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몽산화상시각원상인(蒙山和尙示覺圓上人) (1/8) 몽산화상이 각원상인에게 주신 말씀.

**전강선사(No.260)—몽산03. 몽산시 각원상인(1) (임자72.07.15)

(1/3) 약 19분.

 

(2/3) 약 17분.

 

(3/3) 약 16분.


(1/3)----------------

운수기천리(雲樹幾千里)에  산천정묘연(山川政渺然)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상봉각백수(相逢各白首)요  굴지계유년(屈指計流年)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일찍이 출가해서 부모 고향 친척 다 여의고 들어와서 도(道)를 닦는다. 도학자(道學者)의 평생이라는 것이 참 운수천만리(雲樹千萬里)지.
집을 여의고 나왔으나, 뭐 집에 들어가서 뭐 어머니 아버지 무슨 고향 산천 그 어디 인연을 조금이라도 뭐 머물러 두고 나왔나? 다 여의고 떼고 나와서 그대로도 닦는 자체가 퍽 참 운수천만리(雲樹千萬里)에 그 멀기가 천만리여

다시, 허! 이렇게 도 닦다가서는 집에 들어가서 어디 살림 살 수가 있나? 아들 날 수가 있나? 뭣 해 줄 수가 있나? 부모 한 번 같이 모시고 살아볼 수가 있나?
중, 우리 도 닦는 도학자의 참 생애가 이렇게도 거리가 이렇게 친척 거리가 멀고, 고향 산천이 그렇게도 떨어지고. 이렇게 되아 버렸지.

참 생각할수록에 그 부모, 형제 인연 참 정묘연(政渺然)이다. 아주 묘연(渺然)뿐이여. 아득하니 묘연뿐이여.


아, 그 우리나라에 참 유명허신 서산(西山) 도사, 어릴 때 과거(科擧)보러 나왔다가 과거를 못허니까 그만 염세주의로 세상에 살 마음이 없어 돌아가실라고 결정하고 산중으로 들어갔다가,
아! 산중에 제승(諸僧)들이, 모도 중들이 그 산속에서 공연히 친척 부모 고향 여의고 한평생 그렇게 그만 아무 인생 목적 없이 소원도 끊어버리고 독각 독승 독신주의로 그렇게만 지낸 줄 알았더니. 아, 들어와서 보니 정말 참 인생살이여. 인생의 사는 것이 참 이 사찰, 절이로구나.
그 자아를 자각해서 대도(大道)를 통(通)해서 자기도 깨달고 일체 중생을 제도하는 참 영생(永生), 영원히 죽지 않는 참다운 법이, 인생의 온당한 참 살림살이가 여기 있구나.

아! 그만 믿어 가지고, 한 번 믿으면 그뿐이니깐. 믿어져 버린디야 어쩔 수 있어? 누가 그 믿음을 못 믿게 만들며, 그 무슨 저해(沮害)를 할 것인가?
한 번 믿어졌으니 아! 믿음서부텀 그렇게 외동아들로 부모 밖에 모르든 사람이—부모를 모른 것은 아니지. 정말 부모를 참으로 옳게 대도를 통해서 우리 부모도 제도해야겠다는 마음이 그야 참 어디 어따가 댈 수 있는가.

그것 한평생 자식 노릇한 거, 부모 모시고 돌아가시드락까지 시봉질 잘해 가면서, 무슨 거 부모 잘 육산포림(肉山脯林)에다가 무슨 용미진탕에다가 무슨 금의옥식(錦衣玉食)을 아무리 해 올린다 한들, 출가해서 대도를 증득해서 부모 천도(薦度) 제도한 것만 할 것인가?

거 뭣 헐 것인가? 그거, 잠깐동안 그거 뭐 인생살이 그녀러 것. 그러지마는 그 인생적으로 봐서는 그렇게도 그 자식 하나 낳아서 외동아들한테 의탁할 마음이 아! 그만 태산 같지마는 과거(科擧)를 갖다가 과거 못 허고는 그만 염세주의로 아! 그 뭐 종적을 감춰버렸으니 그 부모 마음은 오직 할 것인가?
허지마는 서산 도사의 마음은 그 설법을,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꽉 믿어 가지고는 부모 뭐, 일시의 뭐, 가서 뭐 부모 앞에 가서 뭐 자식노릇 백 번 천 번 별짓을 다한다 한들, 도 닦는 것만 할 것인가.

자취를 착 허적(虛寂)해 버리고 그믐해 버리고는, 거 앉아서 도 닦는 거, 십 년을 도를 닦았다 그말이여.
그 자취는 그렇게도 운수천만리(雲樹千萬理)에 그 과거 갔다가 내던져 번지고서는 그만 들어와서 부처님 제자 되어 가지고는 도 닦고 앉었으니 참 정묘연(政渺然) 아닌가? 적적(寂寂)한 묘연(渺然), 그 자리가 그렇게도 떨어져 부렀어. 부모 자식의 인연 도리가 그렇게도 떨어져 부렀네. 

상봉각백수(相逢各白首)다. 자, 도를 통해 가지고 부모를—그 도통할 동안 나를 깨달을 동안이 솔찬히 그렇게 쉽지 못하고 시간이 얼른 오들 못하고, 금방 얼른 얼른 그만 몇십 년, 수십 년 그만 지내 버린다 말이여. 그러니 백수(白首)로 늙은 말년에 백수로 부모를 만나러 갔다. 도(道) 다 깨달라서 얻어 증득(證得)을 해 가지고는 부모를 만나러 갔다.

굴지계유년(屈指計流年)이로구나. 손가락을 꼽아 가지고 세알라 보니 그 세월이 벌써 사오십 년 흘러서 휘익 지내갔다. 그 부모는 뭐 백수 노인이 되어 가지고는 뭐 자식 기억도 다 못하게 됐지마는 돌아가셔 버리고 없다. 촌(村)도 폐하고 촌도 다 없어져 번지고. 이렇다.
그 지경, 허니 도를 확철히 깨달라 가지고 목적을 달성해 가지고는 참 여지없이 갖추어 가지고는 부모한테 갔지마는 이놈의 무상한 세상에 모도 그 부모는 다 이렇게, 촌락까장 이렇게 되아 번졌다.
우리 도 닦는 도학자의 자취가 다 이려. 이러하니 참으로 부지런히 참으로 해태(懈怠) 없이, 퇴태(退墮) 없이 잘 닦아야 할 것 아닌가? 어서 닦아 가지고 확철대오(廓徹大悟) 해 가지고 살아 생존해 계신 부모가 바랜 그 보답을 해야 할 것 아닌가?

 

 

참선(參禪)은 수투조사관(須透祖師關)이다. 참선이라는 것은 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 우리 참선법은 조사관(祖師關) 뚫는 것이다. 조사관(祖師關)을 뚫는 것인데, 조사관은 내던지고 엉뚱한 짓 말아라. 왜 엉뚱한 짓을 하고 앉았나?
화두를 하나 얻었으면은 그 화두 하나 가지고는 그저, 그저 여태까장 아침마다 하든 거 뭣이여? 화두하나, 그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 하나 독로한 거, 단(單)으로 홑으로 독로한 거, 조금도 거기에 섞임이 없이 아무리 무슨 뭐 섞을라고 해 봤던들 섞일 것이 있나. 거가 뭐가 섞일 것인가?

거 그 번뇌니 망상이니 그 모두 그런 것 벌써 알면서, 번뇌 망상을 내가 모름사 하지마는 번뇌 망상과 그 잠 같은 거 못쓸 것인 줄 알면서 왜 그렇게 속냐 그말이여. 왜 그놈한테 그거 속아 지내는가?
그 천하에 나를 실업(失業)허게 맨들고 업을 잃어버리게 맨들고, 망가(忘家) 집을 모도 잊어버리게 맨들고, 고향을 가지 못하게 맨드는 마구니한테가 속아서 왜 일순간(一瞬間)인들 그만 잠 속에 들어버리고, 망상 속에 들어버리고, 그럭저럭 계산 속에 시간을 허비해 버리는가?
좀 더 생각해 볼 필요가 있지 않는가. 얼마나 거그서 용맹을 갖춰야 하겄는가? 얼마나 참 발심(發心)을 해야 하며 얼마나 날카로운 생각을 가져야겠는가? 좀 생각해 보소.


조사관을 뚫어야 하느니라. 조사관 뚫지 않으면 참선은 아니니까.
그 조사관이 얼마나 그렇게 맥혔기 때문에 그렇게 뚫기가 어려운가? 그 못된 곳이 모두 가려서 맥혀서 안 뚫어지지. 번뇌 망식 그 쓰잘 데 없는 계산, 그놈의 것 때문에 안 되지.
그놈 일어나거나 말거나, 그 같은 놈이 뭐 구름같이 일어나거나 말거나, 자취 없이 일어난 곳도 없이 퍼일어나는 놈의 것 그까짓 거, 그거 뭐 거기에 떨어지들 말고. 안 낼라고도 말고, 나는 놈을 미워헐라고도 말고, 그저 내 찾는 놈만 찾아라.

‘찾는 것도 죽는다’했지마는 ‘찾으면 죽느니라’했지마는, 참말로 찾을 것은 알 수가 없으니 알 수 없는 그 공안(公案)을, 공안 대의를 찾어야 할 것 아닌가.
‘찾는다’하니까 무슨 뭐 공안 대의까장 찾지 말란 말인가? 미(迷)했으면은 깨달지 못했으면은 찾을 놈은 그뿐인데.

아! 그 조사서래의(祖師西來意)를 물으니까 “판때기 이빨에 털 났느니라”
‘어째서 판때기 이빨에 털 났다 했는고?’뿐이지. 고놈 하나 딱 추켜들면 나오면, 아! 그놈은 조사공안이 근본적으로 그만 막 나오는디, 내가 딱! 타 가지고는 그놈 근본 뿌럭대기처럼 나오는디, 왜 그놈이 없어질 까닭이 있나. 없어질 수가 있나. 아지 못했으니 그놈 하나 진실해야겠다.

참, 그놈 하나 어떻게 허다가 얻었나? 생전 해야 믿지도 못하고 만년 가야 믿지도 못하고.
오직 해야사 불불(佛佛)이 출세해 가지고는 그 하나를 가르쳐 볼라니 안되니까 돌아가시기를 다 하고. 조석불(朝夕佛)이 있네. 아침에 나왔다가 저녁에 돌아가신 부처가 있어.
가르쳐 볼라니 되어야지. 이건 자득(自得), 자기가 제가 자신(自信), 제가 믿어야지 제가 안 믿으면 못하니까. 부처님이 대표로 대신(代身)으로 믿어 주들 못하니까.

안 믿어 주면 인연 없는 중생인데, 미(迷)한 중생을 제도(濟度)치 못하니까. 어떻게 헐 것이여? 천상 이건 제가 저를 믿어서 저를 찾는 것임에 누가 ‘믿어라, 말라’ 누가 ‘해라, 말라’ 허라고 해서 허고, 말라고 해서 말 것인가?
아! 이렇게 결심 결정해 가지고는 콱 믿어 가지고는 쏴악 그만 출가해 번지고 일체 애연(愛緣) 애착(愛著)을 그 날카로운 칼로 쫙 베 번지고 들어온 우리 학자들이여.
누가 하라고 해? 부처가 하라고 한다고 혀? ‘믿으라’고 헌다고 믿고? 이렇게 믿어 가지고 결정해 들어왔으니 허는 법식이 그려.

참선이라 하는 것은 수투조사관(須透祖師關)이다. 조사관(祖師關)을 뚫는 것이다.
이것 또 누가 허신 말씀인고 하니 ‘몽산 스님이 각원상인을 보인다[蒙山和尙示覺圓上人]’ 각원상인이니께, 그 각원상인이 각원상인 같은 이는 상인(上人)이라고 해 놨으니 그때 당시에 큰 벼슬헌 분들이고, 글안허면 모두 군수나 모두 그런 사람들을 상인이라고 했다 그말이여.
몽산 스님 당시에도 불교를 무척 반대할 때니까, 벌써 그렇게 너무 그만 갖다 상인이라고 붙여 놓았어. 무슨 놈의 제자인데 상인은 무슨 상인인가? 하지마는그 상인한테 이렇게 말씀을 했다 그말이여.

참선이라는 것은 조사관을 뚫는 것이지. 일체 방편이 없다. 지환즉리(知幻卽離)다. 환(幻)인줄 알면 여의여 버렸다. 환(幻)에는 방편(方便)이 없다. 환(幻)이지 뭣이여?
아무리 별별 것을 다 성취를 해 놓았자 타락이 있는 것이니까. 아무리 계행(戒行)이 좋다 하지마는, 누가 계행을 지키지 말란 말인가?
수도(修道) 학자라는 것은 계행이 갖춰져 있는데, 계행이 저절로 있는데. 벌써 참선 하면 참선 하는 학자한테는 계행이 그만 근본이 딱 되어 있는데. 심지품(心地品)이라니까! 아주 심지품, 부처님이 바로 설허신 십중대계(十重大戒)가 그게 바닥이여 바닥. 참선 바닥이여.

참선 화두를 척 들면 대계가 그대로 딱 갖춰져 있는 것이 대승계(大乘戒)여. 아! 그런 대승계인데, 내가 밤낮 헌 소리가 그 소리여. 만년 헌 소리가 그 소리여.(처음~19분4초)





(2/3)----------------

아! 그 딸 하나를 낳아서 길러 가지고는 그 도 닦는 스님한테 시험한 것이여. 시험 혀.
중생이라는 것은 도(道) 아니라 도 보담 더헌 것을 닦는다 하드래도 그놈 모도 색상(色相)으로 색신(色身)으로 몸뚱이를 받았기 때문에, 색심(色心)은 나기가 마련이여.
몸뚱이 가지고 있으면 그놈의 색심이라는 것은 없을 수가 없는 것이다 그말이여. 근본적으로 몸뚱이 받아 나온 원인이 색심(色心), 색신이여.

이 도는 닦는다 하지마는 그 스님이 참말로 도를 닦는 도학자시면은 참말로 진(眞) 계행을 참말로 본분 계행을, 그 대승계를 가진 스님이냐? 아니냐? 그걸 보기 위해서.
몸뚱이로는 안 범하지마는, 신계(身戒) 몸뚱이 계로는 안 범한다 하지마는, ‘마음 계’는 그놈의 마음 그놈, 자취도 모냥도 아무것도 없는 놈이 갔다왔다하는 발목댕이도 없지마는,
그놈이 거 뭐 항상 그 도무지 그 가슴속 흉중에 연기처럼, 불 때면 연기처럼 일어나는 놈의 것이 그놈의 것이여.

아! 그게 어떤 놈이 연애편지를 쓰기를 그 하도 그 연애를 해가지고 있다 보고 싶은게, 심중(心中)에 홀기무연화(忽起無煙火)하야, 마음 가운데 홀연히 연기 없는 불이 일어나서 칠보앵금을 반익회라. 칠보앵금을 반을 태웠다는 말이 있어.
그놈의 심계(心戒)라는 것이 그거 벌써 심계 일어나면 범하는 것이 심계여.

그러니까 예쁜 처녀를 갖다가 턱 보냄서, “네가 대번 가서 꽉 보듬고 그만 네 볼태기를 입에다 대고 가슴을 문대고 물어봐라”
환히 아는 처녀니께, 뭐 키운 처녀와 다름이 없은께, 양식 대준 스님이니까 뭐 무간(無間)하기가 짝도 없고, 그만큼 그 스님한테 가서 올라 앉혀도 뭐 문제가 없고.

나이는 또 근 20살, 옛날에는 뭐 20살이면 늙은 처녀라고 허지. 그런 처녀가 가서 아, 그만 “그 스님을 보고 싶어서 내가 왔습니다”고 하면서 아! 가서 그만 그냥 보듬고 드립대 그만 부부처럼 그만 뽈대기를 대고 그러니까. 아! 더군다나 그 참, 그 남자 여자요. 그것도 남자가 오히려 여자한테 대들턴디, 그 여자가 남자한테 그만 그래가지고는 척 대들어 어린양 비스름허니 그러니까.

참! 참 그 계행은 옳게 가진 사람 아닌가? 참! 그런 계행이 어디 있어. 손 한번 만져본 바 없고, 손 한번 무슨 끌어안아 본 바 없고, 그대로 두고.
“이런 때 어떻습니까?” 물으니까.


잘 들어! 항상 들었다고 ‘그 아는 거’ 그러지 말라 말이여. 그러면 법문 듣는 게 아니여.

척 끌어안고 “이런 때 어떻습니까?”
“고목의한암(枯木倚寒岩)하니, 차운 냉기가 바위에 대하니 삼동무난기(三冬無暖氣)다. 겨울에 삼동(三冬) 날에 더운 기운이 없구나”

너는 마른 냉기요 나는 차운 바위여. 아! 마른 냉기가 차운 바위에 대했는디 거기에 뭔 뜻이 있을 것이냐? 아무 뜻도 없고 정도 없고 인생 정이 뭣이 있느냐?
네가 천하 미인이고 예쁘다고, 내가 천하 미인 예쁜 정이 너한테 건너가겠느냐? 너한테 내가 조금이라도 그 무슨 범할 마음이 있겠느냐? 아무 마음 없다.

그러니까 그대로 어머니 시킨 대로 어머니한테다 그대로 회전(回傳)을 하니까 “고목의한암(枯木倚寒岩)하니 삼동에 더운 기운이 없다 합디다”
내가 지금 몇 번째 하는 법문이냐 이것이. 어째 그리 못 알아들을까?


“더운 기운이 없다 합디다”하니까,
“하! 이거 웬일이란 말이냐. 내가 여태까장 시험을 해보지 못했더니 과연 참 오늘은 시험을 해봤구나. 아! 이놈을 갖다가 이런 속한(俗漢)이 놈을 갖다가 내가 십 년까지 양식을 대주었다. 차라리 빌어먹는 거지나 그 좀 구제했으면은 아! 그래도 그 무슨 보시 공덕이나 있겠지마는, 아! 이런 놈, 이 속한이 놈, 거짓 속한이 놈, 도(道) 커니는 아무것도 아닌 놈을 십 년을 양식을 대주었으니 이러헌 도무지 헛된 일을 헐 수가 있겠나. 이놈 이놈 견뎌봐라 이놈. 대방맹이로 쫓아 버릴밖에 없다”고.

아, 그길로 올라가서 그 있든 집 불까장 딱 질러 번지고 “이놈아 나가거라. 이 더러운 속한이 놈아 나가. 네 이놈 네가 왜 십 년이나 내 양식을 먹었어? 당장 나가”
그만, 불질러 버렸으니 나가지 뭐, 뭐 별 수 있나? 십 년이나 시은(施恩)을 받았지마는 그렇게도 무정하게, 무정보담도 그렇게 그만 사람을 갖다가서 배척을 해서 그 괄세를 해서 쫓아낸다 그말이여. 안 쫓겨 나가겄어?

어떻게 했으면은 어떻게 일러야만 안 쫓겨 나가겄느냐? 이게 전국에 과거 6대 선지식 당시에 전국에 물었든 것이여.

아니 저놈의 자올고 있는 것 좀 보소. 이 법문헌디 자올고 있는 것 좀 봐. 응? 그동안에 꾸뻑 꾸뻑 그놈의 자올.. 밤새도록 잠 안 잤는가? 뭣 헌다고 내가 이렇게 여그 앉아서 내가 법문헌다고 앉았겠는가? 

이것은 참선법이라 하는 것은 어릴 때부텀 저 쬐그만한 어릴 때부텀 무슨 인과법으로 해서 차츰차츰 어떻게 가르켜서 그 뭐 처음 들어와서 사미과(沙彌科)로부터 사집과(四集科)로부터 사교과(四敎科)까장 대교과(大敎科)까장 다 가르켜 일러 놓았자, 그 사람이 참선허는 사람이 아니여. 참선을 못허는 법이여.
아무리 부처님이 경서(經書)를 그렇게 49년을 설법해 놓고, 조사 스님네가 그렇게 깨달은 도리를 다 설법해서 책에다가 다 해놓았지마는 그 책을 가지고 아무리 가르켜 놓았자 그 사람을 참선을 못 시키는 것이여.

어쩌다가 강사(講師)가 인자 발심해서 들어오기는 들어오지마는 강사 참선이라는 건 그건 벌써 틀린 것이여. 맨 해석만 배워놨기 때문에 참선만 하면 보통 망상과 달러서 그 도리회(道理會)에 망상이 나와. 제가 알았다는 망상이 나오고, 아는 망상이 나오고, 어떤 구절은 어떻다는 망상이 나오고, 들으면 다 제가 자해(自解)를 해부러. 그러기 땀세 공부를 못혀. 강사가 공부를 못혀. 아무리 그렇게 가르켜서 어릴 때 들어와서 삼사십 살 먹도록까장 강사를 만들어 놓아도 참선은 못혀.


여기에 여기 참선, 여기에 이 노장님이 다 배왔지 뭐. 화엄경 다 배워 넘기고 뭐 어째. 했지마는 늙은 말년 참선 하러 들어오셔서 화두 추켜들고 지금 화두를 한다 그말이여.
허지마는 과거에 배운 그 권중구(卷中句)가, 권 가운데 배운 그것이 무척 망상이 많이 날 것이여. 틀림없는디 뭐. 강사가 그렇게 참선한 줄 알어? 이렇게 해도 가르킬 수가 없는 참선법이여.

어쨌든지 그만 내 마음을 내가 발해서 아무것도 몰라도 ‘내가 나 찾아야 하겠구나, 깨달라야 하겠구나’하고 툭! 듣고 발심이 턱 되아버려야, 발심을 해야 도를 닦는 거여. 천상 할 수가 없는 거여. 그래 그런 도학자(道學者)를 모아놓고 아침마당 설법(說法)을 해주는 것이여. 설법이라는 것이 인자 참선 배우는 것이여.
그러니 그 설법을 들을 때에 그렇게 그 좀 날카롭게 들으라고 내가 그렇게 내가 부탁을 하고, 그렇게 내가 귓구먹을 막 쑤셔서 송곳으로 쑤셔 가 뚫어 가지고 설법을 해주고 아! 이렇게 해도 꾸부덕 꾸부덕 자올고만 앉어 있냐 말이여. 그저 주장자로 대갈빡을 툭 한번 때리면 응, 피가 툭 터지게 했으면 시원하겠다. 마음에. 무엇이여? 거 당최 기가 맥혀.

조사관을 뚫는 참선법이다. ‘조사관을 뚫는다’고 해놨네, 여기. 응? 이것 보통 말 아니여.
‘조사관을 안다’는 말은 없어. 아는 건 외도(外道)인디 뭐. 조사관을 어디 아는 게 아니여. 조사관을 암사, 공부해 가지고 알아버리면 그만이지마는 아는 게 아니여. ‘뚫는다’ 했어. ‘뚫을 투(透)’자여. 참선(參禪)은 수투조사관(須透祖師關)이다. 참선은 조사관을 뚫는 것이다.

 

그게 참선 설법이란 거 이거—경(經) 새길 적에 ‘불자야, 보살마하살이 저 때에 사위성중에 들어서 뭐 어쩌고 저..’ 거 소용없어. 설법은 그렇게 해서는 아무것도 아니여 그거. 법도 아니여. 뭣도 아니고.

아! 그렇게 청정하고 그렇게 깨끗하게 마른 냉기 같고, 차운 바위 같여. 아무리 대했자 무슨 뭐 색경(色境)켕이는 예쁜 마음켕이는 뭐 마누래, 처녀다 뭐 그런 생각도 하나도 없고,
‘깨끗한 차운 바위에 바짝 마른 냉기 비빈 것 같다’ 이랬는데 어찌 속한(俗漢)이라고 ‘이놈 속한이 놈을 갖다가서 10년 양식을 대주었구나’ 쫓아내는 원인이 어디 있냐 그말이여. 거 범정(凡情)으로는 도무지 그 어떻게 붙여서 해석할 수 없지.

아! 그런 계행사(戒行師)가 어디 있어? 그런 청정한 계행(戒行)이 어디 있어?
속한(俗漢)이, 참! 말로 헐 수 없는 속한이가 된 이치가 있단 말이여 거그. 그러니 온통 그때 모두 그 법문을 물어 놓으니깐 온통 한국에 답을 다했다 그말이여. 내가 없는 것을 말혀?


이번에 경봉당(鏡峰堂)한테 법 전허고 나와서 그걸 가지고 내가 설법 재료를 삼아 설법했는데, 아니라고. 거짓말이라고. 날 시방 그래 놨네.
백천만 번 거다 해 놓았자 소용없어. 내가 해 놓은 것은 그대로가 법으로 딱 조직되었는데, ‘부채로 갖다가 땅을 뭉캤다’고 그러나? 부채로 뭉캐 놓으면 되간디? 아! 춘치자명(春雉自鳴)도 분수가 있지. 제 울음에 저 죽는 것도 분수가 있지, 말이 되냔 말이여 그것이. 그거 다시 되어야 되아. 큰일났다 그말이여.
그거 다 신문에다 내 놨네. 허! 나 웃고 있어 시방.

(경봉당이) 원상(圓相)을 뭉캐서, “아니니라. 거다 묻어라” 묻으라고 허니까, 다시 “하! 내가 알았다”고 고함쳐.
“그러냐”고 다시 끄집어다 물으니께 대답을 옳게 해서 “어떠냐?”하니 점두(點頭)를 척 해서, 그러고 나는 나왔는디. 그 뒤부텀 말을 들으니깐 한마디도 허담(虛談)이 없이 그대로 앉어서 보광전(普光殿)에서 뭐 당최 무슨 뭐 문답 (問答) 한마디 헌 바 없고, 확철히 그만....

(경봉당은) ‘그런 일이 없었다’
내가 그래 놓은 것이 나쁘단 말이여? 그게 거짓말이란 말이지? 그 거짓말이면 지금 뭣허고 앉었는고? 나, 하도 우스워서 말도 하지 않고 있어.

그래야 되지. 원상을 때려 뭉캐니... 왜 원상을 왜 뭉캐냔 말이여? 왜 원상을 뭉캐?
인제 봐. 깨달라 가지고 보란 말이여! 왜 원상 뭉캔게 뭐여? 원상 뭉켄게 그게 뭐 법이여?

오! 고불(古佛)도 미생전(未生前)에 응연일상원(凝然一相圓)이니, 고불미생전에 응연일상원까장 확 없애버린게 옳다! 공(空)도 유(有)도 비(非)도 뭐 유(有)도 무(無)도 없이 홱 한번 쓸어버린게, 좋지!
응. 막도무사(莫道無事)이 호(好)타. 차라리 막도(莫道), 일 없다고 이르지 않는 것이 옳지. 한 방맹이를 내렸거들랑 방(棒) 준 처리를 해야지. 택도 없는 놈의 소리. 내가 거짓말했구만?

두고두고 보지. 역사에 올랐으니 두고두고 봐. 법문에 다 들어 있으니께. 눈 밝은 학자들이 다 볼 낀께.
꼴도 없는 놈의 소리. 말할 것이 뭣이여? 왜 제 울음에 저 죽냐 그말이여.

그때 당시에 원청 법광(法狂)이 되었으니까, 자기가 몰라 가지고 그때 당시에.
아, 그러다가서 나중에 턱 그래가지고는. ‘보광전 조실에 있었다’고 누가 그랬나, ‘조실 방 앞에서 그랬다’ 그말이지.

아! 그러고 보광전 막 뜰 앞에서, 가을인데 그때 뜰 앞에선데.
언제 내가 구산 스님을 그렇게 가서 구산 스님 찾아 들어가서...  구산 스님인가? 뭐여? 구하 스님인가? 구하(九河)스님! ‘구하 스님 방 앞에 가서 둘이 했다’고 했어.
누가 해? 내가 둘이 해? 내가 구하 앞에 내가 찾아가 둘이 내 그 법문을 했으면 구하가 알 것인가? 말도 아닌 놈의 소리 해놨다 그말이여.

내가 끌려갔지. 하도 오라고 해서 끌려 내가 들어갔지. 내가 혼자 자작으로 글쎄 가 했구만?
말이 당최 막... 난 입도 안 벌릴 것이여. 말할 것도 없어.

하도 내가 고마와서 ‘하! 그러시냐’
‘그렇다’고. 서로 그러나 그 말 하나 똑 해보고. 그러기에 참 탁마상성(琢磨相成)이지.(19분5초~35분49초)





(3/3)----------------

내가 이 공안은... 자, 이놈만 내가 일렀는가?
내가 ‘달다’는 놈을, 천하가 다 물어서 ‘달다’는 놈 이른 놈, 내가 도장원(都壯元) 안 했는가.

응, 별소리 다 일렀지.
매달려 있을 적에, 그 샘 언덕에 달려 있을 적에, 꿀 딱 받아먹고 있을 적에, 꿀 받아먹고 있을 때 어떻게 하면 살아가겄냐?

별소리 다, “아야, 아야!” 언제 ‘아야 아야’ 할 겨를이 있어서 ‘아야 아야’ 혀? 꿀 받아먹는데.
응, 그 무슨 뭐 별 답이 다 있어. 별별 답이 다 있어.

아! 꿀 받아먹으며 어떻게 해야 살아가겄느냐?
“달다!” 내 한마디 일르는 놈이 그놈이 그 들어보면 답도 아니고 아무것도 아니지. 꿀 먹는 놈이 그 ‘달다’ 소리 한마디 한 거 뭔가?
허지마는 당시의 선지식(善知識)이 한목 인가(印可)여, 한목. 지금 뒤로 듣고라도 누가 시비(是非)하는 사람이 누가 있어? 시비하면 어쩔 거여, 제가 제 죽지.

이놈 응, 어떻게 했으면, 어떻게 “이럴 때 어떻습니까?” 물을 때 뭐라고 답해야 혀?
뭐 처녀를 그만 그때 ‘처녀하고 한번 살겠다’는 사람이 다 있고, ‘처녀하고 내외가 된다’는 사람이 다 있고, 뽈대기 댄 사람이 다 있고, 뭐 별 답이 다 있어.

그건 안 되아. 촉이여. 여의고 답했자 안 되고, 즉해 가지고 답했자 안 되아. 밀어내도 안 되고 소용없는 거여. 어쩔 것이냐, 어떻게 헐 것이냐? 이 말이여.
이게 공안(公案)이여. 이런 공안이라는 것은 말로 아무리 이치를 때려 붙여서 해 봐, 된 법이 있는가?

공안은 수투(須透)다. 모르미 뚫는 것이다. 이걸 잘 들어.
천하 없이도 공안 하나를 뚫지 못하면 생사(生死)는 응, 면(免)켕이는, 생사를 면켕이는 생사를 짊어지네.

조사관 뚫기 전에는 타락 없는..  모두 환(幻)이여. 응, 모두 환이여. 지환즉리(知幻卽離)는 못 되아.
‘환(幻)인 줄 알면 여의어라. 부작방편(不作方便)이다, 방편이 없느니라’ 아! 부처님도 이래놨네. 오직 해야사 당신 깨달은 도리를 이렇게 말씀을 해놓았어.

그러고 허다 허다 못혀 가섭한테 뭐라고 뵈일 도리가 없고, 뭐라고 설헐 도리가 없으니, 일러라!
허! 가섭은 어찌 다행히 그 도리(道理)를 바로 봤던지 미소를 했네. 피익 씨익 웃었다 그말이여. 미소를 했네.

‘옳다! 가섭아. 참, 가섭아! 백만중(百萬衆)이 위요(圍繞)다마는 백만중이 위요를 했다마는, 승당자(承當者)가 너로구나. 깨달은 자가 너로구나’ 이래 주었네.
바로 말해야지 어쩔 것인가? 바로 말 안 해주고 어쩍 헐 겐가?

‘가섭아 옳게 알았다. 승당자가 네로구나’
요러헌 인가가 딱딱 없어 가지고 되아? 그놈이 도둑놈도 아니지. 제 눈깔 멀어 가지고 남 가르킨다고 앉어서 선지식 노릇허고 앉었어? 백천만 군인을 다 가지고, 천만 제자를 다 가지고 있으면 뭣혀? 더 점점 더, 더 갖다가 망해 놓지.

당시에 월봉이 뭣했어? 월봉이 뭣하는 거여, 당시에. 월봉 하나 그 내비두었다가는 우리 부처님의 정법이라는 것은 거기서 매장이여.
월봉도(月峯道) 하나 되아버리고 말았지. 그런 유사교(類似敎)교. 월봉이 제가 부처 되아 버렸지.

지금에 이 말세에 사방서 모두 일어나 가지고 도인(道人) 일어나 가지고 도인 천지가 된께, 막 몇 종(宗)이 다 벌어지고 별짓 다 되니께, 아주 그만 교(敎)가 모두 번성되고 굉장한 것 같지. 정법(正法)에는 소용없어. 정법에는, 우리 정법학자라는 것은 여기에서 바로 믿고, 여기에서 바로 닦고, 정법 종자가 여기서 막 드리 출현해서 나와야 되지.

아무때나, 그저 그만 제가 어떻게 좀 잘 생기고, 좀 계행이나 똑똑하고 말도 좀 잘하고 경(經)깨나 아니까 뭐라고 입 벌리면은 ‘하이고! 스님’ 믿어 가지고 그만 ‘우리 큰스님이 제일이다’ 또 그다음 ‘큰스님이 제일이다’ 또 나와 ‘큰스님이 제일이다’ 요래 가지고 집단적으로 스승 맨들아서 제가 즈그들이 모두 맨들아서 인가도 없이 즈그들이 맨들아 가지고 받들고 있는 거, 뭣 혀? 그 뭣 헐 거여 그것이?

여시란 놈이 온 골짜기서 그만 제가 그만 모두 새끼 뒤집어 나가지고 온 골짜기에 여시 새끼가 꽉 들이찼으니 그 뭣 하는 것이냐 그말이여. 필경 그 뭐 사자나 호랑이 같은 거 하나 들어가면 다 그까짓녀러 거 어디로 도망 가, 다 밥 되아 버리고 말 것이지.

우리 부처님의 정법이 이렇게 이렇게 나오기를 몇 번이여. 몇 번 외도한테 들어가서 멕힐라다 도로 나오고 도로 나오고. 나왔지마는 우리 지금 이와 같은 정법이 어디가 머물러져 있나? 지금 우리 한국에 있다 그말이여.
장하지. 우리 한국에 시방 그 법이 있으니 참말로 장하지. 우리 수도(修道) 학자가 지금 이렇게 모여서 도 닦아 나가는 참 이 수도 학자의 그 귀중허기가 지금 어떠헌고? 지금 약존약망(若存若亡)으로 그 씨갓이 종자가 지금 여기 있어서, 어떻게 해야 되겄는고?

그 활구(活句) 참선(參禪)하는 수투조사관(須透祖師關)이다. 조사관을 뚫어라. 묘오(妙悟)는 요궁심로절(要窮心路絶)이니라. 묘오(妙悟)라는 것은 심로(心路) 끊어진 것을 묘오라 한다.
중생이 심로가 끊어져? 우리가 지금 심로가 끊어졌나? 어디 만날 그저 앉으면 그저 이 생각 요래 요래, 저래 저래 요래. 이 심로(心路)가 끊어졌어? 맨 놈의 심로.

그 부처님은 없나? 부처님은 깨달으면 그게 없어? 부처님은 심로가 아니라 각로(覺路)여. 그놈 어두운 놈이 광명 되아 버렸어. 중생은 밤중이 되어 가지고 있는디 부처님은 대낮 백주(白晝)가 되어 가지고 있어.
어두운 놈이 어디 간 곳, 온 곳 있나? 그대로가 광명체지. 어두운 놈이 광명이지. 광명 그놈이 또 어두워져 버리면 매(昧)해 버리면 어두워져 버리는 거.

활구(活句)가 있다마는, 사구(死句)라는 것은 참선에 그 붙도 못헌 것이여, 그녀러 것은. 뒈진 참선이니깐 소용없는 것이여. 그걸 가지고는 생사 하기는 간섭없다 그말이여.

아! 제대로 나와서 글 좀 잘해 가지고는 서사(書士) 되어 가지고 글 좀, 맨 놈의 써 논 놈의 글이 맨 공(空)이구만. 공 하나 알아 가지고 공(空)을 아는 게여. 알아 가지고 공을 보도 못했어. 알아 가지고는 전부 써 논 것이 맨 공이여. 뭣도 공이고, 뭣도 공이고, 뭐 공이다.
인자 술 먹어도 주색방광색부연(酒色放光色復然)이다. 술 먹고 고기 먹고 방광하고 막 지낸 게 그대로가 다 색(色)이고, 그대로가 다 공(空)이고. 요래 놓고 견성이라고 해 가지고는 야단쳐.

내가 누구라고 어떤 사람이 그런다고 내가 그런 말 하나? 그러헌 종자가 있으면은 불법 망하는 것이고, 그런 종자가 없는 게 아니라 있고. 그렇다 그말이여.
그렇지마는 내가 ‘아니다, 기다’ 뭐 쫓아다니며 시비해 놓을 것인가? 나는 부처님 정법대로 부처님 설법대로 나는 고대로만 딱딱 진묘(眞妙)만 거다 가려 내가 놓지. 어떤 것은 진(眞)이요, 어떤 것은 가(假)요, 어떤 것은 외도(外道)요, 어떤 것은... 이런 걸 내가 말해 놓는 것이지. 그거나 뭐 법문이 무엇인데?

조관(祖關)을 불투(不透)하면—이 조사관, 그 「이뭣고?」라든지 「판치생모(板齒生毛)」 화두를 한 번 파(破)혀. 툭 깨버려. 조사관도 뭐 그대로 두나? 그놈을 파해 버려 그만. 툭 깨버려 그놈을 그만. 조사관을 불투하면, 뚫지 못할 것 같으면은 심로(心路)는 부절(不絶)이다. 심로(心路)라는 건 끊어지는 법이 없어.

중생의 심로가 어디 끊어지나? 또 중생의 심로가 끊어지면 토목(土木) 와석(瓦石)같이 돌같이 이럴 것인가? 그걸 끊어졌다 하나?
심로 끊어졌어도, 벌써 견성(見性)허면 심로 끊어졌어도 거기에는 막 설법이 나오고, 설법이 운기장공(雲起長空)처럼 막 나오는 것이지.
그대로. 그대로 그 중생 업이 중생 식업(識業)이 거기에 붙들 못허는 것이고, 그대로가 모두 조사(祖師)의 말후구(末後句)가 되는 것이지. 그러기 때문에 우리 부처님의 법이란 그려.


시법(是法)이 주법위(住法位)허여  세간상상주(世間相常住)니라
나무~아미타불~

시법(是法)이 주법위(住法位)해서, 이 법(法)이 법위(法位)에 주(住)해서 세간상(世間相)이 그대로 상주(常住)해 있지,
떼고 여의고, 어두운 놈은 컴컴헌 밤중 어두운 놈을 씻거 버리고, 어떻게 없애 버리고 밝은 놈이 있는 게 아니여. 그 어두운 놈 자체 그대로가 그대로가 밝은 놈이여.
법이 법위(法位)에 주(住)해 있어서, 법(法)이 법위 항상 주(住)해서 세간상상주(世間相常住)니라.

 

부처님이 깨달라 놓을 것 같으면은 우리 중생보담도 백천만 배 더 중생 허물, 번뇌 망상 그 경계를 더 안단 말이여. 더 알고 더 말씀하고.
그놈이 낱낱이 수은(水銀) 한 덤벵이니라. 수은 한 덤벵이. 수은 한 덤벵이 그놈, 수은 덩어리 갖다가 내 부딪쳐 버리면은 천만 쪼가리가 된다 수은이. 쓸어 모으면 도로 한덩어리 되고, 암만 갈라진 미진(微塵) 티끌만큼 한 것도 그건 수은이지, 별것 아니여.

각(覺)이라는 게 그렇다 그말이여. 여의고 있나? 떼고 없애고 있나?

조관(祖關)을 불투(不透)하면은, 조관을 뚫지 못하면은 심로(心路)는 없어진 법이 없으니 심로가 그대로 중생견(衆生見)이요, 중생견 그대로가 지옥고(地獄苦)다. 그놈이 지옥고여.
그놈이 곧 지옥이고, 그놈이 아귀고, 그놈이 축생이고, 그놈이 뱀이고, 구렝이고, 소고, 말이고 그런 거지, 뭐 그놈 여의고 있나?

중생 경계라는 것은 전체가 모두 응, 천만상 분별 전체가 그런 것이 중생. 아! 그놈 그만 그 누견(陋見), 그 숭악한 누견이 말하자면은 그 좋은 그 금은보석 속에는 그런 보배인데, 이놈 껍데기에 가서 무엇이 그리 찡겨서 찌어 있는지 때가 꽉 찌었다. 암만 해야 벗겨지지 않고 찡겨 있다.

아! 그놈을 그 화닥딱 벳기는 법이 있어. 벳겨 놓으면은 그만 속에 그 금광(金光), 그 참 금은보석이 아! 그놈이 그만 휘황찬란한 거와 마찬가지지. 뭐 그놈이 뭐 딴 놈인가? 광(光)만 나면 되는 것이지.

심로가 끊어지지 아니하면은 이게 중생인데, 중생이란 건 진시의초부목정령(盡是依草附木精靈)이다.
다 이 풀에 의지해서 모도 가서 귀신이 몸뚱이 없으면은 풀에 가서 붙어 가지고 살기도 허고, 저 돌에가 붙어 가지고서는 침 탁! 뱉으면 침이나 빨아먹고.
빨아먹기나 허나? 그놈의 게 제 업력으로써 그런 걸 추헌 걸 빨아먹지, 그거 무슨 입이 있어 빨아먹어? 고런 짓이나 하고. 그걸 부목정령(附木精靈)이락 햐.

불 때다가 내던져 버린 부지깽이 끝에 가서 붙어 가지고는 그놈이 인자 놀아나고. 조리 같은 것 이런 것 쓰다가서 내던져버리면은 진태미 밑에 있다가 썩어서 나자빠진 그런 데 가서 붙어 가지고 나돌아 댕기는 모두 그걸 갖다 의초부목정령(依草附木精靈)이락 햐.

우리가 이 몸뚱이 하나 이것 가지고 시방 덮어 뒤집어쓰고, 여기서 시방 눈깔 뭔 모두 이런 것 붙어 가지고는 별별 것을 다 알아내고, 별별 진심(瞋心) 썽, 중생견 다 내고 별짓 다하지마는,
그게, 고 몸뚱이 하나 독사 같은 것 가지고서는 그 독사 같은 망상이나 피우고, 풀에 붙어 있는 영혼이나 같은 것이여. 똑같은 것이다 그말이여.  여까장.(35분50초~51분43초)





----------------(1/3)

*(게송) ‘운수기천리~’ ; 『청허당집(淸虛堂集)』 (서산 휴정) ‘회우(會友)’ 참고.
*운수[雲樹] ; 구름과 나무. 운수지회(雲樹之懷). 멀리 떨어져 있는 친구를 생각할 때 흔히 쓰는 시적(詩的) 표현. 두보(杜甫)의 ‘봄날에 이백을 생각함[春日憶李白]’이라는 시에 “내가 있는 위수(渭水) 가엔 봄날의 나무, 그대 있는 강남 땅엔 저녁의 구름[渭北春天樹 江東日暮雲]”이라는 구절에서 비롯됨. (『杜少陵詩集』 권1 참조)
*도(道) ;  ①깨달음. 산스크리트어 bodhi의 한역. 각(覺). 보리(菩提)라고 음사(音寫). ②깨달음에 이르는 수행, 또는 그 방법. ③무상(無上)의 불도(佛道). 궁극적인 진리. ④이치. 천지만물의 근원. 바른 규범.
*묘연하다(渺然-- 아득할·물이 끝없이 넓다 묘/그럴·듯하다 연) ; 넓고 멀어서 아득하다.
*육산포림(肉山脯林 고기 육/뫼 산/얇게 저미어 말린 고기 포/수풀 림) ; 고기가 산처럼 쌓이고 포가 숲처럼 많다는 뜻으로, 몹시 사치스러운 잔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천도(薦度) ; 불교 의례의 하나. 돌아가신 이의 영혼을 부처님과 인연을 맺어 주어 좋은 곳으로 가게 하는 일.
*허적하다(虛寂--) ; 텅 비어 적적하다.
*솔찬히 ; 솔찬이. ‘아주 많이. 상당히. 제법’의 사투리.
*백수(白首) ; 백두(白頭). 허옇게 센 머리.
*증득(證得) ; 수행으로 진리를 체득함.
*해태(懈怠 게으를 해/게으를 태) : 게으름(행동이 느리고 움직이거나 일하기를 싫어하는 태도나 버릇).
*퇴타(退墮 물러날 퇴/떨어질·게으를 타) ; 어떤 경지로부터 물러나 되돌아 오는 것. 퇴전(退轉)이라고도 한다.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을 깨달음.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천칠백 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조사관(祖師關) ; 조사의 경지에 이르는 관문(關門), 곧 화두(공안)을 말함. 관문(關門)은 옛날에 국방상으로나 경제상으로 중요한 곳에 군사를 두어 지키게 하고, 내왕하는 사람과 수출입하는 물건을 검사하는 곳이다. 화두는 이것을 통과하여야 견성 성불하게 되는 것이므로 선종(禪宗)의 관문이 된다.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의/덩어리 단/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공안, 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가 홀로[獨] 드러나다[露].
*발심(發心) ; ①위없는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菩提心]을 일으킴[發]. ②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초발의(初發意), 신발의(新發意), 신발심(新發心), 초심(初心), 발의(發意) 등이라고도 한다. 갖추어서 발기보리심(發起菩提心),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
*미(迷) ; 미혹(迷惑), 미망(迷妄), 미집(迷執)의 준말. 진리에 어두움. 마음이 흐리고 혼란함. 깨달음(悟)의 반대. 무명번뇌로 인하여 사리를 밝게 깨치지 못하고 전도몽상(顚倒夢想, 바르게 사물을 볼 수 없는 미혹함)하는 것.
*판치생모(板齒生毛) ; 화두(공안)의 하나
어떤 스님이 조주 스님께 묻되, “어떤 것이 ‘조사서래의’입니까?  (如何是祖師西來意)”하니 답하시되, “판치생모(板齒生毛)니라.” 하셨다. 즉, 「어떤 것이 달마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입니까?」,「판치에 털이 났느니라.」라고 하는 화두.
그러면 조주 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을까?  이 화두도 ‘무자’ 화두와 같이 ‘판치생모’에 뜻이 있는 것이 아니고 “판치생모” 라고 말씀하신 조주 스님께 뜻이 있는 것이니, 학자들은 꼭 조주 스님의 뜻을 참구해야 한다. “어째서 ‘무’라 했는고?” 하는 것과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하는 것은 조금도 다름이 없는 것이다. [언하대오(言下大悟)에서] (용화선원) p53.
*지환즉리(知幻卽離)다. 환(幻)인줄 알면 여의여 버렸다. 환(幻)에는 방편(方便)이 없다 ;
[참고] 『선가귀감(禪家龜鑑)』 (용화선원刊) p87~88.
知幻卽離라  不作方便이요  離幻卽覺이라  亦無漸次니라.

환인 줄 알면 곧 여읜 것이라 더 방편을 지을 것이 없고, 환을 여의면 곧 깨친 것이라 또한 닦아 갈 것도 없느니라.

(註解) 心爲幻師也요  身爲幻城也라  世界는  幻衣也요  名相은  幻食也니  至於起心動念과  言妄言眞이  無非幻也니라  又無始幻無明이  皆從覺心生이라.  幻幻이  如空花하니  幻滅하면  名不動이라  故로  夢瘡求醫者가  寤來에  無方便이라  知幻者도  亦如是니라.

마음은 환을 만드는 환사(幻師)요, 몸은 환의 성이라. 세계는 환의 옷이며, 이름과 형상은 환의 밥이니 마음을 일으키고 생각을 내는 것이나 거짓이라 참이라 하는 것이 다 환 아닌 것이 없다。그러므로 시작도 없는 환상 같은 무명이 다 본 마음에서 나온 것이다.
모든 환상은 실체가 없는 허공의 꽃과 같으므로 환상이 없어지면 그 자리가 곧 부동지(不動地)이다. 마치 꿈에 창병이 나서 의사를 찾던 사람이 잠을 깨면 근심 걱정이 사라지듯, 모든 것이 환인 줄을 알면 또한 이와 같으리라.
*계행(戒行) ; ①계(戒)를 지켜 수행하는 것. 계율에 정해진 규칙을 성실하게 실천수행하는 것. ②계율과 도덕.
*심지(心地) ; ①마음의 본래 자리. 모든 인식과 실천의 근거가 되는 자리. 마음이 일체 만법을 내는 것이 마치 땅에서 풀 · 나무 등을 내는 것과 같으므로 이렇게 말한다. ②마음자리에 본래부터 갖추어진 자성의 계체(戒體). 심지계(心地戒)와 같다. 불성계(佛性戒), 무위계(無爲戒), 무상계(無相戒)라고도 한다.
*십중대계(十重大戒) ; 대승 불교에서, 보살이 범해서는 안 되는 가장 중요한 열 가지 계율.
①살생, ②도둑질, ③간음, ④거짓말, ⑤술의 구입 및 판매, ⑥보살 및 비구나 비구니의 죄과를 들추어 말함, ⑦자기를 높이고 타인을 비방함, ⑧베푸는 데 인색함, ⑨화내어 타인의 사죄를 받아들이지 않음, @불법승(佛法僧)의 삼보(三寶)를 비방함 등을 금하고 있다.
*대승계(大乘戒) ; 대승의 보살이 받아 지켜야 할 계율. 보살계라고도 한다.
「범망경」에서 설하는 십중금계(十重禁戒) · 사십팔경계(四十八輕戒)와 「선계경(善戒經)」에서 설하는 삼취정계(三聚淨戒)등을 말함.  이 삼취정계 안에는 율의계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대승계 속에는 소승계가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삼취정계란 ①부처님이 정한 규율을 지킴으로써 악행을 막는 섭률의계(攝律儀戒), ②한걸음 더 나아가 선행을 하는 섭선법계(攝善法戒), ③중생을 교화하고 그 이익을 위해 힘을 다하는 섭중생계(攝衆生戒)를 말한다.





----------------(2/3)

*색심(色心) ; 색욕(色慾 성적 대상에 대하여 일어나는 욕구)이 일어나는 마음.
*신계(身戒) ; 몸에 지니는 계행(戒行). 모든 살생 · 도둑질 · 음행에서 영원히 벗어나 범하지 않는 몸에 관한 계율.
*심계(心戒) ; 탐욕(貪欲) · 진에(瞋恚) · 사견(邪見) 등의 사악하고 올바르지 않은 것을 생각하는 마음을 제지하는 계.
*칠보앵금 ; 칠보(七寶)로 장엄한 거문고.
*고목의한암(枯木倚寒岩)  삼동무난기(三冬無暖氣) ; ‘마른 나무가 찬 바위에 기댔으니, 삼동에 더운 기운이 없구나’
[참고] 『선문염송(禪門拈頌)』 제30권 1463칙 ‘고목(枯木)’ 『선문염송 · 염송설화(禪門拈頌拈頌說話) 10』 (혜심·각운 지음 |김월운 옮김 | 동국역경원) p428~429.
昔有婆子  供養一庵主  經二十年  常令女子  送飯給侍  一日令女子抱定云  正伊麽如何  庵主云  枯木倚寒嵓  三冬無暖氣  女子歸擧似婆  婆云我二十年  只供養得箇俗漢  遂發起燒却庵

옛날에 어떤 노파가 한 암주(庵主)를 20년 동안 공양하였는데, 항상 딸에게 밥을 보내 시봉(侍奉)을 하곤 했다.

어느 날 딸로 하여금 꼭 껴안고 물어 보게 하였다. “이럴 때, 어떠하십니까?”

암주가 말하였다. “마른 나무가 찬 바위에 기댔으니, 삼동에 따사로운 기운이 없도다”


딸이 돌아와서 노파에게 이야기를 전하니, 노파가 말하였다. “내가 20년 동안 겨우 속한(俗漢)을 공양했구나” 그리고는 벌떡 일어나서 암자를 불질러 버렸다.
*무간하다(無間--) ; 서로 체면을 차리거나 조심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허물없이 친하다.
*속한(俗漢 풍속·세상 속/사내 한) ; 세속에 속한 이. 속인(俗人)을 뜻하는 말.
*시은(施恩) ; ①시주(施主)에게서 받은 은혜. ②은혜를 베풂.
*사미과(沙彌科) ; 우리나라 전통강원의 수학 과정 중 처음으로 배우는 과목이다.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 · 『사미율의(沙彌律儀)』 · 『치문경훈(緇門警訓)』 · 『선림보훈(禪林寶訓)』 등을 배운다.
*사집과(四集科) ; 우리나라 전통강원의 수학 과정 중 하나로 사미과(沙彌科)를 배우고 나서 수학하는 과정이다. 곧 규봉 종밀 스님의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都序』), 대혜 스님의 『대혜선사서장(大慧禪師書狀)』(『書狀』), 보조 지눌 스님의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節要』), 고봉원묘 스님의 『고봉화상선요(高峰和尙禪要)』(『禪要』)를 말한다.
*사교과(四敎科) ; 조선 중기 이후, 우리나라 스님들이 불경이나 그에 대한 논설 따위를 강론하고 학습하는 곳인 강원(講院)의 수학 과정 중 하나로 사미과(沙彌科) · 사집과(四集科)에 이어 배우는 과정이다. 곧 『능엄경(楞嚴經)』, 『기신론(起信論)』, 『금강경(金剛經)』, 『원각경(圓覺經)』을 이른다.
*대교과(大敎科) ; 우리나라 전통강원의 수학 과정 중 하나로 사미과(沙彌科) · 사집과(四集科) · 사교과(四敎科)에 이어 『화엄경(華嚴經)』 · 『전등록(傳燈錄)』 · 『선문염송(禪門拈頌)』 등을 배운다.
*강사(講師) ; 경론(經論 부처님의 가르침을 기록한 경經과 그 가르침을 주석·연구·정리·요약한 논論)을 가르치는 스님.
*도리회(道理會) ; 화두를 공부할 때 정신을 차려 본참공안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일정한 사유의 틀을 가진 도리(道理)에 근거하여 ‘도리가 그렇다’하며 분별하는 잘못된 알음알이. 회(會)는 이해함, 분별함, 알아맞춤 등의 뜻.
*알음알이(知解) : 참선은 연구하는 것이 아니다。생각으로써 이리저리 따져서 아는 것은 깨친 것이 아니다。참선하는 데 가장 꺼리는 것이 이 알음알이이다。그러므로 『이 문 안에 들어오려면 알음알이를 내지 말라(入此門內莫存知解)』라고 크게 써서 절 문에 붙이는 것이 이 까닭이다.
*외도(外道 바깥 외/길 도) ; ①불교 이외의(外) 다른 종교(道)의 가르침. 또는 그 신봉자. ②그릇된 가르침, 그릇된 가르침을 따르는 사람.
*범정(凡情 무릇·보통 범/뜻 정) ; 범부(凡夫 번뇌에 얽매여 생사를 초월하지 못하는 사람)의 생각. 또는 범부의 망상분별을 말한다. 깨닫지 못한 이들이 근거없이 범상한 알음알이로 헤아리는 것. 범심(凡心)과 같은 말.
*마조원상(馬祖圓相) 공안 ; [선문염송(禪門拈頌)] (혜심 지음) 제5권 165칙 ‘원상(圓相)’ 공안.
馬祖因見僧參  畫一圓相云  入也打不入也打  僧便入  師便打  僧云和尙打某甲不得  師靠却拄杖  休去.

마조 스님에게 어떤 스님이 와서 뵙자, 마조 스님이 원상(圓相), 동그라미를 그려 놓고 ‘입야타(入也打) 불입야타(不入也打), 이 원상에 들어가도 치고 들어가지 아니해도 친다’하고 물으시니, 그 스님이 원상 안으로 들어갔습니다.
마조 스님이 주장자로 들어간 그 스님을 한 대 후려치니까, 그 스님이 말하기를 ‘스님께서는 저를 치지 못했습니다’ 그러니까 마조 스님이 휴거(休去)를 했습니다. 아무 말도 없이 가버리셨습니다.

 


[참고] 송담스님(No.282)-86년 1월 첫째일요법회(86.01.05)에서.(2분 19초)
마조 스님이 원상(圓相)을 그려 놓고 ‘입야타(入也打) 불입야타(不入也打) 이 원상에 들어가도 치고 들어가지 아니해도 친다.’ 이 공안을 물은데 어떤 스님이 그 안에 들어갔어.
들어가니까 마조 스님이 주장자로 들어간 그 스님을 한대 후려쳤습니다. 치니까 그 스님이 말하기를 『스님께서는 저를 치지 못했습니다.』 이랬습니다. 그러니까 마조 스님이 휴거(休去)를 했습니다. 아무 말 없이 그냥 방장(方丈)으로 들어가 버렸습니다.

‘이 원상 안에 들어가도 치고 들어가지 아니해도 친다’한 그 공안에 그 스님이 턱 뛰어들어가는 도리는 무슨 도리며, 들어가니까 마조 스님이 주장자로 한 방을 후려치니까 그 스님이 그 방(棒)을 맞고서 하는 말이 『스님께서는 저를 치지 못했습니다.』 또 그 스님이 그렇게 말한 데에 마조 스님이 아무 말없이 저리 가버렸으니... 이러한 공안에 확연(確然)히 의심이 없어야 하는 것입니다.

비록 이러한 공안이 문헌상에 오른 것만 해도 천칠백 공안이라 하는데, 이것이 다 부처님과 조사가 씹다가 버린, 먹다가 버린 찌꺼기에 지나지 못한 것이기는 하나, 이러한 공안이 바로 학자(學者)의 소견(所見)을 가려보는 데에는 좋은 시금석(試金石)이 되는 것입니다.
*전강 스님과 경봉 스님의 ‘마조원상(馬祖圓相)’ 공안 법거량.

[참고] 송담스님(No.119)—80년 1월 관음재일 법어(80.01.24)
경봉 스님께서, 지금 통도사 극락선원 조실로 계신 경봉(鏡峰) 큰스님께서 처음에 깨달으셨을 때, 바로 마치 그때 거기에 당도하신 전강 조실 스님께서는 경봉 스님보다는 훨씬 연세가 아래였었지마는 바로 이 마조원상의 공안을 경봉 스님께 물어 가지고,
처음에는 경봉 스님께서 그 원상을 손으로 이리 뭉켔습니다. 거기에서 전강 스님은 “당장 이 송장을 끌어 묻으라”고 호통을 치셨습니다.

거기에서 한참 눈을 웅큼하게 해 가지고 계시다가 다시 경봉 스님께서 “이제 알았다. 다시 물어라” 이렇게 해서 그때 보시니 아까의 경계와 판연히 달라서 경봉스님을 산골짜구니로 끌고가 가지고 이 공안을 다시 물으니까 여지없이 경봉 스님께서 일르셨다고 한 말씀을 금방 법문을 통해서 들었습니다.(15분48초~17분19초)
*점두(點頭 고개를 끄덕일 점/머리 두) ; (사람이)승낙하거나 찬성하거나 옳다는 뜻으로 머리를 약간 끄덕임.
*고불미생전(古佛未生前)  응연일상원(凝然一相圓)  석가유미회(釋迦猶未會)  가섭기능전(迦葉豈能傳) ; ‘옛 부처 나기 전에 한 상이 두렷이 밝았도다. 석가도 몰랐거니 가섭이 전할손가’
[참고] 『선가귀감(禪家龜鑑)』 (용화선원刊) p11~12.
有一物於此호대  從本以來로  昭昭靈靈하야  不曾生不曾滅이며  名不得狀不得이로다.

여기에 한 물건이 있는데, 본래부터 한없이 밝고 신령하여, 일찌기 나지도 않고 죽지도 않았으며, 이름 지을 수도 없고, 모양 그릴 수도 없음이로다.

(註解) 一物者는  何物고  〇  古人이  頌云, 古佛未生前에  凝然一相圓이라  釋迦도  猶未會어니 迦葉이  豈能傳가 하니  此一物之所以不曾生不曾滅이라  名不得狀不得也라

한 물건이란 무엇인가?  〇  옛 사람이 송하기를  「옛 부처 나기 전에 한 상이 두렷이 밝았도다. 석가도 몰랐거니 가섭이 전할손가」하니  이것이 한 물건의 나는 것도 아니요, 죽는 것도 아니며, 이름 붙일 수도 없고 모양을 그릴 수도 없는 까닭이다
*방(棒) ; 몽둥이. 또는 주장자(拄杖子). ‘방망이 봉’자이지만 불교에서는 덕산방(德山棒) 등의 용례에 따라 ‘방’으로 읽는다.
*방할(棒喝) ; 선가(禪家)에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직접 체험의 경지를 나타날 때, 또는 수행자를 점검하며 꾸짖거나 호통칠 때, 방망이나 주장자(拄杖子)를 세우거나 그것으로 수행자를 몽둥이질하는 것을 방(棒)이라 하고, 그러한 때 크게 소리를 내지르는 것을 할(喝)이라 한다. 덕산선감(德山宣鑑)은 방으로 가풍(家風)을 삼았으며, 임제의현(臨濟義玄)은 할로써 지도방법을 삼았다. 이것을 두고 ‘덕산방(德山棒)’, ‘임제할(臨濟喝)’이라 한다.
*탁마상성(琢磨相成 쫄 탁/갈 마/서로 상/이룰 성) : 서로 탁마해서 공부를 완성한다.
*탁마(琢磨 쫄 탁/갈 마) ; ①학문이나 덕행 따위를 닦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②옥이나 돌 따위를 쪼고 갊. ③옥을 갈고 돌을 닦듯이 한결같이 정성껏 애써 노력하는 것. ④선지식에게 자기의 공부하다가 깨달은 바를 점검 받는 것.





----------------(3/3)


*도장원(都壯元) ; 장원(壯元). ①예전에, 과거(科擧)의 갑과(甲科)에서 일등으로 급제하는 일이나 그 사람을 이르던 말. ②글을 제일 잘 지어 성적이 첫째임. 또는 그런 사람.
*달다 ; “등나무 넝쿨에 매달려 꿀방울을 먹던 그 사람이 어떻게 하였으면 살아가겠느냐?”의 물음에 대한 전강 스님의 답.
[참고] 『언하대오(言下大悟)』 (전강선사 법어집 | 용화선원刊) p20~22.
그러면 여기서 ‘안수정등(岸樹井藤)’에 대한 이야기를 한번 하여 보자.
한 사람이 망망한 광야를 가는데 그 사람을 잡아 먹으려고 무서운 코끼리가 쫓아 따라오고 있다. 생사가 박두하여 정신없이 달아나다가 보니, 언덕 밑에 우물이 있고 등나무 넝쿨이 우물 속으로 축 늘어져 있다. 그 사람은 등나무 넝쿨을 하나 붙들고 우물 속으로 내려갔다.

우물 밑바닥에는 독룡이 입을 벌리고 쳐다보고 있고 또 우물 중턱의 사방을 돌아보니 네 마리의 뱀이 입을 벌리고 있다. 할 수 없이 등나무 넝쿨을 생명줄로 삼고 우물 중간에 매달려 있으니 두 팔은 아파서 빠질려고 하고 흰 쥐와 검은 쥐가 번갈아 가며 그 등넝쿨을 쏠고 있다.
만일 등나무 넝쿨을 쥐가 쏠아서 끊어질 때라든지, 또 두 팔의 힘이 빠져서 아래로 떨어질 때는 독룡에게 잡혀 먹히는 수밖에 없다.

그때 머리를 들어서 위를 쳐다보니 등나무에 매달려 있는 벌집에서 달콤한 꿀물이 한 방울, 두 방울, 세 방울, 네 방울, 다섯 방울… 이렇게 떨어져서 입 속으로 들어가고 있다. 이 사람은 꿀을 받아 먹는 동안에 자기의 위태로운 경계도 모두 잊어버리고 황홀경에 도취되었다.

이것은 비유 설화인데 ‘한 사람’이란 생사고해에서 헤매고 있는 중생을 말한 것이요, ‘망망한 광야’는 생사광야인 육도윤회이고, ‘쫓아오는 코끼리’는 무상살귀(無常殺鬼)요, ‘우물’은 이 세상이고 ‘독룡’은 지옥이다. ‘네 마리 뱀’은 이 몸을 이룬 지수화풍(地水火風)의 사대(四大)요, ‘등나무’는 무명수(無明樹)이고, ‘등나무 넝쿨’은 사람의 생명줄이다.
‘흰 쥐와 검은 쥐’는 일월이 교체하는 낮과 밤이요, ‘벌집의 꿀’은 소위 눈앞의 오욕락이란 것이니 재물과 색과 음식과 수면과 명예욕이다.

이것이 바로 생사고해에서 헤매는 중생을 비유하여 말한 설화이다.
이러한 급박한 상황에 놓여 있으면서도 중생들은 그 꿀방울에 애착하여 무상하고 위태로운 것을 모르고 있는 것이다. 올라갈 수도 없고, 머무를 수도 없고, 내려갈 수도 없는 여기에서 어떻게 하면 뛰어나 생사해탈을 할 수 있는가 하는 ‘안수정등’이라는 공안이다.

지금부터 약 45년 전 도봉산 망월사에 용성 스님이 조실로 계시었다. 그때 용성 스님께서는 제방선원에 “등나무 넝쿨에 매달려 꿀방울을 먹던 그 사람이 어떻게 하였으면 살아가겠느냐?”하고 물었다.

만공 스님의 답은 “어젯밤 꿈 속의 일이니라(昨夜夢中事)”

혜봉 스님의 답은 “부처가 다시 부처가 되지 못하느니라(佛不能更作佛)”

혜월 스님의 답은 “알래야 알 수 없고 모를래야 모를 수 없고 잡아 얻음이 분명(拈得分明)하니라”

용성 스님의 자답은 “박꽃이 울타리를 뚫고 나와 삼밭에 누었느니라.(瓢花穿籬出 臥在麻田上)”

보월 스님의 답은 “어느 때 우물에 들었던가(何時入井)”

고봉 스님의 답은 “아야, 아야” 하셨는데,

나, 전강은 답하되 “달다!” 하였으니 언하에 대오할지어다.


*선지식(善知識) ; ①부처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좋은 지도자. 훌륭한 지도자. 바르게 이끄는 사람. ②좋은 벗. 마음의 벗. 선우(善友).
*인가(印可 도장 인/옳을·인정할 가) ; 스승이 제자의 깨달음을 인정함
*켕이 ; ‘커녕’의 사투리.
*커녕 ; ①체언의 뒤에 붙어, 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뜻을 강조할 뿐 아니라 그보다 못한 것까지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②체언의 뒤에 붙어, ‘그것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도리어’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백만중(百萬衆)이 위요(圍繞)를 했다마는, 승당자(承當者)가 너로구나. 깨달은 자가 너로구나’
[참고] 『고봉화상선요·어록(高峰和尙禪要·語錄)』 (통광 역주 | 불광출판부) p50, 57 참고.
〇三世諸佛  歷代祖師  留下一言半句  惟務衆生超越三界  斷生死流  故云  爲一大事因緣  出現於世  若論此一大事  如馬前相撲  又如電光影裏穿針相似  無儞思量解會處  無儞計較分別處  所以道  此法非思量分別之所能解  是故世尊  於靈山會上  臨末梢頭  將三百六十骨節  八萬四千毛竅  盡底掀飜  雖有百萬衆圍繞  承當者惟迦葉一人而已  信知此事決非草草

삼세(三世)의 부처님들과 역대의 조사들이 남기신 한마디 말씀이나 반 토막 글귀라도 그것은 오직 중생들이 삼계를 초월하여 생사의 흐름을 끊게 하려는 데 있다. 그러므로 말씀하시기를 “일대사 인연(一大事因緣)을 위하여 세간에 출현했다”고 하셨다.
만일 이 일대사를 논하자면 마치 달리는 말 앞에서 씨름하려는 것과 같고 번개불빛에 바늘귀 꿰려는 것과 같으므로 그대들의 사량(思量)으로는 알 수 없으며 계교하여 분별할 수도 없다. 그러므로 말씀하시기를 “이 법은 사량분별로는 알 수 없다”고 하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세존께서 영산회상에서 맨 마지막에 이르러 삼백육십 골절(骨節)과 팔만사천 털구멍까지를 죄다 드러내 보이시니 백만 대중이 둘러싸 있었건만 아는 이는 오직 가섭(迦葉) 한 사람뿐이었다. 참으로 이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닌 줄 알겠다.
*정법(正法) ; ①올바른 진리. ②올바른 진리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③부처님의 가르침이 올바르게 세상에 행해지는 기간.
*약존약망(若存若亡) ; 있는 듯도 하고 없는 듯도 함.
*씨갓 ; ‘씨앗’의 사투리.
*참선수투조사관(參禪須透祖師關)  묘오요궁심로절(妙悟要窮心路絶) ; ‘참선을 하려면 조사의 관문을 뚫어야 하고, 오묘한 깨달음은 마음 길이 끊어져야 한다’
[참고] 『무문관(無門關)』 (무문 혜개 스님) 제1칙 ‘조주구자(趙州狗子)’ . 『선가귀감』 (용화선원刊) p61. *絶=絕(끊을 절).
*견성(見性) : ‘성품(性)을 본다(見)’는 말인데 ‘진리를 깨친다’는 뜻이다。자기의 심성을 사무쳐 알고, 모든 법의 실상인 당체(當體)와 일치하는 정각(正覺)을 이루어 부처가 되는 것을 견성 성불이라 한다.
*조사(祖師) : 부처님의 바른 종지(宗旨) 곧 조사선법(祖師禪法)을 전하는 스승을 말함이니 종사(宗師)와 같다.
*말후구(末後句) ; ①말후(末後)는 구경(究竟), 필경(畢竟), 구극(究極), 지극(至極)의 뜻. 구(句)는 언구(言句), 어구(語句), 문구(文句)란 뜻. 크게 깨달아 구경에 이르러서 하는 말. 지극한 글귀. 말후일구(末後一句). ②문장의 맨 끝의 말. ③임종의 말.
*(게송) ‘시법주법위(是法住法位) 세간상상주(世間相常住)’ ; 『법화경(法華經)』 권1 제2 방편품(方便品). ‘이 법이 법위(法位)에 주해서 세간상(世間相)이 상주(常住)니라’
*법위(法位) ; 진여(眞如 궁극적인 진리. 깨달음의 지혜. 부처의 성품)의 다른 이름. 진여는 모든 법이 안주(安住)하는 자리이므로 법위라고 한다.
*세간상(世間相) ; 세간(世間 이 세상. 변하면서 흘러가는 현상계. 미혹한 세계)의 다양한 차별상.
*세간상상주(世間相常住) ; 세간의 차별상이 변함없이 제 자리에 머문다는 말. 세간상주(世間常住)라고도 한다. 법이 법(法)의 자리[位]에 자리잡고 있듯이 세간의 차별상도 그렇다는 뜻이다. 진여가 상주하듯이 다른 모든 법도 그러하여 그들 법은 있는 그대로 진여와 다르지 않다는 도리이다.
[참고] 『백운어록(白雲語錄)』 (上) ‘흥성사입원소설(興聖寺入院小說)’
是法住法位  世間相常住  則一切諸法  當處自眞  當處解脫  當處寂滅

‘이 법이 법위에 머무니 세간의 차별성도 변함없이 머문다’라고 하니, 모든 법은 현재 있는 그대로 진실할뿐이고, 현재 있는 그대로 해탈이며, 현재 있는 그대로 고요한 것이다.
*누견(陋見 좁을·천할·조악할 루/볼·나타낼 견) ; 좁은 생각이나 소견. 하찮은 의견.
*부지깽이 ; 아궁이 따위에 불을 땔 때 불을 헤치거나 거두어 넣거나 끌어내는 데 쓰이는 가느다란 막대기.
*조리(笊籬) ; 쌀에 섞여 있는 돌과 뉘를 걸러내기 위해서 쌀을 이는 데 쓰는 도구. 가는 대오리나 싸리 따위로 결어서 조그만 삼태기 모양으로 만드는데, 손잡이가 기다랗게 달렸다.
*진태미 ; ‘①먼지, 묵은 때, 찌든 때. ②진눈깨비’를 뜻하는 사투리.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