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생활2015. 9. 26. 13:12

§(세등34) 죽비 경책(警策) / 득도자출(得道者出), 초학자와 같은 마음가짐 / 참다운 용맹정진(勇猛精進) / 공양하는 법 /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법문.

 

신심과 분심과 의단이 한목 돈발하도록 그렇게 해 나가는 , 그것이야말로 참다운 가행정진이요, 용맹정진이다.

밥을 빨리 먹는다고 누가 상을  것도 아니고, 느긋한 마음으로 화두를 들고 공양을 하고, 공양하면서 화두를 놓치지 아니할 만큼 되어야 하거든!

올바르게 그리고 열심히만 해 봐! 어째서 도를 이루지 못할 것인가.  몸뚱이로 반드시 도를 성취하고야만 마는 것입니다.

 

**송담스님(세등선원No.34)—신유년 하안거 반결제 법어(81.05.29) (세등34)

 

약 21분.

 

과연  날씨는 더웁고 모기는 들어와서 물고, 파리는 들어와서 여기 앉았다 저기 앉고, 저기 앉았다 여기 앉고, 불쾌지수가 나날이 이렇게 높아 가는데 어떻게  기간을 지혜롭게 정진을  가느냐? 대단히 어려울 것입니다.

 

죽비()만 치면 5분도  가서 등허리에 땀은 흐르고, 아랫도리에 땀이 배서 중의(中衣)를 적시고, 꾸벅꾸벅 졸음은 오고 더군다나 오후에는  심한데, 어떻게 하면은 그러한 것을  극복을 하면서 알뜰하게 공부를  것인가?

 

정말 신심(信心)과 분심(憤心)과 대의정(大疑情)이 돈발(頓發)을 해서 하루하루를 알차게 정진을 가다듬도록 해야  것입니다.

 

입승(立繩) 스님이 가끔 가끔 죽비로써 경책(警策)을  해서 대중으로 하여금 정신을 차려서 공부를  하도록 그렇게  해주셨으면 좋을 텐데,

입승 스님이 너무 조용하기만을 좋아해서   있으면 말을 아니하고,   있으면 소리를 안 내기를 좋아해서 남이 졸거나 말거나 내버려두고 그래서는 아니  것입니다.

 

졸고 있는 사람을 한번씩 경책을 해서 정신을 차려서 공부를 하도록 해 주는 것도 자비 가운데는  이상   자비가 없는 것이니, 당신만 혼자 너무 오래오래  졸지를 말고, 다른 사람 조는 것을  깨와 주면 자기 자신의 졸음도 깨와지게 되고, 그렇게 해서 너도나도 같이 공부를 잘하게  것입니다.

 

깨와 주면 모다 신심이 나서 공부를 잘할 텐데깨와 주지 않고 마냥 졸도록 내버려두면—정진이라 하는 것은 성성(惺惺)한 가운데에 적적(寂寂)하고, 적적한 가운데에 성성해야지, 혼침(昏沈) 속에 빠져 가지고는 공부가 성성하다고  수가 없어.

 

어떤 사람은 실컷 졸고, 졸다 못해서 엎드려 가지고 코가 땅에가 닿도록 코를 땅에다   코를 골면서 그렇게 있다가 일어나서도, “뭔 잠을 그렇게 자냐?” 그러면 내가 잠을 언제 자냐?”고.

아야 코를 땅에다 대고   사람이 누구냐?”고. “삼매(三昧)에 들었지, 내가 졸기는  졸아야.

! 이래 가지고 깨우면 깨웠다고 신경질을 내고, “나는 삼매에 들었는데  깨우냐?”고.

 

입승이 되어 가지고 그렇게 해서 방선(放禪) 시간이 되어서 시계는 친 지가 오래 되었는데  죽비(竹篦)를  치고, 오줌은 매려 와서 죽겠는데 죽비는  치고 그래서 깨우면은  내가 삼매에 들었는데 삼매에  사람을 깨우는 죄가 얼마나 큰데 깨웠느냐”고 아주 신경질을 내고.

내가 죽비를 안 치드라도 내가 삼매에  것이니까 깨우지 말고 변소에  사람은 갔다오지  깨우지 마라”고. 이렇게 신경질을 내고 하는 분이 어느 남자스님 구참스님 가운데에 있단 말을 들었는데.

 

삼매도 좋지만 우리가 대중이 서로 이렇게 모여서 사는 데에는 어쨌든지 성성하고 적적하게.

혼자 토굴(土窟)에 가서견성(見性)한 뒤에 혼자 토굴에 가서 보림(保任)을  때에는 앉아서 졸거나, 누워서 졸거나, 도량을 거닐거나, 밤잠을 안자고 돌맹이를 짊어지고  산봉우리에서  산봉우리로 댕기거나, 그거야 자기 멋대로 하겠지만.

 

 자리는 득도자출(得道者出)이여. ‘도를 얻은 자는 나가!

도를 얻어서 견성한 사람은 아무데라도 제멋대로 가서 토굴에 가서 살던지, 오장치를 짊어지고 댕기면서 두타행(頭陀行) 하던지, 다리 밑에서 얻어먹고 거지떼 하고 어우러서 살던지그거야 삼천리강산에  곳마다 자기  곳이요, 자기가  곳이요, 자기가 머무를 곳이지만.

 

 자리는 너나   없이    없는 화두 하나만을 거각하고, 규칙에 자발적으로 순응하면서같은 시간에 일어나고, 같은 시간에 공양하고, 같은 시간에 정진을 하고, 같은 시간에 운력을 하면서  같이 금방 들어온 초학자와 같은 마음가짐으로 공부해 나가는 그러한 수도원이다 그말이여.

 

그래서  도량(道場)은 도를 닦아 가는 데에는 가장 이상적인 도량이다. 너나   없이 초학자의 기분으로 도를 닦아 가는 것이다.

나는 구참(久參)이니까 그것을 안 해도 좋고, 신참(新參)이나 그런 것을 해라 그런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구참이  솔선해서  .  숙식 같이 하고 무엇이던지 같이 하면서 오히려 모범을 보이면서 그렇게 하는 것이다 그말이여.

 

그리해야 신참이 배우기가 좋고, 신참들이 구참 하는 것을 보고 따라서 하기 때문에 버럭버럭 수행인으로서의 자질이 갖추어지는 것이다.

 

 

공부는 다른 것이 아니여.

밤잠을 안 자고 하는 것도 가행정진(加行精進)의 하나요, 오후불식(午後不食)이나 일종(一種)을 하는 것도 가행정진의  방법이요, 묵언을 하고 말을 아니 하는 것도 가행정진의  방법이지만,

말을 아니 한다든지, 잠을 안 잔다든지, 또는 밥을 굶는다든지, 이러한 것은 육체적인 면으로 가행정진이 표시된 것이고,

 

진짜 가행정진, 용맹정진(勇猛精進)은 그런 밖으로 표현되지 아니한 정신적인, 마음으로 다져 나가는 채찍질하는 그것이야말로 참으로 참다운 가행정진이요, 용맹정진이다.

신심과 분심과 의단이 한목 돈발하도록 그렇게 해 나가는 , 그것이야말로 참다운 가행정진이요, 용맹정진이다.

 

억지로 잠을 안 잘라고, 억지로 밥을 굶고 억지로 말을 안하고 벙어리 흉내를 해도, 속으로 온갖 시비(是非)에 참견하고, 온갖 분별심을 내고 온갖 번뇌 망상을 하고 시비에 휩싸이고,

화두는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성성적적하게 들리지는 아니하고, 그러면서 잠만 안 자면 무슨 그것을 갖다가 가행정진이라  것이 있느냐.

 

잠을 안 자는 것으로서 가행정진을 삼는다면 불면증이 있어    사람은 벌써 진묵겁(塵墨劫) 전에 견성을 했을 것이고. 등창이 나서 앉은뱅이는 공부를 누구보다도   것이고,

나면서부터 벙어리로 태어난 사람은 뱃속에서부터 도통(道通)해 가지고 나올 것이고, 위장병으로 밥을  먹는 사람은 일찍 도를 통하겠지만은 그러한 것이 아니거든.

 

밥을 굶는다든지, 잠을  잔다든지, 말을 아니한다든지 그것도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분심을 내고 발심을 하고 보다  공부에 보탬이 될까 하는 생각에서 그런 단식이나 오후불식이나 묵언이나 또는  시간  시간을 덜 자고 몸부림을 치고 애를 쓰는 , 대단히 갸륵하고  존경할 만한 일이기는 하지만,

 

근본을 망각하고 형식적인 지엽적인 데에만 치중을 하면 기본축말(棄本逐末)이. 근본은 버리고  지엽 끄터리를 쫓아가는 것이 되어서는 아니 되겠다.

 

물론 뿌리도 튼튼히 하고 가지, 형식도 충실히 한다면 그거야 금상첨화(錦上添花)요,  이상  좋을 수는 없지만,

항시 근본에 대해서  충실할  알면 지엽적인 것은 자동으로 따라가는 것이 최상승(最上乘) 학자의 수행 자세다.

 

 

밥을 먹을   숟갈 떠서 입에다 넣고 그것을 씹으면서 이뭣고?’하며 화두(話頭)가 현전(現前)하도록 하면서 밥을 저작(咀嚼)을 하고,

 오십  내지 팔십  저작을 해서 밥이 완전히 죽이 되도록 씹은 다음에 거기에다가 반찬을  집어넣고   이십  이렇게 씹어서  섞어 가지고 삼키고,

 

 밥을  숟갈 입에다  넣어서  오육십 번, 칠팔십   씹은 다음에 거기다가  반찬을 집어넣고   이십  씹어서 삼키고그렇게 공양을 해 보면 공양을 하면서도 화두가 떠억 들리고, 화두가 들린 상태에서 공양을  수가 있다 그말이여.

 

그런데 도처(到處)에 선방을 보면 밥을 어떻게 빨리국에다 말아서 반찬 넣어서 뚜적뚜적 섞어 가지고는 그냥 우물우물해서 꿀떡, 우물우물해서 꿀떡 삼키고는 그냥,

다른 사람보다도 행여나 뒤질새라 거뜬거뜬거뜬 그저 집어넣고는 먹고 나서 끅끅 트림을 해쌌고, 한동안 속이 더부룩허니 소화가 안되고 그래 가지고는 항시 그저 소화제를 먹어쌌고.

 

그런 데다가 무슨 간식거리가 생기면은 거기다  간식을 하고, 그래 가지고는 항시 그저 선방에 몇 철만 댕겼다 하면은 위장병이  생긴 사람이 거의 없다.

 

밥을 빨리 먹는다고 누가 상을  것도 아니고, 느긋한 마음으로 화두를 들고 공양하고, 공양하면서 화두를 놓치지 아니할 만큼 되어야 하거든!

밥만 들어왔다 하면은 허천난 거지 귀신이 붙은 것처럼 그저 막 우닥닥 때려넣고 화두는 어디  곳이 없고. 그래서는 수행인이라  것이 없어.

 

 먹으면서 화두가 들어지도록 그렇게 단속을 해 가고, 변소에 가서도 화두가 들어지도록 하고, 세수를 하러 가면서 화두를 들고 세수를 하면서도 화두가 들어지도록 하고,

일체처 일체시에,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화두가 여일(如一)하게 들어지도록 이렇게 잡드리를 해 가야  것이다. 그렇게 해서 어찌 공부가 안될 것이냐 그말이여.

 

의심이 간절(懇切)하게 안 들린다하지만 그렇게 다잽이를 하면 머지않아서 순일하게 되는 것이여.

 

그런 사람에게 무슨 시비가 있을 까닭이 없으며, 무슨 잡담이  겨를이 없는 것이며, 공부가 안될라야 안될 수가 없는 거여. ! 그렇게 한철을 지내봐. 얼마나 기가 막힌가.

 

그렇게 공부를 아니하고 형식적으로 죽비 치면 돌아앉고, 돌아앉아서 죽비만 쳤다 하면은 그저 졸고, 방선 죽비만 쳤다 하면 그저 잡담하고 그저 이러쿵저러쿵 해쌌고그런 식으로 해 봤자 3, 4, 10, 30년을 선방으로 돌아댕겨 봤자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이여.

 

 

우리가 과거에 무슨 깊은 인연을 맺어서 이렇게  지붕 밑에서 한솥밥을 먹으면서 이렇게 정진을 하며, 이렇게 최상승(最上乘) 공부를 하게 되었는가?

숙명통(宿命通)이 열리기 전에는  수가 없는 일이지만, 숙명통이  열렸다 하더라도 인과법(因果法)으로 미루어서 보면, 숙명통으로  것이나 다름없이 짐작을  수가 있는 거여.

 

구체적으로는  수가 없지만 반드시 과거에  부처님 밑에서나, 같은 선지식(善知識) 밑에서 같이 공부한 , 두 생이 아니라 여러 생을 그렇게 공부를 해왔기 때문에 금생에  우리가 이렇게  회상(會上)에서 이렇게 지내게  것이다.

 

 인연이 깊고 깊은 것을 헤아릴 수가 없어.

이러한 좋은 그리고 깊은 인연이 반드시 견성성불 할  있도록, 그러한 결과가 빠른 장래에 오도록 우리가 서로 밀고 잡아댕기면서, 앞에서 끌고 뒤에서 밀면서 공부를 알차게 해 나가야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공부는 공연히 조급한 마음을 낸다고 해서 그건 잘한 것이 아니여.

조급한 마음을 내면마치 거문고 줄을 고를  너무 되게 줄을 땡기면은 줄이 끊어지거나, 끊어지는 소리가 나는 게고,  끊어질까 두려워서 너무 느슨하게 줄을 매면 딩딩 해 가지고  음가가  나올 것이다 그말이여.

 

정진도 너무 급한 마음으로 볶아대도 오히려 병이 나고 부작용만 나지, 도업(道業)은 성취하기가 어려운 것이고.

그렇다고 해서 너무 늘어져 빠져 가지고 행여나 병이 날까 봐서 노인 장에 가듯이 너무 그냥 몸을 애끼고 새리고 그래도 그것도 못쓰는 게고그걸  알아서 지혜롭게 공부를 다그쳐 나가면 반드시 도는 이루고야만 마는 것이여.

 

부처님께서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에 말씀하시기를,

“한 나무 끌텅이   상류에서 강물을 따라서 흘러가는데, 가다가 중간에 걸리지 아니하고, 양쪽 언덕에도 걸리지 아니하고, 가다가 썩지만 아니한다면 그리고서 계속  따라서 내려가면 반드시 바다에 이르르고만  것이다 이러한 비유의 말씀을 하셨는데,

 

도를 중간에 가서 쉬지 않거나 또는  생각으로...(녹음 끊김)  법문이 기가 막히게  요긴하고 핍절(逼切)한 법문이다 그말이여.

 

올바르게 그리고 열심히만 해 봐! 어째서 도를 이루지 못할 것인가?  몸뚱이로 반드시 도를 성취하고야만 마는 것입니다.

 

 

수설운산천만사(雖說雲山千萬事)라도  해천명월본무언(海天明月本無言)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비록 운산(雲山)에 천만사(千萬事)를 말한다 할지라도 구름과 같이, 산과 같이 천 가지 만 가지 말을 한다 할지라도  바다 위에 하늘에 떠있는  밝은 달은 본래 말이 없느니라.(269~4730)()

 

 

 

 

 

---------------------

 

*죽비( 대나무 /빗치개·통발 ) ; 예불이나 참선 정진할   죽비를 손바닥에 쳐서 소리를 내어 시작과 끝을 알리는데 쓰는 불교 용구.

*중의(中衣) ; 남자의 여름 홑바지.
*신심(信心) : ‘내가 바로 부처다 따라서 부처는 밖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요, 일체처 일체시에 언제나  몸뚱이 끌고 다니는 주인공,  소소영령한 바로 이놈에 즉해서 화두를 거각함으로써 거기에서 자성불(自性佛) 철견을 해야 한다는 믿음.

*분심(憤心) : 과거에 모든 부처님과 도인들은 진즉 확철대오를 해서 중생 제도를 하고 계시는데, 나는  여태까지 일대사를 해결 못하고 생사윤회를 하고 있는가. 내가 이래 가지고 어찌 방일하게 지낼  있겠는가. 속에서부터 넘쳐 흐르는 대분심이 있어야. 분심이 있어야 용기가 나는 것이다.

*의심(疑心, 疑情) : ‘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자기의 본참화두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돈발(頓發 갑자기 /일어날·나타날·밝힐 ) ; 일정한 단계를 밟지 않고 직접적, 비약적으로 일어나는. [참고]  - 直頓의 , 곧바로.

*입승(立繩) ; 선원(禪院)에서 선원의 규율과 질서를 다스리는 직책, 또는  일을 맡은 스님.

*경책(警策 깨우칠 /채찍·회초리 ) ; 선방에서 대중이 좌선할  졸거나 자세가 흐트러지는 스님의 어깨를 쳐서 졸음을 깨워 정진을 독려하는 행위. 또는 그때 사용하는 장군죽비를 가리키기도한다.

*장군죽비(將軍竹) ; 보통 죽비() 예불이나 참선 정진할   죽비를 손바닥에 쳐서 소리를 내어 시작과 끝을 알리는데 쓰는 40~50센티의 불교 용구인데, 장군죽비는 참선할  졸거나자세가 흐트러진 수행자의 어깨를 쳐서 졸음을 쫓는  1.5~2m  죽비.

*성성적적(惺惺寂寂) ; 정신이 고요하면서도 깨끗하고 또록또록  상태.

*혼침(昏沈 어두울 , 잠길 ) ; ①정신이 미혹(迷惑)하고 흐리멍덩함. ②좌선할  정신이 맑지 못하여 잠에 빠지거나 무기공(無記空) 떨어진 상태.

*삼매(三昧) : () ①계()•()•() 3학의 하나。②[] samadhi 음대로 써서 삼마지(三摩地)•삼마야(三摩耶) 또는 삼매(三昧)라고 한다. 마음이 움직이지 않아서 생각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지 않음을 말한다.

*방선(放禪) ; 좌선을 하거나 불경을 읽는 시간이  되어 공부하던 것을 쉬는 . 몸을 쉬는 가운데서도 마음은 항상 본참화두를 들고 있어야 한다.

*토굴(土窟) ; 사전적인 원래의 뜻은 땅을 파고 위에 거적 따위를 얹고 흙을 덮어 추위나 비바람만 가릴 정도로 임시로 지은 이나, 근래에 절에서 쓰이는 의미는 대중이 함께 거주하는 사찰()’ 대비되는 의미로, 어떤  형태와는 관계없이 스님의 개인의 수행 거처 말함.

*견성(見性) : ‘성품() 본다()’ 말인데 진리를 깨친다 뜻이다。자기의 심성을 사무쳐 알고, 모든 법의 실상인 당체(當體) 일치하는 정각(正覺) 이루어 부처가 되는 것을 견성 성불이라 한다.

*보림(保任 보임) ; 선종(禪宗)에서 깨달은 뒤에 더욱 갈고 닦는 수행. 흔히 보림이라 읽는다. '보임' 보호임지(保護任持) 준말로서 찾은 본성을  보호하여 지킨다 뜻이다.

*오장치 ; ‘오쟁이 사투리. *오쟁이 : 물건을 정돈하거나 담아 두기 위하여 짚을 엮어서 만든 작은 (곡식을 담기 위해 짚으로 엮어서 만든 자루).

*두타행(頭陀行) ; ‘두타의 수행 말한다. 두타(頭陀)는 산스크리트어 dhūta(흔들어 떨어뜨린다, 버리다, 씻다 등의 ) 음역(音譯)으로 번뇌의 티끌을 떨어 없애고, 의식주에 탐착 하지 않고 오로지 청정하게 불도(佛道)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두타행에 12종이 있는데, ①재아란야처(在阿蘭若處, 인가人家를 멀리 떠나  숲이나 광야의 한적한 곳에 있는 ). ②상행걸식(常行乞食, 항상 밥을 빌어서 생활한다). ③차제걸식(次第乞食, 빈부를 가리지 않고 차례로 걸식한다). ④수일식법(受一食法,  자리에서 먹고 거듭 먹지 아니한다). ⑤절량식(節量食, 발우 안에  것만으로 만족한다). ⑥중후부득음장(中後不得飮漿, 정오가 지나면 과일즙이나 사탕 따위도 먹지 아니한다).

⑦착폐납의(着弊衲衣, 헌옷을 빨아 기워 입는다). ⑧단삼의(但三衣, 重衣·上衣·內衣 밖에는 옷을 갖지 않는다). ⑨총간주(塚間住, 무덤 곁에서 살면서 무상관無常觀을 닦는다). (10)수하지(樹下止,  때에는 정자나 집을 택하지 않고 나무 밑에서 쉰다). (11)노지좌(露地坐, 나무 아래에서 자면 습기, 새똥, 독충의 피해가 있으므로 露地에 앉는 ). (12)단좌불와(但坐不臥, 앉기만 하고 드러눕지 않는다).

*도량(道場) : ①붓다가 깨달음을 이룬 ,  붓다가야의 보리수(菩提樹) 아래를 말함. ②불도(佛道) 닦는 일정한 구역. 수행하는 . ③사찰. [참고] ‘도장으로 일지 않고 도량으로 읽음.

*구참(久參) ; 오랫동안 참선한 수행승.

*신참(新參 ·처음 /참구할·참여할 ) ; 단체나 부류에 새로 참가하거나 들어옴. 또는 그런 사람.

*가행정진(加行精進) ; 별도의 노력을 기울여서 하는 정진. 어떤 일정한 기간에 좌선(坐禪) 시간을 늘리고, 수면도 매우 단축하며 정진하는 .

*오후불식(午後不食) ; 정오(正午),  열두  지나면 먹지 않는 .

*일종(一種) ; 일종식(一種食). 하루에  끼만 먹는 .

*용맹정진(勇猛精進) ; 두려움을 모르며 기운차고 씩씩한 그리고 견고한 의지로 한순간도 불방일(不放逸)하는, 열심으로 노력하는 정진.

*시비(是非) ; ①옳으니 그르니 하는 말다툼. ②이러니저러니 좋지 않게 트집을 잡아서 말함. ③옳고 그름.

*행주좌와(行住坐臥) 어묵동정(語默動靜) ; 사람이 일상적으로 하는 일체의 행위.

*진묵겁(塵墨劫) ; 티끌이 쌓여 ()  만큼의 오랜 시간.

*도통(道通) ; ①사물의 이치를 깨달아 훤히 통함. ②깨달음.

*금상첨화(錦上添花) ;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 뜻으로, 좋은  위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현전(現前) ; 앞에 나타나 있음.

*저작(咀嚼 씹을 , 씹을 ) ; 음식물을 입에 넣고 씹음.

*도처(到處 이를 ,  ) ; 여러 .

*허천나다 ; (사람이)몹시 굶주리어 지나치게 음식을 탐하다. ②어떤 일에 염치없이 욕심을 부리다.

*여일(如一)하다 ; (사람의 언행이)처음부터 끝까지  같거나 변하지 아니하다.

*잡드리 ; ‘잡도리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대책.

*간절(懇切 간절할·정성스런 /정성스런·절박할 ) ; ①지성(至誠)스럽고 절실(切實). ②정성이나 마음 씀씀이가 더없이 정성스럽고 지극함. ③마음속에서 우러나와 바라는 정도가 매우 절실함.

*다잽이 ; 다잡이. 늦추었던 것을 바싹 잡아 .

*최상승(最上乘) ; 더할 나위 없는 뛰어난 교법. 최상의 가르침. 가장 뛰어난 가르침.

*숙명통(宿命通) : 수행으로 갖추게 되는 여섯 가지의 불가사의하고 자유 자재한 능력인 육신통(六神通) 하나로, 나와 남의 전생을 아는 자유 자재한 능력.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

*회상(會上) ; ①대중이 모여서 설법을 듣는 법회. 또는  장소. ②대중들이 모여서 수행하는 공동체   장소.

회상(會上)’이란 말은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 영취산(靈鷲山)에서 제자들에게 설법을 하면서 함께 모인 것을 영산회상(靈山會上)’이라 부른 데에서 유래한다.

*도업(道業) ; () 깨달음. () 영위(營爲-일을 계획하여 꾸려 나감). 불도(佛道) 수행. 진리의 실천.

*새리다 ; ‘사리다(짐승이 겁을 먹고 꼬리를 다리 사이에 구부려 끼다)’ 사투리.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 후한(後漢) 가섭마등(迦葉摩騰), 축법란(竺法蘭) 함께 한역.

(), 무상(無常), 무아(無我), 보시(布施), 애욕의 단절  불교의 요지를 42장에 걸쳐 적절한 비유로써 간명하게 풀어 설한 (). 최초의 한역(漢譯) 불경으로 알려지고 있다.

*끌텅 ; ‘그루터기(풀이나 나무 따위의 아랫동아리. 또는 그것들을 베어 내고   남은 밑동)’ 사투리.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에 말씀하시기를, “한 나무 끌텅이   상류에서 ...(중략)...반드시 바다에 이르르고만  것이다 ; 『사십이장경』 27번째 장(章), '무착득도(無著得道)'

 

[참고] **송담스님(No.210)—83 칠석법회(83.08.15)에서.

부처님께서 아란 존자를 데리고 무능적국(無能敵國) 들어가셔서 항하(恒河) 강변을 지나고 계실 때에, 마치  수행승이 부처님 곁으로 다가와서 법문을 청했습니다.


부처님께서  수행승에게 무슨 법문을 해주셨냐 하면은 마치 그때에 갠지스  가운데에  나무 기둥 하나가 떠내려오고 있었습니다.


 기둥을 부처님께서 가리키시면서,

 기둥을 봐라!  나무 기둥이 이쪽 언덕에도 걸리지 아니하고, 저쪽 언덕에도 걸리지 아니하고,   중간에도 걸리지 아니하며,  강물의 소용돌이 속에도 들어가서 뱅뱅 맴돌지 아니 하면, 결국은  나무 기둥은 흐르고 흘러서 마침내는  바다로 도달하고  것이니라


그러면 이쪽 언덕에 걸리지 않는다 것은 무엇이냐 하면은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냄새 맡고, 혀로 맛보고, 몸뚱이로 감각하고, 생각으로 알고 하는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 걸리지 아니하는 것을 말하는 게고,


저쪽 언덕에도 걸리지 아니한다 말은 안이비설신의의 상대가 되는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 바깥 경계에도 집착하지 아니한다고 하는 것을 비유한 것이고,


중간에 걸리지 아니한다 하는 것은 눈으로 어떠한 () 보면 속에 안식(眼識)이라 하는 것이 생기고, 귀로 바깥 경계 소리를 들으면 속에 이식(耳識)이라고 하는 것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래서 육식(六識) 생기기 때문에  육식에도 걸리지 아니한다고 하는 것을 비유한 것입니다.


그리고 물의 소용돌이 속에 걸리지 아니한다하는 것은 학문이나 경전이나 그러한 것을 보다가 알음알이에 집착을 한다고 하는 데에 비유를  것입니다.


요새 불자 가운데에 지성인 측에서 교리적으로 공부하기를 좋아하고 그러는데,

무슨 경전이나  부처님의 소중한 진리가 담겨있는 법문이기는 사실이나, 그러한 경을 올바르게 보지를 못하고 사량분별로 따져서 알아들어가는 데에 맛을 붙여가지고 그렇게 해서 거기에 집착을 하면,

 나무토막이 강물에 떠내려가다가 뱅뱅 뱅뱅 도는  소용돌이 속에 한번 들어가면 밤낮  자리에서 돌기만하고 거기서 빠져나오지를 못하기 때문에 바다에는 도달을 못하고 마는 것입니다.


불법(佛法) 이쪽에도 걸리지 아니하고, 저쪽에도 걸리지 아니하고, 중간에도 걸리지 아니하고, 소용돌이에도 머꾸지를 않는다면 반드시 깨달음에 이르고 마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의 법문을  수행승에게 해주셨습니다.  법문을 듣고  수행승은 깨달음을 얻고 떠났습니다.

부처님의  나무 기둥[大方梁]’ 비유 설법, 목동·두꺼비 인과 설화 ; 대정신수대장경 24 No. 1448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藥事) 11 참고.

*핍절하다(逼切-- 핍박할·가까이할· /정성스러울·절박할 ) ; 진실하여 거짓이 없고 매우 간절하다.

Posted by 닥공닥정
신심(삼요)2014. 4. 20. 13:57

§(세등18) 스님과 관세음보살의 경책.

 

**송담스님(세등선원No.18)-하안거 결제 법어(78.4.17)에서 (세등18)

 

약 14분.

 


옛날에 한 스님이 있었는데 그 스님은 철저히 발심(發心)을 해가지고 오직 몸과 목숨을 바쳐서 참선(參禪)허는 그 돈독한 마음 하나 밖에는 없었습니다.
선방에도 지내고, 전국 방방곡곡에 선지식(善知識)도 다 친견허고, 여기저기 좋은 선방 다 다니면서 참선을 했지마는, 아무리 애를 써서 해도 바닥이 나지 않어.

그래서 할 수 없이 저 지리산 칡덩쿨 우거진 깊은 산중에 들어가서, 이리저리 토굴(土窟)을 하나 지어가지고 그것을 공부를 허는데, 늦가을이 지나고 초겨울이 다가왔습니다.

그해도 탁발(托鉢)을 해다가 보리쌀 몇 말 얻어다 놓고, 나무를 줍고 산에 과일도 좀 따고 해서,
준비를 해 놓고 삼동(三冬) 공부를 들어갈라고 허는데,
해가 저물었는데 어디서 부인 한 분이 광주리에다가, 산에 모다 과일•산초도 따고 나물도 캐고 더덕도 캐고 그래 가지고 한바구니 해가지고는 들어와서, ‘해가 저물었으니 오늘 저녁 여기서 하룻밤 자고 갑시다.’

그 그날부터서 결제(結制)에 들어가서 삼동을 들어갈려고 허는데, 부인이 떡 와서 자자고 허니,
그 깊은 산중에 길을 찾지 못하고 자고 가자고 허니 안 재울 수도 없고 또 청정한 계율을 지키면서 공부하시는 비구(比丘) 스님인데, 아! 부인하고 같이 잘 수도 없고,

방이나 하나, 조그마한 됫박 방에 천상 같이 몸을 맞대고 같이 잘 수 밖에는 없게 되았는데, 그렇다고 해서 안 재우면은 산중에서 호랭이는 더글더글하고,
‘부처님 자비심으로 오늘 저녁에 천상 날새기를 헐 수 밖에는 없구나’ 이리 생각하고,
‘그러면 하루 저녁을 여기서 지내십시오.’

그날 저녁에 같이 한방에서 지내게 되는데 그 스님은 앉은채 떠억 참선을 허고,
부인도 스님이 안 주무시는데 잘 수는 없고, 앉어서 그저 벽에다 대고 졸다가 눈을 떴다가 그 갖은 몸부림을 치면서 하루 저녁을 지내는데, 밤중 자정(子正)이 넘으면서부터서 눈이 퍼부섰습니다.
눈이 와가지고 눈이 어떻게 많이 왔던지 도저히 그 이튿날 해가 떴지마는 길이 맥혀서 갈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가지를 못하고 하루를 지내고, 이틀•사흘이 되아도 눈이 녹지를 않고 길이 꽉 막혀서, 한 해 겨울을 같이 지낼 수 밖에 없었습니다.

겨울이 지내고 봄이 되아도 눈이 녹지를 않고 그래서 천상-2월•3월•4월이 될 때까지 눈이 안 녹아서-그 눈 속에서 여섯 달을 같이 지내는데,

아, 그 부인도 ‘대관절 그 스님 앉어서 무엇을 생각합니까?’
‘참선을 헌다고.’
‘아, 그러면 나도 좀 가르쳐 주시쇼. 나도 그 앉어서 심심허니 나도 참선을 좀 가르쳐 주시오.’

앉은 자세-허리를 쭉 펴고, 고개를 반듯허게 들고, 아금니를 지긋이 물고서 혀는 위로 꼬부려서 입천장에다 딱 갖다가 대고, 눈은 평상으로 뜨고, 그리고서 몸을 그렇게 단정허게 가진 다음에 심호흡을 허는데,

숨을 깊이 들어마셔 가지고 아랫배가 볼록해지도록 들어마셔. 들어마신 다음에는 딱 정지를 해. 3초 동안 정지를 했다가 조용허니 숨을 내쉬는데, 숨을 내쉼에 따라서 볼록해졌던 배가 차츰차츰 차츰차츰 홀쪽해지도록.
다 내쉰 다음에는 또 수르르르 숨을 들어마시는데, 들어마심에 따라서 아랫배가 차츰차츰차츰 볼록해지도록. 다 들어마셨으면  들어마신 상태로 딱 정지를 헌 상태로 3초 동안을 머물렀다가 또 조용허니 숨을 내쉬어. 다 내쉬면 배가 홀쪽해지고.

이렇게 몸을 단정히 허고 그 다음에는 배로 숨을 심호흡을 하고.
숨을 들어마셔 가지고 3초 동안 머물렀다 내쉬면서 ‘이뭣고~~~?’허면서 숨을 내쉬어.
다 내쉬었으면 또 수르르르 들어마셔. 들어마셨다 3초 동안 머물렀다 내쉬면서 ‘이뭣고~~~?’
이렇게 가리켜 주었습니다.

그러면은 우리가, 나는 부인 여자고, 스님은 남자 스님이고 그러니 이 좁은 방에서 이불을 덮고 나란히 잘 수도 없는 것이고, 기왕 우리가 자지 않고 앉어서 샐 바에는 참선을 용맹정진(勇猛精進)을 허기로 약속을 했습니다.

그래서 한 사람은 이쪽에, 한 사람은 저쪽에 앉아서, 가운데에다 기다란한 작대기를 하나 갖다 놓고,
스님이 졸면은 그 부인이 작대기로 스님 대골통을 탁 때리고, 또 부인이 졸면은 그 스님이 작대기로 부인 머리빡을 탁 때리고. 이렇게 해서 피차 잠을 깨워주면서 참선을 허기로 했습니다.

 그 부인이 처음에는 온 산중을 다니면서 더덕도 캐고 나물도 캐고 산초도 따고 허면서, 이 산과 산골짜기를 헤맸으니 좀 졸음이 오겠어요? 스님한테 밤새도록 얻어 맞았습니다.
맞었는데 이틀, 사흘, 열흘, 보름 이렇게 지내가면서 차츰차츰 그 보살은 잠을 덜 자고, 아! 스님이 자꾸 조는데 어떻게 맞었던지 대가리가 뿔이 많이 돋아났습니다.

‘스님! 나는 인자 참선법을 처음 배웠는데, 나가 처음에는 많이 맞았지마는 스님이 그렇게 맞으니 참 안되았습니다. 그러나 서로 맞기로 약속을 했으니 안 때릴 수도 없고 단단히 정신을 채려야 겠습니다.’

아! 이러면서 때리는데, 어떻게 되게 때려 부리던지 기가 막혀서,
아, 그러는 가운데 스님도 정신을 바짝 차려가지고 이를 악물고 눈을 부릅뜨고 참선을 허는데, 아! 그러다가 석달이 지내고, 석달이 되아도 눈이 안 녹아서 다시 석달해서 6개월이 되는데,

아, 하루는 달이 훤허니 밝은데 같이 이를 악물고 용맹정진을 허는데,
아! 졸음도 안 오는데, 깜빡할 사이에-분명히 졸지 안 했는데 깜빡허는데,
아! 그 보살이 탁 대골통을 때려부렸네. 깜짝 놀랜 바람에 툭 깨쳐 버렸거든.

깨쳐 놓고 보니 기가맥히다 그말여. 그래서 그냥 어떻게 감개무량(感慨無量)해서 눈물이 비오듯 쏟아지면서 일어서서 그 보살 앞에 오체투지(五體投地)로 절을 했습니다.

절을 허며 ‘내가 깨달았오.’
‘무엇을 깨달았냐? 깨달은 도리를 일러라. 대관절 스님이 깨달랐다니 옳게 깨달랐는지, 잘못 깨달랐는지 나도 한번 들어 봅시다. 그 깨달은 도리(道理)를 한번 일러 보시오.’

답착평추경사철(踏著秤鎚硬似鐵)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답착평추(踏著秤鎚)하니 경사철(硬似鐵)입니다. 저울대 추를 밟으니 굳기가 쇠와 같습니다.’
아,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저울대 추를 밟으니 굳기가 쇠와 같다고 허니 그 도리가 무엇인지 다시 한번 일르시오.’

무수호손(無鬚猢猻)이 도상수(倒上樹)니다.  나무~아미타불~
‘수염 없는 원숭이가 나무를 거꾸로 올라간다.’

그 보살이 그 말을 듣고 무릎을 탁 치면서,
‘스님, 출가해서 30년 수고 많이 했습니다. 나는 다른 사람이 아니고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인데, 스님이 목숨 바쳐서 정진헐랴고 허는 그 신심(信心)이 장해서 내가 이 한 해 겨울을 결정코 스님으로 하여금 견성성불(見性成佛)허도록 허기 위해서 내가 화현(化現)으로 나타났소. 그러니 행여나 어디 나가서 관세음보살을 보았다고 말을 허지 마시오.’

그러니까 그 스님이 일어서서 다시 절을 허고 얼굴을 드니까 간 곳이 없었습니다.

우리가 참으로 목숨 바쳐서 목숨 바쳐서 용맹정진을 허게 되면,
반드시 관세음보살이나 문수보살(文殊菩薩)이나 보현보살(普賢菩薩)과 같은 그러헌 성현이 나타나서 우리로 하여금 깨달을 수 밖에 없도록 경책(警策)을 해 주시는 것입니다.(13분47초~26분49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발심(發心) ; ①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② 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원어)發起菩提心발기보리심, 發菩提心발보리심.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벗.
*토굴(土窟) ; 사전적인 원래의 뜻은 ‘땅을 파고 위에 거적 따위를 얹고 흙을 덮어 추위나 비바람만 가릴 정도로 임시로 지은 집’이나, 근래에 절에서 쓰이는 의미는 대중이 함께 거주하는 ‘사찰(절)’과 대비되는 의미로, 어떤 집 형태와는 관계없이 스님의 ‘개인 거처’를 말함.
*탁발(托鉢 밀 탁, 바리때 발) ; 스님이 경문을 외면서 집집마다 다니며 보시를 받음.
*삼동(三冬) ; 겨울철의 석 달.
*결제(結制 맺을 결,만들•법도 제) ; 안거(安居)에 들어감. 하안거는 음력 4월 15일에 들어가며, 동안거는 음력 10월 15일에 들어간다.
*비구(比丘) ; 출가하여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남자 승려. 걸식하는 남자 수행승.
산스크리트어 bhikṣu 팔리어 bhikkhu의 음사. 걸사(乞士)·파번뇌(破煩惱)·파악(破惡)·포마(怖魔)라고 번역.
*됫박 ; '되'를 속되게 이르는 말.
* ; 곡식, 가루, 액체 따위를 담아 분량을 헤아리는 데 쓰는 그릇. 주로 사각형 모양의 나무로 되어 있다.
*천상 ; 천생(天生). 어쩔 수 없이.
*날새기 ; 저녁, 밤을 지나 날이 밝아 올 때까지 자지 않는 것.
*이뭣고? ; 분류 ‘이뭣고 화두’ 참고.
*이뭣고? (이 무엇고 是甚麼 시심마,시삼마) : ‘이 무엇고? 화두’는 천 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 무엇고?」(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어떤 일이 일어난 그 자리)를 찾는 것이다.
*대골통, 머리빡 ; ‘머리’를 격이 낮게 이르는 말.
*용맹정진(勇猛精進) ; 견고한 의지로 한순간도 불방일(不放逸)하는, 열심으로 노력하는 정진.
*감개무량(感慨無量) ; 마음에 깊이 사무치는 느낌이 그지없음(이루 다 말할 수 없음).
*오체투지(五體投地) ; 신체의 다섯 부위를 땅에 닿게 하는 절. 먼저 두 무릎을 꿇고 두 팔을 땅에 댄 다음 머리가 땅에 닿도록 한다.
*도리(道理) ; 이치(理致). 생기고 없어지고 변화하는 모든 만유(萬有)를 꿰뚫고 있는 법칙. 모든 것에 두루 통하는 진리. 진리와 결합된 이론이나 증명. 타당한 이치.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대자대비(大慈大悲)의 마음으로 중생을 구제하고 제도하는 보살.
관세음(觀世音)은 산스크리트어 avalokiteśvara의 번역, 보살(菩薩)은 산스크리트어 bodhi-sattva의 음사인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
세간(世間)의 중생이 갖가지 괴로움을 받을 때, 그의 이름을 부르면 그 음성(音聲)을 듣고(觀) 대자비와 지혜로써 자유 자재로 중생을 괴로움에서 벗어나게 해 준다는 보살.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 보처(補處).
또 자재롭게 보는 이(觀自在者), 자재로운 관찰 등의 뜻으로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이라 한다. 또 광세음(光世音)·관세음(觀世音)·관세자재(觀世自在)·관세음자재(觀世音自在) 등으로 쓰며 줄여서 관음(觀音)이라 한다.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 보아 깨달아 부처가 됨.
*화현(化現) ; 부처님이나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각(各) 중생의 소질에 따라 여러 가지로 모습을 바꾸어 이 세상에 나타나는 것. 화신(化身)이라고도 한다.
*문수보살(文殊菩薩) ; 문수사리보살(文殊師利菩薩). 부처의 완전한 지혜를 상징함.
문수사리는 산스크리트어 만주슈리(mañjuśrī)의 음사. 문수시리(文殊尸利),만수실리(蔓殊室利)라고도 쓴다.
‘문수’는 묘(妙, 신묘하다, 훌륭하다), ‘사리’는 길상(吉祥, 상서로움)의 뜻이다. 묘길상(妙吉祥)·묘덕(妙德)·유수(濡首)라 번역. 석가모니불을 왼쪽에서 보좌하는 보살
문수보살은 일반적으로 연화대에 앉아 오른손에는 지혜의 칼을, 왼손에는 푸른 연꽃을 들고 있다. 그러나 때때로 위엄과 용맹을 상징하는 사자를 타고 있기도 하고, 경권(經卷)을 손에 든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도 많다. 문수보살은 지혜의 완성을 상징하는 화신(化身).
≪화엄경≫ 속에서도 문수 보살은 보현보살(普賢菩薩)과 함께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의 양쪽 협시 보살(挾侍菩薩)을 이룸.
*보현보살(普賢菩薩) ;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은 보살. 한량없는 행원(行願)을 상징함.
산스크리트어 사만타바드라(Samantabhadra). 삼만다발타라(三曼多跋陀羅)라고 표기. 보현(普賢), 편길(遍吉)이라 한역. 경전을 수호하고 널리 퍼뜨리며, 불법을 펴는 보살.
연화대에 앉거나 여섯 이빨을 가진 흰 코끼리를 타고 있다. 석가모니불을 오른쪽에서 보좌하는 보살.
보현보살은 또 중생의 목숨을 길게 하는 덕을 가졌으므로 연명보살(延命菩薩)이라고도 한다.
모든 보살들은 다 각각 부처님 공덕의 어느 한 부분만을 나타내어 그것이 그의 특징이 된다.
*경책(警策 깨우칠 경,채찍 책) ; 타이르고 채찍질하여 깨우치게 하는 것.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