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속 정진(요중선)2015. 3. 19. 17:15

§(115) 경일난장일지(經一難長一智) / (게송)설후시지송백조~ / 일 속에서 공부해 나가야 / 불법(佛法)이라 하는 것은 너무 우리와 가까운 거여. 너무 쉬운 것이다.

고인(古人)이 말하기를 ‘경일난장일지(經一難長一智)다. 한 어려움을 겪으면 한 지혜가 길어난다, 성장이 된다’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더욱 신심을 돈독히 해서 화두를 들고 신심으로 그러한 어려운 일을 하나하나 착실히 밟아서 극복해 나간다면 그 어려운 일은 나에게 좋은 채찍이 되어줄 것이며, 불보살의 법문이 되어줄 것이며, 우리가 도업(道業)이 성장해 나가는 좋은 밑거름이 되어줄 것입니다.


「끊임없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우리의 생주이멸(生住異滅)의 정신작용이 그것이 원인이 되어서 육도(六途)를 윤회(輪廻)한다」는 사실을 뼛속 깊이 이해한다면, 우리는 단 한 시간도, 아니 단 1분 동안도 무심코 생각 일어난 데에다 맡겨 버리고 세월을 보낼 수는 없으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욕을 하면 성낼 줄 알고, 바가지도 긁을 줄 알고, 속도 상할 줄 알고, 고민도 할 줄 알고, 기뻐할 줄도 알고 이러한 생각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꺼졌다 하면 누구라도 공부할 수 있는 충분한 자격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한 생각’ 미(迷)하면 팔만사천 마구니였던 것이 ‘한 생각’ 돌이켜 깨달으면 팔만사천 묘법(妙法)이 되는 것이고, 팔만사천 불보살이 되는 것입니다. 중생의 번뇌망상, 번뇌망상 하지만 한 생각 깨달으면 번뇌망상이 전부가 다 보리심(菩提心)이 되는 것입니다. 팔만사천 법문(法門)이 되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115)—79년 12월 관음재일 법어(79.12.24)(용115)

 

(1) 약 19분.

(2) 약 10분.

 

(1)------------------

오늘은 기미년 섣달 스무 나흗날, 기미년 마지막 관음재일(觀音齋日) 입니다.
1년이 365일인데 엄벙덤벙하다가 한 달, 두 달이 지나가고 그래가지고 열두 달이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르는 결에 지나가고 말았습니다.

지나간 1년을 잠깐 살펴보건대 국내외적으로 무척 복잡하고 다단한 그러한 해였습니다.

우리나라로 말하면 대통령 시해 사건으로 그리고 석유 값이 오르는 바람에 온갖 물가가 다 뛰어오르고 국제적으로도 여러 가지 복잡한 사건들이 연거푸 일어나서 그러한 영향이 결국은 또 우리나라에도 미쳐 오고, 우리 불교 종단도 분열이 되어 가지고 아직도 이렇다 할 실마리를 잡지 못한 채 또 새해를 맞이하게 될 것 같습니다.

이러한 국제적으로나 국내적으로나 우리 종단적으로 이렇게 파란만장하고 복잡다단한 이러할 때에 우리 정법(正法)을 믿는 법보제자는 어떻게 행동을 하며, 어떻게 마음을 가지며, 어떻게 생활을 해 나가야 하는가?
다른 때보다도 몇 배 정신을 차려서 신심을 더욱 돈독히 하고 우리의 수행을 더욱 채찍질해야 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주변이 어수선하고 복잡하다고 해서 나 자신까지 거기에 휩쓸려 가지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그렁저렁 시간을 보낸다고 하는 것은 정말 신심 있는 정법을 믿는 사람이라고 하면 그럴 수가 없는 일인 것입니다.

오히려 주변이 복잡하고 여러 가지 조건이 좋지 못할 때, 그럴 때에 바짝 정신을 차려서 자기의 가야 할 길을 한 걸음 한 걸음 착실히 나아갈 줄 아는 사람,
이 사람이야말로 정법을 믿고 불법을 믿는 불자(佛子)로서만이 할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여러분 가정도 이러한 어려운 때를 만나서 여러 가지가 물심양면으로 어려운 점이 많으시리라고 생각이 됩니다마는 우리 정법을 믿는 여러분은 오히려 더 정신을 차려서 신심을 돈독히 해서, 안으로는 착실히 수행을 다져 나가고, 밖으로는 그 수행력을 발휘해서 어른을 존경하고 아랫사람을 사랑으로 이끌면서 인화(人和) 단결해 나간다면 시일이 지난 뒤에 오히려 그런 어려운 고비를 잘 극복한 기쁨을 맛볼 수 있으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어려운 일을 당하지 아니하면 우리는 보다 더 성장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고인(古人)이 말하기를 ‘경일난장일지(經一難長一智)다. 한 어려움을 겪으면 한 지혜가 길어난다, 성장이 된다’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설후시지송백조(雪後始知松柏操)요  사난방견장부지(事難方見丈夫志)니라
나무~아미타불~

설후시지송백조(雪後始知松柏操)라. 눈 내린 뒤에야사 비로소 소나무와 잣나무 푸르름을 알 수가 있고,
사난방견장부지(事難方見丈夫志)라. 일이 난관(難關)에 다달라 봐야 바야흐로 장부(丈夫)의 인격을 볼 수가 있다.

눈과 서리가 내리기 전에는 소나무나 잣나무나 보통 다른 초목이 모두가 다 푸르러서 마찬가지로 보이지만, 서리와 눈이 내린 뒤에야사 모든 나무와 풀은 단풍이 들고 다 시들어서 떨어져 버리는데 오직 송백(松柏)만이 그 푸르름을 더욱 자랑하는 거와 같이,

보통 일이 없을 때는 김 가나, 박 가나 모두가 다 마찬가지 남자들로 보통 다 똑같은 사람으로 여겨지지만 정말 난관을 만나서 어려운 고비를 겪을 때에 비로소 장부의 인격을 알아볼 수가 있다 이런 말입니다.

세상이 살기 좋고 아무 일 없을 때는 불법을 믿는 사람이나, 안 믿는 사람이나, 수행을 열심히 한 사람이나, 안 한 사람이나 별것이 없습니다. 너도 나도 다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국제적으로 국가적으로 가정적으로 일신상으로 물심양면에 어려운 고비를 만나 봐야만 그 사람이 평소에 얼마만큼 철저한 신심을 가진 사람이었던가? 얼마만큼 골똘하게 참되게 수행을 한 사람이었던가를 알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수행하는 사람은 어려운 일을 굳이 피할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어려운 일을 어떻게 지혜롭게 그리고 씩씩하게 참을성 있게 극복하느냐에 달려있는 것입니다.
어려운 일을 두려워하고 자기가 어피차 가야 할 길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굳이 구태여 피할려고만 한다고 해서 자기 앞에 주어진 숙제가 없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더욱 신심을 돈독히 해서 화두를 들고 신심으로 그러한 어려운 일을 하나하나 착실히 밟아서 극복해 나간다면 그 어려운 일은 나에게 좋은 채찍이 되어줄 것이며, 불보살의 법문이 되어줄 것이며, 우리가 도업(道業)이 성장해 나가는 좋은 밑거름이 되어줄 것입니다.

지나간 1년을 오늘 댁에 가시면 고요히 반성을 해 보시고 잘못된 점은 잘못된 대로 그것을 반성을 해 가지고 새해에는 그러한 점을 더욱 보완해서 나아갈 것이며, 잘된 점은 더욱 채찍을 가해서 더욱 정진을 하셔야 할 줄 생각이 됩니다.


오늘 우리는 조실 스님의 법문을 통해서 첫째 우리의 중생심, 번뇌 망상심, 별념(別念)이라고 조실 스님은 그런 말씀을 하셨습니다마는, 우리의 범부(凡夫) 중생의 마음은 마치 바다 위에 파도가 끊임없이 일어났다 가라앉았다, 높은 파도가 일다가 작은 파도가 일다가 언제나 고요한 때가 없이 일렁거리는 것처럼,

우리의 생각도 잠시도 가만히 있는 시간이 없이 천사량(千思量) 만사상(萬思想)이 일어났다 꺼졌다 일어났다 꺼졌다, 한 생각이 일어나면 그 생각이 잠시 이 생각 저 생각으로 번지다가 결국은 그 생각이 꺼지고, 꺼지자마자 또 새로운 생각이 일어나서 잠시 머물렀다가 다른 생각으로 변해가지고 또 꺼지고, 이렇게 하기를 수없이 많은 겁(劫) 동안을 그렇게 살아왔습니다.

그것이 습관이 되어서 금생도 역시 우리의 생각은 끊임없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고 있습니다.
바보나 머리가 좋은 사람이나, 지식이 있는 사람이나 무식한 사람이나, 빈부귀천을 막론하고 생각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양상은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그 생각의 내용에 차이는 있을지언정 생주이멸(生住異滅)—무슨 생각이 일어났다 잠시 머물렀다가 딴 생각으로 바뀌어져 가지고 그 생각이 꺼지는, 그 생주이멸의 양상에는 하등에 다를 것이 없습니다.

그것이 무심 속에, 무의식 속에 그러한 생주이멸의 우리의 정신작용이 그것이 바로 우리로 하여금 천당으로도 가게 하고, 지옥으로도 가게 하고, 축생으로도 떨어지게 하고, 아귀로도 되게 하는 원인이 될 줄이야. 그것을 철저히 인식한 사람이 과연 몇 사람이나 되겠습니까?

「끊임없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우리의 생주이멸(生住異滅)의 정신작용이 그것이 원인이 되어 가지고 육도(六途)를 윤회(輪廻)한다」고 하는 사실을 뼛속 깊이 이해한다고 하면, 우리는 단 한 시간도, 아니 단 1분 동안도 무심코 생각 일어난 데에다 맡겨 버리고 세월을 보낼 수는 없으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우리는 ‘참선한다 또는 수행을 한다, 도를 닦는다’하면 어떠한 장소가 꼭 필요하고, 어떠한 시간이 꼭 필요하고, 특별한 그러한 조건하에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마는, 물론 공부하기에 좋은 환경을 만들고, 공부하기에 편리한 여건을 갖춘다면 더욱 좋겠지만 그러한 좋은 조건만을 기다려 가지고 공부를 할려고 하는 생각을 갖는다면 그것은 금생에 공부 잘하기는 썩 어려운 것입니다.

우리에게는 가정을 가진 사람은 가정의 일이 있고, 사회에 직장을 가진 사람은 그 직장의 일이 있고, 엄마로서 아내로서 자식으로서 며느리로서 각기 한 몸에 여러 가지의 해야 할 일을 부여받고 있습니다.
그러한 일은 도저히 우리가 피할라야 피할 수가 없습니다. 사람의 몸을 가지고 태어난 이상은 자기에게 주어진 여러 가지 책임을 완수해야만 되는 것입니다.

그러한 일을 제쳐놓고 공부를 좀 잘해 볼까? 이것은 조금 무리한 생각인 것입니다.
차라리 그러한 일을 제쳐놓고 할려고 하는 기회를 계속 엿보면서 하루하루를 그렁저렁 지내기보다는, 그러한 일하는 속에서 한 생각 한 생각을 돌이켜 관조(觀照)해 간다면 오히려 그 일도 괴로운 줄 모르고 재미스럽게 그 일을 보람 있게 해낼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 사람 마음가짐 하나에 따라서는 여러 가지의 그 복잡하고 어려운 일들이 내가 공부해 나가는 데에 있어서 좋은 환경이 되어 주고, 오히려 그 복잡한 일 때문에 더욱 발심(發心)을 할 수가 있고, 우리 공부해 나가는 데에 좋은 채찍이 되겠게도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다행이 가정에 모든 사정이 허락이 되어서 이런 선원에 오셔서 만사를 제쳐놓고 공부하실 수 있는 그러한 환경을 가지셨다면 그것은 전생에부터서 많은 복을 쌓으신 분이고 또 금생에도 대단히 정법을 믿는 마음이 돈독하고 나아가서는 용기가 있으셨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여기 와서 공부하신 분이라고 해서 가정에 꼭 일이 없어서만 오신 것이 아니고, 그만큼 머리를 쓰고 용기와 지혜로서 일을 처리함으로서 와서 공부하실 수 있게 되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가정에 일이 도저히 자기 몸이 빠져 나올 수 없는 그런 분이라 할지라도 가정에서, 아까 말씀드린 바와 같이 그 일을 하는 그 속에서—일 하면서도 계속 우리는 무슨 생각이건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것이니까—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생각이 있다면 그분은 벌써 공부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지신 것입니다.

무슨 병이 났건, 바보 천치가 되었건, 넋이 나가서 전혀 생각이 일어나지도 않고 꺼지지도 않고 속이 상할 일도 없고 슬플 일도 없고 목석처럼 되어 버린 사람이 있다면, 이 참선을 모르는 사람은 ‘아! 그런 사람은 공부하기가 대단히 편리하겠다’ 혹 생각하실런지 모르지만, 그런 사람은 공부할 자격을 이미 상실한 사람입니다.

욕을 하면 성낼 줄 알고, 바가지도 긁을 줄 알고, 속도 상할 줄 알고, 고민도 할 줄 알고, 기뻐할 줄도 알고 이러한 생각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꺼졌다 한 사람이면 누구라도 공부할 수 있는 충분한 자격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3분3초~21분44초)

 

 

 



(2)------------------

언제나 말씀드린 바와 같이 그 일어나는 그 생각 그 찰나를 탁 돌이켜서 ‘이뭣고?’ 이렇게 단속해 나가는 것입니다. 이 공부를 어렵다고 생각할 것이 아닙니다.

“아무리 화두를 들어도 잘 들리지 않고 딴 생각만 자꾸 일어납니다”
‘딴 생각 일어난다’고 생각한 그 생각을 가지고 바로 ‘이뭣고?’를 하실 일입니다.

‘이뭣고?’는 아무 뜻도 없는 것입니다. 아무리 파고들어 봤자 거기에서 어떤 재미있는 뜻이 전개될 수는 없습니다.

이것은 맛없는 하나의 말이기 때문에 아무리 되씹어 봤자 여기에서는 별맛이 없습니다.

(별맛이) 없지만 자꾸 돌이켜서 관조하고, 돌이켜서 관조하고 해 나가면—처음에는 ‘이뭣고?’해도 그 속에 벌써 지나간 생각이 떠오르고, 닥쳐올 일이 떠오르고, 이 생각 저 생각이 뿌리도 없이 퍼일어납니다.
그렇지만 그 퍼일어나는 생각을 귀찮다고 생각하지도 말고, 그것을 억누를려고 생각하지도 말고, 다못 거기서 ‘이뭣고?’ 또는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고?’ 소리가 끝나기도 전에 벌써 딴 생각이 일어납니다.
그 일어나는 생각을 없앨라고 하지 말고, 일어나는 생각 고대로 놔둔 채 ‘이뭣고?’ 이렇게 다그쳐 가는 것입니다.

이렇게 한 생각 한 생각을 단속해 나가고, 하루 하루를 그렇게 야무지게 단속해 나가면, 한 달 두 달 해 나가면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들어진 때가 오는 것입니다.

그전에는 그렇게 들려고 애를 써도 깜빡하면 딴 생각이 들어와 버리고 화두는 간 곳이 없어져 버리고, 화두는 입으로는 ‘이뭣고?’해도 속으로는 딴 생각이 바글바글바글 하고 그러던 것이, 애를 쓰고 또 애를 쓰다가 보면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이뭣고?’ 알 수 없는 의심이 항시 가슴속이라고 할까, 눈앞이라고 할까, 알 수 없는 생각이 떠나지를 않거든.

밥을 먹을 때도 ‘이뭣고?’ 알 수 없는 생각, 똥을 눌 때도 알 수 없는 생각, 걸어갈 때도 알 수 없는 생각, 시장에를 가도 알 수 없는 생각, 버스를 타고 어디를 가다보면 알 수 없는 그 생각 때문에 내려야 할 정류장을 지나쳐 버리기도 하고, 이렇게 해서 시간이 어떻게 가는 줄 모르고.
그런 상태에 이르러도 조금도 ‘아! 내가 공부가 잘되나 보다, 아! 인자 얼마 안 가면 내가 힘을 얻을려나 보다’ 그런 생각마저도 하지를 말고 계속 단전호흡을 하면서 ‘이뭣고?’ 이렇게 나가는 것입니다.

시간이 한 시간 두 시간이 어떻게 지나가는 중 모르게 지나가고, 그렇게 그전에는 발과 무릎이 그렇게 저리고 했던 것이 저린 것도 없어져 버리고, 몸이 괴로운 것도 없어져 버리고, 그 고요하고 깨끗하고 편안하고 싱그러울 정도로 정신이 깨끗한 상태에서 의단(疑團)이 독로(獨露)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에 이르러서 수행하는 사람은 ‘아! 참 좋다. 이러한 상태로 계속 나갔으면, 영원히 이런 상태에 있었으면’ 이러한 생각을 할 수가 있습니다.
이것이 아흔아홉 길까지 올라가 가지고 마지막 한 길을 남겨놓고 천길 만길 구렁텅이로 떨어지는 그 장면인 것입니다.

아무리 화두가 여일하게 잘 들리고 조용하고 깨끗하고 맑다 하더라도 조끔도 기뻐하는 생각을 내서는 안 됩니다.

우리 수행하는 사람 앞에는 팔만사천 마구니가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 육근문두(六根門頭)에 와서 탁! 엿보면서 기회를 노리고 있는 것입니다.
눈을 통해서, 귀를 통해서, 코를 통해서, 입을 통해서, 몸을 통해서, 우리의 뜻을 통해서 그 여섯 문밖에서 기회만 있으면 들어와 가지고 우리의 심왕(心王), 마음의 왕을 갖다가 낚아채 가기 위해서 기다리고 있는 것입니다.

잠깐 딴 생각 먹으면 그때 이미 마왕(魔王)의 올개미에 걸리는 것입니다. ‘아! 좋다. 기쁘다’ 이런 생각내면 벌써 마왕의 올개미에 걸려 들어갈려고 하는 그 찰나인 것입니다.

그래서 공부하는 사람은 잘된다고 기뻐하는 생각도 내서는 안 되고, 잘 안된다고 짜증을 내서도 안됩니다. 짜증을 내도 올개미, 기뻐하는 생각을 내도 올개미인 것입니다.

화두가 여일하게 들리고 잘 되어갈 때, 그때 조금도 기뻐하는 생각을 내지 말고 계속 단전호흡을 하면서 ‘이뭣고?’ 아침부터 점심까지, 점심부터 저녁까지, 저녁에도 잠이 들 때까지 계속 화두를 관조해 나가는 것입니다. 저녁에 이부자리에 들어가서도 계속 화두를 들면서 언제 잠이든 중 모르게 잠이 드는 것입니다.
그 이튿날 아침에 눈을 딱 뜨면 화두를 새로 들지 아니해도 화두가 저절로 딱 들어져 있게 되는 것입니다. 무엇을 기뻐하는 마음을 내며, 어서 깨닫기를 기다릴 것이 무엇이냐 그말이여.

홀득자가저(忽得自家底)하니, 문득 자기집, 자가저(自家底) 자기집을 얻으니,
두두지차이(頭頭只此爾)라. 모든 것이 다못 이것일래라.

육근문두(六根門頭)에—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 육근문두(六根門頭)에 팔만사천 마구니가 기다리고 있다고 말씀을 했습니다마는, 화두를 타파(打破)해서 자기의 본면목(本面目)을 깨닫게 되면 육근문두에 어리대고 있던 팔만사천 마구니가 마구니가 아니라 전부가 자기의 종이요, 자기의 식구요, 자기의 살림인 것입니다. 여기에 불법의 위대한 묘미가 있는 것입니다.

‘한 생각’ 미(迷)하면 팔만사천 마구니였던 것이 ‘한 생각’ 돌이켜 깨달으면 팔만사천 묘법(妙法)이 되는 것이고, 팔만사천 불보살이 되는 것입니다.
중생의 번뇌망상, 번뇌망상 하지만 한 생각 깨달으면 번뇌망상이 전부가 다 보리심(菩提心)이 되는 것입니다. 팔만사천 법문(法門)이 되는 것입니다.

여기에 이르르는.... ‘이뭣고?’ 무슨 생각이 일어나던지 성이 날 때 ‘이뭣고?’ 슬플 때 ‘이뭣고?’
불법(佛法)이라 하는 것은 너무 우리와 가까운 거여. 너무 쉬운 것이며 너무 가까운 것이여.(21분45초~31분26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관음재일(觀音齋日) ; 매월 음력 24일.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님께 기도를 드리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신·구·의 3업(身口意 三業)을 깨끗하게 하여—악업(惡業)을 짓지 않아—심신을 청정하게 하는 수행일.
*정법(正法) ; ①올바른 진리. ②올바른 진리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③부처님의 가르침이 올바르게 세상에 행해지는 기간.
*인화(人和) ; 여러 사람이 마음으로 서로 뭉쳐 화합함.
*고인(古人) ; 옛날 사람. 옛날 선승(禪僧).
*난관(難關 어려울 난,관문 관) ; 넘기기 어려운 일이나 고비.
*장부(丈夫) ; ①건장하고 씩씩한 남자. ②참선하는 수행자. ③불성(佛性)의 이치를 깨달은 사람.
*도업(道業) ; 도(道)는 깨달음. 업(業)은 영위(營爲-일을 계획하여 꾸려 나감). 불도(佛道)의 수행. 진리의 실천.
*중생심(衆生心) ; 번뇌에 얽매인 미혹한 존재(중생)가 일으키는 미혹한 마음.
*번뇌(煩惱 번거러울 번,괴로워할 뇌) ; ①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어지럽히고[煩亂, 煩勞, 煩擾] 괴롭혀 고뇌케 함[逼惱, 惱亂] 등의 뜻으로 번뇌(煩惱)라 표현. 근원적 번뇌로서 탐냄(貪)•성냄(瞋)•어리석음(癡)이 있다.
②나라고 생각하는 사정에서 일어나는 나쁜 경향의 마음 작용. 곧 눈 앞의 고(苦)와 낙(樂)에 미(迷)하여 탐욕•진심(瞋心)•우치(愚癡)등에 의하여 마음에 동요를 일으켜 몸과 마음을 뇌란하는 정신 작용.
이러한 번뇌[惑]에 의해 중생이 몸과 마음의 행위[身口意三業]를 일으키게 되면, 이로써 3계 6도의 생사윤회에 묶이게 되고 고통[苦]의 과보를 받게 된다. [惑-業-苦 三道]
*망상(妄想 망녕될 망,생각 상) ; ①이치에 맞지 아니한 망녕된(妄) 생각(想)을 함, 또는 그 생각. ②잘못된 생각. 진실하지 않은 것을 진실하다고 잘못 생각하는 것.
*범부(凡夫 무릇•보통 범,남편•사내 부) ; 번뇌(煩惱)에 얽매여 생사(生死)를 초월하지 못하는 사람. 이생(異生) 또는 이생범부(異生凡夫)라고도 한다.
*겁(劫) ; (산) kalpa의 음사. 인도에서의 가장 긴 시간단위. 지극히 긴 시간. 무한히 긴 시간.
[참고] 겁(劫)의 무한히 긴 시간을 개자겁(芥子劫)•반석겁(盤石劫)으로 비유한다.
〇개자겁(芥子劫) :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1유순(由旬,약 8km)인 성(城) 안에 겨자 씨를 채워, 100년에 한 알씩 집어내어 겨자 씨가 다 없어진다 해도 1겁이 끝나지 않는다고 함.
〇반석겁(盤石劫) :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1유순(由旬,약 8km)인 큰 반석(盤石)을 부드러운 천으로 100년에 한 번씩 쓸어 반석이 다 닳아 없어진다 해도 1겁이 끝나지 않는다고 함.
*생주이멸(生住異滅) ; 모든 사물이 생기고(生), 머물고(住), 변화하고(異), 소멸함(滅). 또는 그런 현상.
*육도윤회(六途輪廻, 六道輪廻) ; 선악(善惡)의 응보(應報)로 육도(六途-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의 고락(苦樂)을 받으면서 죽음과 삶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것.
*관조(觀照) ; ①참된 지혜의 힘으로 사물이나 이치를 통찰함. ②지(智)로써 사(事 모든 차별의 모양. 현상계. 차별 현상. 사물)와 이(理 모든 사물의 본체. 진리)를 관(觀)하여 바르게 아는 것.
*발심(發心) ; ①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② 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원어)發起菩提心발기보리심, 發菩提心발보리심.

 

 

 


------------------(2)

*이뭣고(是甚麼 시심마,시삼마) : ‘이뭣고? 화두’는 천 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를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 ‘이것이 무엇인고?’ 이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 ‘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는 일곱 자(字)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이, 뭣, 고’ 석 자(字)이다.
‘이뭣고?(이뭐꼬)'는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그 뜻은 그 속에 다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을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왔다.
[참고] 이뭣고? 이것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렇게 의심을 해 나가되, 이런 것인가 저런 것인가 하고 이론적으로 더듬어 들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다못 “이···뭣고······?” 이렇게만 공부를 지어나가야 됩니다. 여기에 자기의 지식을 동원해서도 안되고, 경전에 있는 말씀을 끌어 들여서 “아하! 이런 것이로구나!” 이렇게 생각해 들어가서도 안됩니다.
화두(공안)은 이 우주세계에 가득 차 있는 것이지마는 문헌에 오른, 과거에 고인(古人)들이 사용한 화두가 1700인데, 이 ‘이뭣고?’ 화두 하나만을 열심히 해 나가면 이 한 문제 해결함으로 해서 1700공안이 일시(一時)에 타파가 되는 것입니다.
화두가 많다고 해서 이 화두 조금 해 보고, 안되면 또 저 화두 좀 해 보고, 이래서는 못 쓰는 것입니다. 화두 자체에 가서 좋고 나쁜 것이 있는 것이 아니고 오직 한 화두 철저히 해 나가면 일체 공안을 일시에 타파하는 것입니다.(76분34초~78분22초) [ ‘참선법 A’ 에서]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판치생모(板齒生毛) ; 분류 ‘화두(공안)’ 참고.
*단전 호흡(丹田呼吸) ; 의식적으로 숨을 저 배꼽 밑에 아랫배 하복부[丹田]까지 숨을 들어마셨다가 잠깐 머물렀다가 조용하니 길게 숨을 내쉬는 호흡.
들어마시는 시간 한 3초, 들어마셨다가 잠깐 머무르는 시간이 한 3초, 내쉬는 시간은 4~5초, 이렇게 해서 내쉬는 시간을 좀 길게 잡아서 내쉰다.

들어마시되, 아랫배가 터지도록 잔뜩 들어마시지 말고 한 80%정도만 들어마시고, 80% 들어마신 상태에서 3초 동안 잠깐 머물렀다가 조용히 내쉬는데,
들어마실 때에는 차츰차츰 아랫배가 볼록해지게 만들고, 내쉴 때는 차츰차츰 배를 홀쭉하게 만든다.

그래서 들어마셨다 잠깐 머물렀다 또 내쉬되, 배가 그것에 따라서 볼록해졌다 또 홀쪽해졌다, 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도록 의식적으로 호흡을 하는 것이다.

단전 호흡을 하게 되면은 혈액순환이 잘되고, 혈액순환이 잘됨으로 해서 몸안에 모든 노폐물이 깨끗하게 밖으로 배설이 되서 몸이 가벼워지고, 건강해지고 따라서 정신이 맑아지고, 정신이 안정이 된다.
주의할 점은 자신의 호흡의 길이에 알맞게 시작하고 자연스럽게 해야지, 절대로 억지로 호흡 시간을 길게 잡아 무리해서는 안된다.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의,덩어리 단,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가 홀로(獨) 드러나다(露).
*마구니 ; 마(魔). [범] mara 음을 따라 마라(魔羅)라 하고, 줄여서 마(魔)라고만 한다。장애자(障礙者)• 살자(殺者)• 악자(惡者)라 번역。목숨을 빼앗고 착한 일을 방해하며 모든 것을 파괴하는 악마를 말한다.
그러나  「마」는 밖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에서 생기는 것이다.
[참고] 마(魔)란 생사를 즐기는 귀신의 이름이요, 팔만사천 마군이란 중생의 팔만사천 번뇌다.
마가 본래 씨가 없지만,수행하는 이가 바른 생각을 잃은 데서 그 근원이 파생되는 것이다.
중생은 그 환경에 순종하므로 탈이 없고, 도인은 그 환경에 역행하므로 마가 대들게 된다。그래서 「도가 높을수록 마가 성하다」고 하는 것이다.
선정 중에 혹은 상주(喪主)를 보고 제 다리를 찍으며 혹은 돼지를 보고 제 코를 쥐기도 하는 것이, 모두 자기 마음에서 망상을 일으켜 외부의 마를 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마의 온갖 재주가 도리어 물을 베려는 것이나, 햇빛을 불어 버리려는 격이 되고 말 것이다。옛말에 「벽에 틈이 생기면 바람이 들어오고, 마음에 틈이 생기면 마가 들어온다」고 하시니라. —선가귀감(용화선원刊) p64.
*육근문두(六根門頭) ; 육근(六根-眼耳鼻舌身意)의 문 앞. 육근과의 경계.
*심왕(心王) ; [산스크리트어, citta] 대상의 전체를 주체적으로 인식하는 마음 작용으로, 육식(六識) 또는 팔식(八識)으로 분류함.
*마왕(魔王) 파순(波旬) ; 천마(天魔). 욕계(欲界)의 제육천(第六天) 곧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의 임금은 곧 마왕(魔王)이니, 그 이름이 파순(波旬)이다。그는 항상 불법을 파괴하려고 애쓰고 있다.
그것은 불도를 공부하는 이가 있으면 그의 궁전이 흔들리기 때문이라고 한다。그러므로 누구나 불법을 공부하겠다는 생각을 낼 때에 곧 천마가 따르는 것이다。다시 말하면 한 생각 일어나는 그것이 곧 천마다.
*올개미 ; 올가미. 노끈이나 철선 따위로, 잡아당겨도 매듭이 풀어지지 않도록 한 가닥을 고리처럼 만들어 짐승을 잡는 기구.
*(게송) ‘忽得自家底  頭頭只此爾’ ; 서산대사의 오도송(悟道頌)의 한 구절.
[참고] 『청허집(淸虛集)』 제2권. ‘過鳳城聞午雞(봉성을 지나다 낮닭의 울음소리를 듣고)’
발백비심백(髮白非心白)  고인증누설(古人曾漏洩)  금청일성계(今聽一聲雞)  장부능사필(丈夫能事畢)
머리 세어도 마음 안 센다고 옛 사람 일찌기 일렀더구나. 닭울음 한 소리 이제 듣고 나니 장부의 할 일을 다 마쳤도다.
홀득자가저(忽得自家底)  두두지차이(頭頭只此爾)  만천금보장(萬千金寶藏)  원시일공지(元是一空紙)
문득 자가 것을 깨닫고 나니 온갖 것이 다만 이뿐이로세. 팔만대장경도 본시는 한 장 빈 종이로세.
*화두 타파(打破) ; 화두의 생명은 의심입니다.
그 화두(話頭)에 대한 의심(疑心)을 관조(觀照)해 나가는 것, 알 수 없는 그리고 꽉 맥힌 의심으로 그 화두를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모든 번뇌와 망상과 사량심이 거기에서 끊어지는 것이고,
계속 그 의심을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더 이상 그 의심이 간절할 수가 없고, 더 이상 의심이 커질 수 없고, 더 이상 깊을 수 없는 간절한 의심으로 내 가슴속이 가득 차고, 온 세계가 가득 차는 경지에 도달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 경지에 이르면 화두를 의식적으로 들지 않어도 저절로 들려져 있게 되는 것입니다. 밥을 먹을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똥을 눌 때에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차를 탈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이렇게 해서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들려진 단계. 심지어는 잠을 잘 때에는 꿈속에서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게끔 되는 것입니다.

이런 상태로 6, 7일이 지나면 어떠한 찰나(刹那)에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큰항아리에다가 물을 가뜩 담아놓고 그 항아리를 큰돌로 내려치면은 그 항아리가 바싹 깨지면서 물이 터져 나오듯이, 그렇게 화두를 타파(打破)하고, ‘참나’를 깨닫게 되고, 불교의 진리를 깨닫게 되고, 우주의 진리를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참선법 A’ 에서]
*본면목(本面目) ; 본래면목(本來面目). ①자기의 본래(本來) 모습(面目). ②자신이 본디부터 지니고 있는, 천연 그대로의 심성(心性). 부처의 성품.
*보리심(菩提心) ; ①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 ② 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
*법문(法門 부처의 가르침 법,문 문) : 부처님의 가르침은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 세계를 벗어나, 열반(涅槃)에 들게 하는 문이므로 이렇게 이름.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르는 말. 진리에 이르는 문.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