스스로 굶기도 하며 혹은 높은 바위에 올라가 몸을 던지기도 하고, 불에 몸을 던지기도 한다. 그리하여 삿된 견해 때문에 나쁜 세계[惡道]에 떨어지니, 마치 어리석은 사람들이 망령되이 젖을 구하는 것과 같다.

 

*바께스 ; 영어 'bucket'의 일본어 발음. 양동이(洋-- 한 손으로 들 수 있도록 손잡이를 단 들통).

*선입관(先入觀 먼저 선/들 입/볼 관) ; 어떤 사람이나 사물, 또는 주의나 주장에 대하여, 직접 경험하기 전에 이미 마음속에 형성된 고정 관념이나 견해.

*방편(方便 방법·수단 방/편할 편) ; 중생을 깨달음으로 이끌어가기 위해 그때마다의 인연에 적합하게 일시적인 수단으로 설한 뛰어난 가르침. 중생 구제를 위해 그 소질에 따라 임시로 행하는 편의적인 수단과 방법.

곧 불보살이 중생의 근기에 적절하게 응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법을 펼쳐 보임으로써 그들을 교화하여 이익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백유경(satavadana-sutra, 百喩經 일백 백/비유할 유/말씀 경) ; 일반 대중들에게 불교적 깨우침을 주고자 짤막한 교훈적 우화(寓話)들을 모아서 5세기 인도의 상가세나(Saṅghasena 僧伽斯那)스님이 편찬한 작품. 그의 제자 구나브리디(Guṇavṛddhi 求那毘地)가 492년에 한문으로 번역했다.

*운집(雲集 구름 운/모일 집) ; 구름[雲]처럼 모인다[集]는 뜻으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숙세(宿世 지날·묵을 숙/세상·시대 세) ; 이 세상에 태어나기 이전[宿]의 세상[世].

*일념즉시무량겁(一念卽是無量劫) ; ‘한 생각이 바로 무량겁’

통일 신라 시대에, 의상대사가 중국에서 화엄경을 연구하고 그 경의 핵심을 추려서 7언 30구(210자)의 게송으로 지은 <화엄일승법계도 華嚴一乘法界圖> 또는 <법성게 法性偈>에 나오는 구절.

無量遠劫卽一念   一念卽是無量劫 (무량원겁즉일념  일념즉시무량겁) 한량없는 오랜 세월이 한 생각 찰나요, 찰나의 한 생각이 무량한 시간이네.

*일초직입여래지(一超直入如來地) ; ‘한 번 뛰어 여래의 경지에 바로 들어간다’

[참고] 『증도가(證道歌)』 (영가永嘉 스님)에서.

覺卽了不施功  一切有爲法不同  住相布施生天福  猶如仰箭射虛空  勢力盡箭還墜  招得來生不如意

깨닫고 나면 공(功)을 베풀지 않으니 일체 유위법(有爲法)과 같지 않다.

상(相)에 머문 보시는 천상에 나는 복이나, 마치 하늘을 향해 화살을 쏘는 것과 같다.

올라가는 힘이 다하면 화살은 다시 떨어지니, 내생(來生)에 뜻과 같지 않음을 초래하게 되리라.

 

爭似無爲實相門  一超直入如來地  但得本莫愁末  如淨琉璃貪寶月  我今解此如意珠  自利利他終不竭

어찌 무위(無爲)의 실상문에, 한 번 뛰어 여래의 경지에 바로 들어가는 것만 하겠는가.

다만 근본을 얻을지언정 지엽은 근심하지 말라. 마치 깨끗한 유리구슬 안에 보배 달을 머금은 것과 같네.

내, 이제 여의주를 아나니 나와 남을 이롭게 함에 마침내 다함이 없도다.

*여래(如來) : 부처님 10호(十號)의 하나。 범어 Tathagata의 역(譯)。 여(如)는 진여(眞如)의 뜻이니 곧 진여로부터 나타나 오신 각자(覺者)의 뜻。 또 여거여래(如去如來)의 뜻으로서 여여부동(如如不動)하게 사바세계에 오셔서 중생의 근기에 응하신 까닭에 여래(如來)라고 함。 금강경에는 좇아온 곳이 없고 또한 돌아갈 곳이 없으므로 여래라고 이름한다 했음.

*경지(境地 지경•경계 경/땅 지) ; 정신이나 몸이 도달해 있는 어떤 상태.

*아미타경(阿彌陀經) ; 중국 후진(後秦)의 구마라습(鳩摩羅什)이 한역(漢譯)한 경전. 이 경은 아미타불의 본원력(本願力)으로 이루어진 극락세계의 장엄, 아미타불의 공덕과 극락세계의 일, 그곳에 태어나기 위하여 중생이 갖추어야 할 바를 설명하고 있다. 그곳에는 수명(壽命)과 광명(光明)이 무량한 무량수불(無量壽佛), 즉 아미타불이 상주하며 설법하고 있다. 이러한 극락세계에 왕생하기 위하여 하는, 아미타불의 이름을 외우는 칭명염불(稱名念佛)이 있다.

*육신보살(肉身菩薩) ; 부모로부터 받은 육신 그대로 보살의 위치에 이른 사람.

*삽삼조사(卅三祖師) : 삼십삼세 조사(三十三世祖師). 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신 뒤에 부처님을 대신할 전 교단(敎團)의 어른을 한 분씩 정하여 내려왔다。그것은 스승되는 어른이 그 제자들 가운데서 빼어난 이를 선택하여 법(法)을 전하고, 그 증거로써 부처님의 가사와 발우(衣鉢)를 전해 주었다。그리하여 인도에서 1.가섭존자, 2.아란존자, 3.상나화수....이렇게 전승되어 28대 되는 달마대사(達摩大師)가 중국에 와서 중국의 초조(初祖)가 되고, 그로부터 2조 혜가, 3조 승찬, 4조 도신, 5조 홍인, 6조 혜능대사(慧能大師)로 내려왔는데, 위 33인의 조사를 삽삼조사라 한다.

6조 혜능에 이르러서는 불법을 대중화하기 위하여 정통(正統)으로 내려가는 전례를 폐지하고, 따라서 의발을 전하는 것도 그만두었다.

*법등(法燈) ; 부처님의 가르침. 미(迷)한 세계의 캄캄한 마음을 없애는 것을 등불에 비유한 것.

*수기(授記) ; 부처가 그 제자들에게 수행하여 얻은 깨달음의 결과로서 언제 어디서 부처가 되리라고 예언함. 또는 그 교설(敎說).

*십악(十惡) ; 몸(身)과 말(口)과 뜻(意)으로 짓는 열 가지 죄악.

몸(身) : ①살생(殺生 살아 있는 생명을 죽임) ②투도(偸盜 남의 재물을 훔침) ③사음(邪婬 삿된 음행).

말(口) : ④망어(妄語 거짓말이나 헛된 말) ⑤기어(綺語 진실이 없는, 교묘하게 꾸민 말) ⑥양설(兩舌 이간질하는 말) ⑦악구(惡口 남을 괴롭히는 나쁜 말, 욕).

뜻(意) : ⑧탐욕(貪欲 탐내어 그칠 줄 모르는 욕심) ⑨진에(瞋恚 성냄) ⑩사견(邪見 그릇된 견해).

*십선(十善) ; 십악(十惡)을 행하지 않는 일.

*팔정도(八正道) ; 깨달음과 열반으로 이끄는 수행의 올바른 여덟 가지 길. 정견(正見),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념(正念), 정정(正定), 정사유(正思惟), 정정진(正精進). 팔성도(八聖道)를 이른다.

*근기(根機 뿌리 근/베틀 기) ;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들일 수 있는 중생의 소질이나 근성. 보통 근기의 차등을 상근기, 중근기, 하근기로 구분한다.

*핍절하다(逼切-- 핍박할·가까이할·몰 핍/정성스러울·절박할 절) ; 진실하여 거짓이 없고 매우 간절하다.

*중생심(衆生心) ; ①번뇌에 얽매인 미혹한 존재(중생)가 일으키는 미혹한 마음. ②중생이 본디 갖추고 있는 청정한 성품. 진여심(眞如心). ③아뢰야식(阿賴耶識)을 말함.

*법계(法界) ; ①모든 현상, 전우주. ②있는 그대로의 참모습. ③진리의 세계.

*원각경(圓覺經)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당나라 때 불타다라가 번역。 대승(大乘) 원돈(圓頓)의 교리를 말함。 주로 관행(觀行)을 말하다。 주석서 종밀(宗密)의 <대소> 12권, <대초> 13권。<약소> 5권, <약초> 12권.

*청정(淸淨 맑을 청/ 깨끗할 정) ; 허물이나 번뇌가 없이 깨끗함.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