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중현 체중현 공(空)2018. 10. 19. 17:01

 

 

§(427) (게송)욕득불초무간업~ / 중봉선사의 돈오점수에 대한 말씀. 별립생애 / (게송)참선수투조사관~ / 깨달음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보다는 바로 활구참선을 해서 생사해탈을 하라.

 

**송담스님(N0.427)—90년 10월 첫째일요법회(90.10.07) (용427)

 

(1) 약 21분.

(2) 약 9분.

 

(1)------------------

 

욕득불초무간업(欲得不招無間業)인댄  막방여래정법륜(莫謗如來正法輪)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정야장천일월고(靜夜長天一月孤)한데  지음자유송풍화(知音自有松風和)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욕득불초무간업(欲得不招無間業)인댄, 무간업(無間業), 무간지옥(無間地獄)에 떨어질 죄업을 부르고자 하지 않거든,

막방여래정법륜(莫謗如來正法輪)이다. 정법륜(正法輪)을 비방하지 말아라.

 

정야장천일월고(靜夜長天一月孤)한데, 고요한 밤 긴 하늘에 한 달이 외로이 밝았는데,

지음자유송풍화(知音自有松風和)로구나. 지음(知音)은 스스로 솔바람이 있어 화답하는구나.

 

 

요새 송광사, 전라도 순천 송광사에서 동양 서양의 세계적인 불교 석학들이, 교수 · 박사 그런 분들이 모여서 돈오(頓悟) · 점수(漸修)에 대해서 갑론을박하며 '돈오 · 점수의 바른 뜻이 무엇이냐?' 이런 것에 대해서 상당히 열기를 가지고 논란을 하고 있다고 하는 소식을 불교신문을 통해서 봤습니다.

 

불교의 목적이 확철대오(廓徹大悟)해서 생사해탈(生死解脫)하는 것이 목적이니—돈오(頓悟)란 말은 확철대오란 말인데, 확철대오와 또 확철대오한 뒤에 점수(漸修)해 나가는, 오후보림(悟後保任) 한다고 보통 말들 합니다마는.

 

'확철대오 했으면 그것으로써 더이상 닦을 것이 없어야지, 확철대오한 뒤에 점점(漸漸)이 닦아 갈 것이 있다면 어찌 그것이 참다운 확철대오라 할 수가 있겠느냐. 닦아 갈 것이 있다면 확철대오가 아니다'

이런 것에 대해서 논란을 갖는다고 하는 것은—'참 깨달음'이란 과연 무엇인가? 참선을 해 가지고 그 애를 쓰는데 결국은 깨달음을 목적으로 해서 고행 정진을 한다면 참다운 깨달음을 얻어야지 바르지 못한 깨달음을 깨달음으로 착각을 해서야 되겠느냐?

이러한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 학자들이 모여서 세계 국제학술대회를 갖는다고 하는 것은 참 뜻깊은 일이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이것은 한국의 어느 큰스님이 이 돈오점수에 대한 책을 내 가지고 그 책을 낸 뒤로 참 십여 년이 흘렀는데, 그 뒤로 많은 그것에 대한 불교계에서 논란이 있어 와 있기 때문에 세계적인 학자들도 또 그 문제에 관해서 이렇게 학술회의까지 갖게 되니 참 좋은 뜻있는 현상이라고 할 수는 있겠습니다.

 

그러나 우리 최상승법(最上乘法), 전강 조실 스님께서 제창하시는 이 최상승법, 활구참선(活句參禪)에 의지해서 수행을 하는 우리 법보제자는 과연 이 돈오점수에 대해서 어떠한 마음으로 이것을 해석을 하며 또 바르게 해석을 해야 또 우리도 갈팡질팡하지 않고 확신을 가지고 도를 닦아갈 수 있으리라고 생각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갑인년에 마치 조실 스님께서 이 돈오점수에 대해서 설하신 바가 있어서 녹음법문(錄音法門)을 통해서 우리는 다 같이 경청을 했습니다.

 

그러나 참선은 '무엇이 돈오(頓悟)고, 무엇이 점수(漸修)다' 이것을 실지로 참선도 하지도 아니하면서 입으로만 '이것이 옳다, 저것이 옳다' 백날 모여서 토론을 해 봤자 이것은 참, 구두선(口頭禪)에 지나지 못할 것입니다.

 

물론 바르게 닦아 갈라면 어떻게 닦은 것이 돈수, 바른 닦음이고, 어떻게 깨달아야 바른 깨달음인가에 대해서 우리는 전강 조실 스님의 법문을 통해서 나름대로 의리선(義理禪) 사구선(死句禪)에 의지하지 말고 다맛 알 수 없는 활구선(活句禪)에 의지해서 도(道)를 닦아야 바른 깨달음을 얻을 수가 있다고 하는 그런 신념에 의지해서 우리는 수행을 하고 있기 때문에 신문에 그런 것이, 그런 문제가 논란이 되었다고 해도 우리는 그것에 대해서 마음이 흔들릴 까닭은 없겠습니다.

 

 

중봉, 중국의 천목산 고봉 선사(高峰禪師)의 수법제자(受法弟子)이신 중봉 선사(中峰禪師)께서 '깨달은 뒤에 닦아갈 것이 있느냐 없느냐?' 이 문제에 대해서 설하신 것이 있어서 몇 말씀 전해 드리고자 합니다.

 

「마음 밖에 법이 없고, 법 밖에 마음이 없어. 마음에 털끝만큼이라도 정습(情習), 과거로부터 쌓은 정습이 다하지 못했다면, 다하지 못한 바가 있다면 곧 이것은 깨달음이 원만치 못해서 그런 것이다. 혹 그 마음 깨달음이 원만치 못하다면 모름지기 이 원만치 못한 자취를 쓸어버리고 별립생애(別立生涯)여. 특별히 따로 생애를 세워서」

 

이 별립생애라고 하는 것은—'자기가 어떤 깨달음을 얻었는데, 깨닫기는 깨달았으나 이제 보림(保任)만 하면 자기도 부처님처럼 될 수 있다' 그런 것이 아니라 자기의 정습이 다하지 못하고 또 공안에 막힌 바가 있으면 이것은 자기의 깨달음이 철저하지 못한 것이다.

더군다나 체중현(體中玄) 도리, 공(空)의 이치, 그런 것을 그런 이치를 좀 보고서 그런 이치에 입각해서 모든 공안을 보면 막힌 바가 없고 다 알 것 같고, 화엄경이고 법화경이고 다 읽어 보면 환히 자기 나름대로 다 알고. 그러니까 자기도 깨달았다고 이렇게 착각을 하고서 '이제 나는 보림만 하면 된다' 이러한 병에 걸린 사람이 참 적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공안에 막히거나 정습이 다하지 못했으면 자기의 깨달음이 원만하지 못하다, 완전하지 못하다고 스스로 그렇게 딱! 결판을 내고 별립생애, 다시 초학자(初學者)와 같은 다시 백지 상태로 돌아가서 거기다가 생명을 걸고 용맹정진(勇猛精進)을 해서 기어코 확철대오를 하도록 그렇게 공부를 해야 한다」고 중봉 스님은 말씀을 했습니다.

 

'그렇다면 깨달은 뒤에는 닦을 것이 없느냐? 닦을 것이 없단 말입니까?' 이렇게 또 자문을 하고서 답을 하시기를,

「미리 깨달아 보기도 전에 깨달은 뒤에 닦을 것이 있느니 없느니 미리 그런 생각을 할 필요가 있느냐? 통 밑구녁이 풍 빠지는, 통 밑구녁이 풍 둘러빠진 거와 같은 그러한 경지가 올 때까지, 다시 말하자면 확철대오 할 때까지 가행정진 용맹정진하면 닦은 뒤에 닦을 것이 있는지 없는지는 스스로 알게 될 것이다」 이렇게 말씀을 했습니다.

 

아직 깨닫기도 전에 깨달은 뒤에 닦을 것이 있느니 없느니, 돈오(頓悟)하고 점수(漸修)할 것이 있느니 없느니, 이러한 것 가지고 논란을 하는 것은 정법륜(正法輪)을 비방해 가지고 무간업을 자초하는 것 밖에는 아니된다 이것입니다.

 

그래서 산승이 이 법상에 올라올 때마다 항상 말씀을 하기를, 정말 조사의 깨달음과 같이 확철대오를 못했으면—조금 자기 나름대로 공(空)의 이치, 체중현(體中玄) 도리 이런 걸 조금 한 소견이 나면 그걸 가지고 자기도 깨달았다 하는 그러한 견해에 집착을 해 가지고 막행막식하고,

그래 가지고 누구든지 자기와 비슷한 경지에 도달한 사람을 만나면 쉽게 '옳다'고 인가를 해 주고, 이래 가지고 자기도 망하고 많은 다른 사람도 망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불법까지 망하게 하는 그런 결과를 가져오는 것입니다.

 

그래서 돈오(頓悟), 기왕 깨달으면은 돈오에 돈수, 돈수(頓修)라 하는 것은 '닦을 것이 없다'는 얘기죠. 몰록 다 닦아 버렸어. 확철대오 함과 동시에 다 닦아 버려, 닦아 마쳐 버렸어.

그러니까 그것이 돈수(頓修)인데, 돈수란 말은 '닦을 것이 없어야 한다' 그 말인데. 그건 부처님이라든지 조사(祖師) 가운데에는 돈오돈수(頓悟頓修)한 그러한 조사들도 계십니다.

 

그러나 그런 분들은 다 전생에 무량겁을 다 닦아서 금생에 잠시 몸만 바꿔 났을 뿐이지, 이미 닦고 깨닫고 한 것은 전생에 무량겁을 두고 다 이미 원만성취한 분들은 몸만 바꿔 났으니까 더 간단하게 언하(言下)에 대오(大悟)해 버리고 닦을 것조차 없이 다 돈오돈수가 된 그런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견성을 할 때까지, 참선을 시작해 가지고 확철대오할 때까지 많은 십 년, 이십 년, 삼십 년, 사십 년 걸려 가지고 깨달은 분, 또 출가해 가지고 얼마 안 가서 그냥 언하에 확철대오한 분,

이러한 것은 마치 저 어느 산골짜구니에서 끊임없이 솟아오르는 물이 있는데, 그 물이 흐르고 흘러서 결국은 바다에까지 도달하는데, 바닷가 바짝 가까이에서 솟은 물이면 금방 솟아나 가지고 몇 분 안 가서 바다에 도달할 것입니다.

그러나 바다에서 몇백 리, 몇천 리, 몇만 리 떨어진 깊은 산중에서 나온 물은 그 물이 흐르고 흘러서 바다에까지 도달하는 데는 많은 세월이 걸릴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 도 닦는 사람은 자기가 언제부터서 전생, 저 전생, 십 생, 백 생 언제부터서 도를 닦았는가 우리는 숙명통(宿命通)을 얻지 못한 사람은 그것을 알 수가 없을 것입니다.

그건 알 수가 없으나 다행히 금생에 불법을 만났고 정법을 만났으면 그 바른 법에 의해서 목숨 바쳐서 열심히 도를 닦을지언정 빨리 깨닫고, 더디 깨닫고 할 것을 미리서부터서 따질 것이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문제는 바른 법에 의지할 것이고, 다음에는 있는 정신을, 정력을 다해서 전력투구를 하는 것뿐인 것입니다.

일 년 만에 깨닫든지, 삼 년 만에 깨닫게 되든지, 삼십 년 후에 깨닫든지, 마지막 죽을 때까지도 깨닫지 못했든지, 그래도 전력투구를 한 사람은 바른 법에 의지해서 생명 바쳐서 닦은 사람은 아무 후회가 있을 것이 없습니다.

 

마지막 숨질 때까지도 다맛 '이뭣고?'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한 상태에서 숨을 딱 거둔다면 그 사람은 다음 생에 금방 몸을 바꿔 나가지고 또 불법을 일찍 만나서 또 정법을 만나 가지고 또 닦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전생에 얼마만큼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도록 공부를 잡드리했느냐에 따라서 그다음 생에 좀 일찍 깨닫기도 하고, 더디 깨닫기도 할 것입니다.

 

달마 스님의 「혈맥론(血脈論)」이나 「관심론(觀心論)」에 보면 오직 깨닫는 것만을 말씀을 하셨습니다. 깨닫고 나야 바른 깨달음을 얻은 사람에게는 자연히 닦을 것이 있고 없는 것은 스스로 알게 되는 것입니다.(처음~20분54초)

 

 

 

 

 

(2)------------------

 

참선수투조사관(參禪須透祖師關)이요  학도요궁심로단(學道要窮心路斷)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심로단시전체현(心路斷時全體現)하니  여인음수지냉난(如人飮水知冷暖)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참선(參禪)은 수투조사관(須透祖師關)이여. 참선은 모름지기 조사관(祖師關)을 뚫어야 한다 그말이여. 조사관.

학도요궁심로절(學道要窮心路絶)이여. 도를 닦아. 도를 닦는 것이 내나 참선인데, 도를 닦아 가는 데는 마음길이 끊어져야 해.

밤낮 사량분별로 '이렇다. 돈오가 어떻고 점수가 어떻고, 이것이 어떻고 저것이 어떻고' 밤낮 교리를 가지고 이리저리 따지고 또 공안을 가지고 이리저리 따지고 따지고 따져 봤자 깨달음에서는 점점 멀어져 버리는 거다 그말이여.

 

정말! 바른 참선을 하고 바르게 도를 닦고자 하면 공안을 타파(打破), 의단이 독로하고 타성일편이 되어 가지고 그 공안의 의단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마음길이 끊어져야 해.

'이뭣고?' 알 수 없는 화두 의심을 거각(擧却)할 때에 앞뒤 생각이 탁탁 끊어져 나가야 돼.

 

눈으로 무엇을 보거나, 귀로 무슨 소리를 듣거나, 금강경을 읽거나, 화엄경을 듣거나, 일체처 일체시에 마음길이 탁탁 끊어져 나가야지,

마음속으로 사량계교(思量計較), 사량복탁(思量卜度), 공안에 대해서, 교리에 대해서, 누가 뭔 말을 하면은 그놈을 가지고 이리 따지고 저리 따지고, 비교하고 분석하고, 이러는 동안에는 깨달음을 기약할 수가 없는 것이여.

 

심로단시전체현(心路斷時全體現)이여. 공안을 타파해 가지고 마음길이 끊어져 버리면은 전체가 드러나. 이러쿵저러쿵 따지기 전에 전체가 드러나는 거다 그말이여.

여인(如人)이 음수(飮水)에 지냉난(知冷暖)이여. 사람이 물을 마시매 차웁고 더운 것을 스스로 알아.

 

'물이 얼마나 차운가? 얼마나 더운가?' 먹어 보지도 않고 남 보고 물어봤자 어떻게 그것을 가르키며, 먹어 보기도 전에 '이 물이 따신가? 차운가?' 이리저리 따져봤자 무슨 소용이 있냐 그말이여. 떠억 꿀떡꿀떡 마셔 보면 얼마나 뜨시고 얼마나 차운 것을 알 수가 있어.

 

깨달은, 돈오가 깨달아 보지 않고서는 깨달음이 무엇인가는 정말 알 수가 없는 거여.

 

깨달아 보지도 않고 깨달음에 대해서 이러쿵저러쿵 말하고, 아직 깨닫기도 전에 '닦을 것이 있느냐 없느냐? 돈오돈수냐, 돈오점수냐? 돈오돈수라야지 돈오점수는 그것은 바른 깨달음이 아니다'

백만 년을 두고 패를 갈라서 토론을 하고 따져 본들 그것 따지고 있는 동안에는 깨달음으로부터 멀어져 갈 뿐 깨달음에 나아가는 길이 아니어.

 

물론 불교 학자들은 어디까지나 학술적으로 경전을 연구하고 또 조사의 어록도 학자로서 연구하고 그런 입장에서 그런 이론적으로 따지고 분석하고, 비교하고 그래서 '어떻게 하는 것이 바르게 나아가는 것이다' 학자로서 따져 가는 것을 나는 나무라는 것은 아닙니다. 학자는 그렇게 따지는 것이 그것이 학자의 본업이고, 그거 학자의 그 나아갈 길이니까.

 

그러나 우리는 불교를 이론적으로 따지는 그러한 공부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 아니고, 또 전강 조실 스님이나 산승이 항상 마음으로 원하고 또 이렇게 바라는 것은 학자로서의 나아가는 것을 말씀한 것이 아니라,

정말 활구 선객(禪客)으로서, 참선하는 사람으로서 정법을 믿고 참선을 해 나가는 사람에게는 그런 이론적인 연구나 추구보다는 바로 화두 공안에 입각해서 활구참선을 해 가야만 하루 하면 하루, 한 시간 하면 한 시간, 일 분 하면 일 분,

한 번 화두를 듦으로써 마음길이 일 분 동안 끊어진다면 그만큼 깨달음에 나아가는 길이, 마음길이 끊어짐으로써 그것이 바른 수행이고, 마음길이 끊어짐으로써 조사관을 타파해 가지고 생사해탈을 할 수가 있다.

 

왜 그러냐?

생사(生死)는 마음에서 일어나는 삼세육추(三細六麤)의 생각, 그 생각으로 인해서 온갖 몸으로 입으로 뜻으로 업(業)을 지어 가지고 거기서 생사윤회를 하기 때문에 생사윤회를 끊으려면은 우리 마음으로부터서 일어나는 신구의(身口意) 삼업(三業)을 단속을 해야 한다.

 

단속은 덮어 놓고 그놈을 끊으려고 그러고 억누르려고 할 것이 아니라 어떠한 경계(境界)를 당하든지—눈을 통해서, 귀를 통해서, 우리의 육근(六根)을 통해서, 육식(六識)을 통해서 일어나는 모든 경계에 즉(卽)할 때마다 화두를 들고 자꾸 화두를 들어 나가면 화두를 듦으로써 마음길은 저절로 거기서 끊어져 들어간다 그말이여.

마음길 끊어짐으로써 의단이 독로하게 되고, 의단이 독로해서 타성일편이 되면 확철대오가 가까워지는 것이다 그말이여.

 

그러한 견지에서 본다면 '돈수돈오냐, 돈수점오냐, 보조 스님의 말이 옳으냐 그르냐' 이러한 견해를 가지고 시간을 낭비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20분56초~30분5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게송) '욕득불초무간업(欲得不招無間業) 막방여래정법륜(莫謗如來正法輪)' ; '무간업(無間業)을 부르지 않고자 할진댄, 여래의 바른 가르침을 비방하지 말지어다’ 『증도가(證道歌)』에 나오는 구절.

*(게송) '정야장천일월고(靜夜長天一月孤) 지음자유송풍화(知音自有松風和)' ;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야부도천 게송 참고.

*무간업(無間業) ; 무간악업(無間惡業). 무간죄(無間罪). 무간지옥(無間地獄)에 떨어지게 하는 업(業)으로 오역죄(五逆罪)를 가리키는 말.

오역죄, 곧 다섯 가지 무간업은 ①아버지를 시해하는 것[殺父]. ②어머니를 시해하는 것[殺母]. ③아라한을 죽이는 것[殺阿羅漢]. ④승단의 화합을 파괴하는 것[破僧]. ⑤부처님의 몸에 피를 나게 하는 것[出佛身血].

*무간지옥(無間地獄) ; 아비지옥(阿鼻地獄)이라고도 함. 아비(阿鼻)는 산스크리트어 avīci의 음사(音寫)로서 ‘아’는 무(無), ‘비’는 구(救)로서 ‘전혀 구제받을 수 없다’는 뜻. 고통이 끊임없으므로 무간(無間)이라 함.

아버지를 죽인 자, 어머니를 죽인 자, 아라한을 죽인 자, 승가의 화합을 깨뜨린 자, 부처의 몸에 피를 나게 한 자 등, 지극히 무거운 죄를 지은 자가 죽어서 가게 된다는 지옥.

 

이 지옥에 떨어지는 죄인에게는 필파라침(必波羅鍼)이라는 악풍(惡風)이 있는데 온몸을 건조시키고 피를 말려 버리며 또 옥졸이 몸을 붙잡고 가죽을 벗기며, 그 벗겨낸 가죽으로 죄인의 몸을 묶어 불 수레에 싣고 훨훨 타는 불구덩이 가운데에 던져 넣어 몸을 태우고, 야차(夜叉)들이 큰 쇠 창을 달구어 죄인의 몸을 꿰거나 입, 코, 배 등을 꿰어 공중에 던진다고 한다. 또는 쇠매(鐵鷹)가 죄인의 눈을 파 먹게 하는 등의 여러 가지 형벌로 고통을 끊임없이 받는다고 한다.

*정법륜(正法輪) ; 부처님이 설하신 올바른 가르침[正法]을 바퀴[輪]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법륜(法輪 부처님의 가르침 법/바퀴 륜) ; 불법(佛法)을 수레바퀴[輪]에 비유한 것.

①불법으로 인해 중생의 죄악이 무너지는 것이, 전륜성왕의 윤보(輪寶)가 산악과 암석을 두드려 부수는 것과 같기 때문에, 법을 윤보에 비유하였다.

②부처님의 설법이 한 사람, 한 곳에 머물지 않고 두루 퍼지는 것이. 마치 수레바퀴가 멈추지 않고 구르는 것과 같기 때문에, 법을 수레바퀴에 비유하였다.

③부처님께서 설한 가르침이 원만하여 결함이 없는 것이, 수레바퀴가 둥글어 모난 것이 없는 것과 같기 때문에 법을 수레바퀴에 비유하였다.

*지음(知音) ; ①음악의 곡조를 잘 앎. ②새나 짐승의 소리를 가려 잘 알아들음. ③마음이 서로 통하는 친한 벗을 이르는 말. 거문고의 명인 백아(伯牙)가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듣고 악상(樂想)을 잘 이해해 준 벗 종자기(鐘子期)가 죽자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아는 자가 없다고 하여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에 나오는 말.

*돈오 점수(頓悟漸修) : 불도를 닦아 나아가는 데 그 사람의 바탕(기질)을 따라, 차츰차츰 여러 계단을 밟아 올라가서 나중에 대각(大覺)을 이루는 것을 「오래 닦음」 곧 점수(漸修)라 하고, 어떤 이는 단번에 크게 깨쳐서 한 뜀에 부처가 될 수 있는 것을 「단박(몰록) 깨침」 곧 돈오(頓悟)라고 한다.

이치는 비록 단박에 깨쳤다 하더라도 오랫동안 익혀 온 버릇, 곧 다생(多生)의 습기(習氣)는 한때에 완전히 끊어 버릴 수가 없고, 현실의 사물 처리에 자유자재하기 어렵기 때문에 오래오래 닦아 나아가야 한다。그러므로 결국은 누구나 「점수」가 된다고도 할 수 있다。그러나 깨치지 않고는 옳게 닦을 수가 없는 것이므로 조사스님들은 닦는 것보다 깨치는 것을 중요하게 말하는 바이다.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을 깨달음.

*생사해탈(生死解脫) ; 생사(生死)를 떠나 깨달음의 세계에 드는 것.

*오후보림(悟後保任) ; 보림(保任). 선종(禪宗)에서 깨달은 뒤에 선지식을 찾아 인가를 받고, 다시 숲속이나 토굴에 들어가 다생(多生)의 습기(習氣)를 제하고 도(道)의 역량을 키우는 보임(保任) 공부.

'보임'은 보호임지(保護任持)의 준말로서 ‘찾은 본성을 잘 보호하여 지킨다’는 뜻이다. 또는 ‘保其天眞 任其自在, 그 천진함을 보전하고 그 자재함을 따른다’는 뜻이다. 장양성태(長養聖胎). 한자 독음상 ‘보임’이지만 관습적으로 ‘보림’이라고 읽는다.

 

[참고] 보조지눌 스님의 『수심결修心訣』에서.

頓悟者  凡夫迷時  四大爲身  妄想爲心  不知自性是眞法身  不知自己靈知是眞佛也  心外覓佛  波波浪走  忽被善知識  指示入路  一念廻光  見自本性  而此性地  原無煩惱  無漏智性  本自具足  卽與諸佛  分毫不殊  故云頓悟也

 

돈오(頓悟 단박 깨달음)란 범부(凡夫)가 미혹했을 때 사대(四大)를 몸이라 하고 망상(妄想)을 마음이라 하여, 자기의 성품(自性)이 참 법신(法身)인 줄 모르고 자기의 신령스런 앎[靈知]이 참부처[眞佛]인 줄 알지 못하여, 마음 밖에서 부처를 찾아 물결따라 여기저기 헤매다가,

홀연히 선지식(善知識)의 지시로 바른 길에 들어가 한 생각 돌이켜 자기의 본래 성품을 보면 이 성품(性品)자리에는 원래(原來) 번뇌(煩惱)가 없고, 무루(無漏)의 지혜 성품이 본래(本來) 스스로 구족(具足)하여 모든 부처님과 털끝만큼도 다르지 않으니 그러므로 돈오(頓悟, 단박 깨달음)라고 한다.

 

漸修者  雖悟本性 與佛無殊  無始習氣  卒難頓除故  依悟而修  漸熏功成  長養聖胎  久久成聖  故 云漸修也 比如孩子初生之日  諸根具足  與他無異  然  其力未充  頗經歲月  方始成人

 

점수(漸修, 차츰 닦음)란, 비록 본래 성품(本性)이 부처와 다름이 없음을 깨달았으나 오랫동안 익혀온 습기(習氣)를 갑자기 모두 없애기는 어려우므로 깨달음에 의지하여 닦아 점차로 익혀 공(功)을 이루어 성인(聖人)의 태(胎)를 길러 양성하면, 오랜 동안을 지나 성인(聖人)을 이루게 되므로, 점수(漸修, 점차로 닦음)라고 한다.

비유하면, 마치 어린 아이가 처음 태어났을 때 모든 기관(諸根)이 갖추어 있음은 남과 다르지 않지만, 그 힘이 아직 충실하지 못하므로 제법 세월(歲月)이 지난 뒤에야 비로소 어른[成人]이 되는 것과 같다.

*깨달음 ; 각(覺). 법의 실체와 마음의 근원을 깨달아 앎. 지혜의 체득.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을 깨달음.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간화선(看話禪) ; 화(話)는 화두(話頭)의 준말이다. 간화(看話)는 ‘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을 본다[看]’는 말로써,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이 화두를 관(觀)해서, 화두를 통해서 확철대오하는 간화선을 전강 조실스님과 송담스님께서는 ‘최상승법(最上乘法)’ ‘활구참선(活句參禪)’이라고 말씀하신다.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본참공안]를 받아서,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천칠백 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전강선사 녹음법문(錄音法門) ; 전강 스님께서 후학을 위해 참선법(參禪法)을 핵심으로 설한 법문이 칠백여 시간 분량이 녹음되어 있다. 이 중에는 『전강선사 일대기』 『몽산법어』 『초발심자경문』 등이 있다.

용화선원(녹음실)에서 전강선사 및 송담스님의 모든 법문을 mp3 파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한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구두선(口頭禪) ; 말이나 글로 해석하고 설명하는 선. 의리선(義理禪).

이런 구두선(口頭禪) · 의리선(義理禪)은 ‘사구참선(死句參禪)’이라, 천칠백 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해석하고 설명해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衆生心)이요 사량심(思量心)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수법제자(受法弟子) ; 스승으로부터 법(法)을 인가(印可) 받은 제자.

*중봉(中峰) 선사 ; (一二六三 ~ 一三二三) 중국 원나라 스님. 불명은 명본(明本). 항주 전당 사람. 보응(普應), 환주도인(幻住道人), 환주노인(幻住老人), 중봉보응국사(中峰普應國師)라고도 한다.

15세에 출가하여 금강경, 원각경, 법화경, 전등록 등을 보고, 후에 고봉원묘(高峰原妙)의 사관(死關)을 찾아 심요(心要)를 묻고, 금강경을 읽다 뒤에 샘물이 흘러 나오는 것을 보고 활연히 깨쳤다.

고봉의 법을 받고는 일정하게 있는 곳 없이 배(船)에서 있기도 하고 암자에서 거주하기도 하였다.

저서로는 북정자적(北庭慈寂) 스님이 편집한 『천목중봉화상광록(天目中峰和尙廣錄)』 30권이 있다. 『광록』안에는 「산방야화(山房夜話)」  「동어서화(東語西話)」  「신심명벽의해(信心銘闢義解)」가 포함되어 있다.

*'중봉 선사(中峰禪師)께서 '깨달은 뒤에 닦아갈 것이 있느냐 없느냐?' 이 문제에 대해서 설하신 것' ;

[참고] 『산방야화(山房夜話)』 (중봉명본 선사) *天目中峰和尙廣錄 卷第十一之中 山房夜話中.

幻曰 心外無法 法外無心 若見有纖毫情習未盡 卽是悟心不圓而然也 或心悟不圓 須是掃其未圓之跡 別立生涯以期大徹可也

曰若然 則無履踐之說乎 答曰 茲不必預以有無履踐 自惑于心 請勤加鞭策 到桶底子一回脫落 其履踐之有無 當有以默契于中矣

*정습(情習) ; 망정(妄情)으로 생긴 번뇌의 습기(習氣).

*망정(妄情) ; 허망한 정식(情識). 진실한 인식과 견해를 벗어난 망령된 분별 · 생각.

*습기(習氣) ; ①과거의 온갖 업(業)—생각, 행위, 경험, 학습 따위로 말미암아 아뢰야식(阿賴耶識)에 남긴 기운, 잠재력. 종자(種子)와 같음. ②번뇌로 인해 남아 있는 습관적인 기운. 습(習), 번뇌습(煩惱習), 여습(餘習), 잔기(殘氣)라고도 한다.

*체중현(體中玄) ; 임제 의현(臨濟義玄)선사가 학인을 제접하는 데 사용한 수단인 삼현(三玄-體中玄•句中玄•玄中玄)의 하나.

[참고] 선가귀감(용화선원 刊) p207, p212 에서.

[三玄]삼현

體中玄은  三世一念等이요  句中玄은  徑截言句等이요  玄中玄은  良久棒喝等이라

삼현 : 체 가운데 현(體中玄)은 삼세가 한 생각이라는 따위들이고, 구 가운데 현(句中玄)은 지름길 말들이며, 현 가운데 현(玄中玄)은 양구와 방망이와 할 같은 것들이다.

삼현(三玄) : 임제 의현(臨濟義玄)선사가 학인을 제접하는 데 사용한 수단이다.

체중현(體中玄)은 진공(眞空)의 이치를 보는 것이라 학인이 이 이치를 보았다 하더라도 신위(信位)를 여의지 못했으므로 자유의 분(分)이 없다.

구중현(句中玄)은 뜻길이 없는 말로써 그 말에 걸리거나 막히지 않고 도리를 바로 봄을 말함.

현중현(玄中玄), 사(事)에 걸림이 없는 묘유(妙有) 곧 현중현(玄中玄)의 도리를 보아야 인가(印可)를 하는 것이다. 현중현을 용중현(用中玄)이라고도 한다.

*체중현(법문에서)

[참고 ❶] 송담스님 법문(No.337)—정묘년 칠석차례(87.07.07.음)에서. (2분 48초)

체중현(體中玄)으로 보면, 공(空)의 이치에서 보면 어떠헌 공안을 묻되 할(喝)을 해 버려도 맞고, 방(棒)을 해 버려도 맞고, 양구(良久)를 해 버려도 맞고, 닥치는 대로 막 잡아서 아무것이라도 일러도 다 맞을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현중현(玄中玄) 도리에 있어서는 아무렇게나 일러도 맞지를 않습니다. 그 공안에 여지없이 이(理)와 사(事)에 탁! 맞아떨어지게 일러야 하는 것입니다.

 

참선 한 철, 두 철 열심히 허다 보면 어지간한 사람이면 다 그 공의 이치를 보게 됩니다. 그 공의 이치, 그게 체중현(體中玄)인데, ‘체(體) 가운데에 현(玄)’ 체의 이치를 보게 되면 그것이 바로 공(空)인데, 공의 이치를 보게 되면 경(經)을 봐도 모두가 그 소식입니다. 조사어록을 봐도 모두가 다 그 도리고, 조금도 맥힐 것이 없어. 환하고.

 

그런데 현중현(玄中玄)에서는 그렇지를 않거든.

체(體)의 이치를 본, 겨우 그 이치만 보고 현중현을 못 본 사람은 된장이나 똥이나 마찬가지여. 선과 악이 마찬가지고, 크고 작은 것이 마찬가지고, 부처와 중생이 다를 것이 없고, 내 마누라나 형수가 다 똑같고, 그저 거지나 임금이 다 똑같고, 생과 사가 똑같고, 그러니 오직 쾌활하냐 그말이여.

 

그러나 그것 가지고서는 부처님과 조사가 인가(印可)를 허지를 않았습니다. 그것 가지고서는 진리를 바로 봤다고 헐 수가 없어. 그것은 바른 견성(見性)이 아니여.

그래서 조사(祖師)는 현중현이라고 허는 관문(關門)을 시설을 해 가지고, 현중현 도리를 보지를 못허면 바로 보았다고 인가를 헐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현중현 도리는 선지식이 아니면은 그것을 가려내지를 못해.

 

[참고 ❷] 송담스님 법문(No.282)—86년 1월 첫째일요법회(86.01.05)에서. (2분 19초)

공안은 그 열쇠가 아니면은 도저히 그 열 수가 없는 아주 이 자물통과 같아서 도저히 그렇게 일러 가지고서는 인가(印可)를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물속에, 진흙 속에 들어가서 무엇이 발을 찔렀는데, ‘뭣이 찔렀다.’ 이래 가지고서는 알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 찌른 것이 뾰족한 돌멩이냐, 그렇지 않으면 무슨 나무 꼬타리냐, 사금파리냐, 또는 쇠꼬치냐, 분명하게 딱! 말을 해야 하는 것이지, 막연하게 ‘뭣이 찔렀다.’ 이렇게만 말한 거와 같아서,

아! 찌른 거야 사실이지, 사실 아닌 것은 아니여. 그러나 분명하게 쇠꼬치면 쇠꼬치, 사금파리면 사금파리, 돌멩이면 돌멩이를 분명히 말을 해야 알 수가 있는 거와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그 학자가 공부를 하다가 자기 나름대로는 반드시 견처(見處)가 있어서 온 것은 사실이나, 불조(佛祖)와 같이 깨닫지 못하면 체중현(體中玄)·구중현(句中玄)·현중현(玄中玄), 현중현 도리를 바로 보지 못하면 스스로 그것에 만족을 해서는 아니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활구문중(活句門中)에 있어서의 납자(衲子)의 지조(志操)라 할 것입니다.

 

[참고 ❸] 송담스님 법문(No.466)—92년 보살 선방에서 하신 법문(92.02.02)에서. (2분 26초)

구경의 깨달음이 아닌—공부해 나가다가 조금 느껴지는 그런 편안함이나 맑음이나 또는 시원함, 그런 소견이나 경계 그런 거, 구경의 깨달음이 아닌 중간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그런 경계에 ‘나도 한 소식 했다. 나도 깨달았다. 이것이 깨달음이 아닌가’하고 거기에 머물러 버리면 그 사람은 거기서 끝나는 거죠.

 

큰 깨달음을 얻지 못하고, 예를 들어서 저 지방에서 서울을 향해 가는데 대전이나 수원이나, 시골 산중에 있던 사람이 거기에 나오면은 굉장하거든, 차도 많고 높은 건물도 많고 하니까 여기가 서울이구나! 하고 주저앉은 거나 마찬가지여.

서울을 향해서 가는 사람은 중간에 좀 볼만한 데가 도시가 있다고 해서 그것이 서울로 착각한 거나 마찬가지여.

 

서울로 가서 중앙청을 갈라면 중앙청까지 딱 가서 대통령을 만나든지 장관을 만나든지 해야지, 저 중간에 가 가지고 조금 높은 건물이 있다고 해서 그것을 갖다가 서울이라고 착각한다면 그거 되겠습니까? 그와 마찬가지입니다.

구경(究竟)의 깨달음이 아니면 확철대오해서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경지가 아니면 중간에 체중현(體中玄) 도리, 중간에 나타나는 보이는 그런 경계는 탁! 스스로 부정을 해 버리고 부인을 해 버리고 거기에 빠져서는 안 돼.

 

탁! 치워버리고 언제나 초학자와 같은 그런 심경으로 바른 자세와 바른 호흡법으로 자기의 본참공안만을 향해서 한결같이 정진을 다그쳐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참고 ❹] 송담스님 법문(No.112)—79년 11월 관음재일 법어(79.11.24)에서. (2분 36초)

가끔 조실 스님 법문 가운데에는 공안에 대한 조리(條理)에 대해서 말씀을 하신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분명히 공안에 있어서 이 학자가 깨달은데 있어서 체중현(體中玄) 도리를 보는 사람,

체중현 도리를 보아 가지고 그것으로써 득소위족(得少爲足)하는—조그마한 소견을 가지고 ‘아! 내가 깨달았다’고 하는 이러한 잘못된 생각을 가질까봐,

『절대로 이 공안이라 하는 것은 현중현(玄中玄) 도리를 바로 봐야만 그것이 바로 확철대오(廓徹大悟)다』 그러한 것을 우리에게 깊이 납득을 시키고 철저하게 명심을 하기 위해서 가끔 공안에 대한 말씀을 구체적으로 해주신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는 그러한 법문을 듣고, 어떠한 공안에 대해서 자기 나름대로 이렇게도 따져보고, 저렇게도 일러보고 해서 ‘혹 이런 것이 아닌가. 저런 것이 아닌가’ 이렇게 공부를 지어가서는 아니된 것입니다.

이 공안은 마치 체중현 도리에서 보면 아무렇게 일러도 맞지 아니한 것이 없는 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것은 공견(空見)에 빠진 사람, 공견에 빠져가지고 그러한 입장에서 볼 때에는 고함을 치나, 욕을 하나, 호령을 하나, 손을 들거나, 발을 구르거나, 무엇이 어떻게 이르건 다 안 맞는 것이 아닌 것입니다.

 

그러나 그러한 것은 이 현중현 도리를 본 사람이 아니고, 그렇게 봐가지고서는 불법을 바로 깨달았다고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현중현 도리는 마치 자물쇠통에 꼭 제 열쇠가 아니면은 열리지 아니한 것처럼, 바로 깨달은 사람만이 바로 이를 수가 있는 것입니다.

*둘러빠지다 ; 빙 둘려서 우묵하게 쑥 꺼지다.

*막행막식(막行막食) ; 수행자의 분에 맞지 않게, 행동이나 음식을 막 행(行)하고 가리지 않고 막 먹는 것.

*숙명통(宿命通) : 수행으로 갖추게 되는 여섯 가지의 불가사의하고 자유 자재한 능력인 육신통(六神通)의 하나로, 나와 남의 전생을 아는 자유 자재한 능력.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의/덩어리 단/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공안, 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가 홀로[獨] 드러나다[露].

*타성일편(打成一片) : ‘쳐서 한 조각을 이룬다’. 참선할 때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려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일체처 일체시에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한 순수무잡(純粹無雜) 경계.

*잡드리 ; ‘잡도리’의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③아주 요란스럽게 닦달하거나(단단히 윽박질러서 혼을 내다) 족침(견디지 못하도록 몹시 급하게 몰아치다).

*혈맥론(血脈論) ; 「달마대사 혈맥론(達摩大師血脈論)」이라고도 한다. 중국 선종의 초조(初祖) 보리달마(菩提達摩 Bodhidharma)의 저술로 전해지고 있다.

문답형식으로 즉심시불(卽心是佛 마음 그대로가 곧 부처), 심외무불(心外無佛 마음 밖에 부처가 없다), 성불수시견성(成佛須是見性 부처를 이루려면 반드시 성품을 보아야 한다) 등의 말씀이 있다.

혈맥(血脈)은 사자상승(師資相承)이라고도 하며, 스승으로부터 제자에게로 주고받아서, 정법(正法)을 상속하는 것. 신체의 혈맥이 서로 연결되어 끊어질 수 없는 것에 비유해서 말함.

 

 

 

 

 

------------------(2)

 

*(게송) '참선수투조사관~' ; 『태고화상어록(太古和尙語錄)』 '示安山郡夫人妙幢(안산군 묘당부인에게 보임)'

參禪須透祖師關 學道要窮心路斷 心路斷時全體現 如人飮水知冷暖 到此田地莫問人 須參本色呈機看

*조사관(祖師關) ; 조사의 경지에 이르는 관문(關門), 곧 화두(공안)을 말함. 관문(關門)은 옛날에 국방상으로나 경제상으로 중요한 곳에 군사를 두어 지키게 하고, 내왕하는 사람과 수출입하는 물건을 검사하는 곳이다. 화두는 이것을 통과하여야 견성 성불하게 되는 것이므로 선종(禪宗)의 관문이 된다.

*거각(擧却 들 거/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화두를 든다’ ‘화두를 거각한다’는 말은 자신의 본참화두를 들 때 알 수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그 알 수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하는 것이다.

[참고] 송담스님 세등선원(No.09)—병진년 동안거 결제중 법어(76.12.26)에서.

화두를 먼저 이마로 의심을 하지 말고, 이 화두를—호흡하는데 배꼽 밑[丹田]에 숨을 들어마시면은 배가 볼록해지고 숨을 내쉬면은 배가 홀쪽해지는데, 그 배가 빵빵해졌다 홀쪽해졌다 허는 거기에다가 화두를 들고 ‘이뭣고~?’ ‘알 수 없는 생각’ 관(觀)하는 그것이 화두를 드는 것이여.

*사량계교(思量計較) ; 사량복탁(思量卜度), 사량분별(思量分別)과 같은 말. 생각하고 헤아리고 점치고 따짐. 가지가지 사량분별(思量分別)로 사리(事理)를 따짐.

법화경 방편품(法華經方便品)에 ‘이 법은 사량분별로 능히 알 바가 아니다’라고 함.

*삼세육추(三細六麤 석 삼/가늘 세/석 삼/거칠 추) ; 『대승기신론』에서 말하는 근본무명(根本無明)의 3상(相)과 지말무명(枝末無明)의 6상(相)을 말함. 3세(細)란 그 상(相)의 작용이 미세하므로 세(細)라 하고, 6추(麤)는 거칠고 엉성하기 때문에 추(麤)라 함.

 

청정한 진여의 마음이 근본무명에 의하여 망동하여 유전하는, 진실에서 어긋난 마음으로의 3가지 미세한 마음 상태[三細]와 이어지는 거칠은 6단계의 마음 상태[六麤]를 설명하는 '대승기신론'에서 밝힌 교설.

*삼업(三業) : 몸(身)과 입(口)과 뜻(意)으로 짓는 세 가지 행동 전체를 말한다。몸으로 짓는 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邪淫) 세 가지와, 입으로 짓는 망어(妄語), 기어(綺語), 양설(兩舌), 악구(惡口) 네 가지와, 뜻으로 짓는 탐심(貪心), 진심(瞋心), 치심(痴心)의 세 가지가 있다。이것이 삼업이다.

*경계(境界) ; ①인과(因果)의 이치(理致)에 따라서, 자신이 부딪히게 되는 생활상의 모든 일들. 생로병사•희로애락•빈부귀천•시비이해•삼독오욕•부모형제•춘하추동•동서남북 등이 모두 경계에 속한다.

②나와 관계되는 일체의 대상. 나를 주(主)라고 할 때 일체의 객(客). ③시비(是非)•선악(善惡)이 분간되는 한계.  경계(境界)에는 역경(逆境)과 순경(順境), 내경(內境)과 외경(外境)이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의 소의(所依)가 되어 육식을 일으켜 대상을 인식케 하는 근원이다。곧 눈(眼) • 귀(耳) • 코(鼻) • 혀(舌) • 몸(身) • 뜻(意)의 여섯 가지 기관(器官)을 말한다.

*육식(六識) ; 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의(意)의 육근(六根)으로 각각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의 육경(六境)을 식별하는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의 6가지 마음 작용. 산스크리트어 ṣaḍ-vijñāna 

①안식(眼識). 시각 기관〔眼〕으로 시각 대상〔色〕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②이식(耳識). 청각 기관〔耳〕으로 청각 대상〔聲〕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③비식(鼻識). 후각 기관〔鼻〕으로 후각 대상〔香〕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④설식(舌識). 미각 기관〔舌〕으로 미각 대상〔味〕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⑤신식(身識). 촉각 기관〔身〕으로 촉각 대상〔觸〕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⑥의식(意識). 의식 기능〔意〕으로 의식 내용〔法〕을 식별·인식하는 마음 작용.

*즉해서(卽-- 곧·즉시 즉) ; 곧. 곧바로. 당장. 즉시(卽時 : 어떤 일이 행하여지는 바로 그때). 즉각(卽刻 : 일이 일어나는 그 순간 바로. 당장에 곧).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