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5) (게송)산월투창백~ / 활구참선 요점은 의단(疑團) / 의심(疑心)의 관(觀) / 무상 속에서, 생노병사 속에서 영원을 사는 길 / (게송)백년지시잠시간~.
〇참선하면은 아무나 가부좌를 하고 앉았으면 참선이지마는 그것은 형식만 본따서 하고 있는 것이지, 진짜 살아있는 그것을—그 참선을 통해서 바른 길, 깨달음의 길로 바로 가는 길은 활구참선(活句參禪)이라 하는 것입니다. 활구참선의 요점은 의단(疑團)입니다.
〇알 수 없는 간절한 의심(疑心)으로 ‘이뭣고~?’ 판치생모(板齒生毛) 화두를 하신 분은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그 알 수 없는 의심이 ‘의심(疑心)의 관(觀)’이라야 돼. 간절(懇切)한 의심이 있어야 그것이 살아 있는 참선이요, 그 간절한 의심이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어서 의단이 독로(獨露)해야만 살아 있는 참선이고, 그 살아 있는 참선을 통해서 바른 깨달음을 얻을 수가 있는것입니다.
〇사람이 살아 있는 동안에는 먹고 입고 일도 하고 그러는데 분 따라서 일을 하고 살면서 항상 그 속에서 화두를 놓치지 않고, 의단이 독로하도록 타성일편이 되도록 잡드리한 사람은 무상 속에서도 바로 살아계신 부처님을 모시고 사는 것이고, 이 우주법계는 비로자나 법신불(毘盧遮那 法身佛)이 가득 우주법계에 차 계시는데, 활구참선을 한 사람은 비로자나 법신불을 항상 모시고 같이 사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775)—2015년(을미년) 동안거 결제(2015.11.26) (용775)
(1) 약 21분.
(2) 약 8분.
(1)-----------------
산월투창백(山月投窓白)이요 계성입호명(溪聲入戶鳴)이다
나무~ 아미타불~
욕지구년묵(欲知九年黙)인댄 수향차중명(須向此中明)이니라
나무~ 아미타불~
산월(山月)이 투창백(投窓白)이요, 계성(溪聲)이 입호명(入戶鳴)이다.
저 산 위에 떠있는 달은 창에까지 환히 비추어 주고 있고, 흘러가는 시냇물 소리는 방안에까지 들리는구나.
욕지구년묵(欲知九年黙)인댄 수향차중명(須向此中明)이니라.
달마 스님이 9년 동안 묵무언(默無言)하시고 면벽관심(面壁觀心)하신 뜻은 모름지기 이 속을 향해서 밝힐지니라.
산월이 창에 비추어 희고, 시냇물이 방안에까지 촐촐촐촐 흘러가는 소리가 들리는 바로 거기에서 달마스님께서 9년 동안 묵무언하시는 도리를 깨달아야 한다.
오늘은 을미년(乙未年) 동안거 결제일입니다.
14개의 선방! 인천 용화사, 광주 용화사, 용주사, 망월사, 약사암, 복전암, 위봉사, 세등선원, 원효사, 승련사, 회룡사, 도덕사, 대륜선원 14개 선방에서 200명의 납자(衲子)들이 방부를 들이고 동안거에 들어가는데,
오늘 그 결제날 용화사에 이렇게 운집을 해서 함께 조실 스님의 법문을 듣고 또 이렇게 산승이 여러분께 말씀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인연(因緣)은 우주 세계가 생겨난 56억년 이래로 그렇게 흔한 일이 아닌 것입니다.
무량겁(無量劫)을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을미년 동안거에 우리가 이렇게 모이게 된 그 인연!
정말 이 인연으로 인해서 우리는 세세생생(世世生生)에 또 불법문중에서 정법문중에서 또 만나서 활구참선(活句參禪)을 해 가지고 견성성불(見性成佛)할 수 있는 종자를 심게 된 것입니다.
방금 전강대종사 조실 스님의 법문을 녹음을 통해서 들었습니다마는 법문의 골자는 활구참선에 대해서 말씀을 하신 것입니다.
활구참선(活句參禪)이 무엇이냐?
참선하면은 가부좌, 반가부좌를 하고 떠억 앉아서 눈을 아래로 뜨고서 호흡을 하면서 ‘이뭣고~?’ 이렇게 하는 것을 누구든지 다 듣고 알고, 보고 알고,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일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참선인데, 활구(活句)를 왜 활구라고 하냐? ‘살아있는 글귀’다.
활구참선의 반대는 사구(死句) ‘죽을 사(死)’자 사구참선(死句參禪)인데 사구참선과 활구참선의 분간을 조실 스님은 오늘 법문을 통해서 그것을 확실히 일러주신 것입니다.
참선하면은 아무나 가부좌를 하고 앉았으면 참선이지마는 그것은 형식만 본따서 하고 있는 것이지, 진짜 살아있는 그것을—그 참선을 통해서 바른 길, 깨달음의 길로 바로 가는 길은 활구참선(活句參禪)이라 하는것입니다.
활구참선의 요점은 의단(疑團)입니다. 막연하게 조용히 앉아만 있어 갖고는 백만 겁을 앉아 있어 봤자 바른 깨달음은 얻을 수가 없습니다.
의단입니다. 의단(疑團)!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보통 천칠백 공안 가운데 그 근본이 시삼마(是甚麼) 화두!—‘이뭣고?’ 화두인데, ‘이뭣고?’도 ‘이것이 무엇이고?’ 이뭣고하는 글자 석 자가 아니라,
‘이것이 무엇이고~?’ 했을 때 끄트리 ‘?’ 의문표가 그것이 의심(疑心)의 표시인데, 알 수 없는 의심이 있어야 바로 살아있는 참선이 되는 것입니다.
그냥 이뭣고 하고 이뭣고, 이뭣고 한다고 그것은 죽은 참선인 것입니다. 맨날 해 봤자 소용이 없어.
알 수 없는 간절한 의심(疑心)으로 ‘이 뭣고~?’ 판치생모(板齒生毛) 화두를 하신 분은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그 알 수 없는 의심이 ‘의심(疑心)의 관(觀)’이라야 돼. ‘이뭣고~?’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간절(懇切)한 의심이 있어야 그것이 살아 있는 참선이요, 그 간절한 의심이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어서 의단이 독로(獨露)해야만 살아 있는 참선이고, 그 살아 있는 참선을 통해서 바른 깨달음을 얻을 수가 있는것입니다.
불법(佛法)은 팔만대장경 경서가 있어서 그 경을 화엄경으로부터서 법화경, 금강경 많은 경전이 있는데, 우리에게는 한문으로 된 경전을 해인사에 봉안이 되어 있는데,
그것이 번역이 되고 발간이 되어서 책으로 나와 있는 것도 있습니다마는 그것 읽는 것도 좋고, 외우는 것도 좋고, 해석하는 것도 그것도 좋은 공덕이 될 것이나,
그 경전을 진짜 옳게 알게 되면은 ‘참나’를 찾는 공부로 들어가야만 경전의 뜻을 바르게 알게 되는 것입니다.
의심! 알 수 없는 의심이 있어서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판치, 판치생모라 했는고?’ 또는 ‘이 무엇고?’ ‘어째서 무라고 했는고?’
천칠백 화두가 있으나, 그렇다고 해서 이 화두로 조금 해보고 또 잘 안되면 또 저 화두로 해보고 자꾸 화두를 바꿔샀는 사람도 있는데 그것은 올바르게 해 가는 사람이 아닌 것입니다.
화두를 자기가 책을 통해서 선택을 할 수도 있겠으나, 자기가 선택을 하면 자기가 언제든지 바꿀 수도 있고 버릴 수도 있겠으나,
반드시 믿는 선지식으로부터 화두를 딱! 하나를 지정을 받아야 되는 것입니다.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아까 조실 스님 법문 속에 판치생모 화두에 대한 언급이 있었습니다마는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그 ‘어째서?’라고 하는 그 알 수 없는 의심이 있어야 올바르게 화두를 들고 참선을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이론적으로 분석을 하거나 따져서 알아 들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알 수 없는 의심! 그 의심이 나중에는 의관(疑觀)이 되는 것입니다.
있다 없다, 없어졌다 이런 것이 아니고 알 수 없는 의심이 딱~ 배꼽 밑에 단전(丹田)에 그 의심 덩어리가 거가 있어서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알 수 없는 의심의 관(觀)이 타성일편이 되어야 합니다.
금방 되었다 안되었다, 이 생각이 들어왔다 저 생각이 들어왔다, 나갔다 들어갔다 이것은 초기에 있어서는 그럴 수가 있으나 열심히 해 가다 보면 언젠가는 타성일편(打成一片)—의심이 한 뭉텅이가 되어 가지고 출입과 기멸(起滅)이 없는 것입니다.
들랑날랑하고 있다없다 이러면, 초단계 처음 하는 사람은 어쩔 수 없이 그렇게 하나, 자꾸 하다 보면 타성일편이—쳐서 한 뭉텅이가 되아. 알 수 없는 의심!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해서 타성일편이 되면 번뇌 망상이 들어오지를 못하고, 해 갈수록 알 수 없는 의단이 독로해서 타성일편이 되도록 몸을 단정히 하고, 단전호흡을 하면서 이렇게 하고.
꼭 앉아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걸어갈 때도 하고, 일을 할 때도 하고, 밥 먹을 때도 딱~ 그 의심 덩어리가 흩어지지 않도록 유지되면서 밥을 먹고, 걸어갈 때도 의심이 흩어지지 않도록, 잊어버리면 퍼뜩 챙겨서 ‘이뭣고?’
눈이 있으니 무엇인가 보게 되는데 보면 그리 쫓아가지 말고, 산을 보면 ‘산이 푸르다 단풍이 졌다’ 그리 쫓아가지 말고 산을 보게 되면은 바로 거기서 ‘이뭣고?’로 돌아와야 해.
누가 나 보고 욕을 하더라도 욕하는 말로 쫓아가지 말아. 쫓아가지 말고 나는 ‘이뭣고?’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이 화두가 딱 자리가 잡혀서 자꾸 하다 보면 저절로 눈으로 무엇을 봐도 화두가 들리고, 귀로 무슨 말을 들어도 화두가 들리고.
행주좌와—걸어갈 때나, 머물러 서 있을 때나, 앉았을 때나, 누웠을 때나, 항상 일체처 일체시에 외부 경계를 접촉할 때 그리 신경을 쓰지 말고 나는 항상 ‘이뭣고?’
이뭣고 화두를 하는 사람은 바로 ‘이뭣고?’로 돌아와야 하고, 판치생모를 하는 사람은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또 조주(趙州) 무자(無字) 화두를 하는 분은 ‘어째서 무라 했는고?’
이렇게 해서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철저하게 해 나가면,
바로 이 세계는 무상(無常)하고, 성주괴공이 있어서 춘하추동 계절이 있고 꽃이 피기도 하고 단풍이 지기도 하고, 비가 오기도 하고 눈이 오기도 하고, 바람이 불기도 하나,
성주괴공(成住壞空)과 생사윤회(生死輪廻) 속에 있으면서도 정법을 믿고 자기의 본참화두에 충실한 사람은 생사 속에서, 무상한 속에서 영원을 사는 길이 거기에 있는 것입니다.
이 세상에 사는 사람은 남자로 태어나기도 하고 여자로 태어나기도 하고, 부자로 사는 사람도 있고 가난하게 사는 사람도 있고, 유식한 사람도 있고 무식한 사람도 있고, 잘생긴 사람도 있고 조금 잘 못생긴 사람도있을 수가 있으나 그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안 해.
정법을 믿고 활구참선을 열심히 한 사람은—그러한 흥망성쇠와 빈부귀천과 생로병사, 이 무상한 속에서 바로 ‘이뭣고?’ 자기를 찾는 참선 공부를 한 사람은 흥망성쇠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아!
생로병사도 여기에서 그리 끄달리지 않고, 사람은 늙어서 언젠가는 죽는데 그 하나도 무서울 것이 없어!
정법을 믿고 참선을 열심히 한 사람은 죽을 때에도 ‘아이고 내 재산 어떻게 하나? 내 자식, 내 손자는 어떻게 하나?’ 이런 것 걱정할 겨를이 없어.
바로 숨 꼴딱 넘어갈 때까지도 ‘이뭣고?’ 하면서 숨을 거두면 땅에다 묻지 않으면 화장을 할 것이고, 육체야 죽으면 지수화풍(地水火風)으로 돌아가겠으나 이 몸뚱이를 끌고 다니는 ‘참나’는 몸만 또 바꾸게 되는 것입니다.
지은 업(業)에 따라서 천당에도 가고, 다시 인도환생(人道還生)하기도 하고, 큰 죄를 지은 사람은 축생이 되기도 하고, 아주 최고로 못된 죄를 지은 사람은 지옥에도 가겠으나 정법을 믿고 활구참선을 한 사람은 그것 걱정할 것이 하나도 없어.
숨 꼴딱 쉬면서도 ‘이뭣고?’ 하면서 숨을 거두면 금방 또 사람의 몸을 받아나게 될 것입니다.
사람 몸을 받아나거나 또는 천당에 가서 태어나거나 그래겠으나 정법을 믿는 사람은 반드시 천당에 갔다고 해서 그 천당에 안주하지를 않고 천당에도 반드시 정법이 있을 것입니다.
인도환생을 해서 사람 몸을 받아가지고 또 불법을 만나 가지고 참선을 해서 확철대오 해서 부처님이 되면 영원히 생사해탈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사람은 계절에 춘하추동이 있듯이 이 육체는 생로병사가 있으나 그것은 도를 깨달았어도 육체를 일단 받아난 사람은 늙어서 언젠가는 또 이 몸을 버리게 되는데,
정법을 믿고 참선을 한 사람은—가을 되었다 봄 되었다 계절 따라서 기후가 변하지마는 그렇다고 해서 사람이 다 죽는 것도 아니고 계절 따라서 옷을 갈아 입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입고 겨울에는 뜨시게 입으면 그만이듯이 참선을 하고 열심히 ‘이뭣고?’를 한 사람은 모든 것은 인연에다 다 맡겨 버려.
나이가 들어가면 들어가도 ‘이뭣고?’ 혹 병이 나더라도 ‘이뭣고?’
사업을 하다 보면은 흥망성쇠가 있을 것이나 재수가 있으면 돈이 잘 벌리기도 하고, 재수가 없으면 손해도 보게 되나, 그거 큰 문제가 아니야. 그 속에서도 ‘이 무엇고?’
이렇게 살면 무상 속에서 영원을 살고, 생로병사 속에서 영원을 사는 길이 바로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처음~21분2초)
(2)------------------
‘산승(山僧)의 말이 참 좋은 말이다. 나도 꼭 그렇게 살아야겠다. 진짜 인생으로써 정성을 들여서 살아갈 길은 오직 이 활구참선이 최고로구나’ 그렇게 믿어지는 분은 손을 한번 들어보세요.
되었습니다. 이렇게 손을 들으신 분은 앞으로도 열심히 이것을 해서 한 사람도 빠짐이 없이 다시 또 인도환생을 하시게 되고, 혹 천당에 가더라도 도솔천 내원궁(兜率天內院宮)에 가서 부처님과 같이 사시게 될 것입니다.
백년지시잠시간(百年只是暫時間)이라 막파광음당등한(莫把光陰當等閒)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약요불경염노안(若要不經閻老案)인댄 직수참투조사관(直須參透祖師關)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백년지시잠시간(百年只是暫時間)이요. 인간이 오래 살아봤자 백 살 사는데 그 백년 이라는 게 잠깐 사이에 지나가 버리고 만다 그말이야.
막파광음(莫把光陰)을 당등한(當等閒)이라. 광음(光陰)을 등한히 지내지 말라.
시간은 잠깐도 쉴 사이 없이 똑딱똑딱똑딱 1초 1초가 지나가고, 1시간 1시간이 지나고, 퍼뜩 하다보면 별로 한 것 없이 하루 24시간이 지나가는 거고, 그렇게 1년 2년 이렇게 지내다 보면 금년 10년이 지나가고, 그래저래 하다 보면은 주름살이 생기고 흰머리가 나게 되는 거야.
그러니 그렇게 쉴 사이없이 흘러가고 무상한 이 시간을 어떻게 해야 하느냐?
그렇게 살다가 결국은 염라대왕 앞에 끌려가서 생전에 살면서 지은 크고 작은 죄업으로 인해서 무서운 심판을 받아 가지고 지옥으로 갈 사람, 축생이 될 사람, 인도로 올라올 사람, 천당에 갈 사람 다 거기서 심판을받게 되는데,
염라대왕 앞에 끌려가서 그런 무서운 고초와 심판을 안 받을라거든 직수참투조사관(直須參透祖師關)이다. 모름지기 조사관을 참투할지니다.
조사관(祖師關)이 무엇이냐 하면은 활구참선입니다.
활구참선을 해서 나의 자성불(自性佛)을 깨달으면 염라대왕 앞에 끌려가봤자 두려울 것이 없어.
떳떳하고 당당하고 생사 없는 도리를 믿고, 생사 없는 도리를 실천을 해서 생사 없는 도리를 깨닫게 되면 인연 따라서 구십 세 살 사람, 백 세 살 사람, 혹 백 살을 넘어서 살 사람 그까짓 것도 큰 문제가 아니고 인연이 있는 만큼 살다가 마지막 숨 거둘 때에도 ‘이뭣고?’ 이렇게 숨을 거두면 금방 염라대왕의 무서운 고초를 받을 까닭이 없습니다.
활구참선을 한 사람은 염라대왕 무서워 할 것이 없어.
왜 안 무서우냐? 생사 없는 진리를 믿고, 생사 없는 진리를 실천을 해서, 생사 없는 도리를 깨닫게 되니 생사 속에서 영원을 사는 길을 터득을 했기 때문에 ‘이뭣고?’를 열심히 한 사람은 지혜롭게 건강 관리는 하되죽음에 대해서 무서워 할 것이 없어.
사람이 살아 있는 동안에는 먹고 입고 일도 하고 그러는데 분 따라서 일을 하고 살면서 항상 그 속에서 화두를 놓치지 않고 ‘이뭣고?’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의단이 독로하도록 타성일편이 되도록 잡드리한 사람은 무상 속에서도 바로 살아계신 부처님을 모시고 사는 것이고,
이 우주법계는 비로자나 법신불(毘盧遮那 法身佛)이 가득 우주법계에 차 계시는데 활구참선을 한 사람은 비로자나 법신불을 항상 모시고 같이 사는 것입니다.
오늘은 을미년 동안거 결제일이라 여러 비구, 비구니, 청신사, 청신녀, 남녀노소 여러 도반들에게 두서없는 말이지마는 정말 여러분 가슴속에 새겨 드리고 싶고, 여러분과 같이 이 무상한 속에서 영원한 진리 속에서같이 살고자 이렇게 말씀을 했습니다.
입으로써 못다한 말을 이 주장자한테 부탁을 합니다.(21분3초~29분13초)(끝)
------------------(1)
*(게송) ‘산월투창백~’ ; [소요당집(逍遙堂集)] 소요 태능(逍遙太能)의 ‘무제(無題)’ 게송 참고.
*납자(衲子 옷을 꿰맴 납, 사람 자) ; 남이 버린 헌 옷이나 베 조각들을 기워서 만든 옷을 입은 수행승. 흔히 참선을 하는 스님(禪僧)이 자신을 가리킬 때 사용.
*인연(因緣) ; ①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분 또는 관계. ②어떤 상황이나 일, 사물과 맺어지는 관계(연줄). ③인(因)과 연(緣)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결과를 만드는 직접적인 힘(因)과 그를 돕는 외적이고 간접적인 힘(緣).
*무량겁(無量劫) ; 헤아릴 수 없는 오랜 시간이나 끝이 없는 시간. 劫과 刧는 동자(同字).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性]을 꿰뚫어 보아[見] 깨달아 부처가 됨[成佛].
*사구선(死句禪) ; 사구참선(死句參禪).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공안 또는 화두(話頭)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의단(疑團 의심할 의, 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판치생모(板齒生毛) ; 화두(공안)의 하나.
어떤 스님이 조주 스님께 묻되, “어떤 것이 ‘조사서래의’입니까? (如何是祖師西來意)”하니 답하시되, “판치생모(板齒生毛)니라.” 하셨다. 즉, 「어떤 것이 달마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입니까?」,「판치에 털이 났느니라.」라고 하는 화두.
그러면 조주 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을까? 이 화두도 ‘무자’ 화두와 같이 ‘판치생모’에 뜻이 있는 것이 아니고 “판치생모” 라고 말씀하신 조주 스님께 뜻이 있는 것이니, 학자들은 꼭 조주 스님의 뜻을 참구해야 한다. “어째서 ‘무’라 했는고?” 하는 것과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하는 것은 조금도 다름이 없는 것이다. [언하대오(言下大悟)에서] (용화선원) p53.
*의심(疑心) : 알 수 없는 생각에 콱 막히는 것.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또는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또는 ‘조주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바른 깨달음은 알 수 없는 의단, 알 수 없는 의심에 꽉 막힌 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의심관(疑心觀) ; 화두를 거각하여 알 수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그 알 수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를 하는 것.
*간절(懇切 간절할·정성스런 간/정성스런·절박할 절) ; ①지성(至誠)스럽고 절실(切實)함. ②정성이나 마음 씀씀이가 더없이 정성스럽고 지극함. ③마음속에서 우러나와 바라는 정도가 매우 절실함.
*타성일편(打成一片) : ‘쳐서 한 조각을 이룬다’. 참선할 때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려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일체처 일체시에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한 순수무잡(純粹無雜) 경계.
*독로(獨露 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홀로(獨) 드러나다(露).
*의관(疑觀) ; 의심관(疑心觀). 화두를 거각하여 알 수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그 알 수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를 하는 것.
*단전(丹田) ; 배꼽 아래로 한 치(寸) 삼푼 되는 곳(위치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아랫배에 해당. '단'은 약(藥)을 뜻하며, '단전'은 인체에서 가장 귀중한 약을 만들어내는 장소로서의 밭[田]이라는 의미. 도가와 한의학에서는 단전을 생명력, 활동력의 원천으로 본다.
*기멸(起滅) ; 생(生)하고 멸(滅)하는 것. 생겨남과 없어짐. 즉 인연이 화합하면 생하고, 인연이 이산(離散)하면 멸한다는 뜻.
*무자(無字) : 화두。 어느 스님이 조주(趙州) 스님께 묻되 「개도 불성(佛性)이 있읍니까 없읍니까?」하니, 조주스님이 답하되 「무(無)」라 하시니 「준동함령(蠢動含靈)이 다 불성이 있는데 어째서 무(無)라고 했는고?」하는 참선할 때 참구(叅究)하는 천 칠백 공안 중의 하나.
*본참화두(本參話頭) : 본참공안(本參公案).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성주괴공(成住壞空) : 세상의 모든 것은 크나 작으나 다 변화의 과정을 밟게 된다。곧 성립되어 가는 과정, 안정(安定)하여 진행하는 과정, 쇠퇴하여 가는 과정, 멸망하여 없어지는 과정이 반드시 있게 된다。모든물질도, 우리 몸도 사회도, 국가도, 세계 전체도 다 그렇게 된다。이것을 성주괴공(成住壞空)이니, 생주이멸(生住異滅)이니, 생로병사(生老病死)니 하는데, 그 원인은 우리의 마음 속에 생각이 쉴 새 없이 일어났다꺼졌다 하기 때문이다.
*생사윤회(生死輪廻 날 생/죽을 사/바퀴 윤/빙빙돌 회) ; 육도윤회(六途輪廻). 선악(善惡)의 응보(應報)로 육도(六途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의 고락(苦樂)을 받으면서 죽음과 삶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것.
*인도환생(人道還生) ; 인간이 사는 세계로 다시 태어남.
------------------(2)
*도솔천내원궁(兜率天內院宮) ; 욕계 육천(欲界六天)의 넷째 하늘. 불교의 우주관에 따르면 우주의 중심은 수미산(須彌山)이며, 그 꼭대기에서 12만 유순(由旬) 위에 도솔천이 있는데 이곳은 내원(內院)과 외원(外院)으로 구별되어 있다. 내원은 내원궁(內院宮)으로 불리기도 하며 석가모니가 보살일 당시에 머무르면서 지상에 내려갈 때를 기다렸던 곳이며,
오늘날에는 미래불인 미륵보살(彌勒菩薩)이 설법하면서 지상으로 내려갈 시기(석가모니가 입멸한 지 56억 7천만 년 뒤에)를 기다리고 있는 곳이고, 외원은 수많은 천인(天人)들이 오욕(五欲)을 충족시키며 즐거움을 누리고 있는 곳이다. 도솔(兜率)의 뜻은 지족(知足).
*(게송) ‘백년지시잠시간~’ ; [한가로운 도인의 길—나옹화상법어집](김달진 역주,세계사) p185에 있는 ‘警世-세상을 경계함’ 참고.
*조사관(祖師關) ; 조사의 경지에 이르는 관문, 곧 화두(공안)을 말함.
*비로자나 법신불(毘盧遮那 法身佛) ; 비로자나(毘盧遮那)는 vairocana의 음사(音寫). 부처님의 몸에서 나오는 빛과 지혜의 빛이 세상을 두루 비추어 가득하다(光明遍照,遍一切處,日)는 뜻.
①진리 그 자체인 법신(法身)을 형상화한 것. ②대일여래(大日如來)와 같음.
'최근 법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778) 구족계 수계 법문 / (게송)분골쇄신미족수(粉骨碎身未足酬)~ / (게송)승기상모속기심(僧其相貌俗其心)~. (0) | 2016.04.04 |
---|---|
§(777) (게송)일종위배본심왕~ / 최상승법(最上乘法) / 내가 나의 마음의 부처를 찾는 일보다는 더 급하고 요긴한 일은 없다 / (게송)약인정좌일수유~. (0) | 2016.02.23 |
§(776) 전강선사 41주기 추모재. (0) | 2016.01.13 |
§(774) (게송)약인정좌일수유~ / 화두, 불명, 십선계. (0) | 2015.06.03 |
§(773) (게송)일념정좌수유간~ / 한 생각 돌이켜 ‘이뭣고?’하면 이 사바세계가 부처님 세계가 되는 것 / (게송)화불능소수불닉~ / 법보전을 지은 까닭 / 생사 호흡지간. (0) | 201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