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안거 해제 백종2014. 8. 18. 20:07

§(769) (게송)당하지귀아시수~ / 목련경(目連經)-효도 / 생사 호흡지간-무상(無常)하다 / (게송)전단목주중생상~ / 우리 다같이 영원한 도반으로서 성불합시다.

우리가 무량겁을 오면서 살아온 업이 다르기 때문에 비록 지은 업에 따라서 겉모양은 다르지마는, 이 몸뚱이를 끌고다니는 주인공은 그 불성은 부처님이나 관세음보살님이나 우리나 똑같은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비록 이 사바세계에 태어났지마는, 불법을 믿고 정법을 믿고 내 마음공부를 한 사람은 가난하거나 부자거나, 여자거나 남자거나, 유식하거나 무식하거나 전혀 그것이 문제가 안됩니다.


내가 나의 부처를 찾는 ‘이뭣고?’를 열심히만 한다면은 이 사바세계가 바로 깨달음으로 가는 가장 좋은 수도장(修道場)이 되고 부처님 세계가 될 것입니다. 우리 다같이 그러한 마음으로 오늘부터서 영원히 좋은 도반(道伴)으로서 그렇게 살아가기를 맹세합시다.


**송담스님(No.769) - 2014년(갑오년) 하안거해제(08.10) 법문.(용769)

 

(1) 약 18분.

 

(2) 약 13분.


(1)------------------

당하지귀아시수(當下知歸我是誰)오  의정거처요분명(疑情擧處要分明)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막파심량중복탁(莫把心量重卜度)하고  혜등호향풍전속(慧燈好向風前續)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당하지귀아시수(當下知歸我是誰)오  의정거처요분명(疑情擧處要分明)이니라.
당장 ‘내가 이 누군가?’하고 거기에 돌아갈 줄을 알아야 한다. 당장(當場)이라는 말은 눈으로 볼 때, 귀로 들을 때, 입으로 말할 때, 몸으로 춥고 더운 것을 느낄 때 바로 그 찰나(刹那)!
그 찰나찰나가 그리 쫓아가지 말고 눈에 뭣이 보이자마자 동시에 ‘내가 이 누군가?’로 돌아와야 한다 그말이야.

그 찰나를 눈으로 보는데 ‘노랗다 빨갛다, 크다 작다, 좋다 나쁘다’ 그리 쫓아가기 시작하면 그 좋은 기회를 놓치고, 무량겁 생사윤회(生死輪廻)로 끌려가는 것이고,
그 찰나를 발판으로 해서 ‘이뭣고?’로 돌아오면—비록 이 사바세계에 몸을 받아나서 이렇게 하루하루를 살고 있지마는, 그 찰나를 발판으로 해서 ‘이뭣고?’를 하면 깨달음의 길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여.

의정거처요분명(疑情擧處要分明)이다. 알 수 없는 ‘이뭣고?’드는 것, 그것이 분명함을 요한다 그말이야.
흐리터분하고 그런 것이 아니라 또록또록하게 분명(分明)하게 성성(惺惺)하게 ‘이뭣고?’.
이것이 생사윤회로 가느냐, 해탈 길로 가느냐의 길목인데, 천하 간단한 것이고 쉬운 것이고 복잡한 것이 아닙니다.

막파심량중복탁(莫把心量重卜度)하라. 마음·생각을 가지고 이리저리 분석하고 해석하고 비교하고 따지지 말라.
혜등호향풍전속(慧燈好向風前續)이니라. 지혜의 등불을 풍전(風前)을 향해서 잘 이어가라 그말이여.

지혜의 등불이 무엇이냐? ‘이뭣고?’가 깨달음으로 가는 바로 지혜의 길이기 때문에 ‘지혜의 등불이 켜진 곳’이다 그말이여. 그 지혜의 등불이 그 풍전을 향해서 이어가라.

풍전(風前)이 바람인데, 오욕(五欲)·팔풍경계(八風境界)·번뇌망상(煩惱妄想),
눈을 통해서, 귀를 통해서, 입을 통해서, 몸을 통해서, 우리의 생각을 통해서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그것이 팔풍·오욕 경계인데, 그 팔풍·오욕 경계를 향해서 지혜의 등불이 꺼지지 않도록 잘 이어가라 그말이여.

방금 우리는 전강대종사(田岡大宗師)이신 조실스님의 법문을 녹음을 통해서 들었습니다.
거기에 중언부언(重言復言) 산승(山僧)이 여러 말 할 것이 없습니다마는 비구·비구니·청신사·청신녀 어린 애기로부터서 팔십이 넘은 할머니 할아버지까지 법당 안팎에 이렇게 운집(雲集)을 하셨으니,
비록 내가 늙었지만은 여러 선배·후배 도반 여러분에게 나는 나 나름대로 당부하고 싶어서 이 자리에 올라왔습니다.(사부대중 박수)

오늘은 갑오년 음력 7월 15일 백중(百中)날입니다. 백중날은 선방(禪房)에서는 하안거 해제일이라고 합니다만은 오늘 해제날은 우리가 영원히 잊어서는 안될 참 깊은 일화가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생존하셨을 때 부처님의 제자이신 목련존자(目連尊者)—부처님 십대제자 중에 신통제일이 목련존자인데, 그 목련존자가 신통력으로 관찰을 해 보니까 그 모친(母親), 어머니이신 청제부인이 지옥고에 빠져서 지옥고를 받고 계시다 그말이여.

그래서 자기가 아무리 신통력이 있다 하더라도, 죄업(罪業)을 지어가지고 지옥고를 받고 있는 사람을 신통력으로 맘대로 끌어올 수가 없어. 그래서 부처님께 간곡(懇曲)히 말씀을 여쭈었습니다.

‘저의 모친이 생존시에 죄업을 지어서 저 지옥고에 떨어져서 지옥고를 받고 있으니 어떻게 하면 어머니를 제도할 수 있겠습니까?’ 무릎을 꿇고 합장을 하고 간곡히 여쭈니까,

‘한 길이 있느니라. 오늘 칠월 백중날, 선방에서는 하안거 해제날인데 네가 백 가지 과일이다 음식이다 맛있는 음식 온갖 것을 다 준비를 해 가지고 해제를 맞이한 선방 대중에게 대중공양(大衆供養)을 올려라.
그러면 석 달 동안—특히 인도(印度)라는 데는 여름이 여기보다도 훨씬 더 더운 곳입니다.
그 더위 속에서 석 달 동안을 열심히 정진한 대중에게 백 가지, 여러 가지의 음식을 잘 공양을 하면 그 공덕으로 너의 모친을 천당(天堂)으로 올라가게 할 수가 있느니라.’

그 말을 듣고 목련존자는 탁발(托鉢)을 하고—여기저기 부자집, 가난한 집을 전부 돌고 돌아가지고 탁발을 해가지고 여러 가지 종류의 맛있는 과일도 사고, 떡에다 여러 가지 맛있는 음식을 마련해 가지고,
선방 대중에게 공양을 올려가지고 지옥고 받고 있는 그 어머니를 천당으로 올라가시게 한, 목련경(目連經)이라고 하는 경전에 자세하게 나와 있습니다.

그것이 인연이 되고, 원인이 되고 해 가지고 그 이후로 여름 하안거 해제, 7월 15일 날은 인도나 중국이나 한국이나 일본이나 불교을 믿는 나라에서는 7월 백중에 과일이다 떡이다 맛있는 음식을 많이 장만해 가지고 부처님께 공양도 올리고, 첫째 대중공양을 해 내려오는 준례가 오늘날까지도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이미 이러한 일화를 다 듣고 알고 계시겠지만은 오늘 갑오년 7월 15일을 맞이해서 산승이 다시 한번 간곡히 말씀을 드리는 것은,
우리도 아직까지는 이만큼 건강하고 살고 있지마는 생사 문제는 호흡지간(呼吸之間)에 있는 것입니다.

오늘 이렇게 건강해도 오늘도 눈을 감을 수도 있고 내일도 눈을 감을 수 있고, 우리의 부모님도 그렇고, 우리 자신들도 그렀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정말 무상(無常)하다고 하는 것을 우리는 잠시도 잊지 말고, 어쨌든지 ‘이뭣고?’를 열심히 해서 생사의 굴레로부터서 해탈하는 것을 잠시도 잊어서는 안되고,
아직 부모님이 살아계시면 성의를 다해서 살아계실 때 잘 받들어 모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돌아가신 뒤에 제사를 잘 모신 것도 중요하지만,
살아계실 때 성의를 다해서—아버님, 어머님, 할머니, 할아버지께 성의를 다해서 효심으로 잘 받들어 모시면, 그 어른들이 공양을 받고 효도를 받으시면서 흐뭇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여생을 지내시게 될 것입니다.
성의를 다하지 않고 노인에게 효도를 안하면은 그 어르신들이 섭섭한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사신다면 얼마나 가슴 아픈 일이겠습니까.

살아계실 때 잘 받드는데—음식을 잘 해드리는 것도 중요하고, 계절 따라서 좋은 옷을 해 드리는 것도 좋은 일이나, 첫째 중요한 것은 「마음」입니다.
마음을, 그 효도하는 마음을 가지고 항상 살아야 얼굴빛도 달라지고, 그 입에서 나오는 말 한마디 한마디도 그 어른의 마음을 흐뭇하게 해 드리고 즐겁게 해 드릴 수가 있는 것이고,

말을 한마디 푹 잘못하면 어른의 속을 뒤집어 놓을 수가 얼마든지 있는 것입니다. 속이 뒤집어져서 오장(五臟)이 상(傷)하면 금방 안 가라앉습니다.
그런 불편한 마음으로 하면 밥맛도 맛이 없고 밥을 먹어도 소화도 잘 안되고.
노인이 섭섭한 마음을 가지고 그렇게 그럭저럭 살다가 돌아가시게 되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젊어서도 우리는 건강하고 기쁘게 잘 살아야겠지만은,
특히 나이 먹을수록에 마음이 편안한 흐뭇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살아야 건강도 좋아지고, 그 노인의 생각도 흐뭇한 생각으로 노래(老來)를 지내시게 되는 것이니까,
이 자리에 모이신 형제자매 도반 여러분은 오늘 산승이 특별히 이렇게 간곡히 말씀드린 것을 가슴속 깊이 명심하시고 노인을 잘 받들어 주시기를 부탁을 합니다.(박수)(처음~18분05초)

 

 

 



(2)------------------

아직은 우리는 이만큼 건강하고 살지만은 우리도 금방 늙습니다. 금방 머리에 흰머리가 나고, 주름살이 생기고, 허리가 꼬부라지고, 눈도 잘 안 보이고, 귀도 잘 안 들리게 됩니다.

젊다고 그럭저럭 살 일이 결코 아닙니다. 이만큼 젊을 때, 이만큼 덜 늙었을 때 노인에게도 잘 하지만은, 첫째 자기 문제가 대단히 중요합니다.

하루하루를 그럭저럭 지내다보면 하루 24시간이라는 것이 금방 해가 저물어서 밤이 되고 그 이튿날로 옮겨가는데 그 시간을 소중히 알고,
앉아서나 서서나 일을 할 때나, 직장에서나 가정에서나, 무엇을 보거나 무엇을 듣거나 무슨 생각이 일어나더라도 그 찰나찰나를 바로 그걸 발판으로 해서 ‘이뭣고?’

‘이뭣고?’로 돌아온다면 이것이 정말 인생을 보람있게 살아가는 길이고, 이렇게 하루하루를 삶으로 해서 그렇게 산 사람이 무슨 죄를 지으며 무슨 지옥에 가겠습니까.

이런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살면 물어볼 것도 없이 숨 끊어지자마자 도솔천 내원궁(兜率天內院宮)에 태어나시거나 극락세계(極樂世界)에 가서 태어나시게 될 것입니다.

이것은, 인과법(因果法)은 지극히 과학적 사실이고 추호(秋毫)도 어김이 없고 거짓이 없습니다.
닦는 데로 가는 거고, 지은 데로 가는 것입니다.

인과는 원자현미경으로 들여다봐도 일분도 어김이 없이 고대로인 것입니다.
인과를 철저히 믿어야 우리는 올바르게 인생을 살아가게 되는 것입니다.
인과를 믿지 아니하고 함부로 말하고, 함부로 행동하고, 함부로 살면 그야말로 딱하고 불쌍한 존재가 되는 것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아까 조실스님 법문에도 나왔지만은,
‘이뭣고?’를 하는데—그냥 ‘이뭣고?’해도 되는데, 숨을 깊이 마셨다가 내쉬면서 ‘이뭣고?’하면 속이 조금 안 좋을 때도 ‘이뭣고?’가 잘 들리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기분이 나쁘거나, 속이 상하거나, 언짢은 일이 있을 때에는 바로 억지로 참을라고 하지 말고 심호흡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깊이 숨을 들어마셨다가 내쉬면서 ‘이뭣고?’
그렇게 하면 흥분되었던 생각도 가라앉고, 안 좋았던 오장(五臟)도 가라앉게 되는 것입니다.

살아간다고 하는 것은, 결국 '살았냐 죽었냐'는 '숨이 있느냐 없느냐', 이 호흡이라고 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 것입니다.
물론 맥박을 짚어봄으로 해서 죽었나 살았나도 알 수가 있지만은 ‘숨이 끊어졌냐, 안 끊어졌냐’는 ‘호흡을 제대로 하고 있느냐, 안 하고 있느냐’가 생사를 알거나 건강을 아는데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항상 우리는 단전호흡(丹田呼吸)을 생활속에서 살려 나가고, 단전호흡을 하면서 항상 ‘이뭣고?’로서 자기의 정신을 차려 나간다면 우리 사바세계가 비록 흥망성쇠와 생로병사가 있는 곳이라 하지만은,
정법(正法)을 믿고 단전호흡을 하면서 ‘이뭣고?’를 하는 사람은 이 사바세계(娑婆世界)야말로 깨달음으로 가는, 극락세계나 천당으로 가는 가장 좋은 곳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도 우리는 좋은 부모님을 만나서 이런 몸을 받아서 태어났으니 부모님께 항상 감사한 마음을 잊지 말고,
그러면서 ‘이뭣고?’를 열심히 하면서 금생 일생 수명이 다할 때까지도 이런 마음을 등한히 하지 말고 열심히 우리가 도를 닦고 그럼으로 해서,
세세생생에 우리는 극락세계나 도솔천 내원궁이나 또는 이 사바세계에 태어나더라도 우리는 다시 또 만나서 이런 최상승법(最上乘法) 참선을 이야기하면서 앞에서 끌고 뒤에서 밀면서 깨달음 길로 가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할 생각이 확실한 분은 손을 한번 들어보세요? 고맙습니다.(박수)

 


전단목주중생상(栴檀木做衆生像)하되  급여여래보살형(及與如來菩薩形)이로다
나~무~아~미~타~불~
만면천두수각이(萬面千頭雖各異)나  약문훈기일반향(若聞熏氣一般香)이로다
나~무~아~미~타~불~

전단목주중생상(栴檀木做衆生像)하고  급여여래보살형(及與如來菩薩形)이다.
향나무 중에서는 제일 향기가 좋은 것이 전단향나무입니다. 그 전단향나무로 여러 가지 중생의 모습을 조각을 합니다. 사람의 모습도 조각하고, 짐승의 모습도 조각을 하고 무엇이든지 조각을 하고,

또 급여여래보살형(及與如來菩薩形)이다, 부처님의 모습도 조형을 하고 관세음보살·문수보살·보현보살과 같은 훌륭한 보살님의 모습도 조각을 합니다.

그러면 여러 가지 중생의 모습, 부처님의 모습, 보살님의 모습,
만면천두(萬面千頭)가 수각이(雖各異)여. 그 얼굴이나 천 개의 머리가 비록 모양은 달라.

모양은 다르지마는 가까이 가서 코를 대고 냄새를 맡아보면 전단향나무로 조성을 했기 때문에 부처님의 모습에서도 전단향 냄새가 나고, 관세음보살이나 문수보살의 모습에서도 전단향 냄새가 나고,
중생들의 여자·남자·어린애의 이쁜 얼굴, 덜 이쁜 얼굴을 조성을 했어도 가까이 가서 맡어보면 내나 전단향 냄새가 난다 그말이여.(若聞熏氣一般香)

비록 이 자리에 많은 신남신녀 형제자매 도반 여러분들이 가득 계시지만은 연령도 다르고 얼굴 모습도 다릅니다.
이쁘게 생긴 분도 있고 조금 덜 이쁜 분도 있고, 주름살 있는 분, 얼굴이 긴 분,  동글동글한 분, 모습이 다 다르지마는 가까이 가서 냄새를 맡아본 것이 아니라,
정말 그 몸뚱이를 끌고다니는 그 주인공을 살펴보면 부처님과 똑같은 불성(佛性)을 다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겉모습은 다르지마는 이 몸뚱이를 끌고다니는 우리의 마음자리, 불성자리는 부처님이나 관세음보살님이나 우리와 똑같은 것입니다.
우리가 무량겁을 오면서 살아온 업이 다르기 때문에 비록 지은 업에 따라서 겉모양은 다르지마는, 이 몸뚱이를 끌고다니는 주인공은 그 불성은 똑같은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비록 이 사바세계에 태어났지마는, 불법을 믿고 정법을 믿고 내 마음공부를 한 사람은 가난하거나 부자거나, 여자거나 남자거나, 유식하거나 무식하거나 전혀 그것이 문제가 안됩니다.

바로 앉아서도 ‘이뭣고?’, 서서도 ‘이뭣고?’,
속이 상할 때도 ‘이뭣고?’, 기쁠 때도 ‘이뭣고?’, 슬플 때도 ‘이뭣고?’
내가 나의 부처를 찾는 ‘이뭣고?’를 열심히만 한다면은 이 사바세계가 바로 깨달음으로 가는 가장 좋은 수도장(修道場)이 되고 부처님 세계가 될 것입니다.

우리 다같이 그러한 마음으로 오늘부터서 영원히 좋은 도반(道伴)으로서 그렇게 살아가기를 맹세합시다.
성불합시다.(처음~31분11초)(끝)

 

 

 



------------------(1)

*(게송) ‘당하지귀아시수(當下知歸我是誰)~’ ; [무이선사광록(無異禪師廣錄)] 제17권, ‘示蔡聖龍祠部’ ‘示朱羅青民部’ 게송 참고.
*이뭣고(是甚麼) : 「이뭣고」 화두는 천 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육근(六根)·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를 찾는 것이다.
[참고] 이뭣고? 이것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렇게 의심을 해 나가되, 이런 것인가 저런 것인가 하고 이론적으로 더듬어 들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다못 “이뭣고~?” 이렇게만 공부를 지어나가야 됩니다. 여기에 자기의 지식을 동원해서도 안되고, 경전에 있는 말씀을 끌어 들여서 “아하! 이런 것이로구나!” 이렇게 생각해 들어가서도 안됩니다.
공안은 이 우주세계에 가득 차 있는 것이지마는 문헌에 오른, 과거에 고인(古人)들이 사용한 화두가 1700인데, 이 ‘이뭣고?’ 화두 하나만을 열심히 해 나가면 이 한 문제 해결함으로 해서 1700공안이 일시(一時)에 타파가 되는 것입니다.
화두가 많다고 해서 이 화두 조금 해 보고, 안되면 또 저 화두 좀 해 보고, 이래서는 못 쓰는 것입니다. 화두 자체에 가서 좋고 나쁜 것이 있는 것이 아니고 오직 한 화두 철저히 해 나가면 일체 공안을 일시에 타파하는 것입니다.(76분34초~78분22초) [ ‘참선법 A’ 에서]
*찰나(剎那 짧은시간 찰,어찌 나) ; ①지극히 짧은 시간. 75분의 1초에 해당한다. ②어떤 일이나 현상이 이루어지는 바로 그때.
*분명(分明 명백할 분,밝을 명) : ①틀림없이 확실하게. ②모습이나 소리 따위가 흐릿함이 없이 똑똑하고(分) 뚜렷하다(明).
*성성(惺惺) ; ①정신이 맑고 뚜렷함. 정신을 차림. 총명함. ②깨달음.
*오욕(五欲,五慾,五欲樂) ; ①중생의 참된 마음을 더럽히는-색,소리,향기,맛,감촉(色聲香味觸)에 대한-감관적 욕망. 또는 그것을 향락(享樂)하는 것. 총괄하여 세속적인 인간의 욕망. ②불도를 닦는 데 장애가 되는 다섯 가지 욕심. 재물(財物), 색사(色事), 음식(飮食), 명예(名譽), 수면(睡眠)을 이른다.
*팔풍(八風) : 팔경(八境). 팔풍경계(八風境界). 팔풍은 세상에서 사랑하거나 미워하는 바로서 능히 사람의 마음을 흔들어서 움직이게 하므로 팔풍(八風)이라 함<몽산법어 p155, 용화선원刊>
--이쇠(利衰 이로울 리,약할 쇠) 내 뜻에 맞고(利) 내 뜻에 어기는 것(衰)
--예훼(譽毀 기릴 예,비방할 훼) 나 안보는 데서 나를 찬미하는 것(譽), 나 안보는 데서 나를 비방하는 것(毀)
--칭기(稱譏 일컬을 칭,나무랄 기) 면전에서 찬미하는 것(稱), 면전에서 비방하는 것(譏)
--고락(苦樂 괴로울 고,즐거울 락) 몸과 마음을 괴롭히는 것(苦), 몸과 마음을 즐겁게 해주는 것(樂)
[참고] 팔풍=팔세법(八世法, attha lokadhamma)--세간 특유의 여덟가지 어려움.
--이득과 손실, 좋은 평판과 나쁜 평판, 칭찬과 비난, 고통과 행복<칠각지 p57,고요한소리刊>
(팔풍경계를 요약하면 결국 역순경계(逆順境界).
*번뇌(煩惱 번거러울 번,괴로워할 뇌) ; ①마음이 시달려서(煩) 괴로워함(惱). 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하고 괴롭히는 정신작용. 근원적 번뇌로서 탐냄(貪)·성냄(瞋)·어리석음(癡)이 있다.
②나라고 생각하는 사정에서 일어나는 나쁜 경향의 마음 작용. 곧 눈 앞의 고(苦)와 낙(樂)에 미(迷)하여 탐욕·진심(瞋心)·우치(愚癡)등에 의하여 마음에 동요를 일으켜 몸과 마음을 뇌란하는 정신 작용.
*망상(妄想 망녕될 망,생각 상) ; ①이치에 맞지 아니한 망녕된(妄) 생각(想)을 함, 또는 그 생각. ②잘못된 생각. 진실하지 않은 것을 진실하다고 잘못 생각하는 것.
*중언부언(重言復言) ; 이미 한 말을 자꾸 되풀이함.
*운집(雲集 구름 운,모일 집) ; 구름(雲)처럼 모인다(集)는 뜻으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백중(百中)날 ; 음력 칠월 보름날. 석 달간의 하안거(夏安居)를 마치는 날. 하안거를 마친 수행자들에게 공양을 올리어 그 공덕으로 어머니를 지옥에서 구제한 목련존자의 효심을 기원으로 하는, 우리의 선망부모의 영가를 천도하는 법요식을 거행하는 날(우란분회 盂蘭盆會). 백중(百衆)·백종(百種)이라고도 한다.
불교가 융성했던 신라·고려 시대에는 이날 국가적으로 '우란분회'를 열었으나 조선 시대 이후로 절에서만 여러 가지 음식을 갖추어 재를 올리고, 농가에서는 이날 하루 농번기의 피로를 씻기 위해 머슴을 쉬게 하였다.
*선방(禪房) ; ①참선(參禪)하는 방. 선실(禪室)과 같은 말. ②‘선방에 간다’라는 말은 ‘참선하러 절에 간다’ 또는 ‘참선에 들어간다’라는 표현이다.
*신통(神通 불가사의할 신,통할 통) : 수행을 통(通)하여 도달하는 걸림없는 초인간적인(神) 능력.
*죄업(罪業) ; 자신과 남에게 해가 되는 그릇된 행위(身)와 말(口)과 생각(意). 괴로움의 과보를 초래하는 악한 행위. 좋지 않은 결과의 원인이 되는 악한 행위.
*대중공양(大衆供養) ; ①수행자에게 음식을 올리는 일. ②대중이 함께 식사하는 일.
*천당(天堂) ; ①천상(天上)에 있다는 신(神)의 전당(殿堂), 하늘의 세계. 색계(色界)와 무색계(無色界)의 모든 하늘을 통칭하는 말. ②정토교(淨土敎)의 극락세계(極樂世界).
*탁발(托鉢 맡길 탁, 바리때 발) ; 스님이 경문을 외면서 집집마다 다니며 보시를 받음.
*목련경(目連經) ; 목련 존자(目連尊者)가 지옥에 빠진 어머니를 건진 일을 다룬 경문으로, 음력 칠월 백중날이면 이 경을 읽고 기도한다.
*무상(無常) ; 모든 현상은 계속하여 나고 없어지고 변하여 그대로인 것이 없음. 온갖 것들이 변해가며 조금도 머물러 있지 않는 것. 변해감. 덧없음. 영원성이 없는 것.
*오장(五臟)이 상(傷)하다 ; 비위가 상해 마음이 몹시 언짢다.
*노래(老來 늙을 노,올 래) ; ‘늘그막’을 점잖게 이르는 말.

 

 

 



------------------(2)

*도솔천내원궁(兜率天內院宮) ; 욕계 육천(欲界六天)의 넷째 하늘. 불교의 우주관에 따르면 우주의 중심은 수미산(須彌山)이며, 그 꼭대기에서 12만 유순(由旬) 위에 도솔천이 있는데 이곳은 내원(內院)과 외원(外院)으로 구별되어 있다.
내원은 내원궁(內院宮)으로 불리기도 하며 석가모니가 보살일 당시에 머무르면서 지상에 내려갈 때를 기다렸던 곳이며, 오늘날에는 미래불인 미륵보살(彌勒菩薩)이 설법하면서 지상으로 내려갈 시기(석가모니가 입멸한 지 56억 7천만 년 뒤에)를 기다리고 있는 곳이고, 외원은 수많은 천인(天人)들이 오욕(五欲)을 충족시키며 즐거움을 누리고 있는 곳이다. 도솔(兜率)의 뜻은 지족(知足).
*극락세계(極樂世界) :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 괴로움과 걱정이 없는 지극히(極) 안락(樂)하고 자유로운 세상(世界)이다. 안양(安養)•안락국(安樂國)•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무량수불토(無量壽佛土)•무량광명토(無量光明土)•무량청정토(無量清淨土)라고도 함.
*인과(因果) : 무엇이나 원인 없는 결과가 없고 결과 없는 원인이 없다。콩 심은데 콩이 나고, 팥 심은 데 팥이 나서, 이 세상의 온갖 일과 모든 물건이 반드시 인과의 법칙 대로 되어 가는 것이다.
사람의 일도 착한 일을 하면 복을 받고, 악한 짓을 하면 재앙을 받아서 길(吉)·흉(凶)·화(禍)·복(福)이 하나도 우연한 것이 없다。그러나 그 보응(報應)의 나타남이 원인을 짓는 그 즉시로 곧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사람의 환경이 복잡하고, 마음 쓰는 것이 또한 한결같지 않기 때문에 무거운 쪽부터 먼저 실현되어, 짓는 그 당장에 받게 되는 순현보(順現報)와, 짓는 그 즉시에 받지 않고 그 다음 시기에 받는 순생보(順生報)와, 받기는 반드시 받되 언제 받게 될지 일정하지 않은 순후보(順後報)가 있다.
이 세 가지 과보(果報)는 금생(今生) 안에 실현되기도 하고, 여러 생(多生)을 통하여 되기도 한다。그러므로 착한 사람이 빈천하거나, 악한 사람이 잘되는 것은 일시적인 현상일 따름이다.
*추호(秋毫 가을 추•가는 털 호) ; ‘추호도’, ‘추호의’의 꼴로 쓰여, 가을에 짐승의 털이 매우 가늘어지는 데에서 가을 털끝만큼 ‘매우 조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단전호흡(丹田呼吸) ; 분류 ‘참선(자세, 호흡)’ 참고.
*정법(正法) ; ①올바른 진리. ②올바른 진리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③부처님의 가르침이 올바르게 세상에 행해지는 기간.
*사바세계(娑婆世界); 고뇌를 참고 견디지 않으면 안되는 괴로움이 많은 이 세계. 현실의 세계. 석가모니 부처님이 나타나 교화하는 세계. 인토(忍土)•감인토(堪忍土)•인계(忍界)라고 한역.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게송) ‘전단목주중생상(栴檀木做衆生像)~’ ; [석문의범(釋門儀範)] 점안게(點眼偈).
*전단(栴檀) ; 산스크리트어 candana의 음사. 남인도의 서해안에 뻗어 있는 서(西)고츠 산맥에서 많이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끝이 뾰족한 타원형의 잎이 마주나고 꽃은 주머니 모양임. 나무에서 향기가 나고 조각물의 재료로 쓰임.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대자대비(大慈大悲)의 마음으로 중생을 구제하고 제도하는 보살.
관세음(觀世音)은 산스크리트어 avalokiteśvara의 번역, 보살(菩薩)은 산스크리트어 bodhi-sattva의 음사인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
세간(世間)의 중생이 갖가지 괴로움을 받을 때, 그의 이름을 부르면 그 음성(音聲)을 듣고(觀) 대자비와 지혜로써 자유 자재로 중생을 괴로움에서 벗어나게 해 주는 보살.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 보처(補處).
또 자재롭게 보는 이(觀自在者), 자재로운 관찰 등의 뜻으로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이라 한다. 또 광세음(光世音)·관세음(觀世音)·관세자재(觀世自在)·관세음자재(觀世音自在) 등으로 쓰며 줄여서 관음(觀音)이라 한다. 관세음보살의 주처는 보타낙가산(補陀洛迦山)이다.
한국에서는 동해에 있는 강원도 양양 낙산사(洛山寺)가 관음 도량으로 유명하다.
*문수보살(文殊菩薩) ; 문수사리보살(文殊師利菩薩). 부처의 완전한 지혜를 상징함.
문수사리는 산스크리트어 만주슈리(mañjuśrī)의 음사. 문수시리(文殊尸利),만수실리(蔓殊室利)라고도 쓴다.
‘문수’는 묘(妙, 신묘하다, 훌륭하다), ‘사리’는 길상(吉祥, 상서로움)의 뜻이다. 묘길상(妙吉祥)·묘덕(妙德)·유수(濡首)라 번역. 석가모니불을 왼쪽에서 보좌하는 보살.
문수보살은 일반적으로 연화대에 앉아 오른손에는 지혜의 칼을, 왼손에는 푸른 연꽃을 들고 있다. 그러나 때때로 위엄과 용맹을 상징하는 사자를 타고 있기도 하고, 경권(經卷)을 손에 든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도 많다. 문수보살은 지혜의 완성을 상징하는 화신(化身).
≪화엄경≫ 속에서도 문수 보살은 보현보살(普賢菩薩)과 함께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의 양쪽 협시 보살(挾侍菩薩)을 이룸.
*보현보살(普賢菩薩) ;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은 보살. 한량없는 행원(行願)을 상징함.
산스크리트어 사만타바드라(Samantabhadra). 삼만다발타라(三曼多跋陀羅)라고 표기. 보현(普賢), 편길(遍吉)이라 한역. 경전을 수호하고 널리 퍼뜨리며, 불법을 펴는 보살.
연화대에 앉거나 여섯 이빨을 가진 흰 코끼리를 타고 있다. 석가모니불을 오른쪽에서 보좌하는 보살. 보현보살은 또 중생의 목숨을 길게 하는 덕을 가졌으므로 연명보살(延命菩薩)이라고도 한다.
모든 보살들은 다 각각 부처님 공덕의 어느 한 부분만을 나타내어 그것이 그의 특징이 된다.
*불성(佛性) : 부처를 이룰 수 있는 심성(心性)으로 사람사람에게 본래 갖춰져 있는 자성(自性)을 말함。불타나 중생이나 심지어 꿈적거리는 미물(微物)에 이르기까지 그 자성에 있어서는 차등이 없다.
*도반(道伴) ; 함께 불도(佛道)를 수행하는 벗. 불법(佛法)을 닦으면서 사귄 벗.

Posted by 닥공닥정