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6) (게송) 역지즉노순지환~ / 환희마(歡喜魔), 번뇌마(煩惱魔) / (게송) 견색비간색~ .

공부가 잘되어도 지나치게 좋아하는 생각을 내면, 환희심을 내면 환희(歡喜)라고 하는 마군(魔軍)이가 벌써 마음속으로 들어오게 되고, 잘 안된다고 번뇌심을 내면 번뇌(煩惱)의 마군이가 벌써 마음에 들어와있거든. 마군이는 ‘환희의 마군이’도 마군이고, ‘번뇌의 마군이’도 마군이거든.


**송담스님(No.326) - 1987년 3월 첫째일요법회(87.03.01)에서. (용326)


약 15분.

 


역지즉노순지환(逆之則怒順之歡)헌대  천하인정몰양반(天下人情沒兩般)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긍신순궁환역지(肯信順窮還逆至)하면  안개휴파자심만(眼開休把自心瞞)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역지즉노(逆之則怒)요 순지환(順之歡)이다. 자기의 마음에 거슬리면 성을 내고, 자기 마음에 순(順)하면 기뻐하는데 이것은 세속 생활을 해 나가는 데에서도 그렇고,
일체처에서 무엇이든지 자기 마음에 들면 다 사람들은 기뻐하고, 자기 마음에 거슬리면 다 성을 내는 것입니다.

천하인정(天下人情)이 몰양반(沒兩般)이여. 천하 모든 사람이 이 두 가지-성내지 아니하면 기뻐하고, 기뻐하지 아니하면 성내고.
왜 그러냐? 모든 것이 역경계(逆境界) 아니면 순경계(順境界)거든.

긍신순궁환역지(肯信順窮還逆至)하면, 순경계가 다하면 다시 역경계가 돌아온다고 하는 사실을 긍정하면 그것을 믿으면,

안개휴파자심만(眼開休把自心瞞)이여. 바로 모든 인간의 흥망성쇠와 희로애락과 모든 인연법(因緣法)에 눈을 뜨게 되어. 눈을 뜨게 되어가지고 스스로 속지 않게 된다.

이 세상에 흥망성쇠(興亡盛衰)와 모든 생노병사가 전부 역경계, 순경계로 이렇게 새끼 꼬아지듯이 꼬아지면서, 그렇게 해서 성립이 되었다가 그놈이 또 무너지고 무너졌다가 다시 또...
오른손에 쥐었던 새끼와 왼손에 쥐었던 새끼가 번갈아가면서 서로 바뀌면서 이렇게 새끼가 꼬아지는데,

우리의 무량겁(無量劫) 지내온 것이 그렇게 꼬아졌고, 앞으로도 그렇게 해서 순경계·역경계, 생(生)과 사(死), 기쁨과 슬픔이 그렇게 해서 이루어지면서 무량겁을 또 그렇게 갈 것입니다.

언제까지나 기쁨만 있으라는 법도 없고, 언제까지나 슬픔만 있으라는 것이 없고, 언제까지 부자가 되어라 하는 법도 없고, 언제까지도 가난한 사람은 가난하란 법이 없어요.

가난해졌다 부자되고, 부자가 되었다 가난해지고, 친해졌다가 친한 사람이 웬수가 되고, 웬수가 다시 풀어지면 또 친해지고, 그러한 변화무쌍한 참 믿을 수가 없는거, 허망한 거,

그러한 것에 우리가 말려 들어갈 것이 없고 그런데에 속지를 말고 그런데에 집착을 하지 말고,
바로 거기서 ‘참나’로 돌아와야, 그 속에 살면서 거기에 빠지지 않고 거기에 속지 말아야, 우리가 참다운 인생을 살아가는 것입니다.

성내고 기뻐하는거, 그래서 뭔 사업이 좀 잘되어도 너무 좋아서 못 견디지 말고. 그렇게 좋아서 훌훌 뛰고 야단을 칠 것이 못되어. 그러다 보면 금방 언짢은 일이 툭 생기거든.
사업이 여의치 못하고 어려운 일을 당했다 해서 그렇게 의기소침(意氣銷沈)이 되고 비관하고 아주 그럴 필요도 없어.

그럴수록에 오히려 더 정신을 가다듬고 부처님 믿는 마음으로 ‘이뭣고?’를 하고, 자기에게 주어진 모든 여건을 최대한으로 잘 살려서 노력을 하다보면 반드시 밝은 길이 또 열리게 되는 것입니다.

잘되었다고 뭔 일이 성공을 했다고 지나치게 좋아서 훌훌 뛰고 하면 그것이 또 병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나치게 좋아할 것도 없고 지나치게 비관할 것도 없어요.

공부가 잘되어도 지나치게 좋아하는 생각을 내면, 환희심을 내면 환희(歡喜)라고 하는 마군(魔軍)이가 벌써 마음속으로 들어오게 되고, 잘 안된다고 번뇌심을 내면 번뇌(煩惱)의 마군이가 벌써 마음에 들어와있거든.
마군이는 ‘환희의 마군이’도 마군이고, ‘번뇌의 마군이’도 마군이거든.
그래서 우리 공부하는 사람이 어찌 그런 환희마(歡喜魔)나 번뇌마(煩惱魔)를 갖다가 우리 안으로 불러들일 필요가 있느냐 그말이여.

번뇌마도 좋은 것이 아니지만 환희마도 못쓰는 것이여. 환희마가 들어오면 벌써 그게 바르게 공부가 되어간 것이 아니거든. 마군이가 딱 차지하고 있는데 무슨 공부가 될 것이냐.

공부는 방부(房付)를 들이고 공부하시는 스님네나 또 보살님네나, 또 방부를 들이지 아니한 분이나, 언제 어디서나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방부를 안 들인 사람도 세 때 밥을 먹고, 방부를 들인 분도 세 때 밥을 먹고, 똥 누고, 걸어가고, 씻고 그게 바로 인간 생활인데 그 생활을 여의고 따로 얻은 공부해야 할 것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여.


견색비간색(見色非干色)이요  문성불시성(聞聲不是聲)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색성불애처(色聲不礙處)면  친도법왕성(親到法王城)이니라
나무~아미타불~

견색비간색(見色非干色)이요. 눈으로 모든 색상(色相)을 보되 그것이 그 색상이 관계치 않어. 색상이 색상이 아니다 그말이여.

문성불시성(聞聲不是聲)이다. 귀로 무슨 소리를 듣되, 이 소리가 소리가 아니여.
참선 공부를 아니한 사람은 무엇을 보면  붉다, 노랗다, 저것은 푸르다, 저것은 산이다, 저것은 자동차다. 떡 보는 순간부터서 둘째 생각, 셋째 생각이 계속해서 연달아서 막 가지가 번져 나가는 거여.

또 귀로 무슨 소리를 들으면 새소리가 들리면 새에 관해서 두 번째 세 번째 생각이,
새소리를 들으면 ‘아유, 봄이 왔구나. 봄이 오면 얼마 안 있으면 또 꽃이 피겠지. 그러면 밭에 또 채소 씨를 심어야겠다. 농사지을 준비를 해야겠구나. 작년에는 농사가 시원찮았으니까 금년에는 잘 지어야겠지’
한 생각이 두 생각, 두 생각에서 세 생각으로 막 번져나가.

참선하는 사람은 눈으로 무슨 색상을 보되 색상이 아니여. 색상에 관계를 하지 않고 바로 ‘이뭣고?’거든. 바로 자기로 돌아와 버려. ‘이뭣고?’ ‘이뭣고?’
귀에 무슨 소리가 들려도 그리 따라가지 말고, 두 번째 생각이 일어나는 겨를도 없이 ‘이뭣고?’ 이렇게 돌아와버리면 소리가 소리가 아니다 그말이여.

눈으로 보는 색상, 귀로 듣는 소리 거기에 걸리지 아니하면(色聲不礙處), 그것이 바로 법왕이 계신 곳에 도달하는 길이다(親到法王城). 법왕(法王), 진리로 돌아가는 곳이다 그말이여.

우리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눈을 뜨면 무엇인가 보게 되어 있고, 귀는 항상 열려 있으니까 무슨 소린가 듣게 되어 있어.
눈으로 볼 때마다 ‘이뭣고?’ 귀로 무슨 소리를 들을 때마다 ‘이뭣고?’
우리 생각에는 살아있는 동안에는 무슨 생각인가는 끊임없이 일어나게 되어있어. 생각이 일어날 때마다 ‘이뭣고?’

이렇게 해 나가면 소리가 소리가 아니요, 모든 색상이 색상이 아니요, 모든 잡념이 잡념이 아니야.
전부가 다 ‘함이 없는 진리’로 돌아가는 길목이요 발판이 되어줄 것입니다.

오늘은 경묘년 3월 첫째 일요법회입니다. 그리고 어제가 바로 봄철 산철 결제(結制)날이었습니다.
오늘 사부대중(四部大衆)은 다시 새로 결제한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일초일초를 한생각 한생각을 빈틈없이 단속을 하셔서 어린 소년이 발심을 해가지고 그렇게 알뜰히 정진을 해가지고 그어린 나이에 확철대오하신 조실스님의 법문을 항상 마음에 새겨서,

우리라고 해서 그렇게 못 할 바가 없습니다.
우리도 그렇게만 한다면 한 사람도 빠짐없이 다 도업(道業)을 성취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부디 열심히 정진을 하시기를 바랍니다.(41분23초~56분7초)(끝)

 

 



---------------------

 

*(게송) 역지즉노순지환~ ; 중봉명본 스님의 '天目中峯和尙廣錄卷第三十'에서 '警世卄二首' 게송 참고.
*역경계(逆境界) ; ①자기의 마음에 반대되어 마음이 언짢은 경계. ②일이 순조롭지 않아 매우 어렵게 된 처지나 환경. 역경(逆境), 위경(違境)이라고도 한다.
*순경계(順境界) ; ①자기의 마음에 들어맞어 마음이 따르는 경계. ②모든 일이 뜻대로 잘되어 가는 경우나 형편.
*인연(因緣) ; ①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분 또는 관계.  ②어떤 상황이나 일, 사물과 맺어지는 관계(연줄).
③인(因)과 연(緣)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결과를 만드는 직접적인 힘(因)과 그를 돕는 외적이고 간접적인 힘(緣).
*무량겁(無量劫) ; 헤아릴 수 없는 오랜 시간이나 끝이 없는 시간. 劫과 刧는 동자(同字).
*의기소침(意氣銷沈) ; 기운이 없어지고 풀이 죽음.
*이뭣고? ; 분류 ‘이뭣고 화두’ 참고.
*환희(歡喜) ; ①기쁨. 종교적으로 만족했을 때 일어나는 신심(身心)을 모두 바친 기쁨을 말함. 또, 기뻐하는 것. ②몸의 즐거움과 마음의 기쁨을 통틀어 이르는 말. 자기의 뜻에 알맞은 경계를 만났을 때의 기쁨. ③정토종(淨土宗)에서 사후(死後) 극락왕생(極樂往生)을 미리 기뻐하는 것.
*마(魔) : [범] mara 음을 따라 마라(魔羅)라 하고, 줄여서 마(魔)라고만 한다。장애자(障礙者)• 살자(殺者)• 악자(惡者)라 번역。목숨을 빼앗고 착한 일을 방해하며 모든 것을 파괴하는 악마를 말한다。그러나  「마」는 밖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에서 생기는 것이다.
[참고] 마(魔)란 생사를 즐기는 귀신의 이름이요, 팔만사천 마군이란 중생의 팔만사천 번뇌다. 마가 본래 씨가 없지만,수행하는 이가 바른 생각을 잃은 데서 그 근원이 파생되는 것이다.
중생은 그 환경에 순종하므로 탈이 없고, 도인은 그 환경에 역행하므로 마가 대들게 된다. 그래서 「도가 높을수록 마가 성하다」고 하는 것이다.
선정(禪定) 중에 혹은 상주를 보고 제 다리를 찍으며 혹은 돼지를 보고 제 코를 쥐기도 하는 것이, 모두 자기 마음에서 망상을 일으켜 외부의 마를 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마의 온갖 재주가 도리어 물을 베려는 것이나, 햇빛을 불어 버리려는 격이 되고 말 것이다. 옛말에 「벽에 틈이 생기면 바람이 들어오고, 마음에 틈이 생기면 마가 들어온다」고 하시니라. [선가귀감] (용화선원刊) p64에서.
*마군(魔軍) ; 악마의 군세(軍勢).
*방부(房付 방•거처 방,줄•부탁할 부) ; 수행자가 절에 머물며 공부할 것을 인사드리고 허락을 구하는 일.
*(게송) 견색비간색(見色非干色)~ ; [금강경오가해] 장엄정토분, 야부 스님 게송 참고.
*색상(色相) ; 육안(肉眼)으로 볼 수 있는 모든 물질의 형상.
*법왕(法王) : [범] dharmaraja  부처님은 진리 곧 법을 가장 밝게 깨치시고, 법을 걸림 없이 쓰시고 법을 널리 가르쳐서 법에 있어 제일 높은 어른이므로, 「법의 임금」이라고 존칭한 말이다.
또한 모든 세속 임금들에게도 큰 스승이 되고, 온갖 성인들 가운데서도 으뜸이 되므로 법왕이라 한다.
*결제(結制 맺을 결,만들•법도 제) ; 참선 수행하는 안거(安居)에 들어감. 하안거는 음력 4월 15일에 결제하며, 동안거는 음력 10월 15일에 결제한다.
*사부대중(四部大衆) ; 불문(佛門)에 있는 네 가지 제자. 곧 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 우바새(優婆塞), 우바이(優婆夷)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참고] 〇우바새 : upasaka의 음역. 속세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남자.(같은 말=靑信士,靑信男,信男,信士,居士,近事男,近善男,善宿男)
원래의 말뜻은 모시는 사람. 받들어 모시는 사람. 출가수행자를 모시고, 신세를 지므로 이렇게 말한다.
〇우바이 : upasika의 음역. 속세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여자. (같은 말=靑信女,近事女,近善女,近宿女)
*도업(道業) ; 도(道)는 깨달음. 업(業)은 영위(營爲). 불도의 수행. 진리의 실천.

Posted by 닥공닥정
생활속 정진(요중선)2013. 10. 9. 17:34

 

§(414) 공부는 간단하고 쉬운 . 언제 어디서든 항상 화두를 잡드리해야. 우주는 우리의 생각 일어남으로 해서 벌어진 . (게송)춘유백화추유월~.

 

우주법계(宇宙法界) 우리의 생각일어남으로 해서 벌어진 것입니다.극락세계(極樂世界) 자기의 생각으로 인해서 극락세계가 존재하게 되는 것이고, 무서운 지옥(地獄) 자기의 생각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것입니다.

그러니 지옥을 만들어서 지옥으로 들어가서 () 받는 것도 자기의 생각을 어떻게 단속하느냐에 달려 있는 거고, 천국을 건설을 해서 천국에서 유희를 하는 것도 자기의 생각에 달려 있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414)—1990 4 첫째 일요법회 (용414)

 

약 11분.

 

 

공부는 복잡한 것이 아니고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천하 간단하고 쉬운 것입니다.

 

초학자(初學者) 불가불 장소가 필요하고 시간이 필요하지 아니한 것은 아니나, 자꾸 버릇 하면 장소도 상관이 없고 시간도 상관이 없습니다.

앉아서도 하고, 서서도 하고, 차를 타고 가면서도 하고, 일하면서도 하고, 설거지 하면서도 하고, 누워서도 하고, 잘려고 잠자리에 누웠서도이뭣고~?’

 

숨을 깊이 들어마셨다가 머물렀다가 내쉬면서이뭣고~?’ 이렇게 하면서 언제 잠든 모르게 잠이 들어. 꿈속에서도 화두(話頭) 그대로. 이튿날 아침에 눈을 뜨면 엊저녁에 들던 화두가 그대로 들어 있게 되거든.

 

때와 장소를 가리지 말고 항상 잡드리를 하시면, 그렇게 공부가 결국은 색을 보되 색이 아니요(見色非干色), 소리를 듣되 소리가 아니요(聞聲不是聲). 성색(聲色) 걸림이 없이(色聲不礙處), 그래서 법왕성(法王城) 도달할 수가 있게 되는 것입니다(親到法王城).

 

우주법계(宇宙法界) 우리의 생각일어남으로 해서 벌어진 것입니다.

극락세계(極樂世界) 자기의 생각으로 인해서 극락세계가 존재하게 되는 것이고, 무서운 지옥(地獄) 자기의 생각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것입니다.

 

그러니 지옥을 만들어서 지옥으로 들어가서 () 받는 것도 자기의 생각을 어떻게 단속하느냐에 달려 있는 거고, 천국을 건설을 해서 천국에서 유희를 하는 것도 자기의 생각에 달려 있는 것입니다.

『한 생각이 무량겁이요, 무량원겁(無量遠劫) 즉일념(卽一念)』이라고 법성게(法性偈)에도 있지 않습니까?

 

여러분 가운데는 법화경도 읽어 보시고, 화엄경도 읽어 보시고, 원각경, 금강경, 경이란 경은 읽어 보신 그런 분도 있을 것입니다마는,

경을 참으로 뜻을 옳게 알고 읽으셨다면 일념(一念) 속에 육도법계(六途法界) 있는 것이고, 생각 단속함으로 해서 불국토를 건설하느냐, 지옥을 만드느냐는 달려 있는 도리를 이해하실 것입니다.

 

 

춘유백화추유월(春有百花秋有月)하고  하유청풍동유설(夏有清風冬有雪)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약무한사괘심두(若無閑事掛心頭)하면  변시인간호시절(便是人間好時節)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춘유백화추유월(春有百花秋有月)이요, 봄에는 가지 꽃이 있고 가을에는 휘황찬 밝은 달이 있구나.

하유청풍동유설(夏有清風冬有雪)이로다. 여름에는 맑은 바람이 있고 겨울에는 하얀 눈이 있구나.

약무한사괘심두(若無閑事掛心頭)하면, 만약 부질없는 일이 마음에 걸려 있지 아니하면,

변시인간호시절(便是人間好時節)이다. 문득 이것이 인간의 좋은 시절이더라.

 

약무한사괘심두(若無閑事掛心頭), 부질없는 일이 마음에 걸려 있지 않는다. 무엇이 부질없는 일인가?

지나간 일에 대한 쓸데없는 생각, 아직 닥쳐오지 않은 장차 미래 일에 대해서 이러쿵 저러쿵 댕겨서 걱정하고 근심하는 . 현재 보고 듣고 하는 일에 대해서 그리 끌려가 가지고 생각 생각 하는 .

 

과거의 마음, 미래의 , 현재 닥쳐 있는 모든 귀와 눈을 통해서 제출되는 모든 일들에 대해서 사량(思量) 분별(分別) 따지고, 이래 가지고 이러쿵 저러쿵, 그래 가지고 스스로를 들볶는 것입니다.

 

그러면 목석(木石)이나 되면 모를까, 지나간 일도 생각이 나고, 앞으로 일도 생각 걱정도 하고, 현재 닥친 일도 생각하기 마련인데, 어떻게 지나간 일도 생각하지 말고, 앞으로 일도 생각하지 말고, 현재 닥치는 일에 대해서도 아무 생각도 하지 말아라.

그럼 목석(木石) 되란 말인가? 그게 아니거든.

 

살아 있으니까 지나간 일도 불현듯 생각날 것이고 앞으로 일도 무엇인가 필요해서 생각을 수가 있고, 현재 눈으로 보고 듣고 하다 보면 무슨 생각이 일어날 수도 있겠지마는, 살아 있으니까.

 

무슨 생각이 나자마자 화두(話頭) 돌리는 , 천하에 묘한 법이거든. ‘이뭣고~?’

 

아무 생각 할려고 한다고 해서 해지는 것이 아니예요. 할려고 하는 생각도 또한 생각이기 때문에, 할려고 하지도 말고 쫓아낼려고 하지도 말고이뭣고~?’ 챙기거든.

이런 간단하고도 쉽고도 묘한 법이 그래서 이것을 최상승법(最上乘法)이라.

 

 

이제 겨울이 지내가고 입춘, 우수, 경첩, 춘분, 이제 개나리가 피고, 산에는 진달래가 피고, 목련이 도처에 피고, 그래도 조석으로는 꽃샘추위로 춥기는 허지만, 이제 봄이 무르익어 가고 있습니다.

이러헌 좋은 때에 나라는 정치적으로는 시끌사끌하고 국제적으로도 복잡하고 모다 그렇지만, 우리 최상승법을 하는 사람은 이러한 중요한 때일수록 우리가 있는 일은 열심히 정진을 해서참나 깨달라야만 앞으로 우리나라가 통일이 것이고 세계평화도 것입니다.

 

앞으로 십여 , 열흘 후에는 음력 316 법보재(法寶齋)일입니다. 여러분께서도 아시겠지만 법보단(法寶壇) 만년위패(萬年位牌) 봉안한 여러 영가(靈駕), 우리의 선망부모(先亡父母) 원근친척과 유주무주(有主無主) 법계 고혼(孤魂)까지도 천도(薦度)하는 대법요식이 거행되는 날입니다.

 

법보재에 들으신 분은 말할 것도 없고, 법보재에 들으신 분들도 서로서로 권고해서 법보재에 들으시도록 권고를 하시고, 분도 빠지시지 말고 모두 그날 참여하셔서 우리의 선망부모와 원근친척의 영가들을 천도하는 중대한 법요식에 빠지지 않도록 부탁을 드립니다.

설사 부득이한 사정이 있어서 참석을 하신다 하더라도 법보영가들을 천도하는 데에는 차질이 없겠습니다마는 기왕이면은 참석을 하시면은 영가들도 기쁜 마음으로 좋은 곳으로 가서 왕생을 하시게 것입니다.(6213~738)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잡드리 ; ‘잡도리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대책.

*법왕(法王) ; 부처님을 찬탄하는 . () 가장 수승하고 자재하다는 . 부처님은 법문(法門) 주인이며 중생을 교화함에 자유자재한 묘용(妙用) 있으므로 이렇게 이름.

*법성게(法性偈) ; 통일 신라 시대에, 의상대사가 중국에서 화엄경을 연구하고 경의 핵심을 추려서 지은 7 30(210) 게송.

*(게송) 춘유백화추유월~’ ; [무문관(無門關)] 19 '평상시도(平常是道)' 무문혜개(無門慧開) 게송 참고.

*부질없다 ; (사람의 언행이나 일의 형편이)공연하여 쓸모가 없다.

*쓸데없다 ; (무엇이)아무런 쓸모나 값어치가 없다.

*닥쳐오다 ; (일이나 시일이 무엇에)빠르게 가까이 다가오다.

*닥치다 ; 어떤 일이나 대상 따위가 가까이 다다르다.

*사량(思量) ; 생각하여 헤아림. 사유하고 판단함.

*분별(分別) ; ①대상을 차별하여 거기에 이름이나 의미를 부여함. 대상을 차별하여 허망한 인식을 일으키는 인식 주관의 작용. ②구별함. ③그릇된 생각.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열가지 병이 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 무엇고(是甚 시심마,시삼마) : ‘ 무엇고? 화두 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무엇고하고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찾는 것이다.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법보재(法寶齋) ; 매년 음력 3 16일에 용화사 법보재자(法寶齋者) 법보전 만년위패에 모신 선망부모 영가들과 인연 있는 영가들의 무량겁으로부터 지은 업장을 참회 소멸하고, 정법(正法) 귀의하여 도솔천 내원궁이나 극락세계에 왕생하시고, 재자와 영가 모두 진리의 세계에 나아가도록 하기 위해 전강 조실스님께서 개설(1963)하신 합동 천도재(薦度齋).

*법보단(法寶壇) ; 용화선원의 () 법당(法堂) 법보전(法寶殿) 안에 위패를 모신 ().

*만년위패(萬年位牌) ; 전강 조실스님께서 우리들의 선망부모와 유주·무주의 영가 천도를 위해서 만들어 놓으신 제도.

영가에게 법보전에 편안한 거처를 마련하여 법보전에서 좋은 도반들과 가족이 되어, 용화선원이 있는 계속 매일 예불시 축원하고 법회 때나 평소에 법문(法門) 들려드려,

영가가 원한심을 내려 놓고 모든 업장을 소멸하여 도솔천 내원궁이나 극락세계에 왕생하시거나, 다시 인간으로 환생하더라도 정법(正法) 귀의하여 스스로 깨닫고 모든 중생을 제도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강선사께서 만드신 제도.

*영가(靈駕) ; 돌아가신 이의 영혼을 높여 부르는 . () 정신의 불가사의(不可思議)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신 자체를 가리키고, () 상대를 높이는 경칭(敬稱)이다.

*선망부모(先亡父母) ; 금생에 돌아가신 부모 뿐만 아니라 과거 우리의 모든 부모.

[참고] 1984(갑자년) 칠석차례(No.243) 송담 스님 법문에서.

선망부모는 사람의 선망부모가 나의 선망부모와 같은 것입니다.

영가(靈駕) 수천만 몸을 바꾸면서 나의 조상이 되었다, 김씨네 조상으로 태어났다가, 박씨네 조상으로 태어났다가, 이씨네 조상으로 태어났다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부모가 바로 사람의 부모고, 사람의 부모가 부모여서, 부모를 소중히 아는 사람은 바로 다른 노인들을 소중히 여기게 되고, 자식이 사랑스런 사람은 다른집 아기들도 아껴주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동체대비(同體大悲) 하는 것입니다.

*유주무주(有主無主) ; ①주인(영가를 인도해 줄만한 인연있는 사람) 있거나 없는. ②제주(祭主) 있거나 없는.

*고혼(孤魂)문상(問喪) 사람이 없는 외로운 .

*천도(薦度) ;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생전에 지은 () 따라 다음 생을 받게 되는데, 유족들이 불보살(佛菩薩) 모신 법당(法堂)에서 돌아가신 영가를 청해 모시고, 지극한 마음으로 불보살의 가피를 기원하고 또한 영가에게부처님의 가르침(法門)’ 들려줌으로써,

영가가 두려움에서 벗어나고 지혜의 눈을 밝혀 삶의 무상을 깨달아 이승에 대한 애착과 미련을 끊고, 보다 좋은 곳으로, 나아가 육도윤회를 벗어나 극락왕생·해탈의 바른 길로 건너가도록 하는 .

 

Posted by 닥공닥정
거울 법문2013. 10. 5. 19:28

§(414) (게송)견색비간색~ / 거울 속에 나타난 형상은 자기의 얼굴 / 대총상법문(大總相法門) / 도에 들어가는 관문은 아상(我相) 깨트려야.

 

우리 앞에 벌려 있는 삼라만상 두두물물 이것이 제법인데, 제법(諸法) 거울 속에 나타난 형상이다 그거거든. 허공(虛空)이라고 하는 끝없이 넓고 넓은 거울 속에 나타난 모양인데, 모양이 모양이 아니고, 산이 나타나되 산이 산이 아니고, 소가 나타나되 소가 소가 아니여.

그러면 소가 아니고 산이 아니면 무엇이냐? 그것이 자기의 얼굴이여! 거울 속에 나타난 얼굴을 보고서 자기의 얼굴을 보는 거여무슨 소리를 듣되 소리 쪽으로 끌려가지 말고, 소리를 들음과 동시에 소리에서 자기의 소리를 들어야 하고, 무슨 형상을 보되 형상으로 끌려다니지 말고 보는 형상에서 바로 자기를 보라 이거거든.

 

부처님이 설하신 법만 법이 아니고 우주법계 삼라만상 두두물물이 그것을 제법(諸法)이라 그러는데, 그것을 제법이라고 하냐 하면, 그것을 통해서자기 돌아올 수가 있으니 그것이 어찌 부처님의 설하신 법이 아니고 무엇이냐 그말이여.

 

그래서 거울 속에 나타난 사람이 다른 사람이 아니라 자기의 얼굴이여. 거울 속에 나타난 모습, 허공이라고 하는 거울 속에 나타난 삼라만상 두두물물을 바로 거기에 즉해서 자기로 돌아올 아는 사람은 바로 그곳이 법왕(法王) 계시는 곳이더라. 법왕성(法王城)이다.

 

정말 우리 최상승법(最上乘法) 믿는 법보제자(法寶弟子) 『진진찰찰이 부처님이요, 새소리 닭소리 바람소리 일체 소리가 부처님의 설법이요, 일체 색상(色相) 부처님의 몸뚱이다.

그러니 거기에 즉해서 '참나' 깨닫는 화두(話頭) 돌아와야 한다』고 하는 철저한 신심(信心) 가지고 그렇게 공부를 지어나가야 것입니다그러기 때문에이뭣고?’ 한마디에참나 깨닫고, 부처님의 마음을 깨닫고, 우주의 진리를 깨닫는다고 하는 것이 어찌 거짓말이겠습니까.

 

닦는데 아상(我相) 깨트리는 것이 깨달음에 나아가는 1 단계다. 그래서 금강경(金剛經) 부처님께서 21 동안 설하신 반야부(般若部) 육백부 경전 속의 권인데, 거기에 21 동안 설하신 법문의 요지가 아상을 깨트리는 것이거든.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했지마는 결국은 아상이여. 아상(我相) 하나를 무너뜨림으로서 () 들어갈 수가 있기 때문에, 21 동안을 설하신 것이다.

 

**송담스님(No.414)—1990 4 첫째 일요법회 법문. (용414)

 

 

(1) 약 16분.

 

 

(2) 약 21분.

 

 

(1)------------------

 

 

견색비간색(見色非干色)이요  문성불시성(聞聲不是聲)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색성불애처(色聲不礙處)  친도법왕성(親到法王城)이니라

나무~아미타불~

 

견색비간색(見色非干色)이요  문성불시성(聞聲不是聲)이다.

우리가 눈을 통해서 있는 모든 색상(色相)—청황적백의 빛깔이나, 크고 작고 짧고 길고 하는 모든 모양이 그것이 () 아니여. 모든 색상이 색상이 아니여. 모든 소리를 듣되 소리가 소리가 아니다.

 

깨닫지 못한 사람은 눈으로 있는 것은그것이 색상(色相)이다. 저것은 집이요, 저것은 나무요, 저것은 바위요, 저것은 자동차다. 저것은 산이고 저것은 들이다 색상으로 그렇게 보는 것입니다.

그렇게 보고 그것이 푸르다 붉다 희다 검다 이렇게 그것에 대해서 자기 보는 대로, 느끼는 대로 그렇게 생각이 자꾸 생각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그 색상(色相) 색상(色相) 아니다』 이거거든. 중생은 그걸 보고색상이다하고 색상이라고 보고서 온갖 색상에 대한 알음알이가 일어나는데 색상이 색상이 아니다.

소리를 들으면저건 애기가 우는 소리다, 자동차 소리다, 비행기 소리다, 저건 기계 돌아가는 소리다, 저건 기침 소리다 소리를 듣고서 소리에 대한 자기 나름대로 생각 생각을 일으킵니다. 그러나 『그 소리가 소리가 아니다』 이거거든.

 

그러면 『색상을 보되 색상이 아니고, 온갖 소리를 듣되 소리가 아니다』하는 말은 무슨 말인가?

 

온갖 색상, 온갖 소리에 걸리지 아니하면(色聲不礙處),

그런데 거기에 걸리거든. 걸려 가지고 그놈에 끌려서보면 보는 대로 끌려 나가 가지고 그놈의 노예가 되어 가지고 이리저리 끌려다니고, 무슨 소리를 들으면 소리라고 하는, 소리의 올가미에 걸려 가지고 그놈에 끌려다녀.

 

그런데 그놈에 걸리지 아니하면 친도법왕성(親到法王城)이다. 친히 법왕(法王) 계시는 곳에 도달하느니라.

 

 

우리 앞에 보는 모든 , 눈으로 있는 , 귀로 들을 있는 , 코로 냄새 맡을 있는 , 손으로 만져 있는 , 생각으로 느낄 있는 , 전부가 그것이 제법(諸法)인데,

우리 앞에 벌려 있는 삼라만상(森羅萬象) 두두물물(頭頭物物) 이것이 제법인데, 제법(諸法) 거울 속에 나타난 형상이다 그거거든.

 

허공(虛空)이라고 하는 끝없이 넓고 넓은 거울 속에 나타난 모양인데, 모양이 모양이 아니고, 산이 나타나되 산이 산이 아니고, 소가 나타나되 소가 소가 아니여.

그러면 소가 아니고 산이 아니면 무엇이냐? 자기의 얼굴이여! 그것이. 거울 속에 나타난 얼굴을 보고서 자기의 얼굴을 보는 거여.

 

무슨 소리를 듣되 소리 쪽으로 끌려가지 말고, 소리를 들음과 동시에 소리에서 자기의 소리를 들어야 하고, 무슨 형상을 보되 형상으로 끌려다니지 말고 보는 형상에서 바로 자기를 보라 이거거든.

 

정든 사람이 죽으면정든 사람이 죽었다 가지고 울고불고 슬픔에 잠기고 그것에 끝날 것이 아니라, 죽음을 통해서 일단은 자기의 죽음을 생각하고, 자기의 죽음만 생각할 아니라, 바로 거기서 자기로 돌아올 알아야 한다.

 

그러한 시시각각으로 나타나는 소리와 모양을 보고서 전부 그리 끌려다니고, 일생을 그러고 무량겁(無量劫) 그렇게 내려오기 때문에 생사의 수레바퀴 속에서 헤어나지를 못해.

 

눈으로 보는 모든 색상, 귀로 듣는 모든 소리, 우리의 생각에 떠오르는 온갖 과거·현재·미래의 모든 생각들, 그것을 제법(諸法)이라 그러거든.

우리가 ()하면은불법승(佛法僧) 삼보의 법하면은부처님과 법과 거룩한 스님은 삼보(三寶) 일체(一體)그러는데, 부처님이 설하신 법만 법이 아니고 우주법계 삼라만상 두두물물이 그것을 제법(諸法)이라 그러는데, 그것을 제법이라고 하냐 하면,

 

우리 눈으로 보면은 전부가 무상(無常) 것이고 성주괴공(成住壞空) 있고 생로병사(生老病死) 있고 생주이멸(生住異滅) 있어서 전부가 무상하고 허망하고 믿을 없는 뿐인데 그것을 어째서 거기다가 제법(諸法)이라 하냐?

그것이, 바로 그것이 법이기 때문에 법이라 그런 거여. 그것을 통해서자기 돌아올 수가 있으니 그것이 어찌 부처님의 설하신 법이 아니고 무엇이냐 그말이여.

 

모든 삼라만상의나나, 이외의 모든 사람이나 동물이나 그런 () 있는 모든 동물, 무정물(無情物)—산천초목, 일월성진 그런 것들이, 그것이 다른 것이 아니고 바로 그것이.

그것이? 그것은 법신불(法身佛)이기 때문에 그래. 법신불의 몸뚱이요, 법신불의 설법이기 때문에 바로 거기서 자기로 돌아올 있어야 만물지영장(萬物之靈長) 아니냐!

 

그래서 거울 속에 나타난 사람이 다른 사람이 아니라 자기의 얼굴이여.

거울 속에 나타난 모습, 허공이라고 하는 거울 속에 나타난 삼라만상 두두물물을 바로 거기에 즉해서 자기로 돌아올 아는 사람은 바로 그곳이 법왕(法王) 계시는 곳이더라. 법왕성(法王城)이다.

 

 

진진찰찰(塵塵刹刹)— 해나 달이나, 산이나 돌이나, 포기의 이파리나, 우는 새소리 이것이 진진찰찰인데 이것이 법신불(法身佛) 모습이요, 법신불의 설법(說法)이여.

 

그러냐 하면 법신불은 『무설이설(無說而說)인데, 설한 없이 설하신 것』이 법신불의 설법인데 어떻게 설하시냐? 동시(同時) ()하시면서 동시에 듣는 거여.

 

포기의 풀도 간단(間斷)없이 법을 설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모든 설법을 듣고 있어. 한덩어리의 주먹만한 , 좁쌀알 만한 모래알 하나하나라도 바로 위치에서 위없는 법을 설하면서 동시에 법을 듣고 계신 것이여.

설할 따로 있고, 들을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 () 동시(同時).

 

이러한 도리(道理) 우리가 바로 깨달라야 것이다. 이러한 도리는 말이나 생각으로 구할 없는 것이여. 중생의 사량분별로 헤아려서 있는 것이 아니야. 이것은 대총상법문(大總相法門)이라 하는 거여.

 

이러한 법문은 어떻게 하면은 그러헌 도리를 깨달을 수가 있느냐?

 

무슨 소리를 듣더라도 소리 듣자마자이뭣고~?’ 눈을 통해서 무슨 모양을 보자마자 바로 거기에 즉해서이뭣고?’

슬픈 소리를 들어도이뭣고?’,  기쁜 소리를 들어도이뭣고?’,  붉은 것을 봐도이뭣고?’, 파란 것을 봐도이뭣고?’,  좋은 소리를 들어도이뭣고?’,  속상한 소리를 들어도이뭣고?’

 

무슨 소리를 듣던지, 무슨 모양을 보던지 그것을 듣고 봄과 동시에 그것을 인연해서 번째 생각으로 번지기 전에 즉시이뭣고?’

이렇게 다잽이를 가면 마침내는 진진찰찰(塵塵刹刹) 설하고 들음이 동시인 법신불의 () 없이 설한 법문을 깨달을 수가 있는 것입니다.

 

법신불은 우리 중생의 눈으로는 수가 없다. 오직 보신(報身)이나 화신(化身)만이 우리는 수가 있다일반적으로 그렇게 얘기를 합니다.

그것은 초보의 단계에서는 그렇게 말할 밖에 없고 그렇게 말을 해야 이해할 있을 것입니다마는,

 

정말 우리 최상승법(最上乘法) 믿는 법보제자(法寶弟子) 『진진찰찰이 부처님이요, 새소리 닭소리 바람소리 일체 소리가 부처님의 설법이요, 일체 색상(色相) 부처님의 몸뚱이다.

그러니 거기에 즉해서 '참나' 깨닫는 화두(話頭) 돌아와야 한다』고 하는 철저한 신심(信心) 가지고 그렇게 공부를 지어나가야 것입니다.

 

그러기 때문에이뭣고?’ 한마디에참나 깨닫고, 부처님의 마음을 깨닫고, 우주의 진리를 깨닫는다고 하는 것이 어찌 거짓말이겠습니까.(1633~3231)

 

 

 

 

 

 

 

(2)------------------

 

 

남녀노소와 빈부귀천에 상관이 없고, 지식의 유무도 상관이 없고, 몸이 아프면 아픈 대로, 지식이 있으면 있는 대로, 없으면 없는 대로, 지식이 있다고 뽐낼 것도 없고, 재산과 권리가 높다고 남을 업신여길 것도 없고,

공부를 나가는 최상승법에서는 첫째, 내가 지식이 있다고 해서 아상을 갖거나 남을 업신여기는 생각이 없으니도에 들어가는 관문이 아상(我相) 무너져야 하는 것인데, 아상이 어디에 있느냐 그말이여.

 

아무리 권리가 높고 재산이 아무리 많아도 내가 권리가 높다고 권리를 부리거나, 아무리 내가 재산이 많다고 남을 업신여기는 생각이 없는데, 그리고서 일체처 일체시에 오직이뭣고?’ 화두만을 거각하고, 거각하면서 자기에게 주어진 책임을 성실히 하면서 그렇게 살아가는데,

어디에 아상(我相) 붙고, 아만(我慢) 붙고, 남을 경멸하는 생각이 잠시인들 어디가 붙을 수가 있느냐 그말이여.

 

아무리 팔만대장경을 종횡으로 읽고 외우고, 아무리 박사 학위를 수십 개를 가졌고, 모르는 것이 없이 세상의 학문을 통달했다 하더라도,

내가 잘났다, 내가 제일이다, 아상과 아만을 가지고 남을 업신여기고, 남을 짓밟고이러한 생각이 마음속에 있다면 정말 사람은 존경받을 없는 보잘 없는 인생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속담에벼는 익을수록에 고개를 숙인다했습니다. 학벌이 높고 재산이 많고 권리가 높을수록에 아만심(我慢心) 없고, 남을 업신여기지 않고, 모든 사람을 존경하고 소중히 여기는, 남의 인권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갖는다면, 어디를 가나 사람은 모든 사람으로부터 존경을 받을 것입니다.

남을 업신여기고 짓밟은 아만심과 아상이 가지고 목에 힘을 주고 있으면, 가는 곳마다 사람은 미움을 받게 되고, 아무에게도 존경을 받지 못하고 사랑을 받지 못할 것입니다.

 

부부간에도 무엇을 많이 가지고 가야 시집가서 업신여김을 받고 그런다고 부모를 졸라서 기둥뿌리까지 뽑아 가지고 무엇을 잔뜩 가지고 갈려고 그러고, 때부터 그런 생각을 가지고 가니까 그러한 정도의 인간으로 밖에는 취급 받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런다고 절대로 귀여움 받고 존경받지 못합니다. 가지고 가는 것은 가정 형편대로 가지고 가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무리를 해서 빚을 내다가 가는 것도 옳지 못하고, 형편이 넉넉하면 잘해 가지고 가는 것도 좋지, 형편이 넉넉하면서도 쬐금 가지고 가고 그것도 좋은 것이 아니여. 형편대로 하면 되는 거여.

 

곤란하면 곤란한 대로 가고, 넉넉하면 넉넉허니 가지고 가서 모다 선물도 하고 그게 좋지마는, 첫째는 가지고 사람도 그러려니와, 시댁에서도 그거 많이 것으로서 며느리의 점수를 매겨서 되겠느냐 그말이여.

형편이 어려운데 너무 많이 가지고 오면 오히려 그것을 좋아하지 않고, 미리서부터서 조금만 오라고 이렇게 주어야 하거든.

 

며느리가 누구입니까? 생전 사후에 자기의 부모를 버리고 식구로 사람이니, 바로 호적으로 들어와 가지고 나의 혈통을 이어갈 며느리니, 얼마나 소중하냐 그말이여.

어찌든지 자기 뱃속에서 딸보다도 소중히 여기고 귀엽게 주어야 하거든딸은 자기 뱃속으로 낳지마는 결국은 자기를 버리고 신랑 따라서 사람이니까.

 

며느리는 비록 남의 뱃속에서 나왔지마는 자기 부모를 버리고 나의 혈통을 이어주기 위해서 자식과 일심동체가 되어서 손자를 낳아 며느리니,

어쨌든지 처음부터서 그러헌 마음으로 맞아들이고 그러헌 마음으로 안아주면, 얼마나 시부모를 마음으로부터서 존경하고 친정 어머니보다도 좋아할 것이 아니냐 그말이여.

 

그러면은 아들 마음도 편하고, 시부모 마음도 편하고, 며느리 마음이 편해야 식구 마음이 편하고, 뱃속에서 나오는 손주 손녀도 이쁘고 좋은 사람으로 태어날 것이다 그말이여.

 

포태(胞胎) 가지고 포태하기 전부터서 썩고 한탄과 원망, 슬픔과 괴로움, 이러한 마음을 가지고 애기를 포태를 하게 되면 애기가 절대로 훌륭한 자식을 낳을 수가 없습니다.

포태한 뒤에도 계속 썩고 원망하고 슬픔과 원한에 사무치는 마음으로 달을 지내면은 바로 애기가 그런 생각을 먹고 삽니다.

 

낳아 가지고 아무리 잘먹이고 입혀 봤자 뱃속에 있는 동안에 애기의 엄마가 썩고 원망하고 신경질 내고 미워하고 이러한 생각으로 되면은, 애기는 나중에 잘되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이것 태교(胎敎)라고 그러죠.

 

가끔며느리시어머니말씀을 법상(法床) 와서 하게 되는데, 여러 보살님네나 거사님네, 아직 결혼을 청년이나 처녀들, 일단은 결혼을 해야 하고, 결혼을 하면 시부모를 모시게 되고, 자기도 얼마 가면 애기를 포태하고, 애기가 나서 자라면은 며느리를 보게 됩니다.

 

그래서 닦는데 아상(我相) 깨트리는 것이 깨달음에 나아가는 1 단계다.

그래서 금강경에도, 금강경(金剛經) 부처님께서 21 동안 설하신 반야부(般若部) 육백부(六百部) 경전 속에의 권인데, 거기에 21 동안 설하신 법문의 요지가 아상을 깨트리는 것이거든.

아상, 인상(人相), 중생상(衆生相), 수자상(壽者相) 했지마는 결국은 아상이여. 아상(我相) 하나를 무너뜨림으로서 () 들어갈 수가 있기 때문에, 21 동안을 설하신 것이다 그말이여.

 

이것은 도에 들어가는 데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세속에 사는 데에도 아상 그놈 때문에 부부간에도 싸우게 되고, 며느리와 시부모와도 싸우게 되고, 형제간에도 싸우게 되고, 세계가 아상 그놈 때문에 싸우게 되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말해서.

자기 마음을 비우고, 피차 자기 마음을 비우면 사람 마음과 마음이 하나가 되는데, 각자 마음을 주장을 하고, 의견을 주장하고, 내가 옳다고 주장하고, 그런 데에서 남의 의견은 무시하고 짓밟게 되니까, 그래서 싸움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이념의 전쟁, ‘공산주의다 사회주의다 민주주의다 자본주의다하는 이념의 전쟁이 아직도 끝나지를 않고, 앞으로 언젠가는 신앙의 종교의 싸움이 있으리라고 진즉부터 그런 말들이 떠돌고 있습니다.

그것도 역시 이념의 전쟁이나, 종교 신앙의 전쟁도 한마디로 말해서 아상(我相) 때문에 그런 전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가 올림픽을 계기로 해서 세계로 도약할 있는 그러한 오천 역사에 처음 맞이하는 그러한 세계에 도약하는 그런 좋은 계기를 맞이했으면서도 아상(我相), 아애(我愛), 아만(我慢), 아치(我癡), ''라고 하는 그것 때문에 그러한 좋은 도약의 계기를 살려나가지 못하고 앞으로 어떻게 될는지 대단히 걱정스러운 것입니다.

 

노사의 관계가 공장, 회사의 경영자나 거기서 일하는 노동자가 어찌 따로따로 남이겠습니까?

사장이 공장을 지음으로 해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거기에 직장을 얻어 가지고 일을 하게 되고, 노동자가 열심히 일을 잘함으로 해서 회사가 잘되어야 사장도 사업이 번창을 것이고, 아무리 노동자가 일을 할라고 해도 회사 자체가 문을 닫고 망해 버리면은 일자리가 없는 것이고,

다같이 피차(彼此) 위해서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관계이면서 어찌 자기 쪽만 생각하고 웬수처럼 미워하고, 자기 욕심만 챙겨 가지고서야 어떻게 회사가 잘될 수가 있겠습니까?

 

정부와 백성의 관계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정부는 백성이 세운 정부이기 때문에 정부는 백성을 위해서 모든 일을 잘해야 것이고, 백성은 정부가 잘되어갈 있도록 모두가 각자 자기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고 한마음 한뜻이 되어서 열심히 함으로 해서 나라가 다스려지고, 다스려져야 우리나라가 잘될 것입니다.

이러한 일들이 역시 나라고 하는 아만(我慢), 아상(我相) 놈을 비움으로 해서 그것이 가능해 지는 것입니다.

 

앞으로 우리는 필연적으로 남북이 통일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것도 역시 아만(我慢) ‘내가 제일이고 내가 나만이 옳다 주장을 하고 상대방의 의사나 상대방의 처지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대화가 통하지를 않을 것입니다.

항상 사람이 얼굴이 다르면 생각도 다르듯이, 해방 40 년이 지낸 동안 똑같은 민족이면서 체제가 다르니 만큼, 교육제도가 다르니 만큼, 이념이 다른 만큼, 많이 차등이 생겼습니다.

 

아무리 이념이 다르고, 체제가 다르다 하더라도 우리는 단군(檀君) 후예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아무리 38(三八線)이라고 하는 선이 가로막혔다 하드라도 남북이 우리 나라인 것입니다. 언제든지 우리는 통일이 되어야만 하고, 다시는 민족끼리 싸우는 일이 없어야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도 우리는 우리 최상승법을 믿는 사람부터 아만심 먼저 꺾고 아상을 꺾어야만 되는 것입니다. 그런 데에서 상대방을 이해할 있고, 상대방을 도와줄 수도 있고, 대화할 있는 길도 트이는 것입니다.

 

시어머니는 시어머니가 옳다. 속담에방에 들어오면 시어머니 말이 옳고, 부엌에 나가면 며느리 말이 옳다그러는데, 각자 나름대로의 의견이 있겠지만 자기의 의견만을 주장해 가지고서는 대화는 성립이 되지 않습니다.

 

첫째, 어떻게 하면은 아상(我相) 꺾느냐? 분별심(分別心), 눈으로 무엇을 보아도이뭣고?’ 귀를 통해서 무슨 소리가 들리더라도이뭣고?’ 먼저 !

이뭣고?’ 먼저 터억 챙기고 나면처음에는 어렵지만 자꾸 챙기고 챙기고 하면, 나중에는 챙기지 안해도 저절로 챙겨진 때가 오는 것입니다. 무엇이고 항상 똑같은 일을 되풀이하면 그것이 습관이 되고, 습관이 되면 체질화가 되는 것입니다.

 

직장에서 집으로 오고, 직장으로 집으로 오고, 항상 그렇게 댕겨 버릇한 사람은 직장에서 나와 가지고 술을 잔뜩 먹고 완전히 인사불성이 되다시피 그래도 집을 찾아옵니다.

그러냐 하면, 많이 길을 다녔기 때문에 술이 만취가 되어 가지고 전혀 정신이 없는 상태에서도 집을 찾아오는 예는 얼마든지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자꾸이뭣고?’ 하면, ‘ 된다 하지 말고 된다 생각할 겨를도 없이 이뭣고?’ 챙겨. 자꾸 챙기고 챙기고 하면은 나중에는 챙길려고 해도 저절로 챙겨지는 거여.

! 눈에 무엇이 들어왔다 하면이뭣고?’ 먼저 나오거든. 귀로 무슨 소리를 들었다 하면은이뭣고?’ 

 

나중에는이뭣고?’ 순일무잡(純一無雜)해서 타성일편(打成一片) 되면 산을 봐도 산이 보이지 않고, 물을 봐도 물이 보이지를 아니해. 수백 수천 명이 북실거리는 시장 바닥에 가서 있어도 아무것도 보여. 하나도 시끄럽지도 않고.

 

그래서 옛날에는 공부하시던 도인들이 일부러 요중 공부(鬧中工夫) 시험해 보고 익히기 위해서 장날이 돌아오면은 점심밥을 가지고 장터에 가서 복잡하고 시끄러운 가서 어디 한쪽에다가 방석을 하나 놓고 가만히 앉아서 정진을 하고, 점심때가 되면 그놈 까먹고, 그러고 저물 때까지 하다가, 장이 파하면은 토굴에 돌아와서 공부하고. 그러한 분들도 있었다고 그럽니다.

 

화두, 아까 조실 스님께서 화두를 하시는 데에 ()자를어째서 무자(無字)라고 했는고?’ ‘어째서 무자(無字)라고 했는고?’ 아주 , 주먹을 부르쥐고 무릎 위에다가 ! 놓고는 아침부터서 점심, 점심부터 저녁, 저녁부터서 밤에 잠도 주무시지도 않고 그냥,

 

그러다가 예불 시간에 예불을 하시면지심귀명례...”하고 엎드려 가지고는삼계대사 사생자부...” 그냥 엎드려서 잠이 들어 버렸어. “시아본사...”해도 일어나는데 일어나시고 엎드린 예불이 끝날 때까지.

옆에서 쿡쿡 찌르면서일어나라 하니까 입승(立繩) 스님이그거 놔두라. “밤잠 자고 정진하다가 엎드려 있는데 잠시 자게 놔두라.

 

처음에는 수군덕거리고 욕하고 빈정대고, 그렇지만 , 달을 열심히 한결같이 나가니까 대중이 모다보통 애가 아니구나!” 대중 가운데 어린 사람이 그렇게 공부한 것을 보고 모두 사람이 따라서 발심을 가지고 나름대로 모다 가행정진(加行精進) 하고 그랬다고 그럽니다.(3232~5322)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게송) 견색비간색(見色非干色)~’ ; [금강경오가해] 莊嚴淨土分, 야부 게송 참고.

*법왕(法王) ; 부처님을 찬탄하는 . () 가장 수승하고 자재하다는 . 부처님은 법문(法門) 주인이며 중생을 교화함에 자유자재한 묘용(妙用) 있으므로 이렇게 이름.

*삼라만상(森羅萬象) 두두물물(頭頭物物) ; 우주 사이에 벌여 있는 온갖 사물과 현상.

*울고불고 ; 크게 소리 내어 울기도 하고 부르짖기도 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

*무량겁(無量劫) ; 헤아릴 없는 오랜 시간이나 끝이 없는 시간. 劫과 동자(同字).

*삼보(三寶) ; 부처님(佛寶) 부처님의 가르침(法寶) 가르침에 따라 수행하는 집단(僧寶) 3가지를 보배에 비유한 . 이것은 불교를 구성하는 3가지의 중요한 요소임. 삼보(三寶) 귀의하는 것은 불교도로서의 기본적인 조건임.

*법신불(dharma-kaya 法身佛) ; 절대적 지혜의 지고한 상태, 진리 자체를 가리키는 부처님.

*영장(靈長) ; 영묘한 능력을 가진 우두머리. 인간을 다른 생물과 대비하여 이른다.

*진진찰찰(塵塵刹刹) ; ①티끌 수와 같이 무수한 국토를 말한다. ②미세한 티끌 가운데에도 국토가 있다는 .

진진찰토(塵塵刹土), 찰찰진진(刹刹塵塵)이라고도 한다. 진진(塵塵) 티끌. () 산스크리트어 kṣetra 음사. (), (), ()라고 번역. 국토. 세계. . 장소. 영역.

*도리(道理) ; 이치(理致). 생기고 없어지고 변화하는 모든 만유(萬有) 꿰뚫고 있는 법칙.

*대총상(大總相法門) ; 진여(眞如) 가르켜 말함. 진여의 실체. 진여가 광대하여 모든 것을 포섭한 것을 () 하고, 일미 평등(一味平等)하여 차별의 모양을 여읜 것을 총상(總相), 수행하는 이의 모범이 되는 것을 (), 관하는 지혜가 드나드는 것을 ()이라 한다.

*법문(法門 부처의 가르침 / ) : 부처님의 가르침은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 세계를 벗어나, 열반(涅槃) 들게 하는 문이므로 이렇게 이름.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르는 . 진리에 이르는 .

*다잽이 ; 다잡이. 늦추었던 것을 바싹 잡아 .

*보신(報身) ; 부처가 전생에 보살로 있을 세운 서원(誓願) 수행의 과보(果報)로서 받은 . 모든 부처가 법신·보신·화신을 동시에 갖추고 있지만 대표적인 보신불에는 아미타불(阿彌陀佛) 약사여래(藥師如來) 등이 있다.

아미타불은 48가지 서원을 세우고 수행하여 성불한 보신불로서 서방의 극락정토(極樂淨土) 건립하여 중생을 교화하며, 약사여래는 12가지 서원을 세우고 수행하여 성불한 동방의 유리세계(瑠璃世界)에서 중생을 교화하고 있다고 한다.

*화신(化身) ; 부처의 삼신(三身 : 法身, 報身, 化身) 하나로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형상으로 변화하는 불신(佛身).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스승)으로부터 화두공안(公案)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막힌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 나가 화두(공안)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공안 또는 화두(話頭)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2)

 

*아상(我相) ; 산스크리트어 ātma-saṃjñā 나라는 관념·생각.  자아(自我)라는 관념·생각.  자의식.  남과 대립하는 나라는 관념·생각.  실체로서의 자아가 있다고 생각하는 망상.

*아만(我慢 /거만할·게으를 ) ; 스스로를 높여서 잘난 체하고, 남을 업신여기는 마음.

 오온(五蘊) 일시적 화합에 지나지 않는 신체에 불변하는 자아가 있다는 그릇된 견해에서 일어나는 교만. 자아가 실재한다는 교만. 자신을 높이고 남을 업신여김. 자신을 과대 평가함.

안으로 자아를 대상으로 삼아[攀緣] 집착하는 말나식(末那識) 가지 번뇌[我癡我見我愛我慢] 하나.

*법상(法床) ; 법을 설하는 자리. 또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설법하는 스님이 올라앉는 .

*금강경(金剛經) ; 금강경의 완전한 이름은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또는 [능단금강반야바라밀경(能斷金剛般若波羅蜜經)]. 

금강(金剛) 단단하고 날카로움을 뜻하는 다이아몬드를 가리키며, 반야(般若) 지혜를, 바라밀(波羅蜜) 저편 언덕으로 건너는 , 열반에 이른다는 바라밀다(波羅蜜多) 줄임말이다. ‘금강석처럼 견고한 지혜를 얻어 열반에 이르라는 부처의 말씀 뜻하는 것이다.

금강경은 반야경 육백부(六百部) 중에서 577권에 해당되고, 내용이 3백송(三百頌) 정도의 분량이기 때문에삼백송 반야경이라고도 하며, 대략 서기 150~200년경의 대승경전 최초기에 만들어진 경전이라 있다.

금강경은 부처님과 수보리의 문답으로 전개되어, ()사상에 입각하여 집착 없이 보살행을 실천하는 일을 중심 내용으로 대승불교의 기본 사상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인상(人相) ; 사람은 고귀하므로 지옥 중생이나 축생들과 다르다고 집착(執着)하는 견해.

*중생상(衆生相) ; 산스크리트어 sattva-saṃjñā  중생이라는 관념·생각. 부처와 중생을 따로 나누어 같은 중생이 어떻게 부처가 되고 무엇을 있으랴 하고 스스로 타락하고 포기하여 향상과 노력이 없는 소견.

*수자상(壽者相) ; 산스크리트어 jīva-saṃjñā  목숨이라는 관념·생각. 목숨이 있다는 관념·생각. 생명체라는 관념·생각. 자기의 나이나 지위나 학벌이나 문벌이 높다는 것에 집착된 소견.

*아애(我愛)자아에 대한 애착심안으로 자아를 대상으로 삼아[攀緣] 집착하는 말나식(末那識) 가지 번뇌[我癡我見我愛我慢] 하나.

*아치(我癡)자아(自我) 바로 알지 못하는 어리석음안으로 자아를 대상으로 삼아[攀緣] 집착하는 말나식(末那識) 가지 번뇌[我癡我見我愛我慢] 하나.

*단군(檀君) ; 우리 민족의 시조로 받드는 태초의 임금. 단군 신화에 따르면 천제(天帝) 환인(桓因) 손자이며 환웅(桓雄) 아들로 기원전 2333년경 아사달(阿斯達) 도읍을 정하고 조선(朝鮮),  단국(檀國) 세워 2 동안 나라를 다스렸다.

*38(三八線)2 세계 대전의 전후 처리 과정에서 1945 815 맥아더가 발표한일반명령 1 의해 한반도의 38도선 이북의 일본군의 항복은 소련이, 이남의 일본군의 항복은 미국이 접수한· 양국의 한반도 분할점령 군사분계선.

38선은 1953 6 · 25 전쟁이 끝나고 정전협정에 따라 설정된 현재의 군사분계선과 다르지만, 현재까지도 흔히 군사분계선을 삼팔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순일무잡(純一無雜 순수할 /하나 /없을 /섞일 ) ; 대상 자체가 순일(純一) 전혀 이질적인 잡것의 섞임() 없음().

*타성일편(打成一片) : ‘쳐서 조각을 이룬다참선할 화두를 들려고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려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일체처 일체시에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 순수무잡(純粹無雜) 경계.

*요중 공부(鬧中工夫) ; 시끄러운 가운데 하는 공부.

*입승(立繩) ; 선원(禪院)에서 선원의 규율과 질서를 다스리는 직책, 또는 일을 맡은 스님.

*가행정진(加行精進) ; 별도의 노력을 기울여서 하는 정진. 어떤 일정한 기간에 좌선(坐禪) 시간을 늘리고, 수면도 매우 단축하며 정진하는 .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