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구참선 최상승법2016. 6. 3. 08:26

 

 

§(402) 번뇌(煩惱) 나무로 지혜의 불을 피워서 열반(涅槃) 밥을 짓는다. 일어나는 번뇌를 돌이켜서 번뇌 일어나는 뿌리를 찾는 것이 참선(參禪).

 

우리 중생들이 오욕락(五欲樂), 탐진치(貪瞋癡) 삼독심(三毒心)으로 오욕락에 빠져서, 거기에 맛을 붙여서 그놈을 탐을 내다가 그냥 거기서 떨어져 나오지를 못하고 만다.

 

오욕락(五欲樂)이라고 하는 것이 바로 마왕 파순이가 도인(道人) 올개미에 얽어 가기 위해서 모다 널어놓은 것이여. 그것이 바로 원숭이 잡기 위해서 진드기에다가 맛있는 음식을 붙여 놓은 거와 같은 것이다.

 

번뇌라고 하는 나무가 있어야 지혜라고 하는 불을 피울 수가 있고, 지혜의 불을 피워야 열반의 밥을 지을 수가 있다. 그래서 열반의 밥을 나도 먹고, 모두 사람에게 열반의 밥을 먹여서 해탈도(解脫道) 증득하게 하는 것입니다.

 

번뇌와 망상이 일어날 때에 어떻게 그놈을 잡드리를 하고, 어떻게 그놈을 돌이켜서 그놈에 ()해서 화두를 드느냐? 여기에 공부를 성취할 있는 묘한 길이 있는 것입니다.

 

정말 빨리 깨닫고자 원하면 티끌도 원래 () 있지를 않다깨달음이 데에 있고, 극락세계(極樂世界) 데에 있고, 도솔천내원궁(兜率天內院宮) 데에 있는 것이 아니여. 티끌도 ()하지 않혀.

 

**송담스님(No.402)—1989(기사년)동안거 결제 법어(89.10.15.) (용402)

 

(1) 약 13분.

 

(2) 약 6분.

 

(1)------------------

 

사서순환난부한(四序循環暖復寒)한데   미후심련육화촌(獼猴深恋六華村)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이성안색증무가(耳聲眼色曾無暇)하여   염념나지시사문(念念那知是死門)

나무~아미타불~

 

사서순환난부한(四序循環暖復寒), 춘하추동(春夏秋冬)! 계절이 돌고 돌아서, 그렇게 더웁고 더웠던 여름철이 가고, 가을을 거쳐서 다시 엄동 겨울이 돌아왔구나.

겨울이 돌아왔는데, 미후심련육화촌(獼猴深恋六華村)이다. 잔나비는 피고, 피고 열매가 열던 여섯 마을, 육화촌(六華村) 그리워하는구나.

 

이성안색증무가(耳聲眼色曾無暇)하더니, 귀로는 온갖 소리를 듣고, 눈으로는 온갖 아름다운 색상을 보느라고 일찍이 틈이 없었어. 귀로는 온갖 새소리 바람소리 흐르는 소리요, 눈으로는 노랗고 빨갛고 모든 , 아름다운 꽃이 피고 그런 것을 귀로 듣고, 눈으로 보느라고 아무 다른 겨를이 없었다.

염념나지시사문(念念那知是死門). 그러느라고 생각 생각이 여섯 아름다운 마을에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냄새 맡고, 혀로 맛보고, 몸으로 느끼고, 생각으로 생각하느라고 겨를이 없었던 바로 그러한 것들이, 생각 생각이 죽음의 문인 줄을 어찌 알았으리오.

 

잔나비가 그렇게 자연 경계, 아름다운 대자연의 경계에 취해서 그렇게 나무로 올라갔다 내려왔다, 바위로 올라갔다 내려왔다, 이리저리 뛰고 건너고 그렇게 놀다가,

아주 맛있는, 제일 맛있는, 잔나비가 제일 좋아하는 것을 어느 포수가 진드기거기에 닿기만 하면 ! 들어붙어 가지고 떨어지지 않어어떻게 접착력이 강한 진드기를 먼저 바위에다 발라 놓고 거기다 맛있는, 잔나비가 제일 좋아하는 맛있는 음식을 놓으니까,

 

원숭이란 놈이 산중에서 이리 뛰고 저리 뛰고 하다가, 맛있는 것이 있으니까 그놈을 먹으러 ! 바위로 올라가니까 앞발이 ! 들어붙어. 앞발을 떼기 위해서 뒷발을 대니까 뒷발도 붙어. 그놈을 띠기 위해서 입으로 어떻게 하면 떨어질까 하고 입을 대니까 입까지 들어붙어 버렸다.

 

이것이 우리 중생들이 오욕락(五欲樂), 탐진치(貪瞋癡) 삼독심(三毒心)으로 오욕락에 빠져서, 거기에 맛을 붙여서 그놈을 탐을 내다가 그냥 거기서 떨어져 나오지를 못하고 만다 그말이여.

그러니 잔나비는 맛있는 음식 뭉텅이를 먹기 위해서 달라들었다가 진드기에 붙어서, 포수가 와서 잔나비를 잡아다가 길을 들여서 팔아먹는다 그말이여.

 

오욕락! 탐진치 삼독심으로 오욕락을 즐기다가, 오욕락(五欲樂)마왕(魔王) 파순(波旬)이가 () 닦는 사람들을 그냥 도를 닦게 두면 저마다 도를 성취해서, 진리를 깨달아서 () 깨닫게 되면 마왕 파순이의 궁전이 파괴가 되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도인(道人) 되어 버리고, 부처님이 되어 버리면 마왕 파순이가 자기의 영토가 없어지고, 자기 궁전이 없어지고, 자기의 권속들이 전부 멸망을 당하기 때문에 갖은 수단으로 닦는 사람을 방해를 치는데,

오욕락(五欲樂)이라고 하는 것이 바로 마왕 파순이가 도인(道人) 올개미에 얽어 가기 위해서 모다 널어놓은 것이여. 그것이 바로 원숭이 잡기 위해서 진드기에다가 맛있는 음식을 붙여 놓은 거와 같은 것이다.

 

마왕 파순이는 눈을 통해서 탐착(貪着) 하게 하고, 귀를 통해서 탐착하게 하고, 코를 통해서 탐착하고, ·몸뚱이·생각, 육근(六根) 통해서 육진(六塵) 탐착해 가지고, 육식(六識) 발동을 하면 벌써 그게 마왕 파순이의 올개미에 걸려든 것이다 그말이여.

 

그러나 우리가 육근(六根) 육진(六塵), 육식(六識), 십팔계(十八界)인데, 십팔계를 여의고 따로 진리가 있고, 따로 부처님이 있고, 따로 () 있다고 생각하면 불법(佛法) 잘못 이해한 것입니다.

비록 온갖 번뇌와 망상이 그놈 때문에 육도윤회(六途輪廻) 것은 사실이지만 번뇌(煩惱) 나무로 지혜의 불을 피워서 열반(涅槃) 밥을 짓는다이렇게 비유를 했습니다.

 

번뇌라고 하는 나무가 있어야 지혜라고 하는 불을 피울 수가 있고, 지혜의 불을 피워야 열반의 밥을 지을 수가 있다. 그래서 열반의 밥을 나도 먹고, 모두 사람에게 열반의 밥을 먹여서 해탈도(解脫道) 증득하게 하는 것입니다.

 

번뇌(煩惱)라고 하는 나무가 없으면은 결단코 지혜의 불을 피울 수가 없어.

우리가 눈으로 알고, 귀로 들을 알고, 코로 맡을 알고, 혀로 맛볼 있고, 몸뚱이로 느끼고, 생각으로 온갖 것을 생각할 알기 때문에, 바로 일어나는 번뇌를 돌이켜서 번뇌 일어나는 뿌리를 찾는 것이 참선(參禪) 아닌가.

 

정진하는 사람에게 망상이 일어나서, 화두(話頭) 순일치 못하고 의단(疑團) 독로(獨露)하지 못해서 도를 성취하지 못한다대부분 그것 때문에 많은 수행자들이 고통을 하고 괴로워하고.

혼침(昏沈) 일어나고 졸음이 오기 때문에 성성(惺惺)하지 못하고, 번뇌가 일어나기 때문에 적적(寂寂)하지 못한다언필칭(言必稱) 그렇게 생각하고 있고 그렇게 말을 하지만, 다행히 잠이 오기 때문에 우리는 이렇게 생명을 유지할 수가 있어.

잠이 봐요, 잠이 참으로 오면 공부도 못하고 건강도 유지가 되지를 않습니다. 잠이 오기 때문에 그만큼 건강이 유지가 되고 이렇게 생명을 유지해. 생명이 유지가 되어야 참선도 하는 것이여.

 

번뇌가 일어나고 목석처럼 되어 버린다던지, 눈으로 봐도 아무것도 분간(分揀) 못하고, 귀로 소리를 들어도 아무것도 분간을 못하고, 먹어도 아무것도 분간을 못하고, 그런 사람이 공부를 잘할 같지마는, 그렇게 되어 버린 사람은 어떻게 사람이 공부를 수가 있느냐 그말이여.

 

그래서 졸음이 온다고 해서 공부 못하는 것이 아니여. 졸음을 내가 어떻게 지혜롭게 단속을 하고 이겨 나가느냐?

번뇌와 망상이 일어나면, 번뇌와 망상이 일어날 때에 어떻게 그놈을 잡드리를 하고, 어떻게 그놈을 돌이켜서 그놈에 ()해서 화두를 드느냐? 여기에 공부를 성취할 있는 묘한 길이 있는 것입니다.(처음~133)

 

 

 

 

 

(2)------------------

 

생사유이방(生死有異方)하고   열반무비결(涅槃無秘訣)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화급요상응(火急要相應)인댄   일진원불격(一塵元不隔)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생사유이방(生死有異方) 열반무비결(涅槃無秘訣)이여. 세상에 나서 한평생 살다가 죽고, 태어났다 죽고 태어났다 죽고 하는데, 어느 사람이고 그렇지 아니한 사람이 없어.

길을 면치를 못하는데 모양은 사람이면 사람, 사람이면 사람, 태어나서 일평생을 살다 가는 방법이 달러. 길이 다르다 그말이여.

 

그런데 열반(涅槃)에는 무비결(無秘訣)이여. 생사해탈 하는, 생사해탈 해서 영원히 진리와 계합(契合)하는 데에는 똑같은 비결이 없어.

눈으로 보다가 깨닫기도 하고, 귀로 소리를 듣다가 깨닫기도 하고, 걸어가다 깨닫기도 하고, 또는 넘어지다 깨닫기도 하고, 자다가 ! 벼개에서 떨어지다 깨닫기도 하고, 욕하는 소리를 듣다가 깨닫기도 하고, 피는 것을 보다가 깨닫기도 하고, 주렴(珠簾) 걷다가 깨닫기도 하고, ! 깨닫는 데에도 특별한 것이 없어.

 

그러기 때문에 언제 어떻게 깨닫게 될런지를 모른다 그말이여. 그러기 때문에 항상 자기의 본참공안(本參公案) 여의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그말이여.

 

본참공안을 여의지 않고 의단이 독로하고 화두가 순숙(純熟)해야만 언제 어떻게 깨닫게 될는지 모르는데, 화두를 버리고 의단이 독로하지 못하고 그냥 보면은 보는 끄달리고, 들으면 들은 데에 끄달려서 그러한 상태에서는 깨달음이 오지를 않혀.

항상 화두(話頭) 잡드리하고 의단이 독로하고 화두가 순숙하도록, 타성일편(打成一片) 되도록 잡드리를 하는 데에서 깨닫게 되는 것이다 그말이여.

 

정말 빨리 깨닫고자 원하면 티끌도 원래 () 있지를 않다

깨달음이 데에 있고, 극락세계(極樂世界) 데에 있고, 도솔천내원궁(兜率天內院宮) 데에 있는 것이 아니여. 티끌도 ()하지 않혀.

 

그래서 깨달음이라 하는 것은 지난번 일요법회 , “바로 그놈이 끄터리에, 코밑에서 뱅뱅 돈다 조실 스님은 그러한 비유의 법문을 하셨지만, 바로 끄터리에 뱅뱅 도는눈으로 , 귀로 들을 , 코로 냄새 맡을 , 혀로 맛을 , 몸으로 느낄 , 생각 일어났다 꺼질 , 찰나찰나를 우리는 범연(泛然) 넘겨서는 안된다.(3634~4153)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게송) 사서순환난부한~’ ; 중봉명본 스님의 '天目中峯和尙廣錄卷第三十'에서 '警世二十二首' 게송 참고.

*잔나비 ; ‘원숭이 사투리.

*진드기 ; 진드기는 사람이나 가축의 피부에 달라붙어 피를 빨아먹는 벌레인데, 사람이나 가축의 피부에 달라붙어 피를 빨아먹는 특성으로 인해진드기 같은 ’ ‘진드기처럼 달라붙네라는 말로 쓰여, 물체를 서로 붙이는접착제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오욕(五欲,五慾,五欲樂) ; ①중생의 참된 마음을 더럽히는,소리,향기,,감촉(色聲香味觸) 대한감관적 욕망. 또는 그것을 향락(享樂)하는 . 총괄하여 세속적인 인간의 욕망. ②불도를 닦는 장애가 되는 다섯 가지 욕심. 재물(財物), 색사(色事), 음식(飮食), 명예(名譽), 수면(睡眠).

*() ; 자기의 뜻에 맞는 사물에 집착하는 번뇌이다. 육번뇌[六煩惱(((((악견(惡見) 여섯 가지 근본 번뇌] 하나.

*() ; 자기의 마음에 맞지 않는 것에 대하여 분하게 여겨 몸과 마음이 편안하지 못하게 되는 번뇌이다. 육번뇌[六煩惱(((((악견(惡見) 여섯 가지 근본 번뇌] 하나.

*() ; 현상이나 사물의 도리를 이해하지 못하여 올바른 판단을 하지 못하는 번뇌를 이른다. 육번뇌[六煩惱(((((악견(惡見) 여섯 가지 근본 번뇌] 하나.

*삼독심(三毒心) ; 사람의 착한 마음(善根) 해치는 가지 번뇌. 욕심·성냄·어리석음(貪瞋癡) 따위를 ()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마왕(魔王) 파순(波旬) ; 천마(天魔). 욕계(欲界) 제육천(第六天)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임금은 마왕(魔王)이니, 이름이 파순(波旬)이다。그는 항상 불법을 파괴하려고 애쓰고 있다.

그것은 불도를 공부하는 이가 있으면 그의 궁전이 흔들리기 때문이라고 한다。그러므로 누구나 불법을 공부하겠다는 생각을 때에 천마가 따르는 것이다。다시 말하면 생각 일어나는 그것이 천마다.

*도인(道人) ; ①불도(佛道) 수행하여 깨달은 사람. ②불도(佛道) 따라 수행하는 사람.

*불도(佛道) ; ①불과(佛果). 부처님이 성취하신 최상의 깨달음. 무상보리(無上菩提) 말한다. ②불과(佛果) 이르는 방법. 불과를 성취하여 성불하기 위한 인행(因行, 깨달음의 원인이 되는 ) 말한다. ③부처님이 중생을 교화하는 가르침.

*올개미 ; 올가미. 노끈이나 철선 따위로, 잡아당겨도 매듭이 풀어지지 않도록 가닥을 고리처럼 만들어 짐승을 잡는 기구.

*널어놓다 ; 펼처서 벌이어 놓다.

*탐착(貪着) ; ①만족할 모르고 탐하고 집착함. 탐하고 구하는 . 욕심부려 집착하는 . 집착하는 . 욕심부리는 . 욕심에 사로잡혀 헤어나지 못함. 대상에 들러붙어서 떠나지 못하는 . ②깊이 마음에 두는 . 갈애(渴愛), 애착(愛著 愛着), 염착(染著), 집착(執着), 탐애(貪愛), 탐욕(貪欲)이라고도 한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 경계(六境) 인식하는 경우 소의(所依) 되는 여섯 개의 뿌리. 대경(對境) 인식하게 하는 근원적 요소. 심신을 작용하는 여섯 가지 감각기관으로서, (眼根(耳根(鼻根(舌根(身根(意根) 총칭이다.

산스크리트어 ṣaḍ-indriya () 기관·기능을 뜻함. 육입(六入), 육처(六處), 육적(六賊), 육문(六門)이라고도 한다.

*육진(六塵) ; 육근(六根) 대상 경계인 (((((() 말함. 육경(六境)이라고도 한다. 산스크리트어 ṣaḍ-viṣaya () 대상을 뜻함.

①색경(色境). 눈으로 있는 대상인 모양이나 빛깔. ②성경(聲境). 귀로 들을 있는 대상인 소리. ③향경(香境). 코로 맡을 있는 대상인 향기. ④미경(味境). 혀로 느낄 있는 대상인 . ⑤촉경(觸境). 몸으로 느낄 있는 대상인 추위나 촉감 . ⑥법경(法境). 의식 내용. 관념.

*육식(六識) ; (((((() 육근(六根)으로 각각 (((((() 육경(六境) 식별하는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 6가지 마음 작용. 산스크리트어 ṣaḍ-vijñāna 

①안식(眼識). 시각 기관〔眼〕으로 시각 대상〔色〕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②이식(耳識). 청각 기관〔耳〕으로 청각 대상〔聲〕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③비식(鼻識). 후각 기관〔鼻〕으로 후각 대상〔香〕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④설식(舌識). 미각 기관〔舌〕으로 미각 대상〔味〕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⑤신식(身識). 촉각 기관〔身〕으로 촉각 대상〔觸〕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⑥의식(意識). 의식 기능〔意〕으로 의식 내용〔法〕을 식별·인식하는 마음 작용.

*십팔계(十八界) ; (, 산스크리트어 dhātu) 요소를 뜻함. 인식을 성립시키는 열여덟 가지 요소. 불교에서 인간과 밖의 모든 존재 속의 인식작용을 18가지 범주로 나눈 . 육근(六根육경(六境육식(六識) 합한 것이다. 육식(六識) 제외한 12가지를 12()라고 한다.

*육도윤회(六途輪廻, 六道輪廻) ; 선악(善惡) 응보(應報) 육도(六途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 고락(苦樂) 받으면서 죽음과 삶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

*번뇌(煩惱 번거러울 /괴로워할 ) ; ①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어지럽히고[煩亂, 煩勞, 煩擾] 괴롭혀 고뇌케 [逼惱, 惱亂] 등의 뜻으로 번뇌(煩惱) 표현. 근원적 번뇌로서 탐냄()•성냄()•어리석음() 있다. ②나라고 생각하는 사정에서 일어나는 나쁜 경향의 마음 작용. 앞의 () () ()하여 탐욕진심(瞋心)•우치(愚癡)등에 의하여 마음에 동요를 일으켜 몸과 마음을 뇌란하는 정신 작용이러한 번뇌[] 의해 중생이 몸과 마음의 행위[身口意三業] 일으키게 되면, 이로써 3 6도의 생사윤회에 묶이게 되고 고통[] 과보를 받게 된다. [ 三道]

*열반(涅槃) ; 산스크리트어 니르바나(nirvāṇa) 팔리어 nibbāna 음사. (멸도(滅度적멸(寂滅적정(寂靜(안온(安穩원적(圓寂안락(安樂) 등으로 번역.

①타고 있는 불을 바람이 불어와 버리듯이, 타오르는 탐욕〔貪〕과 노여움〔瞋〕과 어리석음〔癡〕 등의 번뇌의 불꽃을 지혜로 꺼서 일체의 번뇌나 고뇌가 소멸하여 평온하게 상태. 사제(四諦)에서 (), 괴로움의 원인인 갈애(渴愛) 소멸된 상태. 모든 미혹의 속박에서 벗어난, 해탈(解脫) 깨달음의 경지.

②번뇌 망상이 일어나고 꺼짐이 없어져, 지극히 고요하고 깨끗하고 밝고 맑은 경지.

소승법(小乘法)에서는 번뇌를 끊어 버리고 생각을 일으키지 말아야 열반에 든다 하고, 대승법으로는 번뇌가 본래 없는 이치를 깨치면 생각이 일어나도 일어나는 것이 아니어서, 사바세계의 어떤 환경에서 무슨 일을 하든지 열반의 즐거움이 되는 것이다. 따로 열반에 들고 나고 없이 무엇이나 열반이며 어느 때나 열반이다. 이것이 열반인 것이다.

*해탈도(解脫道) ; ①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가르침이나 수행.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난 경지. ②사도(四道) 하나.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 해탈하는 단계.

*참선(參禪) ; ①선() 수행을 하는 .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덩어리 /홀로오로지 /드러날 ) ; 공안화두에 대한 없는 의심(疑心) 덩어리() 홀로() 드러나다().

*혼침(昏沈 어두울 , 잠길 ) ; ①정신이 미혹(迷惑)하고 흐리멍덩함. ②좌선할 정신이 맑지 못하여 잠에 빠지거나 무기공(無記空) 떨어진 상태.

*성성(惺惺) ; ①정신이 맑고 뚜렷함. 정신을 차림. 총명함. ②화두에 대한 의심이 또렷또렷한 .

*적적(寂寂) ; 온갖 번뇌 망상이 생멸하지 않고 마음이 고요함.

*언필칭(言必稱) ; 말을 때면 항상 일컫기를.

*잡드리 ; ‘잡도리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대책.

 

 

 

 

 

------------------(2)

 

*(게송) 생사유이방~’ ; 중봉명본 스님의 '天目中峯和尙廣錄卷第二十八'에서 '卽事十首' 게송 참고.

*벼개 ; 베개(잠을 자거나 누울 때에 머리 밑에 괴는 물건) 사투리.

*주렴(珠簾 구슬 / ) ; 구슬 따위를 실에 꿰어 만든 (가늘게 쪼갠 대나무나 갈대 같은 것을 따위로 엮어서 만든 가리개).

*본참공안(本參公案) : 본참화두(本參話頭).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순숙(純熟 순수할·온전할 /익을 ) ; 완전히 익음.

*타성일편(打成一片) : ‘쳐서 조각을 이룬다’. 참선할 화두를 들려고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려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일체처 일체시에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 순수무잡(純粹無雜) 경계.

*극락세계(極樂世界) ; 아미타불이 계시는 청정한 국토로, 세계에서 서쪽(西方)으로 십만억 불토(佛土) 떨어진 곳에 있는데, 일체의 괴로움이 없고 자유롭고 지극한 즐거움만 있는 세계. 수가마제(須呵摩提, 須訶摩提), 수마제(須摩提) 등으로 음사하고 정토(淨土), 안락(安樂), 안양(安養), 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정토(極樂淨土), 낙방(樂邦) 등으로도 한역한다.

*도솔천내원궁(兜率天內院宮) ; 욕계 육천(欲界六天) 넷째 하늘. 불교의 우주관에 따르면 우주의 중심은 수미산(須彌山)이며, 꼭대기에서 12 유순(由旬) 위에 도솔천이 있는데 이곳은 내원(內院) 외원(外院)으로 구별되어 있다.

 

*범연(泛然) ; ①두드러진 데가 없이 평범하게. ②특별한 관심이 없어 데면데면하게.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