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精進) 수행2015. 7. 10. 11:29

§(232) 한 생각 단속 / 생사유전(生死流轉) / (게송)득지재심응재수~ / “찾다가 저 죽는다” / 신심·분심·의단이 한목 돈발해야 / 생사 속에서 생사 없는 도리를 요달(了達).

 

남이 나한테 은혜를 베풀어 주되, 나는 화두를 들고 화두를 듦으로써 그 사람의 은혜를 갚아야 하고, 남이 나에게 섭섭하게 하고, 남이 나에게 해를 끼친다 하더라도 화두를 듦으로써 그 사람이 나한테 해롭게 한 보답으로 삼는다면 그것이 바로 생사윤회에서 벗어나는 가장 현명한 길인 것입니다.

세수할 때는 세수한다고 그놈이 어디로 갈 거냐 그말이여. 먹을 때는 어디로 가? 그 먹는 놈 내놓고 그게 어디로 갈 거냐 그말이여. 비를 들고 마당을 쓸 때는 쓰는 놈 내놓고 어디 가서 찾느냐 그말이여.

 

조실 스님 법문 가운데 “찾다가 저 죽는다” 그런 말씀이 있는데, 바로 그놈을 내놓고 따로 찾으면 그 무엇이 나올 거냐 그말이여.

흔히 가까운 데다 놓고 멀리 찾다가 시간을 낭비하는 수가 있는데, 우리가 우리의 자성(自性)을 찾는 데에도 언제나 가까운 데에 있는 것입니다. 가까운 데 있는데 그놈을 멀리 찾으면 그건 없거든.

 

우리가 공부하는 것은 일신상으로 마음 편안한 것을 얻으려는 그러한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나 자신의 생사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서는 일체 중생을 제도해서 온 법계가 부처님으로 가득차게 될 때까지 우리의 수행은 계속되어야 하고 우리의 과제는 계속 풀어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한 원대한 큰 원(願)을 가지고 우리는 정진하는 사람이라, 조끔 무슨 얻은 소견 그것을 가지고 만족함을 삼어서는 아니 될 것입니다.

 

이 법(法)에는 승속(僧俗)이 없고, 남녀가 없고, 노소가 없습니다. 이 자리에 모이신 여러 대중 스님네와 보살님네, 연세가 많다고 해서 양보를 하시지 말고, 여자라고 해서 양보를 하지 말고, 이제 금방 출가한 사미승(沙彌僧)이라고 해서 양보를 하지 말고, 각기 다 장부(丈夫)의 기상을 가지고 어서 속히 도를 이루어서 이 산승(山僧)을 제도해 주시기를 부탁을 합니다.

대승법, 최상승법은 생사(生死) 속에서 ‘생사가 본래 없는 도리’를 깨닫는 것이여. 생사를 피해 가지고 열반을 구할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중생의 눈에 생사로 보이는 이 생사 속에서 바로 생사 없는 도리를 요달(了達)해 버리는 거여.

 

**송담스님(No.232)—84년 동안거해제 법어(84.02.16) (용232)

 

(1) 약 21분.

(2) 약 17분.

 

(1)------------------

 

경전에는 ‘삼아승지겁(三阿僧祇劫)을 닦아서 오십오위(五十五位) 점차(漸次)를 거쳐서 등각(等覺), 묘각(妙覺)을 갖다가 성취를 한다’ 그러는데,

삼아승지겁이라고 하는 것은 일아승지겁만 해도 몇억만 년인데, 삼아승지겁이면 얼마나 많은 천문학적 숫자로도 비유할 수가 없는 그런 긴 세월인데,

 

무엇을 삼아승지겁에다 비유했냐 하면 우리 그 중생심, 중생의 끊임없이—육진(六塵)·육근(六根)·육식(六識), 이 십팔천(十八天)이라고도 하는데,

그것을 통해서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중생의 선(善)·악(惡)·무기(無記), 삼성(三性)의 생멸식이 그 고비 고비가 바로 삼아승지겁에다가 비유를 한 것입니다. 

 

한 생각 일어나는 것을 단속(團束)을 하고, 또 한 생각 일어나는 것을 단속을 하고, 단속하면 그 단속하는 그 생각에서 또 생각이 일어나고, 좋은 생각이 일어나도 그렇고, 좋지 않은 생각이 일어나도 마찬가지고,

수 없는 생각, 하루에면 몇천만 가지 생각이 일어나는데, 한 생각 속에 그놈을 더 미세하게 관찰을 하면 ‘한 생각’ 속에 구백생멸(九百生滅)이 들어있다 그말이여.

 

그러니 일생 동안에 우리의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그 생멸심(生滅心)을 무슨 전산기나 무슨 특별장치를 해서 그것을 갖다가 기록을 해서 그놈을 확대해 놓고 보면 정말 삼아승지겁이라고 표현을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그런데 그러한 생각들을 단속을 하지 아니하고 방치해 두고 또 일어나는 그 생각 따라서 자기도 같이 장단을 치고 춤을 추고, 생각으로 입으로 몸으로 놀아나서 업(業)을 짓게 되면,

그것이 무량겁 생사윤회(生死輪廻)가 되는데—무량겁을 육도윤회를 하면서 생사윤회를 하는데,

 

천당에 갔다 지옥에 갔다, 축생이 되었다 사람이 되었다, 사람이 되어도 빈부귀천 남녀노소로, 쪼끔 좋았다 나빴다, 울었다 슬펐다, 성냈다 풀어졌다, 괴로웠다 즐거웠다,

그 많은 생사유전(生死流轉), 그것이 무량겁으로 연속이 되어 가는 것입니다. 무량겁을 두고 오늘날까지 그렇게 해 왔습니다. 또 앞으로도 그렇게 되어 갈 것입니다.

 

 

그 아무 힘 안 들이고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그 생각, 근원이 무엇인 줄도 모르고, 왜 그런 것들이 일어나는 가도 모르고, 그 일어나는 그 생각에 자기도 덩달아서 휩쓸려서 넘어가면서 고락 속에서 곤두박질을 치고 있는데,

그 원인이 온전히 자기한테 있는 것인데, 그것을 모르고 전부 다른 사람에게 그 책임을 전가(轉嫁)를 시킵니다.

 

그래 가지고 크나 작으나 남을 원망합니다. 남에게 그 허물을 뒤집어씌우고, 남을 원망하고 미워하고, 원수를 맺게 되는 것입니다.

 

잘해 주어도 원수가 되고, 더군다나 못해 주면 더 큰 원수가 되고,

잘해 주면 은인이 되어야 할 텐데, 잘해 주면 반드시 그 사람이 결국은 원수가 됩니다.

못해 주면 당장 그 자리에서 원수가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잘해 주는데 왜 원수가 되느냐 그말이여?

처음에는 좀 ‘고맙다’ 그러지만 결국은 그렇게 해서 맺어진 인연이 나중에는 원수가 되고 마는 것입니다. ‘원수는 친한 데에서 일어나는 것이라’ 부처님은 그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조그만한 은혜도 남이 나한테 은혜를 베풀어 준 것은 아무리 조그만한 것이라도 평생 동안 잊지 말고, 아무리 큰 원수라도 즉시 잊어 버려라’ 이렇게 고인은 말씀하신 바도 있지만,

 

남이 나한테 은혜를 베풀어 주되, 나는 화두를 들고 화두를 듦으로써 그 사람의 은혜를 갚아야 하고,

남이 나에게 섭섭하게 하고, 남이 나에게 해를 끼친다 하더라도 화두를 듦으로써 그 사람이 나한테 해롭게 한 보답으로 삼는다면 그것이 바로 생사윤회에서 벗어나는 가장 현명한 길인 것입니다.

 

그 말은 어찌 생각해 보면 현실에 맞지 않는 말 같이 생각이 될는지도 모릅니다.

 

‘왜 남이 나한테 잘못하면 즉각 방어를 해야 하고 대처를 해서 나를 해치지 못하게 해야 할 것이고, 또 남이 나에게 은혜를 베풀면 그 고마운 보답으로 물심양면으로 그 은혜를 갚으면서 살아야지,

어찌 남이 나를 해친다고 해서 화두만 들고 가만히 그것을 다 당할 수가 있으며, 또 남이 나에게 물심양면으로 은혜를 베풀었을 때에는 그것을 반드시 보답을 해야지, 화두만 들고 다 똑똑 따먹고 있을 수가 있느냐? 이건 현실적으로 안 맞는 소리다

 

출가해서 머리를 깎고 도를 닦는 스님네라면 삼륜(三輪)이 공적(空寂)해서—보시하는 것이나, 보시하는 물건이나, 받는 사람이 모두가 공적(空寂)—무심(無心)해 버리면 그것이 바로 청정(淸淨)한 것인데, 스님네는 혹 그럴 수가 있다 하지만,

세속에서 사는 사람이 어떻게 화두만 들고 그렇게 한다면 다른 사람이 볼 때 미쳤다고 하거나 모자란다고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영 똑똑 따먹고 다시는 보답하는 법이 없으면 그 사람은 아주 숭악한 욕심쟁이라고 할 것이 아니겠느냐?’

 

또 현실적으로 보면 그런 점도 있습니다. 있으나, 화두를 드는 마음으로 또 물질적으로 보답을 할 때는 하고,

또 상대방이 나를 해(害)를 치면 지혜롭게 방어를 하되 원수의 마음을 가지고 복수심에 불타는 마음으로 대처를 하지 말고, 그 상대방이 나를 해를 가하되, 퍼뜩 화두를 들고서 먼저 이성에 입각해서 대처를 해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화두를 놓쳐 버리면 감정에 떨어져 버리니까, 화두를 한 번 탁! 챙길 수 있는 여유만 있어도 우선 감정의 노예가 되지 아니하고, 자기의 중심을 찾고서 모든 사리를 판단하게 되고 처리하게 되니까,

그리만 되어도 얼마나 훌륭한 일이며, 얼마나 지성인다우며, 얼마나 부처님 제자다우냐 이것입니다. 

 

말은 쑥떡 같이 해도 듣기를 참! 진수성찬으로 잘 들을 줄 알아야 합니다. 옳게 일러 주어도 사사건건이 삐뚤어지게 받아들이고 이상하게 해석을 붙이면 그건 어리석은 사람인 것입니다.

지혜 있는 사람은 어리석은 질문을 하되 현명한 답을 하게 되고, 어리석은 사람은 현명한 질문을 하되 어리석게 답을 하게 됩니다. 소가 물을 마시면 우유가 되고, 뱀이 물을 마시면 독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조실 스님 법문을 듣고 또 이 산승이 이렇게 말을 하고 있습니다마는 듣기를 잘 들으셔야 합니다. 듣기를 잘 들어야 그것이 나의 피가 되고 살이 되고, 도를 닦아 가는데 좋은 채찍이 되고 밑거름이 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잘못 들으면, 이것이 자기의 분별심과 번뇌의 불에 섶을 가하는 격이 되고 말 것입니다.

 

 

득지재심응재수(得之在心應在手)하고  설월풍화천지구(雪月風花天地久)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조조계향오경제(朝朝鷄向五更啼)하고  춘래처처산화수(春來處處山花秀)로구나

나무~아미타불~

 

득지재심응재수(得之在心應在手)라. 마음에 얻으면, 마음에 도리를 얻으면 손에 응하고,

설월풍화천지구(雪月風花天地久)다. 겨울이 되면 눈 내리고, 가을이 되면 밝은 달이 뜨며, 봄바람이 불면 아름다운 꽃이 피어서 하늘은 길고 땅은 오래 가더라.

 

조조계향오경제(朝朝鷄向五更啼)인데, 아침마다 새벽마다 닭은 오경(五更)에 울고,

춘래처처산화수(春來處處山花秀)로구나. 봄이 오매 곳곳이 산에 아름다운 꽃이 울긋불긋 피더라.

 

무슨 색상을 보던지 무슨 소리를 듣던지, 그 보고 듣고 생각하는 데에 그 본질을 잃어버리면,

일상 생활하는 것을 그것이 다 복잡하고—밥해 먹고 옷 빨아 입고, 남편을 섬기고 자녀를 모두 돌보아주고, 살림을 꾸려나가고 세간살이를 해 나가고 한 것이 그것이 모두 복잡하고 그것 때문에 공부가 못한다 해 가지고, 그런 일용을 갖다가 다 버려버리고 따로 어떠한 특별한 생애를 구하게 되는 것입니다.

 

벌써 ‘가정 생활 그것이 공부에 방해가 되고, 그런 것들 때문에 공부를 못한다. 집안 식구 때문에 공부를 못한다. 그것이 다 업으로 만나는 원수 것들이다’ 이러한 생각이 속에서 뽁짝뽁짝 일어난 때에는 벌써 그 사람 공부가 잘 안되는 때거든.

화두를 놓쳐 버리고 공부가 안되기 때문에 그런 생각이 속에서 막 퍼일어나 가지고 ‘어떻게 해야 이것을 벗어날꼬?’ 그 생각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스님네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불평과 불만이 속에서 일어나 가지고 “보따리를 싸 짊어지고 어디로 갈까? 떠나 버릴까, 휘저어 버릴까?” 이런 생각 저런 생각이 날 때에는 벌써 공부가 안되는 때거든.

공부가 안되기 때문에 그 뜻을 얻지를 못해. 그 뜻을 얻지를 못했기 때문에 아무렇지도 않는 것이 그렇게 나를 갖다가 뒤흔들거든.

 

그 근원을 얻으면—눈으로 무엇을 보거나, 귀로 무엇을 듣거나, 바로 거기에서 탁! 자기의 근본으로 돌아올 수 있으면 자기의 근원으로 돌아온다면, 모든 기회와 모든 경계상에서 바로 그놈을 막 잡어 쓸 수가 있는 거여.

 

세수할 때는 세수한다고 그놈이 어디로 갈 거냐 그말이여.

먹을 때는 어디로 가? 그 먹는 놈 내놓고 그게 어디로 갈 거냐 그말이여.

비를 들고 마당을 쓸 때는 쓰는 놈 내놓고 어디 가서 찾느냐 그말이여.

 

바로 뜻을 얻어 가면 이 세상에 눈에 보이는 모든 색상(色相)이 바로 그것이 부처님 진신(眞身)이요.

이 세상에 귀로 들을 수 있는 모든 소리는 일체가 다 법신불(法身佛)의 소리가 아니고 무엇이냐 그말이여.

 

조실 스님 법문 가운데 “찾다가 저 죽는다” 그런 말씀이 있는데, 바로 그놈을 내놓고 따로 찾으면 그 무엇이 나올 거냐 그말이여.

 

이건 너무 가까워서—무슨 물건을 잃어 버렸을 때 자기 손에 쥐고 찾는다든지, 바싹 바로 자기 무릎 밑에 코앞에 있는 것을 놔두고 저 멀리 찾으면 그건 찾을 수가 없는 거여.

흔히 가까운 데다 놓고 멀리 찾다가 시간을 낭비하는 수가 있는데, 우리가 우리의 자성(自性)을 찾는 데에도 언제나 가까운 데에 있는 것입니다. 가까운 데 있는데 그놈을 멀리 찾으면 그건 없거든.(36분38초~57분5초)

 

 

 

 

 

(2)------------------

 

‘가까운 데에 있으니까 찾다가 저 죽는다 했으니, 찾지 아니하면 언제나 거기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공부할 게 뭐 있느냐. 눈에 볼 때는 보는 놈이고, 귀로 들을 때는 듣는 놈이고, 무슨 생각을 할 때는 생각하는 놈 그놈인데 무엇을 찾을 거 뭐 있느냐.

그렇다면 뭐 참선도 군더더기고 찾는다는 자체가 틀려 버렸다니까, 안 찾고 고대로 놔두면 언제나 거기 있다’ 그 일리가 있는 말 같지만,

 

찾다 찾다가 아주 목숨을 바쳐서 찾고, 찾다가 찾다가 해 가지고 ‘찾는 놈’과 ‘찾으려는 놈’과 일체가 하나가 되어서 그래 가지고 ‘찾는다’는 생각까지 끊어지되,

그 속에서 알 수 없는 의단이, 의관(疑觀)이 한담(寒潭)에, 파도 없는 못에 뚜렷한 달이 턱! 박히듯이,

 

알 수 없는 의단이 적적(寂寂)하고 성성(惺惺)한 가운데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해 가지고, 독로하되 거기에도 빠지지 말고 오직 의단만이 순일무잡(純一無雜)하게 독로해서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어 가지고,

거기에서 그놈이 타파(打破)되어 가지고 그런 뒤에 바로 보는 놈이요, 듣는 놈이요, 생각하는 놈이요, 두두물물(頭頭物物)이 총가옹(摠家翁)으로 이렇게 되는 것이지,

 

그러한 고비를 넘지 아니하고 의리(義理)로, 들은 풍월(風月)로, 사량분별심(思量分別心)으로 ‘찾는 놈이 그놈이고, 듣는 놈이 그놈이고, 바로 이거 말하는 놈이 이놈이다’

이러한 생각 가지고는 그것은 아무 것도 아닌 것입니다. 그것은 생사해탈도 아니요, 견성도 아니고 그러한 것은 의리선(義理禪)도 되지도 못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단은 우리는 화두를 거각(擧却)을 해 가지고, 화두를 갖다가 여법(如法)하게 참구(參究)를 해서 화두 공안 타파를 해야만 하는 것입니다.

 

 

원래 화두라고 하는 것이, 자연 발생적으로 ‘대관절 이 인생이란 게 무엇이냐?’ ‘대관절 이 '내'라는 게 무엇이냐?’

 

형식적으로 화두를 어디서 타 가지고 그놈을 형식적으로 ‘이뭐꼬? 이뭐꼬?’ 이렇게 하는 것이 아니라,

아무 까닭도 없이 ‘대관절 이 인생이란 게 뭐냐?’ 자나깨나 ‘도대체 이것이 무엇이냐?’ 이렇게 자연 발생적으로 속에서 불타듯이 분심과 신심과 의단이 한데 뭉쳐서 돈발(頓發)을 해야 할 것입니다마는,

 

우리는 중생의 근기가 미약해 가지고 이 3가지 요소가 한목 돈발하지를 못하고 또 일시적으로 돈발하되 이것이 오랫동안 가지를 못합니다.

그래서 좋은 도반들과 서로 같이 방(榜)을 짜 가지고 또 선지식(善知識)에 의지해서 선지식의 지도하에서 가끔가끔 법문을 들으면서 서로 서로 경책(警策)을 하면서 해야만,

힘이, 그 정진하려는 그 분심이 그런대로 지속이 되고 퇴타(退墮)를 하지 않고서 한 철 두 철 이렇게 알뜰히 해 나가다 보면 신심(信心)과 분심(憤心)과 의단이 한목 이렇게 일어나는 때가 꼭 오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은 화두를 들지 안 해도 화두가 성성하게 들려서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 엿새 계속해서 해 나가면 결국은 화두를 타파하게 되는 것입니다.

 

화두를 타파했을 때에 선지식의 점검을 받아서 이것이 옳은 경계인가 아닌가? 이것 체중현(體中玄)에 떨어진 것인가? 그것을 점검을 받아서 나아가야지,

자기 나름대로 어떠한 소견이 난 것을 속으로 딱 깊이 간직하고 그것을 지켜 나가고, 말하자니 자신이 없고 버리자니 아깝고, 그러니까 그것을 자기 나름대로 속으로 딱 그놈을 들여다보고 앉었으면 그건 큰 공부는 하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우리가 공부하는 것은 일신상으로 마음 편안한 것을 얻으려는 그러한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나 자신의 생사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서는 일체 중생을 제도해서 온 법계가 부처님으로 가득차게 될 때까지 우리의 수행은 계속되어야 하고 우리의 과제는 계속 풀어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한 원대한 큰 원(願)을 가지고 우리는 정진하는 사람이라, 조끔 무슨 얻은 소견 그것을 가지고 만족함을 삼어서는 아니 될 것입니다.

 

 

이렇게 말한 나 자신도 수행 과정에 있는 사람으로 내 일이 참 바쁘고, 이러한 처지에 있는 사람이 누구 다른 사람을 보고 이러쿵저러쿵 이 법상에 올라 와서 말 할 분상도 아니지만,

전강 조실 스님의 은혜와 불조의 은혜와 여러 신도분들의 은혜가 지중해서 분에 넘치는 일인 줄 알면서도 이렇게 법상에 올라와서 여러분에게 이렇게 간곡히 말씀을 드리고 있습니다마는,

 

사실은 이 말은 여러분 들으라고 하기 보다는 나 자신을 향해서 항시 말을 하고 있습니다.

그것이 어떻게 입 밖으로 울려 나가 가지고 여러분의 귀에 들려서 여러분에게 조금이라도 공부해 나가시는 데에 도움이 되신다면 이것은 뜻 밖에 공덕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이 법(法)에는 승속(僧俗)이 없고, 남녀가 없고, 노소가 없습니다.

이 자리에 모이신 여러 대중 스님네와 보살님네, 연세가 많다고 해서 양보를 하시지 말고, 여자라고 해서 양보를 하지 말고, 이제 금방 출가한 사미승(沙彌僧)이라고 해서 양보를 하지 말고,

각기 다 장부(丈夫)의 기상을 가지고 어서 속히 도를 이루어서 이 산승(山僧)을 제도해 주시기를 부탁을 합니다.

 

 

오늘은 해제날이요, 또 정월 대보름이 되어서 또 백일기도 회향이고, 그래서 우리의 선망부모(先亡父母) 천도 법요식(薦度法要式)이 있게 됩니다.

 

그리고 대광명 양정모 거사의 부친이신 정태진 영가의 특별 천도를 하게 됩니다.

그 천도재를 위해서 재자(齋者)가 여러 사부대중(四部大衆)께 대중공양(大衆供養)을 올리게 됩니다. 검소한 사중의 공양이지만 어쨌든지 한 분도 빠지시지 말고 점심 공양을 잘 하시고,

 

또 이 법요식에 어쨌든지 화두를 들고 작관을 해서 우리의 선망부모와 또 오늘 천도재를 올리는 이 정태진 영가, 여러 영가들이 오늘 해제를 기해서 무량억겁의 모든 업이 봄눈 녹듯이 다 녹고,

모든 인간 세상에 있어서의 애착과 미련을 깨끗이 다 끊어 버리고 그래 가지고 도솔천 내원궁이나 극락세계에 왕생(往生)하시게 되기를 간절히 축원을 합니다.

 

인간의 애착(愛着)—아내가 남편, 남편이 아내, 부모가 자식에 대해서, 자식이 부모에 대해서, 모두 애착으로 얽혀서 우리는 이렇게 몸을 받아 나고 또 이렇게 유전(流轉)을 하고 있습니다.

그 인간 세상에 애정이 없다면 참! 부모 자식도 아니요, 남남이 되고 말 것입니다. 그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것이면서 그것이 원인이 되어 가지고 또 생사유전(生死流轉)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소승(小乘)에 있어서는 목적이 태(胎) 속으로 안 들어가는 것을 구경(究竟)의 목적으로 삼습니다.

태중(胎中)으로만 들어가면 태어나게 되고, 태어나면 생노병사가 있어 가지고 생사윤회를 하게 되기 때문에 열반의 경계에 탁 머물러 있어 가지고 멸진정(滅盡定), 그 멸진정에 들어가 가지고 영원히 뱃속으로 안 들어가는 거여.

 

어머니 뱃속으로만 들어갔다 하면 태어나야 하고, 태어나면 또 병들어 늙어서 죽어야 하니까,

어쨌든지 한 생각도 일으키지 아니하고 완전 무심의 경계를 거쳐서 멸진정에 들어가 가지고는 탁 그 속에 잠겨 있으면 다시는 태 속에 들어갈 이유가 없거든. 이것은 소승의 경계로써,

 

부처님께서는 “차라리 무량겁을 생사윤회를 할지언정 소승심은 내지 말어라” 그러셨거든.

 

대승법, 최상승법은 생사(生死) 속에서 ‘생사가 본래 없는 도리’를 깨닫는 것이여.

생사를 피해 가지고 열반을 구할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중생의 눈에 생사로 보이는 이 생사 속에서 바로 생사 없는 도리를 요달(了達)해 버리는 거여.

 

그래서 사람이 되거나 짐승이 되거나, 지옥에 가거나 천당에 가거나, 일체처 일체시에 바로 그것이 해탈(解脫) 경계가 되도록 그러한 목표로 나아가는 것이고, 그러한 마음가짐으로 처음 공부 시작할 때부터서 벌써 사상 자체가 다른 것입니다.

 

피해 가지고 조용한 것을 구할려고 한 것이 아니라, 시끄러운 속에서 바로 ‘시끄러운 것 자체가 시끄러운 것이 아닌 도리’를 요달해 버리는 거여.

 

그 도리 요달하려는 방법이 바로 그 시끄러우면 시끄러운 속에서 화두를 탁! 들어 버리거든.

이렇게 모든 생각, 모든 경계, 모든 시간에서 그렇게 자기를 잡드리를 해 가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원수는 싸움으로써 끝나는 것이 아니다” 이렇게 말씀을 하셨습니다.(57분6초~73분36초)(끝)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삼아승지겁(三阿僧祇劫) ; 도저히 헤아릴 수 없는 긴 시간을 말한다.

아승지겁(阿僧祇劫)은 보살이 부처님이 되기 위해서 수행하는 아주 긴 시간. 이 수행의 기간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서‘삼아승지겁(三阿僧祇劫)’이라 한다.

*오십오위(五十五位) ; 처음 건혜지(乾慧地)를 지나 십신(十信)·십주(十住)·십행(十行)·십회향(十廻向)·사가행(四加行)·십지(十地)를 하나하나 거쳐서 올라가야 성불하게 된다는 말.

*점차(漸次) ; 시간이나 차례에 따라 조금씩.

*등각(等覺) ; ①등정각(等正覺), 금강심(金剛心), 일생보처(一生補處), 유상사(有上士). 보살의 지극한 지위이지만 지금부터 묘각(妙覺)의 불과(佛果)를 얻으려는 지위. 불과(佛果)를 얻을 수 있는 지위. 부처님의 깨달음과 거의 같은 깨달음이라는 뜻. ②부처의 다른 이름. 모든 부처님의 깨달음이 평등하다는 뜻. 평등각(平等覺).

*묘각(妙覺) ; ①부처님의 불가사의 무상(無上)의 깨달음. 절묘한 깨달음. 깨달음 그 자체. 구경각(究竟覺).

②보살이 십지(十地), 등각(等覺)의 수행을 마치고 마침내 부처님의 과위(果位)를 얻는 것. 스스로의 깨달음과 남을 깨닫게 하는 자각(自覺)과 각타(覺他)의 각행(覺行)이 원만하며 불가사의(不可思議)한 것을 말한다.

*삼성(三性) ; 모든 현상의 성질을 윤리적 측면에서 선(善), 악(惡), 무기(無記)로 나눈 것.

①선(善) ; 산스크리트어 kuśala 올바르고 청정하여 현재와 미래에 걸쳐 자신과 남에게 이익이 됨. 궁극적인 진리에 따름.

②악(惡) ; 산스크리트어 pāpa 올바르지도 청정하지도 않아 현재와 미래에 걸쳐 자신과 남에게 해가 됨. 궁극적인 진리에 따르지 않음.

③무기(無記) ; 산스크리트어 avyākṛta 선도 악도 아닌 것. 또는 그러한 마음 상태.

*단속(團束) ; ①주의를 기울여 다그쳐 보살핌. ②규칙, 법령, 명령 등을 어기지 않게 통제함.

*구백생멸(九百生滅) ; 9백번 생겨나고 멸하는 것. 이것은 1소찰나(一小刹那) 동안에 생멸하는 숫자를 나타낸 것이다.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에 (제2 관공품觀空品) '九十刹那爲一念 一念中一刹那經九百生滅' '90찰나가 한 생각[一念]이 되고, 한 생각 가운데 1찰나에 구백생멸이 지난다'
『인왕경소(仁王經疏) 상권(末)』에 (신라 때 원측圓測 지음) ‘以九十小刹那成一大念 一大念中一小刹那 復有九百生滅... 若生滅合論 卽有九百生滅 別論卽有一千八百’ ‘90소찰나(小刹那)는 1대념(大念)을 이루고, 1대념에 속하는 1소찰나에는 다시 9백생멸이 있다. ... 생멸을 합해서 논하면 9백생멸이 있는 것이고 따로 논하면 천팔백번의 변화가 있는 것이다’

*생멸심(生滅心) ; 변화 동요하여 그치지 않는 마음.

*업(業) ; (산스크리트어:karma카르마) ; ①몸과 입과 마음으로 짓는 행위와 말과 생각, 일체의 행위.

②행위와 말과 생각이 남기는 잠재력. 과보를 초래하는 잠재력.

③선악(善惡)의 행위에 따라 받는 고락(苦樂)의 과보(果報).

④좋지 않은 결과의 원인이 되는 악한 행위. 무명(無明)으로 일으키는 행위.

⑤어떠한 결과를 일으키는 원인이나 조건이 되는 작용. 과거에서 미래로 존속하는 세력.

*생사윤회(生死輪廻 날 생/죽을 사/바퀴 윤/빙빙돌 회) : 사람이 어리석음(無明)으로 인한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육도(三界六道)에서 났다가(生) 죽고(死) 났다가 죽는 것이 바퀴(輪)가 돌듯이(廻) 반복함. 육도윤회(六途輪廻).

*생사유전(生死流轉)중생 불교 근본 원리 통달하지 못하여 죽음  끝없이 되풀이하는 .

*전가(轉嫁 돌릴 전, 떠넘길 가) ; 잘못이나 책임 등을 남에게 떠넘겨 덮어씌움.

*삼륜공적(三輪空寂) ; 타인에게 물건을 줄때, 실체가 공(空)한 것을 관(觀)하여 보시에 집착하는 마음을 없애기 위해, ‘시자(施者 베푸는 사람) · 수자(受者 받는 사람) · 시물(施物 보시한 물건)의 3륜(輪)이 모두 본래 공(空)한 것이다’라고 생각하는 것을 말함. 삼륜체공(三輪體空), 삼륜청정(三輪淸淨)이라고도 함.

*무심(無心) ; ①아무런 생각이나 감정이 없음. ②세속적 욕망이나 가치 판단에서 벗어난 마음 상태.

*청정(清淨 맑을 청, 깨끗할 정) ; 허물이나 번뇌가 없이 깨끗함.

*숭악하다 ; ‘속이 응큼하다(겉으로 보이는 것과 달리 엉뚱한 욕심을 품고 있거나 음흉陰凶하다)’ ‘흉악凶惡하다(성격, 언행이 모질고 악랄하다)’의 사투리.

* 붙어 있는 땔나무 잡목 잔가지잡풀 따위  땔나무  통틀어 이르는 .

*(게송) 득지재심응재수~ ; [금강경오가해]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야부도천(冶父道川) 게송 참고.

*오경(五更) ; ①하룻밤을 초경(初更)에서 오경(五更)까지 다섯으로 나눈 시각을 아울러 이르는 말.
②하룻밤을 다섯 시기로 나누었을 때의 다섯째 부분. 새벽 3시부터 5시 사이이다.

*진신(眞身) ; 진리 그 자체, 또는 진리를 있는 그대로 드러낸 우주 그 자체를 뜻함. 법신(法身).

*법신불(法身佛) ; 절대적 지혜의 지고한 상태, 즉 진리 그 자체를 가리키는 부처님(佛).

 

 

 

 

 

 

------------------(2)

 

*의관(疑觀) ; 의심관(疑心觀). 화두를 거각하여 알 수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그 알 수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를 하는 것.

*성성적적(惺惺寂寂) ; 정신이 고요하면서도 깨끗하고 또록또록 한 상태.

*의단(疑團 의심할 의, 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독로(獨露 홀로·오로지 독, 드러날 로) ; 홀로(獨) 드러나다(露).

*순일무잡(純一無雜 순수할 순/하나 일/없을 무/섞일 잡) ; 대상 그 자체가 순일(純一)해 전혀 이질적인 잡것의 섞임(雜)이 없음(無).

*타성일편(打成一片) : 좌선할 때 자타(自他)의 대립이 끊어져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한 경계.

*타파(打破) ; 화두의 생명은 의심입니다.

그 화두(話頭)에 대한 의심(疑心)을 관조(觀照)해 나가는 것, 알 수 없는 그리고 꽉 맥힌 의심으로 그 화두를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모든 번뇌와 망상과 사량심이 거기에서 끊어지는 것이고,

계속 그 의심을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더 이상 그 의심이 간절할 수가 없고, 더 이상 의심이 커질 수 없고, 더 이상 깊을 수 없는 간절한 의심으로 내 가슴속이 가득 차고, 온 세계가 가득 차는 경지에 도달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 경지에 이르면 화두를 의식적으로 들지 않어도 저절로 들려져 있게 되는 것입니다.

밥을 먹을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똥을 눌 때에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차를 탈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이렇게 해서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들려진 단계. 심지어는 잠을 잘 때에는 꿈속에서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게끔 되는 것입니다.

 

이런 상태로 6, 7일이 지나면 어떠한 찰나(刹那)에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큰항아리에다가 물을 가뜩 담아놓고 그 항아리를 큰돌로 내려치면은 그 항아리가 바싹 깨지면서 물이 터져 나오듯이,

그렇게 화두를 타파(打破)하고, ‘참나’를 깨닫게 되고, 불교의 진리를 깨닫게 되고, 우주의 진리를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참선법 A’ 에서]

*두두물물(頭頭物物) ; 온갖 사물과 현상.

*가옹(家翁) ; 집안의 주인(主人). 주인공.

*의리(義理) ; 말이나 글로 해석하고 설명하는 것.

*사량분별(思量分別) : 사량복탁(思量卜度), 사량계교(思量計較)와 같은 말。 생각하고 헤아리고 점치고 따짐。 가지가지 사량분별(思量分別)로 사리(事理)를 따짐。 법화경 방편품(法華經方便品)에 「이 법은 사량분별로 능히 알 바가 아니다」라고 함.

*의리선(義理禪) ; 말이나 글로 해석하고 설명하는 선. 이런 의리선(義理禪)은 ‘사구참선(死句參禪)’이라,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해석하고 설명해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衆生心)이요 사량심(思量心)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거각(擧却 들 거, 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여법(如法 같을·같게 할·따를·좇을 여/ 부처님의 가르침·불도佛道 법) ; 부처님의 가르침에 맞음.

*참구(參究 헤아릴 참, 궁구할 구) ; ①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것. ②선지식의 지도 아래 참선하여 화두(공안)을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돈발(頓發 갑자기 돈/일어날•나타날•밝힐 발) ; 일정한 단계를 밟지 않고 직접적, 비약적으로 일어나는. [참고] 頓 - 直頓의 뜻, 곧바로.

*방(榜) ; 용상방(龍象榜)을 말함.

[참고] 용상방(龍象榜) ; 절에서 하안거 동안거 결제 때나, 큰일을 치를 때에 각자 할 일을 정해 붙이는 명단. 행사가 끝날 때까지 모든 사람이 잘 볼 수 있는 곳에 붙여서 각자가 맡은 일에 충실하도록 한 것이다.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벗.

*경책(警策 깨우칠 경, 채찍 책) ; 타이르고 채찍질하여 깨우치게 하는 것.

*퇴타(退墮 물러날 퇴, 떨어질·게으를 타) ; 어떤 경지로부터 물러나 되돌아 오는 것. 퇴전(退轉)이라고도 한다.

*신심(信心) : ①‘내가 바로 부처다’ 따라서 부처는 밖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요, 일체처 일체시에 언제나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주인공, 이 소소영령한 바로 이놈에 즉해서 화두를 거각함으로써 거기에서 자성불(自性佛)을 철견을 해야 한다는 믿음.

②‘올바르게 열심히 참선을 하면 나도 깨달을 수 있다’는 믿음. 진리에 대한 확신.

*분심(憤心) : 억울하고 원통하여 분한 마음.

과거에 모든 부처님과 도인들은 진즉 확철대오를 해서 중생 제도를 하고 계시는데, 나는 왜 여태까지 일대사를 해결 못하고 생사윤회를 하고 있는가. 내가 이래 가지고 어찌 방일하게 지낼 수 있겠는가.

속에서부터 넘쳐 흐르는 대분심이 있어야. 분심이 있어야 용기가 나는 것이다.

*체중현(體中玄) ; 임제 의현(臨濟義玄)선사가 학인을 제접하는 데 사용한 수단인 삼현(三玄-體中玄•句中玄•玄中玄)의 하나.

[참고] 선가귀감(용화선원 刊) p207, p212 에서.

[三玄]삼현

體中玄은  三世一念等이요  句中玄은  徑截言句等이요  玄中玄은  良久棒喝等이라

삼현 : 체 가운데 현(體中玄)은 삼세가 한 생각이라는 따위들이고, 구 가운데 현(句中玄)은 지름길 말들이며, 현 가운데 현(玄中玄)은 양구와 방망이와 할 같은 것들이다.

삼현(三玄) : 임제 의현(臨濟義玄)선사가 학인을 제접하는 데 사용한 수단이다.

체중현(體中玄)은 진공(眞空)의 이치를 보는 것이라 학인이 이 이치를 보았다 하더라도 신위(信位)를 여의지 못했으므로 자유의 분(分)이 없다.

구중현(句中玄)은 뜻길이 없는 말로써 그 말에 걸리거나 막히지 않고 도리를 바로 봄을 말함.

현중현(玄中玄), 사(事)에 걸림이 없는 묘유(妙有) 곧 현중현(玄中玄)의 도리를 보아야 인가(印可)를 하는 것이다. 현중현을 용중현(用中玄)이라고도 한다.

 

[참고] 송담스님 법문(No.466)—92년 보살 선방에서 하신 법문(92.02.02)에서.

구경의 깨달음이 아닌—공부해 나가다가 조금 느껴지는 그런 편안함이나 맑음이나 또는 시원함, 그런 소견이나 경계 그런 거, 구경의 깨달음이 아닌 중간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그런 경계에 ‘나도 한 소식 했다. 나도 깨달았다. 이것이 깨달음이 아닌가’하고 거기에 머물러 버리면 그 사람은 거기서 끝나는 거죠.

 

큰 깨달음을 얻지 못하고, 예를 들어서 저 지방에서 서울을 향해 가는데 대전이나 수원이나—시골 산중에 있던 사람이 거기에 나오면은 굉장하거든, 차도 많고 높은 건물도 많고 하니까 여기가 서울이구나! 하고 주저앉은 거나 마찬가지여. 서울을 향해서 가는 사람은 중간에 좀 볼만한 데가 도시가 있다고 해서 그것이 서울로 착각한 거나 마찬가지여.

 

서울로 가서 중앙청을 갈라면 중앙청까지 딱 가서 대통령을 만나든지 장관을 만나든지 해야지, 저 중간에 가 가지고 조금 높은 건물이 있다고 해서 그것을 갖다가 서울이라고 착각한다면 그거 되겠습니까? 그와 마찬가지입니다.

구경(究竟)의 깨달음이 아니면 확철대오해서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경지가 아니면 중간에 체중현(體中玄) 도리, 중간에 나타나는 보이는 그런 경계는 탁! 스스로 부정을 해 버리고 부인을 해 버리고 거기에 빠져서는 안 돼.

 

탁! 치워버리고 언제나 초학자와 같은 그런 심경으로 바른 자세와 바른 호흡법으로 자기의 본참공안만을 향해서 한결같이 정진을 다그쳐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법(法) ; (산스크리트) dharma, (팔리) dhamma의 한역(漢譯). ①진리. 진실의 이법(理法). ②선(善). 올바른 것. 공덕. ③부처님의 가르침. ④이법(理法)으로서의 연기(緣起)를 가리킴.

*승속(僧俗) ; 스님과 스님이 아닌 속인(俗人)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사미(沙彌) ; 산스크리트어 śrāmaṇera 팔리어 sāmaṇera의 음사. 근책(勤策)·구적(求寂)이라 번역. 출가하여 십계(十戒)를 받고, 구족계(具足戒)를 받아 비구(比丘)가 되기 전의 남자 수행자.

십계는 살생·도둑질·음행·거짓말·음주뿐만 아니라, 때가 아닌 때에 식사하는 것, 춤과 노래를 보고 듣는 것, 향수를 바르고 몸을 단장하는 것, 높고 큰 평상에 앉는 것, 금은 보물을 지니는 것 등을 금지하는 10가지이다.

*산승(山僧) ; 스님이 자신을 겸손하게 일컫는 말.

*장부(丈夫) ; ①참선하는 수행자. ②건장하고 씩씩한 사나이. ③불성(佛性)의 이치를 깨달은 사람.

*선망부모(先亡父母) ; 금생에 돌아가신 부모 뿐만 아니라 과거 우리의 모든 부모.

[참고] 1984년(갑자년) 칠석차례(No.243) 송담 스님 법문에서.

“선망부모는 저 사람의 선망부모가 곧 나의 선망부모와 같은 것입니다.

영가(靈駕)는 수천만 번 몸을 바꾸면서 나의 조상이 되었다, 김씨네 조상으로 태어났다가, 박씨네 조상으로 태어났다가, 이씨네 조상으로 태어났다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내 부모가 바로 저 사람의 부모고, 저 사람의 부모가 다 내 부모여서, 내 부모를 소중히 아는 사람은 바로 다른 노인들을 다 소중히 여기게 되고, 내 자식이 사랑스런 사람은 또 다른집 아기들도 아껴주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동체대비(同體大悲)라 하는 것입니다.”

*천도 법요식(薦度法要式) ;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생전에 지은 업(業)에 따라 다음 생을 받게 되는데,

유족들이 불보살(佛菩薩)을 모신 법당(法堂)에서 돌아가신 영가를 청해 모시고,

지극한 마음으로 불보살의 가피를 기원하고 또한 영가에게 ‘부처님의 가르침(法門)’을 들려줌으로써,

영가가 두려움에서 벗어나고 지혜의 눈을 밝혀 삶의 무상을 깨달아 이승에 대한 애착과 미련을 끊고,

보다 좋은 곳으로 더 나아가 육도윤회를 벗어나 극락왕생·해탈의 바른 길로 잘 건너가도록 하는 불교의식.

*재자(齋者) ; 절에 재(齋)를 올리거나 불공(佛供)하러 온 사람.

*사부대중(四部大衆) ; 불문(佛門)에 있는 네 가지 제자. 곧 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 우바새(優婆塞), 우바이(優婆夷)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참고] 우바새—upasaka의 음역. 속세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남자. 우바이—upasika의 음역. 속세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여자.

*대중공양(大衆供養) ; ①수행자에게 음식을 올리는 일. ②대중이 함께 식사하는 일.

*왕생(往生)죽어서 다른 세계에 가서 태어남. 이 세상에서 쌓은 공덕으로 죽어서 정토에 태어남. 염불한 공덕으로 죽어서 극락에 태어남.

*애착(愛着) ; 사랑하여 집착함. 애집(愛執).

*생사유전(生死流轉) ; 깨달음, 붓다의 지위에 도달하지 못한 중생이 무명, 번뇌에 의하여 생사 인과가 단절되지 않고 끊임없이 하나의 존재에서 다른 존재로 삼계육도(三界六道)를 계속해서 윤회하는 것. 윤회(輪廻)라고도 한다.

*구경(究竟 궁구할 구, 마칠•다할 경) ; 어떤 과정의 마지막이나 막다른 고비. 그 위에 더 없음. 최고의 경지. 궁극에 도달함.

*멸진정(滅盡定) ; ①마음[心]과 마음작용[心所]을 소멸[滅盡]시켜 무심(無心)의 상태에 머무르게 하는 선정.

②무소유처(無所有處)의 경지에 이른 성자(聖者)가 모든 마음 작용을 소멸시켜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 닦는 선정(禪定).

멸진정은 무색계의 4천 중 제3천인 무소유처(無所有處)의 번뇌를 이미 떠난 상태에서 닦는 선정이기 때문에, 그 경지가 거의 무여열반(無餘涅槃)의 적정(寂靜)에 비견된다.

멸정(滅定)·멸진등지(滅盡等至)·멸진삼매(滅盡三昧)·상수멸정(想受滅定)·멸수상정(滅受想定)이라 한다.

*요달(了達 마칠•완전히 료/통달할 달) ; 통달해 마침. 완전히 통달함.

*해탈(解脫) : [범] Vimoksa ; Vimukta ; mukti  [파] Vimokha ; Vimutta ; Vimutti  음을 따라 비목차(毘木叉) • 비목저(毘木底) • 목저(木底)라고 한다.

모든 번뇌의 속박을 끊어 버리고 온갖 고통에서 벗어난다는 뜻이므로, 도탈(度脫) 혹은 자유자재(自由自在)라고도 한다。또는 열반(涅槃)의 딴 이름으로도 쓰인다.

열반은 불교 구경(究竟)의 이상으로써 여러가지 속박에서 벗어난 상태이므로 곧 해탈이라고도 할 수 있다.

*잡드리 ; ‘잡도리’의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