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공안)2014. 7. 29. 15:52

§(337) 화두 - 본참화두(本參話頭) / 현중현(玄中玄) 도리 - 인가(印可) - 선지식 / 대중처소, 선지식을 여의지 말고 같이 공부해야.

화두의 개념은 ‘이론으로 풀 수 없는 어떠헌 과제’인 것입니다. 문제.


현중현(玄中玄) 도리에 있어서는 아무렇게나 일러도 맞지를 않습니다. 그 공안에 여지없이 이(理)와 사(事)에 탁! 맞아떨어지게 일러야 하는 것입니다.
이 현중현 도리는 선지식이 아니면은 그것을 가려내지를 못해.


좋은 도반이 있는 대중처소(大衆處所)를 여의지 말 것이며, 바르게 지도해 주는 선지식을 여의지 아니해야 바른 깨달음을 얻을 수가 있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337)-정묘년 칠석차례(87.07.07.음)에서. (용337)


약20분.

 


이 화두라 하는 것은 다른 말로는 공안(公案)이라고도 허는데, '말씀 화(話)자, 머리 두(頭)자' '말머리'다 그러는데,  사실은 '말머리'가 아니라 '말'이라, '머리 두(頭)자'는 어조사(語助辭)로 붙은 것이고 말씀 화(話)자-화(話), 말이라 그말인데,

무엇을 두고 허는 말이냐 허면은, 「이 무엇고?」, 시심마(是甚麽) 또는 조주무자(趙州無字)라든지, 정전백수자(庭前栢樹子)라든지, 마삼근(麻三斤)이라든지, 또는 판치생모(板齒生毛)라든지, 이러헌 것을 갖다가 화두라 그러는데,

첫째 그 화두의 개념은 ‘이론으로 풀 수 없는 어떠헌 과제’인 것입니다. 문제.
그 문제는—분명히 그 문제를 깨달라야 되는데, 세속의 어떠헌 문제는 그것이 국어 문제가 되었건, 역사 문제가 되었건 또는 수학 문제가 되었건,
그런 문제는 자기가 알고 있는 모든 지식을 총동원 해 가지고, 지식과 상식과 자기가 가지고 있는 모든 실력을 총동원 해 이렇게도 따져보고 저렇게도 따져보고 해 가지고 결국은 탁! 그 답을 알아내는 것인데,

참선허는데 있어서 이 화두는 그동안에 자기가 경을 읽고 사회의 어떤 책을 읽고, 그래 가지고 알고 있는 모든 지식과 상식을 동원해 가지고 따져서 아는 것이 아니어요.

무조건 하고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가령 판치생모 화두를 가지고 공부를 허시는 분은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이렇게, 아침부터 저녁까지 오늘도 그렇게 허고 내일도 그렇게 허고,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이렇게 공부를 참구(參究)를 해 나가는 거고,

또 시심마(是甚麽) 「이뭣고?」 화두를 가지고 공부를 허신 분은 「이뭣고?」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뭣고?」 그렇게 허다가, 좀더 가깝게 간절히 다그쳐 해 나갈려면 「'이뭣고'허는 이놈이 뭣고?」 이렇게도 허고,
거기서 더 「이 '이뭣고?'헐 때 '이'허는 이놈이 뭣고?」 이렇게 참구를 해 가는데, 해 갈수록 꽉 맥혀서 알 수가 없어. 알 수 없는 그 의심 「이뭣고~?」 이렇게 해 나가는 것입니다.

이 「이뭣고?」라든지 또는 판치생모(板齒生毛)라든지 또는 무자(無字)라든지 이런 것을 통틀어서 화두(話頭)라 하는 것이여. 또 다른 이름으로는 공안(公案)이라 허기도 하는 것이다.

‘화두가 무엇이냐?’하면은, 「이뭣고?」화두를 탄 사람은 ‘「이뭣고?」입니다’ 또는 한문으로 말헐 때에는 ‘시심마(是甚麽)입니다.’ 그렇게 대답을 허는 거고,
또 ‘판치생모’화두를 탄 분은 ‘화두가 무엇이냐?’ 그러면 ‘판치생모(板齒生毛)입니다.’ 이렇게 대답을 허고,
또 ‘정전백수자’나 또는 ‘마삼근’화두를 타신 분은 ‘화두가 무엇이냐?’허면 ‘마삼근(麻三斤)입니다.’ 또는 ‘정전백수자(庭前栢樹子)입니다.’ 이렇게 대답을 헐 수가 있는 것입니다.

어느 화두를 허든지-어느 화두가 좋고 나쁘고 헌 것은 없고, 자기가 믿는 선지식(善知識)으로부터 어떤 한 화두를 탔으면 공부가 잘되거나 안 되거나 그것도 따질 것이 없고, 오직 그 한번 탄 그 화두 하나만을 꾸준히 참구를 해 가는 것입니다.

「이뭣고?」 화두를 탔는데 허다가 보면 「이뭣고?」가 잘 안되고, 조실스님 녹음 법문을 듣다가 「판치생모」화두에 대한 말씀을 듣고서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그렇게 해 보니까 저절로 의심이 잘 난 것같이 느껴진다 그말이여.

『에이! 「이뭣고?」는 안 되니까 그것 그만 두어버리고 판치생모를 해야겠다.』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하루를 해 봐도 잘되고 이틀을 해 봐도 잘되고, ‘이제 이것으로 결정을 해야것다.’

자기 나름대로 그렇게 마음을 먹고서 한 달·두 달·석 달 해보니까, 아! 다시 또 판치생모가 잘 안되고,
‘이뭣고?’ 또 「이뭣고?」를 허니까 또 공부가 잘된 것같이 느껴진다. 『에이, 그놈의 거 「이뭣고?」를 인자 해야 것다.』 ‘이뭣고?’

「이뭣고?」를 헐라고 마음을 먹으면 판치생모가 생각이 나고, 판치생모를 가지고 해보면 「이뭣고?」가 생각이 나고, 아침에는 「이뭣고?」로 좀 해 보고, 저녁에는 판치생모 좀 해 보고, 이것 입맛이 없으면 비빔밥도 먹다가 또 물에 말아 먹다가 또 그것이 맛이 없으면 수제비도 떠먹다가 라면도 끓여 먹다가, 음식은 그럴 수가 있지만,
화두는 잘된다고 이놈으로 해 보고, 화두를 한 두서너 개를 가지고 입맛대로 요놈 갖고도 해보고 저놈 갖고... 그렇게 해 가지고서는 미륵불(彌勒佛)이 하생(下生)할 때까지 이 참선을 해도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허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속담에 ‘우물을 파되 한 우물을 파라.’
한 1미터나 2미터 파 봐도 물이 안 나오면 ‘에이! 그거’ 때려 묻어 버리고 저만큼 가서 또 파고, 또 몇 자 파 봐도 안 나오면 동쪽에 가서 파 보고, 또 한 길 파 봐도 안 나오면 서쪽에 가서 파고, 그 사람은 혹 물이 한 길이나 두 길 파서 물이 나와 봤자 그 물은 건수(乾水)입니다. 장마철에 꿀꿀꿀 나오니까 ‘에이! 인자 되었다’허고, 장마만 지면 흙탕물이 나오고 가뭄이 되면 물이 안 나온다 그말이여. 그까짓 놈의 물을 어디다 쓸 것이야 그말이여.

한 길 파서 안 나오면 두 길을 파고, 두 길을 파서 안 나오면 석 길·넉 길·다섯 길·여섯 길, 한 열 길 파고 들어가면은 암반이 나와서 ‘아이고 인자 틀렸다’ 그렇게 마음을 먹을 것이 아니라, 바위가 나오면 기계를 동원을 해 가지고 그 바위도 구녁을 뚫어라 그거거든.
바위를 한 길이고 두 길이고 파고 들어가면 물이 막 펑펑 쏟아지는데 그 물은 진짜 지하수거든. 가물어도 줄지도 않고 장마가 들어도 불어나지도 않는 그러헌 물이라야 믿고 먹을 수가 있다 그말이여.

이 참선도 조금 해 봐가지고 잘되고 ‘아아! 이것이로구나’ 그러고는,
‘「이뭣고?」란 게 다른 것이 아니라 바로 이 말허는 놈이고, 성내는 놈이고, 골내는 놈이 이놈이 바로 「이뭣고?」고, 이놈이 바로 불성이고, 이놈이 바로 부처님이지 이놈 말고 무슨 부처가 있어?’
‘에이 이까짓 놈의 거, 깨닫기는 무엇을 따로 깨달을 것이 있어? 본래 깨달을 것도 없고 미(迷)할 것도 없고, 깨달을 부처도 없고 무슨 제도헐 중생도 없다고 그런 법문을 들었는데, 바로 이놈이다. 누가 나보고 욕허면 성내고, 칭찬허면 웃고, 이놈 내놓고 부처가 어디가 있어? 나도 한 소식 분명히 했다. 그러니 무슨 배가 고프면 밥 먹고, 졸리면 잠자고, 무슨 놈의 용맹정진을 따로 허며 참선을 다해. 말키 그거 중생을 속이는 놈의 소리고 미친 놈의 소리다. 내가 여태까지 속은 것이 분하다.’

그래 가지고 막 먹고 싶으면 먹고, 자고 싶으면 자고 맘대로 그래. 참 기가 맥히지. 그래 가지고 그냥 닥치는 대로 그저 욕도 허고 싶으면 허고, 그저 파계(破戒)도 허고 싶으면 허고, 그저 먹고 싶은 대로 허고, 그저 먹고 싶으면 돼야지도 잡아먹고 닭도 잡아먹고 구렁이도 잡아먹고 닥치는 대로 허고,
행동도 그저 닥치는 대로 동서남북에 앵기는 대로 그저 남의 수박도 따다 먹고, 그저 지나가다 호박도 있으면 그냥 따다가 그냥 시장갈 것도 없이 그냥 장바구니에 담아 가지고 오고, 가다가 그저 신도 떨어지면 남의 신도 신어 버리고 닥치는 대로 그렇게 지내니,
그 사람이 인물도 좋고, 구변(口辯)도 좋아서 말도 잘 허고, 학식도 있어서 모르는 것이 없고, 행동을 허면은 그냥 무애도인(無碍道人)이여. 맥힘이 없어. 아따! 그 사람, 진짜 도인은 그분이 도인이다.

누가 무슨 공안을 묻더라도 그냥 고함을 질러 버리고, 가지고 있는 몽둥이로 대갈통을 때려 버리고, 진짜 허는 행동이 맥힘이 없고 걸림이 없어. 어디를 가나 그분은 맥힘이 없고 걸림이 없으니까 욕심이 없어.
돈도 그저 주면 쓰고 그냥 백만 원을 주면 백만 원을 그냥 휘딱 먹어 써 버리고, 택시도 타고 가다가 운전사가 만 원만 달라고 허면 ‘옜다! 여기 있다’ 이만 원 더 줘 버리고. 잘못 보면은 ‘무애 도인이고 맥힘이 없고 이 세상에 도인은 그분이 도인이다.’ 이렇게 생각헐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부처님께서는 그러헌 법을 가르키시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공안(公案)이 필요헌 것입니다.

이 체중현(體中玄)으로 보면, 공(空)의 이치에서 보면 어떠헌 공안을 묻되 할(喝)을 해 버려도 맞고, 방(棒)을 해 버려도 맞고, 양구(良久)를 해 버려도 맞고, 닥치는 대로 막 잡아서 아무것이라도 일러도 다 맞을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현중현(玄中玄) 도리에 있어서는 아무렇게나 일러도 맞지를 않습니다. 그 공안에 여지없이 이(理)와 사(事)에 탁! 맞아떨어지게 일러야 하는 것입니다.

참선 한 철, 두 철 열심히 허다 보면 어지간한 사람이면 다 그 공의 이치를 보게 됩니다.
그 공의 이치, 그게 체중현(體中玄)인데, ‘체(體) 가운데에 현(玄)’-체의 이치를 보게 되면 그것이 바로 공(空)인데, 공의 이치를 보게 되면 경(經)을 봐도 모두가 그 소식입니다. 조사어록을 봐도 모두가 다 그 도리고, 조금도 맥힐 것이 없어. 환하고.

그런데 현중현(玄中玄)에서는 그렇지를 않거든.
체(體)의 이치를 본, 겨우 그 이치만 보고 현중현을 못 본 사람은 된장이나 똥이나 마찬가지여. 선과 악이 마찬가지고, 크고 작은 것이 마찬가지고, 부처와 중생이 다를 것이 없고, 내 마누라나 형수가 다 똑같고, 그저 거지나 임금이 다 똑같고, 생과 사가 똑같고, 그러니 오직 쾌활하냐 그말이여.

그러나 그것 가지고서는 부처님과 조사가 인가(印可)를 허지를 않았습니다. 그것 가지고서는 진리를 바로 봤다고 헐 수가 없어. 그것은 바른 견성(見性)이 아니여.
그래서 조사(祖師)는 현중현이라고 허는 관문(關門)을 시설을 해 가지고, 현중현 도리를 보지를 못허면 바로 보았다고 인가를 헐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현중현 도리는 선지식이 아니면은 그것을 가려내지를 못해.

자기 혼자 선지식 없이 공부를 해서 깨달랐다고 허는 사람이 모두가 다 이 체중현 도리를 가지고 허는 것이고, 자기가 본 도리가 체중현 도리 밖에는 안 되기 때문에, 그 체중현 도리 밖에 못 본 사람헌테 어떤 학자가 와서 깨달랐다고 인가를 해 달라고 허면, 체중현 도리만 본 사람은 다 인가를 허게 됩니다.
체중현 도리 밖에 못 본 것을 깨달랐다고 인가를 받게 되면, 자기도 평생 동안 체중현 도리를 가지고 살아가는 거고 또 다른 후배들이 와서 물을 때에도 체중현 도리를 본 사람은 다 옳게 알았다고 인가를 허게 됩니다.

그래서 인가 받기는 참 쉽고 인가 허기는 쉽지만, 그 사람의 일생사가 무엇이 되며, 그 사람과 인연이 있는 학자들이 과연 어떻게 될 것이냐? 불법(佛法)은 바로 여기에서 파멸(破滅)이 되어가는 것입니다.

‘불’이라 허는 것은 인류 역사가 저 원시 시대(原始時代)로부터 석기 시대(石器時代)로 이렇게 해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중요헌 발견이 ‘불’인데, 옛날에는 그 불씨를 굉장히 소중히 여겼어.

부싯돌을 쳐 가지고 불을 맨들기도 허고, 그런데 그 불씨를 없애지 아니 헐러고 참 깊이 잘 간직을 허고, 옛날에는 불씨를 남에게 주지 조차도 잘 안 헙니다. 그러면 복이 달아난다 해 가지고 안 주고, 그 불씨가 몇 대(代)를 물려가고 그러는데, 그 불이라는 것이 그렇게 소중헌데,
그 불을 잘못 가까이 허면은 화상을 입고 타 죽기도 허고 생명을 잃기도 허고 재산을 다 잃어버리기도 헙니다. 그렇다고 해서 그 불을 멀리해서 잃어버리면 또 얼어죽습니다.
겨울에 연탄을 때건 또는 기름을 때건 또는 전기를 이용허건, 무엇을 이용허건 간에 그것은 열(熱)이여. 열이기 때문에 그것은 불인데, 그 불을 잘못허면 그 불로 인해서 생명을 잃고 재산을 손실허는 거고, 그 불을 잘 이용을 허면은 그 불로 인해서 자기의 생명을 유지해 나가는 것입니다.

그러니 그 불을 어떻게 잘 멀리허지도 아니허고 가까이허지도 아니허냐? 이것은 우리의 생명에 관계되는 일인 것입니다.

범부(凡夫)가 진공(眞空)의 이치, 그 이치를 잘못 보고 그놈에 집착을 허면, 그 공에 떨어지지 아니허고 거기서 바로 나아가 가지고 묘유(妙有) 이치를 깨닫지 못하면, 꽁꽁 얼어붙은 얼음에 얼어 가지고 죽는 것이 되는 거고,
바로 이 공의 이치에서 거기에 떨어지지 아니허고, 거기서 나아가 가지고 정말 현중현(玄中玄) 도리를 바로 봐야, 그것은 선지식이 아니면 그것은 가릴 수가 없는 것이여.

그래서 이 공부는 바른 눈을 가진 선지식의 지시 없이는, 혼자 토굴에 가 가지고 밤잠을 안 자고 일종(一種)을 허면서 또는 생식을 허면서 솔잎이나 약 뿌리를 먹으면서 용맹정진을 헌다 허드라도 기껏 잘 봐봤자 공의 이치를 보는 것이고, 잘못 보면 귀신같은 것이 붙어 가지고 헛소리를 허게 되고, 미친 소리를 허기 십상팔구인 것입니다. 몸뚱이가 병들지 아니허면 정신이 미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좋은 도반이 있는 대중처소(大衆處所)를 여의지 말 것이며, 바르게 지도해 주는 선지식을 여의지 아니해야 바른 깨달음을 얻을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도 『좋은 도반, 대중과 같이 공부허는 것은 도를 다 이룬 거나 마찬가지』라고 이렇게 말씀을 허신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16분45초~36분26초)

 

 

 



---------------------

*어조사(語助辭) ; 한문에서, 실질적인 뜻은 없으면서 다른 글자의 보조로만 쓰이는 토. ‘焉’, ‘也’, ‘於’, ‘乎’ 따위가 있다.
*시심마(是甚麽), 조주무자(趙州無字), 정전백수자(庭前栢樹子), 마삼근(麻三斤), 판치생모(板齒生毛) ; 분류 ‘화두(공안)’ 참고.
*참구(參究 헤아릴 참,궁구할 구) ①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것. ②참선하여 화두(공안)을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벗.
*미륵불(彌勒佛) ; Maitreya. 번역하여 자씨(慈氏). 인도 바라나국의 바라문 출신으로 석가모니의 교화를 받고,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도솔천에 올라 천인(天人)을 위해 설법•교화하고, 석가모니 입멸 후 56억 7천만 년을 지나 다시 이 사바세계에 하생(下生)하여 화림원(華林園) 안의 용화수(龍華樹) 아래서 성불(成佛)하고, 3회의 설법으로써 석가모니세존의 교화에 빠진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고 한다.
석가모니세존의 업적을 돕는다는 뜻으로 보처(補悽)의 미륵이라 하며 현겁(現劫) 천 불의 제5불(佛).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말키 ; '말끔(조금도 남김없이 모두)'의 사투리.
*파계(破戒) ; 계(戒)를 받은 사람이 그 계율을 어김.
*무애(無碍) ; 막히거나 거칠 것이 없음.
*공안(公案) : 화두(話頭)。①정부 관청에서 확정한 법률안으로 백성이 준수해야 할 것。②선종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이것을 화두라고도 하는데 문헌에 오른 것만도 천 칠백이나 되며 황화취죽 앵음연어(黃花翠竹鶯吟燕語) — 누른 꽃, 푸른 대, 꾀꼬리 노래와 제비의 소리 등 — 자연현상도 낱낱이 공안 아님이 없다.
화두에 참구(叅句)와 참의(叅意)가 있다。이론적으로 따져 들어가는 것이 참의요 사구(死句) 참선이며, 말길 뜻길이 끊어져서 다만 그 언구만을 의심하는 것이 참구요 활구(活句) 참선이다.
*체중현(體中玄), 현중현(玄中玄) ; 임제 의현(臨濟義玄)선사가 학인을 제접하는 데 사용한 수단인 삼현(三玄-體中玄•句中玄•玄中玄)의 하나.
[참고] [三玄] 삼현
體中玄은  三世一念等이요  句中玄은  徑截言句等이요  玄中玄은  良久棒喝等이라
삼현 : 체 가운데 현(體中玄)은 삼세가 한 생각이라는 따위들이고, 구 가운데 현(句中玄)은 지름길 말들이며, 현 가운데 현(玄中玄)은 양구와 방망이와 할 같은 것들이다.
*삼현(三玄) : 임제 의현(臨濟義玄)선사가 학인을 제접하는 데 사용한 수단이다.
체중현(體中玄)은 진공(眞空)의 이치를 보는 것이라 학인이 이 이치를 보았다 하더라도 신위(信位)를 여의지 못했으므로 자유의 분(分)이 없다.
구중현(句中玄)은 뜻길이 없는 말로써 그 말에 걸리거나 막히지 않고 도리를 바로 봄을 말함.
현중현(玄中玄), 사(事)에 걸림이 없는 묘유(妙有) 곧 현중현(玄中玄)의 도리를 보아야 인가(印可)를 하는 것이다. 현중현을 용중현(用中玄)이라고도 한다. ---선가귀감(용화선원 刊) p207, p212 에서.
*이사(理事) ; ①깨달음의 진리와 차별 현상. ②본체와 차별 현상.
*인가(印可 도장 인,옳을•인정할 가) ; 스승이 제자의 깨달음을 인정함.
*조사(祖師) : ①1종1파의 선덕(先德)으로서 후세 사람들의 귀의 존경을 받는 스님。 보통은 1종1파를 세운 스님을 부르는 말。 ②선가에서는 달마스님을 말한다。 ③불심종(佛心宗)을 깨달아서 이를 전하는 행(行)과 해(解)가 상응(相應)하는 도인。
*관문(關門) ; ①다른 영역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꼭 거쳐야 할 단계. 또는 중요한 고비. ②다른 지역으로 나아가는 통로가 되는 지점. ③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세워 지나가는 사람이나 물품을 조사하는 곳. ④국경이나 요새의 성문.
*범부(凡夫 무릇•보통 범,남편•사내 부) ; 번뇌(煩惱)에 얽매여 생사(生死)를 초월하지 못하는 사람. 이생(異生) 또는 이생범부(異生凡夫)라고도 한다.
*일종(一種) ; 일종식(一種食). 하루에 한 끼만 먹는 것.
*대중처소(大衆處所) ; 많은 승려가 모여 수행하는 절.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