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뭣고 화두2016. 6. 29. 18:59

 

 

•§•(108) (게송)부운부귀비유의~ / ‘이뭣고?’ 화두 중에는 제일 근본 / 고봉 스님 『선요(禪要) / 각차수질(脚蹉手跌) / 월봉 외도 / 무변허공각소현발.

 

무위법이라 하는 것은함이 없는 인데한정이 없는 인데, 한정이 없는 법이라 하는 것은 어디 가서 있냐?

유위법은 마음 밖에 있다마는모도 하늘이나 비비상천 같은 데나, 마음 밖에 가서 있느니라마는. 무위법이란, 함이 없는 법이라는 것은 마음에 있느니라. 마음! 마음을 얻어야, 심득(心得) 해야 한다. 마음을 깨달아야 한다.

 

이뭣고?’ 하나 ! 깨달아 버리면 그게 무위법이여. 한정이 없는 법이여. 영원한 법이다. 생사가 영원히 없고 인생이라는 문제도 없다.

 

**전강선사(No.108)—이뭣고 화두법, 월봉외도, 선요, 자경(임자72.01.09.새벽)  (전108)

 

(1) 약 21분.

 

(2) 약 11분.

 

(1)------------------

 

부운부귀비유의(浮雲富貴非留意)허고  와각공명기염정(蝸角功名豈染情)

나무~아미타불~

춘일쾌청춘수족(春日快晴春睡足)이다  와청산조백반성(臥聽山鳥百般聲)

나무~아미타불~

 

부운부귀비유의(浮雲富貴非留意). 부귀(富貴) 하는 것이 좋기는 좋다마는, 사람이 세상에 나와서 부자 되고 부자가 같으면 거기에는 () 따른다. 부자 되고 귀하게 처억 , 대과(大科) 벼슬을 가지고는 그저 천만인이 앙시(仰視)하고 좋기는 좋다마는 거기에 그만 한번 떨어지면은 도문(道門)과는 나올 수가 없는 것이다.

호귀(豪貴) 부귀(富貴)에는 득도난(得道難)이다. 닦기가 어려워. 부귀 받느라고 도저히 못혀. 그런데 우리 부처님 같은 용맹, () 그러헌 부귀를 가지시고도 그걸 내번지고 나오셔서 도를 닦았다.

 

와각공명기염정(蝸角功名豈染情)이냐. 부귀라는 것이 그게 잠깐 있다가 마는 건데, 인생 일생이라도 그녀러 얼마 된가? 잠깐 그저 부귀라고 붙어 있지마는 와각(蝸角)이다. 달팽이 뿔때기 같은 것이다.

달팽이란 놈이 뿔때기 뿌욱 나오면 뿔때기가 아주 이놈을 들입대 내둘르고 야단치지마는, 건들면 들어가 버리고 없거든. 그렇게 허망하다 그말이지.

 

공명(功名) 그런 것이다. 아무리 천하 공명을 한다 한들 다한 때가 있으니, 없어지는 때가 있으니 그것은 생각해야 아닌가? 그걸 유위법(有爲法)이라 . 잠깐 있다 없어지는 것을 유의법이라 . 영원히 없어지지 않는 법을 무위법(無爲法)이라 하고. ‘한정이 없는 이라 한다 그말이여.

 

유위법이라 하는 것은 부귀나 공명이나 다음에 세상에 별별 색상을 얻어서 ()으로 모도 얻고, 모양으로 모도 얻고 아무리 좋은 얻어도 법은 유위법이다 그말이여.

함이 있는[有爲], 한정이 있는 법이니라. 한정(限定) 있는 법이기 때문에 그것 다해 버리면 그놈 한정 지나 버리면 도로 마찬가지. 처음이나 끝이나 마찬가지.

 

무위법이라 하는 것은함이 없는 인데한정이 없는 인데, 한정이 없는 법이라 하는 것은 어디 가서 있냐?

유위법은 마음 밖에 있다마는모도 하늘이나 비비상천 같은 데나, 마음 밖에 가서 있느니라마는. 무위법이란, 함이 없는 법이라는 것은 마음에 있느니라. 마음! 마음을 얻어야, 심득(心得) 해야 한다. 마음을 깨달아야 한다.

 

마음을 깨닫는 법은 뭐고?

먹고 입고, 가고 오고 일체처에 뭣이 하는가? ? 순전히 내가 하지 않는가!

몸뚱이 요까짓 것이 하는가? 몸뚱이 요놈이 내가 시켜서소소영령(昭昭靈靈) 주인공(主人公), 내가 시켜서 하지, 그놈이 그걸 하는가? 그러니 내가 나를 깨달아 얻는 것이여.

 

『아무개야. 『예. 그놈을 깨달아 얻는 것이다 그말이여. 그걸 참선법(參禪法)이라 . 세상에 참선법, 내가 모든 것을 내가 하는데, 내가 하는 놈을 찾는다 그말이여. 그게 안되아?

고봉 스님 말씀이나 우리 부처님, 모두 부처님과 조사의 말씀이콩인지 팥인지 알면은 한다 했어. 숙맥(菽麥) 모르면은 화두들 , 화두를 모르니까 안되지마는

 

『이? 『이?』해 . 『이?

『이?』해 놓고는 『이? 놈이 뭐냐? 그말이여. 『이뭣고?

 

『이?  ! 『이? 놈이 뭐여? 의심을 짊어지고 들어가네. 『이? 찾는 놈을 짊어지고 들어가. 『이? 하고 『뭣고?  『이? ! 『이? 놈이 뭣고?

잠에 거꾸러지지 말고 망상에... , 그놈 『이? 뭣고? ! 이것 못혀 세상에. 아무리 멍청이리라도 이건 거다 그말이여. 『이? 뭣고?

 

! 세상에이뭣고?’ 없고 답답하다 모른다 없고 답답하고 모른다는 생각을 붙일 것이 무엇이 있는가?

이뭣고?’, 다만이뭣고?’ 하면은이뭣고?’ 없는 의심(疑心)인데. ! 그놈만 할찌니 그놈이 옳은 놈인데 답답하다 모른다그려. 무엇을 알라고답답하다 모른다그려.

모르는 그놈이 ! 터지면은 견성(見性)인데. 인제 그놈이 터질 때가 있는데. 그놈이 아무 때나 아무 때나 터지나? 허고 허고, 허고 헌다. 무엇을 바냐?

 

우리가 세상에 몸뚱이 받아 가지고 나와서 몸뚱이 끌고 댕기는 주인공 찾는데. ! 내가 찾는데. 뭐가 거가 도무지 무슨 멀고 가깝고, 무슨 답답하고, 무슨 모르고 알고 있는가?

 

『이뭣고?』하면 없는 하나 나온다. 『이뭣고? 『이뭣고?』하면 없는 하나뿐.

없는 그놈 때문에 다른 망념이 길어나는 곳도 없지마는, 망념이 길어나데끼 길어난 없어. 자꾸 『이뭣고?』를 해야사다른 일체 망념이 본래 없는 것이지마는 그놈이 일어나 싼다 그말이여자취 없이 일어나는 못된 번뇌 망상이 거가서 붙들 못혀. 『이뭣고?, 『이뭣고?』다.

 

이뭣고?’ 이것이 제일 화두(話頭) 중에는 근본인 것이여.

만법(萬法) 귀일(歸一)인데, 일만 법이 하나로 돌아갔는데 일귀하처(一歸何處)? 하나는 어느 곳으로 갔는고?’ 그것이 내나이뭣고?’뿐이여. 그것도이뭣고?’ 주장이여.

만법귀일 일귀하처 뭘라고 기드란허니일만 법이 하나로 돌아갔는데 하나는 어디로 갔는고?’ 야단스럽게 찾을 있는가? 『이뭣고? 단순하고 간단하고이뭣고?’뿐이다.

 

이뭣고?’ 하나 ! 깨달아 버리면 그게 무위법이여. 한정이 없는 법이여. 영원한 법이다. 생사가 영원히 없고 인생이라는 문제도 없다 거가. 무슨 놈의 인생이냐? 거가서.

 

세상에 이런 일을, 내가 세상에 나와서 이러한 기가 막힌 중대한 참선법 이러한 일을, 일을 두고 , 어따가 뜻을 헐까 보냐. () 시방 그것이여.

부운부귀(浮雲富貴) 뜻한 법이 없어. 부운부귀 그까짓 봤던들 유위법 칠팔십 그저 허다 , 공명(功名) 달팽이 뿔따귀 같은 고까진 거다가서 뜻을 모두 적시냐? 뜻을 갖다 모두 물들리냐? 허연 비단 옷감에다가서 시커먼 물들이데끼 물을 들이고 있느냐.

 

『내』 찾아야 하겠다. 『내』 하나 찾을 무위법, 『나』 하나 터억 찾아 들어갈 , 먹고살 것이 없나? 먹고살 있는 법이여. 제석천왕(帝釋天王) 닦는 사람만 모두 보호해 줄라고 천하 보물을 가지고 있다 그말이여.

 

이러한 도학자(道學者) 되었구나. 그렇게 믿기 어렵고 그렇게 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내가 나를 찾는 것이다마는.

그렇게 가깝고도 그만 그저 눈동자 속에 들어 있고, 코구녁 속에 들어 있고, 혈근 속에 들어 있고, ! 이놈 여가(여기) 있는데 그렇게 찾기 어렵구나. 그렇게 믿기 어렵고.

이놈을 믿지 못하면은 유위법, 상견(相見)법에 쳐백혀 가지고는 죄만 짓지, 도리 없다. 법이여.

 

 

춘일쾌청춘수족(春日快晴春睡足)이다  와청산조백반성(臥聽山鳥百般聲)이니라

나무~아미타불~

 

! 이것 하나 깨달아 버리면, 하나 내가 찾아 번지면 일이 있냔 말이여? 다시, .

부귀면 하며 공명은 것이냐? 부귀 같은 것은 인자 마음대로 내가 번이라도 있고 번이라도 있고천하에 밖에 있는 보물, 천하에 보물 그것이 아니라, 속에 터억 보물을 내가 찾아 놨으니 부귀만 ? 공명은 뭣이여? 전체가 공명이고 전체가 부귀지.

 

춘일쾌청(春日快晴)헌디 춘수족(春睡足)이다. 춘일은 봄날은 쾌청한데, 봄날 쾌청이란 것은 지금 자리, 본분(本分) 내가 깨달은 경계에다 비유한 것이거든.

춘일은 쾌청헌디 춘수가 족하구나. 잠이 족하다. 잠이나 잘라면 잘까, 일이 있나 말이여? 터억 깨달아 버렸어.

 

와청산조백반성(臥聽山鳥百般聲)이다. 누워서 산새 가지 우는 소리나 ! 그놈이 듣는디 그놈이 모도 무비(無比) ()로구나. 그놈도 새소리까장이라도 어디 도망을 곳이 없다. 전부 자가용이요. 내가 마음대로 묘코 것이다.

 

 

공부를 지어 들어가다가 화두가 인자 오래오래 해서 화두가 한이 차면구구(久久)하면 필유입처(必有入處)오래오래 하면 반드시 들어갈 구녁이 나와! 퇴타(退墮)하지 말고, 안된다고 내던지지 말고.

그저 앉아서 무덤덤하게이뭣고?’해도 그저 안되고 까깝하고 허드래도이뭣고?’ 자꾸자꾸 해서 물러가지 마라. 참으로 물러갈 곳이 어디냐? 옳게 들어왔다. 왔으니 물러가지 말지니라.

 

춘래의구초자청(春來依舊草自靑)이요. 봄이 오면 제절로 풀이 나는 법이고, 추지임타황엽락(秋至任他黃葉落)이니라. 가을이 오면은 황엽이, 이파리가 누래져서 떨어질 때가 온다.

 

화두 참선도 인제 그럴 때가 들어와. 오래오래 순숙(純熟)하게 들어갈 같으면은 유기저사인상사(有氣底死人相似). 몸뚱이는 부들부들하니 기운은 있는디, 딸싹딸싹 헌디 죽은 사람 같다. 등신(等神) 같고, 어리석은 사람 같고.

화두가 그만 이뭣고?’ 없는 놈이 내외(內外) 그만 마음 안이나 마음 밖에나 전체가 없는 일념(一念) 싸져 버렸으니, () 의심(疑心) ! 그만 쩔어져 버렸으니 ! 몸뚱이에 백혀 쩔어져 버렸으니 죽은 사람 같다. 그래도 죽은 사람이 아니여.

 

우여목조저상사(又如木雕底相似). 냉기(나무) 저렇게 깎아 놓은 부처님, 등상(等像)으로 맨들어 놨거든. 어디 무슨 가만히 등상으로 앉었지마는 눈도 있고 코도 있고 귀도 있고 입도 있고 가만히 앉었다 그말이여. 고러헌 등상같이 맨들어 놓은 지경이 온다.

 

도자리(到者裡)해야, 이러헌 때에는, 인제 이런 때가 와서는 맥연각차수질(驀然脚蹉手跌)이다. 문득 다리를 한번 삐딱하던지, 손을 한번 잡다가 삐딱하던지, 무슨 경계가 가지고는 밥을 먹다가 숟그락 ! 소리가 나던지, 물을 마시다가 후르르르 소리가 나던지,

! 이런 무슨 수질(手跌) 그런 지경에서 각차수질(脚蹉手跌) 그때에 심화(心華) 돈발(頓發)이다. 마음에 없는 의심이 그만 터진다. ! 터져 버린다 이말이여.

통조시방(洞照十方)이라. 시방세계를 통조(洞照)한다.

 

시방세계는 어디 어디 타관(他官) 어디 , 멀고 가까운 , 하늘 , 금강 지하 , 비비상천(非非想天) 소용없어. () 꼭대기 꼭대기 마지막 꼭대기 이마빡까장 마지막 밑에 금강저까장 투정투저(透頂透底). () 뚫어 버리고 () 뚫어 버린다. 위에를 뚫어 버리고 밑에를 뚫어 버린다.

그러니 () 어쩔 거여, 횡은?. () 뚫어 버리고 횡을 쳐부숴 버리고 미쳐 버리는 곳이 없네. 이러헌 그만 지경이 있다 그말이여.

 

이건 이무애(理無碍) 지경에도 있지마는 이무애(理無碍) 증득(證得) 버리면 사무애(事無碍) 이런 지경이 있어. 사사(事事).

, 우리 마음속에 그러헌 보배 () 있네. 우리 마음이지 그놈이 ()이라 그말이여. 이런 각이 있어. 그러면 깨달은 경계다.

 

여고일(杲日) 여천(麗天)이다. 동쪽에서 떠올라 해가, 동천(東天)에서 ! 솟아올라 해가 하늘에 떠억 한복판에 떠서 비쳤다. 복판에 한낮쯤 일광 같다. 확철이다, 비쳐 버린 것이.

우여명경당대(又如明鏡當臺). 밝은 (), 당처(當處) 자리가 명경(明鏡)으로 명경 비춘 같다. 다른 아녀. 명경으로 명경을 비추니 그놈의 어디 무슨 어디가 나타난 것이 있나?

 

불월일념(不越一念)허고, ‘ 『이뭣고? 생각을 넘치지 않고, 일념(一念) 조금도 어디 버리고 넘치고 내버리지 않고, 그대로 일념 가지고 돈성정각(頓成正覺)이로구나. 몰록 정각을 이뤄버렸구나. 바로 깨달랐구나.

 

바로 깨달아 놓고 보라 그말이여. 깨달아 놓고 봐야지.

쪼끔 하다가 무슨 빼꼼하니 생각난다고 한마디 일러 놓고. 도리어 그만 내나 도리 갖다가 도로 물으면 맥혀서. 고것이 참선법이여? 고것이?

 

일관도천(一串都穿) 정각을 이뤄버릴 같으면 벌써 천칠백 공안(千七百 公案) 그대로 척척 것도 것도 없지.

낱낱 것이 그대로 하나 터지면 하나 나중에 맥히고 그려? 그놈 왜놈의 참선인가 보다. 하루에 하나씩 깨닫게.

그런 아니여. 터억 번지면은 하나도 어디 가서 어떤 놈이 걸리며 어떤 놈이 맥혀?

 

그래 가지고 고것 생사가! 생각해 보면 알지. 생사 면할 건가? 그것 가지고?

그런 놈의 지견을 가지고 와서는 뭐라고, 벌써 보면 알지. 코똥 한번 뀌어버릴 일이지. 그것참 .(처음~2054)

 

 

 

 

 

(2)------------------

 

실개정각(悉皆正覺)하리라. ! 깨달아 버릴 것이다.

비유명차일대사(非惟明此一大事). 오직 일대사(一大事) 밝히는 아니다. 생사대사(生死大事) 밝힌 아니여. 생사대사, 죽고 사는 생사대사만 면하는 아니다.

 

종상약불약조(從上若佛若祖), 위로 좇아서 과거 다생겁래(多生劫來) 오면서, 좇아 부처와 조사 과거에는 부처가 없었으며 조사가 없었나? 언제든지 있었는디.

부처와 조사와 일체차별인연(一切差別因緣), 차별인연까지 실개투정투저(悉皆透頂透底). () 통하고, 정을 뚫고 밑을 뚫는다. 이마빡을 , 이마빡이 없이 위까장 뚫어 버리고 밑구녁까장 터져 버린다. 저절로 터져 버려.

 

이러헌, 세상에 참선법인데, 이렇게 무위법인데, 무위법에 퇴타할 수가 있나? 학자(學者), 어떻게 퇴타를 하느냐? 믿고 들어오기만 해도 벌써 () 중에, 한량없는 중에 인연을 지어온 것이니라.

 

불법세법(佛法世法) 타성일편(打成一片)이다. 불법(佛法)이고 세법(世法)이고, 쳐서 한덩어리 이루어서 깨달아 버렸다.

그러니 어떻게 좋던지, 인자 그만 좋을 것뿐인가? 마쳤으니 좋기도 허고 슬프기도 허고, 자비심도 더헐 없고, 원융심도 더헐 없고, 이와 같은 경계가 어디 있겠나?

깨달아 가지고 보니 좋으니까 한바탕 여그서 노래를 부른단 말이여. 노래여. 이것 고인(古人) 노래. 깨달아 가지고 통해서 보림(保任)해서 () 버려 놓으니,

 

등등임운(騰騰任運)이요  임운등등(任運騰騰)이요쇄쇄낙낙(灑灑落落)이요  건건정정(乾乾淨淨)이니라주일개무사출격진도인야(做一箇無事出格眞道人也)니라

나무~아미타불~

 

이래 가지고는 등등임운(騰騰任運)하며 ()’자여. 날고 난다. 임운(任運)한다. 마음대로다. 등등(騰騰) 임운(任運)이다.

밑에는 임운(任運) 등등(騰騰)이다. 임의(任意)대로 것이 등등이로구나. ‘ ()’자를 , 이렇게 등등임운이요, 날고 나는 것을 임의대로. 임운을 등등이다, 임운을 날고 난다.

 

쇄쇄낙낙(灑灑落落)이다. 깨끗허고 깨끗허고 깨끗허고 깨끗허다. 오직해야 자를 놨을까. 건건정정(乾乾淨淨)이다. 높고 높고 깨끗허고 깨끗허다.

! 이거 생사(生死) 있어야지, 거가서는 인자 무슨 뭣이 있어? 하나도 일도 없고, 일이 없다. 생사 하나 깨달아 놓고, 생사 하나 없애버리고 보니 아무 일도 없다, 당최.

 

이놈의 생사 때문에 중생사(衆生事) 이렇게 남의 뺏을라 하고, 도둑질할라 하고, 사기 협잡하고, 그저 남의 나라 쳐서 뺏을라 하고 요따위뿐인데. 턱꺽 깨달아 놓으니 , 세상에는 일이 있나?

하나도 일이 없어서 무사출격인(無事出格人)이다. 일이 없어서 () 밖에 뛰어난 사람이다. 출격진도인(出格眞道人)이다. 밖에 뛰어난 진짜 도인이다.

 

임마출세일번(麽出世一番)하야사, 이렇게 인생 문제를 깨달아 버리고 이렇게 터억 되아사,

방왈불부평생참학지지원이(方曰不負平生參學之志願耳)니라. ()야로 평생 참학(參學) 지원(志願) 버리지 않는 것이요, 네가 몸뚱이 얻은 목적을 달성헌 것이요, 너는 , 인자 ... 말을 것이냐?

 

이것이 우리 참선법(參禪法)이여. 참선법을 어디 가서 배울 것이냔 말씀이여. 참선법을 아무 때나 배울 데가 있는 알으셔?

그런데 이런 참선법에 인연이 없으면 법도 없어. 와서 들을라고도 허지 않어. 과거 다생겁 중에 한량없이 인연을 모도 심어 놨기 땀세 이렇게 와서 참선을 배우는 대학자(大學者). 참선법 여까장 조꼼 설해 놓고.

 

 

, 통도사 강사 스님이라 환히 알고 있다.

봐아. 법문 한번 잘못 ()하면 큰일나는 것이여. 보지. 똑같은 법문이지마는 글만 봐서 새기는 다르고, 뜻을 바로 알아서 말하는 다르거든.

 

원각경(圓覺經)무변허공각소현발(無邊虛空覺所顯發)이다

그때 월봉 스님이 당시에는 제일이여. 월봉 스님 같은 이가 없어. 그런 월봉 스님이라도 법상에 올라가서 새기는데무변허공각소현발(無邊虛空覺所顯發)이다. 갓없는 허공에서 () 현발(顯發)한다. () 나타난다

 

그러니깐 환성지안(喚醒志安) 도인은 글도 몰라, 이치만 통해서.

환성지안 도인이 훌륭한 도인인데, 들어본 벌써 이치에 틀리거든. 글이 이치에 틀린 법이 있나? 글도 벌써 이치를 말해 놓은 건데, 조끔만 빗가면 못쓰는 것인데.

 

그만 환성지안 스님이 한번 () 했다 그말이여. () 한번 냅다 『억! 하고 고함을 지르니까 떨어져 죽었거든. 떨어져 죽었어, () 소리 한마디에.

그러니 그거 뭐냐 하면은 바로 견성(見性) 못했기 때문에 입만 가지고 글만 보고 새기든 것이었다.

 

갓없는 허공에서 각이 나왔다그말이여. ‘각이 현발한다대체 허공에서 우리 마음, 각이 나왔지, 조그만한 우리 마음속에서 허공이 나올 리가 있나?

그런데 그런 월봉 스님, 선사도 아니지. 인자 외도가 되아 버렸은게.

무변허공(無邊虛空)에서 () 현발(顯發)했다. 깨달은 각이 나왔다, 현발했다 그말이여.

 

아니다()’ 냅다 하니까 떨어져 죽었지. 피를 토하고 죽었다 그말이여. 그래 그때부텀은 천하 제일가는 월봉 외도가 되아 버렸지. 환성지안 도인은 도인이 되고.

 

그게무변허공각소현발(無邊虛空覺所顯發)이다. 갓없는 허공이 각에서 현발했다요렇게 헌다 하지. 인자 그게 옳다 하지. 「갓없는 허공에서 각이 현발했다」 그것은 아주 그만 엉뚱헌 외도 소견이고.

무변허공이, 갓없는 허공이 각에서 현발했다그것도 벌써 대가리 붙인 것이여. 그렇게 없어.

 

거기에 묘하게 새기는 법이 있어. , 그건 각기 한번 생각해 일이지, 거다가 무슨 벌써 새겨 주는 것이 트집 것이여.

‘-, -, () 그게 아니다이거지만, 그것 바로 새기는 법이 있다 그말이여. 그런 것은 그것을 새겨서 무슨 견성이니 불견성이니 없으되, 그런 것도 트집 없다 그말이여.(2059~3159) (전108)

 

 

[참고] 위에 하신 법문 『선요(禪要)』의 원문(原文). 『고봉화상 선요(禪要) (통광 역주 | 불광출판사) p51~52, 『선요』 (원순 역해 | 도서출판 법공양) p41~42 참고.

〇恰如箇有氣底死人相似하며  又如泥塑木雕底相似리라  到者裏하야  驀然脚蹉手跌하면  心華頓發하야  洞照十方이  杲日麗天하고  又如明鏡當臺하야  不越一念하고  頓成正覺이라

흡사 숨만 남은 시체와 같으며 또는 진흙으로 만든 인형이나, 나무로 깎아 만든 조각 같이 것이다. 이러한 경지에 이르면 갑자기 손과 발이 미끄러져서 마음꽃이 단박에 피어 시방세계를 훤히 비춤이 마치 밝은 해가 하늘에 같으며, 맑은 거울이 경대에 놓인 같아서 찰나에 정각(正覺) 이루는 것이다.

 

非惟明此一大事라  從上若佛若祖의  一切差別因緣을  悉皆透頂透底하며  佛法世法을  打成一片하야  騰騰任運하고  任運騰騰하며  灑灑落落하고  乾乾淨淨하야  做一箇無爲無事出格眞道人也라

麼出世一番하야사  方曰  不負平生參學之志願耳니라

일대사만을 밝힐 아니라, 위로 부처님이나 조사들의 온갖 차별된 인연(因緣) 몽땅 아래 위로 꿰뚫어 알며 불법과 세간법을 조각으로 만들어 무심하여 걸림이 없이 자유자재하며, 뿌린 쇄락하고, 씻어 말린 정결하여 하나의 격식에서 벗어나 일없는 도인이 것이다.

이렇게 한번 세상을 뛰어나와야 비로서평생동안 참선하려는 뜻과 원력을 저버리지 않는다 말하리라.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게송) 부운부귀비유의~’ ; [청허당집(清虛堂集)] (서산휴정 ) ‘朴上舍草堂게송 참고.

*앙시(仰視)하다 ; 존경하여 우러러보다.

*도문(道門) ; ①도에 이르는 . 부처님의 가르침. ②불문(佛門). 부처님의 법문(法門). 불교(佛敎)라는 . 부처님의 가르침에 들어서는 . 깨달음으로 들어서는 .(가산)

*호귀(豪貴 호걸·귀인 /귀할 ) ; 권세가 있고 귀함.

*내번지다 ; ‘내버리다 사투리.

*들입다 ; 세차게 마구.

*유위법(有爲法) ; ①여러 인연으로 모이고 흩어지는 모든 현상. 여러 인연으로 생성되어 변해 가는 모든 현상. 인연의 모임과 흩어짐에 따라 변하는 모든 현상. ②온갖 분별에 의해 인식 주관에 형성된 현상. 분별을 잇달아 일으키는 의식 작용에 의해 인식 주관에 드러난 차별 현상. 인식 주관의 망념으로 조작한 차별 현상.

*무위법(無爲法) ; (산스크리트어: asaṃskrta-dharma) 무위법은 무위의 세계, 인연의 화합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닌 진리의 세계의 모든 개별 존재(·) 통칭한다. 또는 그러한 개별 존재(·) 가리킨다. 원래 무위 혹은 무위법은 열반(涅槃) 다른 명칭.

*() ; ①모습, 형태 ②특징, 특질 ③생각, 관념, () 같음 ④종적을 남기고 싶다고 하는 생각

*소소영령(昭昭靈靈) ; 한없이 밝고 신령함. 소소(昭昭) 영령(靈靈) 함께 밝은 . 밝은 모양. 진여(眞如), 법성(法性), 불심(佛心) 의미하는 .

*주인공(主人公)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청정한 부처의 성품을 나타내는 .

*숙맥(菽麥 /보리 ) ; 콩과 보리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리 분별을 못하는 어리석고 못난 사람을 이르는 .

*이뭣고(是甚 시심마) : ‘이뭣고? 화두 천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이뭣고?’하고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어떤 일이 일어난 자리)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이것이 무엇인고?’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 일곱 ()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 ()이다. ‘이뭣고?(이뭐꼬)'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뜻은 속에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왔다.

*의심(疑心) :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 대해 없는 생각 막히는 .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또는어째서 () 했는고?’ 또는조주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 했는고?’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바른 깨달음은 없는 의단, 없는 의심에 막힌 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참화두(本參話頭) ; 본참공안(本參公案).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견성(見性) : ‘성품() 본다()’ 말인데진리를 깨친다 뜻이다。자기의 심성을 사무쳐 알고, 모든 법의 실상인 당체(當體) 일치하는 정각(正覺) 이루어 부처가 되는 것을 견성 성불이라 한다.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물들이데끼 ; 물들이듯이. ‘ -데끼 ‘ -듯이 사투리.

*제석천왕(帝釋天王) ; 불법(佛法) 지키는 수호신. [天神]들의 제왕[] 샤크라〔釋〕라는 . 제석(帝釋), 석제(釋帝), 제석천(帝釋天), 제석왕(帝釋王), 제석태자(帝釋太子), 천주(天主)라고도 한다.

산스크리트어 이름은 샤크라 데바남 인드라(Śakra-devānām Indra). 석제환인다라(釋提桓因陀羅) · 석가제환인다라(釋迦提桓因陀羅) · 석가제바인다라(釋迦提婆因陀羅) · 석가제바인달라(釋迦提婆因達羅) 등으로 음역하고 줄여서석제환인(釋提桓因, 釋帝桓因) · 제석천(帝釋天)이라 한다.

『법화현찬(法華玄贊)』에서는 범어 석가제바인달라(釋迦提婆因達羅)에서 석가 ()씨이며 ()이라 한역하고, ‘제바 ()’이라 한역하며, ‘인달라 ()’ 한역하니  능천제(能天帝)’ 한다 뜻으로 보면 석가(능히) 제바(하늘의) 인달라(제왕)’

 

불교의 세계관에 의하면 세계의 중앙에 수미산이 있는데  수미산 정상에 있는 도리천의 왕으로, 사천왕(四天王)32() 통솔하면서 불법(佛法) 불제자를 보호한다. 도리천에는 33신이 있는데, 제석은  중앙에 있는 선견성(善見城) 안의 수승전(殊勝殿)이라는 궁전에 살고, 나머지 32신은  () 밖의 궁전에서 각각 산다.

제석천은 본래 인도 성전 《리그베다》에 등장하는 천신  벼락을 신격화한 가장 강력한 힘을 지닌 신이었으나 불교에수용되어서는 범천(梵天) 함께 호법선신 역할을 맡게 되었다. 그리하여 항상 부처님의 설법 자리에 나타나 법회를수호하고 사바세계 인간의 번뇌와 죄를 다스리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국에서는 단군의 할아버지를 석제환인(釋提桓因)이라고 하여 하늘의 주인과 제석천을 동일시하여 숭배하였다.

<잡아함경>에는 제석천이 본래 사람이었으나 수행자에게 음식과 재물, 향과 와구(臥具등불을 베푼 인연으로 제석천이 되었다고 한다. 제석천왕은 신중탱화(神衆幀畵)  손에 금강저(金剛杵) 들고 머리에 보관(寶冠) 쓰는 모습으로 많이 등장한다.

*도학자(道學者) ; () 닦는 사람. 수행자(修行者).

*()①깨달음. 산스크리트어 bodhi 한역. (). 보리(菩提)라고 음사(音寫). ②깨달음에 이르는 수행, 또는 방법. ③무상(無上) 불도(佛道). 궁극적인 진리. ④이치. 천지만물의 근원. 바른 규범.

*상견(相見) ; () 있다는 견해.

*번지다 ; 보조 동사버리다( 동사의 동작이 이미 끝났음을 나타내는 )’ 사투리.

*본분(本分 근원마음본성 /신분 ) ; 자신이 본래부터 지니고 있는, 천연 그대로의 심성(心性).

부처라 중생이라 하는 것은 속에서 하는 말이다. 본래 어둡고 밝고 알고 모를 것이 없으며, 온갖 속박과 고통을 새로 끊을 것이 없고, 대자유(大自由)• 대해탈(大解脫) 비로소 얻는 것도 아니다. 누구나 본래부터 그대로 부처인 것이다. 그러므로 '근본 깨달음(本覺)'이라기도 하는데, ‘선가귀감첫구절에서 말한 '  일원상(一圓相)' 이것을 나타냄이다.

*퇴타(退墮 물러날 /떨어질·게으를 ) ; 어떤 경지로부터 물러나 되돌아 오는 . 퇴전(退轉)이라고도 한다.

*까깝하다 ; ‘답답하다(어떤 일이 뜻대로 되지 않거나 후련하지 않아 애가 타고 갑갑하다)’ 사투리.

*순숙(純熟 순수할·온전할 /익을 ) ; 완전히 익음.

*등신(等神) ; 나무, , , 따위로 만든 사람의 형상.

*등상(等像) ; 나무, , 등으로 만든 사람의 형상.

*각차수질(脚蹉手跌 다리 /미끄러질·넘어질 / /거꾸러질·넘어질 ) ; (몸이 균형을 잃고) 손과 발이 미끄러지다.

[참고] 『고봉화상 선요(禪要) (통광 역주 | 불광출판사) p50~52, 『선요』 (원순 역해 | 도서출판 법공양) p40~42 참고.

若要的實明證인댄  須開特達懷하며  發丈夫志하야

將從前惡知惡解와  奇言妙句와  禪道佛法과  盡平生眼裏所見底와  耳裏所聞底하야  莫顧危亡得失과  人我是非와  到與不到와  徹與不徹하고

 

發大忿怒하며  奮金剛利刃하야  如斬一握絲에  一斬에  一切斷이라  一斷之後에  更不相續하야  直得胸次中이  空勞勞地와  虛豁豁地가  蕩蕩然 無絲毫許滯碍하야  更無一法可當情이  與初生으로  無異니라

 

喫茶不知茶하고  喫飯不知飯하며  行不知行하고  坐不知坐하야  情識이  頓淨하고  計較都忘이  恰如箇有氣底死人相似하며  又如泥塑木雕底相似리라

到者裏하야  驀然脚蹉手跌하면  心華頓發하야  洞照十方이  杲日麗天하고  又如明鏡當臺하야  不越一念하고  頓成正覺이라

 

非惟明此一大事라  從上若佛若祖의  一切差別因緣을  悉皆透頂透底하며  佛法世法을  打成一片하야  騰騰任運하고  任運騰騰하며  灑灑落落하고  乾乾淨淨하야  做一箇無爲無事出格眞道人也라

麼出世一番하야사  方曰  不負平生參學之志願耳니라

 

만일 일을 적실하고 분명하게 증득하려면 특별한 포부를 품고 대장부의 뜻을 내어,

종전의 나쁜 알음알이와 기묘한 언구(言句) 선도(禪道) 불법(佛法) 평생동안 눈으로 것과 귀로 들은 것들에서 위태로움과 죽음, 얻음과 잃음, 남과 , 옳음과 그름, 도달함과 도달치 못함, 사무침과 사무치지 못함 따위를 돌아보지 말고,

 

크게 분발심을 내어 마치 금강 같은 날카로운 칼로 한줌의 실을 , 베면 모두 끊어져서 후에는 다시 이어지지 않는 것과 같이 하면, 당장 가슴속이 비어 호호탕탕(浩浩蕩蕩)해서 실끝만치도 막히거나 걸림이 없으며 다시 법도 정식(情識) 매이지 않음이 마치 갓난아기와 같을 것이다.

 

차를 마셔도 마시는 모르고, 밥을 먹어도 먹는 모르고, 다녀도 다니는 모르고, 앉아도 앉는 몰라 정식(情識) 단박 깨끗해지고 계교(計較) 모두 없어지는 것이 흡사 숨만 남은 시체와 같으며 또는 진흙으로 만든 인형이나, 나무로 깎아 만든 조각 같이 것이다.

이러한 경지에 이르면 갑자기 손과 발이 미끄러져서 마음꽃이 단박에 피어 시방세계를 훤히 비춤이 마치 밝은 해가 하늘에 같으며, 맑은 거울이 경대에 놓인 같아서 찰나에 정각(正覺) 이루는 것이다.

 

일대사만을 밝힐 아니라, 위로 부처님이나 조사들의 온갖 차별된 인연(因緣) 몽땅 아래 위로 꿰뚫어 알며 불법과 세간법을 조각으로 만들어 무심하여 걸림이 없이 자유자재하며, 뿌린 쇄락하고, 씻어 말린 정결하여 하나의 격식에서 벗어나 일없는 도인이 것이다.

이렇게 한번 세상을 뛰어나와야 비로서평생동안 참선하려는 뜻과 원력을 저버리지 않는다 말하리라.

원문에 있는 '驀然 脚蹉手跌' 몸의 균형을 잃 자기도 모르게 문득 발이 미끄러지고 손이 미끄러지는 것이니, 아차! 하는 순간을 말한다. 轉身移步 懸崖撒手. (원순 스님 )

*이무애(理無碍) ; 이치(理致) 걸림이 없는 지무생사(知無生死) • 계무생사(契無生死) 경지(境地).

*사무애(事無碍) ; 사물(事物) 걸림이 없는 체무생사(體無生死) • 용무생사(用無生死) 경지.

*() ; 깨달음. 법의 실체와 마음의 근원을 깨달아 . 지혜의 체득.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 깨달음.

*당처(當處) ; 어떤 일이 일어난 자리. 그곳. 또는 이곳.

*빼꼼 ; 작은 구멍이나 사이로 아주 조금만 보이는 모양을 나타내는 .

*일관도천(一串都穿 /꼬챙이 /모두 /꿰뚫을 ) ; 꼬챙이에 모두 꿰뚫다.

*천칠백 공안(千七百 公案) ;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에 천칠백일 명의 인물들이 보여준 기연어구(機緣語句, 깨달음을 이루는 기연에 주고받은 말과 경전·어록의 ) 수록하고 있는 것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코똥 ; ‘콧방귀(코로 나오는 숨을 막았다가 갑자기 터뜨리면서하고 불어 내는 소리)’ 사투리.

 

 

------------------(2)

 

*일대사(一大事) ; 매우 중요하거나 아주 . 삶과 죽음, 생사(生死) . ①부처님이 중생구제를 위해 세상에 나타난다고 하는 . 부처님이 세상에 나타나는 목적. ②가장 중요한 일이란 . 수행의 목적. 깨달음을 얻는 . 인간으로서의 완성.

『법화경』 방편품에諸佛世尊, 唯以一大事因緣故, 出現於世  모든 부처님은 오직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 때문에 세상에 출현한다라고 것에서 유래. ‘부처님이 세상에 출현한 목적은 깨달음을 얻기까지의 과정을 보이고, 지혜를 발휘하여 모든 중생을 깨닫게 하고 구제하는 이다.

*세법(世法) ; 세제(世諦 세속의 도리) . 세간법(世間法 산스크리트어 loka-dharma)이라고도 하며 인연으로 발생하여 덧없는 모든 법을 말한다. 혹업(惑業 미혹에 바탕을 행위) 인연으로부터 발생하여 번뇌를 촉발하는 삼계의 모든 . 불법(佛法) 대칭한다.

*고인(古人) ; 불보살(佛菩薩)님을 비롯한 역대조사(歷代祖師), 선지식을 말한다.

*보림(保任) ; 오후보림(悟後保任). 선종(禪宗)에서 깨달은 뒤에 선지식을 찾아 인가를 받고, 다시 숲속이나 토굴에 들어가 다생(多生) 습기(習氣) 제하고 () 역량을 키우는 보임(保任) 공부.

'보임' 보호임지(保護任持) 준말로서찾은 본성을 보호하여 지킨다 뜻이다. 또는保其天眞 任其自在, 천진함을 보전하고 자재함을 따른다 뜻이다. 한자 독음상보임이지만 관습적으로보림이라고 읽는다.

*() ; 깨달은 바를 다시 한번 점검하여 확인하는 .

*등등임운(騰騰任運) ; 임운등등(任運騰騰). 무심(無心)하여 걸림이 없이 자유로움. 무심하여 자적(自適 사람이 무엇에 얽매이지 않고 마음 내키는 대로 편안하게 즐김) 모습.

*등등(騰騰 오를··비울 ) ; 무심하고 무사(無事) 모습.

*임운(任運 맡길·마음대로 /옮길·움직일·운수 ) ; 아무런 조작이나 인위적인 힘을 첨가하지 않고, 법이(法爾), 여연(如然), 자연(自然), 으레히라는 .

*임의(任意 맡길·마음대로 / ) ; ①어떤 일정한 제한을 받지 않고 마음대로 하는 . ②얽매이는 것이 없어 자유롭다.

*당최 ; 도무지(아무리 해도, 이러니저러니 없이 아주). .

*참선법(參禪法) ; ①선() 수행을 하는 .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법.

*땀세 ; 땜에(‘때문에 준말).

*갓없다 ; ‘가없다(끝이 없다)’ 옛말.

*빗가다 ; 빗나가다(바른 대로 가지 않고 그릇된 방향으로 가다).

*() : 보통  속음(俗音)로는 발음하지 않는다。선종(禪宗)에서 진리를 문답하는데 쓰는 독특한 수단이다。큰 소리로 『엑 !』하고 꾸짖는 형세를 보임이니, 이것을 처음 쓰기는 마조(馬祖) 할했는데 백장(百丈) 사흘이나 귀먹고 눈이 캄캄하였다는 것이 기록이다。그 뒤로부터 흔히 쓰는데, 임제(臨濟) 가장 많이 썼다.

*냅다 ; 몹시 빠르고 세차게. 또는 그런 모양으로.
*
견성(見性)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 꿰뚫어 보아() 깨달음. 미혹을 깨뜨리고 자신의 청정한 본성을 간파하여 깨달음.

*입만 까다 ; (사람이) 실천은 못하면서 말만 앞세우다. 말을 재잘거리며 잘하다.

*트집 ; 공연히 조그만 흠을 들추어내어 불평을 하거나 말썽을 부림. 또는 불평이나 말썽.(전108)

Posted by 닥공닥정
참선(자세 호흡)2015. 7. 5. 11:45

§(256) 신심, 분심, 의심 / 바른 자세, 단전호흡, 수승화강(水昇火降) / 일관(日觀) / 묘한 의심관(疑心觀) / 참선도 하나의 ‘의심의 관법(觀法)’.

“어째서 화두를 들어도 간절한 의심이 안 나는가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해야 이 진정한 의심이 나겠습니까?” 많은 분들이 그 점에 있어서 고민을 하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어 볼 것도 없이 신심과 분심이 철저하지 못한 그 까닭이라고 할 것입니다.

 

자세를 바르게 하는데는 단정하게 몸을 가지면서도 어깨의 힘을 빼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목에 힘도 빼야 하고, 단정하면서도 힘을 빼는 그 요령을 터득을 해야 합니다.

 

한 생각에서 다음 생각으로 옮기는 그 즈음 새에, 어떤 행동에서 다른 행동으로 옮길 때, 그 중간 경계 그런데서 우리는 화두를 놓치는 수가 많기 때문에 그러할 때 그 경계에 속지 아니하고, 화두를 이어서 관조 할 수 있게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부처님 당시부터 수행하는 사람에게 이 수식관(數息觀)을 시키고, 대대로 내려오면서 단전호흡을 익혀서 수승화강을 하게 해서 육체적인 건강과 정신적인 안정과 청정을 유지함으로써, 도 닦아 가는 데에 부작용—상기병(上氣病), 소화불량이나 혈액 부족한 그러한 병을 예방하고 도업(道業)을 장애 없이 빨리 성취하도록 하셨던 것입니다.

 

필경에는 그 묘한 의심관인 것입니다. 그 의심관, 관(觀)이라 하는 것도 일종의 생각이지만 ‘생각 없는 생각’을 관이라 이렇게 말할 수가 있는데, 막연하게 어떤 관이 아니라 이 활구참선(活句參禪)은 ‘의심(疑心)의 관’이라야 돼.

 

성성(惺惺)하고 적적(寂寂)하면서도, 일부러 화두를 들려고 하지 아니해도 저절로 그 의심관이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그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도록, 처음에는 ‘이뭣고?’ ‘이뭣고?’하지만 나중에는 ‘이뭣고?’ 안 해도 알 수 없는 의심이—해가 질 때 봐두었던 그 둥근 해가 밤에도 고대로 보이고, 그 이튿날에도 고대로 환하게 보이듯이, 의심관이 그렇게 되어야 하거든.
그렇게 해서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면 일주일을 가지 못해서 공안을 타파(打破)하게 되고, 천칠백 공안을 일관도천(一串都穿)을 해.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과 역대조사(歷代祖師)의 면목을 사무쳐 보게 되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256)—85년 2월 첫째 일요법회(85.02.03) (용256)

 

(1) 약 20분.

(2) 약 6분.


(1)------------------

오늘은 초학자(初學者)를 위해서 ‘도 닦아가는 사람이 먼저 바른 스승을 만나야 한다. 바른 스승을 만나서 옳게 공부를 지어 나가야 한다’ 옳게 지어 나갈라면, 첫째 바른 사상이 탁! 중심 잡혀져야 하는 것입니다.

 

첫째 바른 믿음, ‘나도 성불할 수 있다. 결정코 나도 도를 이룰 수가 있다’고 하는 신념이 서야 하는 것입니다.

 

둘째는 ‘과거의 불보살과 모든 선지식들은 진즉 이 문제를 해결을 지어가지고 대도를 성취해서 일체 중생을 제도하시고 계시는데, 나는 오늘날토록 무엇을 하느라고 육도윤회(六途輪廻)를 하면서 오늘까지 도를 이루지 못했던가’ 그 분심(憤心)이 속에서 솟구쳐 올라야 하는 것입니다.

 

셋째는 선지식으로부터 간택 받은 자기의 본참공안(本參公案)에 대해서 대의심(大疑心)이 돈발(頓發)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신심과 분심이 밑받침되지 않고서는 대의정(大疑情)은 일어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신심과 분심이 확고하고 불같은 그러한 뜨거운 신심, 분심이 한목 솟구치지 않고서는 화두를 들어도 들 때뿐이고 금방 돌아서면 없어져버리고, 하루는 겨우 한 듯하다가 이틀 사흘 가면 차츰차츰 풀어져 버리고. 이것이 모두가 다 그 신심과 분심이 철저하게 뒷받침되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어째서 화두를 들어도 간절한 의심이 안 나는가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해야 이 진정한 의심이 나겠습니까?' 많은 분들이 그 점에 있어서 고민을 하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어 볼 것도 없이 신심과 분심이 철저하지 못한 그 까닭이라고 할 것입니다.

 

 

첫째에 그런 신심과 분심이 철저하다면 그다음에는 구체적으로 들어가서 자세를 바르게 하는 것이여.

가부좌(跏趺坐) 또는 반가부좌(半跏趺坐)를 하고서—가부좌는 참선을 해 나가는 데 가장 중요한 기본자세입니다. 그래서 대도를 성취한 아라한(阿羅漢) 또 성불하신 부처님 같은 성현도 항시 시간 있는 대로 숲속에서, 당신 처소에서 항시 가부좌를 하셨던 것입니다.

 

부처님이 무엇을 더 닦을 것이 있고, 무엇을 더 깨달을 것이 있으시리오마는, 그 가부좌를 하고 앉는 자세 그 자체가 훌륭한 것입니다.

일체 마군(魔軍)이 엿보지 못하고, 일체 악신(惡神)이 근접을 못하고, 항시 25선신(善神)이 그 주위를 호위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 정법을 믿는 사람, 불법을 믿는 사람은 어디 가서 앉던지—차를 타던지, 정거장에 대합실에 앉던지, 가정에서나 어디를 가더라도 항시 자세를 바르게 하는 것입니다.

의자에 앉아서도, 의자 위에서 가부좌를 틀기는 조금 어렵겠습니다마는 설사 가부좌는 안 하더라도 항시 허리를 쭉 펴고 머리끝과 회음부(會陰部)가 수직상에 놓여지도록 그렇게 자세를 바르게 가져야 하는 것입니다.

 

자세 하나만 바르게 가져도 벌써 정신 상태가 딱! 근엄하게 되는 것입니다. 허리를 꼬부리고 그리고서 턱이 앞으로 나와 가지고 이렇게 앉으면 멀쩡한 사람이 바보처럼 보이고, 농판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허리를 쭉 펴고 앉기만 하면 일자무식(一字無識)일망정 남 보매 호락(瓠落)하게 보이지 아니하고 아주 그분은 보면은 학문도 많고, 수행도 있고, 인격자로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속은 똥만 가득 들어갖고 남 보매 인격자로 보이라고 한 말씀이 아니라, 먼저 자세를 바르게 함으로써 정신이 딱! 차려지기 때문에 정신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육체를 먼저 바로잡으라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일 것입니다.

 

도를 안 닦은 일반 세속 사람도 조금 뭐한 사람은 다 보면 자세가 훌륭하고, 앉은 자세나, 선 자세나, 그 자세가 바른 것입니다. 대학자나 또는 장군이나, 대실업가의 두목이나, 다 세속에 아무개 한 사람 보면은 자세가 바르고 늠름하게 되어 있는 것입니다.

하물며 최상승법(最上乘法)에 의지해서 도를 닦은 사람이, 순(純) 그 바르고 근엄한 정신생활을 하는 수도인이 자세를 바르게 하지 아니한다고 해서야 말이 안 될 것입니다.

 

첫째, 자세를 바르게.

 

자세를 바르게 하라니까 너무 어깨에다 힘을 주고 목에다 힘을 주어가지고 그러라는 것이 아닙니다. 단정하게 몸을 가지면서도 어깨의 힘을 빼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목에 힘도 빼야 하고, 단정하면서도 힘을 빼는 그 요령을 터득을 해야 합니다.

 

단정하게 앉으면서도 헛심, 쓸데없는 힘을 뺀다고 하는 것은 조금 어렵지만 자기가 자기를 항시 요렇게 가늠해 보고 살펴보면서 어깨의 힘도 빼고, 목의 힘도 빼.

 

힘을 빼면서도 단정하고, 단정하면서도 힘을 빼면 그 자세가 너무너무 두 어깨의 선이라든지, 앞에서 보나 옆에서 보나, 뒤에서 볼 때 너무너무 훌륭한 것입니다. 아름답기조차 하는 것입니다. 근엄하면서도 엄숙하고 그러면서도 너무너무 그 두 어깨의 선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것입니다.

 

그 요령을 터득하지 못하고 너무 힘을 주어가지고 뻣뻣하게 앉아 있으면 영판 그것이 부자연스럽고 공부하는 데에도 얼마 못 가서 피로를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바르게 앉는 법에 대해서 항시 스스로 잘 살피면서 또 잘 아는 분에게 점검을 받아서 어디가 잘못되었는가를 구체적으로 교정을 받는 것도 대단히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좌선(坐禪)에 들어갈 때에 좌우로 몸을 흔들어서 차츰차츰 이렇게 한가운데에다 중심을 잡는 것.

 

그리고 포행을 한다든지, 방선(放禪)할 때 일어설 때에도 느닷없이 갑자기 불끈 일어서서는 아니되는 것입니다.

좌우로 몸을 흔들어서 준비 운동도 하고, 다리도 앞으로 뻗어서 주무르기도 하고, 발목도 이리저리 돌려서 발목 운동도 하고, 이렇게 한 다음에 살며시 이렇게 두 손을 땅에다 짚고서 조용하게 일어나 가지고 기동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갑자기 불끈 일어나 가지고는 달음박질을 친다든지, 높은 데서 뛰어내린다든지, 이런 것은 한 시간 내지 두 시간을 조용하게 앉았다가 갑작스런 운동으로 변하게 되면 피나 심줄이나 근육이 놀래기도 하고, 때로는 발을 헛디뎌서 미끄러지거나 발목을 삐는 수도 있고.

 

그리고 정진은 앉아서만 하고 일어서면 아니한 것이 아니라, 앉아서 공부하다가 일어서더라도—일어서서 걷거나, 일을 하거나 하더라도 앉았을 때 공부하던 그 의단(疑團)이 고대로 유지가 되도록 해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그럴랴면 자연히 앉은 자세에서 서는 자세로 옮길 그 한계선이 언제든지 중요한 것입니다.

앉았을 때까지는 잘되다가 불끈 일어서는 찰나에 놓쳐 버리기도 하고, 뭘 가만히 앉았다 무슨 소리가 딱! 들어오는 찰나에 화두를 놓치기도 하고, 뭘 보다가 딱! 놓치기도 하고.

 

그래서 한 생각에서 다음 생각으로 옮기는 그 즈음 새, 어떤 행동에서 다른 행동으로 옮길 때에 그 중간 경계, 그런 데서 우리는 화두를 놓치는 수가 많기 때문에 그러할 때 딱! 그 경계에 속지 아니하고 화두를 이어서 관조(觀照)할 수 있게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런 것들이 다 한 철, 두 철, 공부를 해 나가는 데 있어서 스스로 터득되어질 일이라고 생각을 하고.

 

 

자세를 바르게 한 다음에는 호흡을 바르게 해야 하는 것입니다.

 

호흡이라고 하는 것은 사람이 죽었나 살았나를 볼려면은 그 호흡이 끊어졌느냐, 안 끊어졌느냐? 그것을 보면 죽었느냐, 살았느냐를 알 수 있을 만큼 호흡은 바로 생사(生死)와 직결되는 것입니다.

 

(선생님 오셨나? 이해창 선생님)

 

그래서 이 호흡을 뱃속에서는 배꼽을 통해서 숨을 쉰다고 하고, 태어나면 그때부터서 인자 코로 숨을 쉬게 되는데, 숨쉬기 시작해 가지고 숨을 못 쉬게 되면 그때는 인자 금생(今生)이 끝나는 것입니다.

밥은 하루 이틀 내지 한 달, 두 달, 석 달을 굶어도 안 죽습니다. 그런데 호흡은 3분 내지 5분만 딱 숨을 못 쉬게 하거나 안 쉬면 죽게 되는 것입니다.

 

물론 요가라든지 그런 특별한 훈련을 쌓은 사람은 일주일씩도 숨을 안 쉬고 물속에 가만히 들어앉았다가 나중에 나와도 다시 또 살아나기도 하고, 인자 그러한 특수한 훈련을 쌓은 사람은 그럴 수도 있다고 합니다마는, 일반적으로는 5분 내지 10분만 숨 못 쉬게 하면 금방 죽어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만큼 호흡은 대단히 중요한 것이어서 누구나 무심 속에 다 살아 있는 동안에는 호흡을 하지만 올바른 호흡을 한다고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입니다.

 

전부 다 가슴으로 호흡을 하는데, 수행을 하는 사람은 배로 호흡을 해야 해.

마음이 딱 중심이 잡혀서 안정이 되면 저 호흡하는 선이 밑으로 내려가고, 마음이 들뜨거나 중심을 잃거나, 긴장하고 초조하고, 몸에 병이 나거나 열이 있거나, 그러면은 호흡은 차츰차츰 위로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편안할 때는 아랫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면서 호흡을 하다가 갑자기 놀래거나, 분을 내거나, 흥분해서 놀래거나 하면은 배로 호흡을 안 하고 가슴으로 호흡으로 하고, 가슴으로 씩쌕 씩쌕 하면서 가슴으로 호흡을 하는데, 차츰차츰 또 그 분한 생각이 가라앉고 안정이 되면 가슴 벌떡벌떡한 것이 없어지면서 호흡이 밑으로 내려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의식적으로 숨을 들어마시면 배가 볼록해지고, 숨을 내쉬면 배가 홀쪽해지도록 의식적으로 배를 내밀었다 또 홀쪽하니 했다 해서, 계속 호흡 들어마실 때는 배가 볼록해지고, 숨을 내쉴 때는 배를 차츰차츰 홀쪽하니 해서 등허리가 딱 붙도록 해서 ‘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는 것을 의식적으로 호흡을 하라’ 이것입니다.

그 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는 데 우리의 의식을 거기다 두고서 호흡을 하면 우리의 생각이 아랫배 단전(丹田) 부위에 우리 의식이 고리 집중이 되게 되는 것이고, 우리의 의식이 아래로 집중이 되면 우리 몸안에 있는 기(氣), 기(氣)도 밑으로 내려가게 되는 것입니다.

 

머리로 무엇을 골똘히 생각하면 피도 머리로 모일 뿐만이 아니라, 우리 몸안에 있는 기(氣)도 머리로 모이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무엇을 막 깊이 생각하고 그러면은 상기(上氣)가 되고, 머리가 띵해지고 피로를 느끼게 되고, 눈도 벌게지고 뒤통수를 만져 보면 뜨끈뜨끈하고 그러거든.

 

단전호흡(丹田呼吸)을 30분, 1시간 이렇게 하고 난 뒤에 몸을 만져 보면 아랫배는 뜨뜻하고, 뒤통수를 만져 보면 시원하거든. 그것은 더운 기운은 밑으로 내려가고 시원한 물 기운은 위로 올라가는 증거인 것입니다.

 

이 수승화강(水昇火降), 시원한 물 기운은 위에로 올라가고, 더운 불 기운은 밑으로 내려가게 하는 것.

물이라 하는 것은 원래 위에서 밑으로 흘러내리고, 불은 밑에서 위로 타오르는 것이 그 원래 가진 성질이지만, 우리가 의식적으로 우리의 정신을 배꼽 밑에 단전에다가 집중을 함으로써 우리의 불 기운은 밑으로 내려가서 아랫배가 뜨뜻해지고, 시원한 물 기운은 위로 올라가서 머리가 시원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몸을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고 몸안에 있는 온갖 독소를 그 호흡을 통해서 밖으로 배출해 버리고 그래서 몸은 가벼워지고, 정신은 안정이 되면서 맑아지게 하는 그러한 효과를 가져오게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 당시부터 수행하는 사람에게 이 수식관(數息觀)을 시키고, 대대로 내려오면서 단전호흡을 익혀서 수승화강을 하게 해서 육체적인 건강과 정신적인 안정과 청정을 유지함으로써, 도 닦아 가는 데에 부작용—상기병(上氣病) 같은, 소화불량이나 혈액 부조화한 그러한 병을 예방하고 도업(道業)을 장애 없이 빨리 성취하도록 하셨던 것입니다.

 

금년 여름에 보살선방에 백여섯 분이 방부(房付)를 들여서 항시 칠팔십 명이 그렇게 참 엄격한 규율 속에서 그렇게 참 정진들을 모다 애쓰고 계시는데, 이 자세를 바르게 하고, 호흡을 바르게 하고, 나아가서 세 번째 가서는 화두(話頭)를 어떻게 의심(疑心)하느냐?

 

이 화두를 의심하는 방법, 이것이 또한 간단하지만 참 이것이 어려운 것입니다.

 

한 철, 두 철, 세 철, 3년, 5년, 10년을 해도 이 화두를 참으로 올바르게 화두를 참구(參究)하고, 관조한다는 것은 어려운 것입니다. 이것은 한 말로 ‘이렇게 하는 것이 좋다’ 말하기가 어렵습니다.

법문을 듣고 고대로 또 하고, 고대로 하면서 또 법문을 듣고 해서 스스로 많은 노력, 스스로 그것을 공부해 나가는 요령—급하지도 않고 너무 늘어지지도 아니하며, 그 요령을 스스로 터득을 해야 합니다.

 

스스로 터득한다니까 선지식(善知識)도 필요 없고, 자기 혼자 어디 돌굴이나 토굴에 가서 막 해제끼면 되냐 하면 그게 아니에요. 반드시 선지식의 지도를 받되, 받아 가지고 하면서도 스스로 그 묘한 의관(疑觀)을 얻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 묘한 의심관이라 하는 것은 도저히 어떻게 말로써 설명해 가르켜 줄 수가 없습니다. 자기가 일구월심(日久月深) 항시 면면밀밀(綿綿密密)하게 의심해 가고 관해 가고, 그 자세와 호흡과 화두를 이렇게 삼위(三位)가 일체(一體)가 되도록 잘 조정을 해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필경에는 그 묘한 의심관인 것입니다.

그 의심관, 관(觀)이라 하는 것도 일종의 생각이지만 ‘생각 없는 생각’을 관이라 이렇게 말할 수가 있는데, 막연하게 어떤 관이 아니라 이 활구참선(活句參禪)은 ‘의심(疑心)의 관’이라야 돼.(53분18초~73분33초)

 

 

 

 

 

(2)------------------

 

옛날에는 해가 떨어지려고 할 때, 서산에 지려고 할 때, 저 수평선에 해가 지려고 할 때에 그 큰 맷방석만한 해가 땅에 질락말락 할 때 그 빨갛고 아름다운 거—해가 중천에 있을 때는 눈이 부셔서 볼 수가 없는데, 해가 질 무렵에는 눈이 부시질 않고 그 아름답고 벌건 굉장히 큰 그 해를 볼 수가 있습니다.

 

그 아름다운 해를 한참 보는 것입니다. 마지막 딱 떨어져서 안 보일 때까지 한 시간 내지 두 시간을 눈이 부시지 아니할 때부터서 그것을 관하기 시작해가지고 마지막 질 때까지 관찰하고서, 그다음에는 밤새 그 눈을 감으나 뜨나 그 찬란하고 아름다운 둥그런 해를 관(觀)하는 것입니다.

 

눈을 감고서도 보이는 것이 그것이 관(觀)인 것입니다. 눈을 뜨나 감으나 상관없이 항시 있는 것이 그것이 관인데, 그것을 갖다가 일관(日觀)이라 그러거든. 해를 관하는 수행법이여.

 

밤새 그 둥근 해를 갖다가 관하고 그 이튿날 하루 종일 관하다가, 또 그 이튿날 해 질 때 다시 또 그 관을 해서, 그 관을 다시 새롭게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또 밤새 관하고 그 이튿날 관하고, 그 다음 날 해 질 때 관하고 해서 평생 동안을 그렇게 인자 관을 해 나가는데, 이것도 하나의 수행 방법입니다.

 

이러한 그 일관이라든지 또 달을 관하는 관법이라든지, 아까 백골관이라든지, 여러 가지 관법(觀法)이 있는데, 이 참선도 하나의 ‘의심의 관법’이라 이렇게 말할 수가 있습니다.

 

그 성성(惺惺)하고 적적(寂寂)하면서도, 일부러 화두를 들려고 하지 아니해도 저절로 그 의심관이 터얻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그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도록.

처음에는 ‘이뭣고?’ ‘이뭣고?’하지만 나중에는 ‘이뭣고?’ 안 해도 알 수 없는 의심이 터억—그 해가 질 때 봐두었던 그 둥근 해가 밤에도 고대로 보이고 그 이튿날도 고대로 환하게 보이듯이 의심관이 그렇게 되어야 하거든.

 

그렇게 해서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면 일주일을 가지 못해서 공안을 타파(打破)하게 되고, 일체 천칠백 공안을 일관도천(一串都穿)을 해.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과 역대조사(歷代祖師)의 면목을 사무쳐 보게 되는 것입니다.

 

오늘 사리불 존자와 아나율 존자의 그 굳은 결심, 우리도 그러한 결심이 투철해야 할 것이고 또 바른 스승의 지도를 받아서 끝내는 자기 스스로 터득한 그 의심관으로써 자기의 정진의 마지막 고비를 넘긴다면, 누구라도 그만한 결심과 그만한 바른 스승을 만나서 바르게 그리고 자기의 정신과 육체의 온갖 힘과 정성을 다 바쳐서 다듬어 나간다면 누구라도 자기의 면목을 깨달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일파유조(一把柳條)를 수부득(收不得)하야  화풍탑재옥난간(和風塔在玉欄干)이니라

나무~아미타불~

 

한아름 버드나무 가지를 거두어 잡지 못해서, 바람과 함께 옥난간에다 걸어 두노라.

 

오늘 일요법회 법어를 마쳤습니다. (73분34초~79분2초)(끝)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초학자(初學者) ; ①처음 배우기 시작한 사람. ②배워 익힌 지식이 얕은 사람.
*육도윤회(六途輪廻, 六道輪廻) ; 선악(善惡)의 응보(應報)로 육도(六途 ;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의 고락(苦樂)을 받으면서 죽음과 삶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것.
*본참공안(本參公案) :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돈발(頓發 갑자기 돈/일어날•나타날•밝힐 발) ; 일정한 단계를 밟지 않고 직접적, 비약적으로 일어나는. [참고] 頓 - 直頓의 뜻, 곧바로.
*가부좌(跏趺坐 책상다리할 가/책상다리할 부/앉을 좌) ; 좌선할 때 앉는 방법의 하나.
‘가(跏)’는 ‘발바닥’을 ‘부(趺)’는 ‘발등’을 가리키는 말인데, 오른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뒤,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드러나게 앉는 항마좌(降魔坐)와,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뒤, 오른발을 왼편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위를 향하게 하여 앉는 길상좌(吉祥坐)가 있다.
*아라한(阿羅漢) ; 산스크리트어 arhat의 주격 arhan의 음사. 모든 번뇌를 완전히 끊어 열반을 성취한 성자. 응공(應供)·응진(應眞)·무학(無學)·이악(離惡)·살적(殺賊)·불생(不生)이라 번역.
마땅히 공양 받아야 하므로 응공(應供), 진리에 따르므로 응진(應眞), 더 닦을 것이 없으므로 무학(無學), 악을 멀리 떠났으므로 이악(離惡), 번뇌라는 적을 죽였으므로 살적(殺賊), 미혹한 마음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불생(不生)이라 함.
*마군(魔軍) ; 악마의 군세(軍勢). 마(魔)란 생사를 즐기는 귀신의 이름이요, 팔만사천 마군이란 중생의 팔만 사천 번뇌다. 마가 본래 씨가 없지만,수행하는 이가 바른 생각을 잃은 데서 그 근원이 파생되는 것이다.
*선신(善神) ; 불법(佛法)과 그것을 믿는 이들을 보호하는 신.
*회음부(會陰部) ; 사람의 음부(陰部, 남녀의 몸에서 바깥 생식 기관)와 항문 사이의 부위.
*농판 ; ‘멍청이(아둔하고 어리석은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의 사투리.
*호락하다(瓠落-- 우수수 떨어질 호/떨어질 락) ; 겉보기에는 커도 소용이 없게 되다.
*헛심 ; 아무런 보람이나 이득이 없이 헛되이 쓰는 힘.
*의단(疑團 의심할 의, 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단전(丹田) ; 배꼽 아래로 한 치(寸) 삼푼 되는 곳(위치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아랫배에 해당. '단'은 약(藥)을 뜻하며, '단전'은 인체에서 가장 귀중한 약을 만들어내는 장소로서의 밭[田]이라는 의미. 도가와 한의학에서는 단전을 생명력, 활동력의 원천으로 본다.
*기(氣) ; ①생명체가 활동하는 데 필요한 육체적, 정신적 힘. 원기(元氣)나 정기(精氣), 기력(氣力) 등을 이른다. ②사람이 상대나 주위에 대하여 가지는 기분. ③있는 힘의 전부. ④모든 생명의 근원으로 생각되는, 천지에 가득차 있는 힘.

*상기(上氣) ; ①[한의] 피가 뇌로 몰리는 현상. 얼굴이 붉어지고 열이 나며, 발한, 두통, 이명(耳鳴), 현기증 따위가 일어나기도 한다. ②얼굴이 흥분이나 수치감으로 붉어짐.

*띵하다 ; (머리가)울리듯 아프면서 정신이 맑지 못하고 멍하다.
*단전 호흡(丹田呼吸) ; 참선 수행에 있어서 호흡법은 우리의 몸을 건강하게 하고, 마음도 안정을 시키고 통일되게 하여 우리가 참선을 해 나가는 데에 중요한 준비, 기초 훈련입니다.
단전 호흡을 하게 되면은 혈액순환이 잘되고, 혈액순환이 잘됨으로 해서 몸안에 모든 노폐물이 깨끗하게 밖으로 배설이 되서 몸이 가벼워지고, 건강해지고 따라서 정신이 맑아지고, 정신이 안정이 된다.
주의할 점은 자신의 호흡의 길이에 알맞게 시작하고 자연스럽게 해야지, 절대로 억지로 호흡 시간을 길게 잡아 무리해서는 안된다.
단전호흡 요령.
의식적으로 숨을 저 배꼽 밑에 아랫배 하복부[丹田]까지 숨을 들어마셨다가 잠깐 머물렀다가 조용하니 길게 숨을 내쉬는 호흡.
들어마시는 시간 한 3초, 들어마셨다가 잠깐 머무르는 시간이 한 3초, 내쉬는 시간은 4~5초, 이렇게 해서 내쉬는 시간을 좀 길게 잡아서 내쉰다.

들어마시되, 아랫배가 터지도록 잔뜩 들어마시지 말고 한 80%정도만 들어마시고, 80% 들어마신 상태에서 3초 동안 잠깐 머물렀다가 조용히 내쉬는데, 들어마실 때에는 차츰차츰 아랫배가 볼록해지게 만들고, 내쉴 때는 차츰차츰 배를 홀쭉하게 만든다.
그래서 들어마셨다 잠깐 머물렀다 또 내쉬되, 배가 그것에 따라서 볼록해졌다 또 홀쪽해졌다, 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도록 의식적으로 호흡을 하는 것이다.

 

118(단전호흡:1분32초).mp3
0.70MB

[참고] *송담스님(No.118)—80년 동안거해제 법문에서.(1분32초)

 

숨을 들어마실 때 ‘코로 들어마신다’고 생각을 하지 말고—저 뒤에서 쭉 들어마셔 가지고, 이 궁둥이로 해서 아랫배로 요렇게 들어온다고 이렇게 생각을 하고 들어마시면 아주 수월하게 할 수가 있습니다.

‘숨을 코로 들어마셔 가지고 아랫배까지 이렇게 집어 넣는다’고 생각하면, 들어마셔 가지고 이 윗배 오목가슴 정도까지 가 가지고 거기서 딱 맥혀 가지고 아래로 내려가지를 않아서 애를 먹게 됩니다. 그런 상태에서 억지로 하다 보면 가슴이 답답하고 영 시원하지를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코로 들어마신다고 생각하지 말고 ‘저 뒤에서 궁둥이로 쑥 들어마셔 가지고 직선으로 들어와 가지고 아랫배가 볼록해지도록 들어온다’ 이렇게 생각하고 들어마시고, 내쉴 때도 ‘그 자리에서 직선으로 뒤로 쑥 내쉰다, 내보낸다’ 이러한 기분으로 숨을 내쉬는 것입니다.

그래서 『숨은 직선으로 뒤에서 이렇게 들어마시고 내쉴 때는 직선으로 뒤로 이렇게 내보낸다』
들어마실 때는 배가 차츰차츰차츰 아랫배가 볼록해지고, 내쉴 때는 차츰차츰차츰 아랫배가 홀쪽해진다. 이렇게 의식하면서 호흡을 하는 것입니다.
*수식관(數息觀) ; 출입하는 숨을 세어서 마음을 통일하는 것. 그것에 의해 마음의 산란을 막음. 호흡을 세어서 마음을 집중시키는 수행법.
*상기병(上氣病 오를 상, 기운 기, 병 병) ; 화두를 머리에 두고 여기에 속효심(速效心)을 내어 참구하다가, 모든 열기(氣)가 머리에 치밀게(上)되어 생기는 머리 아픈 병(病).
상기병이 생기면—기운이 자꾸 위로 올라와서, 화두만 들면 골이 아파서 공부가 지극히 힘이 들고 심하면 머리로 출혈이 되며 몸이 쇠약해짐. 상기병의 예방과 치료로 단전호흡과 요료법(尿療法, 오줌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민간 요법의 하나)이 사용된다.

[참고] '요료법'에 관한 책. ①『기적을 일으키는 요료법』 (김정희 저 | 산수야). ②『요료법의 기적』 (나까오 료이치 | 산수야). ③『의사가 권하는 요료법』 (이영미 | 산수야). ④ 『요료법의 기적』 (건강신문사 편집부).

 

*도업(道業) ; 도(道)는 깨달음. 업(業)은 영위(營爲-일을 계획하여 꾸려 나감). 불도(佛道)의 수행. 진리의 실천.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의심(疑心) : 알 수 없는 생각에 콱 막히는 것.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또는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또는 ‘조주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바른 깨달음은 알 수 없는 의단, 알 수 없는 의심에 꽉 막힌 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참구(參究 헤아릴 참, 궁구할 구) ; ①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것. ②선지식의 지도 아래 참선하여 화두(공안)을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벗.
*해제끼다 ; 헤치우다. (사람이 어떤 일을)빠르고 시원스럽게 끝내다.
*의관(疑觀) ; 의심관(疑心觀). 화두를 거각하여 알 수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그 알 수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를 하는 것.
*일구월심(日久月深) ; 날이 오래고 달이 깊어 간다는 뜻으로, 날이 갈수록 바라는 마음이 더욱 간절해짐을 이르는 말.
*면면밀밀(綿綿密密) ; 면면(綿綿)하고 밀밀(密密)하게. 끊어지지 않고 아주 빽빽하게 죽 잇따라 있는.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2)

*맷방석 ; 주로 매통(벼를 넣고 갈아서 겉겨를 벗기는 데 쓰는 기구)이나 맷돌(곡식을 가는 데 쓰는 도구) 아래 깔아 곡식을 담거나 방석으로 쓰는 짚으로 만든 물건.
멍석보다 작고 둥글며 전(물건의 위쪽 가장자리가 조금 넓적하게 된 부분)이 있다.
*관법(觀法) ; 마음의 본성을 자세히 살피는 수행. 어떤 현상이나 진리를 마음 속으로 떠올려 그것을 자세히 살피는 수행. 한 생각만 주시하여 한결같이 그것을 잊지 않는 수행.
*성성적적(惺惺寂寂) ; 정신이 고요하면서도 깨끗하고 또록또록 한 상태.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의, 덩어리 단, 홀로•오로지 독, 드러날 로)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가 홀로(獨) 드러나다(露).
*타성일편(打成一片) : ‘쳐서 한 조각을 이룬다’. 참선할 때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려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일체처 일체시에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한 순수무잡(純粹無雜) 경계.
*타파(打破) ; 화두의 생명은 의심입니다.
그 화두(話頭)에 대한 의심(疑心)을 관조(觀照)해 나가는 것, 알 수 없는 그리고 꽉 맥힌 의심으로 그 화두를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모든 번뇌와 망상과 사량심이 거기에서 끊어지는 것이고,
계속 그 의심을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더 이상 그 의심이 간절할 수가 없고, 더 이상 의심이 커질 수 없고, 더 이상 깊을 수 없는 간절한 의심으로 내 가슴속이 가득 차고, 온 세계가 가득 차는 경지에 도달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 경지에 이르면 화두를 의식적으로 들지 않어도 저절로 들려져 있게 되는 것입니다.
밥을 먹을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똥을 눌 때에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차를 탈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이렇게 해서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들려진 단계. 심지어는 잠을 잘 때에는 꿈속에서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게끔 되는 것입니다.

이런 상태로 6, 7일이 지나면 어떠한 찰나(刹那)에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큰항아리에다가 물을 가뜩 담아놓고 그 항아리를 큰돌로 내려치면은 그 항아리가 바싹 깨지면서 물이 터져 나오듯이, 그렇게 화두를 타파(打破)하고, ‘참나’를 깨닫게 되고, 불교의 진리를 깨닫게 되고, 우주의 진리를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참선법 A’ 에서]
*일관도천(一串都穿 한 일/꼬챙이 관/모두 도/꿰뚫을 천) ; 한 꼬챙이에 모두 꿰뚫다.
*본래면목(本來面目 밑 본/올 래/낯 면/눈 목) ; ①자기의 본래(本來) 모습(面目). ②자신이 본디부터 지니고 있는, 천연 그대로의 심성(心性). 부처의 성품.
*역대조사(歷代祖師) ; 석가세존(釋迦世尊)으로부터 불법(佛法)을 받아 계승해 온 대대의 조사(祖師).
*(게송) ‘一把柳條收不得  和風塔在玉欄干’ ; [가태보등록(嘉泰普燈錄)] 제23권 황정견(黃庭堅)거사 게송 참고.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