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精進) 수행2015. 7. 16. 14:06

§(527) (게송)일중산진우일중~ / 본각진심(本覺眞心) 요요상지(了了常知) / 절대로 부처를 찾지 말고, 깨닫기를 바라지 말아! / ‘이뭣고?’ 열심히 하는 것이 최고의 기도.

 

절대로 깨닫기를 기다리지 마! 밥을 먹으면 밥 먹은 부처님이요, 똥을 누면 똥 누는 부처님이요, 누워 있으면 누워 있는 부처님이요, 앉아 있으면 앉아 있는 부처님이여. 그렇게만 잡드리 해 나가면 결정코 확철대오(廓徹大悟) 하고만 마는 거여.

확철대오 할려고 몸부림치면 그런 동안에는 절대로 확철대오를 못하는 거고, 확철대오 할 생각 말고 화두 하나만을 성성적적하게 여법(如法)하게만 단속해 나가면 결코 그 사람은 깨닫고만 마는 거여. 그게 참 묘(妙)한 거여 이게. 참 이거 묘한 거여.

 

정말 기도를 성취하시고 싶으면 ‘이뭣고?’를 열심히 해서 업장(業障)을 소멸(消滅)을 하고, ‘이뭣고?’는 무엇이냐 하면은 이미 지은 업은 소멸을 하고, 앞으로 새로운 업을 짓지 않는 가장 수승한 법이거든. ‘이뭣고?’를 열심히 하시다가 집안에 꼭 중대한 일이 있으면 그러한 깨끗한 마음으로 기도를 하시면 정말 기도가 마음먹은 대로 성취가 되는 것이다.

 

**송담스님(No.527)—94년 동안거해제 법회(94.01.15.음) (용527)

 

 

약 19분.

 

 

일중산진우일중(一重山盡又一重)하고  화진산운해월정(話盡山雲海月情)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무일물중무진장(無一物中無盡藏)하야  백화유월유루대(百花有月有樓臺)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일중산진우일중(一重山盡又一重)이여. 한 산이 다함에 또 산 밖에 또 산이 있어. 거듭거듭 산이 있다.

 

정진을 해 나가는 데에도, 정진을 하다 보면은 이런 문제가 일어났다가, 그 문제가 겨우 어렵게 애를 써서 좀 가라앉을 만하면 또 다른 문제가 있고,

몸도 여기가 조금 아파서 그거 좀 잘 다스리면 또 저기가 아프고 여기가 아프다, 이가 아프다가 위가 안 좋다가, 기관지가 안 좋다가, 간이 안 좋다가, 쓸개가 안 좋다가, 끝이 없어.

 

육체적으로도 그렇고 또 정신적으로 그렇고, 인간관계에서도 그렇고,

세속도 역시 마찬가지여. 남편 문제, 아내 문제, 아들 문제, 딸 문제, 학교 문제, 사업 문제, 혼사 문제, 거듭거듭 일이 한도 끝도 없이 끝이 없다 그말이여.

 

화진산운해월정(話盡山雲海月情)이여. 말이 산골짜기에 구름 일어나듯이, 바다에 달빛 같은 이 말이 끝이 없다 그말이여.

 

해제를 맞이해서 여러 선원에서 이렇게 도반들이 모이고 또 여기 백일기도에 동참한 여러 신도님들 또 보살선방의 보살님네들 여러 형제자매 도반들이 오늘을 기해서 또 다시 흩어질 것을 생각하니까 이렇게 말이 두서없이 이렇게 나오는데, 사실은 한마디도 할 말이 없습니다.

 

할 말이 없는데 또 이렇게 만나다 보니 이렇게 여러 가지 말이 나오는데, 원래가 무일물중무진장(無一物中無盡藏)이거든. 한 물건도 없는 가운데에 무진장 있는 거여. 없는 것이 없어.

백가지 꽃이 피는데, 오색이 찬란한 꽃이 휘황찬란하게 피는데 그때 마치 쟁반 같은 달이 밝았어. 그런데 터억 오색단청을 한 누각이 있다 그말이여.(百花有月有樓臺)

 

이 세상이 바로 그런 것입니다. 정진해 나가는 분상에도 그렇고, 세속 살아가는 데도 그렇고.

 

왜 그러냐? 알고 보면 한 가지도 없어, 한 물건도 없는데, 그런데 없는 것이 없이 다 있어.

 

생각 먹기에 따라서 한 물건도 없는 마음가짐으로 일생을 살 수도 있고, 또 마음먹기에 따라서는 모든 것이 없는 것이 없이 다 갖추어서 살 수도 있어.

우리가 딱! 우리 생각을 거두어 버리면 이 세상에 무엇이 있어? 아무 것도 우리가 집착할 아무 것도 없어.

가져야 할 것도 없고, 버려야 할 것도 없어. 그런데 한 생각을 내면 없는 것이 없이 다 있는 거여.

 

왜 그러냐 하면, 일체 유정(有情)이 다 본각진심(本覺眞心)을 가지고 있어.

 

무시이래(無始以來)로 그 본각진심이 상주(常住)해서 청정(淸淨)해서, 소소영령(昭昭靈靈)하고 불매(不昧)해서 요요상지(了了常知)해.

부르면 대답할 줄 알고, 욕하면 성낼 줄도 알고, 칭찬하면 좋아할 줄도 알고, 뭘 주면 좋아하고, 뺏으면 싫어하고, 때리면 아픈 줄 알고, 얼마나 소소영령하고 분명하냐 그말이여. 

 

‘나는 깨닫지 못했다’는 생각 때문에 답답하지, 깨닫고, 못 깨닫고 한 것을 따지지를 말어.

 

소소영령하고 요요불매(了了不昧)해.

 

그것을 고인은 체(體)의 입장에서 그것을 표현을 하면 그걸 일심(一心)이라 그러는 거고, 인과(因果)의 인(因)을 잡아서 표현을 하자면 그것을 여래장(如來藏)이라 표현을 해.

인과(因果)의 과(果)로 잡아서 표현을 하면 그것을 원각(圓覺)이라 그랬어. 원각이라 하는 것은 원만한 신령스러운 각성이다, 원각지성(圓覺之性)이다 그말이여.

 

절대로 우리는 부처를 찾지를 말고 깨닫기를 바래지를 말아.

 

일단 견성성불(見性成佛)하기 위해서, 그러한 신심과 원력으로 불법을 믿고, 출가까지 하고 참선을 시작했으면 찾는 생각은 버려. 이미 거기에 다 갖추어져 있는 것이니까. 그것을 찾을라고 하고, 구할려고 그러고, 빨리 찾을려고 하는 생각을 놔 버려야 하는 거여.

 

놔 버리고 ‘이뭣고?’ 하나만을 단속하면 걸음걸음이 그것이 도(道)요, 터억 앉았으면 앉았는 대로 그 자체가 부처님이요, 누워 있으면 누워 있는 대로 그 자체가 와불(臥佛)이여. 깨닫기를 바래고, 기다리고, 못 깨닫는다고 짜증을 내니까 찰라 간에 그거 중생이 되는 거여.

 

그래서 화두를 ‘이뭣고?’ ‘이뭣고?’하라 하지만 ‘이뭣고?’는 똑같은 ‘이뭣고?’인데 그 정진하는 사람에 따라서 그게 다 다른 거여. 똑같이 ‘이뭣고?’해도 다른 거여 그게. 알 수 없는 의단(疑團)만이 성성(惺惺)하고 적적(寂寂)하게 독로(獨露)하도록만 잡드리 한 것뿐이여.

 

절대로 깨닫기를 기다리지 마!

 

밥을 먹으면 밥 먹은 부처님이요, 똥을 누면 똥 누는 부처님이요, 누워 있으면 누워 있는 부처님이요, 앉아 있으면 앉아 있는 부처님이여. 그렇게만 잡드리 해 나가면 결정코 확철대오(廓徹大悟) 하고만 마는 거여.

 

확철대오 할려고 몸부림치면 그런 동안에는 절대로 확철대오를 못하는 거고, 확철대오 할 생각 말고 화두 하나만을 성성적적하게 여법(如法)하게만 단속해 나가면 결코 그 사람은 깨닫고만 마는 거여.

그게 참 묘(妙)한 거여 이게. 참 이거 묘한 거여.

 

 

오늘 보살선방에 방부들인 보살님, 오늘 다 이불이나 발우대나 그런 걸 싸 가지고 댁에 가시겠습니다마는 댁에 가셔서도 그냥 손자, 아들, 딸, 며느리 모다 만나면 만나는 대로 이야기도 하실 수가 있고 그러나,

가서도 꼭 인자 막 내가 말씀드린 대로 ‘이뭣고?’를 항상 놓치지 않도록 잡드리 해 나가셔! 오랜만에 왔다고 살림 간섭할라고 그런 생각도 마시고, 모든 것은 되아 가는 대로 사시면 됩니다.

 

아들도 여럿이 있으면 잘난 놈, 못난 놈 있을 수가 있고, 일을 하다 보면 잘되는 수도 있고 못되는 수도 있고,

우선은 잘 못된 것 같지마는 나중에 보면 전화위복(福)이 되어서 차라리 무방하게 되는 수도 있고, 우선 잘된 것 같아도 나중에 보면 결과적으로 잘못되는 수도 얼마든지 있는 것이니까,

 

인간 세상의 흥망성쇠와 희로애락을 인연에다 다 맽겨 버려. 맽겨 버리고 ‘이뭣고? 하나가 이것이 내가 해 나갈 유일한 일이다!’ 그놈 하나만을 열심히 하셔.

 

밥을 먹게 되면 밥을 먹고, 죽을 먹게 되면 죽을 먹고, 국수를 먹게 되면 국수를 먹고, 그런 것도 다 인연에 다 맽겨 버리고 어쨌든지 댁에 가셔서도 열심히 하고, 또 산철에 오실 수 있으면 오시고,

백일기도에 동참하신 보살님네는, 백일기도를 이 절에서도 아침마다 축원을 잘했어. 반드시 소원을 잘 성취하셨으리라고 생각하고.

 

소원이라는 게 중생이 마음먹은 대로 되는 것이 소원이 아니여.

어린애가 하자는 대로 무엇이든지 들어주는 것이 부모가 잘하는 것이 아니여. 어린애가 하고 싶다 해도 막아야 할 일도 있는 것이지, 무엇이든지 해 달라는 대로 해 준 것을 부모 노릇 잘한 것으로 생각하시거든.

 

어린애가 나도 쪼그만 차 하나 사달라고, 쪼끄만 차를 사줬어. 그 놈이 이리저리 운전하고 다니다가 거꾸로 떨어지고 교통사고 나서 죽으면 그거 뭐냐 그말이여.

‘나이 먹거든 사 주마’ 이렇게 되어야지. 아직 운전할 나이도 안 된 애를 돈 있다고 해서 어린애한테 차를 마음대로 사 주고, 권총을 사달라는데 권총을 사 주고, 칼을 사달라는 걸 칼을 사 줘 가지고 마음대로 거 어떻게 되냐 그말이여.

 

그래서 소원도 ‘이번에 꼭 이걸 하겄게 해 주십시오’하고 부처님한테 치성(誠)을 드리거든.

치성드린 대로 되는 수도 있지만, 안 되는 수도 있다 그말이여. 안 될 때에는 안 되는 것이 차라리 무방하기 때문에 안 된 거여.

 

‘이번에 꼭 아들이 대학에 붙겄게 해 주십시오’해 가지고 쌀도 갖다 놓고, 돈도 갖다 놓고, 과일도 사다 놓고, 백팔배 삼천배를 했는데 뚝 떨어져 버렸어. ‘에이, 기도해 봤자 소용없다고. 나 기도 안 한다고’

이 절에 해서 안 되니까 또 어디 절에 가면 기도가 잘 성취된다니까 거기를 또 간다. 그러다 보면 되는 수도 있어. ‘그 절이라야 성취가 되지, 다른 절은 다 소용이 없다’하거든.

 

그게 아니여. 기도를 안 해도 되는 수도 얼마든지 있는 거고, 기도를 해도 안 되는 수도 있는 것이어서,

기도해 봤자 소용없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지극정성으로 해서 안 되었다면 안 되는 편이 오히려 낫기 때문에 부처님이 안 되게 하신 거여.

그래서 안 될수록에 더 기도를 열심히 해야지. ‘에이, 기도해 봤자 소용없다’ 그게 아니거든.

 

그래서 백일기도 하신 분은 전부가 정말 성취가 잘되었다고 생각을 하시고 이 다음에도 또 백일기도에 빠짐없이 동참을 잘 하셔야 하고.

 

 

정말 기도는 ‘이뭣고?’ 열심히 하는 것이 최고의 기도여!

 

자기가 지은 업(業)에 따라서 모든 과보(果報)를 받게 되고, 거기에다가 자기가 노력하는 것에 따라서 자기의 앞에 모든 일이 하나씩 하나씩 다 결정이 되어 가는 것이지,

복을 짓지 않고 기도해 가지고 느닷없이 큰 부자가 되기를 바란다는 것은 그건 잘못된 것이거든.

 

그래서 정말 기도를 성취하시고 싶으면 ‘이뭣고?’를 열심히 해서 업장(業障)을 소멸(消滅)을 하고.

‘이뭣고?’는 무엇이냐 하면은 이미 지은 업은 소멸을 하고, 앞으로 새로운 업을 짓지 않는 가장 수승한 법이거든.

‘이뭣고?’를 열심히 하시다가 집안에 꼭 중대한 일이 있으면 그러한 깨끗한 마음으로 기도를 하시면 정말 기도가 마음먹은 대로 성취가 되는 것이다.

 

내가 입춘기도 또 정월 신수기도 입제와 또 회향에 여러분 눈에는 참석을 안 했지만 나는 분명히 여기 참석을 해서 같이 기도를 했거든요. 그래서 혹 내가 참석한 것을 보시지 못한 사람이 계실까 해서 이 기도에 대해서 조금 언급을 했습니다. 

 

해제를 하셔서 비록 해제의 날짜는 지냈지만 우리의 공부는 언제나 결제거든.

언제나 결제이기 때문에 방심하고 해태(懈怠)하지 말고, 오히려 방부를 들이고 선방에서 지내실 때 보다 여기저기 다니시는 걸음걸음, 댁에 가시거나 어느 절에 가더라도 항상 우리의 마음을 더 야무지게 단속을 하면서 다시 건강한 몸으로 건강한 마음으로 또 만나게 되기를 기약하면서 법상(法床)에서 내려가고자 합니다.(57분59초~76분47초)(끝)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화진산운해월정(話盡山雲海月情)’ ; [벽암록(碧巖錄)] 제53칙 설두(雪竇)스님 송(頌) 참고.
*(게송) ‘無一物中無盡藏  有花有月有樓臺’ ; 소동파 시 '백지찬(白紙贊)' 참고.
*유정(有情)산스크리트어 sattva  감정이 있는 모든 생물. 번뇌와 아무런 생각이 없는 멍한 상태를 끝없이 되풀이하는 모든 존재. 번뇌에 얽매여 미혹한 모든 존재. 중생(衆生)과 같음.
*본각진심(本覺眞心) : 일체 중생에게 본래 갖춰져 있는 각성(覺性)의 뜻으로서 청정한 심성(心性)을 말함.
이 심성은 허명(虛明)해서 인연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도 아니요 또 자연적인 것도 아니며, 본래 중생의 상념(想念)을 떠나서 법계에 두루 가득 차 있는 것이다. 따라서 미망(迷妄)과 깨달음에 관계 없는 절대적인 경위(境位)이다. 일심(一心), 불성(佛性), 여래장(如來藏), 원각(圓覺)이라고도 한다.
*소소영령(昭昭靈靈) ; 한없이 밝고 신령함. 소소(昭昭)도 영령(靈靈)도 함께 밝은 뜻. 밝은 모양. 진여(眞如)•법성(法性)•불심(佛心)을 의미하는 말.
*불매(不昧) ; 매(昧)하지 아니하다. 지혜가 어둡지 않다.
*요요상지(了了常知) ; ‘분명하게 항상 앎—본각진심(本覺眞心, 불성佛性)이 분명하게 항상 앎’
요요상지(了了常知)는 증득하여 아는 것이 아니며, 경계를 반연하여 분별하는 식(識)과 같지 않고, 체(體)를 비추어 요달한 지(智)와 같지 않고, ‘진여의 성품이 자연히 항상 앎’을 말하는 것이다.
[참고]
규봉종밀(圭峰宗密) 스님의 《원인론(原人論)》에서.
直顯真源第三。
五 一乘顯性教者、說一切有情皆有本覺真心、無始已來常住清淨、昭昭不昧了了常知、亦名佛性亦名如來藏。
 《원인론(原人論)》을 해설한 정원(淨源) 스님의 《발미록(發微錄)》에서.
昭昭不昧了了常知者、華嚴回向品云、真如照明為性、故云不昧、此言者、不是證知、意說真性不同虛空木石、故云知也、非如緣境分別之識、非如照體了達之智、直是真如之性、自然常知、故馬鳴菩薩云、真如者、自體真實識知義故、亦名佛性下、是諸佛萬德之源、故名佛性、是衆生迷悟之源、故名如來藏
*여래장(如來藏)산스크리트어 tathāgata-garbha 본래부터 중생의 마음 속에 감추어져 있는 여래가 될 가능성. 중생의 마음 속에 저절로 갈무리되어 있는 여래의 청정한 씨앗. 중생이 모두 갖추고 있으나 번뇌에 가려져 있는 여래의 성품. 모태(母胎)의 태아(胎兒)처럼, 중생의 마음 속에 간직되어 있는 부처의 성품.
*원각(圓覺) ; ‘원만(圓滿)한 신령스러운 각성(覺性)’ 부처님의 원만한 깨달음을 일컫는 말이다. 또한 원만한 깨달음의 경지인 청정한 본심을 일컬어 원각묘심(圓覺妙心)이라 한다.
일체의 생명에는 본래부터 깨달음[本覺]이 있고 진심(眞心)이 있어서, 체(體)의 입장에서 그것을 표현을 하면 일심(一心)이라 하고, 인과(因果)의 인(因)을 잡아서 표현을 하자면 그것을 여래장(如來藏)이라 표현하고, 인과(因果)의 과(果)로 잡아서 표현을 하면 그것을 원각(圓覺)이라 한다.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性]을 꿰뚫어 보아[見] 깨달아 부처가 됨[成佛].
*의단(疑團 의심할 의, 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성성적적(惺惺寂寂) ; 정신이 고요하면서도 깨끗하고 또록또록 한 상태.
*독로(獨露 홀로·오로지 독, 드러날 로) ; 홀로(獨) 드러나다(露).
*잡드리 ; ‘잡도리’의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여법(如法 같을·같게 할·따를·좇을 여/ 부처님의 가르침·불도佛道 법) ; 부처님의 가르침에 맞음.

*치성(致誠 이룰•이를 치/정성 성) ; ①하느님 이나 부처님 등 신적 대상에게 자기의 소원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정성을 다하여 빎. ②있는 정성을 다함. 또는 그 정성.

*업장(業障) ; 전생(前生)이나 금생(今生)에 행동•말•마음(신구의,身口意)으로 지은 악업(惡業)으로 인하여 이 세상에서 장애(障礙)가 생기는 것.

*소멸(消滅) ; 사라져 없어짐.

*해태(懈怠 게으를 해, 게으를 태) : 게으름(행동이 느리고 움직이거나 일하기를 싫어하는 태도나 버릇).

*법상(法床) ; 법을 설하는 자리. 또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설법하는 스님이 올라앉는 상.

 

Posted by 닥공닥정
대중 생활2014. 3. 11. 20:33

§(세등68) (게송) 참선수투조사관~ / 육화(六和) / 해제(解制)가 바로 결제(結制) / 새판잽이.

화두를 들어서 자꾸 화두를 참구(參究)를 허는 것은 바로 거기에서 마음 길이 끊어지게 되고, 마음 길이 끊어져야 조사관을 타파하는 것이여. 다못 앞도 막히고, 뒤도 막히고, 알 수 없는 의심으로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만을 참구해 나가. 거기에서 분별심을 끊을려고 안 해도 저절로 분별심이 끊어져. 마음 길을 끊을려고 안 해도 저절로 끊어지게 되는 것이여.


원만구족(圓滿具足)한 원각(圓覺)을 이루고자 하면, 자비와 지혜와 행원과 이사에 융통(融通)해야 해.


화합하는 마음은 어디서 생기느냐? 각자 자기의 소임을 충실히 허면서 여법(如法)하게 수행을 해 나가면, 일부러 화합을 헐려고 마음을 낼 것도 없이 저절로 화합이 되는 것이여.


(산철 동안에도) 꼭 결제 중에 하는 거와 같은 그러한 마음가짐으로 그 정진이 중간에 중단되지 아니하고, 여일하게 되어가도록 잘 잡드리를 해야 다음철 여름결제에 연결이 된다 그말이여. 그 석 달 동안을 애써서 해 가지고 산철 동안에 그럭저럭 지내버리면, 다음 여름 결제 시작하면 다시 또 공부가 새판잽이가 되는 거여. 그렇게 되면은 앞으로 10년, 20년, 일생을 선방을 다닌다 해도 도업(道業)을 성취를 못하는 원인이 바로 거기에 있다고 나는 생각을 하는 것이여.


**송담스님(세등선원No.68) - 정묘년 동안거 해제 법어(1988.01.17)에서. (세등68)

 

약 13분.

 


참선(參禪)은 수투조사관(須透祖師關)이요  묘오요궁심로절(妙悟要窮心路絶)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참선(參禪)은 수투조사관(須透祖師關)이요. 참선은 모름지기 조사관(祖師關)을 뚫어야 하는 것이고, 조사관을 타파해. 참선의 목적은 조사관을 타파해야 하는 거여.

묘오(妙悟)는 요궁심로절(要窮心露絕)이다. 묘한 깨달음은 마음 길이 끊어져야 한다.
마음 길! 화두를 들어서 자꾸 화두를 참구(參究)를 하는 것은 바로 거기에서 마음 길이 끊어지게 되고, 마음 길이 끊어져야 조사관을 타파하는 것이여.

의리선(義理禪)! 의리로 공안을 따지고 이리저리 분석하고 하는 것은 그것이 마음 길이 끊어지기커녕은 점점 분별심(分別心)이 치성(熾盛)해지기 때문에 그래서 그것은 '사구(死句)다, 죽은 참선이다' 그런 거여.
확철대오 할 수 있는 참선이 아니고, 점점 중생의 사량분별을 치성하게 만들어 가지고 참 깨달음으로부터서는 점점 멀어지는 공부이기 때문에 의리선이나 사구선(死句禪)을 하지 말아라 이거거든.

활구참선(活句參禪)!  일체 말 길이 끊어지고, 이치 길이 끊어지고, 더듬어 들어가는 짓이 끊어지는, 다못 앞도 막히고, 뒤도 막히고, 알 수 없는 의심으로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만을 참구해 나가.

‘어째서 정전백수자(庭前栢樹子)라 했는고?’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그 알 수 없는 의심만을 잡드리 해 나가야 돼. 거기에서 분별심을 끊을려고 안 해도 저절로 분별심이 끊어져. 마음 길을 끊을려고 안 해도 저절로 끊어지게 되는 것이여.

수행을 해 나가는데, 이치(理致)에 치우쳐서 닦아 나가면 적적한 데에 맥혀, 꽉 체하게 되는 것이고. 적적한 데에 처박히게 되는 것이고. 또 지(智). 치우쳐서 지혜만을 닦아 나가면, 자비심이 없어져 버리고.
또 치우쳐서 자비만을 닦아나가. 그저 다른 사람만을 위하고 어떻게 허면 다른 사람을 이롭게 하고, 이렇게 치우치게 자비만을 닦아 나가면, 염습(染習)! 습기에 물들어 가는 염습만을 문득 더 증장시키게 되는 것이여.
다맛 원(願)만을 발하고, 자꾸 발원(發願)만을 해 나가면은 유위(有爲)의 정(情)이 일어난다.

아무리 이치가 좋다고 해도 이치만에 치우치고, 아무리 지(智)가 좋다 해도 지혜만을 치우치고, 아무리 자비가 좋다 해도 자비만에 치우치고, 아무리 발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해도 밤낮 발원만을 하고 - 그래서 이치와 지(智)와 자비와 발원, 이런 것들을 다 겸해서 다 갖추어서 해 나가야 그래야 허물이 없어.
이사(理事)가 융통하고 행원(行願)이 서로 겸해서 자비와 지혜를 겸해서 닦아 나가야, 그래야 정말 대도를 성취한다. 화엄론에 그렇게 말씀을 하셨어.

그래서 이렇게 결제 때가 되면은 방(榜)을 짜 가지고 전 대중이 각기 한 가지 내지 두 가지 이상 그런 소임을 맡아 가지고, 그래가지고 그 자기의 소임을 정성껏 다 완수하면서 그 가운데에 화두가 성성(惺惺)하고 적적(寂寂)하도록 그렇게 잡드리를 해 나가야 돼.

아무 것도 안 하고, 손발 하나 까딱 안 하고, 오직 앉아서 좌(坐)에만 국집(局執)해 가지고, 뭐 울력 조금 있으면 파르르르 하니 속으로 진심(瞋心)을 내고, 짜증을 내고, 옆에서 누가 빠스락만 해도 그러고, 남을 위해서는 손가락 하나 딸삭 하기를 싫어하고, 그렇게 인색을 허고, 그래 가지고서는 설사 어떤 소견이 나서 깨달음을 얻었다 하드라도 그것은 벽지불(辟支佛) 밖에는 되지를 못하는 것이여.

정말 원만구족(圓滿具足)한 원각(圓覺)을 이루고자 하면 자비와 지혜와 행원과 이사에 융통(融通)해야 해.

각기 자기의 소임을 맡아서 각자 정성껏 하지 아니하면, 그 선방은 밤낮 문제점이 일어나 가지고 여러 사람이 정진하는데 방해가 되는 것이여.
그래서 이 선방에는 주지나 원장이 있어야 하고, 총무와 재무와 교무가 있어야 하고, 또 원주(園主)·별좌(別座)와 채공(菜供)·공양주(供養主)가 있어야 하고, 다각(茶角)이 있어야 하고, 또 선방 내부에서도 여러 가지 소임을 맡아 가지고 전체 대중이 한마음 한뜻이 되어야 하거든. 화합이 되어야!

화합(和合)이라는 것은 무엇이냐? 나와 남이 둘이 아니고, 내 마음과 저 사람의 마음이 하나가 돼.
서로서로 존경하고, 서로서로 아끼고, 서로서로 받드는 마음이 그것이 한마음이 되어서 그래서 조금도 신경을 쓸 것이 없어. 그러니 거기에 무슨 시비가 일어나며, 누구를 이뻐하고 누구를 미워할 것이 있느냐 그말이여.

이것이 바로 승가(僧伽)라 하는 것이여. 승가는 인도 발음으로 상카(saṃgha)라 그러는데, 그 상카라 하는 것은 화합이라는 뜻이거든.

수행을 해 나가는데 이십 명, 삼십 명 내지 많은 대중은 중국에서는 오백 명, 칠백 명 대중도 있고, 큰 총림(叢林)은 천오백 명까지도 이렇게 지내는데, 그 많은 대중이 구십 일간을 아무 탈없이 지내게 되는 것은 오직 그 화합하는 마음이여.
화합하는 마음은 어디서 생기느냐? 각자 자기의 소임을 충실히 하면서 여법(如法)하게 수행을 해 나가면, 일부러 화합을 헐려고 마음을 낼 것도 없이 저절로 화합이 되는 것이여.

물과 물을 타면은 바로 하나가 되어 버려, 한 가지 되고. 물과 우유를 타도 이렇게 섞어지는데, 물과 기름은 아무리 타 가지고 저어도 섞어진 것 같은데, 한참 있으면 기름은 물위로 떠버리고, 물은 가라앉아 버린다.

우리가 목적이 같고, 해 나가는 생활이 같고, 우리의 생각이 같고, 그래서 육화(六和)의 원칙!
육화의 원칙에 스스로 자발적으로 순응하면은 저절로 물과 물이 섞인 듯, 물과 우유가 섞인 것처럼 이렇게 되는 것이다 그말이여. 그렇게 될 때에 석 달 안거가 무장무애(無障無礙)하게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오늘 해제하는 마당에 왜 이 이런 말씀을 허냐 하면은 해제(解制)가 바로 결제(結制)거든.
오늘 해제니까, 벌써 걸망짐 모두 다 싸놓고 어디로 가리라 하는 것을 미리 다 며칠 전부터서 장만해 둔 것을 내가 환히 다 알고 있지마는, 해제가 결제거든.

해제인줄 알고 걸망 짊어지고 나가면은 봄바람에 기분 참 좋은 것은 사실이나, 행여나 화두 하나를 놓쳐버리면은 그것이 어찌 훌륭한 납자(衲子)라 할 수가 있겠느냐.

해제해서 터억 걸망을 지고 나가는 바로 첫걸음부터 화두가 성성하고 적적하게 잡두리를 해 나가야 정말 지난 석 달 동안 올바르게 정진을 한 사람이고,
걸망 짊어지고 팔도강산을 좁다하고 불탄산고수활(不憚山高水濶)하고 막 여기저기 싸다니면서, 희희닥거리고 화두는 놓쳐버린다면 그 사람은 석 달 동안 껍데기로만 참선을 했지 속으로는 진짜 참선을 아니한 사람이다. 이력서를 내보일 것도 없고, 벌써 허는 행동이 바로 언제나 자기의 이력서와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앞으로 석 달 동안 어디 산철 결제 하는 데 가서 있으면은 그런 데 가서 정진을 해도 좋고, 그런 데가 없으면은 인연 따라서 지내되, 어디에 가서 어디를 걸어가거나 어느 절에 가서 머물거나, 무엇을 하던지 간에 - 은사스님 절에 가서 일을 거들거나, 어디 다른 친구 절에 가서 거들거나,

무엇을 하건 간에, 어디를 가건 간에, 꼭 결제 중에 하는 거와 같은 그러한 마음가짐으로 그 정진이 중간에 중단되지 아니하고, 여일하게 되아 가도록 잘 잡드리를 해야 다음 철 여름 결제에 연결이 된다 그말이여.

그 석 달 동안을 애써서 해 가지고 산철 동안에 그럭저럭 지내버리면, 다음 여름 결제 시작하면 다시 또 공부가 새판잽이가 되는 거여.
그렇게 되면은 앞으로 10년, 20년, 일생을 선방을 다닌다 해도 도업(道業)을 성취를 못하는 원인이 바로 거기에 있다고 나는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28분44초~41분54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 참선수투조사관(參禪須透祖師關) 묘오요궁심로절(妙悟要窮心路絶)’ ; 무문 혜개 스님의 [무문관(無門關)] 1조주구자(趙州狗子)’ 있는 . [선가귀감](용화선원) p61참고. *=(끊을 ).

*참선(參禪) ; ①선() 수행을 하는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조사관(祖師關) ; 조사의 경지에 이르는 관문(關門), 화두(공안) 말함. 관문(關門) 옛날에 국방상으로나 경제상으로 중요한 곳에 군사를 두어 지키게 하고, 내왕하는 사람과 수출입하는 물건을 검사하는 곳이다.

화두는 이것을 통과하여야 견성 성불하게 되는 것이므로 선종(禪宗) 관문이 된다.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참구(參究 헤아릴 참/궁구할 ) ①다못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 ②참선하여 화두(공안)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의리선(義理禪) ; 말이나 글로 해석하고 설명하는 ().

*분별(分別) ; ①대상을 차별하여 거기에 이름이나 의미를 부여함. 대상을 차별하여 허망한 인식을 일으키는 인식 주관의 작용. ②구별함. ③그릇된 생각.

*치성(熾盛 맹렬하게 일어남·성할 치/성할 ) ; 불길이 일어나는 것과 같이 성하게 일어남.

*사구(死句) ; 분별과 생각으로 공안(화두) 따지고 이리저리 분석하여, 마음 길이 끊어지기 커녕은 점점 분별심(分別心) 치성(熾盛)해지기 때문에 그것을 사구(死句) 한다. 죽은 참선(死句參禪).

[참고] [선가귀감] (용화선원 ) p49~52.

大抵學者는  叅活句언정  叅死句어다

대저 배우는 이들은 모름지기 활구(活句) 참구할지언정, 사구(死句) 참구하지 말지어다。

 

<註解> 活句下에  *薦得하면  堪與佛祖爲師요死句下에  薦得하면  自救도  不了니라此下는  特擧活句하야  使自悟入이니라.

要見*臨濟인댄  須是鐵漢이니라 

 

활구(活句)에서 얻어 내면 부처나 조사의 스승이 만하고, 사구(死句)에서 얻는다면 자신도 구하지 못할 것이다。이 아래는 특히 활구(活句) 들어 스스로 깨쳐들어가게 하는 것이다。

  임제를 친견하려면 쇠뭉치로 놈이라야.

 

<評曰>

*話頭에  有句意二門하니  叅句者 *徑截門活句也니  沒心路沒語路하며  無摸索故也요叅意者  *圓頓門死句也니  有理路有語路하며  有聞解思想故也라.

 

평해 가로되, 화두(話頭) 참구(參句) 참의(參意) 가지 문이 있으니, 참구(叅句) 경절문 활구(徑截門活句), 마음 길이 끊어지고 길도 끊어져서 더듬고 만질수가 없는 때문이요, 참의(叅意) 하는 것은 원돈문 사구(圓頓門死句), 이치의 길도 있고, 말의 길도 있으며, 들어서 알고 생각할 있기 때문이다。

(譯註)

*경절문(徑截門) : 지름길문。교문(敎門) 55 점차를 거치지 않고 뛰어서 여래의 경지에 바로 들어가는 문。다시 말하면 화두(공안) 타파하여 견성 성불(見性成佛)하는 활구 참선법(活句參禪法)

*원돈문(圓頓門) : 원교(圓敎) 돈교(頓敎) 교문(敎門) 있어서는 가장 높고 깊은 이치를 가르친 바이지만, 자취가 남아 있고 길이 분명히 있어서 참으로 걸림 없는 이치를 완전히 가르친 것이 못된다。오직 조사선이 있을 뿐이다。

*본참공안(本參公案) : 본참화두(本參話頭).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치(理致) ; 사물의 정당한 조리(條理). 또는 도리에 맞는 취지(趣旨).

*지혜(智慧) ; ①모든 현상의 이치와 선악 등을 명료하게 판단하고 추리하는 마음 작용.

②분별하지 않고 대상을 있는 그대로 직관하는 마음 작용.

③미혹을 끊고 모든 현상을 있는 그대로 주시하는 마음 작용. 분별과 집착이 끊어진 마음 상태. 모든 분별이 끊어져 집착하지 않는 마음 상태. 모든 분별을 떠난 경지에서 온갖 차별을 명료하게 아는 마음 작용.

*자비(慈悲) ; ()우정친애의 생각라는 원의(原義), 남에게 즐거움을 준다는 , ()연민동정 원의(原義), 남의 괴로움을 덜어준다는 .

보살이 중생을 불쌍히 여겨 고통을 덜어 주고 안락하게 해주려는 마음.

*염습(染習) ; 습기(習氣-번뇌로 인하여 형성된 습관이나 버릇) 물들어 저절로 익혀진 행동 방식.

*유위(有爲, 산스크리트어: saṃskrta, 팔리어: savkhata)에서 () 위작(爲作) · 조작(造作: 만들다) 뜻으로, 유위는 만들어진 , 조작된 , 다수의 요소가 함께 작용된 , 여러 인연이 함께 모여서 지은 , 인연으로 말미암아 조작되는 모든 현상을 가리킨다.

또는 이렇게 하여 드러난 생성과 소멸의 세계, 우리가 경험하는 현상의 세계를 뜻한다.

*이사(理事) ; ①깨달음의 진리와 차별 현상. ②본체와 차별 현상.

*행원(行願) ; 수행과 서원(誓願). 서원을 세우고 수행함.

*결제(結制 맺을 결/만들법도 ) ; 안거(安居) 들어감. 하안거는 음력 4 15일에 들어가며, 동안거는 음력 10 15일에 들어간다.

*해제(解制 해/만들법도 ) ; (안거) 마침. ②재계(齋戒)하던 것을 그만두고 .

*() ; 용상방(龍象榜) 말함.

[참고] 용상방(龍象榜) ; 절에서 하안거 동안거 결제 때나, 큰일을 치를 때에 각자 일을 정해 붙이는 명단. 행사가 끝날 때까지 모든 사람이 있는 곳에 붙여서 각자가 맡은 일에 충실하도록 것이다.

*국집(局執) ; 마음이 트이지 못하고 어느 한편에 국한(局限), 집착하는 . 사리(事理) 두루 살펴 종합적으로 판단하지 못하고 자기의 주관에 얽매이거나 자기의 소견만이 옳다고 고집하여 매우 답답한 모습을 말한다.

*울력 ; 함께 모아 일하는 , 여러 사람들이 힘을 합하여 하는 일이란 우리말. 그러나 많은 사람이 구름같이 모여서 일을 한다는 의미로 운력(雲力)이라고도 하며, 함께 힘을 기울인다는 의미로 운력(運力)이라고도 한다. 의미와 관계없이 울력은 사찰에서 대중들이 모여 육체적인 노동을 함께 한다는 .

*진심(瞋心) ; 왈칵 성내는 마음.

*벽지불(辟支佛) ; 산스크리트어 pratyeka-buddha 팔리어 pacceka-buddha 음사. 홀로 깨달은 자라는 . 독각(獨覺연각(緣覺)이라 번역.

스승 없이 홀로 수행하여 깨달은 . 가르침에 의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깨달은 . 홀로 연기(緣起) 이치를 주시하여 깨달은 . 홀로 자신의 깨달음만을 구하는 수행자.

*원만구족(圓滿具足) ; 모자라거나 결함이 없이 완전히 모두 갖추어져 있음.

*원각(圓覺) ; 석가여래의 원만(圓滿) 깨달음. 진여(眞如) 체득. 부처님의 지혜.

*융통(融通) ; 때나 형편에 맞게 신축성 있게 일을 처리함.

*원주(園主) ; 절에 소속된 밭의 채소를 가꾸는 소임, 또는 일을 맡은 스님.

*별좌(別座) ; 절에서 식사·의복·방석·이부자리 등을 담당하는 직책, 또는 일을 맡은 스님.

*채공(菜供) ; 절에서 반찬을 마련하는 소임, 또는 일을 맡은 스님.

*공양주(供養主) ; 절에서 밥을 짓는 소임, 또는 일을 맡은 스님.

*다각(茶角) ; 절에서 마실 차를 마련하는 소임, 또는 일을 맡은 스님.

*승가(僧伽) ; (산스크리트)(팔리) saṃgha 음사. (화합중(和合衆)이라 번역.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고 가르침대로 수행하는 사람들의 집단. 화합하고 있는 불교 교단.

보통은 출가자의 집단을 가르키지만, 넓게는 재가(在家) 신도도 포함.

*총림(叢林) ; ①많은 수행승들이 모여 수행하는 . ②전각(殿閣선원(禪院) ·강원(講院율원(律院) 등을 두루 갖춘 사찰.

*여법(如法) ; 부처님의 가르침에 맞음.

*육화(六和) ; 교단의 화합과 함께 대중의 수행 자세를 일깨워주는 여섯 가지 화합하는 . 육화합(六和合), 육화경(六和敬)이라고도 . 수행자(修行者) 서로에게 행위·견해를 같게 하여 화합하고, 서로 경애하는 여섯가지 방법.

①같은 계율을 가지고 수행하여 화동(和同)하고 애경(愛敬)하라(戒和).

②정견(正見) 같이하여 함께 해탈하라(見和).

③의식(衣食) 함께 하여 이로움을 균등하게 나누어 가지라(利和).

④같이 살며 부드럽게 행동하라(身和).

⑤다투지 말고 자비롭게 말하라(口和).

⑥같이 일하며 남의 뜻을 존중하라(意和).

*걸망 ; 물건을 담아서 등에 있도록 만든 자루 모양의 주머니.

*납자(衲子 옷을 꿰맴 ,사람 ) ; 남이 버린 옷이나 조각들을 기워서 만든 옷을 입은 수행승. 흔히 참선을 하는 스님(禪僧) 자신을 가리킬 사용.

*불탄산고수활(不憚山高水) ; 높은 깊은 물도 꺼리지 않고. (꺼릴 ), (넓을 ).

*산철(散철) ; 본철(本철-하안거,동안거) 아닌 시기.

*새판잡이 ; 새로 일을 벌여 다시 하는 .

*도업(道業) ; () 깨달음. () 영위. 불도의 수행. 진리의 실천.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