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과 인연 비유2015. 1. 2. 10:41

 

 

§(406) (게송)시비일침몽~ / 자기반성, 참회, 용서, 이해, 화합 / 새해에는 마음보를 새로 갈아야 / (게송)몽중확득황금장~ / 오욕락 탐착이 마약 중독보다 더 무서운 것.

자기반성으로 참회로 용서로 이해로 해서 그런 다음에사 화합으로 들어가지 않고 즉각 화두(話頭) 하나만 딱! 들어버리면, 그 속에 반성과 참회와 용서와 이해가 다 그 숨 한번 내쉬고 화두 한번 드는 속에서 다 되어버린 것.
인생으로 태어나서 바르게 살고 행복하게 살고 이 무상(無常)한 몸뚱이로서 영원을 사는 길이 이 최상승법(最上乘法) 활구참선(活句參禪) 밖에는 없다.


불법을 믿고 최상승법을 믿고 참선을 하는 것도 대단히 중요하지만 불교신자는 인과법칙을 잘 이해를 해야 하고 인과의 원리를 깊이 믿어야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인과의 법칙을 나름대로는 모다 이해하고 계시지만 남의 문제를 볼 때에는 다 그렇게 말하면서, 정작 자기의 문제에 있어서는 인과의 법칙을 덮어두고 그걸 잘 이해를 못하시게 된다.


금생에 사람은 잠잘 때 꾸는 꿈만 허망한 줄 알았지, 이생에 태어나서 사람으로 태어나서 이렇게 사는 것도 그것도 사실은 틀림없는 꿈인 것인데, 그것이 꿈인 줄 아는 사람은 극소수에 지나지 못해.
참선을 해서 자꾸 수행을 쌓아서 우리의 팔식(八識) 속에, 잠재의식 속에 잠겨있는 선악(善惡) 종자(種子)가 다 승화(昇華)가 되어야 저절로 마음이 평등해지고 그냥 미운사람도 별로 없고 그냥 이쁜 사람도 없고 모두가 다 평등하게 수수하게 그런 마음이 되어지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406)—90년 1월 첫째일요법회 (용406)

 

(1) 약 20분.

(2) 약 16분.


(1)------------------

시비일침몽(是非一枕夢)이요  취산일시정(聚散一時情)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안분심휴헐(安分心休歇)하면  인간대장부(人間大丈夫)로다
나무~아미타불~

시비일침몽(是非一枕夢)이요  취산일시정(聚散一時情)이다.
옳다 그르다, 내가 옳고 네가 그르다, 이것이 옳고 저것이 그르다, 옳다 그르다 하고 시비(是非)를 하는 것은 하룻밤 한 벼개 꿈이여. 하룻밤 꿈에 지나지 못한 것이여.

세월이 지내 놓고 보면은 옳은 것이 그른 것이 되고, 글렀다고 생각한 것이 세월이 지내 놓고 보면 그것이 차라리 옳은 일이 되는 수가 있더라 그거거든.

취산일시정(聚散一時情)이여. 모았다가 흩어졌다 하는 거.
한 가정으로 한식구가 되어서 모았다가 또 생이별(生離別) 사이별(死離別)하는 것이나, 한 국민으로 태어났다가 다시 죽고 다시 내생에는 또 다른 나라에 태어나는 것이나,
이 당(黨) 저 당 당원이 되어가지고 어느 정도 지내다가 나중에는 또 다른 당으로 옮겨가고 그 당이 깨지고 하는 것이 전부가 한때의 정(情)이여.

안분심휴헐(安分心休歇)하면, 자기의 분(分)에 편안히 해서 만족을 해 가지고 마음에 헐떡거리는 생각을 쉬어버리면, 인간 가운데에서도 대장부더라.(人間大丈夫)

그 분(分)에 편안히 하들 못하고 욕심을 부리고 탐심을 내고 시비심을 내서,
그 이끗을 좇아서 다투고 싸우고 상대방을 누르고 해꼬자하고 그리고 자기가 더 큰 것을 차지하기 위해서 마음을 쉬지 못하면 시비는 점점 더 일어나고 더 깊어지고 원수는 깊어지고 해서 백만사(百萬事)가 되는 일이 없어.

그러니 안분(安分)해서 마음을 쉬어버리면 인간 가운데에서도 참다운 대장부가 될 것이다. 이런 고인(古人)의 시를 읊었습니다.


경오년, 불기(佛紀) 2534년, 서기(西紀)로는 1990년, 경오년을 맞이해서 1월 첫째일요법회가 되었습니다.

나라안도 화합(和合)을 해야 하고, 가정도 화합을 해야 하고 또 나아가서는 온 세계도 화합을 해야 할 그러한 시점에 이르렀습니다.
어떻게 하면 나라가 화합이 되고, 가정이 화합이 되고, 나아가서는 세계도 모다 화합을 해서 평화를 이룰 수가 있을 것인가?

첫째는 화합을 하기 위해서는 각자 자기반성(自己反省)을 해야 해. 자가반성(自家反省).
전부 잘못한 것은 상대방에다 전부 전가(轉嫁)를 시키고 자기만 옳다고 주장을 해. 이러한 마음을 가지고 있는 동안에는 화합은 이룰 수가 없어.

첫째 자기반성을 해야 하고, 반성을 해서 자기의 잘못을 참회(懺悔)를 해야 하고 그러면 자연히 상대방의 설사 잘못이 있다 하더라도 용서할 수 있는 아량(雅量)이 생기는 것이여.
또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그러면은 어찌 화합이 안될 수가 있어.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도 마찬가지고 가정내에 있어서의 가족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 자식은 부모를 원망하고 부모는 밤낮 자식 잘못했다고 나무라고. 부부간에도 역시 마찬가지여. 고부간(姑婦間)에도 역시 마찬가지다 그말이여.
또 사회에 나가서도 또는 직장에 나가서도 마찬가지여. 어떠한 기업체도 마찬가지. 노사관계도 그렇고 또 국가와 국가의 관계도 역시 마찬가지.

이러한 자가반성으로 참회로 용서로 이해로 해서 화합으로 나가는 길은 이것은 하근기들이, 하근기보다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과정을 거쳐야만 되는데,

상근기(上根機)는 그러한 반성으로 참회로 용서로 이해로 해서 그런 다음에사 화합으로 들어가지 않고 즉각 화두(話頭) 하나만 딱! 들어버리면,
터억 숨을 들어마셔 가지고 한참 머물렀다가 후~하고 숨을 내쉬면서 화두 한번만 딱 들어버리면 그 속에 반성과 참회와 용서와 이해가 다 그 숨 한번 내쉬고 화두 한번 드는 속에서 다 되어버린 거여.

그러니 화두 한번 들므로써 자기의 마음속이 깨끗해져버려. 그러니 반성할 것이 따로 무엇이 있으며 참회할 것이 따로 무엇이 있으며 용서하고 이해할 과정이 필요 없어.

금방 고대로 내 마음이 허공과 같이 되기 때문에 다 상대방이 하나도 미웁게 보이질 않아. 그러니 화합을 할려고 안 해도 내 마음이 허공과 같이 되어버리니까 금방 화합할 수 있는 만반의 준비가 다 되어버린 것이다.

방금 조실스님의 법문—참선, 활구참선. 인생으로 태어나서 바르게 살고 행복하게 살고 이 무상(無常)한 몸뚱이로서 영원을 사는 길이 이 최상승법(最上乘法) 활구참선(活句參禪) 밖에는 없다 이 말씀이야.


새해를 맞이했으니 여러분이 다 섣달그믐 안에는 모두 새해를 맞이하기 위해서 목욕을 하셨을 것이고 또 속옷부터서 전부 모다 새로 다 갈아입으시고 겉옷도 모다 갈아입으셨을 것이다.
달력도 묵은 달력은 치우고 새 달력을 걸으셨을 것이다. 그리고 또 떡국도 한 그릇 더 잡숫고 그리고 연세도 한 살이 첨가가 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진짜 마음보를 새로 갈아서 가져야 할 것인데, 내나 묵은 마음보 그놈을 고대로 간직한 채,
미운 사람은 고대로 미운 사람 남아 있고, 억울한 생각 고대로 속에다 담아 있고, 감정 고대로 담아 있고, 케케묵은 묵은 시비와 원한관계를 고대로 간직한 채, 껍데기만 씻고 닦고 갈아입었으니 그럴 수가 있겠습니까.

설사 옷은 헌옷일망정 깨끗이 씻어 입으면 그만이고 마음보를 첫째 새로 갈아 가져야겠다 이 말씀이여.
집단속만 잘하고 그 속에 사는 사람은 새롭게 하지 않고 집 겉껍데기로만 페인트만 잘 칠하고, 속은 방문을 열고 보면은 코를 두를 수가 없이 집안을 해 놓고 있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그래서 새해를 맞이해서 화합하고 좀 더 새롭게 발전을 할려면 우리 모두가 다 마음보를 고쳐야겠다 이것입니다.

옷은 갈아입을 수가 있고 돈만 있으면 얼마든지 비싸고 좋은 옷, 화려하고 아름다운 옷으로 갈아입을 수 있지만 마음보를 어떻게 해야 갈아 넣을 수가 있을까?
정신병원에 입원을 할까? 외과병원에 가서 염통을 갈아 넣을 수도 없는 것이고.

그 마음보 갈아 넣는다는 것은 말로는 할 수 있고 들을 수 있지만 어떻게 하면 그 마음보를 갈아 넣어서,
탁! 그 마음보를 갖다가 정말 관세음보살과 같은 부처님과 같은 마음보를 간직했으면, 천사와 같은 그러헌 마음보를 갈아 넣었으면 자기도 좋고 남도 좋고 할텐데,

어떻게 그 마음보를 새롭게 갈아 넣을까? 지금 그 문제를 가지고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병원에 가도 이것은 소용이 없습니다. 마음보는 돈도 필요가 없습니다. 수술도 필요가 없습니다. 시간도 그렇게 걸리는 것이 아닙니다. 힘도 들지 않습니다.

이 마음보 하나만 고쳐버리면—시어머니가 마음보를 고치면은 우선 자기가 좋고, 왜 좋으냐? 마음보를 고쳐 놓으면 우선 자기 마음이 편하고 즐겁고 좋다 그말이야.

마음보를 고약한 마음보를 가지고 있으면 남을 들볶지 않고는 심심해서 못 견디거든. 말 한마디를 하더라도 남의 오장을 확 찍어서 긁어 잡아당겨야 밥맛이 생기거든.
그러니 남의 마음을 쑤시고 긁어서 비틀어 잡아당겨 놓으면, 상대방 마음을 그렇게 괴롭게 하고 아프게 해 놓으니 그 사람이 나한테 좋은 얼굴을 하겠습니까. 그 사람이 나한테 잘해 줄 리가 없거든.

남을 물구덩이에다 집어넣을라면 먼저 자기가 들어가서 잡아당겨야하고, 남을 밑으로 넣을라면 그냥 그 사람이 들어가겠습니까.
물구덩이에 안 빠지기 위해서 밑으로 넣은 사람 팔이고 옷이고 붙잡지. 붙잡고 자빠지니 밑으로 넣은 사람도 같이 빠질 수 밖에는 없다 이 말씀이여.

그러니 상대방 보고 잘못했다고 밤낮 미워하고 성질을 낼 것이 아니라 자기 마음보부터 딱 고쳐버리면 상대방도 자기한테 아주 참 잘해 줄 것인데 어째서 그만한 것을 모를 것이냐 그말이여. 50, 60, 70이 넘어가면서 그만한 쉬운 이치를 몰라서야 되겠습니까.


또 그 동안에는 제가 이 법상에 올라와서 ‘부모에게 효도해야 한다’는 말을 무수하게 했습니다.
‘자식은 부모에게 효도하고 며느리는 시어머니께 잘하라’고 그것을 참 많이 주장을 했는데, 그 며느리 보고만 꼭 잘못했다고 할 것이 아니라, 부모 된 분이나 시어머니 된 분이나 시아버지 된 분, 노인들 어른들도 그 효도를 받을 수 있도록 효도를 받을 수 있는 그런 부모가 되어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언제나 이것은 상대적이기 때문에 좋은 자식, 효자, 효부(孝婦)를 두는 것도 전생에 자기가 효자, 효부를 둘 만한 복을 심고 공덕을 쌓아야 좋은 며느리, 좋은 자식을 두는 법이지, 자기가 그러한 복을 쌓지 않고 공덕을 쌓지 않고서 좋은 효자를 만나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전생에 내가 잘못해 가지고 누구에게 해를 끼쳐서 원한을 심어 놓으면 그놈이 그 심은 원한을 갚기 위해서 다 불효자식으로 태어나가지고 부모를 갖다가 애를 먹이는 것입니다.
남에게 잘해주고 은혜를 끼쳐 놓으면 은혜를 갚기 위해서 자식으로 태어나고 그 집의 며느리로 들어오면 부모가 별로 잘해준 것도 없으면서도 그렇게 부모에게 효자, 효부가 되는 것입니다.

자기가 지어서 자기가 받는 것인데, 그러한 인과(因果)의 법칙을 이해를 못하고 철저하게 믿지를 못하니까 밤낮 남의 탓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불법을 믿고 최상승법을 믿고 참선을 하는 것도 대단히 중요하지만 불교신자는 인과법칙을 잘 이해를 해야 하고 인과의 원리를 깊이 믿어야 되는 것입니다.

인과의 법칙을 잘 이해하고 믿으면 도대체 남을 원망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입니다. 그 원인이 전부 자기한테 있는 것을 아니까 자기의 잘못을 반성하고 참회하고,
그리고 염불을 하던지, 경을 독송을 하던지 또 참선을 하던지 이래가지고 자꾸 자기를 승화(昇華)를 시키면 자연히 전생의 원결(怨結)이 풀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자기 정화(淨化)를 하지 아니하고, 자기의 업(業)을 참회하지 아니하고, 자기의 죄업을 소멸시키지 않고 자꾸 상대방만 나무라고 상대방을 족쳐봤자 점점 원한만 더 깊어지고 해결할 길이 없는 것입니다.

새해에는, 인과의 법칙을 나름대로는 모다 이해하고 계시겠지만 남의 문제를 볼 때에는 다 그렇게 말하면서, 정작 자기의 문제에 있어서는 인과의 법칙을 덮어두고 그걸 잘 이해를 못하시게 되는 것입니다.(처음~19분54초)

 

 

 



(2)------------------

몽중확득황금장(夢中钁得黃金藏)하고  우과청란상보대(又跨靑鸞上寶臺)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진야희환무착처(盡夜喜歡無着處)타가  천명지락득장애(天明只落得場獃)로구나
나무~아미타불~

몽중확득황금장(夢中钁得黃金藏), 어떤 사람이 꿈속에서 황금의 보배, 황금의 뭉텅이를 얻었어.
그래 가지고 청란(靑鸞), 파란 청란새를 떠억 타고서 저 천상 옥경(玉京)에를 올라갔다 그말이야, 꿈에.

그래 가지고 그 청란새를 타고 옥경에 올라가서 하늘나라를 구경을 하니 기가 막히다 그말이야. 너무너무 좋아서 그 난봉새를 타고서 옥경을 이리저리 돌아댕겨.
도대체 앉을 곳이 없어. 어떻게 좋던지 내려앉지 않고 새를 타고 다니면서, 난새를 타고 다니면서 여기저기를 구경을 하다가 날이 새 가지고 밖에서 무슨 소리가 나니까 깜짝 놀라서 깨보니 뚝 떨어졌다 그말이여.

그 금은보화 그 좋은 보배로 좋은 옷을 입고 목에다가 머리에다가 팔에다가 모다 그 찬란한 목걸이와 팔걸이·반지·귀걸이 모다 한 것도 간 곳이 없고 그 고운 난봉새도 간 곳이 없고, 자기 방바닥에 누워있다 그말이여.

꿈을 깨고 보니 그 꿈을 좀 더 오래 꿀 것을 일찍 깼다고 아무리 후회를 한들, 꿈을 깨버리니 허망하기가 말로 할 수 없다 그말이야.
밖에서 떠든 사람보고 떠들었다고 혼구녕을 내니 그런 어리석은 사람이 어디가 있느냐 그말이여. 낮에까지 꿈꾼다고 해서 소용 있습니까? 언젠가는 깨고 말텐데.

이승에 와서 부자가 되고, 또는 높은 벼슬을 하고, 또 명예와 권리를 한몸에 지고, 마음먹은 대로 천하를 호령을 하고 휘둘러 봤던들 자기가 지은 복만큼 다 받아 버리면 꿈 다 꾸고 난 뒤와 마찬가지여. 다 가고만 마는 것이여.

금생에 사람은 잠잘 때 꾸는 꿈만 허망한 줄 알았지,
이생에 태어나서 사람으로 태어나서 이렇게 사는 것도 그것도 사실은 틀림없는 꿈인 것인데, 그것이 꿈인 줄 아는 사람은 극소수에 지나지 못해.

살다가 죽을 때 가서 겨우 ‘아! 인생이라는 것은 꿈이었구나’ 그때 가서도 알면 다행인데 그때 가서도 몰라요.

‘아이고! 내 재산을 어느 놈이 먹을란가’ 그래 가지고 죽으면서도 문서를 손에다 쥐고 죽는다 그말이여. 그 가봤자 소용 있겠습니까? 가지고 가봤자?
죽으면서도 꿈인 줄을 모르고 계속 그 애착과 집착, 탐욕심을 끌어안고 죽게 되는 것입니다.

확실히 이 인간 세상에 흥망성쇠(興亡盛衰)가 그것이 꿈이라는 것을 분명히 안다면 그러한 탐진치(貪瞋癡) 삼독(三毒)으로부터 수월하게 벗어날 수가 있을 것입니다.
그것이 꿈인 줄만 안다면 이쁜 사람을 봐도 그것이 꿈인 줄 아니 집착할 것이 없고, 미운 사람을 만나되 그것이 확실히 꿈에 만난 줄 안다면 그렇게까지 미워할 것도 없을 것입니다.

다 미운 사람이나 이쁜 사람이나 그저 무심한 마음으로, 평등한 마음으로 상대하면 참선도 훨씬 더 잘 될 것이고, 참선을 또 열심히 하면 자연히 그런 평등한 마음이 되는 것입니다.


이론으로 아는 것과 실지로 분명하게 깨닫는 것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지금 산승이 이렇게 말씀드린 것을 다 알고 계실 것입니다. 그러나 실생활에 있어서는 그것이 잘 ‘그렇게 안 하리라’해도 딱 되어지거든.

참선을 해서 자꾸 수행을 쌓아서 우리의 팔식(八識) 속에, 잠재의식 속에 잠겨있는 선악(善惡) 종자(種子)가 다 승화(昇華)가 되어야 저절로 마음이 평등해지고 그냥 미운 사람도 별로 없고 그냥 이쁜 사람도 없고 모두가 다 평등하게 수수하게 그런 마음이 되어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활구참선, 참선이라 하는 것이 그렇게 좋은 것입니다.

설사 확철대오를 못해도 여법(如法)하게 그리고 열심히만 하면 일년 이태 삼년 하다 보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그 고약한 성격도 많이 순화가 되고 집착심(執着心)도 담박(淡泊)해지고, 탐착심(貪着心)도 담박해지고 흥망성쇠에 그저 그런대로 다 큰 충격 받지 않고 다 적절히 처신을 해 나갈 수가 있게 되는 것입니다.

워낙 무량겁으로부터 오면서 그러한 탐진치로써 살림을 해 왔기 때문에 워낙 깊이 그 뿌리가 박혔어. 그래서 알면서도 그것이 잘 안되는데.

요새 온 세계가 마약(痲藥)을 가까이 해 가지고 마약에 중독(中毒)된 사람이 나날이 불어나고 있는데, 그 마약이라고 하는 것이 꼭 무슨 아편이나 또는 뭐 대마초 그런 것만이 마약이 아니고, 술이나 담배 그런 입을 통해서 마시고 먹는 그런 것만이 마약이 아니고,
명예나 권리 또 오욕락(五欲樂) 그런 것에 탐착하는 거, ‘그것이라야만 되겠다. 그것만을 얻어야 내가 정말 행복하게 살겠다’고 이렇게 오욕락에 탐착하는 것도 역시—그놈의 탐착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마약에 중독된 것보다도 훨씬 더 무서운 것이다.

요새는 물질문명이 모다 끝없이 자꾸 발달되어 가서 사람이 무척 살기에 편리하게 되었으나, 마음보를 바로잡지 못하면 그런 물질문명을 갖다가 올바르게 사용을 못하고 결국은 남을 해롭게 하고 세계를 멸망케 하고, 자기까지 멸망케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첫째 우리의 심성을 순화시키고 자아(自我)를 자각해서—자아라고 하는 것은 나의 불성(佛性)이거든.
그 불성을 갖다가 깨달으면 다른 사람에게도 다 불성이 있어.

악한 사람에게도 불성이 있고 선한 사람에게도 불성이 똑같은—부처님과 똑같은 불성을 모든 사람이나, 모든 동물이나, 모든 생물이 다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아를 자각(自覺)하는 수행을 쌓은 사람은 모든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는 불성도 소중하게 생각할 수가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남을 갖다가 미워할 수도 없고, 다른 사람의 생명을 함부로 할 수가 없고 해꼬자할 수가 없는 것이여.
그러니 자기의 생명도 소중하듯이 다른 사람의 생명도 소중하게 볼 수가 있게 되기 때문에 모든 사람을 이해하고 용서하고 다른 사람을 다 자비(慈悲)로서 상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한 심성(心性)이 된 사람이 어찌 마약을 피울 수가 있게 되겠습니까? 마약은 당장 육체적인 자기를 멸망시키고 나아가서는 자기의 정신까지 아주 못쓰게 만드는 것인데 어찌 마약 같은 것을 함부로 가까이 하겠습니까.

보통 마약은 도저히 견딜 수가 없을 만큼 마음이 괴로우니까—어떤 것에 대한 압박, 구속, 피해의식 그런 것으로 해서 자기 자신을 도저히 수습할 수 없을 만큼 괴로우니까, 잠시라도 그런 데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 그런 것을 한 번 맞고 두 번 하다가 세 번, 네 번하면 벌써 안 하고는 못 배기게 된다 그말이여.

그런 사람 입장에서 보면 얼마나 괴롭고 곧 미쳐서 죽을 거 같으니까 그걸 안 하고는 못 배기고, ‘그걸 하면 좋다’고 그런 말하는 나쁜 친구를 사귀어 가지고 ‘한번 해 보라’고, ‘그러면 괜찮다’고.
처음에는 담배를 좀 피워보고 그것으로 안되면 술도 좀 먹어보고, 처음에는 술을 한잔 먹어 놓으면 그럭저럭 괜찮다가 나중에는 술 갖고도 안되니까 또 마약을 가까이 하게 된다 그말이여.

불법을 믿고, 이 최상승법을 믿고 단전호흡과 화두를 거각(擧却)하므로 해서, 자기의 중심을 잡아나가고 자기를 승화시켜 나갈 수 있는 법을 알고 믿고 실천하는 사람이야 아무리 괴롭기로서니 그런 것을 가까이해 가지고 그런 환자가 되겠습니까.

그래서 이만큼 건강하고 이만큼 자기를 유지해 나갔을 때, 그럴 때에 정법을 믿고 참선을 해서 힘을 얻어 놓으면 아무리 어려운 환경에 처해진다 하더라도 능히 다 적응 할 수 있고 다 극복해 나갈 수가 있는 것입니다.(19분55초~35분27초)

 

 

 

 



------------------(1)

*(게송) ‘시비일침몽~’ ; [청허당집(清虛堂集)] (서산휴정 著,朴敬勛 역, 동국대학교 역경원) p48 ‘준선자(俊禪子)에게’, p47 ‘감흥(感興)’ 게송 참고. *枕(침)베개. 말뚝. *歇(헐)쉬다. 그치다.
*벼개 ; 베개(잠을 자거나 누울 때에 머리 밑에 괴는 물건)의 사투리.
*생이별(生離別) ; 혈육이나 부부가 어쩔 수 없는 사정으로 만날 기약 없이 헤어짐.
*분(分) : 분수(分數-자기 신분에 맞는 한도. 자기의 신분이나 처지에 알맞은 한도).
*이끗(利끗) ; ①이익이 되는 실마리. ②잇끝(말리 末利)—지말(枝末), 지엽(枝葉)적인 이익. 작은 이익.
*해꼬자 ; 해꼬지. 해코지(害코지)—남을 해치고자 하는 짓.
*대장부(大丈夫) ; ①건장하고 씩씩한 사나이. ②불성(佛性)의 이치를 깨달은 사람.
*백만사(百萬事) ; 모든 일.
*안분하다(安分--) ; (사람이)편안한 마음으로 자기의 분수를 지키다.
*고인(古人) ; 옛날 사람. 옛날 선승(禪僧).
*화합(和合) ; 서로 간에 마음이나 뜻을 모아 화목하게 어울림.
*모다 ; ‘모두, 전부’의 옛말.
*자기반성(自己反省) ; 자기의 언행에 대해 스스로 돌이켜 봄.
*전가(轉嫁 돌릴 전, 떠넘길 가) ; 잘못이나 책임 등을 남에게 떠넘겨 덮어씌움.
*참회(懺悔 뉘우칠 참,뉘우칠 회) ; ①자기의 잘못에 대하여 깨닫고 깊이 뉘우치며, 다시는 같은 잘못을 짓지 않겠다고 결심함. ②신이나 부처님 또는 대중 앞에서 자기의 죄를 뉘우치고 용서를 구함.
[참고] [선가귀감] (용화선원刊) p156~157 참고.
(70)有罪則懺悔하고  發業則慚愧하면  有丈夫氣象이요,  又改過自新하면  罪隨心滅이니라.


허물이 있거든(有罪) 곧 참회하고, 잘못한 일이 있으면(發業) 곧 부끄러워할 줄 알면(慚愧) 대장부의 기상이 있다 할 것이요, 또한 허물을 고쳐 스스로 새롭게 하면(改過自新), 그 죄업은 마음을 따라 없어지느니라(罪隨心滅).


(註解) 懺悔者는  懺其前愆이요  悔其後過라.  慚愧者는  慚責於內하고  愧發於外라.  然이나 心本空寂이라  罪業이  無寄니라


참회(懺悔)란 먼저 지은 허물을 뉘우치고, 뒷날에는 다시 짓지 않겠다고 맹세하는 것이다. 부끄러워한다(慚愧)는 것은 안으로 자신을 꾸짖고, 밖으로는 자기의 허물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은 본래 비어 고요한 것이라(心本空寂), 죄업이 붙어 있을 곳이 없는 것이다(罪業無寄).
*아량(雅量 우아할 아,헤아릴 양) ; 깊고 너그러운 마음씨.
*상근기(上根機 위 상,뿌리 근,베틀 기) ;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들일 수 있는 소질이 매우 뛰어난 사람.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섣달그믐 ; 음력으로 한 해의 마지막 날.
*마음보 ; 마음을 쓰는 속 바탕.
*내나 ; 결국에 가서는.
*효부(孝婦) ; 시부모를 섬기는 정성이 지극한 며느리.
*인과(因果) : 무엇이나 원인 없는 결과가 없고 결과 없는 원인이 없다。콩 심은데 콩이 나고, 팥 심은 데 팥이 나서, 이 세상의 온갖 일과 모든 물건이 반드시 인과의 법칙 대로 되어 가는 것이다.
사람의 일도 착한 일을 하면 복을 받고, 악한 짓을 하면 재앙을 받아서 길(吉) • 흉(凶) • 화(禍) • 복(福)이 하나도 우연한 것이 없다。그러나 그 보응(報應)의 나타남이 원인을 짓는 그 즉시로 곧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사람의 환경이 복잡하고, 마음 쓰는 것이 또한 한결같지 않기 때문에 무거운 쪽부터 먼저 실현되어, 짓는 그 당장에 받게 되는 순현보(順現報)와, 짓는 그 즉시에 받지 않고 그 다음 시기에 받는 순생보(順生報)와, 받기는 반드시 받되 언제 받게 될지 일정하지 않은 순후보(順後報)가 있다.
이 세 가지 과보(果報)는 금생(今生) 안에 실현되기도 하고, 여러 생(多生)을 통하여 되기도 한다。그러므로 착한 사람이 빈천하거나, 악한 사람이 잘되는 것은 일시적인 현상일 따름이다.
*승화(昇華) ; 어떤 현상이 한 단계 더 높은 영역으로 발전함.
*원결(怨結 원망할 원,맺을·번뇌 결) ; 원망(怨望)의 마음이 얽혀 풀리지 않는 것을 말함.

 

 

 



------------------(2)

*(게송) ‘몽중확득황금장~’ ; ; [신심명(信心銘)-벽의해(闢義解)]-중봉명본 선사(中峰明本禪師) (명정 역주, 극락선원,2014) p114 참고. *(頻伽藏本)天目中峰和尚廣錄 卷第十二之上 信心銘闢義解上 게송 참고.
*난(鸞 난새 란[난]) ; 난새. 난조(鸞鳥). 중국 전설에 나오는 상상의 새. 모양은 닭과 비슷하나 깃은 붉은빛에 다섯 가지 색채가 섞여 있으며, 소리는 오음(五音)과 같다고 한다.
*옥경(玉京) ; 하늘 위에 옥황상제가 산다고 하는 가상적인 서울.
*한몸 ; 주로 ‘한몸에’의 꼴로 쓰여, '있는 대로 모두'를 이르는 말.
*흥망성쇠(興亡盛衰) ; 흥하고 망함과 성하고 쇠함. 곧 어떤 사물·현상이 생겨나서 소멸하는 전 과정을 이르는 말이다.
*탐(貪) ; 자기의 뜻에 잘 맞는 사물에 집착하는 번뇌이다. 육번뇌[六煩惱-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의 여섯 가지 근본 번뇌]의 하나.
*진(瞋) ; 자기의 마음에 맞지 않는 것에 대하여 분하게 여겨 몸과 마음이 편안하지 못하게 되는 번뇌이다. 육번뇌[六煩惱-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의 여섯 가지 근본 번뇌]의 하나.
*치(癡) ; 현상이나 사물의 도리를 이해하지 못하여 올바른 판단을 하지 못하는 번뇌를 이른다. 육번뇌[六煩惱-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의 여섯 가지 근본 번뇌]의 하나.
*삼독(三毒) ; 사람의 착한 마음(善根)을 해치는 세 가지 번뇌. 욕심·성냄·어리석음(貪瞋癡) 따위를 독(毒)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팔식(八識) ; 유식설(唯識說)에서 분류한 8가지 마음 작용.
인간의 모든 마음 활동을 8가지로 분류한 것이 8식(八識)이다. 곧,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말나식(末那識)·아뢰야식(阿賴耶識). 8식(八識) 가운데 앞의 5가지 식(識), 곧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 신식(身識)을 전5식(前五識)이라 하고, 그리고 第六 意識(제6의식), 第七 末那識(제7말나식), 第八 阿賴耶識(제8아뢰야식)이라 한다.
*여법(如法 같을·같게 할·따를·좇을 여, 부처님의 가르침·불도佛道 법) ; 부처님의 가르침에 맞음.
*집착심(執着心) ; 허망한 분별로써 어떤 것에 마음이 사로잡혀 헤어나지 못함. 그릇된 분별로써 어떤 것을 탐내어 그것에서 벗어나지 못함.
*담박하다(淡泊--, 澹泊--) ; ①(사람이)욕심이 없고 순박하다. ②(음식맛이)깔끔하고 느끼하지 않다. ③(치장이)연하고 산뜻하다.
*탐착심(貪着心) ; 만족할 줄 모르고 사물에 더욱 집착함.
*마약(痲藥 마비 마,약 약) ; 강한 진정 작용과 마취 작용을 지니고 있으며 습관성이 있어 오래 사용하면 중독이 되는물질. 아편(阿片)ㆍ모르핀ㆍ코카인ㆍ헤로인ㆍ코데인ㆍ페티딘ㆍ메타돈ㆍ엘에스디(LSD) 따위가 있으며, 의료에 사용하지만 남용하면 심각한 부작용이 있어 취급 및 사용을 법률로 규제하고 있다.
*오욕락(五欲, 五慾, 五欲樂) ; ①중생의 참된 마음을 더럽히는—색,소리,향기,맛,감촉(色聲香味觸)에 대한—감관적 욕망. 또는 그것을 향락(享樂)하는 것. 총괄하여 세속적인 인간의 욕망.
②불도를 닦는 데 장애가 되는 다섯 가지 욕심. 재물(財物), 색사(色事), 음식(飮食), 명예(名譽), 수면(睡眠).
*불성(佛性) : 부처를 이룰 수 있는 심성(心性)으로 사람사람에게 본래 갖춰져 있는 자성(自性)을 말함。불타나 중생이나 심지어 꿈적거리는 미물(微物)에 이르기까지 그 자성에 있어서는 차등이 없다.
*자비(慈悲) : [범] maitri  자비는 사랑하는 것과 불쌍히 여기는 것인데, 네 가지 끝없는 마음(四無量心) 가운데 두 가지이다.
모든 중생에게 실제로 즐거움을 주는 것을 「자(慈)」라 하고(慈能與樂), 중생의 고통을 실제로 덜어 주며 근본적으로 그 근심 걱정과 슬픔의 뿌리를 뽑아 내어 주는 것을 「비(悲)」라고 한다(悲能拔苦).
*배기다 ; ①(사람이)끝까지 참고 견디다. ②(사람이 힘든 일을)끝까지 참고 견디다.
*거각(擧却 들 거,어조사 각) 화두를 든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