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화선원 법문 유튜브에서 보고 듣기 --->유튜브로 바로가기


 

•§• 몽산화상시고원상인(蒙山和尙示古原上人) (3/5) 몽산화상이 고원상인에게 주신 말씀.
 
**전강선사(No.257)—몽산 02-1. 몽산시 고원상인(3) (임자72.06.12)
 

약 20분.

 
 
참선(參禪)은 수투조사관(須透祖師關)이요  묘오요궁심로절(妙悟要窮心路絶)이니라
나무~아무타불~
일편백운(一片白雲)은 강상래(江上來)요  기조녹수암전거(幾條綠水岩前去)오
나무~아미타불~

 

참선(參禪)은 수투조사관(須透祖師關)이다. 참선은 조사관(祖師關)을 뚫는 것이다.

묘오(妙悟)는 요궁심로절(要窮心路絶)이다. 묘오(妙悟)는, 확철대오라 하는 것은 심로(心路)가 끊어진 것이다.

그 중생의 심로(心路), 우리 중생의 번뇌 망상, 밤낮 그 심로(心路) 밖에 더 있나.

 

이치를 붙이고 떼고 뭐, 일체 사량계교(思量計較) 그것이란 말이여. 고놈 그것, 그 노(路)가 끊어져.

끊어지면 영원히 없는 것 아니여. 하! 영원히 없으면은 무정토목(無情土木)이게.

 

그대로 중생 그저 환화공신(幻化空身) 그대로가 번뇌 끊어진 곳이여.

낱낱이 천 분별 만 분별이 그대로 있어도 그 뭐 하나 그게 떼고 여의고 붙고 뭐 없어.

 

조사관이라는 게 뭐 다른 게 아니여.

일편(一片), 한 조각 흰구름은 강상(江上)에서 오는데, 기조녹수(幾條綠水)는 암전거(岩前去)냐? 몇 가닥 녹수는 바우 앞으로 가느냐. 뭐 있느냐 말이여, 뭐 조사관이 뭐 별것이여?

 

 

그렇게 공부가 안되드래도—대체 누구든지 공부를 시작해서 하면은 그만 그저 그대로 화두가 들어와서 그대로 된 것이 아니여. 아무리 해 봐도 그렇게 되지 않고, 그럴 때 안된다고 내버리지 말아라.

 

밖에 나가서 수십 보를 행(行)해. 수십 보 행할 때 마음대로 아무 때나 행하지를 마라.

그때 그 행할 때 행선(行禪) 잘하란 말이여. 가면서 오면서 화두를 그 거각(擧却)해 챙겨. 그놈을 잘해야 하거든.

밖에 나와서 행선 한다고 아무 때나 화두 없이 돌아댕기면은 그거 아무 것도 아니여. 행선을 그렇게 잘 해.

 

안두(眼頭)가 청명(淸明)하거든, 깨끗해서 정신이 인자 맑아지거든,

우거좌(又去坐)하야, 또 가서 앉어서 내 자리에 앉어서,

천만조고화두(千萬照顧話頭)하라. 어쨌든지 그저 화두만 조고(照顧)를 해라. 다른 것 없다.

화두 하는 학자가 화두 외에 뭐가 있나? 화두밖에는 아무것도 없느니라.

 

항상 편기의(鞭起疑)해라. 채찍질을 해서 의심을 일으켜라. ‘이 뭐냐?’ 그말이여 도대체, ‘뭣꼬?’

아무리 해 봐도 알 수가 없으니 뭐냐 말이여?

 

분명히 이놈이 이렇게 분명히 있는데 찾아봐도 없고, 없다고 하지마는 그 자리에서 있고,

천하 만 가지 이놈이 들어서 다 만들고, 모양 다 맨들고, 그저 이름 다 붙이고, 그저 일체상 다 뭐...

 

어디 없나? 어떻게 ‘없다’고 해?

아! 또 없단 말이여. 대체 그거 암만 그놈의 거 모냥다리를 볼라고 해야, 없네!

 

색상(色相) 몸뚱이 이것, 누가 이것 말인가? 코빼기 눈깔 뭐 송장 덤뱅이 말인가?

송장 덤뱅이 이거 항상 가지고 있나? 이거 없어지는 건 사실인데.

이까짓 녀러 가지고 와서 이까짓 것 있다고 해? 곧 없어져 버리고 곧 썩어버릴 것이고 땅속으로 들어가 버릴 건데. 

 

이렇게 분명한 놈이 ‘없다’고 할 수가 있나? 뭐 어디 무상을 붙일 수가 있어야지.

또 유상인들, 있는 상을 또 붙일 수가 있어야지. 뭘 붙여?

 

그놈이 필경에 대갈빡도 있고, 대갈빡 눈깔 전체가 그놈이, 분명히 그놈이 대체 모냥다리가 있는 놈이냐, 없는 놈이냐 말이여?

 

송장 덤뱅이 대갈빡, 송장 덤뱅이 눈깔, 뭐 그런 것 말인가? 그 소소(昭昭)하고 영령(靈靈)하고 분명한 이놈이 심마(甚麽)냔 말이여? 뭐냔 말이여, 대체?

 

시심마(是甚麽)여. ‘이뭣고?’ 이놈을 항상 편기의(鞭起疑)해서 의심을 일으켜라. 의심이 없거들랑 ‘이놈이 뭣고? 뭣고?’

‘이?’, ‘이?’, ‘이?’ 그놈이 기의(起疑)거든, ‘이?’라고 한 놈이. ‘이 뭐냔?'말이여.

 

‘여하시(如何是) 조사서래의(祖師西來意)인고?’ ‘판치생모(板齒生毛). 판때기 이빨에 털 났다’

도대체 판치생모란 건 뭐여? 판때기 이빨에 털이 뭐여? 무엇을 판치생모라고 할 것이냐 그말이여.

 

이렇게 의심을 일으켜라. 구구(久久)하면 퇴타(退墮) 없이 타락 없이, 퇴타 없고 타락 없어.

구구하면 오래오래 하면, 공부가 순일(純一)해진다. 공부가 잘 익어진다. 안되는 법이 없어.

 

안될 때, 그 아무리 해도 안될 때, 그때에 퇴타하지 말고, 오래오래 어쨌든지 그거 밖에는 할 것이 뭐가 있나?

그저 눈감으면 이 송장 되어버리는 건데, 눈감으면 송장 되어버린 뒤에 어쩔 거냐 그말이여.

 

그래도 이 몸뚱이 있을 적에 해야지. 이 몸뚱이를 가지고야 하는 법이니까.

 

몸뚱이 내버린 뒤에 내 이 소소영령(昭昭靈靈) 주인공, 이것 가지고는 좌선도 못하고, 어디 가 참선도 못해.

꿈처럼 업신(業身)이 놀아나기 때문에 못해. 맨 그때는 업력(業力)뿐이기 따문에.

 

화두를 순일하게 했으면은 이 몸뚱이 내버린 뒤라도 항상 그 평생에 그 숙습(熟習)이 있으니까,

항상 화두를 들어서 숙습을 했으니, 이 몸뚱이 내버리드래도 화두가 그대로—업신(業身)으로 놀아나지 않고 화두 일념(話頭一念)으로 있을 수가 있지마는, 이 몸뚱이 이러다가 내버리면은 업신으로만 놀아나면 못해.

 

오래오래 하면은 공부(工夫)가 순숙(純熟)해진다. 순일해져.

방능성력(方能省力)이다. 바야흐로 그만 힘이 성력(省力) 되어버려. 화두가 절로 되어버려. 잡념이 제대로 떨어져 부러. 잡념이 본래 없는 것이니까. 아! 그대로 성력 되어부러.

 

주도불용심제화두(做到不用心提話頭)해도, 화두를 억지로 할라고 애쓸 것이 없어. 화두가 성력 되어버렸는데.

제대로 그만 앉으면 화두가 절로 척 나와서, 화두 내던지고는 불안해서 못살아.

화두가 어디 갈 리도 없고, 도망가도 않고 그대로가 딱 붙어서 그저 화두여. 항상 그만 다시 무슨 화두를 할랴고 애쓸 것이 없어. 

 

자연현전시(自然現前時)여. 화두가 자연히 떠억 나타날 때가 있다. 그대로 나타날 때가 있으니, 나타날 때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현전시(現前時)가 있어.

항상 그저 그만 눈감고 잘 때에도 화두 그대로 가지고 자는 거여. 자다가 뚝 떠고 일어나면 화두부터 앞에 떡! 있는 것이여.

 

그럴 거 아니여. 그 항상 고놈만 하도 많이 생각해서 성력이 되아버렸으니깐 어디 도망갈 리가 있나? 항상 현전(現前)이다.

 

경계급신심(境界及身心)이, 그때는 화두 하는 경계(境界)와 내 신심(身心) 몸뚱이와 마음이 개부동선이(皆不同先已)다. 화두 들락날락할 때와 영 달러. 그때는 해보면 알지.

화두가 몸에 와서 그대로 탁 내던져도 떨어지지 않고, 꽉 붙어 가지고 저절로 그만 의심이 일어나고, 그럴 때에는 인자 그전 몸뚱이와는 영 달러.

 

화두가 여지없이 그만 몸뚱이에 한덩어리가 되었으니 몸뚱이 다르고, 뭔 마음 다르고 다른 것이 아니라 화두뿐이여. 밥 먹어도 화두뿐이고, 옷 입어도 화두뿐이고.

인자는 그때는 따로 행선(行禪) 할 것이 없어. 가면서 행선 하면서 화두 할 것이 없어. 그대로가 화두니까.

 

행선이나 좌선이나 일체처가 화두뿐이지. 영 그전 몸뚱이가 아니여. 

좌선(坐禪)이란 게 이렇게 철저히 하면은 이러한 경계가 곧 와.

 

몽중(夢中)에도 역기득화두(亦記得話頭)다. 꿈에도 화두여.

지금 꿈에 화두 잘 안되지. 꿈에 별 꿈은 다 꾸면서도 화두는 잘 안되지. 거 묘(妙)하지.

아무리 꿈에 화두 한번 해보려도 안되거든. 꿈에 화두 잘해져?

 

몽중에도 화두가 그대로 나타난다. 여시시(如是時)에 이와 같이 될 때,

화두 참선이라는 것이 이와 같이 될 때에 대오(大悟)가 근의(近矣)다. 크게 깨달을 때가 그 가까운 시절이다.

 

 

각부득장심대오(卻不得將心待悟)하라. ‘옳다, 인자 이렇게 되었으니...’ 깨닫기를 기다리지 마라.

‘왜 이렇게 못 깨닫는고? 어째 안 깨달라지는고?’ 요것 행여라도 기다리지 마라.

 

화두만 더욱 단도리를 할지언정 ‘어서 깨달라지지 않는가? 어찌 각(覺)이 오지 않는가?’ 이거 기다리지 말아라. 그것 대오 망상(待悟妄想)이 '깨달을 망상(妄想)'이 들어와서 화두에 크게 방해가 되는 법이다. 

 

단동중정중(但動中靜中)에, 다맛 동(動) 가운데나 정중(靜中)에 정 가운데나,

동(動) 가운데—뭔 갔다왔다 하고 밥 먹고 옷 입고 성숙처에 그런 동(動) 가운데와, 또 가만히 앉었는 그 정(靜) 가운데와 요공부무간단(要工夫無間斷)이다. 공부 간단없기를 요구할 것이니라.

 

동(動) 가운데라고 공부가 없어지고, 정(靜) 가운데라고 공부가 있어지고 어짜고, 그것 안된다.

그저 대오(大悟)가 가까와 올수록에, 화두가 일편(一片)될수록에 동중(動中)도 없고 정중(靜中)도 없다. 그때는 정중도 똑같고 동중도 똑같다.

 

화두가 항상 인자 그때 가서는 틈이 없다. 요공부무간단(要工夫無間斷)이여. 공부가 이렇게 간단없이 화두가 되기를 요구할 것이니라.

 

자연(自然) 진경(塵境)은 불입(不入)하고, 자연 그때 가서는 망상(妄想) 경계는 제발 낼래야 나오지 않는다.

화두가 청명순일(淸明純一)해서 진경(塵境)은 불입(不入)하고 망상 경계는 제대로 들어오지 않어. 어디 있어야 들어오지.

 

진경(眞境)은 일증(日增)이다. 공부, 화두 의심(疑心)이 돈발(頓發)되어서 타성일편지경(打成一片之境)은 일증(日增)이여. 그대로 날로 날로 더해져. 그것도 한정이 없으니까.

화두가 그 의단독로지경(疑團獨露之境)도 의단이 한번 독로하면은 그만일 것 같지마는 의단이 독로한 지경도 한정이 없어. 날마당 날마당 더해져. 

 

점점유파무명역량(漸漸有破無明力量)하리라. 점점무명역량(漸漸無明力量)이라는 것은 조금도 붙지 못한 경계가 온다.

 

역량(力量)이 충광(充廣)하면은—그 여지없이 화두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해서 그 의단이 크게 너룹게 광대하게 그렇게 갖춰지면은 의단(疑團)이 파(破)할 것이다.

그 알 수 없는 의단(疑團)이 파(破)해지지 안 할 이치가 있느냐. 활연대오(豁然大悟)가 올 것이니라. 

 

이렇게 화두해 나가는데 자세히 자세히 철두철미(尾)하게 이렇게 해 놨으니 아무리 대중들이 공부를 하다 안되드래도 안되는 데 가서 퇴타심을 부디 두지 말고 화두를 다 잘하시도록 하시오.

 

 

헌데 이렇게 여름이 되어서 날은 더웁고—무척 더웁구만 어젯밤에, 이렇게 더웁기는 아마 여기서 처음일 것 같구만.

방이 모도 이렇게 복잡한데 좁은데, 그러니께 이렇게 그 좁은데 일어나서 그래도 앉아 공부도 더러 하고, 돌아눕기도 하고 앉었기도 더러 하고 이래야 할텐데, 돌아눕고 앉고 하도 못하게 되었으니 그렇게 좁아서는 어떻게 하냐 그 말씀이여.

 

그전에 작년인가 언제도 좁아서, 하기 어려워서 몇 분이 저 여기 웃방에 와서 한 때가 있었으니 너무 복잡하면 웃방에 올라와서 노인들 더러 몇이 앉아 하실라면 하시도록 하시오. 그 좁은 데서 그래 고생하시지 말고.

 

더워서 쪼끔 이만치 해석하고 내려갑니다.(처음~20분10초)(끝)

 

 

---------------------

 

*(게송) ‘參禪須透祖師關  妙悟要窮心路絶’ ; [무문관(無門關)] (무문혜개 스님) 제1칙 ‘조주구자(趙州狗子)’ 참고. [선가귀감] (용화선원刊) p61참고. *絶=絕(끊을 절).

*조사관(祖師關) ; 조사의 경지에 이르는 관문(關門), 곧 화두(공안)을 말함. 관문(關門)은 옛날에 국방상으로나 경제상으로 중요한 곳에 군사를 두어 지키게 하고, 내왕하는 사람과 수출입하는 물건을 검사하는 곳이다.

화두는 이것을 통과하여야 견성 성불하게 되는 것이므로 선종(禪宗)의 관문이 된다.

*사량계교(思量計較) ; 사량복탁(思量卜度), 사량분별(思量分別)과 같은 말. 생각하고 헤아리고 점치고 따짐. 가지가지 사량분별(思量分別)로 사리(事理)를 따짐.

법화경 방편품(法華經方便品)에 ‘이 법은 사량분별로 능히 알 바가 아니다’라고 함.

*무정(無情) ; 감정이 없는 초목·산하·대지 등을 말함.

*행선(行禪) ; 좌선(坐禪) 중에 졸음이 오거나 피로할 때에 또는 식사를 마친 뒤에, 심신을 가다듬기 위하여 일정한 장소를 조용히 걷는 수행. 이때에도 계속하여 화두를 참구하기 때문에 좌선에 대비, 행선(行禪)이라고 한다.

*거각(擧却 들 거,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조고(照顧) ; 반조(返照)와 같은 말. 생각을 돌이켜 참구(參究)한다는 뜻.
*참구(參究 헤아릴 참,궁구할 구) ; ①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것. ②선지식의 지도 아래 참선하여 화두(공안)을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모냥다리모양새(-, 겉으로 보이는 모양의 상태)’ 속되게 이르는 .
*소소영령(昭昭靈靈) ; 한없이 밝고 신령함. 소소(昭昭)도 영령(靈靈)도 함께 밝은 뜻. 밝은 모양. 진여(眞如)•법성(法性)•불심(佛心)을 의미하는 말.
*퇴타(退墮 물러날 퇴/떨어질·게으를 타) ; 어떤 경지로부터 물러나 되돌아 오는 것. 퇴전(退轉)이라고도 한다.
*업력(業力) ; 과거에 한 행위가 결과를 낳는 힘. 업(業)이 원인이 되어 과보를 일으키는 힘.
*숙습(熟習) ; 익숙하여 몸에 밴 습관.
*단도리 ; 단속(團束). 채비(備 어떤  하기 위하여 필요한 물건자세 따위 미리 갖추어 차림또는  물건이나 자세).
*망상(妄想 망녕될 망,생각 상) ; ①이치에 맞지 아니한 망녕된(妄) 생각(想)을 함, 또는 그 생각. ②잘못된 생각. 진실하지 않은 것을 진실하다고 잘못 생각하는 것.
*의심(疑心) : 알 수 없는 생각에 콱 막히는 것.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또는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또는 ‘조주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바른 깨달음은 알 수 없는 의단, 알 수 없는 의심에 꽉 막힌 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돈발(頓發 갑자기 돈/일어날•나타날•밝힐 발) ; 일정한 단계를 밟지 않고 직접적, 비약적으로 일어나는. [참고] 頓 - 直頓의 뜻, 곧바로.
*타성일편(打成一片) : 좌선할 때 자타(自他)의 대립이 끊어져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한 경계.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의/덩어리 단/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가 홀로(獨) 드러나다(露).
*날마당 ; ‘날마다’의 전라도 사투리.
*점점유파무명역량(漸漸有破無明力量) ; ‘점점 무명(無明)을 파(破)할 역량이 있으리라’
*활연대오(豁然大悟) ; 환하게 막힘이 없이 탁 트인 큰 깨달음.
*철두철미(尾)처음부터 까지 빈틈없고 철저하게.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