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 (게송)춘래동견방초록~ / 영지(靈知) 진지(眞知) 망지(妄知) / 원장(院長)이라 하는 굴레 / 불법(佛法)은 많은 말이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참선은 중생의 사량분별(思量分別)로 아는 것이 아니다. 사량분별을 통해서 아는 것은 그것은 깨닫는 것이 아니다. 팔만대장경을 다 외우고 해설을 하고 설할 줄 안다 하드라도 그것은 아는 것이지 깨달은 것이 아니다.
중생의 망령된 알음알이로 아무리 공안을 따져서 그럴듯한 결론을 얻었다 하더라도 그것은 마침내 망지(妄知)에 지나지 않는 것이라 그 자체가 깨달음이 아닐 뿐만 아니라 깨달음과는 점점 멀어져 버려.


말로써 공부를 할 수가 있고, 말로써 가르켜 줄 수 있는 것이라면 지금 육도(六道)를 윤회하고 있는 중생은 한 사람도 없을 것입니다.
진리는 찾아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고, 진리는 줄 수도 없고 받을 수도 없는 것이지만, 그것을 위해서 끊임없이 여러분에게 그 길을 안내하려고 노력을 해야 하고, 여러분은 또한 그것을 듣기 위해서 그것을 얻기 위해서 몸과 목숨을 바쳐야만 되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204)—83년 6월 첫째 일요법회(83.06.05) (용204)

 

(1) 약 19분.

(2) 약 17분.


(1)------------------

 

춘래동견방초록(春來同見芳草綠)하고  추지동견황엽조(秋至同見黃葉凋)로구나
나무~아미타불~
불지소이이어인(佛之所以異於人)한대  치연작용무기종(熾然作用無其蹤)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봄이 오면 꽃다운 풀이 푸르른 것을 모두가 다 같이 볼 수가 있어.
추지동견황엽조(秋至同見黃葉凋)로구나. 가을이 오면 이파리가 누렇게 단풍이 져서 시들은 것을 누구라도 다 마찬가지로 볼 수가 있다 그말이여.

남녀노소 빈부귀천을 막론하고 누구 눈에도 다 똑같다. 깨달은 사람이 봐도 그렇고 깨닫지 못한 사람이 봐도 그렇고, 지식이 있는 사람이 봐도 그렇고, 지식이 없는 사람이 봐도 그렇고, 누가 봐도 봄에는 파란 풀이 돋아난 것을 볼 수가 있고, 가을이 오면 모든 이파리가 누렇게 단풍이 져서 떨어지는 것을 볼 수가 있더라.

불지소이이어인(佛之所以異於人)은, 그런데 부처님은 우리 중생(衆生)과 무엇이 다르냐? 부처님과 우리 중생은 어떠한 점에서 우리 중생과 부처님은 다르냐?

깨달은 부처님은 중생과 무엇이 다르냐 하면 치연작용무기종(熾然作用無其蹤)이여, 치연(熾然)이 작용을 하고 있으되 그 자취가 없어.

중생은 무얼 보면 보는 데에 끄달리고, 무엇을 들으면 듣는 데에 충격을 받고, 무엇을 얻으면 얻는 데에 마음이 흔들리고, 무엇을 잃으면 잃는 데에 실망을 하고, 얻었다고 기뻐하고, 잃었다고 슬퍼하고,

이 세상 삼라만상(森羅萬象) 두두물물(頭頭物物)이 잠시도 고대로 있는 것은 없고 끊임없이 변해 가고 생겨났다가 변해져서 또 사라지고, 생겨났다 변해가 가지고 사라지고, 삼라만상 두두물물이 다 그러는데,
중생은 그러한 경계(境界)를 당해서, 그 경계를 자기가 주재(主宰)를 하지를 못하고, 그 경계의 노예가 되어 가지고 경계에 따라서 끊임없이 끌려다니고, 얽히고 설켜서 희로애락을 통해서 끊임없이 자취를 남기면서 끌려다닌다 그말이여.

그런데 부처님은 자유자재한 육신통(六神通)으로써 잠시도 쉴 사이 없이 치연하게 치열(熾烈)하게 작용을 해. 일체 중생을 제도(濟度)하시고 잠시도 쉴 사이 없이 설법을 하셔. 그렇게 치열하게 작용을 하고 계시되, 조금도 그 자취가 없는 점이 중생과 다르더라.


아까 조실스님 법문에 ‘참선은 중생의 사량분별(思量分別)로 아는 것이 아니다. 사량분별을 통해서 아는 것은 그것은 깨닫는 것이 아니다. 팔만대장경을 아무리 육두로 다 외우고 해설을 하고 설할 줄 안다 하드라도 그것은 아는 것이지 깨달은 것이 아니다.
참선을 할라면은 사량분별로 무엇을 알려고 하지를 말고, 다못 말 길도 끊어지고 이치 길도 끊어져서 더듬어 들어가서 아는 그러한 것이 없이, 다맛 대의단(大疑團)으로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를 관조(觀照)해야 한다.’

그러한 요지의 법문이 있었습니다마는 경을 가지고 공부하는 사람은 천상 그 경에 쓰여 있는 말을 분석하고 따져서 대관절 무슨 뜻인가를 해석을 하고 배우고 가르키고 연구하고, 불가불 강원(講院)에 가면 그렇게 공부를 하기 마련이지만, 참선은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다.

참선(參禪)은 이론적으로 따져서 아는 것이 아니여.
경의 뜻도 참으로 옳게 터득을 하려면 마음을 관조해서 그 말 뒤에 있는 말 없는 뜻을 봐야 하거든, 하물며 참선은 처음부터 말로써 공부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마음 길이 끊어져야 하는 것이다 그말이여.

우리가 '안다'고 하는 것은—깨달은 부처님의 경계에도 ‘알 지(知)’자 '안다'고 할 수가 있고, 이치를 깨달은 선지식도 '안다'고 할 수가 있고, 우리 범부 중생의 번뇌 망념으로 아는 것도 그것도 일종의 '안다'고 할 수가 있는데,

부처님이 아시는 것은 영지(靈知)라 그러거든. 영지(靈知). 신령스럽게 아는 거.
영지는 중생의 분별로써는 그 영지의 경계를 뭐라고 짐작을 할 수가 없는 것이여. 부처님 경지에 가 봐야 부처님의 그 영지의 뜻을 알 수가 있는 것이지, 그 경계에 이르지 못하고서는 영지의 그 경계를 짐작을 할 수가 없는 것이거든.

부처님 경지는 아무리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냄새를 맡되, 그 자취가 없는 것이여. 자취가 없이 보시기 때문에 그건 영지(靈知)라 그러거든.

도인(道人)이 깨달은 경지는 어떠냐? 그것은 진지(眞知)라.
‘참 진(眞)’자 진지(眞知)라 그렇게 표현을 할 수가 있는데, 그 진지도 공안(公案)을 타파해서 남이 없는 도리, 무생(無生)의 법을 보아야 그래야 그 진지(眞知)의 뜻을 알 수가 있는 것이여.

중생이 번뇌 망상으로 따져서 짐작하고 느끼고 또 그것을 설명해 줄 수도 있고, 설명하는 것을 듣고 터득을 하고 이러한 것은 모두가 다 망지(妄知)에 속한 것이다 그말이여. 망령(妄靈)된 알음알이에 속한다 그말이여.

화엄경이나 법화경이나 금강경과 같은 그러한 대승경전에 쓰여 있는 부처님 말씀이라 할지라도 중생의 망령된 알음알이로 분석을 하고 해석을 하고 그러면 그것이 바로 부처님의 설법이라 할지라도 망지(妄知)로 변해 버린 것이다 그말이여.

그런 경전의 말씀뿐만이 아니라 1700 조사 공안(祖師公案)도—이 조사 공안은 용궁(龍宮)에 있는 장경(藏經)에도 없는 교외별전(敎外別傳) 소식이지만,
그 교외별전의 최상승법, 이 공안도 중생의 알음알이로 따져서 『아! 이것이로구나』 하고 알음알이를 붙이면 알음알이로 따지면 공안이 바로, 최상승법이 찰나 간에 망지(妄知)로 변해버린 것이다 그말이여.

참선에 있어서 제일 주의해야 할 것은 알음알이로 공안을 따지는 거.
참선을 하다가 알음알이로 어떠한 결론을 얻는 거—얻으려고 하고 또 얻는 것은 모두가 다 모래를 쪄서 밥을 만들려고 하는 거여. 그건 아무리 삶아 봤자 모래지 그것이 밥으로 변하는 법은 없어.

중생의 망령된 알음알이로 아무리 공안을 따져서 그럴듯한 결론을 얻었다 하더라도 그것은 마침내 망지(妄知)에 지나지 않는 것이라 깨달음과는 점점 멀어져 버려. 그 자체가 깨달음이 아닐 뿐만 아니라 깨달음으로부터 점점 멀어져 버린 거다 그말이여.


공안을 중생의 사량분별심으로 따져서—「어떤 것이 부처입니까?」하고 묻는데, 「마삼근(麻三斤)이다」  「마삼근이니라」 이렇게 조사(祖師)가 대답을 하셨는데.
「어째서 부처님을 마삼근이라 했는고?」 그것을 이리 따지고 저리 따지고 이리 생각하고 저리 생각하다가 탁! 속으로 어떠한 결론을 얻었어.

『육도법계 삼라만상 두두물물이 전부가 다 비로자나(毘盧遮那) 법신체(法身體)다』 그렇게 경전에 분명히 쓰여 있다 그말이야.
「이 세상에 모든 것이 다 비로자나 법신인데 어찌 삼[麻]이라고 해서 부처가 아닐까보냐? 그래서 저 삼[麻]도 바로 부처다.」 이러한 식으로 공안을 따져 가지고 자기도 알았다. 공안을 타파했다.

이렇게 결론을 얻었다면 어찌 그것을 깨달음을 얻었다 할 것이냐 그말이여.

그것은 강사(講師)의 지견(知見)도 못되고, 그러한 식으로 공안을 따진다면 무엇을 처음부터서 ‘하늘 천(天)’ ‘따 지(地)’ 배우듯이 1700 공안을 놓고 다 그런 식으로 해서 배워 버리면 하나도 힘 쓸 것도 없고 간단할 일인데, 뭐하러 그렇게 목숨 바쳐서 고행난행(苦行難行)을 할 필요가 있느냐 그말이여.


「이뭣고?」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뭣고?」 이뭣고 화두를 하는데,
아무리 「이뭣고?」  「이뭣고?」 해 봐도 알 수가 없고, 애를 쓰다 보니까 턱! 한 생각이 떠올랐다!

「이뭣고?」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자꾸 하다 보니까, 「이뭣고?」한 놈이 바로 이놈이더라!
그렇게 어떤 사람이 깨달았다 하면, 그거 참 생각해보면 그럴싸하거든. 「이뭣고?」한 놈이 이놈이지, 이놈 말고 무엇이겠느냐 그말이여.

밥 먹고 옷 입은 놈이 바로 이놈이요. 육도윤회를 하는 놈도 바로 지금 「이뭣고?」하고 있는 바로 이놈이요. 성내고 슬퍼하고 기뻐하는 놈도 바로 이놈이요. 확철대오해서 깨닫는 놈도 바로 이놈이요. 육도윤회를 하는 놈도 바로 이놈이다. 이놈을 내놓고 무엇이 또 있겠느냐?
그러니 여태 내가 「이뭣고?」「이뭣고?」했는데 바로 「이뭣고?」하는 이놈이더라.

참, 그러한 것을 갖다가 망지(妄知)라 하는 것이여. 망령된 중생의 알음알이다 그거여. 자기 딴은 애써서 했지만 ‘이놈이다’ 할 때는 경전에 있는 말씀과 딱 부합이 되어도, 그것은 벌써 이놈이라 할 때는 그것은 망지(妄知)다 그말이여.

확철대오를 해 가지고도 '깨달았다'고 하는 소견에 떨어지면 찰나 간에 중생이요, 찰나 간에 윤회에 떨어져버린 것인데, 망령된 소견으로 그러한 결론을 얻었다면 그건 물어 볼 것도 없어. 그것은 참선도 아니고 깨달음도 아니여.

부처님께서 금강경에 『내가 설(說)한 바가 있느냐? 설한 바가 있다고 하면 부처를 비방하는 것이 되고 설한 바가 없다 하면은 법을 비방한 것이 된다』 그러한 말씀이 있습니다.(처음~19분9초)

 

 

 



(2)------------------

 

산승(山僧)이 오늘 이렇게 입을 벌려서 영지(靈知)와 진지(眞知)와 망지(妄知)에 대해서 말씀을 하고 있는데, 부처님은 설한 바 없이 설하시고, 치연(熾然)히 작용을 하시되 자취가 없으시건만,

산승은 영지(靈知)도 얻지 못하고 진지(眞知)도 얻지 못한, 범부 중생으로 아무리 좋은 부처님의 말씀을 설하고, 아무리 조사의 법문을 고대로 설한다 하더라고 나 자신이 망령된 알음알이를 벗어나지를 못했어.

‘어찌 망령된 알음알이로 법을 설해 가지고 뭇 중생의 눈을 멀리고 스스로 구업(口業)을 짓느냐?’ 이렇게 책망을 하신다면 나는 입을 막고 고개를 들 수가 없을 것입니다.

망령된 알음알이로 법을 설하는 것은 무엇과 같으냐? 하면 ‘눈먼 장님이 훨훨 타는 횃불을 들고 대낮에 길거리로 돌아다니면서 사람들에게 불을 밝혀 줄려고 하는 거와 같다’  이렇게 옛날 조사(祖師) 스님이 말씀을 하셨습니다.

훨훨 타는 횃불을 밤에 가지고 다닌다면 혹 다른 사람들이 그 횃불의 광명을 받아서 그 밝음을 이용해서 구렁텅이에 빠지지 아니하고 바로 길을 찾아가겠지만,
태양이 환히 빛나고 있는 대낮에 횃불을 들고 돌아댕겨봤자 그 밝음은 아무 소용도 없고 다른 사람에게 아무런 밝음을 주지를 못하고, 오래오래 그 횃불을 가지고 돌아다니면 결국은 자기의 손과 몸뚱이에 화상을 입고 말 것이다.

그래서 달마스님도 그 혈맥론(血脈論)에 말씀을 하시기를,
「깨닫지 못한 사람이 법을 설하면 법 설한 사람도 무간지옥(無間地獄)에 떨어질 것이요. 깨닫지 못한 사람의 법을 듣는 사람도 그 깨닫지 못하고 법을 설한 사람과 마찬가지다. 깨닫지 못하고 법을 설하는 사람은 마왕(魔王)이요. 깨닫지 못한 사람의 법을 듣는 것은 바로 마왕의 백성이다」 이렇게 무서운 법문을 하셨습니다.

산승이 깨닫지 못한 범승(凡僧)으로서 감히 입을 벌린다고 하는 것은 내가 마왕이 되고 여러분을 마왕의 백성을 만드는 죄과(罪過)가 될 것이고, 내 손에 쥐었던 횃불이 내 손을 불사르고, 내 몸을 불사르고, 그 불이 잘못해서 여러분에게 번지게 되면 여러분이 또한 큰 화상을 입게 될 것이 분명합니다.


산승은 깨닫지 못한 사람이면서 어째서 이렇게 법상에 올라와서 이렇게 다달이 법회를 갖고 있느냐?

산승이 전생에 죄가 많고 업이 두터워서 피할라야 피할 수 없는 굴레를 쓰게 되었어.
출가해 가지고 자신의 생사 문제가 급하고 급하거늘, 어느 겨를에 입을 벌릴 그러한 여유가 없지만 어떻게 된 것인지 몸을 뺄라야 뺄 수 없이 되었습니다.

노예가 마치 자기 마음으로는 추호도 하기도 싫은 그러한 중노동을 쇠고랑을 찬 채 가혹한 매질을 당하면서 피를 흘리면서 무서운 노동을 강요 당하듯이 '용화선원 원장(院長)'이라 하는 굴레를 조실 스님의 열반시의 명령에 의해서 피할 수 없이 이러한 굴레를 쓰고 법회를 갖고 있는 것입니다.

이 불이 내 몸에 번지기 전에 여러분은—그 조그만한 반딧불만도 못한 그런 조그만 불이지만,
여러분은 그 불이 꺼지기 전에, 또 내 몸을 태우기 전에, 또 그 불이 여러분의 몸에 번지기 전에 그 밝은 것만을 빨리 잘 이용을 해서 바른 길을 찾아 가시기를 바라는 그러한 마음 밖에는 아무것도 없는 것입니다.

내 소원은 설사 그 불이 내 몸에 덩거서 내가 화상을 입는 한이 있더라도 여러분에게 그 광명이 비춰져서 여러분의 앞길에 바른 법의 문이 열리기를 바라는 오직 그 한 생각 뿐입니다.

여러분이 참으로 발심을 하고 참으로 정법을 믿고 자비가 있으시다면 그 불이 내 몸에 덩구지 않도록 그것을 잘 보살펴 주시고,
그 불은 오래오래만 가지고 있으면은 횃불이 타다가 결국은 불똥이 나한테 튀길 것은 분명한 것이니까 빨리 여러분이 시간을 아껴서 정말 목숨을 바쳐서 열심히 정진해서 내 손에 있던 횃불을 여러분이 달라들어서 그 불을 빼앗아 가시든지, 그 불을 빼앗아서 위험하지 아니한 곳에 버려 주셔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어피차 이 사바세계에 태어났을 때 숙세(宿世)의 깊은 인연으로 같은 시대에 같은 나라에 태어났고, 같은 종교를 믿게 되었고, 같은 법당에서 이렇게 다달이 만나게 된 것입니다.
숙세의 깊은 인연이 아니면 도저히 한 시대에 태어날 수도 없고, 설사 한 시대에 태어났다 하더라도 같은 장소에서 만나지들 못하고, 또 한 나라에 태어났다 하더라도 같은 시대에 태어나기도 어려운 것입니다.

같은 시대에 태어나고, 같은 나라에 태어나고, 같은 불법에 만나서 이렇게 서로 생사 없는 진리를 향해서 말을 하고 듣게 된 그 인연이라고 하는 것은 말로써 표현 할 수가 없는 부모자식 간의 인연보다도 수백만 배의 깊은 인연으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그렇게 된다면 내가 내 손으로 들고 있는 횃불에 의해서 타서 죽게 되는 것을 여러분은 강 건너 불을 보듯이 보고만 있을 수도 없는 것이고, 여러분이 어두워서 구렁텅이에 빠지고, 물에 빠지고, 허방에 빠진 것을 나도 또한 보고 있을 수가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내가 진지(眞知)와 영지(靈知)를 조사와 부처님처럼 그런 '참된 지(眞知)'와 '신령스런 지(靈知)'를 얻지 못한 몸이면서 나의 목숨을 돌아보지 아니하고 내가 죽을 것을 돌아보지 아니하고,
이렇게 법상에 올라와서 부처님과 조실 스님을 대신해서 이렇게 여러분을 위해서 말씀을 드리고 있는 것입니다.


불법(佛法)은 많은 말이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알음알이를 조장하는 것이 불법이 아니고, 알음알이를 얻는 데에 불법의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원래가 말이 필요가 없습니다. 말로써 공부를 할 수가 있고, 말로써 가르켜 줄 수 있는 것이라면 지금 육도(六道)를 윤회하고 있는 중생은 한 사람도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말로써는 이 영지(靈知)와 진지(眞知)를 설명할 수가 없는 것이고 사량 분별심으로 들어서 그것을 알 수도 없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불보살과 선지식과 모든 스님들이 ‘말로써 설할 수가 없다’해서 입을 다물어 버리고, 우리 같은 그러한 부처님과 같은 확철대오를 얻지 못한 범승이라 해서 법회를 갖지 아니하고 각기 자기 몸만을 생각하고 입을 다물고 일생을 자기만을 위해서 정진을 하고 있다면,
불법을 알지 못하는 사람, 아직은 불법의 어떠한 점이 좋다고 하는 것에 눈뜨지 못한 사람, 어떤 것이 바른 불법인가에 대해서 분간을 못하고 있는 사람을 위해서는 누가 말을 할 것이냐 그말이여.

‘원래 '참진리'는 입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참된 말씀은 입으로 좇아 나오지 않는 것이다’하는 말씀이 있습니다마는,
‘부처님은 그 많은 법을 설하셨건만 한 말씀도 설하신 바가 없다’  ‘무량중생을 제도하시되 한 중생도 제도를 받은 사람이 없다’ 이러한 말씀을 우리는 깊이 마음으로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말로써 설할 수가 없고 귀를 통해서 들을 수가 없지만 그래도 입을 벌려서 부처님은 49년 동안 팔만사천 법을 설하셨고, 선문(禪門)에서는 문자를 세우지 아니하고 ‘불립문자(不立文字)하고 직지인심(直指人心)하야 견성성불(見性成佛)이라’ 문자를 세우지 아니한다 하시면서도 수없는 조사의 어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것이 입으로 설할 수가 없지만 목숨을 바쳐서 설할 수 밖에는 없고, 중생의 사량분별로 귀를 통해서 들어서 아는 것이 아니지만 목숨 바쳐서 법문을 들어야 하고, 들으려고 노력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원래 자기에게 원만구족(圓滿具足)하게 다 갖춰 있으면서도 우리는 그것을 찾기 위해서 밤낮을 가리지 아니하고 노력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진리와 우리 중생과의 관계입니다.

진리는 찾아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고, 진리는 줄 수도 없고 받을 수도 없는 것이지만, 그것을 위해서 끊임없이 여러분에게 그 길을 안내하려고 노력을 해야 하고, 여러분은 또한 그것을 듣기 위해서 그것을 얻기 위해서 몸과 목숨을 바쳐야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앞으로 삼세제불(三世諸佛)이 출현을 하셔도 어쩔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모든 부처님도 탄생을 하셨고, 모든 보살님과 모든 조사도 그렇게 해서 탄생을 하셨습니다.

앞으로 우리들도 그만큼 내게 갖춰 있는 것을 보기 위해서 목숨을 바칠 때 그것을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19분10초~35분31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게송) ‘춘래동견방초록~’ ;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일체동관분(一體同觀分) 함허득통 설의(說誼) 참고.
*부처님 : [범] Buddha 음을 따라 한자로 불타(佛陀)•부도(浮圖•浮屠)•부타(浮陀)•발타(勃陀)•몰타(沒駄) 등으로 쓰고, 줄여서 불(佛)이라고만 하는데, '깨친다'는 말이다.
'부처님'이라 함은 '깨친 어른(覺者)'이란 뜻이다。가장 크고 높고 참된 이치를 자기가 깨치고 남들까지 깨치게 하여, 그 지혜와 복이 끝없이 원만하고 이치와 일에 두루 걸림없는 이를 말함이니,
그 참 이치를 가르쳐서 누구나 부처가 되고, 어디나 밝고 깨끗하고 평등하고 싸움 없는 세상이 되게 하는 것이 부처님의 가르치심 곧 불교(佛敎)다.
*중생(衆生) : 참 성품을 잃어버리고 망녕된 온갖 생각이 분주하게 일어났다 꺼졌다 하기 때문에, 온갖 세계에 돌아다니면서 났다 죽었다 하는 무리들, 곧 정식(情識)이 있는 것들을 모두 중생이라 한다.
그러므로 사람뿐 아니라 모든 동물과 귀신들과 하늘 사람들까지 합쳐서 하는 말인데, 유정(有情)• 함령(含靈)• 함식(含識)• 군생(群生)• 군맹(群萌)• 군품(群品) 같은 여러 가지 말로도 쓴다.
부처님은 구제의 대상을 인류(人類)에게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와 같은 중생 전부를 가르치고 건지시는 것이다.
*치연(熾然) ; ①매우 왕성한 상태. ②번뇌의 다른 이름—결(結)·박(縛)·전(纏)·취(取) 등등—가운데 하나이다.
치(熾)는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맹렬하게 일어남, 횃불이 활활 타오름, 불을 붙여 이글이글 피게 함’의 뜻. 연(然)은 상태를 나타내는 접미사(接尾辭).
*삼라만상(森羅萬象) 두두물물(頭頭物物) ; 우주 사이에 벌여 있는 온갖 사물과 현상.
*경계(境界) ; ①인과(因果)의 이치(理致)에 따라서, 자신이 부딪히게 되는 생활상의 모든 일들. 생로병사•희로애락•빈부귀천•시비이해•삼독오욕•부모형제•춘하추동•동서남북 등이 모두 경계에 속한다.
②나와 관계되는 일체의 대상. 나를 주(主)라고 할 때 일체의 객(客). ③시비(是非)•선악(善惡)이 분간되는 한계.  경계(境界)에는 역경(逆境)과 순경(順境), 내경(內境)과 외경(外境)이 있다.
*주재(主宰 주인 주,다스릴 재) ; ①어떤 일을 중심이 되어 맡아 처리함. ②주재자(主宰者, 어떤 일을 중심이 되어 맡아 처리하는 사람).
*육신통(六神通) : 보통 사람으로서는 헤아릴 수 없는 것을 헤아림을 신(神)이라 하고, 걸림 없는 것을 통(通)이라 한다。이 신통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로 말하지마는 흔히 여섯 가지로 말한다
1. 신족통(神足通)은 공간에 걸림 없이 왕래하며 그 몸을 마음대로 변화할 수 있는 것
2. 천안통(天眼通)은 멀고 가까움과 크고 작은 것에 걸림 없이 무엇이나 밝게 보는 것
3. 천이통(天耳通)은 멀고 가까움과 높고 낮음을 가릴 것 없이 무슨 소리나 잘 듣는 것
4. 타심통(他心通)은 사람뿐 아니라 어떤 중생이라도 그 생각하는 바를 다 아는 것
5. 숙명통(宿命通)은 자기뿐 아니라 육도(六道)의 모든 중생의 전생•금생•후생의 온갖 생애를 다 아는 것
6. 누진통(漏盡通)은 번뇌 망상이 완전히 끊어진 것이다.
제일통으로부터 제오통까지는 그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마음을 고요히 가지기만 힘쓰는 유루정(有漏定)을 닦는 외도(外道)나 신선(神仙) • 하늘 사람(天人) • 귀신들도 얻을 수가 있고, 약을 쓰든지 주문(呪文)을 읽어도 될 수 있다.
그러나 누진통만은 아라한(阿羅漢)이나 불•보살만이 능한 것이다. [선가귀감](용화선원) p94-95 참조.
*치열(熾烈 성할 채,세찰 렬) ; 기세나 세력 등이 불길같이 맹렬함.
*사량분별(思量分別) : 사량복탁(思量卜度), 사량계교(思量計較)와 같은 말。 생각하고 헤아리고 점치고 따짐。 가지가지 사량분별(思量分別)로 사리(事理)를 따짐。 법화경 방편품(法華經方便品)에 「이 법은 사량분별로 능히 알 바가 아니다」라고 함.
*본참화두(本參話頭) ; 본참공안(本參公案).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무생(無生) ; ①생멸(生滅)을 벗어난 절대의 진리. 생멸(生滅)이 없는 도리. 곧 불생불멸하는 진여법성(眞如法性)을 알고 거기 안주하여 움직이지 아니함. 무생법인(無生法忍).
②아라한(阿羅漢) 또는 열반(涅槃)의 번역어. 번뇌를 없앤 경지를 말함.
*망령(妄靈) ; 늙거나 정신이 흐려서 말이나 행동이 정상을 벗어남. 또는 그런 상태.
*알음알이(知解) : 참선은 연구하는 것이 아니다。생각으로써 이리저리 따져서 아는 것은 깨친 것이 아니다。참선하는 데 가장 꺼리는 것이 이 알음알이이다.
그러므로 『이 문 안에 들어오려면 알음알이를 내지 말라(入此門內莫存知解)』라고 크게 써서 절 문에 붙이는 것이 이 까닭이다.
*교외별전(敎外別傳) : 부처님께서 말씀으로써 가르친 바를 모두 교(敎)라 하는데, 교 밖에 따로 말이나 글을 여의고(不立文字) 특별한 방법으로써 똑바로 마음을 가리켜서 성품을 보고 대번에 부처가 되게 하는(直指人心 見性成佛) 법문이 있으니 그것이 곧 선법(禪法)이다. 교는 말로나 글로 전해 왔지마는 선법은 마음으로써 전하여 왔으므로 이른바 삼처 전심(三處傳心) 같은 것이다.


[참고] 선가귀감(용화선원 刊) p28, p34에서.
(5)世尊이  三處傳心者는  爲禪旨요  一代所説者는  爲教門이라. 故로  曰,  禪是佛心이요  教是佛語니라


세존께서 세 곳에서 마음을 전하신 것은 선지(禪旨)가 되고, 한 평생 말씀하신 것은 교문(教門)이 되었다。그러므로 선(禪)은 부처님의 마음이요, 교(教)는 부처님의 말씀이니라.


(6)是故로  若人이  失之於口則拈花微笑가  皆是教迹이요. 得之於心則世間麤言細語가  皆是教外別傳禪旨니라


그러므로 누구든지 말에서 잃어버리면, 꽃을 드신 것이나 빙긋이 웃은 것(拈花微笑)이 모두 교의 자취(教迹)만 될 것이요. 마음에서 얻으면, 세상의 온갖 잡담이라도 모두 교 밖에 따로 전한 선지(教外別傳禪旨)가 되리라.
*고행난행(苦行難行) ; 난행고행(難行苦行). 깨달음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가지 고난을 겪으며 하는 수행.

 

 

 



------------------(2)

 

*산승(山僧) ; 스님이 자신을 겸손하게 일컫는 말.
*조사(祖師) : ①1종1파의 선덕(先德)으로서 후세 사람들의 귀의 존경을 받는 스님。 보통은 1종1파를 세운 스님을 부르는 말。 ②선가에서는 달마스님을 말한다。 ③불심종(佛心宗)을 깨달아서 이를 전하는 행(行)과 해(解)가 상응(相應)하는 도인.
*혈맥론(血脈論) ; [달마대사 혈맥론(達摩大師血脈論)]이라고도 한다. 중국 선종의 초조(初祖) 보리달마(菩提達摩 Bodhidharma)의 저술로 전해지고 있다.
문답형식으로 즉심시불(卽心是佛-마음 그대로가 곧 부처), 심외무불(心外無佛-마음 밖에 부처가 없다), 성불수시견성(成佛須是見性-부처를 이루려면 반드시 성품을 보아야 한다) 등의 말씀이 있다.
혈맥(血脈)은 사자상승(師資相承)이라고도 하며, 스승으로부터 제자에게로 주고받아서, 정법(正法)을 상속하는 것. 신체의 혈맥이 서로 연결되어 끊어질 수 없는 것에 비유해서 말함.
*무간지옥(無間地獄) ; 아비지옥(阿鼻地獄)이라고도 함. 고통이 끊임없으므로 무간(無間)이라 함.
아버지를 죽인 자, 어머니를 죽인 자, 아라한을 죽인 자, 승가의 화합을 깨뜨린 자, 부처의 몸에 피를 나게 한 자 등, 지극히 무거운 죄를 지은 자가 죽어서 가게 된다는 지옥.
살가죽을 벗겨 불 속에 집어넣거나 쇠매〔鐵鷹〕가 눈을 파먹는 따위의 고통을 끊임없이 받는다고 함.
*범승(凡僧) ; 평범한 스님.
*죄과(罪過 허물 죄,허물 과) ; 죄가 될 만한 과실이나 허물.
*덩그다 ; '불이 붙다'의 사투리.
*어피차(於彼此) ; 어차피(於此彼). 이렇거나 저렇거나 귀결되는 바.
*숙세(宿世 지날 숙,세상 세) ; 이 세상에 태어나기 이전(宿)의 세상(世).
*육도(六途, 六道) ; 중생이 선악(善惡)의 업(業:의지에 기초한 행위)에 의하여 생사 윤회하는 여섯 가지의 세계. 지옥도(地獄道), 아귀도(餓鬼道), 축생도(畜生道), 아수라도(阿修羅道), 인간도(人間道), 천상도(天上道)가 있다.
*팔만사천(八萬四千) : 중생의 망상이 벌어져 나가는 것을 자세히 분석하면 팔만 사천 갈래가 된다고 한다. 그러므로 망상을 따라 일어나는 악마의 수효도 팔만 사천이요, 망상을 다스리는 법문도 팔만 사천이다.
인도에서는 많은 수효를 말할 때에는 이 말을 쓰는 수가 가끔 있다. 줄여서 팔만이라고만 하기도 한다.
*선문(禪門) ; 선종(禪宗). 문자를 의존하지 않고, 오로지 선(禪)을 닦아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체득하는 깨달음에 이르려는 종파.
*원만구족(圓滿具足) ; 모자라거나 결함이 없이 완전히 모두 갖추어져 있음.

Posted by 닥공닥정
발심 자신(自信)2014. 3. 27. 07:05

§(445) (게송)사수여운일몽신~ /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분부 / 오욕락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다 / 1초도 뒤로 미루지 말고 지금 바로 화두를 드는 것이 용맹정진 / 일념단속.

 

황매산(黃梅山)에서 오조(五祖) 스님이 육조(六祖) 스님한테 아무도 어찌 하지 못할  소식을 분부(分付) 것이 우리도 부처님으로부터 구원겁(久遠劫) 전에 비로자나불로부터서 분부를 받은 것입니다.  분부를 우리는 망각하고 살아갈 뿐이지 우리도 확철대오할  있고 무량 중생을 제도해야  대사명(大使命) 분부 받은 것입니다.

 

우리도 오욕락(五欲樂) 탐착해  생각 () 탓으로 중생(衆生) 몸뚱이를 받아 가지고 윤회(輪廻) 하는 동안에 보고 듣는 것이 오욕락이거든. 그놈이 어떻게 무량겁(無量劫) 길을 들여 놨던지 그것이 아주 본능(本能)으로 굳어가지고, 인생은 오직 그것을 위해서 살아가는 존재로 모든 사람들에게 인식되어져 버렸다. 불법을 들음으로해서 우리는 오욕락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다

 

1초도 뒤로 미룰 일이 아니여. 다른 것은  미뤄도 이것은 1 뒤로도 미루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지금이거든』 지금. 지금 바로 탁! 이뭣고?’ 챙긴 것이 그것이 공부고, 그것이 가행정진이고 그것이 용맹정진이여. ‘앞으로 내가 3 결사(結社) 들어가서....’ 그런 생각이  너저분한 생각이야.

 

나라를 걱정하고  우리의 자녀를 걱정하고 세계 인류를 참으로 걱정한다면 일념단속해서  사람이라도  진리의 눈을  사람이 나와야겠습니다. 진리의 눈을 뜨는 사람이 나와야 그것이  부처님의 탄생이요,  부처님이 탄생을 해야 () 많은 중생을 제도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송담스님(No.445)—91년 5월 첫째 일요법회. (용445)

 

약 17분.

 

 

사수여운일몽신(似水如雲一夢身)  부지차외갱하친(不知此外更何親)이리요

나무~아미타불~

개중불허용타물(箇中不許容他物)이라  분부황매노상인(分付黃梅路上人)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사수여운일몽신(似水如雲一夢身)이여. 물과 같고 구름과 같은  꿈속의 몸뚱이여.

부지차외갱하친(不知此外更何親)이라.  밖에 다시 무엇을 친근(親近)  것인가 아지 못하겠더라.

 

 몸뚱이는 꿈속에 몸뚱이거든. 실다운 것이 아니여. 잠시 꿈속에서 내가 임금이 되기도 하고, 꿈속에 내가 부자가 되기도 하고,  깨면 임금도  곳이 없고 부자도  곳이 없듯이.

현실적으로 우리 몸뚱이 받아 가지고 있는  아무개,  아무개하는  몸뚱이는 절대로 실다운 것이 아니요 꿈속에 몸뚱이인데, 뭣과 같으냐 하면은 물과 같애.

 

물이라 하는 것은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라, 곳에 따라서 모난 그릇에다 담으면은 물이 모난 모양으로 되고, 둥근 그릇에다 담으면 물이 둥그렇게 담겨지고.

높은 데서 낮은 데로 흘러가다가 웅덩이를 만나면은 차츰차츰 채워가지고  차면 넘어가고, 때로는 폭포수가 되었다, 때로는 강물이 되었다, 흐르고 흘러서 바다에 가면은 짠물이 되었다가.

 

 안개가 되어서 피어 올라가고 구름이 되었다가  기운을 만나면 비가 되기도 하고, 눈이 되기도 하고, 우박이 되기도 하고, 더우면 녹아서 물이 되었다가, 때와 장소와 기온에 따라서 액체가 고체가 되고 고체가 액체가 되었다가, 다시  기체가 되었다 그런 것이다 그말이여.

 

 몸뚱이도 지은 () 따라서 인간으로 태어나기도 하고 천상에 태어나기도 하고 축생으로 태어나기도 하고  지옥에 태어나기도 하고, 인간으로 태어나되 남자로 태어나기도 하고 여자로 태어나기도 하고, 잘생긴 몸으로 태어나기도 하고 밥맛 떨어지게 태어나기도 하고.

, 이러니 우리  몸뚱이라 하는 것이 업에 따라서 천만 가지의 모양으로 받아난다 그말이여.

 

 구름과 같애. 구름과 같애 가지고 때로는 흰구름, 먹구름,  구름 덩어리, 작은 구름 덩어리, 구름도 소같이 생긴 구름 덩어리, 말같이 생긴 구름 덩어리, 바람 따라서 동쪽으로 날아갔다 서쪽으로 날아갔다 날아가면서도 금방 소같이 생긴 것이 다시 다른 모양으로 변형되어가.

 산에서  산으로  산에서  산으로, 산에서 들로 들에서 바다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권서자유(捲舒自由). 뭉쳤다 흩어졌다 달아났다 모였다  몸뚱이가  그와 같애.

 

빈부귀천, 흥망성쇠 속에서 가지각색으로 놀아나거든. 전혀 믿을  없는 것인데 그렇게 살아가. 때로는 건강하다가 때로는 병들었다가 생로병사 흥망성쇠.

그런데 우리는 그러한 무정(無情) 물과 같이 무심(無心) 구름과 같이 인연 따라서,  따라서,  따라서 그렇게 돌아치는  몸뚱이 말고 다시 무엇을  가까이  것이 있느냐 그말이여.

 

그런데  몸뚱이를 끌고 다니는  소소영령(昭昭靈靈) 주인공 그놈은 누가 그놈을 구속할 수도 없고,  몸뚱이는 구속을 해서 두드려  수도 있고 감옥에다 가둘 수도 있고 그런데,

 몸뚱이를 끌고 다니는  소소영령한 놈은 죽일 수도 없고, 묶어  수도 없고, 가둘 수도 없고, 아무도 어찌  수가 없어. ‘그놈 누가 어떻게 가두며 그놈 어떻게 죽이며 그놈 어떻게  것이냐 그말이여.

 

개중불허용타물(箇中不許容他物)이여,   가운데에 다른 물건을 여기서 용납할 수가 없더라. 아무도 이것을 어찌해  수가 없어.

 

분부황매노상인(分付黃梅路上人)이여. 황매산(黃梅山)에서 오조(五祖) 스님이 육조(六祖) 스님한테 아무도 어찌 하지 못할  소식을 분부(分付) 하셨더라 이거거든.

오조 스님이 육조 스님한테 분부한 것이 우리도 부처님으로부터 구원겁(久遠劫) 전에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로부터서 분부를 받은 것입니다.  분부를 우리는 망각하고 살아갈 뿐이지 우리는 분명히 분부를 받았어.

 

우리도 확철대오할  있고 무량 중생을 제도해야  대사명(大使命) 분부 받은 것입니다.

 

마치 국민학교 어린 학생이 학교에서 분명히 숙제를 받어 가지고 왔지만 노는데 탐착해 가지고 숙제를  잊어버려. 그래 가지고 놀다가 해가 저물어 버리고 집에 와서는 배고프니까  먹고, 곤(困)한 데에 밥을 먹어 놨으니 졸음이 오니까 초저녁부터  버렸다 그말이여.  이튿날 늦잠을  가지고 밥도  먹고 학교로 갔는데 숙제를  해가지고 갔거든. 

 

우리도 오욕락(五欲樂) 탐착해  생각 () 탓으로 중생(衆生) 몸뚱이를 받아 가지고 윤회(輪廻) 하는 동안에 보고 듣는 것이 오욕락이거든.

재산 모으는 , 남녀 간에 () 즐기는 것,  맛있는 거 먹는 거,  명예 권리를 하는 거,  그런 거 하면 재미가 있거든. 그러다가 편안하게 잠자고. 이러한 것에 길들여 놓으면 좀해 그놈을 벗어날 수가 없어.

 

그놈이 어떻게 무량겁(無量劫) 길을 들여 놨던지 그것이 아주 본능(本能)으로 굳어 버렸어. 재색식명수(財色食名睡) 아주 본능으로 굳어 가지고, 인생은 오직 그것을 위해서 살아가는 존재로 모든 사람들에게 인식되어져 버렸다.

 

불법(佛法) 듣기 전에는 그것이  인생이란 게 그런 것이지, 무슨 재미로 사느냐?’ 그렇게 살고 있지만, 염라대왕 앞에 끌려가서 생각해 보라 그말이여.

 

불법을 들음으로해서 우리는 오욕락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다’ ‘정말 내가 나를 깨달라야겠다’ ‘정말  마음의 고향을 찾아야겠다

 만나기 어려운 불법을 우리는 만났습니다. 뒤로 미루지 말고 늦다고 생각할 때가 이른 때다 이러한 말이 있습니다.

 

절대로 늦지 않았습니다.

그냥 지금 놓쳐버리면 무량겁을 흘러간 뒤에 언제 다시  우리가 불법을 만날지, 발심(發心) 하게 될지 모르는 것이니, 설사 지금 말세(末世) 되었다해도 지금 우리가 불법을 만난 것은 너무도 다행한 일이고 경행한 일이어서 조금도 늦지 않았습니다. 지금 60세가 넘고 70세가 넘었어도 늦지 않았습니다.

 

 몸뚱이는 젊다고 오래 살고, 늙었다고 빨리 죽는 것도 아닙니다. 언제 죽을런지 그것은 아무도 모르는 것이고 『지금이 가장 이른 때다』 이리 생각을 하시고.

앞으로 인자 여름철이 되면은 방부를 들이고 정말 열심히 하리라  생각도 틀린 거여.

 

지금  찰나부터 ! 의단(疑團) 독로(獨露)해야 하거든. 1초도 뒤로 미룰 일이 아니여. 다른 것은  미뤄도 이것은 1 뒤로도 미루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지금이거든』 지금.

지금 바로 탁! 이뭣고?’ 챙긴 것이 그것이 공부고, 그것이 가행정진이고 그것이 용맹정진이여. ‘앞으로 내가 3 결사(結社) 들어가서....’ 그런 생각이  너저분한 생각이야.

 

지금이거든. 지금!

여기 앉은  자리가 지금’이고, 나갈 때는 나갈 때가 지금’이고,   때는   때가 지금’이고,  먹을 때는  먹을 때가 지금’이고,   때는   때가 지금’이고 『언제나 그때그때가 지금이거든』 이렇게 공부할  아는 사람이라야 그게  수행인이거든.

 

물과 같이 구름과 같이 이렇게 무정하게 정처없이 흘러가고 흘러가는데,  무상(無常)한 속에서 무상하지 않는  챙기는 거거든.

 

확철대오해서 견성성불(見性成佛) 일념단속(一念團束)’ 속에 있는 것이고, 축생이나 아귀나 지옥 삼악도(三惡道) 떨어진 것도 일념단속   데에서 삼악도에 떨어진 것이거든.

 

일념(一念)이야말로, 일념이야말로 우리는 잠시도 잊어서는 아니될 것입니다.

 

내일이면 입하(入夏) 되어서, 아직 봄이 한창이다 생각을 했는데 벌써 봄은 지나가고 내일부터 여름이 시작이 됩니다. 계절이 이렇게 지나가는 것은 바로 우리로 하여금 무상(無常) 깨닫게 하는 중요한  매듭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세계도 시끄럽고, 나라 안에도 정치도 시끄럽고, 경제도 시끄럽고, 학원도 시끄럽고 정말 우리의 마음을 어둡게 하는 일들이 우리를 둘러싸고 있습니다.

이러한 속에서 우리가   있는 일은  철저히 무상을 깨닫고, 나라를 걱정하고  우리의 자녀를 걱정하고 세계 인류를 참으로 걱정한다면 일념단속해서  사람이라도  진리의 눈을  사람이 나와야겠습니다.

 

진리의 눈을 뜨는 사람이 나와야 그것이  부처님의 탄생이요,  부처님이 탄생을 해야 () 많은 중생을 제도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537~6938)()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사수여운일몽신~ ; [금강경오가해]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 야부 게송 참고.

*() ; (산스크리트어: karma 카르마) ①몸과 입과 마음으로 짓는 행위와 말과 생각.

②행위와 말과 생각이 남기는 잠재력. 과보를 초래하는 잠재력.

③선악(善惡) 행위에 따라 받는 고락(苦樂) 과보(果報).

④좋지 않은 결과의 원인이 되는 악한 행위. 무명(無明)으로 일으키는 행위.

⑤어떠한 결과를 일으키는 원인이나 조건이 되는 작용. 과거에서 미래로 존속하는 세력.

*권서(卷舒, 捲舒 돌돌 감아쌀 / ) ; ①말았다 폈다 . ②나아감과 물러남. ③재덕(才德) 숨김과 나타냄.

*소소영령(昭昭靈靈) ; 한없이 밝고 신령함. 소소(昭昭) 영령(靈靈) 함께 밝은 . 밝은 모양. 진여(眞如)•법성(法性)•불심(佛心) 의미하는 .

*오조(五祖) : (602 – 675) 이름은 홍인(弘忍)이고, 성은 ()씨인데, 호북성 기주(蘄州) 황매현(黃梅縣)에서 났다.

중국 선종의  4(四祖) 도신(道信) 법을 받아 황매현 쌍봉산(雙峰山)에서 오래 교화하였다. 많은 제자들 가운데 혜능(慧能) 신수(神秀)  분이 있었으므로, 6 혜능 계통은 남돈(南頓) 남종선이 되었고, 신수 계통은 북점(北漸) 북종선이 되어  종파가 생기게 되었다.

671년에 법을 혜능에게 전하고, 당나라 고종(高宗) 상원(上元) 2년에 74살로써 입적하였다. 시호(諡號) 대만선사(大滿禪師) 하고, 황매산 동산에 탑을 세웠다.

달마대사가 인도에서 중국으로 건너와 성립된 선종(禪宗) 2 혜가(慧可), 3 승찬(僧粲) 거쳐 4 도신(道信) 스님으로 이어진다. 도신의 제자 법융(法融) 스님이 우두산에서 선법을 선양하여 우두종(牛頭宗) 생겼다. 그리고 5 홍인 대사의 문하에서 남종과 북종으로 갈라져 남종선, 북종선이 되었다.

*육조(六祖) : (638 ~ 713) 중국의 선종(禪宗) 달마(達摩)대사를 초조로 삼고, 그로부터 육대 되는 혜능(慧能) 육조라고 한다。그는 속성이 ()씨고, 지금의 광동성(廣東省) 조경부(肇慶府) 신흥(新興)에서 났다。세 살에 아버지가 죽고 집이 가난하여 공부 하지 못하고, 날마다 나무를 팔아서 어머니를 봉양하였다.

스물   때에 장터에서 어떤 사람이 <금강경>읽는 것을 듣고 깨친  있어  사람의 지시로 양자강을 건너 황주부(黃州府) 황매산(黃梅山) 가서 오조 홍인대사(弘忍大師) 뵙고, 그의 시키는 대로 여덟  동안이나 방아를 찧고 있었다.

 

오조가 법을 전하려고 제자들의 공부를 시험하는데, 교수사(敎授師) 있는 신수(神秀)  짓기를 몸은 보리의 나무, 마음은 밝은 거울, 부지런히 닦아서, 티끌 묻지 않도록(身是菩提樹 心如明鏡臺 時時勤拂拭 勿使惹麈埃)이라 하였다.

이때 노행자(盧行者) 보리 나무 없는 , 마음 거울 비인 , 아무것도 없는데, 티끌 어디 묻으랴(菩提本無樹 明鏡亦非臺 本來無一物 何處惹麈埃)라고 지었다。오조는 그를 인가(印可)하고 석가여래의 법통을 표시하는 의발(衣鉢) 전해 주었다.

 

그는 남방으로 돌아가서    동안이나 숨어 지내다가 비로소 중이 되어, 소양(韶陽) 조계산(曹溪山)에서 선법(禪法) 크게 일으키니 견성(見性)하여  법을 이은 제자만 사십여 명이 있었다。당나라 현종(玄宗) 개원(開元)1년에 칠십  세로써 입적하였다。저술로는 육조단경(六祖壇經) 있다.

*분부(分付, 吩咐 나눌 /·맡길 ) ; ①여러 사람에게 나누어 하게 하거나 나누어[] []. ②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내리는 명령이나 지시, 당부를 높여 이르는 .

*구원겁(久遠劫 오랠 / /오랜 세월 ) : 아득하게 멀고 오랜 옛날.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과 지혜의 빛이 세상을 두루 비추어 가득하다(光明遍照, 遍一切處) 뜻으로, 부처의 진신(眞身) 이르는 . 비로자나는 진리  자체인 법신을 형상화한 .

*사명(使命) ; 맡겨진 임무.

*() ; 미혹(迷惑), 미망(迷妄), 미집(迷執) 준말. 진리에 어두움. 마음이 흐리고 혼란함. 깨달음() 반대. 무명번뇌로 인하여 사리를 밝게 깨치지 못하고 전도몽상(顚倒夢想, 바르게 사물을   없는 미혹함)하는 .

*중생(衆生) ; ①생존하는 . 목숨이 있는 . 산것. 살아있는 . 특히 인간. 사람들. 세상 사람. 유정(有情)이라고도 . ②번뇌에 얽매여 미혹한 모든 존재. ③부처가   있는 요소. 본질.

*윤회(輪廻) ;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과 같이, 중생이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 육도(三界六道) 생사 세계를 그치지 아니하고 돌고 도는 .

*좀해 : 좀처럼(‘않다’, ‘없다 따위의 부정하는 말과 함께 쓰여, 웬만해서는 어떤 행동을 하지 않음 또는 쉽게 어떤 일이 일어나지 않음을 나타내는 )

*무량겁(無量劫) ; 헤아릴  없는 오랜 시간이나 끝이 없는 시간. 劫과  동자(同字).

*본능(本能) : 사람이나 동물이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는, 억제할  없는 충동이나 감정.

*불법(佛法) ; 부처님이 깨달은 진리(). 부처님의 교법(敎法). 부처님이 설한 . 부처님의 가르침.

*염라대왕(閻羅大王) : 죽어서 지옥에 떨어진 인간의 생전에 행한 선악(善惡) 심판하여 벌은 주는 .

*말세(末世  /세상 ) ; ①도덕, 풍속, 정치 등의 모든 사회 질서와 정신이 매우 타락하고 쇠퇴하여 끝판에 이른 세상. ②석존입멸후 오백년을 정법(正法) 세상,  다음 천년을 상법(像法) 세상, 후의 일만년을 말법(末法) 세상이라고 한다.

*찰나(刹那 ·짧은시간 /어찌 ) ; ①지극히 짧은 시간. 75분의 1초에 해당한다. ②어떤 일이나 현상이 이루어지는 바로 그때. 刹과  동자(同字).

*결사(結社) ;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또는 관심에 따라,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이 인위적으로 결합한 집단.

불교의 경우 깨달음을 얻기까지 정진할 것을 위해 또는 불교 내부의 잘못을 혁신하려   결사(結社) . 고려  보조국사 지눌의 정혜결사(定慧結社) 요세(了世) 천태종 백련결사(白蓮結社) 유명하다.

*그때그때 ; ①어떤 일이 벌어지거나 기회가 주어지는 . ②어떤 일이 벌어지거나 기회가 주어지는 때마다.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 보아 깨달아 부처가 .

*삼악도(三惡道) ; 악인(惡人) 죽어서 간다는  가지 괴로운 세계.  지옥도(地獄道), 축생도(畜生道), 아귀도(餓鬼道) 가리킨다.

지옥도는 중생이 죄를 지어 죽은 뒤에 태어날 지옥세계이며, 축생도는 중생이 죄를 지어 죽은 뒤에 짐승의 몸이 되어 괴로움을 받는다는 길이고, 아귀도는 먹으려고 하는 음식은 불로 변하여  굶주리고 매를 맞는 아귀들이 모여 사는 세계이다.

*무상(無常) ; 모든 현상은 계속하여 나고 없어지고 변하여 그대로인 것이 없음. 온갖 것들이 변해가며 조금도 머물러 있지 않는 . 변해감. 덧없음. 영원성이 없는 .

세상의 모든 사물이나 현상들이 무수한 원인() 조건() 상호 관계를 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자체 독립적인 것은 하나도 없고, 인연(因緣) 다하면 소멸되어 항상함[] 없다[].

Posted by 닥공닥정

§(287) (게송) ‘대지촬래여립미~’ / 체중현(體中玄), 현중현(玄中玄) / 인가(印可).

 

**송담스님(No.287) - 1986년 2월 첫째일요법회(86.02.02) (용287)

 

약 11분.

 

 

대지촬래여립미(大地撮來如粒米)하야  당양타고대가간(當陽打鼓大家看)이로다

나무~아미타불~

안중약미제금설(眼中若未除金屑)인댄  요변현황야대난(要辨玄黃也大難)이니라

나무~아미타불~(처음~2분6초)

 

(30분52초)

이 자세를 바르게 하고, 단전호흡(丹田呼吸)을 잘 올바르게 하면서, 화두(話頭)를 올바르게 참구(參究)할 줄만 알면 공부는 갈 곳이 없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면 자세도 바라지고 또 단전호흡을 함으로써 피로회복도 되고 또 좋지 못한 성격도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다 잘 골라지고, 그러면서 이 참선을 가정에서 직장에서 일체 생활 속에서 자꾸 단속을 해 나가면 언젠가는 할려고 안 해도 저절로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게 되는 것입니다.

 

걸어갈 때나, 차를 탈 때나, 밥을 먹을 때나, 똥을 눌 때나, 세수를 할 때나, 직장에서나 언제라도 그 의단이 독로해서, 일이 있을 때에는 일하는 가운데에도 화두가 떠나지를 않고, 화두 드는 가운데에 모든 사람을 접견할 수도 있고, 일도 할 수가 있고,

그렇게 해서 주변이 시끄러워도 상관이 없고, 조용하거나 시끄럽거나 행주좌와(行住坐臥) 어묵동정(語默動靜) 간에 순일무잡(純一無雜)해서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된 때가 기어코 오고야만 마는 것입니다.

 

그렇게 알뜰히 해 가다보면 이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를 갖다가 태양이고 달이고 별이고 무엇이고 간에 그것을 소반 위에 있는 쌀이나 곡식을 갖다가 거머쥐듯이[大地撮來如粒米], 온 삼천대천세계도 한 손으로 쏵 휘어잡아서 거머쥘 수 있을 것 같은 그러한 참, 기백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래 가지고 온 태양과 별, 뭐 달까지라도 한 손에 거머쥐어다가 밝은 데다 갖다 놓고서, 그걸 갖다가 손바닥에다 놓고서 그것을 볼 수 있을 것 같은 그러한 걸림 없는 경계(境界)가 나타날 것입니다[當陽打鼓大家看].

그러면 제도(濟度) 받을 중생이 어디가 있으며, 제도를 할 부처가 어디가 있느냐 그말이여. 천당과 지옥이 무엇이며, 중생과 부처가 무슨 차별이 있는 것이냐 그말이여.

 

그러나 안중(眼中)에 약미제금설(若未除金屑)이면, 눈 가운데 만약 금싸래기를 제거, 빼 내지 못하면, 요변현황야대난(要辨玄黃也大難)이다. 어떤 것이 누르고 어떤 것이 검은 것을 가려내기는 크게 어려운 것이다.

겨우 공견(空見), 과거 · 현재 · 미래 삼세(三世)가 일념(一念) 속에 있고, 육도법계가 바로 이 일념 속에 있어서 동서남북에 걸릴 것이 없고, 시간과 공간에 막힐 것이 없는 그런 경지에 도달한다 하더라도, 현중현(玄中玄), 공안에 있어서 현중현 도리를 바로 보지 못하면, 마치 눈 가운데에 금싸래기를 빼내지 못한 거와 같은 것입니다.

 

겨우 시간과 공간에 걸림이 없다고 하는 그러한 소견을 가지고, 그래 봤자 그것은 체중현(體中玄)의 경계라, 체중현의 경계는 공(空)의 이치거든.

진공(眞空)의 이치를 보는 것인데, 진공의 이치도 이렇게 옅은 분별심으로 이렇게 아는 것이 아니라, 정말 확철대오해서 그렇게 크게 봐 버리면 그것도 상당히 어려운 것이고 중요한 것이기는 하지만, 그것을 가지고 바로 깨달랐다고 인가(印可)를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활구문중(活句門中)에, 이 조사문중(祖師門中)에 있어서는 체중현 도리 보는 그러한 것을 깨달랐다고 인증(認證)을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왜 그러냐 하면, 그러한 체중현 도리를 보는 것으로서 인가를 해 주면 그 각견(覺見)을 벗어버리지를 못하고, 이치(理致)로는 짐작을 하지마는 사(事)에 걸림이 없어야 하는데,

자기는 부처가 와도 한 방맹이, 조사가 와도 한 방맹이, 그래서 뭐 거침이 없을 것 같은 그러한 횡행자재(橫行自在)한 그러한 생각을 갖지만, 이치로 그럴지언정 사(事)에 막히기 때문에 그러한 것을 인가를 해 주면 그 사람은 그 사람의 공부가 거기에서 더 나아가지를 못하고.

그래 가지고 말을 함부로 해서, 법(法)을 설하되 할 말이 있고 안 할 말이 있는 것이고, 현(顯)과 밀(密)이 있는데 현밀(顯密)을 가리지를 못해 가지고 함부로 하기 때문에 모르는 사람이 볼 때에는 기가 막힌 도인같이 보일는지 모르지만 정말 중생의 근기 따라서 해 줄 말이 있고 안 해 줄 말이 있는 것이며,

때에 따라서 인과법이라든지 모든 방편설이 다 적재적소에 쓰면은 좋은 약이 되려니와, 그것을 함부로 가리지 못하고 함부로 쓰게 되면, 법도 못쓰게 만들고 또 중생도 못쓰게 만들고 자기 자신도 그러한 중대한 과오를 범해서 용서받지를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고인(古人)이 말씀하시기를 ‘자기보단 훨씬 나은 사람에게 인가를 해 주고 그 사람에게 법을 전해야지, 자기와 같은 정도의 사람에게 법을 전하고 인가를 해 주면, 인가 받은 그 사람은 그 사람의 반 밖에 못되는 것이다’ 이러한 말씀을 하셨습니다.

 

그래서 전강 조실 스님께서도 언젠가 말씀하시기를 "인가(印可)라 하는 것은 '옳다! 옳다! 니가 옳게 깨달았다' 이렇게 해 준 것이 인가가 아니고, 그 종사(宗師)가 그 학인(學人)한테 꼼짝을 못해야 그것이 바로 인가다" 이러한 말씀도 하신 바가 있습니다.(30분52초~39분24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대지촬래여립미~’ ; 『신심명(信心銘) 벽의해(闢義解)』 중봉 명본선사(中峰 明本禪師) (명정 역주, 극락선원) p166 게송 참고. *(頻伽藏本)天目中峰和尙廣錄 卷第十二之下 信心銘闢義解下 게송 참고.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참구(參究 헤아릴 참/궁구할 구) ; ①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것. ②선지식의 지도 아래 참선하여 화두(공안)을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단전 호흡(丹田呼吸) ; 의식적으로 숨을 저 배꼽 밑에 아랫배 하복부[丹田]까지 숨을 들어마셨다가 잠깐 머물렀다가 조용하니 길게 숨을 내쉬는 호흡. 일반적으로 들어마실 때에는 차츰차츰 아랫배가 볼록해지게 만들고, 내쉴 때는 차츰차츰 배를 홀쭉하게 만든다.

단전 호흡을 하게 되면은 혈액순환이 잘되고, 혈액순환이 잘됨으로 해서 몸안에 모든 노폐물이 깨끗하게 밖으로 배설이 되서 몸이 가벼워지고, 건강해지고 따라서 정신이 맑아지고, 정신이 안정이 된다.

 

주의할 점은 자신의 호흡의 길이에 알맞게 시작하고 자연스럽게 해야지, 절대로 억지로 호흡 시간을 길게 잡아 무리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공양(식사) 후 2시간 지나서 하라.

참선 수행에 있어서 호흡법은 우리의 몸을 건강하게 하고, 마음도 안정을 시키고 통일되게 하여 우리가 참선을 해 나가는 데에 중요한 준비, 기초 훈련이다.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의/덩어리 단/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공안, 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가 홀로[獨] 드러나다[露].

*행주좌와(行住坐臥) 어묵동정(語默動靜) ; 사람이 일상적으로 하는 일체의 행위.

*순일무잡(純一無雜 순수할 순/하나 일/없을 무/섞일 잡) ; 대상 그 자체가 순일(純一)해 전혀 이질적인 잡것의 섞임[雜]이 없음[無].

*타성일편(打成一片) : ‘쳐서 한 조각을 이룬다’. 참선할 때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려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일체처 일체시에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한 순수무잡(純粹無雜) 경계.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 온갖 세계. 수없이 많은 세계. 하나의 우주 전체. 다할 수 없이 넓은 우주.

하나의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가 하나의 부처님이 교화하는 범위라 한다. 줄여서 대천(大千), 대천계(大千界), 대천세계(大千世界), 삼천세계(三千世界), 대천국토(大千國土)라고도 한다.

고대 인도인의 세계관에서,수미산(須彌山)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4대주(四大洲)가 있고, 그 바깥 주위를 9산8해(九山八海)가 둘러싸고 있는데 이것이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이며 하나의 소세계(小世界)라 함.

이 하나의 소세계를 천개 모은 것을 하나의 소천세계(小千世界)라 부르고, 이 소천세계를 천개 모은 것을 하나의 중천세계(中千世界), 이 중천세계를 천개 합한 것을 하나의 대천세계(大千世界)라 부른다.

이 대천세계(大千世界)는 천(千)을 3번 모은 것이고, 소천•중천•대천의 3종류의 천세계(千世界)로 이루어지므로 3천세계 또는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고 한다.

*경계(境界) ; 산스크리트어 viṣaya ①대상,인식 대상, 여러 감각기관에 의한 지각의 대상. 인식이 미치는 범위 ②경지(境地) ③상태 ④범위,영역.

*제도(濟度 건널 제/건널 도) ; 중생을 미혹의 큰 바다(생사고해 生死苦海)로부터 구하여[濟], 생사없는 피안(彼岸, 깨달음의 언덕)에 이르게 하는[度] 것. 제(濟)는 구제(救濟). 도(度)는 도탈(度脫).

*구제(救濟 건질 구/건널 제)—어려움이나 위험에 빠진 사람을 돕거나 구하여 줌.

*도탈(度脫 건널 도/벗을 탈)—속세의 속박이나 번뇌 등에서 벗어나 근심이 없는 편안한 경지에 도달함.

*금싸래기 ; 금싸라기(①금의 잔부스러기. ②아주 드물고 귀중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싸래기는 '싸라기(①부스러진 쌀알. ②빗방울이 갑자기 찬 바람을 만나 얼어서 쌀알처럼 되어 떨어지는 눈)'의 사투리.

*육도법계(六道法界) ; 육도(六道)의 세계. 육도(六道,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

*현중현(玄中玄) ; 임제 의현(臨濟義玄)선사가 학인을 제접하는 데 사용한 수단인 삼현(三玄 - 體中玄•句中玄•玄中玄)의 하나.

[참고] 『선가귀감』 (서산대사 | 용화선원 刊) p207, p212 에서. (가로판 p215, p219)

[三玄]삼현

體中玄은  三世一念等이요  句中玄은  徑截言句等이요  玄中玄은  良久棒喝等이라

삼현 : 체 가운데 현(體中玄)은 삼세가 한 생각이라는 따위들이고, 구 가운데 현(句中玄)은 지름길 말들이며, 현 가운데 현(玄中玄)은 양구와 방망이와 할 같은 것들이다.

 

*삼현(三玄) : 임제 의현(臨濟義玄)선사가 학인을 제접하는 데 사용한 수단이다.

체중현(體中玄)은 진공(眞空)의 이치를 보는 것이라 학인이 이 이치를 보았다 하더라도 신위(信位)를 여의지 못했으므로 자유의 분(分)이 없다.

구중현(句中玄)은 뜻길이 없는 말로써 그 말에 걸리거나 막히지 않고 도리를 바로 봄을 말함.

현중현(玄中玄), 사(事)에 걸림이 없는 묘유(妙有) 곧 현중현(玄中玄)의 도리를 보아야 인가(印可)를 하는 것이다. 현중현을 용중현(用中玄)이라고도 한다.

*인가(印可 도장 인/옳을·인정할 가) ; 스승이 제자의 깨달음을 인정함.

*활구문중(活句門中) ; 활구참선(活句參禪)을 하는 집안.

*조사문중(祖師門中) ; 교외별전(教外別傳) • 불립문자(不立文字)로서 말 자취와 생각의 길이 함께 끊어져, 언어와 문자에 의하지 않고 직접 스승으로부터 제자에게로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깨우치는 조사선(祖師禪)을 수행하는 집안.

*'활구문중(活句門中)에, 이 조사문중(祖師門中)에 있어서는 체중현 도리 보는 그러한 것을 깨달랐다고 인증(認證)을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왜 그러냐 하면, 그러한 체중현 도리를 보는 것으로서 인가를 해 주면 그 각견(覺見)을 벗어버리지를 못하고, 이치(理致)로는 짐작을 하지마는 사(事)에 걸림이 없어야 하는데~' ; 체중현 법문.

 

[참고 ❶] 송담스님 법문(No.337)—정묘년 칠석차례(87.07.07.음)에서.(2분 48초)

체중현(體中玄)으로 보면, 공(空)의 이치에서 보면 어떠헌 공안을 묻되 할(喝)을 해 버려도 맞고, 방(棒)을 해 버려도 맞고, 양구(良久)를 해 버려도 맞고, 닥치는 대로 막 잡아서 아무것이라도 일러도 다 맞을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현중현(玄中玄) 도리에 있어서는 아무렇게나 일러도 맞지를 않습니다. 그 공안에 여지없이 이(理)와 사(事)에 탁! 맞아떨어지게 일러야 하는 것입니다.

 

참선 한 철, 두 철 열심히 허다 보면 어지간한 사람이면 다 그 공의 이치를 보게 됩니다. 그 공의 이치, 그게 체중현(體中玄)인데, ‘체(體) 가운데에 현(玄)’, 체의 이치를 보게 되면 그것이 바로 공(空)인데, 공의 이치를 보게 되면 경(經)을 봐도 모두가 그 소식입니다. 조사어록을 봐도 모두가 다 그 도리고, 조금도 맥힐 것이 없어. 환하고. 그런데 현중현(玄中玄)에서는 그렇지를 않거든.

 

체(體)의 이치를 본, 겨우 그 이치만 보고 현중현을 못 본 사람은 된장이나 똥이나 마찬가지여. 선과 악이 마찬가지고, 크고 작은 것이 마찬가지고, 부처와 중생이 다를 것이 없고, 내 마누라나 형수가 다 똑같고, 그저 거지나 임금이 다 똑같고, 생과 사가 똑같고, 그러니 오직 쾌활하냐 그말이여.

 

그러나 그것 가지고서는 부처님과 조사가 인가(印可)를 허지를 않았습니다. 그것 가지고서는 진리를 바로 봤다고 헐 수가 없어. 그것은 바른 견성(見性)이 아니여. 그래서 조사(祖師)는 현중현이라고 허는 관문(關門)을 시설을 해 가지고, 현중현 도리를 보지를 못허면 바로 보았다고 인가를 헐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현중현 도리는 선지식이 아니면은 그것을 가려내지를 못해.

 

[참고 ❷] 송담스님 법문(No.282)—86년 1월 첫째일요법회(86.01.05)에서. (2분 19초)

공안은 그 열쇠가 아니면은 도저히 그 열 수가 없는 아주 이 자물통과 같아서 도저히 그렇게 일러 가지고서는 인가(印可)를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물속에, 진흙 속에 들어가서 무엇이 발을 찔렀는데, ‘뭣이 찔렀다.’ 이래 가지고서는 알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 찌른 것이 뾰족한 돌멩이냐, 그렇지 않으면 무슨 나무 꼬타리냐, 사금파리냐, 또는 쇠꼬치냐, 분명하게 딱! 말을 해야 하는 것이지, 막연하게 ‘뭣이 찔렀다.’ 이렇게만 말한 거와 같아서, 아! 찌른 거야 사실이지, 사실 아닌 것은 아니여. 그러나 분명하게 쇠꼬치면 쇠꼬치, 사금파리면 사금파리, 돌멩이면 돌멩이를 분명히 말을 해야 알 수가 있는 거와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그 학자가 공부를 하다가 자기 나름대로는 반드시 견처(見處)가 있어서 온 것은 사실이나, 불조(佛祖)와 같이 깨닫지 못하면 체중현(體中玄)·구중현(句中玄)·현중현(玄中玄), 현중현 도리를 바로 보지 못하면 스스로 그것에 만족을 해서는 아니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활구문중(活句門中)에 있어서의 납자(衲子)의 지조(志操)라 할 것입니다.

 

[참고 ❸] 송담스님 법문(No.466)—92년 보살 선방에서 하신 법문(92.02.02)에서. (2분 26초)

구경의 깨달음이 아닌—공부해 나가다가 조금 느껴지는 그런 편안함이나 맑음이나 또는 시원함, 그런 소견이나 경계 그런 거, 구경의 깨달음이 아닌 중간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그런 경계에 ‘나도 한 소식 했다. 나도 깨달았다. 이것이 깨달음이 아닌가’하고 거기에 머물러 버리면 그 사람은 거기서 끝나는 거죠.

 

큰 깨달음을 얻지 못하고, 예를 들어서 저 지방에서 서울을 향해 가는데 대전이나 수원이나—시골 산중에 있던 사람이 거기에 나오면은 굉장하거든, 차도 많고 높은 건물도 많고 하니까 여기가 서울이구나! 하고 주저앉은 거나 마찬가지여. 서울을 향해서 가는 사람은 중간에 좀 볼만한 데가 도시가 있다고 해서 그것이 서울로 착각한 거나 마찬가지여.

서울로 가서 중앙청을 갈라면 중앙청까지 딱 가서 대통령을 만나든지 장관을 만나든지 해야지, 저 중간에 가 가지고 조금 높은 건물이 있다고 해서 그것을 갖다가 서울이라고 착각한다면 그거 되겠습니까? 그와 마찬가지입니다.

 

구경(究竟)의 깨달음이 아니면 확철대오해서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경지가 아니면 중간에 체중현(體中玄) 도리, 중간에 나타나는 보이는 그런 경계는 탁! 스스로 부정을 해 버리고 부인을 해 버리고 거기에 빠져서는 안 돼.

탁! 치워버리고 언제나 초학자와 같은 그런 심경으로 바른 자세와 바른 호흡법으로 자기의 본참공안만을 향해서 한결같이 정진을 다그쳐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참고 ❹] 송담스님 법문(No.112)—79년 11월 관음재일 법어(79.11.24)에서. (2분 36초)

가끔 조실 스님 법문 가운데에는 공안에 대한 조리(條理)에 대해서 말씀을 하신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분명히 공안에 있어서 이 학자가 깨달은데 있어서 체중현(體中玄) 도리를 보는 사람, 체중현 도리를 보아 가지고 그것으로써 득소위족(得少爲足)하는, 조그마한 소견을 가지고 ‘아! 내가 깨달았다’고 하는 이러한 잘못된 생각을 가질까봐, 『절대로 이 공안이라 하는 것은 현중현(玄中玄) 도리를 바로 봐야만 그것이 바로 확철대오(廓徹大悟)다.』 그러한 것을 우리에게 깊이 납득을 시키고 철저하게 명심을 하기 위해서 가끔 공안에 대한 말씀을 구체적으로 해주신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는 그러한 법문을 듣고, 어떠한 공안에 대해서 자기 나름대로 이렇게도 따져보고, 저렇게도 일러보고 해서 ‘혹 이런 것이 아닌가. 저런 것이 아닌가’ 이렇게 공부를 지어가서는 아니된 것입니다.

 

이 공안은 마치 체중현 도리에서 보면 아무렇게 일러도 맞지 아니한 것이 없는 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것은 공견(空見)에 빠진 사람, 공견에 빠져가지고 그러한 입장에서 볼 때에는 고함을 치나, 욕을 하나, 호령을 하나, 손을 들거나, 발을 구르거나, 무엇이 어떻게 이르건 다 안 맞는 것이 아닌 것입니다.

그러나 그러한 것은 이 현중현 도리를 본 사람이 아니고, 그렇게 봐가지고서는 불법을 바로 깨달았다고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현중현 도리는 마치 자물쇠통에 꼭 제 열쇠가 아니면은 열리지 아니한 것처럼, 바로 깨달은 사람만이 바로 이를 수가 있는 것입니다.

*각견(覺見) ; 깨달음[覺]에 집착하는 견해. 불법은 모든 속박을 벗어나 해탈에 이르기 위한 것인데, 그 깨달음[覺]에 집착하여 반대로 또 하나의 속박을 초래하는 것을 경계하는 용어. 모든 견해에 대한 집착을 부정하는 선종의 입장을 반영한다.

*사(事) ; ①구체성. 현상. 나타나는 현상. ②개별적 현상. 차별의 상(相)의 하나하나. 구체적, 차별적인 것. 이(理)의 반대. 현실.

*방맹이(방망이) ; 방(棒). 몽둥이. 또는 주장자(拄杖子). 방(棒)은 ‘방망이 봉’자이지만 불교에서는 덕산방(德山棒) 등의 용례에 따라 ‘방'으로 읽는다.

*방할(棒喝) ; 선가(禪家)에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직접 체험의 경지를 나타날 때, 또는 수행자를 점검하며 꾸짖거나 호통칠 때, 방망이나 주장자(拄杖子)를 세우거나 그것으로 수행자를 몽둥이질하는 것을 방(棒)이라 하고, 그러한 때 크게 소리를 내지르는 것을 할(喝)이라 한다.

덕산선감(德山宣鑑)은 방으로 가풍(家風)을 삼았으며, 임제의현(臨濟義玄)은 할로써 지도방법을 삼았다. 이것을 두고 ‘덕산방(德山棒)’, ‘임제할(臨濟喝)’이라 한다.

*횡행자재(橫行自在 가로 횡/갈 행/스스로 자/있을 재) ; 속박이나 장애가 없이 아무 거리낌이 없이 제멋대로 마음대로 행동함.

*현밀(顯密 나타나다·분명함 현/은밀할·숨길 밀) ; ①뚜렷함과 은밀함. ②현교(顯敎)와 밀교(密敎). 현로(顯露)한 가르침과 비밀스런 가르침. 드러나는 가르침과 비밀스런 가르침의 의미.

*도인(道人) ; ①불도(佛道)를 수행하여 깨달은 사람. ②불도(佛道)에 따라 수행하는 사람.

*인과(因果) : 무엇이나 원인 없는 결과가 없고 결과 없는 원인이 없다。콩 심은 데 콩이 나고, 팥 심은 데 팥이 나서, 이 세상의 온갖 일과 모든 물건이 반드시 인과의 법칙대로 되어 가는 것이다。사람의 일도 착한 일을 하면 복을 받고, 악한 짓을 하면 재앙을 받아서 길(吉) • 흉(凶) • 화(禍) • 복(福)이 하나도 우연한 것이 없다.

그러나 그 보응(報應)의 나타남이 원인을 짓는 그 즉시로 곧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사람의 환경이 복잡하고, 마음 쓰는 것이 또한 한결같지 않기 때문에 무거운 쪽부터 먼저 실현되어, 짓는 그 당장에 받게 되는 순현보(順現報)와, 짓는 그 즉시에 받지 않고 그 다음 시기에 받는 순생보(順生報)와, 받기는 반드시 받되 언제 받게 될지 일정하지 않은 순후보(順後報)가 있다.

이 세 가지 과보(果報)는 금생(今生) 안에 실현되기도 하고, 여러 생(多生)을 통하여 되기도 한다。그러므로 착한 사람이 빈천하거나, 악한 사람이 잘되는 것은 일시적인 현상일 따름이다.

*고인(古人) ; 불보살(佛菩薩)님을 비롯한 역대조사(歷代祖師), 선지식을 말한다.

*종사(宗師) ; 정법(正法)이나 부처님의 심종(心宗)을 전하여 대중의 존숭(尊崇)을 받는 스님.

*학인(學人) ; ① 아직 번뇌가 남아 있어, 아라한(阿羅漢)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는 더 수행해야 하는 견도(見道)·수도(修道)의 성자. ② 수행승. 선(禪)을 닦는 수행승. ③ 배우고 익히는 과정에 있는 스님.

Posted by 닥공닥정

 

 

§(201) (게송) 입초구인불내하  이도작료수마사  수연출입무종적  문채전창견야마

 

**송담스님(No.201) - 1983년(계해년)춘계산철 해제법회(53분)에서.(용201)

 

약 8분.

 

입초구인불내하(入草求人不奈何)한데  이도작료수마사(利刀斫了手摩挲)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수연출입무종적(雖然出入無蹤迹)헌데  문채전창견야마(紋彩全彰見也麽)오
나무~아미타불~
 
입초구인불내하(入草求人不奈何)한데, 풀에 들어가 사람을 구함을 어찌 하지 못혀.
부처님께서 중생 교화를 하기 위해서 중생 속에 발을 벗고 들어가신 그것이 풀 속에 들어가는 것이다. ‘풀’이라 하는 것은 ‘중생(衆生)’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중생을 제도(濟度)하기 위해서 풀과 가시덤불이 우거진 속에 들어가서 잠시도 쉴 겨를이 없이 그렇게 왕래를 하시니까, 이도작료수마사(利刀斫了手摩挲)라. 날카로운 칼로 손 살을 갖다가 갈기갈기 쪼슨 거와 같더라.
가시덤불 속에, 중생의 그 고(苦)를 받고 있는 그 고해(苦海) 속에 무량겁(無量劫)을 두고 부처님이 들어갔다 나왔다 동서남북으로 출입을 하시는데, 갈기갈기 손이 찢기고 발이 찢기고 옷이 찢기고 그 살이 찢기기를, 날카로운 칼로 쪼사논 것처럼 그렇게 참 많은 상처를 입으셨더라.
 
수연출입무종적(雖然出入無蹤迹)이나, 그러나 비록 그렇기는 그러나, 부처님이 들어가고 나오고 하시는데 종적(蹤迹)이 없어. 들어가시되 들어간 바가 없고 나오시되 나온 바가 없어.
 
사바세계(娑婆世界)에 오셔서도 49년 동안을 팔만사천 법문(八萬四千法門)을 설하셔서 무량 중생을 제도하셨지만, 한 글자도 한 말씀도 설하신 바가 없고, 한량없는 중생을 제도하셨건만 한 중생도 제도 받은 중생이 없더라 그말이여. 그래서 이거 자취가 없는 것이여.
만약에 부처님께서 49년 동안 법(法)을 설하셨으되 설한 바가 있다면 그 법은 참법이 아닐 것이고, 한 중생이라도 제도 받은 바가 있다면은 부처님께서 참으로 중생을 제도하시지를 못했을 것이다 그말이여.
 
비록 출입하시되 종적이 없으나, 문채전창견야마(紋彩全彰見也麽)라. 그 문채(紋彩)가 온전히 드러났으니 그 드러난 문채, 그 부처님의 모습을 참으로 보았느냐?
큰 눈이 아니면 감히 볼 수가 없을 것이다.
 
 
오늘은 계해년 3월 30일 봄 산철 정진을 마치고, 오늘 산철결제 해제를 하는 날입니다.
 
원래는 여름 석 달, 겨울 석 달, 1년에 두 번씩만 결제(結制) · 해제(解制)가 있었는데, 참으로 봄에는 더웁지도 춥지도 않고 또 가을에 석 달도 덥지도 춥지도 않기 때문에 그 좋은 시기를 그럭저럭 동서남북으로 왔다갔다하면서 세월을 보내기 보다는, 차라리 그 두 달 간을 여름이나 겨울 결제 때와 같이 방(榜)을 짜고 도반(道伴)들이 모여서 짬지게 정진하는 것이 참 좋겠다. 이리해서 정식으로 결제를 하고 또 이렇게 해제를 하게 되었습니다.(처음~7분21초)
 
 
 
---------------------
 
*(게송) ‘입초구인불내하~’ ; 『금강경오가해』 여법수지분(如法受持分) 야부 게송 참고.
*奈(내)어찌 *何(하)어찌 *奈何;어찌함,어떻게 *利(이)날카롭다 *斫(작)베다,자르다,치다
*了(료)마치다,완전히,마침내 *摩(마)문지르다,갈다 *挲(사)만지다,벌리다
*雖(수)비록,그러나 *然(연)그러하다,그렇기는 하지만 *蹤(종)발자취 *迹(적)자취(=跡)
*紋(문)무늬 *彩(채)빛깔,무늬 *彰(창)드러나다,뚜렷하다,선명하다 *麽(마)작다,의문 어조사,어조사. 麼는 麽의 속자(俗字).
*중생(衆生) : 참 성품을 잃어버리고 망녕된 온갖 생각이 분주하게 일어났다 꺼졌다 하기 때문에, 온갖 세계에 돌아다니면서 났다 죽었다 하는 무리들, 곧 정식(情識)이 있는 것들을 모두 중생이라 한다.
그러므로 사람뿐 아니라 모든 동물과 귀신들과 하늘 사람들까지 합쳐서 하는 말인데, 유정(有情) • 함령(含靈) • 함식(含識) • 군생(群生) • 군맹(群萌) • 군품(群品) 같은 여러 가지 말로도 쓴다.
부처님은 구제의 대상을 인류(人類)에게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와 같은 중생 전부를 가르치고 건지시는 것이다.
*제도(濟度 건널 제/건널 도) ; 중생을 미혹의 큰 바다(생사고해 生死苦海)로부터 구하여[濟], 생사없는 피안(彼岸, 깨달음의 언덕)에 이르게 하는[度] 것. 제(濟)는 구제(救濟). 도(度)는 도탈(度脫).
*구제(救濟 건질 구/건널 제)—어려움이나 위험에 빠진 사람을 돕거나 구하여 줌.
*도탈(度脫 건널 도/벗을 탈)—속세의 속박이나 번뇌 등에서 벗어나 근심이 없는 편안한 경지에 도달함.
*고해(苦海) ; 중생이 태어나서 죽어 윤회하는 영역으로서의 세 개의 세계, 삼계(三界 : 욕계欲界 · 색계色界 · 무색계無色界)에서 생사의 괴로움이 무한하므로 바다에 비유함.
*무량겁(無量劫 없을 무/헤아릴 량/가장 긴 시간 겁) ; 헤아릴[量] 수 없는[無] 오랜 시간[劫]이나 끝이 없는 시간. 劫과 刧는 동자(同字).
*사바세계(娑婆世界) ; 고뇌를 참고 견디지 않으면 안되는 괴로움이 많은 이 세계. 현실의 세계. 인토(忍土) · 감인토(堪忍土) · 인계(忍界)라고 한역. 석가모니 부처님이 나타나 중생들을 교화하는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가 모두 사바세계이다.
*팔만사천(八萬四千) : 중생의 망상이 벌어져 나가는 것을 자세히 분석하면 팔만 사천 갈래가 된다고 한다. 그러므로 망상을 따라 일어나는 악마의 수효도 팔만 사천이요, 망상을 다스리는 법문도 팔만 사천이다.
인도에서는 많은 수효를 말할 때에는 이 말을 쓰는 수가 가끔 있다. 줄여서 팔만이라고만 하기도 한다.
*법문(法門 부처님의 가르침 법/문 문) ; 불법(佛法)을 문(門)에 비유한 말. 부처님의 가르침은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 세계를 벗어나, 열반(涅槃)에 들게 하는 문(門)이므로 이렇게 이름.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르는 말. 진리에 이르는 문.
*법(法) ; (산스크리트) dharma, (팔리) dhamma의 한역(漢譯). ①진리. 진실의 이법(理法). ②선(善). 올바른 것. 공덕. ③부처님의 가르침. ④이법(理法)으로서의 연기(緣起)를 가리킴. ⑤본성. ⑥의(意)의 대상. 의식에 드러난 현상. 인식 작용. 의식 작용. 인식 내용. 의식 내용. 마음의 모든 생각. 생각.
*문채(紋彩 무늬·아름다운 광채 문/고운 빛깔·무늬·빛·모양 채) ; 문채(文彩)와 같은 말. ①어떤 사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무늬. 어떤 분별이나 행위의 결과로 남는 흔적 또는 자취. ②사물의 실상 또는 본분의 소식.
*결제(結制 맺을 결/만들·법도 제) ; 참선 수행하는 안거(安居)에 들어감. 하안거는 음력 4월 15일에 결제하며, 동안거는 음력 10월 15일에 결제한다. 
*해제(解制 풀 해/만들·법도 제) ; ①(안거)를 마침. ②재계(齋戒)하던 것을 그만두고 풂.
*방(榜) ; 용상방(龍象榜)을 말함.
[참고] 용상방(龍象榜) ; 절에서 하안거 동안거 결제 때나, 큰일을 치를 때에 각자 할 일을 정해 붙이는 명단. 행사가 끝날 때까지 모든 사람이 잘 볼 수 있는 곳에 붙여서 각자가 맡은 일에 충실하도록 한 것이다.
*도반(道伴 깨닫다·도리·근본·불교 도/반려·동반자·벗 반) ; 함께 불도(佛道 부처님이 성취하신 최상의 깨달음)를 수행하는 벗. 불법(佛法)을 닦으면서 사귄 벗. 도려(道侶) · 도우(道友) · 동행(同行) 등과 같은 말.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