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공안)2015. 1. 3. 14:58

§(406) 쥐 법문(法門)—'화두'라고 하는 쥐 / 용궁(龍宮) 스님 / (게송)탐착몽중일립미~ / (게송)석화광음주~ / 참선 해서 무량겁 생사윤회의 쇠사슬로부터서 벗어나야.

끊임없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우리의 무명(無明)·업식(業識)·번뇌·망상을 쥐에다가 비유를 한 것입니다. 그 끝없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그 번뇌와 망상을 ‘화두(話頭)’라고 하는 쥐를 시켜서 그놈을 다 잡아먹게 만드는 것입니다.


앞으로 어떠한 불보살(佛菩薩)이 나타나셔서 더 좋은 방법을 설하시게 될런지는 모르지만 아직까지는 이 활구참선법만큼 훌륭한 깨달음의 길은 없습니다.


참선을 안 하는 사람은 아미타불 불러야죠. 마지막 숨 거둘 때까지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부르지만, 활구참선을 한 최상승법을 믿는 사람은 마지막 죽을 때도 ‘이뭣고?’하면서 숨을 딱 거두도록 이렇게 해야 돼.


인생 일생사가 비록 지수화풍(地水火風)으로 뭉쳐진 하루살이 인생이지만 정법을 믿고 최상승법에 의해서 활구참선하신다면 정말 소중한 뭄뚱이고 이승에 사람 몸 받은 것이 얼마나 다행스런 일인지 모릅니다. 왜 그러냐? 무량겁 생사윤회(生死輪廻)의 쇠사슬로부터서 벗어나서 영원을 살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송담스님(No.406)—90년 1월 첫째일요법회 (용406)

 

(1) 약 15분.

(2) 약 13분.


(1)------------------

어떤 사람이 집에 어떻게 쥐가 들끓어서, 그 고양이를 갖다 놔봐도 몇 마리는 축(縮)지지만은 아주 잡을 수가 없고 또 쥐약을 갖다 놓으니까 집에서 키우는 개가 여러 마리 죽고,
도대체 그것 가지고도 안되고 그럴수록에 쥐는 점점 더 무성해져 가지고는 마을에 있는 쥐가 다 모여들고 산에 있는 쥐, 들에 있는 쥐까지 더 모여든다 그말이야.

파리도 파리채나 약으로 자꾸 잡아 싸면 몇 마리는 축지지만은 점점 더 모여든 것입니다.
잡아서 죽여가지고 그런 것을 해결하기보다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해 가지고 꾀를 냈습니다.

쥐를 잡아다가—쥐덫으로 쥐를 생포해 가지고 꽁댕이를 짤라 버리고는 그 쥐를 독에다 담아 넣고는 굶겼습니다. 굶겨가니까 이놈이 배가 고파서 못 견딘다 그말이야.

그래서 정 못 견뎌하면은 쥐를 잡아가지고는 쥐 고기를 쪼금씩 떼어서 먹였습니다. 그러니까 배고파서 못 견디는 놈이 쥐 고기를 먹더니 차츰차츰 생기가 나.
그래 가지고 나중에는 조금씩 더 주고 더 주고 해 가지고 완전히 쥐에게 쥐 고기를 먹여가지고 아주 뚱실뚱실하니 아주 건강하게 되었다 그말이야.

그래서 나중에는 산 쥐를 넣으니까 벌써 쥐 고기에 맛들인 놈이라 산 쥐를 탁! 잡아서 그놈을 잡아먹었다 그말이야. 매일 한 마리씩 잡아 넣으면 쥐 고기만 먹고도 아주 잘 살게 되었어.

그런 다음에 그 쥐를 풀어놨습니다. 풀어놓으니까 쥐구멍으로 맘대로 드나들면서 집안에 있는 쥐를 다 잡아먹었다 그말이야. 처음에는 새끼 어린 놈을 모다 다 줏어 먹더니 나중에는 큰 놈도 다 잡아먹어버려.

고양이를 놓으니까 어쩌다 겉으로 나돌아다니는 놈은 잡아먹지만은 쥐구멍 속에 딱 들어가 버리면 못 잡아먹는 데, 쥐를 시켜서 쥐를 잡게 하니까 맘대로 쥐구멍으로 다니면서 쏵 다 잡아먹었다 그말이야.

그전에는 마을 쥐, 들쥐 모다 오더니 그놈들도 신문이 있는지, 그 집에 갔다가는 뼈다구도 못 추린다 해가지고 인자 그 집에는 얼씬도 쥐가 안 와.

행여나 여러분 이 말씀을 듣고 쥐 잡아서 쥐 잡을 생각을 마십시오. 이건 쥐 잡으라고 하는 말씀이 아니고.


우리는 끊임없이 번뇌(煩惱)와 망상(妄想)이 일어납니다.
눈으로 보면 망상이 일어나고, 귀로 들어도 망상이 일어나고 또 가만히 앉았어도 망상이 일어나고, 일어나는 생각—좋은 생각이 일어나면은 좋은 생각, 나쁜 생각이 일어나면은 나쁜 생각으로 인해서 나쁜 죄를 또 짓게 되고,

희로애락, 흥망성쇠, 가지가지 생각이 일어나고 말로서 나타나고, 얼굴로서 나타나고, 행동으로서 나타나고 해가지고 업(業)을 지어서 그래가지고 무량겁 생사윤회(生死輪廻)를 하게 되는데,
그 끊임없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우리의 무명(無明)·업식(業識)·번뇌·망상을 쥐에다가 비유를 한 것입니다.

그 끝없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그 번뇌와 망상을 ‘화두(話頭)’라고 하는 쥐를 시켜서 그놈을 다 잡아먹게 만드는 것입니다.


화두는 공안(公案)인데 공안은 불덩어리와 같아서 중생이 사량분별(思量分別)로 따질 수가 없어. 거기에 접근해 가지고 뭐라고 따질려고 생각하면 벌써 그 불에 타죽는 것이여.
그래서 사량분별로 화두는 따지면 안 돼. 그건 깨닫기 커녕은 생명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야.

그 화두를 올바른 방법으로 잘 거각(擧却)을 하면 끝없이 일어나는 온갖 번뇌와 망상을 그놈으로 다 잡아먹을 수가 있는 것이야.
쥐를 잘 훈련을 시켜가지고 온 쥐를 다 잡아먹은 다음에 그 쥐 한 마리만 딱 없애버리면은 쥐는 아주 멸종이 될 것이다 그말이야.

화두 하나를 타 가지고 그 화두를 참구(參究)를 거각을 해서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해서 순일무잡(純一無雜)하게 잡드리를 해 나가는데,
더이상 의심이 간절(懇切)할 수가 없고 더이상 의심이 커질 수가 없을 지경에 이르러서,

산을 봐도 화두요, 들을 봐도 화두요, 사람을 봐도 화두요, 귀로 새소리를 들어도 화두요, 물소리를 들어도 화두요, 칭찬하는 소리를 들어도 화두요, 나에게 욕을 하는 소리를 들어도 화두요, 밥을 먹어도 화두요, 똥을 눠도 화두요,
일체처 일체시에 화두만을 거각해서 무슨 생각이 일어나더라도 즉각 화두로서 떠억 의단을 거각을 한다.

이 화두 앞에는 도무지 천하 없는 망상도 번뇌도 얼씬거리지를 못해. 얼씬거렸다면 화두를 딱 들어버리면 탁 잡아먹어버려.

처음에는 잘 안돼. ‘이뭣고?’해도, ‘이뭣고?’하는 속에도 저 속에서는 할 생각 다 하거든.
‘이뭣고?’하면서도 집안 생각 다 하고, 미국에 가 있는 아들 생각 다 하는데, 그래도 자꾸 하고 하고 또 하고 하면 언젠가는 할라고 안 해도 의단이 저절로 성성(惺惺)하게 들릴 때가 오고 마는 것이여.

더이상 간절할 수 없을 만큼 간절하고 더이상 성성할 수 없을 만큼 성성해질 때, 어느 찰나에 그놈이 탁! 터지게 된다 그말이야. 통 밑구녁 빠지듯이 턱 터지게 돼. 그게 확철대오(廓徹大悟)거든.

다른 공안도 환하거든.
이렇게 되면 선지식(善知識)을 찾아가서 자기의 그 깨달은 바가 바른가 그른가에 대한 점검을 받아야 되고,
그 점검을 받은 다음에는 공안을 타파한 뒤에 어떻게 정진해 가야 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지시를 받아야 하는 것이다.

이 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이—‘그래, 화두를 드는 것은 망상 없애기 위해서 방편으로 그런 것이지, 뭐 깨달음이 있기는 무슨 깨달음이 있어. 절대로 그렇지 않아’
이것은 조사(祖師)들이 몸으로서 실지로서 우리에게 그 증거를 보여주신 것인데 어찌 이것이 거짓말일까보냐.

앞으로 어떠한 불보살(佛菩薩)이 나타나셔서 더 좋은 방법을 설하시게 될런지는 모르지만 아직까지는 이 활구참선법만큼 훌륭한 깨달음의 길은 없습니다.


망상이 일어날수록에 그 망상을 버릴려고 하고 없앨려고 하고 쫓아낼려고 하지 말고 화두만 딱 거각하면 그만이야.
쥐가 나타나면 그놈 쫓아낼라고 하지 말고 그 독에서 키운 그 쥐만 갖다가 그리 풀어 놔버리면 그만이야. 어디로 도망갈 것이냐 그말이야. 도망갈 곳이 없거든.

고양이가 쫓으면 쥐구멍으로 들어가지만 쥐를 내보내는데야 도망갈 곳이 없어. 지붕으로 올라가면 이놈도 올라갈 것이고 땅속으로 들어가면 이놈도 들어갈 것이고, 갈 곳이 없거든. 화두만 딱! 거각해 버리면.

부애가 나도 ‘이뭣고?’요, 슬퍼도 ‘이뭣고?’요, 억울해도 ‘이뭣고?’요, 몸이 아파도 ‘이뭣고?’요,
마지막 숨을 거두게 될 때에도 다른 거 생각할 거 없어, 아미타불 생각할 거 없어. ‘이뭣고?’

‘이뭣고?’ 참선을 안 하는 사람은 아미타불(阿彌陀佛) 불러야죠. 마지막 숨 거둘 때까지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부르지만,
활구참선을 한 최상승법을 믿는 사람은 마지막 죽을 때도 ‘이뭣고?’하면서 숨을 딱 거두도록 이렇게 해야 돼.


내가 아는 어떤 노보살님은 그 ‘이뭣고?’하고 가는데 차가 뒤집어졌어. 버스가 뒤집어졌는데 많은 사람이 죽고 다쳤는데 그분은 아무데도 다치지도 않았어.

또 내가 아는 어느 비구니 스님은 화두를 들고 떠억 가는데, 저기 청평 큰 호숫가를 지내다가 버스가 호수로 빠져가지고 그 안에 탄 사람이 몰사(沒死)했습니다.
수십 명이 다 죽었는데, 그 화두를 들고 간 그 비구니 스님은 ‘이뭣고?’를 물에 빠져서도 고대로 ‘이뭣고?’를 하고 있는데 환하니 보여서 그 열려진 문으로 기어나왔다 그말이여.

기어나와 가지고 허부적허부적 헤엄을 치면서 이렇게 나오는데, 다른 사람들은 안 보이고 이제 돌 돌아간 어린 아기가 물위에 떠가지고 허우적허우적하고 있어서 그 어린아이를 끌어안고 나왔습니다.
그래서 어린 아이, 애기 하나하고 그 비구니 스님 하나만 살았어.

그래서 그 애기를 갖다가 수양아들을 삼아가지고 그 애가 커서 지금 학교 잘 다니고 있고 한데, 그래서 그 비구니 스님을 용궁(龍宮)에 갔다 왔다 해서 용궁 스님이라고 별명이 붙었는데.

참 이상한 것이 화두를 들고 가다가 배가 침몰해도 그분은 죽지를 않아. 차가 뒤집어져도 죽지를 않아.
어떠한 난세(亂世)를 당한다 하더라도 화두를 들고 정진한 사람은 그 난세를 피하게 되고 꼭 죽게 된 데에서도 살아난다 그말이여.

그것이 왜 그러냐? 항상 이십오 신장(二十五神將)이 옹호를 하고 댕기거든.
보통 착한 마음만 가져도 선신(善神)이 지켜주는데, 정법을 믿고 활구참선하는 사람은 선신 하나 둘이 아니라 25신장이 항상 옹호를 하는 거야. 그러니 교통사고에 살아날 수 밖에는 없는 것이여.

여러분은 숙세에 얼마나 선근(善根)을 심었기에 이러한 활구참선을 믿게 되었고 그것을 또 실천하게 되셨냐 그말이야.(35분28초~49분42초)

 

 

 



(2)------------------

탐착몽중일립미(貪着夢中一粒米)타가  실각금대만겁량(失却金臺萬劫糧)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무상찰나실난측(無常刹那實難測)이라  호불맹성급회두(胡不猛省急回頭)오
나무~아미타불~

탐착몽중일립미(貪着夢中一粒米)타가, 몽중에 꿈 가운데에 한 알갱이 쌀을 탐착하다가,
실각금대만겁량(失却金臺萬劫糧)이다. 금선대, 저 금선대에 만겁동안 먹을 수 있는 그 많은 양식을 잃어버리게 되는구나.

무상찰나(無常刹那)라 실난측(實難測)이여. 우리의 이 몸뚱이, 우리의 이 생명은 눈 한번 감었다 뜨지 못하면 내생(來生)이고, 숨 한번 내쉬었다가 들어마시지 못하면 바로 내생이여.
참, 그 찰나(刹那)라! 언제 1년 후에 죽게 될런지, 한 달 후에 죽게 될런지, 사흘 후에 죽게 될런지, 1분 후에 죽게 될런지, 우리의 수명은 참 헤아릴 수가 없는 것이니,

호불맹성급회두(胡不猛省急回頭)오. 어찌 맹렬히 반성을 해서 마음보를 돌이키지 못하는고.


우리는 이렇게 해서 최상승법을 믿고 해탈도(解脫道)를 얻기 위해서 우리는 이렇게 엄동설한임에도 불구하고 사부대중이 법회에 참석을 하셨고 또 방부(房付)를 들이고 그렇게 참 고행을 하고 계시는데,

무엇이 우리를 구속(拘束)을 했기에 우리는 해탈(解脫)을 할라고 합니까?
다른 사람이 나를 구속을 한 점 또는 내가 나 자신을 구속을 한 점. 쇠사슬 보다도 더 견고하고 무서운 것으로 우리 자신들을 그렇게 속박을 하고 있습니다.

인간관계에 있어서 그렇게 얽히고, 물질에 얽히고, 명예와 권리와 재산 모다 그런 것에 얽히고, 원한으로 얽히고, 미워하고 사랑하는 것으로서 얽히고, 자존심과 체면에 얽히고, 마약 술 그런 것에도 얽히고,
무량겁 지어 놓은 습기(習氣)에도 얽히고, 자기가 자기를 얽히고 또 내가 다른 사람을 얽어매고, 다른 사람은 또 자기 자신을 얽어매고 또 그 사람이 또 나를 얽어매고 해서,

피차(彼此) 서로 많은 머리카락이 서로 얽히고설켜서 뭉쳐 있듯이 인간들이 그러한 형용할 수 없는 무서운 쇠사슬로 서로 얽히고 얽고 그렇게 해서 무량겁을 오늘날까지 이렇게 오고 있는 것입니다.

관성(慣性)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움직이고 있는 것은 계속해서 움직일려고 그러고, 정지되어 있는 물건은 계속해서 정지되어 있을려고 하는 그러한 성질은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을 관성의 법칙이라 그러는데, 그래서 기차나 전철을 타고 가다가 급정거를 하면 사람이 와르르 넘어질려고 그런거 그것도 역시 마찬가지고,
또 가만히 차에 앉아 있는데 급작스럽게 차가 출발을 하면 사람이 버뜩 뒤로 자빠지려고 그러고 이런 것도 역시 관성의 법칙이고, 옷에 먼지가 있는 것을 탁! 이렇게 털면은 먼지가 떨어지는 것도 역시 그런 관성의 법칙을 이용을 한 것입니다.

그런데 ‘오뉴월 뙤약볕도 쬐다가 안 쬐면 서운하다’고 그런 구속이라는 것이 얼마나 괴로운 것인데, 여태까지 구속되어 있다가 그렇게 풀어준다 해도 그것을 서운하게 생각한다 그말이야.

「정법을 믿고 참선을 하면 그 무서운 쇠사슬로부터 벗어날 수가 있다」고 그렇게 목이 마르도록 말씀을 하고, 법문을 들어도 아! 그 무엇이 그렇게 그리운지 그 구속으로부터 벗어나기를 여간 아쉽게 생각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 이런 법문을 들으신 분은 ‘아! 내가 이제부터서는 그런 쇠사슬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 나도 벗어나고 또 다른 사람 내가 얽어매고 있는 쇠사슬도 풀어주리라.’
그렇게 다 얼굴을 제가 보니까 그런 마음을 가지신 것 같습니다. 댁에 가셔서 정말 탁 풀어 버리실런지 그거 또 아까워서 계속 그러실런지 인자 스스로 가서 잘 생각해 보시면 알 것입니다.

어쨌든지 자유가 좋은 것입니다. 탁! 자기도 풀면 좋고 남 얽어맨 것도 탁 풀어주세요. 풀어주면 그 사람도 나한테 더 잘하고.

어떻게 그놈을 서로 얽어매 놓고 한집에서 살면서 그렇게 서로 불편한 관계로 사실 수가 있겠습니까.
탁 풀어주면은 저도 좋고 남도 좋고 그냥 어제까지의 감옥이 오늘은 극락세계로 변할 것입니다.

화두 한번 터억 화두 든 마음으로 쳐다보면 앞에서 봐도 이쁘고 뒤에서 봐도 이쁠텐데, 화두를 놓쳐 버리고 옛날에 품었던 원한심을 가지고 쳐다보면 볼수록 미웁다 그말이여.
그거 미워해 봤자 무엇이 좋을 것입니까. 터억 화두를 들고 풀어줘 버리면은 당장 그날 저녁 밥상부터 달라질텐데.


석화광음주(石火光陰走)하고  홍안진백두(紅顔盡白頭)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인간백년몽(人間百年夢)이요  부유일생사(蜉蝣一生事)니라
나무~아미타불~

석화광음주(石火光陰走)여. 이 세월은 돌과 돌을 탁 부딪치면 불이 번쩍하듯이 그렇게 화살같이 그렇게 빨리 지나가 버리는 것이여.
홍안진백두(紅顔盡白頭)다. 그 젊었을 때 윤기 나고 불그스레한 얼굴이 벌써 머리가 허예져 버린 것이여.

인간(人間)은 백년몽(百年夢)이여. 인간은 백 년 동안 꾸는 꿈이여. 이 몸뚱이는 부유일생사(蜉蝣一生事)다. 하루살이 일생사야.
백 년이라고 하니까 굉장히 긴 것 같지만 냉정히 생각해 보면 인생 일생사란 것이 하루살이 신세 밖에는 안됩니다.

비록 지수화풍(地水火風) 사대(四大)로 뭉쳐진 하루살이 인생이지만 정법을 믿고 최상승법에 의해서 활구참선하신다면 정말 소중한 뭄뚱이고 이승에 사람 몸 받은 것이 얼마나 다행스런 일인지 모릅니다.

왜 그러냐? 무량겁 생사윤회(生死輪廻)의 쇠사슬로부터서 벗어나서 영원을 살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모든 악업으로 얽혀진 모든 사람들을 다 풀어버리니 일체가 다 좋은 도반(道伴)이요, 형제간이요 자매간이 되어서 온 세계 온 법계가 행복한 한 가정이 되는 것이기 때문인 것입니다.

앞으로 해제도 얼마 안 남았습니다. 선방에 방부들인 스님네 또 보살님네 그 동안도 열심히 정진들 하셨지만 남은 동안을 더욱 알뜰히 정진을 해주시길 부탁을 하고,
또 가정에서 직장에서 생활하신 분들도 방부들이신 분들 못지않게 생활 속에서 열심히 정진해 주시기를 부탁을 드리고 법상에서 내려자고자 합니다.(49분43초~62분52초)(끝)

 

 

 



------------------(1)

*축(縮)지다 ; 축(縮)나다. ①일정한 수나 양에서 모자람이 생기다. ②몸이나 얼굴 따위에서 살이 빠지다.
*꽁댕이 ; ‘꼬랑이('꼬리'를 속되게 이르는 말)’의 사투리.
*얼씬 ; 조금 큰 것이 눈앞에 잠깐 나타났다 없어지는 모양.
*번뇌(煩惱 번거러울 번,괴로워할 뇌) ; ①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어지럽히고[煩亂, 煩勞, 煩擾] 괴롭혀 고뇌케 함[逼惱, 惱亂] 등의 뜻으로 번뇌(煩惱)라 표현. 근원적 번뇌로서 탐냄(貪)•성냄(瞋)•어리석음(癡)이 있다.
②나라고 생각하는 사정에서 일어나는 나쁜 경향의 마음 작용. 곧 눈 앞의 고(苦)와 낙(樂)에 미(迷)하여 탐욕•진심(瞋心)•우치(愚癡)등에 의하여 마음에 동요를 일으켜 몸과 마음을 뇌란하는 정신 작용.
이러한 번뇌[惑]에 의해 중생이 몸과 마음의 행위[身口意三業]를 일으키게 되면, 이로써 3계 6도의 생사윤회에 묶이게 되고 고통[苦]의 과보를 받게 된다. [惑-業-苦 三道]
*망상(妄想 망녕될 망,생각 상) ; ①이치에 맞지 아니한 망녕된(妄) 생각(想)을 함, 또는 그 생각. ②잘못된 생각. 진실하지 않은 것을 진실하다고 잘못 생각하는 것.
*생사윤회(生死輪廻 날 생,죽을 사,바퀴 윤,빙빙돌 회) : 육도윤회(六途輪廻). 사람이 어리석음(無明)으로 인한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육도(三界六道)에서 났다가(生) 죽고(死) 났다가 죽는 것이 바퀴(輪)가 돌듯이(廻) 반복함.
*무명(無明) : [범] avidya 「어리석은 마음」 「어두컴컴한 마음」을 이름.
<기신론(起信論)>에 는 이것을 두 가지로 나누어, 법계(法界)의 참 이치에 어둡게 된 맨 처음 한 생각을 근본무명(根本無明)이라 하고, 이 근본무명으로 말미암아 가늘거나 거칠거나 한 온갖 망녕된 생각이 일어나는 것을 지말무명(枝末無明)이라 하였다.
*업식(業識) ; ①과거에 저지른 미혹한 행위와 말과 생각의 과보로 현재에 일으키는 미혹한 마음 작용. ②오의(五意)의 하나. 무명(無明)에 의해 일어나는 그릇된 마음 작용.
*화두(話頭 말씀 화,어조사 두) ; 공안(公案)·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화두는 「말」이란 뜻인데, 두(頭)는 거저 들어가는 어조사다.
「곡식을 보고 땅을 알고, 말을 듣고 사람을 안다」는 옛말이 있다. 도(道)를 판단하고 이치를 가르치는 법말·참말을 화두라고 한다.
또는 공안이라고 하는 것은 「관청의 공문서」란 뜻인데, 천하의 정사를 바르게 하려면, 반드시 법이 있어야 하고 법을 밝히려면 공문이 필요하다.

부처님이나 조사들의 기연(機緣), 다시 말하면 진리를 똑바로 가르친 말이나 몸짓이나 또는 어떠한 방법을 막론하고 그것은 모두 이치세계의 바른 법령(法令)인 것이다. 그러므로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사량분별(思量分別) : 사량복탁(思量卜度), 사량계교(思量計較)와 같은 말.
생각하고 헤아리고 점치고 따짐。 가지가지 사량분별(思量分別)로 사리(事理)를 따짐。 법화경 방편품(法華經方便品)에 「이 법은 사량분별로 능히 알 바가 아니다」라고 함.
*거각(擧却 들 거,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참구(參究 헤아릴 참,궁구할 구) ; ①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것. ②참선하여 화두(공안)을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의단(疑團 의심할 의, 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독로(獨露 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홀로(獨) 드러나다(露).
*순일무잡(純一無雜 순수할 순,하나 일,없을 무,섞일 잡) ; 대상 그 자체가 순일(純一)해 전혀 이질적인 잡것의 섞임(雜)이 없음(無).
*잡드리 ; ‘잡도리’의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간절(懇切 간절할•정성스런 간,정성스런•절박할 절) ; ①지성(至誠)스럽고 절실(切實)함 ②정성이나 마음 씀씀이가 더없이 정성스럽고 지극함 ③마음속에서 우러나와 바라는 정도가 매우 절실함.
*성성(惺惺) ; ①정신이 맑고 뚜렷함. 정신을 차림. 총명함. ②깨달음.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벗.
*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조사(祖師) : ①1종1파의 선덕(先德)으로서 후세 사람들의 귀의 존경을 받는 스님。 보통은 1종1파를 세운 스님을 부르는 말。 ②선가에서는 달마스님을 말한다。 ③불심종(佛心宗)을 깨달아서 이를 전하는 행(行)과 해(解)가 상응(相應)하는 도인.
*아미타불(阿彌陀佛) ; 대승불교에서 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세계에 머물면서 법(法)을 설하는 부처님.
<정토 3부경>에 있는 이 부처님의 역사는, 오랜 옛적 과거세에 세자재왕불(世自在王佛 Lokesvararaja-Buddha)의 감화를 받은 법장비구(法藏比丘 Dharmakara)가 2백 10억의 많은 국토에서 훌륭한 나라를 택하여 이상국을 건설하기로 기원하였다.
또 48원(願)을 세워 자기와 남들이 함께 성불하기를 소원하면서 오랜 겁을 수행한 결과 지금부터 10겁 이전에 그 원행(願行)이 성취되어 아미타불이 되었다. 줄여서 미타(彌陀).
의역하면 무량광불(無量光佛 Amitabha Buddha  무한한 공간에 꽉 차 있어서 안팎과 갓이 없는 빛의 부처님), 무량수불(無量壽佛 Amitayus Buddha  무한한 시간에 뻗치어서 끝없는 생명의 부처님).
*몰사(沒死 빠질 몰,죽을 사) ; 모두 다 죽음.
*허부적허부적하다 ; '허우적허우적하다(사람이 팔다리를 자꾸 이리저리 내두르다)'의 사투리.
*수양아들(收養아들) ; 자신이 낳지 않았으나 데려다가 기른 아들.
*신장(神將) ; 불법(佛法)을 보호하는 신장. 또는 《화엄경》을 보호하는 신장.
*선신(善神) ; 불법(佛法)과 그것을 믿는 이들을 보호하는 신.
*선근(善根) ; 좋은 과보를 받을 만한 착한 인(因)·행위. 온갖 선(善)을 낳는 근본. 청정한 행위를 할 근성.

 

 

 



------------------(2)

*(게송) ‘탐착몽중일립미~’ ; 성철스님 ‘납자십게(衲子十偈)’—'회두(回頭)' 게송 참고.
*내생(來生) ; 죽은 후에 다시 맞이하는 미래의 삶.
*찰나(剎那) : [범]  ksana  지극히 짧은 시간. 하루가 육백 사십 팔만 찰나라 하였는데, 지금 시간으로는 1초의 75분의 1에 해당한다.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해탈도(解脫道) ;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가르침이나 수행.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난 경지.
*방부(房付)를 들이다 ; 수행자가 절에 머물며 공부할 것을 인사드리고 허락을 구해 결제(結制)에 참가하다.
*습기(習氣) ; 과거의 인식•행위•경험•학습 등이 아뢰야식(阿賴耶識)에 남긴 기운•잠재력. 종자(種子)와 같음.
*관성(慣性 버릇·익숙하여짐 관,성질 성) ; [물리] 물체가 외부의 힘을 받지 않는 한 정지 또는 등속도 운동의 상태를 지속하려고 하는 성질.
*(게송) ‘석화광음주(石火光陰走)~’ ; [청허당집(清虛堂集)] (西山 休靜, 朴敬勛역, 동국대학교 역경원) 86쪽 ‘세상을 탄식함’ 게송 참고.(石火光陰走 紅顔盡白頭 山中十年夢 人世是蜉蝣)
*불그스레하다 ; (물건이나 그 빛이)곱고 연하게 조금 붉은 데가 있다.
*허옇다 ; (사물이나 그 빛이)정도에 지나치게 희다.
*부유(蜉蝣) ; [동물] 하루살이목에 속한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사대(四大) ; 사람의 몸을 이르는 말. 사람의 몸이 땅, 물, 불, 바람(地,水,火,風)의 네(四) 원소(大)로 이루어졌다고 보는 데에서 연유하였다.
*생사윤회(生死輪廻) ; 육도윤회(六途輪廻). 선악(善惡)의 응보(應報)로 육도(六途-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의 고락(苦樂)을 받으면서 죽음과 삶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것.
*도반(道伴) ; 함께 불도(佛道)를 수행하는 벗. 불법(佛法)을 닦으면서 사귄 벗.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